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한중보(韓仲輔)
고려 후기의 문신. 본관은 청주(淸州). 하남부 총관(河南府摠管)을 지낸 한영(韓永)의 아들로, 원(元) 나라에서 시의사 통사사인(侍儀司通事舍人)ㆍ중흥무공고 부사(中興武功庫副使) 등을 역임하였음.
한국>고려후기 , 충청도>청주 , 인명>관인>문신
-
한증(韓增)
중국 전한(前漢) 소제(昭帝)~선제(宣帝) 때의 장군, 거기장군(車騎將軍) 등을 지내고, 선제가 기린각(麒麟閣)에 공신의 초상을 그릴 때 곽광(霍光)ㆍ장안세(張安世)와 함께 그려짐.
중국>전한 , 중국 , 인명>관인>무신
-
한증(韓曾)
조선 성종(成宗)~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 본관은 청주(淸州). 내자시 정(內資寺正)을 지낸 한장손(韓長孫)의 아들로 철원 부사(鐵原府使) 등을 지내고 홍귀달(洪貴達)과 교유함.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청주 , 인명>관인>문신
-
한진춘추(漢晉春秋)
중국 남북조시대 진(晉) 나라의 학자인 습착치(習鑿齒)가 지은 역사서. 후한(後漢)의 광무제(光武帝)로부터 진 나라의 민제(愍帝)까지를 내용으로 하였으며, 촉(蜀) 나라를 정통으로 하고 위(魏) 나라를 찬탈(簒奪)로 봄.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문헌>서명
-
한착(寒浞)
중국 하(夏) 나라의 명궁(名弓)인 예(羿)의 신하. 태강(太康)을 폐위한 후 국호를 유궁(有窮)으로 한 예를 죽이고 제위를 찬탈하였으나 소강(少康)에게 멸망당함.
중국>하 , 중국 , 인명>기타인명>역적
-
한창유(韓昌愈)
조선 연산군(燕山君)~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청주(淸州)로, 좌승지(左承旨)를 지낸 한충(韓忠)의 아버지. 1496년(연산군 2) 생원시(生員試)에 입격하고, 장흥고 주부(長興庫主簿)를 지냈으며, 이조 참의(吏曹參議)에 추증됨.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한천(韓蕆)
고려 공민왕(恭愍王)~조선 정종(定宗) 때의 문신. 본관은 청주(淸州). 도첨의사사(都僉議司事)를 지낸 한대순(韓大淳)의 아들로, 고려에서 판개성부사(判開城府事) 등을 지내고, 조선 개국 후 개국원종공신(開國原從功臣)에 책록됨.
?~1403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충청도>청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한천서원(寒泉書院)
조선 정조(正祖) 때 경기도 용인(龍仁)에 건립한 서원. 1802년(순조 2)에 사액되고, 도암(陶庵) 이재(李縡)를 배향함.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용인 , 유적>건물>서원,향교
-
한철충(韓哲冲)
고려 말의 문신. 보문각 대제학(寶文閣大提學)을 지낸 한희적(韓希迪)의 아들로, 전법 판서(典法判書) 등을 지냈으나, 고려가 망하자 두문동(杜門洞)에 은거하면서 불사이군(不事二君)의 충절을 지킴.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상주 , 인명>관인>문신
-
한충(韓忠)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주부(主簿) 한창유(韓昌愈)의 아들. 종계변무(宗系辨誣) 주청사(奏請使) 남곤(南袞)의 서장관(書狀官)이었으나 남곤의 미움을 받게 됨. 기묘사화(己卯士禍)로 유배되었다가 신사무옥(辛巳誣獄)에 연루되어 죽음.
1486~1521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청주 , 인명>관인>문신
-
한치례(韓致禮)
조선 세조(世祖)~연산군(燕山君) 때의 무신ㆍ문신. 본관은 청주(淸州). 좌의정(左議政)을 지낸 한확(韓確)의 아들로, 성종(成宗)의 외숙. 무과(武科)에 급제했으나 문무를 겸비하여 좌리공신(佐理功臣)에 책록된 후 이조 판서(吏曹判書)ㆍ좌참찬(左參贊)ㆍ영돈녕부사(領敦寧府事) 등을 지냄.
