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간재(艮齋) - 박응남(朴應男)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반남(潘南). 유조인(柳祖訒)ㆍ성제원(成悌元)ㆍ이중호(李仲虎)에게 수학하였으며 대사헌(大司憲) 등을 역임함. 직간(直諫)으로 이름이 높았음.
1527~1572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나주 , 인명>관인>문신
-
간재(艮齋)@최연 - 최연(崔演)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ㆍ문인. 최세건(崔世楗)의 아들. 을사사화(乙巳士禍) 때 소윤(小尹)에 가담하여 위사공신(衛社功臣)에 책록되고, 동원군(東原君)에 봉해짐. 《무정보감(武定寶鑑)》을 편찬하고, 시문(詩文)에 능함.
1503~1549 한국>조선전기 , 강원도>강릉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간재선생문집(艮齋先生文集) - 간재집(艮齋集)
조선 후기 문인 이덕홍(李德弘)의 문집. 원집 8권 속집 5권 총7책으로 구성. 상소(上疏) 2편에서 임진왜란을 당해 전술상의 대책과 거북선의 적극적 이용을 이야기함으로써 전쟁에 대한 대처방식을 보여주고 있음.
1752 한국>조선후기 , 문헌>서명
-
간적(簡寂) - 육수정(陸修靜)
중국 남북조시대 송(宋) 나라 문제(文帝)~명제(明帝) 때의 도사. 효무제(孝武帝) 때 여산(廬山)에 은거하여 도잠(陶潛)ㆍ혜원(慧遠) 등과 교유했다고 하며, 명제 때 초빙되어 도교(道敎) 경전을 정리함. ‘호계삼소(虎溪三笑)’의 고사로 유명함.
406~477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기타인명>도사
-
간정소선(看鼎少仙) - 김양정(金養正)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선산(善山). 1577년(선조 10) 최인기(崔仁起)ㆍ정유성(鄭惟誠)ㆍ김안경(金安慶)ㆍ김안복(金安福)ㆍ김효원(金孝元) 등과 강원도 두타산(頭陀山)을 유람한 내용이 김효원의 《성암유고(省菴遺稿)》에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선산 , 인명>문사>유학
-
간중(幹仲) - 이수정(李守貞)
조선 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 본관은 광주(廣州)로, 광양군(光陽君) 이세좌(李世佐)의 아들이며 이준경(李浚慶)의 아버지. 1501년(연산군 7) 식년시(式年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예문관 검열(藝文館檢閱)ㆍ홍문관 부수찬(弘文館副修撰) 등을 지냄. 1504년(연산군 10) 갑자사화(甲子士禍)에 연루되어 처형됨.
1477~1504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간지(幹之)@성세정 - 성세정(成世貞)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창녕(昌寧). 성충달(成忠達)의 아들이자 성륜(成倫)의 아버지로, 《성종실록(成宗實錄)》편찬에 참여하였고 중종 때 대사헌(大司憲)에 오름.
1460~?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창녕 , 인명>관인>문신
-
간지(幹之)@곽한방 - 곽한방(郭翰邦)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현풍(玄風)으로, 부여 현감(扶餘縣監)을 지낸 곽종의(郭宗儀)의 아들. 음보(蔭補)로 출사하여 사헌부 감찰(司憲府監察)ㆍ양천 현령(陽川縣令) 등을 지냄.
1486~1548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아산 , 인명>관인>문신
-
간지(幹之)@김말 - 김말(金末)
조선 태종(太宗)~세조(世祖) 때의 문신. 본관은 의성(義城). 후진 교육과 경학 발전에 큰 공로가 있어 김구(金鉤)ㆍ김반(金泮)과 더불어 ‘삼김(三金)’ㆍ‘경학삼김(經學三金)’ㆍ‘관중삼김(館中三金)’으로 불림.
1379~1464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의성 , 인명>관인>문신
-
간지(幹之)@이간 - 이간(李幹)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전주(全州). 풍덕 군수(豐德郡守) 이광윤(李光胤)의 아들로, 온양 군수(溫陽郡守)ㆍ첨지(僉知) 등을 지냄.
1527~1598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전주 , 인명>관인>문신
-
간지(幹之)@이계량 - 이계량(李季樑)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영천(永川). 농암(聾巖) 이현보(李賢輔)의 아들로, 의흥 현감(義興縣監) 등을 역임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영천(永川) , 인명>관인>문신
-
간지(幹之)@이원간 - 이원간(李元幹)
조선 연산군(燕山君)~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용인(龍仁). 이효독(李孝篤)의 아들로, 진주 목사(晉州牧使) 등을 역임하였으며, 성격이 강직하고 엄격하였음.
