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허확(許確)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양천(陽川). 중종(中宗) 때의 문신인 허항(許沆)ㆍ허흡(許洽) 형제의 아버지로, 수원 도호부사(水原都護府使)를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양천 , 인명>관인>문신
-
허회(許淮)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양천(陽川). 허변(許汴)의 아우이며, 허직(許稷)의 아버지로, 김안국(金安國)의 《모재집(慕齋集)》에 그에 대한 자사(字辭)가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양천 , 인명>문사>유학
-
허후(許詡)
조선 세종(世宗)~단종(端宗) 때의 문신. 본관은 하양(河陽). 허조(許稠)의 아들로, 《세종실록(世宗實錄)》 편찬에 참여하고, 황보인(皇甫仁)ㆍ김종서(金宗瑞) 등과 함께 단종을 보위하다가, 계유정난(癸酉靖難) 때 거제도(巨濟島)에 유배된 후 교살(絞殺)됨.
?~1453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하양 , 인명>관인>문신
-
허훈(許薰)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양천(陽川). 의영고 영(義盈庫令)을 지낸 허원(許瑗)의 아버지로, 합천 군수(陜川郡守)를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양천 , 인명>관인>문신
-
허흠(許欽)
조선 연산군(燕山君)~중종(中宗) 때의 유학. 본관은 김해(金海). 첨지중추부사(僉知中樞府事) 허금수(許金壽)의 아들로, 독서하기를 좋아하고 벗들과 우애가 깊었음.
1472~1515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문사>유학
-
허흡(許洽)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양천(陽川). 허확(許確)의 아들이며 허항(許沆)의 형으로, 1513년(중종 8) 식년시(式年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공조 판서(工曹判書)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헌^기(軒^岐)
중국 고대 전설상의 제왕인 황제 헌원(黃帝軒轅)과 그 시대의 명의(名醫)인 기백(岐伯)을 함께 부르는 말. 의술(醫術)의 비조(鼻祖)를 일컫는 말.
고대 , 중국 , 사상>술어>관용어
-
헌^농(軒^農)
중국 고대 전설상의 제왕인 헌원(軒轅)과 신농(神農)을 함께 부르는 말. 의약(醫藥)의 시조(始祖)를 말함.
고대 , 중국 , 사상>술어>관용어
-
헌^힐(軒^頡)
중국 고대 전설의 제왕인 헌원(軒轅)과 그의 사관(史官)인 창힐(蒼頡)을 함께 부르는 말. 중국 문명 발전의 시조(始祖)를 말함.
고대 , 중국 , 사상>술어>관용어
-
헌강왕(憲康王)
신라 제49대 왕. 재위 875~886. 경문왕(景文王)의 아들로, 즉위 후 문치(文治)에 힘쓰고 불교(佛敎)를 숭상하여 표면적으로는 태평성대를 이루었으나, 이미 이때부터 신라는 쇠퇴기에 접어듦.
?~886 한국>통일신라 , 경상도>경주 , 인명>왕실>국왕
-
헌경왕후(獻敬王后)
조선 제21대 영조(英祖)의 아들인 장헌세자(莊獻世子)의 비(妃)이자 정조(正祖)의 어머니. 본관은 풍산(豊山)으로 홍봉한(洪鳳漢)의 딸. 자서전적 사소설체인 《한중록(恨中錄)》을 지음.
1735~1815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왕실>왕비
-
헌공(獻公)@춘추전국(衛)
중국 춘추전국시대 위(衛) 나라의 제후. 재위 B.C.576~B.C.559, B.C.546~B.C.544. 대부인 손임보(孫林父)에 의해 제(齊) 나라로 축출되었다가 12년 만에 영희(甯喜)의 도움으로 다시 복귀하였으나, 후에 영희의 권세를 두려워하여 그를 살해함.
?~B.C.544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왕실>제후
-
헌공(獻公)@춘추전국(晉)
중국 춘추전국시대 진(晉) 나라의 제후. 재위 B.C.676~B.C.651. 무공(武公)의 아들로, 주변국을 정벌하여 강대국을 만들었으나. 총희(寵姬)인 여희(驪姬)의 아들 해제(奚齊)를 후계자로 세우기 위해 태자 신생(申生)을 죽이는 등 나라를 혼란에 빠뜨림.
?~B.C.651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왕실>제후
-
헌근록(獻芹錄)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인인 유희춘(柳希春)의 편서. 1570년(선조 3)에 제갈량(諸葛亮)ㆍ사마광(司馬光)ㆍ육지(陸贄)ㆍ주자(朱子) 등의 글을 편차하여 올림.
