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거록군공(巨鹿郡公) - 영종(英宗)@송
중국 송(宋) 나라의 제5대 황제. 재위 1064~1067. 재위 초기에 허약하여 조태후(曹太后)가 수렴청정을 하였고, 서하(西夏)와 군사적 대립을 화친으로 해결함.
1032~1067 중국>송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거류하(巨流河) - 삼차하(三叉河)
중국 요동(遼東)의 봉성(鳳城) 6리 지점에 있는 강. 요하(遼河)와 혼하(渾河), 태자하(太子河)가 합류한 곳으로, 조선시대 북경(北京)으로 가는 사행(使行) 길에 있음.
중국 , 지명>자연지명
-
거린(巨鱗) - 박거린(朴巨鱗)
조선 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 본관은 함양(咸陽). 박눌(朴訥)의 아들로, 1504(연산군 10) 식년시(式年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장령(掌令)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함양 , 인명>관인>문신
-
거마도(巨磨島) - 거문도(巨文島)
전라도 순천(順天)에 속하는 다도해(多島海) 최남단의 섬. 1885년(고종 22)에 영국이 러시아의 남하를 막는다는 구실로 이곳을 불법 점령한 거문도 사건이 있었음. 현재 전라남도 여수시(麗水市)에 속함.
전라도>순천 , 지명>자연지명
-
거명(居明) - 이거명(李居明)
통일신라 때의 문신. 경주이씨(慶州李氏)의 중시조. 진골(眞骨) 출신이며, 시조 이알평(李謁平)의 36세손으로, 소판(蘇判)에 오름.
한국>통일신라 , 경상도>경주 , 인명>관인>문신
-
거묵(居默) - 석허중(石虛中)
조선 성종(成宗) 때의 문신ㆍ학자인 김일손(金馹孫)이 붓을 의인화하여 지은 〈관처사묘지명(管處士墓誌銘)〉에 나오는 벼루의 의인화된 명칭.
한국>조선전기 , 인명>기타인명>기타인물
-
거미(巨美) - 무숙왕(武肅王)
중국 오대십국 오월(吳越)을 건국한 왕. 재위 907~932.
852~932 중국>오대십국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거방(巨舫) - 홍거방(洪巨舫)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남양(南陽). 경재(敬齋) 홍붕(洪鵬)의 아버지로, 주부(主簿)를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남양 , 인명>관인>문신
-
거백옥(蘧伯玉) - 거원(蘧瑗)
중국 춘추전국시대 위(衛) 나라의 대부(大夫). 50세가 되도록 항상 과거의 잘못을 반성하면서 언행을 고쳐 나갔다는 고사가 전함.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관인>경대부
-
거병(去病) - 곽거병(霍去病)
중국 전한(前漢) 무제(武帝) 때의 무신. 18세 때 시중(侍中)이 되어 위청(衛靑)을 따라 흉노 토벌에 공을 세워 관군후(冠軍侯)에 봉해졌고, 영토 확장에 큰 공을 세워 위청과 함께 대사마(大司馬)가 되었으나, 24세로 죽음.
B.C.140~B.C.117 중국>전한 , 중국 , 인명>관인>무신
-
거보(居父) - 오거(吳琚)
중국 송(宋) 효종(孝宗)~영종(寧宗) 때의 문신ㆍ서법가. 변량(汴梁) 사람으로 관직은 지강릉부(知江陵府)ㆍ판건강부(判建康府) 등을 지냄.
중국>송 , 중국 , 인명>예술인>서화가ㅣ인명>관인>문신
-
거비(去非)@진여의 - 진여의(陳與義)
중국 송(宋) 나라 휘종(徽宗)~고종(高宗) 때의 문신ㆍ문인. 참지정사(參知政事)를 지내고, 시에 뛰어나 도연명(陶淵明)ㆍ유종원(柳宗元) 등과 비견됨.
1090~1138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거비(去非) - 웅화(熊禾)
중국 송(宋) 나라의 문신ㆍ학자. 무이산(武夷山)에 들어가 홍원서당(洪源書堂)을 건립하고 강학하였으며, 사서(四書)를 주소(註疏)함.
1135~1195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거사(居士) - 우바새(優婆塞)
출가(出家)하지 않고 세속인으로서 불법(佛法)을 믿고 따르는 남자 신도를 이르는 말. 불교의 사부대중(四部大衆)의 하나.
