“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곽광(霍光)
중국 전한(前漢) 무제(武帝)~선제(宣帝) 때의 장군. 표기장군(驃騎將軍) 곽거병(霍去病)의 이복 동생으로, 무제ㆍ소제(昭帝)ㆍ선제를 섬기며 대장군(大將軍) 등을 지냄. 특히 소제가 어려서 즉위하자 잘 보좌하여 나라를 안정시킴.
?~B.C.68 중국>전한 , 중국 , 인명>관인>무신
-
곽규(郭規)
조선 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현풍(玄風). 곽득하(郭得賀)의 아들로, 1474년(성종 5)에 사마시(司馬試)에 입격함. 포산군(苞山君) 곽부(郭郛)의 현손(玄孫)으로 창녕 현감(昌寧縣監) 등을 역임함.
1445~1501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현풍 , 인명>관인>문신
-
곽규(郭赳)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사성(司成) 곽지번(郭之藩)의 아들로, 1555년(명종 10) 식년(式年)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승지(承旨) 등을 지냄.
1521~1584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현풍 , 인명>관인>문신
-
곽급(郭伋)
중국 신(新)~후한(後漢) 광무제(光武帝) 때의 문신. 병주 목사(幷州牧使)로 있으면서 은혜로운 정사를 폈는데, 다시 그 지방에 부임하여 서하(西河) 미직(美稷)에 이르자, 아이들이 죽마(竹馬)를 타고 길에 나와 절을 하면서 맞이했다고 함.
중국>후한ㅣ중국>신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곽기수(郭期壽)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본관은 해미(海美)로, 선략장군(宣略將軍) 곽세유(郭世幼)의 아들. 관직은 예조 좌랑(禮曹佐郞)에 이르렀으며, 부안 현감(扶安縣監) 재직 중에 낙향하여 《주역(周易)》 연구에 전념함.
1549~1616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강진 , 인명>관인>문신
-
곽마천(霍摩天)
중국 전한(前漢) 무제(武帝)~선제(宣帝) 때 대장군(大將軍)을 지낸 곽광(霍光)의 아들.
중국>전한 , 중국 , 인명>기타인명>기타인물
-
곽몽징(郭夢徵)
중국 명(明) 나라 신종(神宗) 때의 장군.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원임참장(原任參將)으로, 부총병(副摠兵) 조승훈(祖承訓)과 유격장(遊擊將) 사유(史儒)와 함께 군사를 이끌고 조선에 옴.
중국>명 , 중국 , 인명>관인>무신
-
곽박(郭璞)
중국 남북조시대 진(晉) 나라의 시인ㆍ학자. 오행(五行)ㆍ천문(天文)ㆍ복서(卜筮)에 능하며, 주석서(註釋書)에는 《이아(爾雅)》ㆍ《산해경(山海經)》ㆍ《방언(方言)》ㆍ《초사(楚辭)》 등이 있음. 유곤(劉琨)ㆍ좌사(左思)와 함께 동진(東晉)의 3대 시걸(詩傑)로 꼽힘.
276~324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곽보민(郭保民)
조선 중종(中宗) 때의 유학. 본관은 현풍(玄風). 곽정동(郭貞同)의 아들로, 1513년(중종 8) 진사시(進士試)에 면앙정(俛仰亭) 송순(宋純)과 함께 입격함.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청안 , 인명>문사>유학
-
곽복(郭復)
고려 공민왕(恭愍王) 때의 문신. 비서승(秘書丞)을 지냄.
한국>고려후기 , 인명>관인>문신
-
곽부(郭郛)
고려 후기의 문신. 곽원진(郭元振)의 손자. 본관은 현풍(玄風). 추충익대공신(推忠翊戴功臣)으로, 벼슬이 삼중대광(三重大匡)에 이르렀음.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현풍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곽산(郭山)
평안도 남부 해안에 위치한 고을 이름. 본래 고구려 땅이었으며, 발해(渤海)를 거쳐 한때 여진(女眞)의 거점이 되기도 함. 이원(李黿) 등을 배향한 월포사(月浦祠)가 있음.
