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등우(鄧禹)
중국 후한(後漢) 광무제(光武帝) 때의 개국공신. 광무제를 도와 천하를 평정한 논공제일(論功第一)의 공신으로, 삼공(三公)의 하나인 대사도(大司徒)에 임명되고 고밀후(高密侯)에 봉해짐.
2~58 중국>후한 , 중국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등원성와(藤原醒窩)
일본 강호시대(江戶時代) 초기의 유학자로, 일본 근세 유학의 아버지. 7세 때 출가하여 선학(禪學)과 한학을 배움. 조선의 국사(國使)인 허성(許筬) 등과 교유하였고, 정유재란(丁酉再亂) 때 포로로 잡혀온 주자학자 강항(姜沆)을 만나 영향을 받음.
1561~1619 일본>강호시대 , 일본 , 인명>문사>학자
-
등유(鄧攸)
중국 남북조시대(南北朝時代) 진(晉) 나라의 문신. 난리를 만나 자식을 버리고 조카를 보존하였으나 끝내 후사를 두지 못함.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등유설(燈油說)
조선 성종(成宗) 때의 문신인 양희지(楊熙止)가 쓴 글. 그가 8․9세 정도 되었을 때 지은 글로, 등(燈)을 군주로, 유(油)를 신하로 비유해 기름으로 인해 등불이 밝혀지듯 군주는 신하로 인해 다스림을 이루어야 한다는 내용을 담고 있음.
한국>조선전기 , 문헌>작품명
-
등종량(滕宗諒)
중국 송(宋) 나라의 문신. 천장각 대제(天章閣待制)ㆍ정언(正言)ㆍ사간(司諫) 등을 역임하였고, 범중엄(范仲淹)과 교유함.
991~1047 중국>송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등진은결(登眞隱訣)
중국 남북조시대 양(梁) 나라 학자인 도홍경(陶弘景)이 지은 도교(道敎) 경전. 도교의 일상 수양 방법을 기술함.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문헌>서명
-
등후(鄧侯)
중국 춘추전국시대(春秋戰國時代) 등(鄧) 나라의 제후. 조카인 초(楚) 나라 문왕(文王)에게 멸망당함.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왕실>제후
-
마^등(馬^鄧)
중국 후한(後漢)의 명장(名將)인 복파장군(伏波將軍) 마원(馬援)의 딸로 명제(明帝)의 후비(后妃)가 된 명덕마황후(明德馬皇后)와, 명신(名臣)인 등우(鄧禹)의 손녀(孫女)로 화제(和帝)의 후비가 된 화희등황후(和熹鄧皇后)를 함께 부르는 말. 현덕(賢德)한 왕비나 왕실의 외척을 가리킴.
중국>후한 , 중국 , 사상>술어>관용어
-
마^여(馬^呂)
중국 송(宋) 나라 철종(哲宗) 때의 재상인 사마광(司馬光)과 여공저(呂公著)를 함께 부르는 말. 북송(北宋) 원우(元祐) 연간의 명신(名臣)을 가리킴.
중국>송 , 중국 , 사상>술어>관용어
-
마감산(麻甘山)
경상도 안동(安東)의 서쪽에 위치한 산 이름. 이황(李滉)의 문인인 권호문(權好文)의 묘가 있음.
경상도>안동 , 지명>자연지명
-
마계조(馬繼祖)
중국 송(宋) 나라 효종(孝宗) 때의 문신. 1490년에 진사(進士)에 입격해 남경감찰어사(南京監察御史)에 제수됨.
중국>송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마곡사(麻谷寺)
충청도 공주(公州)의 태화산(泰華山) 남쪽 기슭에 있는 사찰. 부여(扶餘)에 있는 고란사(皐蘭寺)의 본사(本寺)로, 640년(선덕여왕 9) 신라 고승(高僧) 자장(慈藏)이 창건하였다는 설과 통일신라 승려인 무염(無染)이 창건하였다는 설이 있음.
