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관중(管仲)
중국 춘추전국시대 제(齊) 나라의 재상. 부국강병(富國强兵)의 정치를 이룩하여 제후를 규합하고 천하를 통일함으로써 환공(桓公)을 춘추오패(春秋五霸)의 으뜸이 되게 함.
?~B.C.645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관인>경대부
-
관중(關中)
중국 북부 섬서성(陝西省) 위수(渭水) 분지 일대의 이름. 함곡관(函谷關)ㆍ무관(武關)ㆍ산관(散關)ㆍ소관(蕭關)이 사방으로 둘러 싸고 있는 데서 지명이 유래함. 주(周) 나라의 수도인 호경(鎬京), 진(秦) 나라의 함양(咸陽), 한(漢)ㆍ수(隋)ㆍ당(唐) 나라의 수도인 장안(長安)이 있던 곳임.
중국 , 지명>행정지명
-
관처사묘지명(管處士墓誌銘)
조선 성종(成宗)~연산군(燕山君) 때의 학자ㆍ문신 김일손(金馹孫)이 모필(毛筆)을 의인화(擬人化)하여 지은 명문(銘文). 《탁영집(濯纓集)》에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문헌>작품명
-
관포시집(灌圃詩集)
조선 연산군(燕山君)~명종(明宗) 때의 문신 어득강(魚得江)이 지은 시집. 서문은 없고 권말에 이황(李滉)의 발문이 있음.
1558 한국>조선전기 , 문헌>서명
-
관포지교(管鮑之交)
중국 춘추전국시대 제(齊) 나라의 재상인 관중(管仲)과 대부인 포숙아(鮑叔牙)의 사귐이라는 뜻. 서로를 믿고 이해하는 깊은 우정을 나타내는 대표적인 고사성어.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사상>술어>고사성어
-
관해정기(觀海亭記)
중국 명(明) 영종(英宗) 때에 병부 주사(兵部主事) 양거(楊琚)가 ‘관해정(觀海亭)’이라는 정자에 대한 감흥을 기록한 기문(記文).
1463 중국>명 , 중국 , 문헌>작품명
-
광^나(光^羅)
전라도에 위치한 광주(光州)와 나주(羅州)를 함께 부르는 말. 전라도 지역의 중심지를 가리킴.
전라도>나주ㅣ전라도>광산 , 지명>기타지명
-
광^수(廣^受)
중국 전한(前漢) 선제(宣帝) 때의 문신인 소광(疏廣)과 소수(疏受)를 함께 부르는 말. 관직과 명예에 초월한 사람을 가리킴.
중국>전한 , 중국 , 사상>술어>관용어
-
광개토왕(廣開土王)
고구려 제19대 왕. 재위 391~412. 고국양왕(故國壤王)의 아들로, 고구려 최대의 영토를 확장한 정복 군주. 내정(內政)의 정비에도 노력하여 중앙 관직을 신설하고, 평양에 구사(九寺)를 창건하여 불교를 장려함.
374~413 한국>고구려 , 평안도>평양 , 인명>왕실>국왕
-
광겸(廣謙)
조선 후기의 승려. 이산해(李山海)ㆍ고경명(高敬命) 등과 교유함.
한국>조선후기 , 인명>종교인>승려
-
광국공신(光國功臣)
조선 선조(宣祖) 23년에, 명(明) 나라의 《태조실록(太祖實錄)》과 《대명회전(大明會典)》에 잘못 기록된 태조(太祖)의 종계(宗系)를 정정하는 데 공을 세운 사람들에게 내린 훈호(勳號).
1590 한국>조선전기 , 서울 , 법제>제도
-
광녕(廣寧)
중국 요동(遼東)에 위치한 지역 이름. 지역적 요충지로 군사적 충돌이 빈번하였고, 조선시대에는 명(明) 나라로 가는 사신을 위한 역참(驛站)이 설치됨.
중국 , 지명>행정지명
-
광동성(廣東省)
중국 남부의 해안과 가까운 곳에 위치한 지역. 월(粤) 나라의 중심지였으나, 진(秦) 나라 시황(始皇) 때 중국의 영토가 됨. 해상 교통의 요충지.
