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가서(可恕) - 정충기(鄭忠基)
조선 문종(文宗)~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온양(溫陽). 상의원 첨정(尙衣院僉正)을 지낸 정탁(鄭鐸)의 아버지로, 승문원 교리(承文院校理)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온양 , 인명>관인>문신
-
가서(軻書) - 맹자(孟子)@문헌
중국 춘추전국시대의 사상가인 맹자(孟子)가 저술한 유교 경전(儒敎經典). 왕도정치(王道政治)ㆍ성선설(性善說) 등의 내용을 담고 있음. 사서(四書)의 하나로, 7편으로 구성됨.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문헌>서명
-
가선(嘉善)@가은 - 가은(嘉恩)
경상북도 문경 지역의 옛 이름. 소백산맥의 회유치(回踰峙)를 넘어 보은(報恩)과 이어지는 산간도로가 발달함.
경상도>문경 , 지명>행정지명
-
가선(嘉善) - 가선대부(嘉善大夫)
조선시대 문산계(文散階)의 종2품 품계(品階). 가정대부(嘉靖大夫)의 아래 등급으로, 1392년(태조 1)에 설치됨. 1865년(고종 2)부터 문무관, 의빈(儀賓)의 품계로도 쓰임.
1392 한국>조선시대 , 법제>관직
-
가성(可成) - 이예(李芮)
조선 세종(世宗)~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양성(陽城). 집현전 박사(集賢殿博士)로 있을 때 세종의 총애를 받고, 《의방유취(醫方類聚)》ㆍ《고려사(高麗史)》등의 편찬에 참여함. 형조 판서 등을 지내고, 학식ㆍ문명이 높아 명망을 떨침.
1419~1480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양성 , 인명>관인>문신
-
가소년(賈少年) - 가의(賈誼)
중국 전한(前漢)의 문신ㆍ학자. 문제(文帝)의 총애를 받다가 장사왕(長沙王)의 태부(太傅)로 좌천됨.
B.C.200~B.C.168 중국>전한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가수(伽水) - 가천(伽川)
경상도 성주(星州)와 합천(陜川)에 걸쳐 있는 가야산(伽倻山)의 동남쪽에서 발원하여, 성주의 서남쪽을 지나 고령(高靈)으로 흘러 들어가는 하천 이름.
경상도>합천ㅣ경상도>성주 , 지명>자연지명
-
가수(可售)@변옥성 - 변옥성(卞玉成)
조선 중중(中宗) 때의 유학. 본관은 초계(草溪). 부사용(副司勇) 변치원(卞致元)의 아들로, 1513년(중종 8) 생원시(生員試)에 입격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초계 , 인명>문사>유학
-
가수(可售)@조세림 - 조세림(趙世琳)
조선 중종(中宗) 때의 유학. 본관은 직산(稷山). 승의부위(承義副尉) 조원종(趙元鍾)의 아들로, 1513년(중종 8) 생원시(生員試)에 입격함.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부평 , 인명>문사>유학
-
가수(可售) - 김백환(金百鍰)
조선 중종(中宗) 때의 유학. 본관은 해평(海平). 돈용교위(敦勇校尉) 김맹겸(金孟謙)의 아들로, 1513년(중종 8) 생원시(生員試)에 입격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성주 , 인명>문사>유학
-
가수(嘉壽) - 삼가(三嘉)
경상도 남부에 위치한 고을 이름. 명승지로 용암서원(龍巖書院)과 관수루(觀水樓)ㆍ유린서정(有麟西亭) 등이 있음. 후에 거창(居昌)과 합천(陜川) 등에 분속됨.
경상도>삼가 , 지명>행정지명
-
가수(嘉樹) - 삼가(三嘉)
경상도 남부에 위치한 고을 이름. 명승지로 용암서원(龍巖書院)과 관수루(觀水樓)ㆍ유린서정(有麟西亭) 등이 있음. 후에 거창(居昌)과 합천(陜川) 등에 분속됨.
경상도>삼가 , 지명>행정지명
-
가수(嘉秀) - 유실(劉實)
중국 명(明) 나라 선종(宣宗)~영종(英宗) 때의 문신. 《송원통감강목(宋元通鑒綱目)》 편수에 참여하고 지남웅부(知南雄府) 등을 역임하였으나, 무함을 당하여 하옥되었다가 죽음.
