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고려장성(高麗長城) - 천리장성(千里長城)
고구려 말기와 고려 덕종(德宗) 때 서북 국경에 건립된 장성. 고구려 말에 당(唐) 나라의 침입을 막기 위해 요동(遼東) 지방에 쌓은 토축성이 있고, 고려 덕종 때 북방 유목민족의 침입을 막기 위해 압록강(鴨綠江) 어귀로부터 함경도 동해안에 이르는 1000여 리에 쌓은 석축성이 있음.
한국>고려시대ㅣ한국>고구려 , 중국 , 유적>시설>성,진,책
-
고려정(高麗亭) - 통파정(通波亭)
중국 송(宋) 나라 원풍(元豊) 연간에 강소성(江蘇省) 소주(蘇州)의 고소성(姑蘇城) 근처에 세운 누정(樓亭). 고려에서 온 사신들을 접대하던 곳.
중국>송 , 중국 , 유적>건물>누정
-
고려조(高麗朝) - 고려(高麗)
왕건(王建)이 태봉(泰封)의 궁예(弓裔)를 추방하고 개성(開城)에 도읍하여 세운 나라. 태조(太祖)에서 공양왕(恭讓王)까지 34대 475년간 존속.
918~1392 한국>고려시대 , 시간>국명
-
고려천리장성(高麗千里長城) - 천리장성(千里長城)
고구려 말기와 고려 덕종(德宗) 때 서북 국경에 건립된 장성. 고구려 말에 당(唐) 나라의 침입을 막기 위해 요동(遼東) 지방에 쌓은 토축성이 있고, 고려 덕종 때 북방 유목민족의 침입을 막기 위해 압록강(鴨綠江) 어귀로부터 함경도 동해안에 이르는 1000여 리에 쌓은 석축성이 있음.
한국>고려시대ㅣ한국>고구려 , 중국 , 유적>시설>성,진,책
-
고려태조십훈요(高麗太祖十訓要) - 훈요십조(訓要十條)
고려 태조(太祖)가 자손들에게 내린 열 가지 유훈(遺訓). 943년(태조 26) 4월에 박술희(朴述熙)를 통하여 전했으며, 주로 왕실의 안녕을 위해 지켜야 할 일을 담고 있음.
943 한국>고려전기 , 경기도>개성 , 법제>법률
-
고렴(古廉) - 이무(李懋)
중국 명(明) 나라 성조(成祖)~경제(景帝) 때의 문신. 《영락대전(永樂大典)》 등의 편찬에 참가하고 국자 좨주(國子祭酒) 등을 지냄.
1374~1450 중국>명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고령(高靈)@신숙주 - 신숙주(申叔舟)
조선 세종(世宗)~성종(成宗) 때의 문신ㆍ학자. 훈민정음(訓民正音) 창제에 큰 공을 세웠으며, 계유정난(癸酉靖難)에 참여한 공(功) 등으로 정난공신(靖難功臣)ㆍ좌익공신(佐翼功臣)ㆍ익대공신(翊戴功臣)ㆍ좌리공신(佐理功臣) 등에 책록됨.
1417~1475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고령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고령군(高靈君) - 신숙주(申叔舟)
조선 세종(世宗)~성종(成宗) 때의 문신ㆍ학자. 훈민정음(訓民正音) 창제에 큰 공을 세웠으며, 계유정난(癸酉靖難)에 참여한 공(功) 등으로 정난공신(靖難功臣)ㆍ좌익공신(佐翼功臣)ㆍ익대공신(翊戴功臣)ㆍ좌리공신(佐理功臣) 등에 책록됨.
1417~1475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고령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고령부원군(高靈府院君)@신장 - 신장(申檣)
조선 태종(太宗)~세종(世宗)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고령(高靈)으로, 영의정을 지낸 신숙주(申叔舟)의 아버지. 《정종실록(定宗實錄)》편찬에 참여하고, 유학(儒學)에 조예가 깊고 서예에도 능함.
1382~1433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고령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고령부원군(高靈府院君) - 신숙주(申叔舟)
조선 세종(世宗)~성종(成宗) 때의 문신ㆍ학자. 훈민정음(訓民正音) 창제에 큰 공을 세웠으며, 계유정난(癸酉靖難)에 참여한 공(功) 등으로 정난공신(靖難功臣)ㆍ좌익공신(佐翼功臣)ㆍ익대공신(翊戴功臣)ㆍ좌리공신(佐理功臣) 등에 책록됨.