중국 , 지명>행정지명
-
광렬음황후(光烈陰皇后)
중국 후한(後漢) 제1대 황제인 광무제(光武帝)의 황후. 41년에 황후로 봉해지고, 아들로 명제(明帝)가 된 유장(劉莊), 동평왕(東平王) 유창(劉蒼), 광릉왕(廣陵王) 유형(劉荊), 임준공(臨淮公) 유형(劉衡), 낭야왕(琅邪王) 유경(劉京)이 있음.
4~64 중국>후한 , 중국 , 인명>왕실>왕비
-
광무제(光武帝)
중국 후한(後漢)의 초대 황제. 재위 25~57. 신(新) 나라 왕망(王莽)의 군대를 격파하고 후한을 세움. 왕망의 가혹하였던 정치를 폐지하고 전조(田租)를 인하하는 등 통일국가의 기초를 다졌으며, 후한의 특색이 되는 예교주의(禮敎主義)의 기초를 다짐.
B.C.6~A.D.57 중국>후한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광산(匡山)
중국 사천성(四川省)에 있는 산 이름. 이백(李白)이 이곳에서 머리가 희어지도록 글을 읽었다고 함.
중국 , 지명>자연지명
-
광산김씨(光山金氏)
신라 신무왕(神武王)의 셋째 아들 김흥광(金興光)을 시조로 하는 성씨. 고려 때 8명의 평장사(平章事), 조선 때 7명의 대제학(大提學)을 배출하는 등 많은 인물을 배출함.
한국>통일신라 , 전라도>광산 , 인명>집단>성씨
-
광산탁씨(光山卓氏)
고려 선종(宣宗) 때 한림학사(翰林學士)를 지낸 광산군(光山君) 탁지엽(卓之葉)을 시조(始祖)로 하는 성씨.
한국>고려전기 , 전라도>광산 , 인명>집단>성씨
-
광성산(廣城山)
평안도 영원(寧遠)에 있는 산. 묘향산(妙香山)의 조종산(祖宗山)으로, 석룡굴(石龍窟)이 유명함.
평안도>영원 , 지명>자연지명
-
광성자(廣成子)
중국 고대의 전설적인 은자. 공동산(崆峒山)의 석실(石室)에 은거했는데, 나이가 1천 2백 살이 되었는데도 늙지 않았다고 하며 일찍이 황제(黃帝)가 그에게 가르침을 받았다고 함.
고대 , 중국 , 인명>기타인명>기타인물
-
광원루(廣遠樓)
경상도 함창(咸昌)의 객관(客館) 동쪽에 있었던 누각. 누각의 이름을 고치고 지은 조위(曺偉)의 기문(記文)이 전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함창 , 유적>건물>누정
-
광제정(光霽亭)
조선 전기의 학자 양돈(楊墩)이 자신의 호를 따서 전북 임실군(任實郡) 삼계면(三溪面) 후천리(後川里) 광제 마을에 건립한 것으로 추측되는 정자(亭子). 1872년(고종 9)에 선심리로 옮김.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임실 , 유적>건물>누정
-
광종(光宗)@고려
고려 제4대 왕. 재위 949~975. 태조 왕건(王建)의 넷째 아들. 형인 정종(定宗)의 선위(禪位)를 받아 즉위한 뒤 영명(英明)한 통치로 훈신(勳臣)ㆍ장상(將相) 등을 숙청하고 노비안검법(奴婢按檢法), 과거제도의 시행, 국방의 강화 등 많은 치적을 쌓음.
925~975 한국>고려전기 , 경기도>개성 , 인명>왕실>국왕
-
광종(光宗)@명
중국 명(明) 나라 제15대 황제. 재위 연도 1620년. 신종(神宗)의 장자로, 즉위한지 1개월 만에 병으로 죽음.
1582~1620 중국>명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광종(光宗)@송
중국 송(宋) 나라의 제12대 황제. 재위 1189~1194. 효종(孝宗)의 셋째 아들. 효종의 선위(禪位)로 왕위에 올랐으나 유약한 성품으로 정치를 독단하지 못하고 비(妃) 이봉랑(李鳳娘)의 의견을 따름.