사상>술어>핵심어
-
거산(巨山)@이교 - 이교(李嶠)@당
중국 당(唐) 나라 고종(高宗)~현종(玄宗) 때의 문신ㆍ문인. 봉각 사인(鳳閣舍人)ㆍ통주 자사(通州刺史) 등을 지냈으며, 문장에 능하여 두심언(杜審言)ㆍ소미도(蘇味道)ㆍ최융(崔融) 등과 함께 문장사우(文章四友)로 일컬어짐.
645~714 중국>당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거산(巨山) - 방악(方岳)
중국 송(宋) 나라 이종(理宗) 때의 문신ㆍ학자. 지남강군(知南康軍)ㆍ지소무군(知邵武軍) 등을 지내고, 《추애집(秋崖集)》을 저술함.
1199~1262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거서(巨黍) - 용인(龍仁)
경기도 중남부에 있는 고을 이름. 예로부터 풍수지리상 명당(明堂)이 많은 곳으로 일컬어졌으며, 지금의 용인은 옛 용인ㆍ양지(陽智)ㆍ죽산(竹山)의 일부가 합해 이루어짐.
경기도>용인 , 지명>행정지명
-
거섭조천왕(居攝趙天王) - 무제(武帝)@남북조(후조)
중국 남북조시대(南北朝時代) 후조(後趙)의 제3대 황제. 재위 334~349. 고조(高祖) 석륵(石勒)을 도와 화북(華北)을 통일한 뒤 조카 석홍(石弘)을 죽이고 즉위함.
295~349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거성(車城) - 기장(機張)
경상도 동래(東萊)에 있는 고을 이름. 신라 때 갑화양곡현(甲火良谷縣)이라고 하다가 기장으로 변경되었으며, 이 고을에 있는 백운산(白雲山)에 고승 원효(元曉)의 유적(遺跡)이 전함.
경상도>동래 , 지명>행정지명
-
거소(去疎) - 박거소(朴去疎)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순천(順天). 판육조사(判六曹事) 박석명(朴錫命)의 아들이며, 판돈녕부사(判敦寧府事) 박중선(朴仲善)의 아버지로, 부지돈녕부사(副知敦寧府事)를 지냄.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순천 , 인명>관인>문신
-
거식(渠軾) - 차식(車軾)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차광운(車廣運)의 아들이며, 서경덕(徐敬德)의 문인. 여러 청환직(淸宦職)을 거쳐 선조 때 평해 군수(平海郡守)를 지냄.
1517~1575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연안 , 인명>관인>문신
-
거신(居信) - 송거신(宋居信)
고려 말~조선 세종(世宗) 때의 무신. 본관은 여산(礪山). 태종(太宗)이 잠저(潛邸) 시절 사냥에 나갔다가 위기에 빠지자 필사적으로 구출하였으며, 태종 즉위 후 좌명공신(佐命功臣)에 책록됨.
1369~1447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전라도>여산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무신
-
거실(居實)@김거실 - 김거실(金居實)
고려 전기의 서예가. 이규보(李奎報)는 《동국이상국집(東國李相國集)》의 〈동국제현서결평론서(東國諸賢書訣評論序)〉에서 묘품(妙品)ㆍ절품(絶品)으로 평가했음.
한국>고려전기 , 인명>예술인>서화가
-
거실(居實) - 이세화(李世華)@고려
고려 신종(神宗)~고종(高宗) 때의 문신. 정주이씨(貞州李氏)의 시조로, 고종 때 광주 안무사(廣州按撫使)로서 몽고(蒙古)의 침입을 격퇴하였으며, 예부 시랑(禮部侍郞)ㆍ사재경(司宰卿) 등을 지냄.
?~1238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풍덕 , 인명>관인>문신
-
거안(居安) - 권전(權磌)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 기묘사화(己卯士禍) 때 파직되고 신사무옥(辛巳誣獄) 때 장살(杖殺) 당함.
1490~1521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거여보유(擧要補遺) - 자치통감거요보유(資治通鑑擧要補遺)
중국 송(宋) 나라의 학자인 호안국(胡安國)의 저서. 100권. 사마광(司馬光)이 《자치통감(資治通鑑)》과 《자치통감목록(資治通鑑目錄)》을 절충하여 《거요록(擧要錄)》을 편찬하려 했으나 완성하지 못하고 사망하자, 호안국이 뒤를 이어 완성함.
