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계용(季容) - 송순(宋純)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ㆍ문인. 본관은 신평(新平). 우참찬(右參贊) 등을 지냈으며, 면앙정가단(俛仰亭歌壇)의 창설자이자 강호가도(江湖歌道)의 선구자로서, 조선 시가문학(詩歌文學)에 크게 기여함.
1493~1582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담양 , 인명>관인>문신
-
계용(季鎔) - 김연(金埏)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언양(彦陽). 김수겸(金守謙)의 아들로, 공조 좌랑(工曹佐郞)을 역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상주 , 인명>관인>문신
-
계운(啓運) - 인헌왕후(仁獻王后)
조선 제16대 인조(仁祖)의 어머니이자 추존왕 원종(元宗)의 비. 본관은 능성(綾城). 능안부원군(綾安府院君) 구사맹(具思孟)의 딸로, 1632년(인조 10) 정원군(定遠君)이 원종으로 추존됨에 따라 인헌왕후로 추존됨.
1578~1626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왕실>왕비
-
계운(季雲) - 김일손(金馹孫)
조선 성종(成宗)~연산군(燕山君) 때의 학자ㆍ문신. 본관은 김해(金海). 스승인 김종직(金宗直)이 쓴 조의제문(弔義帝文)을 실록(實錄)에 기재한 일로 인해 훈구파(勳舊派)의 미움을 사 무오사화(戊午士禍) 때 사형당함.
1464~1498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청도ㅣ경상도>밀양ㅣ경기도>용인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계운궁(啓運宮) - 인헌왕후(仁獻王后)
조선 제16대 인조(仁祖)의 어머니이자 추존왕 원종(元宗)의 비. 본관은 능성(綾城). 능안부원군(綾安府院君) 구사맹(具思孟)의 딸로, 1632년(인조 10) 정원군(定遠君)이 원종으로 추존됨에 따라 인헌왕후로 추존됨.
1578~1626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왕실>왕비
-
계운별궁(啓運別宮) - 인헌왕후(仁獻王后)
조선 제16대 인조(仁祖)의 어머니이자 추존왕 원종(元宗)의 비. 본관은 능성(綾城). 능안부원군(綾安府院君) 구사맹(具思孟)의 딸로, 1632년(인조 10) 정원군(定遠君)이 원종으로 추존됨에 따라 인헌왕후로 추존됨.
1578~1626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왕실>왕비
-
계운신무(啓運神武) - 태조(太祖)@조선
조선 제1대 왕. 재위 1392~1398. 고려 말에 무장(武將)으로서 홍건적(紅巾賊)과 왜구(倭寇)의 침입을 격퇴하는 데 크게 활약했으며, 개혁파 사류(士類)와 함께 고려 왕조를 무너뜨리고 조선을 건국한 후 초기 국가의 기틀을 다짐.
1335~1408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함경도>영흥ㅣ서울 , 인명>왕실>국왕
-
계원(溪院)@삼계서원 - 삼계서원(三溪書院)
조선 선조(宣祖) 때 경상도 안동(安東)에 건립한 서원. 1588년(선조 21) 창건되어 권벌(權橃)의 위패를 봉안했으며, 1660년(현종 1) 사액됨. 현재 경상북도 봉화(奉化)에 속함.
1588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유적>건물>서원,향교
-
계원(溪院) - 황정욱(黃廷彧)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장수(長水). 해동강서시파(海東江西詩派)인 호소지(湖蘇芝)의 일원.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순화군(順和君)을 배종하여 관동으로 피난했다가 왜군의 포로가 되어 항복 권유문을 씀.
1532~1607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기타인명>공신
-
계원(繼源) - 신계원(愼繼源)
조선 성종(成宗)~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 1488년(성종 19) 진주(晉州) 촉석루(矗石樓)에서 조위(曺偉)ㆍ김일손(金馹孫) 등과 금란계(金蘭契)를 맺음. 창녕 현감(昌寧縣監)ㆍ장흥 부사(長興府使) 등을 역임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거창 , 인명>관인>문신
-
계원군(桂原君) - 이의(李艤)
조선 성종(成宗)~명종(明宗) 때의 종친. 본관은 전주(全州). 정종(定宗)의 4세손으로, 백성수(栢城守) 이원(李源)의 아들. 1502년(연산군 8) 종친시예(宗親試藝)에 장원하는 등 학문에 뛰어나고 후진 양성에 힘씀.
