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향설당시집(香雪堂詩集)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문신ㆍ시인인 한경기(韓景琦)의 저서. 시명(詩名)이 높았던 저자의 시 작품들이 수록되어 있으며, 신흠(申欽)이 지은 〈향설당시집발(香雪堂詩集跋)〉이 전함.
한국>조선전기 , 문헌>서명
-
향약간이방(鄕藥簡易方)
고려 말기에 저술된 것으로 추정되는 의약서(醫藥書). 산실되어 전하지 않음. 권근(權近)의 《양촌집(陽村集)》에 의하면 고려 말 조선 초의 문신인 권중화(權仲和)가 서찬(徐贊)에게 명하여 저술한 것이라 함.
한국>고려후기 , 문헌>서명
-
향약집설(鄕約集說)
조선 철종(哲宗)~고종(高宗) 때의 학자인 박주종(朴周鍾)의 저서. 1권.
한국>조선후기 , 문헌>서명
-
향약집성방(鄕藥集成方)
조선 세종(世宗) 때 간행된 향약(鄕藥)과 한방(韓方)에 관한 책. 85권 30책. 활자본. 1433년(세종 15)에 권채(權採)ㆍ유효통(兪孝通) 등이 재래의 여러 의서를 참고하여 편찬ㆍ간행하였으며, 1488년(성종 19) 서거정(徐居正)ㆍ허종(許琮) 등에 의해 일부가 국역됨.
1433 한국>조선전기 , 문헌>서명
-
향적봉(香積峰)
전라도 무주(茂朱)와 경상도 거창(居昌)에 걸쳐 있는 덕유산(德裕山)의 주봉(主峰). 해발 1,614m.
전라도>무주ㅣ경상도>거창 , 지명>자연지명
-
향현사(鄕賢祠)@장성
전라도 장성(長城)에 있는 사당. 고려 절효(節孝) 서릉(徐稜)을 배향함.
전라도>장성 , 유적>건물>사당
-
향현사(鄕賢祠)@강릉
조선 인조(仁祖) 때 강원도 강릉(江陵)에 건립한 사당. 최치운(崔致雲)ㆍ박공달(朴公達) 등 12인을 배향함.
1645 한국>조선후기 , 강원도>강릉 , 유적>건물>사당
-
향화사(香火寺)
중국 당(唐) 나라 때 향산(香山)에 건립된 사찰. 승려 여만(如滿)과 시인 백거이(白居易)가 건립하였는데, 백거이는 이로 인하여 향산거사(香山居士)라는 자호를 지음.
중국>당 , 중국 , 유적>건물>사찰
-
허^사(許^史)
중국 전한(前漢) 선제(宣帝) 때의 외척인 허백(許伯)과 사고(史高)를 함께 부르는 말. 허백은 선제의 장인이고 사고는 선제의 외가(外家)가 되는 인물로, 두 사람이 당시 권력을 독점한 데서 권문귀척(權門貴戚)을 가리키는 말로 쓰임.
중국>전한 , 중국 , 사상>술어>관용어
-
허^소(許^巢)
중국 고대 요(堯) 임금 때의 고사(高士)인 허유(許由)와 소보(巢父)를 함께 부르는 말. 요 임금이 그들에게 천하를 주려 하였으나 거절하고 은거함.
고대 , 중국 , 사상>술어>관용어
-
허^위(許^魏)
중국 명(明) 나라의 문신ㆍ학자인 허국(許國)과 위시량(魏時亮)을 함께 부르는 말. 1567년 목종(穆宗)이 등극하였을 때 반조(頒詔)의 사명을 띠고 함께 조선에 사신으로 파견됨.
중국>명 , 중국 , 사상>술어>관용어
-
허강(許橿)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학자. 본관은 양천(陽川). 좌찬성(左贊成)을 지낸 허자(許磁)의 아들로, 정작(鄭碏)ㆍ이지함(李之菡)ㆍ양사언(楊士彦) 등과 교계(交契)가 깊었음. 미수(眉叟) 허목(許穆)의 조부.