?~1533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용인 , 인명>관인>문신
-
간지(幹之) - 김계정(金繼貞)
조선 중종(中宗) 때의 생원. 본관은 삼척(三陟). 효력부위(效力副尉) 김중로(金中魯)의 아들로, 교수(敎授)를 지내고 1513년(중종 8) 생원시(生員試)에 입격함.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간지(幹之)@박형간 - 박형간(朴亨幹)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밀양(密陽). 박수장(朴秀樟)의 아들로, 현감(縣監)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밀양 , 인명>관인>문신
-
간천(澗泉) - 한표(韓淲)
중국 송(宋) 나라 영종(寧宗) 때의 문신ㆍ문인. 이부 상서(吏部尙書) 한원길(韓元吉)의 아들로, 장천(章泉) 조번(趙蕃)과 함께 ‘이천(二泉)’으로 불림. 저서로 《간천일기(澗泉日記)》 등이 있음.
1159~1224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간평황제(簡平皇帝) - 정종(定宗)@원
중국 원(元) 나라의 추존 황제이며, 몽고 제국의 제2대 칸. 재위 1246~1248. 태종(太宗)의 장자로 어머니는 탈열가나가돈(脫列哥那可敦).
?~1248 중국>원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간호(艮湖) - 최유지(崔攸之)
조선 인조(仁祖)~현종(顯宗) 때의 문신. 본관은 삭녕(朔寧). 동부승지(同副承旨)를 지낸 최온(崔薀)의 아들로, 사간(司諫) 등을 지냄.
1603~1673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삭녕 , 인명>관인>문신
-
간회(姦檜) - 진회(秦檜)
중국 송(宋) 나라 휘종(徽宗)~고종(高宗) 때의 문신. 남침을 거듭하는 금(金)에 대처하여 금과 남송이 중국을 남북으로 나누어 영유하기로 합의함. 정권유지를 위해 반대파를 억압하여 간신으로 낙인찍힘.
1090~1155 중국>송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갈^관(葛^管) - 관^갈(管^葛)
중국 삼국시대 촉(蜀) 나라의 문신인 제갈량(諸葛亮)과 춘추전국시대 제(齊) 나라의 재상인 관중(管仲)을 함께 부르는 말. 왕을 보좌하여 국가의 기반을 다진 신하를 가리킴.
중국>삼국시대ㅣ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사상>술어>관용어
-
갈강(渴羌) - 요복(姚馥)
중국 삼국시대(三國時代) 위(魏) 나라의 문신. 강인(姜人)으로 98세까지 장수했으며 애주가였음. 무제(武帝) 때에 주천 태수(酒泉太守)를 지냄.
중국>삼국시대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갈건옹(葛巾翁) - 도잠(陶潛)
중국 남북조시대 진(晉)~송(宋) 나라의 시인. 자연을 노래한 시가 많으며, 당(唐) 나라 이후로 육조(六朝) 최고의 시인으로 불림.
365~427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문사>문인
-
갈계(葛溪) - 갈천(葛川)
경상남도 고성군(固城郡) 대가면(大可面)에 있는 하천 이름. 갈천을 따라 외갈(外葛)ㆍ내갈(內葛)ㆍ종생(宗生) 마을이 자리하고 있음.
경상도>고성 , 지명>자연지명
-
갈계산재(葛溪散材) - 임훈(林薰)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효행(孝行)으로 천거되어 장악원 정(掌樂院正) 등을 지내고, 1582년(선조 15)에 장례원 판결사(掌隸院判決事)에 임명되었으나 사퇴하고 낙향함.
1500~1584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음 , 인명>기타인명>효자ㅣ인명>관인>문신
-
갈곡(葛谷) - 임수겸(林守謙)
조선 세종(世宗)~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안음(安陰)으로, 부제학(副提學)ㆍ지중추부사(同知中樞府事)ㆍ대사성(大司成) 등을 지냈음.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음 , 인명>관인>문신
-
갈공사(葛公寺) - 가공암(架空菴)
황해도 해주 석담(石潭)의 고산구곡(高山九曲)에 지어진 암자. 1571년(선조 4)에 이이(李珥)가 갈공사(葛公寺)에서 고친 이름. 1699년(숙종 25)에 이희조(李喜朝)에 의해 중창됨.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해주 , 유적>건물>사찰
-
갈노(羯奴) - 안녹산(安祿山)
중국 당(唐) 나라 현종(玄宗) 때의 무장(武將). 현종의 신임을 얻어 절도사(節度使)가 된 후 병력을 장악하여 난을 일으킴. 중원(中原)까지 쳐들어갔으나, 아들 안경서(安慶緖)와 공모한 측근에 의해 피살됨.
