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황호(黃灝)
중국 송(宋) 나라의 문신. 주희(朱熹)의 문인으로, 주자가 그의 강론(講論)이 정밀하다고 칭찬하였고 이 칭찬으로 인해 명망(名望)이 높아짐. 관직은 광동 제형(廣東提刑) 등을 지냄.
중국>송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황호(黃瑚)
조선 중종(中宗) 때의 유학. 본관은 남원(南原). 단성 현감(丹城縣監)을 지낸 황예창(黃禮昌)의 아들로, 1513년(중종 8) 진사시(進士試)에 입격함.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남원 , 인명>문사>유학
-
황홍헌(黃洪憲)
중국 명(明) 나라의 문신. 1582년(선조 15) 왕경민(王敬民)과 함께 사신으로 와서 황사(皇嗣) 탄생의 조서(詔書)를 반포함.
중국>명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황화집(皇華集)
조선시대에 명(明) 나라의 사신과 조선의 원접사(遠接使)가 주고받은 시를 모은 시문집. 50권. 목판본. 1450년(세종 32)부터 1633년(인조 11)까지 개별적으로 간행했던 것을 영조(英祖)가 한 질(帙)로 모아 간행함. 양국 간의 외교ㆍ정치ㆍ문화의 교류와 조선 전기의 지리ㆍ풍속 등을 연구하는 데 귀중한 자료가 됨.
1773 한국>조선후기 , 문헌>서명
-
황효공(黃孝恭)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창원(昌原). 사간원 사간(司諫院司諫)을 지냈으나, 탄핵을 받고 영천(榮川)으로 물러나 학문에 전념함. 특히 도상학(圖象學)과 《주역(周易)》에 조예가 깊어 이황(李滉)과 《주역》에 대해 토론하며 시문(詩文)을 주고받음.
1496~1553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영천(榮川)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황효원(黃孝源)
조선 세종(世宗)~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상주(尙州)로, 황사간(黃士幹)의 아들. 성격이 각박하여 수령(守令)을 종처럼 대하고 처첩(妻妾)으로 인한 소송(訴訟)이 그치지 않았으며, 재화를 탐하여 화가옹(貨家翁)이라 불림.
1414~1481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상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황효헌(黃孝獻)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장수(長水). 담론(談論)과 학문을 좋아하고 문장에 뛰어났으며, 풍의(風儀)가 아름다워 귀공자 같았다고 함. 이행(李荇)과 함께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 편찬에 참여함.
1491~1532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황희(黃喜)
고려 우왕(禑王)~조선 문종(文宗) 때의 문신. 본관은 장수(長水). 18년간 영의정(領議政)으로 있으면서 농사의 개량, 예법의 개정, 서얼(庶孼)의 천역(賤役) 면제 등 많은 업적을 남겨 세종(世宗)에게 신임을 받고, 청렴하여 백성에게서도 존경을 받음.
1376~1452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기도>개성 , 인명>관인>문신
-
회^사(淮^泗)
중국의 하남성(河南省) 남부에 있는 회수(淮水)와 산동성(山東省) 동부에 있는 사수(泗水)를 함께 부르는 말.
중국 , 지명>기타지명
-
회^퇴(晦^退)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ㆍ학자인 이언적(李彦迪)과 중종~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인 이황(李滉)을 함께 부르는 말. 성리학에 조예가 깊은 학자를 가리킴.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예안ㅣ경상도>경주 , 사상>술어>관용어
-
회^해(淮^海)
중국 후한(後漢) 영제(靈帝) 때의 은사(隱士)인 강굉(姜肱)과 그의 아우 강중해(姜仲海)를 함께 부르는 말. 효행과 우애로 이름이 난 사람을 말함.
중국>후한 , 중국 , 사상>술어>관용어
-
회계산(會稽山)
중국 절강성(浙江省) 소흥(紹興) 남동쪽에 있는 산. 춘추전국시대 때 월왕(越王) 구천(句踐)이 이곳에 난(蘭)을 심으면서 난저산(蘭渚山)으로 불림.
