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견산(犬山) - 견문산(犬門山)
충청북도 충주(忠州) 남한강(南漢江)과 달천(達川)이 합류하는 지점에 있는 산 이름.
충청도>충주 , 지명>자연지명
-
견상인(堅上人) - 신견(信堅)
조선 전기의 승려. 해남(海南) 두륜산(頭輪山)에 있는 두륜사(頭輪寺) 승려로, 김인후(金麟厚)ㆍ백광훈(白光勳)ㆍ박순(朴淳) 등과 시(詩)로 교유함.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해남 , 인명>종교인>승려
-
견석(堅石) - 구양건(歐陽建)
중국 남북조시대 진(晉) 나라의 문신ㆍ학자. 상서랑(尙書郞)ㆍ풍익 태수(馮翊太守) 등을 지냈으나, 석숭(石崇)의 조카라는 이유로 조왕(趙王)에게 피살됨.
269~300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견성(堅城) - 포천(抱川)
경기도 북동쪽에 있는 고을 이름. 북쪽으로 강원도 철원(鐵原)을 접하고 있음.
경기도>포천 , 지명>행정지명
-
견성군(甄城君)@이사철 - 이사철(李思哲)
조선 세종(世宗)~세조(世祖) 때의 문신. 도조(度祖)의 첫째 아들인 이자흥(李自興)의 종손이며, 이난(李蘭)의 아들로, 《선원록(璿源錄)》 등을 개수하였고, 세조를 도와 정난공신(靖難功臣)과 좌익공신(佐翼功臣)에 책록되었으며, 좌의정 등을 역임함.
1405~1456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ㅣ인명>왕실>종친
-
견성대사(見性大師) - 선감(宣鑑)
중국 당(唐) 나라의 선승(禪僧). 용담(龍潭) 숭신(崇信)의 제자.《금강경(金剛經)》에 정통하였으며 엄격한 수행으로 유명함. 제자를 가르칠 때 몽둥이를 잘 썼으므로 ‘임제(臨濟)의 할(喝)’이라는 말이 생김.
782~865 중국>당 , 중국 , 인명>종교인>승려
-
견성부원군(甄城府院君) - 이사철(李思哲)
조선 세종(世宗)~세조(世祖) 때의 문신. 도조(度祖)의 첫째 아들인 이자흥(李自興)의 종손이며, 이난(李蘭)의 아들로, 《선원록(璿源錄)》 등을 개수하였고, 세조를 도와 정난공신(靖難功臣)과 좌익공신(佐翼功臣)에 책록되었으며, 좌의정 등을 역임함.
1405~1456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ㅣ인명>왕실>종친
-
견손(堅孫)@이서의아들 - 이견손(李堅孫)@이서의아들
조선 전기의 종친. 태종(太宗)의 둘째 아들인 효령대군(孝寧大君)의 증손이며 동양정(東陽正) 이서(李徐)의 아들로, 삼척 도호부사(三陟都護府使) 민영(閔寧)의 사위.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견손(堅孫)@이세진의아들 - 이견손(李堅孫)@이세진의아들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고성(固城). 이세진(李世晉)의 아들로, 교관(敎官) 등을 지냄. 이해수(李海壽)의 《약포유고(藥圃遺稿)》에 그의 묘갈명(墓碣銘)이 실려 있음.
1504~1585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고성 , 인명>관인>문신
-
견숙(見叔) - 최응룡(崔應龍)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전주(全州). 최이한(崔以漢)의 아들로, 박영(朴英)ㆍ이황(李滉)에게 수학하고, 전라도 관찰사(全羅道觀察使)ㆍ형조 참판(刑曹參判) 등을 지냄.
1514~1580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선산 , 인명>관인>문신
-
견심(見心) - 곽복(郭復)
고려 공민왕(恭愍王) 때의 문신. 비서승(秘書丞)을 지냄.
한국>고려후기 , 인명>관인>문신
-
견오(肩吾)@유견오 - 유견오(庾肩吾)
중국 남북조시대 양(梁) 나라의 시인(詩人). 유신(庾信)의 아버지. 궁체시(宮體詩)의 대표작가로 성률(聲律)에 치중하여 이후 율시(律詩)의 발전에 영향을 끼침.