1441~1499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청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ㅣ인명>관인>무신ㅣ인명>왕실>인척
-
한치원(韓致元)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청주(淸州). 내섬시 첨정(內贍寺僉正)을 지낸 한운(韓運)의 아버지로, 군자감 첨정(軍資監僉正)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청주 , 인명>관인>문신
-
한치의(韓致義)
조선 세조(世祖)~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청주(淸州). 좌의정(左議政)을 지낸 한확(韓確)의 아들로 성종의 외숙. 좌리공신(佐理功臣)에 책록되고, 병조 판서(兵曹判書) 등을 지냄.
1440~1473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청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ㅣ인명>왕실>인척
-
한치인(韓致仁)
조선 세종(世宗)~성종(成宗) 때의 문신ㆍ외척. 본관은 청주(淸州). 좌의정(左議政) 한확(韓確)의 아들이며 성종의 생모인 소혜왕후(昭惠王后)의 오빠. 1471년(성종 2) 좌리공신(佐理功臣)에 책록되었으며, 판돈녕부사(判敦寧府事) 등을 지냄.
1421~1477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청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ㅣ인명>왕실>인척
-
한치형(韓致亨)
조선 문종(文宗)~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 성종(成宗) 즉위 후 좌리공신(佐理功臣)에 책록되고, 고모가 명(明) 나라 성조(成祖)의 여비(麗妃)가 되면서 대중국 외교에서 활동하였으나, 갑자사화(甲子士禍) 때 부관참시당함.
1434~1502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청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한침(韓沈)
조선 후기의 문신. 본관은 청주(淸州). 서청군(西淸君) 한삼덕(韓參德)의 둘째 아들로, 찰방(察訪) 한부(韓溥)의 동생이며 공조 정랑(工曹正郞) 한연(韓淵)의 형. 찰방(察訪) 등을 지냄.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청주 , 인명>관인>문신
-
한탁주(韓侂冑)
중국 송(宋) 나라 효종(孝宗)~영종(寧宗) 때의 문신. 여주 방어사(汝州防御使)ㆍ태사(太師) 등을 지냈으나, 재상 조여우(趙汝愚)를 배척하고 주희(朱熹)의 이학(理學)을 위학(僞學)으로 모는 등 국정을 천단함. 북벌(北伐)을 주장하여 출병하였다가 실패하자 사미원(史彌遠)에게 죽임을 당함.
1152~1207 중국>송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한표(韓淲)
중국 송(宋) 나라 영종(寧宗) 때의 문신ㆍ문인. 이부 상서(吏部尙書) 한원길(韓元吉)의 아들로, 장천(章泉) 조번(趙蕃)과 함께 ‘이천(二泉)’으로 불림. 저서로 《간천일기(澗泉日記)》 등이 있음.
1159~1224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한형원(韓亨元)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청주(淸州). 서양군(西陽君) 한의(韓嶬)의 아들로, 문음(門蔭)으로 돈녕부 봉사(敦寧府奉事)를 거쳐 금화사 별제(禁火司別提) 등을 지냈음.
1461~1510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청주 , 인명>관인>문신
-
한형윤(韓亨允)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문신ㆍ서예가. 본관은 청주(淸州)로, 청평위(靑平尉) 한기(韓紀)의 아버지. 1492년(성종 23) 식년시(式年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이조 참판(吏曹參判)ㆍ지중추부사(知中樞府事) 등을 지내고, 초서(草書)ㆍ예서(隸書)에 능하여 당대의 명필로 알려짐.
1470~1532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청주 , 인명>예술인>서화가ㅣ인명>관인>문신
-
한혜(韓惠)
조선 태종(太宗)~세종(世宗) 때의 문신. 본관은 청주(淸州). 영의정(領議政)을 지낸 한상경(韓尙敬)의 아들로, 1417년(태종 17) 식년시(式年試)에 등과하여 함경 감사(咸鏡監司) 등을 지냈음.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청주 , 인명>관인>문신
-
한호(韓濩)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ㆍ서예가. 본관은 삼화(三和). 글씨를 잘 써서 외교문서 등을 맡아 썼으며, 중국에 사절이 갈 때도 서사관으로 파견되어 정묘한 필치로 명성을 떨침. 김정희(金正喜)와 쌍벽을 이루는 서예가로서, 사자관체(寫字官體)라는 서체가 그로부터 형성됨.
1543~1605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개성 , 인명>예술인>서화가ㅣ인명>관인>문신
-
한호(韓灝)
조선 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당진(唐津). 통사랑(通仕郞) 한근(韓瑾)의 아들로, 1546년(명종 1) 식년시(式年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판교(判校) 등을 지냄.
