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홍천민(洪天民)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남양(南陽). 황해도 관찰사(黃海道觀察使) 홍춘경(洪春卿)의 아들로, 성혼(成渾)의 문인. 교지(敎旨) 작성에 뛰어나 여러 번 도승지(都承旨)를 지냄.
1526~1574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홍천석(洪天錫)
조선 광해군(光海君) 때의 유학. 본관은 남양(南陽). 봉상시 첨정(奉常寺僉正) 홍경우(洪儆禹)의 아버지로, 1616년(광해군 8) 생원시(生員試)에 입격함.
1575~? 한국>조선후기 , 평안도>곽산 , 인명>문사>유학
-
홍천하(洪天河)
중국 당(唐) 나라 태종(太宗)이 고구려에 파견한 8학사(八學士)의 한 사람으로 고구려에 귀화한 인물. 남양홍씨(南陽洪氏) 당홍계(唐洪系)의 시조. 고구려 영류왕(榮留王) 때 유학을 가르치고, 신라 선덕여왕(善德女王) 때 당성백(唐城伯)에 봉해짐.
한국>통일신라ㅣ한국>고구려 , 경기도>남양 , 인명>기타인명>귀화인ㅣ인명>문사>학자
-
홍추(洪芻)
중국 송(宋) 나라 철종(哲宗)~고종(高宗) 때의 문신ㆍ문인. 형인 홍붕(洪朋)과 아우 홍염(洪炎)ㆍ홍우(洪羽) 등과 더불어 사홍(四洪)이라 일컬어짐. 선덕랑(宣德郞)ㆍ간의대부(諫議大夫) 등을 지냈으나, 1127년에 사문도(沙門島)로 유배되어 죽음.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홍춘경(洪春卿)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남양(南陽). 예문관 대교(藝文館待敎) 홍계정(洪係貞)의 아들로, 한성부 우윤(漢城府右尹)ㆍ이조 참의(吏曹參議) 등을 지냄. 김생체(金生體)의 글씨에 능하고, 문장에 뛰어나 중종의 지문(誌文)을 지음.
1497~1548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홍춘년(洪春年)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남양(南陽). 예문관 대교(藝文館待敎) 홍계정(洪係貞)의 아들로, 고부 군수(古阜郡守)ㆍ봉상시 정(奉常寺正) 등을 지냄. 교서관(校書館) 별좌(別坐)로 있을 때 《두률우주(杜律虞註)》를 간행함.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홍치(洪治)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남양(南陽). 좌의정(左議政) 홍달손(洪達孫)의 아버지로, 영중추부사(領中樞府事)에 추증됨.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남양 , 인명>문사>유학
-
홍탁(洪鐸)
고려 충혜왕(忠惠王)~공민왕(恭愍王) 때의 문신ㆍ외척. 인성군(麟城君) 홍선(洪詵)의 아들로, 충혜왕의 비인 화비(和妃)의 아버지. 경상도 진변사(慶尙道鎭邊使) 등을 지냈으나, 공민왕 때 사위 조일신(趙日新)이 반란을 일으켜 회원 현령(檜原縣令)으로 좌천됨.
?~1356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남양 , 인명>관인>문신ㅣ인명>왕실>인척
-
홍하량(洪河量)
조선 후기의 문인. 본관은 부림(缶林). 장사랑(將仕郞) 홍수약(洪守約)의 아들이고, 장흥효(張興孝)의 문인. 유진(柳袗)ㆍ김응조(金應祖)와 도의(道義)로 교유하였으며, 정구(鄭逑)가 독학군자(篤學君子)라고 칭찬함.
1588~1632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함창ㅣ경상도>안동 , 인명>문사>문인
-
홍한(洪瀚)
조선 성종(成宗)~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 수군절도사(水軍節度使) 홍귀해(洪貴海)의 아들로, 이조 참의(吏曹參議) 등을 지냈으나, 무오사화(戊午士禍) 때 김종직(金宗直)의 문인이라 하여 장형(杖刑)을 당한 뒤 유배 도중에 죽음.
1451~1498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남양 , 인명>관인>문신
-
홍혁(洪革)
고려 후기의 유학. 권보(權溥)ㆍ민지(閔漬) 등과 교유함.
한국>고려후기 , 인명>문사>유학
-
홍형(洪泂)
조선 성종(成宗)~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 수군절도사(水軍節度使) 홍귀해(洪貴海)의 아들로, 연산군의 생모인 윤비(尹妃) 폐출사건에 적극 개입하였다 하여 갑자사화(甲子士禍) 때 처형됨.
