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황맹헌(黃孟獻)
조선 연산군(燕山君)~중종(中宗) 때의 문신ㆍ공신. 본관은 장수(長水). 영의정 황희(黃喜)의 현손이며 김해 부사(金海府使) 황관(黃瓘)의 아들. 중종반정(中宗反正)에 가담하고, 이과(李顆)의 옥사(獄事)를 다스린 공으로 정난공신(定難功臣)에 책록됨.
1472~1535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황명기략(皇明紀略)
조선 효종(孝宗) 때의 문신ㆍ학자인 김육(金堉)이 지은 편년체 역사서. 명(明) 나라 태조(太祖) 원년(1368)에서 천계(天啓) 연간(1627)까지의 사실(史實)을 간략하게 초록함. 6권 3책.
한국>조선후기 , 문헌>서명
-
황명이학명신언행록(皇明理學名臣言行錄)
중국 명(明) 나라의 학자인 양렴(楊廉)이 설선(薛瑄) 등 명 나라 유학자 15인의 언행을 수집하여 편찬한 책. 2권.
1523 중국>명 , 중국 , 문헌>서명
-
황명통기(皇明通紀)
중국 명(明) 나라의 학자인 진건(陳建)이 지은 명 나라에 대한 편년체 역사서. 명 나라 홍무(洪武) 원년(1368)에서 정덕(正德) 연간(1521)까지 기록되었으며, 가정(嘉靖) 연간(1522~1566)에 편집되었을 것으로 추정됨.
중국>명 , 중국 , 문헌>서명
-
황박(黃博)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장수(長水). 사헌부 장령(司憲府掌令)을 지낸 황윤준(黃允峻)의 아들로, 을사사화 때 권벌(權橃)ㆍ이언적(李彦迪)을 두둔하다 중도부처(中途付處)됨.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황보곤(黃輔坤)
조선 중종(中宗) 때의 유학. 본관은 평해(平海). 진용교위(進勇校尉) 황옥숭(黃玉崇)의 아들로, 1513년(중종 8) 생원시(生員試)에 입격함.
한국>조선전기 , 강원도>평해 , 인명>문사>유학
-
황보기(皇甫琦)
고려 고종(高宗)~충렬왕(忠烈王) 때의 문신. 본관은 영천(永川). 고종 때 대장군으로 몽고에 사신으로 다녀왔고, 원종(元宗)이 원 나라에서 환국할 때 어가(御駕)를 제때 봉영(奉迎)하지 않았다가 힐책을 당함. 문하시랑 평장사(門下侍郞平章事)로 치사(致仕)함.
?~1285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영천(永川) , 인명>관인>문신
-
황보밀(皇甫謐)
중국 남북조시대 진(晉) 나라의 학자. 집안이 빈한하여 고학으로 제자백가(諸子百家)를 섭렵하고 많은 저서를 남겼는데, 특히 침구학(鍼灸學)에 심취하여 《황제삼부침구갑을경(黃帝三部針灸甲乙經)》등을 저술함.
215~282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황보인(皇甫仁)
조선 태종(太宗)~단종(端宗) 때의 문신. 본관은 영천(永川). 《세종실록(世宗實錄)》편찬에 참여하고, 영의정을 지냄. 1453년(단종 1) 계유정난 때 김종서(金宗瑞)ㆍ정분(鄭奔)ㆍ이양(李穰)ㆍ조극관(趙克寬) 등과 함께 단종을 보필하던 중 피살됨.
1387~1453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영천(永川) , 인명>관인>문신
-
황보항(皇甫抗)
고려 명종(明宗) 때의 문인. 본관은 영천(永川). 죽림고회(竹林高會) 7인 중의 한 명으로, 1176년(명종 6) 승보시(升補試)에 수석으로 급제하였으나 중원 서기(中原書記)에 머무름. 악장(樂章)에 능하였다 함.