1520~1592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양천 , 인명>문사>학자
-
허건(許虔)
중국 후한(後漢)의 학자. 뛰어난 재능과 학문으로 동생 허소(許劭)와 함께 ‘평여이룡(平與二龍)’으로 일컬어짐.
중국>후한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허격(許格)
조선 후기의 학자. 본관은 양천(陽川). 이안눌(李安訥)에게 수학하였는데 스승이 죽은 후 심상(心喪) 3년을 지내고 김상헌(金尙憲) 문하에서 종유(從遊)하였음. 병자호란(丙子胡亂)이 굴욕적인 강화로 끝나자 통곡하고 학문을 그만두었음.
1607~1690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단양 , 인명>문사>학자
-
허겸(許謙)
중국 원(元) 나라의 학자. 김이상(金履祥)의 제자로, 사서(四書) 등을 깊이 연구하여 주소(註疏)를 내었으며, 《모시명물초(毛詩名物鈔)》 등의 저서가 있음.
1270~1337 중국>원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허경(許絅)
고려 후기의 문신. 본관은 양천(陽川). 양천군(陽川君) 허백(許伯)의 아들이자 전리 판서(典理判書)를 지낸 허금(許錦)의 아버지로, 지신사(知申事)를 지냄.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양천 , 인명>관인>문신
-
허경종(許敬宗)
중국 당(唐) 나라 고종(高宗) 때의 문신. 간신 이의부(李義府)와 함께 황후 왕씨를 폐위시키고 측천무후(則天武后)가 황후에 책봉되는 데 기여함. 예부 상서(禮部尙書)ㆍ시중(侍中) 등을 지냄.
592~672 중국>당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허곤(許琨)
조선 연산군(燕山君)~중종(中宗) 때의 무신. 본관은 양천(陽川). 영월 군수(寧越郡守)를 지낸 허지(許芝)의 아들로, 경상우도 수군절도사(慶尙右道水軍節度使) 등을 지냄.
1468~1523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양천 , 인명>관인>무신
-
허공(許珙)
고려 고종(高宗)~충렬왕(忠烈王) 때의 문신. 본관은 양천(陽川). 윤극민(尹克敏)의 사위로, 최령(崔寧)ㆍ원부(元傅)와 함께 ‘정방삼걸(政房三傑)’로 불림. 원부ㆍ한강(韓康)과 함께 《고금록(古今錄)》을 편찬했으며, 1291년(충렬왕 17) 원(元) 나라와 함께 합단(哈丹) 공격에 출전했다가 병사함.
1233~1291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양천 , 인명>관인>문신
-
허관(許寬)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하양(河陽). 이조 참판(吏曹參判)을 지낸 허성(許誠)의 아들로, 장례원 판결사(掌禮院判決事)ㆍ안동 부사(安東府使)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하양 , 인명>관인>문신
-
허광(許礦)
조선 연산군(燕山君)~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양천(陽川). 우의정(右議政)을 지낸 허종(許琮)의 아들로, 정국공신(靖國功臣)에 책록되었고 강릉 부사(江陵府使) 등을 지냈음.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양천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허굉(許硡)
조선 연산군(燕山君)~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양천(陽川). 좌의정(左議政)을 지낸 허침(許琛)의 아들로, 야인(野人)을 정벌할 때에 큰 공을 세웠으며 예조 판서(禮曹判書) 등을 지냈음.
1471~1529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양천 , 인명>관인>문신
-
허교(許喬)@고려
고려 충숙왕(麗忠肅) 때의 문신. 본관은 양천(陽川). 허시(許時)ㆍ허응(許應) 등 여섯 형제의 아버지로, 개성 윤(開城尹)을 지내고 광록대부(光祿大夫)에 봉해짐.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양천 , 인명>관인>문신
-
허교(許喬)@조선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양천(陽川). 문신ㆍ학자인 허목(許穆)의 아버지로, 포천 현감(泡川縣監) 등을 지냄.
