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고암(高巖) - 영사(寧師)
고려 말~조선 초의 승려. 원천석(元天錫)과 교유하여 《운곡행록(耘谷行錄)》에 서권(書卷)이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인명>종교인>승려
-
고암(鼓巖) - 양자징(梁子澂)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제주(濟州). 양산보(梁山甫)의 아들이며, 김인후(金麟厚)의 사위이자 문인(門人)으로, 석성 현감(石城縣監) 등을 지내고, 필암서원(筆巖書院)에 제향됨.
1523~1594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창녕 , 인명>관인>문신
-
고암도인(古巖道人) - 천긍(天亘)
고려 말~조선 초의 승려. 각운(覺雲)의 제자로, 스승에게서 '고암(古巖)'이란 호를 받음.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인명>종교인>승려
-
고암유집(顧庵遺集) - 고암집(顧庵集)
조선 전기의 문신인 정윤희(丁胤禧)의 문집. 임진왜란 때 소실됨.
한국>조선전기 , 문헌>서명
-
고암자(鼓巖子) - 양자징(梁子澂)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제주(濟州). 양산보(梁山甫)의 아들이며, 김인후(金麟厚)의 사위이자 문인(門人)으로, 석성 현감(石城縣監) 등을 지내고, 필암서원(筆巖書院)에 제향됨.
1523~1594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창녕 , 인명>관인>문신
-
고양(高洋) - 문선제(文宣帝)
중국 남북조시대 북제(北齊)의 제1대 황제. 재위 550~559. 고환(高歡)의 아들로, 동위(東魏)의 효정제(孝靜帝)를 폐하고 북제를 세웠으며, 즉위 초에는 정사에 힘쓰고 북방의 이민족을 격파하였으나, 후에는 폭정을 하여 국력이 쇠퇴함.
529~559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고양(高陽)@고령 - 고령(高靈)
경상북도 남서단에 있는 고을 이름. 대가야(大伽倻)의 옛 도읍지.
경상도>고령 , 지명>행정지명
-
고양군(高陽君)@이억손 - 이억손(李億孫)
조선 전기의 종친. 세종(世宗)의 다섯째 아들인 광평대군(廣平大君) 이여(李璵)의 증손이자, 청안군(淸安君) 이영(李嶸)의 다섯째 아들이며, 노공필(盧公弼)의 외손.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고양군(高陽君) - 신주(申澍)
조선 세조(世祖) 때의 문신. 영의정을 지낸 신숙주(申叔舟)의 장남으로, 통례문 봉례(通禮門奉禮)를 역임하였으나 젊은 나이에 병사함.
1435~1456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고령 , 인명>관인>문신
-
고양군(高陽君)@신준 - 신준(申浚)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문신. 우참찬(右參贊) 등을 지내면서 언로(言路)의 개방 등 시무십조(時務十條)를 진언하였고, 중종반정(中宗反正)에 가담하여 정국공신(靖國功臣)에 책록됨.
1444~1509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고령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고양군후(高陽郡侯) - 한영(韓永)
고려 충숙왕(忠肅王) 때의 문신. 본관은 청주(淸州)로, 간의대부(諫議大夫) 한사기(韓謝奇)의 아들. 원(元) 나라에서 성장해 하남부총관(河南府摠管) 등을 지내고, 원 나라에 와 있던 충숙왕을 시종한 공으로 공신(功臣)에 책록됨.
1285~1336 한국>고려후기 , 충청도>청주 , 인명>관인>문신
-
고양노자(高陽老子) - 신숙주(申叔舟)
조선 세종(世宗)~성종(成宗) 때의 문신ㆍ학자. 훈민정음(訓民正音) 창제에 큰 공을 세웠으며, 계유정난(癸酉靖難)에 참여한 공(功) 등으로 정난공신(靖難功臣)ㆍ좌익공신(佐翼功臣)ㆍ익대공신(翊戴功臣)ㆍ좌리공신(佐理功臣) 등에 책록됨.
1417~1475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고령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고양병로(高陽病老) - 신숙주(申叔舟)
조선 세종(世宗)~성종(成宗) 때의 문신ㆍ학자. 훈민정음(訓民正音) 창제에 큰 공을 세웠으며, 계유정난(癸酉靖難)에 참여한 공(功) 등으로 정난공신(靖難功臣)ㆍ좌익공신(佐翼功臣)ㆍ익대공신(翊戴功臣)ㆍ좌리공신(佐理功臣) 등에 책록됨.
1417~1475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고령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고양부원군(高陽府院君)@신준 - 신준(申浚)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문신. 우참찬(右參贊) 등을 지내면서 언로(言路)의 개방 등 시무십조(時務十條)를 진언하였고, 중종반정(中宗反正)에 가담하여 정국공신(靖國功臣)에 책록됨.