한국>고려후기 , 충청도>충주 , 인명>문사>문인
-
황사간(黃士幹)
조선 태종(太宗) 때의 문신. 본관은 상주(尙州). 상산군(商山君) 황효원(黃孝源)의 아버지로, 승문원 정자(承文院正字)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상주 , 인명>관인>문신
-
황사우(黃士祐)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창원(昌原). 친척인 김안로(金安老)가 정권을 잡자 권세를 부리며, 뇌물을 받고 벼슬을 팔아 치부했다는 비판을 받음. 이조 판서(吏曹判書)ㆍ우찬성(右贊成) 등을 지냄.
1486~1536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풍기 , 인명>관인>문신
-
황사윤(黃斯允)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창원(昌原). 고원 군수(高原郡守)를 지낸 황징(黃澄)의 아버지로, 평안도 절도사(平安道節度使)를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창원 , 인명>관인>문신
-
황사효(黃事孝)
조선 성종(成宗)~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 본관은 장수(長水)로, 영의정 황희(黃喜)의 손자. 황해도 관찰사(黃海道觀察使)ㆍ대사헌(大司憲) 등을 지냈음. 부랑무상(浮浪無常)한 행동이 많아 방백의 체통을 지키지 않았다는 비난을 받기도 함.
?~1495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장수 , 인명>관인>문신
-
황산곡시집(黃山谷詩集)
중국 송(宋) 나라의 시인인 황정견(黃庭堅)의 시집. 1483년(조선 성종 14)에 서거정(徐居正)ㆍ노사신(盧思愼)ㆍ허종(許琮)ㆍ어세겸(魚世謙)ㆍ유순(柳洵)ㆍ유윤겸(柳允謙) 등이 왕명에 따라 우리말로 번역함.
중국>송 , 중국 , 문헌>서명
-
황산대첩비(荒山大捷碑)
조선 선조(宣祖) 때 전라도 남원(南原)에 세운 비석. 이성계(李成桂)ㆍ이지란(李之蘭) 장군이 1380년(고려 우왕 6)에 지리산 부근 황산에서 왜적 아기발도(阿只拔都) 군대를 물리친 사실을 기념하기 위해 세움. 김귀영(金貴榮)이 짓고 송인(宋寅)이 썼으며, 남응운(南應雲)이 각자(刻字)함.
1577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남원 , 유적>기타유적
-
황상(黃裳)@고려
고려 충혜왕(忠惠王)~우왕(禑王) 때의 무신. 본관은 의창(義昌)으로, 회산군(檜山君) 황석기(黃石奇)의 아들. 장사성(張士誠) 토벌과 기철(奇轍) 일파 숙청에 참여했으며, 개경 등지에 침입한 홍건적과 왜구의 침입을 격파하는 데 수훈을 세움.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창원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무신
-
황상(黃裳)@송
중국 송(宋) 나라 광종(光宗) 때의 문신. 좌승상(左丞相) 유정(留正)에 의해 발탁되어 익선(翊善)을 지내며 황자(皇子)였던 영종(寧宗)을 보필함. 저서에 《왕부춘추강의(王府春秋講義)》ㆍ《겸산집(兼山集)》 등이 있음.
1146~1194 중국>송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황서(黃瑞)
고려 충렬왕(忠烈王) 때의 문신. 본관은 평해(平海)로, 정당문학(政堂文學)을 지낸 백문보(白文寶)의 장인. 첨의평리(僉議評理)ㆍ문하시중(門下侍中)을 지냄.
한국>고려후기 , 강원도>평해 , 인명>관인>문신
-
황서절(黃瑞節)
중국 원(元) 나라의 학자. 길안부(吉安府) 안복현(安福縣) 사람으로 벼슬에 나가지 않고 성리학에 매진하여 《주자성서(朱子成書)》를 편찬함.
중국>원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황석(黃錫)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창원(昌原). 황한필(黃漢弼)ㆍ황한충(黃漢忠)의 아버지로, 훈도(訓導)를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창원 , 인명>관인>문신
-
황석기(黃石奇)
고려 충혜왕(忠惠王)~공민왕(恭愍王) 때의 문신. 본관은 의창(義昌). 조적(曺頔)과 기철(奇轍)의 무리를 제거할 때 공을 세웠으며, 문하시랑 동중서문하평장사(門下侍郞同中書門下平章事) 등을 역임함.