한국>통일신라 , 충청도>공주 , 유적>건물>사찰
-
마곡서원(磨谷書院)
조선 선조(宣祖) 때 경상도 안동(安東)에 건립한 서원. 변계손(卞秀孫)ㆍ김유용(金有庸)ㆍ이완(李完)ㆍ김생명(金生溟)ㆍ박사희(朴士熹)ㆍ유빈(柳贇)ㆍ윤의정(尹義貞)을 배향함.
1602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안동 , 유적>건물>서원,향교
-
마귀(麻貴)
중국 명(明) 나라 신종(神宗) 때의 장군. 정유재란(丁酉再亂) 때 명 나라가 파견한 조선 원병의 제독으로서, 권율(權慄)과 합세하여 도산성(島山城)을 공격하였으나 성과를 올리지 못함.
중국>명 , 중국 , 인명>관인>무신
-
마니산(摩尼山)
인천광역시 강화군(江華郡) 화도면(華道面)에 있는 산 이름. 두악산(頭嶽山)이라고도 부르며, 산 정상에는 단군왕검(檀君王儉)이 하늘에 제사를 지내기 위해 마련했다는 참성단(塹城壇)이 있음.
경기도>강화 , 지명>자연지명
-
마단림(馬端臨)
중국 송(宋) 말~원(元) 초의 학자. 제도와 문물사(文物史)에 관한 백과사전인 《문헌통고(文獻通考)》를 저술함.
중국>원ㅣ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마대년(馬大年)
중국 송(宋) 나라의 문신. 유안세(劉安世)의 제자로, 영성 주부(永城主簿)를 지냄. 혹설에는 대년이 자(字)이고, 영경이 이름이라고도 함.
중국>송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마라난타(摩羅難陀)
백제에 최초로 불교를 전래한 인도 승려. 384년(침류왕 1) 중국의 동진(東晉)을 거쳐 백제에 들어와 불법(佛法)을 전파하고, 이듬해에 한산(漢山)에 백제 최초의 절을 건립함.
한국>백제 , 서울 , 인명>종교인>승려
-
마량(馬良)
중국 삼국(三國時代) 촉(蜀) 나라의 장군. 제갈량(諸葛亮)과 친교를 맺었음. 오형제 중에서 재능이 가장 뛰어났으며 백미(白眉)라는 고사성어에 나오는 인물.
187~222 중국>삼국시대 , 중국 , 인명>관인>무신
-
마렵연(馬鬣淵)
황해도 장련(長連)에 있는 못 이름. 구월산(九月山) 중턱에서 흘러나와서 부연(釜淵), 요연(腰淵)과 합쳐져 서쪽 바다로 흘러들어감.
황해도>장련 , 지명>자연지명
-
마명생(馬明生)
중국 후한(後漢) 때의 도사. 제자 음장생(陰長生)과 함께 《태청신단경(太清神丹經)》을 수행하며 천하를 주유(周遊)하여 지선(地仙)이 되었다고 함.
중국>후한 , 중국 , 인명>기타인명>도사
-
마문룡(馬文龍)
중국 명(明) 나라의 문신. 사제사신(賜祭使臣)으로 조선에 왔을 때 송인(宋寅)과 시문을 주고받음.
중국>명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마서여시집(馬西如詩集)
중국 원(元) 나라의 문인 마조상(馬祖常)의 시집. 문집인 《마석전문집(馬石田文集)》과 함께 전해짐.
중국>원 , 중국 , 문헌>서명
-
마석전문집(馬石田文集)
중국 원(元) 나라의 문인 마조상(馬祖常)의 문집. 시집인 《마서여시집(馬西如詩集)》과 함께 전해짐.
중국>원 , 중국 , 문헌>서명
-
마수(馬燧)
중국 당(唐) 대종(代宗)~덕종(德宗) 때의 장수. 이영요(李靈耀)의 난을 평정하였음.
