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갑선(甲先) - 정갑선(鄭甲先)
조선 전기의 무신. 본관은 경주(慶州). 무신 정내(鄭鼐)의 아버지로, 선략장군(宣略將軍)에 이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경주 , 인명>관인>무신
-
갑손(甲孫) - 정갑손(鄭甲孫)
조선 태종(太宗)~문종(文宗) 때의 문신. 본관은 동래(東萊)로, 중추원사(中樞院使)를 지낸 정흠지(鄭欽之)의 아들. 1417년(태종 17) 식년시(式年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지형조사(知刑曹事)ㆍ좌참찬(左參贊) 등을 지냄.
?~1451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동래 , 인명>관인>문신
-
갑술경화(甲戌更化) - 갑술환국(甲戌換局)
조선 숙종(肅宗) 20년에 당시 집권층인 남인(南人)이 인현왕후(仁顯王后)의 복위를 꾀하던 서인(西人)을 제거하려다가 오히려 실각한 사건. 이 사건을 계기로 남인은 와해되고 서인이 집권하게 되었으며, 기사환국(己巳換局)으로 왕비가 된 장씨(張氏)는 다시 희빈(禧嬪)으로 강등됨.
1694 한국>조선후기 , 사건>사화
-
갑술옥사(甲戌獄事) - 갑술환국(甲戌換局)
조선 숙종(肅宗) 20년에 당시 집권층인 남인(南人)이 인현왕후(仁顯王后)의 복위를 꾀하던 서인(西人)을 제거하려다가 오히려 실각한 사건. 이 사건을 계기로 남인은 와해되고 서인이 집권하게 되었으며, 기사환국(己巳換局)으로 왕비가 된 장씨(張氏)는 다시 희빈(禧嬪)으로 강등됨.
1694 한국>조선후기 , 사건>사화
-
갑오(甲午) - 장후(莊侯)
중국 춘추전국시대 채(蔡) 나라의 제후. 재위 B.C.645~B.C.612. 무후(繆侯)의 아들이자 문후(文侯)의 아버지.
?~B.C.612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왕실>제후
-
갑을경(甲乙經) - 황제삼부침구갑을경(黃帝三部針灸甲乙經)
중국 남북조시대 진(晉) 나라의 학자인 황보밀(皇甫謐)이 지은 침구서. 가장 오래된 침구 전문서임.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문헌>서명
-
갑자난(甲子難) - 이괄지란(李适之亂)
조선 인조(仁祖) 2년에 평안 병사(平安兵使) 이괄(李适)이 인조반정(仁祖反正)의 논공행상(論功行賞)에 불만을 품고 일으킨 반란. 정묘호란(丁卯胡亂)의 명분을 제공함.
1624 한국>조선후기 , 평안도>영변 , 사건>역모
-
갑자난리(甲子亂離) - 갑자사화(甲子士禍)
조선 연산군(燕山君) 10년에 연산군의 생모 윤씨(尹氏)의 복위(復位) 문제가 발단이 되어 일어난 사화. 수많은 명신 거유(名臣巨儒)들이 화를 당하였음.
1504 한국>조선전기 , 사건>사화
-
갑자란(甲子亂) - 이괄지란(李适之亂)
조선 인조(仁祖) 2년에 평안 병사(平安兵使) 이괄(李适)이 인조반정(仁祖反正)의 논공행상(論功行賞)에 불만을 품고 일으킨 반란. 정묘호란(丁卯胡亂)의 명분을 제공함.
1624 한국>조선후기 , 평안도>영변 , 사건>역모
-
갑자사화(甲子史禍) - 갑자사화(甲子士禍)
조선 연산군(燕山君) 10년에 연산군의 생모 윤씨(尹氏)의 복위(復位) 문제가 발단이 되어 일어난 사화. 수많은 명신 거유(名臣巨儒)들이 화를 당하였음.
1504 한국>조선전기 , 사건>사화
-
갑자옥(甲子獄) - 갑자사화(甲子士禍)
조선 연산군(燕山君) 10년에 연산군의 생모 윤씨(尹氏)의 복위(復位) 문제가 발단이 되어 일어난 사화. 수많은 명신 거유(名臣巨儒)들이 화를 당하였음.
1504 한국>조선전기 , 사건>사화
-
갑자옥(甲子獄)@이괄지란 - 이괄지란(李适之亂)
조선 인조(仁祖) 2년에 평안 병사(平安兵使) 이괄(李适)이 인조반정(仁祖反正)의 논공행상(論功行賞)에 불만을 품고 일으킨 반란. 정묘호란(丁卯胡亂)의 명분을 제공함.
