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한계미(韓繼美)
조선 세종(世宗)~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청주(淸州). 한혜(韓惠)의 아들로, 이시애(李施愛)의 난을 평정하는 등 공을 세워 세 차례 공신(功臣)에 책록되고, 좌찬성(左贊成) 등을 지냄.
1421~1471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청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한계순(韓繼純)
조선 세조(世祖)~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청주(淸州)로, 함경 감사(咸鏡監司) 한혜(韓惠의 아들. 남이(南怡)의 옥사를 다스리는 데 공을 세워 익대공신(翼戴功臣)에 책록되고, 성종의 즉위를 도와 좌리공신(佐理功臣)에 책록되었으며, 지중추부사(知中樞府事) 등을 역임함.
1431~1486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청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한계희(韓繼禧)
조선 세종(世宗)~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청주(淸州). 한혜(韓惠)의 아들로, 남이(南怡)의 옥사와 성종의 즉위 때 공을 세워 두 차례 공신(功臣)에 책록되고, 《경국대전(經國大典)》과 《의방유취(醫方類聚)》의 편찬에 참여함.
1423~1482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청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한곤(韓鯤)
조선 전기의 무신. 본관은 청주(淸州). 선조(宣祖)가 세자로 있을 때 사부(師傅)를 지낸 한윤명(韓胤明)의 아버지로, 호분위 부사직(虎賁衛副司直)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청주 , 인명>관인>무신
-
한공의(韓公義)
고려 충혜왕(忠惠王)~공민왕(恭愍王) 때의 무신. 본관은 청주(淸州)로, 상당부원군(上黨府院君) 한악(韓渥)의 아들. 충혜왕의 신임을 받았으며, 공민왕 때 밀직부사(密直副使)로 정조사(正朝使)가 되어 원(元) 나라에 다녀옴.
한국>고려후기 , 충청도>청주 , 인명>관인>무신
-
한관(韓綰)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청주(淸州)로, 영의정 한효원(韓效元)의 아들. 1528년(중종 23) 사마 양시(司馬兩試)에 입격하여 정랑(正郞)을 지냈으며, 이황(李滉)과 주고받은 서신이 《퇴계집(退溪集)》에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청주ㅣ서울 , 인명>관인>문신
-
한구(韓駒)
중국 송(宋) 나라 휘종(徽宗) 때의 문신. 소철(蘇轍)의 문인(門人)으로, 강주 지사(江州知事) 등을 역임함. 문장에 뛰어났고 시에 대한 이해가 깊었으며, 저서에 《능양집(陵陽集)》이 있음.
?~1135 중국>송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한궐(韓厥)
중국 춘추전국시대 진(晉) 나라의 경대부. 한기(韓起)의 아버지로, 여공(厲公)이 무도(無道)하여 난서(欒書)와 순언(荀偃)이 죽이려 할 때 동참하기를 거부함.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관인>경대부
-
한규(韓珪)
조선 태조(太祖)~태종(太宗) 때의 무신. 본관은 청주(淸州). 제2차 왕자(王子)의 난(亂)을 평정하고 태종이 왕위에 오르는 데 협력한 공으로 좌명공신(佐命功臣)에 책록되었으며, 중군절제사(中軍節制使) 등을 역임함.
?~1416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청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무신
-
한규인(韓珪仁)
고려 후기의 문신ㆍ외척. 본관은 안변(安邊). 한경(韓卿)의 아버지로, 손녀인 신의왕후(神懿王后)가 조선 태조(太祖)의 정비로 책봉되자 익조공신(翊祚功臣)에 추록되고, 안천부원군(安川府院君)에 추증됨.
한국>고려후기 , 함경도>안변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ㅣ인명>왕실>인척
-
한근(韓瑾)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무신. 본관은 당진(唐津)으로, 한숙(韓淑)ㆍ한주(韓澍)ㆍ한호(韓灝)의 아버지. 만년(晩年)에 효행(孝行)으로 추천을 받아 세자익위사 좌세마(世子翊衛司左洗馬)를 지냄.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당진 , 인명>관인>무신
-
한금호(韓擒虎)
중국 남북조시대 북주(北周)~수(隋) 나라 문제(文帝) 때의 장군. 영주 자사(永州刺史)ㆍ화주 자사(和州刺史) 등을 지냄. 진(陳) 나라를 정벌하여 후주(後主)를 사로잡은 공으로 상주국(上柱國)에 봉해지고, 양주 총관(凉州摠管)이 되었으나 곧 죽음. 죽어서는 염라대왕(閻羅大王)이 되었다고 전해짐.