703?~757 중국>당 , 중국 , 인명>관인>무신
-
갈로(葛老) - 갈홍(葛洪)
중국 남북조시대 진(晉) 나라의 학자ㆍ도사. 정은(鄭隱)에게 선도(仙道)를 배움. 관내후(關內侯) 등의 관직을 지내다가 물러나 나부산(羅浮山)에 들어가 저술과 연단(煉丹)에 전념함. 저서에 《포박자(抱朴子)》ㆍ《신선전(神仙傳)》이 있음.
283~343?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기타인명>도사ㅣ인명>문사>학자
-
갈마랍(噶瑪拉) - 현종(顯宗)@원
중국 원(元) 나라의 추존왕. 태정제(泰定帝)의 아버지이며, 고려 충선왕(忠宣王)의 비(妃)인 계국대장공주(薊國大長公主)의 아버지.
1263~1302 중국>원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갈부(葛父) - 갈홍(葛洪)
중국 남북조시대 진(晉) 나라의 학자ㆍ도사. 정은(鄭隱)에게 선도(仙道)를 배움. 관내후(關內侯) 등의 관직을 지내다가 물러나 나부산(羅浮山)에 들어가 저술과 연단(煉丹)에 전념함. 저서에 《포박자(抱朴子)》ㆍ《신선전(神仙傳)》이 있음.
283~343?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기타인명>도사ㅣ인명>문사>학자
-
갈산(葛山) - 정곡(鄭谷)
고려 말 조선 초의 유학. 박흥생(朴興生)의 《국당유고(菊堂遺稿》에 주리(朱李)와 향내(香奈)를 보내준 것에 사례한 시가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인명>문사>유학
-
갈석(碣石) - 갈석산(碣石山)
중국에 있는 산이름. 소재지에 대해서는 하북(河北)ㆍ열하(熱河)ㆍ산동(山東)ㆍ요동(遼東) 등 여러 설이 있음.
중국 , 지명>자연지명
-
갈석산인(碣石山人) - 가도(賈島)
중국 당(唐) 나라 헌종(憲宗)~무종(武宗) 때의 시인. 처음에 중이 되었다가 뒤에 환속(還俗)하였음. 벼슬은 장강 주부(長江主簿)에 이르렀고, 시집으로는 《가장강집(賈長江集)》이 있음.
779~843 중국>당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갈선(葛仙)@갈홍 - 갈홍(葛洪)
중국 남북조시대 진(晉) 나라의 학자ㆍ도사. 정은(鄭隱)에게 선도(仙道)를 배움. 관내후(關內侯) 등의 관직을 지내다가 물러나 나부산(羅浮山)에 들어가 저술과 연단(煉丹)에 전념함. 저서에 《포박자(抱朴子)》ㆍ《신선전(神仙傳)》이 있음.
283~343?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기타인명>도사ㅣ인명>문사>학자
-
갈선(葛仙) - 갈현(葛玄)
중국 삼국시대 오(吳) 나라의 도사. 정은(鄭隱)에게 《구정단경(九鼎丹經)》ㆍ《금액단경(金液丹經)》ㆍ《태청단경(太淸丹經)》등을 전수함.
164~244 중국>삼국시대 , 중국 , 인명>기타인명>도사
-
갈선옹(葛仙翁) - 갈홍(葛洪)
중국 남북조시대 진(晉) 나라의 학자ㆍ도사. 정은(鄭隱)에게 선도(仙道)를 배움. 관내후(關內侯) 등의 관직을 지내다가 물러나 나부산(羅浮山)에 들어가 저술과 연단(煉丹)에 전념함. 저서에 《포박자(抱朴子)》ㆍ《신선전(神仙傳)》이 있음.
283~343?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기타인명>도사ㅣ인명>문사>학자
-
갈성분위진무공신(碣誠奮威振武功臣) - 진무공신(振武功臣)
조선 인조(仁祖) 2년에 이괄(李适)의 난(亂)을 진압하는 데에 공을 세운 사람들에게 내린 훈호(勳號). 세 등급으로 나누어 장만(張晩)ㆍ정충신(鄭忠信)ㆍ남이흥(南以興) 등 총 27인에게 내림.
1624 한국>조선후기 , 서울 , 법제>제도
-
갈성분위출기진무공신(碣誠奮威出氣振武功臣) - 진무공신(振武功臣)
조선 인조(仁祖) 2년에 이괄(李适)의 난(亂)을 진압하는 데에 공을 세운 사람들에게 내린 훈호(勳號). 세 등급으로 나누어 장만(張晩)ㆍ정충신(鄭忠信)ㆍ남이흥(南以興) 등 총 27인에게 내림.