중국>송 , 중국 , 문헌>서명
-
거열(居烈) - 거창(居昌)
경상남도 북서부에 위치한 통일신라시대 이후의 고을 이름.
경상도>거창 , 지명>행정지명
-
거열성(居烈城) - 진주(晉州)
경상도 남서부에 있는 고을 이름. 명승지로 촉석루(矗石樓)ㆍ서장대(西將臺) 등이 있음.
경상도>진주 , 지명>행정지명
-
거열유씨(居烈劉氏) - 거창유씨(居昌劉氏)
중국 송(宋) 나라 때 병부 상서(兵部尙書)를 지낸 유전(劉筌)을 시조로 하는 성씨. 유전의 맏아들이 거창(居昌)에 정착하면서 그곳을 관향으로 삼음. 강릉유씨(江陵劉氏)ㆍ배천유씨(白川劉氏)와 혈족임.
한국>고려전기 , 경상도>거창 , 인명>집단>성씨
-
거열주(居烈州) - 진주(晉州)
경상도 남서부에 있는 고을 이름. 명승지로 촉석루(矗石樓)ㆍ서장대(西將臺) 등이 있음.
경상도>진주 , 지명>행정지명
-
거오(據梧) - 양만용(梁曼容)
조선 인조(仁祖)~효종(孝宗) 때의 문신. 본관은 제주(濟州). 양산축(梁山軸)의 아들이며, 강항(姜沆)ㆍ박동열(朴東說)의 문인. 병자호란(丙子胡亂) 때 의병을 일으켰으며, 청현직(淸顯職)을 두루 역임하고 영국원종공신(寧國原從功臣)에 책록됨.
1598~1651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나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거옥(蘧玉) - 거원(蘧瑗)
중국 춘추전국시대 위(衛) 나라의 대부(大夫). 50세가 되도록 항상 과거의 잘못을 반성하면서 언행을 고쳐 나갔다는 고사가 전함.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관인>경대부
-
거원(巨源)@산도 - 산도(山濤)
중국 남북조시대 진(晉) 나라의 문신. 죽림칠현(竹林七賢)의 한 사람으로, 출사(出仕)하여 이부 상서(吏部尙書)가 되었을 때 많은 인재를 등용하였으며, 혜강(嵆康)과 각별한 우정을 나눔.
205~283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거원(巨源)@양거원 - 양거원(楊巨源)
중국 당(唐) 나라 덕종(德宗)~문종(文宗) 때의 문신ㆍ시인. 국자사업(國子司業) 등을 지내고, 백거이(白居易)ㆍ원진(元稹)ㆍ유우석(劉禹錫) 등과 교유함. 시에 능하고, 특히 음률(音律)을 중시한 작품이 많음.
755~? 중국>당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거원(巨源)@정유침 - 정유침(鄭惟沈)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연일(延日). 문신인 정자(鄭滋)ㆍ정철(鄭澈)과 인종(仁宗)의 후궁인 귀인정씨(貴人鄭氏)의 아버지로, 돈녕부 판관(敦寧府判官)을 지냄.
1493~1570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거원(巨源) - 김담(金淡)
조선 세종(世宗)~세조(世祖) 때의 문신ㆍ천문학자. 본관은 예안(禮安). 이순지(李純之) 등과 함께 많은 천문역서를 교정하고 편찬함.
1416~1464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영천(榮川)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거원(巨源)@양면 - 양면(楊沔)
조선 세조(世祖)~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 본관은 청주(淸州)로, 동지돈녕부사(同知敦寧府事) 양후(楊厚)의 손자이며 양자순(楊子淳)의 아들. 교리(校理)ㆍ첨정(僉正) 등을 지냄.