중국 , 지명>자연지명
-
회공(懷公)
중국 춘추전국시대(春秋戰國時代) 진(晉) 나라의 제후. 진(晉) 혜공(惠公)의 아들로 진(秦) 나라에 볼모로 잡혀있다 돌아왔지만, 망명했던 문공(文公)이 진(秦) 나라의 도움으로 돌아오자 고량(高梁)에서 살해당함.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왕실>제후
-
회군공신(回軍功臣)
고려 우왕(禑王) 때 위화도회군(威化島回軍)을 주도했던 인물에게 내린 훈호(勳號). 위화도 회군으로 이성계(李成桂)가 집권하게 되고 회군공신의 대부분이 조선 개국의 주역이 됨.
1390 한국>고려후기 , 법제>제도
-
회남자(淮南子)
중국 전한(前漢)의 학자인 유안(劉安)과 그의 빈객(賓客)들의 저서. 도가(道家) 사상에 의한 통일된 이론서로, 당시의 유교(儒敎) 중심의 이론에 대항함.
중국>전한 , 중국 , 문헌>서명
-
회란(懷蘭)
조선 전기의 승려. 보은(報恩)에 있는 법주사(法住寺)에 거주하였고, 고경명(高敬命)과 시문(詩文)으로 교유함.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보은 , 인명>종교인>승려
-
회록당집(懷麓堂集)
중국 명(明) 나라 헌종(憲宗)~무종(武宗) 때의 문신ㆍ문인인 이동양(李東陽)의 시문집. 목판본. 총 19책 112권.
1709 중국>명 , 중국 , 문헌>서명
-
회봉집(晦峯集)
한말의 성리학자인 안규용(安圭容)의 문집. 10권 5책. 연활자본. 전라도 보성(寶城)의 죽곡정사(竹谷精舍)에서 간행함.
1963 한국>근대 , 전라도>보성 , 문헌>서명
-
회사(廻師)
고려 후기의 승려. 원천석(元天錫)의 《운곡행록(耘谷行錄)》에 〈서환원회사권(書還源廻師卷)〉이 실려 있음.
한국>고려후기 , 인명>종교인>승려
-
회산군(檜山君)
조선 제9대 성종(成宗)의 다섯째 아들. 숙의(淑儀) 남양홍씨(南陽洪氏) 소생으로, 김굉필(金宏弼)에게 가르침을 받음. 연산군(燕山君) 때 궁전(宮田)을 반납했다가 중중(中宗)이 즉위하자 노비(奴婢)와 전답(田畓)ㆍ사저(私邸)를 하사받음.
1481~1512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왕자
-
회안대군(懷安大君)
조선 제1대 태조(太祖)의 넷째 아들. 신의왕후(神懿王后) 한씨(韓氏)의 소생으로, 제1차 왕자(王子)의 난(亂) 때 정도전(鄭道傳) 일파를 제거하는 데 공을 세워 정사공신(定社功臣)에 책록되었으나, 제2차 왕자의 난을 일으킨 후 실패하여 토산(兎山)에 유배됨.
1364~1421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서울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왕실>왕자
-
회암사(檜巖寺)
고려 충숙왕(忠肅王) 때 경기도 양주(楊州)에 중창된 사찰. 인도 승려 지공(指空)이 인도의 나란타사(羅爛陀寺)를 본떠 중창하고, 1378년(우왕 4) 혜근(惠勤)이 중건함.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양주 , 유적>건물>사찰
-
회암초당(晦庵草堂)
중국 송(宋) 나라 때 건양(建陽) 서쪽 운곡(雲谷)에 건립된 초당(草堂). 1170년에 주희(朱熹)가 세우고 강학(講學)하던 곳으로, 현재 복건성(福建省)의 노봉(盧峯)에 속함.