1147~1200 중국>송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광주(光州)
전라남도 중북부에 있는 고을 이름. 호남지방의 행정ㆍ군사ㆍ경제ㆍ사회ㆍ문화의 중심지.
전라도>광산 , 지명>행정지명
-
광주(廣州)
경기도 중앙에 있는 고을 이름. 삼국시대(三國時代) 때 각국의 주요 쟁탈지 중의 하나.
경기도>광주 , 지명>행정지명
-
광주노씨(光州盧氏)
중국 당(唐) 나라 때의 한림학사(翰林學士) 노수(盧穗)를 도시조(都始祖)로 삼고, 고려 초에 광산백(光山伯)에 봉해진 그의 맏아들 노해(盧垓)를 득관조(得貫祖)로 하는 성씨.
한국>고려전기 , 전라도>광산 , 인명>집단>성씨
-
광주노씨세고(光州盧氏世稿)
조선 후기에 간행된 광주노씨(光州盧氏)의 시문집. 노선경(盧善卿)과 그 후손들의 시문을 엮은 책으로, 18권 4책으로 구성됨.
한국>조선후기 , 문헌>서명
-
광주안씨(廣州安氏)
고려 태조(太祖) 때 대장군(大將軍)이 되어 광주군(廣州君)에 봉해진 안방걸(安邦傑)을 시조로 하는 성씨.
한국>고려전기 , 경기도>광주 , 인명>집단>성씨
-
광주이씨(廣州李氏)
신라 내물마립간(奈勿麻立干) 때 내사령(內史令)을 지낸 이자성(李自成)을 시조로 하는 성씨.
한국>신라 , 경기도>광주 , 인명>집단>성씨
-
광주정씨(光州鄭氏)
고려 충숙왕(忠肅王) 때 봉은사(奉恩寺)의 진전직(眞殿直)을 지낸 정신호(鄭臣扈)를 시조로 하는 성씨.
한국>고려후기 , 전라도>광산 , 인명>집단>성씨
-
광진(廣津)
조선시대 경기도 양주(楊州) 67리 지점인 한강변에 설치된 나루. 서울과 강남을 연결하는 교통의 요지로, 경관이 수려해 문인들이 즐겨 찾음. 현재는 서울시 광진구에 속함.
경기도>양주 , 지명>자연지명
-
광탄원(廣灘院)
경기도 파주(坡州) 광탄(廣灘)에 위치한 원(院). 고려 말에 승려인 판화엄 오공(判華嚴悟公)이 자신의 재물을 희사하여 중건한 내용의 기문(記文)이 권근(權近)의 《양촌집(陽村集)》에 실려 있음.
한국>고려시대 , 경기도>파주 , 유적>건물>관사
-
광평대군(廣平大君)
조선 제4대 세종(世宗)의 다섯째 아들. 태조(太祖)의 일곱째 아들인 무안대군(撫安大君) 이방번(李芳蕃)의 후사가 되었으며, 학문에 힘써 사서삼경(四書三經) 등에 능통하였으나, 젊은 나이에 요절함.
1425~1444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왕자
-
광풍미집(廣諷味集)
중국 송(宋) 나라 철종(哲宗)~휘종(徽宗) 때의 문신ㆍ학자인 왕흠신(王欽臣)의 저서. 5권이 있었으나 대부분 실전됨.
중국>송 , 중국 , 문헌>서명
-
광한전(廣寒殿)
달 속에 있다고 전하는 궁전. 중국 고대 인물인 항아(姮娥)가 산다고 전함.
고대 , 중국 , 유적>기타유적
-
광해군(光海君)
조선의 제15대 왕. 재위 1608~1623. 선조(宣祖)의 둘째 아들로, 어머니는 공빈 김씨(恭嬪金氏). 대동법(大同法) 실시와 실리적인 외교를 펼쳤으나, 대북(大北) 중심의 정치와 영창대군(永昌大君) 살해, 인목대비(仁穆大妃)의 서궁유폐 등으로 인조반정(仁祖反正)의 빌미를 제공함.