1446~1504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남양 , 인명>관인>문신
-
홍호(洪鎬)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부계(缶溪)로, 홍덕록(洪德祿)의 아들. 정경세(鄭經世)의 문인으로, 공조 참의(工曹參議)ㆍ대사간(大司諫)을 지냄. 문신이면서도 용병에 관한 지식이 많아 국책에 반영시키려고 노력함.
1586~1646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홍효손(洪孝孫)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부계(缶溪). 이조 판서(吏曹判書) 홍귀달(洪貴達)의 아버지로, 하관경(夏官卿)에 추증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의흥 , 인명>문사>유학
-
홍효창(洪孝昌)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남양(南陽). 현감(縣監) 홍계강(洪係江)의 아들이며 봉상시 부정(奉常寺副正) 홍경창(洪慶昌)의 아우. 1522년(중종 17) 식년시(式年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부사(府使)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남양 , 인명>관인>문신
-
홍흥(洪興)
조선 세종(世宗)~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 한성부윤(漢城府尹) 홍심(洪深)의 아들로, 호조 참판(戶曹參判)ㆍ동지중추부사(同知中樞府事) 등을 지냄. 성품이 강직하고 글씨에 능했으며, 인물과 풍채가 준수하여 자주 명(明) 나라에 사신으로 보내짐.
1424~1501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남양 , 인명>관인>문신
-
화^편(和^扁)
중국 춘추전국시대 진(秦) 나라의 명의(名醫)인 의화(醫和)와 주(周) 나라의 명의인 편작(扁鵲)을 함께 부르는 말. 뛰어난 의술을 지닌 사람을 말함.
중국>춘추전국시대ㅣ중국>주 , 중국 , 사상>술어>관용어
-
화계사(華溪寺)
조선 중종(中宗) 때 삼각산(三角山)에 건립한 사찰. 고려 광종(光宗) 때 창건한 보덕암(普德庵)을 1522년(중종 17) 신월(信月)이 현재의 자리로 이전하여 개창함. 1619년(광해군 11) 도월(道月)이 중건하고, 1866년(고종 3) 용선(龍船)과 범운(梵雲)이 중수함.
1522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유적>건물>사찰
-
화곡서원(花谷書院)
조선 광해군(光海君) 때 경기도 개성(開城)에 창건한 사액서원(賜額書院). 서경덕(徐敬德)ㆍ박순(朴淳)ㆍ민순(閔純)ㆍ허엽(許曄)을 배향함.
1609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개성 , 유적>건물>서원,향교
-
화담집(花潭集)
조선 전기의 문신ㆍ학자인 서경덕(徐敬德)의 시문집(詩文集). 초간본은 명종(明宗)~선조(宣祖) 연간에 박민헌(朴民獻)ㆍ허엽(許曄) 등이 간행함.
한국>조선전기 , 문헌>서명
-
화독(華督)
중국 춘추전국시대 송(宋) 나라의 대부. 대공(戴公)의 손자. 공보가(孔父嘉)를 살해한 후 그 처를 취하고, 다시 상공(殤公)을 시해한 후 정(鄭) 나라에 있던 목공자(穆公子)를 데려다 장공(莊公)을 세움.
?~B.C.682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관인>경대부
-
화사(畵史)
중국 북송(北宋)의 서예가ㆍ화가인 미불(米芾)이 지은 화론서. 1권. 진(晉)ㆍ육조(六朝)ㆍ수(隋)ㆍ당(唐)ㆍ오대(五代)ㆍ북송(北宋) 등의 명화에 대해 우열과 진위를 평하고, 잘못된 점을 교정함. 《서사(書史)》와 함께 쌍벽을 이루는 서론서(書論書)로 유명함.
중국>송 , 중국 , 문헌>서명
-
화사(花史)
조선 선조(宣祖) 때의 시인ㆍ문신인 임제(林悌)가 지은 의인체(擬人體) 한문 소설. 1책. 필사본. 매ㆍ죽ㆍ모란ㆍ연 등의 많은 꽃들을 의인화하여 중국 역대 역사를 편년식으로 서술함으로써 현실사회를 풍자함. 《임백호집(林白湖集)》에 수록됨.
한국>조선전기 , 문헌>작품명
-
화산(華山)
중국 섬서성(陝西省) 화음현(華陰縣)에 있는 산 이름. 오악(五岳)의 하나로 위치상 서악(西岳)에 해당하며, 높이는 2,437m. 중앙의 옥녀봉(玉女峰), 동쪽의 조양봉(朝陽峰), 서쪽의 연화봉(蓮花峰), 남쪽의 낙안봉(落雁峰), 북쪽의 오운봉(五雲峰) 등 다섯 개의 봉우리로 이루어져 있으며 멀리서 보면 연꽃 같아서 화산(華山)이라고 부름.
