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이후백(李後白)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이조 판서(吏曹判書)와 양관 제학(兩館提學)을 지냈으며, 문장이 뛰어나고 덕망이 높아 사림(士林)의 추앙을 받음.
1520~1578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함안 , 인명>관인>문신
-
이후원(李厚源)
조선 인조(仁祖)~현종(顯宗) 때의 문신. 인조반정(仁祖反正) 때 정사공신(靖社功臣)으로 책록되고, 병자호란(丙子胡亂) 때 척사론(斥邪論)을 주장하였으며 효종(孝宗)의 북벌정책(北伐政策)을 보필함.
1598~1660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전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이후원(李厚遠)
조선 숙종(肅宗) 때의 유학. 둔촌(遁村) 이집(李集)의 10대손으로, 이집(李集)의 문집 《둔촌잡영(遁村雜詠)》을 개간했음. 문집으로 《시천집(詩川集)》이 있음.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보성 , 인명>문사>유학
-
이훈(李塤)
조선 세종(世宗)~성종(成宗) 때의 문신. 효령대군(孝寧大君)의 사위로, 이시애(李施愛)의 난이 일어나자 토평대장(討平大將)으로 난을 평정함.
1429~1481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한산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이훈(李壎)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종친. 본관은 전주(全州). 의성부정(義城副正) 이강(李鋼)의 아들.
1571~1643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이훈(李薰)@이친의아들
조선 전기의 종친. 태종(太宗)의 아들인 효령대군(孝寧大君)의 손자. 서원군(瑞原君) 이친(李𡩁)의 아들로, 고림군(高林君)에 추증됨.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이훈(李薰)@이사청의아버지
조선 전기의 무신. 본관은 양성(陽城). 퇴계(退溪) 이황(李滉)이 쓴 묘갈명(墓碣銘)이 《퇴계집(退溪集)》에 실려 있음.
1483~1540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선산 , 인명>관인>무신
-
이훤(李萱)
조선 중종(中宗) 때의 유학. 본관은 예안(禮安)으로, 연산 현감(連山縣監)을 지낸 이보간(李輔幹)의 아들. 1513년(중종 8년) 생원시에 입격함.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문사>유학
-
이휘(李徽)@이사검의아들
조선 세종(世宗)~세조(世祖) 때의 문신. 본관은 양성(陽城)으로, 이사검(李思儉)의 아들. 세조 즉위에 협력하여 좌익공신(佐翼功臣)에 책정되나, 단종(端宗) 복위에 가담한 사실이 발각되어 거열형을 당하고 가산을 몰수당함.
?~1456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양성 , 인명>관인>문신
-
이휘(李徽)@이충작의아버지
조선 연산군(燕山君)~중종(中宗) 때의 종친. 본관은 전주(全州). 임영대군(臨瀛大君) 이구(李璆)의 증손이며 충청도 관찰사(忠淸道觀察使) 이충작(李忠綽)의 아버지로, 당은군(唐恩君)에 추봉됨.
1495~?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이휘(李徽)
조선 선조(宣祖) 때의 종친ㆍ문신. 본관은 전주(全州). 은계군(銀溪君) 이말숙(李末叔)의 아들로, 임진왜란 때 오위도총부 도총관(五衛都摠府都摠管)으로서 서울을 수비함.
1533~1594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전주 , 인명>관인>문신ㅣ인명>왕실>종친
-
이휘(李煇)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을사사화(乙巳士禍) 때 안세우(安世愚) 등의 무고를 받아 이덕응(李德應)ㆍ이염(李爓)과 함께 효수(梟首)됨.
?~1545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성주 , 인명>관인>문신
-
이휘재(李彙載)
조선 순조(純祖)~고종(高宗) 때의 문신. 본관은 진보(眞寶). 경산 현령(慶山 縣令)으로 있으면서 문회재(文會齋)를 창건하여 문풍(文風)을 진작시키고, 병인양요(丙寅洋擾) 때 많은 공을 세움.
1795~1875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이휘준(李彙濬)
조선 철종(哲宗)~고종(高宗) 때의 문신. 본관은 진성(眞城). 이만도(李晩燾)의 아버지로, 대사성(大司成) 등을 지냄.
