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가행(可行)@양희지 - 양희지(楊熙止)
조선 세조(世祖)~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 본관은 중화(中和). 문장에 뛰어나고 재주가 있었으나 임사홍(任士洪)ㆍ유자광(柳子光)ㆍ노공필(盧公弼) 등과 친하여 그 출처(出處)에 비난을 받기도 함.
1439~1504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울산 , 인명>관인>문신
-
가행(可行)@김부신 - 김부신(金富信)
조선 명종(明宗) 때의 학자. 본관은 광산(光山). 이황(李滉)의 문인(門人). 유학(儒學)에 돈독한 뜻을 두었다는 이황(李滉)의 평을 받음.
1523~1566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예안 , 인명>문사>학자
-
가허(架虛) - 이희량(李希樑)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농암(聾巖) 이현보(李賢輔)의 아들. 음보(蔭補)로 언양(彦陽)ㆍ봉화(奉化)의 현감(縣監)을 역임함.
1501~1565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풍기ㅣ경상도>예안 , 인명>관인>문신
-
가헌(可獻) - 안호(安瑚)
조선 세조(世祖)~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 본관은 순흥(順興). 전주 부윤(全州府尹) 안지귀(安知歸)의 아들로, 세조 때 《북정록(北征錄)》을 편찬하는 데 참여하고, 예조 참의(禮曹參議) 등을 지냄.
1437~1503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광주 , 인명>관인>문신
-
가헌(稼軒) - 신기질(辛棄疾)
중국 송(宋) 나라의 시인ㆍ무신. 사(詞)에 뛰어나 남송(南宋) 최고의 시인(詩人)으로 평가받음. 북송(北宋)의 유영(柳永)ㆍ주방언(周邦彦), 남송의 강기(姜夔)와 아울러 사대사인(四大詞人)으로 일컬어짐.
1140~1207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무신
-
가호(苛虎) - 가정맹어호(苛政猛於虎)
가혹한 정치는 호랑이보다 무섭다는 뜻으로, 공자(孔子)가 제자들에게 가혹한 정치를 경계한 말. 《예기(禮記)》 〈단궁 하(檀弓下)〉에 나옴.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사상>술어>고사성어
-
가황제(假皇帝) - 왕망(王莽)
중국 신(新) 나라의 황제. 재위 8~23년. 전한(前漢) 말에 왕위를 찬탈하고 황제가 되었으나 후한(後漢)의 광무제(光武帝)에 의해 멸망함.
B.C.45~A.D.23 중국>신ㅣ중국>전한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가회(可晦)@윤방 - 윤방(尹昉)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해평(海平)으로, 윤두수(尹斗壽)의 아들. 이이(李珥)의 문인으로, 임진왜란(壬辰倭亂)에서 병자호란(丙子胡亂)에 이르는 혼란기 속에서 정사를 잘 보살폈으며, 영의정(領議政) 등을 지냄.
1563~1640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가회(可晦) - 조광익(曹光益)
중국 송(宋) 나라의 학자. 주희(朱熹)의 문인(門人)으로 〈주자연보(朱子年譜)〉에 보임.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가회(嘉會)@김가회 - 김가회(金嘉會)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광주(光州). 경기도 용인(龍仁)의 유곡(柳谷)에 정자를 지은 뒤 주세붕에게 청하여 '우사정(寓思亭)'이라는 정자명을 받은 일이 《무릉잡고(武陵雜稿)》에 실려 있음.
1514~?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용인 , 인명>문사>유학
-
가회(嘉會) - 정석형(丁碩亨)
조선 성종(成宗) 때의 유학. 성균관(成均館) 유생으로 강응정(姜應貞)ㆍ김용석(金用石) 등과 교유함.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유학
-
가후(賈后) - 혜가황후(惠賈皇后)
중국 남북조시대 진(晉) 나라 제2대 황제인 혜제(惠帝)의 황후. 가충(賈充)의 딸로, 성품이 음탕하고 간모(姦謀)에 뛰어나며, 정권을 장악하였다가, 금용성(金墉城)에 유폐(幽廢)ㆍ독살됨.
256~300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왕실>왕비
-
가흥(可興) - 박가흥(朴可興)
고려 우왕(禑王)~공양왕(恭讓王) 때의 문신. 본관은 순천(順天). 평양부원군(平陽府院君) 박천상(朴天祥)의 아들이며, 판육조사(判六曹事) 박석명(朴錫命)의 아버지로, 밀직 부사(密直副使)를 지냄. 이인임(李仁任)의 숙청과 이초(李初)의 옥사에 연루되어 유배당함.