1170 중국>송 , 중국 , 유적>건물>사제
-
회양(懷讓)
중국 당(唐) 나라의 승려. 혜안(慧安)에게 구족계(具足戒)를 받은 후에 조계산(曹溪山)에 들어가 선종(禪宗) 6조(祖)인 혜능(慧能) 밑에서 수행하고, 반야사(般若寺)에서 30년 동안 교화(敎化)를 펼침.
677~744 중국>당 , 중국 , 인명>종교인>승려
-
회연서원(檜淵書院)
조선 광해군(光海君) 때 경상도 성주(星州)에 건립된 서원. 1690년(숙종 16)에 사액되었으며, 정구(鄭逑)ㆍ이윤우(李潤雨) 등을 배향함
1622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성주 , 유적>건물>서원,향교
-
회왕(懷王)
중국 춘추전국시대 초(楚) 나라의 제후. 정사를 게을리 하고 직간(直諫)을 받아들이지 않자 굴원(屈原)이 《이소경(離騷經)》을 지어 깨우치려 함.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왕실>제후
-
회은집(晦隱集)
조선 숙종(肅宗) 때의 학자인 남학명(南鶴鳴)의 시문집. 5권 2책. 활자본. 우리나라 풍토에 관한 글과 인물의 언행 기록 등이 실려 있음.
한국>조선후기 , 문헌>서명
-
회의(懷義)
통일신라 성덕왕(聖德王) 때의 승려. 충청남도 공주(公州)에 있는 동학사(東鶴寺)를 창건함.
한국>통일신라 , 충청도>공주 , 인명>종교인>승려
-
회인향교(懷仁鄕校)
조선 세종(世宗) 때 충청도 보은(報恩)에 건립된 향교.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보은 , 유적>건물>서원,향교
-
회재집(晦齋集)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ㆍ학자인 이언적(李彦迪)의 시문집. 13권 5책. 목판본. 이황(李滉)이 행장(行狀)을 지어 붙인 정고본(定稿本)을 손자 이준(李浚)이 주관하여 간행함.
1575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경주 , 문헌>서명
-
회쟁론(廻諍論)
인도 대승불교의 승려ㆍ학자인 용수(龍樹)의 저서. 72의 게문(偈文)과 산문(散文)으로 쓴 주석(註釋)으로 구성되었으며, 공(空) 사상에 입각하여 반대파를 비판함.
기타지역 , 문헌>서명
-
회창법난(會昌法難)
중국 당(唐) 나라 무종(武宗) 때 일어난 불교 탄압 사건. 무종이 재상 이덕유(李德裕)와 함께 도사(道師) 조귀진(趙歸眞)의 의견을 전적으로 받아들여 시작되었는데, 수(隋)ㆍ당(唐) 대 번영했던 불교에 심각한 타격을 입힘.
845 중국>당 , 중국 , 사건>기타사건
-
회해(懷海)
중국 당(唐) 나라의 승려. 마조 도일(馬祖道一)의 제자로 선거(禪居)를 처음 제창하여 좌선의 법도를 새로이 구체화했으며, 선종(禪宗)의 세력을 더욱 강화시킴.
720~814 중국>당 , 중국 , 인명>종교인>승려
-
회해장단구(淮海長短句)
중국 송(宋) 나라 철종(哲宗)~휘종(徽宗) 때의 문신ㆍ문인인 진관(秦觀)의 시집. 총3권.
중국>송 , 중국 , 문헌>서명
-
회해집(淮海集)
중국 송(宋) 나라 철종(哲宗)~휘종(徽宗) 때의 문신ㆍ문인인 진관(秦觀)의 시문집. 총40권.
중국>송 , 중국 , 문헌>서명
-
회헌영당(晦軒影堂)
조선 숙종(肅宗) 때 전라도 곡성(谷城)에 있는 건립한 영당(影堂). 1676년(숙종 2) 창건되었으며, 회헌(晦軒) 안향(安珦)과 주희(朱熹)를 배향함.
1676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곡성 , 유적>건물>사당
-
횡포집(橫浦集)
중국 송(宋) 나라 고종(高宗) 때의 문신인 장구성(張九成)의 문집. 총20권. 문인 낭욱(郎昱)이 편찬함.
