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강정왕(康靖王) - 성종(成宗)@조선
조선 제9대 왕. 재위 1469~1494. 세종(世宗)과 세조(世祖)가 이룩한 치적을 기반으로 찬란한 문화정책을 펼쳤으며, 《경국대전(經國大典)》과 《국조오례의(國朝五禮儀)》를 완성하는 등 국가통치체제를 완비함.
1457~1494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국왕
-
강조(康肇) - 강조(康兆)
고려 목종(穆宗)~현종(顯宗) 때의 무신. 목종의 모후인 천추태후(千秋太后)와 외척 김치양(金致陽)이 그들 사이에 태어난 아들을 목종의 후계자로 세우려 하자, 정변을 일으켜 현종을 옹립하고 목종을 시해함.
?~1010 한국>고려전기 , 인명>관인>무신
-
강종준철문열단총명헌이모목청원효대왕(康宗濬哲文烈亶聰明憲貽謀穆淸元孝大王) - 강종(康宗)
고려의 제22대 왕. 재위 1211~1213. 명종(明宗)의 맏아들. 1197년 부왕과 함께 최충헌(崔忠獻)에게 쫓겨 강화도로 갔다가, 희종(熙宗)을 폐한 최충헌에 의해 왕위에 오름.
1152~1213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개성 , 인명>왕실>국왕
-
강좌(江左) - 권만(權萬)
조선 경종(景宗)~영조(英祖)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 권두굉(權斗紘)의 아들로, 이인좌(李麟佐)의 난을 진압하는 데 공을 세움.
1688~1749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강좌사(江左謝) - 사안(謝安)
중국 남북조시대 진(晉) 나라의 재상. 회계(會稽)의 동산(東山)에서 은거할 때 왕희지(王羲之) 등과 교유하고, 뒤늦게 벼슬하여 환온(桓溫)의 휘하에서 활약함. 재상이 되었을 때 전진(前秦)의 부견(符堅)이 대군을 이끌고 침입하자 이를 격파함.
320~385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강좌이오(江左夷吾) - 왕도(王導)
중국 남북조시대 동진(東晉)의 재상(宰相). 원제(元帝)의 총애로 정승에 오르고, 명제(明帝)와 성제(成帝)를 보좌하여 동진의 기초를 다짐.
276~339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강좌제일(江左第一) - 환이(桓伊)
중국 남북조시대 진(晉) 나라의 문신ㆍ음악가. 강주 자사(江州刺史)를 지내고, 음악의 이치에 통달하여 젓대를 잘 불음.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예술인>음악인ㅣ인명>관인>문신
-
강좌칠현(江左七賢) - 죽림고회(竹林高會)
고려 후기에 명리(名利)를 떠나 망년지교(忘年之交)를 맺고 청담(淸談)을 즐기던 일곱 명의 선비. 이인로(李仁老)ㆍ오세재(吳世才)ㆍ임춘(林椿)ㆍ조통(趙通)ㆍ황보항(皇甫抗)ㆍ함순(咸淳)ㆍ이담지(李湛之)를 가리킴.
한국>고려후기 , 인명>집단>조직
-
강주(剛州) - 영천(榮川)@경상도
경상도 북부에 있는 고을 이름. 동쪽으로 안동(安東), 서쪽으로 풍기(豐基)와 접해 있음. 현재는 영주시(榮州市)에 속함.
경상도>영천(榮川) , 지명>행정지명
-
강주(康州) - 진주(晉州)
경상도 남서부에 있는 고을 이름. 명승지로 촉석루(矗石樓)ㆍ서장대(西將臺) 등이 있음.
경상도>진주 , 지명>행정지명
-
강주(江州) - 왕홍(王弘)
중국 남북조시대 송(宋) 나라의 문신. 도잠(陶潛)을 매우 존경하여, 강주 자사(江州刺史)로 있을 때 중양절(重陽節)에 도잠이 술이 떨어지자 술병을 보냈다는 고사가 전함. 태보(太保) 등을 지냄.
379~432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강주(江州)@강계 - 강계(江界)
평안도 북동쪽에 있는 고을 이름. 고구려ㆍ발해의 땅이었다가 발해 멸망 후 거란ㆍ여진이 분산 거주한 것을, 1361년(공민왕 10)에 고려의 땅으로 수복함. 방어의 요충지.
평안도>강계 , 지명>행정지명
-
강주단(江州檀) - 단도제(檀道濟)
중국 남북조시대 송(宋) 무제(武帝)~문제(文帝) 때의 장군. 무제를 도와 송 나라를 건국하는 데 공을 세워 영수현공(永修縣公)에 봉해짐.