1570 한국>조선전기 , 문헌>서명
-
헌문제(獻文帝)
중국 남북조시대 북위(北魏)의 제5대 황제. 재위 465~471. 문성제(文成帝)의 장남으로, 어린 나이로 등극하자 어머니인 풍태후(馮太后)가 수렴청정을 하였는데, 풍태후의 총신인 이혁(李弈)을 죽이자, 풍태후에게 살해당함.
454~476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헌애왕후(獻哀王后)
고려 제5대 경종(景宗)의 비(妃). 어린 아들 목종(穆宗)을 대신해 섭정(攝政)하면서, 정부(情夫)인 김치양(金致陽) 사이에 태어난 아들을 목종의 후사로 삼으려다 강조(康兆)에 의해 유배됨.
964~1029 한국>고려전기 , 경기도>개성 , 인명>왕실>왕비
-
헌원(軒轅)
중국 고대 전설상의 제왕. 중국 문명의 개조(開祖)로, 당시 천자인 신농(神農)의 세력이 약해져 세상이 어지러워지자, 판천(阪泉)과 탁록(涿鹿) 싸움에서 염제(炎帝)와 치우(蚩尤)를 각각 물리치고 제후들의 추대를 받아 제위에 오른 후 문명의 발전을 이끎.
고대 , 중국 , 인명>기타인명>기타인물
-
헌원성(軒轅星)
별자리 이름. 남방에 속하는 주작칠수(朱雀七宿)의 유(柳), 성(星), 장(張), 익(翼) 네 별자리에 걸쳐 있는 17개의 별. 황제(黃帝)의 모성(母星)이라 하며, 여주(女主)를 상징함.
자연물>천체
-
헌정왕후(獻貞王后)
고려 제5대 경종(景宗)의 차비(次妃). 종실 대종(戴宗)의 딸이며, 경종의 비인 헌애왕후(獻哀王后)의 친동생. 경종이 죽은 뒤 안종(安宗) 왕욱(王郁)과 가까이 하여 현종(顯宗)을 낳고 곧 죽음.
한국>고려전기 , 경기도>개성 , 인명>왕실>왕비
-
헌제(獻帝)
중국 후한(後漢) 최후의 황제. 재위 189~220. 영제(靈帝)의 아들로, 아홉 살 때 동탁(董卓)에 의해 왕위에 오르고 조조(曹操)의 도움으로 자리를 유지하였으나, 후에 위(魏) 나라 문제(文帝)로 등극한 조비(曹丕)에 의해 폐위됨.
181~234 중국>후한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헌제복황후(獻帝伏皇后)
중국 후한(後漢) 최후의 황제인 헌제(獻帝)의 비. 조조(曹操)의 세력이 커져 황제를 업신여기자 아버지 복완(伏完)과 모의하여 조조를 죽이려다 일이 탄로나 두 아들과 함께 몰살당함.
?~214 중국>후한 , 중국 , 인명>왕실>왕비
-
헌종(憲宗)@당
중국 당(唐) 나라 제11대 황제. 재위 805~820. 병든 아버지 순종(順宗)을 시해하고 환관 구문진(俱文珍) 등에 의해 옹립되어 즉위하였으며, 강력한 통치력으로 국내외의 안정을 구축하였으나, 후사(後嗣) 다툼으로 인해 환관 진홍지(陳弘志) 등에게 암살됨.
778~820 중국>당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헌종(憲宗)@명
중국 명(明) 나라 제8대 황제. 재위 1464~1487. 영종(英宗)의 아들로, 초년에는 성군(聖君)의 기질이 있었으나, 만년에는 방술(方術)에 탐닉하여 총희(寵姬) 만귀비(萬貴妃)와 향락에 빠짐.
1447~1487 중국>명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헌종(憲宗)@원
몽고의 제4대 칸이며, 원(元) 나라의 추존 황제. 재위 1251~1259. 태조(太祖)의 막내아들인 예종(睿宗)의 장자이며 세조(世祖)의 형으로, 강력한 형제정권을 지향하면서 제국의 기반을 다짐.
1208~1259 중국>원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헌종(憲宗)@조선
조선 제24대 왕. 재위 1834~1849. 추존왕인 익종(翼宗)의 아들로, 여덟 살에 즉위하여 순조(純祖)의 비인 순원왕후(純元王后) 김씨(金氏)가 수렴청정함. 재위 기간 중 세도정치(勢道政治)의 만연으로 삼정(三政)의 문란과 국정의 혼란이 가중됨.