1510~?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한확(韓確)
조선 태종(太宗)~세조(世祖) 때의 문신. 본관은 청주(淸州)로, 성종(成宗)의 외할아버지. 누이가 명(明) 나라 성조(成祖)의 여비(麗妃)가 되어 명 나라의 광록시 소경(光祿寺少卿)에 임명되고, 1455년(세조 1) 좌의정으로 좌익공신(佐翼功臣)에 책록됨.
1403~1456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청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ㅣ인명>왕실>인척
-
한효선(韓孝先)
고려 충렬왕(忠烈王)~충숙왕(忠肅王) 때의 문신. 본관은 청주(淸州). 하남부 총관(河南府摠管)을 지낸 한영(韓永)의 아들로, 원(元) 나라에서 정동성 원외(征東省員外)ㆍ감찰어사(監察御史) 등을 지냈음.
한국>고려후기 , 충청도>청주 , 인명>관인>문신
-
한효원(韓效元)
조선 연산군(燕山君)~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청주(淸州)로, 철원 부사(鐵原府使) 한증(韓曾)의 아들. 1501년(연산군 7) 식년시(式年試) 문과(文科)에 급제하고 공조 판서(工曹判書)ㆍ영의정(領議政) 등을 지냄.
1468~1534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나주ㅣ서울 , 인명>관인>문신
-
한효윤(韓孝胤)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청주(淸州)로, 문천 군수(文川郡守)를 지낸 한여필(韓汝弼)의 아들. 1570년(선조 3) 식년시(式年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경성 판관(鏡城判官)ㆍ종부시 주부(宗簿寺主簿) 등을 지냄.
1536~1580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청주 , 인명>관인>문신
-
한휴(韓休)
고려 공민왕(恭愍王) 때의 문신. 본관은 청주(淸州). 정당문학(政堂文學)을 지낸 한방신(韓方信)의 아들로, 문음(門蔭)으로 감문위 호군(監門衛護軍) 등을 지냈으나, 동생 한안(韓安)이 공민왕을 시해한 것에 연좌되어 죽임을 당함. 후에 자헌대부(資憲大夫) 병조 판서(兵曹判書)에 추증됨.
?~1376 한국>고려후기 , 충청도>청주 , 인명>관인>문신
-
한희적(韓希迪)
고려 후기의 문신. 본관(本貫)은 청주(淸州). 전법 판서(典法判書)를 지낸 한철충(韓哲冲)의 아버지로, 사재령(司宰令) 등을 지냄.
한국>고려후기 , 충청도>청주 , 인명>관인>문신
-
함^영(咸^英)
중국 고대 전설상의 제왕인 황제(黃帝)의 음악 함지(咸池)와 제곡(帝嚳)의 음악 육영(六英)을 함께 부르는 말.
고대 , 중국 , 기타>가무
-
함^진(咸^晉)
경상도 함양(咸陽)과 진주(晉州)를 함께 부르는 말.
경상도>함양ㅣ경상도>진주 , 지명>기타지명
-
함경충(咸敬忠)
조선 전기의 유학. 김안국(金安國)의 문하에서 학문을 하였는데, 그에게 청하여 자(字)를 지어 받았음이 《모재집(慕齋集)》에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함경도>길성 , 인명>문사>유학
-
함곡관(函谷關)
중국 하남성(河南省) 영보현(靈寶縣)에 위치한 관문(關門). 중원(中原)에서 관중(關中)으로 통하는 관문이며, 지세가 매우 험준함.
중국 , 유적>시설>성,진,책
-
함관령(咸關嶺)
함경도 함주(咸州)와 홍원(洪原) 경계에 있는 고개 이름. 고려 공민왕(恭愍王) 때 이성계(李成桂)가 원 나라 군대를 무찌른 곳.
함경도>홍원ㅣ함경도>함흥 , 지명>자연지명
-
함녕군(咸寧君)
조선 제3대 태종(太宗)의 둘째 서자. 신빈(信嬪) 신씨(辛氏)의 소생으로, 세종(世宗) 때 계품사(計稟使)로서 중국에 가서 금ㆍ은의 공물을 면제받고 돌아옴.