1396~1461 중국>명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가순(家淳) - 이가순(李家淳)
조선 정조(正祖)~헌종(憲宗)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진보(眞寶). 이귀서(李龜書)의 아들로, 성균관(成均館)에서 수학할 때 정조의 특별한 총애를 받음. 교리(校理) 등을 지내며, 시폐(時弊)를 구제하는 데 힘씀.
1768~1844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예안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가신(可臣)@홍가신 - 홍가신(洪可臣)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남양(南陽). 민순(閔純)의 문인으로, 이몽학(李夢鶴)의 난을 평정한 공으로 청난공신(淸亂功臣)에 책록됨. 이기일원론(理氣一元論)에 입각하여 노장(老莊)ㆍ불교(佛敎)를 비판함.
1541~1615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남양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가신(可臣) - 이가신(李可臣)
조선 연산군(燕山君)~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전의(全義). 이량(李亮)의 아들로, 1504년(연산군 10) 식년시(式年試)에 급제하였으며, 이조 참의(吏曹參議) 등을 역임함.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전의 , 인명>관인>문신
-
가안(可安) - 김질(金礩)
조선 문종(文宗)~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 성삼문(成三問)ㆍ박팽년(朴彭年) 등의 단종(端宗) 복위 계획을 고변하여 사육신(死六臣) 사건의 계기를 제공함. 《경국대전(經國大典)》의 편찬에 참여함.
1422~1478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가야(伽倻)@성주 - 성주(星州)
경상북도 남서부에 있는 고을 이름.
경상도>성주 , 지명>행정지명
-
가야(伽倻)@김해 - 김해(金海)
경상남도 동남부에 있는 고을 이름. 고대에 가락국(駕洛國)의 도읍지였음.
경상도>김해 , 지명>행정지명
-
가야(伽耶) - 가야(伽倻)
기원(紀元) 전후 무렵부터 6세기 중반까지 낙동강(洛東江) 하류 지역에 존재하던 세력집단 또는 국가들의 총칭(總稱). 562년에 대가야(大伽倻)를 마지막으로 신라에 병합됨.
?~562 한국>가야 , 시간>국명
-
가야(加耶) - 가야(伽倻)
기원(紀元) 전후 무렵부터 6세기 중반까지 낙동강(洛東江) 하류 지역에 존재하던 세력집단 또는 국가들의 총칭(總稱). 562년에 대가야(大伽倻)를 마지막으로 신라에 병합됨.
?~562 한국>가야 , 시간>국명
-
가야객(伽耶客) - 박은(朴誾)
조선 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 본관은 고령(高靈). 갑자사화(甲子士禍)에 연루되어 사사됨. 시문(詩文)에 능하여 해동(海東)의 강서파(江西派)로 일컬어짐.
1479~1504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고령 , 인명>관인>문신
-
가야국(伽倻國) - 가야(伽倻)
기원(紀元) 전후 무렵부터 6세기 중반까지 낙동강(洛東江) 하류 지역에 존재하던 세력집단 또는 국가들의 총칭(總稱). 562년에 대가야(大伽倻)를 마지막으로 신라에 병합됨.
?~562 한국>가야 , 시간>국명
-
가야국(伽耶國) - 가야(伽倻)
기원(紀元) 전후 무렵부터 6세기 중반까지 낙동강(洛東江) 하류 지역에 존재하던 세력집단 또는 국가들의 총칭(總稱). 562년에 대가야(大伽倻)를 마지막으로 신라에 병합됨.
?~562 한국>가야 , 시간>국명
-
가야군(伽倻君) - 박은(朴誾)
조선 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 본관은 고령(高靈). 갑자사화(甲子士禍)에 연루되어 사사됨. 시문(詩文)에 능하여 해동(海東)의 강서파(江西派)로 일컬어짐.
1479~1504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고령 , 인명>관인>문신
-
가야진(伽倻津) - 낙동강(洛東江)
강원도 남부와 경상도의 중앙 저지대를 남류(南流)하여 남해(南海)로 흘러드는 강 이름.
경상도>김해ㅣ강원도>삼척 , 지명>자연지명
-
가야처사(伽倻處士) - 최치원(崔致遠)
통일신라 경문왕(景文王)~효공왕(孝恭王) 때의 문신ㆍ학자. 경주최씨(慶州崔氏)의 시조. 12세에 입당(入唐)하여 빈공과(賓貢科)에 장원급제하고, 고변(高騈)의 종사관 등을 지내면서 문명(文名)을 떨침. 귀국하여 아찬(阿飡)) 등을 지내다가 은거함.