1575~1641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왕실>국왕
-
광해군일기(光海君日記)
조선 인조(仁祖) 때 남별궁(南別宮)에 찬수청(纂修廳)을 설치하여 편찬하기 시작한 제15대 광해군(光海君) 재위 15년 간의 실록.
1624 한국>조선후기 , 서울 , 문헌>작품명
-
광형(匡衡)
중국 전한(前漢) 원제(元帝)~성제(成帝) 때의 문신ㆍ학자. 어려서 몹시 가난했으나 학문을 좋아했으며 특히 《시경(詩經)》의 해설에 뛰어났음. 평원문학(平原文學)을 지내다가 뒤에 정승으로 낙안후(樂安侯)에 봉해짐.
중국>전한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광희문(光熙門)
조선 태조(太祖) 때 건립한 사소문(四小門)의 하나. 흥인지문(興人之門)과 숭례문(崇禮門) 사이에 있던 동남간문(東南間門)으로, 소의문(昭義門)과 함께 시신(屍身)을 성 밖으로 운반하는 통로 구실을 함.
1396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유적>시설>성,진,책
-
괘사(卦辭)
중국 주(周) 문왕(文王)이 《주역(周易)》의 각괘(各卦) 아래에 괘의 형상과 의미, 점자(占者)의 도리 등을 구체적으로 서술한 내용.
중국>주 , 중국 , 문헌>기타문헌
-
괴산(槐山)
충청북도 중앙에 있는 고을 이름. 소백산맥이 남동쪽을 가로막고 있어 교통이 불편하여 유교적인 전통을 많이 간직하고 있는 지역임.
충청도>괴산 , 지명>행정지명
-
괴설중국론(怪說中國論)
중국 송(宋) 나라 학자 석개(石介)가 지은 불가(佛家)와 노가(老家) 사상의 비판서.
중국>송 , 중국 , 문헌>서명
-
괴수부(槐樹賦)
중국 남북조시대 서량(西涼)의 양무소왕(涼武昭王)이 지은 작품. 원래 괴목(槐木) 등이 자라지 않던 하서(河西) 지방에서 주천궁(酒泉宮) 서북쪽에 괴목이 자라자, 이 글을 지어 벽지에 나라를 세운 것이 적소(適所)가 아님을 개탄하였다 함.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문헌>작품명
-
괴안국(槐安國)
남가일몽(南柯一夢)의 고사(故事)에서 순우분(淳于棼)이 꿈 속에 다녀왔다는 가상(假想)의 나라 이름.
기타지역 , 지명>기타지명
-
괴애집(乖崖集)
중국 송(宋) 나라 문신인 장영(張詠)이 자신의 호인 ‘괴애(乖崖)’를 따서 지은 문집.
중국>송 , 중국 , 문헌>서명
-
괴정일고(槐亭逸稿)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이자 의병장인 박선(朴瑄)의 문집.
한국>조선후기 , 문헌>서명
-
괴철(蒯徹)
중국 전한(前漢)의 유세가(遊說家). 권변술(權變術)에 능하여 한신(韓信)도 그의 계략을 써서 제(齊) 나라를 점령하였음. 한신을 달래어 한(漢) 나라로부터 독립할 것을 권하였으나 그 말을 듣지 않은 한신이 죽자 고조(高祖)의 신하가 됨.
중국>전한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괵국부인(虢國夫人)
중국 당(唐) 나라 현종(玄宗)의 비인 양귀비(楊貴妃)의 언니. 두 언니와 함께 국부인(國夫人)에 봉해지고, 현종의 총애를 받아 사치가 심하고 교만함.
?~756 중국>당 , 중국 , 인명>왕실>인척
-
굉상인(宏上人)
고려 말 조선 초의 승려. 상원사(上院寺) 주변에 무주암(無住菴)을 짓고 원천석(元天錫)과 시를 수창(酬唱)하며 교유함.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강원도>평창 , 인명>종교인>승려
-
교^갈(喬^葛)
중국 주(周) 나라의 태자로 신선이 된 왕자교(王子喬)와 남북조시대 진(晉) 나라의 도사인 갈홍(葛洪)을 함께 부르는 말. 신선이나 도사를 일컫는 말.