1402~1467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왕자
-
함벽당(涵碧堂)
조선 명종(明宗) 때의 무신 강희철(康希哲)이 경상북도 안동(安東) 서후면(西後面)에 세운 누각 이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유적>건물>누정
-
함부림(咸傅霖)
고려 우왕(禑王)~조선 태종(太宗) 때의 문신. 본관은 강릉(江陵)으로, 검교 중추원학사(檢校中樞院學士) 함승경(咸承慶)의 아들. 이성계(李成桂)를 도와 조선 개국에 공을 세워 개국공신(開國功臣)에 책록되고, 형조 판서(刑曹判書) 등을 지냄.
1360~1410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강원도>강릉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함순(咸淳)
고려 후기의 문신ㆍ문인. 공부 상서(工部尙書)를 지낸 함유일(咸有一)의 아들. 문헌공도(文憲公徒) 출신으로, 급제 후 최충헌(崔忠獻) 정권에서 한직에 머무르다가, 이인로(李仁老) 등과 강좌칠현(江左七賢)을 조직하여 시주(詩酒)를 일삼고 청담(淸談)을 즐김.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양근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함순비릉지(咸淳毗陵志)
중국 송(宋) 나라 문신ㆍ학자인 사능지(史能之)가 편찬한 지리서. 함순(咸淳) 연간에 상주지주사(常州知州事)로 재직하면서 상주(常州)에 관한 지리ㆍ문화ㆍ종교ㆍ군사 등을 기술함. 소상(蘇庠)에 관한 기록이 보임. 30권.
중국>송 , 중국 , 문헌>서명
-
함승경(咸承慶)
고려 후기의 문신. 본관은 강릉(江陵). 조선 개국공신(開國功臣) 함부림(咸傅霖)의 아버지로, 검교 중추원학사(檢校中樞院學士)를 지냄.
한국>고려후기 , 강원도>강릉 , 인명>관인>문신
-
함안(咸安)
경상도 남부 중앙에 위치한 고을 이름.
경상도>함안 , 지명>행정지명
-
함양(咸陽)
경상도 서부에 위치한 고을 이름.
경상도>함양 , 지명>행정지명
-
함양(咸陽)@중국
중국 섬서성(陝西省) 중앙에 위치한 옛 도읍 이름. 중국 춘추전국시대 진(秦)의 효공(孝公)이 이곳에 도읍하였고, 시황제(始皇帝)가 천하를 통일한 후 부호(富豪)들을 이주시켜 정치ㆍ경제ㆍ교통ㆍ문화의 중심지로 삼음.
중국 , 지명>행정지명
-
함양박씨(咸陽朴氏)
박혁거세(朴赫居世)를 시조왕(始祖王)으로 삼고, 신라 경명왕(景明王)의 셋째 아들인 속함대군(速咸大君) 박언신(朴彦信)을 중시조(中始祖)로 하는 성씨.
한국>통일신라 , 경상도>함양 , 인명>집단>성씨
-
함양여씨(咸陽呂氏)
고려시대 공조 전서(工曹典書)를 지낸 여어매(呂御梅)를 시조로 하는 성씨.
한국>고려시대 , 경상도>함양 , 인명>집단>성씨
-
함유일(咸有一)
고려 인종(仁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항양(恒陽)으로, 강좌칠현(江左七賢)의 한 사람인 함순(咸淳)의 아버지. 1135년(인종 13) 묘청(妙淸)의 난에 공이 있어 서경유수 녹사(西京留守錄事)가 되고, 병부 낭중(兵部郞中)ㆍ공부 상서(工部尙書) 등을 지냄.
1106~1185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양근 , 인명>관인>문신
-
함종(咸從)
평안남도 남서쪽 지역에 있는 고을 이름. 남쪽은 용강(龍岡), 북쪽은 증산(甑山)과 접하고 있음.
평안도>함종 , 지명>행정지명
-
함좌무(咸佐武)
조선 전기의 무신. 본관은 강릉(江陵). 삼척 부사(三陟府使)를 지낸 함헌(咸軒)의 아버지로, 부호군(副護軍)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강원도>강릉 , 인명>관인>무신
-
함주지(咸州志)
조선 선조(宣祖) 때 함안 군수(咸安郡守) 정구(鄭逑)가 편찬한 읍지(邑誌). 1책. 필사본. 정구의 주관으로 박제인(朴齊仁)ㆍ오운(吳澐) 등 군인(郡人)들의 협력을 받아 편찬한 것으로, 《한강집(寒岡集)》에 서문(序文)이 전함. 이후 다른 읍지 편찬에 모범이 됨.
