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고태헌(高苔軒) - 고경명(高敬命)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인ㆍ의병장. 본관은 장흥(長興)으로, 대사간 고맹영(高孟英)의 아들. 동래 부사(東萊府使) 등을 지내다가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광주(光州)에서 모집한 의병 육천여 명을 이끌고 금산(錦山) 싸움에서 왜군과 싸우다가 전사함.
1533~1592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광산 , 인명>관인>문신
-
고택(高澤) - 장수(長水)
전라북도 동부 소백산맥(小白山脈) 서쪽 산간지대에 있는 고을 이름.
전라도>장수 , 지명>행정지명
-
고평(高平) - 위상(魏相)
중국 전한(前漢) 소제(昭帝)~선제(宣帝) 때의 문신. 선제 때 곽광(霍光)이 죽은 후 그 아들과 조카 등 곽씨(霍氏)가 전횡하자 권력을 축소할 것을 건의하였으며, 승상(丞相)이 된 후 병길(丙吉)과 함께 국정을 보좌함.
?~B.C.59 중국>전한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고풍(古風) - 독고욱(獨孤郁)
중국 당(唐) 덕종(德宗)~헌종(憲宗) 때의 문신. 상주 자사(常州刺史)를 지낸 독고급(獨孤及)의 아들로, 지제고(知制誥)ㆍ비서감(秘書監) 등을 지냄.
775~814 중국>당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고헌(苦軒) - 하윤원(河允源)
고려 충혜왕(忠惠王)~우왕(禑王) 때의 문신. 본관은 진주(晉州). 하즙(河楫)의 아들로, 홍건적(紅巾賊)을 격퇴하여 공신(功臣)에 책록되고, 대사헌(大司憲) 등을 역임하였으며, 신돈(辛旽)이 정사를 전횡할 적에 아첨하지 않고 지조를 지킴.
?~1376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진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고호두(顧虎頭) - 고개지(顧愷之)
중국 남북조시대 동진(東晉)의 화가. 중국 회화사상 인물화(人物畫)의 최고봉으로 알려짐.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예술인>서화가
-
고황(高皇)@태조(명) - 태조(太祖)@명
중국 명(明) 나라 제1대 황제. 재위 1368~1398. 원(元) 나라를 몽골로 몰아내고 중국을 통일한 후 한민족(漢民族)의 왕조를 회복시키고, 아울러 중앙집권적 독재체제의 구축을 꾀함.
1328~1398 중국>명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고황(高皇) - 고조(高祖)@전한
중국 전한(前漢)의 제1대 황제. 재위 B.C.202~B.C.195. 항우(項羽)와 패권을 다투었으며, 천하통일의 대업을 이룩함.
B.C.247?~B.C.195 중국>전한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고황(高皇)@태조 - 태조(太祖)@조선
조선 제1대 왕. 재위 1392~1398. 고려 말에 무장(武將)으로서 홍건적(紅巾賊)과 왜구(倭寇)의 침입을 격퇴하는 데 크게 활약했으며, 개혁파 사류(士類)와 함께 고려 왕조를 무너뜨리고 조선을 건국한 후 초기 국가의 기틀을 다짐.
1335~1408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함경도>영흥ㅣ서울 , 인명>왕실>국왕
-
고황제(高皇帝)@태조(명) - 태조(太祖)@명
중국 명(明) 나라 제1대 황제. 재위 1368~1398. 원(元) 나라를 몽골로 몰아내고 중국을 통일한 후 한민족(漢民族)의 왕조를 회복시키고, 아울러 중앙집권적 독재체제의 구축을 꾀함.
1328~1398 중국>명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고황제(高皇帝) - 고조(高祖)@전한
중국 전한(前漢)의 제1대 황제. 재위 B.C.202~B.C.195. 항우(項羽)와 패권을 다투었으며, 천하통일의 대업을 이룩함.
B.C.247?~B.C.195 중국>전한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고황제(高皇帝)@고제 - 고제(高帝)
중국 남북조시대 남제(南齊)의 제1대 황제. 재위 479~482. 본래 남조 송(南朝宋)의 장군으로서 왕검(王儉) 등 귀족층의 지지를 얻었으며, 남조 송의 순제(順帝)로부터 양위(讓位)를 받아 제위에 올라 남제를 창건함.