857~? 한국>통일신라 , 경상도>경주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가어(家語) - 공자가어(孔子家語)
중국 삼국시대 위(魏) 나라의 학자인 왕숙(王肅)이 공자의 언행 및 공자와 문인(門人)과의 문답(問答)과 논의(論議)를 수록한 책. 전한(前漢)의 공안국(孔安國)의 이름을 빌려 《좌전(左傳)》ㆍ《국어(國語)》 등에 수록된 공자에 관한 기록을 모아 주석을 붙임.
중국>삼국시대 , 중국 , 문헌>서명
-
가여(可與) - 조가여(趙可與)
중국 명(明) 나라 무종(武宗) 때의 문신ㆍ학자. 염운사(鹽運使) 등을 지내고, 일부에서는 《고수부담(孤樹裒談)》의 저자로 알려짐.
중국>명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가연(可衍) - 이형원(李亨元)
조선 문종(文宗)~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광주(光州). 예문관 제학(藝文館提學) 이선제(李先齊)의 아들이며, 상의원 정(尙衣院正) 이달선(李達善)의 아버지. 김종직(金宗直)의 문인으로, 홍문관 부제학(弘文館副提學)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광산 , 인명>관인>문신
-
가연(賀淵) - 이중량(李仲樑)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영천(永川).농암(聾巖) 이현보(李賢輔)의 아들로, 효행(孝行)과 학행(學行)이 뛰어났으며, 지방관을 두루 역임하며 선정(善政)을 베풂.
1504~1582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영천(永川) , 인명>관인>문신
-
가왕(嘉王) - 영종(寧宗)
중국 송(宋) 나라의 제13대 황제. 재위 1194~1224. 국정운영이 미숙하여 충분한 준비 없이 금(金) 나라를 공격했다가 패하여 금 나라와 백질지국(伯侄之國)이라는 굴욕적인 외교관계를 맺고 조공을 늘리는 수모를 당함.
1168~1224 중국>송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가우(可佑) - 유세보(兪世輔)
조선 전기의 유학. 조욱(趙昱)의 《용문집(龍門集)》에 〈차가우연형운(次可佑年兄韻)〉의 시(詩)가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유학
-
가운(可運) - 허추(許樞)
조선 전기의 문신ㆍ공신. 본관은 양천(陽川). 매헌(梅軒) 허기(許愭)의 아들로, 음사(蔭仕)로 관직에 나아가 종부시 주부(宗簿寺主簿) 등을 지내고, 세조(世祖) 잠저(潛邸)시의 요속(僚屬)이라 하여 원종삼등공신(原從三等功臣)에 책록됨.
1403~?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양천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가운(嘉運) - 최경창(崔慶昌)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ㆍ시인. 박순(朴淳)의 문인으로, 문장과 학문에 뛰어나 이이(李珥)ㆍ송익필(宋翼弼) 등과 함께 팔문장(八文章)으로 불리고 당시(唐詩)에도 능하여 삼당시인(三唐詩人)으로도 불림. 종성 부사(鍾城府使) 등을 지냄.
1539~1583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영암ㅣ서울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가원(可元) - 송가원(宋可元)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신평(新平). 송처은(宋處殷)의 아들이며, 청백리(淸白吏) 송흠(宋欽)의 아버지로, 문소전 참봉(文昭殿參奉)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영광 , 인명>관인>문신
-
가원(可遠)@우신행 - 우신행(于愼行)
중국 명(明) 나라 목종(穆宗)~신종(神宗) 때의 문신ㆍ학자. 상중(喪中)에 출사한 장거정(張居正)의 행위를 논하다가 미움을 받아 낙향하고, 후에 복직하여 태자소보(太子少保) 등을 지냄. 풍기(馮琦)와 함께 문학(文學)으로 명성을 떨침.
1545~1607 중국>명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가원(可遠)@권근 - 권근(權近)
고려 공민왕(恭愍王)~조선 태종(太宗) 때의 문신ㆍ학자. 영가부원군(永嘉府院君) 권보(權溥)의 증손. 《예기(禮記)》를 중시하여 강상(綱常)의 확립을 통한 왕권 강화에 기여하고, 이황(李滉)ㆍ장현광(張顯光) 등에게 학문적으로 영향을 줌.
