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휴^적(鑴^積)
조선 효종(孝宗)~숙종(肅宗) 때의 문신ㆍ학자인 윤휴(尹鑴)와, 인조(仁祖)~숙종 때의 문신인 허적(許積)을 함께 부르는 말. 1680년(숙종 6) 허견(許堅)의 역모사건에 연좌되어 사사(賜死)됨.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남원ㅣ경기도>양천 , 사상>술어>관용어
-
휴암선생실기(休庵先生實記)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인 백인걸(白仁傑)의 문집. 4권 2책. 목활자본. 1831년(순조 31)에 저자의 8대손인 백동야(白東野)가 유문(遺文)을 수집하여 간행함.
1831 한국>조선후기 , 문헌>서명
-
휴옹집(休翁集)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인 정홍익(鄭弘翼)의 문집. 2권. 채팽윤(蔡彭胤)이 쓴 서문이 《희암집(希菴集)》에 실려 있음.
한국>조선후기 , 문헌>서명
-
휴정(休靜)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승려. 일선(一禪)에게 구족계를 받고 영관(靈觀)의 법을 계승함.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승병(僧兵) 을 모아 명(明) 나라 군대와 합세하여 한양 수복에 공을 세움.
1520~1604 한국>조선후기 , 평안도>안주 , 인명>종교인>승려
-
흉노(匈奴)
중국 몽골 고원에서 활약하던 기마 종족 및 그들이 형성한 국가의 명칭. 기원전 3세기 말에 통일 국가를 건설하여 전성기를 맞이하였으나, 한(漢) 나라 무제(武帝)의 침공으로 1세기경 남북으로 분열됨.
중국>전한ㅣ중국>춘추전국시대 , 기타지역 , 인명>집단>종족
-
흑산도(黑山島)
전라남도 신안(新安)에 속한 섬 이름. 홍도(紅島)ㆍ대둔도(大芚島)ㆍ영산도(永山島)ㆍ가거도(可居島) 등과 함께 흑산군도를 이룸.
전라도>나주 , 지명>자연지명
-
흠종(欽宗)
중국 송(宋) 나라 제9대 황제. 재위 1125~1127. 휘종(徽宗)의 맏아들. 금(金) 나라 군사의 침공을 받아 휘종과 함께 잡혀가 만주의 유배지에서 죽음.
1100~1161 중국>송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흥수(興首)
백제 의자왕(義慈王) 때의 문신. 좌평(佐平)을 지냈으나 죄를 지어 고마미지현(古馬彌知縣)으로 귀양 감. 당(唐) 나라와 신라의 연합군이 백제를 침공하자 계책을 간언(諫言)했으나 받아들여지지 않음.
한국>백제 , 전라도>장흥 , 인명>관인>문신
-
흥암서원(興巖書院)
조선 숙종(肅宗) 때 경상도 상주(尙州)에 세운 서원. 현종(顯宗) 때의 학자인 송준길(宋浚吉)을 배향함.
1702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상주 , 유적>건물>서원,향교
-
흥왕사(興王寺)
고려 문종(文宗) 때 경기도 풍덕(豊德)에 지은 사찰. 문종의 원찰(願刹)로 창건되어 문종의 아들인 의천(義天)이 주석함. 몽고의 침입으로 소실되었으나, 여러 차례 중창하여 고려 후기까지 크게 사세(寺勢)를 떨침.
1067 한국>고려전기 , 경기도>풍덕 , 유적>건물>사찰
-
흥인지문(興仁之門)
조선 태조(太祖) 때 건립한 서울 성곽의 사대문(四大門) 가운데 동쪽 성문. 서울 종로구(鍾路區)에 소재.
1396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유적>시설>성,진,책
-
흥해(興海)
경상북도 포항(浦項)의 흥해읍(興海邑)을 중심으로 한 지역의 고려ㆍ조선 시대의 고을 이름.
경상도>흥해 , 지명>행정지명
-
희^공(羲^孔)
중국 고대 전설상의 제왕인 복희(伏羲)와 춘추전국시대 노(魯) 나라의 학자인 공자(孔子)를 함께 부르는 말. 복희는 처음으로《주역(周易)》을 만들었고 공자는《주역》의 온갖 이치를 전수함.
