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홍범도해(洪範圖解)
중국 명(明) 나라 세종(世宗) 때의 문신ㆍ학자인 한방기(韓邦奇)의 저서. 2권. 채침(蔡沈)의 《홍범황극내편(洪範皇極内篇)》과 《홍범황극외편(洪範皇極外篇)》을 도해(圖解)하여 풀이함.
1521 중국>명 , 중국 , 문헌>서명
-
홍범의(洪範義)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ㆍ학자인 성문준(成文濬)의 저서. 홍범구주(洪範九疇)에 대한 해설서로 추정됨.
한국>조선후기 , 문헌>서명
-
홍범황극내편(洪範皇極內篇)
중국 남송(南宋)의 학자 채침(蔡沈)이 지은 철학서(哲學書). 《주역(周易)》의 음양 이진법(陰陽二進法)에 대비되는 삼재 삼진법(三才三進法)으로 우주(宇宙)와 인사(人事)를 설명함.
중국>송 , 중국 , 문헌>서명
-
홍범황극내편보해(洪範皇極內篇補解)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ㆍ학자인 이순(李純)이 채침(蔡沈)의 《홍범황극내편(洪範皇極內篇)》을 주해(註解)한 책.
한국>조선전기 , 문헌>서명
-
홍봉세(洪奉世)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남양(南陽). 홍경림(洪景霖)의 아들이며, 조광조(趙光祖)의 문인(門人)으로, 성수침(成守琛) 등과 친교하였으며, 기묘사화(己卯士禍) 때 벼슬을 단념하였다가, 선조 때 장례원 판결사(掌隸院判決事) 등을 역임함.
1498~1575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남양 , 인명>관인>문신
-
홍부(洪溥)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남양(南陽). 강원도 관찰사(江原道觀察使) 홍신(洪愼)의 아들로, 사재감 정(司宰監正)ㆍ광주 목사(光州牧使) 등을 지냄.
1521~?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홍붕(洪朋)
중국 송(宋) 나라 철종(哲宗)~휘종(徽宗) 때의 문인. 외숙인 황정견(黃庭堅)을 사승(師承)하였으며, 시에 뛰어나 아우인 홍추(洪芻)ㆍ홍염(洪炎)ㆍ홍우(洪羽)와 더불어 ‘예장사홍(豫章四洪)’이라 일컬어짐.
1072~1109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문인
-
홍붕(洪鵬)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남양(南陽). 주부(主簿)를 지낸 홍거방(洪巨舫)의 아들로, 제용감 첨정(濟用監僉正) 등을 지냄.
1539~1597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남양 , 인명>관인>문신
-
홍빈(洪彬)
고려 충숙왕(忠肅王)~공민왕(恭愍王) 때의 문신. 본관은 남양(南陽). 참소로 인해 충숙왕과 충혜왕(忠惠王)이 원(元) 나라에 압송되었을 때 그 억울함을 변호하여 귀국 후 공신(功臣)에 책록되고, 우정승(右政丞) 등을 지냄.
1288~1353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남양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홍사범(洪師範)
고려 공민왕(恭愍王) 때의 문신. 본관은 남양(南陽). 문하시중(門下侍中) 홍언박(洪彦博)의 아들로, 홍건적(紅巾賊)의 난 때 호종공신(扈從功臣)에 책록되고, 지밀직사사(知密直司事) 등을 지냄. 명(明) 나라에 사신 갔다 오던 도중 익사함.
?~1373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남양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홍사석(洪師錫)
조선 세종(世宗) 때의 무신. 본관은 남양(南陽). 세종 때 사신으로 세 차례 명(明) 나라에 다녀오고, 경상도 처치사(慶尙道處置使)로 재직할 때 왜구 정벌에 나섰다가 참패하여 관작을 추탈당하고 유배됨.
?~1448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남양 , 인명>관인>무신
-
홍사원(洪士源)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남양(南陽). 홍순복(洪順福)ㆍ홍석복(洪碩福)의 아버지로, 천안 군수(天安郡守)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남양 , 인명>관인>문신
-
홍산(弘山)
고려 말~조선 초의 승려. 《운곡행록(耘谷行錄)》에 〈서홍산회사권(書弘山恢師卷)〉의 시(詩)가 수록되어 있음.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인명>종교인>승려
-
홍상(洪常)
조선 추존왕인 덕종(德宗)의 부마(駙馬). 본관은 남양(南陽). 좌의정 홍응(洪應)의 아들로, 덕종의 딸 명숙공주(明淑公主)와 혼인하였으며, 갑자사화(甲子士禍) 때 유배되었다가 중종반정(中宗反正)으로 풀려난 뒤 정국원종공신(靖國原從功臣)에 책록됨.
