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건계(建溪) - 양산형(梁山逈)
조선 후기의 유학. 본관은 제주(濟州). 학포(學圃) 양팽손(梁彭孫)의 손자이며, 병절교위(秉節校尉) 양응기(梁應箕)의 아들.
1545~?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영암 , 인명>관인>문신
-
건녕(建寧) - 강묵(江默)
중국 송(宋) 나라 효종(孝宗)~이종(理宗) 때의 문신ㆍ학자. 주희(朱熹)의 문인으로, 선조인 강지(江贄)가 편찬한 《자치통감절요(資治通鑑節要)》를 주희에게 질정받아 1237년(이종 1)에 출간함. 건녕현 지사(建寧縣知事)를 지냄.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건덕(建德) - 두건덕(竇建德)
중국 수(隨) 말~ 당(唐) 초의 무장(武將). 수 나라 말기에 하북(河北) 지방에 하(夏) 나라를 세웠으나, 621년 당 나라의 이세민(李世民)에게 패하여 장안(長安)에서 참수(斬首)됨.
573~621 중국>당ㅣ중국>수 , 중국 , 인명>관인>무신
-
건릉(健陵) - 태조(太祖)@조선
조선 제1대 왕. 재위 1392~1398. 고려 말에 무장(武將)으로서 홍건적(紅巾賊)과 왜구(倭寇)의 침입을 격퇴하는 데 크게 활약했으며, 개혁파 사류(士類)와 함께 고려 왕조를 무너뜨리고 조선을 건국한 후 초기 국가의 기틀을 다짐.
1335~1408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함경도>영흥ㅣ서울 , 인명>왕실>국왕
-
건명(健命) - 이건명(李健命)
조선 숙종(肅宗)~경종(景宗) 때의 문신. 노론사대신(老論四大臣)의 한 사람으로, 경종 때 김창집(金昌集)ㆍ이이명(李頤命)ㆍ조태채(趙泰采)와 함께 연잉군(延礽君)의 왕세자 책봉에 진력하였으나, 신임사화(辛壬士禍)에 연루되어 유배지에서 사사됨.
1663~1722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건무(建武) - 광무제(光武帝)
중국 후한(後漢)의 초대 황제. 재위 25~57. 신(新) 나라 왕망(王莽)의 군대를 격파하고 후한을 세움. 왕망의 가혹하였던 정치를 폐지하고 전조(田租)를 인하하는 등 통일국가의 기초를 다졌으며, 후한의 특색이 되는 예교주의(禮敎主義)의 기초를 다짐.
B.C.6~A.D.57 중국>후한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건무제(建武帝) - 광무제(光武帝)
중국 후한(後漢)의 초대 황제. 재위 25~57. 신(新) 나라 왕망(王莽)의 군대를 격파하고 후한을 세움. 왕망의 가혹하였던 정치를 폐지하고 전조(田租)를 인하하는 등 통일국가의 기초를 다졌으며, 후한의 특색이 되는 예교주의(禮敎主義)의 기초를 다짐.
B.C.6~A.D.57 중국>후한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건문(建文) - 혜제(惠帝)@명
중국 명(明) 나라 제2대 황제. 재위 1398~1402. 태조(太祖)의 손자로, 아버지 의문태자(懿文太子)가 병사하자 황태손에 책봉됨. 즉위 후 황제의 권위를 높이고 제후 세력의 약화를 꾀하였으나, 뒤에 성조(成祖)가 된 주체(朱棣)에게 제위를 빼앗김.
1377~1402 중국>명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건문제(建文帝) - 혜제(惠帝)@명
중국 명(明) 나라 제2대 황제. 재위 1398~1402. 태조(太祖)의 손자로, 아버지 의문태자(懿文太子)가 병사하자 황태손에 책봉됨. 즉위 후 황제의 권위를 높이고 제후 세력의 약화를 꾀하였으나, 뒤에 성조(成祖)가 된 주체(朱棣)에게 제위를 빼앗김.
1377~1402 중국>명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건백(乾伯) - 선제(宣帝)@남북조(북주)
중국 남북조시대 북주(北周)의 제4대 황제. 재위 578~579. 무제(武帝)의 맏아들이며 정제(靜帝)의 아버지. 포악하고 황음무도(荒淫無道)하여 국력의 쇠퇴를 초래함.
559~580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건부제(乾符帝) - 희종(僖宗)
중국 당(唐) 나라의 제18대 황제. 재위 873~888. 어린 나이에 즉위하였고, 재위 중에 황소(黃巢)의 반란군이 장안(長安)을 침략하는 등 많은 어려움을 겪음.