1417~1475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고령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고령선생(高靈先生) - 진양(陳襄)
중국 송(宋) 인종(仁宗)~신종(神宗) 때의 문신ㆍ학자. 당시 개혁정치를 펼쳤던 왕안석(王安石)을 귀양 보내고자 하였으나 도리어 폄직됨. 고인들의 언행을 본받고, 가는 곳마다 학교를 세워 민간의 이익을 강구함.
1017~1080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고로(杲老) - 종고(宗杲)
중국 송(宋) 나라의 승려. 속성은 해씨(奚氏). 임제종(臨濟宗) 승려로 동산(東山) 혜운사(慧雲寺)의 혜제(慧齊)에게서 득도(得道)하여 구족계를 받고, 원오선사(圓悟禪師)의 법을 전해 받음.
?~1163 중국>송 , 중국 , 인명>종교인>승려
-
고룡(古龍) - 남원(南原)
전라북도 남동부에 있는 고을 이름. 호남과 영남을 잇는 교통의 요지임.
전라도>남원 , 지명>행정지명
-
고릉(高陵) - 공양왕(恭讓王)
고려 제34대 왕. 재위 1389~1392. 고려의 마지막 왕으로, 이성계(李成桂) 등에 의해 왕으로 옹립되었으나 폐위된 후 삼척부(三陟府)에서 사사됨.
1345~1394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개성 , 인명>왕실>국왕
-
고리자(苦李子) - 옥매(玉梅)
장미과(薔薇科)의 낙엽관목(落葉灌木). 설중사우(雪中四友)의 하나로, 흰 꽃이 피며 정원수(庭園樹)로 많이 심음.
자연물>식물
-
고림(高林) - 교동(喬桐)
경기(京畿)에 위치한 고을 이름. 현재 인천시 강화(江華) 서북쪽에 있는 섬 지역임.
경기도>교동 , 지명>행정지명
-
고림군(高林君) - 이훈(李薰)@이친의아들
조선 전기의 종친. 태종(太宗)의 아들인 효령대군(孝寧大君)의 손자. 서원군(瑞原君) 이친(李𡩁)의 아들로, 고림군(高林君)에 추증됨.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고림정(高林正) - 이훈(李薰)@이친의아들
조선 전기의 종친. 태종(太宗)의 아들인 효령대군(孝寧大君)의 손자. 서원군(瑞原君) 이친(李𡩁)의 아들로, 고림군(高林君)에 추증됨.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고만(高巒) - 이산해(李山海)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종계변무(宗系辨誣)의 공으로 광국공신(光國功臣)에 책록됨. 대북(大北)의 영수로, 건저문제(建儲問題)를 일으킨 정철(鄭澈)을 탄핵하고, 임진왜란 때 유배되었다가 복직된 뒤 영의정 등을 지냄.
1539~1609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한산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고명(誥命) - 서경(書經)
유교 경전(儒敎經典)인 오경(五經)의 하나로, 중국에서 가장 오래된 역사서. 당우(唐虞) 삼대(三代)에 걸친 중국 고대의 기록임. 58편.
중국 , 문헌>서명
-
고명칠신(顧命七臣) - 유교칠신(遺敎七臣)
조선 선조(宣祖)의 유언으로 영창대군(永昌大君)의 보호를 부탁받은 7명의 신하. 유영경(柳永慶)ㆍ한응인(韓應寅)ㆍ박동량(朴東亮)ㆍ서성(徐渻)ㆍ신흠(申欽)ㆍ허성(許筬)ㆍ한준겸(韓浚謙)을 가리킴.
한국>조선후기 , 인명>집단>기타집단
-
고목근(高木根) - 교동(喬桐)
경기(京畿)에 위치한 고을 이름. 현재 인천시 강화(江華) 서북쪽에 있는 섬 지역임.
경기도>교동 , 지명>행정지명
-
고묘(高廟)@태조 - 태조(太祖)@명
중국 명(明) 나라 제1대 황제. 재위 1368~1398. 원(元) 나라를 몽골로 몰아내고 중국을 통일한 후 한민족(漢民族)의 왕조를 회복시키고, 아울러 중앙집권적 독재체제의 구축을 꾀함.
1328~1398 중국>명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고묘(高廟) - 고조(高祖)@전한
중국 전한(前漢)의 제1대 황제. 재위 B.C.202~B.C.195. 항우(項羽)와 패권을 다투었으며, 천하통일의 대업을 이룩함.
B.C.247?~B.C.195 중국>전한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고문(古文) - 고문진보(古文眞寶)
중국 송(宋) 나라의 학자인 황견(黃堅)이 편찬했다는 책. 주대(周代)부터 송대(宋代)에 이르는 고시(古詩)ㆍ고문(古文)의 명문만을 뽑아 엮은 시문선집(詩文選集). 전집(前集) 10권, 후집(後集) 10권으로 구성됨.