?~1364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창원 , 인명>관인>문신
-
황선(黃璇)
조선 중종(中宗) 때의 유학. 본관은 남원(南原). 사재감 첨정(司宰監僉正)을 지낸 황예창(黃禮昌)의 아들로, 1528년(중종 23)에 진사시(進士試)에 입격함.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문사>유학
-
황섬(黃暹)
조선 명종(明宗)~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본관은 창원(昌原). 동지돈녕부사(同知敦寧府事) 황응규(黃應奎)의 아들이며 정탁(鄭琢)의 문인. 임진왜란 때 왕을 호종하고 평안도 모운사(平安道募運使)가 되어 군량 조달 등의 공을 세움.
1544~1616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황섬(黃蟾)
조선 전기의 무신. 본관은 장수(長水). 판결사(判決事)를 지낸 황윤준(黃允峻)의 아버지로, 첨절제사(僉節制使)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장수 , 인명>관인>무신
-
황성창(黃誠昌)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장수(長水)로, 영의정 황희(黃喜)의 증손. 1491년(성종 22) 별시(別試)에 급제하여 병조 참지(兵曹參知)ㆍ대사간(大司諫)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장수 , 인명>관인>문신
-
황세근(黃世懃)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상주(尙州). 대사헌(大司憲)을 지낸 황우한(黃佑漢)의 아버지.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상주 , 인명>문사>유학
-
황소(黃巢)
중국 당(唐) 나라 희종(僖宗) 때 농민반란군의 영수. 조주(曹州) 원구(冤句) 사람으로 농민반란군의 영수였던 왕선지(王仙芝)의 뒤를 계승하여 한때 당 나라의 수도인 장안(長安)을 점령하고 제위(帝位)에 올랐으나, 관군의 반격으로 자살함.
?~884 중국>당 , 중국 , 인명>기타인명>역적
-
황수(黃瀡)
조선 광해군(光海君)~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창원(昌原). 전라 감사(全羅監司) 황치경(黃致敬)의 아들로, 연천 현감(漣川縣監)ㆍ병조 정랑(兵曹正郞) 등을 지냄.
1587~?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황수량(黃秀良)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평해(平海). 이황(李滉)의 문인이며 금계(錦溪) 황준량(黃俊良)의 아우. 황준량 사후(死後)에 유집(遺集)을 수습하여 퇴계(退溪)에게 편차(編次)를 부탁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풍기 , 인명>문사>유학
-
황수신(黃守身)
조선 세종(世宗)~세조(世祖) 때의 문신ㆍ공신. 본관은 장수(長水)로, 영의정(領議政) 황희(黃喜)의 아들. 영의정에 오르고, 세조 등위에 공을 세워 좌익공신(佐翼功臣)에 책록됨. 《법화경(法華經)》등 불경의 번역을 주관함.
1407~1467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장수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황순(黃㽦)
중국 송(宋) 나라 효종(孝宗)~영종(寧宗) 때의 문신ㆍ학자. 주자(朱子)의 문인(門人)이며 황정견(黃庭堅)의 질손(姪孫)으로, 군기감 승(軍器監丞)ㆍ지원주(知袁州) 등을 지냄.
1150~1212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황순경(黃舜卿)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창원(昌原). 유학 황린(黃璘)의 아버지로, 자산 군수(慈山郡守)를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창원 , 인명>관인>문신
-
황신(黃愼)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본관은 창원(昌原)으로, 형조 정랑(刑曹正郞) 황대수(黃大受)의 아들. 성혼(成渾)과 이이(李珥)의 문인으로, 임진왜란 때 위성공신(衛聖功臣)에 책록되었으나, 계축화옥(癸丑禍獄) 때 유배되어 죽음.
1562~1617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부여ㅣ경기도>강화ㅣ서울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황암서원(黃巖書院)
조선 숙종(肅宗) 때 경상도 안음(安陰)에 건립한 서원. 1717년(숙종 43)에 사액되었으며, 조종도(趙宗道)ㆍ곽준(郭䞭) 등을 배향함.
