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계채(繼蔡) - 원계채(元繼蔡)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원주(原州). 대사성(大司成)과 황해도 관찰사(黃海道觀察使)를 역임하였음. 외교문서 작성에 능하여 사신으로 많이 파견되었으며, 명(明) 나라에 다녀오던 중 죽었음.
1492~1539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계천(繼天) - 선종(宣宗)@고려
고려 제13대 왕. 재위 1083~1094. 문종(文宗)의 둘째 아들. 불교를 장려하여 승과(僧科)를 설치하고, 많은 사탑(寺塔)을 건립함.
1049~1094 한국>고려전기 , 경기도>개성 , 인명>왕실>국왕
-
계천(鷄川) - 손소(孫昭)
조선 세조(世祖)~성종(成宗) 때의 문신. 이시애(李施愛)의 난 때 종사관(從事官)으로 출정, 난이 평정된 뒤 적개공신(敵愾功臣)에 책록되고, 내섬시 정(內贍寺正)으로 특진됨.
1433~1484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경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계천군(鷄川君) - 손소(孫昭)
조선 세조(世祖)~성종(成宗) 때의 문신. 이시애(李施愛)의 난 때 종사관(從事官)으로 출정, 난이 평정된 뒤 적개공신(敵愾功臣)에 책록되고, 내섬시 정(內贍寺正)으로 특진됨.
1433~1484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경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계천융도연의관인현문광무순덕홍효장황제(契天隆道淵懿寬仁顯文光武純德弘孝莊皇帝) - 목종(穆宗)@명
중국 명(明) 나라 제13대 황제. 재위 1567~1572. 여러 차례 침범한 몽고의 엄답(俺答)을 방어하고, 재초(齋醮)를 파하며 궁궐 건축을 줄여 몸소 절약을 실행함.
1537~1572 중국>명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계천정(溪川正) - 이선(李船)
조선 전기의 종친. 영의정 한효원(韓效元)의 아들인 한관(韓綰)의 장인.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계초(季初) - 윤안성(尹安性)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본관은 파평(坡平). 윤부(尹釜)의 아들로, 양양 부사(襄陽府使) 등을 지냄. 익사공신(翼社功臣)에 책록되었으나, 능창군(陵昌君) 이전(李佺)의 추대 사건에 연루되어 사형당함.
1542~1615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파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계축옥사(癸丑獄事) - 계축화옥(癸丑禍獄)
조선 1613년(광해군 5) 광해군(光海君)을 지지하는 대북파(大北派)가 영창대군(永昌大君) 및 반대파 세력을 제거하기 위하여 일으킨 옥사(獄事). 서인(西人)ㆍ남인(南人)들은 유배되거나 관직을 삭탈당하고, 인목대비(仁穆大妃)도 폐위됨.
1613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사건>역모
-
계타(季他) - 호사고(狐射姑)
중국 춘추전국시대 진(晉) 나라의 대부. 호언(狐偃)의 아들. 문무(文武)와 지용(智勇)을 겸비한 유장(儒將)으로서 태사(太師)를 지냄. 양공(襄公) 때 가국(賈國)에 봉해졌으며, 가씨(賈氏)의 이시조(二始祖)가 됨.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관인>경대부
-
계타(季佗) - 호사고(狐射姑)
중국 춘추전국시대 진(晉) 나라의 대부. 호언(狐偃)의 아들. 문무(文武)와 지용(智勇)을 겸비한 유장(儒將)으로서 태사(太師)를 지냄. 양공(襄公) 때 가국(賈國)에 봉해졌으며, 가씨(賈氏)의 이시조(二始祖)가 됨.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관인>경대부
-
계탁(季拓) - 변광(邊廣)
조선 중종(中宗) 때의 유학. 영주(榮州)에서 안동(安東)으로 이거(移居)한 원주변씨(原州邊氏)의 입향조(入鄕祖). 충무위 부사직(忠武衛副司直) 변희예(邊希乂)의 아들로, 1513년(중종 8) 생원시(生員試)에 입격함.
1493~1555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영천(榮川)ㅣ경상도>안동 , 인명>문사>유학
-
계탄서원(溪灘書院) - 팔봉서원(八峯書院)
조선 선조(宣祖) 때 충청도 충주(忠州)에 건립한 서원(書院). 이자(李耔)ㆍ이경연(李慶延)ㆍ김세필(金世弼)ㆍ노수신(盧守愼)을 배향함.