729~795 중국>당 , 중국 , 인명>관인>무신
-
마신(馬伸)
중국 송(宋) 나라의 문신ㆍ학자. 이천(伊川) 정이(程頤)의 문인으로, 이천이 핍박받을 때 매일 찾아가 마침내 제자가 됨.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마원(馬援)
중국 후한(後漢) 때의 장군. 광무제(光武帝)의 신하가 되어 교지(交趾)와 흉노(匈奴) 등을 토벌하는 데 공을 세움.
B.C.14~A.D.49 중국>후한 , 중국 , 인명>관인>무신
-
마융(馬融)
중국 후한(後漢)의 문신ㆍ학자. 훈고학(訓詰學)의 시조로, 노식(盧植)ㆍ정현(鄭玄) 등의 걸출한 제자를 배출함. 《삼전이동설(三傳異同說)》을 저술하고, 《효경(孝經)》등 많은 책을 주석함.
79~166 중국>후한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마의태자(麻衣太子)
신라 제56대 경순왕(敬順王)의 아들. 신라가 후백제 견훤(甄萱)과 고려 태조 왕건(王建)의 세력에 항복하자, 개골산(皆骨山)에 들어가 베옷을 입고 초근목피로 여생을 보냄.
한국>통일신라 , 경상도>경주 , 인명>왕실>왕자
-
마이산(馬耳山)
전라도 진안(鎭安) 남쪽에 있는 산 이름. 두 개의 암봉(岩峰)으로 이루어진 산으로, 동봉(東峰)과 서봉(西峰)의 모양이 말의 귀처럼 생겼다 하여 마이산(馬耳山)이라는 이름이 붙음.
전라도>진안 , 지명>자연지명
-
마전(麻田)
경기도 연천(漣川) 일대에 있던 옛 고을 이름.
경기도>연천 , 지명>행정지명
-
마제(禡祭)
전쟁 때 군사가 주둔한 곳에서 군법(軍法)을 처음 제정한 신에게 지내는 제사.
법제>의례>국가의례
-
마조상(馬祖常)
중국 원(元) 나라의 문신ㆍ문인. 권신 철목질아(鐵木迭兒)를 규탄한 연고로 좌천되어 불우하였으나, 철목질아의 사후에는 예부 상서(禮部商書)와 섬서 행대중승(陝西行臺中丞)을 역임함. 시문에도 능함.
1278~1338 중국>원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마존(馬存)
중국 송(宋) 나라의 문인. 초주(楚州)에 살았으며, 〈연사정(燕思亭)〉이라는 시에서 이백(李白)을 노래함.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문인
-
마천목(馬天牧)
고려 우왕(禑王)~조선 세종(世宗) 때의 무신. 본관은 장흥(長興). 제2차 왕자의 난을 평정하는 데에 공을 세우고, 병조 판서(兵曹判書)가 되어 처음으로 6진(六鎭)의 설치를 주장함.
1358~1431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전라도>장흥ㅣ전라도>곡성 , 인명>관인>무신
-
마천집(麻川集)
조선 세조(世祖) 때의 문신 홍일동(洪逸童)의 문집.
한국>조선전기 , 문헌>서명
-
마포(麻浦)
서울 한강(漢江)에 있는 나루터 이름. 예로부터 한강의 대표적인 나루터로, 경기도의 농산물과 황해도의 수산물 집산지의 역할을 함.
서울 , 지명>행정지명
-
마하연(摩訶衍)
강원도 회양(淮陽)에 있는 사찰 이름. 마하연(摩訶衍)의 주위는 향나무가 빙 둘러져 있는데, 이 지역을 오향성(五香城)이라고 부름.
강원도>회양 , 유적>건물>사찰
-
마한(馬韓)
고대 한반도 중부 이남 지역에 분포한 삼한(三韓) 중의 하나. B.C.1세기~A.D.3세기에 경기ㆍ충청ㆍ전라도 지방에 분포한 54개의 소국(小國)을 가리킴. 근초고왕(近肖古王) 때 백제에 의해 병합됨.