중국>남북조시대ㅣ중국>주 , 중국 , 사상>술어>관용어
-
교^묘(郊^廟)
중국 주(周) 나라 때부터 천자(天子)가 남교(南郊)와 북교(北郊)에서 천지(天地)에 드리는 교제(郊祭)와, 종묘(宗廟)에서 조상(祖上)에게 드리는 묘제(廟祭)를 함께 부르는 말.
중국>주 , 중국 , 법제>의례>국가의례
-
교^송(喬^松)
중국 주(周) 나라의 태자로 신선이 된 왕자교(王子喬)와 후한(後漢)~남북조시대 진(晉) 나라 때의 신선인 적송자(赤松子) 황초평(黃初平)을 함께 부르는 말. 불로장수한 신선을 가리킴.
중국>남북조시대ㅣ중국>후한ㅣ중국>주 , 중국 , 사상>술어>관용어
-
교^팽(喬^彭)
중국 주(周) 나라의 태자로 신선이 된 왕자교(王子喬)와 고대의 선인(仙人)인 팽조(彭祖)를 함께 부르는 말. 신선이 되어 불로장수한 사람을 가리킴.
중국>주ㅣ고대 , 중국 , 사상>술어>관용어
-
교녀시(嬌女詩)
중국 남북조시대 진(晉) 나라의 문인 좌사(左思)가 지은 시(詩). 환소(紈素)와 혜방(惠芳)이라는 아리땁고 사랑스러운 두 소녀의 자태와 차를 끓이는 아름다운 모습을 생동감 있게 묘사함.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문헌>작품명
-
교동(喬桐)
경기(京畿)에 위치한 고을 이름. 현재 인천시 강화(江華) 서북쪽에 있는 섬 지역임.
경기도>교동 , 지명>행정지명
-
교산(橋山)
중국 섬서성(陝西省) 중부현(中部縣) 서북방에 있는 산 이름. 황제(黃帝)를 장사지낸 곳이라고 함.
중국 , 지명>자연지명
-
교서관(校書館)
조선시대 삼관(三館)의 하나로, 태조(太祖) 때 설치되어 경적(經籍)의 인쇄ㆍ반포와 향축(香祝)ㆍ인전(印篆)을 담당하던 관청.
1392 한국>조선시대 , 법제>관청
-
교은집(郊隱集)
고려 공민왕(恭愍王)~조선 세종(世宗) 때의 문신ㆍ시인인 정이오(鄭以吾)가 지은 시집. 7권으로 구성됨.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문헌>서명
-
교제(郊祭)
중국 주(周) 나라 때부터 천자(天子)가 천지(天地)에 지내는 국가 제사. 동지(冬至)에 남쪽 교외(郊外)로 나가 하늘에 제사지내고, 하지(夏至)에 북쪽 교외로 나가 땅에 제사지냄.
중국>주 , 중국 , 법제>의례>국가의례
-
교종(敎宗)
불교 종파 가운데 경전(經典)ㆍ석론(釋論) 등의 교학(敎學)을 중시하는 종파를 아우르는 말. 조선시대 억불정책(抑佛政策)으로 1424년(세종 6)에 선(禪)ㆍ교(敎) 양종으로 통합할 때 화엄(華嚴)ㆍ자은(慈恩)ㆍ중신(中神)ㆍ시흥(始興)의 네 종파를 합하고 교종이라 함.
1424 한국>조선전기 , 사상>이론>교리
-
교지명(喬智明)
중국 남북조시대 진(晉) 나라의 무신. 현령(縣令)으로 선정(善政)을 베풀어 고을 백성으로부터 신군(神君)이라는 칭송을 받음. 혜제(惠帝)가 업(鄴)을 정벌할 때 자신의 계략이 받아들여지지 않자 조(趙) 나라로 감.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관인>무신
-
교토삼굴(狡兎三窟)
꾀 많은 토끼는 굴을 세 개 뚫는다는 뜻. 중국 춘추전국시대 제(齊) 나라의 재상인 맹상군(孟嘗君)이 그의 식객(食客)인 풍환(馮驩)의 도움으로 불안한 미래를 대비하였다는 고사에서 온 말로, 지혜로써 위기와 재난에 미리 대처해야 한다는 말.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사상>술어>고사성어
-
교하(交河)
경기 파주시 금촌읍 교하ㆍ탄현면 일대에 있었던 옛 고을 이름. 지세가 좋아 임진왜란 후 천도 대상지로 논의되기도 함.