중국>춘추전국시대ㅣ고대 , 중국 , 사상>술어>관용어
-
희^농(羲^農)
중국 고대 전설상의 제왕인 복희(伏羲)와 신농(神農)을 함께 부르는 말. 복희는 팔괘(八卦)를 처음 만들고 어획(漁獲)과 수렵(狩獵)의 방법을 가르쳤으며, 신농은 백성에게 농경을 가르치고 의약을 제조하여 병을 치료하였으므로 태평성대를 이룬 성군(聖君)을 가리킴.
고대 , 중국 , 사상>술어>관용어
-
희^문(羲^文)
중국 고대 전설상의 제왕인 복희(伏羲)와 주(周) 나라의 창건자인 문왕(文王)을 함께 부르는 말. 《주역(周易)》은 8괘(卦)와 64괘 및 괘사(卦辭)․효사(爻辭)․십익(十翼) 등으로 되어있는데, 복희는 괘를 그리고 문왕은 괘사를 만들어 도(道)를 밝혀 가르쳤으므로 훌륭한 성군(聖君)을 가리킴.
중국>주ㅣ고대 , 중국 , 사상>술어>관용어
-
희^소(羲^邵)
중국 고대 전설상의 제왕인 복희(伏羲)와 송(宋) 나라 인종(仁宗) 때의 학자인 소옹(邵雍)을 함께 부르는 말. 복희가 창조한 선천도(先天圖)를 소옹이 전수받아 상수(象數)에 의거하여 우주 만물의 생성과정을 연역해 내는 선천상수학(先天象數學)을 확립함.
중국>송ㅣ고대 , 중국 , 사상>술어>관용어
-
희^아(羲^娥)
중국 고대 전설상의 태양신인 희화(羲和)와 달의 신인 항아(姮娥)를 함께 부르는 말. 일월(日月)을 지칭하므로, 전하여 세월을 뜻함.
고대 , 중국 , 사상>술어>관용어
-
희^우(羲^虞)
중국 고대 전설상의 황제인 복희(伏羲)와 순(舜)을 함께 부르는 말. 복희는 팔괘(八卦)를 처음 만들고 어획(漁獲)과 수렵(狩獵)의 방법을 가르쳤으며, 순은 천하를 잘 다스려 태평시대를 이루었으므로 훌륭한 성군(聖君)을 가리킴.
고대 , 중국 , 사상>술어>관용어
-
희^헌(羲^獻)
중국 남북조시대 진(晉) 나라의 서예가인 왕희지(王羲之)와 왕헌지(王獻之)를 함께 부르는 말. 부자(父子)가 모두 뛰어난 재능을 가진 사람을 말함.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사상>술어>관용어
-
희^헌(羲^軒)
중국 고대 전설상의 제왕인 복희(伏羲)와 헌원(軒轅)을 함께 부르는 말. 태평성대를 이룩한 성왕(聖王)을 가리킴.
고대 , 중국 , 사상>술어>관용어
-
희강왕(僖康王)
신라 제43대 국왕. 재위 836~838. 익성대왕(翌成大王)으로 추봉된 김헌정(金憲貞)의 아들. 흥덕왕(興德王)이 죽은 뒤 김균정(金均貞)과 왕위를 다투었으나 시중(侍中) 김명(金明)의 추대로 즉위함. 후에 김명이 난을 일으키자 자살함.
?~838 한국>통일신라 , 경상도>경주 , 인명>왕실>국왕
-
희공(僖公)
중국 춘추전국시대 노(魯) 나라의 제후. 노 나라 장공(莊公)의 아들이자 민공(閔公)의 형으로, 민공의 뒤를 이어 제후가 됨.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왕실>제후
-
희공(釐公)
중국 춘추전국시대 제(齊) 나라의 제후. 재위 B.C.730~B.C.698. 양공(襄公)과 환공(桓公)의 아버지.
?~B.C.698.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왕실>제후
-
희락당고(希樂堂稿)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인 김안로(金安老)의 시문집. 8권 6책. 필사본. 저자가 정유삼흉(丁酉三兇)의 한 사람으로 지목되어 문집이 간행되지 못하고 필사본으로 전해짐.