고대 , 충청도ㅣ전라도ㅣ경기도 , 시간>국명
-
마희경(馬羲慶)
조선 선조(宣祖) 때의 학자. 본관은 목천(木川). 서경덕(徐敬德)의 문인으로 역학(易學)과 성리학(性理學)를 깊이 연구함.
1525~1589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개성 , 인명>문사>학자
-
막야(莫耶)
중국 춘추전국시대 오(吳) 나라의 검(劍) 만드는 장인(匠人). 간장(干將)의 부인. 남편이 검을 만들 때 자신을 희생하여 명검 막야검(莫耶劍)ㆍ간장검(干將劍)을 만듦.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기술인>장인
-
막야검(莫耶劍)
고대 보검(寶劍)의 하나. 전설상 중국 춘추전국시대 오(吳) 나라의 간장(干將)이 주조하여 오왕(吳王) 합려(闔閭)에게 바쳤다는 두 자루 칼 중에 자검(雌劍).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물품>기타용품>무기
-
만경정(萬景亭)
조선 전기에 지어진 정자. 유학(幼學) 박윤손(朴閏孫)이 경기도 고양(高陽) 남쪽에 지은 것으로 월헌(月軒) 정수강(丁壽崗)이 정자의 이름과 기문(記文)을 지음.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고양 , 유적>건물>누정
-
만권당(萬卷堂)
고려 충선왕(忠宣王)이 중국 원(元) 나라 연경(燕京)에 세운 독서당(讀書堂). 이제현(李齊賢)ㆍ박충좌(朴忠佐) 등의 학자와 원 나라의 조맹부(趙孟)ㆍ염복(閻復)ㆍ우집(虞集)ㆍ원명선(元明善) 등이 함께 중국의 고전 및 성리학(性理學)을 연구함.
한국>고려후기 , 중국 , 유적>건물>기타건물
-
만당집(漫塘集)
중국 송(宋) 나라의 문인 유재(劉宰)의 문집. 《어록(語錄)》과 함께 세상에 알려짐.
중국>송 , 중국 , 문헌>서명
-
만덕(萬德)
신라 진흥왕(眞興王) 때의 악사. 가야금의 비조(鼻祖) 우륵(于勒)에게 사사한 세 제자 중 한 사람으로 만덕은 춤을 배움. 벼슬은 대사(大舍)를 지냄.
한국>신라 , 인명>예술인>음악인
-
만덕집(晩德集)
조선 인조(仁祖) 때의 학자 김대기(金大器)의 시문집. 4권 2책. 시ㆍ소(疏)ㆍ서(書)ㆍ잡저ㆍ제문 등이 수록되어 있음.
한국>조선후기 , 문헌>서명
-
만력회전(萬曆會典)
중국 명(明) 나라의 행정법전(行政法典). 1587년 신시행(申時行) 등이 《대명회전(大明會典)》을 개수하여 228권, 수(首) 2권으로 간행함.
1587 중국>명 , 중국 , 문헌>서명
-
만륙일고(晩六逸稿)
고려말 두문동 72현(杜門洞七十二賢)의 한 사람인 최양(崔瀁)의 시문집. 3권 1책. 1855년(철종 6) 후손 최영석(崔永錫)ㆍ최제묵(崔悌默) 등이 편집하고, 1940년 후손 최상면(崔相冕)ㆍ최상진(崔相鎭) 등이 간행함.
1940 한국>근대 , 문헌>서명
-
만리장성(萬里長城)
중국 북부와 몽고 경계에 있는 성(城) 이름. 중국 역대 왕조가 변방을 방어하기 위해 축조한 성으로 진(秦) 시황제(始皇帝)가 완성함.