1586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충주 , 유적>건물>서원,향교
-
계택상월(谿澤象月) - 월상계택(月象谿澤)
조선 후기의 문신ㆍ문장가인 월사(月沙) 이정귀(李廷龜)ㆍ상촌(象村) 신흠(申欽)ㆍ계곡(谿谷) 장유(張維)ㆍ택당(澤堂) 이식(李植)을 아울러 이르는 말.
한국>조선후기 , 인명>집단>기타집단
-
계통(季通)@채원정 - 채원정(蔡元定)
중국 송(宋) 나라의 학자. 어려서 아버지 채발(蔡發)에게 배우고, 후에 주희(朱熹)에게 배움. 의리(義理)ㆍ상수(象數)를 겸하고, 천문(天文)ㆍ지리(地理)ㆍ악률(樂律)ㆍ역수(曆數) 등에도 폭넓은 학식을 지님.
1135~1198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계통(季通)@이계통 - 이계통(李季通)
조선 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함안(咸安). 정국공신(靖國功臣)에 책록된 이세응(李世應)의 아버지로, 사재감 부정(司宰監副正)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함양 , 인명>관인>문신
-
계통(季通)@이집 - 이집(李潗)
조선 영조(英祖) 때의 문신. 본관은 한산(韓山). 1725년(영조 1) 증광시(增廣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였으며, 황해도 관찰사(黃海道觀察使) 시절 민생 구제에 노력함. 저서로 《한주집(韓州集)》이 있음.
1670~1727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한산 , 인명>관인>문신
-
계통(季通) - 주의산(周義山)
중국 전한(前漢)의 도사. 불사(不死)를 추구하여 묵상하며 단도(丹道)를 이룩하였다고 함. 송(宋) 나라 때의 도사인 백옥섬(白玉蟾)과 함께 언급되기도 함.
중국>전한 , 중국 , 인명>기타인명>도사
-
계팽(季彭) - 이몽가(李蒙哥)
조선 세조(世祖)~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여흥(驪興). 이행(李行)의 아들로, 계유정난(癸酉靖難)에 가담한 공으로 정난공신(靖難功臣)에 책록되었으며, 지중추원사(知中樞院事) 등을 역임함.
1405~1487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여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계평(季平) - 양사형(楊士衡)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남원(南原). 노진(盧禛)ㆍ유희춘(柳希春)의 문인으로, 영광 군수(靈光郡守) 등을 지냄. 임진왜란 때 군량을 조달하고 윤두수(尹斗壽)를 보좌하였으며 죽은 뒤 원종공신(原從功臣)에 추록됨.
1547~1599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순창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계하(季賀) - 전경창(全慶昌)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경산(慶山)으로 전순(田珣)의 아들. 1573년(선조 6) 식년문과에 급제하고, 검열(檢閱)ㆍ정언(正言) 등을 지냄. 이황(李滉)의 학통을 이었으며, 대구 연경서원(硏經書院)에 제향됨.
1532~1585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경산 , 인명>관인>문신
-
계한(季漢) - 촉(蜀)
중국 삼국시대(三國時代)의 국명. 전한(前漢) 경제(景帝)의 후손인 유비(劉備)가 한(漢) 나라의 정통성 계승을 주장하며 촉(蜀) 땅의 성도(成都)에 세운 왕조. 2대 43년간 존속.
220~263 중국>삼국시대 , 중국 , 시간>국명
-
계함(季涵) - 정철(鄭澈)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ㆍ시인. 본관은 연일(延日). 판관(判官)을 지낸 정유침(鄭惟沈)의 아들이며, 기대승(奇大升)의 문인(門人). 예조 판서(禮曹判書)ㆍ대사간(大司諫)을 지냈고, 가사문학의 대가로 국문학에 크게 공헌함.
1536~1593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창평ㅣ경기도>강화ㅣ서울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계함사인(季涵舍人) - 정철(鄭澈)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ㆍ시인. 본관은 연일(延日). 판관(判官)을 지낸 정유침(鄭惟沈)의 아들이며, 기대승(奇大升)의 문인(門人). 예조 판서(禮曹判書)ㆍ대사간(大司諫)을 지냈고, 가사문학의 대가로 국문학에 크게 공헌함.
1536~1593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창평ㅣ경기도>강화ㅣ서울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계해개옥(癸亥改玉) - 인조반정(仁祖反正)
조선 광해군(光海君) 15년에 이귀(李貴) 등 서인(西人) 일파가 광해군 및 대북파(大北派)를 몰아내고 능양군(綾陽君)을 왕으로 옹립한 사건.