1806~1867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진보 , 인명>관인>문신
-
이흔(李訢)
조선 전기의 종친. 태종(太宗)의 장남인 양녕대군(讓寧大君)의 다섯째 아들.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종친
-
이흠(李欽)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영천(永川). 지중추부사(知中樞府事) 이현보(李賢輔)의 아버지로, 인제 현감(麟蹄縣監) 등을 지냄.
1440~1537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예안 , 인명>관인>문신
-
이흡(李洽)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한산(韓山). 정사공신(靖社功臣) 이의배(李義培)의 아버지로, 사헌부 헌납(司憲府獻納) 등을 지냄. 1589년(선조 22) 기축옥사(己丑獄死) 때 최영경(崔永慶)을 국문하다 옥사하게 한 일로 파직ㆍ유배됨. 후에 좌찬성(左贊成)에 추증되고 아흥군(鵝興君)에 봉해짐.
1549~1608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한산 , 인명>관인>문신
-
이흥(李興)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경주(慶州). 음보(蔭補)로 도원 찰방(桃源察訪)을 지냈으며, 성수침(成守琛)ㆍ민제인(閔齊仁)ㆍ송순(宋純) 등과 계축 갑계(癸丑甲契)를 맺음.
1493~?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경주 , 인명>관인>문신
-
이흥상(李興商)
조선 단종(端宗)~세조(世祖) 때의 문신. 의금부 진무(義禁府鎭撫)로서 수양대군(首陽大君)을 도와 계유정난(癸酉靖難)에 공을 세움.
?~1465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경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이흥손(李興孫)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함안(咸安). 사재감 부정(司宰監副正)을 지낸 이계통(李季通)의 아버지로, 사재감 부정(司宰監副正)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함안 , 인명>관인>문신
-
이흥윤(李興胤)
조선 후기의 종친. 본관은 전주(全州). 기성군(箕城君) 이현(李俔)의 장남.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이희(李憙)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연안(延安)으로, 이황(李滉)의 문인(門人). 학문으로 이름을 크게 떨쳤으며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전사(戰死)함.
1532~1592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예천 , 인명>관인>문신
-
이희(李曦)
조선 전기의 종친. 본관은 전주(全州). 하동부원군(河東府院君) 정희수(鄭希壽)의 장인으로, 신성수(信城守)에 봉해짐.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이희(李禧)
조선 전기의 종친. 본관은 전주(全州). 영춘군(永春君) 이인(李仁)의 아들로 완천군(完川君)에 봉해짐.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이희간(李希幹)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전주(全州). 사암(思菴) 박순(朴淳)의 사위로, 곡산 군수(谷山郡守)를 지냄.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관인>문신
-
이희간(李希榦)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약포(藥圃) 이해수(李海壽)와 교유하였으며, 능성 현령(陵城縣令)을 지냄.
한국>조선후기 , 인명>관인>문신
-
이희검(李希儉)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전주(全州). 호조(戶曹)ㆍ형조(刑曹)ㆍ병조(兵曹)의 판서(判書)를 지내고, 지경연사(知經筵事)를 지냄.
1516~1579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관인>문신
-
이희경(李希慶)
고려 후기의 무신. 본관은 벽진(碧珍). 낭장(郞將)을 지낸 이사지(李思之)의 아버지로, 도원수(都元帥)가 되어 왜구를 물리친 후 울산에서 남은 왜구를 소탕하다 죽음.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경산 , 인명>관인>무신
-
이희남(李希男)
조선 전기의 종친. 양녕대군(讓寧大君)의 장남인 순성군(順成君) 이개(李𧪚)의 손자.
1501~1569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이희년(李希年)
조선 전기의 문신. 태종(太宗)의 맏아들인 양녕대군(讓寧大君) 이제(李禔)의 5대손이며, 진안부정(鎭安副正) 이영남(李永男)의 아들. 의영고 봉사(義盈庫奉事)를 지냄.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관인>문신
-
이희득(李希得)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전주(全州). 하동부령(河東副令) 이유(李裕)의 아들이자 지경연사(知經筵事)를 지낸 이희검(李希儉)의 동생으로, 대사간(大司諫) 등을 지낸 뒤 은퇴하여 기로소(耆老所)에 들어감.
1525~1604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이희량(李希樑)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농암(聾巖) 이현보(李賢輔)의 아들. 음보(蔭補)로 언양(彦陽)ㆍ봉화(奉化)의 현감(縣監)을 역임함.