?~436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관인>무신
-
강주회계본(康州湏溪本) - 도연명집(陶淵明集)
중국 남북조시대(南北朝時代) 동진(東晉)의 시인인 도잠(陶潛)의 시문집(詩文集). 귀거래사(歸去來辭)ㆍ오류선생전(五柳先生傳)ㆍ음주이십수(飮酒二十首) 등 많은 명작이 실려 있음. 8권
중국 , 문헌>서명
-
강중(剛中)@신건 - 신건(申健)
조선 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평산(平山). 돈녕부 봉사(敦寧府奉事)를 지낸 신우호(申友顥)의 아들로, 한백겸(韓百謙)의 외조부. 예빈시 정(禮賓寺正)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강중(剛中) - 서거정(徐居正)
조선 세종(世宗)~성종(成宗) 때의 문신ㆍ학자. 성리학을 비롯하여 천문(天文) 등 여러 방면에 정통하고, 문장과 글씨에 능함. 《경국대전(經國大典)》ㆍ《동국통감(東國通鑑)》등의 편찬에 참여하고, 《동인시화(東人詩話)》ㆍ《동문선(東文選)》등을 저술함.
1420~1488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대구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강중(剛中)@홍지성 - 홍지성(洪至誠)
조선 선조(宣祖) 때의 학자. 본관은 남양(南陽)으로, 여경(餘慶) 홍유손(洪裕孫)의 아들. 사화로 고초를 겪은 아버지의 영향으로 관직에 나가지 않고 향리에 은거하여 학문에 매진하고 후진교육에 힘썼으며, 특히 고문에 정통했음.
1528~1597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남양 , 인명>문사>학자
-
강중(剛仲) - 양철견(梁鐵堅)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남원(南原). 수의부위(修義副尉) 양옥정(梁玉精)의 아들로, 1515년(중종 10) 알성시(謁聖試)에 급제하여 현감(縣監)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관인>문신
-
강중(强仲) - 이중립(李中立)
조선 명종(明宗) 때의 유학. 본관은 경주(慶州). 이황(李滉)의 문인으로, 김성일(金誠一)ㆍ권호문(權好文)ㆍ서해(徐嶰) 등과 교유하고, 서당을 지어 후진 양성에 힘씀.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문사>유학
-
강중보(姜仲輔) - 강익(姜翼)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학자. 본관은 진주(晉州)로, 조식(曺植)의 문인. 1566년(명종 21) 영남 유생 33인의 소두(疏頭)로 정여창(鄭汝昌)을 제향한 함양의 남계서원(灆溪書院)에 사액을 청하여 성사시킴, 학행으로 추천되어 소격서 참봉(昭格署參奉)을 지냄.
1523~1567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함양 , 인명>문사>학자
-
강중윤(姜仲潤) - 강영(姜霙)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구봉령(具鳳齡)과 교유했으며, 안기 찰방(安奇察訪)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강지(剛之) - 허흠(許欽)
조선 연산군(燕山君)~중종(中宗) 때의 유학. 본관은 김해(金海). 첨지중추부사(僉知中樞府事) 허금수(許金壽)의 아들로, 독서하기를 좋아하고 벗들과 우애가 깊었음.
1472~1515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문사>유학
-
강지(絳之) - 유강(兪絳)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기계(杞溪)로, 예조 판서 유여림(兪汝霖)의 아들. 명종(明宗) 때 첨지중추부사(僉知中樞府事)로서 사은사(謝恩使)가 되어 명(明) 나라에 다녀오고, 평안도 관찰사(平安道觀察使)ㆍ호조 판서(戶曹判書) 등을 지냄.
1510~1570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강진(降眞) - 강진향(降眞香)
유구(琉球)ㆍ태국(泰國)ㆍ중국(中國) 등지에서 나는 향나무로 만든 향(香) 이름. 돌림병이 돌 때나 집안에 괴상한 기운이 있을 때 피우면 나쁜 기운을 물리칠 수 있다고 함.
물품>기타용품>의료용품
-
강진서원(康津書院) - 서봉서원(瑞峯書院)
조선 선조(宣祖) 때 전라도 강진(康津)에 건립한 서원. 이후백(李後白)ㆍ백광훈(白光勳)ㆍ최경창(崔慶昌)을 배향함.
1590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강진 , 유적>건물>서원,향교
-
강징(姜徵) - 강징(姜澂)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문신ㆍ서예가. 본관은 진주(晉州). 글씨에 능하여 중종(中宗)의 총애를 받음.
1466~1536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예술인>서화가ㅣ인명>관인>문신
-
강천사(江天寺) - 금산사(金山寺)@중국
중국 강소성(江蘇省) 진강(鎭江) 서북쪽 금산(金山) 위에 있는 사찰. 동진(東晉) 때 창건된 중국의 대표적 선찰(禪刹)로, 송(宋) 나라 때 승려 요원(了元)과 소식(蘇軾)이 노닐었던 곳으로 유명함.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유적>건물>사찰
-
강청로(姜淸老) - 강은(姜㶏)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진주(晉州). 기묘명현(己卯名賢)으로, 노후에는 김안국(金安國)과 학문을 강론하며 여생을 보냄.