1444~1509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고령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고양부원군(高陽府院君)@박광우 - 박광우(朴光佑)@고려
고려 후기의 문신. 본관은 고령(高靈). 문하시중(門下侍中)을 지냈으며, 고양부원군(高陽府院君)에 봉해짐.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고령 , 인명>관인>문신
-
고양부원군(高陽府院君) - 김남득(金南得)
고려 공민왕(恭愍王)~공양왕(恭讓王) 때의 문신. 고령김씨(高靈金氏)의 시조(始祖).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고령 , 인명>관인>문신
-
고양부정(高陽副正) - 이억손(李億孫)
조선 전기의 종친. 세종(世宗)의 다섯째 아들인 광평대군(廣平大君) 이여(李璵)의 증손이자, 청안군(淸安君) 이영(李嶸)의 다섯째 아들이며, 노공필(盧公弼)의 외손.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고양주로(高陽酒老) - 신숙주(申叔舟)
조선 세종(世宗)~성종(成宗) 때의 문신ㆍ학자. 훈민정음(訓民正音) 창제에 큰 공을 세웠으며, 계유정난(癸酉靖難)에 참여한 공(功) 등으로 정난공신(靖難功臣)ㆍ좌익공신(佐翼功臣)ㆍ익대공신(翊戴功臣)ㆍ좌리공신(佐理功臣) 등에 책록됨.
1417~1475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고령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고양지(高陽池) - 습가지(習家池)
중국 호북성(湖北省) 양양(襄陽)에 있는 못 이름. 토호(土豪)인 습씨(習氏)의 원지(園池)로, 진(晉) 나라 때 산간(山簡)이 양양 태수로 있으면서 이곳의 빼어난 경치를 사랑하여 술을 즐겨 마시던 곳으로 유명함.
중국 , 유적>시설>기타시설
-
고양취곤(高陽醉髡) - 각훈(覺訓)
고려 후기의 승려. 개경의 화엄대찰인 흥왕사(興王寺)와 영통사(靈通寺) 등지를 중심으로 활동하며, 이인로(李仁老)ㆍ이규보(李奎報) 등과 교유함. 1215년(고종 2)을 전후하여 영통사에 주석(駐錫)하며 왕명으로 《해동고승전(海東高僧傳)》을 저술함.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개성 , 인명>종교인>승려
-
고양취로(高陽醉老) - 신숙주(申叔舟)
조선 세종(世宗)~성종(成宗) 때의 문신ㆍ학자. 훈민정음(訓民正音) 창제에 큰 공을 세웠으며, 계유정난(癸酉靖難)에 참여한 공(功) 등으로 정난공신(靖難功臣)ㆍ좌익공신(佐翼功臣)ㆍ익대공신(翊戴功臣)ㆍ좌리공신(佐理功臣) 등에 책록됨.
1417~1475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고령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고양후(高陽侯) - 한영(韓永)
고려 충숙왕(忠肅王) 때의 문신. 본관은 청주(淸州)로, 간의대부(諫議大夫) 한사기(韓謝奇)의 아들. 원(元) 나라에서 성장해 하남부총관(河南府摠管) 등을 지내고, 원 나라에 와 있던 충숙왕을 시종한 공으로 공신(功臣)에 책록됨.
1285~1336 한국>고려후기 , 충청도>청주 , 인명>관인>문신
-
고양후(高陽侯)@한사기 - 한사기(韓謝奇)
고려 충렬왕(忠烈王)~공민왕(恭愍王) 때의 문신. 본관은 청주(淸州)로, 한강(韓康)의 아들이며 한영(韓永)과 한악(韓渥)의 아버지. 1279년(충렬왕 5) 독로화(禿魯花)로 선발되어 원(元) 나라에서 숙위(宿衛)하고 돌아옴. 과거에 급제하여 간의대부(諫議大夫)ㆍ보문각 제학(寶文閣提學) 등을 지냄.
한국>고려후기 , 충청도>청주 , 인명>관인>문신
-
고어지지(高於只支) - 고국양왕(故國壤王)
고구려 제18대 왕. 재위 384~391. 소수림왕(小獸林王)의 동생이자 광개토왕(廣開土王)의 아버지. 요동(遼東)과 백제를 정벌하여 국토를 넓히고, 불교를 발전시켰으며 국사(國社)를 세우고 종묘(宗廟)를 수리하는 등 국가체제 확립에 기여함.
?~391 한국>고구려 , 평안도>평양 , 인명>왕실>국왕
-
고연(高璉) - 장수왕(長壽王)
고구려 제20대 왕. 재위 413~491. 광개토왕(廣開土王)의 맏아들. 평양성(平壤城)으로 천도(遷都)하고, 백제(百濟)를 공격하여 웅진(熊津)으로 천도를 이끌어 내는 등 왕권의 강화와 영토 확장에 주력하여 고구려의 전성기를 이룩함.