경기도>교하 , 지명>행정지명
-
구^매(歐^梅)
중국 송(宋) 나라의 문인인 구양수(歐陽脩)과 매요신(梅堯臣)을 함께 부르는 말. 시(詩)에 뛰어난 사람을 가리킴.
중국>송 , 중국 , 사상>술어>관용어
-
구^몽(龜^蒙)
중국 산동성(山東省) 사수현(泗水縣) 동북쪽에 있는 구산(龜山)과 비현(費縣)의 서북쪽에 있는 몽산(蒙山)을 함께 부르는 말. 춘추전국시대 노(魯) 나라의 영토 안에 있던 산으로, 공자가 제자들을 가르치던 곳을 가리킴.
중국 , 지명>기타지명
-
구^소(歐^蘇)
중국 송(宋) 나라의 문인인 구양수(歐陽脩)와 소식(蘇軾)을 함께 부르는 말. 문장에 뛰어난 사람을 가리킴.
중국>송 , 중국 , 사상>술어>관용어
-
구^악(九^鄂)
중국 은(殷) 나라 주왕(紂王) 때의 제후인 구후(九侯)와 문신인 악후(鄂侯)를 함께 부르는 말. 왕에게 직언하기를 서슴지 않은 사람을 가리킴.
중국>은 , 중국 , 사상>술어>관용어
-
구^주(丘^朱)
중국 명(明) 나라의 학자인 구준(丘濬)과 송(宋) 나라의 유학자인 주희(朱熹)를 함께 부르는 말. 성리학(性理學)의 집대성자인 주희와 주자학(朱子學)에 정통했던 구준을 일컬음.
중국>명ㅣ중국>송 , 중국 , 사상>술어>관용어
-
구강서원(龜江書院)
조선 광해군(光海君) 때 경상도 영천(榮川)에 건립한 서원. 조선 전기의 문신ㆍ천문학자인 김담(金淡)의 학문과 덕행을 추모하기 위해 창건하였으며, 김륵(金玏) 등을 배향함.
1615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영천(榮川) , 유적>건물>서원,향교
-
구강서원(龜岡書院)
조선 숙종(肅宗) 때 경상도 경주(慶州)에 건립한 서원. 원래는 익재(益齋) 이제현(李齊賢)을 향사하는 곳으로 영당(影堂)이 있었는데 1686년(숙종 12)에 서원으로 고쳐 세움.
1686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경주 , 유적>건물>서원,향교
-
구겸(具謙)@구치관의조카
조선 세조(世祖)~성종(成宗) 때의 무신. 본관은 능성(綾城)으로, 영의정 구치관(具致寬)의 조카. 이시애(李施愛)의 난 때 도총사(都摠使) 이준(李浚)의 군관으로 종군한 공로로 적개공신(敵愾功臣)에 책록되고, 능산군(綾山君)에 봉해짐.
?~1494 한국>조선전기 , 평안도>의주 , 인명>관인>무신
-
구겸(具謙)@구봉령의아버지
조선 중종(中宗) 때의 유학. 본관은 능성(綾城).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이자 학자인 구봉령(具鳳齡)의 아버지.
1504~1536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문사>유학
-
구계(臼季)
중국 춘추전국시대(春秋戰國時代) 진(晉) 나라 대부(大夫). 진 문공(晉文公)을 따라 망명 생활을 함.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관인>경대부
-
구계서원(龜溪書院)@청안
조선 광해군(光海君) 때 충청도 청안에 세운 서원. 1613년(광해군 5)에 건립되었으며, 박지화(朴枝華)ㆍ이득윤(李得胤)ㆍ이준경(李浚慶)ㆍ서사원(徐思遠) 등을 제향함.
1613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청안 , 유적>건물>서원,향교
-
구계서원(龜溪書院)@사천
조선 선조(宣祖) 때 경상도 사천에 세운 서원. 명종(明宗) 때의 학자인 구암(龜巖) 이정(李楨)을 기리기 위하여 1606년(선조 39)에 세운 서원. 1676년(숙종 2) 사액서원으로 승격되었으며, 경내에는 김덕함(金德諴)의 기적비(紀蹟碑)가 있음.