평안도>곽산 , 지명>행정지명
-
곽상정(郭祥正)
중국 송(宋) 나라 신종(神宗) 때의 문신. 단주 지사(端州知事)가 되었으나 벼슬에 뜻이 없어 현청산(縣靑山)에 은거함. 시(詩)에 뛰어나 매요신(梅堯臣)에 의해 이백(李白)의 후신(後身)으로 비견(比肩)되고, 저서에 《청산집(靑山集)》이 있음.
중국>송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곽세유(郭世幼)
조선 전기의 무신. 본관은 해미(海美). 선조(宣祖) 때 부안 현감(扶安縣監)을 지낸 곽기수(郭期壽)의 아버지로, 선략장군(宣略將軍)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강진 , 인명>관인>무신
-
곽수강(郭壽岡)
조선 효종(孝宗) 때의 유학. 본관은 현풍(玄風). 1654년(효종 5) 생원시(生員試)에 입격하고 1658년 성균관에 들어가 경의(經義)를 연구하였으나, 대과(大科) 응시 전에 죽었음.
1619~1660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고령 , 인명>문사>유학
-
곽숙(霍叔)
중국 주(周) 나라의 제후. 문왕(文王)의 아들이며 무왕(武王)의 아우로, 무왕이 죽고 성왕(成王)이 즉위하자 관숙(管叔)ㆍ채숙(蔡叔)ㆍ주(紂)의 아들 무경(武庚)과 함께 반역을 했다가 주공(周公)에 의해 처벌당함.
중국>주 , 중국 , 인명>왕실>왕자ㅣ인명>왕실>제후
-
곽숙운(郭叔雲)
중국 송(宋) 나라의 학자. 조주(潮州) 게양인(揭陽人)으로, 주희(朱熹)의 문인.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곽순(郭珣)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현풍(玄風). 호조 좌랑ㆍ진보 현감(眞寶縣監)ㆍ봉상시 정ㆍ사간 등을 지냈으며, 기묘사화(己卯士禍) 때 화를 당한 조광조(趙光祖)의 신원을 상소함. 을사사화(乙巳士禍)에 연루되어 장살(杖殺)당함.
1502~1545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청도 , 인명>관인>문신
-
곽승화(郭承華)
조선 성종(成宗) 때의 유학. 본관은 현풍(玄風)으로, 김종직(金宗直)의 문인. 김굉필(金宏弼)과 함께 점필재(佔畢齋)의 문하에서 유학하였고, 청개(淸介)한 인품으로 사우(士友)들의 추앙을 받음.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현풍 , 인명>문사>유학
-
곽열(郭說)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곽회영(郭懷英)의 아들로 1589년(선조 22) 증광시(增廣試)에 급제하여 봉상시 첨정(奉常寺僉正)을 지냄.
1548~1630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청주 , 인명>관인>문신
-
곽영(郭永)
중국 삼국시대 위(魏) 나라의 문신. 문제(文帝)의 황후인 문덕곽황후(文德郭皇后)의 아버지로, 관직은 태수(太守)에 이름.
중국>삼국시대 , 중국 , 인명>관인>문신ㅣ인명>왕실>인척
-
곽영석(郭永錫)
중국 원(元) 나라의 문신. 중서검교(中書檢校) 등을 역임했으며, 1366년(공민왕 15)에 하남왕(河南王) 확곽첩목아(擴廓帖木兒)의 보빙사(報聘使)로 고려(高麗)에 왔음.
중국>원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곽영준(郭迎俊)
고려 후기의 문신. 본관은 청주(淸州). 상서좌승(尙書左丞)을 지낸 곽침(郭琛)의 아버지로, 판개성부사(判開城府使)를 지냄.
한국>고려후기 , 충청도>청주 , 인명>관인>문신
-
곽외(郭隗)
중국 춘추전국시대 연(燕) 나라 소왕(昭王)의 모사(謀士). 종횡가(縱橫家)로 연 나라가 제(齊) 나라의 침략을 받고 있을 때 파국면(破局面)을 제시함.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곽원(郭元)
고려 성종(成宗)~현종(顯宗) 때의 문신. 갑과(甲科)로 급제하여 형부 상서(刑部尙書)ㆍ참지정사(參知政事) 등을 역임하였으며, 청렴하고 문장을 잘 지음.