1457~1513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남양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왕실>인척
-
홍상민(洪相民)
조선 숙종(肅宗) 때의 문신. 본관은 부계(缶溪). 홍여하(洪汝河)의 아들로, 세자익위사 익위(世子翊衛司翊衛) 등을 지냄.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의흥 , 인명>관인>문신
-
홍상직(洪尙直)
조선 태종(太宗)~세종(世宗) 때의 무신. 본관은 남양(南陽). 마천(麻川) 홍일동(洪逸童)의 아버지로, 경성 절제사(鏡城節制使)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적성 , 인명>관인>무신
-
홍서(洪恕)
고려 말~조선 태종(太宗) 때의 무신. 본관은 남양(南陽). 홍사범(洪師範)의 아들로, 고려 말에 대호군(大護軍)을 지냄. 조선 태종 때 좌명공신(佐命功臣)에 책록되고, 전라도 병마도절제사(全羅道兵馬都節制使)로 파견되어 왜구를 소탕함.
?~1418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기도>남양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무신
-
홍서주(洪敍疇)
조선 중중(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남양(南陽). 좌찬성(左贊成) 홍숙(洪淑)의 아들로, 복성군(福城君)의 옥사(獄事)에 연루되어 유배되었으나 김안로(金安老)가 사사된 뒤 풀려나 공조 참의(工曹參議) 등을 지냄.
1499~1546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남양 , 인명>관인>문신
-
홍석(洪錫)@조선후기
조선 인조(仁祖)~숙종(肅宗)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남양(南陽). 김상헌(金尙憲)의 문인으로, 병자호란 이후 태백산(太白山) 춘양(春陽)에 은거하여 강흡(姜洽) 등과 함께 ‘태백오현(太白五賢)’으로 불림. 후에 세자익위사 사어(世子翊衛司司禦)를 지냄.
1604~1680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홍석(洪錫)@조선전기
조선 전기의 문신. 통례원 좌통례(通禮院左通禮) 이극견(李克堅)의 장인으로, 남성군(南城君)에 봉해짐.
한국>조선전기 , 인명>관인>문신
-
홍석복(洪碩福)
조선 중종(中宗) 때의 유학. 본관은 남양(南陽). 군수 홍사원(洪士源)의 아들이며 기묘명유(己卯名儒) 홍순복(洪順福)의 아우로, 1534년(중종 29) 생원시(生員試)에 입격함.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공주 , 인명>문사>유학
-
홍선(洪詵)
고려 충렬왕(忠烈王)~충숙왕(忠肅王) 때의 무신. 본관은 당성(唐城). 홍백수(洪百壽)의 아들이며 홍탁(洪鐸)의 아버지. 1304년(충렬왕 30) 충선왕(忠宣王)을 죽이려는 음모를 막아 공신이 되고, 여러 차례 원(元) 나라에 사신으로 다녀옴.
?~1318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남양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무신ㅣ인명>왕실>인척
-
홍선행(洪先幸)
고려 고종(高宗) 때의 무신. 당성(唐城)에 세거한 사족(士族)의 후손으로, 금오위 별장(金吾衛別漿)을 지냈으며, 남양홍씨(南陽洪氏) 토홍계(土洪系)의 시조가 됨.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남양 , 인명>관인>무신
-
홍섬(洪暹)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남양(南陽). 홍언필(洪彦弼)의 아들이고, 조광조(趙光祖)의 문인으로, 김안로(金安老)ㆍ이량(李樑)ㆍ남곤(南袞)의 횡포를 탄핵하고, 영의정 등을 지냄. 문장에 능하고 경서에 밝으며, 청백리에 녹선됨.
1504~1585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남양 , 인명>관인>문신
-
홍성(洪城)
충청남도에 있는 고을 이름. 조선시대의 홍주목(洪州牧)과 결성현(結城縣)이 합해져 이루어진 고을로, 백제 멸망 후 부흥운동의 최후 항거지였던 주류성(周留城)이 있었고, 조선시대에는 군사상 요지로서 충청도의 5개 진관(鎭管) 중 하나가 설치됨.
충청도>홍주 , 지명>행정지명
-
홍성(洪晟)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남양(南陽). 홍섬(洪暹)의 《인재집(忍齋集)》에 그의 죽음을 애도하며 지은 만시(挽詩)가 실려 있음.