1624 한국>조선후기 , 평안도>영변 , 사건>역모
-
갑자재화(甲子再禍) - 갑자사화(甲子士禍)
조선 연산군(燕山君) 10년에 연산군의 생모 윤씨(尹氏)의 복위(復位) 문제가 발단이 되어 일어난 사화. 수많은 명신 거유(名臣巨儒)들이 화를 당하였음.
1504 한국>조선전기 , 사건>사화
-
갑자지난(甲子之難) - 이괄지란(李适之亂)
조선 인조(仁祖) 2년에 평안 병사(平安兵使) 이괄(李适)이 인조반정(仁祖反正)의 논공행상(論功行賞)에 불만을 품고 일으킨 반란. 정묘호란(丁卯胡亂)의 명분을 제공함.
1624 한국>조선후기 , 평안도>영변 , 사건>역모
-
갑자지란(甲子之亂) - 이괄지란(李适之亂)
조선 인조(仁祖) 2년에 평안 병사(平安兵使) 이괄(李适)이 인조반정(仁祖反正)의 논공행상(論功行賞)에 불만을 품고 일으킨 반란. 정묘호란(丁卯胡亂)의 명분을 제공함.
1624 한국>조선후기 , 평안도>영변 , 사건>역모
-
갑자지옥(甲子之獄) - 갑자사화(甲子士禍)
조선 연산군(燕山君) 10년에 연산군의 생모 윤씨(尹氏)의 복위(復位) 문제가 발단이 되어 일어난 사화. 수많은 명신 거유(名臣巨儒)들이 화를 당하였음.
1504 한국>조선전기 , 사건>사화
-
갑자지옥(甲子之獄)@이괄지란 - 이괄지란(李适之亂)
조선 인조(仁祖) 2년에 평안 병사(平安兵使) 이괄(李适)이 인조반정(仁祖反正)의 논공행상(論功行賞)에 불만을 품고 일으킨 반란. 정묘호란(丁卯胡亂)의 명분을 제공함.
1624 한국>조선후기 , 평안도>영변 , 사건>역모
-
갑자지화(甲子之禍) - 갑자사화(甲子士禍)
조선 연산군(燕山君) 10년에 연산군의 생모 윤씨(尹氏)의 복위(復位) 문제가 발단이 되어 일어난 사화. 수많은 명신 거유(名臣巨儒)들이 화를 당하였음.
1504 한국>조선전기 , 사건>사화
-
갑자화(甲子禍) - 갑자사화(甲子士禍)
조선 연산군(燕山君) 10년에 연산군의 생모 윤씨(尹氏)의 복위(復位) 문제가 발단이 되어 일어난 사화. 수많은 명신 거유(名臣巨儒)들이 화를 당하였음.
1504 한국>조선전기 , 사건>사화
-
갑조(甲祚) - 송갑조(宋甲祚)
조선 광해군(光海君)~인조(仁祖) 때의 문신. 송시열(宋時烈)의 아버지로, 광해군 때 서궁(西宮)에 유폐된 인목대비(仁穆大妃)를 배알하였다가 유적(儒籍)에서 삭제되었으며, 인조반정(仁祖反正) 후 경기전 참봉(慶基殿參奉) 등을 지냄.
1574~1628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은진 , 인명>관인>문신
-
갑주(甲州) - 갑산(甲山)
함경도 북동쪽에 위치한 고을 이름. 군사요충지로서 1356년(공민왕 5)에 고려 땅으로 수복됨. 산간벽지여서 유배지로 알려져 있음.
함경도>갑산 , 지명>행정지명
-
갑화양곡현(甲火良谷縣) - 기장(機張)
경상도 동래(東萊)에 있는 고을 이름. 신라 때 갑화양곡현(甲火良谷縣)이라고 하다가 기장으로 변경되었으며, 이 고을에 있는 백운산(白雲山)에 고승 원효(元曉)의 유적(遺跡)이 전함.
경상도>동래 , 지명>행정지명
-
강(剛) - 신강(申剛)
조선 전기의 문인. 주세붕(周世鵬)과 교유하여 서호(西湖)에서 수작한 일이 《무릉잡고(武陵雜稿)》에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문인
-
강(岡) - 반강(潘岡)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광주(光州). 유학 반서린(潘瑞麟)의 아버지로, 경성 판관(鏡城判官)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광산 , 인명>관인>문신
-
강(岡)@이강 - 이강(李岡)
고려 공민왕(恭愍王) 때의 문신. 본관은 고성(固城). 이암(李嵒)의 아들로, 죽은 후 관례를 깨고 특별히 시호를 받았으며, 이색(李穡)의 《목은집(牧隱集)》에 그의 묘지명(墓誌銘)이 실려 있음.