427~482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고황제(高皇帝)@태조 - 태조(太祖)@조선
조선 제1대 왕. 재위 1392~1398. 고려 말에 무장(武將)으로서 홍건적(紅巾賊)과 왜구(倭寇)의 침입을 격퇴하는 데 크게 활약했으며, 개혁파 사류(士類)와 함께 고려 왕조를 무너뜨리고 조선을 건국한 후 초기 국가의 기틀을 다짐.
1335~1408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함경도>영흥ㅣ서울 , 인명>왕실>국왕
-
고황후(高皇后)@효자고황후 - 효자고황후(孝慈高皇后)
중국 명(明) 나라 태조(太祖)의 비. 곽자흥(郭子興)의 양녀(養女)로 성(姓)은 마씨(馬氏)임.
1332~1382 중국>명 , 중국 , 인명>왕실>왕비
-
고황후(高皇后) - 신의왕후(神懿王后)
조선 태조(太祖)의 정비(正妃). 본관은 안변(安邊). 안천부원군(安川府院君) 한경(韓卿)의 딸로 조선이 개국되기 전에 죽었으며, 소생은 정종(定宗)을 비롯한 6남 2녀임.
1337~1391 한국>고려후기 , 함경도>함흥ㅣ함경도>안변 , 인명>왕실>왕비
-
고황후(高皇后)@선인황후 - 선인황후(宣仁皇后)
중국 송(宋) 나라 제5대 황제 영종(英宗)의 황후. 신종(神宗) 때에 황태후가 되었고, 철종(哲宗) 때에 태황태후가 되어서 조정의 실권을 장악하여 사마광(司馬光)을 재상으로 삼고 왕안석(王安石)을 배척하는 정책을 폄.
1032~1093 중국>송 , 중국 , 인명>왕실>왕비
-
고효열(高孝烈) - 고종후(高從厚)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ㆍ의병장. 본관은 장흥(長興). 의병장 고경명(高敬命)의 아들로, 임피 현령(臨陂縣令) 등을 지냄.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종군하여 의병장으로 활약하다 진주성(晉州城)이 함락될 때 남강(南江)에 투신하여 죽음.
1554~1593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광산 , 인명>관인>문신
-
고후(高后) - 여후(呂后)
중국 한(漢) 나라 고조(高祖) 유방(劉邦)의 황후. 고조가 죽자 여씨정권(呂氏政權)을 수립하여 횡포를 일삼음.
B.C.241~B.C.180 중국>전한 , 중국 , 인명>왕실>왕비
-
고후(高后)@선인황후 - 선인황후(宣仁皇后)
중국 송(宋) 나라 제5대 황제 영종(英宗)의 황후. 신종(神宗) 때에 황태후가 되었고, 철종(哲宗) 때에 태황태후가 되어서 조정의 실권을 장악하여 사마광(司馬光)을 재상으로 삼고 왕안석(王安石)을 배척하는 정책을 폄.
1032~1093 중국>송 , 중국 , 인명>왕실>왕비
-
고흥군(高興君)@기대유 - 기대유(奇大有)
조선 전기의 무신. 본관은 행주(幸州)로, 기효간(奇孝諫)ㆍ기효근(奇孝謹)의 아버지. 고봉(高峰) 기대승(奇大升)의 사촌이며 김인후(金麟厚)와 교유함. 진용교위(進勇校尉)에 올랐고 고흥군(高興君)에 추증됨.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장성 , 인명>관인>무신
-
고흥군(高興君)@유청신 - 유청신(柳淸臣)
고려 충렬왕(忠烈王)~충숙왕(忠肅王) 때의 무신. 몽골어를 배워 여러 차례 원(元) 나라에 다녀왔으며, 원 나라에 있을 때 왕위를 노리는 심양왕(瀋陽王) 왕고(王暠)에게 가담하여 반역 행위를 하였으나 뜻을 이루지 못하고 원 나라에 머물다가 죽음.
?~1329 한국>고려후기 , 인명>기타인명>역적ㅣ인명>관인>무신
-
고흥군(高興君) - 유탁(柳濯)
고려 충혜왕(忠惠王)~공민왕(恭愍王) 때의 무신. 본관은 고흥(高興). 도첨의시중(都僉議侍中) 등을 역임하였으며, 왜구의 침입을 방비하고 장사성(張士誠)의 토벌에 참전하는 등 공을 세워 여러 차례 공신(功臣)에 책록됨.