1715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안음 , 유적>건물>서원,향교
-
황양충(黃亮沖)
고려 후기의 향리. 창원(昌原)에 정착하여 호장(戶長)을 지냄으로써 창원황씨(昌原黃氏) 호장공파(戶長公派)의 시조가 됨.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창원 , 인명>관인>아전
-
황언원(黃彦遠)
중국 송(宋) 나라 휘종(徽宗) 때의 문신. 근계(金溪) 사람으로 길수령(吉水令)을 지냄.
중국>송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황여헌(黃汝獻)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ㆍ문인. 본관은 장수(長水). 영의정 황희(黃喜)의 현손으로, 김해 부사(金海府使)를 지낸 황관(黃瓘)의 아들이며 황맹현(黃孟獻)의 아우. 문장과 글씨에 능하며, 〈죽지사(竹枝詞)〉라는 작품은 명(明) 나라에서도 격찬을 받음.
1486~?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황열(黃悅)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장수(長水)로, 병조 판서를 지낸 황정욱(黃廷彧)의 아버지. 1536년(중종 31) 별시(別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용양위 호군(龍驤衛護軍)을 지냄.
1501~?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장수 , 인명>관인>문신
-
황염(黃恬)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장수(長水). 판결사(判決事)를 지낸 황윤준(黃允峻)의 아들로, 첨지중추부사(僉知中樞府事)를 지냄.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장수 , 인명>관인>문신
-
황영(黃瑛)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남원(南原). 사재감 첨정(司宰監僉正)을 지낸 황예창(黃禮昌)의 아들.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남원 , 인명>문사>유학
-
황예창(黃禮昌)
조선 연산군(燕山君)~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남원(南原). 중종반정(中宗反正) 후 원종공신(原從功臣)이 되었고, 사재감 첨정(司宰監僉正) 등을 지냄.
1459~1533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남원 , 인명>관인>문신
-
황옥숭(黃玉崇)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평해(平海). 유학 황보곤(黃輔坤)의 아버지로, 한성 판관(漢城判官)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강원도>평해 , 인명>관인>문신
-
황우한(黃佑漢)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상주(尙州). 삼사(三司)의 요직을 두루 지내고 성절사(聖節使)가 되어 명(明) 나라에 다녀옴. 호조 참판(戶曹參判)ㆍ병조 참판(兵曹參判)ㆍ대사헌(大司憲) 등을 지냄.
1541~1606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황원(黃瑗)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창원(昌原). 형조 정랑(刑曹正郞)을 지낸 황대수(黃大受)의 아버지로, 조지서 별제(造紙署別提)를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창원 , 인명>관인>문신
-
황유(黃裕)
조선 제3대 태종(太宗)의 부마. 본관은 회덕(懷德). 판사(判事) 황자후(黃子厚)의 아들로, 태종의 열한 번째 딸인 숙안옹주(淑安翁主)와 혼인함.
1421~1450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회덕 , 인명>왕실>인척
-
황윤길(黃允吉)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장수(長水). 1590년(선조 23) 통신정사(通信正使)로 일본에 다녀와 일본의 내침을 예견하고 대책을 강구하였으나, 김성일(金誠一)의 상반된 주장으로 뜻을 이루지 못함.
1536~?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황윤석(黃胤錫)
조선 영조(英祖)~정조(正祖)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평해(平海). 김원행(金元行)의 문인으로, 종래의 이학(理學)과 서구 지식의 조화를 시도함. 《이재유고(頤齋遺藁)》에 실린 운학(韻學)에 대한 연구는 국어학사의 연구대상이 됨.