1827~1849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왕실>국왕
-
헌종(獻宗)@고려
고려 제14대 왕. 재위 1094~1095. 선종(宣宗)의 아들로, 어머니는 사숙태후(思肅太后) 이씨(李氏). 즉위 후 신병(身病)으로 인해 왕위를 숙부인 숙종(肅宗)에게 물려준 뒤, 후궁에서 지내다가 14세에 요절함.
1084~1097 한국>고려전기 , 경기도>개성 , 인명>왕실>국왕
-
헌종실록(憲宗實錄)
조선 제24대 헌종(憲宗)의 재위 15년간의 역사를 편년체(編年體)로 기록한 책. 조인영(趙寅永)ㆍ정원용(鄭元容)ㆍ권돈인(權敦仁)ㆍ김흥근(金興根) 등이 편찬함.
1851 한국>조선후기 , 서울 , 문헌>서명
-
혁거세거서간(赫居世居西干)
신라의 시조. 재위 B.C.57~A.D.4. 양산(楊山) 아래 나정(蘿井)에서 난생(卵生)하여 촌장들의 추대를 받아 거서간(居西干)에 올랐으며, 재위 중 전국을 순행하며 농사와 양잠을 장려하고, 수도를 금성(金城)이라 하고 성을 쌓아 나라의 기틀을 마련함.
B.C.69~A.D.4 한국>신라 , 경상도>경주 , 인명>왕실>국왕
-
현경창(玄景昌)
조선 후기의 유학. 본관은 성주(星州)로, 진사(進士) 현적(玄績)의 아버지.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성주 , 인명>문사>유학
-
현금(玄琴)
거문고. 우리나라 현악기(絃樂器)의 하나. 고구려 때 왕산악(王山岳)이 중국의 칠현금(七絃琴)을 개량하여 만들었다 하며, 오동나무 공명판(共鳴板) 위에 여섯 줄을 걸어 술대로 튀겨서 연주함.
한국>고구려 , 물품>기타용품>악기
-
현금동문유기(玄琴東文類記)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ㆍ음악가인 이득윤(李得胤)이 지은 거문고에 대한 음악책. 1책. 필사본. 역대 명현(名賢)의 거문고에 관한 명(銘)ㆍ부(賦)ㆍ기(記)ㆍ시(詩)ㆍ서(書)와 거문고의 악보 및 연주법에 대한 것을 모아 놓음.
1620 한국>조선후기 , 문헌>서명
-
현금합자보(玄琴合字譜)
조선 전기의 문신ㆍ학자 성현(成俔)이 현악기(絃樂器)의 연주법을 약자(略字)로 만들어 기록한 악보(樂譜).
한국>조선전기 , 문헌>작품명
-
현덕량(玄德良)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무신. 본관은 성주(星州). 보은 현감(報恩縣監)을 지낸 현덕옹(玄德顒)의 형으로, 영천 군수(永川郡守)를 지냄.
1544~1610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성주 , 인명>관인>무신
-
현덕옹(玄德顒)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성주(星州). 선무랑(宣務郞)을 지낸 현기(玄琦)의 아들이자, 영천 군수(永川郡守) 현덕량(玄德良)의 동생으로, 보은 현감(報恩縣監)을 지냄.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성주 , 인명>관인>문신
-
현덕왕후(顯德王后)
조선 제5대 문종(文宗)의 비(妃). 본관은 안동(安東)으로, 권전(權專)의 딸. 단종(端宗)의 어머니로, 세종(世宗) 때 세자빈에 책봉되었으나 가례(嘉禮)를 행하지 못한 채 4년 만에 죽자 현덕(顯德)이란 시호가 내려졌으며, 문종이 즉위한 후 왕후로 추봉(追封)됨.
1418~1441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홍주ㅣ서울 , 인명>왕실>왕비
-
현등사(懸燈寺)
경기도 가평(加平)의 운악산(雲岳山)에 있는 사찰. 1210년(희종 6) 보조국사(普照國師) 지눌(知訥)이 창건했으며, 1411년(태종 11)에 기화(己和)가 중수함.
1210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가평 , 유적>건물>사찰
-
현량과(賢良科)
조선 중종(中宗) 때 조광조(趙光祖)의 건의로 학문과 덕행이 뛰어난 인재를 천거하여, 과거제도 대신 대책(對策)을 시험보아 선발한 관리등용제도. 1519년(중종 15) 처음 시행되어 28명을 선발하였으나 조광조가 실각하면서 폐지됨.