한국>조선전기 , 문헌>서명
-
희빈장씨(禧嬪張氏)
조선 제19대 숙종(肅宗)의 후궁. 본관은 인동(仁同). 1689년(숙종 15)에 왕자 윤(昀. 후의 경종)을 낳으면서 인현왕후(仁顯王后)가 폐위되고 왕비로 책봉됨. 후에 희빈(禧嬪)으로 강등되자, 1701년(숙종 27) 인현왕후를 저주하여 죽음에 이르게 하였다는 죄목으로 사약을 받고 죽음.
?~1701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왕실>후궁
-
희빈홍씨(熙嬪洪氏)
조선 제11대 중종(中宗)의 후궁. 본관은 남양(南陽). 중종반정(中宗反正) 때 공을 세운 정국공신(靖國功臣) 홍경주(洪景舟)의 딸.
1494~1581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후궁
-
희운(希運)
중국 당(唐) 나라의 승려. 백장선사(百丈禪師) 회해(懷海)의 지도를 받고 현지(玄旨)에 통달함. 희운의 법어(法語)를 비휴(斐休)가 집대성하여 《황벽산단제선사 전심법요(黃檗山斷際禪師傳心法要)》로 남김.
?~850 중국>당 , 중국 , 인명>종교인>승려
-
희조(僖祖)
중국 송(宋) 나라의 추존 황제. 태조(太祖) 조광윤(趙匡胤)의 고조(高祖)로, 묘호(廟號)는 희조, 시호(諡號)는 문헌황제(文獻皇帝)로 추존됨.
중국>송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희종(僖宗)
중국 당(唐) 나라의 제18대 황제. 재위 873~888. 어린 나이에 즉위하였고, 재위 중에 황소(黃巢)의 반란군이 장안(長安)을 침략하는 등 많은 어려움을 겪음.
862~888 중국>당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희종(熙宗)
고려 제21대 왕. 재위 1204~1211. 신종(神宗)의 맏아들로, 어머니는 정화태후 김씨(靖和太后金氏). 최충헌(崔忠獻)에 의해 폐위되고, 최우(崔瑀)에 의해 강화로 유배됨.
1181~1237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개성 , 인명>왕실>국왕
-
희종(熹宗)
중국 명(明) 나라의 제15대 황제. 재위 1620~1627. 이 시기에 악명 높은 환관 위충현(魏忠賢)이 조정을 장악하여 나라가 쇠락해짐.
1605~1627 중국>명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희준(熙俊)
조선 전기의 승려. 봉은사(奉恩寺)에 머무르며 오대산(五臺山) 승려 도순(道淳)과 교유함.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종교인>승려
-
희진(禧進)
고려 말 조선 초의 승려. 환암(幻菴) 혼수(混脩)의 제자.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강원도>원주 , 인명>종교인>승려
-
희청부(喜晴賦)
조선 세조(世祖) 때의 문신인 김수온(金守溫)이 지은 부(賦). 1457년(세조 3)에 명(明) 나라 한림원 수찬(翰林院修撰) 진감(陳鑑)이 사신으로 와서 지은 〈희청부(喜晴賦)〉의 운(韻)을 맞춰 지은 것으로, 크게 칭찬을 받음.
1457 한국>조선전기 , 문헌>작품명
-
희화(羲和)
중국 고대의 전설상의 인물. 제준(帝俊)의 아내로, 열 개의 태양(太陽)을 아들로 낳고 수레에 싣고 다닌다는 신. 일반적으로 해를 지칭함.
고대 , 중국 , 인명>기타인명>기타인물
-
계손(季孫) - 계손씨(季孫氏)
중국 춘추전국시대 노(魯) 나라의 공족(公族). 맹손씨(孟孫氏)ㆍ숙손씨(叔孫氏)와 함께 노 나라의 세 공족 중 하나. 환공(桓公)의 아들인 계우(季友)의 후손으로, 대대로 대부의 벼슬을 계승하고 정권을 독점하여 막대한 권세와 부를 누림.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집단>성씨
-
계손(季孫)@계손의여 - 계손의여(季孫意如)
중국 춘추전국시대(春秋戰國時代)의 노(魯) 나라 대부. 삼환(三桓)의 하나인 계손씨(季孫氏)의 우두머리로 노 나라의 정권을 전횡함.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관인>경대부
-
계손(繼孫) - 이계손(李繼孫)
조선 단종(端宗)~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여주(驪州). 평안도 관찰사(平安道觀察使)로 있을 때 향교를 후원하여 지방의 학문을 진작시켰으며, 병조 판서(兵曹判書) 등을 지냄.