487~551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견오(肩吾) - 윤희성(尹希聖)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파평(坡平). 조광조(趙光祖)의 문인(門人)으로, 기묘사화(己卯士禍) 때 화를 당한 사림(士林)의 억울함을 상소하여 조광조의 관작을 회복시킴. 사헌부 지평(司憲府持評)ㆍ이조 정랑(吏曹正郞) 등을 지냄.
?~1544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파주 , 인명>관인>문신
-
견와(鵑窩) - 배견와(拜鵑窩)
경기도 영평(永平)의 백운산(白雲山)에 있던 움집. 대사간(大司諫)을 지낸 박순(朴淳)이 벼슬을 떠난 뒤 이곳에서 은거함.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영평 , 유적>건물>사제
-
견왕(甄王) - 견훤(甄萱)
후백제(後百濟)의 시조. 재위 892~935. 본래 성은 이씨(李氏)였으나 뒤에 견씨(甄氏)라 함.
867~936 한국>통일신라 , 전라도>전주ㅣ전라도>광산 , 인명>왕실>국왕
-
견용산(見龍山) - 용산(龍山)
중국 원(元) 나라에 유학온 일본 승려. 중봉 명본(中峰明本) 선사의 제자로, 중국 강남의 도솔사(兜率寺)의 주지로 있었고, 일본에서 중국으로 유학온 승려 윤중암(允中菴)의 스승이었음.
중국>원 , 중국 , 인명>종교인>승려
-
견적(甄賊) - 견훤(甄萱)
후백제(後百濟)의 시조. 재위 892~935. 본래 성은 이씨(李氏)였으나 뒤에 견씨(甄氏)라 함.
867~936 한국>통일신라 , 전라도>전주ㅣ전라도>광산 , 인명>왕실>국왕
-
견제(肩題) - 포곡(布穀)
뻐꾸기 혹은 뻐꾸기의 울음소리. 뻐꾸기가 ‘포곡포곡’하며 울고, ‘포곡(布穀)’이 ‘씨를 뿌려라’라는 의미이므로, 농사를 재촉하는 뜻으로 쓰임.
사상>술어>관용어ㅣ자연물>동물
-
견주(見州) - 양주(楊州)
경기도 중앙에 위치한 고을 이름. 조선 세조(世祖) 때 목(牧)으로 승격됨.
경기도>양주 , 지명>행정지명
-
견중(堅仲)@권확 - 권확(權確)@조선전기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안동(安東). 권우(權愚)의 둘째 아들이자, 권승(權昇)의 아버지.
1502~1554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홍주 , 인명>문사>유학
-
견중(堅仲) - 김굉(金硡)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광산(光山). 평양 서윤(平壤庶尹) 김순성(金順誠)의 아들로, 대사간(大司諫)ㆍ홍문관 부제학(弘文館副提學)ㆍ충청도 관찰사(忠淸道觀察使) 등을 두루 역임함.
1470~1526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견하(汧河) - 견수(汧水)
중국 감숙성(甘肅省)에서 발원해 섬서성(陝西省) 위수(渭水)로 흘러들어가는 강 이름. 춘추전국시대 진(秦) 나라의 주영토가 견수(汧水)와 위수가 합류하는 지점에서 서쪽으로 삼각지대를 이루는 지역임.
중국 , 지명>자연지명
-
결(決) - 심결(沈決)
조선 문종(文宗)~세조(世祖) 때의 문신. 본관은 청송(靑松). 영의정을 지낸 심온(沈溫)의 아들이며, 세종(世宗)의 비(妃)인 소헌왕후(昭憲王后)의 동생. 세조의 즉위를 도와 원종공신(原從功臣)에 책록되고, 판돈녕부사(判敦寧府事)를 지냄.
1419~1470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결(潔)@권결 - 권결(權潔)
조선 선조(宣祖) 때의 유학(幼學). 권윤희(權胤禧)의 아들로, 과거에는 뜻을 두지 않고 경서를 깊이 연구하며 이이(李珥)ㆍ성혼(成渾)과 교유함. 이이가 전형(銓衡)으로 있을 때 그의 명석함을 알고 벼슬할 것을 권하였으나 끝내 나아가지 않음.