중국>송 , 중국 , 문헌>서명
-
효강장황후(孝康張皇后)
중국 명(明) 나라의 제9대 황제인 효종(孝宗)의 비(妃).
중국>명 , 중국 , 인명>왕실>왕비
-
효경(孝經)
중국 춘추전국시대 노(魯) 나라의 학자인 공자(孔子)와 제자 증삼(曾參)의 효(孝)에 관한 문답을 기록한 유교 경전. 십삼경(十三經) 중의 하나로, 증자의 제자들이 집록했다고 전함. 정현(鄭玄)ㆍ주희(朱熹)ㆍ마융(馬融) 등의 후대 학자들이 주석서를 발간함.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문헌>서명
-
효경본지(孝經本旨)
중국 송(宋) 나라 광종(光宗)~영종(寧宗) 때의 문신ㆍ학자인 황간(黃榦)의 저서. 《효경(孝經)》에 관한 주석서.
중국>송 , 중국 , 문헌>서명
-
효경연의(孝經衍義)
중국 송(宋) 나라의 학자인 동백우(童伯羽)의 저서.
중국>송 , 중국 , 문헌>서명
-
효경의(孝經義)
중국 남북조시대 양(梁) 나라의 초대 황제인 무제(武帝)의 저서. 《효경(孝經)》에 관한 주석서.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문헌>서명
-
효경후(孝景后)
중국 전한(前漢)의 제6대 황제인 경제(景帝)의 황후(皇后). 무안후(武安侯) 전분(田蚡)의 누나로, 외척인 위기후(魏其侯) 두영(竇嬰)을 기시(棄市)함.
중국>전한 , 중국 , 인명>왕실>왕비
-
효곡서원(孝谷書院)
조선 숙종(肅宗) 때 경상도 상주(尙州)에 건립한 서원. 송량(宋亮)ㆍ김충(金冲) 등을 배향함.
1685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상주 , 유적>건물>서원,향교
-
효공왕후(孝恭王后)
조선 태조(太祖)의 고조인 목조(穆祖)의 비. 본관은 평창(平昌). 이숙(李肅)의 딸로 태조 때 효비(孝妃)로 봉하고, 태종(太宗) 때 효공왕후(孝恭王后)로 추봉됨.
한국>고려후기 , 함경도>덕원ㅣ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왕비
-
효덕황(孝德皇)
중국 후한(後漢) 장제(章帝)의 장남. 황태자가 되었다가 훼참(毁讒)으로 폐위되어 청하왕(淸河王)에 봉해짐.
중국>후한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효령대군(孝寧大君)
조선 제3대 태종(太宗)의 둘째 아들. 원경왕후(元敬王后) 민씨(閔氏)의 소생으로, 효성과 우애가 지극하였고, 세종ㆍ문종ㆍ단종ㆍ세조ㆍ예종ㆍ성종으로부터 극진한 존경과 대우를 받았으며, 많은 불사(佛事)를 주관하여 불교의 보호와 진흥에 공헌함.
1396~1486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왕자
-
효명제(孝明帝)
중국 남북조시대 북위(北魏)의 제8대 황제. 재위 515~528. 선무제(宣武帝)를 이어 황제가 되었지만 20세의 젊은 나이로 요절(夭折)함.
509~528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효목황제(孝穆皇帝)
중국 남북조시대 동진(東晉)의 문신ㆍ추존황제. 송(宋) 무제(武帝)의 아버지로, 아들이 즉위하여 효목황제(孝穆皇帝)로 추존됨.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관인>문신ㅣ인명>왕실>국왕
-
효목후(孝穆后)
중국 후한(後漢) 때의 추존 왕비. 환제(桓帝)의 조모(祖母)이며 하간효왕(河間孝王)의 아내로, 환제 즉위 후 효목후(孝穆后)로 추존됨.