중국>송 , 중국 , 문헌>서명
-
고문부흥운동(古文復興運動) - 고문운동(古文運動)
중국 당(唐)ㆍ송(宋) 때 부화(浮華)한 사륙변려문(四六騈儷文)을 배척하고 질박(質朴)한 선진(先秦)ㆍ양한(兩漢)의 고문(古文)을 부흥시키고자 한 운동. 당(唐)의 한유(韓愈)와 송(宋)의 구양수(歐陽脩)가 대표인물임.
중국>송ㅣ중국>당 , 중국 , 사상>기법>방법
-
고문선(古文選) - 문선(文選)
중국 남북조시대 양(梁) 나라의 소통(蕭統)이 양 나라 이전 문인들의 명작 800여 편을 모아 엮은 책. 30권. 중국의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시문총집(詩文總集).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문헌>서명
-
고문훈(古文訓) - 서고문훈(書古文訓)
중국 송(宋) 나라의 사공파(事功派) 학자인 설계선(薛季宣)이 지은 책. 《상서(尙書)》에 나오는 지명을 풀이하는 것이 주요 내용임.
중국>송 , 중국 , 문헌>서명
-
고미(古微) - 신무왕(神武王)
신라 제45대 왕. 재위 839년. 원성왕(元聖王)의 증손이며 희강왕(僖康王)의 종제(從弟). 839년(민애왕 2)에 장보고(張保皐)의 지원을 받아 왕위에 올랐으나 같은 해 7월에 병사함.
?~839 한국>통일신라 , 경상도>경주 , 인명>왕실>국왕
-
고밀(高密) - 정현(鄭玄)
중국 후한(後漢)의 학자. 장공조(張恭祖)ㆍ마융(馬融) 등을 사사하고 고향으로 돌아와 연구와 교육에 진력함. 경학(經學)을 집대성하고 고대의 역사문헌을 정리하는 데 크게 공헌함.
127~200 중국>후한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고밀후(高密侯) - 등우(鄧禹)
중국 후한(後漢) 광무제(光武帝) 때의 개국공신. 광무제를 도와 천하를 평정한 논공제일(論功第一)의 공신으로, 삼공(三公)의 하나인 대사도(大司徒)에 임명되고 고밀후(高密侯)에 봉해짐.
2~58 중국>후한 , 중국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고반(考槃) - 남언기(南彦紀)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의령(宜寧). 김인후(金麟厚)ㆍ이황(李滉)의 문인(門人). 선조(宣祖) 초 영의정 이탁(李鐸)의 천거로 동몽교관(童蒙敎官)ㆍ빙고별좌(氷庫別坐)에 임명됨.
1534~?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동복ㅣ서울 , 인명>관인>문신
-
고봉(孤峯) - 김정(金淨)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조광조(趙光祖)와 함께 정치개혁에 힘썼으나 기묘사화(己卯士禍)로 유배되었다가 신사무옥(辛巳誣獄)으로 인해 사사(賜死)됨.
1486~1521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경주 , 인명>관인>문신
-
고봉(高峯)@기대승 - 기대승(奇大升)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 이황(李滉)의 문인으로, 이황과 8년 동안 사단칠정(四端七情) 논쟁을 벌임으로써 조선 유학사상에 큰 영향을 끼침.
1527~1572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나주ㅣ전라도>광산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고봉(高峯)@김정국 - 김정국(金正國)
조선 중종(中宗) 때의 학자ㆍ문신. 본관은 의성(義城). 김굉필(金宏弼)의 문인이며 김안국(金安國)의 동생으로, 성리학에 조예가 깊음. 기묘사화(己卯士禍)로 삭탈관직되었다가 복직됨.
1485~1541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고양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고봉(高峯) - 고양(高陽)
경기도 중서부에 있는 고을 이름. 1413년(태종 13)에 고봉(高峯)과 덕양(德陽)의 이름을 따서 고양(高陽)이라 부름.
경기도>고양 , 지명>행정지명
-
고봉(高峯)@장세필 - 장세필(張世弼)
조선 전기의 유학. 가난한 살림에도 반드시 술과 고기를 갖추어 어머니를 섬긴 인물로, 남효온(南孝溫)과 교유하였음이 《추강집(秋江集)》에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고양 , 인명>문사>유학
-
고봉(高峰) - 법장(法藏)
고려 말 조선 초의 승려. 본관은 신주(愼州). 나옹(懶翁) 혜근(惠勤)에게서 법(法)을 이어받았으며, 송광사를 복원(復元)함. 수선사(修禪寺) 16국사(國師) 중 제16세를 지냄.