1513~?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남양 , 인명>문사>유학
-
홍성민(洪聖民)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남양(南陽). 황해도 관찰사(黃海道觀察使) 홍춘경(洪春卿)의 아들이며, 서경덕(徐敬德)ㆍ이황(李滉)의 문인. 1590년(선조 23) 종계변무(宗系辨誣)의 공으로 광국공신(光國功臣)에 책록되었으나, 이듬해 건저문제(建儲問題)로 인해 파직당함.
1536~1594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홍세주(洪世柱)
조선 효종(孝宗)~현종(顯宗) 때의 문신. 본관은 풍산(豐山). 첨지중추부사(僉知中樞府事) 홍만종(洪萬宗)의 아버지로, 영천 군수(榮川郡守) 등을 지냄. 문집으로 《정허당집(靜虛堂集)》이 있음.
1612~1661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홍수(洪修)
조선 전기의 무신. 본관은 풍산(豐山). 대사헌(大司憲) 홍이상(洪履祥)의 아버지로, 부사직(副司直) 등을 지냈으며 좌찬성(左贊成)에 추증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무신
-
홍수약(洪守約)
조선 후기의 유학. 본관은 부림(缶林). 홍하량(洪河量)의 아버지로, 장사랑(將仕郞)에 오름.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의흥 , 인명>문사>유학
-
홍숙(洪淑)
조선 연산군(燕山君)~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남양(南陽)으로 공조 참의(工曹參議) 홍서주(洪敍疇)의 아버지. 중종반정(中宗反正)에 가담하여 추성정난공신(推誠定難功臣)에 책록되었으나, 작서지변(灼鼠之變)에 연루되어 삭직된 뒤 과천(果川)으로 추방됨.
1464~1538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남양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홍순복(洪順福)
조선 중종(中宗) 때의 유학. 본관은 남양(南陽). 홍석복(洪碩福)의 형이고 김식(金湜)의 문인으로, 기묘명현(己卯名賢)의 한 사람. 기묘사화 때 성균관 유생들과 함께 대궐문을 막고 저항하였다가 이듬해 이신(李信)의 밀고로 붙잡혀 사사됨.
1492~1520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남원 , 인명>문사>유학
-
홍순치(洪順治)
조선 전기의 아전. 본관은 남양(南陽). 홍유손(洪裕孫)의 아버지로, 남양 서리(南陽胥吏)를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남양 , 인명>관인>아전
-
홍식(洪湜)
조선 예종(睿宗)~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 본관은 남양(南陽). 홍귀해(洪貴海)의 아들로, 좌승지(左承旨) 등을 지냈으나, 무오사화(戊午士禍)에 연루되어 부안(扶安)에 부처되었다가, 갑자사화(甲子士禍) 때 화를 입어 참형당함.
1449~1504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남양 , 인명>관인>문신
-
홍신(洪愼)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남양(南陽). 홍경창(洪慶昌)의 아들로, 1519년(중종 14) 식년시(式年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진하사(進賀使)로서 명(明) 나라에 다녀오고, 강원도 관찰사(江原道觀察使)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남양 , 인명>관인>문신
-
홍심(洪深)
조선 세종(世宗)~세조(世祖) 때의 문신. 본관은 남양(南陽). 홍덕보(洪德輔)의 아들이며 좌의정 홍응(洪應)의 아버지로, 한성부윤(漢城府尹) 등을 지내고, 세조 즉위에 공을 세워 좌익원종공신(佐翼原從功臣)에 책록됨.
1398~1456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남양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홍애집(洪崖集)
고려 원종(元宗)~충렬왕(忠烈王) 때의 문신ㆍ문인인 홍간(洪侃)의 시문집. 1책. 목판본. 10대손 홍방(洪滂)에 의해 수집ㆍ편찬되어 1629년(인조 7) 간행되고, 1688년(숙종 14) 12세손 홍만조(洪萬朝)에 의해 중간됨. 목록ㆍ세계ㆍ본집ㆍ부록으로 구성되어 있음.
1629 한국>조선후기 , 문헌>서명
-
홍약(洪瀹)
고려 충숙왕(忠肅王) 때의 문신. 판전교시사(判典校寺事)를 역임하였으며, 태자부 참군(太子府參軍)으로 남경(南京)에 있을 때 고려에서 온 유연(柳衍)을 도와 경적(經籍) 1만여 권을 사게 하였으며, 또 원(元) 나라에 주청하여 많은 서적을 고려에 주게 함.