1623 한국>조선후기 , 사건>기타사건
-
계해반정(癸亥反正) - 인조반정(仁祖反正)
조선 광해군(光海君) 15년에 이귀(李貴) 등 서인(西人) 일파가 광해군 및 대북파(大北派)를 몰아내고 능양군(綾陽君)을 왕으로 옹립한 사건.
1623 한국>조선후기 , 사건>기타사건
-
계해정사공신(癸亥靖社功臣) - 정사공신(靖社功臣)
조선 인조(仁祖) 1년에 광해군(光海君)을 폐출하고 인조를 옹립하는 데 공을 세운 사람들에게 내린 훈호(勳號). 김류(金瑬)ㆍ이귀(李貴) 등 총 53명에게 내렸으나, 논공행상(論功行賞)이 불공평하여 이괄(李适)의 난(亂)을 초래함.
1623 한국>조선후기 , 법제>제도
-
계행보(季行父) - 계손행보(季孫行父)
중국 춘추전국시대 노(魯) 나라 문공(文公)~양공(襄公) 때의 대부. 문공ㆍ선공(宣公)ㆍ성공(成公)ㆍ양공 4대를 섬기면서 깊은 신뢰를 쌓은 현인으로, 《논어(論語)》의 삼사이행(三思而行)과 관련된 인물.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관인>경대부
-
계향(薊鄕) - 계주(薊州)
중국 하북성(河北省) 천진(天津)에 있던 고을 이름. 춘추전국시대 연(燕) 나라의 도읍지이자 안녹산(安祿山)이 반란을 일으킨 곳으로, 우리나라 사신이 북경(北京)으로 연행(燕行)을 갈 때 지나야 하는 지역 중 하나.
중국 , 지명>행정지명
-
계헌(季憲) - 남언기(南彦紀)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의령(宜寧). 김인후(金麟厚)ㆍ이황(李滉)의 문인(門人). 선조(宣祖) 초 영의정 이탁(李鐸)의 천거로 동몽교관(童蒙敎官)ㆍ빙고별좌(氷庫別坐)에 임명됨.
1534~?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동복ㅣ서울 , 인명>관인>문신
-
계헌(季獻) - 이우(李瑀)@조선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ㆍ서화가. 본관은 덕수(德水)로, 이이(李珥)의 아우. 시(詩)ㆍ서(書)ㆍ화(畫)ㆍ금(琴)을 잘하여 ‘사절(四絶)’이라 불림. 어머니 신사임당(申師任堂)의 화풍을 따르고, 특히 화훼(花卉)와 초충(草蟲)을 잘 그림.
1542~1609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선산ㅣ서울 , 인명>관인>문신
-
계헌(戒軒) - 배일장(裵一長)
조선 후기의 문신ㆍ학자. 남구만(南九萬)의 천거로 강릉 참봉(康陵參奉)에 제수되었으나 응하지 않고 학문에만 전념함. 《심경보사(心經補辭)》를 저술함.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합천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계헌(桂軒) - 정초(鄭礎)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온양(溫陽). 정수붕(鄭壽朋)의 아들로, 1528년(중종 23) 식년시(式年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정랑(正郞)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온양 , 인명>관인>문신
-
계현(啓賢) - 박계현(朴啓賢)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권신 윤원형(尹元衡)의 청혼을 거절하여 변방으로 좌천되었고, 동인(東人)과 서인(西人)의 당쟁을 제지하려 하였으나 실패함.
1524~1580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밀양 , 인명>관인>문신
-
계현(季賢) - 이계현(李季賢)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재령(載寧). 유학 이전(李琠)의 아버지로, 장례원 사의(掌隷院司議)를 지냄.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재령 , 인명>관인>문신
-
계현(繼賢) - 탁계현(卓繼賢)
조선 후기의 유학. 본관은 광산(光山). 탁빈(卓斌)의 아들.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광산 , 인명>문사>유학
-
계형(季衡) - 신계형(申季衡)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유희춘(柳希春)과 함께 1537년(중종 32) 생원시(生員試)에 입격하여 연은전 참봉(延恩殿參奉)이 되었고, 추천으로 진안 현감(鎭安縣監)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진안 , 인명>관인>문신
-
계호(季浩) - 이황(李滉)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진보(眞寶). 주리론적(主理論的) 이기이원론(理氣二元論)을 주장한 영남학파(嶺南學派)의 종장(宗匠).
1501~1570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예안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계홍(季弘) - 안자유(安自裕)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순흥(順興). 안임(安恁)의 아들로, 안명세(安名世)와 절친함. 《명종실록(明宗實錄)》편찬에 참여하고, 동지사(冬至使)로 명(明) 나라에 다녀왔으며, 지돈녕부사(知敦寧府事) 등을 지냄.