862~888 중국>당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건성(建成) - 여택(呂澤)
중국 한(漢) 고조(高祖)의 외척. 황후인 여후(呂后)의 오빠로 유방(劉邦)을 도와 많은 공을 세움.
중국>전한 , 중국 , 인명>왕실>인척
-
건성후(建成侯)@황패 - 황패(黃霸)
중국 전한(前漢) 무제(武帝)~선제(宣帝) 때의 문신. 영천 태수(潁川太守)로 나가 치민제일(治民第一)로 꼽힐 만큼 뛰어난 정사를 펼쳤고, 승상(丞相)의 지위에 오름.
?~B.C.51 중국>전한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건성후(建成侯) - 조참(曹參)
중국 전한(前漢)의 문신. 진(秦) 나라의 옥리(獄吏) 출신으로 한(漢) 나라 통일에 공을 세워 평양후(平陽侯)로 책봉되고, 혜제(惠帝) 때는 상국(相國)에 오름.
?~B.C.190 중국>전한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건수(健壽) - 김건수(金健壽)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연안(延安). 김안로(金安老)의 종제(從弟)로, 《희락당문고(希樂堂文稿)》에 그와 시를 읊은 기록이 보임.
1485~?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연안 , 인명>문사>유학
-
건숙(健叔) - 성운(成運)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학자. 본관은 창녕(昌寧). 형인 성우(成遇)가 을사사화(乙巳士禍) 때 화를 당하자 속리산(俗離山)에 은거함. 시문(詩文)에 뛰어나고, 서경덕(徐敬德)ㆍ조식(曺植)ㆍ이지함(李之菡) 등과 교유하며 학문에 정진함.
1497~1579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보은ㅣ서울 , 인명>문사>학자
-
건안구씨(建安丘氏) - 구부국(丘富國)
중국 송(宋) 말~원(元) 초의 문신ㆍ학자. 주희(朱熹)의 문인에게서 수학하고 단양 첨판(端陽僉判)을 지냈으나, 나라가 망하자 벼슬하지 않고 《주역집해(周易輯解)》ㆍ《경세보유(經世補遺)》를 저술함.
중국>원ㅣ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건안섭씨(建安葉氏) - 섭채(葉采)
중국 송(宋) 이종(理宗) 때의 문신. 건양(建陽) 출신으로 1241년에 진사시에 합격하여 경헌부 교수(景獻府敎授)ㆍ한림학사 겸 시강(翰林學士兼侍講) 등을 역임하였고, 명도(明道)와 주자(朱子)의 설을 모아 《근사록집해(近思錄集解)》를 남김.
?~1260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건안칠가(建安七家) - 건안칠자(建安七子)
중국 후한(後漢) 헌제(獻帝) 때인 건안(建安) 연간에 시문(詩文)으로 이름을 떨친 일곱 명의 문학자. 조조(曹操)ㆍ조비(曹丕)ㆍ조식(曹植) 삼부자를 중심으로 모인 공융(孔融)ㆍ진림(陳琳)ㆍ왕찬(王粲)ㆍ서간(徐幹)ㆍ완우(阮瑀)ㆍ응창(鷹瑒)ㆍ유정(劉楨)을 이름.
중국>후한 , 중국 , 인명>집단>조직
-
건왕(建王) - 효종(孝宗)@송
중국 송(宋) 나라의 제11대 황제. 재위 1162~1189. 장준(張浚)에게 명하여 금(金)을 정벌하려 했지만 실패하자 금과 숙질(叔姪) 관계로 화의(和議)를 맺음. 내정(內政) 개혁을 실시해 강남(江南)의 개발이 진척되어 북송(北宋)을 능가하는 번영을 이룸.
1127~1194 중국>송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건용(蹇瑢) - 건의(蹇義)
중국 명(明) 나라 태조(太祖)~선종(宣宗) 때의 문신. 오랫동안 이부 상서(吏部尙書)를 지내면서 다섯 명의 황제를 보좌하고, 명초(明初)에 전장제도(典章制度)의 수립과 확립에 기여함.
1363~1435 중국>명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건원릉(健元陵) - 태조(太祖)@조선
조선 제1대 왕. 재위 1392~1398. 고려 말에 무장(武將)으로서 홍건적(紅巾賊)과 왜구(倭寇)의 침입을 격퇴하는 데 크게 활약했으며, 개혁파 사류(士類)와 함께 고려 왕조를 무너뜨리고 조선을 건국한 후 초기 국가의 기틀을 다짐.