중국 , 지명>자연지명
-
화산부(華山賦)
중국 당(唐) 나라의 문신ㆍ문인인 양경지(楊敬之)가 지은 부(賦). 한유(韓愈)ㆍ이덕유(李德裕) 등으로부터 찬사를 받아 널리 알려짐.
중국>당 , 중국 , 문헌>작품명
-
화산서원(禾山書院)
조선 철종(哲宗) 때 경상도 의성(義城)에 건립한 서원. 1855년(철종 6) 사림이 건립한 오천영당(梧川影堂)을 1915년에 개수하여 숭절사(崇節祠)로 고치고, 1976년에 화산서원(禾山書院)으로 개칭함. 마천목(馬天牧)ㆍ마승(馬勝) 등을 배향함.
1855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의성 , 유적>건물>서원,향교
-
화산서원(花山書院)@순창
조선 선조(宣祖) 때 전라도 순창(淳昌)에 건립한 서원. 신말주(申末舟)ㆍ김정(金淨)ㆍ김인후(金麟厚)ㆍ고경명(高敬命)ㆍ김천일(金千鎰)ㆍ박상(朴祥)ㆍ유옥(柳沃)ㆍ신공제(申公濟)ㆍ양사형(楊士衡)ㆍ김시서(金時瑞) 등을 배향함.
1607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순창 , 유적>건물>서원,향교
-
화산서원(花山書院)@포천
조선 인조(仁祖) 때 경기도 포천(抱川)에 건립한 서원. 1660년(현종 1) 사액되고, 이항복(李恒福)을 배향함. 1868년(고종 5) 흥선대원군(興宣大院君)의 서원 철폐령으로 없어짐.
1635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포천 , 유적>건물>서원,향교
-
화성(火星)
오성(五星) 중의 하나로, 남방(南方)을 상징하는 별. 나타나고 사라지는 것이 일정하지 않아 사람을 미혹시킨다고 해서 ‘형혹(熒惑)’이라 일컬어짐.
자연물>천체
-
화성(華城)
조선 정조(正祖) 때 경기도 수원(水原)에 단순히 토축(土築)되어 있던 읍성(邑城)에 성곽을 새로이 축조한 성. 정조는 아버지인 사도세자(思悼世子)를 위하여 화성 가꾸기에 주력함.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수원 , 유적>시설>성,진,책
-
화수사(華首寺)
중국 당(唐) 나라 현종(玄宗) 때 광동성(廣東省) 혜주(惠州)의 나부산(羅浮山)에 건립한 사찰. 나부산 제1의 선림(禪林).
738 중국>당 , 중국 , 유적>건물>사찰
-
화순(和順)
전라남도 중앙부에 있는 고을 이름. 소백산맥(小白山脈)에서 뻗은 지맥들로 이루어진 산악지대로, 무등산(無等山)ㆍ백아산(白雅山)ㆍ만연산(萬淵山)ㆍ모후산(母后山)ㆍ화학산(華鶴山)ㆍ천태산(天台山) 등의 산들이 있음.
전라도>화순 , 지명>행정지명
-
화씨벽(和氏璧)
중국 춘추전국시대 초(楚) 나라의 변화(卞和)가 형산(荊山)에서 발견한 옥돌을 가공하여 얻은 보옥(寶玉)으로, 인재(人才)를 가리키는 말. 문왕(文王)만이 그 진가를 인정했으며, 진(秦) 나라 소양왕(昭襄王)이 15개의 성(城)과 맞바꾸려다가 인상여(藺相如)로 인해 실패했다는 고사가 전함.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사상>술어>고사성어
-
화암사(禾巖寺)
통일신라 혜공왕(惠恭王) 때 진표율사(眞表律師)가 강원도 고성(高城) 설악산(雪嶽山) 북쪽 기슭에 건립한 비구니 사찰. 본래 이름은 화암사(華巖寺)이며 1864년(고종 1) 이전하여 중건한 뒤 수암사(穗岩寺)로 개칭했다가 1912년 화암사(禾巖寺)로 고침.