1517~1588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풍기 , 인명>관인>문신
-
계홍(季鴻) - 홍우(洪羽)
중국 송(宋) 나라 철종(哲宗)~휘종(徽宗) 때의 문인. 형 홍붕(洪朋)ㆍ홍추(洪芻)ㆍ홍염(洪炎) 등과 함께 시문에 능하여 ‘사홍(四洪)’으로 불림. 일찍 죽어서 시문이 흩어져 전하지 않음.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문인
-
계화(季和) - 손응시(孫應時)
중국 송(宋) 나라 효종(孝宗)~영종(寧宗) 때의 문신. 육구연(陸九淵)에게 수학하고, 주희(朱熹)와 교유하였으며, 저서에 《촉호집(燭湖集)》이 있음.
1154~1206 중국>송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계화(季和)@순숙 - 순숙(荀淑)
중국 후한(後漢) 순제(順帝)~환제(桓帝) 때의 문신. 순제 사망 후 전횡을 휘두른 외척 양기(梁冀)를 비난하다 지방으로 좌천되었고, 낭릉후(朗陵侯)의 재상이 되었을 때 일을 명쾌하게 처리하여 신군(神君)이라는 칭호를 얻음.
83~149 중국>후한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계화(季華) - 유진(柳袗)
조선 광해군(光海君)~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풍산(豊山). 유성룡(柳成龍)의 아들로, 주로 외직에 종사하며 세신(世臣)의 후예로서 평생을 청렴하게 보내 사후 이조 참판(吏曹參判)에 추증되었으며, 안동(安東)의 병산서원(屛山書院)에 제향됨.
1582~1635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계환(季桓) - 계손씨(季孫氏)
중국 춘추전국시대 노(魯) 나라의 공족(公族). 맹손씨(孟孫氏)ㆍ숙손씨(叔孫氏)와 함께 노 나라의 세 공족 중 하나. 환공(桓公)의 아들인 계우(季友)의 후손으로, 대대로 대부의 벼슬을 계승하고 정권을 독점하여 막대한 권세와 부를 누림.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집단>성씨
-
계회(季晦) - 정황(丁熿)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창원(昌原). 사산감역(四山監役) 정세명(丁世明)의 아들이며, 조광조(趙光祖)의 문인(門人). 을사사화(乙巳士禍) 때 이기(李芑)의 논계로 파직되고, 양재역 벽서사건(良才驛壁書事件)에 연루되어 유배됨.
1512~1560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남원 , 인명>관인>문신
-
계효(季孝) - 황수신(黃守身)
조선 세종(世宗)~세조(世祖) 때의 문신ㆍ공신. 본관은 장수(長水)로, 영의정(領議政) 황희(黃喜)의 아들. 영의정에 오르고, 세조 등위에 공을 세워 좌익공신(佐翼功臣)에 책록됨. 《법화경(法華經)》등 불경의 번역을 주관함.
1407~1467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장수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계후(季厚) - 배계후(裵季厚)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김해(金海)로, 감찰(監察)을 지낸 배진(裵縉)의 아들. 안의 현감(安義縣監)ㆍ진주 판관(晉州判官)을 지냈으며, 김일손(金馹孫)ㆍ조위(曺偉) 등과 도의지교(道義之交)를 맺고 교유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영산 , 인명>관인>문신
-
계후(繼厚) - 박계후(朴繼厚)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진원(珍原). 성균 진사(成均進士) 박균(朴囷)의 아버지로, 참봉(參奉)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진원 , 인명>관인>문신
-
계휘(季輝) - 오달제(吳達濟)
조선 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해주(海州). 삼학사(三學士) 중의 한 사람으로, 병자호란 때 청(淸) 나라와의 화의(和議)를 반대하다가 윤집(尹集)ㆍ홍익한(洪翼漢) 등과 함께 중국 심양(瀋陽)에 끌려가 처형당함.
1609~1637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계휘(繼輝)@김계휘 - 김계휘(金繼輝)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광산(光山). 동지의금부사(同知義禁府事)ㆍ예조 참판(禮曹參判)을 역임하였고, 동서 분당 때 당쟁 완화를 위하여 노력하였음.
1526~1582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광산 , 인명>관인>문신
-
계휘(繼輝) - 윤사분(尹士昐)
조선 세종(世宗)~성종(成宗) 때의 문신. 파평부원군(坡平府院君) 윤번(尹璠)의 아들이며, 세조비(世祖妃) 정희왕후(貞熹王后)의 오빠. 문음(門蔭)으로 벼슬하여 우의정 등을 지냈으며, 좌익원종공신(佐翼原從功臣)에 책록됨.