1333~1368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고성 , 인명>관인>문신
-
강(康) - 하소(何劭)
중국 남북조시대 진(晉) 나라의 문신. 하증(何曾)의 아들로, 젊은 시절 훗날 무제(武帝)가 된 사마염(司馬炎)과 친하게 지냈으며, 진 나라 개국 후 태자태사(太子太師) 등을 지냄. 박학(博學)하고 속문(屬文)을 잘하였으나 매우 교만하고 사치를 부림.
?~301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강(康)@고려 - 한강(韓康)@고려
고려 고종(高宗)~충렬왕(忠烈王) 때의 문신. 본관은 청주(淸州). 충렬왕 때 성절사(聖節使)로 원(元) 나라에 다녀오고, 첨의중찬(僉議中贊) 등을 지냈으며, 원부(元傅) 등과 함께 《고금록(古今錄)》을 편찬함.
?~1303 한국>고려후기 , 충청도>청주 , 인명>관인>문신
-
강(康)@후한 - 한강(韓康)@후한
중국 후한(後漢)의 은자. 30여 년 동안 명산(名山)의 약초를 캐다가 장안(長安) 시장에서 늘 똑같은 값으로 팔면서 흥정을 허락하지 않았는데, 이름이 세간에 알려지자 패릉산(霸陵山)에 은거함.
중국>후한 , 중국 , 인명>기타인명>은자
-
강(橿) - 허강(許橿)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학자. 본관은 양천(陽川). 좌찬성(左贊成)을 지낸 허자(許磁)의 아들로, 정작(鄭碏)ㆍ이지함(李之菡)ㆍ양사언(楊士彦) 등과 교계(交契)가 깊었음. 미수(眉叟) 허목(許穆)의 조부.
1520~1592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양천 , 인명>문사>학자
-
강(江) - 최강(崔江)
고려 후기의 유학. 초명은 지(潪)이고 강(江)으로 개명함. 이곡(李穀)이 새 이름에 대한 자(字)를 심보(深父)로 지어 줌.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경주 , 인명>문사>유학
-
강(絳) - 유강(兪絳)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기계(杞溪)로, 예조 판서 유여림(兪汝霖)의 아들. 명종(明宗) 때 첨지중추부사(僉知中樞府事)로서 사은사(謝恩使)가 되어 명(明) 나라에 다녀오고, 평안도 관찰사(平安道觀察使)ㆍ호조 판서(戶曹判書) 등을 지냄.
1510~1570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강(綱)@이순언의아들 - 이강(李綱)@이순언의아들
조선 중중(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광주(廣州). 음사(蔭仕)로 음죽 현감(陰竹縣監) 등을 지내고, 벼슬에서 물러난 후 김안국(金安國)과 내왕하며 은사(隱士)로서 여생을 보냄.
1479~1523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이천 , 인명>관인>문신
-
강(綱)@송 - 이강(李綱)@송
중국 송(宋) 나라의 문신. 금(金) 나라와의 화친을 반대한 주전론자(主戰論者)로서 송 나라의 국력을 신장시키고자 노력하였으며, 금 나라 군대를 공격하다가 화친 조약을 어겼다는 죄목으로 파직당함.
1083~1140 중국>송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강(薑) - 박강(朴薑)
조선 세종(世宗)~세조(世祖) 때의 문신. 본관은 반남(潘南). 좌의정 박은(朴訔)의 아들로, 대호군(大護軍) 등 여러 관직을 거치고, 세조 즉위에 공을 세워 좌익공신(佐翼功臣)에 책록됨.
?~1460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나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강(鋼) - 심강(沈鋼)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청송(靑松). 명종의 장인으로 청릉부원군(靑陵府院君)에 봉해지고, 오위도총부 도총관(五衛都摠府都摠管)을 지냄.
1514~1567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ㅣ인명>왕실>인척
-
강(鋼)@조선 - 이강(李鋼)@조선
조선 전기의 종친. 세종(世宗)의 다섯 번째 서자인 밀성군(密城君) 이침(李琛)의 손자로, 이방석(李芳碩)의 계후(繼後)가 된 숙부 춘성군(春城君) 이당(李譡)의 후사를 이었음.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강(鋼)@이수계의아들 - 이강(李鋼)@이수계의아들
조선 전기의 종친. 성종(成宗)의 아들인 회산군(檜山君) 이염(李恬)의 손자이며 계산군(桂山君) 이수계(李壽誡)의 둘째 아들. 또한 경력(經歷)을 지낸 한여필(韓汝弼)의 사위이며, 한백겸(韓百謙)의 고모부. 휴암(休菴) 백인걸(白仁傑)의 문하에서 수학함.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강간(剛簡) - 노종도(魯宗道)
중국 송(宋) 나라 진종(眞宗)~인종(仁宗) 때의 문신. 명신인 여희철(呂希哲)의 외할아버지로, 정직함으로 인해서 노직(魯直)이라 불리기도 하고 어두참정(魚頭參政)이라 불리기도 함.