1487~1552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이천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강총(江總) - 강총(江摠)
중국 남북조시대 진(陳) 나라의 문신ㆍ문인. 양(梁) 나라에서 벼슬하다가 진 나라 후주(後主) 때 상서령(尙書令)이 되었으며, 뒤에 수(隋) 나라에서 상개부(上開府)를 지냄. 문장에 능하고 특히 시에 뛰어났음.
519~594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강취죽(姜翠竹) - 강극성(姜克誠)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진주(晉州)로, 좌찬성 강희맹(姜希孟)의 현손(玄孫). 군자감 정(軍資監正)ㆍ제용감 정(濟用監正) 등을 지냄.
1526~1576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진주 , 인명>관인>문신
-
강태공(姜太公) - 여상(呂尙)
중국 은(殷) 말~주(周) 초의 무신ㆍ제후. 영락(零落)하여 위수(渭水) 근처에서 낚시로 세월을 보내던 중 주(周) 문왕(文王)을 만나 주 나라 건국의 기반을 다지고 제후(齊侯)에 봉해짐.
중국>주ㅣ중국>은 , 중국 , 인명>관인>무신ㅣ인명>왕실>제후
-
강태초(姜太初) - 강항(姜沆)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진주(晉州)로, 성혼(成渾)의 문인.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의병으로 활약하다 일본에 잡혀간 뒤 성리학을 전파하여, 일본 주자학의 개조가 된 등원성와(藤原醒窩)에게 학문적 영향을 미침.
1567~1618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영광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강태함(姜太涵) - 강심(姜深)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진주(晉州).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절충장군(折衝將軍)에 오른 아들 강덕룡(姜德龍)의 공으로 공조 참의(工曹參議)에 추증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진주 , 인명>문사>유학
-
강평(康平) - 이명신(李明晨)
조선 태종(太宗)~세조(世祖) 때의 문신. 본관은 덕수(德水). 이양(李揚)의 아들로, 판홍주목사(判洪州牧事) 등을 역임하였으며, 선정(善政)을 베풀어 명관(名官)으로 칭송되었고, 《세조실록(世祖實錄)》에 그의 졸기(卒記)가 실려 있음.
1392~1459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풍덕 , 인명>관인>문신
-
강평산(康平山) - 강복성(康復誠)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신천(信川). 정유재란(丁酉再亂) 때 남원에서 전공을 세우고, 광해군(光海君)의 사부로 가자(加資)되었으나 난정(亂政)을 행하자 사직함. 이괄(李适)의 난 때 인조를 호위하여 지중추부사(知中樞府事)를 지냈으며, 저서로 《죽간집(竹磵集)》이 있음.
1550~1634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선산 , 인명>관인>문신
-
강하객(江夏客) - 황향(黃香)
중국 후한(後漢) 장제(章帝)~화제(和帝) 때의 문신. 많은 전적(典籍)을 읽었고 문장을 잘 지었으므로 사람들이 ‘천하무쌍 강하황동(天下無雙江夏黃童)’이라 일컬었으며, 뒤에는 황동이 사관(史官)을 지칭하는 말로 쓰이기도 하였음.
중국>후한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강하군공(江夏郡公) - 황진(黃溍)
중국 원(元) 나라 인종(仁宗)~혜종(惠宗) 때의 문신ㆍ학자. 시강학사(侍講學士) 등을 지내고, 게혜사(揭傒斯)ㆍ우집(虞集)ㆍ유관(柳貫)과 함께 유림사걸(儒林四傑)로 불림. 저서로 《일손재필기(日損齋筆記)》ㆍ《황문헌집(黃文獻集)》이 있음.
1277~1357 중국>원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강하아(江夏兒) - 이도종(李道宗)
중국 당(唐) 나라의 종친. 고조(高祖)의 당질(堂侄)로, 17세부터 태종(太宗) 이세민(李世民)을 도와 많은 전투에서 공을 세웠으며, 태상경(太常卿) 등을 역임함.
600~653 중국>당 , 중국 , 인명>왕실>종친
-
강하왕(江夏王) - 이도종(李道宗)
중국 당(唐) 나라의 종친. 고조(高祖)의 당질(堂侄)로, 17세부터 태종(太宗) 이세민(李世民)을 도와 많은 전투에서 공을 세웠으며, 태상경(太常卿) 등을 역임함.