538~592 중국>수ㅣ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관인>무신
-
한기(韓琦)
중국 송(宋) 나라 인종(仁宗)~신종(神宗) 때의 재상. 인종 때 재상에 올라 십여 년간 국정에 참여하여 치적을 쌓았으나, 신종 때 왕안석(王安石)의 청묘법(靑苗法) 실시와 거란(契丹)에 대한 영토할양에 적극 반대하며 관직에서 물러남.
1008~1075 중국>송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한기(韓紀)
조선 성종(成宗)의 부마(駙馬). 본관은 청주(淸州). 한형윤(韓亨允)의 아들로, 성종의 열 번째 서녀(庶女)인 정혜옹주(靜惠翁主)와 혼인함. 갑자사화(甲子士禍) 때 안산(安山)에 유배되었다가 중종반정(中宗反正) 후 복관(復官)됨.
1490~1558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청주 , 인명>왕실>인척
-
한기(韓起)
중국 춘추전국시대 진(晉) 나라의 경대부. 한궐(韓厥)의 아들로, 평공(平公) 때 노(魯) 나라에 사신으로 가 《주역(周易》등을 보고는, 주(周) 나라의 예법이 노 나라에 남아 있음을 감탄함.
?~B.C.514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관인>경대부
-
한난(韓蘭)
고려 태조(太祖) 때의 개국공신(開國功臣). 청주한씨(淸州韓氏)의 시조로, 기자(箕子)의 후손으로 전해짐. 태조의 즉위와 견훤(甄萱)과의 전투에 공이 있어 삼중대광 개국벽상공신(三重大匡開國壁上功臣)에 녹훈(錄勳)되고, 문하태위(門下太尉)를 지냄.
한국>고려전기 , 충청도>청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한남군(漢南君)
조선 제4대 세종(世宗)의 넷째 서자. 단종(端宗)을 봉양한 죄로 사사된 혜빈양씨(惠嬪楊氏)의 소생으로, 세조(世祖) 즉위 후 단종복위를 모의한 것이 발각되어 함양(咸陽)에 유배되었다가 죽음.
1429~1459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왕자
-
한당(漢黨)
조선 인조(仁祖) 말에 청서(淸西)에서 갈린 서인(西人)의 한 분파. 서울 및 근기지역에 거주하며 산당(山黨)과 정책상 대립한 김육(金堉)ㆍ신면(申冕)ㆍ김우명(金佑明) 등을 부르는 말. 이건창(李建昌)의 《당의통략(黨議通略)》에 기록이 있음.
한국>조선후기 , 인명>집단>조직
-
한대순(韓大淳)
고려 충정왕(忠定王)~공민왕(恭愍王) 때의 문신. 본관은 청주(淸州)로, 한악(韓渥)의 아들이며 한천(韓蕆)의 아버지. 충정왕 때 판밀직사사(判密直司事)ㆍ지도첨의(知都僉議) 등을 지냈으나, 공민왕이 즉위하자 기장 감무(機張監務)로 좌천됨.
?~1355 한국>고려후기 , 충청도>청주 , 인명>관인>문신
-
한두(韓㞳)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청주(淸州). 한세환(韓世桓)의 아들로, 청요직(淸要職)을 두루 거치고 명종 때 동지사(冬至使)가 되어 명(明) 나라에 다녀왔으며, 한성부 좌윤(漢城府左尹) 등을 역임함.
1501~1558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청주 , 인명>관인>문신
-
한림원(翰林院)
중국 당(唐) 나라 현종(玄宗) 초기에 설치한 관청. 문장에 능한 선비ㆍ학자, 의복술(醫卜術)에 능한 사람, 예재(藝才)에 뛰어난 사람들이 뽑혀 모인 곳으로, 738년에 한림학사원(翰林學士院)과 한림기술원(翰林技術院)으로 나뉨.
중국>당 , 중국 , 법제>관청
-
한명윤(韓明胤)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청주(淸州). 1568년(선조 1) 사마 양시(司馬兩試)에 합격하고 추천에 의해 영동 현감(永同縣監) 등을 지냄. 임진왜란 때 영동에서 송방조(宋邦祚)와 의병을 모아 대항하고, 상주 목사(尙州牧使)로 방어사(防禦使)를 겸임하다 전사함. 선무원종공신(宣武原從功臣)에 책록됨.
1542~1593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한명회(韓明澮)
조선 문종(文宗)~성종(成宗) 때의 문신. 예종(睿宗)ㆍ성종의 국구(國舅). 세조를 도와 계유정난(癸酉靖難)과 남이(南怡)의 옥사 때 공을 세우는 등 여러 차례 공신(功臣)에 책록되고, 영의정 등을 지냄. 갑자사화 때 부관참시되었다가 후에 신원됨.