?~1029 한국>고려전기 , 충청도>청주 , 인명>관인>문신
-
곽월(郭越)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사성(司成) 곽지번(郭之藩)의 아들이며, 의병장 곽재우(郭再祐)의 아버지. 1556년(명종 11) 별시(別試)에 급제하여 사간(司諫)을 거쳐 동지사(冬至使)로 명(明) 나라에 다녀왔으며 남원 부사(南原府使) 등을 역임함.
1518~1586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현풍 , 인명>관인>문신
-
곽율(郭𧺝)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곽지인(郭之仁)의 아들이고 조식(曺植)의 문인. 임진왜란때 초계 군수(草溪郡守)로 재임되어 왜군을 방어, 강우(江右)지역 방어에 기여함.
1531~1593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현풍 , 인명>관인>문신
-
곽의(郭義)
조선 전기의 효자. 부모를 위해 손가락을 잘라 공양한 효도를 기리는 시(詩)가 유희춘(柳希春)의 《미암집(眉巖集)》에 전함.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천안 , 인명>기타인명>효자
-
곽자의(郭子儀)
중국 당(唐) 나라 현종(玄宗)~덕종(德宗) 때의 무신. 현종 때 삭방절도사(朔方節度使)가 되어 이광필(李光弼)과 함께 안사(安史)의 난을 평정하고, 회흘(回紇:위구르)과 손잡고 토번(吐蕃:티베트)을 정벌함.
697~781 중국>당 , 중국 , 인명>관인>무신
-
곽자흥(郭子興)
중국 원(元) 나라 홍건군(紅巾軍)의 장수. 원 말기에 스스로 군사를 일으켜 원수(元帥)로 자칭하였고, 주원장(朱元璋)의 도움으로 여러 번 원군(元軍)을 격파함. 명(明) 왕조가 건국하자, 1370년에 저양왕(滁陽王)으로 추서(追叙)됨.
?~1355 중국>원 , 중국 , 인명>관인>무신ㅣ인명>왕실>인척
-
곽재우(郭再祐)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무신ㆍ의병장. 본관은 현풍(玄風). 곽월(郭越)의 아들로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의병을 일으켜 공을 세우고, 정유재란(丁酉再亂) 때 화왕산성(火旺山城) 등지에서 왜적을 격파함.
1552~1617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의령 , 인명>관인>무신
-
곽종의(郭宗儀)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현풍(玄風). 사헌부 감찰(司憲府監察) 등을 지낸 곽한방(郭翰邦)의 아버지로, 부여 현감(扶餘縣監)을 역임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현풍 , 인명>관인>문신
-
곽주(霍州)
중국 안휘성(安徽省) 곽산현(霍山縣) 동쪽에 있던 옛 고을 이름.
중국 , 지명>행정지명
-
곽준(郭䞭)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곽지완(郭之完)의 아들이며, 배신(裵紳)의 문인(門人). 임진왜란(壬辰倭亂)이 일어나자 김면(金沔)의 막하에 들어가 많은 공을 세웠으나, 정유재란(丁酉再亂) 때 황석산성(黃石山城)을 지키다 순국함.
1551~1597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현풍 , 인명>관인>문신
-
곽중유(霍仲孺)
중국 전한(前漢)의 현리(縣吏). 명장 곽거병(霍去病)의 아버지로, 무제(武帝)의 황후인 위황후(衛皇后)의 언니 위소아(衛少兒)와 밀통(密通)하여 곽거병을 낳음.
중국>전한 , 중국 , 인명>관인>아전
-
곽지견(郭之堅)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현풍(玄風). 곽간(郭趕)의 아버지로, 통선랑(通善郞)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현풍 , 인명>관인>문신
-
곽지번(郭之藩)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현풍(玄風). 곽위(郭瑋)의 아들로 성균관(成均館) 사성(司成)을 지냄.