중국>후한 , 중국 , 인명>왕실>왕비
-
효무제(孝武帝)@남북조(晉)
중국 남북조시대 동진(東晉)의 제9대 황제. 재위 372~396. 간문제(簡文帝)의 셋째 아들로 안제(安帝)와 공제(恭帝)의 아버지. 재임 중에 수세(收稅)를 개혁하고 왕권의 강화를 위한 조치를 취했으나, 탐주(貪酒)로 인한 실언으로 후궁에게 살해당함.
361~396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효무제(孝武帝)@남북조(송)
중국 남북조시대 송(宋) 나라의 제4대 황제. 재위 453~464. 아버지 문제(文帝)를 시해하고 제위에 앉은 형을 죽이고 즉위함.
430~464 중국>송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효문두황후(孝文竇皇后)
중국 전한(前漢) 제5대 황제인 문제(文帝)의 황후. 경제(景帝)의 모후로, 황로사상(黃老思想)의 열렬한 신봉자였으며, 둘째 아들 유무(劉武)를 총애하여 황제로 만들려 하였으나 대신들의 반대로 실패함.
?~B.C.135 중국>전한 , 중국 , 인명>왕실>왕비
-
효문제(孝文帝)
중국 남북조시대 북위(北魏)의 제6대 황제. 재위 471~499. 5살에 즉위해 490년까지 조모(祖母)인 풍태후(馮太后)의 섭정 하에 있었으며, 집권 후에는 중국의 다민족국가의 형성과 발전을 위해 적극적으로 개혁정책을 추진함.
467~499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효빈김씨(孝嬪金氏)
조선 제3대 태종(太宗)의 후궁. 태종의 첫 번째 서자인 경녕군(敬寧君) 이비(李裶)를 낳음.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후궁
-
효숭황(孝崇皇)
중국 후한(後漢)의 추존왕. 후한의 제11대 황제인 환제(桓帝)의 아버지로, 효숭황(孝崇皇)으로 추존(追尊)되었음.
중국>후한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효왕(孝王)@주
중국 주(周) 나라의 제8대 왕. 재위 B.C.891~B.C.886. 의왕(懿王)을 이어 왕이 되었고 진(秦) 나라를 최초의 제후국으로 봉해줌.
?~B.C.895 중국>주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효왕(孝王)@남북조(晉)
중국 남북조시대 진(晉) 나라 무제(武帝)의 아들. 289년(무제 10)에 오왕(吳王)에 봉해지고, 셋째 아들 민제(愍帝)가 즉위하여 태보(太保)에 추증됨.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효원황(孝元皇)
중국 후한(後漢) 영제(靈帝)의 조부(祖父). 효원황(孝元皇)에 추존(追尊)됨.
중국>후한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효원황후(孝元皇后)
중국 후한(後漢)의 추존(追尊) 왕비. 영제(靈帝)의 조모(祖母)이며 효원황(孝元皇)의 아내로, 영제가 즉위하자 효원후(孝元后)로 추존됨.
중국>후한 , 중국 , 인명>왕실>왕비
-
효인황(孝仁皇)
중국 후한(後漢) 영제(靈帝)의 아버지. 효원황(孝元皇)에 추존(追尊)된 유숙(劉淑)의 아들로, 영제 즉위 후 효인황(孝仁皇)으로 추존함.
중국>후한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효인황후(孝仁皇后)
중국 후한(後漢)의 추존(追尊) 왕비. 영제(靈帝)의 어머니이고 효인황(孝仁皇)의 아내로, 영제 즉위 후 진원귀인(眞元貴人)으로 추존됨.
중국>후한 , 중국 , 인명>왕실>왕비
-
효자고황후(孝慈高皇后)
중국 명(明) 나라 태조(太祖)의 비. 곽자흥(郭子興)의 양녀(養女)로 성(姓)은 마씨(馬氏)임.
1332~1382 중국>명 , 중국 , 인명>왕실>왕비
-
효장제(孝莊帝)
중국 남북조시대(南北朝時代) 북위(北魏)의 제9대 국왕. 재위 528~530. 효명제(孝明帝)를 이어 국왕이 됨.