1534~1605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문사>유학
-
결(潔)@심결 - 심결(沈潔)
조선 후기의 유학. 본관은 삼척(三陟). 첨지중추부사(僉知中樞府事) 심붕서(沈鵬瑞)의 아버지.
한국>조선후기 , 강원도>삼척 , 인명>문사>유학
-
결(潔)@조선전기 - 오결(吳潔)@조선전기
조선 연산군(燕山君)~중종(中宗) 때의 문신. 1536년(중종 31) 이조 참판(吏曹參判)으로 명 나라 사신의 영위사(迎慰使)가 되어 의주(義州)에 다녀왔으며, 한성부 판윤(漢城府判尹) 등을 역임했음.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해주 , 인명>관인>문신
-
결(潔) - 윤결(尹潔)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시정기(時政記) 필화사건으로 처형된 안명세(安明世)의 정당성을 발설한 것이 빌미가 되어, 문정왕후(文定王后)의 수렴청정과 윤원형(尹元衡)의 세력 확장을 비판했다 하여 국문을 받던 중 옥사함.
1517~1548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남원 , 인명>관인>문신
-
결(潔)@조선후기 - 오결(吳潔)@조선후기
조선 후기의 문신. 본관은 해주(海州). 이이(李珥)의 문인(門人)으로, 《사서변의(四書辨疑)》를 저술하였으며, 현릉 참봉(顯陵參奉)을 지냄.
한국>조선후기 , 황해도>해주 , 인명>관인>문신
-
결(結) - 강결(姜結)
조선 전기의 문신. 참판(參判)을 지낸 강사상(姜士尙)의 아들로, 여러 차례 과거에 응시했지만 급제하지 못하고 음보(蔭補)로 찰방(察訪)이 됨. 권벽(權擘)과 교유함.
한국>조선후기 , 인명>관인>문신
-
결(結)@이결 - 이결(李結)
고려 말~조선 초의 문신. 지후(祗候) 등을 역임하였으며, 권근(權近)과 교유함. 권근의 《양촌집(陽村集)》에 그와 관련하여 지은 시가 여러 수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인명>관인>문신
-
결기수(結己守) - 이현(李玄)
조선 전기의 종친. 태종(太宗)의 손자인 수천군(秀泉君) 이정은(李貞恩)의 아들.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결기수(結杞守) - 이현(李玄)
조선 전기의 종친. 태종(太宗)의 손자인 수천군(秀泉君) 이정은(李貞恩)의 아들.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과암(果菴) - 송덕상(宋德相)
조선 영조(英祖)~정조(正祖)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은진(恩津). 교관 송무원(宋婺源)의 아들이며, 송시열(宋時烈)의 현손. 정조 때 산림(山林)의 중심인물로 천거되어 활약하였으나, 홍국영(洪國榮)의 실각 후 정감록 사건에 연루되어 노론벽파(老論辟派)로 몰려 죽음.
?~1783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은진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과옹(果翁) - 윤사로(尹師路)
조선 세종(世宗)~세조(世祖) 때의 문신. 세종의 부마로, 세조의 즉위를 도와 좌익공신(佐翼功臣)에 책록되고, 충훈부 당상(忠勳府堂上) 등을 지냄.
1423~1463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파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ㅣ인명>왕실>인척
-
과우(寡尤) - 송언신(宋言愼)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본관은 여산(礪山). 이황(李滉)의 문인으로, 이조 판서(吏曹判書) 등을 지냈으나, 광해군 때 축출됨. 저서로 《성학지남(聖學指南)》이 있음.
1542~1612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여산 , 인명>관인>문신
-
과원(菓園) - 남양(南陽)
경기도 수원(水原)과 화성(華城) 일대의 옛 고을 이름. 조선 전기에 경기수군절도사영(京畿水軍節度使營)이 화량진(花梁鎭)에 설치되어 경기도 해안 방어의 중심지 역할을 함.