1587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함안 , 문헌>서명
-
함지(咸池)
중국 고대 전설상의 제왕인 황제(黃帝)가 지은 음악. 요(堯) 임금이 증보(增補)하여 연주함.
고대 , 중국 , 기타>가무
-
함평집(咸平集)
중국 송(宋) 나라 태종(太宗)~진종(眞宗) 때의 문신인 전석(田錫)의 문집. 50권.
중국>송 , 중국 , 문헌>서명
-
함허화상어록(涵虛和尙語錄)
조선 태조(太祖)~세종(世宗) 때의 승려인 기화(己和)의 시문집. 1권. 목판본. 1440년(세종 22)에 문경(聞慶) 봉암사(鳳巖寺)에서 간행함. 전여필(全汝弼)의 서문과 제자 야부(冶夫)의 행장이 수록됨.
1440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문경 , 문헌>서명
-
함헌(咸軒)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강릉(江陵). 부호군(副護軍) 함좌무(咸佐武)의 아들로, 삼척 부사(三陟府使) 등을 지냄. 강릉에 오봉서원(五峯書院)을 지어 후진을 양성하고, 이황(李滉)ㆍ정광필(鄭光弼) 등과 교유함.
1508~? 한국>조선전기 , 강원도>강릉 , 인명>관인>문신
-
합관요(蓋寬饒)
중국 전한(前漢) 선제(宣帝) 때의 문신. 성격이 강직하고 청렴하여 간대부(諫大夫)를 거쳐 사예교위(司隸校尉) 등을 지내다가, 황제의 뜻을 거스르는 상주(上奏)를 하여 자결함.
?~B.C.60 중국>전한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합려(闔閭)
중국 춘추전국시대 오(吳) 나라 제24대 제후. 재위 B.C.515~B.C.496. 초(楚) 나라 사람 오운(伍員)과 《손자(孫子)》의 저자인 손무(孫武)를 등용하여 오 나라의 세력을 중원(中原)에까지 넓혔으나, 월(越) 나라와의 전쟁에서 전사함.
?~B.C.496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합진(哈眞)
중국 원(元) 나라 태조(太祖) 때의 무신. 1218년(고려 고종 5) 고려에 들어와 찰랄(札剌) 등과 함께 거란(契丹)을 친 뒤, 1219년(고종 6) 고려의 김취려(金就礪)ㆍ조충(趙沖) 등의 군대와 연합으로 강동성(江東城)의 거란병을 쳐서 항복시킴.
중국>원 , 중국 , 인명>관인>무신
-
합천(陜川)
경상남도 북서부에 있는 고을 이름. 조선시대의 합천군(陜川郡)ㆍ초계군(草溪郡)ㆍ삼가현(三嘉縣)의 3개 군현이 합해져 이루어졌으며, 해인사(海印寺)ㆍ영암사지(靈巖寺址) 등의 주요 사적이 있음.
경상도>합천 , 지명>행정지명
-
합천이씨(陜川李氏)
통일신라 말에 강양군(江陽君)에 봉해진 이개(李開)를 시조로 하는 성씨. 이개는 신라 초기의 육촌(六村) 중 알천양산촌(閼川楊山村)의 촌장인 표암공(瓢巖公) 이알평(李謁平)의 후손이 됨.
한국>통일신라 , 경상도>합천 , 인명>집단>성씨
-
항산(恒山)
중국 산서성(山西省)에 있는 산 이름. 오악(五岳)의 하나로 위치상 북악(北岳)에 해당하며, 높이는 2,052m.
중국 , 지명>자연지명
-
항아(姮娥)
중국 고대 유궁후(有窮后) 예(羿)의 아내. 예가 서왕모(西王母)에게 얻은 선약(仙藥)을 몰래 훔쳐 먹고 신선이 되어 혼자 월궁(月宮)으로 달아났으나, 두꺼비로 변해 달에서 외롭게 살고 있다고 전함. 달에 사는 신선(神仙)이나, 달 자체를 가리키는 말로도 쓰임.
고대 , 중국 , 인명>기타인명>기타인물
-
항우(項羽)
중국 진(秦) 나라의 무장. 진승(陳勝)ㆍ오광(吳廣)의 난으로 진 나라가 혼란에 빠지자 숙부 항량(項梁)과 함께 봉기하여 진 나라를 멸망시켰으나, 제후를 통솔하지 못하여 해하(垓下)에서 한왕(漢王) 유방(劉邦)에게 포위되어 자살함.