507~530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효정옹주(孝靜翁主)
조선 제11대 중종(中宗)의 넷째 서녀. 숙의이씨(淑儀李氏)의 소생으로, 순원위(淳原尉) 조의정(趙義貞)과 혼인함.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공주
-
효종(孝宗)@송
중국 송(宋) 나라의 제11대 황제. 재위 1162~1189. 장준(張浚)에게 명하여 금(金)을 정벌하려 했지만 실패하자 금과 숙질(叔姪) 관계로 화의(和議)를 맺음. 내정(內政) 개혁을 실시해 강남(江南)의 개발이 진척되어 북송(北宋)을 능가하는 번영을 이룸.
1127~1194 중국>송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효종(孝宗)@조선
조선 제17대 왕. 재위 1649~1659. 병자호란(丙子胡亂) 직후 소현세자(昭顯世子)와 함께 청(淸) 나라의 볼모로 8년간 머묾. 즉위 후 송시열(宋時烈)을 중용하여 북벌계획을 수립하고, 대동법(大同法) 시행과 상평통보(常平通寶)를 주조하는 등 경제시책에 업적을 남김.
1619~1659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왕실>국왕
-
효종(孝宗)@명
중국 명(明) 나라의 제9대 황제. 재위 1487~1505. 헌종(憲宗)의 셋째 아들로, 어머니는 숙비 기씨(淑妃紀氏). 전대의 폐정(弊政)을 숙정하고 명신현량(名臣賢良)을 선용하였으며, 《대명률(大明律)》을 개정하여 《문형조례(問刑條例)》를 반포하였고, 《대명회전(大明會典)》을 개편하는 등 법규를 정비하여 내정에 치적을 쌓음.
1470~1505 중국>명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효현왕후(孝顯王后)
조선 제24대 헌종(憲宗)의 비(妃). 본관은 안동(安東). 영흥부원군(永興府院君) 김조근(金祖根)의 딸로, 왕후가 된지 2년 뒤에 병으로 죽어 경릉(景陵)에 안치됨.
1828~1843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왕실>왕비
-
효혜공주(孝惠公主)
조선 제11대 중종(中宗)의 첫째 딸. 장경왕후(章敬王后)의 소생으로 연성위(延城尉) 김희(金禧)와 혼인함.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공주
-
후^기(后^夔)
중국 고대 순(舜) 임금 때의 농관(農官)인 후직(后稷)과 악관(樂官)인 기(夔)를 함께 부르는 말. 순 임금의 훌륭한 신하를 가리킴.
고대 , 중국 , 사상>술어>관용어
-
후계문집(后溪文集)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학자인 김범(金範)의 시문집. 2권 1책. 목판본. 후손 김언경(金彦慶)이 편집하고 김상렬(金相烈)이 간행함.
1934 한국>근대 , 문헌>서명
-
후고(侯高)
중국 당(唐) 나라의 유학. 한유(韓愈)가 지은 묘명(墓銘)에 왕적(王適)에게 속아 딸을 그에게 시집보낸 일화가 실려 있음.
중국>당 , 중국 , 인명>문사>유학
-
후덕록(厚德錄)
중국 송(宋) 나라의 학자인 이원강(李元綱)의 저서.
중국>송 , 중국 , 문헌>서명
-
후령군(厚寧君)
조선 제3대 태종(太宗)의 일곱 번째 서자(庶子). 덕숙옹주(德淑翁主)의 소생으로, 단종(端宗)이 세조(世祖)에게 선위할 때 신병(身病)을 이유로 일부러 참여하지 않았으며, 몇 달 후 스스로 목숨을 끊음.