1352~1409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가원(可遠)@이치 - 이치(李致)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덕수(德水). 인종(仁宗) 때 양사(兩司)와 더불어 을사사화(乙巳士禍)를 일으킨 이기(李芑)를 탄핵하여 파직시켰으나, 이기의 사주를 받은 이무강(李無彊)에 의해 대역죄로 몰려 투옥된 후 장살(杖殺)됨.
1504~1550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풍덕 , 인명>관인>문신
-
가원(可遠) - 성근(成近)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창녕(昌寧). 성세준(成世俊)의 아들로, 1507년(중종 2) 진사시(進士試)에 입격하여 참봉(參奉)을 지냄. 조식(曺植)의 《남명집(南冥集)》에 증시(贈詩)가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가위후(嘉威侯) - 진준(陳遵)
중국 전한(前漢) 때의 문신. 가위후(嘉威侯)에 오름. 술을 좋아한 것으로 유명한데, 손님이 찾아오면 대문의 열쇠를 잠그고 손님 수레의 비녀장을 샘에 던져 넣어 아무리 급한 사정이 있어도 손님이 돌아가지 못하게 함.
중국>전한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가유기(可遊記) - 단양산수가유자속기(丹陽山水可遊者續記)
조선 전기의 문신ㆍ학자인 이황(李滉)이 단양 군수(丹陽郡守)를 지낼 때 그 지역의 산수(山水)를 유람하고 지은 기문(記文).
1548 한국>조선전기 , 문헌>작품명
-
가은(嘉隱) - 심대부(沈大孚)
조선 광해군(光海君)~효종(孝宗) 때의 문신. 본관은 청송(靑松). 심대(沈岱)의 아들이며, 정구(鄭逑)의 문인. 후에 효종이 된 봉림대군(鳳林大君)의 사부(師傅)를 지냈으며, 내직과 외직을 두루 역임함.
1586~1657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가은군(加恩君) - 이빈(李份)
조선 전기의 종친. 태종(太宗)의 둘째 아들인 효령대군(孝寧大君) 이보(李𥙷)의 손자이며, 원천군(原川君) 이의(李宜)의 세 번째 서자.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가은도정(加恩都正) - 이빈(李份)
조선 전기의 종친. 태종(太宗)의 둘째 아들인 효령대군(孝寧大君) 이보(李𥙷)의 손자이며, 원천군(原川君) 이의(李宜)의 세 번째 서자.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가은도정(嘉恩都正) - 이빈(李份)
조선 전기의 종친. 태종(太宗)의 둘째 아들인 효령대군(孝寧大君) 이보(李𥙷)의 손자이며, 원천군(原川君) 이의(李宜)의 세 번째 서자.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가은암산성(可隱巖山城) - 가은성(可隱城)
충청북도 제천(堤川)과 단양(丹陽) 사이에 있는 가은암산(加隱巖山)에 소재한 산성(山城)으로, 고려 말기에 단양ㆍ청풍(淸風)ㆍ제천 사람들이 왜구를 피해 이곳으로 피난하기도 함.
충청도>제천ㅣ충청도>단양 , 유적>시설>성,진,책
-
가을내(加乙乃) - 은진(恩津)
충청도 남동부에 있던 고을 이름. 금강유역에 있어 물자운송이 편리하여 농산물의 집산지이며, 강경산(江景山)․황화산(皇華山)에는 봉수(烽燧)가 있음. 현재는 충청남도 논산시(論山市)에 속함.
충청도>은진 , 지명>행정지명
-
가을두(加乙頭) - 잠두봉(蠶頭峯)
서울 마포 일대의 한강변에 위치한 산 이름. 흥선대원군(興宣大院君)에 의해 천주교 박해가 시작되면서 이 곳에서 많은 신자들이 참수당함.
서울 , 지명>자연지명
-
가의(可依) - 이기(李墍)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한산(韓山). 이지란(李之蘭)의 아들로, 지돈녕부사(知敦寧府事) 등을 역임하였으며, 청백리(淸白吏)에 녹선됨.
1522~1600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한산 , 인명>관인>문신
-
가의(可義) - 성가의(成可義)
조선 세조(世祖)~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창녕(昌寧). 문신 성윤조(成允祖)의 아버지로, 문화 현령(文化縣令)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창녕 , 인명>관인>문신
-
가의(家儀) - 거가잡의(居家雜儀)
중국 송(宋) 나라의 문신ㆍ학자인 사마광(司馬光)의 저서. 사례(四禮)에 의거하여 조상의 신주를 모시는 사당(祠堂) 제도와 예복(禮服)인 심의(深衣) 제도 등 집에서 지켜야 할 규범에 대해 저술함.