B.C.232~B.C.202 중국>진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항의신편(抗義新編)
조선 선조(宣祖)~효종(孝宗) 때의 문신ㆍ학자인 안방준(安邦俊)이 조헌(趙憲)의 유문(遺文) 및 행록(行錄)을 수록한 책. 4권 2책. 목판본. 이정귀(李廷龜)와 안방준의 서(序), 조헌의 행적을 나타낸 그림이 실려 있으며, 《중봉집(重峯集)》과 《은봉전서(隱峯全書)》에 수록됨.
1621 한국>조선후기 , 문헌>서명
-
항재집(恒齋集)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인 정종영(鄭宗榮)의 문집. 임진왜란에 소실된 것으로 추정됨.
한국>조선전기 , 문헌>서명
-
항주(杭州)
중국 절강성(浙江省) 북부에 있는 도시. 소주(蘇州)와 함께 아름다운 고장으로 알려져 있으며, 수(隋) 나라 때 건설한 대운하의 남쪽 끝지점이 됨. 남송(南宋) 때는 수도가 되었으며, 오늘날 성도(省都)로서 정치ㆍ경제ㆍ문화의 중심지임.
중국 , 지명>행정지명
-
해광집(海狂集)
조선 선조(宣祖) 때의 학자인 송제민(宋齊民)의 저서. 2권 1책. 목판본. 5대손인 송익중(宋益中)이 편찬하여 간행하고, 김종수(金鍾秀)가 쓴 서문이 전함.
1783 한국>조선후기 , 문헌>서명
-
해동고승전(海東高僧傳)
고려 고종(高宗) 때의 승려인 각훈(覺訓)이 편찬한 여러 고승(高僧)들의 전기. 완본(完本)이 전하지 않아 정확한 권수와 간행 연대를 알 수 없음.
1215 한국>고려후기 , 문헌>서명
-
해동명적(海東名蹟)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문신인 신공제(申公濟)의 탁본집(拓本集). 2권 2책. 우리나라 역대 명필(名筆)의 글씨를 모아 석각(石刻)하고 탁본한 것으로, 조선 문종(文宗)ㆍ성종의 어필(御筆)과 신라의 최치원(崔致遠)ㆍ김생(金生) 등 여러 사람의 글씨를 수록함.
한국>조선전기 , 문헌>서명
-
해동사부(海東辭賦)
조선 현종(顯宗)~숙종(肅宗) 때의 문신인 김석주(金錫胄)가 편찬한 사(辭)ㆍ부(賦)의 모음집. 2권 2책. 활자본. 고려 후기의 이규보(李奎報)로부터 조선 후기의 신정(申晸)까지 27명의 글 57편을 뽑은 것으로, 《식암유고(息庵遺稿)》에 서문이 전함.
한국>조선후기 , 문헌>서명
-
해동잡록(海東雜錄)
조선 현종(顯宗) 때의 학자인 권별(權鼈)이 편찬한 인물 일화집(逸話集). 14권 7책. 필사본. 우리나라 역대 국왕 및 중요 인물을 왕조별(王祖別)ㆍ성씨별(姓氏別)로 분류하여, 그들의 학문과 일화를 정리함. 권문해(權文海)의 발문이 《초간집(草澗集)》에 전함.
한국>조선후기 , 문헌>서명
-
해동제국기(海東諸國記)
조선 성종(成宗) 때 신숙주(申叔舟)가 왕명에 따라 편찬한 일본(日本)에 관한 저서. 2책. 필사본. 일본의 지세ㆍ문물, 조선과의 외교관계의 대강을 기록하였음.
1471 한국>조선전기 , 문헌>서명
-
해릉왕(海陵王)
중국 금(金) 나라 제4대 왕. 재위 1149~1161. 태조(太祖)의 장남인 완안종간(完顔宗幹)의 아들로, 사촌인 희종(熙宗)을 시해하고 제위(帝位)에 올랐으며, 중국 통일을 위해 남송(南宋)을 공격하였다가 실패하고 부하에게 시해됨.
1122~1161 중국>금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해림(海琳)
고려 말 조선 초의 승려. 원천석(元天錫)이 지은 〈서천원해림사권(書川源海琳師卷)〉이라는 시(詩)가 《운곡행록(耘谷行錄)》에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인명>종교인>승려
-
해모수(解慕漱)
북부여(北夫餘)의 시조. 천제(天帝)의 아들로, 하백(河伯)의 딸 유화(柳花)와 관계하여 동명왕(東明王) 주몽(朱蒙)을 낳았다고 함.