1567~1632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양천 , 인명>관인>문신
-
허구(許昫)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양천(陽川). 군자감 부봉사(軍資監副奉事) 허한(許澣)의 아들이며, 초당(草堂) 허엽(許曄)의 형이자 창성군(昌城君) 성율(成栗)의 사위로, 종사랑(從仕郞)에 오름.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양천 , 인명>문사>유학
-
허구령(許九齡)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하양(河陽). 단종(端宗) 복위를 모의한 허조(許慥)의 아들로, 거사가 실패하자 아버지의 죄에 연좌되어 죽음.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하양 , 인명>문사>유학
-
허국(許國)
중국 명(明) 나라 세종(世宗)~신종(神宗) 때의 문신ㆍ학자. 1567년 목종(穆宗)이 등극하였을 때 한림 검토(翰林檢討)로서 병과 급사중(兵科給事中) 위시량(魏時亮)과 함께 반조(頒詔)의 사명을 띠고 조선에 사신으로 옴. 저서에 《조선일기(朝鮮日記)》ㆍ《문목공집(文穆公集)》 등이 있음.
1527~1596 중국>명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허귀룡(許貴龍)
고려 후기의 문신. 본관은 하양(河陽). 문신인 허주(許周)ㆍ허조(許稠)ㆍ허척(許倜) 형제의 아버지로, 판도판서(版圖判書)를 지냄.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하양 , 인명>관인>문신
-
허균(許筠)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ㆍ학자ㆍ문인. 본관은 양천(陽川)으로, 유성룡(柳成龍)ㆍ이달(李達)의 문인. 이이첨(李爾瞻)과 결탁하여 폐모론(廢母論)을 주장하였으며, 반란을 계획하다 탄로되어 참수형을 당함. 명문장으로 명성을 떨쳤으며, 우리 나라 최초의 소설인 《홍길동전(洪吉童傳)》을 씀.
1569~1618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양천 , 인명>문사>학자ㅣ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허금(許錦)
고려 공민왕(恭愍王)~우왕(禑王) 때의 문신. 본관은 양천(陽川)으로, 지신사(知申事)를 지낸 허경(許絅)의 아들. 이인복(李仁復)의 문하에서 급제하여 예의 정랑(禮儀正郞)ㆍ전리 판서(典理判書) 등을 지내고, 우왕 옹립에 반대함.
1340~1388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양천 , 인명>관인>문신
-
허금수(許金壽)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김해(金海). 유학 허흠(許欽)과 원종공신(原從功臣) 허성(許誠)의 아버지로, 첨지중추부사(僉知中樞府事)를 지내고 호조 참판(戶曹參判)에 추증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김해 , 인명>관인>문신
-
허기(許愭)
고려 우왕(禑王)~조선 세종(世宗) 때의 문신. 본관은 양천(陽川). 전리 판서(典理判書)를 지낸 허금(許錦)의 아들로, 판봉상시사(判奉常寺事) 등을 지내고, 저서로 《매헌시집(梅軒詩集)》이 있음.
1365~1431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기도>양천 , 인명>관인>문신
-
허기(許麒)
고려 말의 문신. 본관은 김해(金海). 평장사(平章事)를 지냈으며, 두문동(杜門洞) 현인의 한 사람으로 경상도 고성(固城)의 도연서원(道淵書院)에 배향됨.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상도>김해 , 인명>관인>문신
-
허난설헌(許蘭雪軒)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인. 본관은 양천(陽川). 허엽(許曄)의 딸로, 김성립(金誠立)과 혼인함. 이달(李達)에게 시를 배웠는데, 자신의 불우한 삶을 시에 담아 총 210여 수의 시를 남겼으며, 유고집으로 《난설헌집(蘭雪軒集)》이 있음.
1563~1589 한국>조선전기 , 강원도>강릉 , 인명>문사>문인
-
허눌(許訥)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김해(金海). 허백영(許伯瑛)의 아들이며 허백기(許伯琦)의 조카로, 1519년(중종 14) 별시(別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첨정(僉正)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김해 , 인명>관인>문신
-
허담(許聃)
조선 전기의 무신. 본관은 양천(陽川). 허위(許渭)ㆍ허한(許澣)의 아버지로, 용양위 사용(龍驤衛司勇)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양천 , 인명>관인>무신
-
허량(許亮)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하양(河陽). 허보(許輔)의 아들로, 1540년(중종 35년) 식년시(式年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도사(都事)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하양 , 인명>관인>문신
-
허목(許穆)
조선 인조(仁祖)~숙종(肅宗)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양천(陽川). 정구(鄭逑)의 문인으로, 예송(禮訟) 논쟁에서 남인(南人)을 주도하며 송시열(宋時烈)의 서인(西人)과 대립함. 사상적으로 이황(李滉)ㆍ정구의 학통을 이어받아 이익(李瀷)에게 연결함.