1335~1408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함경도>영흥ㅣ서울 , 인명>왕실>국왕
-
건재(健齋) - 김천일(金千鎰)@1537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언양(彦陽). 김언침(金彦琛)의 아들이며, 이항(李恒)의 문인(門人). 임진왜란 때 창의기병(倡義起兵)하여 수원(水原)ㆍ강화도(江華島)에서 전공을 세우고, 2차 진주성(晉州城) 싸움에서 성이 함락되자 순사함.
1537~1593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나주 , 인명>관인>문신
-
건재선생문집(健齋先生文集) - 건재집(健齋集)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인 김천일(金千鎰)의 시문집(詩文集). 목활자본. 11권 2책. 초간본(初刊本)은 1893년(고종 30)에 김문상(金玟相) 등이 유실되고 남은 유문(遺文)을 수집하여 활자로 인간(印刊)함.
1893 한국>근대 , 문헌>서명
-
건적(建賊) - 범여위(范汝爲)
중국 송(宋) 나라 고종(高宗) 때의 도적. 고종 때 경제적 여건에 비해 인구가 과다해지고 이에 따라 생활이 어려워지자 농민들을 이끌고 난을 일으킴.
중국>송 , 중국 , 인명>기타인명>도적
-
건정(建正) - 탁중(卓中)
조선 세종(世宗)~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광산(光山). 탁희립(卓希立)의 아들로, 김숙자(金叔滋)의 문하에서 수학하고, 김종직(金宗直)과 교유하였으며, 전적(典籍) 등을 역임함.
1404~1472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광산 , 인명>관인>문신
-
건제(乾濟) - 송명의(宋明誼)
고려 공민왕(恭愍王) 때의 문신. 본관은 은진(恩津). 사헌부 집의(司憲府執義)를 지냈으며, 고려의 국운이 쇠하자 고향으로 돌아가 은거함.
한국>고려후기 , 충청도>회덕 , 인명>관인>문신
-
건중(健中) - 조식(曺植)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학자. 출사하지 않고 학문과 제자 교육에 힘썼으며 이황(李滉)과 더불어 영남 사림의 지도자적인 역할을 함.
1501~1572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진주ㅣ경상도>삼가ㅣ경상도>김해ㅣ서울 , 인명>문사>학자
-
건중(健仲) - 박응순(朴應順)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반남(潘南). 선조의 비(妃)인 의인왕후(懿仁王后)의 아버지로, 자경(子敬) 성제원(成悌元)의 문인. 영돈녕부사(領敦寧府事)ㆍ오위도총부 도총관(五衛都摠府都摠管)을 지냄.
1526~1580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합천ㅣ서울 , 인명>관인>문신ㅣ인명>왕실>인척
-
건중(楗仲) - 조식(曺植)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학자. 출사하지 않고 학문과 제자 교육에 힘썼으며 이황(李滉)과 더불어 영남 사림의 지도자적인 역할을 함.
1501~1572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진주ㅣ경상도>삼가ㅣ경상도>김해ㅣ서울 , 인명>문사>학자
-
건지(健之)@유영건 - 유영건(柳永健)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전주(全州). 의정부 사인(議政府舍人) 유감(柳堪)의 아들로, 맹산 현감(孟山縣監)ㆍ괴산 군수(槐山郡守) 등을 지내고, 이직언(李直彦)ㆍ이원익(李元翼) 등과 교유함.
1535~1599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전주 , 인명>관인>문신
-
건지(健之)@이야순 - 이야순(李野淳)
조선 정조正祖)~순조(純祖) 때의 학자. 본관은 진보(眞寶). 이상정(李象靖)ㆍ김종덕(金宗德)의 문하에서 이황(李滉)의 성리학을 전습(傳習)하였으며, 특히 예학(禮學)에 조예가 깊었음.
1755~1831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진보 , 인명>문사>학자
-
건지(健之) - 이자건(李自健)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성주(星州). 이주(李湊)의 아들로, 연산군(燕山君) 때 갑자사화(甲子士禍)에 연루되어 선산(善山)에 유배되었다가 중종반정(中宗反正)으로 복직된 후 지중추부사(知中樞府事) 등을 지냄.
1455~1524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건천(巾川) - 정광(程廣)
고려 말~조선 초의 문신ㆍ학자. 본래 중국 사람으로, 정이(程頤)의 후손. 공민왕(恭愍王) 때 전중판시사(殿中判寺事)를 지냈고, 정몽주(鄭夢周)ㆍ길재(吉再) 등과 교유하며 도학을 연구함. 고려가 망할 것을 예견하고 경기도 광주(廣州)에 낙향하여 은거함.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기도>광주ㅣ경기도>개성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건평후(建平侯) - 두연년(杜延年)
중국 전한(前漢) 소제(昭帝)~선제(宣帝) 때의 문신. 어사대부(御史大夫)가 되어 곽광(霍光)과 함께 국정을 조율하여 현사(賢士)로 칭송됨. 공신으로 기린각(麒麟閣)에 화상이 걸림.