1624 한국>조선후기 , 서울 , 법제>제도
-
갈성분위출기효력진무공신(碣誠奮威出氣效力振武功臣) - 진무공신(振武功臣)
조선 인조(仁祖) 2년에 이괄(李适)의 난(亂)을 진압하는 데에 공을 세운 사람들에게 내린 훈호(勳號). 세 등급으로 나누어 장만(張晩)ㆍ정충신(鄭忠信)ㆍ남이흥(南以興) 등 총 27인에게 내림.
1624 한국>조선후기 , 서울 , 법제>제도
-
갈수(葛水) - 갈천(葛川)
경상남도 고성군(固城郡) 대가면(大可面)에 있는 하천 이름. 갈천을 따라 외갈(外葛)ㆍ내갈(內葛)ㆍ종생(宗生) 마을이 자리하고 있음.
경상도>고성 , 지명>자연지명
-
갈옹(葛翁) - 갈홍(葛洪)
중국 남북조시대 진(晉) 나라의 학자ㆍ도사. 정은(鄭隱)에게 선도(仙道)를 배움. 관내후(關內侯) 등의 관직을 지내다가 물러나 나부산(羅浮山)에 들어가 저술과 연단(煉丹)에 전념함. 저서에 《포박자(抱朴子)》ㆍ《신선전(神仙傳)》이 있음.
283~343?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기타인명>도사ㅣ인명>문사>학자
-
갈장경(葛長庚) - 백옥섬(白玉蟾)
중국 송(宋) 나라 때의 도사. 무이산(武夷山)에서 도(道)를 배워 태일궁(太一宮)에 거주하고 도교(道敎) 남종(南宗) 오조(五祖)의 하나가 됨.
중국>송 , 중국 , 인명>기타인명>도사
-
갈재(葛齋) - 이최영(李最英)
조선 후기의 유학. 본관은 경주(慶州). 이상연(李尙堧)의 아들이며, 이진영(李震英)의 아우.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문사>유학
-
갈정(葛亭) - 성석인(成石因)
고려 우왕(禑王)~조선 태종(太宗) 때의 문신. 성여완(成汝完)의 아들이며, 성석린(成石璘)ㆍ성석용(成石瑢)의 아우로, 고려 때 경연강독관(經筵講讀官) 등을 지내고 조선 건국 후 예조 판서(禮曹判書) 등을 지냄.
?~1414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창녕 , 인명>관인>문신
-
갈천(葛川)@임훈 - 임훈(林薰)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효행(孝行)으로 천거되어 장악원 정(掌樂院正) 등을 지내고, 1582년(선조 15)에 장례원 판결사(掌隸院判決事)에 임명되었으나 사퇴하고 낙향함.
1500~1584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음 , 인명>기타인명>효자ㅣ인명>관인>문신
-
갈천망인(葛川妄人) - 임운(林芸)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은진(恩津)으로, 이황(李滉)의 문인. 경사(經史)를 비롯한 여러 학문에 뛰어나고, 형 임훈(林薰)과 함께 효행으로 고향에 정문(旌門)이 세워짐.
1517~1572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음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갈천선(葛川仙) - 임운(林芸)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은진(恩津)으로, 이황(李滉)의 문인. 경사(經史)를 비롯한 여러 학문에 뛰어나고, 형 임훈(林薰)과 함께 효행으로 고향에 정문(旌門)이 세워짐.
1517~1572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음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갈천선생문집(葛川先生文集) - 갈천집(葛川集)
조선 전기의 문신ㆍ학자 임훈(林薰)의 문집. 4권 2책으로 구성. 송시열(宋時烈)이 서문을 썼고, 정여창(鄭汝昌)의 사당을 건립한 경위를 적은 사당기(祠堂記)가 있음.
1665 한국>조선후기 , 문헌>서명
-
갈충효성병기익명영사공신(竭忠效誠炳幾翊命寧社功臣) - 영사공신(寧社功臣)
조선 인조(仁祖) 6년에 유효립(柳孝立)의 모반(謀叛)을 고한 신하들에게 내린 훈호(勳號).
1628 한국>조선후기 , 서울 , 법제>제도
-
갈충효성영사공신(竭忠效誠寧社功臣) - 영사공신(寧社功臣)
조선 인조(仁祖) 6년에 유효립(柳孝立)의 모반(謀叛)을 고한 신하들에게 내린 훈호(勳號).