1469~1554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계원노인(溪院老人) - 황정욱(黃廷彧)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장수(長水). 해동강서시파(海東江西詩派)인 호소지(湖蘇芝)의 일원.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순화군(順和君)을 배종하여 관동으로 피난했다가 왜군의 포로가 되어 항복 권유문을 씀.
1532~1607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기타인명>공신
-
계원필경집(桂苑筆耕集) - 계원필경(桂苑筆耕)
통일신라시대의 학자ㆍ문장가인 최치원(崔致遠)의 시문집(詩文集). 사륙변려체(四六騈儷體)의 명문만을 수록한 것으로, 우리나라 한문학사에 큰 영향을 끼침. 20권 4책. 활자본.
1834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전주 , 문헌>서명
-
계월헌(溪月軒) - 자초(自超)
고려 충혜왕(忠惠王)~조선 태조(太祖) 때의 고승. 소지선사(小止禪師)의 제자로 구족계를 받고, 혜명국사(慧明國師)에게서 불법을 배움. 나옹(懶翁) 혜근(惠勤)의 수제자로 조선 개국 후 왕사(王師)가 됨.
1327~1405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상도>합천 , 인명>종교인>승려
-
계위(係危) - 탁신(卓愼)
고려 공양왕(恭讓王)~조선 세종(世宗) 때의 문신. 본관은 광주(光州)로, 예의 판서(禮儀判書) 탁광무(卓光茂)의 아들. 경학(經學)에 밝고 무예(武藝)ㆍ음률(音律)에도 능하였으며, 조선 개국 후 의정부 좌참찬(議政府左參贊) 등을 지냄.
1367~1426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전라도>광산 , 인명>관인>문신
-
계위(季偉) - 모용(茅容)
중국 후한(後漢) 때의 효자. 나이 40이 넘도록 글을 읽지 못했는데, 곽태(郭泰)가 그의 사람됨을 알아보고 학문을 권하여 성덕(成德)하였음.
중국>후한 , 중국 , 인명>기타인명>효자
-
계유(季孺) - 오계유(吳季孺)
고려 충숙왕(忠肅王) 때의 문신. 본관은 고창(高敞). 문장가로 이름이 높았던 오세문(吳世文)의 증손. 좌리공신(輸忠保節佐理安社功臣)으로 삼중대광 도첨의찬성사(三重大匡都僉議贊成事)를 지내고, 모양군(牟陽君)에 봉해짐.
한국>고려후기 , 전라도>고창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계유(季由) - 중유(仲由)
중국 춘추전국시대 노(魯) 나라의 학자. 공자(孔子)의 제자. 공자의 훈계로 입문(入門)하여 헌신적으로 공자를 섬김. 정치(政治) 방면에 뛰어난 재능이 있어 노 나라와 위(衛) 나라에서 벼슬하였으나 괴외(蒯聵)의 내란 때 전사함.
B.C.543~B.C.480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계유(季裕) - 김제(金禔)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ㆍ문인화가. 본관은 연안(延安)으로, 좌의정 김안로(金安老)의 아들. 산수화를 특히 잘 그렸으며, 최립(崔笠)의 문장, 한호(韓濩)의 글씨와 더불어 삼절(三絶)이라 불림. 이이(李珥)ㆍ홍가신(洪可臣)ㆍ구사민(具思閔) 등과 팔현회(八賢會)를 조직하여 교유함.
1524~1593 한국>조선후기 , 황해도>연안 , 인명>예술인>서화가ㅣ인명>관인>문신
-
계윤(季潤) - 이덕응(李德應)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성주(星州). 윤임(尹任)의 사위로, 을사사화(乙巳士禍) 때 안세우(安世愚) 등의 무고를 받아 이휘(李煇)ㆍ이염(李爓)과 함께 효수(梟首)됨.
?~1545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계은(溪隱) - 이정립(李廷立)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이이(李珥)ㆍ성혼(成渾)의 문인으로 기축옥사(己丑獄死)를 다스린 공으로 평난공신(平難功臣)이 되었고, 병조 참판(兵曹參判)ㆍ대사성(大司成) 등을 역임함.