1519 한국>조선전기 , 법제>제도
-
현숙공주(顯肅公主)
조선 제8대 예종(睿宗)의 맏딸. 어머니는 안순왕후(安順王后). 풍천위(豊川尉) 임광재(任光載)와 결혼하였으나 자녀가 없음.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공주
-
현안춘추(玄晏春秋)
중국 남북조시대 진(晉) 나라의 학자인 황보밀(皇甫謐)의 저서. 3권.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문헌>서명
-
현응(玄凝)
조선 전기의 승려. 주세붕(周世鵬)의 《무릉잡고(武陵雜稿)》에 그에게 준 시가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인명>종교인>승려
-
현적(玄績)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성주(星州). 현경창(玄景昌)의 아들로, 1627년(인조 5) 진사시(進士試)에 입격하였으며, 송순(宋純)의 《면앙집(俛仰集)》〈제영해동명현록(題詠海東名賢錄)〉에 그와 관련된 내용이 실려 있음.
1602~?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창평 , 인명>문사>유학
-
현절사(顯節祠)
조선 숙종(肅宗) 때 경기도 광주(廣州)에 건립한 사우. 1693년(숙종 19) 사액되었으며, 삼학사(三學士)인 윤집(尹集)ㆍ오달제(吳達濟)ㆍ홍익한(洪翼漢)과 김상헌(金尙憲)ㆍ정온(鄭蘊) 등을 배향함.
1688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광주 , 유적>건물>사당
-
현정론(顯正論)
조선 태조(太祖)~세종(世宗) 때의 승려인 기화(己和)가 쓴 책. 1권 1책. 목판본. 배불론자(排佛論者)들이 제기한 비판에 대하여 차례로 해답을 하는 형식으로, 유교의 교훈과 비교하면서 그릇된 견해를 바로잡고자 함.
1526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광양 , 문헌>서명
-
현종(玄宗)
중국 당(唐) 나라 제6대 황제. 재위 712~756. 예종(睿宗)의 셋째 아들로, 즉위 초에는 정사를 바로잡아 국내외의 부강과 안정을 다졌으나, 말년에는 양귀비(楊貴妃)와 향락에 빠져 안사(安史)의 난(亂)을 초래함.
685~762 중국>당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현종(顯宗)@고려
고려 제8대 왕. 재위 1010~1031. 태조(太祖)의 여덟째 아들인 안종(安宗) 왕욱(王郁)의 아들로, 어머니는 헌정왕후(獻貞王后). 헌애왕후(獻哀王后)의 견제를 받다가 강조(康兆)의 옹립으로 즉위하였으며, 거란(契丹)과 우호를 다지고 문화 발전을 꾀함.
992~1031 한국>고려전기 , 경기도>개성 , 인명>왕실>국왕
-
현종(顯宗)@조선
조선 제18대 왕. 재위 1659~1674. 효종(孝宗)의 맏아들로, 어머니는 인선왕후(仁宣王后). 대동법(大同法) 시행ㆍ동철활자(銅鐵活字) 주조 등의 개혁이 있었으나, 예론(禮論)을 둘러싼 남인(南人)ㆍ서인(西人) 간의 당쟁으로 인해 국력이 피폐됨.
1641~1674 한국>조선후기 , 인명>왕실>국왕
-
현종(顯宗)@원
중국 원(元) 나라의 추존왕. 태정제(泰定帝)의 아버지이며, 고려 충선왕(忠宣王)의 비(妃)인 계국대장공주(薊國大長公主)의 아버지.
1263~1302 중국>원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현종기거주(顯宗起居注)
중국 후한(後漢) 명제(明帝)의 황후인 명덕마황후(明德馬皇后)가 찬술한 명제에 관한 책. 황후의 오빠인 마방(馬防)이 의약(醫藥)에 참여한 일을 삭제하여, 외척들이 정사(政事)에 간섭하지 못하도록 하는 본보기를 보임.
중국>후한 , 중국 , 문헌>서명
-
현주집(玄洲集)
조선 인조(仁祖) 때의 문신인 조찬한(趙纘韓)의 시문집. 아들 조비(趙備)가 유문(遺文)을 정리하고 신천익(愼天翊)이 교열하였으며, 이경석(李景奭)의 서문이 있음.