1501~1565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풍기ㅣ경상도>예안 , 인명>관인>문신
-
이희량(李希良)
조선 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전주(全州). 지경연사(知經筵事)를 지낸 이희검(李希儉)의 형으로, 전적(典籍) 등을 지냄.
1511~1552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이희린(李希麟)
조선 전기의 종친. 중종(中宗)의 다섯 번째 서자인 덕양군(德陽君)의 첫 번째 서자로, 풍성수(豊城守)에 봉해짐.
1563~1588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종친
-
이희명(李熙明)
조선 전기의 유학. 이이(李珥)의 《율곡전서(栗谷全書)》에 그를 위해 지은 만시(挽詩)가 있음.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유학
-
이희문(李希文)
조선 전기의 유학. 월연(月淵) 이태(李迨)ㆍ간지(幹之) 박형간(朴亨幹) 등과 교유함.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유학
-
이희민(李希閔)@이윤검의아들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합천(陜川). 조광조(趙光祖)의 문인으로, 이조 정랑(吏曹正郞)으로 있을 때 기묘사화(己卯士禍)를 당해 파직되었음.
1498~1521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합천ㅣ경상도>선산 , 인명>관인>문신
-
이희민(李希閔)@이호민의형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연안(延安)으로, 양관 대제학(兩館大提學)을 지낸 오봉공(五峯公) 이호민(李好閔)의 형.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이희백(李希伯)
조선 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한산(韓山). 1548년(명종 3) 별시(別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사도시 정(司䆃寺正) 등을 지냄.
1513~?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이희보(李希輔)
조선 연산군(燕山君)~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평양(平壤)으로, 사옹원 봉사(司饔院奉事)를 지낸 이극문(李克文)의 아들. 성균관 대사성(成均館大司成)을 지내고, 문장에도 능함.
1473~1548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이희삼(李希參)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인. 본관은 경주(慶州). 학자 이몽규(李夢奎)의 아들로, 송강(松江) 정철(鄭澈) 등과 교유함.
1534~?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보령ㅣ경상도>경주 , 인명>문사>문인
-
이희상(李熙祥)
고려 후기의 유학. 본관은 신평(新平). 예문관 대제학(藝文館大提學)을 지낸 이첨(李詹)의 아버지로, 참찬의정부사(參贊議政府事)에 추증됨.
한국>고려후기 , 충청도>홍주 , 인명>문사>유학
-
이희생(李喜生)
조선 명종(明宗) 때의 유학. 본관은 성주(星州)로, 1552년(명종 7) 진사시(進士試)에 합격함. 《남명집(南冥集)》에 조식(曺植)이 지은 송시(送詩)가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삼가 , 인명>문사>유학
-
이희성(李希聖)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진보(眞寶). 직강(直講)을 지낸 이봉춘(李逢春)의 아버지.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진보 , 인명>문사>유학
-
이희손(李希孫)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양녕대군(讓寧大君)의 증손(曾孫)인 보안정(保安正) 이수남(李壽男)의 아들.
1497~1566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관인>문신
-
이희순(李希舜)
조선 성종(成宗)~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 본관은 안악(安岳)으로, 참판(參判) 이평(李枰)의 아들. 남원 부사(南原府使)ㆍ홍문관 제학(弘文館提學)을 지냈으나, 갑자사화(甲子士禍)에 연루(連累)되어 화를 당함.
1464~1504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안악 , 인명>관인>문신
-
이희안(李希顔)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학자. 김안국(金安國)의 문인(門人)으로, 여러 번 관직에 제수되었으나 사직하고 조식(曺植)과 교우하며 학문을 연마함.
1504~1559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초계 , 인명>문사>학자
-
이희열(李希烈)
중국 당(唐) 나라 덕종(德宗) 때의 무신ㆍ역적. 782년 치청(淄淸)의 이납(李納)을 토벌하라는 칙명을 받았으나 도리어 이납과 함께 모반함. 초제(楚帝)라 참칭했지만 관병에게 패한 뒤 786년에 부하에게 독살당함.