한국>고려후기 , 전라도>순천 , 인명>관인>문신
-
각(恪)@신각 - 신각(申恪)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무신. 본관은 평산(平山). 아버지는 조선 명종(明宗) 때 문신 신의충이며, 할아버지는 교감(校勘)을 지낸 신억수(申億壽). 부인은 효령대군의 4대손으로 풍덕군수를 지낸 이광윤(李光胤)의 딸 전주 이씨.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양주 해유령(楊州蟹踰嶺) 전투에서 공을 세우고도 김명원(金命元)의 잘못된 장계(狀啓)로 처형당함.
?~1592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평산 , 인명>관인>무신
-
각(恪)@이각 - 이각(李恪)
조선 전기의 문인. 하서(河西) 김인후(金麟厚)의 문인으로, 《미암집(眉巖集)》 〈일기(日記)〉에 유희춘(柳希春)을 방문한 내용이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광산 , 인명>문사>문인
-
각(恪) - 모용각(慕容恪)
중국 남북조시대 오호십육국(五胡十六國) 전연(前燕)의 장군. 태조(太祖) 모용황(慕容皝)의 넷째 아들로, 장군이 되어 요동(遼東)을 정벌함.
?~366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관인>무신
-
각(殼) - 이각(李殼)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한산(韓山). 이선(李墠)의 아버지로, 1516년(중종 11) 식년시(式年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영월 군수(寧越郡守)를 지냄.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한산 , 인명>관인>문신
-
각(珏) - 임각(林珏)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회진(會津). 임희무(林希茂)의 아버지로, 기자전 참봉(箕子殿參奉)을 지냄.
1490~1563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함양 , 인명>관인>문신
-
각(覺) - 김각(金覺)
조선 명종(明宗)~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본관은 영동(永同)으로, 진사 김언건(金彦健)의 아들.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상주(尙州)에서 의병을 일으켜 공을 세웠고, 그 뒤 용궁 현감(龍宮縣監)ㆍ온성 판관(穩城判官)을 지냄.
1536~1610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상주 , 인명>관인>문신
-
각건선생(角巾先生) - 길재(吉再)
고려 우왕(禑王)~조선 세종(世宗) 때의 문신ㆍ학자. 이색(李穡)ㆍ정몽주(鄭夢周)ㆍ권근(權近) 등에게 수학하였고, 이색ㆍ정몽주와 함께 고려의 삼은(三隱)으로 일컬어짐.
1353~1419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선산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각금당(覺令堂) - 심장세(沈長世)
조선 후기의 문신. 본관은 청송(靑松). 병자호란(丙子胡亂)의 굴욕적인 강화 이후 강흡(姜洽)ㆍ홍석(洪錫) 등과 태백산 춘양(春陽)에 은거하며 학문을 닦아 ‘태백오현(太白五賢)’으로 불림.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청송 , 인명>관인>문신
-
각범(覺範) - 혜홍(惠洪)
중국 송(宋) 나라 휘종(徽宗)~흠종(欽宗) 때의 승려. 임제종(臨濟宗) 황룡파(黃龍派)에 속하며 시승(詩僧)으로 유명함. 저서로 《임간록(林間錄)》ㆍ《선림승보전(禪林僧寶傳)》ㆍ《냉재야화(冷齋夜話)》등이 있음.
1071~1128 중국>송 , 중국 , 인명>종교인>승려
-
각수(角宿) - 각성(角星)
별자리 이십팔수(二十八宿)의 하나로 동쪽에 있는 제1수(宿). 수성(壽星)의 자리.
자연물>천체
-
각엄존자(覺儼尊者) - 복구(復邱)
고려 충렬왕(忠烈王)~공민왕(恭愍王) 때의 승려. 수선사(修禪社)의 제13세 국사(國師)로, 도영(道英)에게 공부하고 백암사ㆍ월남사ㆍ송광사 등에서 수행함. 1352년(공민왕 1)에 왕사(王師)가 됨.
1270~1355 한국>고려후기 , 전라도>영광ㅣ전라도>광산ㅣ경상도>하동 , 인명>종교인>승려
-
각옹(覺翁) - 하항(河沆)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학자. 본관은 진주(晉州). 조식(曺植)의 문인으로, 최영경(崔永慶)과 교유하며 일생 동안 학문을 연구하고, 문장과 시에 뛰어남.