1495~1564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곽지완(郭之完)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현풍(玄風).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의병으로 활약한 곽준(郭䞭)의 아버지.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현풍 , 인명>문사>유학
-
곽지원(郭之元)
조선 명종(明宗) 때의 역관. 심통원(沈通源)을 따라 명(明) 나라에 갔을 때 은냥을 몰래 가져와 탄핵을 받은 적이 있으며, 하정사(賀正使) 오상(吳祥)을 따라 명 나라로 가던 도중 여양역(閭陽驛)에서 거란 병사를 만났는데, 이때 역승(驛丞)의 투항을 막음.
한국>조선전기 , 인명>관인>역관
-
곽지인(郭之仁)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현풍(玄風). 곽율(郭𧺝)의 아버지로, 참봉(參奉)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현풍 , 인명>관인>문신
-
곽진(郭震)
중국 당(唐) 고종(高宗)~현종(玄宗) 때의 문신ㆍ문인. 16세에 설직(薛稷)과 함께 태학생이 되었고, 통천위(通泉尉)를 거쳐 병부 상서(兵部尙書) 등을 지냄. 시문에 뛰어났음.
656~713 중국>당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곽진(郭𡺽)
조선 광해군(光海君)~인종(仁宗) 때의 학자. 생원 곽한(郭瀚)의 아들이며, 권우(權宇)의 문인. 진사시에 합격하였으나 과거에 나가지 않고 학문에만 전념함. 시문에 능하였고, 장현광(張顯光)ㆍ이준(李埈) 등과 사우관계를 맺음.
1568~1623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풍기 , 인명>문사>학자
-
곽추(郭樞)
고려 공민왕(恭愍王) 때의 문신. 상서좌승(尙書左丞)을 지낸 곽침(郭琛)의 아들로 정당문학(政堂文學)을 지냄.
1338~? 한국>고려후기 , 충청도>청주 , 인명>관인>문신
-
곽치요(郭致堯)
조선 후기의 문신. 본관은 해미(海美). 곽기수(郭期壽)의 아들로, 직장(直長)을 지냄.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해미 , 인명>관인>문신
-
곽침(郭琛)
고려 후기의 문신. 본관은 청주(淸州). 판개성부사(判開城府使)를 지낸 곽영준(郭迎俊)의 아들이며 곽추(郭樞)의 아버지로 상서좌승(尙書左丞)을 지냄.
한국>고려후기 , 충청도>청주 , 인명>관인>문신
-
곽탁타(郭橐駝)
중국 당(唐) 나라의 문인인 유종원(柳宗元)이 쓴 〈종수곽탁타전(種樹郭橐駝傳)〉의 주인공. 곱사병을 앓아 허리를 굽히고 걸어 다녔기 때문에 그 모습이 낙타와 비슷한 데가 있어서 세인들이 ‘탁타(橐駝)’라 불렀으며 종수(種樹)의 달인임.
중국>당 , 중국 , 인명>기타인명>기타인물
-
곽태(郭泰)
중국 후한(後漢)의 학자. 학문과 인격이 뛰어나 사람들의 존경을 받았고, 임종건(林宗巾)이라는 고사로도 유명함. 이응(李膺)과 교유하면서 명성이 널리 알려짐.
128~169 중국>후한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곽한(郭瀚)
조선 명종(明宗) 때의 유학. 본관은 현풍(玄風). 퇴계(退溪) 이황(李滉)의 문인으로, 금계(錦溪) 황준량(黃俊良)과 교유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봉화 , 인명>문사>유학
-
곽한방(郭翰邦)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현풍(玄風)으로, 부여 현감(扶餘縣監)을 지낸 곽종의(郭宗儀)의 아들. 음보(蔭補)로 출사하여 사헌부 감찰(司憲府監察)ㆍ양천 현령(陽川縣令) 등을 지냄.
1486~1548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아산 , 인명>관인>문신
-
곽현(霍顯)
중국 전한(前漢) 선제(宣帝) 때의 외척. 곽광(霍光)의 처로 막내딸 성군(成君)을 귀하게 만들 욕심으로, 선제(宣帝)의 허후(許后)를 독살하고 성군을 후비(后妃)가 되게 하였으며, 음란한 짓을 일삼다가 허후를 시해한 일이 탄로가 나 일문이 멸족당함.