1556~1595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광주 , 인명>관인>문신
-
계은(繼殷) - 조계은(曺繼殷)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창녕(昌寧). 이조 좌랑(吏曹佐郞) 조언경(曺彦卿)의 아버지로, 중종반정(中宗反正)에 참여한 공으로 정국공신(靖國功臣)에 책록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창녕 , 인명>관인>문신
-
계은사상(溪隱使相) - 이정립(李廷立)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이이(李珥)ㆍ성혼(成渾)의 문인으로 기축옥사(己丑獄死)를 다스린 공으로 평난공신(平難功臣)이 되었고, 병조 참판(兵曹參判)ㆍ대사성(大司成) 등을 역임함.
1556~1595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광주 , 인명>관인>문신
-
계은유고(溪隱遺稿) - 계은집(溪隱集)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인 이정립(李廷立)의 시문집. 1책. 이항복(李恒福)의 《백사집(白沙集)》에 서문이 실려 있음.
한국>조선후기 , 문헌>서명
-
계응(季應)@김난상 - 김난상(金鸞祥)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청도(淸道). 이황(李滉)ㆍ정황(丁熿) 등과 교유하고, 1545년(인종 1) 을사사화(乙巳士禍)와 1547년(명종 2) 양재역 벽서사건(良才驛壁書事件)으로 유배되었으나, 선조 때 대사성(大司成) 등을 지냄.
1507~1570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계응(季應)@이선 - 이선(李選)@조선전기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영천(永川). 이순증(李順曾)의 아들로, 명종 때 환관 박세겸(朴世謙)의 비행에 연루되어 파직되었다가 재서용되어 오위장(五衛將) 등을 지냄.
1522~1586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영천(永川) , 인명>관인>문신
-
계응(季應) - 남추(南趎)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고성(固城). 기묘사화(己卯士禍) 때 조광조(趙光祖) 일파로 몰려 남곤(南袞)에 의해 추방된 뒤 영광(靈光)으로 내려가 시작(詩作)으로 여생을 마침.
1499~1526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영광ㅣ전라도>곡성 , 인명>관인>문신
-
계응(季膺)@김익복 - 김익복(金益福)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부안(扶安). 찰방(察訪)을 지낸 김광(金光)의 아들이며, 노진(盧禛)의 문인. 군수(郡守) 등을 지냈으며, 임진왜란(壬辰倭亂)이 일어나자 의병을 모아 여러 차례 전공을 세우고 군중에서 전사함.
1551~1599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부안 , 인명>관인>문신
-
계응(季膺) - 이선(李選)@조선전기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영천(永川). 이순증(李順曾)의 아들로, 명종 때 환관 박세겸(朴世謙)의 비행에 연루되어 파직되었다가 재서용되어 오위장(五衛將) 등을 지냄.
1522~1586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영천(永川) , 인명>관인>문신
-
계응(季膺)@이사영 - 이사영(李士英)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경주(慶州). 영강서원(榮江書院)에 봉사(奉祀)된 이해(李蟹)의 손자로 군수(郡守)를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경주 , 인명>관인>문신
-
계응(季鷹)@송한필 - 송한필(宋翰弼)
조선 선조(宣祖) 때의 학자. 본관은 여산(礪山). 신사무옥(辛巳誣獄)을 일으킨 판관(判官) 송사련(宋祀連)의 아들. 형 송익필(宋翼弼)ㆍ송부필(宋富弼)과 함께 문장이 뛰어나고 성리학(性理學)에 정통하여 이이(李珥)ㆍ박인로(朴仁老) 등과 교유함.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여산 , 인명>문사>학자
-
계응(季鷹) - 장한(張翰)
중국 남북조시대 진(晉) 나라의 문신. 제왕(齊王) 경(冏)에게 벼슬하여 동조연(東曹掾)으로 있다가, 시국이 어지럽고 가을바람이 불어오자 불현듯 고향이 생각나, 마침내 관직을 그만두고 돌아갔다는 고사가 유명함.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계응노(季鷹鱸) - 순로(蓴鱸)
중국 남북조시대 진(晉) 나라 장한(張翰)이 가을바람을 맞고는 고향 강동(江東)의 순채국과 농어회 맛을 잊지 못하여 벼슬을 버리고 고향으로 돌아갔던 데서 나온 고사로, 고향을 그리워함을 뜻함.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사상>술어>고사성어
-
계응순(季鷹蓴) - 순로(蓴鱸)
중국 남북조시대 진(晉) 나라 장한(張翰)이 가을바람을 맞고는 고향 강동(江東)의 순채국과 농어회 맛을 잊지 못하여 벼슬을 버리고 고향으로 돌아갔던 데서 나온 고사로, 고향을 그리워함을 뜻함.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사상>술어>고사성어
-
계응순로(季鷹蓴鱸) - 순로(蓴鱸)
중국 남북조시대 진(晉) 나라 장한(張翰)이 가을바람을 맞고는 고향 강동(江東)의 순채국과 농어회 맛을 잊지 못하여 벼슬을 버리고 고향으로 돌아갔던 데서 나온 고사로, 고향을 그리워함을 뜻함.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사상>술어>고사성어
-
계응어(季鷹魚) - 순로(蓴鱸)
중국 남북조시대 진(晉) 나라 장한(張翰)이 가을바람을 맞고는 고향 강동(江東)의 순채국과 농어회 맛을 잊지 못하여 벼슬을 버리고 고향으로 돌아갔던 데서 나온 고사로, 고향을 그리워함을 뜻함.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사상>술어>고사성어
-
계의(季依) - 구인기(具仁墍)
조선 광해군(光海君)~숙종(肅宗) 때의 문신. 인조의 모후(母后) 인헌왕후(仁獻王后)의 조카로, 인조반정(仁祖反正)에 공을 세워 정사공신(靖社功臣)에 책록됨. 벼슬이 공조 판서(工曹判書)에 이르렀으며 사후(死後) 영의정(領議政)에 추증됨.
