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개금(盖金) - 연개소문(淵蓋蘇文)
고구려 말기의 재상ㆍ무신. 혼란한 고구려 말기에 정권을 잡아 자신을 제거하려는 대인(大人)들을 모두 제거하고 보장왕(寶藏王)을 옹립하여 대막리지(大莫離支)에 오름.
?~665 한국>고구려 , 인명>관인>무신
-
개금(蓋金) - 연개소문(淵蓋蘇文)
고구려 말기의 재상ㆍ무신. 혼란한 고구려 말기에 정권을 잡아 자신을 제거하려는 대인(大人)들을 모두 제거하고 보장왕(寶藏王)을 옹립하여 대막리지(大莫離支)에 오름.
?~665 한국>고구려 , 인명>관인>무신
-
개도(開都) - 개성(開城)
경기도 서북부에 위치한 고려시대 이후의 고을 이름. 고려의 수도.
경기도>개성 , 지명>행정지명
-
개령군(開寧君) - 목종(穆宗)@고려
고려 제7대 국왕. 재위 997~1009. 전시과(田柴科)를 개정(改定)하고 학문을 장려하는 등 치적을 쌓았으나 강조(康兆)에게 피살됨.
980~1009 한국>고려전기 , 경기도>개성 , 인명>왕실>국왕
-
개로(藎老) - 박양좌(朴良佐)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순천(順天). 박이장(朴而章)의 아버지로, 사마시(司馬試)에 합격하였으나 과거를 폐하였으며 훗날 경기전 참봉(慶基展參奉)ㆍ승선(承宣) 등을 지냄.
1521~1599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합천 , 인명>관인>문신
-
개립(介立) - 이개립(李介立)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ㆍ의병장. 본관은 경주(慶州)로, 이해(李𥩲)의 아들. 박승임(朴承任)ㆍ김성일(金誠一)의 문인으로, 효행(孝行)과 유일(遺逸)로 천거되어 참봉(參奉)을 지냈으며, 임진왜란 때 의병을 일으켜 군량을 조달함.
1546~1625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용궁ㅣ경상도>영천(榮川) , 인명>관인>문신
-
개마대산(蓋馬大山) - 백두산(白頭山)
함경도와 중국 길림성(吉林省)에 걸쳐 있는 산. 백두산에서부터 지리산에 이르는 백두대간은 한국의 기본 산줄기로서, 모든 산들이 여기서 뻗어 내렸다 하여 예로부터 성산(聖山)으로 숭배함.
함경도>경성ㅣ함경도>갑산 , 지명>자연지명
-
개모성(蓋牟城) - 개주위(蓋州衛)
중국 심양(瀋陽) 동남쪽에 있는 고을 이름. 안시성이 동북쪽에 있음.
중국 , 지명>행정지명
-
개물(開物) - 김개물(金開物)
고려 충선왕(忠宣王)~충숙왕(忠肅王) 때의 문신. 본관은 의성(義城). 김훤(金咺)의 아들로, 성품이 강직하였으며, 시(詩)ㆍ서(書)ㆍ화(畵)에 능하였음.
1272~1327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의성 , 인명>관인>문신
-
개백(介伯) - 김괴(金塊)
조선 예종(睿宗)~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영광(靈光). 이조 참판 김필(金㻶)의 아들로, 남효온(南孝溫)과 교유하였으며, 사간원 헌납(司諫院獻納) 등을 지냄.
1450~1482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장흥 , 인명>관인>문신
-
개백(介白) - 이개백(李介白)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양성(陽城). 전옥서 참봉(典獄署參奉)을 지냈으며, 효자로 이름남. 윤근수(尹根壽)의 《월정집(月汀集)》에 만시(晩時)가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양성 , 인명>관인>문신
-
개백(開伯) - 변영청(邊永淸)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원주(原州). 원주부원군(原州府院君) 변광(邊廣)의 아들로, 이황(李滉)의 문인. 남원 부사(南原府使)ㆍ대구 부사(大丘府使)ㆍ상의원 정(尙衣院正) 등을 지냄.
1516~1580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개백군(皆伯君) - 기효근(奇孝謹)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무신. 본관은 행주(幸州)로, 고흥군(高興君) 기대유(奇大有)의 아들.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남해 현령(南海縣令)으로 전함ㆍ무기를 수리하고, 원균(元均)을 따라 사천(泗川)에서 싸워 공을 세움.