769 한국>통일신라 , 강원도>고성 , 유적>건물>사찰
-
화암서원(花巖書院)
조선 현종(顯宗) 때 충청도 영동(永同)에 건립한 서원. 1670년(현종 11) 창건되었으며, 장필무(張弼武)ㆍ박인(朴忍)ㆍ장항(張沆)ㆍ박흥생(朴興生)ㆍ장지현(張智賢)ㆍ박계우(朴季愚)ㆍ박흥거(朴興居)ㆍ장의현(張義賢) 등을 배향함.
1670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영동 , 유적>건물>서원,향교
-
화암서원(華巖書院)@익산
조선 광해군(光海君) 때 전라도 익산(益山)에 건립한 서원. 1612년(광해군 4) 창건되었으며, 이공수(李公遂)ㆍ소세량(蘇世良)ㆍ소세양(蘇世讓)ㆍ이약해(李若海)ㆍ소동도(蘇東道)ㆍ소영복(蘇永福)ㆍ소광진(蘇光震) 등을 배향함.
1612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익산 , 유적>건물>서원,향교
-
화암서원(華巖書院)@보령
조선 광해군(光海君) 때 충청도 보령에 건립한 서원. 1610년(광해군 2) 창건되어 1686년(숙종 12) 사액되었으며, 이지함(李之菡)ㆍ이산보(李山甫)ㆍ이정암(李廷馣)ㆍ이몽규(李夢奎)ㆍ구계우(具繼禹) 등을 배향함. 1868년(고종 5) 흥선대원군(興宣大院君)의 서원 철폐령으로 없어졌다가 복원됨.
1610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보령 , 유적>건물>서원,향교
-
화암서원(華巖書院)@괴산
조선 광해군(光海君) 때 충청도 괴산(槐山)에 건립한 서원. 1622년(광해군 14) 창건되었으며, 이황(李滉)ㆍ허후(許詡)ㆍ박세무(朴世茂)ㆍ이문건(李文楗)ㆍ노수신(盧守愼)ㆍ김제갑(金悌甲)ㆍ유근(柳根)ㆍ전유형(全有亨)ㆍ이신의(李愼儀) 등을 배향함.
1622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괴산 , 유적>건물>서원,향교
-
화암집(和庵集)
조선 숙종(肅宗)~영조(英祖) 때의 문신인 신성하(申聖夏)의 시문집. 4권2책. 필사본. 1749년(영조 25) 아들 신경(申暻)에 의해서 편집ㆍ간행되었으며, 시 514수가 실려 있음.
1749 한국>조선후기 , 문헌>서명
-
화약고기(火藥庫記)
고려 공민왕(恭愍王)~조선 세종(世宗) 때의 문신인 정이오(鄭以吾)가 지은 조선시대 무기에 관한 저서. 《교은집(郊隱集)》에 실려 있으며, 최무선(崔武宣)의 아들 최해산(崔海山)이 군기시 부정(軍器寺副正)으로 있으면서 화포무기 제작에 관여했다고 함.
한국>조선전기 , 문헌>서명
-
화양서원(華陽書院)
조선 숙종(肅宗) 때 충청도 괴산(槐山)에 건립한 서원. 1695년(숙종 21) 창건되어 이듬해 사액되고, 송시열(宋時烈)을 배향함. 1717년(숙종 43) 만동묘(萬東廟)가 세워졌던 곳으로, 송시열을 배향한 전국 서원 중 위세가 가장 커 화양묵패(華陽墨牌) 등의 폐단을 일으킴.
1695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괴산 , 유적>건물>서원,향교
-
화엄경(華嚴經)
불교 화엄종(華嚴宗)의 근본 경전(經典). 석가모니(釋迦牟尼)의 가르침을 가장 잘 드러낸 작품으로 인정받는 방대한 분량의 대승불교(大乘佛敎) 경전임.
고대 , 문헌>서명
-
화엄경소(華嚴經疏)
신라 진덕여왕(眞德女王)~신문왕(神文王) 때의 고승 원효(元曉)가 지은 《화엄경(華嚴經)》의 주석서. 10권. 미완성본으로 전해오던 것을 고려의 대각국사(大覺國師) 의천(義天)이 원효의 《화엄종요(華嚴宗要)》와 합본하여 만듦.
한국>신라 , 경상도>경주 , 문헌>서명
-
화엄사(華嚴寺)
신라 진흥왕(眞興王) 때 인도(印度)의 승려 연기(緣起)가 세웠다고 전하는 사찰. 전라남도 구례(求禮) 방면 지리산(智異山) 노고단(老姑壇) 서쪽에 세웠다고 함.