1628 한국>조선후기 , 서울 , 법제>제도
-
갈충효성익명영사공신(竭忠效誠翊命寧社功臣) - 영사공신(寧社功臣)
조선 인조(仁祖) 6년에 유효립(柳孝立)의 모반(謀叛)을 고한 신하들에게 내린 훈호(勳號).
1628 한국>조선후기 , 서울 , 법제>제도
-
갈치천(葛稚川) - 갈홍(葛洪)
중국 남북조시대 진(晉) 나라의 학자ㆍ도사. 정은(鄭隱)에게 선도(仙道)를 배움. 관내후(關內侯) 등의 관직을 지내다가 물러나 나부산(羅浮山)에 들어가 저술과 연단(煉丹)에 전념함. 저서에 《포박자(抱朴子)》ㆍ《신선전(神仙傳)》이 있음.
283~343?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기타인명>도사ㅣ인명>문사>학자
-
감(勘) - 김감(金勘)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연안(延安). 김원신(金元臣)의 아들로, 중종반정(中宗反正)에 가담하여 연창부원군(延昌府院君)에 봉해짐.
1466~1509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연안 , 인명>관인>문신
-
감(堪) - 유감(柳堪)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전주(全州). 이조 정랑(吏曹正郞) 시절 《무정보감(武定寶鑑)》의 간행을 반대하여 파직되었다가, 윤원형(尹元衡) 실각 후 사복시 정(司僕寺正) 등을 역임하였으며, 《명종실록(明宗實錄)》 편찬에 참여함.
1514~1569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관인>문신
-
감(堪)@이길안의아들 - 이감(李堪)@이길안의아들
조선 세조(世祖)~연산군(燕山君) 때의 종친. 본관은 경주(慶州). 이길안(李吉安)의 아들로, 전주 부윤(全州府尹) 등을 지내고, 이륙(李陸)ㆍ홍귀달(洪貴達)ㆍ성현(成俔) 등과 교유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경주 , 인명>왕실>종친
-
감(堪)@이강의아들 - 이감(李堪)@이강의아들
조선 전기의 종친. 본관은 전주(全州). 성종(成宗)의 아들인 회산군(檜山君) 이염(李恬)의 증손이며, 의성부정(義城副正) 이강(李鋼)의 맏아들.
1556~?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감(堪)@윤감 - 윤감(尹堪)
조선 후기의 문신. 본관은 남원(南原). 내암(來庵) 정인홍(鄭仁弘)ㆍ고봉(高峯) 기대승(奇大升) 등과 교유하였으며, 《내암집(來庵集)》에 그에 대한 전기가 실려 있음.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남원 , 인명>관인>문신
-
감(戡)@이감 - 이감(李戡)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우계(羽溪)로, 참판(參判) 이광식(李光軾)의 아들. 윤원형(尹元衡)ㆍ이량(李樑) 등과 결탁하여 기대승(奇大升)ㆍ허엽(許曄) 등 사림(士林)을 공격하는 데 가담하였으며, 대사헌(大司憲)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강원도>강릉 , 인명>관인>문신
-
감(戡) - 공감(孔戡)
중국 당(唐) 나라 헌종(憲宗) 때의 문신. 공잠보(孔岑父)의 아들로, 공자(孔子)의 38대 손(孫). 대리평사(大理評事)를 지냈으며, 사훈원외랑(司勳員外郞)에 추증되었음. 한유(韓愈)가 지은 묘지(墓誌)가 있음.
754~810 중국>당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감(敢) - 박감(朴敢)
조선 전기의 유학. 모재(慕齋) 김안국(金安國)의 문인(門人)으로, 《모재집(慕齋集》에 권은(權殷)ㆍ박수춘(朴壽椿) 등과 함께 김안국으로부터 받은 자(字)에 대한 〈자설(字說)〉이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유학
-
감(瑊) - 권감(權瑊)
조선 세종(世宗)~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 남이(南怡)를 제거하고 예종(睿宗)의 즉위를 도운 공으로 익대공신(翊戴功臣)에 책록되었으며, 1471년(성종 2) 좌리공신(佐理功臣)에 책록된 뒤 병조 판서(兵曹判書) 등을 지냈음.
1423~1487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감(瑊)@이귀손의손자 - 이감(李瑊)@이계손의아들
조선 전기의 종친. 정종(定宗)의 넷째 서자인 선성군(宣城君) 이무생(李茂生)의 증손이며, 풍무령(豊茂令) 이계손(李繼孫)의 아들.