1606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사천 , 유적>건물>서원,향교
-
구계서원(龜溪書院)@안동
조선 숙종(肅宗) 때 경상도 안동(安東)에 건립된 서원. 고려 말의 학자인 우탁(禹倬)이 강학하던 선성(宣城)의 원우(院宇)를 옮겨 중창(重創)한 뒤 우탁을 배향함. 현재 경상북도 경산시(慶山市)의 영남대학교(嶺南大學校) 구내로 옮겨짐.
1696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안동 , 유적>건물>서원,향교
-
구곤원(具坤源)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본관은 능성(綾城). 성균관 전적(成均館典籍)을 지낸 구변(具忭)의 아들로 1570년(선조 3)에 진사시(進士試)에 입격했고, 장흥고 봉사(長興庫奉事)를 지냈으며, 윤근수(尹根壽) 등과 교유함.
1550~?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구공신(九功臣)
고려 말 공양왕(恭讓王)을 즉위시키는 데 공이 컸던 아홉 명의 신하. 우왕(禑王)과 창왕(昌王)을 신돈(辛旽)의 자손이라 하여 폐하고 공양왕을 즉위시킴.
1389 한국>고려후기 , 인명>집단>기타집단
-
구관(具灌)
조선 명종(明宗) 때의 문신. 구팔원(具八元)의 아들로 1566년(명종 21)의 별시(別試)에 급제하여 시정(寺正)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능성 , 인명>관인>문신
-
구굉(具宏)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무신. 본관은 능성(綾城). 좌찬성(左贊成)을 지낸 구사맹(具思孟)의 아들이자 원종(元宗)의 비(妃) 인헌왕후(仁獻王后)의 오빠. 인조반정(仁祖反正)에 참여하여 정사공신(靖社功臣)으로 능성부원군(綾城府院君)에 봉해짐.
1577~1642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무신
-
구람(仇覽)
중국 후한(後漢)의 문신. 백성들을 형벌이 아닌 덕(德)으로 다스려 교화시킨 일로 유명함.
중국>후한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구례(求禮)
전라도 북동부에 위치한 고을. 진주(晉州)ㆍ순천(順天)ㆍ남원(南原)과 접하며, 섬진강(蟾津江) 수로의 종착지임.
전라도>구례 , 지명>행정지명
-
구룡연(九龍淵)
강원도 고성군(高城郡) 외금강 구룡동 골짜기에 있는 구룡폭포(九龍瀑布) 밑의 못 이름. 옛날에 금강산을 지키는 아홉 마리의 용이 살았다고 하는 전설이 있으며, 주변 반석에 최치원(崔致遠)의 시구가 쓰여 있음.
강원도>고성 , 지명>자연지명
-
구룡폭포(九龍瀑布)
강원도 고성군(高城郡) 외금강 구룡동 골짜기에 있는 폭포. 설악산의 대승폭포(大勝瀑布), 개성의 박연폭포(朴淵瀑布)와 함께 우리나라 3대 폭포 중의 하나이며, 십이폭포ㆍ비봉폭포ㆍ옥영폭포 등과 금강산(金剛山) 4대 폭포로 꼽힘.
강원도>고성 , 지명>자연지명
-
구마라습(鳩摩羅什)
인도의 승려. 7세에 출가하여 소승교(小乘敎)와 대승교(大乘敎), 율(律)을 차례로 배운 뒤 출생지인 구자국(龜玆國)에서 포교활동을 함. 《묘법연화경(妙法蓮華經)》등 많은 경전을 번역하고, 한국ㆍ중국ㆍ일본에서 삼론종(三論宗)의 조사(祖師)로 칭함.
344~413 중국>남북조시대 , 기타지역 , 인명>종교인>승려
-
구만(具𡩄)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능성(綾城)이며, 구사중(具思仲)의 아들. 1583년(선조 16) 별시(別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예조 좌랑(禮曹佐郞) 등을 지냄.