1311~1371 한국>고려후기 , 전라도>흥양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무신
-
고흥부수(高興副守) - 이억천(李億千)
조선 전기의 종친. 정종(定宗)의 열 번째 서자인 덕천군(德川君) 이후생(李厚生)의 증손이며, 동음수(洞陰守) 이성손(李盛孫)의 아들.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고흥부원군(高興府院君)@유청신 - 유청신(柳淸臣)
고려 충렬왕(忠烈王)~충숙왕(忠肅王) 때의 무신. 몽골어를 배워 여러 차례 원(元) 나라에 다녀왔으며, 원 나라에 있을 때 왕위를 노리는 심양왕(瀋陽王) 왕고(王暠)에게 가담하여 반역 행위를 하였으나 뜻을 이루지 못하고 원 나라에 머물다가 죽음.
?~1329 한국>고려후기 , 인명>기타인명>역적ㅣ인명>관인>무신
-
고흥부원군(高興府院君) - 유탁(柳濯)
고려 충혜왕(忠惠王)~공민왕(恭愍王) 때의 무신. 본관은 고흥(高興). 도첨의시중(都僉議侍中) 등을 역임하였으며, 왜구의 침입을 방비하고 장사성(張士誠)의 토벌에 참전하는 등 공을 세워 여러 차례 공신(功臣)에 책록됨.
1311~1371 한국>고려후기 , 전라도>흥양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무신
-
고흥수(高興守) - 이종(李鍾)
조선 전기의 종친. 태종(太宗)의 첫 번째 서자인 경녕군(敬寧君) 이비(李裶)의 증손.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곡(穀) - 이곡(李穀)
고려 충숙왕(忠肅王)~충정왕(忠定王)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한산(韓山). 이색(李穡)의 아버지로, 원(元) 나라에 들어가 과거에 급제하여 벼슬을 받고 문명(文名)을 떨쳤으며, 본국에서 정당문학(政堂文學)ㆍ도첨의찬성사(都僉議贊成事) 등을 지냄.
1298~1351 한국>고려후기 , 충청도>한산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곡(谷) - 정곡(鄭谷)
고려 말 조선 초의 유학. 박흥생(朴興生)의 《국당유고(菊堂遺稿》에 주리(朱李)와 향내(香奈)를 보내준 것에 사례한 시가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인명>문사>유학
-
곡강(曲江)@낙동강 - 낙동강(洛東江)
강원도 남부와 경상도의 중앙 저지대를 남류(南流)하여 남해(南海)로 흘러드는 강 이름.
경상도>김해ㅣ강원도>삼척 , 지명>자연지명
-
곡강(曲江)@장구령 - 장구령(張九齡)
중국 당(唐) 나라 현종(玄宗) 때의 재상ㆍ문인. 장열(張說)의 추천을 받아 중서시랑(中書侍郞)을 거쳐 재상이 되어 민생안정을 꾀하고, 국경지대 방비를 튼튼히 하여 태평천하를 이룩했으나 이임보(李林甫)의 모략으로 파직됨.
673~740 중국>당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곡강(曲江) - 흥해(興海)
경상북도 포항(浦項)의 흥해읍(興海邑)을 중심으로 한 지역의 고려ㆍ조선 시대의 고을 이름.
경상도>흥해 , 지명>행정지명
-
곡강공(曲江公) - 장구령(張九齡)
중국 당(唐) 나라 현종(玄宗) 때의 재상ㆍ문인. 장열(張說)의 추천을 받아 중서시랑(中書侍郞)을 거쳐 재상이 되어 민생안정을 꾀하고, 국경지대 방비를 튼튼히 하여 태평천하를 이룩했으나 이임보(李林甫)의 모략으로 파직됨.
673~740 중국>당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곡강문집(曲江文集) - 곡강집(曲江集)
중국 당(唐) 나라의 재상이자 문인인 장구령(張九齡)의 문집. 20권.
중국>당 , 중국 , 문헌>서명
-
곡구(谷口) - 정박(鄭樸)
중국 전한(前漢) 성제(成帝) 때의 도사. 대장군(大將軍) 왕봉(王鳳)의 초빙에도 응하지 않은 채 곡구(谷口)에 은거하여 수도(修道)함.
중국>전한 , 중국 , 인명>기타인명>도사
-
곡구자진(谷口子眞) - 정박(鄭樸)
중국 전한(前漢) 성제(成帝) 때의 도사. 대장군(大將軍) 왕봉(王鳳)의 초빙에도 응하지 않은 채 곡구(谷口)에 은거하여 수도(修道)함.