한국>고려후기 , 인명>관인>문신
-
홍언광(洪彦光)
조선 연산군(燕山君)~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남양(南陽)으로, 홍형(洪泂)의 아들. 갑자사화(甲子士禍) 때 백형(伯兄) 홍언필(洪彦弼)과 함께 진도(珍島)로 유배(流配)되었다가 풀려났으며, 도총부 경력(都摠府經歷) 등을 역임함.
1484~1537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홍언국(洪彦國)
조선 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 본관은 부계(缶溪). 허백정(虛白亭) 홍귀달(洪貴達)의 넷째 아들로, 참봉(參奉)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의흥 , 인명>문사>유학
-
홍언박(洪彦博)
고려 충혜왕(忠惠王)~공민왕(恭愍王) 때의 문신. 본관은 남양(南陽). 과거를 주관하여 이색(李穡)ㆍ박실(朴實) 등을 뽑고, 기철(奇轍) 일파를 숙청하고 홍건적(紅巾賊)의 난 때 왕을 호종하는 등 세 차례 공신에 책록되었으나, 흥왕사(興王寺)의 난 때 피살됨.
1309~1363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남양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홍언방(洪彦邦)
조선 연산군(燕山君)~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부계(缶溪). 허백정(虛白亭) 홍귀달(洪貴達)의 둘째 아들로, 1502년(연산군 8) 별시(別試)에 급제하였으며, 언양 현감(彦陽縣監)ㆍ홍문관 박사(弘文館博士) 등을 역임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의흥 , 인명>관인>문신
-
홍언승(洪彦昇)
조선 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 본관은 부계(缶溪). 허백정(虛白亭) 홍귀달(洪貴達)의 맏아들로, 1495년(연산군 1) 진사시(進士試)에 입격하였으며, 현감(縣監)을 역임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의흥 , 인명>관인>문신
-
홍언충(洪彦忠)
조선 연산군(燕山君)~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부계(缶溪). 홍귀달(洪貴達)의 셋째 아들로, 이조 좌랑(吏曹佐郞) 등을 지냄. 갑자사화(甲子士禍) 때 간언 상소를 올려 유배되었다가 중종반정으로 풀려남. 문장과 글씨에 뛰어남.
1473~1508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의흥 , 인명>관인>문신
-
홍언필(洪彦弼)
조선 연산군(燕山君)~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남양(南陽). 홍형(洪泂)의 아들이며, 홍섬(洪暹)의 아버지로, 요직을 두루 거치고 영의정 등을 역임하였으며, 을사사화(乙巳士禍)에 가담하여 보익공신(保翼功臣)에 책록되었고, 인종(仁宗)의 묘정에 배향됨.
1476~1549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남양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홍여방(洪汝方)
조선 태종(太宗)~세종(世宗) 때의 문신. 본관은 남양(南陽)으로, 홍길민(洪吉旼)의 아들. 두 차례 사신으로 명(明) 나라에 다녀오고, 이조 판서(吏曹判書) 등을 지냄.
?~1438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남양 , 인명>관인>문신
-
홍여하(洪汝河)
조선 효종(孝宗)~숙종(肅宗) 때의 문신. 본관은 부계(缶溪)로, 홍호(洪鎬)의 아들. 이후원(李厚源)을 논박한 상소로 인해 유배되었다가 풀려나 고향에서 학문에 전념하였으며, 남인(南人) 집권 후에 사간(司諫) 등을 지냄. 특히 주자학(朱子學)에 밝았음.
1621~1678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의흥 , 인명>관인>문신
-
홍연(洪演)
조선 세종(世宗)~세조(世祖) 때의 문신. 본관은 남양(南陽)으로, 홍척(洪陟)의 아들. 1444년(세종 26) 식년시(式年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집의(執義)를 지냈으나 불교를 배척하다 파출되고, 이듬해 복직되었으나 단종(端宗)이 손위(遜位)하자 종신토록 자취를 감춤.
1403~?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남양 , 인명>관인>문신
-
홍염(洪炎)
중국 송(宋) 나라 철종(哲宗)~고종(高宗) 때의 문신ㆍ문인. 형 홍붕(洪朋)ㆍ홍추(洪芻)와 아우 홍우(洪羽) 등과 함께 시문에 능하여 ‘사홍(四洪)’으로 불림. 저작랑(著作郞)ㆍ비서 소감(秘書少監) 등을 지내고, 저서로 《서도집(西渡集)》 등이 있음.