경기도>남양 , 지명>행정지명
-
과재(果齋) - 성근묵(成近默)
조선 순조(純祖)~철종(哲宗) 때의 문신. 본관은 창녕(昌寧). 재학(才學)으로 추천을 받아 경연관(經筵官) 등을 지냈으며, 청렴강직으로 이름을 떨침.
1784~1852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과재(果齋)@이중열 - 이중열(李中悅)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광주(廣州). 유희춘(柳希春)ㆍ노수신(盧守愼) 등과 친교를 맺었으며, 을사사화(乙巳士禍)에 연루된 이휘(李輝)를 변호하다가 파직되어 이듬해 갑산(甲山)에 유배된 뒤 사사(賜死)됨.
1518~1547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광주 , 인명>관인>문신
-
과재(果齋)@장수희 - 장수희(張壽禧)
조선 중종(中宗) 때의 유학. 본관은 인동(仁同). 퇴계(退溪) 이황(李滉)의 문인으로 이산서원(伊山書院)에 배향되었음.
1516~1586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영천(榮川) , 인명>문사>유학
-
과재(果齋)@이방자 - 이방자(李方子)
중국 송(宋) 나라의 문신ㆍ학자. 주희(朱熹)의 문인(門人)으로, 통판진주(通判辰州) 등을 역임하였으며, 탄핵을 당하자 낙향하여 학문을 강론함.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과재(過齋) - 정만석(鄭晩錫)
조선 정조(正祖)~순조(純祖) 때의 문신. 본관은 온양(溫陽). 홍경래(洪景來)의 난 때 관서위무사(關西慰撫使)로 파견되고, 평안 감사(平安監司)가 되어 홍경래 관련 죄인들의 문초를 담당함. 우의정(右議政) 등을 지냄.
1758~1834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과재이씨(果齋李氏) - 이방자(李方子)
중국 송(宋) 나라의 문신ㆍ학자. 주희(朱熹)의 문인(門人)으로, 통판진주(通判辰州) 등을 역임하였으며, 탄핵을 당하자 낙향하여 학문을 강론함.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과전(科田) - 과전법(科田法)
1391년(공양왕 3) 조준(趙浚) 등에 의해 사전개혁(私田改革)이 단행됨으로써 새롭게 제정된, 조선 초기의 근간을 이루는 토지 제도.
1391~1466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서울 , 법제>제도
-
과정(瓜亭) - 정서(鄭敍)
고려 인종(仁宗)~명종(明宗) 때의 문신ㆍ문인. 지추밀원사(知樞密院事) 정항(鄭沆)의 아들이며, 인종의 비(妃)인 공예태후(恭睿太后)의 동생의 남편. 의종(毅宗) 때 참소를 받아 동래(東萊)ㆍ거제(巨濟)로 유배되었다가 풀려남.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동래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과정곡(瓜亭曲) - 정과정곡(鄭瓜亭曲)
고려 의종(毅宗) 때의 문인(文人)인 정서(鄭敍)가 동래(東萊)로 귀양 가 있을 때 임금을 생각하며 지은 십구체(十句體) 향가(鄕歌) 형식의 고려가요(高麗歌謠).
한국>고려전기 , 경상도>동래 , 문헌>작품명
-
과주(果州) - 과천(果川)
경기도 중서부에 위치한 고을 이름.
경기도>과천 , 지명>행정지명
-
과지(果支) - 옥과(玉果)
전라남도 북동부에 위치한 고을 이름. 지금은 전라남도 곡성군(谷城郡)에 속함.
전라도>옥과 , 지명>행정지명
-
과지(菓支) - 옥과(玉果)
전라남도 북동부에 위치한 고을 이름. 지금은 전라남도 곡성군(谷城郡)에 속함.
전라도>옥과 , 지명>행정지명
-
과지(顆之) - 이과(李顆)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전의(全義). 연산군(燕山君) 때 반정(反正)을 모의하다가 중종반정(中宗反正)의 성공으로 중단하였으며, 정국원종공신(靖國原從功臣)에 책록됨. 후에 박원종(朴元宗) 등을 제거하려다 발각되어 처형됨.