중국>전한 , 중국 , 인명>기타인명>도사
-
次翁(차옹) - 강혁(江革)
중국 후한(後漢) 때의 효자. 임치(臨淄) 사람으로 홀어머니를 봉양하였는데, 난리를 만나 피난하던 도중 도적을 만났지만 도적들이 그의 효성에 감복하여 피난길을 알려 주었다고 함.
중국>후한 , 중국 , 인명>기타인명>효자
-
玉奴(옥노) - 양귀비(楊貴妃)
중국 당(唐) 나라 현종(玄宗)의 비(妃). 본래 현종의 아들인 이모(李瑁)의 비로 궁에 들어왔으나 현종의 사랑을 받아 현종의 비가 됨. 오빠인 양국충(楊國忠)과 함께 정사를 전횡하다가 안사(安史)의 난(亂) 때 국난 초래를 문책받아 죽음.
719~756 중국>당 , 중국 , 인명>왕실>후궁
-
가(嘉) - 공보가(孔父嘉)
중국 춘추전국시대 송(宋) 나라의 대부. 공자(孔子)의 선조. 화독(華督)이 공보가 부인의 미모에 반해 공보가를 살해하자, 이후 그 후손들은 노(魯) 나라로 망명함.
?~B.C.710.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관인>경대부
-
가^굴(賈^屈) - 굴^가(屈^賈)
중국 춘추전국시대 초(楚) 나라의 문인인 굴원(屈原)과 전한(前漢) 때의 문인인 가의(賈誼)를 함께 부르는 말. 사부(辭賦)의 대가를 가리킴.
중국>전한ㅣ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사상>술어>관용어
-
가^등(賈^鄧) - 등^가(鄧^賈)
중국 후한(後漢) 광무제(光武帝) 때의 장군인 등우(鄧禹)와 가복(賈復)을 함께 부르는 말. 후한 건국의 대표적인 공신(功臣)을 가리킴.
중국>후한 , 중국 , 사상>술어>관용어
-
가강(家康) - 덕천가강(德川家康)
일본 강호시대(江戶時代)의 초대 장군(將軍). 풍신수길(豊臣秀吉) 아래에서 빼어난 전략가로 있었으나 풍신수길 사후 그의 일족을 멸하고 전국(戰國)을 제패하여 강호 막부(江戶幕府)를 세움.
1543~1616 일본>강호시대 , 일본 , 인명>관인>무신
-
가겸(可謙) - 박산두(朴山斗)
조선 중종(中宗) 때의 유학. 본관은 고령(高靈). 훈도(訓導)를 지낸 박붕정(朴鵬程)의 아들로, 1513년(중종 8) 생원시(生員試)에 입격함.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남원 , 인명>문사>유학
-
가겸(可謙)@이증 - 이증(李增)@이지숙의아들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한산(韓山). 정여립(鄭汝立)의 옥사 때 공을 세위 평난공신(平難功臣)에 책록되었으며, 임진왜란(壬辰倭亂) 후에는 국가의 기강을 바로잡는 데 헌신함.
1525~1600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한산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가계(可繼) - 이종윤(李從胤)
조선 세종(世宗)~연산군(燕山君) 때의 무신. 사선서 주부(司膳署主簿)를 지낸 이효손(李孝孫)의 아들로, 군기시 주부(軍器寺主簿)ㆍ금성 현령(金城縣令) 등을 지냄.
1428~1497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관인>무신
-
가계(賈季) - 호사고(狐射姑)
중국 춘추전국시대 진(晉) 나라의 대부. 호언(狐偃)의 아들. 문무(文武)와 지용(智勇)을 겸비한 유장(儒將)으로서 태사(太師)를 지냄. 양공(襄公) 때 가국(賈國)에 봉해졌으며, 가씨(賈氏)의 이시조(二始祖)가 됨.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관인>경대부
-
가고(可沽) - 이전(李琠)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유학. 본관은 재령(載寧). 관직에 나아가지 않고 평생 학문에 정진하고 후학을 양성함.
1502~1579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함양 , 인명>문사>유학
-
가괄(可恝) - 이장(李萇)
조선 중종(中宗) 때의 유학. 본관은 간성(杆城). 주을온 병마 만호(朱乙溫兵馬萬戶)을 지낸 이효강(李孝綱)의 아들로, 1513년(중종 8) 생원시(生員試)에 입격함.