1444~1500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청주 , 인명>관인>문신
-
거원(巨源)@홍귀해 - 홍귀해(洪貴海)
조선 세조(世祖)~성종(成宗) 때의 무신. 본관은 남양(南陽). 동지중추원사(同知中樞院事) 홍익생(洪益生)의 아들로, 좌익원종공신(佐翼原從功臣)에 책록되고 경상도 수군절도사(慶尙道水軍節度使)를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남양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무신
-
거원(巨源)@양연 - 양연(梁淵)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남원(南原). 양성지(梁誠之)의 손자로, 대사헌(大司憲)일 때 왕의 밀지를 받아 김안로(金安老)ㆍ채무택(蔡無擇)ㆍ허항(許沆) 등을 탄핵하여 처형시킴. 훈구파(勳舊派)의 중심인물로 사림파(士林派)를 배척함.
?~1542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남원 , 인명>관인>문신
-
거원(巨源)@신석정 - 신석정(申碩汀)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고령(高靈). 음보(蔭補)로 전설사 별제(典設司別提)에 제수되었고, 영원(寧遠)과 평해(平海)의 군수(郡守)를 지냄.
1506~1580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거위(去僞) - 김거위(金去僞)
중국 송(宋) 나라의 학자. 주희(朱熹)와의 문답을 기록한 '을미문답(乙未問答)'이 있음.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거이(居怡) - 선거이(宣居怡)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무신. 본관은 보성(寶城). 도사(都事)를 지낸 선상(宣祥)의 아들로, 이순신(李舜臣)과 녹둔도(鹿屯島)에서 여진족(女眞族)을 막아 공을 세웠고, 임진왜란(壬辰倭亂) 때도 이순신과 함께 해전(海戰)에서 큰 공을 세움.
1550~1598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보성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무신
-
거이(居易)@김순명 - 김순명(金順命)
조선 단종(端宗)~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청풍(淸風)으로, 김길통(金吉通)의 아들. 1467년(세조 13) 이시애(李施愛)의 난에 공을 세워 적개공신(敵愾功臣)에 책훈되었고, 예조 참판(禮曹參判)을 지냈으며, 청릉군(淸陵君)에 봉해짐.
1435~1487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청풍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거이(居易)@백거이 - 백거이(白居易)
중국 당(唐) 나라 덕종(德宗)~무종(武宗) 때의 문신ㆍ시인. 일생 동안 수많은 시를 지었는데, 그중 〈장한가(長恨歌)〉와 〈비파행(琵琶行)〉이 유명함. 만년에는 시와 술과 거문고를 벗삼아 유유자적하며 불교(佛敎)에 심취함.
772~846 중국>당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거이(居易)@이거이 - 이거이(李居易)
고려 후기~조선 태종(太宗) 때의 문신. 본관은 청주(淸州). 조선 개국 후 정사공신(定社功臣)ㆍ좌명공신(佐命功臣)에 책록되고 영의정 등을 역임하였으며, 아들 이저(李佇)와 이백강(李伯剛)이 각각 태조(太祖)와 태종의 부마가 되었음.
1348~1412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충청도>진천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ㅣ인명>왕실>인척
-
거이(居易) - 이명숭(李命崇)
조선 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전의(全義). 이원효(李元孝)의 아들로, 통신부사(通信副使)가 되어 일본(日本)에 다녀왔으며, 부제학(副提學) 등을 역임함.
?~1484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전의 , 인명>관인>문신
-
거이(居易)@신거이 - 신거이(愼居易)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형조 정랑(刑曹正郞), 내섬시 정(內贍寺正)을 지냄. 지중추부사(知中樞府事) 신거관(愼居寬)의 사촌 형.
1482~1552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거창 , 인명>관인>문신
-
거인(居仁)@호거인 - 호거인(胡居仁)
중국 명(明) 나라의 학자. 스승 오여필(吳與弼)의 실천궁행(實踐躬行)의 학문을 이은 숭인학파(崇仁學派)의 제일인자로, 정주학(程朱學)을 독수(獨修)하고 《거업록(居業錄)》을 저술하였으며, 죽은 뒤 문묘(文廟)에 배향됨.
1434~1484 중국>명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거인(居仁) - 여본중(呂本中)
중국 송(宋) 나라의 시인. 황정견(黃庭堅)과 진사도(陳師道)의 시풍을 계승했으며, 그가 작성한 〈강서시사종파도(江西詩社宗派圖)〉는 강서파(江西派)에 영향을 미쳐 송 나라 시의 새 기원을 열었음.