1538~1590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진주 , 인명>문사>학자
-
각월(覺月) - 각훈(覺訓)
고려 후기의 승려. 개경의 화엄대찰인 흥왕사(興王寺)와 영통사(靈通寺) 등지를 중심으로 활동하며, 이인로(李仁老)ㆍ이규보(李奎報) 등과 교유함. 1215년(고종 2)을 전후하여 영통사에 주석(駐錫)하며 왕명으로 《해동고승전(海東高僧傳)》을 저술함.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개성 , 인명>종교인>승려
-
각월수좌(覺月首座) - 각훈(覺訓)
고려 후기의 승려. 개경의 화엄대찰인 흥왕사(興王寺)와 영통사(靈通寺) 등지를 중심으로 활동하며, 이인로(李仁老)ㆍ이규보(李奎報) 등과 교유함. 1215년(고종 2)을 전후하여 영통사에 주석(駐錫)하며 왕명으로 《해동고승전(海東高僧傳)》을 저술함.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개성 , 인명>종교인>승려
-
각유(覺有) - 극부(克符)
조선 중종(中宗) 때의 승려. 《충암집(冲庵集)》에 김정(金淨)이 써준 서문이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인명>종교인>승려
-
각재(覺齋) - 하항(河沆)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학자. 본관은 진주(晉州). 조식(曺植)의 문인으로, 최영경(崔永慶)과 교유하며 일생 동안 학문을 연구하고, 문장과 시에 뛰어남.
1538~1590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진주 , 인명>문사>학자
-
각재선생문집(覺齋先生文集) - 각재집(覺齋集)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학자인 하항(河沆)의 문집. 3권 1책. 목판본. 1813년(순조 13)에 후손 하경현(河景賢)이 정종로(鄭宗魯)의 서문을 받아 진주(晉州)의 대각서원(大覺書院)에서 간행함.
1813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진주 , 문헌>서명
-
각제(覺帝) - 석가(釋迦)
B.C.6~B.C.4세기경 인도(印度)에서 활동한 불교의 창시자. 정반왕(淨飯王)의 아들로, 29세에 출가하여 6년 동안의 고행 끝에 깨달음을 얻은 후 인도 각지를 다니며 포교 활동을 함.
B.C.563?~B.C.483? 고대 , 기타지역 , 인명>기타인명>성현ㅣ인명>왕실>왕자
-
각주(刻舟) - 각주구검(刻舟求劍)
중국 춘추전국시대(春秋戰國時代) 초(楚) 나라 사람이 강에 빠뜨린 칼을 뱃전에 표시해 두었다가 나중에 찾으려 했다는 고사에서 나온 말로, 어리석어 시세에 어둡거나 완고함을 비유함.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사상>술어>고사성어
-
각주기검(刻舟記劍) - 각주구검(刻舟求劍)
중국 춘추전국시대(春秋戰國時代) 초(楚) 나라 사람이 강에 빠뜨린 칼을 뱃전에 표시해 두었다가 나중에 찾으려 했다는 고사에서 나온 말로, 어리석어 시세에 어둡거나 완고함을 비유함.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사상>술어>고사성어
-
각주이구검(刻舟以求劍) - 각주구검(刻舟求劍)
중국 춘추전국시대(春秋戰國時代) 초(楚) 나라 사람이 강에 빠뜨린 칼을 뱃전에 표시해 두었다가 나중에 찾으려 했다는 고사에서 나온 말로, 어리석어 시세에 어둡거나 완고함을 비유함.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사상>술어>고사성어
-
각주이구검(刻舟而求劍) - 각주구검(刻舟求劍)
중국 춘추전국시대(春秋戰國時代) 초(楚) 나라 사람이 강에 빠뜨린 칼을 뱃전에 표시해 두었다가 나중에 찾으려 했다는 고사에서 나온 말로, 어리석어 시세에 어둡거나 완고함을 비유함.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사상>술어>고사성어
-
각진국사(覺眞國師) - 복구(復邱)
고려 충렬왕(忠烈王)~공민왕(恭愍王) 때의 승려. 수선사(修禪社)의 제13세 국사(國師)로, 도영(道英)에게 공부하고 백암사ㆍ월남사ㆍ송광사 등에서 수행함. 1352년(공민왕 1)에 왕사(王師)가 됨.
1270~1355 한국>고려후기 , 전라도>영광ㅣ전라도>광산ㅣ경상도>하동 , 인명>종교인>승려
-
각헌(覺軒)@채모 - 채모(蔡模)
중국 송(宋) 나라 이종(理宗) 때의 문신ㆍ학자. 채침(蔡沈)의 맏아들로, 건녕부학 교수(建寧府學教授)를 지내고, 《논맹집소(論孟集疏)》ㆍ《속근사록(續近思錄)》 등을 저술함.