1597~1676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계의(季義) - 김종호(金從虎)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울산(蔚山). 하서(河西) 김인후(金麟厚)의 차남으로, 자여도 찰방(自如道察訪)에 제수되었으나 나아가지 않음.
1537~?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장성 , 인명>관인>문신
-
계의(繼義) - 이계의(李繼義)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경주(慶州). 유학 이익(李翊)의 아버지로, 강계부 판관(江界府判官)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경주 , 인명>관인>문신
-
계이(啓而) - 신내옥(辛乃沃)
조선 명종(明宗)~광해군(光海君) 때의 유학. 본관은 영월(寧越)로, 충좌위 부사직(忠佐衛副司直)을 지낸 신중곤(辛仲坤)의 아들. 이황(李滉)의 문인으로 출사(出仕)하지 않고 도학(道學)에 전념함. 유운룡(柳雲龍)ㆍ김성일(金誠一)ㆍ권호문(權好文) 등과 교유함.
1525~1616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안동ㅣ강원도>영월 , 인명>문사>유학
-
계이(繼而) - 이종(李踵)
조선 연산군(燕山君) 때의 종친. 태종(太宗)의 네 번째 서자인 근녕군(謹寧君) 이농(李襛)의 아들로, 태종의 세 번째 서자인 온녕군(溫寧君) 이정(李裎)에게 출계함. 갑자사화에 연루되어 1506년(연산군 12) 아들들과 함께 죽음을 당함.
?~1506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종친
-
계일(季一) - 이정중(李精中)
조선 선조(宣祖) 때의 유학. 본관은 전주(全州). 이유중(李惟中)의 아우로, 1588년(선조 21) 생원시(生員試)에 입격함.
1565~?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문사>유학
-
계임(季任)@이굉 - 이굉(李肱)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고성(固城)으로, 형조 낭관(刑曹郎官) 이명(李洺)의 아들. 예빈시 별제(禮賓寺別提)에 제수되었으나 곧 사직하고 안동(安東)의 남쪽 낙동강(洛東江) 건너편에 반구정(伴鷗亭)을 짓고 유유자적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계임(季任) - 조사수(趙士秀)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양주(楊州). 조방좌(趙邦佐)의 아들로, 육조(六曹)의 판서(判書)를 거쳐 의정부 좌참찬(議政府左參贊)을 지냄.
1502~1558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양주 , 인명>관인>문신
-
계자(季子)@계찰 - 계찰(季札)
중국 춘추전국시대(春秋戰國時代) 오(吳) 나라의 공자(公子). 각 제후국을 사신으로 순방하면서 예학을 논하는 등 박학하고 통명한 식견을 선보이며 현인으로 명성을 떨침.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왕실>왕자
-
계자(季子) - 소진(蘇秦)
중국 춘추전국시대 연(燕) 나라의 경대부. 낙양(洛陽) 출신으로 귀곡자(鬼谷子) 왕허(王詡)의 문하생이며, 각국에 진(秦) 나라에 대항하는 합종론(合縱論)을 유세하여 육국(六國)의 재상이 됨.