1710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무주 , 문헌>서명
-
현진자(玄眞子)
중국 당(唐) 나라 현종(玄宗) 때의 은자ㆍ문신인 장지화(張志和)의 저서. 3권.
중국>당 , 중국 , 문헌>서명
-
현충사(顯忠祠)
조선 인조(仁祖) 때 황해도 연안(延安)에 세운 사당. 1704년(숙종 30)에 사액(賜額)되고, 이정암(李廷馣)ㆍ신각(申恪) 등을 배향함.
1638 한국>조선후기 , 황해도>연안 , 유적>건물>사당
-
현헌집(玄軒集)
조선 중종(中宗) 때의 학자인 목세칭(睦世秤)의 문집.
한국>조선전기 , 문헌>서명
-
협사안(郟士安)
중국 원(元) 나라 말기의 문인. 정몽주(鄭夢周)가 사(辭)를 보냄.
중국>원 , 중국 , 인명>문사>문인
-
협익공신(協翊功臣)
고려 공민왕(恭愍王) 때 내린 공신 칭호. 1362년(공민왕 11) 홍건적의 침입 때 왕을 호종(扈從)한 사람에게 수여됨.
한국>고려후기 , 법제>제도
-
형^곽(衡^霍)
중국 안휘성(安徽省)에 위치한 곽주(霍州)와 호남성(湖南省)에 있는 형산(衡山)을 함께 부르는 말.
중국 , 지명>기타지명
-
형^려(荊^廬)
중국 호북성(湖北省)에 있는 형산(荊山)과 강서성(江西省)에 있는 여산(廬山)을 함께 부르는 말.
중국 , 지명>기타지명
-
형^섭(荊^聶)
중국 춘추전국시대 위(衛) 나라의 자객인 형가(荊軻)와 한(韓) 나라의 자객인 섭정(聶政)을 함께 부르는 말. 의협심이 강한 사람을 말함.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사상>술어>관용어
-
형^양(邢^楊)
중국 명(明) 나라 신종(神宗) 때의 무신(武臣)으로, 조선의 임진왜란(壬辰倭亂)과 정유재란(丁酉再亂)에 참가한 형개(邢玠)와 양원(楊元)을 함께 부르는 말.
중국>명 , 중국 , 사상>술어>관용어
-
형가(荊軻)
중국 춘추전국시대의 자객(刺客). 위(衛) 나라 사람으로 연(燕) 나라 태자 단(丹)의 식객(食客)이 되었으며, 단의 원수를 갚기 위해 진왕(秦王)을 죽이려 하였으나 실패하고 도리어 죽임을 당함.
?~B.C.227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기타인명>기타인물
-
형개(邢玠)
중국 명(明) 나라 신종(神宗) 때의 무신. 조선의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명의 원군(援軍)으로 참전하고, 정유재란(丁酉再亂)에는 청산(青山)과 직산(稷山)에서 왜군을 무찌름. 병부 상서(兵部尙書)를 지냄.
?~1612 중국>명 , 중국 , 인명>관인>무신
-
형건(邢健)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진주(晉州)로, 합천 군수(陜川郡守) 형사보(邢士保)의 아버지.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진주 , 인명>문사>유학
-
형문(衡門)
벽에 나무를 가로질러 만든 문. 《시경(詩經)》〈진풍(陳風)〉 '형비(衡泌)' 편에서 비수(泌水)와 함께 은거하는 곳을 뜻하는 용어로 쓰임.
중국 , 사상>술어>관용어ㅣ유적>시설>기타시설
-
형사보(邢士保)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진주(晉州). 형건(邢健)의 아들로, 1522년(중종 17) 식년시(式年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합천 군수(陜川郡守)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거창 , 인명>관인>문신
-
형산(荊山)
중국의 호북성(湖北省) 남장현(南漳縣) 서쪽에 위치한 산. 춘추전국시대 초(楚) 나라 사람인 변화(卞和)가 박옥(璞玉)을 왕에게 올렸다가 속였다는 이유로 두 발이 잘리고, 나중에야 인정받았던 보옥(寶玉)이 나온 곳.
중국 , 지명>자연지명
-
형산(衡山)
중국 호남성(湖南省) 형양(衡陽) 북쪽에 있는 산 이름. 오악(五岳)의 하나로 위치상 남악(南岳)에 해당하며, 높이는 1,265m.