1558~1592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구만서원(龜灣書院)
조선 숙종(肅宗) 때 경상도 봉화에 건립한 서원. 금인(琴軔)ㆍ남몽오(南夢鰲)ㆍ박선장(朴善長)ㆍ권호신(權虎臣) 등 4현(賢)을 배향함.
1676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봉화 , 유적>건물>서원,향교
-
구문진(俱文珍)
중국 당(唐) 나라 덕종(德宗)~헌종(憲宗) 때의 환관. 순종(順宗) 때 왕숙문(王叔文) 일당을 몰아내고 위기에 처한 조정을 구신(舊臣)에게 돌려주는 데 공을 세움.
?~813 중국>당 , 중국 , 인명>관인>환관
-
구방고(九方皐)
중국 춘추전국시대 진(秦) 나라 목공(穆公) 때의 상마인(相馬人). 백락(伯樂)의 추천으로 목공에게 양마(良馬)를 구해주었는데 말의 내실만을 취했지 외모는 중요시하지 않아 목공의 오해를 샀다는 고사가 있음.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기타인명>기타인물
-
구변(九辨)
중국 춘추전국시대 초(楚) 나라의 시인ㆍ대부인 송옥이 스승인 굴원(屈原)을 그리며 지은 초사(楚辭). 내용이 아름답고 처절하여 '송옥비추(宋玉悲秋)'라는 말이 유래함.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문헌>작품명
-
구변(具忭)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능성(綾城). 이조 좌랑(吏曹佐郞)으로 춘추관 기사관(春秋館記事官)이 되어 《명종실록(明宗實錄)》 편찬에 참여함.
1529~?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구병산(九屛山)
충청북도 보은군(報恩郡) 내속리면(內俗離面)과 마로면(馬老面) 경계에 있는 산 이름. 보은 지방에서는 속리산(俗離山)의 천황봉(天皇峰), 금적산(金積山)과 함께 삼산(三山)이라 일컬어짐.
충청도>보은 , 지명>자연지명
-
구봉령(具鳳齡)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 이황(李滉)의 문하에서 수학하고, 병조 참판(兵曹參判) 등을 지냄. 시문(詩文)에 뛰어나고, 《혼천의기(渾天儀記)》를 짓는 등 천문학에도 조예가 깊음.
1526~1586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구봉서원(九峯書院)
조선 숙종(肅宗) 때 평안도 벽동(碧潼)에 건립한 서원. 1697년(숙종 23) 민정중(閔鼎重)과 민유중(閔維重)의 학문과 덕행을 추모하기 위해 지방 유림들이 창건함.
1697 한국>조선후기 , 평안도>벽동 , 유적>건물>서원,향교
-
구봉집(龜峯集)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 송익필(宋翼弼)의 시문집. 1622년(광해군 14)에 문인 심종직(沈宗直)이 편집 간행함.
1622 한국>조선후기 , 문헌>서명
-
구부국(丘富國)
중국 송(宋) 말~원(元) 초의 문신ㆍ학자. 주희(朱熹)의 문인에게서 수학하고 단양 첨판(端陽僉判)을 지냈으나, 나라가 망하자 벼슬하지 않고 《주역집해(周易輯解)》ㆍ《경세보유(經世補遺)》를 저술함.
중국>원ㅣ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구사맹(具思孟)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인헌왕후(仁獻王后)의 아버지로, 좌찬성(左贊成)ㆍ공조 판서(工曹判書) 등을 지냄. 임진왜란(壬辰倭亂)ㆍ정유재란(丁酉再亂)을 거치며 공을 세워 사후(死後)에 호성(扈聖)ㆍ선무(宣武)ㆍ정난(靖難) 등의 원종공신에 책록됨.
1531~1604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구사민(具思閔)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능성(綾城)으로, 통진 현감(行通津縣監)을 지낸 구순(具淳)의 아들. 1578년(선조 11)에 정구(鄭逑) 등과 함께 구현(九賢)의 한 사람으로 추천받아 현감(縣監)을 지내고, 이이(李珥)ㆍ홍가신(洪可臣) 등과 팔현회(八賢會)를 조직하여 교유함.
1542~1593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능성 , 인명>관인>문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