중국>송 , 중국 , 문헌>서명
-
가의대부(嘉義大夫) - 가정대부(嘉靖大夫)
조선시대 종2품 문관의 품계(品階). 고려시대 영록대부(榮祿大夫)에 해당. 1522년(중종 17) 가의대부(嘉義大夫)로 개칭.
1392 한국>조선전기 , 법제>제도
-
가이민상견아린(歌爾民商堅阿隣) - 백두산(白頭山)
함경도와 중국 길림성(吉林省)에 걸쳐 있는 산. 백두산에서부터 지리산에 이르는 백두대간은 한국의 기본 산줄기로서, 모든 산들이 여기서 뻗어 내렸다 하여 예로부터 성산(聖山)으로 숭배함.
함경도>경성ㅣ함경도>갑산 , 지명>자연지명
-
가자(賈子) - 가의(賈誼)
중국 전한(前漢)의 문신ㆍ학자. 문제(文帝)의 총애를 받다가 장사왕(長沙王)의 태부(太傅)로 좌천됨.
B.C.200~B.C.168 중국>전한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가자교(架資橋) - 선죽교(善竹橋)
경기도 개성(開城) 선죽동(善竹洞)에 있는 돌다리 이름. 고려 태조(太祖) 때 축조된 것으로 추정되며, 고려 말에 정몽주(鄭夢周)가 이방원(李芳遠)이 보낸 조영규(趙英珪) 등에 의해 피살된 장소로 유명함.
919 한국>고려전기 , 경기도>개성 , 유적>시설>기타시설
-
가적(賈賊) - 가사도(賈似道)
중국 송(宋) 나라 이종(理宗)~도종(度宗) 때의 문신. 이종의 비(妃)인 귀비(貴妃)의 아우로, 우승상(右丞相)을 지내고 조정 정사를 농단함. 원병(元兵)에게 대패하여 귀양 가는 도중 정호신(鄭虎臣)에게 살해됨.
1213~1275 중국>송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가정(可貞) - 정효종(鄭孝終)
조선 세조(世祖) 때의 문신. 본관은 경주(慶州). 성균관 사예(成均館司藝)를 지낸 정지년(鄭知年)의 아들로, 1458년(세조 4) 별시(別試) 문과(文科)에 급제한 후 예조 참의(禮曹參議)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경주 , 인명>관인>문신
-
가정(柯亭)@이숙기 - 이숙기(李叔琪)
고려 후기의 문신. 밀직 대언(密直代言) 등을 지냈으며, 익재(益齋) 이제현(李齊賢)과 교유함. 이제현의 《익재난고(益齋亂稿)》에 그의 죽음을 애도하며 지은 시 등이 실려 있음.
한국>고려후기 , 인명>관인>문신
-
가정(柯亭) - 김희열(金希說)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순천(順天). 김약평(金若枰)의 아들로, 병조ㆍ예조ㆍ호조의 참판(參判)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순천 , 인명>관인>문신
-
가정(稼亭)@정지운 - 정지운(鄭之雲)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학자. 본관은 경주(慶州)로, 정인필(鄭寅弼)의 아들. 김정국(金正國)ㆍ김안국(金安國)ㆍ이황(李滉)의 문인으로, 수기지학(修己之學)을 실천하며 《천명도설(天命圖說)》 등을 저술함.
1509~1561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고양 , 인명>문사>학자
-
가정(稼亭)@이원구 - 이원구(李元具)
고려 충목왕(忠穆王)~공민왕(恭愍王) 때의 무신. 본관은 성주(星州). 도은(陶隱) 이숭인(李崇仁)의 아버지로, 신돈(辛旽)의 총애를 받았으며, 판태복사(判太僕事) 등을 지냄.
1293~?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성주 , 인명>관인>무신
-
가정(稼亭) - 이곡(李穀)
고려 충숙왕(忠肅王)~충정왕(忠定王)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한산(韓山). 이색(李穡)의 아버지로, 원(元) 나라에 들어가 과거에 급제하여 벼슬을 받고 문명(文名)을 떨쳤으며, 본국에서 정당문학(政堂文學)ㆍ도첨의찬성사(都僉議贊成事) 등을 지냄.
1298~1351 한국>고려후기 , 충청도>한산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가정대부(嘉正大夫) - 가정대부(嘉靖大夫)
조선시대 종2품 문관의 품계(品階). 고려시대 영록대부(榮祿大夫)에 해당. 1522년(중종 17) 가의대부(嘉義大夫)로 개칭.