?~B.C.52 중국>전한 , 중국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걸(傑)@권걸 - 권걸(權傑)
조선 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으로, 길창부원군(吉昌府院君) 권람(權攬)의 아들. 동지중추부사(同知中樞府事)ㆍ경주 부윤(慶州府尹)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걸(傑)@문걸 - 문걸(文傑)
조선 성종(成宗)~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 본관은 감천(甘泉). 문숭질(文崇質)의 아들로, 양양 부사(襄陽府使)를 지냈음.
?~1500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용궁 , 인명>관인>문신
-
걸(傑)@김걸 - 김걸(金傑)
고려 후기의 유학. 본관은 상주(尙州). 응교(應敎) 김유(金逌)의 아버지로, 진사시(進士試)에 입격함.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상주 , 인명>문사>유학
-
걸(傑) - 이걸(李傑)
조선 전기의 종친. 성종(成宗)의 일곱 번째 서자인 익양군(益陽君) 이회(李懷)의 손자이며, 용천군(龍川君) 이수한(李壽鷴)의 맏아들.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걸직벌(乞直伐) - 태조(太祖)@남북조(북연)
중국 남북조시대 오호십육국(五胡十六國)의 하나인 북연(北燕)의 제1대 왕. 재위 409~430. 소성제(昭成帝)의 형으로, 후연(後燕)의 왕인 모용희(慕容熙)를 죽이고 모용운(慕容雲)을 왕위에 앉혔다가 모용운이 죽자 등극함.
?~430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검각주(劍刻舟) - 각주구검(刻舟求劍)
중국 춘추전국시대(春秋戰國時代) 초(楚) 나라 사람이 강에 빠뜨린 칼을 뱃전에 표시해 두었다가 나중에 찾으려 했다는 고사에서 나온 말로, 어리석어 시세에 어둡거나 완고함을 비유함.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사상>술어>고사성어
-
검관(劒館) - 검수관(劒水館)
조선시대 금교도(金郊道)의 속역(屬驛) 중 하나였던 역관(驛館). 황해도 봉산(鳳山)에 있었음.
한국>조선시대 , 황해도>봉산 , 유적>건물>관사
-
검교태위계림자사영해군사신라왕(檢校太尉鷄林刺史寧海軍使新羅王) - 선덕왕(宣德王)
신라 제37대 국왕. 재위 780~785. 내물마립간(奈勿麻立干)의 10세손으로 해찬(海飡) 김효방(金孝芳)의 아들. 혜공왕(惠恭王) 때 김지정(金志貞)의 난을 진압하고 즉위하였으며, 어룡성(御龍省)을 개편하고 패강진(浿江鎭)을 개척함.
?~785 한국>통일신라 , 경상도>경주 , 인명>왕실>국왕
-
검국(黔國) - 목성(沐晟)
중국 명(明) 나라 성조(成祖)~영종(英宗) 때의 무신. 서평후(西平侯) 목영(沐英)의 아들. 안남(安南)의 국상(國相) 여계리(黎季犛)가 안남왕 진일규(陳日煃)를 시해하고 명령을 받지 않자, 장보(張輔)와 함께 안남을 평정함.
?~1436 중국>명 , 중국 , 인명>관인>무신
-
검국공(黔國公) - 목성(沐晟)
중국 명(明) 나라 성조(成祖)~영종(英宗) 때의 무신. 서평후(西平侯) 목영(沐英)의 아들. 안남(安南)의 국상(國相) 여계리(黎季犛)가 안남왕 진일규(陳日煃)를 시해하고 명령을 받지 않자, 장보(張輔)와 함께 안남을 평정함.
?~1436 중국>명 , 중국 , 인명>관인>무신
-
검남(劒南) - 육유(陸游)
중국 송(宋) 나라 고종(高宗)~영종(寧宗) 때의 문신ㆍ문인. 보모각 대제(寶謨閣待制) 등을 지냄. 조국을 침략한 금(金) 나라에 대한 철저한 항쟁을 주장하고, 시를 통해 그 분노를 표출하는 한편 일상생활의 자적함을 동시에 표현함.
1125~1210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검단산(儉端山) - 검단산(黔丹山)
경기도 광주(廣州) 지역에 속해 있던 산 이름. 광주의 진산(鎭山)으로 일컬어짐.