394~491 한국>고구려 , 평안도>평양 , 인명>왕실>국왕
-
고영부수(高瀛副守) - 이옥산(李玉山)
조선 전기의 종친. 태종(太宗)의 첫 번째 서자인 경녕군(敬寧君) 이비(李裶)의 손자이며, 복성정(福城正) 이영(李穎)의 아들로, 성종(成宗) 때 안양부수(安陽副守)로 봉해졌으나, 뒤에 왕자인 안양군(安陽君)의 호를 피하여 고영(高瀛)으로 고침.
1455~1511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고옥(高沃) - 원고옥(元高沃)
고려 후기의 유학. 그를 전송하는 시(詩)가 원천석(元天錫)의 《운곡행록(耘谷行錄)》에 실려 있음.
한국>고려후기 , 인명>문사>유학
-
고옹(皐翁) - 조목(趙穆)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학자. 본관은 횡성(橫城). 조대춘(趙大春)의 아들이고, 이황(李滉)의 문인(門人). 생원시에 입격했으나 대과(大科)를 포기하고 경전(經傳) 연구와 수양에만 전념하였으며, 문장과 글씨에 뛰어남.
1524~1606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예안 , 인명>문사>학자
-
고왕(高王)@고려 - 고종(高宗)@고려
고려의 제23대 왕. 재위 1213~1259. 거란ㆍ몽골 등 북방민족의 침입으로 고통을 받음. 팔만대장경을 조판하고, 유학을 장려하는 등 문화적인 업적도 남김.
1192~1259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개성 , 인명>왕실>국왕
-
고왕조(高王朝) - 고려(高麗)
왕건(王建)이 태봉(泰封)의 궁예(弓裔)를 추방하고 개성(開城)에 도읍하여 세운 나라. 태조(太祖)에서 공양왕(恭讓王)까지 34대 475년간 존속.
918~1392 한국>고려시대 , 시간>국명
-
고요(皐繇) - 고요(皐陶)
중국 고대 순(舜) 임금의 신하. 법리(法理)에 밝아서 형벌을 제정하고 옥간(獄間)을 만들었다고 함.
고대 , 중국 , 인명>기타인명>기타인물
-
고우이(古亏爾) - 울진(蔚珍)
강원도 동쪽 해안에 연해 있는 고을 이름. 예로부터 동해 중부지역의 상업 중심지 역할을 해왔으며, 지금의 울진은 옛 울진과 평해(平海)가 합하여 이루어짐. 지금은 경상북도 울진군(蔚珍郡)에 속함.
강원도>울진 , 지명>행정지명
-
고운(古芸) - 성재숭(成載崇)
조선 헌종(憲宗) 때의 문인. 헌종 때 《허백당집(虛白堂集)》을 중간(重刊)하면서 창녕성씨(昌寧成氏)의 종장(宗丈)으로서 발문(跋文)을 지음.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문사>문인
-
고운(古雲) - 이암(李嵒)
고려 충선왕(忠宣王)~공민왕(恭愍王) 때의 문신ㆍ서화가. 본관은 고성(固城)으로, 철원군(鐵原君) 이우(李瑀)의 아들. 찬화공신(贊化功臣)ㆍ익조공신(翊祚功臣)에 책록되고, 좌정승 등을 지냄. 글씨에 뛰어나 동국(東國)의 조자앙(趙子昻)으로 불리고, 묵죽화(墨竹畫)에도 능함.
1297~1364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고성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예술인>서화가ㅣ인명>관인>문신
-
고운(孤雲) - 최치원(崔致遠)
통일신라 경문왕(景文王)~효공왕(孝恭王) 때의 문신ㆍ학자. 경주최씨(慶州崔氏)의 시조. 12세에 입당(入唐)하여 빈공과(賓貢科)에 장원급제하고, 고변(高騈)의 종사관 등을 지내면서 문명(文名)을 떨침. 귀국하여 아찬(阿飡)) 등을 지내다가 은거함.
857~? 한국>통일신라 , 경상도>경주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고운거사(古芸居士) - 유득공(柳得恭)
조선 영조(英祖)~순조(純祖)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문화(文化)로, 규장각 검서(奎章閣檢書) 등을 지냄. 주체적 역사 의식이 강했으며, 대표적인 저서로 《발해고(渤海考)》 등이 있음.
1749~1807 한국>조선후기 , 황해도>문화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고운당(古芸堂) - 유득공(柳得恭)
조선 영조(英祖)~순조(純祖)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문화(文化)로, 규장각 검서(奎章閣檢書) 등을 지냄. 주체적 역사 의식이 강했으며, 대표적인 저서로 《발해고(渤海考)》 등이 있음.