1415~1487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청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ㅣ인명>왕실>인척
-
한문헌(韓文獻)
고려 후기의 문신. 본관은 청주(淸州). 찬성사(贊成事)를 지낸 한영(韓永)의 셋째 아들로, 동궁(東宮)의 급사(給事)를 역임함.
한국>고려후기 , 충청도>청주 , 인명>관인>문신
-
한방기(韓邦奇)
중국 명(明) 나라 세종(世宗) 때의 문신ㆍ학자. 남병부상서(南兵部尙書) 등을 지냄. 경사(經史)ㆍ천문(天文)ㆍ지리(地理)ㆍ악률(樂律)ㆍ병법(兵法) 등에 능통하였으며, 저서로 《홍범도해(洪範圖解)》ㆍ《역학계몽의견(易學啓蒙意見)》 등이 있음
1479~1555 중국>명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한방신(韓方信)
고려 공민왕(恭愍王) 때의 무신. 본관은 청주(淸州). 한악(韓渥)의 아들로, 홍건적(紅巾賊)의 난 때 경성(京城)을 수복한 공으로 일등공신에 책록되고, 정당문학(政堂文學)을 지냈으나, 후에 아들 한안(韓安)의 시역(弑逆)에 연루되어 유배되었다가 피살됨.
한국>고려후기 , 충청도>청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무신
-
한백(韓伯)
중국 남북조시대 진(晉) 나라의 문신ㆍ학자. 왕필(王弼)의 문인(門人)으로, 태상(太常) 등을 지내고, 사람됨이 청아(淸雅)하며 문예(文藝)에 뜻을 둠. 저서에 《계사주(繫辭注)》등이 있음.
322~380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한백겸(韓百謙)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본관은 청주(淸州), 한효윤(韓孝胤)의 아들이며, 민순(閔純)의 문인으로, 역학(易學)에 밝아 《주역전의(周易傳義)》를 교정하였고, 《동국지리지(東國地理志)》를 저술하여 실학(實學)의 선구자적 역할을 함.
1552~1615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청주 , 인명>관인>문신
-
한백륜(韓伯倫)
조선 세종(世宗)~성종(成宗) 때의 문신. 예종(睿宗)의 국구(國舅). 본관은 청주(淸州)로, 안순왕후(安順王后)와 지돈녕부사(知敦寧府事) 한순(韓恂)의 아버지. 남이(南怡)의 옥사를 처리한 공으로 익대공신(翊戴功臣)에, 성종의 즉위를 도운 공으로 좌리공신(佐理功臣)에 책록됨.
1427~1474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청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ㅣ인명>왕실>인척
-
한벽루(寒碧樓)
고려 충숙왕(忠肅王) 때 왕사(王師) 청공(淸恭)이 충청도 청풍(淸風)에 지은 누정. 청풍현이 군(郡)으로 승격된 것을 기념하여 지은 것으로, 1397년(태조 6) 군수 정수홍(鄭守弘)이 중수하였으며 이때 쓴 하륜(河崙)의 기(記)가 전함.
1317 한국>고려후기 , 충청도>청풍 , 유적>건물>누정
-
한보(韓堡)
조선 세조(世祖)~중종(中宗) 때의 문신ㆍ무신. 본관은 청주(淸州). 한명회(韓明澮)의 아들로, 음보(蔭補)로 벼슬하여 동지중추부사(同知中樞府事) 등을 역임하였으며, 좌리공신(佐理功臣)에 책록됨.
1447~1522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청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무신ㅣ인명>관인>문신
-
한부(韓溥)
조선 후기의 문신. 본관은 청주(淸州). 서청군(西淸君) 한삼덕(韓參德)의 아들로, 찰방(察訪)을 지냄.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청주 , 인명>관인>문신
-
한비(韓非)
중국 춘추전국시대 한(韓) 나라의 공자ㆍ학자. 법가(法家)의 대표적인 인물로, 순자(荀子)의 성악설(性惡說)과 노장(老莊)의 무위자연설(無爲自然說)을 받아들여 법가의 학설을 대성하였으며, 저서에 《한비자(韓非子)》가 있음.
B.C.280?~B.C.233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왕실>왕자
-
한비자(韓非子)
중국 춘추전국시대 한(韓) 나라의 사상가인 한비(韓非)의 저서. 55편 20책. 인성이기설(人性利己說), 법치주의(法治主義) 등 법의 지상(至上)을 강조한 법가사상(法家思想)의 대표적인 책임.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문헌>서명
-
한사개(韓士介)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청주(淸州). 서평부원군(西平府院君) 한계희(韓繼禧)의 아들로, 영흥 부사(永興府使) 등을 지냄. 김안로(金安老)가 그의 신도비(神道碑)를 찬함.