경기도>광주 , 지명>자연지명
-
검도(黔島) - 검동도(黔同島)
평안도 의주(義州)의 압록강(鴨綠江)에 있는 섬의 하나. 어적도(於赤島)ㆍ위화도(威化島)와 더불어 의주의 삼도(三島)로 일컬어짐.
평안도>의주 , 지명>자연지명
-
검동(黔童) - 권제(權踶)
조선 태종(太宗)~세종(世宗)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 《고려사》편찬에 참여하고, 정인지(鄭麟趾)ㆍ안지(安止) 등과 〈용비어천가〉를 지음.
1387~1445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검봉(劒峯)@검각산 - 검각산(劒閣山)
중국 익주(益州)에 있는 산 이름. 중국의 북쪽에서 익주로 올 때 반드시 거쳐야 하는 곳으로, 지세가 험하여 군사 요충지임.
중국 , 지명>자연지명
-
검산도(劒山島) - 흑산도(黑山島)
전라남도 신안(新安)에 속한 섬 이름. 홍도(紅島)ㆍ대둔도(大芚島)ㆍ영산도(永山島)ㆍ가거도(可居島) 등과 함께 흑산군도를 이룸.
전라도>나주 , 지명>자연지명
-
검암서원(劍巖書院) - 팔봉서원(八峯書院)
조선 선조(宣祖) 때 충청도 충주(忠州)에 건립한 서원(書院). 이자(李耔)ㆍ이경연(李慶延)ㆍ김세필(金世弼)ㆍ노수신(盧守愼)을 배향함.
1586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충주 , 유적>건물>서원,향교
-
검지(檢池) - 공검지(恭儉池)
경상북도 상주(尙州) 공검면(恭儉面)에 있는 못 이름. 관개용(灌漑用) 저수지로 이용됨.
경상도>상주 , 지명>자연지명
-
검진(劍津) - 연평진(延平津)
중국 복건성(福建省) 남평현(南平縣) 동쪽에 있었던 옛 나루 이름. 남북조시대 진(晉) 나라의 뇌환(雷煥)이 가지고 있던 용천검(龍泉劍)과 태아검(太阿劍)을 이곳에 빠뜨리자 용이 되었다는 전설이 있음.
중국 , 지명>자연지명
-
검포(黔浦) - 김포(金浦)
경기도 북서쪽 한강(漢江) 하구에 위치한 고을 이름. 조선시대 한양(漢陽)의 관문이며, 김포평야(金浦平野)를 끼고 있어 경제적으로도 중요한 지역임.
경기도>김포 , 지명>행정지명
-
검호(檢湖) - 공검지(恭儉池)
경상북도 상주(尙州) 공검면(恭儉面)에 있는 못 이름. 관개용(灌漑用) 저수지로 이용됨.
경상도>상주 , 지명>자연지명
-
게문안공전집(揭文安公全集) - 게문안공집(揭文安公集)
중국 원(元) 나라 때의 문인 게혜사(揭傒斯)의 시문집(詩文集). 50권.
중국>원 , 중국 , 문헌>서명
-
격(䛿) - 이격(李䛿)
조선 전기의 종친. 세종(世宗)의 다섯 번째 서자인 밀성군(密城君) 이침(李琛)의 넷째 아들.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종친
-
격(格)@유격 - 유격(柳格)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진주(晉州). 학행(學行)으로 천거되어 선릉 참봉(宣陵參奉)을 지내고 사간원 정언(司諫院正言)에 다섯 차례나 임명되었으며, 서예에 뛰어났음.
1545~1584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진주 , 인명>관인>문신
-
격(格)@허격 - 허격(許格)
조선 후기의 학자. 본관은 양천(陽川). 이안눌(李安訥)에게 수학하였는데 스승이 죽은 후 심상(心喪) 3년을 지내고 김상헌(金尙憲) 문하에서 종유(從遊)하였음. 병자호란(丙子胡亂)이 굴욕적인 강화로 끝나자 통곡하고 학문을 그만두었음.
1607~1690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단양 , 인명>문사>학자
-
격(格)@남격 - 남격(南格)
조선 후기의 유학. 본관은 의령(宜寧). 동강(東岡) 남언경(南彦經)의 아들. 조식(曺植)과 서경덕(徐敬德)의 문인(門人).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의령 , 인명>문사>유학
-
격(格) - 이격(李格)
조선 후기의 종친. 세종(世宗)의 넷째 서자인 한남군(漢南君) 이어(李𤥽)의 증손. 호천군(湖川君)의 아들로, 효자로 이름남.
1546~1593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격(格)@권격 - 권격(權格)
조선 효종(孝宗)~현종(顯宗)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 춘추관 기주관(春秋官記注官)을 역임했으며《효종실록(孝宗實錄)》의 편찬에 참여함.