1749~1807 한국>조선후기 , 황해도>문화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고운선자(孤雲仙子) - 최치원(崔致遠)
통일신라 경문왕(景文王)~효공왕(孝恭王) 때의 문신ㆍ학자. 경주최씨(慶州崔氏)의 시조. 12세에 입당(入唐)하여 빈공과(賓貢科)에 장원급제하고, 고변(高騈)의 종사관 등을 지내면서 문명(文名)을 떨침. 귀국하여 아찬(阿飡)) 등을 지내다가 은거함.
857~? 한국>통일신라 , 경상도>경주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고울(高鬱) - 영천(永川)@경상도
경상도 남동부에 있는 지명. 동쪽으로 경주(慶州), 서쪽으로 대구(大丘)와 접함. 진산(鎭山)으로 모자산(母子山)이 있고, 사찰로 운부사(雲浮寺) 등이 있음.
경상도>영천(永川) , 지명>행정지명
-
고원(高原)@신항 - 신항(申沆)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문신. 성종의 장녀인 혜숙옹주(惠淑翁主)와 혼인하여 고원위(高原尉)에 봉해졌으며, 중종반정(中宗反正) 후 원종공신(原從功臣)에 책록됨.
1477~1507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고령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ㅣ인명>왕실>인척
-
고원위(高原尉) - 신항(申沆)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문신. 성종의 장녀인 혜숙옹주(惠淑翁主)와 혼인하여 고원위(高原尉)에 봉해졌으며, 중종반정(中宗反正) 후 원종공신(原從功臣)에 책록됨.
1477~1507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고령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ㅣ인명>왕실>인척
-
고위(高緯) - 후주(後主)@남북조(북제)
중국 남북조시대 북제(北齊)의 제5대 왕. 재위 565~577. 무성제(武成帝)위 뒤를 이어 왕이 되었으나 결국 나라가 망하게 됨.
?~577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고유(高劉) - 고국원왕(故國原王)
고구려 제16대 왕. 재위 331~371. 미천왕(美川王)의 아들로, 전연(前燕)과 대립하다가 국내성(國內城)을 잃고 수도를 동황성(東黃城)으로 옮김. 371년 평양성(平壤城)에서 백제 근초고왕(近肖古王)을 맞아 싸우다가 전사함.
?~371 한국>고구려 , 평안도>평양 , 인명>왕실>국왕
-
고은(古隱) - 영양(英陽)
경상도 북동부에 있는 고을 이름.
경상도>영해 , 지명>행정지명
-
고은(孤隱)@송세림 - 송세림(宋世琳)
조선 연산군(燕山君)~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여산(礪山). 송연손(宋演孫)의 아들로, 교리(校理) 등을 지냄. 그림과 글씨에 모두 뛰어났으며, 저서로 《어면순(禦眠楯)》이 있음.
1479~?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여산 , 인명>관인>문신
-
고은(孤隱) - 이지활(李智活)
조선 문종(文宗)~단종(端宗) 때의 문신. 본관은 성주(星州). 세조(世祖)가 단종의 왕위를 찬탈하자 거창(居昌)의 박유산(朴儒山)에 은거하였으며, 단종의 승하 소식을 듣고 통곡하다 죽음.
1434~?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거창 , 인명>관인>문신
-
고은(皐隱) - 안지(安止)
조선 태종(太宗)~세조(世祖) 때의 문신. 본관은 탐진(耽津). 찬성(贊成) 안사종(安士宗)의 아들로, 1445년(세종 27) 권제(權踶)ㆍ정인지(鄭麟趾) 등과 함께 〈용비어천가(龍飛御天歌)〉를 지었으며, 시(詩)ㆍ서(書)에 능하였음.
1377~1464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강진 , 인명>관인>문신
-
고은당(高隱堂) - 김치만(金致萬)
조선 경종(景宗)~영조(英祖) 때의 문신. 본관은 청풍(淸風). 자신의 딸과 영조의 조카 이온(李縕)과의 혼인을 반대하다가 파직되고 투옥됨. 시직(侍稷)을 역임함.
1697~1753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고이련(高伊連) - 고국양왕(故國壤王)
고구려 제18대 왕. 재위 384~391. 소수림왕(小獸林王)의 동생이자 광개토왕(廣開土王)의 아버지. 요동(遼東)과 백제를 정벌하여 국토를 넓히고, 불교를 발전시켰으며 국사(國社)를 세우고 종묘(宗廟)를 수리하는 등 국가체제 확립에 기여함.
?~391 한국>고구려 , 평안도>평양 , 인명>왕실>국왕
-
고이속(高伊速) - 고국양왕(故國壤王)
고구려 제18대 왕. 재위 384~391. 소수림왕(小獸林王)의 동생이자 광개토왕(廣開土王)의 아버지. 요동(遼東)과 백제를 정벌하여 국토를 넓히고, 불교를 발전시켰으며 국사(國社)를 세우고 종묘(宗廟)를 수리하는 등 국가체제 확립에 기여함.