1423~1484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여주 , 인명>관인>문신
-
계손비(季孫肥) - 계강자(季康子)
중국 춘추전국시대 노(魯) 나라 애공(哀公) 때의 정경(正卿). 공자(孔子)에게 정치에 대해 물은 것이 《논어(論語)》 〈안연(顔淵)〉편에 실려 있음.
?~B.C.468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관인>경대부
-
계송(繼宋) - 안계송(安繼宋)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순흥(順興). 음직(蔭職)으로 돈녕부 직장(敦寧府直長)을 지냄. 남효온(南孝溫)의 〈사우명행록(師友名行錄)〉에 행적이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영천(榮川) , 인명>관인>문신
-
계수(季修) - 이숙(李塾)
중국 송(宋) 나라의 학자. 학사(學士) 이도(李燾)의 아들이며, 남헌(南軒) 장식(張栻)의 문인(門人).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계수(季叟) - 윤담(尹聃)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첨사(僉使) 윤섭(尹涉)의 아들이며, 율곡(栗谷) 이이(李珥)의 생질이자 문인으로,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의병을 일으켜 활약하였고, 의금부 도사(義禁府都事)를 역임함.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황주 , 인명>관인>문신
-
계수(季綏)@신원록 - 신원록(申元祿)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효자ㆍ학자. 본관은 아주(鵝州)로, 조식(曺植)ㆍ주세붕(周世鵬)ㆍ이황(李滉)의 문하에서 수학함. 8년간 팔공산(八公山)에 올라가 약초를 캐면서 병든 아버지를 보살핌.
1516~1576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의성 , 인명>기타인명>효자ㅣ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계수(季綏) - 김제(金禔)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ㆍ문인화가. 본관은 연안(延安)으로, 좌의정 김안로(金安老)의 아들. 산수화를 특히 잘 그렸으며, 최립(崔笠)의 문장, 한호(韓濩)의 글씨와 더불어 삼절(三絶)이라 불림. 이이(李珥)ㆍ홍가신(洪可臣)ㆍ구사민(具思閔) 등과 팔현회(八賢會)를 조직하여 교유함.
1524~1593 한국>조선후기 , 황해도>연안 , 인명>예술인>서화가ㅣ인명>관인>문신
-
계수(季綬) - 곽재우(郭再祐)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무신ㆍ의병장. 본관은 현풍(玄風). 곽월(郭越)의 아들로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의병을 일으켜 공을 세우고, 정유재란(丁酉再亂) 때 화왕산성(火旺山城) 등지에서 왜적을 격파함.
1552~1617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의령 , 인명>관인>무신
-
계수(季隨) - 호대시(胡大時)
중국 송(宋) 나라의 학자. 호굉(胡宏)의 아들이며, 장식(張栻)의 사위이자 제자로, 장식이 죽은 뒤 진부량(陳傅良)에게 수학하고, 주희(朱熹)와 교유하였으며, 《호남답문(湖南答問)》을 저술함.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계수(溪叟) - 이황(李滉)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진보(眞寶). 주리론적(主理論的) 이기이원론(理氣二元論)을 주장한 영남학파(嶺南學派)의 종장(宗匠).
1501~1570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예안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계숙(啓叔)@김개 - 김개(金闓)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좌의정(左議政)을 지낸 김귀영(金貴榮)의 아들. 좌윤(左尹)을 지내고, 허균(許筠)의 심복으로서 인목대비(仁穆大妃)의 폐비를 주장함. 허균이 역모 혐의로 처형당할 때 심문을 받다 장살(杖殺)됨.
1582~1618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상주 , 인명>관인>문신
-
계숙(啓叔) - 신옥(申沃)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평산(平山). 곡성 현감(谷城縣監)을 역임하였으며, 이황(李滉)과 학문을 논하는 편지를 주고받음.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평산 , 인명>관인>문신
-
계숙(繼叔) - 권소(權紹)
조선 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 대사헌(大司憲)을 지낸 권민수(權敏手)의 아들로, 숙부인 권달수(權達手)에게 출계(出系)함. 지중추부사(知中樞府事)를 지낸 권찬(權纘)의 동생으로, 안동 부사(安東府使)를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함창 , 인명>관인>문신
-
계순(季純) - 김복일(金復一)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의성(義城). 이황(李滉)의 문인이며, 학봉(鶴峯) 김성일(金誠一)의 동생. 경주 교수(慶州敎授)ㆍ울산 군수(蔚山郡守)ㆍ창원 부사(昌原府使) 등을 지냈으며, 경주 교수로 있을 때 학생들을 경학으로써 인도하여 도의를 크게 일으킴.