1453~1521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청주 , 인명>관인>문신
-
한사기(韓謝奇)
고려 충렬왕(忠烈王)~공민왕(恭愍王) 때의 문신. 본관은 청주(淸州)로, 한강(韓康)의 아들이며 한영(韓永)과 한악(韓渥)의 아버지. 1279년(충렬왕 5) 독로화(禿魯花)로 선발되어 원(元) 나라에서 숙위(宿衛)하고 돌아옴. 과거에 급제하여 간의대부(諫議大夫)ㆍ보문각 제학(寶文閣提學) 등을 지냄.
한국>고려후기 , 충청도>청주 , 인명>관인>문신
-
한사무(韓士武)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청주(淸州). 서평부원군(西平府院君) 한계희(韓繼禧)의 아들이고 예조 참의(禮曹參議)를 지낸 한승정(韓承貞)의 아버지로, 한성부 판관(漢城府判官)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청주 , 인명>관인>문신
-
한사문(韓斯文)
조선 세조(世祖)~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청주(淸州)로, 서평부원군(西平府院君) 한계희(韓繼禧)의 아들. 중종반정(中宗反正) 때 공을 세워 정국공신(靖國功臣)에 책록되고, 함경도 관찰사(咸鏡道觀察使) 등을 지냄.
1446~1507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청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한산(韓山)
충청도 남서부에 위치한 고을 이름. 이곡(李穀) 등을 배향한 문헌서원(文獻書院)이 있으며, 지금은 충청남도 서천군(舒川郡)에 속함.
충청도>한산 , 지명>행정지명
-
한삼덕(韓參德)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청주(淸州). 송재(松齋) 한충(韓忠)의 아들로, 우찬성(右贊成)에 추증됨.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청주 , 인명>관인>문신
-
한상경(韓尙敬)
고려 우왕(禑王)~조선 태종(太宗) 때의 문신. 본관은 청주(淸州)로, 청성군(淸城君) 한수(韓脩)의 셋째 아들. 이성계(李成桂)를 추대하는 모의에 가담하고 조선 건국에 공을 세워 개국공신(開國功臣)에 책록되었으며, 영의정 등을 역임함.
1360~1423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충청도>청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한상덕(韓尙德)
고려 우왕(禑王)~조선 태종(太宗) 때의 문신. 본관은 청주(淸州). 한수(韓脩)의 넷째 아들로, 호조 참판(戶曹參判) 등을 역임하였으며, 종손뻘인 한명회(韓明澮)를 양육함. 우리나라 최초의 양잠서인《양잠경험촬요(養蠶經驗撮要)》를 초록(抄錄)함.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충청도>청주 , 인명>관인>문신
-
한상질(韓尙質)
고려 공민왕(恭愍王)~조선 정종(定宗) 때의 문신. 청성군(淸城君) 한수(韓脩)의 아들이며, 한명회(韓明澮)의 조부. 예문춘추관 대학사(藝文春秋館大學士) 등을 지냈으며, 조선 개국 후에 주문사(奏聞使)로 명(明) 나라에 파견되어 조선(朝鮮)이란 국호를 승인받음.
?~1400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충청도>청주 , 인명>관인>문신
-
한상환(韓尙桓)
고려 후기~조선 태종(太宗) 때의 문신. 본관은 청주(淸州). 한수(韓脩)의 맏아들로, 상의의정부사(商議議政府事) 등을 역임함. 간관(諫官)으로 있을 때 군대를 강하게 하고 식량을 풍족하게 하는 내용을 주장함.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충청도>청주 , 인명>관인>문신
-
한서(漢書)
중국 후한(後漢)의 반고(班固)가 기전체(紀傳體)로 엮은 전한(前漢)의 정사(正史). 120권. 고조(高祖)부터 왕망(王莽)까지 230년간의 역사 기록.
82 중국>후한 , 중국 , 문헌>서명
-
한서귀(韓瑞龜)
조선 단종(端宗)~연산군(燕山君) 때의 무신. 본관은 청주(淸州)로, 중추원 부사(中樞院副使) 한승순(韓承舜)의 아들. 계유정난(癸酉靖難) 때 협력한 공으로 정난공신(靖難功臣)에 책록되었으며, 첨지중추원사(僉知中樞院事)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청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무신
-
한세능(韓世能)
중국 명(明) 나라 목종(穆宗)~신종(神宗) 때의 문신. 1572년(조선 선조 5) 신종이 즉위하자 진삼모(陳三謀)ㆍ등계달(鄧季達) 등과 함께 황제의 등극 조서(詔書)를 가지고 조선에 사신으로 옴. 한림원 편수(翰林院編修)ㆍ예부 좌시랑(禮部左侍郞) 등을 지내고, 저서로 《운동습초(雲東拾草)》등이 있음.