1542~1597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장성ㅣ경기도>고양 , 인명>관인>무신
-
개보(介甫)@이각 - 이각(李殼)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한산(韓山). 이선(李墠)의 아버지로, 1516년(중종 11) 식년시(式年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영월 군수(寧越郡守)를 지냄.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한산 , 인명>관인>문신
-
개보(介甫) - 왕안석(王安石)
중국 송(宋) 신종(神宗) 때의 문신ㆍ시인. 신종(神宗)에게 발탁되어 신법(新法)이라는 혁신 정책을 단행함. 당송팔대가(唐宋八大家) 중 한 사람으로 꼽힘.
1021~1086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개부(介夫)@채청 - 채청(蔡淸)
중국 명(明) 나라 헌종(憲宗) 때의 문신ㆍ학자. 남경국자감 좨주(南京國子監祭酒)를 지내고, 《역경(易經)》 연구로 명성이 높음.
1453~1508 중국>명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개부(介夫) - 백미견(白彌堅)
고려 충정왕(忠定王) 때의 문신. 1359년(공민왕 8) 전녹생(田祿生)과 정동향시(征東鄕試)에 입격하고, 원(元) 나라 제과(制科)에 합격하였음.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수원 , 인명>관인>문신
-
개부(介夫)@정협 - 정협(鄭俠)
중국 송(宋) 나라 영종(英宗)~휘종(徽宗) 때의 문신. 가뭄이 들어 유민(流民)들이 도로에 가득하게 되자, 이 참상(慘狀)을 유민도(流民圖)에 그려 올림으로써 신종(神宗)으로 하여금 왕안석(王安石)의 신법(新法)을 혁파하고 유민을 구제하게 함.
1041~1119 중국>송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개부(介夫)@왕안석 - 왕안석(王安石)
중국 송(宋) 신종(神宗) 때의 문신ㆍ시인. 신종(神宗)에게 발탁되어 신법(新法)이라는 혁신 정책을 단행함. 당송팔대가(唐宋八大家) 중 한 사람으로 꼽힘.
1021~1086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개사강(蓋泗江) - 박천강(博川江)
평안도 천마산(天馬山)에서 발원하여 청천강(淸川江)으로 흘러드는 강 이름. 청천강의 가장 큰 지류로, 사행로이자 유람지임.
평안도>태천ㅣ평안도>박천 , 지명>자연지명
-
개산(介山) - 개자추(介子推)
중국 춘추전국시대(春秋戰國時代)의 은사(隱士). 어려운 시기에 모셨던 진(晉) 문공(文公)이 뒤늦게 깨닫고 불렀으나 끝내 산속에서 불에 타죽음.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기타인명>은자
-
개산부수(介山副守) - 이효지(李孝智)
조선 전기의 종친. 태종(太宗)의 둘째 아들인 효령대군(孝寧大君)의 손자. 범허정(泛虛亭) 상진(尙震)의 장인.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개산수(介山守) - 이효지(李孝智)
조선 전기의 종친. 태종(太宗)의 둘째 아들인 효령대군(孝寧大君)의 손자. 범허정(泛虛亭) 상진(尙震)의 장인.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개석(介錫) - 정윤복(丁胤福)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나주(羅州). 판중추부사(判中樞府事)를 지낸 정응두(丁應斗)의 아들로, 동지중추부사(同知中樞府事) 등을 지냄.
1544~1592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나주 , 인명>관인>문신
-
개선암(開善庵) - 도겸(道謙)
중국 송(宋) 나라의 승려(僧侶). 주희(朱熹)가 초년(初年)에 선학(禪學)을 배운 고승(高僧).
중국>송 , 중국 , 인명>종교인>승려
-
개성군(開城君) - 김용주(金龍珠)
고려 문종(文宗)~숙종(肅宗) 때의 문신. 본관은 의성(義城). 김공우(金公祐)의 셋째 아들로, 여진(女眞)의 난을 평정하여 추충공신(推忠功臣)에 녹훈되고, 개성군(開城君)에 봉해짐.
한국>고려전기 , 경상도>의성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개성대왕(開聖大王) - 김효방(金孝芳)
신라 제37대 왕 선덕왕(宣德王)의 아버지. 본관은 경주(慶州). 내물마립간의 9세손으로, 관등은 해찬(海飡).