1541~1591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ㅣ경상도>예천ㅣ경상도>의성 , 인명>관인>문신
-
계순(繼純) - 한계순(韓繼純)
조선 세조(世祖)~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청주(淸州)로, 함경 감사(咸鏡監司) 한혜(韓惠의 아들. 남이(南怡)의 옥사를 다스리는 데 공을 세워 익대공신(翼戴功臣)에 책록되고, 성종의 즉위를 도와 좌리공신(佐理功臣)에 책록되었으며, 지중추부사(知中樞府事) 등을 역임함.
1431~1486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청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계순(繼舜) - 남금(南琴)
조선 태종(太宗)~세종(世宗) 때의 문신. 태종(太宗)이 양녕대군(讓寧大君)을 광주에 안치(安置)할 때 판목사(判牧事)로 삼았으며, 병조 판서(兵曹判書)를 지냈음.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고성 , 인명>관인>문신
-
계승(季昇) - 최현(崔晛)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ㆍ문인. 본관은 전주(全州). 정구(鄭逑)의 문인으로,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의병을 일으켜 공을 세움. 《선조실록(宣祖實錄》편찬에 참여하고, 강원도 관찰사(江原道觀察使) 등을 지냄.
1563~1640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선산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계신(季信) - 박돈지(朴惇之)
고려 공민왕(恭愍王)~조선 세종(世宗) 때의 문신. 일본(日本)에 사신으로 가서 연해(沿海)에 침입하는 왜구(倭寇)에 대한 일을 해결함.
1341~1422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기도>개성 , 인명>관인>문신
-
계신(繼信) - 원계신(元繼信)
조선 전기의 유학. 신천 군수(信川郡守)를 지낸 이창형(李昌亨)의 사위로, 권호문(權好文)의 《송암집(松巖集)》에 그와 관련한 시가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유학
-
계실(季實) - 이성립(李誠立)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본관은 고령(高靈). 가선대부(嘉善大夫) 이응천(李應千)의 아들로, 고경명(高敬命)과 교유함. 호조 좌랑(戶曹佐郞)을 지냈으며, 어머니의 죽음을 슬퍼하다가 병을 얻어 38세에 죽음.
1573~1611 한국>조선후기 , 함경도>문천 , 인명>관인>문신
-
계씨(季氏) - 계손씨(季孫氏)
중국 춘추전국시대 노(魯) 나라의 공족(公族). 맹손씨(孟孫氏)ㆍ숙손씨(叔孫氏)와 함께 노 나라의 세 공족 중 하나. 환공(桓公)의 아들인 계우(季友)의 후손으로, 대대로 대부의 벼슬을 계승하고 정권을 독점하여 막대한 권세와 부를 누림.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집단>성씨
-
계아(季雅) - 이청(李淸)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한산(韓山). 이덕윤(李德潤)의 아들로, 1511년(중종 6) 별시(別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한성부 좌윤(漢城府左尹) 등을 지냄.
1483~1549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한산 , 인명>관인>문신
-
계아(桂娥) - 항아(姮娥)
중국 고대 유궁후(有窮后) 예(羿)의 아내. 예가 서왕모(西王母)에게 얻은 선약(仙藥)을 몰래 훔쳐 먹고 신선이 되어 혼자 월궁(月宮)으로 달아났으나, 두꺼비로 변해 달에서 외롭게 살고 있다고 전함. 달에 사는 신선(神仙)이나, 달 자체를 가리키는 말로도 쓰임.
고대 , 중국 , 인명>기타인명>기타인물
-
계악(鷄岳) - 계룡산(鷄龍山)
충청남도 공주(公州)ㆍ논산(論山)ㆍ대전(大田)에 걸쳐 있는 산 이름. 신라시대 오악(五嶽) 중 하나.
충청도>연산ㅣ충청도>공주 , 지명>자연지명
-
계악(鷄嶽) - 계룡산(鷄龍山)
충청남도 공주(公州)ㆍ논산(論山)ㆍ대전(大田)에 걸쳐 있는 산 이름. 신라시대 오악(五嶽) 중 하나.