?~786 중국>당 , 중국 , 인명>기타인명>역적ㅣ인명>관인>무신
-
이희영(李希英)
조선 전기의 종친. 명해부수(明海副守) 이달(李達)의 아들.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이희옹(李希雍)
조선 연산군(燕山君)~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전의(全義). 1504년(연산군 10) 별시(別試) 급제하여 형조 참의(刑曹參議)ㆍ강원 감사(江原監司) 등을 역임하였음.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전의 , 인명>관인>문신
-
이희원(李希愿)
조선 후기의 문신. 우계(牛溪) 성혼(成渾) 등과 교유하였으며, 임진왜란 때 황해도 토산 현감(兔山縣監)을 지내면서 관민들을 모아 협심단결하여 고을을 지키는 데 치력함.
한국>조선후기 , 황해도>토산 , 인명>관인>문신
-
이희윤(李禧胤)
조선 후기의 종친. 본관은 전주(全州). 익양군(益陽君) 이회(李懷)의 손자인 인성부정(仁城副正) 이경(李儆)의 아들로, 덕림수(德林守)에 봉해짐.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이희익(李希益)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고부(古阜)로, 1531년(중종 21) 진사시(進士試)에 입격함. 하서(河西) 김인후(金麟厚)ㆍ석천(石川) 임억령(林億齡) 등과 교유함.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해남 , 인명>문사>유학
-
이희조(李喜朝)
조선 숙종(肅宗)~경종(景宗) 때의 문신. 본관은 연안(延安). 송시열(宋時烈)의 문인으로 당파싸움에 여러 차례 휘말렸으나 의리 있고 공정한 자세로 번번히 재임용되어 대사헌(大司憲) 등을 지냄. 저서로 《지촌집(芝村集)》이 있음.
1655~1724 한국>조선후기 , 황해도>연안 , 인명>관인>문신
-
이희증(李希曾)
조선 연산군(燕山君)~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합천(陜川). 이귀(李龜)ㆍ정여창(鄭汝昌)의 문인(門人)으로, 사간원 정언(司諫院正言)ㆍ홍문관 수찬(弘文館修撰)을 역임함.
1486~1509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합천 , 인명>관인>문신
-
이희징(李希澄)
조선 중종(中宗) 때의 유학. 본관은 원주(原州)로, 생원(生員) 이계근(李繼根)의 아들. 1513년(중종 8년) 진사시(進士試)에 입격함.
한국>조선전기 , 강원도>원주 , 인명>문사>유학
-
이희충(李希忠)
고려 말~조선 태조(太祖) 때의 문신. 본관은 영천(永川). 좌명공신(佐命功臣) 이응(李膺)의 아버지로, 고려 때 밀직 부사(密直副使) 등을 지내고 조선 태조 때 좌도 수군 절제사(左道水軍節制使)를 지냄.
1344~1397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영천(永川) , 인명>관인>문신
-
이희필(李希泌)
고려 공민왕(恭愍王)~우왕(禑王) 때의 무신. 우왕 때 최영(崔瑩) 등과 함께 왜구를 무찔러 공을 세움. 《양촌집(陽村集)》에 권근(權近)이 지은 만사(挽辭)가 실려 있음.
?~1377 한국>고려후기 , 인명>관인>무신
-
익^목(益^牧)
고려 후기의 학자인 익재(益齋) 이제현(李齊賢)과 그의 문인(門人)인 목은(牧隱) 이색(李穡)을 함께 부르는 말. 고려시대의 대표적인 학자를 가리킴.
한국>고려후기 , 충청도>한산ㅣ경상도>경주 , 사상>술어>관용어
-
익^윤(益^伊)
중국 고대 순(舜) 임금 때 우(禹)를 보좌하여 치수사업에 공을 세운 백익(伯益)과 은(殷) 나라 탕(湯) 임금을 도와 천하를 평정하는 데 공헌한 이윤(伊尹)을 함께 부르는 말. 명신(名臣)을 가리킴.
중국>은ㅣ고대 , 중국 , 사상>술어>관용어
-
익녕군(益寧君)
조선 제3대 태종(太宗)의 여덟째 서자. 절제사(節制使) 박종지(朴從智)의 딸인 운봉 박씨(雲峯朴氏)와 혼인함.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왕자
-
익대공신(翊戴功臣)
조선 예종(睿宗) 즉위년에 남이(南怡)의 옥사를 다스린 공으로 내린 훈호(勳號). 세 등급으로 분류하여 유자광(柳子光)ㆍ신숙주(申叔舟) 등 총 36명에게 내림.