1729~1791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흥덕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황윤조(黃胤祖)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우주(紆州). 좌의정을 지낸 황헌(黃憲)의 아버지로, 현감(縣監)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관인>문신
-
황윤준(黃允峻)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장수(長水). 1517년(중종 12) 별시(別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사헌부 장령(司憲府掌令)ㆍ판결사(判決事)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황윤희(黃允熙)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회덕(懷德). 유학 황균(黃均)의 아버지로, 북부 참봉(北部參奉)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회덕 , 인명>관인>문신
-
황응규(黃應奎)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창원(昌原). 황사우(黃士祐)의 아들이며, 주세붕(周世鵬)ㆍ이황(李滉)의 문인. 호조(戶曹)ㆍ형조(刑曹)ㆍ공조(工曹)의 정랑(正郞)과 좌랑(左郞) 등을 지냄.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양곡을 군량으로 바치고 의병을 모아 출전함.
1518~1598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풍기 , 인명>관인>문신
-
황의강(黃義剛)
중국 송(宋) 나라의 학자. 임천(臨川) 사람으로 주자(朱子)의 문인(門人).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황일호(黃一皓)
조선 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창원(昌原). 황척(黃惕)의 아들로, 큰아버지 황신(黃愼)에게 출계함. 병자호란 때 남한산성에서 인조를 호종하고, 의주 부윤(義州府尹)으로 있던 1638년(인조 16)에 명(明) 나라를 도와 청(淸) 나라를 치고자 모의하였으나 발각되어 청 나라 병사에게 피살됨.
1588~1641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창원 , 인명>관인>문신
-
황자(黃子)
중국 전한(前漢)의 도사. 사마담(司馬談)에게 도가(道家)의 이론을 전수함.
중국>전한 , 중국 , 인명>기타인명>도사
-
황자후(黃子厚)
조선 태종(太宗)~세종(世宗) 때의 문신. 본관은 회덕(懷德). 회천위(懷川尉) 황유(黃裕)의 아버지로, 한성부 윤(漢城府尹)ㆍ중추원 부사(中樞院副使) 등을 지냄. 호패법(戶牌法)을 건의하여 시행하고, 침구(鍼灸)의 전문직을 둘 것을 건의함.
1363~1440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회덕 , 인명>관인>문신
-
황잠(黃潛)
중국 원(元) 나라의 학자. 송렴(宋濂) 등이 그의 문하에서 수학함.
중국>원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황잠선(黃潛善)
중국 송(宋) 나라 휘종(徽宗)~고종(高宗) 때의 문신. 호부 시랑(戶部侍郞)ㆍ우상(右相) 등을 지냈으나, 금군(金軍)이 남침했을 때 왕백언(汪伯彦) 등과 함께 방비책을 강구하지 않고 화평을 주장하여 송 나라를 패배하게 함.
?~1129 중국>송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황전(黃㙻)
조선 후기의 유학. 본관은 평해(平海)로, 운학자(韻學者) 황윤석(黃胤錫)의 아버지. 윤봉구(尹鳳九)와 정주학(程朱學)에 관련된 이야기를 편지로 주고받으며 교유함.
?~1771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흥덕 , 인명>문사>유학
-
황정견(黃庭堅)
중국 송(宋) 나라의 문신ㆍ시인ㆍ화가. 소식(蘇軾)의 문인으로 강서파(江西派)의 시조. 시ㆍ문장(文章)ㆍ행초(行草) 등이 모두 당대를 풍미할 만큼 절묘하고, 진관(秦觀)ㆍ장뢰(張耒)ㆍ조보지(晁補之)와 함께 소문사학사(蘇門四學士)로 일컬어짐.
1045~1105 중국>송 , 중국 , 인명>예술인>서화가ㅣ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황정경(黃庭經)
도가 경전(道家經典)의 하나. 중국 남북조시대 위(魏)ㆍ진(晉)의 도가들이 양생(養生)과 수련(修練)의 학습에 사용하던 책으로, 왕희지(王羲之)가 써주고 거위와 바꾸었다는 고사로 유명함.
고대 , 중국 , 문헌>서명
-
황정내경경(黃庭內景經)
도가(道家)의 양생법(養生法)을 기술한 책. 양구자(梁邱子)가 주석을 달았으며, 도가서(道家書) 중에서도 가장 중요하게 생각되어 많이 읽힘.
고대 , 중국 , 문헌>서명
-
황정식(黃廷式)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장수(長水). 용양위 호군(龍驤衛護軍)을 지낸 황열(黃悅)의 아들로, 우부승지(右副承旨)ㆍ병조 판서(兵曹判書) 등을 지냄.