충청도>연산ㅣ충청도>공주 , 지명>자연지명
-
계안(係安) - 탁념(卓恬)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광산(光山). 예의 판서(禮儀判書)를 지낸 탁광무(卓光茂)의 아들로, 전의감 정(典醫監正) 등을 역임함.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광산 , 인명>관인>문신
-
계암(溪巖) - 김령(金坽)
조선 광해군(光海君)~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광산(光山).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유성룡(柳成龍)의 막하로 자진하여 종군하였고, 인조반정(仁祖反正) 후 장령(掌令)ㆍ집의(執義) 등에 임명되었으나 모두 부임하지 않음.
1577~1641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예안ㅣ서울 , 인명>관인>문신
-
계암선생문집(溪巖先生文集) - 계암집(溪巖集)
조선 광해군(光海君)~인조(仁祖) 때의 문신인 김령(金坽)의 시문집. 6권 3책. 1772년(영조 48)에 현손 김굉(金紘) 등이 도산서원(陶山書院)에서 편집 간행함.
1772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안동 , 문헌>서명
-
계양(桂陽)@성무정 - 성무정(成武丁)
중국 한(漢) 나라의 도사. 장사(長沙)에서 이인(異人)을 만나 선약(仙藥)을 얻어 새와 짐승의 말을 하고, 나중에는 흰 노새를 타고 신선이 되었다고 함.
중국>전한 , 중국 , 인명>기타인명>도사
-
계양(桂陽)@이희보 - 이희보(李希輔)
조선 연산군(燕山君)~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평양(平壤)으로, 사옹원 봉사(司饔院奉事)를 지낸 이극문(李克文)의 아들. 성균관 대사성(成均館大司成)을 지내고, 문장에도 능함.
1473~1548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계양(桂陽) - 부평(富平)
경기도 인천 동부 일대의 지역 이름.
경기도>부평 , 지명>행정지명
-
계양(繼陽) - 이계양(李繼陽)
조선 단종(端宗)~성종(成宗) 때의 학자. 본관은 진보(眞寶). 이정(李禎)의 아들이며, 청해군(淸海君) 이우(李堣)의 아버지로, 단종 때 사마시(司馬試)에 입격했으나 단종이 왕위를 빼앗기자 예안(禮安)으로 낙향함.
1424~1488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예안 , 인명>문사>학자
-
계양수(溪陽守) - 이수원(李壽元)
조선 전기의 종친. 예빈시 부정(禮賓寺副正) 신수린(申壽麟)의 맏사위.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계양어은(桂陽漁隱) - 정희검(鄭希儉)
조선 연산군(燕山君) 때의 유학. 본관은 해주(海州)로, 부사(府使) 정연경(鄭延慶)의 아들이며 정희량(鄭希良)의 아우. 연산군의 정치가 혼란해지자 과거(科擧)를 단념한 채 시와 술을 즐기며 호(號)를 계양어은(桂陽漁隱)이라 함.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해주 , 인명>문사>유학
-
계언(啓彦) - 유옥(柳沃)@유문표의아들
조선 연산군(燕山君)~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문화(文化). 박상(朴祥)ㆍ김정(金淨) 등과 연명으로 단경왕후(端敬王后) 신씨(愼氏)의 복위를 청하고 신씨를 폐위시켰던 훈신(勳臣)들의 죄를 규탄하는 상소를 올림.
1487~1519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창평 , 인명>관인>문신
-
계언(季彦) - 배수(裵秀)
중국 남북조시대 진(晉) 나라의 문신ㆍ학자. 상서령(尙書令) 배잠(裵潛)의 천첩 소생으로, 무제(武帝)를 옹립하여 서진(西晉)을 세우고 사공(司空)을 지냄. 《우공지역도(禹貢地域圖)》를 편찬하여 지도 제작의 준칙을 만듦.
224~271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계언(季彦)@이세걸 - 이세걸(李世傑)
조선 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광주(廣州). 좌익공신(佐翼功臣) 이극감(李克堪)의 아들이자 삼가 현감(三嘉縣監) 이수진(李守震)의 아버지로, 이조 좌랑(吏曹佐郞) 등을 지냄.