?~1549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감(瑊)@김감 - 김감(金瑊)
조선 연산군(燕山君)~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광산(光山). 1504년(연산군 10)에 식년시(式年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공조 참의(工曹參議)를 지냄.
1476~1538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광산 , 인명>관인>문신
-
감(瑊)@이집의아들 - 이감(李瑊)@이집의아들
조선 전기의 종친. 본관은 전주(全州). 희안수(喜安守) 이집(李輯)의 아들이며, 의정부 사인(議政府舍人) 이성중(李誠中)ㆍ예조 정랑(禮曹正郞) 이경중(李敬中)ㆍ사간원 헌납(司諫院獻納) 이양중(李養中)의 아버지.
1515~1559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감(鑑) - 이감(李鑑)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전주(全州). 남양도호부사(南陽都護府使) 이경충(李景忠)의 아들로, 1543년(중종 38) 생원시(生員試)에 입격하였으며, 군수(郡守)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감곡(鑑谷) - 이여빈(李汝馪)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학자. 본관은 우계(羽溪). 참봉(參奉) 이효신(李孝信)의 아들이며 한우(韓佑)의 문인. 계축화옥(癸丑禍獄) 때 인목대비(仁穆大妃) 폐위를 주장하는 정인홍(鄭仁弘)과 이이첨(李爾瞻)을 비판하는 상소문을 올림.
1556~1631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영천(榮川) , 인명>문사>학자
-
감마랄(甘麻刺) - 현종(顯宗)@원
중국 원(元) 나라의 추존왕. 태정제(泰定帝)의 아버지이며, 고려 충선왕(忠宣王)의 비(妃)인 계국대장공주(薊國大長公主)의 아버지.
1263~1302 중국>원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감문(甘文) - 개령(開寧)
경상북도 김천시(金泉市) 및 구미시(龜尾市) 일부 지역의 통일신라시대 이후의 고을 이름.
경상도>개령 , 지명>행정지명
-
감봉(紺峯) - 감악산(紺岳山)
경기도 파주(坡州)와 양주(楊州) 사이에 있는 산 이름. 예부터 바위 사이로 검은빛과 푸른빛이 동시에 흘러나온다 하여 감색바위라고 함. 이 일대는 광활한 평야지대로 삼국시대부터 전략적 요충지임.
경기도>파주ㅣ경기도>양주 , 지명>자연지명
-
감산당사부고(弇山堂四部稿) - 엄주산인사부고(弇州山人四部稿)
중국 명(明) 나라 세종(世宗)~신종(神宗) 때의 문신ㆍ문인ㆍ학자인 왕세정(王世貞)의 최초의 시문집. 부부(賦部)ㆍ시부(詩部)ㆍ문부(文部)ㆍ설부(說部)로 구성되어 있으며, 1577년 세경당(世經堂)에서 판각함.
1577 중국>명 , 중국 , 문헌>서명
-
감수(鑑水) - 감호(鑑湖)
강원도 고성(高城)에 있는 호수 이름.
강원도>고성 , 지명>자연지명
-
감수재(感樹齋) - 박여량(朴汝樑)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본관은 삼척(三陟)으로, 졸재(拙齋) 노상(盧祥)의 문인. 정인홍(鄭仁弘)ㆍ정온(鄭蘊)ㆍ오장(吳長)ㆍ박이장(朴而章) 등과 교유하고, 지평(持平)ㆍ문학(文學) 등을 지냄.
1554~1611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함양 , 인명>관인>문신
-
감시(監試) - 국자감시(國子監試)
고려시대 국자감에서 실시한 예부시(禮部試)의 예비시험. 제술과(製述科)ㆍ명경과(明經科)로 이루어지며, 급제하면 진사(進士)가 되어 예부시에 응시할 자격이 주어짐.
1031 한국>고려전기 , 법제>제도
-
감시(監試)@사마시 - 사마시(司馬試)
조선시대의 과거 제도의 하나. 생원시(生員試)와 진사시(進士試)로 구성되는데, 생원시는 오경의(五經義)와 사서의(四書疑)의 제목으로 유교 경전에 관한 지식을, 진사시는 부(賦)와 시(詩)의 제목으로 문예 창작의 재능을 시험함. 초시(初試)와 복시(覆試)로 진행되고, 대과(大科)를 볼 수 있는 자격이 부여됨.
1393 한국>조선시대 , 법제>제도
-
감악(紺岳) - 감악산(紺岳山)
경기도 파주(坡州)와 양주(楊州) 사이에 있는 산 이름. 예부터 바위 사이로 검은빛과 푸른빛이 동시에 흘러나온다 하여 감색바위라고 함. 이 일대는 광활한 평야지대로 삼국시대부터 전략적 요충지임.