1350~1428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황해도>신천 , 인명>종교인>승려
-
고봉선생문집(高峯先生文集) - 고봉집(高峯集)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인 기대승(奇大升)의 문집. 1629년(인조 7) 기대승의 손서(孫婿)인 조찬한(趙纘韓)이 선산 부사(善山府使)로 있을 때 목판 3권 3책으로 간행함.
1629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선산 , 문헌>서명
-
고봉자(高峯子) - 기대승(奇大升)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 이황(李滉)의 문인으로, 이황과 8년 동안 사단칠정(四端七情) 논쟁을 벌임으로써 조선 유학사상에 큰 영향을 끼침.
1527~1572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나주ㅣ전라도>광산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고봉정(孤峰亭) - 고봉정사(孤峰精舍)
조선 후기에 구봉우(具鳳羽)가 충청도 보은(報恩)에 세운 정사(精舍). 삼파연류봉(三派連溜峯) 정상에 있던 고봉정(孤峰亭)을 옮김.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보은 , 유적>건물>누정
-
고부(固夫) - 이정간(李貞幹)
조선 태종(太宗)~세종(世宗) 때의 문신. 원종공신(原從功臣) 이구직(李丘直)의 맏아들로, 음보(蔭補)로 등용되어 강원도 관찰사(江原道觀察使)를 지냄.
1360~1439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전의 , 인명>관인>문신
-
고불(古佛) - 맹사성(孟思誠)
고려 우왕(禑王)~조선 세종(世宗) 때의 문신. 본관은 신창(新昌). 세종 때 우의정․좌의정 등을 지내고, 황희(黃喜)와 함께 조선 전기 문화창달에 크게 기여함. 《태종실록(太宗實錄)》ㆍ《팔도지리지(八道地理志)》를 편찬하고, 향악(鄕樂)을 정리함.
1360~1438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충청도>온양 , 인명>관인>문신
-
고빙고(古氷庫) - 빙구(砯口)
강원도 철원(鐵原)에 있는 빙고(氷庫). 구사맹(具思孟)의 《팔곡집(八谷集)》에 실린 〈동주십영(東州十詠)〉에 빙고를 소재로 읊은 시가 있음.
강원도>철원 , 유적>시설>기타시설
-
고사(枯査) - 임훈(林薰)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효행(孝行)으로 천거되어 장악원 정(掌樂院正) 등을 지내고, 1582년(선조 15)에 장례원 판결사(掌隸院判決事)에 임명되었으나 사퇴하고 낙향함.
1500~1584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음 , 인명>기타인명>효자ㅣ인명>관인>문신
-
고사갈이(高思曷伊) - 문경(聞慶)
경상북도 북서부에 위치한 고을 이름. 후삼국의 쟁패기 때 후백제와 후고구려의 각축장이었으며, 임진왜란 이후에 국방상 요새가 되어 여러 산성이 축조됨.
경상도>문경 , 지명>행정지명
-
고사물(高四勿) - 고응척(高應陟)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학자ㆍ문신. 본관은 안동(安東)으로, 김범(金範)의 문인. 《대학(大學)》의 여러 편을 시조로 읊어 교훈시를 만드는 등 사상적 체계를 시(詩)ㆍ부(賦)ㆍ가(歌)ㆍ곡(曲) 등으로 표현함.
1531~1605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선산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고사부리군(古沙夫里郡) - 고부(古阜)
전라북도 남서부에 있는 고을 이름. 동학농민운동(東學農民運動)의 시발지. 동쪽으로 태인(泰仁), 남쪽으로 흥덕(興德), 북쪽으로 부안(扶安)과 접해 있던 지역.
전라도>고부 , 지명>행정지명
-
고사옹(枯査翁) - 임훈(林薰)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효행(孝行)으로 천거되어 장악원 정(掌樂院正) 등을 지내고, 1582년(선조 15)에 장례원 판결사(掌隸院判決事)에 임명되었으나 사퇴하고 낙향함.
1500~1584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음 , 인명>기타인명>효자ㅣ인명>관인>문신
-
고사유(高斯由) - 고국원왕(故國原王)
고구려 제16대 왕. 재위 331~371. 미천왕(美川王)의 아들로, 전연(前燕)과 대립하다가 국내성(國內城)을 잃고 수도를 동황성(東黃城)으로 옮김. 371년 평양성(平壤城)에서 백제 근초고왕(近肖古王)을 맞아 싸우다가 전사함.