1468 한국>조선전기 , 법제>제도
-
익륜(益倫)
고려 후기의 승려. 천보산(天寶山) 회암사 주지(檜巖寺住持)로 있으면서 목은(牧隱) 이색(李穡), 양촌(陽村) 권근(權近)과 교유함.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양주 , 인명>종교인>승려
-
익비한씨(益妃韓氏)
고려 제31대 공민왕(恭愍王)의 비. 덕풍군(德豊君) 왕의(王義)의 딸로, 왕비로 책봉되고 한씨(韓氏)를 사성(賜姓) 받음. 후사가 없는 공민왕의 강요로 홍륜(洪倫)과 정을 통하여 딸을 낳음.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개성 , 인명>왕실>왕비
-
익사공신(翼社功臣)
조선 광해군(光海君) 5년에 임해군(臨海君)의 옥사를 다스린 여러 신하들에게 주었던 훈호(勳號). 세 등급으로 나누어 유희분(柳希奮)ㆍ최유원(崔有源)ㆍ윤효전(尹孝全) 등 총 48명에게 내림.
1613 한국>조선후기 , 법제>제도
-
익산(益山)
전라도 북쪽에 있는 고을 이름. 남으로 전주(全州), 북으로 여산(礪山)과 접하였으며, 마한(馬韓)이 세워진 곳.
전라도>익산 , 지명>행정지명
-
익안대군(益安大君)
조선 제1대 태조(太祖)의 셋째 아들. 신의왕후(神懿王后) 한씨(韓氏) 소생으로, 제1차 왕자(王子)의 난(亂) 때 이방원(李芳遠)을 보좌하여 정사공신(定社功臣)에 책록되었으며, 제2차 왕자의 난 때에는 중립을 지킴.
?~1404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서울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왕실>왕자
-
익양군(益陽君)
조선 제11대 성종(成宗)의 일곱 번째 서자. 어머니는 숙의홍씨(淑儀洪氏). 중종반정(中宗反正)의 원종공신(原從功臣)이 되어 종부시(宗簿寺) 등의 제조(提調)와 종친부의 유사당상(有司堂上)을 겸임함.
1488~1552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왕자
-
익재난고(益齋亂藁)
고려 후기의 문신ㆍ학자인 이제현(李齊賢)의 시문집(詩文集). 10권 4책. 목판본. 이색(李穡)의 서문(序文)이 있음.
1363 한국>고려후기 , 문헌>서명
-
익조(翼祖)@송
중국 송(宋) 태조(太祖) 조광윤(趙匡胤)의 조부. 태조(太祖) 건융 원년(建隆元年, 960)에 익조(翼祖)로 추존됨.
중국>당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익조(翼祖)@조선
조선 태조(太祖) 이성계(李成桂)의 증조부. 1394년(태조 3)에 익왕(翼王)으로 추존되고, 태종(太宗) 때 익조(翼祖)로 추존됨.
한국>고려후기 , 함경도>덕원ㅣ함경도>경흥 , 인명>왕실>국왕
-
익종(翼宗)
조선 제23대 순조(純祖)의 세자. 1827년(순조 27) 순조의 명으로 대리청정을 시작하였으나 4년 만에 죽음. 아들 헌종(憲宗)이 즉위 후 익종으로 추존함.
1809~1830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왕실>국왕
-
익주(益州)
중국 사천성(四川省)에 속하는 고을 이름. 한(漢) 나라 때 촉(蜀) 땅에 처음 주(州)로 설치됨.
중국 , 지명>행정지명
-
익현군(翼峴君)
조선 제4대 세종(世宗)의 일곱 번째 서자. 신빈김씨(愼嬪金氏)의 소생으로, 계유정난(癸酉靖難)에 참여하여 좌익공신(佐翼功臣)에 책록됨.
1431~1463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왕실>왕자
-
인기(印紀)
조선 전기의 유학. 하서(河西) 김인후(金麟厚)와 교유하여 김인후가 그에게 준 증별시가 《하서선생전집(河西先生全集)》에 보임.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유학
-
인당(印璫)
고려 충혜왕(忠惠王)~공민왕(恭愍王) 때의 무신. 교동인씨(喬桐印氏)의 시조. 원(元) 나라가 국경침입을 구실로 위협하자 공민왕(恭愍王)에 의해 죄를 뒤집어쓰고 사형당함.