한국>통일신라 , 경상도>경주 , 인명>왕실>종친
-
개성백씨(開城白氏) - 수원백씨(水原白氏)
중국 당(唐) 나라에서 이부 상서(吏部尙書) 등을 지내고 신라로 온 송계공(松溪公) 백우경(白宇經)을 시조로 하고, 신라 경덕왕(景德王) 때 중랑장(中郞將)을 지낸 백창직(白昌稷)을 중시조로 하는 성씨.
한국>통일신라 , 경기도>수원 , 인명>집단>성씨
-
개성윤(開城尹) - 허교(許喬)@고려
고려 충숙왕(麗忠肅) 때의 문신. 본관은 양천(陽川). 허시(許時)ㆍ허응(許應) 등 여섯 형제의 아버지로, 개성 윤(開城尹)을 지내고 광록대부(光祿大夫)에 봉해짐.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양천 , 인명>관인>문신
-
개세웅(蓋世雄) - 항우(項羽)
중국 진(秦) 나라의 무장. 진승(陳勝)ㆍ오광(吳廣)의 난으로 진 나라가 혼란에 빠지자 숙부 항량(項梁)과 함께 봉기하여 진 나라를 멸망시켰으나, 제후를 통솔하지 못하여 해하(垓下)에서 한왕(漢王) 유방(劉邦)에게 포위되어 자살함.
B.C.232~B.C.202 중국>진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개소문(蓋蘇文) - 연개소문(淵蓋蘇文)
고구려 말기의 재상ㆍ무신. 혼란한 고구려 말기에 정권을 잡아 자신을 제거하려는 대인(大人)들을 모두 제거하고 보장왕(寶藏王)을 옹립하여 대막리지(大莫離支)에 오름.
?~665 한국>고구려 , 인명>관인>무신
-
개숙(愷叔) - 염제신(廉悌臣)
고려 충숙왕(忠肅王)~우왕(禑王) 때의 문신. 본관은 서원(瑞原)으로, 공민왕의 비(妃)인 신비(愼妃)의 아버지. 어려서 원(元) 나라에 건너가 진종(晉宗)을 시종하여 상의사(尙衣使)가 되고, 귀국하여 삼사좌사(三司左使)ㆍ수문하시중(守門下侍中) 등을 지냄.
1304~1382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파주 , 인명>관인>문신ㅣ인명>왕실>인척
-
개암(介庵) - 강익(姜翼)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학자. 본관은 진주(晉州)로, 조식(曺植)의 문인. 1566년(명종 21) 영남 유생 33인의 소두(疏頭)로 정여창(鄭汝昌)을 제향한 함양의 남계서원(灆溪書院)에 사액을 청하여 성사시킴, 학행으로 추천되어 소격서 참봉(昭格署參奉)을 지냄.
1523~1567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함양 , 인명>문사>학자
-
개암(介菴) - 강익(姜翼)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학자. 본관은 진주(晉州)로, 조식(曺植)의 문인. 1566년(명종 21) 영남 유생 33인의 소두(疏頭)로 정여창(鄭汝昌)을 제향한 함양의 남계서원(灆溪書院)에 사액을 청하여 성사시킴, 학행으로 추천되어 소격서 참봉(昭格署參奉)을 지냄.
1523~1567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함양 , 인명>문사>학자
-
개암(開巖) - 김우굉(金宇宏)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의성(義城). 이황(李滉)의 문인으로, 대사성(大司成)ㆍ부제학(副提學) 등을 지냄.
1524~1590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성주 , 인명>관인>문신
-
개암선생문집(介庵先生文集) - 개암집(介庵集)
조선 명종(明宗) 때의 학자인 강익(姜翼)의 시문집(詩文集). 초간본(初刊本)은 1686년(숙종 12)에 양천익(梁天翼)이 함양(咸陽)의 남계서원(灆溪書院)에서 목판으로 간행함.
1686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함양 , 문헌>서명
-
개약수(疥藥叟) - 김선(金瑄)
조선 세조(世祖)~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함창(咸昌). 전주 부윤(全州府尹)을 역임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함창 , 인명>관인>문신
-
개옹(改翁) - 신변(申抃)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평산(平山). 병조 좌랑(兵曹佐郞)이 되었을 때 기묘사화(己卯士禍)로 파직되고, 동생 신철(申哲)이 신사무옥(辛巳誣獄)에 연루되었을 때 누명을 쓰고 처형당함.