1620~1671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격견(格堅) - 영종(英宗)@원
중국 원(元) 나라의 제11대 황제. 재위 1321~1323. 재위 중 한족(漢族)의 인재를 등용하고 세금을 감면하는 한편 법제를 정비하여 대원통제(大元通制) 등을 반포함.
1303~1323 중국>원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격곡(擊穀) - 포곡(布穀)
뻐꾸기 혹은 뻐꾸기의 울음소리. 뻐꾸기가 ‘포곡포곡’하며 울고, ‘포곡(布穀)’이 ‘씨를 뿌려라’라는 의미이므로, 농사를 재촉하는 뜻으로 쓰임.
사상>술어>관용어ㅣ자연물>동물
-
격몽(擊蒙) - 격몽요결(擊蒙要訣)
조선 선조(宣祖) 때의 성리학자인 이이(李珥)가 편찬한 유학 입문서. 《동몽선습(童蒙先習)》ㆍ《훈몽자회(訓蒙字會)》와 함께 초학자들을 위한 교재로 쓰임.
1577 한국>조선전기 , 문헌>서명
-
격물장(格物章) - 대학(大學)
유교 경전인 사서(四書)의 하나. 《예기(禮記)》의 제42편이었던 것을 중국 송(宋) 나라의 사마광(司馬光)이 처음으로 따로 떼어서 《대학광의(大學廣義)》를 만들었고, 송 나라의 주희(朱熹)가 《대학장구(大學章句)》를 지음.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문헌>서명
-
격물재(格物齋) - 성현(成俔)
조선 세조(世祖)~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ㆍ학자. 갑자사화 때 부관참시(副棺斬屍)를 당하였으나 뒤에 신원(伸寃)되고 청백리(淸白吏)에 녹선됨. 시문(詩文)에 능하고 음률(音律)에 정통하여 많은 저술과 작품을 남김.
1439~1504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창녕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격물치지장(格物致知章) - 대학(大學)
유교 경전인 사서(四書)의 하나. 《예기(禮記)》의 제42편이었던 것을 중국 송(宋) 나라의 사마광(司馬光)이 처음으로 따로 떼어서 《대학광의(大學廣義)》를 만들었고, 송 나라의 주희(朱熹)가 《대학장구(大學章句)》를 지음.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문헌>서명
-
격물치지전(格物致知傳) - 대학(大學)
유교 경전인 사서(四書)의 하나. 《예기(禮記)》의 제42편이었던 것을 중국 송(宋) 나라의 사마광(司馬光)이 처음으로 따로 떼어서 《대학광의(大學廣義)》를 만들었고, 송 나라의 주희(朱熹)가 《대학장구(大學章句)》를 지음.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문헌>서명
-
격비(格非) - 이격비(李格非)
중국 송(宋) 나라의 문신ㆍ학자. 예부 원외랑(禮部員外郞) 등을 역임하였고, 경학(經學)에 정통하고 사장(詞章)에 뛰어났으며, 저서에 《예기설(禮記說)》 등이 있음.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격암(格庵) - 조순손(趙順孫)
중국 송(宋) 이종(理宗)~도종(度宗) 때의 문신ㆍ학자. 이부 상서(吏部尙書)ㆍ참지정사(參知政事)를 역임했으며, 《사서찬소(四書纂疏)》를 지음.
1215~1277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격암조씨(格庵趙氏) - 조순손(趙順孫)
중국 송(宋) 이종(理宗)~도종(度宗) 때의 문신ㆍ학자. 이부 상서(吏部尙書)ㆍ참지정사(參知政事)를 역임했으며, 《사서찬소(四書纂疏)》를 지음.
1215~1277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격양집(擊壤集) - 이천격양집(伊川擊壤集)
중국 송(宋) 나라 인종(仁宗) 때의 시인ㆍ학자인 소옹(邵雍)의 시가문집(詩歌文集). 20권. 소옹이 낙양(洛陽)에 은거할 때 스스로 즐기며 지은 시들로, 성정(性情)을 읊은 것이 내용의 주를 이룸.
1066 중국>송 , 중국 , 문헌>서명
-
격재(格齋) - 강은(姜隱)
고려 공민왕(恭愍王)~조선 태조(太祖) 때의 문신. 본관은 진주(晉州). 이색(李穡)의 문인(門人)으로 권근(權近)과 교류함.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진주 , 인명>관인>문신
-
격재(格齋)@손조서 - 손조서(孫肇瑞)
조선 세종(世宗)~세조(世祖) 때의 문신. 본관은 일직(一直). 학문과 시문의 대가로 김종직(金宗直)과 친교를 맺고, 김굉필(金宏弼)ㆍ정여창(鄭汝昌) 등을 제자로 두었으며, 사육신(死六臣)의 옥사가 일어나자 벼슬을 버리고 고향에 은둔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격재문집(格齋文集) - 격재집(格齋集)
조선 전기의 문신인 손조서(孫肇瑞)의 시문집(詩文集). 4권 1책. 목판본.