?~391 한국>고구려 , 평안도>평양 , 인명>왕실>국왕
-
고이순(高而順) - 고경명(高敬命)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인ㆍ의병장. 본관은 장흥(長興)으로, 대사간 고맹영(高孟英)의 아들. 동래 부사(東萊府使) 등을 지내다가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광주(光州)에서 모집한 의병 육천여 명을 이끌고 금산(錦山) 싸움에서 왜군과 싸우다가 전사함.
1533~1592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광산 , 인명>관인>문신
-
고자(皐子) - 고어(皐魚)
중국 주(周) 나라의 효자. 어머니가 죽자 봉양(奉養)을 하고 싶어도 할 수 없는 상황을 슬퍼하며 울었다는 고사에서 ‘풍수지탄(風樹之嘆)’이란 말이 유래함.
중국>주 , 중국 , 인명>기타인명>효자
-
고자룡(高子龍) - 고한운(高翰雲)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 고응척(高應陟)의 아들로, 1585년(선조 18) 문과(文科)에 장원급제하여 부안 현감(扶安縣監)을 지냄.
1552~1601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선산 , 인명>관인>문신
-
고자평(高自平) - 고용현(高用賢)
고려 충숙왕(忠肅王)~공민왕(恭愍王) 때의 문신. 본관은 제주(濟州). 문하시중(門下侍中)을 지낸 고경(高慶)의 아들로, 정몽주(鄭夢周)ㆍ이색(李穡)과 교유하였음.
1302~1368 한국>고려후기 , 전라도>옥구 , 인명>관인>문신
-
고장(高臧) - 보장왕(寶藏王)
고구려 제28대 마지막 왕. 재위 642~668. 연개소문(淵蓋蘇文)의 추대로 왕위에 올랐으나, 나당(羅唐) 연합군에 패하여 당 나라로 압송된 뒤 고구려의 부흥을 도모하다 실패함.
?~682 한국>고구려 , 평안도>평양 , 인명>왕실>국왕
-
고장(高藏) - 보장왕(寶藏王)
고구려 제28대 마지막 왕. 재위 642~668. 연개소문(淵蓋蘇文)의 추대로 왕위에 올랐으나, 나당(羅唐) 연합군에 패하여 당 나라로 압송된 뒤 고구려의 부흥을 도모하다 실패함.
?~682 한국>고구려 , 평안도>평양 , 인명>왕실>국왕
-
고장강(顧長康) - 고개지(顧愷之)
중국 남북조시대 동진(東晉)의 화가. 중국 회화사상 인물화(人物畫)의 최고봉으로 알려짐.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예술인>서화가
-
고저(古樗) - 찬영(粲英)
고려 충정왕(忠定王)~공양왕(恭讓王) 때의 승려. 사복시 직장(司僕寺直長) 한적(韓績)의 아들이고, 보우(普愚)의 제자. 공민왕(恭愍王) 때 양가도승록(兩街都僧錄)이 되고, 우왕(禑王) 때 왕사(王師)가 되었으며, 사후에 국사(國師)의 시호를 받음.
1328~1390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양주 , 인명>종교인>승려
-
고절령(高節嶺) - 고절령(高絶嶺)
경상남도 거제(巨濟)에 있는 고개 이름.
경상도>거제 , 지명>자연지명
-
고정(古亭) - 김치인(金致仁)
조선 영조(英祖)~정조(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청풍(淸風). 영의정 김재로(金在魯)의 아들로, 여러 번 영의정을 지내며 정조의 명으로 당쟁의 조정에 힘씀. 전고(典故)에 정통하여 1785년(정조 9)에 《대전통편(大典通編)》 편찬을 주관함.
1716~1790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고정(考亭) - 주희(朱熹)
중국 송(宋) 나라의 유학자. 송대(宋代) 유학자들의 학설을 집성 정리해서 공전(空前)의 사변철학(思辨哲學)과 실천윤리(實踐倫理)의 체계를 확립하여 성리학(性理學)을 집대성함. 《사서집주(四書集注)》등 많은 저서가 있음.
1130~1200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고정(高靜) - 성철(性哲)
조선 성종(成宗) 때의 승려. 이식(李湜)의 《사우정집(四雨亭集)》에 그의 시권(詩卷)에 써 준 제시(題詩)가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인명>종교인>승려
-
고정부자(考亭夫子) - 주희(朱熹)
중국 송(宋) 나라의 유학자. 송대(宋代) 유학자들의 학설을 집성 정리해서 공전(空前)의 사변철학(思辨哲學)과 실천윤리(實踐倫理)의 체계를 확립하여 성리학(性理學)을 집대성함. 《사서집주(四書集注)》등 많은 저서가 있음.