1529~1592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황정외경경(黃庭外景經)
중국 위(魏)ㆍ진(晉) 시대에 성행한 도가(道家) 수련비결서. 《황정내경경(黃庭內景經)》의 바탕이 됨. 도가에서 중시한 서적으로, 양구자(粱邱子)와 무성자(務成子)의 주석이 유명함.
고대 , 중국 , 문헌>서명
-
황정욱(黃廷彧)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장수(長水). 해동강서시파(海東江西詩派)인 호소지(湖蘇芝)의 일원.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순화군(順和君)을 배종하여 관동으로 피난했다가 왜군의 포로가 되어 항복 권유문을 씀.
1532~1607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기타인명>공신
-
황제내경(黃帝內經)
중국 고대 신화상의 인물인 황제(黃帝)와 신하이자 명의인 기백(岐伯)이 의술에 관해 토론한 것을 기술한 책. 진한(秦漢)시대에 가탁(假託)한 것이라고도 함. 18권.
고대 , 중국 , 문헌>서명
-
황제삼부침구갑을경(黃帝三部針灸甲乙經)
중국 남북조시대 진(晉) 나라의 학자인 황보밀(皇甫謐)이 지은 침구서. 가장 오래된 침구 전문서임.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문헌>서명
-
황조명신언행록(皇朝名臣言行錄)
중국 명(明) 나라의 학자인 양렴(楊廉)이 명 나라 명신(名臣) 54인의 언행을 수집하여 편찬한 책. 4권.
중국>명 , 중국 , 문헌>서명
-
황종해(黃宗海)
조선 광해군(光海君)~인조(仁祖) 때의 학자. 본관은 회덕(懷德). 정구(鄭逑)의 문인으로, 1611년(광해군 3) 유생들과 상소하여 정인홍(鄭仁弘)의 전횡을 논박함. 폐모론(廢母論)이 일어나자 과거를 단념하고 사계(沙溪) 김장생(金長生)에게 예학(禮學)을 배움.
1579~1642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목천 , 인명>문사>학자
-
황준량(黃俊良)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평해(平海). 이황(李滉)의 문인으로, 호조 좌랑(戶曹佐郞)ㆍ신녕 현감(新寧縣監) 등을 지내고, 교육진흥에 힘을 기울여 문묘(文廟)를 수축하고 백학서원(白鶴書院)을 창설하는 등의 많은 치적을 남김.
1517~1563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풍기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황중(黃中)
중국 송(宋) 나라의 문신. 소무(邵武) 사람으로, 단명전 학사(端明殿學士)ㆍ병부 상서(兵部尙書) 등을 지내고, 《주의(奏議)》를 저술함.
중국>송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황진(黃溍)
중국 원(元) 나라 인종(仁宗)~혜종(惠宗) 때의 문신ㆍ학자. 시강학사(侍講學士) 등을 지내고, 게혜사(揭傒斯)ㆍ우집(虞集)ㆍ유관(柳貫)과 함께 유림사걸(儒林四傑)로 불림. 저서로 《일손재필기(日損齋筆記)》ㆍ《황문헌집(黃文獻集)》이 있음.
1277~1357 중국>원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황진(黃璡)@조선후기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창원(昌原).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의주 목사(義州牧使)로 선조를 잘 공궤(供饋)하여 가선대부(嘉善大夫)로 승계되고, 주청사(奏請使)로 명(明) 나라에 가서 진병(進兵)ㆍ철병(撤兵) 등을 요청함.
1542~1606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창원 , 인명>관인>문신
-
황진(黃璡)@조선전기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창원(昌原). 사간원 사간(司諫院司諫)을 지낸 황효공(黃孝恭)의 아버지로, 군자감 판관(軍資監判官)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영천(榮川) , 인명>관인>문신
-
황진(黃震)
중국 송(宋) 나라의 문신. 영종(寧宗)과 이종(理宗) 때의 국사와 실록을 편수하고, 저서에 《고금기요(古今紀要)》ㆍ《일초(日抄)》등이 있음.