544 한국>신라 , 전라도>구례 , 유적>건물>사찰
-
화엄종(華嚴宗)
중국 당(唐) 나라 때 성립된 불교의 한 종파. 《화엄경(華嚴經)》을 근본 경전으로 하며, '법계연기론'(法界緣起論)을 중시함. 지엄(智儼)ㆍ법장(法藏)에 의해 종파로 성립했으며 우리나라에는 지엄의 제자인 의상(義相)을 개종조(開宗祖)로 함.
중국>당 , 중국 , 사상>이론>교리
-
화운대산기(畵雲臺山記)
중국 남북조시대 동진(東晉)의 화가인 고개지(顧愷之)의 화론(畵論). 산수화의 기법에 대해 논하였으며, 당(唐) 나라 때의 화론가(畵論家)인 장언원(張彥遠)의 《역대명화기(歷代名畫記)》에 전함.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문헌>작품명
-
화응(和凝)
중국 오대십국 후당(後唐)~후주(後周) 때의 문신. 범질(范質)이 진사(進士)가 될 때 시관(試官)이었는데, 그의 재주를 사랑하여 13등으로 급제시킴. 이는 자신이 13등으로 급제하여 대신이 되었기 때문이었는데, 훗날 범질(范質) 역시 대신이 됨.
898~955 중국>오대십국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화의군(和義君)
조선 제4대 세종(世宗)의 첫 번째 서자. 영빈강씨(令嬪姜氏)의 소생으로, 형 금성대군(錦城大君)이 모의한 단종복위(端宗復位) 사건에 연루되어 익산(益山)에 유배된 뒤 그곳에서 죽음.
1425~?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왕자
-
화장사(花庄寺)
경기도 개성(開城)에 있던 절. 조선 후기의 처사(處士)인 안경창(安慶昌)이 한 신승(神僧)을 따라 공부했다고 함.
경기도>개성 , 유적>건물>사찰
-
화정집(和靖集)
중국 송(宋) 나라의 학자인 윤돈(尹焞)의 문집. 8권.
중국>송 , 중국 , 문헌>서명
-
화제(和帝)
중국 후한(後漢)의 제4대 황제. 재위 89~105년. 장제(章帝)의 넷째 아들로, 10세에 즉위하여 두태후(竇太后)가 수렴청정을 함. 환관들과 연합하여 두태후 일당을 척결했으나 환관들의 전횡 때문에 다시 정치가 문란해지고, 그 우울증에 시달리다 죽음.
79~105 중국>후한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화제음황후(和帝陰皇后)
중국 후한(後漢)의 제4대 황제인 화제(和帝)의 비(妃). 음장생(陰長生)의 증손으로, 학문을 즐겨 숭상했다고 함.
?~102 중국>후한 , 중국 , 인명>왕실>왕비
-
화차도설(火車圖說)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인 변이중(邊以中)의 저작물. 이 글에 따라 화차 300량을 만들어서 권율(權慄)에게 보내어 행주 대첩(幸州大捷)에 큰 도움이 되게 함.
한국>조선후기 , 문헌>작품명
-
화찰(華察)
중국 명(明) 나라 세종(世宗)~신종(神宗) 때의 문신. 한림원 학사(翰林院學士)ㆍ동궁 시독(東宮侍讀) 등을 지냈으며, 1539년(조선 중종 34) 명 나라의 사신으로 조선에 파견됨.
1497~1574 중국>명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화천서원(花川書院)
조선 정조(正祖) 때 경상도 안동(安東)에 건립한 서원. 유운룡(柳雲龍)ㆍ유원지(柳元之)ㆍ김윤안(金允安) 등을 배향함.
1786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안동 , 유적>건물>서원,향교
-
화타(華佗)
중국 후한(後漢) 말기의 명의(名醫). 외과(外科)의 태두(泰斗)로, 술과 마비산(麻沸散)을 이용한 전신마취법을 창안하였으며, 다섯 동물의 동작을 본떠 ‘오금희(五禽戱)’라는 보건체조를 고안함.
145~208 중국>후한 , 중국 , 인명>기술인>의원
-
화표주(華表柱)
궁전이나 성곽, 무덤의 앞에 세우는 돌기둥으로 중국 한(漢) 나라 때 요동(遼東) 사람 정영위(丁令威)가 신선술을 배워 천 년 뒤에 학(鶴)이 되어 화표주(華表柱)에 내려와 앉았다는 데서 유래됨.
중국 , 사상>술어>관용어ㅣ유적>시설>기타시설
-
화해사전(華海師全)
고려 후기의 학자인 신현(申贒)에 대한 전기. 문인 정몽주(鄭夢周)가 원천석(元天錫)ㆍ범세동(范世東)에게 전해주어 편집하여 간행하려 하였으나 뜻을 이루지 못함. 1935년 강영식(姜泳植)이 논산(論山)에서 4권 2책의 신연활자본으로 간행함.