600~653 중국>당 , 중국 , 인명>왕실>종친
-
강하자(江夏子) - 이도종(李道宗)
중국 당(唐) 나라의 종친. 고조(高祖)의 당질(堂侄)로, 17세부터 태종(太宗) 이세민(李世民)을 도와 많은 전투에서 공을 세웠으며, 태상경(太常卿) 등을 역임함.
600~653 중국>당 , 중국 , 인명>왕실>종친
-
강하황동(江夏黃童) - 황향(黃香)
중국 후한(後漢) 장제(章帝)~화제(和帝) 때의 문신. 많은 전적(典籍)을 읽었고 문장을 잘 지었으므로 사람들이 ‘천하무쌍 강하황동(天下無雙江夏黃童)’이라 일컬었으며, 뒤에는 황동이 사관(史官)을 지칭하는 말로 쓰이기도 하였음.
중국>후한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강한(江漢) - 김강한(金江漢)
조선 후기의 학자. 본관은 의성(義城). 제산(霽山) 김성탁(金聖鐸)의 문인으로, 이상정(李象靖)ㆍ최흥원(崔興遠)ㆍ유도원(柳道源)ㆍ유장원(柳長源) 등과 교유함. 저서에 《계집고증(溪集考證)》과 《난곡집(蘭谷集)》이 있음.
1719~1779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문사>학자
-
강한사(姜寒沙) - 강대수(姜大遂)
조선 광해군(光海君)~효종(孝宗)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진주(晉州). 1612년(광해군 4) 증광시(增廣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우승지(右承旨)ㆍ병조 참의(兵曹參議) 등을 지냄. 1646년(인조 24)에 영국공신(寧國功臣)에 녹훈되고, 합천(陜川)의 도연서원(道淵書院)에 배향됨.
1591~1658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합천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강항(强項)@유강항 - 유강항(柳强項)
조선 전기의 유학. 김인후(金麟厚)의 《하서전집(河西全集)》에, 그의 집에 들렀을 때 지은 시가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유학
-
강항(强項) - 동선(董宣)
중국 후한(後漢) 때의 문신. 광무제(光武帝) 때 잘못을 한 호양공주(湖陽公主)에게 머리를 조아리지 않은 강직함으로 유명함.
중국>후한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강해(姜海) - 강견(姜涀)
조선 선조(宣祖) 때의 유학. 본관은 진주(晉州). 강항(姜沆)의 형이고 이이(李珥)의 문인. 정여립(鄭汝立) 사건 때 최영경(崔永慶)을 유령의 인물인 길삼봉(吉三峯)으로 무고하여 옥사(獄死)하게 함.
1554~1589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영광 , 인명>문사>유학
-
강향(降香) - 강진향(降眞香)
유구(琉球)ㆍ태국(泰國)ㆍ중국(中國) 등지에서 나는 향나무로 만든 향(香) 이름. 돌림병이 돌 때나 집안에 괴상한 기운이 있을 때 피우면 나쁜 기운을 물리칠 수 있다고 함.
물품>기타용품>의료용품
-
강향인(江鄕人) - 이번(李燔)
중국 송(宋) 나라의 문신ㆍ학자. 주희(朱熹)의 문인(門人)으로, 주희가 죽은 후 백록서원(白鹿書院)의 당장(堂長)을 맡아 학문을 성대히 일으켰으며, 황간(黃榦)과 더불어 ‘황이(黃李)’로 일컬어짐.
1163~1232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강헌(康憲) - 이원(李原)
고려 우왕(禑王)~조선 세종(世宗) 때의 문신. 본관은 고성(固城). 이암(李嵒)의 손자이며 정몽주(鄭夢周)의 문인. 조선 개국 후 제2차 왕자의 난 때 협력하여 좌명공신(佐命功臣)에 책록되고, 국기를 다지고 제도를 확립하는 데 공헌함.
1368~1430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상도>고성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강헌(康獻) - 태조(太祖)@조선
조선 제1대 왕. 재위 1392~1398. 고려 말에 무장(武將)으로서 홍건적(紅巾賊)과 왜구(倭寇)의 침입을 격퇴하는 데 크게 활약했으며, 개혁파 사류(士類)와 함께 고려 왕조를 무너뜨리고 조선을 건국한 후 초기 국가의 기틀을 다짐.
1335~1408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함경도>영흥ㅣ서울 , 인명>왕실>국왕
-
강헌대왕(康獻大王) - 태조(太祖)@조선
조선 제1대 왕. 재위 1392~1398. 고려 말에 무장(武將)으로서 홍건적(紅巾賊)과 왜구(倭寇)의 침입을 격퇴하는 데 크게 활약했으며, 개혁파 사류(士類)와 함께 고려 왕조를 무너뜨리고 조선을 건국한 후 초기 국가의 기틀을 다짐.