1188~1246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각헌(覺軒) - 사양좌(謝良佐)
중국 송(宋) 나라의 문신ㆍ학자. 정호(程顥)ㆍ정이(程頤)의 제자로, 정좌(靜坐)와 거경(居敬)의 수양을 강조함. 북송(北宋) 말 구법당(舊法黨)에 대한 탄압 사건에 연좌되어 평민으로 폐해짐.
1050~1103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각헌채씨(覺軒蔡氏) - 채모(蔡模)
중국 송(宋) 나라 이종(理宗) 때의 문신ㆍ학자. 채침(蔡沈)의 맏아들로, 건녕부학 교수(建寧府學教授)를 지내고, 《논맹집소(論孟集疏)》ㆍ《속근사록(續近思錄)》 등을 저술함.
1188~1246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간(侃)@윤간 - 윤간(尹侃)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파평(坡平). 영의정(領議政) 윤필상(尹弼商)의 아들이자 돈녕부 정(敦寧府正) 윤승홍(尹承弘)의 아버지로, 호조 참의(戶曹參議)를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파주 , 인명>관인>문신
-
간(侃)@장간 - 장간(張侃)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순천(順天). 진주 목사(晉州牧使)를 지낸 장문보(張文輔)의 아버지로, 영천 훈도(永川訓導)를 지냄.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순천 , 인명>관인>문신
-
간(侃) - 이간(李侃)
조선 전기의 종친. 성종(成宗)의 일곱 번째 서자(庶子)인 익양군(益陽君)의 손자이며, 황양정(荒壤正) 이수린(李壽麟)의 아들.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간(侃)@성간 - 성간(成侃)
조선 단종(端宗)~세조(世祖) 때의 문신ㆍ학자. 유방선(柳方善)의 문인(門人). 집현전 박사(集賢殿博士)로 문명(文名)을 떨쳤으나 요절함. 특히 시부(詩賦)에 뛰어나 〈궁사(宮詞)〉ㆍ〈신설부(新雪賦)〉 등의 작품을 남김.
1427~1456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창녕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간(侃)@송간 - 송간(宋侃)
조선 세종(世宗)~단종(端宗) 때의 문신. 본관은 여산(礪山). 남방을 순시하고 돌아오다가 단종(端宗)이 영월(寧越)에 안치되었다는 소식을 듣고 영월로 가서 복명(復命)한 후 낙향하여 절개를 지킴.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여산 , 인명>관인>문신
-
간(侃)@홍간 - 홍간(洪侃)
고려 원종(元宗)~충렬왕(忠烈王) 때의 문신ㆍ문인. 본관은 풍산(豐山). 지제고(知製誥) 등을 지냈으나 언사(言事)로 인해 동래 현령(東萊縣令)으로 좌천됨. 시문에 능하고 시체(詩體)가 청려하여 이제현(李齊賢)ㆍ허균(許筠) 등으로부터 칭송을 받음.
?~1304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간(幹)@이간 - 이간(李幹)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전주(全州). 풍덕 군수(豐德郡守) 이광윤(李光胤)의 아들로, 온양 군수(溫陽郡守)ㆍ첨지(僉知) 등을 지냄.
1527~1598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전주 , 인명>관인>문신
-
간(幹) - 박간(朴幹)
고려 후기의 문신. 본관은 밀양(密陽). 판도판서(版圖判書)를 지낸 은산부원군(銀山府院君) 박영균(朴永均)의 아버지로, 평장사(平章事) 등을 역임함.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밀양 , 인명>관인>문신
-
간(幹)@임간 - 임간(任幹)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풍천(豊川). 공조 판서(工曹判書)를 지낸 임유겸(任由謙)의 아들로, 종묘서 영(宗廟署令)을 지냄.
1496~1547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풍천 , 인명>관인>문신
-
간(榦) - 김간(金榦)
조선 숙종(肅宗)~영조(英祖) 때의 문신. 본관은 청풍(淸風). 박세채(朴世采)ㆍ송시열(宋時烈)의 문인(門人). 학행으로 천거되어 대사헌(大司憲) 등을 지내고, 만년에는 저술활동에 전념함.
1646~1732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양주 , 인명>관인>문신
-
간(澗) - 유간(柳澗)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본관은 진주(晉州). 승지(承旨) 유여항(柳汝恒)과 동래 부사(東萊府使) 유여각(柳汝恪)의 아버지로, 참찬(參贊)ㆍ대사헌(大司憲) 등을 지냄.