1595~1682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연천ㅣ서울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허반(許磐)
조선 성종(成宗)~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 본관은 양천(陽川). 문신 강형(姜詗)의 사위로, 참봉(參奉)을 지냈으나 무오사화(戊午士禍)로 인해 참형됨.
?~1498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양천 , 인명>관인>문신
-
허백(許伯)
중국 전한(前漢) 선제(宣帝) 때의 외척ㆍ문신. 선제 황후(皇后)의 아버지로, 태자소(太子少) 등을 지내며 거기장군(車騎將軍) 사고(史高)와 함께 권력을 독점함.
중국>전한 , 중국 , 인명>관인>문신ㅣ인명>왕실>인척
-
허백기(許伯琦)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김해(金海). 조광조(趙光祖)의 문인(門人)으로, 명종 때 진위사(陳慰使)의 서장관(書狀官)이 되어 명(明) 나라에 다녀오고, 동지중추부사(同知中樞府事) 등을 지냄.
1493~?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김해 , 인명>관인>문신
-
허백당집(虛白堂集)
조선 세조(世祖) 때의 문신ㆍ학자인 성현(成俔)의 시문집(詩文集). 초간본은 아들 성세창(成世昌)이 중종(中宗)~선조(宣祖) 연간에 간행하였으나 현재 전하지 않음.
한국>조선전기 , 문헌>서명
-
허백영(許伯瑛)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김해(金海). 첨정(僉正)을 지낸 허눌(許訥)의 아버지.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김해 , 인명>문사>유학
-
허백정집(虛白亭集)
조선 전기의 문신인 홍귀달(洪貴達)의 문집. 9권 6책. 목판본. 원집은 1611년(광해군 3)에 외현손 최정호(崔挺豪)가 초고(草稿)를 편집하여 3권으로 간행하고, 1843년(헌종 9)에 후손 홍종구(洪宗九) 등이 빠진 시문을 수집하여 6권으로 간행함.
1611 한국>조선후기 , 문헌>서명
-
허벽(許璧)
조선 중종(中宗) 때의 유학. 본관은 양천(陽川). 허윤관(許允寬)의 아들로, 1528년(중종 23) 진사시(進士試)에 입격하였으며, 홍섬(洪暹)의 《인재집(忍齋集》에 그에 대한 만사(輓詞)가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문사>유학
-
허변(許汴)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양천(陽川). 허회(許淮)의 형으로, 김안국(金安國)의 《모재집(慕齋集)》에 그에 대해 지어준 자사(字辭)가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양천 , 인명>문사>유학
-
허보(許輔)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하양(河陽). 도사(都事)를 지낸 허량(許亮)의 아버지로, 군수(郡守)를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하양 , 인명>관인>문신
-
허봉(許篈)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ㆍ문인. 본관은 양천(陽川). 유희춘(柳希春)의 문인으로, 동인(東人)의 선봉이 되어 심의겸(沈義謙) 등 서인(西人)들과 대립하고, 이이(李珥)의 과실을 탄핵하였다가 갑산(甲山)에 유배됨. 후에 금강산에서 병사(病死)함.