966~1029 중국>송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강감찬낙성대(姜邯贊落星垈) - 낙성대(落星垈)
고려 현종(顯宗) 때 문신인 강감찬(姜邯贊)의 사당. 강감찬의 출생지로, 그가 출생할 당시 별이 떨어졌다고 하여 붙여진 이름. 현재 서울시 관악구 봉천동에 위치하며, 그의 공적을 기리는 삼층 석탑이 있음.
한국>고려전기 , 경기도>금천 , 유적>건물>사당
-
강개암(姜介庵) - 강익(姜翼)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학자. 본관은 진주(晉州)로, 조식(曺植)의 문인. 1566년(명종 21) 영남 유생 33인의 소두(疏頭)로 정여창(鄭汝昌)을 제향한 함양의 남계서원(灆溪書院)에 사액을 청하여 성사시킴, 학행으로 추천되어 소격서 참봉(昭格署參奉)을 지냄.
1523~1567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함양 , 인명>문사>학자
-
강경(康敬) - 홍빈(洪彬)
고려 충숙왕(忠肅王)~공민왕(恭愍王) 때의 문신. 본관은 남양(南陽). 참소로 인해 충숙왕과 충혜왕(忠惠王)이 원(元) 나라에 압송되었을 때 그 억울함을 변호하여 귀국 후 공신(功臣)에 책록되고, 우정승(右政丞) 등을 지냄.
1288~1353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남양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강경순(姜景醇) - 강희맹(姜希孟)
조선 세종(世宗)~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진주(晉州)로, 지돈녕부사 강석덕(姜碩德)의 아들. 뛰어난 문장가로, 경사(經史)와 전고(典故)에 통달하고 산수화에도 능함. 저서에 《금양잡록(衿陽雜錄)》ㆍ《사숙재집(私淑齋集)》 등이 있음.
1424~1483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진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강계군(江界郡) - 강계(江界)
평안도 북동쪽에 있는 고을 이름. 고구려ㆍ발해의 땅이었다가 발해 멸망 후 거란ㆍ여진이 분산 거주한 것을, 1361년(공민왕 10)에 고려의 땅으로 수복함. 방어의 요충지.
평안도>강계 , 지명>행정지명
-
강계도호부(江界都護府) - 강계(江界)
평안도 북동쪽에 있는 고을 이름. 고구려ㆍ발해의 땅이었다가 발해 멸망 후 거란ㆍ여진이 분산 거주한 것을, 1361년(공민왕 10)에 고려의 땅으로 수복함. 방어의 요충지.
평안도>강계 , 지명>행정지명
-
강계루인(江界纍人) - 정철(鄭澈)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ㆍ시인. 본관은 연일(延日). 판관(判官)을 지낸 정유침(鄭惟沈)의 아들이며, 기대승(奇大升)의 문인(門人). 예조 판서(禮曹判書)ㆍ대사간(大司諫)을 지냈고, 가사문학의 대가로 국문학에 크게 공헌함.
1536~1593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창평ㅣ경기도>강화ㅣ서울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강계면(江界面) - 강계(江界)
평안도 북동쪽에 있는 고을 이름. 고구려ㆍ발해의 땅이었다가 발해 멸망 후 거란ㆍ여진이 분산 거주한 것을, 1361년(공민왕 10)에 고려의 땅으로 수복함. 방어의 요충지.
평안도>강계 , 지명>행정지명
-
강계부(江界府) - 강계(江界)
평안도 북동쪽에 있는 고을 이름. 고구려ㆍ발해의 땅이었다가 발해 멸망 후 거란ㆍ여진이 분산 거주한 것을, 1361년(공민왕 10)에 고려의 땅으로 수복함. 방어의 요충지.
평안도>강계 , 지명>행정지명
-
강계읍(江界邑) - 강계(江界)
평안도 북동쪽에 있는 고을 이름. 고구려ㆍ발해의 땅이었다가 발해 멸망 후 거란ㆍ여진이 분산 거주한 것을, 1361년(공민왕 10)에 고려의 땅으로 수복함. 방어의 요충지.
평안도>강계 , 지명>행정지명
-
강고(江皐) - 유심춘(柳尋春)
조선 정조(正祖)~철종(哲宗) 때의 문신. 본관은 풍산(豊山). 유광수(柳光洙)의 아들로, 유발(柳潑)에게 출계함. 평소 《주자대전(朱子大全)》을 탐독하여 성리학에 조예가 깊고 시문(詩文)에도 능함.