1067~1133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홍영수(洪永壽)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남양(南陽). 고령 현감(高靈縣監)을 역임하였으며, 김일손(金馹孫)의 《탁영집(濯纓集)》 〈금란계록(金蘭契錄)〉에 이름이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남양 , 인명>관인>문신
-
홍예(洪裔)
고려 후기의 문신. 본관은 남양(南陽). 좌복야 참지광정원사(左僕射參知光政院事) 홍자번(洪子藩)의 아버지로, 동지밀직(同知密直) 등을 지냄.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남양 , 인명>관인>문신
-
홍온(洪昷)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남양(南陽). 만전당(晩全堂) 홍가신(洪可臣)의 아버지로, 직장(直長)ㆍ장원서 장원(掌苑署掌苑) 등을 역임함.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남양 , 인명>관인>문신
-
홍우(洪羽)
중국 송(宋) 나라 철종(哲宗)~휘종(徽宗) 때의 문인. 형 홍붕(洪朋)ㆍ홍추(洪芻)ㆍ홍염(洪炎) 등과 함께 시문에 능하여 ‘사홍(四洪)’으로 불림. 일찍 죽어서 시문이 흩어져 전하지 않음.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문인
-
홍우정(洪宇定)
조선 광해군(光海君)~인조(仁祖) 때의 학자. 본관은 남양(南陽). 한성 서윤(漢城庶尹) 홍영(洪榮)의 아들로, 병자호란 때 태백산(太白山) 춘양(春陽)에 은거하여 홍석(洪錫)ㆍ정양(鄭瀁)ㆍ강흡(姜恰)ㆍ심장세(沈長世) 등과 함께 ‘태백오현(太白五賢)’으로 불림.
1593~1654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남양 , 인명>문사>학자
-
홍원서당(洪源書堂)
중국 원(元) 나라 초 무이산(武夷山)에 건립한 서당. 본래 이름은 홍원서실(洪源書室)이며 웅화(熊禾)가 은거하던 곳으로, 명(明) 나라 때 중수하여 웅물헌선생서원(熊勿軒先生書院)으로 개칭함. 주돈이(周敦頤)ㆍ정호(程顥)ㆍ정이(程頤)ㆍ장재(張載)ㆍ주희(朱熹) 등을 배향함.
중국>원 , 중국 , 유적>건물>서원,향교
-
홍원숙(洪元淑)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남양(南陽). 병조 참판(兵曹參判) 홍자아(洪自阿)의 아버지.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남양 , 인명>문사>유학
-
홍원용(洪元用)
조선 세종(世宗)~세조(世祖) 때의 문신. 본관은 남양(南陽)으로, 이조 판서 홍여방(洪汝方)의 아들. 한성부윤(漢城府尹) 등을 지냈으며, 공신(功臣)의 적장(嫡長)으로 강녕군(江寧君)에 습봉되고 숭정대부(崇政大夫)에 오름.
?~1466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남양 , 인명>관인>문신
-
홍원철(洪元哲)
고려 공민왕(恭愍王) 때의 문신. 공민왕이 연저(燕邸)에 있을 때 수종한 공과 홍건적(紅巾賊)의 침입 때 왕과 태후를 모시고 남행(南行)한 공으로 인해 공신(功臣)에 책록되었으며, 찬성사(贊成事) 등을 역임함.
한국>고려후기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홍유(洪儒)
고려 태조(太祖) 때의 무신ㆍ공신. 태조의 26번째 부인인 의성부원부인(義城府院夫人)의 아버지이며, 의성홍씨(義城洪氏)의 시조. 신숭겸(申崇謙)ㆍ복지겸(卜智謙)ㆍ배현경(裵玄慶) 등과 함께 궁예(弓裔)를 몰아내고 왕건(王建)을 왕으로 추대하여 고려의 개국공신이 됨.
?~936 한국>고려전기 , 경상도>의성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무신ㅣ인명>왕실>인척
-
홍유손(洪裕孫)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문인. 본관은 남양(南陽). 김종직(金宗直)의 문인(門人)으로, 김수온(金守溫)ㆍ김시습(金時習)ㆍ남효온(南孝溫) 등과 교유하며 학문과 시율(詩律)을 논함. 무오사화 때 제주에 유배되었다가 중종반정으로 풀려남.
1452~1529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남양 , 인명>문사>문인
-
홍윤성(洪允成)
조선 문종(文宗)~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회인(懷仁). 계유정난(癸酉靖難)에 적극 가담하고 세조(世祖)의 즉위를 도와 정난공신(靖難功臣)ㆍ좌익공신(佐翼功臣)에 책록됨. 성종의 즉위를 도와 좌리공신(佐理功臣)에도 책록되고, 영의정 등을 지냄.