1335~1408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함경도>영흥ㅣ서울 , 인명>왕실>국왕
-
강헌왕(康獻王) - 태조(太祖)@조선
조선 제1대 왕. 재위 1392~1398. 고려 말에 무장(武將)으로서 홍건적(紅巾賊)과 왜구(倭寇)의 침입을 격퇴하는 데 크게 활약했으며, 개혁파 사류(士類)와 함께 고려 왕조를 무너뜨리고 조선을 건국한 후 초기 국가의 기틀을 다짐.
1335~1408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함경도>영흥ㅣ서울 , 인명>왕실>국왕
-
강헌지인계운성문신무(康獻至仁啓運聖文神武) - 태조(太祖)@조선
조선 제1대 왕. 재위 1392~1398. 고려 말에 무장(武將)으로서 홍건적(紅巾賊)과 왜구(倭寇)의 침입을 격퇴하는 데 크게 활약했으며, 개혁파 사류(士類)와 함께 고려 왕조를 무너뜨리고 조선을 건국한 후 초기 국가의 기틀을 다짐.
1335~1408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함경도>영흥ㅣ서울 , 인명>왕실>국왕
-
강호(江湖) - 박공달(朴公達)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병조 좌랑(兵曹佐郞) 등을 지냈으며, 기묘사화(己卯士禍) 때 사림(士林)에 화가 미치자 벼슬에서 물러나 삼가(三可) 박수량(朴遂良)과 함께 경학강의를 하며 여생을 보냄.
1470~? 한국>조선전기 , 강원도>강릉 , 인명>관인>문신
-
강호거사(江湖居士) - 허강(許橿)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학자. 본관은 양천(陽川). 좌찬성(左贊成)을 지낸 허자(許磁)의 아들로, 정작(鄭碏)ㆍ이지함(李之菡)ㆍ양사언(楊士彦) 등과 교계(交契)가 깊었음. 미수(眉叟) 허목(許穆)의 조부.
1520~1592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양천 , 인명>문사>학자
-
강호고사(江湖高士) - 권호문(權好文)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인ㆍ학자. 본관은 안동(安東). 이황(李滉)의 문인으로, 무민재(無悶齋)를 짓고 은거하면서 유성룡(柳成龍)ㆍ김성일(金誠一) 등과 교유함.
1532~1587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문사>학자ㅣ인명>문사>문인
-
강호사휴(江湖四休) - 박공달(朴公達)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병조 좌랑(兵曹佐郞) 등을 지냈으며, 기묘사화(己卯士禍) 때 사림(士林)에 화가 미치자 벼슬에서 물러나 삼가(三可) 박수량(朴遂良)과 함께 경학강의를 하며 여생을 보냄.
1470~? 한국>조선전기 , 강원도>강릉 , 인명>관인>문신
-
강호산인(江湖山人) - 김숙자(金叔滋)
조선 세종(世宗)~성종(成宗) 때의 문신ㆍ학자. 스승인 길재(吉再)로부터 정몽주(鄭夢周)의 학통을 이어받아 이를 아들 김종직(金宗直)에게 잇게 함으로써 주자학을 발전시킴.
1389~1456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선산ㅣ경상도>밀양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강호산인(江湖散人) - 김숙자(金叔滋)
조선 세종(世宗)~성종(成宗) 때의 문신ㆍ학자. 스승인 길재(吉再)로부터 정몽주(鄭夢周)의 학통을 이어받아 이를 아들 김종직(金宗直)에게 잇게 함으로써 주자학을 발전시킴.
1389~1456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선산ㅣ경상도>밀양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강호산인(江湖散人)@육귀몽 - 육귀몽(陸龜蒙)
중국 당(唐) 나라의 시인ㆍ학자. 육경(六經)과 《춘추(春秋)》에 통달하였으나 벼슬하지 않고 송강(松江)의 보리(甫里)에 은거하여 유유자적함. 시재(詩才)가 뛰어나 피일휴(皮一休)와 더불어 ‘피육(皮陸)’으로 일컬어짐.
?~881 중국>당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문사>문인
-
강호파(江湖派) - 강호시파(江湖詩派)
중국 남송(南宋) 때 유행한 시파(詩派). 유극장(劉克莊) 등이 주도하여 강서시파(江西詩派)의 형식 기교와 답습 모방의 폐해에 반발하며 만당체(晩唐體)를 표방하고 시풍(詩風)의 일변을 도모함.
중국>송 , 중국 , 사상>기타사상
-
강화성(江華城) - 강화산성(江華山城)
현재 인천광역시 강화군(江華郡)의 강화읍(江華邑)을 에워싸고 있는 고려시대의 산성. 1234년(고종 21) 몽고(蒙古)의 침입으로 인해 강화도로 천도할 당시 본격적으로 축조되었으며, 이후 조선시대까지 수많은 외세의 침략을 당함.