1935 한국>근대 , 충청도>연산 , 문헌>서명
-
화향(畫響)
중국 명(明) 나라의 서화가인 이영창(李永昌)의 서화집. 자신이 그린 그림에 제(題)한 것으로 이루어져 있음. 무권수(無卷數) 4책.
중국>명 , 중국 , 문헌>서명
-
화흠(華歆)
중국 후한(後漢)~삼국시대 위(魏) 나라의 문신. 병원(邴原)ㆍ관녕(管寧) 등과 절친하여, 당시 사람들이 화흠을 용의 머리, 병원을 용의 배, 관녕을 용의 꼬리라 칭함. 동한(東漢) 환제(桓帝) 때 상서령(尙書令)에 이르고 위 나라에서는 태위(太尉)에 이름.
157~231 중국>후한ㅣ중국>삼국시대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화희등황후(和熹鄧皇后)
중국 후한(後漢)의 제4대 황제인 화제(和帝)의 후비. 화제가 죽은 후 상제(殤帝)ㆍ안제(安帝)를 즉위시키고 실권을 잡음.
81~121 중국>후한 , 중국 , 인명>왕실>왕비
-
환^문(桓^文)
중국 춘추전국시대 제(齊) 나라의 제후인 환공(桓公)과 진(晉) 나라의 제후인 문공(文公)을 함께 부르는 말. 제후국들 중 부국강병을 이룩해 패자(覇者)가 된 사람을 가리킴.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사상>술어>관용어
-
환^유(桓^劉)
중국 남북조시대 진(晉) 나라 장군인 환온(桓溫)과 유담(劉惔)을 함께 부르는 말. 둘 다 명제(明帝)의 부마(駙馬)임.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사상>술어>관용어
-
환공(桓公)@춘추전국(제)
중국 춘추전국시대 제(齊) 나라의 제후. 재위 B.C.685~B.C.643. 제 나라 희공(釐公)의 아들이자 양공(襄公)의 동생. 관중(管仲)ㆍ포숙아(鮑叔牙) 등의 인재를 등용하여 부국강병(國富强兵)을 이룩하여 패자(覇者)가 됨.
?~B.C.643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왕실>제후
-
환공(桓公)@춘추전국(曹)
중국 춘추전국시대 조(曹) 나라의 제후. 재위 B.C.757~B.C.702. 조 나라 목공(穆公)의 아들.
?~B.C.702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왕실>제후
-
환공(桓公)@춘추전국(陳)
중국 춘추전국시대 진(陳) 나라의 제후. 재임 중에 내란으로 인해 태자 면(太子免)과 함께 피살되어 그 동생인 진타(陳佗)가 국왕에 오름.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왕실>제후
-
환공(桓公)@춘추전국(秦)
중국 춘추전국시대 진(秦) 나라의 제후. 재위 B.C.603~B.C.577. 진(晉) 나라 여공(厲公)과 함께 동맹을 맺었으나, 뒤에 동맹을 어기고 진 나라를 공격하였다가 패함.
?~B.C.577.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왕실>제후
-
환도(驩兜)
중국 고대의 전설적인 악인(惡人). 사람 얼굴에 새 부리 형상에 날개를 지녔고 바다의 고기를 먹는데, 순임금 때에 공공(共工)ㆍ삼묘(三苗)ㆍ곤(鯀) 등과 함께 숭산(崇山)으로 쫓겨남.
고대 , 중국 , 인명>기타인명>기타인물
-
환사두황후(桓思竇皇后)
중국 후한(後漢) 환제(桓帝)의 황후. 환제가 죽운 뒤 유굉(劉宏)을 옹립하여 영제(靈帝)로 세우고 권세를 휘두름.
중국>후한 , 중국 , 인명>왕실>왕비
-
환온(桓溫)
중국 남북조시대 동진(東晉)의 장군. 명제(明帝)의 딸인 남강공주(南康公主)와 혼인하여 부마도위(駙馬都尉)를 제수받음. 혁(奕)을 황제에서 폐하고 간문제(簡文帝)를 세우는 등 정권을 장악하였으나, 간문제가 죽은 이듬해에 병사함.
312~373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관인>무신
-
환우통지(寰宇通志)
중국 명(明) 나라의 관찬(官撰) 지리서. 《대명일통지(大明一統志)》의 근간이 됨. 119권.