한국>조선전기 , 함경도>안변 , 인명>문사>유학
-
가교(可敎) - 육가교(陸可敎)
중국 명(明) 나라의 학자. 윤근수(尹根壽)의 《월정집(月汀集)》에 있는 《조천록(朝天錄)》에 그가 쓴 서문이 실려 있음.
1547~? 중국>명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가구(可久)@경세창 - 경세창(慶世昌)
조선 연산군(燕山君)~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청주(淸州). 이세좌(李世佐)의 옥사(獄事)에 연루되어 유배되었으나, 중종 때에 관직이 회복되어 홍문관 부제학ㆍ대사간ㆍ도승지 등을 두루 역임함.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청주 , 인명>관인>문신
-
가구(可久)@서경덕 - 서경덕(徐敬德)
조선 중종(中宗) 때의 학자. 본관은 당성(唐城). 독자적인 기철학(氣哲學)의 체계를 완성하여, 이황(李滉)ㆍ이이(李珥) 등의 학자들에 의해서 그 독창성이 높이 평가됨.
1489~1546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개성 , 인명>문사>학자
-
가구(可久) - 기대항(奇大恒)
조선 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행주(幸州). 응교를 지낸 기준(奇遵)의 아들. 권신 이량(李樑)이 사화(士禍)를 일으키려 하자, 이량의 죄상을 폭로하여 그 무리를 모두 귀양가게 함.
1519~1564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가구(可久)@최덕지 - 최덕지(崔德之)
조선 태종(太宗)~세종(世宗) 때의 시인ㆍ문신. 본관은 전주(全州)로, 참의(參議) 최담(崔霮)의 아들. 집현전 직제학(集賢殿直提學)을 지내고 치사(致仕)하여 영암(靈岩)에 머물렀으며, 시를 잘 지음.
1384~1455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영암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가구(可久)@금치담 - 금치담(琴致湛)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봉성(鳳城). 성주 판관(星州判官)을 지낸 금간(琴衎)의 아들로, 사도시 첨정(司䆃寺僉正)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예안 , 인명>관인>문신
-
가국재(柯國材) - 가한(柯翰)
중국 송(宋) 나라의 학자. 주희(朱熹)가 도(道)를 지키면서 세속의 흐름에 영합하지 않은 점을 칭찬함.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가균(可均) - 김추(金錘)
조선 전기의 문신. 선산(善山)에 거주함. 서거정(徐居正)의 《사가집(四佳集)》에 관련 시(詩)가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선산 , 인명>관인>문신
-
가기(可幾) - 김가기(金可幾)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경주(慶州). 군수 김천부(金天富)의 아들이며, 대곡(大谷) 성운(成運)의 문인(門人)이자 처조카. 성운(成運)의 문집을 간행하기 위해 시를 수집하였고 아들 김덕민(金德民)이 간행함.
1537~1597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보은 , 인명>관인>문신
-
가길(嘉吉) - 이영윤(李英胤)
조선 전기의 종친ㆍ화가. 청성군(靑城君) 이걸(李傑)의 셋째 아들이며, 이경윤(李慶胤)ㆍ이중윤(李仲胤)의 아우. 그림을 잘 그리고, 특히 영모(翎毛)ㆍ화조(花鳥)ㆍ말 그림에 뛰어남.
1561~1611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예술인>서화가ㅣ인명>왕실>종친
-
가남풍(賈南風) - 혜가황후(惠賈皇后)
중국 남북조시대 진(晉) 나라 제2대 황제인 혜제(惠帝)의 황후. 가충(賈充)의 딸로, 성품이 음탕하고 간모(姦謀)에 뛰어나며, 정권을 장악하였다가, 금용성(金墉城)에 유폐(幽廢)ㆍ독살됨.
256~300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왕실>왕비
-
가낭선(賈浪仙) - 가도(賈島)
중국 당(唐) 나라 헌종(憲宗)~무종(武宗) 때의 시인. 처음에 중이 되었다가 뒤에 환속(還俗)하였음. 벼슬은 장강 주부(長江主簿)에 이르렀고, 시집으로는 《가장강집(賈長江集)》이 있음.
779~843 중국>당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가노(哥奴) - 이임보(李林甫)
중국 당(唐) 나라의 재상. 환관과 비빈들을 매수하여 현종(玄宗)의 총애를 얻어 양국충(楊國忠)과 더불어 정권을 전단함. 현명한 사람을 미워하고 능력 있는 사람을 질투하여, 구밀복검(口蜜腹劍)이란 고사가 유래함.