1130~1200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고정부정(古丁副正) - 이겸(李謙)@이제의아들
조선 전기의 종친. 양녕대군(讓寧大君)의 아들이며, 이정(李靖)의 아버지.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종친
-
고정정(古丁正) - 이겸(李謙)@이제의아들
조선 전기의 종친. 양녕대군(讓寧大君)의 아들이며, 이정(李靖)의 아버지.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종친
-
고제(高帝)@태조 - 태조(太祖)@명
중국 명(明) 나라 제1대 황제. 재위 1368~1398. 원(元) 나라를 몽골로 몰아내고 중국을 통일한 후 한민족(漢民族)의 왕조를 회복시키고, 아울러 중앙집권적 독재체제의 구축을 꾀함.
1328~1398 중국>명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고제(高帝)@고조 - 고조(高祖)@전한
중국 전한(前漢)의 제1대 황제. 재위 B.C.202~B.C.195. 항우(項羽)와 패권을 다투었으며, 천하통일의 대업을 이룩함.
B.C.247?~B.C.195 중국>전한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고제봉(高霽峯) - 고경명(高敬命)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인ㆍ의병장. 본관은 장흥(長興)으로, 대사간 고맹영(高孟英)의 아들. 동래 부사(東萊府使) 등을 지내다가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광주(光州)에서 모집한 의병 육천여 명을 이끌고 금산(錦山) 싸움에서 왜군과 싸우다가 전사함.
1533~1592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광산 , 인명>관인>문신
-
고조(高祖)@효문제 - 효문제(孝文帝)
중국 남북조시대 북위(北魏)의 제6대 황제. 재위 471~499. 5살에 즉위해 490년까지 조모(祖母)인 풍태후(馮太后)의 섭정 하에 있었으며, 집권 후에는 중국의 다민족국가의 형성과 발전을 위해 적극적으로 개혁정책을 추진함.
467~499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고조(高祖)@선제 - 선제(宣帝)@남북조(晉)
중국 삼국시대 위(魏) 나라의 장군이며, 서진(西晉)의 추존 황제. 조조(曹操)에게 등용된 후 촉(蜀) 나라 제갈량(諸葛亮)의 북벌을 막고 공손연(公孫淵)을 요동(遼東)에서 토벌하는 등 공을 세웠으며, 진(晉) 나라 건국 후 황제로 추존됨.
179~251 중국>삼국시대 , 중국 , 인명>관인>무신ㅣ인명>왕실>국왕
-
고조(高祖) - 무제(武帝)@남북조(송)
중국 남북조시대 송(宋) 나라의 제1대 황제. 재위 420~422. 동진(東晉)의 공제(恭帝)에게서 왕위를 찬탈하여 송 나라를 건국함.
363~422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고조(高祖)@태조 - 태조(太祖)@고려
고려 제1대 왕. 재위 918~943. 후삼국시대에 궁예(弓裔)의 휘하에서 활약하다가 홍유(洪儒)ㆍ배현경(裵玄慶) 등에 의해 왕으로 추대되어 고려 왕조를 창건하였으며, 후삼국 통일의 위업을 달성함.
877~943 한국>고려전기 , 경기도>개성 , 인명>왕실>국왕
-
고조(高祖)@무제 - 무제(武帝)@남북조(양)
중국 남북조시대 양(梁) 나라의 초대 황제. 재위 502~549. 경릉팔우(竟陵八友) 중 한 사람이며, 불교를 신봉해 500여 개의 사찰을 세움.
464~549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고조(高祖)@문제 - 문제(文帝)@수
중국 수(隋) 나라의 초대 황제. 재위 581~604. 북주(北周) 정제(靜帝)에게서 왕위를 선양(禪讓) 받아 수 나라를 세우고 남조(南朝)의 진(陳)을 평정하여 남북조를 통일함.
541~604 중국>수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고종(高宗)@문성제 - 문성제(文成帝)
중국 남북조시대 북위(北魏)의 제4대 황제. 재위 452~465. 탁발황(拓跋晃)의 아들이며, 헌문제(獻文帝)의 아버지로, 숙부인 안남왕(安南王)을 이어 즉위한 후 민력(民力)을 기르고 안정시키는 데 힘써 북위 융성의 기초를 닦음.
440~465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고종달(胡宗旦) - 호종단(胡宗旦)
고려 예종(睿宗)~인종(仁宗) 때의 문신. 원래 중국 송(宋) 나라 출신으로, 총명하고 박학하며 다재다능하여 예종 때 기거사인(起居舍人) 등을 지냈으며, 압승술(壓勝術)에 능하였음.