1084~1145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문인
-
거인(居仁)@채무적 - 채무적(蔡無敵)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인천(仁川). 전생서 참봉(典牲署參奉) 채윤권(蔡胤權)의 아들로, 무주 현감(茂朱縣監)을 지냄.
1500~1554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함창 , 인명>관인>문신
-
거인(居仁)@이거인 - 이거인(李居仁)
고려 우왕(禑王)~조선 태종(太宗) 때의 문신. 본관은 청주(淸州). 고려 공양왕(恭讓王) 때 김저(金佇)의 옥사에 연루되어 유배되었다가 다시 등용되었으며, 조선 태조(太祖) 때 밀무역을 한 일과 타인의 가기(家基)를 탈취한 일로 파직됨.
?~1402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충청도>청주 , 인명>관인>문신
-
거인산(巨人山) - 금오산(金烏山)
경상북도 구미(龜尾)ㆍ칠곡(漆谷)ㆍ김천(金泉)의 경계에 있는 산 이름. 단풍의 명소로 일명 금강(金剛)이라 불리며 예로부터 경북팔경(慶北八景)의 하나로 꼽힘.
경상도>선산ㅣ경상도>개령 , 지명>자연지명
-
거자(莒子) - 거거질(莒去疾)
중국 춘추전국시대 거(莒) 나라의 공자(公子). 제(齊) 나라의 힘을 빌려 거 나라로 돌아와 전여(展輿)를 토벌함.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왕실>왕자
-
거정(居正)@장거정 - 장거정(張居正)
중국 명(明) 나라 목종(穆宗)~신종(神宗) 때의 문신. 재상으로서 국정을 잘 다스렸으나, 잔혹하고 지나치게 엄격하다는 비난을 들음. 저서로 《서경직해(書經直解)》ㆍ《장태악집(張太岳集)》등이 있음.
1525~1582 중국>명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거정(居正) - 서호(徐皡)
조선 문종(文宗)~단종(端宗) 때의 문신. 김자수(金自粹)의 문인(門人)으로, 박흥생(朴興生)ㆍ박연(朴堧) 등과 교유하였으며, 문종 때 등용되어 단종 때 충청도 경차관(忠淸道敬差官)이 되었으나, 왕위가 찬탈당하자 향리에 은거함.
?~1458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공주 , 인명>관인>문신
-
거정(居正)@유거정 - 유거정(劉居正)
중국 송(宋) 나라 인종(仁宗) 때의 문신. 유지(劉摯)의 아버지로, 비서 승(秘書丞) 등을 지냄.
중국>송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거정(居正)@설거정 - 설거정(薛居正)
중국 송(宋) 나라의 학자. 칙명을 받들어 924년(태조 7)에 후량(後梁)ㆍ후당(後唐)ㆍ후진(後晉)ㆍ후한(後漢)ㆍ후주(後周) 등 다섯 왕조에 대한 사적을 기록한 《구오대사(舊五代史)》를 완성함.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거정(居正)@서거정 - 서거정(徐居正)
조선 세종(世宗)~성종(成宗) 때의 문신ㆍ학자. 성리학을 비롯하여 천문(天文) 등 여러 방면에 정통하고, 문장과 글씨에 능함. 《경국대전(經國大典)》ㆍ《동국통감(東國通鑑)》등의 편찬에 참여하고, 《동인시화(東人詩話)》ㆍ《동문선(東文選)》등을 저술함.
1420~1488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대구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거제도(巨濟島) - 거제(巨濟)
경상남도 남단(南端)에 섬으로 이루어진 고을 이름. 제주도(濟州島)에 이어 우리나라에서 두 번째로 큰 섬으로, 대마도(對馬島)와 가까워 왜구(倭寇)의 출몰이 잦았음.
경상도>거제 , 지명>행정지명
-
거제부(巨濟府) - 거제(巨濟)
경상남도 남단(南端)에 섬으로 이루어진 고을 이름. 제주도(濟州島)에 이어 우리나라에서 두 번째로 큰 섬으로, 대마도(對馬島)와 가까워 왜구(倭寇)의 출몰이 잦았음.
경상도>거제 , 지명>행정지명
-
거제정(巨濟正) - 이철(李徹)
조선 세조(世祖) 때의 종친. 태종(太宗)의 둘째 아들인 효령대군(孝寧大君) 이보(李𥙷)의 손자이며, 보성군(寶城君) 이합(李㝓)의 다섯째 아들. 진법(陣法)에 밝고, 장기와 바둑을 잘 두었음.