중국>전한 , 중국 , 인명>왕실>인척
-
곽황(郭況)
중국 후한(後漢) 광무제(光武帝) 때의 외척. 광무제의 처남으로 금보(金寶)를 많이 하사받아 세인들이 그 집을 금혈(金穴)이라 할 정도였는데, 집안의 4백여 명이나 되는 가솔이 날마다 금을 정련하는 소리가 끊이지 않았다고 함.
중국>후한 , 중국 , 인명>왕실>인척
-
곽황(郭趪)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현풍(玄風)으로, 이황(李滉)의 문하에서 종유(從遊)하였음. 예조 정랑(禮曹正郞)ㆍ예안 현감(禮安縣監)ㆍ함양 군수(咸陽郡守) 등을 지냈음.
1530~1569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현풍 , 인명>관인>문신
-
곽회영(郭懷英)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청주(淸州). 곽열(郭說)의 아버지로, 봉사시 정(奉常寺正)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청주 , 인명>관인>문신
-
곽흘(郭屹)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무신. 지사(知事)ㆍ함경북도 병사(咸鏡北道兵使) 등을 역임하였으며 초헌(軺軒)을 탔다 해서 논죄(論罪)됨.
한국>조선전기 , 인명>관인>무신
-
곽희온(郭希溫)
조선 전기의 유학. 성혼(成渾)과 교유하였으며 《우계집(牛溪集)》에 차운한 시가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유학
-
관^갈(管^葛)
중국 삼국시대 촉(蜀) 나라의 문신인 제갈량(諸葛亮)과 춘추전국시대 제(齊) 나라의 재상인 관중(管仲)을 함께 부르는 말. 왕을 보좌하여 국가의 기반을 다진 신하를 가리킴.
중국>삼국시대ㅣ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사상>술어>관용어
-
관^무(關^婺)
중국 북부 섬서성(陝西省) 위수(渭水) 분지 일대의 관중(關中)과, 안휘성(安徽省)에 속하는 무원(婺源)을 함께 부르는 말. 또는 관중에 살았던 장재(張載)와 무원에 살았던 주희(朱熹)를 가리킴.
중국>송 , 중국 , 지명>기타지명ㅣ사상>술어>관용어
-
관^보(關^輔)
중국 북부 섬서성(陝西省) 위수(渭水) 분지 일대의 관중(關中)과 부풍(扶風)ㆍ풍익(馮翊)ㆍ경조(京兆)의 삼보(三輔)를 함께 부르는 말. 모두 수도(首都)와 가까운 지역을 가리킴.
중국 , 지명>기타지명
-
관^상(管^商)
중국 춘추전국시대 위(衛) 나라의 공자(公子)인 공손앙(公孫鞅)과 제(齊) 나라의 재상인 관중(管仲)을 함께 부르는 말. 부국강병(富國强兵)을 급진적으로 추진한 사람을 가리킴.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사상>술어>관용어
-
관^소(管^蕭)
중국 한(漢) 나라 고조(高祖) 때의 재상인 소하(蕭何)와 춘추전국시대 제(齊) 나라의 재상인 관중(管仲)을 함께 부르는 말. 현명한 신하를 가리킴.
중국>전한ㅣ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사상>술어>관용어
-
관^악(管^樂)
중국 춘추전국시대 제(齊) 나라의 재상인 관중(管仲)과 연(燕) 나라의 무신인 악의(樂毅)를 함께 부르는 말. 훌륭한 신하를 가리킴.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사상>술어>관용어
-
관^안(管^晏)
중국 춘추전국시대 제(齊) 나라의 재상인 관중(管仲)과 안영(晏嬰)을 함께 부르는 말. 어진 재상과 돈독한 우애를 가진 사람을 가리킴.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사상>술어>관용어
-
관^장(關^張)
중국 삼국시대 촉(蜀) 나라의 무장인 관우(關羽)와 장비(張飛)를 함께 부르는 말. 용맹이 뛰어난 사람을 가리킴.
중국>삼국시대 , 중국 , 사상>술어>관용어
-
관^채(管^蔡)
중국 주(周) 나라의 종친인 관숙(管叔)과 채숙(蔡叔)을 함께 부르는 말. 유언비어를 퍼뜨려 나라를 어지럽게 한 사람을 가리킴.