한국>고려전기 , 중국 , 인명>기타인명>귀화인ㅣ인명>관인>문신
-
고종안효대왕(高宗安孝大王) - 고종(高宗)@고려
고려의 제23대 왕. 재위 1213~1259. 거란ㆍ몽골 등 북방민족의 침입으로 고통을 받음. 팔만대장경을 조판하고, 유학을 장려하는 등 문화적인 업적도 남김.
1192~1259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개성 , 인명>왕실>국왕
-
고주(高州) - 고원(高原)
함경도 최남부에 위치한 고을 이름. 동뷱쪽으로 영흥부(永興府), 남쪽으로 문천(文川)에 접해 있음.
함경도>고원 , 지명>행정지명
-
고주몽(高朱蒙) - 동명성왕(東明聖王)
삼국시대 고구려(高句麗)의 시조. 재위 B.C.37~B.C.19. 동부여(東扶餘) 금와왕(金蛙王)의 왕자들이 죽이려 하자 남쪽으로 도망가서 고구려를 건국함.
B.C.58~B.C.19 한국>고구려 , 인명>왕실>국왕
-
고죽(孤竹)@숙제 - 숙제(叔齊)
중국 은(殷) 나라의 충신ㆍ은자. 주(周) 나라 무왕(武王)이 은 나라를 치려할 때 형 백이(伯夷)와 함께 말리다가 듣지 않자, 주에서 나는 곡식을 먹는 것도 부끄럽게 여겨 수양산(首陽山)에 들어가 고사리를 캐 먹다가 죽음.
중국>은 , 중국 , 인명>기타인명>은자ㅣ인명>왕실>왕자
-
고죽(孤竹)@정석견 - 정석견(鄭錫堅)
조선 성종(成宗)~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 이조 참판(吏曹參判)에 올랐으나 김종직(金宗直)의 문집을 간행한 일로 무오사화(戊午士禍) 때 파직됨. 성종 때 천거된 유도인(有道人) 13인 중의 한 사람.
?~1500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개령 , 인명>관인>문신
-
고죽(孤竹) - 백이(伯夷)
중국 은(殷) 나라의 충신ㆍ은자. 고죽군(孤竹君)의 아들로, 주(周) 나라 무왕(武王)이 은 나라의 주왕(紂王)을 토벌하자 이를 반대하고 동생인 숙제(叔齊)와 더불어 수양산(首陽山)에 들어가 고사리를 캐 먹다가 죽음.
중국>주ㅣ중국>은 , 중국 , 인명>기타인명>은자ㅣ인명>왕실>종친
-
고죽(孤竹)@해주 - 해주(海州)
황해도 남서쪽에 위치한 고을 이름. 예로부터 중국과의 교통 요충지의 하나임.
황해도>해주 , 지명>행정지명
-
고죽(孤竹)@최경창 - 최경창(崔慶昌)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ㆍ시인. 박순(朴淳)의 문인으로, 문장과 학문에 뛰어나 이이(李珥)ㆍ송익필(宋翼弼) 등과 함께 팔문장(八文章)으로 불리고 당시(唐詩)에도 능하여 삼당시인(三唐詩人)으로도 불림. 종성 부사(鍾城府使) 등을 지냄.
1539~1583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영암ㅣ서울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고죽사군(孤竹使君) - 최경창(崔慶昌)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ㆍ시인. 박순(朴淳)의 문인으로, 문장과 학문에 뛰어나 이이(李珥)ㆍ송익필(宋翼弼) 등과 함께 팔문장(八文章)으로 불리고 당시(唐詩)에도 능하여 삼당시인(三唐詩人)으로도 불림. 종성 부사(鍾城府使) 등을 지냄.
1539~1583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영암ㅣ서울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고죽자(孤竹子) - 최경창(崔慶昌)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ㆍ시인. 박순(朴淳)의 문인으로, 문장과 학문에 뛰어나 이이(李珥)ㆍ송익필(宋翼弼) 등과 함께 팔문장(八文章)으로 불리고 당시(唐詩)에도 능하여 삼당시인(三唐詩人)으로도 불림. 종성 부사(鍾城府使) 등을 지냄.
1539~1583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영암ㅣ서울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고죽청사(孤竹淸祠) - 이제묘(夷齊廟)@중국
중국 영평부(永平府) 북쪽 17리 지점의 고죽성(孤竹城)에 있는 백이(伯夷)ㆍ숙제(叔齊)의 사당.
중국 , 유적>건물>사당
-
고준봉(高隼峰) - 고종후(高從厚)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ㆍ의병장. 본관은 장흥(長興). 의병장 고경명(高敬命)의 아들로, 임피 현령(臨陂縣令) 등을 지냄.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종군하여 의병장으로 활약하다 진주성(晉州城)이 함락될 때 남강(南江)에 투신하여 죽음.