?~1467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거제현(巨濟縣) - 거제(巨濟)
경상남도 남단(南端)에 섬으로 이루어진 고을 이름. 제주도(濟州島)에 이어 우리나라에서 두 번째로 큰 섬으로, 대마도(對馬島)와 가까워 왜구(倭寇)의 출몰이 잦았음.
경상도>거제 , 지명>행정지명
-
거중(居中) - 박려(朴欐)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고령(高靈). 이황(李滉)의 문인(門人)이자 손서(孫壻). 초명은 박량(朴樑)이었으나 이황이 고쳐 주었으며, 경기좌도 수운판관(京畿左道水運判官)을 지냈음.
1551~1592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영천(榮川) , 인명>관인>문신
-
거중(居重) - 탁거중(卓居重)
조선 후기의 문신. 본관은 광산(光山). 탁유항(卓有恒)의 아들로, 기자전 참봉(箕子殿參奉)을 역임함.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광산 , 인명>관인>문신
-
거지화(居知火) - 언양(彦陽)
경상도 울주(蔚州)에 있던 옛 고을 이름. 고려 인종(仁宗) 때 감무(監務)를 두고 언양으로 개칭함.
경상도>언양 , 지명>행정지명
-
거진(去塵) - 조인규(趙仁規)
고려 충렬왕(忠烈王) 때의 문신. 몽고어(蒙古語)를 잘해서 여러 차례 원(元) 나라에 사신으로 다녀오고, 첨의찬성사(僉議贊成事)를 지냄. 딸이 충선왕(忠宣王)의 비(妃)가 되고, 여러 아들이 재상의 지위에 올라 권문세족(權門勢族)으로 성장함.
1227~1308 한국>고려후기 , 평안도>평양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ㅣ인명>왕실>인척
-
거진(巨鎭) - 나주(羅州)
전라남도 중서부에 있는 고을 이름. 후백제(後百濟)를 세운 견훤(甄萱)의 본거지였고, 고려 때에는 거란(契丹)의 침입 당시 현종(顯宗)의 피난처였음.
전라도>나주 , 지명>행정지명
-
거창군(居昌君) - 신승선(愼承善)
조선 단종(端宗)~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 본관은 거창(居昌). 연산군의 장인으로 익대공신(翊戴功臣) 등에 책록됨. 영의정 등을 역임하였고, 《성종실록(成宗實錄)》의 편찬을 주관함.
1436~1502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거창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거창부원군(居昌府院君) - 신승선(愼承善)
조선 단종(端宗)~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 본관은 거창(居昌). 연산군의 장인으로 익대공신(翊戴功臣) 등에 책록됨. 영의정 등을 역임하였고, 《성종실록(成宗實錄)》의 편찬을 주관함.
1436~1502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거창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거천(巨川) - 최여주(崔汝舟)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해주(海州). 조광조(趙光祖)ㆍ김정(金淨)의 문인으로, 의금부 도사(義禁府都事)ㆍ성주 목사(星州牧使) 등을 지내고, 문장과 글씨에 능함.
1502~1567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거충(居忠) - 강거충(姜居忠)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진주(晋州). 강세창(姜世昌)의 아버지로 충익부 도사(忠翊府都事)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진주 , 인명>관인>문신
-
거칠산군(居漆山郡) - 동래(東萊)
경상남도 남동부 일대에 있는 옛 고을 이름. 조선시대 대일 외교를 총관하던 중요한 관문이었고, 군사상으로도 중요한 요충지.
경상도>동래 , 지명>행정지명
-
거타(居陀) - 거창(居昌)
경상남도 북서부에 위치한 통일신라시대 이후의 고을 이름.
경상도>거창 , 지명>행정지명
-
거허(駏驉) - 거허(距虛)
중국 전설상의 동물. 궐(蹶)이라는 동물에게 음식을 봉양 받고, 대신 궐에게 다급한 일이 생기면 궐을 업고 달린다고 함.
중국 , 자연물>동물
-
거화(去華) - 박의영(朴義榮)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밀양(密陽). 예조 참의(禮曹參議) 박미(朴楣)의 맏아들이며, 성균관 사예(成均館司藝) 박광영(朴光榮)ㆍ사간원 헌납(司諫院獻納) 박증영(朴增榮)의 형으로, 병조 참의(兵曹參議) 등을 지냄.