?~1356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강화 , 인명>관인>무신
-
인당집(忍堂集)
조선 태종(太宗) 때의 문신인 박소(朴昭)의 문집.
한국>조선전기 , 문헌>서명
-
인동(仁同)
경상도 남서부에 있던 고을 이름. 성주(星州)ㆍ개령(開寧)과 접해 있음. 적개공신(敵愾功臣) 장말손(張末孫) 등을 배출하였으며, 길재(吉再)를 배향한 오산서원(吳山書院)과 장현광(張顯光)을 배향한 동락서원(東洛書院)이 있음. 현재는 경상북도 구미시(龜尾市)에 속함.
경상도>인동 , 지명>행정지명
-
인동장씨(仁同張氏)
고려 태사(太師)를 지낸 장정필(張貞弼)을 도시조로 하며, 삼중대광(三重大匡)에 오른 장금용(張金用)을 시조로 하는 계통과 충렬왕 때 옥산군(玉山君)에 봉해진 장계(張桂)를 시조로 하는 계통을 아울러 이르는 성씨.
한국>고려전기 , 경상도>인동 , 인명>집단>성씨
-
인목왕후(仁穆王后)
조선 제14대 선조(宣祖)의 계비(繼妃). 1602년(선조 35)에 왕비에 책봉되었으나, 1617년(광해군 9)에 삭호(削號)당하고 서궁(西宮)에 유폐되었다가 인조반정(仁祖反正)으로 복호(復號)됨.
1584~1632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왕실>왕비
-
인물성동이론(人物性同異論)
성리학에서 인간의 성(性)과 인간을 제외한 만물의 성이 같은가 다른가에 관한 이론. 동론(同論)을 주장한 이간(李柬)과 이론(異論)을 주장한 한원진(韓元震) 사이에 일어난 논변이 중심이 됨.
한국>조선후기 , 사상>이론>학설
-
인빈김씨(仁嬪金氏)
조선 제14대 선조(宣祖)의 후궁. 본관은 수원(水原). 후궁 가운데 가장 왕의 총애를 받아 신성군(信城君) 이후(李珝) 등 4남 5녀를 둠.
1555~1613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왕실>후궁
-
인산서원(仁山書院)@아산
조선 광해군(光海君) 때 충청도 아산(牙山)에 건립한 서원. 김굉필(金宏弼)ㆍ조광조(趙光祖)ㆍ정여창(鄭汝昌)ㆍ이언적(李彦迪)ㆍ이황(李滉)ㆍ기준(奇遵)ㆍ이지함(李之菡)ㆍ홍가신(洪可臣)ㆍ이덕민(李德敏)ㆍ박지계(朴知誡) 등을 배향함.
1610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아산 , 유적>건물>서원,향교
-
인산서원(仁山書院)@예천
조선 영조(英祖) 때 경상도 예천(醴泉)에 건립한 서원. 권맹손(權孟孫)ㆍ이문좌(李文佐)ㆍ권오기(權五紀)ㆍ이광윤(李光胤)ㆍ김경언(金慶言)ㆍ권용(權墉) 등을 배향함.
1725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예천 , 유적>건물>서원,향교
-
인산진(麟山鎭)
평안도 의주(義州)에 있는 석성(石城). 본래 인주(麟州)였으나 고려 고종(高宗) 때 반란이 일어나 인산(麟山)으로 강등되고, 조선 세종(世宗) 때 진(鎭)이 설치되었으며, 선조(宣祖) 때 이제신(李濟臣)이 이곳에 유배됨.
평안도>의주 , 유적>시설>성,진,책
-
인산집(仁山集)
중국 송(宋)~원(元) 나라의 학자인 김이상(金履祥)의 문집. 6권.
중국>원 , 중국 , 문헌>서명
-
인상여(藺相如)
중국 춘추전국시대 조(趙) 나라 혜문왕(惠文王) 때의 정치가. 염파(廉頗)와 교유했으며, 외교술이 뛰어나 진(秦) 나라 소양왕(昭襄王)에게서 화씨벽(和氏璧)을 되찾아 온 고사가 유명함.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인선왕후(仁宣王后)
조선 제17대 효종(孝宗)의 비. 본관은 덕수(德水). 우의정 장유(張維)의 딸로, 병자호란 후 인질로 잡혀가는 봉림대군(鳳林大君:효종)을 따라 심양(瀋陽)에 가서 8년을 머묾. 1649년 효종이 즉위하면서 왕비가 되고, 현종(顯宗) 등 1남 6녀를 낳음.