1401~1471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파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ㅣ인명>왕실>인척
-
계흠(季欽) - 신명화(申命和)
조선 중종(中宗) 때의 유학. 본관은 평산(平山). 신사임당(申師任堂)의 아버지로 진사에 급제하였으나 벼슬에 나가지는 않았음.
1476~1522 한국>조선전기 , 강원도>강릉 , 인명>문사>유학
-
계흥(季興) - 김계흥(金季興)
고려 후기의 문신. 본관은 울산(蔚山). 학성군(鶴城君) 김환(金環)의 아들로, 판도 판서(版圖判書)를 지냄.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울산 , 인명>관인>문신
-
계흥(繼興) - 윤계흥(尹繼興)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파평(坡平). 통례원 우통례(通禮院右通禮)를 지낸 윤석(尹晳)의 아버지로, 삼척 부사(三陟府使)를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파주 , 인명>관인>문신
-
계희(繼禧) - 한계희(韓繼禧)
조선 세종(世宗)~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청주(淸州). 한혜(韓惠)의 아들로, 남이(南怡)의 옥사와 성종의 즉위 때 공을 세워 두 차례 공신(功臣)에 책록되고, 《경국대전(經國大典)》과 《의방유취(醫方類聚)》의 편찬에 참여함.
1423~1482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청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고(古) - 계고(階古)
신라 진흥왕(眞興王) 때의 음악가. 신라에 투항한 가야의 음악가인 우륵(于勒)에게 가야금을 배움. 만덕(萬德)ㆍ법지(法知)와 함께 만든 곡이 신라의 궁중음악인 대악(大樂)으로 채택됨.
한국>신라 , 경상도>경주 , 인명>예술인>음악인ㅣ인명>관인>문신
-
고(固) - 서고(徐固)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달성(達城). 서거정(徐居正)의 손자로, 예조 참의(禮曹參議)를 지냈으나, 사절(使節)을 받들고 명(明) 나라에 갔다가 도중에 죽음.
?~1550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대구 , 인명>관인>문신
-
고(暠) - 왕고(王暠)
고려 충렬왕(忠烈王)의 손자. 충숙왕(忠肅王) 때 독로화(禿魯花)로서 원(元) 나라에 머무름. 충숙왕ㆍ충혜왕(忠惠王) 때 고려 왕위를 도모했으나 실패함.
?~1345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개성 , 인명>왕실>왕자
-
고(皐) - 권고(權皐)
고려 공민왕(恭愍王)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 조부는 찬성사(贊成事) 권단(權㫜)이며, 아버지는 영도첨의사사(領都僉議司事) 권보(權溥).
1294~1379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고(翶) - 박고(朴翶)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죽산(竹山). 죽성군(竹城君) 박영충(朴永忠)의 아들로, 대광보국숭록대부(大匡輔國崇祿大夫) 의정부 좌의정(議政府左議政)에 추증됨.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죽산 , 인명>관인>문신
-
고(高) - 사고(史高)
중국 한(漢) 나라 선제(宣帝) 때의 외척. 대사마 거기장군(大司馬車騎將軍) 등을 지내고, 선제 황후(皇后)의 아버지인 허백(許伯)과 권력을 독점함.
?~B.C.43 중국>전한 , 중국 , 인명>왕실>인척
-
고^설(皐^契) - 고^설(皐^卨)
중국 고대 요(堯)ㆍ순(舜) 임금의 신하인 고요(皐陶)와 설(契)을 함께 부르는 말. 충성스러운 신하를 뜻함.
고대 , 중국 , 사상>술어>관용어
-
고^천(固^遷) - 반^마(班^馬)
중국 전한(前漢) 때 《사기(史記)》를 저술한 사마천(司馬遷)과 후한(後漢) 때 《한서(漢書)》를 저술한 반고(班固)를 함께 부르는 말. 문장에 뛰어난 사람을 가리킴.
중국>후한ㅣ중국>전한 , 중국 , 사상>술어>관용어
-
고가야(古伽倻)@합천 - 합천(陜川)
경상남도 북서부에 있는 고을 이름. 조선시대의 합천군(陜川郡)ㆍ초계군(草溪郡)ㆍ삼가현(三嘉縣)의 3개 군현이 합해져 이루어졌으며, 해인사(海印寺)ㆍ영암사지(靈巖寺址) 등의 주요 사적이 있음.
경상도>합천 , 지명>행정지명
-
고가야(古伽倻) - 김해(金海)
경상남도 동남부에 있는 고을 이름. 고대에 가락국(駕洛國)의 도읍지였음.