중국 , 지명>자연지명
-
형서(邢恕)
중국 송(宋) 나라 신종(神宗)~휘종(徽宗) 때의 문신. 원래 정호(程顥)의 제자였으나, 성질이 변덕스러워 스승을 배반하고 사마광(司馬光)에게 갔다가 다시 장돈(章惇)에게 빌붙었으며, 다시 장돈을 배반하고 결국 채경(蔡京)의 심복이 됨.
중국>송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형설지공(螢雪之功)
반딧불과 눈빛으로 글을 읽어가며 고생 속에서 공부하는 것을 말함. 남북조시대 진(晉) 나라의 손강(孫康)은 가난하여 눈빛으로 글을 읽어 어사대부(御史大夫)에 오르고, 차윤(車胤)은 반딧불을 주머니에 넣어 그 불빛으로 글을 읽어 이부상서(吏部尙書)가 된 데서 유래함.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사상>술어>고사성어
-
형재시집(亨齋詩集)
고려 우왕(禑王)~조선 세종(世宗) 때의 문신인 이직(李稷)의 시집. 1465년(세조 11)에 김종직(金宗直)이 교열ㆍ편차하고, 손자 이영진(李永蓁)이 간행함.
1465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고령 , 문헌>서명
-
형주(荊州)
중국 고대 9주(州) 가운데 하나로 형산(荊山) 남쪽에 위치한 주. 현재 호북성(湖北省)ㆍ호남성(湖南省) 및 광동성(廣東省) 북부 지역임.
중국 , 지명>행정지명
-
형창설안(螢窓雪案)
반딧불이 비치는 창(窓)과 눈(雪)이 비치는 책상이라는 뜻. 어려운 가운데서도 학문에 힘씀을 비유한 말로, 손강(孫康)과 차윤(車胤)의 고사에서 유래함.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사상>술어>고사성어
-
형처(荊妻)
자기 아내를 낮추어 부르는 말. 후한(後漢)의 양홍(梁鴻)의 아내인 맹광(孟光)이 가시나무 비녀를 꽂고 무명으로 만든 치마를 입었다는 고사에서 유래함.
중국>후한 , 중국 , 사상>술어>고사성어
-
혜가(慧可)
중국 남북조시대의 승려. 선종(禪宗)의 제2조(第二祖)로, 달마(達磨)의 제자가 되어 선법(禪法)을 계승한 뒤 각지로 포교하다가 처형됨. 눈 속에서 왼팔을 절단하면서까지 구도(求道)의 성심을 보이고 달마에게 인정을 받았다는 전설로 유명함.
487~539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종교인>승려
-
혜가황후(惠賈皇后)
중국 남북조시대 진(晉) 나라 제2대 황제인 혜제(惠帝)의 황후. 가충(賈充)의 딸로, 성품이 음탕하고 간모(姦謀)에 뛰어나며, 정권을 장악하였다가, 금용성(金墉城)에 유폐(幽廢)ㆍ독살됨.
256~300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왕실>왕비
-
혜강(嵆康)
중국 삼국시대 위(魏) 나라의 문신ㆍ시인. 죽림칠현(竹林七賢)의 중심인물로, 중산대부(中散大夫)를 지냈으나 반유교적(反儒敎的) 사상을 견지하여 당시 권력층의 미움을 받았으며, 친구의 사건에 연루되어 처형됨.
223~262 중국>삼국시대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혜공(惠公)@춘추전국(衛)
중국 춘추전국시대 위(衛) 나라 제후. 선공(宣公)의 아들로, 태자 급(伋)을 죽인 일로 인해 임금 자리에서 쫓겨나 제(齊) 나라로 망명하였다가 제 나라 양공(襄公)에 의해 복위됨. 후에 연(燕) 나라와 함께 주(周) 나라 혜왕(惠王)을 공격함.
?~B.C.669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왕실>제후
-
혜공(惠公)@춘추전국(晉)
중국 춘추전국시대 진(晉) 나라 제후. 헌공(獻公)의 셋째 아들로, 여희(驪姬)에게 박해를 받아 양(梁) 나라로 달아났다가 우여곡절 끝에 돌아와 임금이 되었으나, 배신감에 정벌에 나선 진(秦) 나라 목공(穆公)과의 한원(韓原) 전투에서 참패를 당함.
?~B.C.637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왕실>제후
-
혜공왕(惠恭王)
신라 제36대 국왕. 재위 765~780. 경덕왕(景德王)의 장남으로 8세에 즉위함. 재위 중 천재지변이 자주 일어나고 흉년이 들었는데도 사치와 음탕한 생활을 일삼음. 780년 김지정(金志貞)의 난을 진압하는 도중에 피살당함.