경기도>파주ㅣ경기도>양주 , 지명>자연지명
-
감음(感陰) - 안음(安陰)
경상도 함양(咸陽)과 거창(居昌)의 일부 지역을 관장했던 조선 전기의 행정구역명.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음 , 지명>행정지명
-
감자씨(甘蔗氏) - 석가(釋迦)
B.C.6~B.C.4세기경 인도(印度)에서 활동한 불교의 창시자. 정반왕(淨飯王)의 아들로, 29세에 출가하여 6년 동안의 고행 끝에 깨달음을 얻은 후 인도 각지를 다니며 포교 활동을 함.
B.C.563?~B.C.483? 고대 , 기타지역 , 인명>기타인명>성현ㅣ인명>왕실>왕자
-
감주(甘州) - 개령(開寧)
경상북도 김천시(金泉市) 및 구미시(龜尾市) 일부 지역의 통일신라시대 이후의 고을 이름.
경상도>개령 , 지명>행정지명
-
감지(勘之) - 송세감(宋世勘)
조선 중종(中宗) 때의 유학. 본관은 은진(恩津). 자산 군수(慈山郡守) 송여림(宋汝霖)의 아들로, 1513년(중종 8) 생원시(生員試)에 입격함.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회덕 , 인명>문사>유학
-
감지선사(鑑智禪師) - 승찬(僧璨)
중국 남북조시대 서위(西魏)~수(隋) 나라 때의 선승(禪僧). 중국 선종의 삼조(三祖)로, 이조(二祖) 혜가(慧可)에게서 법을 이어받은 후 도신(道信)에게 법을 전함.
?~606 중국>수ㅣ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종교인>승려
-
감찬(邯贊) - 강감찬(姜邯贊)
고려 성종(成宗)~현종(顯宗) 때의 문신. 거란의 소배압(蕭排押)이 이끄는 10만 대군을 흥화진(興化鎭)ㆍ귀주(龜州)에서 크게 격파함. 이부 상서(吏部尙書)ㆍ문하시중(門下侍中)을 지냄.
948~1031 한국>고려전기 , 경기도>금천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감찰규정(監察糾正) - 규정(糾正)
고려 성종(成宗) 때 처음 설치한 사헌부(司憲府)에 속했던 관직. 대관(臺官)의 일원으로서 백관(百官)의 규찰(糾察)과 제사(祭祀)ㆍ조회(朝會) 및 전곡(錢穀)의 출납 등을 감찰함.
995 한국>고려시대 , 법제>관직
-
감찰내사(監察內史) - 규정(糾正)
고려 성종(成宗) 때 처음 설치한 사헌부(司憲府)에 속했던 관직. 대관(臺官)의 일원으로서 백관(百官)의 규찰(糾察)과 제사(祭祀)ㆍ조회(朝會) 및 전곡(錢穀)의 출납 등을 감찰함.
995 한국>고려시대 , 법제>관직
-
감찰사(監察史) - 규정(糾正)
고려 성종(成宗) 때 처음 설치한 사헌부(司憲府)에 속했던 관직. 대관(臺官)의 일원으로서 백관(百官)의 규찰(糾察)과 제사(祭祀)ㆍ조회(朝會) 및 전곡(錢穀)의 출납 등을 감찰함.
995 한국>고려시대 , 법제>관직
-
감찰사(監察司) - 사헌부(司憲府)
고려 및 조선시대에 정치에 대한 언론 활동, 풍속의 교정, 백관(百官)에 대한 규찰과 탄핵, 서경(署經) 등을 담당한 관청.
한국>조선시대ㅣ한국>고려시대 , 법제>관청
-
감찰사헌(監察司憲) - 규정(糾正)
고려 성종(成宗) 때 처음 설치한 사헌부(司憲府)에 속했던 관직. 대관(臺官)의 일원으로서 백관(百官)의 규찰(糾察)과 제사(祭祀)ㆍ조회(朝會) 및 전곡(錢穀)의 출납 등을 감찰함.
995 한국>고려시대 , 법제>관직
-
감찰어사(監察御史) - 규정(糾正)
고려 성종(成宗) 때 처음 설치한 사헌부(司憲府)에 속했던 관직. 대관(臺官)의 일원으로서 백관(百官)의 규찰(糾察)과 제사(祭祀)ㆍ조회(朝會) 및 전곡(錢穀)의 출납 등을 감찰함.