1479 한국>조선전기 , 문헌>서명
-
격정(擊正) - 포곡(布穀)
뻐꾸기 혹은 뻐꾸기의 울음소리. 뻐꾸기가 ‘포곡포곡’하며 울고, ‘포곡(布穀)’이 ‘씨를 뿌려라’라는 의미이므로, 농사를 재촉하는 뜻으로 쓰임.
사상>술어>관용어ㅣ자연물>동물
-
격치원전(格致元傳) - 대학(大學)
유교 경전인 사서(四書)의 하나. 《예기(禮記)》의 제42편이었던 것을 중국 송(宋) 나라의 사마광(司馬光)이 처음으로 따로 떼어서 《대학광의(大學廣義)》를 만들었고, 송 나라의 주희(朱熹)가 《대학장구(大學章句)》를 지음.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문헌>서명
-
격치장(格致章) - 대학(大學)
유교 경전인 사서(四書)의 하나. 《예기(禮記)》의 제42편이었던 것을 중국 송(宋) 나라의 사마광(司馬光)이 처음으로 따로 떼어서 《대학광의(大學廣義)》를 만들었고, 송 나라의 주희(朱熹)가 《대학장구(大學章句)》를 지음.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문헌>서명
-
격치전(格致傳) - 대학(大學)
유교 경전인 사서(四書)의 하나. 《예기(禮記)》의 제42편이었던 것을 중국 송(宋) 나라의 사마광(司馬光)이 처음으로 따로 떼어서 《대학광의(大學廣義)》를 만들었고, 송 나라의 주희(朱熹)가 《대학장구(大學章句)》를 지음.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문헌>서명
-
격치조(格致條) - 대학(大學)
유교 경전인 사서(四書)의 하나. 《예기(禮記)》의 제42편이었던 것을 중국 송(宋) 나라의 사마광(司馬光)이 처음으로 따로 떼어서 《대학광의(大學廣義)》를 만들었고, 송 나라의 주희(朱熹)가 《대학장구(大學章句)》를 지음.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문헌>서명
-
격치편(格致篇) - 대학(大學)
유교 경전인 사서(四書)의 하나. 《예기(禮記)》의 제42편이었던 것을 중국 송(宋) 나라의 사마광(司馬光)이 처음으로 따로 떼어서 《대학광의(大學廣義)》를 만들었고, 송 나라의 주희(朱熹)가 《대학장구(大學章句)》를 지음.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문헌>서명
-
격통(格通) - 격물통(格物通)
중국 명(明) 나라의 유학자인 담약수(湛若水)가 편찬한 책. 구준(丘濬)의 《대학연의보(大學衍義補)》를 본떠 지음.
중국>명 , 중국 , 문헌>서명
-
견(堅) - 안견(安堅)
조선 세종(世宗)~세조(世祖) 때의 화가. 본관은 지곡(池谷). 안평대군(安平大君)의 후원을 받았으며, 몽유도원도(夢遊桃源圖)를 그림. 산수화에 뛰어나 곽희파(郭熙派) 화풍을 토대로 한국적인 화풍을 완성하며 일본 실정시대(室町時代)의 수묵화에까지 영향을 미침.
한국>조선전기 , 인명>예술인>서화가
-
견(涀) - 강견(姜涀)
조선 선조(宣祖) 때의 유학. 본관은 진주(晉州). 강항(姜沆)의 형이고 이이(李珥)의 문인. 정여립(鄭汝立) 사건 때 최영경(崔永慶)을 유령의 인물인 길삼봉(吉三峯)으로 무고하여 옥사(獄死)하게 함.
1554~1589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영광 , 인명>문사>유학
-
견(狷) - 조견(趙狷)
고려 공양왕(恭讓王)~조선 세종(世宗) 때의 문신. 본관은 평양(平壤)으로, 판도판서(版圖判書) 조덕유(趙德裕)의 아들. 조선 개국공신(開國功臣) 중 한 사람.