1470~1521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지평 , 인명>관인>문신
-
개옹(蓋翁) - 개공(蓋公)
중국 진(秦)~전한(前漢) 때의 은자. 《노자(老子)》에 밝았으며 악신공(樂臣公)을 스승으로 섬겼음. 한(漢) 나라 조참(曹參)이 제상(齊相)이 되었을 때 개공(蓋公)에게서 황로학(黃老學)으로 정치하는 법을 들으며 스승으로 받듦.
중국>전한ㅣ중국>진 , 중국 , 인명>기타인명>은자
-
개원례(開元禮) - 대당개원례(大唐開元禮)
중국 당(唐) 나라의 예제(禮制)를 규정한 책. 150권. 현종(玄宗)의 개원(開元) 연간에 소숭(蕭嵩) 등이 황제의 명을 받아, 태종(太宗) 때의 《정관례(貞觀禮)》와 고종(高宗) 때의 《현경례(顯慶禮)》를 절충하여 당대의 오례(五禮) 제도를 완비시킴.
712 중국>당 , 중국 , 문헌>서명
-
개원천자(開元天子) - 현종(玄宗)
중국 당(唐) 나라 제6대 황제. 재위 712~756. 예종(睿宗)의 셋째 아들로, 즉위 초에는 정사를 바로잡아 국내외의 부강과 안정을 다졌으나, 말년에는 양귀비(楊貴妃)와 향락에 빠져 안사(安史)의 난(亂)을 초래함.
685~762 중국>당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개자(介子)@개자추 - 개자추(介子推)
중국 춘추전국시대(春秋戰國時代)의 은사(隱士). 어려운 시기에 모셨던 진(晉) 문공(文公)이 뒤늦게 깨닫고 불렀으나 끝내 산속에서 불에 타죽음.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기타인명>은자
-
개자(介子) - 부개자(傅介子)
중국 한(漢) 나라 소제(昭帝) 때의 무신. 준마감(駿馬監)이 되어 대완국(大宛國)에 사신(使臣)으로 다녀왔었고, 한 나라 사신을 공격해 오던 누란국(樓蘭國)의 왕을 죽이고 돌아와서 의양후(義陽侯)에 봉해짐.
?~B.C.65 중국>전한 , 중국 , 인명>관인>무신
-
개장의절(改葬儀節) - 가례의절(家禮儀節)
중국 명(明) 나라의 유학자인 구준(丘濬)이 편찬한 책. 주희(朱憙)의 《가례(家禮)》에 대한 해설서.
중국>명 , 중국 , 문헌>서명
-
개절(介節) - 홍우정(洪宇定)
조선 광해군(光海君)~인조(仁祖) 때의 학자. 본관은 남양(南陽). 한성 서윤(漢城庶尹) 홍영(洪榮)의 아들로, 병자호란 때 태백산(太白山) 춘양(春陽)에 은거하여 홍석(洪錫)ㆍ정양(鄭瀁)ㆍ강흡(姜恰)ㆍ심장세(沈長世) 등과 함께 ‘태백오현(太白五賢)’으로 불림.
1593~1654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남양 , 인명>문사>학자
-
개정대학(改正大學) - 대학(大學)
유교 경전인 사서(四書)의 하나. 《예기(禮記)》의 제42편이었던 것을 중국 송(宋) 나라의 사마광(司馬光)이 처음으로 따로 떼어서 《대학광의(大學廣義)》를 만들었고, 송 나라의 주희(朱熹)가 《대학장구(大學章句)》를 지음.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문헌>서명
-
개주(价州) - 개천(价川)
평안도 북부에 있는 고을 이름. 고려시대에 조양진(朝陽鎭)으로 불렸으며, 1413년(태종 13)에 지금의 이름으로 고침.
평안도>개천 , 지명>행정지명
-
개주(蓋主) - 개장공주(蓋長公主)
중국 전한(前漢) 제7대 황제인 무제(武帝)의 딸. 어린 나이에 황제가 된 소제(昭帝)의 누나로, 좌장군(左將軍) 상관걸(上官桀)과 함께 모반을 꾸미다 실패하고 자결함.
중국>전한 , 중국 , 인명>왕실>공주
-
개주(開州)@개성 - 개성(開城)
경기도 서북부에 위치한 고려시대 이후의 고을 이름. 고려의 수도.