1762~1834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강고산(姜高山) - 강한(姜漢)
조선 성종(成宗)~명종(明宗) 때의 문신ㆍ학자ㆍ서예가. 본관은 진주(晉州). 학행과 뛰어나고 필법(筆法)이 정묘했으며, 모재(慕齋) 김안국(金安國)과 교유함. 문하(門下)에서 정옥견(鄭玉堅)ㆍ권오복(權五福)ㆍ정사룡(鄭士龍) 등이 배출되었음.
1454~?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산음ㅣ서울 , 인명>예술인>서화가ㅣ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강곡(康谷) - 강왕곡(康王谷)
중국 강서성(江西省) 최북단에 있는 여산(廬山)의 계곡 이름. 당(唐) 나라 육우(陸羽)의 《다경(茶經)》 3편에서 강왕곡의 수렴천(水簾泉)이 차를 끊여 마시기에 가장 좋은 물이라고 평가함.
중국 , 지명>자연지명
-
강광(姜光) - 장공(莊公)@춘추전국(제)
중국 춘추전국시대 제(齊) 나라의 제후. 재위 B.C.553~B.C.548. 영공(靈公)의 아들로, 대부 최저(崔杼)에게 시해(弑害) 당함.
?~B.C.548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왕실>제후
-
강광(康光) - 귤강광(橘康廣)
일본 도산시대(桃山時代)의 문신. 풍신수길(豊臣秀吉)의 명으로 일본국 왕사(日本國王使)가 되어 1587년(조선 선조 20) 조선으로 와서 일본 국내사정의 변화를 설명하고 통신사의 파견을 요청함.
일본>도산시대 , 일본 , 인명>관인>문신
-
강광(康廣) - 귤강광(橘康廣)
일본 도산시대(桃山時代)의 문신. 풍신수길(豊臣秀吉)의 명으로 일본국 왕사(日本國王使)가 되어 1587년(조선 선조 20) 조선으로 와서 일본 국내사정의 변화를 설명하고 통신사의 파견을 요청함.
일본>도산시대 , 일본 , 인명>관인>문신
-
강구송(康衢頌) - 강구요(康衢謠)
중국 고대(古代) 요(堯) 임금 때의 가요(歌謠) 이름. 요 임금의 은덕(恩德)으로 천하가 절로 다스려지자 백성들이 이를 칭송하며 거리에서 부르던 노래.
고대 , 중국 , 문헌>작품명
-
강군보(姜君保) - 강담(姜談)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유학. 정황(丁熿)과 교유함.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유학
-
강규정(姜葵亭) - 강은(姜㶏)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진주(晉州). 기묘명현(己卯名賢)으로, 노후에는 김안국(金安國)과 학문을 강론하며 여생을 보냄.
1487~1552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이천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강남산인(江南山人) - 귀일상인(歸一上人)
고려 후기의 승려. 소나무와 전나무 그림을 잘 그림.
한국>고려후기 , 인명>종교인>승려
-
강남야로(江南野老) - 박순(朴淳)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충주(忠州). 서경덕(徐敬德)의 문인(門人)으로, 영의정(領議政)을 지내고 이이(李珥)ㆍ성혼(成渾) 등과 교유하였으나, 서인(西人)으로 지목되어 탄핵을 받고 영평(永平) 백운산(白雲山)에 은거함.
1523~1589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영평 , 인명>관인>문신
-
강남행고(江南行稿) - 강남기행시고(江南紀行詩稿)
고려 공민왕(恭愍王) 때 문신 정공권(鄭公權)이 중국 강남(江南) 일대를 여행하면서 기행문 형식으로 쓴 시집(詩集). 목은(牧隱) 이색(李穡)이 발문을 씀.
한국>고려후기 , 문헌>서명
-
강녀(姜女) - 태강(太姜)
중국 주(周) 나라 태왕(太王)의 비(妃). 왕계(王季)의 어머니. 부덕(婦德)이 훌륭하여 태임(太任)ㆍ태사(太姒)와 더불어 주 나라 왕실의 ‘삼모(三母)’로 일컬어짐.
중국>주 , 중국 , 인명>왕실>왕비
-
강녕(江寧) - 남양(南陽)
경기도 수원(水原)과 화성(華城) 일대의 옛 고을 이름. 조선 전기에 경기수군절도사영(京畿水軍節度使營)이 화량진(花梁鎭)에 설치되어 경기도 해안 방어의 중심지 역할을 함.
경기도>남양 , 지명>행정지명
-
강녕군(江寧君) - 홍선(洪詵)
고려 충렬왕(忠烈王)~충숙왕(忠肅王) 때의 무신. 본관은 당성(唐城). 홍백수(洪百壽)의 아들이며 홍탁(洪鐸)의 아버지. 1304년(충렬왕 30) 충선왕(忠宣王)을 죽이려는 음모를 막아 공신이 되고, 여러 차례 원(元) 나라에 사신으로 다녀옴.