1456~1519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밀양 , 인명>관인>문신
-
거화(去華)@이혼 - 이혼(李混)
고려 원종(元宗)~충선왕(忠宣王) 때의 문신. 본관은 전의(全義). 충선왕이 원(元) 나라에서 즉위하자 대사백(大詞伯)에 봉해지고 벽상삼한공신(壁上三韓功臣)에 녹훈됨. 뒤에 예안백(禮安伯)에 봉해져 예안이씨의 시조가 됨.
1252~1312 한국>고려후기 , 충청도>전의ㅣ경상도>예안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거후(居厚) - 채거후(蔡居厚)
중국 송(宋) 나라 철종(哲宗)~휘종(徽宗) 때의 문신. 어사(御史) 채연희(蔡延禧)의 아들로, 우정언(右正言)ㆍ우간의대부(右諫議大夫)를 지냄.
중국>송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건(乾) - 박건(朴乾)
조선 전기의 무신. 본관은 밀양(密陽). 전한(典翰)을 지낸 박융(朴融)의 아들로, 충무위 부사직(忠武衛副司直)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밀양 , 인명>관인>무신
-
건(健)@형건 - 형건(邢健)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진주(晉州)로, 합천 군수(陜川郡守) 형사보(邢士保)의 아버지.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진주 , 인명>문사>유학
-
건(健)@오건 - 오건(吳健)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학자ㆍ문신. 본관은 함양(咸陽). 조식(曺植)ㆍ김인후(金麟厚)ㆍ이황(李滉)의 문인으로, 이조 좌랑으로 있으면서 춘추관 기사관을 겸하여 《명종실록(明宗實錄)》의 편찬에 참여함.
1521~1574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산음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건(健)@유건 - 유건(柳健)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문화(文化)로, 공조 좌랑(工曹佐郞)을 역임했음. 송순(宋純)ㆍ상진(尙震) 등과 함께 계축갑계(癸丑甲契)를 조직하여 교유함.
1493~?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문화 , 인명>관인>문신
-
건(健) - 이건(李健)
조선 후기의 종친. 성종(成宗)의 아홉 번째 서자인 경명군(景明君) 이침(李忱)의 손자이자 안남군(安南君) 이수련(李壽鍊)의 아들. 을사사화(乙巳士禍) 때 억울하게 죽은 봉성군(鳳城君) 이완(李岏)의 후사로 들어감.
1560~1623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건(健)@성건 - 성건(成健)
조선 세조(世祖)~성종(成宗) 때의 문신. 성순조(成順祖)의 아들이며, 성준(成俊)의 동생으로, 세조 때 권신 한명회(韓明澮)를 탄핵하여 체직시켰고, 성종 때 각별한 총애를 받음.
1439~1496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창녕 , 인명>관인>문신
-
건(健)@권건 - 권건(權健)
조선 성종(成宗)~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으로, 권람(權攬)의 아들이며 전성군(全城君)의 장인. 1476년(성종 7) 별시(別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대사헌(大司憲) 등을 지냄. 문명(文名)이 높아 《성종실록(成宗實錄)》ㆍ《역대명감(歷代名鑑)》의 편찬에 참여함.
1458~1501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건(健)@정건 - 정건(鄭健)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서산(瑞山). 영의정(領議政)을 지낸 정인홍(鄭仁弘)의 작은 아버지로, 좌승지(左承旨)에 추봉됨.
1520~1568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서산 , 인명>문사>유학
-
건(健)@신건 - 신건(申健)
조선 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평산(平山). 돈녕부 봉사(敦寧府奉事)를 지낸 신우호(申友顥)의 아들로, 한백겸(韓百謙)의 외조부. 예빈시 정(禮賓寺正)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건(建)@구양건 - 구양건(歐陽建)
중국 남북조시대 진(晉) 나라의 문신ㆍ학자. 상서랑(尙書郞)ㆍ풍익 태수(馮翊太守) 등을 지냈으나, 석숭(石崇)의 조카라는 이유로 조왕(趙王)에게 피살됨.