?~371 한국>고구려 , 평안도>평양 , 인명>왕실>국왕
-
고산(姑山) - 고야산(姑射山)
평안남도 개천(价川)에 있는 산 이름. 갈인봉(葛仁峰)ㆍ백탑산(白塔山) 등과 함께 묘향산맥(妙香山脈)에 속함.
평안도>개천 , 지명>자연지명
-
고산(孤山)@권대응 - 권대응(權大凝)
조선 전기의 문신. 훈도(訓導)를 지냈고 권문해(權文海)와 교유하였으며 《초간집(草澗集)》에 만사(輓詞)가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인명>관인>문신
-
고산(孤山)@황기로 - 황기로(黃耆老)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명필. 본관은 덕산(德山). 사옹원 참봉(司饔院參奉) 황계옥(黃季沃)의 아들. 글씨에 능했는데, 특히 초서(草書)를 잘 써서 ‘초성(草聖)’으로 불렸으며 《근묵(槿墨)》 등에 작품을 남김.
1521~1567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선산ㅣ충청도>덕산 , 인명>예술인>서화가
-
고산(孤山)@남영 - 남영(南嶸)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의관ㆍ문신. 본관은 의령(宜寧). 남예석(南禮錫)의 아들. 유성룡(柳成龍)의 천거로 벼슬하여 선조 때 어의(御醫)를 지냈으며, 광해군 때 음죽 현감(陰竹縣監) 등을 지냄.
1548~1616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문경 , 인명>기술인>의원ㅣ인명>관인>문신
-
고산(孤山)@윤선도 - 윤선도(尹善道)
조선 광해군(光海君)~현종(顯宗) 때의 문신ㆍ시인. 남인(南人)의 거두로, 치열한 당쟁 속에서 일생을 유배지에서 보냄. 경사(經史)에 해박하고 특히 시조(時調)에 뛰어나, 정철(鄭澈)ㆍ박인로(朴仁老)와 더불어 ‘조선삼대시가인(朝鮮三大詩歌人)’으로 불림.
1587~1671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해남ㅣ전라도>영암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고산(孤山)@이존오 - 이존오(李存吾)
고려 공민왕(恭愍王) 때의 문신. 우정언(右正言)이 되어 신돈(辛旽)의 횡포를 탄핵하다가 좌천되고, 공주(公州)의 석탄(石灘)에서 은거하던 중 울분으로 병이 나서 죽음. 정몽주(鄭夢周)ㆍ박상충(朴尙衷) 등과 교분이 두터웠음.
1341~1371 한국>고려후기 , 충청도>공주 , 인명>관인>문신
-
고산(孤山) - 유근(柳根)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 이황(李滉)의 문인으로 시문에 뛰어남. 임진왜란(壬辰倭亂)이 일어나자 선조를 의주(義州)로 호종하고, 명(明) 나라에 사신으로 다녀와 호성공신(扈聖功臣)에 녹훈됨.
1549~1627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진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고산(孤山)@임포 - 임포(林逋)
중국 송(宋) 나라의 은자(隱者). 항주(抗州) 서호(西湖)의 고산(孤山)에 초막을 짓고 20년 동안 출입하지 않은 채 매화를 가꾸고 학을 기르면서 독신으로 살았음.
967~1028 중국>송 , 중국 , 인명>기타인명>은자
-
고산(孤山)@예산 - 예산(禮山)
충청도 중부에 있는 고을 이름. 동쪽으로 온양군(溫陽郡), 서쪽으로 덕산현(德山縣)과 접해 있음. 오현(烏縣)으로 불리며 반포조(反哺鳥) 까마귀와 같은 효의 고장으로 이름 높음.
충청도>예산 , 지명>행정지명
-
고산(孤山)@금난수 - 금난수(琴蘭秀)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봉화(奉化). 이황(李滉)의 문인으로, 장예원 사평(掌隸院司評)ㆍ봉화 현감(奉化縣監) 등을 지내고, 귀향한 뒤에는 퇴계 학문을 강구함.
1530~1604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예안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고산(高山)@윤집 - 윤집(尹集)
조선 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남원(南原). 윤형갑(尹衡甲)의 아들로, 삼학사(三學士)의 한 사람. 병자호란 때 청(淸)과의 화의를 적극 반대하다가 오달제(吳達濟)ㆍ홍익한(洪翼漢)과 함께 중국 심양(瀋陽)에 끌려가 순절함.