756~780 한국>통일신라 , 경상도>경주 , 인명>왕실>국왕
-
혜근(惠勤)
고려 충혜왕 복위(忠惠王復位)~우왕(禑王) 때의 승려. 선종(禪宗)의 고승(高僧)으로, 원(元) 나라에 가서 인도 승려 지공(指空)의 가르침을 받고, 처림(處林)에게서 중국 선교(禪敎)의 영향을 받음. 보우(普愚)와 함께 조선시대 불교의 초석을 세움.
1320~1376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영해 , 인명>종교인>승려
-
혜능(慧能)@조선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승려. 응철(應哲)에게 수계(受戒)하고 천조(天照)ㆍ호구당(虎丘堂)에게 가르침을 받음. 전국의 명산을 유력(遊歷)하다가 말년에 천축사(天竺寺)로 돌아와 입적함.
1562~1636 한국>조선후기 , 강원도>홍천ㅣ강원도>강릉 , 인명>종교인>승려
-
혜능(慧能)@당
중국 당(唐) 나라의 승려. 선종(禪宗)의 제6조(第六祖). 신수(神秀)와 함께 홍인(弘忍) 문하의 이대선사(二大禪師)로, 후에 북종선(北宗禪)은 신수의 점수설(漸修說)을, 남종선(南宗禪)은 혜능의 돈오설(頓悟說)을 계승함.
638~713 중국>당 , 중국 , 인명>종교인>승려
-
혜림(慧琳)
중국 남북조시대 송(宋) 나라 문제(文帝) 때의 승려. 재능과 문장이 있어 내외(內外)의 학문에 두루 통달하였으며, 재상이 되어 '흑의재상(黑衣宰相)'이라고 일컬어짐.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종교인>승려
-
혜명(慧明)
고려 광종(光宗) 때의 승려. 충청도 은진(恩津)에 있는 관촉사(灌燭寺)에 미륵불(彌勒佛)을 만듦.
한국>고려전기 , 충청도>은진 , 인명>종교인>승려
-
혜문(惠文)
고려 후기의 승려. 가지산문(迦智山門)의 선승(禪僧)으로, 대선사(大禪師)에 이르렀으며, 시문(詩文)에 능하여 이인로(李仁老)ㆍ이규보(李奎報) 등과 교유함.
?~1234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고성 , 인명>종교인>승려
-
혜소(慧昭)
신라 말의 승려. 선승(禪僧)이며 범패승(梵唄僧)으로, 당(唐) 나라 신감대사(神鑒大師)의 제자. 소림사(小林寺)에서 구족계(具足戒)를 받고, 도의(道義)와 함께 편력하다가 흥덕왕(興德王) 때 귀국함. 불교 음악인 범패를 도입하여 널리 보급하고 조직화함.
774~850 한국>통일신라 , 전라도>전주 , 인명>종교인>승려
-
혜숙옹주(惠淑翁主)
조선 제9대 성종(成宗)의 첫째 서녀(庶女). 숙의홍씨(淑儀洪氏)의 소생으로, 고원위(高原尉) 신항(申沆)과 혼인함.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공주
-
혜순옹주(惠順翁主)
조선 제11대 중종(中宗)의 첫째 서녀. 경빈박씨(敬嬪朴氏) 소생으로, 광천위(光川尉) 김인경(金仁慶)에게 출가함.
1512~?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공주
-
혜시(惠施)
중국 춘추전국시대 송(宋) 나라의 사상가. 양(梁) 나라 혜왕(惠王)과 양왕(襄王)을 섬겨 재상이 되었으나, 장의(張儀)에게 쫓겨 초(楚) 나라로 갔다가 돌아옴. 변론(辯論)에 능하여 친구인 장주(莊周)와 호량(濠梁) 위에서 물고기를 바라보며 나눈 대화로 유명함.
B.C.370?~B.C.309?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혜심(惠諶)
고려 희종(熙宗)~고종(高宗) 때의 고승(高僧). 지눌(知訥)의 제자로, 대선사(大禪師)에 올라 수선사(修禪寺)ㆍ단속사(斷俗寺) 주지를 겸임하였으며, 고려 선종(禪宗)의 위치를 확고히 굳힘.
1178~1234 한국>고려후기 , 전라도>나주 , 인명>종교인>승려
-
혜안(慧安)
중국 수(隋)~당(唐) 나라의 선승. 5조(祖) 홍인(弘忍)의 십대제자(十大弟子) 중 한 사람. 수 문제(文帝) 때 출가하여 양제(煬帝) 때 기민(饑民)을 구제하고, 당 태종(太宗) 때 홍인의 제자가 되었으며, 중종(中宗) 때 신수(神秀)와 함께 궁중의 초청을 받음.