269~300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건(建) - 이건(李建)
조선 전기의 종친. 세종(世宗)의 넷째 아들인 임영대군(臨瀛大君) 이구(李璆)의 증손이며, 봉림수(鳳林守) 이수인(李守仁)의 넷째 아들.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건(楗)@임건 - 임건(任楗)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풍천(豐川). 임유겸(任由謙)의 아들이며 송당(松堂) 박영(朴英)의 문인으로, 형조 정랑(刑曹正郞)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건(楗)@박건 - 박건(朴楗)
조선 단종(端宗)~중종(中宗) 때의 문신. 박중손(朴仲孫)의 아들로, 판중추부사(判中樞府事) 등을 역임하였으며, 중종반정(中宗反正)에 참여하여 정국공신(靖國功臣)에 책록됨.
1434~1509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밀양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건(楗)@이건 - 이건(李楗)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전의(全義). 중추원 부사(中樞院副使) 이순전(李純全)의 아들로, 사헌부 감찰(司憲府監察) 등을 지냄.
1436~1510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진주 , 인명>관인>문신
-
건(楗) - 이건(李楗)
조선 전기의 종친. 본관은 전주(全州). 효령대군(孝寧大君)의 현손이자 돈녕부 주부(敦寧府主簿)를 지낸 이대(李薱)의 셋째 아들이며, 이즙(李楫)ㆍ이백(李柏)의 아우이고, 이역(李櫟)ㆍ이노(李櫓)ㆍ이박(李樸)ㆍ이량(李樑)의 형. 통례원 우통례(通禮院右通禮)ㆍ예조참판(禮曹參判) 등을 지냄.
1505~?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종친
-
건(虔)@기건 - 기건(奇虔)
조선 세종(世宗)~세조(世祖) 때의 문신. 본관은 행주(幸州). 학행으로 이름이 높아 세종 때 포의(布衣)로 발탁되어 지평(持平)에 제수됨. 수양대군(首陽大君)이 단종(端宗)을 폐위시키고 왕위에 오르자 벼슬을 버리고 낙향하여 끝까지 절개를 지킴.
?~1460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고양 , 인명>관인>문신
-
건(虔) - 영왕(靈王)@춘추전국(초)
중국 춘추전국시대 초(楚) 나라의 제후. 재위B.C.540~B.C.529. 토목과 사치를 좋아하여 장화대(章華臺)를 만들고, 음탕한 생활을 하였으나 뒤에 공자비(公子比)에게 패하여 자결함.
?~B.C.529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왕실>제후
-
건(謇) - 정건(鄭謇)
조선 전기의 유학. 일찍이 주세붕(周世鵬)과 함께 서산(西山) 진덕수(眞德秀)의 《심경(心經)》을 공부함.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유학
-
건(鍵)@심건 - 심건(沈鍵)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청송(靑松). 동지돈녕부사(同知敦寧府事) 심봉원(沈逢源)의 아들로, 승문원 정자(承文院正字)ㆍ사간원 정언(司諫院正言) 등을 지냄.
1519~1550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건(鍵) - 이건(李鍵)
조선 전기의 종친. 중종(中宗)의 두 번째 서자인 해안군(海安君) 이희(李㟓)의 여섯 번째 서자.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종친
-
건(鍵)@김건 - 김건(金鍵)
조선 연산군(燕山君) 때의 유학. 김유(金愉)의 아들로, 1496년(연산군 2) 진사시(進士試)에 입격함. 최충성(崔忠成)과 함께 남효온(南孝溫)을 방문하여 《소학(小學)》ㆍ《근사록(近思錄)》을 강론(講論)함.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나주 , 인명>문사>유학
-
건(騫) - 민건(閔騫)
조선 세종(世宗)~세조(世祖) 때의 문신. 본관은 여흥(驪興). 원경왕후(元敬王后)의 족친(族親)이며 부사과(副司果) 민예달(閔禮達)의 아버지. 사헌부 대사헌(司憲府大司憲)ㆍ경기도 관찰사(京畿道觀察使) 등을 지냄.
?~1460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여주 , 인명>왕실>인척ㅣ인명>관인>문신
-
건강(建江) - 민강(閩江)
중국 복건성(福建省)에 있는 강 이름. 복건성 선하령산맥(仙霞嶺山脈)을 발원지로 함.
중국 , 지명>자연지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