1425~1475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홍산ㅣ충청도>회인ㅣ서울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홍윤심(洪允深)
고려 후기의 문신. 본관은 남양(南陽). 당성부원군(唐城府院君) 홍빈(洪彬)의 아버지로, 원(元) 나라로부터 집현전 직학사(集賢殿直學士)에 제수되었으며, 좌리공신(佐理功臣)에 추록되고, 남양군(南陽君)에 추증됨.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남양 , 인명>관인>문신
-
홍융(洪戎)
고려 충숙왕(忠肅王) 때의 문신. 본관은 남양(南陽). 홍규(洪奎)의 아들이며, 충숙왕의 처남(妻男)으로, 판삼사사(判三司事)를 역임함.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남양 , 인명>관인>문신ㅣ인명>왕실>인척
-
홍응(洪應)
조선 문종(文宗)~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남양(南陽)으로, 홍심(洪深)의 아들. 남이(南怡)의 옥사를 다스리고 성종의 즉위를 도운 공으로 익대공신(翊戴功臣)ㆍ좌리공신(佐理功臣)에 책록되고, 좌의정 등을 지냄. 문장과 글씨에 능했음.
1428~1492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남양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홍의룡(洪義龍)
고려 후기의 문신. 죽은 딸의 명복을 빌기 위해 여주(驪州) 신륵사(神勒寺)에 보현보살상(普賢菩薩像)을 조성함.
한국>고려후기 , 인명>관인>문신
-
홍의손(洪義孫)
고려 충숙왕(忠肅王) 때의 문신. 1317년(충숙왕 4)에 과거에 급제하였으며, 원(元) 나라에서 감찰어사(監察御史)ㆍ좌사도사(左司都事) 등을 역임하였고, 외직으로 강서성 원외랑(江西省員外郞)으로 나가 임소에서 죽음.
한국>고려후기 , 인명>관인>문신
-
홍이상(洪履祥)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본관은 풍산(豐山). 임진왜란 때 선조를 호종하는 한편 왜장(倭將) 사이의 이간 계획을 추진함. 광해군 때 이이첨(李爾瞻) 일파에게 몰려 개성유후사 유후(開城留後司留後)로 좌천되어 그곳에서 죽음.
1549~1615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홍이용(洪利用)
조선 세종(世宗) 때의 문신. 본관은 남양(南陽). 평원대군(平原大君)의 장인으로, 부사(府使) 등을 지냈으며 좌의정(左議政)에 추증됨.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남양 , 인명>관인>문신ㅣ인명>왕실>인척
-
홍이평(洪以平)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남양(南陽)으로, 첨지중추부사(僉知中樞府事) 홍덕연(洪德演)의 아버지. 1513년(중종 8) 식년시(式年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대구 부사(大邱府使) 등을 지냄.
1463~1525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남양 , 인명>관인>문신
-
홍익생(洪益生)
조선 세종(世宗) 때의 문신. 본관은 남양(南陽). 공조 전서(工曹典書) 홍자경(洪子儆)의 아들. 경상도 관찰사(慶尙道觀察使) 등을 지내고 좌익원종훈(左翼原從勳)에 책록되었으며, 정주 목사(定州牧使)에 제수되어 서변(西邊) 방어에 큰 공을 세움.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남양 , 인명>관인>문신
-
홍익한(洪翼漢)
조선 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남양(南陽). 이정귀(李廷龜)의 문인이며, 삼학사(三學士)의 한 사람. 병자호란 때 척화론(斥和論)을 폈으나 왕이 화의하자 오달제(吳達濟)ㆍ윤집(尹集)과 함께 심양(瀋陽)으로 잡혀가 죽음을 당함.
1586~1637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남양 , 인명>관인>문신
-
홍인(弘忍)
중국 당(唐) 나라의 선승(禪僧). 중국 선종(禪宗)의 제5조(第五祖)로, 도신(道信)을 따라 출가하여 대사(大師)가 된 후 동산법문(東山法門)을 창시함. 신수(神秀)ㆍ혜능(慧能) 등 많은 제자를 배출하여 크게 선풍(禪風)을 선양함.
601~674 중국>당 , 중국 , 인명>종교인>승려
-
홍인경(洪仁慶)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남양(南陽). 홍덕윤(洪德潤)의 아들로, 1553년(명종 8) 친시(親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부제학(副提學) 등을 지냄.