중국>진 , 중국 , 유적>시설>성,진,책
-
만세덕(萬世德)
중국 명(明) 나라의 장수. 임진왜란(壬辰倭亂) 때에 양호(楊鎬)를 대신하여 파견된 명 나라 장수.
중국>명 , 중국 , 인명>관인>무신
-
만손(萬孫)
조선 전기의 양인. 연산군(燕山君)의 아들 양평군(襄平君)이라 자칭(自稱)하였으나 국가를 속인 죄로 처형됨. 중종(中宗) 때 동요로 회자(膾炙)됨.
한국>조선전기 , 인명>기타인명>양인
-
만와집(晩窩集)
조선 영조(英祖) 때의 학자 김유수(金裕壽)의 문집. 채제공(蔡濟恭)의 《번암집(樊巖集)》에 이 문집의 서문이 전함.
한국>조선후기 , 문헌>서명
-
만우재(晩愚齋)
조선 철종(哲宗) 때의 문신ㆍ학자 유치명(柳致溟)의 서재(書齋). 1857년(철종 8) 관직에서 물러난 스승을 위해 제자들이 지어주었고 유치명은 이곳에서 후진양성에 전념함.
1857 한국>조선후기 , 유적>건물>사제
-
만월대(滿月臺)
경기 개성(開城) 송악산(松嶽山) 남쪽 기슭에 있는 고려 왕궁 터의 이름. 궁전은 1361년 모두 불타 소실됨.
한국>고려시대 , 경기도>개성 , 유적>건물>궁궐
-
만인걸(萬人傑)
중국 송(宋) 나라의 학자. 남헌(南軒) 장식(張栻)과 회암(晦庵) 주희(朱熹)의 문인.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만전당만록(晩全堂漫錄)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홍가신(洪可臣)의 저서. 《만전집(晩全集)》과 함께 전해짐.
한국>조선후기 , 문헌>서명
-
만전집(晩全集)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홍가신(洪可臣)의 저서. 《만전당만록(晩全堂漫錄)》과 함께 전해짐.
한국>조선후기 , 문헌>서명
-
만주(萬州)
중국 사천성(四川省) 동부 양자강 북안에 있는 고을 이름. 만현(萬縣)의 옛 이름으로 사천성 동부와 귀주성 북부의 산물을 집산하며, 부근에 철광산과 탄광이 있음.
중국 , 지명>행정지명
-
만주족(滿洲族)
중국 만주지역에 거주하는 퉁구스계의 민족. 숙신(肅愼)ㆍ읍루(挹婁)ㆍ물길(勿吉)ㆍ말갈(靺鞨)ㆍ여진(女眞) 등은 만주족의 전신(前身) 또는 같은 계통. 중국 최후의 왕조 청(淸)을 세움.
중국 , 인명>집단>종족
-
만죽헌집(萬竹軒集)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서익(徐益)의 시문집. 1790년(정조 14)에 7대손 서진항(徐鎭恒)이 2권 1책으로 간행함.
1790 한국>조선후기 , 문헌>서명
-
만취일고(晩翠逸稿)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김개국(金盖國)의 시문집. 2권 1책으로 시ㆍ제문ㆍ일기 등이 수록되어 있음.
한국>조선후기 , 문헌>서명
-
만취집(晚翠集)@오억령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오억령(吳億齡)의 문집. 5권 1책으로 1662년(현종 3) 손자 오정위(吳挺緯)가 편집ㆍ간행함.
1662 한국>조선후기 , 문헌>서명
-
만취집(晩翠集)@김위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 김위(金偉)의 문집. 10권 2책으로 1975년 후손 김탁희(金卓熙)에 의하여 편집ㆍ간행됨.
1975 한국>근대 , 문헌>서명
-
만퇴집(晩退集)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 신응구(申應榘)의 문집. 2권 2책으로 1684년(숙종 10)에 손자 신익상(申翼相)이 편집ㆍ간행함.