1456 중국>명 , 중국 , 문헌>서명
-
환이(桓伊)
중국 남북조시대 진(晉) 나라의 문신ㆍ음악가. 강주 자사(江州刺史)를 지내고, 음악의 이치에 통달하여 젓대를 잘 불음.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예술인>음악인ㅣ인명>관인>문신
-
환제(桓帝)@후한
중국 후한(後漢)의 제11대 황제. 재위 147~167. 장제(章帝)의 증손이고, 여오후(蠡吾侯) 유익(劉翼)의 아들. 양태후(梁太后)에 의해서 즉위하였고, 성장 후 환관(宦官) 단초(單超) 등의 힘을 빌어 양태후 일당을 조정에서 몰아냄.
132~167 중국>후한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환제(桓帝)@남북조(북위)
중국 남북조시대 북위(北魏)의 추존 황제. 문제(文帝)의 아들.
?~305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환조(桓祖)
조선 태조(太祖) 이성계(李成桂)의 아버지. 도조(度祖) 이춘(李椿)의 아들로, 공민왕 때 공을 세워 삭방도 만호 겸 병마사(朔方道萬戶兼兵馬使)로 임명됨. 태조가 등극하자 환왕(桓王)으로, 태종(太宗) 때 다시 환조(桓祖)로 추존됨.
1315~1360 한국>고려후기 , 함경도>영흥 , 인명>관인>무신ㅣ인명>왕실>국왕
-
환후(桓侯)
중국 춘추전국시대 채(蔡) 나라의 제7대 제후. 재위 B.C.741~B.C.694. 명의 편작(扁鵲)의 충고를 듣지 않아서 병사(病死)함.
?~B.C.695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왕실>제후
-
황^노(黃^老)
중국 고대 전설상의 제왕인 헌원(軒轅)과 춘추전국시대 초(楚) 나라의 도가(道家)인 이이(李耳)를 함께 부르는 말. 도가의 시조(始祖)로, 양생술(養生術)을 잘 아는 사람을 가리킴.
중국>춘추전국시대ㅣ고대 , 중국 , 사상>술어>관용어
-
황^우(黃^禹)
중국 고대 전설상의 제왕인 헌원(軒轅)과 하(夏) 나라를 세운 우(禹)를 함께 부르는 말. 큰 업적을 남긴 성군(聖君)을 말함.
중국>하ㅣ고대 , 중국 , 사상>술어>관용어
-
황^우(黃^虞)
중국 고대 전설상의 제왕인 헌원(軒轅)과 순(舜)을 함께 부르는 말. 태평성대를 이룬 성군(聖君)을 가리킴.
고대 , 중국 , 사상>술어>관용어
-
황^웅(況^雄)
중국 춘추전국시대 조(趙) 나라의 학자로 성악설(性惡說)을 주장한 순황(荀況)과, 전한(前漢) 말의 학자로 성선악혼설(性善惡混說)을 주장한 양웅(揚雄)을 함께 부르는 말. 유학(儒學)의 이단(異端)을 말함.
중국>전한ㅣ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사상>술어>관용어
-
황^이(黃^李)
중국 송(宋) 나라의 문신ㆍ학자인 황간(黃榦)과 이번(李燔)을 함께 부르는 말. 두 사람 모두 주희(朱熹)의 문인(門人)으로 학문 부흥과 후진 양성에 힘쓴 훌륭한 제자를 말함.
중국>송 , 중국 , 사상>술어>관용어
-
황간(黃榦)
중국 송(宋) 나라 광종(光宗)~영종(寧宗) 때의 문신ㆍ학자. 주희(朱熹)의 문인이자 사위. 지안경부(知安慶府) 등을 지냈으며 양담계(陽潭溪)에서 담계정사(潭溪精舍)를 세워 저술활동과 후진교육에 힘씀.
1152~1221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황감(黃甘)
조선 전기의 문인 최연(崔演)의 〈국수재전(麴秀才傳)〉에 등장하는 가상의 인물.
한국>조선전기 , 인명>기타인명>기타인물
-
황강사(黃崗祠)
조선 선조 때 전라도 전주(全州)에 건립한 황강서원(黃崗書院) 경내에 있는 사우(祠宇). 이문정(李文挺)ㆍ이목(李穆) 등을 배향함.