중국>주 , 중국 , 사상>술어>관용어
-
관^포(管^鮑)
중국 춘추전국시대 제(齊) 나라의 재상인 관중(管仲)과 대부인 포숙아(鮑叔牙)를 함께 부르는 말. 돈독한 우애를 가리킴.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사상>술어>관용어
-
관규외편(管窺外篇)
중국 원(元) 나라의 학자인 사백선(史伯璿)의 저서. 2권. 《사서관규(四書管窺)》와 연속되는 책으로, 친구들과 문답한 내용을 수록함. 청(靑) 나라 왕영로(王靈露) 등이 편집하여 간행함.
1732 중국>청 , 중국 , 문헌>서명
-
관기(觀起)
중국 춘추전국시대 초(楚) 나라 대부. 영윤(令尹) 자남(子南)의 총애를 받아 아직 봉록이 오르지 않았는데도 말을 수십 승(乘) 보유하자 초 강왕(康王)에게 주벌(誅罰)됨.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관인>경대부
-
관녕(管寧)
중국 삼국시대 위(魏) 나라의 학자. 황건적의 난이 일어났을 때 공손도(公孫度)의 풍도를 듣고 요동(遼東)으로 옮겨 살면서 시서(詩書)를 강론하고 예의(禮儀)를 강명하여 그곳의 민풍(民風)을 크게 진작시킴.
162~245 중국>삼국시대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관도승(管道昇)
중국 원(元) 나라의 화가ㆍ서예가. 조맹부(趙孟頫)의 부인으로, 특히 묵죽(墨竹)에 뛰어남.
1262~1319 중국>원 , 중국 , 인명>예술인>서화가
-
관동(關仝)
중국 오대십국(五代十國) 때의 화가. 스승인 형호(荊浩)와 함께 새로운 산수 유형을 창안하였으며, 이성(李成)ㆍ범관(范寬)과 함께 삼가산수(三家山水)로 일컬어짐.
890~960 중국>오대십국 , 중국 , 인명>예술인>서화가
-
관동록(關東錄)@홍인우
조선 전기의 학자인 홍인우(洪仁祐)가 관동(關東) 지방을 유람하고 쓴 일기체 기행문 형식의 책. 1책. 목판본. 이황(李滉)의 발문(跋文)이 있음.
1553 한국>조선전기 , 문헌>서명
-
관동록(關東錄)@이우
조선 전기의 문신이자 이황(李滉)의 숙부인 이우(李堣)가 강원도 관찰사(江原道觀察使)를 지낼 때 저술한 책.
1510 한국>조선전기 , 문헌>서명
-
관동록(關東錄)@권오복
조선 전기의 학자인 권오복(權五福)이 저술한 책. 김일손(金馹孫)의 발문(跋文)이 있음.
한국>조선전기 , 문헌>서명
-
관동록(關東錄)@정유일
조선 전기의 문신 정유일(鄭惟一)이 강원 도사(江原都事)로 있을 때 그곳의 산수와 누대의 경치를 기록한 책.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소실됨.
한국>조선전기 , 강원도>원주 , 문헌>서명
-
관동별곡(關東別曲)@안축
고려 후기의 문신인 안축(安軸)이 1328년(충숙왕 15)부터 그다음 해까지 강원도 존무사(存撫使)로 나갔을 때 관동 지방의 절경을 보고 지은 경기체가.
1328 한국>고려후기 , 강원도 , 문헌>작품명
-
관동별곡(關東別曲)@정철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인 정철(鄭澈)이 1580년(선조 13) 강원도 관찰사(江原道觀察使)로 부임하여 해금강(海金剛)과 관동팔경(關東八景) 등을 유람한 후 산수ㆍ풍경ㆍ고사(故事)ㆍ풍속 및 자신의 소감 등을 읊은 기행 가사.
1580 한국>조선전기 , 강원도 , 문헌>작품명
-
관동와주(關東瓦注)@안축
고려 후기의 문신인 안축(安軸)이 충혜왕(忠惠王) 때 강릉도 존무사(江陵道存撫使)로 나아가 지은 시문집(詩文集). 1364년(공민왕 13)에 사위 정양생(鄭良生)이 청주(淸州)에서 간행했으며, 충군애민(忠君愛民)의 내용을 담고 있음.