경기도>개성 , 지명>행정지명
-
개중(介仲) - 김몰(金圽)
조선 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영광(靈光)으로 이조 참판(吏曹參判) 김필(金㻶)의 아들이자 사간원 헌납(司諫院獻納) 김괴(金塊)의 동생. 1489년(성종 20) 식년시(式年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전한(典翰)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영광 , 인명>관인>문신
-
개중(介重) - 김몰(金圽)
조선 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영광(靈光)으로 이조 참판(吏曹參判) 김필(金㻶)의 아들이자 사간원 헌납(司諫院獻納) 김괴(金塊)의 동생. 1489년(성종 20) 식년시(式年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전한(典翰)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영광 , 인명>관인>문신
-
개지(介之)@최세절 - 최세절(崔世節)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ㆍ시인. 형조 참판(刑曹參判)을 지낸 최응현(崔應賢)의 아들로, 공조 참판(工曹參判)을 지내고, 시재(詩才)에도 뛰어남.
1479~1535 한국>조선전기 , 강원도>강릉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개지(介之) - 이충절(李忠節)
조선 중종(中宗) 때의 유학. 본관은 성주(星州). 훈도(訓導) 이영무(李英茂)의 아들로, 1513년(중종 8) 생원시(生員試)에 입격함.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영광 , 인명>문사>유학
-
개지(介之)@이해 - 이해(李蟹)
조선 연산군 때의 유학. 본관은 경주(慶州). 1504년(연산군 10) 생원시(生員試)에 입격함. 1712년(숙종 38) 건립된 나주의 영강서원(榮江書院)에 향사(享祀)됨.
1468~?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나주 , 인명>문사>유학
-
개지(愷之) - 고개지(顧愷之)
중국 남북조시대 동진(東晉)의 화가. 중국 회화사상 인물화(人物畫)의 최고봉으로 알려짐.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예술인>서화가
-
개지(漑之)@김이 - 김이(金洢)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 해주 목사(海州牧使)를 지낸 김공망(金公望)의 아들로, 음사(蔭仕)로 당진 현령(唐津縣令) 등을 역임함.
1515~1580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개지(漑之) - 신용개(申用漑)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문신. 김종직(金宗直)의 문인으로 무오사화(戊午士禍)ㆍ갑자사화(甲子士禍)에 연루되어 고초를 겪었으며, 중종반정(中宗反正) 후 명(明) 나라에 가서 고명(誥命)을 받아온 공으로 원종공신(原從功臣)에 책록됨.
1463~1519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고령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개지(漑之)@전승개 - 전승개(田承漑)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예산(禮山)으로, 고령 현감(高靈縣監)을 지낸 전실(田實)의 아들. 1517년(중종 12) 별시(別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예빈시 정(禮賓寺正)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홍주 , 인명>관인>문신
-
개지(漑之)@김개 - 김개(金漑)
조선 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 본관은 영광(靈光). 김이상(金履祥)의 아들로, 1501년(연산군 7) 식년시(式年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지평(持平)을 지냄. 김정(金淨)의 《충암집(冲庵集)》에 화답시가 있음.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영광 , 인명>관인>문신
-
개지변(皆知邊) - 울산(蔚山)
경상남도 북동부 해안에 있는 고을 이름. 신라시대부터 교통과 국방의 요충지로 발달하였으며, 조선시대에는 경상좌도병마도절제사영(慶尙左道兵馬都節制使營)이 설치되어 경상좌도 육군의 중심지 역할을 함.
경상도>울산 , 지명>행정지명
-
개지추(介之推) - 개자추(介子推)
중국 춘추전국시대(春秋戰國時代)의 은사(隱士). 어려운 시기에 모셨던 진(晉) 문공(文公)이 뒤늦게 깨닫고 불렀으나 끝내 산속에서 불에 타죽음.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기타인명>은자
-
개청(介淸) - 정개청(鄭介淸)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고성(固城)으로, 서경덕(徐敬德)의 문인. 전생서 주부(典牲署主簿)ㆍ곡성 현감(谷城縣監) 등을 지냈으며 예학(禮學)에 뛰어나 많은 제자들을 길러냈으나, 기축옥사(己丑獄事)에 연루되어 귀양가다 죽음. 저서로 《우득록(愚得錄)》이 있음.