1475~1507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전의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과포(戈浦) - 남양(南陽)
경기도 수원(水原)과 화성(華城) 일대의 옛 고을 이름. 조선 전기에 경기수군절도사영(京畿水軍節度使營)이 화량진(花梁鎭)에 설치되어 경기도 해안 방어의 중심지 역할을 함.
경기도>남양 , 지명>행정지명
-
과혜(果兮) - 옥과(玉果)
전라남도 북동부에 위치한 고을 이름. 지금은 전라남도 곡성군(谷城郡)에 속함.
전라도>옥과 , 지명>행정지명
-
과회(寡悔) - 노수신(盧守愼)
조선 인종(仁宗)~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광주(光州). 문장과 서예에 능하고, 양명학(陽明學)을 연구했으며, 불교의 영향을 받기도 함. 대윤(大尹)의 한 사람으로 을사사화(乙巳士禍) 때 유배됨.
1515~1590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곽(钁) - 김곽(金钁)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유학. 본관은 안동(安東)으로, 와서 별제(瓦署別提) 김언홍(金彦弘)의 아들. 외사촌 동생인 정황(丁熿)이 정미사화(丁未士禍)에 연루되어 거제(巨濟)에 유배되어 있을 때 김곽에게 쓴 시(詩)가 《유헌집(游軒集)》에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문사>유학
-
곽경고(郭景高) - 곽고(郭𡼗)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의주 목사(義州牧使)를 지냈으며, 《율곡전서(栗谷全書)》에 이이(李珥)가 이별하면서 쓴 시가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인명>관인>문신
-
곽경순(郭景純) - 곽박(郭璞)
중국 남북조시대 진(晉) 나라의 시인ㆍ학자. 오행(五行)ㆍ천문(天文)ㆍ복서(卜筮)에 능하며, 주석서(註釋書)에는 《이아(爾雅)》ㆍ《산해경(山海經)》ㆍ《방언(方言)》ㆍ《초사(楚辭)》 등이 있음. 유곤(劉琨)ㆍ좌사(左思)와 함께 동진(東晉)의 3대 시걸(詩傑)로 꼽힘.
276~324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곽경정(郭景靜) - 곽황(郭趪)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현풍(玄風)으로, 이황(李滉)의 문하에서 종유(從遊)하였음. 예조 정랑(禮曹正郞)ㆍ예안 현감(禮安縣監)ㆍ함양 군수(咸陽郡守) 등을 지냈음.
1530~1569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현풍 , 인명>관인>문신
-
곽곤(郭稇) - 곽곤(郭㻒)
고려 후기의 문신. 충정왕(忠定王) 때 제학(提學)을 지냈으며, 《동문선(東文選)》에 약간 편의 시가 전함. 《급암시집(及菴詩集)》에 민사평(閔思平)의 기시(寄詩)가 실려 있음.
한국>고려후기 , 인명>관인>문신
-
곽관군(霍冠軍) - 곽거병(霍去病)
중국 전한(前漢) 무제(武帝) 때의 무신. 18세 때 시중(侍中)이 되어 위청(衛靑)을 따라 흉노 토벌에 공을 세워 관군후(冠軍侯)에 봉해졌고, 영토 확장에 큰 공을 세워 위청과 함께 대사마(大司馬)가 되었으나, 24세로 죽음.
B.C.140~B.C.117 중국>전한 , 중국 , 인명>관인>무신
-
곽구주(郭九疇) - 곽영석(郭永錫)
중국 원(元) 나라의 문신. 중서검교(中書檢校) 등을 역임했으며, 1366년(공민왕 15)에 하남왕(河南王) 확곽첩목아(擴廓帖木兒)의 보빙사(報聘使)로 고려(高麗)에 왔음.
중국>원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곽귀빈(郭貴嬪) - 문덕곽황후(文德郭皇后)
중국 삼국시대(三國時代) 위(魏) 나라 문제(文帝)의 황후. 태수(太守) 곽영(郭永)의 딸.