?~1318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남양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무신ㅣ인명>왕실>인척
-
강녕군(江寧君)@홍원용 - 홍원용(洪元用)
조선 세종(世宗)~세조(世祖) 때의 문신. 본관은 남양(南陽)으로, 이조 판서 홍여방(洪汝方)의 아들. 한성부윤(漢城府尹) 등을 지냈으며, 공신(功臣)의 적장(嫡長)으로 강녕군(江寧君)에 습봉되고 숭정대부(崇政大夫)에 오름.
?~1466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남양 , 인명>관인>문신
-
강녕군(江寧君) - 홍섬(洪暹)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남양(南陽). 홍언필(洪彦弼)의 아들이고, 조광조(趙光祖)의 문인으로, 김안로(金安老)ㆍ이량(李樑)ㆍ남곤(南袞)의 횡포를 탄핵하고, 영의정 등을 지냄. 문장에 능하고 경서에 밝으며, 청백리에 녹선됨.
1504~1585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남양 , 인명>관인>문신
-
강녕대군(江寧大君) - 우왕(禑王)
고려 제32대 국왕. 재위 1374~1388. 수시중(守侍中) 이인임(李仁任)의 후원으로 즉위했다가 이인임이 실각한 후 정치적 기반을 잃고 이성계(李成桂)에게 쫓겨나 유배되었다가 죽음.
1365~1389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개성 , 인명>왕실>국왕
-
강녕도정(江寧都正) - 이기(李祺)
조선 전기의 종친. 세종(世宗)의 아홉 번째 서자인 영해군(寧海君) 이당(李塘)의 손자. 기묘명현(己卯名賢) 중 한 사람으로, 조광조(趙光祖)와 도의(道義)로 교유함.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강녕부수(江寧副守) - 이장(李璋)@이효원의아들
조선 전기의 종친. 정종(定宗)의 증손인 석보정(石保正) 이복생(李福生)의 증손이며, 함라수(咸羅守) 이효원(李孝元)의 둘째 아들.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강녕부원대군(江寧府院大君) - 우왕(禑王)
고려 제32대 국왕. 재위 1374~1388. 수시중(守侍中) 이인임(李仁任)의 후원으로 즉위했다가 이인임이 실각한 후 정치적 기반을 잃고 이성계(李成桂)에게 쫓겨나 유배되었다가 죽음.
1365~1389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개성 , 인명>왕실>국왕
-
강녕부정(江寧副正) - 이기(李祺)
조선 전기의 종친. 세종(世宗)의 아홉 번째 서자인 영해군(寧海君) 이당(李塘)의 손자. 기묘명현(己卯名賢) 중 한 사람으로, 조광조(趙光祖)와 도의(道義)로 교유함.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강대유(姜大猷) - 강사필(姜士弼)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진주(晉州)로, 이조 좌랑(吏曹佐郞)을 지낸 강온(姜溫)의 아들. 조욱(趙昱)의 문인으로, 충청 감사(忠淸監司)ㆍ강원 감사(江原監司) 등을 지냄.
1526~1576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예천 , 인명>관인>문신
-
강대진(姜大進) - 강대수(姜大遂)
조선 광해군(光海君)~효종(孝宗)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진주(晉州). 1612년(광해군 4) 증광시(增廣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우승지(右承旨)ㆍ병조 참의(兵曹參議) 등을 지냄. 1646년(인조 24)에 영국공신(寧國功臣)에 녹훈되고, 합천(陜川)의 도연서원(道淵書院)에 배향됨.
1591~1658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합천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강덕(姜德) - 신농(神農)
중국 고대 전설상의 제왕(帝王) 또는 신(神). 백성에게 농경을 가르쳤으며, 백초(百草)를 맛보고 약초를 찾아내 병을 치료하였다고 함.
고대 , 중국 , 인명>기타인명>기타인물
-
강덕공(江德功) - 강묵(江默)
중국 송(宋) 나라 효종(孝宗)~이종(理宗) 때의 문신ㆍ학자. 주희(朱熹)의 문인으로, 선조인 강지(江贄)가 편찬한 《자치통감절요(資治通鑑節要)》를 주희에게 질정받아 1237년(이종 1)에 출간함. 건녕현 지사(建寧縣知事)를 지냄.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강덕진(剛德鎭) - 성천(成川)
평안도 동남부에 있는 고을 이름. 정유재란(丁酉再亂) 때 선조(宣祖)의 후궁과 여러 왕자가 난을 피해 3년 동안 머물렀던 곳.