1392 한국>조선전기 , 법제>제도
-
가정맹호(苛政猛虎) - 가정맹어호(苛政猛於虎)
가혹한 정치는 호랑이보다 무섭다는 뜻으로, 공자(孔子)가 제자들에게 가혹한 정치를 경계한 말. 《예기(禮記)》 〈단궁 하(檀弓下)〉에 나옴.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사상>술어>고사성어
-
가정선생문집(稼亭先生文集) - 가정집(稼亭集)
고려 후기 학자 이곡(李穀)의 시문집. 20권 4책. 그 중 〈죽부인전(竹夫人傳)〉은 가전체문학의 발달을 보여주며, 원(元) 나라에서 쓴 저술은 당시 원 나라와의 사회문화적 교류를 보여줌.
1364 한국>고려후기 , 전라도>금산 , 문헌>서명
-
가정제(嘉靖帝) - 세종(世宗)@명
중국 명(明) 나라 제12대 황제. 재위 1521~1566. 흥헌왕(興獻王) 주유원(朱裕元)의 맏아들로, 재임 중 도교에 심취하여 엄숭(嚴嵩) 등의 난정을 초래함.
1507~1566 중국>명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가정칠자(嘉靖七子) - 후칠자(後七子)
중국 명(明) 나라 가정 연간(嘉靖年間)에 문학(文學)으로 이름이 높았던 왕세정(王世貞)ㆍ이반룡(李攀龍)ㆍ사진(謝榛)ㆍ종신(宗臣)ㆍ양유예(梁有譽)ㆍ서중행(徐中行)ㆍ오국륜(吳國倫)을 가리킴.
중국>명 , 중국 , 인명>집단>기타집단
-
가정칠재자(嘉靖七才子) - 후칠자(後七子)
중국 명(明) 나라 가정 연간(嘉靖年間)에 문학(文學)으로 이름이 높았던 왕세정(王世貞)ㆍ이반룡(李攀龍)ㆍ사진(謝榛)ㆍ종신(宗臣)ㆍ양유예(梁有譽)ㆍ서중행(徐中行)ㆍ오국륜(吳國倫)을 가리킴.
중국>명 , 중국 , 인명>집단>기타집단
-
가정호(苛政虎) - 가정맹어호(苛政猛於虎)
가혹한 정치는 호랑이보다 무섭다는 뜻으로, 공자(孔子)가 제자들에게 가혹한 정치를 경계한 말. 《예기(禮記)》 〈단궁 하(檀弓下)〉에 나옴.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사상>술어>고사성어
-
가정황제(嘉靖皇帝) - 세종(世宗)@명
중국 명(明) 나라 제12대 황제. 재위 1521~1566. 흥헌왕(興獻王) 주유원(朱裕元)의 맏아들로, 재임 중 도교에 심취하여 엄숭(嚴嵩) 등의 난정을 초래함.
1507~1566 중국>명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가종(可宗) - 정가종(鄭可宗)
고려 후기의 문신. 본관은 동래(東萊). 대사헌 정수홍(鄭守弘)의 아버지로, 목은(牧隱) 이색(李穡)에게 수학하였으며, 예조 판서를 지냄. 《목은고(牧隱藁)》에 그에 대한 자설(字說)이 실려 있음.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동래 , 인명>관인>문신
-
가주(嘉州) - 가산(嘉山)
평안도에 있는 고을 이름. 박천(博川)ㆍ정주(定州)ㆍ태천(泰川)과 접해 있으며, 1811년(순조 11) 이곳에서 홍경래(洪景來)의 난이 일어남.
평안도>가산 , 지명>행정지명
-
가주화(加主火) - 삼가(三嘉)
경상도 남부에 위치한 고을 이름. 명승지로 용암서원(龍巖書院)과 관수루(觀水樓)ㆍ유린서정(有麟西亭) 등이 있음. 후에 거창(居昌)과 합천(陜川) 등에 분속됨.
경상도>삼가 , 지명>행정지명
-
가중(可中)@함헌 - 함헌(咸軒)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강릉(江陵). 부호군(副護軍) 함좌무(咸佐武)의 아들로, 삼척 부사(三陟府使) 등을 지냄. 강릉에 오봉서원(五峯書院)을 지어 후진을 양성하고, 이황(李滉)ㆍ정광필(鄭光弼) 등과 교유함.