1529~1590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무안ㅣ전라도>나주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개추(介推) - 개자추(介子推)
중국 춘추전국시대(春秋戰國時代)의 은사(隱士). 어려운 시기에 모셨던 진(晉) 문공(文公)이 뒤늦게 깨닫고 불렀으나 끝내 산속에서 불에 타죽음.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기타인명>은자
-
개평(蓋平) - 개주(蓋州)
중국 요녕성(遼寧省) 동북쪽에 위치한 주(州) 이름. 고구려(高句麗)와 당(唐) 나라의 전쟁 때 당 나라의 장수 이세적(李世勣)이 고구려의 개갈모성(蓋葛牟城)을 함락시키고 개주(蓋州)로 만듦.
중국 , 지명>행정지명
-
개헌(介軒) - 동몽정(董夢程)
중국 송(宋) 나라 때의 학자. 황간(黃榦)의 문인으로 호방평(胡方平)에게 역학(易學)을 전수함. 황간과 동수(董銖)에서 비롯한 주자(朱子) 계통의 학문을 계승함.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개화(皆火) - 부안(扶安)
전라도 북서부에 위치한 고을 이름. 1416년(태종 16)에 부령(扶寧)과 보안(保安)이 합해짐.
전라도>부안 , 지명>행정지명
-
개흥(開興) - 배천(白川)
황해도 남동부에 있는 고을 이름. 고려 태조(太祖) 때 백주(白州)라 부르고 의종(毅宗) 때 개흥부(開興府)로 승격되었다가 다시 백주로 환원되었으며, 조선 태종(太宗)때 배천군(白川郡)이 되었음.
황해도>배천 , 지명>행정지명
-
갱(鏗) - 김갱(金鏗)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김해(金海). 탁영(濯纓) 김일손(金馹孫)의 후사로 입적한 김대장(金大壯)의 맏아들이며, 동몽교관(童蒙敎官) 김치구(金致九)의 아버지.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김해 , 인명>문사>유학
-
갱분(坑焚) - 분서갱유(焚書坑儒)
중국 진(秦) 나라 때 시황제(始皇帝)가 천하의 서적을 불태우고 유생들을 생매장하여 죽인 사건. 가혹한 법과 혹독한 정치를 상징함.
B.C.213~B.C.212 중국>진 , 중국 , 사건>기타사건
-
갱생(更生) - 유향(劉向)
중국 전한(前漢) 선제(宣帝)~성제(成帝) 때의 학자. 선제 때 간대부(諫大夫)로 등용되고 석거각(石渠閣)에서 오경(五經)을 강의하였으며, 《설원(說苑)》ㆍ《열녀전(列女傳)》ㆍ《전국책(戰國策)》등 많은 저서를 남김.
B.C.79?~B.C.8? 중국>전한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경대부
-
갱유분서(坑儒焚書) - 분서갱유(焚書坑儒)
중국 진(秦) 나라 때 시황제(始皇帝)가 천하의 서적을 불태우고 유생들을 생매장하여 죽인 사건. 가혹한 법과 혹독한 정치를 상징함.
B.C.213~B.C.212 중국>진 , 중국 , 사건>기타사건
-
갱힐후(羹頡侯) - 유신(劉信)
중국 전한(前漢) 때의 제후. 고조(高祖)의 조카로, 서주(舒州) 지역의 토지를 구획하고 경지를 정리하였으며 농수 공급과 홍수 방지를 위한 방죽을 쌓았음.
중국>전한 , 중국 , 인명>왕실>제후
-
거(岠) - 영양군(永陽君)
조선 제11대 중종(中宗)의 네 번째 서자. 창빈안씨(昌嬪安氏)의 소생으로, 선조(宣祖)의 아버지인 덕흥대원군(德興大院君) 이초(李岹)의 동모형(同母兄)임.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왕자
-
거(據) - 신거(申據)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평산(平山). 이조 참판(吏曹參判)을 지낸 신여종(申汝悰)의 아버지.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평산 , 인명>문사>유학
-
거(擧) - 권거(權擧)
조선 전기의 무신. 본관은 안동(安東). 권근신(權謹臣)의 아버지로 충찬위(忠贊衛)를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개성 , 인명>관인>무신
-
거(琚) - 송거(宋琚)
조선 성종(成宗)~연산군(燕山君) 때의 무신. 본관은 여산(礪山). 여량부원군(礪良府院君) 송현수(宋玹壽)의 아들이자, 단종(端宗)의 처남으로, 무과(武科)에 급제하여 경력(經歷)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여산 , 인명>관인>무신ㅣ인명>왕실>인척
-
거(璖)@이거 - 담양군(潭陽君)
조선 제4대 세종(世宗)의 열 번째 서자. 신빈김씨(愼嬪金氏)의 소생으로, 일찍 죽었으므로 동모형(同母兄)인 계양군(桂陽君) 이증(李璔)의 아들로 후사를 이음.