평안도>성천 , 지명>행정지명
-
강도(剛悼) - 의창군(義昌君)
조선 제4대 세종(世宗)의 세 번째 서자. 신빈김씨(愼嬪金氏)의 소생으로, 단종복위운동(端宗復位運動)에 연루되어 지리산(智異山)으로 피신하여 떠돌다가 병을 얻어 젊은 나이에 죽음.
1428~1460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왕자
-
강도(江都)@강화 - 강화(江華)
인천 북서부 연안과 서해 15개 도서(島嶼)로 이루어진 지역 이름. 그중 강화도(江華島)는 몽고(蒙古) 침입과 병자호란(丙子胡亂) 때 임시수도의 역할을 함.
경기도>강화 , 지명>행정지명
-
강도(江都)@양주 - 양주(揚州)
중국 강소성(江蘇省)의 중서부에 있는 고을 이름. 오대십국 중 오(吳) 나라의 수도였으며, 양자강(揚子江) 서쪽 기슭에 있어 수륙 교통이 편리함.
중국 , 지명>행정지명
-
강도(江都) - 동중서(董仲舒)
중국 전한(前漢)의 유학자ㆍ문신. 유교를 한(漢) 나라의 국교로 삼도록 무제(武帝)를 설득하고, 《춘추번로(春秋繁露)》등의 저서를 남김.
B.C.176?~B.C.104? 중국>전한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강도노상(江都老相) - 동중서(董仲舒)
중국 전한(前漢)의 유학자ㆍ문신. 유교를 한(漢) 나라의 국교로 삼도록 무제(武帝)를 설득하고, 《춘추번로(春秋繁露)》등의 저서를 남김.
B.C.176?~B.C.104? 중국>전한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강도상(江都相) - 동중서(董仲舒)
중국 전한(前漢)의 유학자ㆍ문신. 유교를 한(漢) 나라의 국교로 삼도록 무제(武帝)를 설득하고, 《춘추번로(春秋繁露)》등의 저서를 남김.
B.C.176?~B.C.104? 중국>전한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강도왕(江都王) - 이서(李緖)
중국 당(唐) 나라의 종친ㆍ화가. 태종(太宗)의 조카이며, 곽왕(霍王) 이원궤(李元軌)의 맏아들로, 금주 자사(金州刺史) 등을 지내고, 서화(書畫)에 재능이 뛰어남. 측천무후(則天武后) 때 배승광(裴承光)과 교통한 혐의로 피살됨.
?~688 중국>당 , 중국 , 인명>예술인>서화가ㅣ인명>왕실>종친
-
강동군(江東郡) - 강동(江東)
평안도 중남부의 대동강(大同江) 동쪽에 있는 고을 이름. 고려 태조(太祖)의 북진정책의 거점이었으며, 조선시대 조공의 영송(迎送) 및 교역을 담당함.
평안도>강동 , 지명>행정지명
-
강동노회(江東鱸膾) - 순로(蓴鱸)
중국 남북조시대 진(晉) 나라 장한(張翰)이 가을바람을 맞고는 고향 강동(江東)의 순채국과 농어회 맛을 잊지 못하여 벼슬을 버리고 고향으로 돌아갔던 데서 나온 고사로, 고향을 그리워함을 뜻함.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사상>술어>고사성어
-
강동미(江東味) - 순로(蓴鱸)
중국 남북조시대 진(晉) 나라 장한(張翰)이 가을바람을 맞고는 고향 강동(江東)의 순채국과 농어회 맛을 잊지 못하여 벼슬을 버리고 고향으로 돌아갔던 데서 나온 고사로, 고향을 그리워함을 뜻함.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사상>술어>고사성어
-
강동사인(江東舍人) - 장한(張翰)
중국 남북조시대 진(晉) 나라의 문신. 제왕(齊王) 경(冏)에게 벼슬하여 동조연(東曹掾)으로 있다가, 시국이 어지럽고 가을바람이 불어오자 불현듯 고향이 생각나, 마침내 관직을 그만두고 돌아갔다는 고사가 유명함.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강동소년(江東少年) - 항우(項羽)
중국 진(秦) 나라의 무장. 진승(陳勝)ㆍ오광(吳廣)의 난으로 진 나라가 혼란에 빠지자 숙부 항량(項梁)과 함께 봉기하여 진 나라를 멸망시켰으나, 제후를 통솔하지 못하여 해하(垓下)에서 한왕(漢王) 유방(劉邦)에게 포위되어 자살함.