1508~? 한국>조선전기 , 강원도>강릉 , 인명>관인>문신
-
가중(嘉仲)@이수형 - 이수형(李守亨)
조선 세조(世祖)~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 본관은 함안(咸安). 김종직(金宗直)의 문인(門人)으로 성리학에 조예가 깊음. 무오사화(戊午士禍) 때 큰형 이인형(李仁亨)이 화를 입자 벼슬을 버리고 은거하였다가, 갑자사화(甲子士禍) 때 자살함.
1448~1504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함안 , 인명>관인>문신
-
가중(嘉仲) - 정옥형(丁玉亨)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병조 판서 등을 지내고, 전장(典章)에 밝아 《대전후속록(大典後續錄)》편찬에 참여함. 을사사화(乙巳士禍)에 참여하여 금천군(錦川君)에 봉해짐.
1486~1549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나주 , 인명>관인>문신
-
가지내(加知奈) - 은진(恩津)
충청도 남동부에 있던 고을 이름. 금강유역에 있어 물자운송이 편리하여 농산물의 집산지이며, 강경산(江景山)․황화산(皇華山)에는 봉수(烽燧)가 있음. 현재는 충청남도 논산시(論山市)에 속함.
충청도>은진 , 지명>행정지명
-
가지동(佳芝洞) - 가지동(可芝洞)
전라도 나주(羅州)에 속했던 마을 이름.
전라도>나주 , 지명>자연지명
-
가진(可珍)@안침 - 안침(安琛)
조선 세조(世祖)~중종(中宗) 때의 문신ㆍ서예가. 본관은 순흥(順興). 동지춘추관사(同知春秋館事)로 《성종실록(成宗實錄)》편찬에 참여하고, 문장과 송설체(松雪體)에 능함.
1445~1515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광주 , 인명>예술인>서화가ㅣ인명>관인>문신
-
가진(可珍)@김세남 - 김세남(金世南)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학자. 김종직(金宗直)이 현량과(賢良科)로 여러 번 천거했지만 출사하지 않음.
1462~1542 한국>조선전기 , 강원도>강릉 , 인명>문사>학자
-
가진(可珍) - 권곤(權琨)
조선 세종(世宗)~연산군(燕山君) 때의 무신. 본관은 안동(安東). 횡성 현감(橫城縣監)을 지낸 권계경(權啓經)의 아들.
1427~1502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무신
-
가진(可珍)@민선 - 민선(閔瑄)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여흥(驪興)으로, 1522년(중종 17) 식년시(式年試)에 급제함. 신광한(申光漢)의 《기재집(企齋集)》에 연구(聯句)가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여주 , 인명>관인>문신
-
가진(可鎭) - 최수성(崔壽峸)
조선 중종(中宗) 때의 화가. 유학 최세효(崔世孝)의 아들이며 김굉필(金宏弼)의 문인으로, 조광조(趙光祖)ㆍ김정(金淨) 등과 교유함. 벼슬을 단념하고 시(詩)ㆍ서(書)ㆍ화(畵)ㆍ음악으로 일생을 보냈으나 신사무옥(辛巳誣獄)에 연루되어 처형됨.
1487~1521 한국>조선전기 , 강원도>강릉 , 인명>예술인>서화가
-
가창묘우(可倉廟宇) - 작산사(鵲山祠)
조선 명종(明宗) 때 경상도 안동(安東)의 작산(鵲山)에 세운 사당. 진성이씨(眞城李氏)의 선조를 모신 곳으로, 이자수(李子脩)ㆍ이운후(李云候)ㆍ이정(李禎)ㆍ이계양(李繼陽) 등을 배향함.
1565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유적>건물>사당
-
가창산(可倉山) - 작산(鵲山)
경상북도 안동(安東)의 북쪽에 있는 산 이름.
경상도>안동 , 지명>자연지명
-
가창재사(可倉齋舍) - 작암(鵲庵)
조선 성종(成宗) 때 경상도 안동(安東)의 작산(鵲山)에 세운 재암(齋庵). 병조 참의(兵曹參議)를 추증받은 이정(李禎)의 묘제(墓祭)를 위하여 마련함.
1480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유적>건물>사당
-
가초(嘉初) - 이약빙(李若氷)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광주(廣州)로, 함창 현감(咸昌縣監)을 지낸 이자(李滋)의 아들. 1514년(중종 9) 별시(別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한산 군수(韓山郡守)ㆍ사복시 정(司僕寺正) 등을 지냄. 1547년(명종 2) 양재역(良才驛) 벽서(壁書) 사건에 연루되어 사사(賜死)됨.