1551~1588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허비(許扉)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양천(陽川). 판봉상시사(判奉常寺事)를 지낸 허기(許愭)의 아들이며 양천부원군(陽川府院君) 허손(許蓀)의 아버지.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양천 , 인명>문사>유학
-
허사렴(許士廉)
조선 명종(明宗) 때의 유학. 본관은 김해(金海). 허찬(許瓚)의 아들이며 퇴계(退溪) 이황(李滉)의 처남으로, 1549년(명종 4) 생원시(生員試)에 입격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의령 , 인명>문사>유학
-
허사언(許士彦)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김해(金海). 진사(進士) 허찬(許瓚)의 둘째 아들.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김해 , 인명>문사>유학
-
허선문(許宣文)
통일신라~고려 초의 호족(豪族). 본관은 양천(陽川). 고려 태조(太祖)가 견훤(甄萱)을 토벌할 때 재물을 바쳐 군비(軍費)를 지원한 공으로 공암촌주(孔巖村主)에 봉해짐.
한국>고려전기ㅣ한국>통일신라 , 경기도>양천 , 인명>기타인명>양인
-
허성(許筬)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본관은 양천(陽川). 유희춘(柳希春)의 문인으로, 일본에 통신사로 다녀온 후 일본의 침략 가능성을 직고하고, 임진왜란 때는 군병모집에 진력함. 성리학에 조예가 깊고, 문장과 글씨에 뛰어남.
1548~1612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양천 , 인명>관인>문신
-
허성(許誠)
조선 태종(太宗)~세종(世宗) 때의 문신. 본관은 하양(河陽). 판한성부사(判漢城府事) 허주(許周)의 아들이며 안동 부사(安東府使)를 지낸 허관(許寬)의 아버지로, 예문관 대제학(藝文館大提學)을 지냄.
1382~1441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하양 , 인명>관인>문신
-
허소(許劭)
중국 후한(後漢)의 학자. 매월 초하루마다 인물평을 한 데서 유래한 '월단평(月旦評)' 고사의 장본인으로, 형 허건(許虔)과 함께 ‘평여이룡(平與二龍)’으로 불림. 조조(曹操)를 평하여 '청평(淸平)의 간적(姦賊), 난세(亂世)의 영웅(英雄)'이라 한 일로 유명함.
150~195 중국>후한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허손(許蓀)
조선 세조(世祖) 때의 문신. 본관은 양천(陽川). 좌의정 허침(許琛)의 아버지로, 재령 군수(載寧郡守)를 지내고 보조공신(補祚功臣)에 추록되었으며, 양천부원군(陽川府院君)에 봉해짐.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양천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허승(許升)
중국 송(宋) 나라의 학자. 주희(朱熹)를 따라 공부하였으나 끝내 선학(禪學)에 탐닉함.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허시(許時)
고려 후기의 유학. 본관은 양천(陽川). 개성 윤(開城尹) 허교(許喬)의 장남이자 문신 허응(許應)의 형.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양천 , 인명>문사>유학
-
허신(許愼)
중국 후한(後漢)의 학자. 가규(賈逵)의 제자로, 널리 유가(儒家)의 경전에 정통하였으며, 선진(先秦)의 고서체(古書體)에 의한 원전(原典)을 중시하고 문자학에 조예가 깊어, 중국 최초의 자서(字書)인 《설문해자(說文解字)》를 저술함.
58?~147? 중국>후한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허암유집(虛庵遺集)
조선 전기의 문인인 정희량(鄭希良)의 문집. 6권 2책. 목활자본. 원집은 김언평(金彦平) 등이 1506년(중종 1)에 3권 1책으로 편집 간행하고, 1897년에 후손 정광숙(鄭光淑) 등이 원집에 빠진 시문과 부록을 엮어 속집을 간행함.
1506 한국>조선전기 , 문헌>서명
-
허연령(許延齡)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하양(河陽). 단종(端宗) 복위를 모의한 허조(許慥)의 아들로, 거사가 실패하자 형제인 허구령(許九齡)과 함께 아버지의 죄에 연좌되어 죽음.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하양 , 인명>문사>유학
-
허염(許琰)
고려 문종(文宗) 때의 문신. 김해허씨(金海許氏)의 시조. 가락국(駕洛國) 수로왕비(首露王妃)인 허황후(許皇后)의 35세손으로, 삼중대광(三重大匡)을 지내고 가락군(駕洛君)에 봉해짐.