1528~1598 중국>명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한세충(韓世忠)
중국 송(宋) 나라 휘종(徽宗)~고종(高宗) 때의 무신. 남송(南宋) 초에 악비(岳飛)ㆍ유광세(劉光世)ㆍ장준(張浚) 등의 군벌 병력과 협력하여 금(金) 나라의 침략을 저지하는 전공을 세움.
1089~1151 중국>송 , 중국 , 인명>관인>무신
-
한세환(韓世桓)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청주(淸州). 한운(韓運)의 아들로, 《성종실록(成宗實錄)》 편찬에 참여하였으며, 함경도 관찰사(咸鏡道觀察使)로 있을 때 기민(饑民) 구제에 힘씀.
1470~1522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청주 , 인명>관인>문신
-
한수(漢水)
중국 섬서성(陝西省) 영강현(寧强縣) 북부 반총산(蟠冢山)에서 발원하여 동남부를 거쳐 호북성(湖北省)을 지나 양자강(揚子江)으로 흘러드는 강 이름. 양자강의 최대의 지류임.
중국 , 지명>자연지명
-
한수(韓脩)
고려 충목왕(忠穆王)~우왕(禑王) 때의 문신ㆍ서예가. 이제현(李齊賢)에게 경사(經史)와 서법(書法)을 배우고, 이색(李穡)ㆍ이숭인(李崇仁) 등과 교유하였으며, 찬화공신(贊化功臣)에 책록됨. 지행과 식견이 뛰어나고, 특히 글씨에 능하여 많은 필적을 남김.
1333~1384 한국>고려후기 , 충청도>청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예술인>서화가ㅣ인명>관인>문신
-
한수경(韓守慶)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청주(淸州). 평난공신(平難功臣) 한준(韓準)의 아버지로, 돈녕부 도정(敦寧府都正)을 지냄.
?~1600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청주 , 인명>관인>문신
-
한숙(韓淑)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당진(唐津)으로, 세마(洗馬) 한근(韓瑾)의 아들. 공조 판서 등을 지냈으나, 을사사화(乙巳士禍) 때 대윤(大尹)인 윤임(尹任)과 교분이 두텁다 하여 파직되어 이산(理山)에 유배된 뒤 그곳에서 죽음.
1494~1560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당진 , 인명>관인>문신
-
한숙창(韓叔昌)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청주(淸州). 서성군(西城君) 한익(韓翊)의 아들로, 외삼촌 박원종(朴元宗)을 따라 중종반정(中宗反正)에 참여하여 정국공신(靖國功臣)에 책록되고, 장례원 판결사(掌隸院判決事) 등을 지냄.
1478~1537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청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한순(韓恂)
조선 연산군(燕山君)~중종(中宗) 때의 문신. 한백륜(韓伯倫)의 아들이자 안순왕후(安順王后)의 동생으로, 중종반정에 가담하여 정국공신(靖國功臣)에 책록됨. 지돈녕부사(知敦寧府事) 등을 지냈으나, 방자한 행동과 음란한 행위로 사림의 지탄을 받음.
?~1550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청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한승권(韓承權)
조선 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청주(淸州)로, 청원위(淸原尉) 한경록(韓景祿)의 아버지. 안변 부사(安邊府使)ㆍ춘천 부사(春川府使) 등을 지냄. 1545년(명종 즉위년)에 원종공신(原從功臣)에 책록됨.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청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한승순(韓承舜)
조선 세종(世宗) 때의 문신. 본관은 청주(淸州). 첨지중추원사(僉知中樞院事) 한서귀(韓瑞龜)의 아버지로, 중추원 부사(中樞院副使) 등을 지냄.
?~1448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청주 , 인명>관인>문신
-
한승정(韓承貞)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청주(淸州). 한사무(韓士武)의 아들이며 이심원(李深源)의 문인(門人)으로, 예조 참의(禮曹參議) 등을 지냄. 동문인 김안로(金安老)가 세도를 부리자 절교하고 탄핵하여 미움을 받음.
1478~1534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한시외전(韓詩外傳)
중국 전한(前漢)의 경학자(經學者) 한영(韓嬰)이 지은 《시경(詩經)》의 해설서(解說書). 한영은 내전(內傳) 4권, 외전 6권을 저술하였으나, 남송(南宋) 이후 겨우 외전만이 전해짐.