경상도>김해 , 지명>행정지명
-
고거련(高巨連) - 장수왕(長壽王)
고구려 제20대 왕. 재위 413~491. 광개토왕(廣開土王)의 맏아들. 평양성(平壤城)으로 천도(遷都)하고, 백제(百濟)를 공격하여 웅진(熊津)으로 천도를 이끌어 내는 등 왕권의 강화와 영토 확장에 주력하여 고구려의 전성기를 이룩함.
394~491 한국>고구려 , 평안도>평양 , 인명>왕실>국왕
-
고건강(顧建康) - 고헌지(顧憲之)
중국 남북조시대 송(宋)~양(梁) 나라의 문신. 진남장군(鎭南將軍) 고개지(顧愷之)의 손자. 건강령(建康令)으로 있을 때 소도둑이 있었는데, 소를 풀어 가는 대로 두게 하니 다시 주인에게 돌아가서 도둑에게 벌을 주었다고 함.
436~509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고검열(高檢閱) - 고응척(高應陟)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학자ㆍ문신. 본관은 안동(安東)으로, 김범(金範)의 문인. 《대학(大學)》의 여러 편을 시조로 읊어 교훈시를 만드는 등 사상적 체계를 시(詩)ㆍ부(賦)ㆍ가(歌)ㆍ곡(曲) 등으로 표현함.
1531~1605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선산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고경(古京) - 개성(開城)
경기도 서북부에 위치한 고려시대 이후의 고을 이름. 고려의 수도.
경기도>개성 , 지명>행정지명
-
고경(固卿) - 박원기(朴元基)
조선 중종(中宗) 때의 유학. 본관은 무안(務安). 부사직(副司直)을 지낸 박지몽(朴之蒙)의 아들이고, 호조 정랑(戶曹正郞)을 지낸 박전(朴全)의 아버지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영해 , 인명>문사>유학
-
고경(杲卿) - 안고경(顔杲卿)
중국 당(唐) 나라 현종(玄宗) 때의 충신. 상산군(常山郡)의 태수(太守)로 있을 때 종제(從弟)인 안진경(顔眞卿)과 함께 안녹산(安祿山)의 반란군에 맞서 싸웠으나, 성이 함락되자 붙잡혀 낙양(洛陽)으로 압송된 뒤 죽임을 당함.
692~756 중국>당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고경(高卿)@김교 - 김교(金嶠)
조선 세종(世宗)~성종(成宗) 때의 무신. 본관은 선산(善山). 이시애(李施愛)의 난에 무공을 세워 적개공신(敵愾功臣)에 책록되고, 1479년(성종 10) 건주야인(建州野人)을 토벌하였으며, 훈련원 판관(訓練院判官)ㆍ평안도 관찰사(平安道觀察使) 등을 지냄. 동생 6명이 모두 무과에 합격한 무인 집안임.
1428~1480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선산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무신
-
고경(高卿) - 법진(法眞)
중국 후한(後漢) 효순제(孝順帝) 때의 처사(處士). 여러 학문에 통달하여 관서(關西) 지역의 대유(大儒)가 됨
99~189 중국>후한 , 중국 , 인명>문사>문인
-
고경회(高景晦) - 고현(高晛)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무신. 본관은 제주(濟州). 영성군(瀛城君) 고희(高曦)의 동생. 임진왜란 때 왕을 의주까지 호위한 공으로 원종공신(原從功臣)에 책록됨.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제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무신
-
고고자(鼓鼓子) - 정온(鄭蘊)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초계(草溪). 정구(鄭逑)의 문인으로, 영창대군(永昌大君)의 처형이 부당하다고 주장하다가 유배됨. 병자호란 때 김상헌(金尙憲)과 함께 척화(斥和)를 주장하다가 사직한 후 덕유산(德裕山)에 들어가 은거함.
1569~1641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거창ㅣ경상도>안음 , 인명>관인>문신
-
고고정(古古亭) - 김치인(金致仁)
조선 영조(英祖)~정조(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청풍(淸風). 영의정 김재로(金在魯)의 아들로, 여러 번 영의정을 지내며 정조의 명으로 당쟁의 조정에 힘씀. 전고(典故)에 정통하여 1785년(정조 9)에 《대전통편(大典通編)》 편찬을 주관함.
1716~1790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고곡(古谷) - 곡산(谷山)
황해도 북동부에 있는 고을 이름. 신덕왕후(神德王后) 강씨(康氏)의 고향.