?~B.C.317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관인>경대부
-
계자(季子)@오영 - 오영(吳英)
중국 송(宋) 나라 때의 학자. 주희(朱熹)의 문인(門人)이며, 고종(高宗) 소흥(紹興) 연간에 진사(進士)가 됨.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계자(季疵) - 육우(陸羽)
중국 당(唐) 나라 때의 문인. 고조시가(古調詩歌)에 뛰어났으며, 특히 다도(茶道)에 정통하여 차에 관한 전문서적인《다경(茶經)》을 저술하였고, 후세에 ‘다성(茶聖)’으로 일컬어짐.
733~804 중국>당 , 중국 , 인명>문사>문인
-
계자(薊子) - 계자훈(薊子訓)
중국 후한(後漢) 때의 도사. 음식이 줄어들지 않는 등의 신기한 도술을 부렸다고 함.
중국>후한 , 중국 , 인명>기타인명>도사
-
계장(季章)@이벽 - 이벽(李壁)@송
중국 송(宋) 나라 영종(寧宗) 때의 문신ㆍ문인. 문장(文章)이 뛰어나고 전장(典章)과 제도(制度)에 정통하였으며, 권신 한탁주(韓侂冑)를 추종하여 참지정사(參知政事) 등을 지냄.
1159~1222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계장(季章) - 유보(劉黼)
중국 송(宋) 나라의 문신ㆍ학자. 주희(朱熹)의 문인으로, 참지정사(參知政事)ㆍ이부 상서(吏部尙書)를 지냄.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계장(季章)@윤봉오 - 윤봉오(尹鳳五)
조선 영조(英祖) 때의 문신. 윤명운(尹明運)의 아들이며, 윤봉구(尹鳳九)의 아우로, 연잉군(延礽君) 시절의 영조를 측근에서 보필하였고, 판돈녕부사(判敦寧府事) 등을 역임함.
1688~1769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파주 , 인명>관인>문신
-
계장(季長) - 마융(馬融)
중국 후한(後漢)의 문신ㆍ학자. 훈고학(訓詰學)의 시조로, 노식(盧植)ㆍ정현(鄭玄) 등의 걸출한 제자를 배출함. 《삼전이동설(三傳異同說)》을 저술하고, 《효경(孝經)》등 많은 책을 주석함.
79~166 중국>후한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계장(季長)@우무 - 우무(尤袤)
중국 송(宋) 나라의 시인ㆍ문신. 태상소경(太常少卿) 등의 벼슬을 역임했고, 범성대(范成大)ㆍ육유(陸游)ㆍ양만리(楊萬里) 등과 남송사가(南宋四家)라 칭송됨.
1127~1202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계장(繼長) - 이계장(李繼長)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무신. 본관은 합천(陜川). 이윤문(李允文)의 아들로, 원종공신(原從功臣)에 책록됨. 십여 년간 여러 지방관을 두루 지내고, 첨지중추부사(僉知中樞府事)에 이름.
1465~1529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무신
-
계재(溪齋) - 등린(滕璘)
중국 송(宋) 나라의 문신ㆍ학자. 주희(朱熹)에게 수학했으며, 관직은 조봉대부(朝奉大夫)에 이름. 저서에는 《계재유고(溪齋類稿)》가 있음.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계전(季甸) - 이계전(李季甸)
조선 세종(世宗)~세조(世祖) 때의 문신. 본관은 한산(韓山). 이색(李穡)의 손자로, 《세종실록(世宗實錄)》 편찬에 참여하였으며, 계유정난(癸酉靖難)에 참여하여 정난공신(靖難功臣)과 좌익공신(佐翼功臣)에 책록됨.
1404~1459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한산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계정(係貞) - 홍계정(洪係貞)
조선 연산군(燕山君)~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남양(南陽). 봉상시 부정(奉常寺副正) 홍윤덕(洪潤德)의 아들이며 남녕부원군(南寧府院君) 홍춘경(洪春卿)의 아버지로, 예문관 대교(藝文館待敎) 등을 지냄.
1471~1514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남양 , 인명>관인>문신
-
계정(季禎) - 탁계정(卓季禎)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광산(光山). 직장(直長)을 지낸 탁지(卓智)의 넷째 아들.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광산 , 인명>문사>유학
-
계정(季靜) - 한연(韓淵)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무신. 본관은 청주(淸州)로, 서청군(西淸君) 한삼덕(韓參德)의 아들. 임진왜란 때 의주(義州)로 파천(播遷)하는 선조를 호종하여 사후에 호성공신(扈聖功臣)에 책록되었으며, 공조 정랑(工曹正郞)ㆍ사복시 정(司僕寺正) 등을 지냄.