고대 , 인명>기타인명>기타인물
-
해미(海彌)
고려 말 조선 초의 승려. 원천석(元天錫)이 지은 〈서편암해미상인권(書遍菴海彌上人卷)〉이라는 시(詩)가 《운곡행록(耘谷行錄)》에 실려 있음.
한국>고려후기 , 인명>종교인>승려
-
해보(海普)
고려 말 조선 초의 승려. 원천석(元天錫)이 지은 〈서기봉해보선자권(書琦峯海普禪者卷)〉이라는 시(詩)가 《운곡행록(耘谷行錄)》에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인명>종교인>승려
-
해봉(海峯)
고려 말 조선 초의 승려. 권근(權近)이 지은 〈독수명(獨秀銘)〉이 《양촌집(陽村集)》에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인명>종교인>승려
-
해생(海生)
고려 말 조선 초의 승려. 원천석(元天錫)이 지은 〈서청유해생상인권(書淸裕海生上人卷)〉이라는 시(詩)가 《운곡행록(耘谷行錄)》에 실려 있음.
한국>고려후기 , 인명>종교인>승려
-
해선(海璿)
고려 말 조선 초의 승려. 이직(李稷)이 그를 노래한 칠언율시(七言律詩)가 《형재집(亨齋集)》에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인명>종교인>승려
-
해선(海禪)
고려 말 조선 초의 승려. 원천석(元天錫)이 지은 〈서허주해선자권(書虛舟海禪者卷)〉과 〈서여정해선자권(書驢井海禪者卷)〉이라는 시(詩)가 《운곡행록(耘谷行錄)》에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인명>종교인>승려
-
해악명언(海岳名言)
중국 송(宋) 나라 휘종(徽宗) 때의 서예가인 미불(米芾)이 쓴 서예(書藝) 이론서. 1권. 저자가 직접 본 글씨에 대한 기록과 평가를 엮음.
중국>송 , 중국 , 문헌>서명
-
해안군(海安君)
조선 제11대 중종(中宗)의 두 번째 서자. 숙의홍씨(淑儀洪氏) 소생. 오위도총부 도총관(五衛都摠府都摠管)과 사옹원(司饔院)ㆍ문소전(文昭殿)의 도제조(都提調)를 지냄.
1511~1573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왕자
-
해운사(海雲寺)
통일신라 때 도선국사(道詵國師)가 경상도 선산(善山) 금오산(金烏山)에 창건한 사찰. 고려 말에 길재(吉再)가 머무른 곳으로 전해지며, 임진왜란 때 폐사되었다가 복구됨. 현재 경상북도 구미시(龜尾市)에 속함.
한국>통일신라 , 경상도>선산 , 유적>건물>사찰
-
해운정(海雲亭)
조선 중종(中宗) 때 강원도 관찰사(江原道觀察使)인 심언광(沈彦光)이 강원도 강릉(江陵) 경포(鏡浦)에 지은 누정.
1530 한국>조선전기 , 강원도>강릉 , 유적>건물>누정
-
해원(海圓)
고려 후기의 승려. 검교감(檢校監)을 지낸 조혁(趙奕)의 아들로, 원(元) 나라 안서왕(安西王)의 초빙을 받아 원 나라에서 활동함. 무제(武帝)의 원찰(願刹)인 대숭은복원사(大崇恩福元寺)의 초대 주지로 임명되는 등 원 나라 황실의 지극한 예우를 받음.
1262~1340 한국>고려후기 , 전라도>함열 , 인명>종교인>승려
-
해월루(海月樓)
조선 중종(中宗) 때 경상북도 청하현(淸河縣) 읍성 동헌(東軒) 부근에 세워진 누각 이름.
1527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청하 , 유적>건물>누정
-
해인사(海印寺)
신라 애장왕(哀莊王) 때 경상도 합천(陜川) 가야산(伽倻山)에 창건한 사찰. 고려대장경판(高麗大藏經板)을 보관하고 있어 법보사찰(法寶寺刹)로 일컬어짐.