중국>당ㅣ중국>수 , 중국 , 인명>종교인>승려
-
혜암(慧庵)
고려 말~조선 초의 승려. 모자산(母子山)의 정각사(鼎角寺)에 머물렀으며, 유방선(柳方善)의 《태재집(泰齋集)》에 그의 시권(詩卷)에 써 준 제시(題詩)가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영천(永川) , 인명>종교인>승려
-
혜왕(惠王)
중국 춘추전국시대 위(魏) 나라의 제후. 잦은 전쟁으로 국력이 피폐해지자 수도를 대량(大梁)으로 옮기고 국호를 ‘양(梁)’으로 고쳤으며, 요(堯)ㆍ순(舜)의 인의정치(仁義政治)를 표방함.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왕실>제후
-
혜왕(惠王)@백제
백제 제28대 국왕. 재위 598~599. 성왕(聖王)의 둘째 아들로 형인 위덕왕(威德王)의 뒤를 이어 즉위함. 백제의 국세(國勢)가 점차 쇠약해지던 시기임.
?~599 한국>백제 , 충청도>부여 , 인명>왕실>국왕
-
혜왕(惠王)@주
중국 주(周) 나라의 제17대 왕. 재위 B.C.677~B.C.652. 장왕(莊王)의 아들이자 양왕(襄王)의 아버지. 즉위 후 오대부(五大夫)가 난을 일으키자 도망쳤다가 정(鄭) 여공(厲公) 등의 도움을 받아 ‘자퇴(子頹)의 난(亂)’을 평정하고 복귀함.
?~B.C.652 중국>주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혜원(慧遠)
중국 남북조시대 진(晉) 나라의 승려. 여산(廬山) 동림사(東林寺)에서 염불 수행의 결사(結社)인 백련사(白蓮社)를 결성한 뒤 산문(山門)을 나서지 않고 도중(徒衆)과 정토 수행(淨土修行)에 전념하였으며, 중국 불교를 학문적으로 확립하는 데 기여함.
334~416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종교인>승려
-
혜적(慧寂)
중국 당(唐) 나라 무종(武宗)~희종(僖宗) 때의 선승(禪僧). 위산 영우(潙山靈祐)의 제자로, 앙산(仰山)을 중심으로 법을 선양하여 위앙교(潙仰敎)를 성립시킴.
807~883 중국>당 , 중국 , 인명>종교인>승려
-
혜정옹주(惠靜翁主)
조선 제11대 중종(中宗)의 둘째 서녀. 경빈박씨(敬嬪朴氏) 소생으로, 당성위(唐城尉) 홍려(洪礪)에게 출가함.
1514~?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공주
-
혜제(惠帝)@명
중국 명(明) 나라 제2대 황제. 재위 1398~1402. 태조(太祖)의 손자로, 아버지 의문태자(懿文太子)가 병사하자 황태손에 책봉됨. 즉위 후 황제의 권위를 높이고 제후 세력의 약화를 꾀하였으나, 뒤에 성조(成祖)가 된 주체(朱棣)에게 제위를 빼앗김.
1377~1402 중국>명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혜제(惠帝)@전한
중국 전한(前漢)의 제2대 황제. 재위 B.C.195~B.C.188. 고조(高祖)의 맏 아들로, 즉위 초에 조참(曹參)을 승상으로 발탁하여 인정(仁政)을 베풀었으나, 성격이 우유부단하여 어머니인 여후(呂后)에게 실권을 빼앗기자 울분을 품고 죽음.
B.C.210~B.C.188 중국>전한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혜제(惠帝)@남북조(晉)
중국 남북조시대 진(晉) 나라의 제2대 황제. 재위 290~306. 무제(武帝)의 아들. 성품이 어리석어 통치력을 상실한 탓에 팔왕(八王)의 난(亂)과 오호(五胡)의 발호를 야기하여, 서진(西晉)의 멸망 원인을 제공함.
259~306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혜제(慧齊)
중국 송(宋) 나라의 승려. 대혜선사(大慧禪師) 종고(宗杲)의 스승으로, 동산(東山)의 혜운사(慧雲寺)에서 수행할 때 그에게 구족계(具足戒)를 내림.
중국>송 , 중국 , 인명>종교인>승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