1543~?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청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무신
-
계정(繼亭) - 권적(權適)
고려 충혜왕(忠惠王)~공민왕(恭愍王)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 길창부원군(吉昌府院君) 권준(權準)의 아들.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계정(繼楨) - 주계정(朱繼楨)
조선 전기의 유학. 김시습(金時習)의 《매월당집(梅月堂集)》에 그에게 준 시(詩)가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유학
-
계정(繼貞) - 김계정(金繼貞)
조선 중종(中宗) 때의 생원. 본관은 삼척(三陟). 효력부위(效力副尉) 김중로(金中魯)의 아들로, 교수(敎授)를 지내고 1513년(중종 8) 생원시(生員試)에 입격함.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계정(繼鄭) - 윤계정(尹繼鄭)
조선 중종(中宗)~인종(仁宗) 때의 문신. 본관은 파평(坡平). 원평군(原平君) 윤공(尹恭)의 아들이며, 서원군(瑞原君) 윤사정(尹士貞)의 아우. 공릉 참봉(恭陵參奉)을 지내고, 청송(聽松) 성수침(成守琛)과 교유함.
1493~1545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파주 , 인명>관인>문신
-
계제(季齊) - 번영(樊英)
중국 후한(後漢) 순제(順帝) 때의 학자. 오경(五經)에 정통한 학자로서 순제에게 사부(師傅)의 대우를 받음.
중국>후한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계조(繼祖)@연진 - 연진(演眞)
고려 후기의 승려. 당시 대표적인 권문세족이던 채홍철(蔡洪哲)의 셋째 아들로, 보우(普愚)에게 출가하여 대선사(大禪師)가 됨.
한국>고려후기 , 강원도>평강 , 인명>종교인>승려
-
계조(繼祖) - 권찬(權纘)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 중종 때 대사헌(大司憲)을 지낸 권민수(權敏手)의 아들. 중종의 아들인 덕양군(德陽君) 이기(李岐)의 장인.
?~1560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함창 , 인명>기타인명>효자ㅣ인명>관인>문신
-
계조(繼祖)@설계조 - 설계조(薛繼祖)
조선 세조(世祖) 때의 무신. 상주 목사(尙州牧使)를 지낸 설순조(薛順祖)의 형. 세조의 즉위를 도운 공으로 정난공신(靖難功臣)에 책록되었으며, 안주 목사(安州牧使)ㆍ경상우도 수군 도안무처치사(慶尙右道水軍都安撫處置使) 등을 지냄.
?~1467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순창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무신
-
계조(繼祖)@유계조 - 유계조(柳繼祖)
고려 공민왕(恭愍王)~우왕(禑王) 때의 무신. 본관은 문화(文化). 공민왕(恭愍王) 때 홍건적의 난 등을 진압한 공으로 공신에 책훈되었으며, 조선 개국 후 영의정(領議政)에 추증됨.
1333~1374 한국>고려후기 , 황해도>문화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무신
-
계조(繼祖)@마계조 - 마계조(馬繼祖)
중국 송(宋) 나라 효종(孝宗) 때의 문신. 1490년에 진사(進士)에 입격해 남경감찰어사(南京監察御史)에 제수됨.
중국>송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계조연진대선사(繼祖演眞大禪師) - 연진(演眞)
고려 후기의 승려. 당시 대표적인 권문세족이던 채홍철(蔡洪哲)의 셋째 아들로, 보우(普愚)에게 출가하여 대선사(大禪師)가 됨.
한국>고려후기 , 강원도>평강 , 인명>종교인>승려
-
계종(繼宗) - 윤계종(尹繼宗)
고려 충혜왕(忠惠王)~충목왕(忠穆王) 때의 문신. 본관은 파평(坡平). 윤보(尹珤)의 첫째 아들이자 충혜왕의 비인 희비(禧妃)의 아버지로, 충혜왕의 신임을 받음.
?~1346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파주 , 인명>관인>문신ㅣ인명>왕실>인척
-
계종(繼宗)@양계종 - 양계종(楊繼宗)
중국 명(明) 나라 영종(英宗)~효종(孝宗) 때의 문신. 성품이 강직하고 청렴하여 중관(中官) 및 제신(諸臣) 들의 탐오와 비리를 지적하였으므로 고관들의 미움을 받았으며, 좌첨도어사(左僉都御史) 등을 역임함.