1351~1425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평안도>평양 , 인명>관인>문신
-
견(甄) - 서견(徐甄)
고려 후기의 문신. 본관은 이천(利川). 안향(安珦)의 문인(門人)으로, 공양왕(恭讓王) 때 사헌장령(司憲掌令)을 지냈으나, 조선 개국 후에는 금천(衿川)에 은거함.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기도>금천 , 인명>관인>문신
-
견(肩) - 심견(沈肩)
조선 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풍산(豊山). 상주 목사(尙州牧使)를 지낸 심치(沈寘)의 아들로, 와서 별좌(瓦署別坐)를 역임함.
1426~1493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견가(甄家) - 견훤(甄萱)
후백제(後百濟)의 시조. 재위 892~935. 본래 성은 이씨(李氏)였으나 뒤에 견씨(甄氏)라 함.
867~936 한국>통일신라 , 전라도>전주ㅣ전라도>광산 , 인명>왕실>국왕
-
견기(堅基) - 이견기(李堅基)
조선 세종(世宗)~단종(端宗) 때의 문신. 본관은 성주(星州). 성절사(聖節使)ㆍ사은사(謝恩使)로 명(明) 나라에 다녀오고, 호조 판서(戶曹判書) 등을 지냄.
1384~1455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성주 , 인명>관인>문신
-
견라(見羅) - 이재(李材)
중국 명(明) 나라의 문신ㆍ학자. 남경병부 상서(南京兵部尚書)를 지냈으며, 육구연(陸九淵)의 학문을 깊이 연구함.
1518~1599 중국>명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견랑(甄郞) - 견훤(甄萱)
후백제(後百濟)의 시조. 재위 892~935. 본래 성은 이씨(李氏)였으나 뒤에 견씨(甄氏)라 함.
867~936 한국>통일신라 , 전라도>전주ㅣ전라도>광산 , 인명>왕실>국왕
-
견명(見明) - 일연(一然)
고려 고종(高宗)~충렬왕(忠烈王) 때의 승려. 고종 때 설악산 진전사(陳田寺)로 출가하여 구산문 사선(九山門四選)의 으뜸되어 지눌(知訥)의 법을 계승하고, 충렬왕 때 국존(國尊)으로 책봉됨. 제자로 혼구(混丘)ㆍ죽허(竹虛)가 있고, 대표적 저서로 《삼국유사(三國遺事)》가 유명함.
1206~1289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경주 , 인명>종교인>승려
-
견문록(見聞錄) - 문견전록(聞見前錄)
중국 송(宋) 나라의 문신ㆍ학자인 소백온(邵伯溫)의 저서. 20권. 소흥(紹興) 연간 이전까지의 송 나라 왕조의 여러 가지 일을 기록함.
1132 중국>송 , 중국 , 문헌>서명
-
견미(堅味) - 임견미(林堅味)
고려 공민왕(恭愍王)~우왕(禑王) 때의 무신. 홍건적(紅巾賊)의 난 때 왕을 호종(扈從)하여 1등 공신이 되고, 경복흥(慶復興) 일당을 숙청함. 문하시중(門下侍中) 등을 지내면서 이인임(李仁任)과 함께 전횡을 일삼다가 최영(崔塋)ㆍ이성계(李成桂)에게 살해됨.
?~1388 한국>고려후기 , 충청도>평택 , 인명>관인>무신
-
견벽(見碧) - 정세웅(鄭世雄)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1513(중종 8) 식년시(式年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남원 부사(南原府使) 등을 지냄. 이천(利川)과 여주(驪州)에 수령(守令)로 있을 때 김안국(金安國)과 교유한 시들이 《모재집(慕齋集)》에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충주ㅣ서울 , 인명>관인>문신
-
견벽정(見碧亭) - 정세웅(鄭世雄)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1513(중종 8) 식년시(式年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남원 부사(南原府使) 등을 지냄. 이천(利川)과 여주(驪州)에 수령(守令)로 있을 때 김안국(金安國)과 교유한 시들이 《모재집(慕齋集)》에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충주ㅣ서울 , 인명>관인>문신
-
견보(見甫) - 어몽룡(魚夢龍)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화가. 본관은 함종(咸從). 군수(郡守) 어운해(魚雲海)의 아들로, 진천 현감(鎭川縣監)을 지냄. 묵매(墨梅)를 잘 그려서 이정(李霆)의 묵죽(墨竹), 황집중(黃執中)의 묵포도와 함께 당시의 삼절(三絶)로 불림.
1566~? 한국>조선후기 , 평안도>함종 , 인명>예술인>서화가ㅣ인명>관인>문신
-
견사정(見思亭) - 장한공(張漢公)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무신. 중종반정(中宗反正)에 참여하여 정국공신(靖國功臣)에 녹훈되었으나, 사림파들에 의해 삭훈되었다가 기묘사화(己卯士禍) 이후 복적(復籍)됨.
1465~1535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무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