B.C.232~B.C.202 중국>진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강동순(江東蓴) - 순로(蓴鱸)
중국 남북조시대 진(晉) 나라 장한(張翰)이 가을바람을 맞고는 고향 강동(江東)의 순채국과 농어회 맛을 잊지 못하여 벼슬을 버리고 고향으로 돌아갔던 데서 나온 고사로, 고향을 그리워함을 뜻함.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사상>술어>고사성어
-
강동순로(江東蓴鱸) - 순로(蓴鱸)
중국 남북조시대 진(晉) 나라 장한(張翰)이 가을바람을 맞고는 고향 강동(江東)의 순채국과 농어회 맛을 잊지 못하여 벼슬을 버리고 고향으로 돌아갔던 데서 나온 고사로, 고향을 그리워함을 뜻함.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사상>술어>고사성어
-
강동순채(江東蓴菜) - 순로(蓴鱸)
중국 남북조시대 진(晉) 나라 장한(張翰)이 가을바람을 맞고는 고향 강동(江東)의 순채국과 농어회 맛을 잊지 못하여 벼슬을 버리고 고향으로 돌아갔던 데서 나온 고사로, 고향을 그리워함을 뜻함.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사상>술어>고사성어
-
강동자(康童子) - 강응석(康應晳)
조선 전기의 인물. 노수신(盧守愼)의 외종숙(外從叔)의 외손. 다섯 살 때 글자를 쓸 줄 알아서 노수신을 감탄하게 함.
한국>조선전기 , 인명>기타인명>기타인물
-
강동지흥(江東之興) - 순로(蓴鱸)
중국 남북조시대 진(晉) 나라 장한(張翰)이 가을바람을 맞고는 고향 강동(江東)의 순채국과 농어회 맛을 잊지 못하여 벼슬을 버리고 고향으로 돌아갔던 데서 나온 고사로, 고향을 그리워함을 뜻함.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사상>술어>고사성어
-
강동풍미(江東風味) - 순로(蓴鱸)
중국 남북조시대 진(晉) 나라 장한(張翰)이 가을바람을 맞고는 고향 강동(江東)의 순채국과 농어회 맛을 잊지 못하여 벼슬을 버리고 고향으로 돌아갔던 데서 나온 고사로, 고향을 그리워함을 뜻함.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사상>술어>고사성어
-
강동회(江東膾) - 순로(蓴鱸)
중국 남북조시대 진(晉) 나라 장한(張翰)이 가을바람을 맞고는 고향 강동(江東)의 순채국과 농어회 맛을 잊지 못하여 벼슬을 버리고 고향으로 돌아갔던 데서 나온 고사로, 고향을 그리워함을 뜻함.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사상>술어>고사성어
-
강동흥(江東興) - 순로(蓴鱸)
중국 남북조시대 진(晉) 나라 장한(張翰)이 가을바람을 맞고는 고향 강동(江東)의 순채국과 농어회 맛을 잊지 못하여 벼슬을 버리고 고향으로 돌아갔던 데서 나온 고사로, 고향을 그리워함을 뜻함.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사상>술어>고사성어
-
강동흥미(江東興味) - 순로(蓴鱸)
중국 남북조시대 진(晉) 나라 장한(張翰)이 가을바람을 맞고는 고향 강동(江東)의 순채국과 농어회 맛을 잊지 못하여 벼슬을 버리고 고향으로 돌아갔던 데서 나온 고사로, 고향을 그리워함을 뜻함.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사상>술어>고사성어
-
강락(康樂)@소옹 - 소옹(邵雍)
중국 송(宋) 나라 인종(仁宗) 때의 학자. 이지재(李之才)에게 천문(天文)ㆍ역수(易數) 등을 배우고, 도가사상의 영향을 받아 유교의 역철학(易哲學)을 발전시켜 특이한 수리철학(數理哲學)을 완성함.
1011~1077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강락(康樂) - 사영운(謝靈運)
중국 남북조시대 송(宋) 나라의 문신ㆍ시인. 사현(謝玄)의 손자로, 영가 태수(永嘉太守)를 지냈으나 파쟁(派爭)으로 인하여 유배 중에 처형됨. 자연을 노래한 산수시인(山水詩人)으로 높이 평가받음.
385~433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강령(江令) - 강총(江摠)
중국 남북조시대 진(陳) 나라의 문신ㆍ문인. 양(梁) 나라에서 벼슬하다가 진 나라 후주(後主) 때 상서령(尙書令)이 되었으며, 뒤에 수(隋) 나라에서 상개부(上開府)를 지냄. 문장에 능하고 특히 시에 뛰어났음.
519~594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강릉(康陵)@성종 - 성종(成宗)@고려
고려 제6대 왕. 재위 981~991. 중앙에 3성(省) 6부(府)를 설치하고, 지방에 12목(牧)과 10도(道)를 설치하여 유교정치 이념에 의한 중앙집권적 정치체제를 마련함.
960~997 한국>고려전기 , 경기도>개성 , 인명>왕실>국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