1463~?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광주 , 인명>관인>문신
-
계언(季彦)@윤시걸 - 윤시걸(尹時傑)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남원(南原). 윤은(尹訔)의 아들로, 형조 정랑(刑曹正郞)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계엄(季淹) - 성희문(成希文)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성완(成玩)의 아들로, 중종반정(中宗反正)에 참여하여 원종공신(原從功臣)에 책록되고, 사헌부 감찰(司憲府監察)ㆍ현풍 현감(玄風縣監) 등을 역임함.
1477~1529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창녕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계업(啓業) - 기효맹(奇孝孟)
조선 선조(宣祖) 때의 유학. 본관은 행주(幸州)로, 고봉(高峯) 기대승(奇大升)의 아들. 정유재란 때에 형 기효민(奇孝閔)과 함께 왜적을 만나 죽음.
1572~?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고양 , 인명>문사>유학
-
계염(季琰) - 왕민(王珉)
중국 남북조시대 동진(東晉)의 문신. 상서성(尙書省) 왕순(王珣)의 동생으로, 관직이 중서령(中書令)에 이름. 왕희지(王羲之)의 족질로 행서(行書)에 뛰어남.
351~388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계영(啓榮) - 박계영(朴啓榮)
조선 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밀양(密陽). 예조 참판(禮曹參判) 박진원(朴震元)의 아들로, 1630년(인조 8) 식년시(式年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첨지중추부사(僉知中樞府事) 등을 지냄.
1597~?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계영(啓英) - 임계영(任啓英)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장흥(長興). 임진왜란 때 박광전(朴光前)ㆍ최경회(崔慶會) 등과 의병활동을 펼쳐 크게 활약함. 진보 현감(眞寶縣監) 등을 지냄.
1528~1597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장흥 , 인명>관인>문신
-
계옥(啓沃)@황계옥 - 황계옥(黃啓沃)
조선 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단양(丹陽). 선공감 정(繕工監正)을 지낸 황진손(黃震孫)의 아들로, 정시(庭試)의 참시관(參試官)을 지냄. 홍문관 응교(弘文館應敎)로 회령(會寧)의 화재사건을 조사하기 위해 현지로 가던 중 병사함.
?~1494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단양 , 인명>관인>문신
-
계옥(啓沃) - 유여림(兪汝霖)
조선 연산군(燕山君)~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기계(杞溪)로, 첨지중추부사(僉知中樞府事)를 지낸 유기창(兪起昌)의 아들. 1504년(연산군 10) 식년시(式年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호조 판서(戶曹判書)ㆍ예조 판서(禮曹判書) 등을 지냄. 저서로 《정당선생유고(政堂先生遺稿)》가 있음.
1476~1538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경주 , 인명>관인>문신
-
계옥(季沃) - 황계옥(黃季沃)
조선 중종(中宗) 때의 유학. 본관은 덕산(德山). 봉상시 정(奉常寺正)을 지낸 황필(黃㻶)의 아들로, 1513년(중종 8) 진사시(進士試)에 입격하여 사옹원 참봉(司饔院參奉)을 지냄. 조광조(趙光祖)를 모함하는 상소를 올림.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덕산ㅣ서울 , 인명>문사>유학
-
계옥(季玉)@유달지 - 유달지(柳達枝)
조선 후기의 유학. 본관은 서산(瑞山). 유흡(柳洽)의 아들이며, 유천지(柳千枝)ㆍ유만지(柳萬枝)의 형.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서산 , 인명>문사>유학
-
계옥(季玉) - 권유(權瑠)
조선 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 금산 군수(金山郡守) 권빈(權璸)의 동생.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함창 , 인명>관인>문신
-
계옥(季玉)@성수영 - 성수영(成守瑛)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성세순(成世純)의 아들로, 부정(副正) 등을 역임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창녕 , 인명>관인>문신
-
계온(季昷) - 김종직(金宗直)
조선 단종(端宗)~성종(成宗)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선산(善山). 고려 말 정몽주(鄭夢周)ㆍ길재(吉再)의 학통을 이어받은 조선 도통(道統)의 정맥으로 사림(士林)의 종주(宗主)가 됨. 〈조의제문(弔義帝文)〉으로 무오사화(戊午士禍) 때 부관참시(剖棺斬屍) 됨.