802 한국>통일신라 , 경상도>합천 , 유적>건물>사찰
-
해제(奚齊)
중국 춘추전국시대 진(晉) 나라의 제후. 재위 B.C.651. 헌공(獻公)의 서자(庶子)로, 헌공의 총희(寵姬)인 여희(驪姬)의 술책으로 태자 신생(申生)을 죽이고 즉위했으나 이극(里克)에게 시해됨.
?~B.C.651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왕실>제후
-
해조집(海釣集)
중국 명(明) 나라 헌종(憲宗)~효종(孝宗) 때의 문신ㆍ서예가인 소현(蕭顯)의 문집.
중국>명 , 중국 , 문헌>서명
-
해주(海州)
황해도 남서쪽에 위치한 고을 이름. 예로부터 중국과의 교통 요충지의 하나임.
황해도>해주 , 지명>행정지명
-
해주옥사(海州獄事)
조선 광해군(光海君) 때 대북파(大北派)의 음모로 일어난 사건. 해주 목사(海州牧使) 최기(崔沂)가 이이첨(李爾瞻)의 일파인 박희일(朴希一) 등을 무고죄로 처형하자, 이이첨이 남형죄(濫刑罪)로 몰아 최기를 처형하고 소북파 수백 명을 제거함.
1616 한국>조선후기 , 사건>역모
-
해주정씨(海州鄭氏)
고려 후기에 문하시중 겸 평장사(門下侍中兼平章事)를 지낸 정숙(鄭肅)을 시조로 하는 성씨.
한국>고려후기 , 황해도>해주 , 인명>집단>성씨
-
해초(海超)
조선 세조(世祖) 때의 승려. 《월인석보(月印釋譜)》를 편찬하고 《선종영가집언해(禪宗永嘉集諺解)》을 교정하였으며, 신숙주(申叔舟)ㆍ김시습(金時習) 등이 그를 읊은 시를 남김.
한국>조선전기 , 인명>종교인>승려
-
해후부(海吼賦)
중국 명(明) 나라의 문신인 양거(楊琚)가 지은 부(賦). 그 내용이 중국 산해관(山海關)에 있는 관해정(觀海亭)의 정서비(亭西碑)에 새겨져 전한다는 기록이 허봉(許篈)이 지은 〈조천기(朝天記)〉에 보임.
중국>명 , 중국 , 문헌>작품명
-
행단(杏壇)
중국 춘추전국시대 때 공자(孔子)가 제자를 가르치던 당(堂)의 유지(遺址). 중국 산동성(山東省) 곡부(曲阜)에 있는 공자묘(孔子廟) 안에 있던 것으로, 공자가 행단(杏壇) 위에 앉고 제자가 그 곁에서 강학(講學)한 옛일에서 유래하여 학문을 가르치는 곳으로 통함.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사상>술어>관용어ㅣ유적>기타유적
-
행당선생유고(杏堂先生遺稿)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인 윤복(尹復)의 시문집. 5권 3책. 석인본. 1930년에 후손 윤주헌(尹柱憲)이 간행함.
1930 한국>근대 , 문헌>서명
-
행주대첩(幸州大捷)
조선 임진왜란 때 권율(權慄)이 경기도 고양(高陽)의 행주산성(幸州山城)에서 왜군을 대파한 싸움. 1593년(선조 26) 2월 1만여 병력을 행주산성에 집결시켜 성을 쌓고 관민(官民)이 일치단결하여 적을 대파함. 임진왜란의 3대첩(三大捷) 중의 하나.
1593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고양 , 사건>전쟁
-
행주산성(幸州山城)
삼국시대에 축성된 경기도 고양(高陽)에 있는 토축산성. 정확한 축성연대는 알 수 없으며, 조선 임진왜란 때 권율(權慄)이 대첩을 이룬 싸움터로, 성 안에 충장사(忠莊祠) 등의 유적이 있음.
경기도>고양 , 유적>시설>성,진,책
-
행촌집(杏村集)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인 행촌(杏村) 민순(閔純)의 저서.
한국>조선후기 , 문헌>서명
-
향로봉(香爐峯)
강원도 인제(麟蹄)와 고성(高城)의 경계에 있는 산 이름.
강원도>인제ㅣ강원도>고성 , 지명>자연지명
-
향산사(香山社)
중국 당(唐) 나라 때 백거이(白居易)가 향산(香山)의 승려 여만(如滿) 등과 맺은 향화(香火)의 결사(結社). 뜻이 맞는 일을 평생 함께 하기로 맹약(盟約)함을 비유함.
중국>당 , 중국 , 인명>집단>조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