1554~1593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광산 , 인명>관인>문신
-
고지(杲之) - 유고지(庾杲之)
중국 남북조시대 제(齊) 나라의 문신ㆍ문인. 재상 왕검(王儉)의 막료를 지낸 일이 있으며, 가세가 청빈(淸貧)하여 조석 때마다 반찬이 오직 부추로 만든 음식뿐이었다고 함.
441~491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고창(古昌) - 안동(安東)
경상북도 중북부에 있는 고을 이름. 경주(慶州)와 함께 경상좌도(慶尙左道)의 대읍(大邑)으로 정치ㆍ행정ㆍ문화의 중심지 역할을 하였으며, 유교 문화의 본고장임.
경상도>안동 , 지명>행정지명
-
고창백(高昌伯) - 설손(偰孫)
고려 공민왕(恭愍王) 때의 문신ㆍ시인ㆍ귀화인. 원래 회골(回鶻)사람으로 원(元) 나라에서 벼슬하다가 고려에 귀화하여 경주설씨(慶州偰氏)의 시조가 됨. 고려 대표시인의 한 사람.
?~1360 한국>고려후기 , 중국ㅣ경상도>경주 , 인명>기타인명>귀화인ㅣ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고청(孤靑) - 서기(徐起)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학자. 본관은 이천(利川). 제자백가(諸子百家)와 기술이론에 통달하였으며, 이지함(李之菡)을 사사하고 함께 각지를 유랑하며 민속과 학문을 연구하였음. 이소재(履素齋) 이중호(李仲虎)의 문인.
1523~1591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홍주ㅣ충청도>공주 , 인명>문사>학자
-
고청고(孤靑稾) - 고청유고(孤靑遺槀)
조선 전기의 학자인 서기(徐起)의 문집. 1750년(영조 26) 홍계희(洪啓禧)가 충청도 관찰사로 있을 때 5대손 서행원(徐行遠)의 부탁으로 공주(公州)에서 목활자로 인행함.
1750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공주 , 문헌>서명
-
고청선생유고(孤靑先生遺稾) - 고청유고(孤靑遺槀)
조선 전기의 학자인 서기(徐起)의 문집. 1750년(영조 26) 홍계희(洪啓禧)가 충청도 관찰사로 있을 때 5대손 서행원(徐行遠)의 부탁으로 공주(公州)에서 목활자로 인행함.
1750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공주 , 문헌>서명
-
고청초로(孤靑樵老) - 서기(徐起)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학자. 본관은 이천(利川). 제자백가(諸子百家)와 기술이론에 통달하였으며, 이지함(李之菡)을 사사하고 함께 각지를 유랑하며 민속과 학문을 연구하였음. 이소재(履素齋) 이중호(李仲虎)의 문인.
1523~1591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홍주ㅣ충청도>공주 , 인명>문사>학자
-
고촉주(高蜀州) - 고적(高適)
중국 당(唐) 나라 현종(玄宗)~대종(代宗) 때의 시인ㆍ문신. 간의대부(諫議大夫)를 거쳐 몇 차례나 절도사(節度使)로 나가 난을 평정하다가 나이 50이 되어서야 시를 짓기 시작하였는데, 변새(邊塞)의 이정(離情)을 잘 읊어 잠삼(岑參)과 함께 고잠(高岑)으로 병칭됨.
704~765 중국>당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고충렬(高忠烈) - 고경명(高敬命)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인ㆍ의병장. 본관은 장흥(長興)으로, 대사간 고맹영(高孟英)의 아들. 동래 부사(東萊府使) 등을 지내다가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광주(光州)에서 모집한 의병 육천여 명을 이끌고 금산(錦山) 싸움에서 왜군과 싸우다가 전사함.
1533~1592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광산 , 인명>관인>문신
-
고취병(高翠屛) - 고응척(高應陟)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학자ㆍ문신. 본관은 안동(安東)으로, 김범(金範)의 문인. 《대학(大學)》의 여러 편을 시조로 읊어 교훈시를 만드는 등 사상적 체계를 시(詩)ㆍ부(賦)ㆍ가(歌)ㆍ곡(曲) 등으로 표현함.
1531~1605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선산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고침안면(高枕安眠) - 고침무우(高枕無憂)
베개를 높이 하고 편안히 잔다는 뜻의 고사성어. 중국 춘추전국시대 제(齊)나라 맹상군(孟嘗君)의 식객(食客)인 풍환(馮驩)이 맹상군을 위기에서 구출하면서 했던 말로, 아무런 근심이 없는 상태를 이름.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사상>술어>고사성어
-
고타야(古陀耶) - 안동(安東)
경상북도 중북부에 있는 고을 이름. 경주(慶州)와 함께 경상좌도(慶尙左道)의 대읍(大邑)으로 정치ㆍ행정ㆍ문화의 중심지 역할을 하였으며, 유교 문화의 본고장임.
경상도>안동 , 지명>행정지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