1431~1492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밀양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계온(季溫) - 김종직(金宗直)
조선 단종(端宗)~성종(成宗)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선산(善山). 고려 말 정몽주(鄭夢周)ㆍ길재(吉再)의 학통을 이어받은 조선 도통(道統)의 정맥으로 사림(士林)의 종주(宗主)가 됨. 〈조의제문(弔義帝文)〉으로 무오사화(戊午士禍) 때 부관참시(剖棺斬屍) 됨.
1431~1492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밀양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계옹(季雍) - 김한(金僩)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광산(光山). 수의부위(修義副尉) 김세묵(金世默)의 아들로, 1573년(선조 6) 식년시(式年試)에 급제하여 한림(翰林) 등을 역임함.
1537~?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계옹(溪翁)@이황 - 이황(李滉)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진보(眞寶). 주리론적(主理論的) 이기이원론(理氣二元論)을 주장한 영남학파(嶺南學派)의 종장(宗匠).
1501~1570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예안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계옹(溪翁)@김상용 - 김상용(金尙容)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 돈녕부 도정 김극효(金克孝)의 아들이며, 성혼(成渾)과 이이(李珥)의 문인(門人). 병자호란(丙子胡亂) 때 왕족을 호종하고 강화(江華)로 갔다가 강화성(江華城)이 함락되자 자결함.
1561~1637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계옹(溪翁)@정렴 - 정렴(鄭𥖝)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ㆍ학자ㆍ유의(儒醫). 천문ㆍ지리ㆍ의서ㆍ복서(卜筮) 등에 두루 능통했고, 특히 약의 이치와 음률에 밝았음. 포천 현감(抱川縣監)을 지냄.
1505~1549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온양 , 인명>기술인>의원ㅣ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계옹(溪翁)@이자 - 이자(李耔)
조선 연산군(燕山君)~중종(中宗)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한산(韓山). 사림파(士林派)의 한 사람으로 도학정치의 이상을 추구했으며, 온건하고 원만한 성품으로 기묘사화(己卯士禍)의 참화를 면함. 파직된 후 음성(陰城) 등지에 은거하여 학문에 힘씀.
1480~1533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충주ㅣ충청도>음성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계옹(溪翁)@이산해 - 이산해(李山海)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종계변무(宗系辨誣)의 공으로 광국공신(光國功臣)에 책록됨. 대북(大北)의 영수로, 건저문제(建儲問題)를 일으킨 정철(鄭澈)을 탄핵하고, 임진왜란 때 유배되었다가 복직된 뒤 영의정 등을 지냄.
1539~1609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한산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계옹(溪翁) - 김영숙(金榮叔)
조선 성종(成宗) 때의 유학. 본관은 경주(慶州). 여산(礪山) 남계(鑑溪) 가에 있는 정자의 이름을 남효온(南孝溫)에게 청하였는데, 그 기문(記文)이 《추강집(秋江集)》에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은진ㅣ전라도>여산 , 인명>문사>유학
-
계옹(溪翁)@황준량 - 황준량(黃俊良)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평해(平海). 이황(李滉)의 문인으로, 호조 좌랑(戶曹佐郞)ㆍ신녕 현감(新寧縣監) 등을 지내고, 교육진흥에 힘을 기울여 문묘(文廟)를 수축하고 백학서원(白鶴書院)을 창설하는 등의 많은 치적을 남김.
1517~1563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풍기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계옹(繼翁) - 원윤조(元允祖)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원주(原州)로, 부호군(副護軍)을 지낸 원중치(元仲稚)의 아들로, 학문에 힘썼으나 요절함.
한국>조선전기 , 강원도>원주 , 인명>문사>유학
-
계옹(谿翁) - 이무방(李茂芳)
고려 충목왕(忠穆王)~조선 태조(太祖) 때의 문신. 본관은 광양(光陽). 고려 때 주요 관직을 두루 지내고 찬화공신(贊化功臣) 등에 책록됨. 조선 개국 후 조준(趙浚)의 천거로 검교문하시중(檢校門下侍中)을 지냄.
1319~1398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전라도>광양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계완(季完) - 이계완(李季完)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신평(新平). 원정(院正)을 지낸 이세건(李世健)의 아버지.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홍주 , 인명>문사>유학
-
계용(季容)@안한 - 안한(安翰)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순흥(順興)으로, 군기시 판관(軍器寺判官)을 지냈음. 이황(李滉)의 《퇴계집(退溪集)》에 그에게 보낸 편지가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