1439~1450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왕자
-
거(璖) - 이거(李璖)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예안(禮安). 1536년(중종 31) 별시(別試)에 급제하여, 광주 목사(光州牧使)ㆍ의정부 사인(議政府舍人) 등을 역임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예안 , 인명>관인>문신
-
거(蘧) - 이거(李蘧)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신평(新平)으로, 이세순(李世純)의 아들. 허엽(許曄)의 문인으로, 경기 감사(京畿監司) 등을 지냈으며 윤인함(尹仁涵)ㆍ정탁(鄭琢) 등과 교유함.
1532~1608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홍주 , 인명>관인>문신
-
거(裾) - 신거(辛裾)
고려 말의 문신. 본관은 영월(寧越). 전법 판서(典法判書)를 지낸 신당계(辛唐系)의 아버지로, 문하 찬성사(門下贊成事)를 지냄.
한국>고려후기 , 강원도>영월 , 인명>관인>문신
-
거(𤦲) - 담양군(潭陽君)
조선 제4대 세종(世宗)의 열 번째 서자. 신빈김씨(愼嬪金氏)의 소생으로, 일찍 죽었으므로 동모형(同母兄)인 계양군(桂陽君) 이증(李璔)의 아들로 후사를 이음.
1439~1450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왕자
-
거가의(居家儀) - 거가잡의(居家雜儀)
중국 송(宋) 나라의 문신ㆍ학자인 사마광(司馬光)의 저서. 사례(四禮)에 의거하여 조상의 신주를 모시는 사당(祠堂) 제도와 예복(禮服)인 심의(深衣) 제도 등 집에서 지켜야 할 규범에 대해 저술함.
중국>송 , 중국 , 문헌>서명
-
거겸(居謙) - 박거겸(朴居謙)
조선 세종(世宗)~성종(成宗) 때의 무신. 본관은 밀양(密陽). 중추부동지사(中樞府同知事)ㆍ병마절도사(兵馬節度使) 등을 지냈으며 원종공신(原從功臣)ㆍ좌리공신(佐理功臣)에 책록됨.
1413~1481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밀양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무신
-
거경(居卿) - 오세우(吳世祐)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보성(寶城). 함경도 병마수군우후(兵馬水軍虞侯)를 지낸 오자영(吳自瑩)의 아들로, 감역관(監役官)ㆍ정언(正言)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거경(居敬)@김흠 - 김흠(金欽)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 전력부위(展力副尉) 김승석(金承碩)의 아들. 청주 목사(淸州牧使)를 지냈으며,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왜적을 맞아 항전도중 순절하여 선무원종공신(宣武原從功臣)에 녹훈됨.
1537~1592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거경(居敬) - 채무일(蔡無逸)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ㆍ화가. 본관은 인천(仁川). 전생서 참봉(典牲署參奉) 채윤권(蔡胤權)의 아들. 한성부 서윤(漢城府庶尹)을 지내고, 그림뿐만 아니라 경사(經史)ㆍ주역(周易)ㆍ음률(音律)ㆍ의학(醫學)ㆍ복서(卜筮)에도 정통함.
1496~1556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함창 , 인명>예술인>서화가ㅣ인명>관인>문신
-
거경(巨卿)@변계량 - 변계량(卞季良)
고려 우왕(禑王)~조선 세종(世宗) 때의 문신. 본관은 밀양(密陽). 이색(李穡)ㆍ권근(權近)ㆍ정몽주(鄭夢周)의 문인으로, 조선 초기 관인문학의 대표적인 인물이며, 주로 조선 건국을 찬양하는 글을 씀. 오랜 기간 대제학(大提學)을 맡아 외교문서를 작성하여 명문장가로 이름을 떨침.