1606~1637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고산(高山) - 남정(南鼎)
조선 세조(世祖) 때의 문신. 본관은 고성(固城). 1462년 식년시(式年試)에 급제한 후 승문원 박사(承文院博士)를 지냈음. 김종직(金宗直)의 《점필재집(佔畢齋集)》에 화답시가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고성 , 인명>관인>문신
-
고산정(高山正) - 이연(李璉)
조선 전기의 종친. 본관은 전주(全州). 경원부수(慶源副守) 이인손(李仁孫)의 아들로, 밀산부수(密山副守) 이신손(李信孫)에게 출계함. 1528년(중종 23) 생원시(生員試)에 입격하였으며, 고산 현감(高山縣監)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종친
-
고산주인(孤山主人) - 금난수(琴蘭秀)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봉화(奉化). 이황(李滉)의 문인으로, 장예원 사평(掌隸院司評)ㆍ봉화 현감(奉化縣監) 등을 지내고, 귀향한 뒤에는 퇴계 학문을 강구함.
1530~1604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예안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고산집(孤山集) - 고산유고(孤山遺稿)
조선 후기의 문신ㆍ시인이며 남인(南人)의 거두인 윤선도(尹善道)의 문집. 아들 윤직미(尹直美)와 손자 윤이후(尹爾厚)가 시문을 정리하여 1678년(숙종 4)경에 초간본을 간행했을 것으로 짐작됨.
한국>조선후기 , 문헌>서명
-
고산처사(孤山處士)@금난수 - 금난수(琴蘭秀)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봉화(奉化). 이황(李滉)의 문인으로, 장예원 사평(掌隸院司評)ㆍ봉화 현감(奉化縣監) 등을 지내고, 귀향한 뒤에는 퇴계 학문을 강구함.
1530~1604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예안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고산처사(孤山處士)@황기로 - 황기로(黃耆老)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명필. 본관은 덕산(德山). 사옹원 참봉(司饔院參奉) 황계옥(黃季沃)의 아들. 글씨에 능했는데, 특히 초서(草書)를 잘 써서 ‘초성(草聖)’으로 불렸으며 《근묵(槿墨)》 등에 작품을 남김.
1521~1567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선산ㅣ충청도>덕산 , 인명>예술인>서화가
-
고산처사(孤山處士) - 임포(林逋)
중국 송(宋) 나라의 은자(隱者). 항주(抗州) 서호(西湖)의 고산(孤山)에 초막을 짓고 20년 동안 출입하지 않은 채 매화를 가꾸고 학을 기르면서 독신으로 살았음.
967~1028 중국>송 , 중국 , 인명>기타인명>은자
-
고상시(高常侍) - 고적(高適)
중국 당(唐) 나라 현종(玄宗)~대종(代宗) 때의 시인ㆍ문신. 간의대부(諫議大夫)를 거쳐 몇 차례나 절도사(節度使)로 나가 난을 평정하다가 나이 50이 되어서야 시를 짓기 시작하였는데, 변새(邊塞)의 이정(離情)을 잘 읊어 잠삼(岑參)과 함께 고잠(高岑)으로 병칭됨.
704~765 중국>당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고상인(杲上人) - 혜암(慧庵)
고려 말~조선 초의 승려. 모자산(母子山)의 정각사(鼎角寺)에 머물렀으며, 유방선(柳方善)의 《태재집(泰齋集)》에 그의 시권(詩卷)에 써 준 제시(題詩)가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영천(永川) , 인명>종교인>승려
-
고석(孤石) - 목장흠(睦長欽)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사천(泗川). 이조 참판(吏曹參判)을 지낸 목첨(睦詹)의 아들. 광해군(光海君) 때 폐모론(廢母論)이 일어나자 향리로 돌아갔다가, 인조반정(仁祖反正)으로 다시 관직에 나옴.
1572~1641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사천 , 인명>관인>문신
-
고선(姑仙) - 고야(姑射)
중국 묘고야(藐姑射) 산에 사는 피부가 눈처럼 희고 고운 신선. 자태가 처녀처럼 아름다우며 오곡을 먹지 않는다는 이야기가 《장자(莊子)》 〈소요유(逍遙遊)〉에 실려 있음.