?~1488 중국>명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계주(季周) - 이단하(李端夏)
조선 현종(顯宗)~숙종(肅宗)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덕수(德水). 택당(澤堂) 이식(李植)의 아들로, 우의정을 거쳐 좌의정에 이름. 송시열(宋時烈)의 문인 가운데 경학(經學)을 대표할 만한 인물로, 저서에 《선묘보감(宣廟寶鑑)》ㆍ《외재집(畏齋集)》 등이 있음.
1625~1689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지평ㅣ서울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계주(季疇) - 이계주(李季疇)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한산(韓山). 이개(李塏)의 아버지로, 호조 정랑(戶曹正郞)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한산 , 인명>관인>문신
-
계준(季俊) - 주문보(周文俌)
조선 연산군(燕山君)~중종(中宗) 때의 유학. 본관은 상주(尙州). 주세붕(周世鵬)의 아버지로, 세거하던 합천(陜川)에서 칠원(漆原)으로 옮겨 가 살았으며, 향인(鄕人)의 존경을 받았다 함.
1467~1532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칠원 , 인명>관인>문신
-
계준(繼俊)@정계준 - 정계준(鄭繼俊)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동래(東萊). 중종(中宗) 때의 유학인 정윤진(鄭允禛)의 아버지.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동래 , 인명>문사>유학
-
계준(繼俊) - 이계준(李繼俊)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인. 본관은 연안(延安). 이구령(李九齡)의 아들로, 거창(居昌)에 은거하여 시와 술을 즐기며 유유자적함. 임훈(林薰)의 《갈천집(葛川集)》에 그의 묘갈(墓碣)이 실려 있음.
1490~1558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거창 , 인명>문사>문인
-
계중(啓仲) - 송여옥(宋汝沃)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유학. 청성산(靑城山)에 은거한 송암(松巖) 권호문(權好文)을 찾아가 《시전(詩傳)》ㆍ《근사록(近思錄)》 등을 수학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문사>유학
-
계중(季重) - 오세재(吳世才)
고려 명종(明宗) 때의 문인ㆍ학자. 본관은 고창(高敞). 해좌칠현(海左七賢)의 한 사람으로 시와 서예에 능함. 명종 때 과거에 급제했으나 관로에는 오르지 못함.
1133~?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경주 , 인명>문사>학자ㅣ인명>문사>문인
-
계중(繼仲) - 서명선(徐命善)
조선 영조(英祖)~정조(正祖) 때의 문신. 본관은 달성(達城). 이조 참판(吏曹參判) 때 세손(世孫)의 대리청정을 반대하는 홍인한(洪麟漢) 일파를 탄핵하여 정조의 즉위에 공헌하였으며, 영의정(領議政) 등을 지냄.
1728~1791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계중(繼重)@임계중 - 임계중(任繼重)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곡성(谷城). 김안국(金安國)ㆍ김정국(金正國) 등과 교유하고 성균관 사성(成均館司成) 등을 역임하였으나, 기묘사화(己卯士禍) 때 연천(漣川)으로 낙향하여 학문 연구에 전념함.
1481~1543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연천 , 인명>관인>문신
-
계중(繼重) - 이계중(李繼重)
조선 세조(世祖) 때의 문신. 남원부원군(南原府院君) 황수신(黃守身)의 사위로, 군사(郡事)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인명>관인>문신
-
계증(繼曾) - 정계증(鄭繼曾)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진주(晉州). 중종(中宗) 때의 유학인 정구(鄭球)의 아버지로, 의학 교수(醫學敎授)를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진주 , 인명>관인>문신
-
계지(季智) - 구람(仇覽)
중국 후한(後漢)의 문신. 백성들을 형벌이 아닌 덕(德)으로 다스려 교화시킨 일로 유명함.
중국>후한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계지(戒之) - 김삼계(金三戒)
조선 전기의 유학. 송암(松巖) 권호문(權好文)과 교유함.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유학
-
계지(繼之)@유언술 - 유언술(兪彦述)
조선 영조(英祖) 때의 문신. 본관은 기계(杞溪)로, 유복기(兪復基)의 아들. 직간(直諫)을 잘하여 영조에게 인정받았으며, 대사헌(大司憲)ㆍ지중추부사(知中樞府事) 등을 역임함.