1618~1674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왕실>왕비
-
인성군(仁城君)
조선 제14대 선조(宣祖)의 일곱째 서자. 광해군이 폐모(廢母)를 논의할 때 종척(宗戚)과 함께 참석했다는 이유로 탄핵을 받고 진도(珍島)에 유배되었다가, 1628년(인조 6) 대신과 백관의 주청으로 자살의 형을 받음.
1588~1628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왕실>왕자
-
인성대군(仁城大君)
조선 제8대 예종(睿宗)의 맏아들. 장순왕후(章順王后) 한씨(韓氏)의 소생으로, 어린 나이에 요절함.
1461~1463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왕자
-
한강집(寒岡集)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인 정구(鄭逑)의 문집. 원집(原集) 15권, 별집(別集) 3권으로, 문인 배상룡(裵尙龍) 등이 성주(星州)의 회연서원(檜淵書院)에서 간행함. 최현(崔晛)의 발문(跋文)이 《인재집(訒齋集)》에 전함.
1636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성주 , 문헌>서명
-
한거만록(閑居漫錄)
조선 효종(孝宗)의 부마인 정재륜(鄭載崙)의 수필집. 효종과 현종(顯宗) 양대 동안 주변인들에게 전하여 들은 일, 당대에 듣고 본 일 등을 기록하여 모아둔 것을 족제(族弟)인 정행원(鄭行源)이 편집하여 간행함.
한국>조선후기 , 문헌>서명
-
한거십팔곡(閑居十八曲)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인ㆍ학자인 권호문(權好文)의 연시조. 총 19수. 《송암별집(松巖別集)》에 수록된 것으로, 강호가도(江湖歌道)의 후기 모습을 보여주며 작자의 실존적 모습을 제시한 작품으로 문학사적 의미를 가짐.
한국>조선전기 , 문헌>작품명
-
한경(韓卿)
고려 후기의 문신ㆍ외척. 본관은 안변(安邊). 조선 태조(太祖)의 국구(國舅)로, 밀직부사(密直副使)를 역임하였으며, 조선 개국 후 딸이 신의왕후(神懿王后)에 추봉(追封)되자, 보리공신(輔理功臣)에 추록되고 안천부원군(安川府院君)에 추증됨.
한국>고려후기 , 함경도>안변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ㅣ인명>왕실>인척
-
한경기(韓景琦)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문신ㆍ시인. 한명회(韓明澮)의 손자로, 음보(蔭補)로 돈녕부 정(敦寧府正)을 지냈으나 조부의 행적을 부끄러워하여 요직을 피함. 남효온(南孝溫)ㆍ홍유손(洪裕孫) 등과 교유하고, 시명(詩名)이 높았음.
1472~1529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한경남(韓敬男)
조선 전기의 무신. 본관은 청주(淸州).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인 한응인(韓應寅)의 아버지로, 부사직(副司直)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청주 , 인명>관인>무신
-
한경록(韓景祿)
조선 중종(中宗)의 부마(駙馬). 본관은 청주(淸州). 한승권(韓承權)의 아들로, 중종의 둘째 딸인 의혜공주(懿惠公主)와 혼인하고, 청원위(淸原尉)에 봉해짐.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청주 , 인명>왕실>인척
-
한경우(韓景祐)
조선 중종(中宗)의 부마(駙馬). 본관은 청주(淸州). 한자(韓慈)의 아들로, 중종의 여섯 번째 서녀(庶女)인 정신옹주(靜愼翁主)와 혼인하여 청천위(淸川尉)에 봉해짐.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청주 , 인명>왕실>인척
-
한경침(韓景琛)
조선 성종(成宗)의 부마(駙馬). 본관은 청주(淸州). 한명회(韓明澮)의 손자이며, 한보(韓堡)의 아들로, 성종의 세 번째 서녀(庶女)인 공신옹주(恭愼翁主)와 혼인하였으며, 청녕위(淸寧尉)에 봉해짐.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청주 , 인명>왕실>인척
-
한계남(韓繼男)
조선 후기의 문신. 대북파(大北派)로, 전라도 관찰사(全羅道觀察使)인 유색(柳穡)에게 탄핵됨.
한국>조선후기 , 인명>관인>문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