중국 , 인명>기타인명>기타인물
-
고성군(固城君)@이맹우 - 이맹우(李孟友)
조선 전기의 공신ㆍ문신. 본관은 고성(固城). 광국공신(光國功臣) 홍성민(洪聖民)의 외조부로, 정국공신(靖國功臣)에 책록되었으며 자산 군수(慈山郡守)를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고성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고성군(固城君) - 이강(李鋼)@조선
조선 전기의 종친. 세종(世宗)의 다섯 번째 서자인 밀성군(密城君) 이침(李琛)의 손자로, 이방석(李芳碩)의 계후(繼後)가 된 숙부 춘성군(春城君) 이당(李譡)의 후사를 이었음.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고성진강(古城津江) - 금강(錦江)
전라북도 장수(長水)에서 발원하여 서쪽으로 흘러 군산만(群山灣)으로 흘러드는 강 이름. 우리나라 6대 하천의 하나.
전라도>장수 , 지명>자연지명
-
고세(高世) - 도안(道安)
중국 남북조시대 동진(東晉)의 승려. 반야학(般若學) 본무종(本無宗)의 대표적 인물.
312~385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종교인>승려
-
고소어(古所於) - 수안(遂安)
황해도 동북부에 있는 고을 이름. 고려시대에 몽고군(蒙古軍)과 거란군(契丹軍)에게 자주 침략을 당한 고을 중의 하나.
황해도>수안 , 지명>행정지명
-
고손지(高巽志) - 고손지(高遜志)
중국 원(元) 말~명(明) 초의 문신ㆍ문인. 《원사(元史)》를 편수함.
중국>명ㅣ중국>원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고송(孤松) - 임경업(林慶業)
조선 광해군(光海君)~인조(仁祖) 때의 무신. 본관은 평택(平澤). 친명배청파(親明排淸派)로서 명군(明軍) 총병(總兵)으로 청(淸) 나라를 공격하다가 포로가 되었으며, 송환된 뒤 친국(親鞫)을 받던 중 김자점(金自點)에 의해 장살(杖殺)됨.
1594~1646 한국>조선후기 , 강원도>원주 , 인명>관인>무신
-
고송(孤松)@송세림 - 송세림(宋世琳)
조선 연산군(燕山君)~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여산(礪山). 송연손(宋演孫)의 아들로, 교리(校理) 등을 지냄. 그림과 글씨에 모두 뛰어났으며, 저서로 《어면순(禦眠楯)》이 있음.
1479~?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여산 , 인명>관인>문신
-
고쇠(高釗) - 고국원왕(故國原王)
고구려 제16대 왕. 재위 331~371. 미천왕(美川王)의 아들로, 전연(前燕)과 대립하다가 국내성(國內城)을 잃고 수도를 동황성(東黃城)으로 옮김. 371년 평양성(平壤城)에서 백제 근초고왕(近肖古王)을 맞아 싸우다가 전사함.
?~371 한국>고구려 , 평안도>평양 , 인명>왕실>국왕
-
고수서(孤樹書) - 고수부담(孤樹裒談)
중국 명(明) 나라의 이묵(李默)이 홍무(洪武) 연간에서 정덕(正德) 연간에 이르는 명 나라의 사적(事蹟)을 정리한 책. 일부에서는 조가여(趙可與)의 저서로 알려짐.
중국>명 , 중국 , 문헌>서명
-
고숙명(高叔明) - 고응척(高應陟)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학자ㆍ문신. 본관은 안동(安東)으로, 김범(金範)의 문인. 《대학(大學)》의 여러 편을 시조로 읊어 교훈시를 만드는 등 사상적 체계를 시(詩)ㆍ부(賦)ㆍ가(歌)ㆍ곡(曲) 등으로 표현함.
1531~1605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선산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고숭걸(高嵩傑) - 고숭걸(高崇傑)
조선 중종(中宗) 때의 학자. 본관은 고성(高城)으로, 정여창(鄭汝昌)의 문인(門人).
한국>조선전기 , 함경도>종성 , 인명>문사>학자
-
고승전(高僧傳) - 해동고승전(海東高僧傳)
고려 고종(高宗) 때의 승려인 각훈(覺訓)이 편찬한 여러 고승(高僧)들의 전기. 완본(完本)이 전하지 않아 정확한 권수와 간행 연대를 알 수 없음.
1215 한국>고려후기 , 문헌>서명
-
고시산(古尸山) - 옥천(沃川)
충청북도 남부에 있는 고을 이름. 옥천향교(沃川鄕校)ㆍ청산향교(靑山鄕校) 등의 사적이 남아 있음.
충청도>옥천 , 지명>행정지명
-
고신(高辛) - 제곡(帝嚳)
중국 고대 전설상의 국왕. 오제(五帝) 중의 한 사람으로, 셋째 아내 경도(慶都)가 요(堯)를 낳았으며 150세까지 살았다고 전해짐.