1684 한국>조선후기 , 문헌>서명
-
만파식적(萬波息笛)
신라 제31대 신문왕(神文王) 때 용으로부터 영험스런 대나무를 얻어 만들었다는 전설상의 피리. 이것을 불면 소원을 이루게 되므로 나라의 보물로 삼아 효소왕(孝昭王) 때 만만파파식적(萬萬波波息笛)이라고 가호(加號)하였는데 현존하지 않음.
682 한국>통일신라 , 물품>기타용품>악기
-
만항(萬恒)
고려 충렬왕(忠烈王)~충숙왕(忠肅王) 때의 승려. 본관은 웅진(熊津)으로 수선사(修禪社)의 십세(十世). 원오화상(圓悟和尙)에게 배우고 낭월사(朗月寺)ㆍ운흥사(雲興寺)ㆍ선원사(禪源寺) 등의 주지를 지냄.
1259~1319 한국>고려후기 , 충청도>공주 , 인명>종교인>승려
-
만회집(晩悔集)
조선 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권득기(權得己)의 시문집. 14권 10책으로 1712년(숙종 38) 증손 권이진(權以鎭)이 수집ㆍ간행함.
1712 한국>조선후기 , 문헌>서명
-
말^달(妺^妲)
중국 하(夏) 나라 걸왕(桀王)의 비(妃) 말희(妺喜)와 은(殷) 나라 주왕(紂王)의 비 달기(妲己)를 함께 부르는 말. 나라를 망친 총희(寵姬)를 가리킴.
중국>은ㅣ중국>하 , 중국 , 사상>술어>관용어
-
말갈(靺鞨)
한반도 동북부 및 만주(滿洲) 일대에 거주하던 종족, 또는 그 부족들의 총칭(總稱). 시대에 따라 각기 읍루(挹婁)ㆍ물길(勿吉)ㆍ말갈(靺鞨) 등으로 불렸으며, 여진(女眞)의 전신(前身).
중국>당ㅣ중국>수 , 중국 , 인명>집단>종족
-
말제(末帝)@오대십국(후당)
중국 오대십국(五代十國) 후당(後唐)의 제4대 왕. 재위 934~936. 명종(明宗)의 양자로 노왕(潞王)에 봉해짐. 명종 아들 민제(閔帝)를 죽이고 즉위했으나 3년 뒤 분사(焚死)하면서 후당도 멸망함.
885~936 중국>오대십국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말제(末帝)@삼국(오)
중국 삼국시대 오(吳) 나라 마지막 황제. 재위 264~280. 처음에는 선정을 베풀었으나 가혹한 조세(租稅)와 폭정(暴政) 등으로 민심을 잃었으며, 진(晉) 나라에 항복하여 귀명후(歸命侯)에 봉해짐.
242~284 중국>남북조시대ㅣ중국>삼국시대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말희(妺喜)
중국 하(夏) 나라 걸왕(桀王)의 비. 걸왕이 정복한 오랑캐의 유시씨국(有施氏國)에서 공물로 바쳐졌으며, 걸왕과 함께 밤낮으로 술을 마시며 음탕한 짓을 자행하여, 하 나라의 패망을 초래함.
중국>하 , 중국 , 인명>왕실>왕비
-
망^조(莽^操)
중국 전한(前漢) 말에 신(新) 나라를 세운 왕망(王莽)과 후한(後漢) 말에 위(魏) 나라의 기틀을 마련한 조조(曹操)를 함께 부르는 말. 임금을 폐위하고 나라를 찬탈한 사람을 가리킴.
중국>후한ㅣ중국>전한 , 중국 , 사상>술어>관용어
-
망^탁(莽^卓)
중국 전한(前漢) 말에 신(新) 나라를 세운 왕망(王莽)과 후한(後漢) 말에 왕위를 농락한 동탁(董卓)을 함께 부르는 말. 왕위(王位)를 찬탈하거나 찬역(簒逆)을 도모한 권간(權奸)을 가리킴.