1369~1430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상도>밀양 , 인명>관인>문신
-
거경(巨卿)@박원량 - 박원량(朴元良)@조선전기
조선 중종(中宗) 때의 유학. 김안국(金安國)의 《모재집(慕齋集)》에 그와 함께 술을 마시며 지은 시(詩)가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유학
-
거경(巨卿)@범식 - 범식(范式)
중국 후한(後漢) 때의 문신. 형주 자사(荊州刺史)와 여강 태수(廬江太守)를 지냈으며, 친구인 장소(張劭)와 약속한 거경지신(巨卿之信)의 고사로 유명함.
중국>후한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거경(巨卿) - 개연(蓋延)
중국 후한(後漢) 광무제(光武帝) 때의 무신. 후한의 건국공신인 이십팔장(二十八將) 가운데 한 사람.
중국>후한 , 중국 , 인명>관인>무신
-
거경(巨卿)@박처륜 - 박처륜(朴處綸)
조선 성종(成宗)~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 본관은 고령(高靈)으로, 박사란(朴思襴)의 아들. 1470년(성종 1) 별시(別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세종실록(世宗實錄)》ㆍ《예종실록(睿宗實錄)》 편찬에 참여하고, 홍문관 부제학(弘文館副提學)ㆍ첨지중추부사(僉知中樞府事) 등을 지냄.
1445~1502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고령 , 인명>관인>문신
-
거관(居寬)@탁거관 - 탁거관(卓居寬)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광산(光山). 탁유호(卓有怙)의 아들로, 기자전 참봉(箕子殿參奉)을 역임하였으며,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선조(宣祖)를 호종함.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광산 , 인명>관인>문신
-
거관(居寬) - 신거관(愼居寬)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을사사화(乙巳士禍) 때 윤원형(尹元衡) 일파에 의하여 관직이 삭탈되고 평해(平海)로 유배되었으나, 1555년(명종 10) 재등용되어 지중추부사(知中樞府事)에 이름.
1498~1564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거창 , 인명>관인>문신
-
거광(居廣) - 서거광(徐居廣)
조선 세조(世祖) 때의 문신. 본관은 대구(大邱). 안주 목사(安州牧使)를 지낸 서미성(徐彌性)의 아들이며, 문충공(文忠公) 서거정(徐居正)의 형. 언양 현감(彦陽縣監)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대구 , 인명>관인>문신
-
거군(巨君) - 왕망(王莽)
중국 신(新) 나라의 황제. 재위 8~23년. 전한(前漢) 말에 왕위를 찬탈하고 황제가 되었으나 후한(後漢)의 광무제(光武帝)에 의해 멸망함.
B.C.45~A.D.23 중국>신ㅣ중국>전한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거군(巨君)@정홍 - 정홍(鄭弘)
중국 후한(後漢) 때의 문신. 회계(會稽) 산음(山陰) 사람으로 회양 태수(淮陽太守)ㆍ태위(太尉) 등을 지냄.
중국>후한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거기장군(車騎將軍) - 두헌(竇憲)
중국 후한(後漢) 때의 외척ㆍ문신. 후한 제3대 장제(章帝)의 황후인 두씨의 오빠로, 정치를 전횡하고, 화제(和帝)를 죽이려다 발각된 뒤 자살함.
?~92 중국>후한 , 중국 , 인명>관인>문신ㅣ인명>왕실>인척
-
거래사(去來辭) - 귀거래사(歸去來辭)
중국 남북조시대 동진(東晉)의 시인인 도잠(陶潛)이 지은 사(辭) 이름. 도잠의 대표적 작품으로, 벼슬을 버리고 고향으로 돌아오는 심경을 읊은 내용임.
405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문헌>작품명
-
거래편(去來篇) - 귀거래사(歸去來辭)
중국 남북조시대 동진(東晉)의 시인인 도잠(陶潛)이 지은 사(辭) 이름. 도잠의 대표적 작품으로, 벼슬을 버리고 고향으로 돌아오는 심경을 읊은 내용임.
405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문헌>작품명
-
거련(巨連) - 장수왕(長壽王)
고구려 제20대 왕. 재위 413~491. 광개토왕(廣開土王)의 맏아들. 평양성(平壤城)으로 천도(遷都)하고, 백제(百濟)를 공격하여 웅진(熊津)으로 천도를 이끌어 내는 등 왕권의 강화와 영토 확장에 주력하여 고구려의 전성기를 이룩함.
394~491 한국>고구려 , 평안도>평양 , 인명>왕실>국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