1525~?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홍인범(洪仁範)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남양(南陽). 홍적(洪迪)의 아버지로, 삼화 현령(三和縣令)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남양 , 인명>관인>문신
-
홍인우(洪仁祐)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학자. 본관은 남양(南陽)으로, 홍덕연(洪德演)의 맏아들. 서경덕(徐敬德)ㆍ이황(李滉)의 문인으로, 《심경(心經)》ㆍ《근사록(近思錄)》ㆍ《중용(中庸)》ㆍ《대학(大學)》에 전심하고, 성리학(性理學)에 조예가 깊음.
1515~1554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문사>학자
-
홍인지(洪仁祉)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남양(南陽). 첨지중추부사(僉知中樞府事) 홍덕연(洪德演)의 둘째 아들로, 1546년(명종 1) 생원시(生員試)에 입격하였으며, 좌랑(佐郞)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홍인필(洪仁弼)
조선 전기의 유학. 김안국(金安國)의 《모재집(慕齋集)》에, 그를 포함하여 여러 명과 술을 마시면서 지은 시가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유학
-
홍일동(洪逸童)
조선 세종(世宗)~세조(世祖) 때의 문신. 본관은 남양(南陽). 세조 즉위 후 좌익원종공신(佐翼原從功臣)에 책록되고, 두 차례 사신으로 명(明) 나라에 다녀옴. 선위사(宣慰使)의 직함을 띠고 명승지를 유람하던 중 홍주(洪州)에서 죽음.
?~1464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남양 , 인명>관인>문신
-
홍임(洪任)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남양(南陽). 홍경주(洪景舟)ㆍ홍경림(洪景霖)의 아버지로, 지중추부사(知中樞府事) 등을 지냈으며 의정부 좌찬성(議政府左贊成)에 추증됨.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남양 , 인명>관인>문신
-
홍자경(洪子儆)
고려 말~조선 초의 문신. 본관은 남양(南陽). 동지중추부사(同知中樞府事) 홍익생(洪益生)의 아버지로, 공조 전서(工曹典書)를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남양 , 인명>관인>문신
-
홍자번(洪子藩)
고려 원종(元宗)~충렬왕(忠烈王) 때의 문신. 홍예(洪裔)의 아들로 좌복야 참지광정원사(左僕射參知光政院事) 등을 지냈으며, 충렬왕ㆍ충선왕(忠宣王) 부자 사이의 갈등을 해소하고 정의(情誼)를 회복시키는 데 진력함.
1237~1306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남양 , 인명>관인>문신
-
홍자아(洪自阿)
조선 예종(睿宗)~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남양(南陽). 홍원숙(洪元淑)의 아들로, 1469년(예종 1) 추장시(秋場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병조 참판(兵曹參判)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남양 , 인명>관인>문신
-
홍재(洪載)
고려 후기의 문신. 본관은 풍산(豊山). 공민왕(恭愍王) 때 양관 대제학(兩館大提學)을 지냈으며, 고려의 국운이 다하려는 것을 보고 이오(李午)ㆍ이전(李琠)ㆍ조열(趙悅) 등과 은거하여 절개를 지킴.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삼가 , 인명>관인>문신
-
홍재룡(洪在龍)
조선 헌종(憲宗)~철종(哲宗) 때의 문신. 본관은 남양(南陽). 동부승지(同副承旨)ㆍ대사성(大司成)ㆍ광주 유수(廣州留守) 등을 지냈으며, 1844년(헌종 10) 딸이 헌종의 계비(繼妃) 명헌왕후(明憲王后)로 책봉되자, 익풍부원군(益豊府院君)에 봉해짐.
1794~1863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ㅣ인명>왕실>인척
-
홍재전서(弘齋全書)
조선 제22대 정조(正祖)의 시문집. 184권 100책. 활자본. 1799년(정조 23) 서호수(徐浩修)ㆍ서영보(徐榮輔) 등이 어제시문(御製詩文)을 편찬하였으며, 1801년(순조 1) 심상규(沈象奎) 등이 정조 사후 말년의 저술을 덧붙여 재편찬하여 1814년(순조 14) 간행함.
1814 한국>조선후기 , 서울 , 문헌>서명
-
홍적(洪迪)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남양(南陽). 당양부원군(唐陽府院君) 홍인우(洪仁祐)의 아들로, 삼화 현령(三和縣令)을 지낸 홍인범(洪仁範)에게 출계함. 이황(李滉)의 문인으로, 경학(經學)에 밝고 논사(論思)를 잘 하여 홍문관(弘文館)에서 ‘학사전재(學士全才)’라 불림.