995 한국>고려시대 , 법제>관직
-
감천(甘泉) - 담약수(湛若水)
중국 명(明) 나라의 학자. 양명학(陽明學)을 이룩한 왕수인(王守仁)의 도우(道友). 진헌장(縝獻章)의 영향을 받아, 치양지설(致良知說)을 내세우는 왕수인(王守仁)과 논난(論難)하여 양보하는 일이 없었음.
1466~1560 중국>명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감파(甘波) - 주(酒)
술. 누룩을 빚어 만든 음료의 총칭(總稱). 전설상에 두강(杜康)과 의적(儀狄)이 처음으로 만들었다 함.
물품>식약품>음료
-
감파(紺坡) - 최유해(崔有海)
조선 광해군(光海君)~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해주(海州). 1624년(인조 2) 안변 부사(安邊府使) 시절 명(明) 나라의 모문룡(毛文龍)에게 군량을 공급함. 지방관으로 재직하면서 선정을 베풀어 곳곳에 송덕비(頌德碑)가 세워지고, 의약ㆍ복서ㆍ천문에 밝음.
1587~1641 한국>조선후기 , 황해도>해주 , 인명>관인>문신
-
감파문집(紺坡文集) - 감파집(紺坡集)
조선 인조(仁祖) 때의 문신인 최유해(崔有海)의 문집.
한국>조선후기 , 문헌>서명
-
감헌(酣軒) - 박진(朴震)
조선 세종(世宗) 때의 문신. 본관은 밀양(密陽). 성균관 전적(成均館典籍)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밀양 , 인명>관인>문신
-
감호(鑑湖)@경호 - 경호(鏡湖)
중국 절강성(浙江省) 회계산(會稽山)에 있는 호수 이름. 물이 거울처럼 잔잔하다 하여 붙여진 이름.
중국 , 지명>자연지명
-
감호(鑑湖)@하지장 - 하지장(賀知章)
중국 당(唐) 현종(玄宗) 때의 시인ㆍ문신. 비서감(秘書監) 등을 역임하였으며, 문사(文辭)에 능하고 특히 초서(草書)를 잘 썼음. 성격이 호탕하고 음주를 좋아하여 이백(李白)과 친하게 지냈으며, 만년에 도사(道士)가 되어 고향으로 돌아감.
659~744 중국>당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감호(鑑湖)@경포 - 경포(鏡浦)
강원도 강릉(江陵)에 있는 고을 이름. 관동(關東)의 명승지로, 경포호(鏡浦湖)에는 송시열(宋時烈)이 쓴 조암(鳥岩)이라는 글씨가 남아 있음.
강원도>강릉 , 지명>행정지명
-
감호자(鑑湖子) - 오건(吳健)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학자ㆍ문신. 본관은 함양(咸陽). 조식(曺植)ㆍ김인후(金麟厚)ㆍ이황(李滉)의 문인으로, 이조 좌랑으로 있으면서 춘추관 기사관을 겸하여 《명종실록(明宗實錄)》의 편찬에 참여함.
1521~1574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산음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감화상(鑑和尙) - 식영(息影)
고려 후기의 승려. 선원사(禪源寺)에서 보각국사(普覺國師) 혼수(混脩)에게 능엄경(楞嚴經)을 가르침. 시문(詩文)에 조예가 깊고, 사대부들과 교류가 많았음.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인천 , 인명>종교인>승려ㅣ인명>문사>문인
-
갑(㝓) - 이합(李㝓)
조선 전기의 종친. 태종(太宗)의 둘째 아들인 효령대군(孝寧大君)의 아들로, 1468년(세조 14) 남이(南怡)를 국문하던 중 그와 교분이 두터웠던 사실이 드러나 군호(君號)를 삭탈당하고 유배되었다가 이듬해 풀려나 고신(告身)을 환급받음.
1410~?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종친
-
갑눌(甲訥) - 김갑눌(金甲訥)
조선 전기의 유학. 홍귀달(洪貴達)과 교유하여 한때 홍귀달이 그의 집에 기거하기도 함.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유학
-
갑대량곡(甲大良谷) - 기장(機張)
경상도 동래(東萊)에 있는 고을 이름. 신라 때 갑화양곡현(甲火良谷縣)이라고 하다가 기장으로 변경되었으며, 이 고을에 있는 백운산(白雲山)에 고승 원효(元曉)의 유적(遺跡)이 전함.
경상도>동래 , 지명>행정지명
-
갑산군(甲山郡) - 갑산(甲山)
함경도 북동쪽에 위치한 고을 이름. 군사요충지로서 1356년(공민왕 5)에 고려 땅으로 수복됨. 산간벽지여서 유배지로 알려져 있음.
함경도>갑산 , 지명>행정지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