1554~1620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충주 , 인명>관인>문신
-
간(玕) - 유간(柳玕)
고려 후기의 문신. 본관은 진주(晉州). 진천군(晉川君) 유지정(柳之淀)의 아버지로, 검교첨의평리(檢校僉議評理)ㆍ개성 윤(開城尹)을 지냄.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진주 , 인명>관인>문신
-
간(簡) - 조간(趙簡)
고려 충렬왕(忠烈王)~충숙왕(忠肅王) 때의 문신. 본관은 김제(金堤). 관직은 찬성사(贊成事) 등을 역임했고 시문(詩文)이 뛰어나 《동문선(東文選)》ㆍ《풍암집화(風巖輯話)》 등에 시가 수록됨.
한국>고려후기 , 전라도>김제 , 인명>관인>문신
-
간(衎) - 금간(琴衎)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봉화(奉化). 금치담(琴致湛)의 아버지로 성주 판관(星州判官)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봉화 , 인명>관인>문신
-
간(衎)@이간 - 이간(李衎)
중국 원(元) 나라의 문신ㆍ서화가. 절강행성평장정사(浙江行省平章政事) 등을 지내고, 대나무ㆍ돌ㆍ나무 등을 잘 그려 당대에 이름을 떨침.
1245~1320 중국>원 , 중국 , 인명>예술인>서화가ㅣ인명>관인>문신
-
간(趕) - 곽간(郭趕)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현풍(玄風)으로, 사인(舍人) 곽지견(郭之堅)의 아들. 문정왕후(文定王后)의 불교부흥 정책에 반대하는 상소를 올렸다가 언관의 자리에서 파직됨. 종부시 정(宗簿寺正)ㆍ강릉 부사(江陵府使) 등을 지냄.
1529~1593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현풍 , 인명>관인>문신
-
간(𥘏) - 후령군(厚寧君)
조선 제3대 태종(太宗)의 일곱 번째 서자(庶子). 덕숙옹주(德淑翁主)의 소생으로, 단종(端宗)이 세조(世祖)에게 선위할 때 신병(身病)을 이유로 일부러 참여하지 않았으며, 몇 달 후 스스로 목숨을 끊음.
1404~1455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왕자
-
간^방(干^逄) - 방^간(逄^干)
중국 하(夏) 나라 걸왕(桀王) 때의 충신인 관용방(關龍逄)과 은(殷) 나라 주왕(紂王) 때의 충신인 비간(比干)을 함께 부르는 말.
중국>은ㅣ중국>하 , 중국 , 사상>술어>관용어
-
간기포의(間氣布衣) - 피일휴(皮一休)
중국 당(唐) 나라 의종(懿宗) 때의 문신ㆍ문인. 녹문산(鹿門山)에 은거하다가 벼슬하여 태상박사(太常博士) 등을 지내고, 황소(黃巢)의 난에 참가하여 난리 속에서 죽음. 육귀몽(陸龜蒙)과 시를 창화(唱和)함.
834?~883? 중국>당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간로(簡老) - 진여의(陳與義)
중국 송(宋) 나라 휘종(徽宗)~고종(高宗) 때의 문신ㆍ문인. 참지정사(參知政事)를 지내고, 시에 뛰어나 도연명(陶淵明)ㆍ유종원(柳宗元) 등과 비견됨.
1090~1138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간목(簡穆) - 하상지(何尙之)
중국 남북조시대 송(宋) 나라 문제(文帝) 때의 문신. 학식과 덕망이 높아 문제에게 총애를 받았으며, 상서령(尙書令) 등을 지냄.
382~460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간미(簡美) - 백간미(白簡美)
고려 성종(成宗)~문종(文宗) 때의 문신ㆍ무신. 육조(六朝)에 걸쳐 벼슬을 지내고 영해(寧海)로 낙향하였으며, 문종이 여러 차례 불렀으나 응하지 않음.
한국>고려전기 , 경상도>영해 , 인명>관인>무신ㅣ인명>관인>문신
-
간보(簡甫) - 김곤(金坤)
고려 후기의 문인. 원천석(元天錫)의 《운곡행록(耘谷行錄)》에 박동우(朴東雨) 등과 함께 시를 짓고 시축을 만들었다는 기록이 보임.
한국>고려후기 , 인명>문사>문인
-
간보(艮甫) - 박겸산(朴兼山)
조선 전기의 문인. 홍귀달(洪貴達)의 《허백정문집(虛白亭文集)》에 그의 시축(詩軸)에 써 준 글이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예천 , 인명>문사>문인
-
간보(艮輔) - 윤기(尹祈)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남원(南原)으로, 승문원 판교(承文院判校) 윤강원(尹剛元)의 아들. 성균관 유생(儒生)으로서 을사사화(乙巳士禍) 공신호(功臣號)의 삭훈(削勳)을 상소하고, 임진왜란(壬辰倭亂)에는 세자를 시종함.