184~235 중국>삼국시대 , 중국 , 인명>왕실>왕비
-
곽단곡(郭丹谷) - 곽진(郭𡺽)
조선 광해군(光海君)~인종(仁宗) 때의 학자. 생원 곽한(郭瀚)의 아들이며, 권우(權宇)의 문인. 진사시에 합격하였으나 과거에 나가지 않고 학문에만 전념함. 시문에 능하였고, 장현광(張顯光)ㆍ이준(李埈) 등과 사우관계를 맺음.
1568~1623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풍기 , 인명>문사>학자
-
곽대용(郭大容) - 곽한(郭瀚)
조선 명종(明宗) 때의 유학. 본관은 현풍(玄風). 퇴계(退溪) 이황(李滉)의 문인으로, 금계(錦溪) 황준량(黃俊良)과 교유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봉화 , 인명>문사>유학
-
곽문량(郭文良) - 곽추(郭樞)
고려 공민왕(恭愍王) 때의 문신. 상서좌승(尙書左丞)을 지낸 곽침(郭琛)의 아들로 정당문학(政堂文學)을 지냄.
1338~? 한국>고려후기 , 충청도>청주 , 인명>관인>문신
-
곽미수(郭眉叟) - 곽기수(郭期壽)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본관은 해미(海美)로, 선략장군(宣略將軍) 곽세유(郭世幼)의 아들. 관직은 예조 좌랑(禮曹佐郞)에 이르렀으며, 부안 현감(扶安縣監) 재직 중에 낙향하여 《주역(周易)》 연구에 전념함.
1549~1616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강진 , 인명>관인>문신
-
곽백유(郭伯瑜) - 곽순(郭珣)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현풍(玄風). 호조 좌랑ㆍ진보 현감(眞寶縣監)ㆍ봉상시 정ㆍ사간 등을 지냈으며, 기묘사화(己卯士禍) 때 화를 당한 조광조(趙光祖)의 신원을 상소함. 을사사화(乙巳士禍)에 연루되어 장살(杖殺)당함.
1502~1545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청도 , 인명>관인>문신
-
곽병주(郭幷州) - 곽급(郭伋)
중국 신(新)~후한(後漢) 광무제(光武帝) 때의 문신. 병주 목사(幷州牧使)로 있으면서 은혜로운 정사를 폈는데, 다시 그 지방에 부임하여 서하(西河) 미직(美稷)에 이르자, 아이들이 죽마(竹馬)를 타고 길에 나와 절을 하면서 맞이했다고 함.
중국>후한ㅣ중국>신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곽분양(郭汾陽) - 곽자의(郭子儀)
중국 당(唐) 나라 현종(玄宗)~덕종(德宗) 때의 무신. 현종 때 삭방절도사(朔方節度使)가 되어 이광필(李光弼)과 함께 안사(安史)의 난을 평정하고, 회흘(回紇:위구르)과 손잡고 토번(吐蕃:티베트)을 정벌함.
697~781 중국>당 , 중국 , 인명>관인>무신
-
곽서포(郭西浦) - 곽열(郭說)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곽회영(郭懷英)의 아들로 1589년(선조 22) 증광시(增廣試)에 급제하여 봉상시 첨정(奉常寺僉正)을 지냄.
1548~1630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청주 , 인명>관인>문신
-
곽세공(郭世功) - 곽세유(郭世幼)
조선 전기의 무신. 본관은 해미(海美). 선조(宣祖) 때 부안 현감(扶安縣監)을 지낸 곽기수(郭期壽)의 아버지로, 선략장군(宣略將軍)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강진 , 인명>관인>무신
-
곽세후(郭細侯) - 곽급(郭伋)
중국 신(新)~후한(後漢) 광무제(光武帝) 때의 문신. 병주 목사(幷州牧使)로 있으면서 은혜로운 정사를 폈는데, 다시 그 지방에 부임하여 서하(西河) 미직(美稷)에 이르자, 아이들이 죽마(竹馬)를 타고 길에 나와 절을 하면서 맞이했다고 함.
중국>후한ㅣ중국>신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곽시정(郭時靜) - 곽월(郭越)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사성(司成) 곽지번(郭之藩)의 아들이며, 의병장 곽재우(郭再祐)의 아버지. 1556년(명종 11) 별시(別試)에 급제하여 사간(司諫)을 거쳐 동지사(冬至使)로 명(明) 나라에 다녀왔으며 남원 부사(南原府使) 등을 역임함.