1213~1280 중국>송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황진손(黃震孫)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단양(丹陽). 홍문관 응교(弘文館應敎) 황계옥(黃啓沃)의 아버지로, 선공감 정(繕工監正)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단양 , 인명>관인>문신
-
황진이(黃眞伊)
조선 종종(中宗) 때의 기생. 한시(漢詩)와 시조에 뛰어났는데 시조 6수가 《청구영언(靑丘永言)》에 전하며, 서경덕(徐敬德)ㆍ박연폭포(朴淵瀑布)와 더불어 송도삼절(松都三絶)로 불림.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개성 , 인명>기술인>기생
-
황집중(黃執中)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ㆍ서화가. 본관은 창원(昌原). 1576년(선조 9) 진사시(進士試)에 입격하여 경력(經歷)을 지냄. 묵포도(墨葡萄)를 잘 그려 이정(李霆)의 묵죽(墨竹)과 어몽룡(魚夢龍)의 묵매(墨梅)와 함께 삼절(三絶)로 불림.
1533~?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예술인>서화가ㅣ인명>관인>문신
-
황징(黃澄)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창원(昌原). 평안도 절도사(平安道節度使)를 지낸 황사윤(黃斯允)의 아들로, 고원 군수(高原郡守) 등을 지냄.
1456~1512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창원 , 인명>관인>문신
-
황찬(黃瓚)
중국 명(明) 나라의 문신. 한림학사(翰林學士) 등을 지냈으며, 요동(遼東)에 유배되었을 때 세종(世宗)의 명을 받은 신숙주(申叔舟)ㆍ성삼문(成三問)ㆍ손수산(孫守山)에게 음운(音韻)을 자문해줌.
중국>명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황초기(黃初起)
중국 후한(後漢)~남북조시대 진(晉) 나라의 유학. 금화산(金華山)에서 도를 닦아 신선이 되었다는 황초평(黃初平)의 형.
중국>후한 , 중국 , 인명>문사>유학
-
황초평(黃初平)
중국 후한(後漢)~남북조시대 진(晉) 나라 때의 신선. 15세 때 양(羊)을 먹이러 나갔다가 도사(道士)를 만나 금화산(金華山) 석실(石室)로 들어가 40년간 도를 닦고 신선이 되었다고 함.
중국>후한 , 중국 , 인명>기타인명>기타인물
-
황충(黃忠)
중국 삼국시대 촉(蜀) 나라의 장수. 강주(江州)를 지키다가 장비(張飛)에게 생포된 뒤 엄안(嚴顔)과 더불어 유비(劉備)의 심복이 되어 많은 공을 세움.
?~220 중국>삼국시대 , 중국 , 인명>관인>무신
-
황충준(黃忠俊)
고려 충렬왕(忠烈王) 때의 문신. 창원황씨(昌原黃氏)의 시조로, 문하시중(門下侍中)을 지냄.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창원 , 인명>관인>문신
-
황치(黃觶)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평해(平海). 황준량(黃俊良)ㆍ황수량(黃秀良) 형제의 아버지.
한국>조선전기 , 강원도>평해 , 인명>문사>유학
-
황치경(黃致敬)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창원(昌原). 병조 정랑(兵曹正郞) 황수(黃瀡)의 아버지로, 전라 감사(全羅監司) 등을 지냄.
1554~1627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창원 , 인명>관인>문신
-
황치신(黃致身)
조선 태종(太宗)~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장수(長水)로, 황희(黃喜)의 아들. 음보(蔭補)로 등용되어 판중추부사(判中樞府事)에 이름. 형조 정랑(刑曹正郞) 시절 세도가에서 평민을 노비로 삼아 50여 년 소송하던 사건을 한 달 만에 해결하여 양민으로 복적시킴.