1535~1607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간석대(磵石臺) - 석간대(石磵臺)
경상북도 안동(安東)의 낙동강 가에 있는 언덕 이름. 이황(李滉)이 제자 이정(李楨)과 작별하면서 읊은 당시(唐詩)가 바위에 새겨져 있음.
경상도>안동 , 지명>자연지명
-
간성령(杆城令) - 이격(李格)
조선 후기의 종친. 세종(世宗)의 넷째 서자인 한남군(漢南君) 이어(李𤥽)의 증손. 호천군(湖川君)의 아들로, 효자로 이름남.
1546~1593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간성수(杆城守) - 이격(李格)
조선 후기의 종친. 세종(世宗)의 넷째 서자인 한남군(漢南君) 이어(李𤥽)의 증손. 호천군(湖川君)의 아들로, 효자로 이름남.
1546~1593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간성왕(杆城王) - 공양왕(恭讓王)
고려 제34대 왕. 재위 1389~1392. 고려의 마지막 왕으로, 이성계(李成桂) 등에 의해 왕으로 옹립되었으나 폐위된 후 삼척부(三陟府)에서 사사됨.
1345~1394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개성 , 인명>왕실>국왕
-
간송(澗松) - 조임도(趙任道)
조선 인조(仁祖) 때의 학자. 장현광(張顯光)의 문인으로, 이황(李滉)의 문묘 종사(文廟從祀)를 반대하는 정인홍(鄭仁弘)을 규탄함. 인조반정(仁祖反正) 후 천거로 공조 좌랑(工曹佐郞)을 지냄.
1585~1664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칠원 , 인명>문사>학자
-
간송당(澗松堂) - 조임도(趙任道)
조선 인조(仁祖) 때의 학자. 장현광(張顯光)의 문인으로, 이황(李滉)의 문묘 종사(文廟從祀)를 반대하는 정인홍(鄭仁弘)을 규탄함. 인조반정(仁祖反正) 후 천거로 공조 좌랑(工曹佐郞)을 지냄.
1585~1664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칠원 , 인명>문사>학자
-
간송선생문집(澗松先生文集) - 간송집(澗松集)
조선 후기 학자인 조임도(趙任道)가 저술한 시문집. 7권 4책. 권두에 이광정(李光庭)의 서문이 실려 있음.
1744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함안 , 문헌>서명
-
간숙(簡肅)@황중 - 황중(黃中)
중국 송(宋) 나라의 문신. 소무(邵武) 사람으로, 단명전 학사(端明殿學士)ㆍ병부 상서(兵部尙書) 등을 지내고, 《주의(奏議)》를 저술함.
중국>송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간숙(簡肅) - 허주(許周)
고려 우왕(禑王)~조선 세종(世宗) 때의 문신. 본관은 하양(河陽). 허귀룡(許貴龍)의 아들이며 허조(許稠)의 형. 고려 말에 이성계(李成桂) 등 신진세력의 전제(田制) 개혁에 동조하고, 조선 개국 후에 판한성부사(判漢城府事) 등을 지냄.
1359~1440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상도>하양 , 인명>관인>문신
-
간암(艮庵)@유몽인 - 유몽인(柳夢寅)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ㆍ문인. 본관은 흥양(興陽)으로, 제용감 주부(濟用監主簿) 유탱(柳樘)의 아들. 한때 성혼(成渾)에게 수학하였으며 임진왜란 때 대명외교를 담당하는 등 공을 세웠으나, 인조 때 무고로 인해 반역죄로 처형됨. 저서로 《어우야담(於于野談)》 등이 있음.
1559~1623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간암(艮庵) - 나윤명(羅允明)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나주(羅州). 유학(幼學)으로 왕 앞에서 《대학》을 강론한 것이 인정되어 회시에 응시할 수 있는 특혜를 받음.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나주 , 인명>관인>문신
-
간암(艮菴)@이희조 - 이희조(李喜朝)
조선 숙종(肅宗)~경종(景宗) 때의 문신. 본관은 연안(延安). 송시열(宋時烈)의 문인으로 당파싸움에 여러 차례 휘말렸으나 의리 있고 공정한 자세로 번번히 재임용되어 대사헌(大司憲) 등을 지냄. 저서로 《지촌집(芝村集)》이 있음.