고대 , 중국 , 인명>기타인명>기타인물
-
고신연주지사(孤臣戀主之詞) - 충신연주지사(忠臣戀主之詞)
임금을 그리워하는 신하의 정을 애절하게 읊은 내용의 시가(詩歌). 정서(鄭敍)의 〈정과정곡(鄭瓜亭曲)〉과 정철(鄭澈)의 〈사미인곡(思美人曲)〉ㆍ〈속미인곡(續美人曲)〉 등이 대표적임.
사상>술어>핵심어
-
고심(古心) - 윤근수(尹根壽)
조선 명종(明宗)~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윤두수(尹斗壽)의 아우이며, 이황(李滉)의 문인(門人)으로, 선조(宣祖) 때 종계변무(宗系辨誣)의 공으로 광국공신(光國功臣)에 책록되고, 임진왜란 때 국난극복에 힘써 호성공신(扈聖功臣)에 책록됨.
1537~1616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선산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고씨(高氏) - 고구려(高句麗)
고대의 삼국 가운데 동명왕(東明王) 주몽(朱蒙)이 기원전 37년에 세운 국가. 기원(紀元) 전후 무렵에 졸본(卒本) 지방에서 일어나 한반도 북부와 만주(滿洲) 일대를 지배하였으며, 동명왕부터 보장왕(寶藏王)까지 28대 705년간 존속함.
B.C.37~A.D.668 한국>고구려 , 시간>국명
-
고안(孤雁) - 포당(鮑當)
중국 송(宋) 나라의 문신ㆍ시인. 호주지사(湖州知事) 등을 지내고 시(詩)에 뛰어났으며, 저서로 《청풍집(淸風集)》을 남김.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고안(高安) - 균주(筠州)
중국 강서성(江西省) 서주부(瑞州府)에 있는 고을 이름. 고안현(高安縣)이라고도 불리며, 송(宋) 나라 신종(神宗) 때 소식(蘇軾)의 동생인 소철(蘇轍)이 이곳으로 좌천된 일이 있음.
중국 , 지명>행정지명
-
고안부정(高安副正) - 이정(李精)
조선 전기의 종친. 효령대군(孝寧大君)의 증손(曾孫)으로, 물거군(勿巨君) 이철(李徹)의 아들.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고안정(高安正) - 이정(李精)
조선 전기의 종친. 효령대군(孝寧大君)의 증손(曾孫)으로, 물거군(勿巨君) 이철(李徹)의 아들.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고안후(高安侯) - 동현(董賢)
중국 전한(前漢) 때의 문신. 애제(哀帝)의 총애를 받아 권력을 휘두르다 애제가 죽은 후 자살함.
중국>전한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고암(古巖) - 천긍(天亘)
고려 말~조선 초의 승려. 각운(覺雲)의 제자로, 스승에게서 '고암(古巖)'이란 호를 받음.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인명>종교인>승려
-
고암(考巖) - 주돈이(周敦頤)
중국 송(宋) 나라의 유학자. 정호(程顥)ㆍ정이(程頤) 형제의 스승으로, 도가사상(道家思想)의 영향을 받아 새로운 유교이론을 창시함. 저서에 《태극도설(太極圖說)》ㆍ《통서(通書)》등이 있음.
1017~1073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고암(顧庵)@홍순복 - 홍순복(洪順福)
조선 중종(中宗) 때의 유학. 본관은 남양(南陽). 홍석복(洪碩福)의 형이고 김식(金湜)의 문인으로, 기묘명현(己卯名賢)의 한 사람. 기묘사화 때 성균관 유생들과 함께 대궐문을 막고 저항하였다가 이듬해 이신(李信)의 밀고로 붙잡혀 사사됨.
1492~1520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남원 , 인명>문사>유학
-
고암(顧庵) - 정윤희(丁胤禧)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좌찬성을 지낸 정응두(丁應斗)의 아들로, 이황(李滉)의 문인. 문장이 뛰어났고, 특히 사륙문(四六文)에 능하여 홍문관(弘文館)과 예문관(藝文館)의 서책을 많이 찬술하였음.
1531~1589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나주 , 인명>관인>문신
-
고암(顧菴) - 홍순복(洪順福)
조선 중종(中宗) 때의 유학. 본관은 남양(南陽). 홍석복(洪碩福)의 형이고 김식(金湜)의 문인으로, 기묘명현(己卯名賢)의 한 사람. 기묘사화 때 성균관 유생들과 함께 대궐문을 막고 저항하였다가 이듬해 이신(李信)의 밀고로 붙잡혀 사사됨.
1492~1520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남원 , 인명>문사>유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