1234 한국>고려시대 , 경기도>강화 , 유적>시설>성,진,책
-
강화왕(江華王) - 창왕(昌王)
고려 제33대 왕. 재위 1388~1389. 우왕(禑王)의 아들. 이색(李穡)ㆍ조민수(曺敏修) 등의 추대로 즉위하였으나 곧 이성계(李成桂)에 의해 폐위됨.
1380~1389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개성 , 인명>왕실>국왕
-
강화재(姜和齋) - 강인수(姜仁壽)
조선 명종(明宗) 때의 유학. 동향(同鄕) 사람인 문익성(文益成)ㆍ주이(周怡)와 교유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합천 , 인명>문사>유학
-
강환(姜環) - 영공(靈公)@춘추전국(제)
중국 춘추전국시대 제(齊) 나라의 제후. 재위 B.C.581~B.C.554. 경공(頃公)의 아들이자, 최저(崔杼)에게 시해(弑害)당한 장공(莊公)의 아버지.
?~B.C.554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왕실>제후
-
강회효(姜淮孝) - 강회계(姜淮季)
고려 공양왕(恭讓王)의 부마(駙馬). 본관은 진주(晉州)로, 찬성사(贊成事) 강시(姜蓍)의 아들. 공양왕의 셋째 딸 경화궁주(敬和宮主)와 혼인하였으며, 공양왕의 세자 왕석(王奭)의 시학(侍學)을 지냄. 공양왕이 폐위되자 개경(開京)의 회보문(會寶門) 밖에서 참수됨.
1364~1392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개성 , 인명>왕실>인척
-
강효자(江孝子) - 강혁(江革)
중국 후한(後漢) 때의 효자. 임치(臨淄) 사람으로 홀어머니를 봉양하였는데, 난리를 만나 피난하던 도중 도적을 만났지만 도적들이 그의 효성에 감복하여 피난길을 알려 주었다고 함.
중국>후한 , 중국 , 인명>기타인명>효자
-
강후(剛侯) - 가복(賈復)
중국 후한(後漢) 광무제(光武帝) 때의 장군. 등우(鄧禹)ㆍ경감(耿弇) 등과 함께 광무제를 보좌하여 후한을 건립하는 데 공훈을 세움. 도호장군(都護將軍)이 되고 교동후(膠東侯)에 봉해짐.
중국>후한 , 중국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무신
-
강후(剛候) - 황충(黃忠)
중국 삼국시대 촉(蜀) 나라의 장수. 강주(江州)를 지키다가 장비(張飛)에게 생포된 뒤 엄안(嚴顔)과 더불어 유비(劉備)의 심복이 되어 많은 공을 세움.
?~220 중국>삼국시대 , 중국 , 인명>관인>무신
-
강후(姜后) - 강원(姜嫄)
중국 주(周) 나라 건국신화에 등장하는 제곡고신(帝嚳高辛)의 원비(元妃). 주 나라를 건국한 후직(后稷)의 어머니로, 거인(巨人)의 발자국을 밟고 임신하여 후직을 낳았다고 함.
고대 , 중국 , 인명>왕실>왕비
-
강후(康侯) - 호안국(胡安國)
중국 송(宋) 나라 철종(哲宗)~고종(高宗) 때의 문신ㆍ학자. 정이(程頤)를 사숙하고 정문(程門)의 학문을 규명하여 무이학파(武夷學派)를 창시하였으며, 《춘추(春秋)》를 20년 동안 연구하여 《춘추호씨전(春秋胡氏傳)》을 저술함.
1074~1138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강후(絳侯) - 주발(周勃)
중국 전한(前漢) 고조(高祖)~문제(文帝) 때의 문신ㆍ공신. 고조의 황후 여후(呂后)가 혜제(惠帝)가 죽은 후 여씨 세력을 확대하고 정치를 독점하자 승상(丞相) 진평(陳平) 등과 함께 군사를 일으켜 여씨 일당을 몰아내고 문제를 옹립함.
중국>전한 , 중국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개(介) - 안지추(顔之推)
중국 남북조시대 양(梁)~수(隋) 나라의 문인ㆍ학자. 양 나라에서 태어나 북제(北齊)와 북주(北周)를 거쳐 수 나라에서 벼슬함. 학식이 뛰어나고 유불(儒佛)의 조화를 주창하였으며, 가족과 가정도덕의 확립을 역설한 《안씨가훈(顔氏家訓)》을 지음.
531~591 중국>수ㅣ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문사>문인
-
개(塏) - 이개(李塏)
조선 세종(世宗)~세조(世祖) 때의 문신. 본관은 한산(韓山)으로, 이계주(李季疇)의 아들. 훈민정음(訓民正音) 창제 등에 공헌하였으나, 단종(端宗)의 복위를 꾀하다가 발각되어 처형됨으로써 사육신(死六臣)의 한 사람이 됨.