중국>전한 , 중국 , 문헌>서명
-
한식(寒食)
우리나라 사대(四大) 명절의 하나. 동지(冬至)로부터 105일째 되는 날로, 중국 춘추시대(春秋時代)의 개자추(介子推)를 애도하기 위해 찬밥을 먹는 습관에서 유래하였다고 함.
사건>풍속
-
한신(韓信)
중국 전한(前漢)의 공신. 고조(高祖) 유방(劉邦)을 도와 천하를 통일하고 초왕(楚王)에 봉해졌으나, 후에 회음후(淮陰侯)로 격하되고, 진희(陳豨)의 난(亂)에 통모(通謀)하였다 하여 여후(呂后)의 부하에게 참살(斬殺)당함.
?~B.C.196 중국>전한 , 중국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무신
-
한악(韓渥)
고려 충선왕(忠宣王)~충혜왕(忠惠王) 때의 문신. 본관은 청주(淸州). 한사기(韓謝奇)의 아들로, 심양왕(瀋陽王) 왕고(王暠)가 충선왕을 참소하였을 때 위기를 모면하게 한 공으로 좌리공신(佐理功臣)에 책록되고, 우정승 등을 지냄.
한국>고려후기 , 충청도>청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한안(韓安)
고려 공민왕(恭愍王) 때의 역적. 본관은 청주(淸州)로, 정당문학(政堂文學)을 지낸 한방신(韓方信)의 아들. 자제위(子弟衛)에 소속되어 왕의 총애를 받았으나, 최만생(崔萬生)ㆍ홍륜(洪倫)ㆍ권진(權瑨) 등과 모의하여 공민왕을 시해하는 데 가담하였다가 죽음.
?~1374 한국>고려후기 , 충청도>청주 , 인명>기타인명>역적
-
한양조씨(漢陽趙氏)
고려시대에 중국에서 귀화하여 조순대부(朝順大夫) 첨의중서사(僉議中書事)를 지냈다고 전해지는 조지수(趙之壽)를 시조로 하는 성씨.
한국>고려시대 , 서울 , 인명>집단>성씨
-
한언(韓堰)
조선 예종(睿宗)~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청주(淸州). 영의정 한명회(韓明澮)의 조카로, 이조 판서(吏曹判書) 등을 지냈으며, 민반(閔泮)과 함께 《왕비세보(王妃世譜)》를 편찬함. 1492년(성종 23) 사은사(謝恩使)로 명(明) 나라에 갔다가 그곳에서 죽음.
1448~1492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청주 , 인명>관인>문신
-
한여필(韓汝弼)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청주(淸州). 경성 판관(鏡城判官) 한효윤(韓孝胤)의 아버지이며 의성부정(義城副正) 이강(李鋼)의 장인. 음보(蔭補)로 빙고 별제(氷庫別提)가 되고, 문천 군수(文川郡守) 등을 지냄.
1505~1571 한국>조선전기 , 강원도>원주 , 인명>관인>문신
-
한연(韓淵)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무신. 본관은 청주(淸州)로, 서청군(西淸君) 한삼덕(韓參德)의 아들. 임진왜란 때 의주(義州)로 파천(播遷)하는 선조를 호종하여 사후에 호성공신(扈聖功臣)에 책록되었으며, 공조 정랑(工曹正郞)ㆍ사복시 정(司僕寺正) 등을 지냄.
1543~?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청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무신
-
한영(韓嬰)
중국 한(漢) 나라 문제(文帝)~무제(武帝) 때의 문신ㆍ학자. 상산 태부(常山太傅)를 지내고, 저서로 《한시외전(韓詩外傳)》ㆍ《한시내전(韓詩內傳)》 등이 있음.
중국>전한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한영(韓永)
고려 충숙왕(忠肅王) 때의 문신. 본관은 청주(淸州)로, 간의대부(諫議大夫) 한사기(韓謝奇)의 아들. 원(元) 나라에서 성장해 하남부총관(河南府摠管) 등을 지내고, 원 나라에 와 있던 충숙왕을 시종한 공으로 공신(功臣)에 책록됨.
1285~1336 한국>고려후기 , 충청도>청주 , 인명>관인>문신
-
한영(韓英)
고려 후기의 문신. 본관은 청주(淸州). 한양부원군(漢陽府院君) 한종유(韓宗愈)의 아버지로, 밀직부사(密直副使)를 지냄.
한국>고려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한온(韓蘊)
조선 명종(明宗) 때의 무신. 본관은 청주(淸州). 을묘왜변(乙卯倭變) 때 장흥 부사(長興府使)로서 전라 병마절도사(全羅兵馬節度使) 원적(元績)과 영암 군수(靈巖郡守) 이덕견(李德堅)과 함께 달량포(達梁浦)에 침입한 왜적에 맞서 싸우다가 전사함.