한국>고려전기 , 경상도>김해 , 인명>관인>문신
-
허엽(許曄)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허균(許筠)의 아버지로, 명종 때 조광조(趙光祖) 등의 신원을 청하고 허자(許磁) 등의 무죄를 논하다가 파직됨. 선조 때 김효원(金孝元)과 함께 동인(東人)의 영수(領袖)가 되고, 청백리(淸白吏)에 녹선됨.
1517~1580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허옹(許邕)
고려 충숙왕(忠肅王) 때의 문신. 본관은 김해(金海). 성품이 강직하여 과거에 부정 합격한 감찰대부(監察大夫) 최안도(崔安道)의 아들 최경(崔璟)을 탄핵하고, 그의 첩장(牒狀)에 서명하기를 거부함. 문장과 덕행이 뛰어나 이색(李穡)과 교유함.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단성 , 인명>관인>문신
-
허운필(許雲弼)
조선 후기의 문신. 본관은 김해(金海). 영천 군수(榮川郡守)를 지낸 허충길(許忠吉)의 아들로, 현감(縣監)을 지냄.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김해 , 인명>관인>문신
-
허원(許瑗)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양천(陽川). 합천 군수(陜川郡守)를 지낸 허훈(許薰)의 아들로, 음보(蔭補)로 벼슬하여 의영고 영(義盈庫令) 등을 지냄.
1457~1511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양천 , 인명>관인>문신
-
허원(許遠)
중국 당(唐) 나라 현종(玄宗) 때의 충신. 장순(張巡)ㆍ안고경(顔杲卿) 등과 함께 안녹산(安祿山)의 난을 진압하다가 모두 죽임을 당함.
709~757 중국>당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허원보(許元輔)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김해(金海). 진사(進士) 허찬(許瓚)의 아버지로, 1495년(연산군 1)에 생원시(生員試)에 입격함.
1455~?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의령 , 인명>문사>유학
-
허위(許渭)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양천(陽川). 1510년(중종 5) 식년시(式年試) 문과(文科)에 급제한 뒤 공무(公務)에 뛰어난 능력을 보여 초자(超資)되기도 하였으며, 병조 참의(兵曹參議) 등을 지냄.
1485~1536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양천 , 인명>관인>문신
-
허유(許由)
중국 하(夏) 나라의 은자. 청렴하고 덕이 높아 요(堯) 임금이 천하를 양보하려 하자 거절하고 기산(箕山)에 숨었으며, 또 그를 불러 구주(九州)의 장(長)으로 삼으려 하자 영수(潁水) 물가에 가서 귀를 씻었다고 함.
중국>하 , 중국 , 인명>기타인명>은자
-
허윤관(許允寬)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양천(陽川). 중종(中宗) 때의 진사(進士) 허벽(許璧)의 아버지로, 금구 현령(金溝縣令)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양천 , 인명>관인>문신
-
허응(許應)
고려 공민왕(恭愍王)~조선 태종(太宗) 때의 문신. 본관은 양천(陽川). 고려 말에 이성계(李成桂)의 신진세력에 가담하여 시폐(時弊) 혁신과 전제(田制) 개혁을 주장하고, 조선 개국 후 배불정책(排佛政策)과 과부의 개가(改嫁) 금지 등을 주장함.
?~1411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기도>양천 , 인명>관인>문신
-
허응당집(虛應堂集)
조선 명종(明宗) 때의 승려 보우(普雨)의 시문집. 3권 1책. 편찬 시기는 미상이며, 시문 2권과 《나암잡저(懶庵雜著)》1권으로 구성됨.
한국>조선전기 , 문헌>서명
-
허의(許毅)
고려 후기의 유학. 본관은 김해(金海). 충숙왕(忠肅王) 때의 문신인 허옹(許邕)의 아버지.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김해 , 인명>문사>유학
-
허임(許任)
조선 전기의 유학. 엄흔(嚴昕)의 《십성당집(十省堂集)》에 그의 병풍에 써 준 시가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유학
-
허자(許磁)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양천(陽川). 허원(許瑗)의 아들이며, 김안국(金安國)의 문인(門人). 이기(李芑) 등과 함께 대윤(大尹)을 제거하는 데 가담하여 위사공신(衛社功臣)에 책록되고, 이조 판서(吏曹判書) 등을 지냄.