1549~1591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남양 , 인명>관인>문신
-
홍제년(洪齊年)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회인(懷仁). 영의정(領議政) 홍윤성(洪允成)의 아버지.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회인 , 인명>문사>유학
-
홍좌(洪佐)
고려시대의 문신. 시중(侍中) 홍난(洪鸞)의 후손으로 부계홍씨(缶溪洪氏)의 시조이며, 직장동정(直長同正)을 지냄.
한국>고려시대 , 경상도>의흥 , 인명>관인>문신
-
홍주(洪澍)
고려 후기의 문신. 본관은 남양(南陽). 삼사사(三司使)를 지낸 홍융(洪戎)의 아들로, 삼중대광 첨의상의 삼사좌사(三重大匡僉議商議三司左使)를 지냄.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남양 , 인명>관인>문신
-
홍주문(洪柱文)
조선 후기의 문신. 본관은 풍산(豐山). 도승지(都承旨) 홍만종(洪萬鍾)의 아버지로, 예산 현감(禮山縣監) 등을 지냈으며 호조 참판(戶曹參判)에 추증됨.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홍주익(洪柱翼)
조선 정조(正祖) 때의 문신. 본관은 남양(南陽). 홍대원(洪大源)의 아들로, 중종묘(中宗廟)에 배향된 박원종(朴元宗) 등 3인과 숙종묘(肅宗廟)에 배향된 남구만(南九萬) 등 3인을 출향(黜享)시킬 것을 상소하였다가 탄핵받음.
1726~1789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홍지(洪智)
고려 말의 문신. 본관은 남양(南陽). 첨지중추부사(僉知中樞府使) 홍경손(洪敬孫)의 아버지로, 조선 개국 후 사재감 직장(司宰監直長)의 벼슬을 내렸으나 은거하여 출사하지 않음.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기도>남양 , 인명>관인>문신
-
홍지경(洪之慶)
고려 고종(高宗) 때의 문신. 풍산홍씨(豐山洪氏)의 시조로, 지제고(知製誥) 홍간(洪侃)의 아버지이며, 국학직학(國學直學) 등을 지냄.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홍지성(洪至誠)
조선 선조(宣祖) 때의 학자. 본관은 남양(南陽)으로, 여경(餘慶) 홍유손(洪裕孫)의 아들. 사화로 고초를 겪은 아버지의 영향으로 관직에 나가지 않고 향리에 은거하여 학문에 매진하고 후진교육에 힘썼으며, 특히 고문에 정통했음.
1528~1597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남양 , 인명>문사>학자
-
홍진(洪縉)
고려 고종(高宗)~원종(元宗) 때의 문신. 본관은 남양(南陽). 정승(政丞) 홍규(洪奎)의 아버지로, 동지추밀원사(同知樞密院事) 등을 지냄.
?~1266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남양 , 인명>관인>문신
-
홍진(洪進)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본관은 남양(南陽). 치재(耻齋) 홍인우(洪仁祐)의 맏아들이며, 홍적(洪迪)의 형. 임진왜란 때 선조를 호종한 공으로 호성공신(扈聖功臣)에 책록되었으며, 이조 판서(吏曹判書) 등을 지냄.
1541~1616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남양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홍징(洪徵)
고려 후기의 문신. 본관은 남양(南陽). 삼중대광 첨의상의 삼사좌사(三重大匡僉議商議三司左使) 홍주(洪澍)의 아들로, 판밀직사사(判密直司事) 등을 지냄. 우왕(禑王) 때 왜구(倭寇) 방어에 공을 세웠으나, 처남 염흥방(廉興邦)이 처형될 때 연좌되어 죽임을 당함.
?~1388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남양 , 인명>관인>문신
-
홍처량(洪處亮)
조선 인조(仁祖)~숙종(肅宗) 때의 문신. 본관은 남양(南陽). 사재감 첨정(司宰監僉正)을 지낸 홍명현(洪命顯)의 아들로, 예조 참판(禮曹參判) 등을 지내고 《인조실록(仁祖實錄)》 편찬에 참여함.
1607~1683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홍척(洪陟)
조선 전기의 무신. 본관은 남양(南陽). 집의(執義) 홍연(洪演)의 아버지로, 중군사(中軍司)를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남양 , 인명>관인>무신
-
홍천경(洪千璟)
조선 광해군(光海君)~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풍산(豊山). 임진왜란 때 김천일(金千鎰)의 진중에서 군량의 수집과 수송을 담당하고, 정유재란 때 권율(權慄)의 휘하에서 의병모집의 격문을 작성하였으며, 중추부 첨지사(中樞府僉知事) 등을 지냄.
1553~1632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