?~1555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청주 , 인명>관인>무신
-
한운(韓運)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청주(淸州). 함경도 관찰사(咸鏡道觀察使)를 지낸 한세환(韓世桓)의 아버지로, 내섬시 첨정(內贍寺僉正)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청주 , 인명>관인>문신
-
한원길(韓元吉)
중국 송(宋) 나라의 문신. 화정(和靖) 윤돈(尹焞)의 문인(門人)으로, 일찍이 여조겸(呂祖謙)과 더불어 덕청(德淸)의 자상사(慈相寺)에서 강독하고 이부 상서(吏部尙書) 등을 지냄.
1118~1187 중국>송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한원진(韓元震)
조선 숙종(肅宗)~영조(英祖)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청주(淸州). 권상하(權尙夏)의 문인으로, 이간(李柬)과 인물성동이론(人物性同異論)의 논쟁을 벌여 인물성이론(人物性異論)을 주장함. 영릉 참봉(寧陵參奉) 등을 지내고, 저서로 《남당집(南塘集)》이 있음.
1682~1751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결성ㅣ서울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한위(韓偉)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청주(淸州). 영의정 한확(韓確)의 손자이며 덕종비(德宗妃) 소혜왕후(昭惠王后)의 조카로, 동지중추부사(同知中樞府事) 등을 역임함.
1465~1511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청주 , 인명>관인>문신
-
한유(韓愈)
중국 당(唐) 나라의 문신ㆍ문인. 당송팔대가(唐宋八大家)의 한 사람으로, 도교와 불교를 배격하고, 유종원(柳宗元) 등과 함께 고문 운동(古文運動)을 창도하였으며, 송대 이후의 도학(道學)의 선구자가 됨.
768~824 중국>당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한유(韓維)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청주(淸州). 영의정(領議政) 한효원(韓效元)의 맏아들이고, 정랑(正郞) 한관(韓綰)의 형이며, 풍해군(豊海君) 이함(李菡)의 사위. 감찰(監察)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청주 , 인명>관인>문신
-
한유(韓裕)
고려 후기의 문신. 본관은 안변(安邊). 조선 태조(太祖)의 정비(正妃)인 신의왕후(神懿王后)의 증조부로, 보리공신(輔理功臣)에 추록되고, 문하시랑 찬성사(贈門下侍郞贊成事) 안원군(安原君)에 추증됨.
한국>고려후기 , 함경도>안변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ㅣ인명>왕실>인척
-
한유문(韓有紋)
고려 우왕(禑王)~조선 세종(世宗) 때의 문신. 양촌(陽村) 권근(權近)의 문하에서 수학하였으며, 전주 부윤(全州府尹)을 거쳐 중추원 부사(中樞院副使) 등을 역임함.
?~1436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충청도>청주 , 인명>관인>문신
-
한윤명(韓胤明)
조선 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청주(淸州). 일재(一齋) 이항(李恒)과 퇴계(退溪) 이황(李滉)의 문인으로, 이이(李珥)ㆍ박광전(朴光前)과 교유하고, 선조(宣祖)가 세자로 있을 때 사부(師傅)를 지냄.
1526~1567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한윤창(韓胤昌)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청주(淸州). 영흥 부사(永興府使)를 지낸 한사개(韓士介)의 아들로, 1509년(중종 4) 별시(別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예조 참판ㆍ호조 참판 등을 지냄.
1480~?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한윤희(韓胤熙)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청주(淸州)로, 영흥 부사(永興府使)를 지낸 한사개(韓士介)의 장남.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청주 , 인명>문사>유학
-
한응인(韓應寅)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본관은 청주(淸州)로, 부사직(副司直) 한경남(韓敬男)의 아들. 한어(漢語)에 능하여 수차례 명(明) 나라에 다녀오고, 임진왜란 때 원군을 이끌고 온 이여송(李如松)의 접반관(接伴官)이 됨.
1554~1614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한의(韓嶬)
조선 세조(世祖)~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청주(淸州)로, 서원부원군(西原府院君) 한계미(韓繼美)의 아들. 성종 때 좌리공신(佐理功臣)에 책록되었으며, 이모인 세조비 정희왕후(貞熹王后)가 죽자 수릉관(守陵官)이 되어 왕실의 장례에 관한 일을 맡음.