?~752 중국>당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가대(可大) - 진호(陳澔)
중국 원(元) 나라 때의 학자. 남강군(南康郡) 도창(都昌) 사람으로, 진대유(陳大猷)의 아들. 송(宋) 나라가 망한 뒤 은거하여 벼슬을 하지 않고 고향에서 유생을 가르침.
1261~1341 중국>원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가댁(可宅) - 정극인(丁克仁)
조선 문종(文宗)~성종(成宗)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영광(靈光). 최초의 가사(歌辭) 작품인 〈상춘곡(賞春曲)〉을 지음. 단종(端宗)이 왕위를 빼앗기자 벼슬을 버리고 낙향하여 후진을 가르침.
1401~1481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태인ㅣ경기도>광주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가도(可度) - 안견(安堅)
조선 세종(世宗)~세조(世祖) 때의 화가. 본관은 지곡(池谷). 안평대군(安平大君)의 후원을 받았으며, 몽유도원도(夢遊桃源圖)를 그림. 산수화에 뛰어나 곽희파(郭熙派) 화풍을 토대로 한국적인 화풍을 완성하며 일본 실정시대(室町時代)의 수묵화에까지 영향을 미침.
한국>조선전기 , 인명>예술인>서화가
-
가도(可道) - 풍도(馮道)
중국 당(唐)~오대십국(五代十國) 때의 문신ㆍ학자. 유교경전(儒敎經典)을 최초로 조판ㆍ인쇄하는 등 대학자로 존경받았으나, 다섯 왕조에서 열한 명의 황제를 모셨다 하여 충절을 의심받기도 함.
882~954 중국>오대십국ㅣ중국>당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가등호지조(加藤虎之助) - 가등청정(加藤淸正)
일본 도산시대(桃山時代)~강호시대(江戶時代)의 무장(武將). 풍신수길(豊臣秀吉)과 덕천가강(德川家康)을 도와 일본 전국 통일에 기여함. 독실한 불교신자여서 기독교 박해에도 주도적인 역할을 함.
1562~1611 일본>강호시대ㅣ일본>도산시대 , 일본 , 인명>관인>무신
-
가라(伽羅) - 가야(伽倻)
기원(紀元) 전후 무렵부터 6세기 중반까지 낙동강(洛東江) 하류 지역에 존재하던 세력집단 또는 국가들의 총칭(總稱). 562년에 대가야(大伽倻)를 마지막으로 신라에 병합됨.
?~562 한국>가야 , 시간>국명
-
가라(加羅) - 가야(伽倻)
기원(紀元) 전후 무렵부터 6세기 중반까지 낙동강(洛東江) 하류 지역에 존재하던 세력집단 또는 국가들의 총칭(總稱). 562년에 대가야(大伽倻)를 마지막으로 신라에 병합됨.
?~562 한국>가야 , 시간>국명
-
가라국(加羅國) - 가야(伽倻)
기원(紀元) 전후 무렵부터 6세기 중반까지 낙동강(洛東江) 하류 지역에 존재하던 세력집단 또는 국가들의 총칭(總稱). 562년에 대가야(大伽倻)를 마지막으로 신라에 병합됨.
?~562 한국>가야 , 시간>국명
-
가라홀(加羅忽) - 간성(杆城)
강원도 북동부에 있는 고을 이름. 관동팔경(關東八景)의 하나인 청간정(淸磵亭)이 있음.
강원도>간성 , 지명>행정지명
-
가락(駕洛)@가야 - 가야(伽倻)
기원(紀元) 전후 무렵부터 6세기 중반까지 낙동강(洛東江) 하류 지역에 존재하던 세력집단 또는 국가들의 총칭(總稱). 562년에 대가야(大伽倻)를 마지막으로 신라에 병합됨.
?~562 한국>가야 , 시간>국명
-
가락(駕洛) - 김해(金海)
경상남도 동남부에 있는 고을 이름. 고대에 가락국(駕洛國)의 도읍지였음.
경상도>김해 , 지명>행정지명
-
가락가야(駕洛伽倻) - 김해(金海)
경상남도 동남부에 있는 고을 이름. 고대에 가락국(駕洛國)의 도읍지였음.
경상도>김해 , 지명>행정지명
-
가락국(駕洛國) - 가야(伽倻)
기원(紀元) 전후 무렵부터 6세기 중반까지 낙동강(洛東江) 하류 지역에 존재하던 세력집단 또는 국가들의 총칭(總稱). 562년에 대가야(大伽倻)를 마지막으로 신라에 병합됨.