중국>후한ㅣ중국>전한 , 중국 , 사상>술어>관용어
-
망와집(忘窩集)
조선 인조(仁祖) 때의 문신 김영조(金榮祖)의 시문집. 본집 5권 3책과 부록 1책으로 구성됨.
한국>조선후기 , 문헌>서명
-
망천도(輞川圖)
중국 당(唐) 나라의 시인ㆍ화가ㆍ문신인 왕유(王維)가 그린 산수화. 왕유가 자기 별장(別莊)이 있는 망천(輞川)의 20개 승경(勝景)을 그린 그림으로, 그의 산수화 중에서 가장 뛰어난 작품으로 평가받음.
중국>당 , 중국 , 문헌>작품명
-
망헌유고(忘軒遺稿)
조선 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 이주(李胄)의 시문집. 4권 2책으로 1571년(선조 4)에 친구들이 편집한 것을 뒤에 질손(姪孫) 이추(李鞦)가 각판(刻板)함.
한국>조선후기 , 문헌>서명
-
망호재(望湖齋)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인 정탁(鄭琢)의 사제. 경상도 예천(醴泉) 고평(高坪)에 터를 잡고 고평동계(高坪洞契)를 만들어 군민을 교도함.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예천 , 유적>건물>사제
-
매^소(梅^蘇)
중국 송(宋) 나라 인종(仁宗) 때의 문신ㆍ문인인 매요신(梅堯臣)과 소순흠(蘇舜欽)을 함께 부르는 말. 북송(北宋) 때의 대표적 시인을 가리킴.
중국>송 , 중국 , 사상>술어>관용어
-
매계집(梅溪集)
조선 성종(成宗)~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ㆍ학자 조위(曺偉)의 시문집. 10권 5책으로 1718년(숙종 44) 금산 태수(金山太守) 김무(金楙)가 간행함.
1718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금산 , 문헌>서명
-
매곡서원(梅谷書院)
조선 숙종(肅宗) 때 경기도 화성(化城)에 건립한 서원. 1694년(숙종 20)에 지방유림의 공의로 송시열(宋時烈)을 추모하기 위해 창건함. 1871년(고종 8)에 훼철됨.
1694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수원 , 유적>건물>서원,향교
-
매복(梅福)
중국 한(漢) 나라의 문신. 남창 현위(南昌縣尉)를 지내다 왕망(王莽)이 정사를 전횡하자 처자(妻子)를 버리고 은둔하여 신선이 되었다고 함.
중국>전한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매순(梅詢)
중국 송(宋) 나라의 문신. 시인 매요신(梅堯臣)의 숙부로, 시독학사(侍讀學士) 등을 역임함.
964~1041 중국>송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매승(枚乘)
중국 전한(前漢) 문제(文帝)~경제(景帝) 때의 문인. 애초에 섬기던 오왕(吳王) 유비(劉濞)의 반란계획을 알고 간(諫)하였으나 실패하자 양왕(梁王) 유무(劉武)에게로 피신하였으며, 만년에는 향리에 은둔함. 〈칠발(七發)〉 등을 저술함.
?~B.C.140 중국>전한 , 중국 , 인명>문사>문인
-
매요신(梅堯臣)
중국 송(宋) 나라의 대표적 시인ㆍ문신. 당시(唐詩)의 섬세하고 교묘한 폐풍을 버리고 고문운동(古文運動)과 관련된 시 형식을 개척하여 새로운 송시(宋詩)의 개조(開祖)가 됨.
1002~1060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매월당집(梅月堂集)
조선 세조(世祖) 때의 문인인 김시습(金時習)의 시문집. 23권 9책으로 선조(宣祖)의 명으로 1602년(선조 35)에 편찬되고, 인조(仁祖) 때 개간(改刊)됨.
1602 한국>조선후기 , 문헌>서명
-
매재집(呆齋集)
중국 명(明) 나라 영종(英宗)~헌종(憲宗) 때의 문신ㆍ문인인 유정지(劉定之)의 저서. 45권.