1655~1724 한국>조선후기 , 황해도>연안 , 인명>관인>문신
-
간암(艮菴) - 심의겸(沈義謙)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청송(靑松)으로, 이황(李滉)의 문인. 1575년(선조 8)에 그를 지지하는 서인(西人)과, 김효원(金孝元)을 지지하는 동인(東人)이 서로 논쟁하기 시작해 동서분당(東西分黨)의 시초가 됨.
1535~1587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청송 , 인명>관인>문신
-
간양자(看羊子) - 소무(蘇武)
중국 전한(前漢) 무제(武帝)~선제(宣帝) 때의 충신. 무제 때 흉노(匈奴)에 사신으로 갔다가 억류되었으나 절개를 지키다가 19년 만에 돌아와 전속국(典屬國)이 되었으며, 후에 선제를 옹립한 공으로 관내후(關內侯)에 봉해짐.
?~B.C.60 중국>전한 , 중국 , 인명>관인>무신
-
간여(簡輿) - 온조(溫造)
중국 당(唐) 나라의 문신. 온길(溫佶)의 아들로, 흥원군(興元軍)을 평정한 공로로 산남서도 절도사(山南西道節度使)가 되었으며, 예부 상서(禮部尙書) 등을 지냄.
766~835 중국>당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간열후(簡烈侯) - 공광(孔光)
중국 한(漢) 나라 때의 문신ㆍ학자. 공자(孔子)의 14대손으로, 경학(經學)에 밝았음.
B.C.65~A.D.5 중국>전한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간옥(干玉) - 육유(陸瑜)
중국 남북조시대 진(陳) 후주(後主)의 압객(狎客). 동궁 학사(東宮學士) 등을 지냈으며, 형 육염(陸琰)과 함께 재능과 학문을 갖춰 당시 ‘이응(二應)’으로 불림.
541~574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문사>문인
-
간옹(艮翁)@홍가신 - 홍가신(洪可臣)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남양(南陽). 민순(閔純)의 문인으로, 이몽학(李夢鶴)의 난을 평정한 공으로 청난공신(淸亂功臣)에 책록됨. 이기일원론(理氣一元論)에 입각하여 노장(老莊)ㆍ불교(佛敎)를 비판함.
1541~1615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남양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간옹(艮翁) - 이헌경(李獻慶)
조선 영조(英祖)~정조(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전주(全州)로, 형조 참판(刑曹參判)을 지낸 이제화(李齊華)의 아들. 대사간(大司諫)ㆍ한성부 판윤(漢城府判尹) 등을 지내고, 저서로 《간옹집(艮翁集)》이 있음.
1719~1791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간옹선생문집(艮翁先生文集) - 간옹집(艮翁集)
조선 후기의 문신인 이헌경(李獻慶)이 저술한 문집. 원집 23권과 부록 1권으로 구성된 총 24권 12책. 권두에 정범조(丁範祖)가 쓴 서문이 실려 있음.
1795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영천(永川) , 문헌>서명
-
간우(侃于) - 임박(任博)
조선 전기의 유학. 윤덕(潤德) 임항(任恒)과 함께 무릉도인(武陵道人) 주세붕(周世鵬)과 시를 수창하며 교유한 내용이 《무릉잡고(武陵雜稿)》에 보임.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유학
-
간웅(姦雄) - 무제(武帝)@삼국(위)
중국 삼국시대 위(魏) 왕조를 세운 장군. 시부(詩賦) 등의 문재(文才)를 지녀 건안문단(建安文壇)을 영도(領導)함.
155~220 중국>삼국시대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왕실>국왕
-
간유(幹儒) - 최균(崔均)
고려 인종(仁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전주최씨(全州崔氏) 일파(一派)의 시조. 내시 낭중(內侍郞中) 등을 지내고, 조위총(趙位寵)의 난을 진압하던 중 적장에게 살해됨. 아들 최보순(崔甫淳) 등의 현달로 상서 좌복야(尙書左僕射)에 추증됨.
?~1174 한국>고려후기 , 전라도>전주 , 인명>관인>문신
-
간이(簡易) - 최립(崔岦)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인ㆍ문신. 진사(進士) 최자양(崔自陽)의 아들로, 형조 참판(刑曹參判) 등을 지냄. 문장에도 뛰어나 한호(韓濩)의 글씨, 차천로(車天輅)의 시와 함께 송도삼절(松都三絶)로 불림.