1404~1455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왕자
-
후산가서(後山家序)
고려 말기의 문신ㆍ학자인 길재(吉再)가 지은 글. 벼슬에서 물러나 지은 글로, 벼슬하기 전인 젊은 시절에 지은 〈산가서(山家序)〉와 함께 《야은집(冶隱集)》에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문헌>작품명
-
후산사(后山祠)
조선 영조(英祖) 때 경상도 의성(義城)에 건립된 사당. 원래는 경상도 안동(安東)의 도산(陶山)에 있던 것을 1770년(영조 46)에 현재의 위치로 이건(移建)함. 만취당(晩翠堂) 김사원(金士元)을 배향함.
1759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의성 , 유적>건물>사당
-
후산시화(後山詩話)
중국 송(宋) 나라의 문인인 진사도(陳師道)의 시집.
중국>송 , 중국 , 문헌>서명
-
후재집(厚齋集)
조선 숙종(肅宗)~영조(英祖) 때의 문신인 김간(金榦)의 문집. 총25책. 목판본. 영조의 명을 받아 증손 김종정(金鍾正)이 호남 관찰사(湖南觀察使) 원인손(元仁孫)의 도움을 받아 간행함.
1766 한국>조선후기 , 문헌>서명
-
후조당문집(後凋堂文集)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학자인 김부필(金富弼)의 문집.
한국>조선전기 , 문헌>서명
-
후주(後主)@남북조(북제)
중국 남북조시대 북제(北齊)의 제5대 왕. 재위 565~577. 무성제(武成帝)위 뒤를 이어 왕이 되었으나 결국 나라가 망하게 됨.
?~577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후주(後主)@삼국(촉)
중국 삼국시대(三國時代) 촉(蜀)의 제2대 황제. 재위 223~263. 제갈량(諸葛亮)의 보좌를 받아 정권을 유지하다가 제갈량이 죽은 뒤 위(魏) 나라에 항복하여 안락공(安樂公)에 봉해짐.
207~271 중국>삼국시대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후주(後主)@남북조(陳)
중국 남북조시대 진(陳) 나라의 제5대 국왕. 재위 582~589. 선제(宣帝)의 장자로 주색(酒色)에 빠져 정사를 돌보지 않고, 수(隋) 나라의 군사가 쳐들어와도 음악과 시문을 지으며 노닐다 수 나라의 장수 한금호(韓擒虎)에게 잡힘.
?~589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후주(後主)@오대십국(남당)
중국 오대십국 남당(南唐)의 제3대 국왕. 정치가로서의 역량보다 학문ㆍ문예ㆍ서화에 뛰어났으나, 주연(酒宴)에 빠져 국가의 멸망을 초래함. 반비(潘妃)로 인해 유명해진 전족(纏足)의 풍습이 후주 때부터 시작되었다는 설이 있음.
937~978 중국>오대십국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후중량(侯仲良)
중국 송(宋) 나라의 학자. 이천(伊川) 정이(程頤)의 문인으로, 염계(濂溪) 주돈이(周敦頤)에게 배워 학문이 크게 진전됨.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후직(后稷)
중국 주(周) 왕조의 전설적 시조. 성은 희(姬)이고 이름은 기(棄). 농경신(農耕神)으로, 제곡(帝嚳)의 아내가 된 강원(姜嫄)이 거인의 발자국을 밟고 잉태하여 낳았다고 함. 후에 요제(堯帝)의 농관(農官)이 됨.
고대 , 중국 , 인명>기타인명>기타인물
-
후천집(朽淺集)
조선 광해군(光海君)~인조(仁祖) 때의 학자인 황종해(黃宗海)의 문집. 8권 4책. 목판본. 아들 황곡립(黃鵠立)이 수집 편차하고, 증손 황응하(黃應河)와 종증손 고성 현령(固城縣令) 황찬(黃燦)이 최석정(崔錫鼎)의 서문을 받아 간행함.
1713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고성 , 문헌>서명
-
후청쇄어(鯸鯖瑣語)
조선 전기 문신인 이제신(李濟臣)의 수필집(隨筆集). 우리나라의 풍속(風俗)ㆍ관습(慣習) 및 문물제도의 연혁(沿革)ㆍ고사(故事) 등이 실려 있음.