1417~1456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한산 , 인명>관인>문신
-
개(愷) - 권개(權愷)
조선 세종(世宗)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으로, 안동 판관(安東判官)을 지낸 안팽로(安彭老)의 장인.좌익공신(佐翼功臣)에 책록되고, 병조 참판(兵曹參判) 등을 지냄.
?~1468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개(愷)@주개 - 주개(周愷)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상주(尙州). 수의부정(修義副正) 주세곤(周世鵾)의 아들이며, 신재(愼齋) 주세붕(周世鵬)의 조카.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상주 , 인명>문사>유학
-
개(愷)@윤개 - 윤개(尹愷)
조선 전기의 문신. 남양 부사(南陽府使)를 지내고, 춘정(春亭) 변계량(卞季良)과 교유함.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남양 , 인명>관인>문신
-
개(槩) - 신개(申槩)
조선 태조(太祖)~세종(世宗) 때의 문신. 본관은 평산(平山). 1417년(태종 17)에 집현전 제학(集賢殿提學)이 되고, 1436년(세종 18)에 《고려사(高麗史)》수찬에 참여함. 1439년(세종 21) 우의정에 올라 야인의 침입을 막기 위한 장성 축조를 건의함.
1374~1446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개성 , 인명>관인>문신
-
개(槩)@원개 - 원개(元槩)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원주(原州). 김굉필(金宏弼)과 함께 김종직(金宗直)의 문하에서 유학(遊學)하였으며, 고행(高行)으로 참봉(參奉)에 천거되었으나 나아가지 않았음.
한국>조선전기 , 강원도>원주 , 인명>문사>유학
-
개(槪) - 성개(成槪)
조선 태종(太宗)~세종(世宗) 때의 문신. 본관은 창녕(昌寧). 보문각 대제학(寶文閣大提學) 성석용(成石瑢)의 아들이자 문신 성희(成熺)의 아버지로, 경기 관찰사(京畿觀察使)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창녕 , 인명>관인>문신
-
개(漑)@신개 - 신개(申漑)
조선 전기의 유학. 모재(慕齋) 김안국(金安國)의 문인(門人). 성호문(成好問) 등과 함께 김안국(金安國)에게서 자(字)를 받음.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유학
-
개(漑)@윤개 - 윤개(尹漑)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파평(坡平)으로, 김안국(金安國)의 문인. 을사사화(乙巳士禍) 때 대윤(大尹) 일파를 제거하는 데 가담하여 보익공신(保翼功臣)에 책록되고 좌의정(左議政)에까지 올랐으나, 권세에 아부하였다는 사림(士林)의 비판을 받고 선조(宣祖) 초에 모든 훈작(勳爵)이 삭탈됨.
1494~1566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여주ㅣ경기도>파주 , 인명>관인>문신
-
개(漑)@김개 - 김개(金漑)
조선 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 본관은 영광(靈光). 김이상(金履祥)의 아들로, 1501년(연산군 7) 식년시(式年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지평(持平)을 지냄. 김정(金淨)의 《충암집(冲庵集)》에 화답시가 있음.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영광 , 인명>관인>문신
-
개(漑) - 박개(朴漑)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충주(忠州). 고산 현감(高山縣監)과 김제 군수(金堤郡守) 등을 역임하고 향리로 돌아가 여생을 마침.
1511~1586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나주 , 인명>관인>문신
-
개(鎧) - 김개(金鎧)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광산(光山). 조광조(趙光祖) 등을 현자로 추대할 때 조광조 일파를 비방한 이유로 삭탈관직됨.
1504~1569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금천 , 인명>관인>문신
-
개(開) - 진염(秦冉)
중국 춘추전국시대 노(魯) 나라의 학자. 공자(孔子)의 제자로, 중국 문묘(文廟)에 배향됨.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개(開)@이개 - 이개(李開)
통일신라 말~고려 초의 인물로 합천이씨(陜川李氏)의 시조. 신라 알천 양산촌(閼川楊山村)의 촌장 이알평(李謁平)의 후손으로, 신라 말에 강양군(江陽君)에 봉해짐. 고려 건국 후 가수 현장(嘉樹縣長)으로 강등되었다가, 뒤에 합천 호장(陜川戶長)을 지냄.
한국>고려전기ㅣ한국>통일신라 , 경상도>합천 , 인명>관인>아전
-
개(闓) - 김개(金闓)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좌의정(左議政)을 지낸 김귀영(金貴榮)의 아들. 좌윤(左尹)을 지내고, 허균(許筠)의 심복으로서 인목대비(仁穆大妃)의 폐비를 주장함. 허균이 역모 혐의로 처형당할 때 심문을 받다 장살(杖殺)됨.