1397~1484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장수 , 인명>관인>문신
-
황탕경(黃湯卿)
조선 시대의 문신. 본관은 창원(昌原). 의주 목사(義州牧使) 황진(黃璡)의 아버지로, 함흥 판관(咸興判官)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창원 , 인명>관인>문신
-
황패(黃霸)
중국 전한(前漢) 무제(武帝)~선제(宣帝) 때의 문신. 영천 태수(潁川太守)로 나가 치민제일(治民第一)로 꼽힐 만큼 뛰어난 정사를 펼쳤고, 승상(丞相)의 지위에 오름.
?~B.C.51 중국>전한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황필(黃㻶)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덕산(德山). 병조 참판에 증직된 황귀수(黃龜壽)의 아들로, 김종직(金宗直)의 문하에서 수학함. 1492년(성종 23) 별시(別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경주 부윤(慶州府尹) 등을 지냄.
1464~1526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선산ㅣ충청도>덕산 , 인명>관인>문신
-
황하(黃河)
중국 청해성(青海省) 파안(巴顏) 객라산(喀喇山)에서 발원하여 감숙성(甘肅省)ㆍ섬서성(陝西省)ㆍ하남성(河南省)ㆍ산동성(山東省) 등을 거쳐 발해만(渤海灣)으로 흘러 들어가는 강. 중국에서 두 번째로 긴 강으로, 고대 문명의 발상지로 유명함.
중국 , 지명>자연지명
-
황학루(黃鶴樓)
중국 삼국시대 오(吳) 나라 때 호북성(湖北省) 무창현(武昌縣) 서쪽 황곡산(黃鵠山)에 세운 누각 이름. 강남(江南) 삼대 명루(三大名樓)의 하나.
223 중국>삼국시대 , 중국 , 유적>건물>누정
-
황한충(黃漢忠)
조선 연산군(燕山君) 때의 유학. 훈도(訓導)를 지낸 황석(黃錫)의 아들로, 1496년(연산군 2) 생원시(生員試)에 입격한 뒤 순흥(順興)의 우수동(愚叟洞)에 은거함.
1464~?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풍기 , 인명>문사>유학
-
황한필(黃漢弼)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창원(昌原). 훈도(訓導)를 지낸 황석(黃錫)의 아들이자 우수동주(愚叟洞主) 황한충(黃漢忠)의 형으로, 훈도(訓導)를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창원 , 인명>관인>문신
-
황향(黃香)
중국 후한(後漢) 장제(章帝)~화제(和帝) 때의 문신. 많은 전적(典籍)을 읽었고 문장을 잘 지었으므로 사람들이 ‘천하무쌍 강하황동(天下無雙江夏黃童)’이라 일컬었으며, 뒤에는 황동이 사관(史官)을 지칭하는 말로 쓰이기도 하였음.
중국>후한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황헌(黃憲)@후한
중국 후한(後漢) 때의 학자. 학행(學行)으로 한 시대의 추숭을 받았고, 효렴(孝廉)으로 천거되어 경사(京師)에 이르렀으나 벼슬하지 않아 징군(徵君)이라 일컬어졌음.
중국>후한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황헌(黃憲)@조선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우주(紆州). 보익공신(保翼功臣)에 추록되고 좌의정을 지냈으나, 윤원형(尹元衡)의 심복인 부제학 진복창(陳復昌)의 탄핵을 받고 삭훈(削勳)ㆍ탈작(奪爵)됨.
1502~1574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황혁(黃赫)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기대승(奇大升)의 문인.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왜군의 포로가 되어 아버지 황정욱(黃廷彧)을 대신해 항복 권유문을 썼고, 이이첨(李爾瞻)을 풍자한 시를 지었다가 무고를 받고 투옥되어 옥사함.
1551~1612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황협(黃挾)
조선시대의 문인. 본관은 창원(昌原). 경상도 칠원(漆原)에 있는 덕연서원(德淵書院)에 배향되었으며, 저서에 《독오집(獨悟集)》이 있음.
한국>조선시대 , 경상도>창원 , 인명>문사>문인
-
황형(黃衡)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무신. 본관은 창원(昌原). 경기 감사(京畿監司) 황기(黃琦)의 아버지로, 공조 판서(工曹判書) 등을 지냄.
1459~1520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창원 , 인명>관인>무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