1629 한국>조선후기 , 문헌>서명
-
후촌선생대전집(後村先生大全集)
중국 송(宋) 나라의 문인ㆍ문신인 후촌(後村) 유극장(劉克莊)의 저서를 종합한 책. 196권.
중국>송 , 중국 , 문헌>서명
-
후촌장단구(後村長短句)
중국 송(宋) 나라의 문인ㆍ문신인 유극장(劉克莊)의 시집. 장단구는 사(詞)의 다른 말이며, 시국에 비분강개하는 작품이 많이 수록됨.
중국>송 , 중국 , 문헌>서명
-
후칠자(後七子)
중국 명(明) 나라 가정 연간(嘉靖年間)에 문학(文學)으로 이름이 높았던 왕세정(王世貞)ㆍ이반룡(李攀龍)ㆍ사진(謝榛)ㆍ종신(宗臣)ㆍ양유예(梁有譽)ㆍ서중행(徐中行)ㆍ오국륜(吳國倫)을 가리킴.
중국>명 , 중국 , 인명>집단>기타집단
-
후파(侯芭)
중국 전한(前漢) 때의 학자. 양웅(揚雄)의 제자로 그가 저술한 《태현경(太玄經)》과 《법언(法言)》을 전수받았으며, 스승 사후 심상(心喪) 3년을 지냄.
중국>전한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후패(侯覇)
중국 신(新)~후한(後漢) 때의 문신. 신 나라 때에 회평 대윤(淮平大尹)을 지내고 후한 초에 상서령(尙書令)을 지냄. 옛 제도에 정통하였고, 《춘추곡량전(春秋穀梁傳)》을 정리하였음.
?~37 중국>후한ㅣ중국>신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후풍지동의(候風地動儀)
중국 후한(後漢)의 문신ㆍ문인인 장형(張衡)이 발명한 지진 방향 관측 장치.
132 중국>후한 , 중국 , 물품>기타용품>공구
-
후한서(後漢書)
중국 남북조시대 송(宋) 나라의 범엽(范曄)이 기전체(紀傳體)로 엮은 후한(後漢)의 정사(正史). 120권. 광무제(光武帝)에서 헌제(獻帝)까지 196년간의 역사 기록.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문헌>서명
-
훈민정음(訓民正音)
조선 세종(世宗) 때 창제된 훈민정음(訓民正音)에 관한 한문 해설서. 33장 1책. 목판본. 국자(國字)인 훈민정음을 반포함에 있어서 정인지(鄭麟趾) 등의 집현전(集賢殿) 학자들이 세종의 명을 받아 간행함.
1446 한국>조선전기 , 서울 , 문헌>서명
-
훈사(熏師)
고려 후기의 승려. 원천석(元天錫)의 《운곡행록(耘谷行錄)》에 〈서화광훈사권(書和光熏師卷)〉이 실려 있음.
한국>고려후기 , 인명>종교인>승려
-
훈요십조(訓要十條)
고려 태조(太祖)가 자손들에게 내린 열 가지 유훈(遺訓). 943년(태조 26) 4월에 박술희(朴述熙)를 통하여 전했으며, 주로 왕실의 안녕을 위해 지켜야 할 일을 담고 있음.
943 한국>고려전기 , 경기도>개성 , 법제>법률
-
휘정옹주(徽靜翁主)
조선 제9대 성종(成宗)의 아홉째 서녀(庶女). 어머니는 숙의김씨(淑儀金氏). 의천위(宜川尉) 남섭원(南燮元)과 혼인함.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공주
-
휘종(徽宗)
중국 송(宋) 나라 제8대 황제. 재위 1100~1125. 신종(神宗)의 아들. 호사(豪奢)와 도교(道敎)에 빠져 정치(政治)를 돌보지 않았음. 1125년 금(金) 나라가 침입하여 퇴위(退位)하였으나, 1127년 흠종(欽宗)과 함께 금의 포로가 되어 배소(配所)인 만주에서 병사함.
1082~1135 중국>송 , 중국 , 인명>왕실>국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