?~562 한국>가야 , 시간>국명
-
가락군(駕洛君)@허염 - 허염(許琰)
고려 문종(文宗) 때의 문신. 김해허씨(金海許氏)의 시조. 가락국(駕洛國) 수로왕비(首露王妃)인 허황후(許皇后)의 35세손으로, 삼중대광(三重大匡)을 지내고 가락군(駕洛君)에 봉해짐.
한국>고려전기 , 경상도>김해 , 인명>관인>문신
-
가락군(駕洛君) - 배사혁(裵斯革)
고려 후기의 문신. 본관은 김해(金海). 개국공신 배현경(裵玄慶)의 후손으로, 병부 상서(兵部尙書)를 지낸 배원룡(裵元龍)의 아버지. 가락군(駕洛君)에 봉해짐.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김해 , 인명>관인>문신
-
가량(加良) - 가야(伽倻)
기원(紀元) 전후 무렵부터 6세기 중반까지 낙동강(洛東江) 하류 지역에 존재하던 세력집단 또는 국가들의 총칭(總稱). 562년에 대가야(大伽倻)를 마지막으로 신라에 병합됨.
?~562 한국>가야 , 시간>국명
-
가량국(加良國) - 가야(伽倻)
기원(紀元) 전후 무렵부터 6세기 중반까지 낙동강(洛東江) 하류 지역에 존재하던 세력집단 또는 국가들의 총칭(總稱). 562년에 대가야(大伽倻)를 마지막으로 신라에 병합됨.
?~562 한국>가야 , 시간>국명
-
가례(家禮)@가례의절 - 가례의절(家禮儀節)
중국 명(明) 나라의 유학자인 구준(丘濬)이 편찬한 책. 주희(朱憙)의 《가례(家禮)》에 대한 해설서.
중국>명 , 중국 , 문헌>서명
-
가륭칠자(嘉隆七子) - 후칠자(後七子)
중국 명(明) 나라 가정 연간(嘉靖年間)에 문학(文學)으로 이름이 높았던 왕세정(王世貞)ㆍ이반룡(李攀龍)ㆍ사진(謝榛)ㆍ종신(宗臣)ㆍ양유예(梁有譽)ㆍ서중행(徐中行)ㆍ오국륜(吳國倫)을 가리킴.
중국>명 , 중국 , 인명>집단>기타집단
-
가리(可離) - 작약(芍藥)
작약과(芍藥科)의 다년생초(多年生草). 흔히 남녀 간의 애모(愛慕)하는 마음이나 이별(離別)의 상징물로 쓰여, 작약을 소재로 한 시들이 《동국이상국집(東國李相國文集)》ㆍ《동문선(東文選)》 등에 실려 있음.
자연물>식물
-
가리라봉(迦里羅峰) - 향로봉(香爐峯)
강원도 인제(麟蹄)와 고성(高城)의 경계에 있는 산 이름.
강원도>인제ㅣ강원도>고성 , 지명>자연지명
-
가림(加林) - 임천(林川)
충청남도 부여(扶餘) 일대에 속하는 옛 고을 이름.
충청도>부여 , 지명>자연지명
-
가림(嘉林) - 임천(林川)
충청남도 부여(扶餘) 일대에 속하는 옛 고을 이름.
충청도>부여 , 지명>자연지명
-
가명(可明) - 이백지(李百之)
고려 후기의 유학. 가명(可明)이란 자(字)를 짓고 목은(牧隱) 이색(李穡)으로부터 '가명설(可明說)'이라는 자설(字說)을 받은 일이 있음.
한국>고려후기 , 인명>문사>유학
-
가모(嘉謨) - 진요자(陳堯咨)
중국 송(宋) 나라 진종(眞宗)~인종(仁宗) 때의 문신. 지개봉부(知開封府)ㆍ한림학사(翰林學士) 등을 지냈으며, 예서(隸書)에 능하고 활쏘기를 잘했다 함.
중국>송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가문(迦文) - 석가(釋迦)
B.C.6~B.C.4세기경 인도(印度)에서 활동한 불교의 창시자. 정반왕(淨飯王)의 아들로, 29세에 출가하여 6년 동안의 고행 끝에 깨달음을 얻은 후 인도 각지를 다니며 포교 활동을 함.