1539~1612 한국>조선후기 , 강원도>통천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간이당(簡易堂)@한숙 - 한숙(韓淑)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당진(唐津)으로, 세마(洗馬) 한근(韓瑾)의 아들. 공조 판서 등을 지냈으나, 을사사화(乙巳士禍) 때 대윤(大尹)인 윤임(尹任)과 교분이 두텁다 하여 파직되어 이산(理山)에 유배된 뒤 그곳에서 죽음.
1494~1560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당진 , 인명>관인>문신
-
간이당(簡易堂) - 최립(崔岦)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인ㆍ문신. 진사(進士) 최자양(崔自陽)의 아들로, 형조 참판(刑曹參判) 등을 지냄. 문장에도 뛰어나 한호(韓濩)의 글씨, 차천로(車天輅)의 시와 함께 송도삼절(松都三絶)로 불림.
1539~1612 한국>조선후기 , 강원도>통천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간이문집(簡易文集) - 간이집(簡易集)
조선 후기 학자인 최립(崔岦)의 문집. 9권 9책. 저자가 임진왜란을 전후로 외교문서를 맡았던 경력을 반영하여 주자(奏咨) 등 사대문자(事大文字)가 문집 앞에 편차된 것이 특징이며, 권수에 1631년(인조 9) 장유(張維)가 쓴 서문이 있음.
1631 한국>조선후기 , 서울 , 문헌>서명
-
간이방(簡易方) - 향약간이방(鄕藥簡易方)
고려 말기에 저술된 것으로 추정되는 의약서(醫藥書). 산실되어 전하지 않음. 권근(權近)의 《양촌집(陽村集)》에 의하면 고려 말 조선 초의 문신인 권중화(權仲和)가 서찬(徐贊)에게 명하여 저술한 것이라 함.
한국>고려후기 , 문헌>서명
-
간이재(簡易齋) - 한확(韓確)
조선 태종(太宗)~세조(世祖) 때의 문신. 본관은 청주(淸州)로, 성종(成宗)의 외할아버지. 누이가 명(明) 나라 성조(成祖)의 여비(麗妃)가 되어 명 나라의 광록시 소경(光祿寺少卿)에 임명되고, 1455년(세조 1) 좌의정으로 좌익공신(佐翼功臣)에 책록됨.
1403~1456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청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ㅣ인명>왕실>인척
-
간자(簡子) - 조간자(趙簡子)
중국 춘추전국시대 진(晉) 나라의 정경(正卿). 조양자(趙襄子)의 아버지.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관인>경대부
-
간재(簡齋)@진여의 - 진여의(陳與義)
중국 송(宋) 나라 휘종(徽宗)~고종(高宗) 때의 문신ㆍ문인. 참지정사(參知政事)를 지내고, 시에 뛰어나 도연명(陶淵明)ㆍ유종원(柳宗元) 등과 비견됨.
1090~1138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간재(簡齋) - 신용희(申用羲)
고려 후기의 학자. 본관은 영해(寧海). 문정공(文貞公) 신현(申賢)의 아들로, 운곡(耘谷) 원천석(元天錫)의 스승.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영해 , 인명>문사>학자
-
간재(艮齋)@사악 - 사악(謝諤)
중국 송(宋) 나라 고종(高宗)~광종(光宗) 때의 문신ㆍ학자. 저서로 《양송명현소집(兩宋名賢小集)》과 《간재집(艮齋集)》을 남김.
1121~1194 중국>송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간재(艮齋)@유몽인 - 유몽인(柳夢寅)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ㆍ문인. 본관은 흥양(興陽)으로, 제용감 주부(濟用監主簿) 유탱(柳樘)의 아들. 한때 성혼(成渾)에게 수학하였으며 임진왜란 때 대명외교를 담당하는 등 공을 세웠으나, 인조 때 무고로 인해 반역죄로 처형됨. 저서로 《어우야담(於于野談)》 등이 있음.
1559~1623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간재(艮齋)@이덕홍 - 이덕홍(李德弘)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영천(永川). 이충량(李忠樑)의 아들로, 이황(李滉)의 문하에서 수학하고, 영춘 현감(永春縣監) 등을 지냄.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세자를 따라 성천(成川)까지 호종함.
1541~1596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예안ㅣ경상도>영천(榮川)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간재(艮齋)@위섬지 - 위섬지(魏掞之)
중국 송(宋) 나라의 문신ㆍ학자. 주자(朱子)와 교유하였음. 포의(布衣)로 발탁되어 벼슬이 태학록(太學錄)에 이름. 사부(詞賦)를 폐(廢)하기를 청했으나, 받아들여지지 않자 벼슬을 버리고 떠나 독서에 전념함.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