1496~1551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양천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허재집(虛齋集)
중국 명(明) 나라의 학자인 채청(蔡淸)의 문집. 5권. 학문의 허(虛)를 주장했던 저자의 글을 수록함.
중국>명 , 중국 , 문헌>서명
-
허적(許積)
조선 인조(仁祖)~숙종(肅宗) 때의 문신. 본관은 양천(陽川). 남인(南人)으로 제1ㆍ2차 예송(禮訟)에서 서인(西人)과 대결했으며, 제2차 예송에서 승리하여 집권한 뒤 탁남(濁南)의 영수가 됨. 아들 허견(許堅)의 역모사건에 연좌되어 사사되었으나 기사환국(己巳換局)으로 신원됨.
1610~1680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양천 , 인명>관인>문신
-
허정(許楨)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김해(金海). 동지중추부사(同知中樞府事) 허백기(許伯琦)의 아버지로, 직제학(直提學)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김해 , 인명>관인>문신
-
허정(許靖)
중국 후한(後漢)~삼국시대 촉(蜀) 나라의 문신ㆍ학자. 허소(許劭)의 사촌형으로, 매월 첫날 허소의 집에서 향당(鄕黨)의 인물을 평가한 데서 '월단평(月旦評)'의 고사가 유래함.
?~222 중국>삼국시대ㅣ중국>후한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허조(許慥)
조선 세종(世宗)~세조(世祖) 때의 문신. 본관은 하양(河陽). 허후(許詡)의 아들이며 이개(李塏)의 매부(妹夫)로, 집현전 수찬(集賢殿修撰)을 지냄. 성삼문(成三問) 등이 단종(端宗) 복위를 모의할 때 가담하였으나, 거사가 수포로 돌아가자 자진(自盡)함.
1430~1456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하양 , 인명>관인>문신
-
허조(許稠)
고려 우왕(禑王)~조선 세종(世宗) 때의 문신. 본관은 하양(河陽). 권근(權近)의 문인으로, 시관(試官)이 되어 많은 인재를 발탁함. 조선 초기 예악제도(禮樂制度)를 정비하는 데 크게 공헌하였으며, 영춘추관사(領春秋館事) 등을 지냄.
1369~1439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상도>하양 , 인명>관인>문신
-
허종(許琮)
조선 세조(世祖)~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양천(陽川). 허손(許蓀)의 아들이며 허침(許琛)의 형. 문무(文武)를 겸비하여 국방과 문예에 큰 공을 남기고, 의학(醫學)에도 조예가 깊었음. 우의정 등을 지내고, 청백리(淸白吏)에 녹선됨.
1434~1494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양천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허주(許周)
고려 우왕(禑王)~조선 세종(世宗) 때의 문신. 본관은 하양(河陽). 허귀룡(許貴龍)의 아들이며 허조(許稠)의 형. 고려 말에 이성계(李成桂) 등 신진세력의 전제(田制) 개혁에 동조하고, 조선 개국 후에 판한성부사(判漢城府事) 등을 지냄.
1359~1440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상도>하양 , 인명>관인>문신
-
허준(許浚)
조선 전기의 유학. 최연(崔演)의 《간재집(艮齋集)》에, 그에 대해 쓴 시가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유학
-
허지(許芝)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양천(陽川). 경상우도 수군절도사(慶尙右道水軍節度使)를 지낸 허곤(許琨)의 아버지로, 영월 군수(寧越郡守)를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양천 , 인명>관인>문신
-
허찬(許瓚)
조선 연산군(燕山君)~중종(中宗) 때의 유학. 본관은 김해(金海). 허원보(許元輔)의 아들이며 이황(李滉)의 장인으로, 1501년(연산군 7) 진사시(進士試)에 입격하였으며, 이황의 《퇴계집(退溪集)》에 그에 대한 묘갈명(墓碣銘)이 실려 있음.