1582~1618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상주 , 인명>관인>문신
-
개갈모성(蓋葛牟城) - 개주(蓋州)
중국 요녕성(遼寧省) 동북쪽에 위치한 주(州) 이름. 고구려(高句麗)와 당(唐) 나라의 전쟁 때 당 나라의 장수 이세적(李世勣)이 고구려의 개갈모성(蓋葛牟城)을 함락시키고 개주(蓋州)로 만듦.
중국 , 지명>행정지명
-
개경(蓋卿) - 습개경(襲蓋卿)
중국 송(宋) 나라의 문신ㆍ학자. 형주(衡州) 상녕(常寧) 사람으로, 주자(朱子)의 문인(門人).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개계(介溪) - 엄숭(嚴嵩)
중국 명(明) 나라 세종(世宗) 때의 문신. 벼슬이 태자 태사(太子太師)에 이르렀으며, 왕의 총애만 믿고 권력을 마음대로 휘두르고 뇌물을 탐하여 크게 치부(致富)함. 급사중(給事中) 양계성(楊繼盛)이 세 번이나 상소하여 그의 죄악를 논박하다가 살해됨.
1480~1568 중국>명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개골(皆骨) - 금강산(金剛山)
강원도 고성군ㆍ금강군ㆍ통천군의 경계에 있는 산. 예로부터 삼신산(三神山)의 하나로 꼽히고, 계절에 따라 봉래산(蓬萊山)ㆍ풍악산(楓嶽山)ㆍ개골산(皆骨山)으로 불림.
강원도>통천ㅣ강원도>고성 , 지명>자연지명
-
개골산(皆骨山) - 금강산(金剛山)
강원도 고성군ㆍ금강군ㆍ통천군의 경계에 있는 산. 예로부터 삼신산(三神山)의 하나로 꼽히고, 계절에 따라 봉래산(蓬萊山)ㆍ풍악산(楓嶽山)ㆍ개골산(皆骨山)으로 불림.
강원도>통천ㅣ강원도>고성 , 지명>자연지명
-
개국(蓋國) - 김개국(金蓋國)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연안(延安). 효성이 지극하고 절개가 곧아 칭송을 받음.
1548~1603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영천(榮川) , 인명>관인>문신
-
개국공(開國公)@김유신 - 김유신(金庾信)
신라 진평왕(眞平王)~통일신라 문무왕(文武王) 때의 장군ㆍ대신. 신라가 삼국을 통일하는 데 중심적인 역할을 함.
595~673 한국>통일신라ㅣ한국>신라 , 경상도>경주 , 인명>관인>무신
-
개국공(開國公) - 김방경(金方慶)
고려 고종(高宗)~충렬왕(忠烈王) 때의 무신. 본관은 안동(安東). 김효인(金孝印)의 아들로, 삼별초(三別抄)의 난을 평정하고 원(元) 나라가 일본을 정벌할 때 참여함.
1212~1300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무신
-
개국백(開國伯) - 윤관(尹瓘)
고려 문종(文宗)~예종(睿宗) 때의 문신ㆍ무신. 별무반(別武班)을 창설하고 예종 때 구성(九城)을 쌓아 침범하는 여진(女眞)을 평정한 공으로 공신(功臣)에 책록되었으며, 문하시중(門下侍中) 등을 지냄.
?~1111 한국>고려전기 , 경기도>파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무신ㅣ인명>관인>문신
-
개국백(開國伯)@조온 - 조온(趙溫)
고려 우왕(禑王)~조선 태종(太宗) 때의 문신. 본관은 한양(漢陽). 용원부원군(龍原府院君) 조인벽(趙仁璧)의 아들로, 이성계(李成桂)의 신진세력에 참여하여 조선 개국에 공을 세움.
1347~1417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서울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개국백(開國伯)@정도전 - 정도전(鄭道傳)
고려 공민왕(恭愍王)~조선 태조(太祖) 때의 문신ㆍ학자. 이색(李穡)의 문인. 조선 왕조의 개국을 주도하고 사상ㆍ제도 면에서 기틀을 마련하였으나, 제1차 왕자의 난 때 이방원(李芳遠)에 의해 희생됨.
1342~1398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충청도>단양ㅣ경상도>영천(榮川)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개국장절공(開國壯節公) - 신숭겸(申崇謙)
고려 태조(太祖) 때의 무신. 본관은 평산(平山). 궁예(弓裔)를 몰아내고 왕건(王建)을 추대하여 고려 건국에 큰 공을 세움으로써 개국일등공신(開國一等功臣)에 책록되었으며, 견훤(甄萱)과의 공산전투(公山戰鬪)에서 태조를 구출하고 전사함.
?~927 한국>고려전기ㅣ한국>통일신라 , 전라도>곡성ㅣ강원도>춘천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무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