1443~1485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청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한익(韓翊)
조선 전기의 외척. 본관은 청주(淸州)로, 서릉부원군(西陵府院君) 한치례(韓致禮)의 아들이며 소혜왕후(昭惠王后)의 조카.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청주 , 인명>왕실>인척
-
한익모(韓翼謨)
조선 영조(英祖)~정조(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청주(淸州). 사도세자(思悼世子)의 신원(伸寃) 과정에서 삭직되고 유배되었으며, 영의정(領議政) 등을 지냄.
1703~?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청주 , 인명>관인>문신
-
한인효(韓仁孝)
조선 전기의 유학. 1472년(성종 3) 함양 군수(咸陽郡守)로 재직하고 있는 스승 김종직(金宗直)과 함께 지리산(智異山)을 등정한 일이 《점필재집(佔畢齋集)》에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함양 , 인명>문사>유학
-
한자(韓慈)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청주(淸州). 서평군(西平君) 한숙창(韓叔昌)의 아들로, 풍저창 주부(豐儲倉主簿)ㆍ함열 현감(咸悅縣監) 등을 지냈음.
1496~1547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청주 , 인명>관인>문신
-
한장손(韓長孫)
조선 세조(世祖)~연산군(燕山君) 때의 무신. 본관은 청주(淸州)로, 철원 부사(鐵原府使) 한증(韓曾)의 아버지. 1458년(세조 5)에 식년시(式年試) 무과(武科)에 급제하여 한성부 판관(漢城府判官)ㆍ내자시 정(內資寺正) 등을 지냄.
1422~1497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청주 , 인명>관인>무신
-
한적(韓績)
고려 후기의 문신. 본관(本貫)은 양주(楊州). 대지국사(大智國師) 찬영(粲英)의 아버지로, 사복시 직장(司僕寺直長)을 지냄.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양주 , 인명>관인>문신
-
한절(韓𥑇)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청주(淸州). 군자감 첨정(軍資監僉正) 한치원(韓致元)ㆍ청성부원군(淸城府院君) 한치형(韓致亨)의 아버지로, 공조 정랑(工曹正郞)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청주 , 인명>관인>문신
-
한종도(韓宗道)
조선 중종(中宗) 때의 유학. 김안국(金安國)의 문인으로, 김안국이 지은 자사(字辭)가 《모재집(慕齋集)》에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유학
-
한종유(韓宗愈)
고려 충렬왕(忠烈王)~공민왕(恭愍王) 때의 문신. 본관은 청주(淸州)로, 밀직부사(密直副使) 한영(韓英)의 아들. 이조년(李兆年)과 더불어 충숙왕(忠肅王)ㆍ충혜왕(忠惠王) 등에게 충절을 다하고, 조적(曺頔)의 난에 공을 세워 공신에 책록됨.
1287~1354 한국>고려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한주(韓澍)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당진(唐津). 통사랑(通仕郞) 한근(韓瑾)의 아들로, 1533년(중종 28) 별시(別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사인(舍人) 등을 지냄.
1511~?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한주집(韓州集)
조선 영조(英祖) 때의 문신인 한주(韓州) 이집(李潗)의 문집. 7책.
한국>조선후기 , 문헌>서명
-
한준(韓準)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돈녕부 도정(敦寧府都正)을 지낸 한수경(韓守慶)의 아들로, 정여립(鄭汝立)의 모역사건을 알리는 비밀장계를 올린 공으로 평난공신(平難功臣)에 책록됨. 글씨를 잘 써서 사자관(寫字官)을 지냄.
1542~1601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청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한준겸(韓浚謙)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청주(淸州). 경성 판관(鏡城判官)을 지낸 한효윤(韓孝胤)의 아들이며, 인조의 장인. 예학(禮學)과 국가의 고사(故事)에 밝고, 《광해군일기(光海君日記)》편찬에 참여함.
1557~1627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한준민(韓俊敏)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본관은 청주(淸州). 송재(松齋) 한충(韓忠) 손자로, 영릉 참봉(英陵參奉) 등을 지내다가 광해군 때 사직하였음.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청주 , 인명>관인>문신
-
한중겸(韓重謙)
조선 선조(宣祖) 때의 유학. 본관은 청주(淸州). 경성 판관(鏡城判官)을 지낸 한효윤(韓孝胤)의 아들로, 1579년(선조 12) 생원시(生員試)에 입격함.
1555~1579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문사>유학
-
한중례(韓仲禮)
고려 충목왕(忠穆王)~공민왕(恭愍王) 때의 문신. 본관은 청주(淸州)로, 상당부원군(上黨府院君) 한악(韓渥)의 아들. 우대언(右代言)ㆍ동지밀직사사(同知密直司事) 등을 지냄.
한국>고려후기 , 충청도>청주 , 인명>관인>문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