1603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전주 , 유적>건물>사당
-
황견(黃堅)
송(宋) 나라 말기의 학자. 시문선집인 고문진보(古文眞寶)를 편찬함.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황계옥(黃啓沃)
조선 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단양(丹陽). 선공감 정(繕工監正)을 지낸 황진손(黃震孫)의 아들로, 정시(庭試)의 참시관(參試官)을 지냄. 홍문관 응교(弘文館應敎)로 회령(會寧)의 화재사건을 조사하기 위해 현지로 가던 중 병사함.
?~1494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단양 , 인명>관인>문신
-
황계옥(黃季沃)
조선 중종(中宗) 때의 유학. 본관은 덕산(德山). 봉상시 정(奉常寺正)을 지낸 황필(黃㻶)의 아들로, 1513년(중종 8) 진사시(進士試)에 입격하여 사옹원 참봉(司饔院參奉)을 지냄. 조광조(趙光祖)를 모함하는 상소를 올림.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덕산ㅣ서울 , 인명>문사>유학
-
황곡립(黃鵠立)
조선 효종(孝宗) 때의 유학. 본관은 회덕(懷德). 황종해(黃宗海)의 아들로, 1652년(효종 3)에 진사시(進士試)에 입격함.
1613~?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목천 , 인명>문사>유학
-
황공소(黃公紹)
송(宋) 말~원(元) 초의 학자. 송 나라 말기에 진사가 되었으나 원 나라가 들어서자 벼슬길에 나아가지 않음. 저서에 《고금운회(古今韻會)》가 있음.
중국>원ㅣ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황관(黃瓘)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장수(長水). 장원군(長原君) 황맹헌(黃孟獻)의 아버지로, 김해 부사(金海府使)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황귀수(黃龜壽)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덕산(德山). 목사(牧使) 황린(黃璘)과 부윤(府尹) 황필(黃㻶)의 아버지.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선산ㅣ충청도>덕산 , 인명>문사>유학
-
황균(黃均)
조선 중종(中宗) 때의 유학. 본관은 회덕(懷德). 북부 참봉(北部參奉)을 지낸 황윤희(黃允熙)의 아들로, 1528년(중종 23) 생원시(生員試)에 입격함. 홍섬(洪暹)과 교유함.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문사>유학
-
황극경세서(皇極經世書)
중국 북송(北宋)의 학자 소옹(邵雍)이 저술한 철학서(哲學書). 12권. 역리(易理)를 응용하여 수리(數理)로써 천지만물의 생성과 변화를 설명함.
중국>송 , 중국 , 문헌>서명
-
황기(黃琦)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창원(昌原)으로, 공조 판서 황형(黃衡)의 아들. 김안로(金安老)의 천거로 대사간에 올랐지만 그의 청탁을 거부하여 길주 목사(吉州牧使)로 좌천되고, 다시 발탁된 뒤 경기 감사(京畿監司)로 재임 중에 사망함.
1498~1539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창원 , 인명>관인>문신
-
황기로(黃耆老)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명필. 본관은 덕산(德山). 사옹원 참봉(司饔院參奉) 황계옥(黃季沃)의 아들. 글씨에 능했는데, 특히 초서(草書)를 잘 써서 ‘초성(草聖)’으로 불렸으며 《근묵(槿墨)》 등에 작품을 남김.
1521~1567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선산ㅣ충청도>덕산 , 인명>예술인>서화가
-
황기준(黃起峻)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장수(長水). 호분위 부호군(虎賁衛副護軍)을 지낸 황열(黃悅)의 아버지로, 조지서 별제(造紙署別提)를 지냄.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황대수(黃大受)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창원(昌原). 조지서 별제(造紙署別提)를 지낸 황원(黃瑗)의 아들로, 1564년(명종 19) 별시(別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형조 정랑(刑曹正郞)을 지냄.
1534~1571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창원 , 인명>관인>문신
-
황돈집(篁墩集)
중국 명(明) 나라 효종(孝宗) 때의 문신ㆍ학자인 정민정(程敏政)의 문집. 93권.
중국>명 , 중국 , 문헌>서명
-
황린(黃璘)@황귀수의아들
조선 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덕산(德山). 문장가로 이름을 떨치고, 정붕(鄭鵬), 김일손(金馹孫) 등과 도의로 사귐. 1477년(성종 8) 춘당대시(春塘臺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합천 군수(陜川郡守)·상주 목사(尙州牧使)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선산ㅣ충청도>덕산 , 인명>관인>문신
-
황린(黃璘)@황순경의아들
조선 중종(中宗) 때의 유학. 본관은 창원(昌原). 자산 군수(慈山郡守)를 지낸 황순경(黃舜卿)의 아들로, 1543년(중종 38) 진사시(進士試)에 입격함.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문사>유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