1703~1773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계지(繼之)@이종생 - 이종생(李從生)
조선 세조(世祖)~연산군(燕山君) 때의 무신. 본관은 함평(咸平). 이시애(李施愛)의 난을 토벌할 때 공을 세워 적개공신(敵愾功臣)에 책록되었고, 경상우병사(慶尙右兵使) 등을 역임함.
1423~1495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함평 , 인명>관인>무신
-
계지(繼之) - 신승선(愼承善)
조선 단종(端宗)~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 본관은 거창(居昌). 연산군의 장인으로 익대공신(翊戴功臣) 등에 책록됨. 영의정 등을 역임하였고, 《성종실록(成宗實錄)》의 편찬을 주관함.
1436~1502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거창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계지(薊地) - 북경(北京)
중국의 수도. 하북성(河北省) 중앙부에 있으며, 화북(華北) 대평원과 북방의 산간지대를 잇는 교통의 요지. 춘추전국시대 연(燕) 나라의 도읍이 된 이래, 요(遼) 나라, 금(金) 나라, 원(元) 나라, 명(明) 나라, 청(淸) 나라의 도읍지였음.
중국 , 지명>행정지명
-
계진(季珍) - 김언거(金彦琚)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광주(光州). 김정(金禎)의 아들로, 김인후(金麟厚)ㆍ이황(李滉)ㆍ기대승(奇大升) 등과 교우함.
1503~1584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광산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계진(季眞)@하지장 - 하지장(賀知章)
중국 당(唐) 현종(玄宗) 때의 시인ㆍ문신. 비서감(秘書監) 등을 역임하였으며, 문사(文辭)에 능하고 특히 초서(草書)를 잘 썼음. 성격이 호탕하고 음주를 좋아하여 이백(李白)과 친하게 지냈으며, 만년에 도사(道士)가 되어 고향으로 돌아감.
659~744 중국>당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계진(季眞) - 이후백(李後白)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이조 판서(吏曹判書)와 양관 제학(兩館提學)을 지냈으며, 문장이 뛰어나고 덕망이 높아 사림(士林)의 추앙을 받음.
1520~1578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함안 , 인명>관인>문신
-
계집(溪集) - 퇴계집(退溪集)
조선 전기의 대유(大儒) 이황(李滉)의 문집(文集). 문인(門人) 조목(趙穆)의 주도로 도산서원(陶山書院)에서 간행하고, 여러 종류의 판본이 전함.
1600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예안 , 문헌>서명
-
계찰괘검(季札掛劍) - 계찰계검(季札繫劍)
계찰(季札)이 검을 걸어 놓다는 뜻. 중국 춘추전국시대 오(吳) 나라의 계찰이 평소 자신의 검을 가지고 싶어하다 죽은 서(徐) 나라 왕의 집에 검을 풀어 놓고 온 고사에서 나온 말로, 신의를 중시함을 비유함.《사기(史記)》 〈오태백세가편(吳太伯世家篇)〉에 나옴.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사상>술어>고사성어
-
계창(啓昌) - 이계창(李啓昌)
조선 전기의 종친. 영의정 유순정(柳順汀)의 아들인 황간 현감(黃澗縣監) 유자(柳滋)의 장인.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계창(季昌) - 김계창(金季昌)
조선 세조(世祖)~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창원(昌原). 문재가 뛰어났으며 이조 참판(吏曹參判) 등을 지내고, 《세조실록(世祖實錄)》의 편찬에 편수관으로 참여함.
?~1481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창원 , 인명>관인>문신
-
계창(季昶) - 설계창(薛季昶)
중국 당(唐) 나라의 문신. 측천무후(則天武后)의 잔당인 무삼사(武三思)를 죽일 것을 상서(上書)하였으며, 호부 시랑(戶部侍郞) 등을 역임함.
중국>당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계창(繼昌)@권계창 - 권계창(權繼昌)
조선 전기의 유학(幼學). 고향으로 돌아가는 그에게 보낸 호원(灝元) 권문해(權文海)의 시가 《초간집(草澗集)》에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유학
-
계창(繼昌) - 문계창(文繼昌)
조선 연산군(燕山君)~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남평(南平). 탁월한 무재(武才)로써 왜구를 물리친 공으로 창원 부사(昌原府使)로 발탁됨.
?~1522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남평 , 인명>관인>문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