중국>명 , 중국 , 문헌>서명
-
매천부(梅川賦)
조선 개국공신 정도전(鄭道傳)이 지은 부(賦). 선비 하유종(河有宗)의 고결한 인품을 매화에 비유해 읊음. 매천(梅川)은 경상도 진주(晉州)의 마을 이름.
1380 한국>고려후기 , 문헌>작품명
-
매포(買浦)
충청도 단양(丹陽)에 있던 포구 이름.
충청도>단양 , 지명>자연지명
-
매헌집(梅軒集)
조선 효종(孝宗) 때의 학자 곽수강(郭壽岡)의 시문집. 2권 1책으로 그의 후손 곽치현(郭致鉉)ㆍ곽치숭(郭致崧)에 의해 편집ㆍ간행됨.
한국>조선후기 , 문헌>서명
-
매호유고(梅湖遺稿)
고려 고종(高宗) 때의 문신 진화(陳澕)의 시집. 1권 1책으로 1784년(정조 8)에 홍만종(洪萬宗)ㆍ남태보(南泰普)가 모은 유시(遺詩)를 최수옹(崔粹翁)이 편집하고 15대손인 진후(陳𡎋)가 주도하여 간행함.
1784 한국>조선후기 , 문헌>서명
-
매호집(梅湖集)
조선 인조(仁祖) 때의 문신 조우인(曺友仁)의 문집. 가사집 《이재영언(頤齋詠言)》과 함께 전함.
한국>조선후기 , 문헌>서명
-
매화부(梅花賦)
중국 당(唐) 나라 현종(玄宗) 때 재상 송경(宋璟)이 지은 부(賦). 전 560자. 고려 후기의 문인 이색(李穡)의 〈설매헌부(雪梅軒賦)〉에 이 작품을 칭송한 구절이 있음.
687 중국>당 , 중국 , 문헌>작품명
-
매환문답(買還問答)
조선 효종(孝宗) 때의 문신ㆍ학자 안방준(安邦俊)의 편저서. 문집 《은봉전서(隱峰全書)》등과 함께 전함.
한국>조선후기 , 문헌>서명
-
맥수가(麥秀歌)
중국 은(殷) 나라의 현인(賢人)인 기자(箕子)가 멸망한 은 나라의 옛터를 지나며 읊은 노래. 옛 궁궐 터에 보리가 자라난 것을 보고 그 폐허를 슬퍼한 망국애가(亡國哀歌)임.
중국>주 , 중국 , 문헌>작품명
-
맹^양^한(孟^揚^韓)
중국 춘추전국시대의 사상가인 맹자(孟子)와 전한(前漢) 말의 학자ㆍ문인인 양웅(揚雄)과 당(唐) 나라의 문신ㆍ문인인 한유(韓愈)를 함께 부르는 말. 사람의 성(性)에 관한 설을 제시하였으며, 그 도통(道統)이 계승됨.
중국>당ㅣ중국>전한ㅣ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사상>술어>관용어
-
맹가(孟嘉)
중국 남북조시대 진(晉) 나라의 문인ㆍ현사(賢士). 풍류를 즐기고 문장을 잘 지어 유량(庾亮)ㆍ환온(桓溫)의 사랑을 받음.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맹간(孟簡)
중국 당(唐) 나라 헌종(憲宗) 때의 문신. 맹교(孟郊)의 종숙(從叔)으로, 당시 논란이 되던 한유(韓愈)의 불교 숭상 여부에 대해 한유와 편지로 교유함.
중국>당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맹광(孟光)
중국 후한(後漢) 때의 열녀(烈女). 양홍(梁鴻)의 아내로, 가시나무 비녀를 꽂고 무명 치마를 입는 등 검소하였으며, 남편을 지성으로 섬김.
중국>후한 , 중국 , 인명>기타인명>열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