황해도>곡산 , 지명>행정지명
-
고공(古公) - 태왕(太王)
중국 주(周) 나라 문왕(文王)의 조부. 적인(狄人)들의 침략을 피해 빈(邠) 땅에서 기산(岐山)으로 이주한 후 국호를 ‘주(周)’라 정하고 주 나라의 기틀을 마련함. 무왕(武王)에 의해 태왕으로 추존됨.
중국>주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고공단보(古公亶父) - 태왕(太王)
중국 주(周) 나라 문왕(文王)의 조부. 적인(狄人)들의 침략을 피해 빈(邠) 땅에서 기산(岐山)으로 이주한 후 국호를 ‘주(周)’라 정하고 주 나라의 기틀을 마련함. 무왕(武王)에 의해 태왕으로 추존됨.
중국>주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고광(孤狂) - 박권(朴權)
조선 성종(成宗)~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 본관은 함양(咸陽). 정언(正言) 등을 지냈으나, 무오사화(戊午士禍) 때 길성(吉城)으로 정배(定配)되고, 갑자사화(甲子士禍) 때 해남(海南)으로 유배되었다가 죽음.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함양 , 인명>관인>문신
-
고광(瞽曠) - 사광(師曠)
중국 춘추전국시대 진(晉) 나라의 악사. 음율을 잘 아는 것으로 유명하여 《맹자(孟子)》〈이루(離婁)〉 편에 눈이 밝은 이루(離婁)와 함께 청력이 뛰어난 이로 언급됨.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예술인>음악인
-
고구(高句) - 고구려(高句麗)
고대의 삼국 가운데 동명왕(東明王) 주몽(朱蒙)이 기원전 37년에 세운 국가. 기원(紀元) 전후 무렵에 졸본(卒本) 지방에서 일어나 한반도 북부와 만주(滿洲) 일대를 지배하였으며, 동명왕부터 보장왕(寶藏王)까지 28대 705년간 존속함.
B.C.37~A.D.668 한국>고구려 , 시간>국명
-
고구만(高九萬) - 고저(高翥)
중국 송(宋) 나라의 시인. 관직에 나아가는 것을 포기하고 은거하며 시를 지음. 저서로 《국간집(菊澗集)》이 있으나 전하지 않고, 후손 고사기(高士奇)가 유고집 《신천소유고(信天巢遺稿)》를 간행함.
1170~1241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문인
-
고군자(古君子) - 소송(蘇頌)
중국 송(宋) 나라 인종(仁宗)~철종(哲宗) 때의 문신ㆍ학자. 우복야 겸 중서시랑(右僕射兼中書侍郞) 등을 지냈으며, 경사(經史)와 제자백가(諸子百家)는 물론 여러 분야에 능통하였고, 특히 의약학(醫藥學)과 천문학(天文學) 분야에 크게 공헌함.
1020~1101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고궁(高宮) - 태조왕(太祖王)
고구려 제6대 왕. 재위 53~146. 유리왕(瑠璃王)의 손자로, 영토확장 및 중앙집권적 형태의 체제 정비를 통해 국가발전의 기틀을 마련하였으며, 이때부터 계루부(桂婁部)의 왕위계승이 확립됨.
47~165 한국>고구려 , 평안도>평양 , 인명>왕실>국왕
-
고균비구(古鈞比丘) - 덕이(德異)
중국 원(元) 나라의 승려(僧侶). 완산 정응(脘山正凝) 선사의 법을 이었으며, 고려 충렬왕(忠烈王) 때 고려의 고승들과 주고받은 서함이 많음.
1231~1308 중국>원 , 중국 , 인명>종교인>승려
-
고달부(高達夫) - 고홍달(高弘達)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학자. 본관은 제주(濟州)로, 성주 통판(星州通判) 고현(高晛)의 아들. 인조반정(仁祖反正) 후 유일(遺逸)로 천거되었으나 곧 물러나 부안(扶安)에 은거하여 학문에 몰두하였고, 권필(權韠)과 교유하였음.
1575~1644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부안 , 인명>문사>학자
-
고담(姑潭) - 고모담(姑母潭)
경기도 개성(開城)에 있는 못 이름. 박연폭포(朴淵瀑布) 아래에 있으며 지름 40m 정도의 연못.
경기도>개성 , 지명>자연지명
-
고담(孤潭) - 이순인(李純仁)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전의(全義). 이중호(李仲虎)ㆍ이황(李滉)ㆍ조식(曺植)의 문인으로, 이이(李珥) 등과 교유하였으며, 특히 문장에 뛰어나 당시 이산해(李山海) 등과 함께 ‘팔문장(‘八文章)’으로 불림. 광해군(光海君) 때 위성공신(衛聖功臣)에 책록됨.