1364 한국>고려후기 , 충청도>청주 , 문헌>서명
-
관동와주(關東瓦注)@안경공
고려 말~조선 초의 문신인 안경공(安景恭)이 관동 안렴사(關東按廉使)로 있을 때 지은 시문집(詩文集).
1382 한국>고려후기 , 문헌>서명
-
관무재(觀武才)
조선시대에 특별한 어명(御命)이 있을 때 시행한 무과(武科) 시험. 임금이 친히 열병(閱兵)한 뒤에 조관(朝官)ㆍ군관(軍官)ㆍ한량(閑良)에게 무재(武才)를 시험함. 초시(初試)와 복시(覆試) 2단계로 이루어짐.
한국>조선전기 , 법제>제도
-
관물내외편(觀物內外編)
중국 송(宋) 나라의 학자ㆍ시인인 소옹(邵雍)이 도가사상 위에 유교의 역철학(易哲學)을 발전시켜 만든 수리철학(數理哲學) 서적.
중국>송 , 중국 , 문헌>서명
-
관물당(觀物堂)
조선 선조(宣祖) 때 문신인 권호문(權好文)이 경상도 안동(安東)에 세운 정자. 권호문이 강론(講論)을 하기 위해 지은 것으로, 《송암집(松巖集)》에 〈관물당기(觀物堂記)〉가 전함.
1569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유적>건물>누정
-
관미생(管尾生)
조선 성종(成宗) 때 김일손(金馹孫)이 붓을 의인화하여 지은 〈관처사묘지명(管處士墓誌銘)〉에 나오는 처사 관술(管述)의 아버지.
한국>조선전기 , 인명>기타인명>기타인물
-
관백(關白)
일본 평안시대(平安時代)~강호시대(江戶時代)에 천황(天皇)을 보좌하여 정사를 집행하던 관직. 실제적인 권력자로 관례상 등원씨(藤原氏) 가문이 독점하였으나 풍신수길(豊臣秀吉) 이후에는 실권이 없어짐.
일본>평안시대 , 일본 , 법제>관직
-
관부(灌夫)
중국 전한(前漢) 무제(武帝) 때의 무신. 오초칠국(吳楚七國)의 난을 평정할 때 공을 세웠고, 종실(宗室)인 두영(竇嬰)과 교유(交游)함. 사람됨이 호협(豪俠)했으나, 술에 취해 승상 전분(田蚡)이 있는 좌석에서 주사를 부려 처형됨.
중국>전한 , 중국 , 인명>관인>무신
-
관산서원(冠山書院)
조선 광해군(光海君) 때 경상도 창녕(昌寧)에 건립된 서원. 정구(鄭逑)ㆍ강소(姜訴)ㆍ안여경(安餘慶) 등을 배향함.
1620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창녕 , 유적>건물>서원,향교
-
관서악부(關西樂府)
조선 영조(英祖) 때의 문신ㆍ시인인 신광수(申光洙)가 지은 악부시(樂府詩). 관서지방의 풍속ㆍ고적․고사 등을 소재로 지은 작품으로, 《석북집(石北集)》에 실려 있음.
1774 한국>조선후기 , 문헌>작품명
-
관세음(觀世音)
대승불교(大乘佛敎)의 보살(菩薩) 중의 하나. 자비로써 중생의 괴로움을 구제한다는 보살로, 아미타불(阿彌陀佛)의 왼쪽에 위치함. 33가지 모습으로 현신(現身)함.
고대 , 인명>기타인명>기타인물
-
관숙(管叔)
중국 주(周) 나라의 제후. 무왕(武王)의 아우이자 성왕(成王)의 숙부. 무왕 사후에 주공(周公)이 어린 성왕을 보필하여 섭정하자, 채숙(蔡叔) 등과 더불어 주공을 모해하는 유언(流言)을 퍼뜨려 반란을 일으켰다가 주공에게 토벌됨.