B.C.563?~B.C.483? 고대 , 기타지역 , 인명>기타인명>성현ㅣ인명>왕실>왕자
-
가범(可範) - 곽규(郭規)
조선 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현풍(玄風). 곽득하(郭得賀)의 아들로, 1474년(성종 5)에 사마시(司馬試)에 입격함. 포산군(苞山君) 곽부(郭郛)의 현손(玄孫)으로 창녕 현감(昌寧縣監) 등을 역임함.
1445~1501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현풍 , 인명>관인>문신
-
가병(家屛) - 왕가병(王家屛)
중국 명(明) 나라 목종(穆宗)~신종(神宗) 때의 문신. 성격이 곧고 충성스러워 직간(直諫)을 잘하였으며, 신종 때 재상을 지냄.
1536~1604 중국>명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가보량(加甫梁) - 가배량(加背梁)
경상남도 거제(巨濟)에 속한 마을 이름. 임진왜란(壬辰倭亂) 당시 경상우수영(慶尙右水營)이 있었던 요새지.
경상도>거제 , 지명>자연지명
-
가보진(加甫鎭) - 가배량진(加背梁鎭)
경상남도 거제(巨濟) 오아포(烏兒浦) 우수영에 있었던 진(鎭) 이름. 수군만호(水軍萬戶) 1명을 둠.
한국>조선시대 , 경상도>거제 , 유적>시설>성,진,책
-
가봉(可封) - 남순민(南舜民)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의령(宜寧)., 충청도 수군절도사 남효원(南孝元)의 아들. 독서를 즐겨 책을 손에서 놓지 않았으며 역학(易學)에 정통했음.
1484~1569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가부(賈傅) - 가의(賈誼)
중국 전한(前漢)의 문신ㆍ학자. 문제(文帝)의 총애를 받다가 장사왕(長沙王)의 태부(太傅)로 좌천됨.
B.C.200~B.C.168 중국>전한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가부(賈賦) - 복조부(鵩鳥賦)
중국 전한(前漢)의 문인(文人)인 가의(賈誼)가 지은 부(賦) 이름. 가의가 장사왕(長沙王)의 태부(太傅)로 좌천되었을 때, 복조(鵩鳥)가 날아들자 불길하게 여겨 스스로 애도한 내용임.
중국>전한 , 중국 , 문헌>작품명
-
가빈(嘉賓) - 치초(郗超)
중국 남북조시대 진(晉) 나라의 문신. 치음(郗愔)의 아들로, 모반(謀反)을 꾀하던 환온(桓溫)의 막하(幕下)가 되어 여러 가지 일을 획책함. 성품이 은일(隱逸)을 좋아하여 대규(戴逵)를 위해 섬계(剡溪)에다 집을 지어주었다 하며, 승려인 지둔(支遁)과 친교함.
336~377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가산(伽山) - 가야산(伽倻山)
경상도 성주(星州)와 합천(陜川) 사이에 있는 산 이름.
경상도>합천ㅣ경상도>성주 , 지명>자연지명
-
가산(佳山) - 강륜(康崙)
조선 명종(明宗) 때의 유학. 본관은 신천(信川). 절충장군(折衝將軍) 강희철(康希哲)의 아들. 이황(李滉)의 문인으로, 명종 때 진사시(進士試)에 입격함.
1517~?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문사>유학
-
가산(假山) - 석가산(石假山)
정원 등을 꾸미기 위해 돌과 흙을 쌓아 인공적으로 만든 산 모양의 조경물(造景物). 도교의 신선(神仙) 사상에 근거를 두며, 우리나라에는 삼국시대부터 본격적으로 수용됨.
유적>시설>기타시설
-
가산(嘉山)@이주 - 이주(李澍)@1534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연안(延安). 명종 때 성균관(成均館)의 유생(儒生)으로서 보우(普雨)의 처벌을 요구하는 상소를 올림. 아들 이광정(李光庭)의 공으로 영의정에 추증됨.
1534~1584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연안 , 인명>관인>문신
-
가상루(歌商樓) - 유득공(柳得恭)
조선 영조(英祖)~순조(純祖)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문화(文化)로, 규장각 검서(奎章閣檢書) 등을 지냄. 주체적 역사 의식이 강했으며, 대표적인 저서로 《발해고(渤海考)》 등이 있음.
1749~1807 한국>조선후기 , 황해도>문화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가생(賈生) - 가의(賈誼)
중국 전한(前漢)의 문신ㆍ학자. 문제(文帝)의 총애를 받다가 장사왕(長沙王)의 태부(太傅)로 좌천됨.
B.C.200~B.C.168 중국>전한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