1533~1592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고담(高湛) - 무성제(武成帝)
중국 남북조시대 북제(北齊)의 제4대 왕. 재위 561~565. 무능하고 국사를 돌보지 않음. 565년 후주(後主)에게 계위(繼位)시키고는 태상왕(太上王)으로 있다가 주색(酒色)에 빠져 32세에 죽음.
537~568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고당(苽堂) - 김종유(金宗裕)
조선 단종(端宗)~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선산(善山). 김종직(金宗直)의 형으로 청송 교수(靑松敎授)를 지냄.
1429~?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밀양 , 인명>관인>문신
-
고당(高唐) - 요당(堯唐)
중국 고대의 임금인 도당씨(陶唐氏) 요(堯)가 다스리던 나라. 희화(羲和) 등에게 명하여 역법(曆法)을 정하게 하고, 순(舜)을 등용하여 천하의 정치를 섭정하게 함. 중국 역사에서 이상적인 태평시대로 꼽힘.
고대 , 중국 , 시간>국명
-
고덕(古德) - 가산(嘉山)
평안도에 있는 고을 이름. 박천(博川)ㆍ정주(定州)ㆍ태천(泰川)과 접해 있으며, 1811년(순조 11) 이곳에서 홍경래(洪景來)의 난이 일어남.
평안도>가산 , 지명>행정지명
-
고덕창(古德昌) - 박천(博川)
평안도 남부에 있는 고을 이름. 조선 태종(太宗) 때 이름을 박천(博川)으로 고치고, 세조(世祖) 때 일시 폐하였다가 복구함.
평안도>박천 , 지명>행정지명
-
고도(古島) - 거문도(巨文島)
전라도 순천(順天)에 속하는 다도해(多島海) 최남단의 섬. 1885년(고종 22)에 영국이 러시아의 남하를 막는다는 구실로 이곳을 불법 점령한 거문도 사건이 있었음. 현재 전라남도 여수시(麗水市)에 속함.
전라도>순천 , 지명>자연지명
-
고도충(高道冲) - 고종후(高從厚)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ㆍ의병장. 본관은 장흥(長興). 의병장 고경명(高敬命)의 아들로, 임피 현령(臨陂縣令) 등을 지냄.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종군하여 의병장으로 활약하다 진주성(晉州城)이 함락될 때 남강(南江)에 투신하여 죽음.
1554~1593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광산 , 인명>관인>문신
-
고동래(高東萊) - 고경명(高敬命)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인ㆍ의병장. 본관은 장흥(長興)으로, 대사간 고맹영(高孟英)의 아들. 동래 부사(東萊府使) 등을 지내다가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광주(光州)에서 모집한 의병 육천여 명을 이끌고 금산(錦山) 싸움에서 왜군과 싸우다가 전사함.
1533~1592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광산 , 인명>관인>문신
-
고란사(高蘭寺) - 고란사(皐蘭寺)
백제 때 충청남도 부여(扶餘) 부소산(扶蘇山)에 건립된 절. 마곡사(麻谷寺)의 말사. 백제의 멸망과 함께 소실된 것을 고려시대에 중창함. 절 뒤뜰 바위 틈에 희귀한 고란초(皐蘭草)가 자생함.
한국>백제 , 충청도>부여 , 유적>건물>사찰
-
고려(高麗)@고구려 - 고구려(高句麗)
고대의 삼국 가운데 동명왕(東明王) 주몽(朱蒙)이 기원전 37년에 세운 국가. 기원(紀元) 전후 무렵에 졸본(卒本) 지방에서 일어나 한반도 북부와 만주(滿洲) 일대를 지배하였으며, 동명왕부터 보장왕(寶藏王)까지 28대 705년간 존속함.
B.C.37~A.D.668 한국>고구려 , 시간>국명
-
고려강(高麗江) - 두만강(豆滿江)
백두산(白頭山)에서 발원하여 한반도 북동부 지역을 거쳐 동해로 흘러드는 강 이름. 우리나라에서 두 번째로 긴 강.
함경도>회령ㅣ함경도>온성ㅣ함경도>경흥ㅣ함경도>경원 , 지명>자연지명
-
고려본사(高麗本史) - 고려사(高麗史)
조선 세종(世宗) 때 김종서(金宗瑞)ㆍ정인지(鄭麟趾) 등이 교지(敎旨)를 받들어 편찬을 시작하여 문종(文宗) 때 완성된 고려시대에 관한 역사책. 총 139권.
1451 한국>조선전기 , 문헌>서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