1489~1547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충주 , 인명>관인>문신
-
가칙(可則) - 홍달손(洪達孫)
조선 단종(端宗)~성종(成宗) 때의 무신. 본관은 남양(南陽). 계유정난(癸酉靖難) 때 황보인(皇甫仁) 등을 제거한 공으로 정난공신(靖難功臣)에 책록되고, 세조(世祖) 즉위 후 좌익공신(佐翼功臣)에 책록되었으며, 좌의정 등을 지냄.
1415~1472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남양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무신
-
가타(賈他) - 호사고(狐射姑)
중국 춘추전국시대 진(晉) 나라의 대부. 호언(狐偃)의 아들. 문무(文武)와 지용(智勇)을 겸비한 유장(儒將)으로서 태사(太師)를 지냄. 양공(襄公) 때 가국(賈國)에 봉해졌으며, 가씨(賈氏)의 이시조(二始祖)가 됨.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관인>경대부
-
가타(賈佗) - 호사고(狐射姑)
중국 춘추전국시대 진(晉) 나라의 대부. 호언(狐偃)의 아들. 문무(文武)와 지용(智勇)을 겸비한 유장(儒將)으로서 태사(太師)를 지냄. 양공(襄公) 때 가국(賈國)에 봉해졌으며, 가씨(賈氏)의 이시조(二始祖)가 됨.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관인>경대부
-
가태부(賈太傅) - 가의(賈誼)
중국 전한(前漢)의 문신ㆍ학자. 문제(文帝)의 총애를 받다가 장사왕(長沙王)의 태부(太傅)로 좌천됨.
B.C.200~B.C.168 중국>전한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가평(嘉平) - 가평(加平)
경기도 중동부에 있는 고을 이름. 북한강을 이용한 수로(水路)가 발달하였으며, 조종암(朝宗岩)ㆍ대보단(大報壇)ㆍ현등사(懸燈寺) 등이 유명함.
경기도>가평 , 지명>행정지명
-
가평군(嘉平君) - 이형손(李亨孫)
조선 세조(世祖)~연산군(燕山君) 때의 무신. 세조(世祖)의 즉위를 도와 원종공신(原從功臣)에 녹훈되고, 이시애(李施愛)의 난에 공을 세워 적개공신(敵愾功臣)에 녹훈되어 가평군(嘉平君)에 봉해짐.
1418~1496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가평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무신
-
가평부정(加平副正) - 이징(李澄)@이쟁의아들
조선 전기의 종친. 세종(世宗)의 다섯째 아들인 광평대군(廣平大君) 이여(李璵)의 증손이며, 회원군(會原君) 이쟁(李崢)의 둘째 아들.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가항(可恒) - 박가항(朴可恒)
고려 말~조선 초의 유학. 성석린(成石璘)의 《독곡집(獨谷集)》에 그에게 보낸 시가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인명>문사>유학
-
가해현(加害縣) - 가은(嘉恩)
경상북도 문경 지역의 옛 이름. 소백산맥의 회유치(回踰峙)를 넘어 보은(報恩)과 이어지는 산간도로가 발달함.
경상도>문경 , 지명>행정지명
-
가행(可行)@정충신 - 정충신(鄭忠信)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무신. 본관은 금성(錦城).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권율(權慄)을 종군(從軍)하여 무명(武名)을 떨치고, 이괄(李适)의 난(亂)을 평정하여 진무공신(振武功臣)이 됨. 이항복(李恒福)이 북청(北靑)으로 유배되었을 때의 기록인 《북천일록(北遷日錄)》을 저술함.
1575~1636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광산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무신
-
가행(可行) - 김부륜(金富倫)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학자. 본관은 광산(光山). 이황(李滉)의 문인(門人)으로, 김성일(金誠一)ㆍ이발(李潑)과 도의를 강마하였으며, 만년에 설월당(雪月堂)을 지어 후진 양성에 힘씀.
1531~1598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예안 , 인명>문사>학자
-
가행(可行)@조달생 - 조달생(趙達生)
조선 세조(世祖)~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 조유(趙瑜)의 아들로, 정수강(丁壽崗)과 시문으로 교유하고, 영흥 판관(永興判官)ㆍ사헌부 장령(司憲府掌令)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함경도>영흥 , 인명>관인>문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