중국>주 , 중국 , 인명>왕실>왕자ㅣ인명>왕실>제후
-
관술(管述)
조선 성종(成宗) 때 김일손(金馹孫)이 붓을 의인화하여 지은 〈관처사묘지명(管處士墓誌銘)〉의 주인공으로, 관미생(管尾生)의 아들.
한국>조선전기 , 인명>기타인명>기타인물
-
관악산(冠岳山)
서울과 안양(安養)ㆍ시흥(始興)ㆍ과천(果川)의 경계에 있는 산. 북한산(北漢山)ㆍ남한산(南漢山) 등과 함께 서울분지를 이중으로 둘러싼 자연의 방벽으로, 옛 서울의 요새지를 이루었음.
경기도>금천ㅣ경기도>과천ㅣ서울 , 지명>자연지명
-
관어대소부(觀魚臺小賦)
고려 말의 문신ㆍ학자인 이색(李穡)이 경상도 영해부(寧海府)에 있는 관어대(觀魚臺)에서 물에 노니는 물고기를 보고 중용(中庸)의 도를 읊은 글.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영해 , 문헌>작품명
-
관영(灌嬰)
중국 진말(秦末)~한초(漢初) 때의 무신. 한(漢) 나라의 개국공신. 한 고조(漢高祖)를 도와 한중(漢中)의 공략과 초한(楚漢)의 팽성(彭城) 전투 때에 공을 세웠으며, 여후(呂后)가 죽은 뒤에 주발(周勃) 등과 문제(文帝)를 옹립함.
?~B.C.176 중국>전한ㅣ중국>진 , 중국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무신
-
관왕묘(關王廟)
중국 삼국시대(三國時代) 촉(蜀)의 명장인 관우(關羽)를 모신 사당. 서울에 남관왕묘(南關王廟)와 동관왕묘(東關王廟)가 있으며, 지방에는 강진(康津)ㆍ안동(安東)ㆍ성주(星州)ㆍ남원(南原) 등 네 곳에 건립되었음.
1598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남원ㅣ전라도>강진ㅣ경상도>안동ㅣ경상도>성주ㅣ서울 , 유적>건물>사당
-
관용방(關龍逄)
중국 하(夏) 나라 걸왕(桀王) 때의 충신. 걸왕의 무도함을 간(諫)하다가 처형됨.
중국>하 , 중국 , 인명>관인>경대부
-
관우(關羽)
중국 삼국시대 촉(蜀) 나라의 무장. 후한(後漢) 말에 유비(劉備)ㆍ장비(張飛)와 함께 의형제를 맺고, 208년 적벽전(赤壁戰) 때 수군(水軍)을 통솔하여 큰 공을 세움.
?~219 중국>삼국시대 , 중국 , 인명>관인>무신
-
관윤자(關尹子)
중국 춘추전국시대 진(秦) 나라의 함곡관 윤(函谷關尹) 윤희(尹喜)가 노자(老子)의 학설을 듣고 지은 사상서. 당(唐) 말 오대(五代)의 두광정(杜光庭)의 위작(僞作)이라고도 함.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문헌>서명
-
관음사(觀音寺)
평안남도 개천(价川) 고야산(姑射山)에 있는 사찰.
평안도>개천 , 유적>건물>사찰
-
관음현상기(觀音現相記)
조선 세조(世祖) 때 문신 최항(崔恒)이 세조가 상원사(上院寺)에서 유숙하면서 본 관음보살(觀音菩薩)의 현상(現相)을 기록한 책.
1461 한국>조선전기 , 서울 , 문헌>서명
-
관자(管子)
중국 춘추전국시대 제(齊) 나라의 사상가ㆍ정치가인 관중(管仲)의 저술서. 법치주의와 경제정책을 서술하고 기타 철학ㆍ윤리까지도 언급함. 총 24권 가운데 관중(管仲)이 지은 것은 극소수라는 평이 지배적임.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문헌>서명
-
관종(觀從)
중국 춘추전국시대(春秋戰國時代) 초(楚) 나라의 대부. 관기(觀起)의 아들로, 성왕(成王) 때 성복(城濮)의 전역에 나갔다가 진(晉) 나라에 패해 돌아오는 길에 자살함.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관인>경대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