1481~1535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의령 , 인명>문사>유학
-
허창(許敞)
고려 후기의 유학. 본관은 김해(金海). 김해허씨(金海許氏)의 중시조인 허유전(許有全)의 후손.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김해 , 인명>문사>유학
-
허척(許倜)
고려 말~조선 초의 문신. 본관은 하양(河陽). 판도판서(版圖判書)를 지낸 허귀룡(許貴龍)의 셋째 아들로, 중추원 부사(中樞院副使)를 지냄.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상도>하양 , 인명>관인>문신
-
허천석(許天錫)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김해(金海). 유학 허흠(許欽)의 아들로, 주세붕(周世鵬)의 문하에서 수학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김해 , 인명>문사>유학
-
허천수(許千壽)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김해(金海). 참봉(參奉)을 지내고, 저서로 《천산재유집(天山齋遺集)》을 남김. 경상도 고성(固城)의 도연서원(道淵書院)에 배향됨.
1509~1577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고성 , 인명>관인>문신
-
허초(許礎)
조선 전기의 유학. 이자(李耔)ㆍ이연경(李延慶)ㆍ김세필(金世弼)ㆍ정약빙(鄭若氷) 등과 종유하면서 강학함.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유학
-
허추(許樞)
조선 전기의 문신ㆍ공신. 본관은 양천(陽川). 매헌(梅軒) 허기(許愭)의 아들로, 음사(蔭仕)로 관직에 나아가 종부시 주부(宗簿寺主簿) 등을 지내고, 세조(世祖) 잠저(潛邸)시의 요속(僚屬)이라 하여 원종삼등공신(原從三等功臣)에 책록됨.
1403~?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양천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허충길(許忠吉)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김해(金海). 허백기(許伯琦)의 아들이며 김안국(金安國)의 문인(門人)으로, 명종(明宗) 때 양재역벽서사건(良才驛壁書事件)에 연루되어 의주(義州)로 유배되고, 후에 영천 군수(榮川郡守)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허침(許琛)
조선 세조(世祖)~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 본관은 양천(陽川). 세자시강원(世子侍講院)에 재직할 때 덕행과 학문으로 세자이던 연산군의 총애를 받았고, 성종(成宗) 때 윤비(尹妃)의 폐위를 반대하여 갑자사화(甲子士禍)에 화를 면했으며, 좌의정 등을 역임함.
1444~1505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양천 , 인명>관인>문신
-
허한(許澣)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ㆍ서화가. 본관은 양천(陽川). 허담(許聃)의 아들로, 군자감 부봉사(軍資監副奉事) 등을 지냄. 그림은 매(梅)ㆍ죽(竹)을 잘 그리고, 시(詩)는 당시(唐詩)의 운격(韶格)에 능함.
1492~1532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예술인>서화가ㅣ인명>관인>문신
-
허항(許沆)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양천(陽川). 대사헌(大司憲) 등을 지냈으나, 김안로(金安老)의 일당으로 옥사를 함부로 일으키고 무고한 사림을 죽이는 등 악행을 저질렀으므로, 김안로ㆍ채무택(蔡無擇) 등과 함께 ‘정유삼흉(丁酉三兇)’으로 불림.
?~1537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허해(許晐)
조선 태조(太祖)~세종(世宗) 때의 문신. 본관은 양천(陽川). 동지중추원사(同知中樞院事) 등을 역임하였으며, 변계량(卞季良)의 《춘정집(春亭集)》에 그에게 부친 시가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양천 , 인명>관인>문신
-
허형(許衡)
중국 송(宋) 말~원(元) 세조(世祖) 때의 문신ㆍ학자. 이학(理學)에 밝았으며, 세조 때 역법을 수정하여 《수시력(授時歷)》을 완성함. 집현전 태학사(集賢殿太學士) 등을 지내며 평생 교육에 힘씀.
1209~1281 중국>원ㅣ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허혼(許渾)
중국 당(唐) 나라의 문신ㆍ문인. 영주 자사(郢州刺史) 등을 지냈으나 몸이 병약하여 윤주(潤州)의 정묘교(丁卯橋) 촌사로 낙향함. 율시(律詩)에 뛰어나고, 시국을 우려하는 내용의 시를 많이 지음.
791~854? 중국>당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