1518~1586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현풍 , 인명>관인>문신
-
곽아랑(郭兒郞) - 곽한(郭瀚)
조선 명종(明宗) 때의 유학. 본관은 현풍(玄風). 퇴계(退溪) 이황(李滉)의 문인으로, 금계(錦溪) 황준량(黃俊良)과 교유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봉화 , 인명>문사>유학
-
곽영공(郭令公) - 곽자의(郭子儀)
중국 당(唐) 나라 현종(玄宗)~덕종(德宗) 때의 무신. 현종 때 삭방절도사(朔方節度使)가 되어 이광필(李光弼)과 함께 안사(安史)의 난을 평정하고, 회흘(回紇:위구르)과 손잡고 토번(吐蕃:티베트)을 정벌함.
697~781 중국>당 , 중국 , 인명>관인>무신
-
곽왕(霍王) - 이원궤(李元軌)
중국 당(唐) 나라 고조(高祖)의 열네 번째 아들. 측천무후(則天武后) 때 모반 혐의로 피살된 이서(李緖)의 아버지로, 평생 겸신(謙慎)한 자세로 자신을 지켰다고 전해짐.
중국>당 , 중국 , 인명>왕실>왕자
-
곽원진(郭元振) - 곽진(郭震)
중국 당(唐) 고종(高宗)~현종(玄宗) 때의 문신ㆍ문인. 16세에 설직(薛稷)과 함께 태학생이 되었고, 통천위(通泉尉)를 거쳐 병부 상서(兵部尙書) 등을 지냄. 시문에 뛰어났음.
656~713 중국>당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곽위(郭威) - 태조(太祖)@오대십국(후주)
중국 오대십국(五代十國)의 하나인 후주(後周)의 제1대 황제. 재위 951~954. 그의 강대한 세력을 견제하려는 후한(後漢)의 은제(隱帝)를 축출하고 제위에 올랐으며, 후한의 폐정(弊政)과 악법(惡法)을 폐지하는 등 개혁정치를 펼침.
904~954 중국>오대십국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곽유도(郭有道) - 곽태(郭泰)
중국 후한(後漢)의 학자. 학문과 인격이 뛰어나 사람들의 존경을 받았고, 임종건(林宗巾)이라는 고사로도 유명함. 이응(李膺)과 교유하면서 명성이 널리 알려짐.
128~169 중국>후한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곽의직(郭宜直) - 곽희온(郭希溫)
조선 전기의 유학. 성혼(成渾)과 교유하였으며 《우계집(牛溪集)》에 차운한 시가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유학
-
곽임종(郭林宗) - 곽태(郭泰)
중국 후한(後漢)의 학자. 학문과 인격이 뛰어나 사람들의 존경을 받았고, 임종건(林宗巾)이라는 고사로도 유명함. 이응(李膺)과 교유하면서 명성이 널리 알려짐.
128~169 중국>후한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곽자(郭子)@곽황 - 곽황(郭況)
중국 후한(後漢) 광무제(光武帝) 때의 외척. 광무제의 처남으로 금보(金寶)를 많이 하사받아 세인들이 그 집을 금혈(金穴)이라 할 정도였는데, 집안의 4백여 명이나 되는 가솔이 날마다 금을 정련하는 소리가 끊이지 않았다고 함.
중국>후한 , 중국 , 인명>왕실>인척
-
곽자(郭子) - 곽거(郭巨)
중국 후한(後漢) 때의 이름난 효자. 가난한 형편에 노모(老母)를 봉양하기 위해 자식을 매장(埋葬)하려다가 황금을 얻었다고 함.
중국>후한 , 중국 , 인명>기타인명>효자
-
곽정보(郭靜甫) - 곽진(郭𡺽)
조선 광해군(光海君)~인종(仁宗) 때의 학자. 생원 곽한(郭瀚)의 아들이며, 권우(權宇)의 문인. 진사시에 합격하였으나 과거에 나가지 않고 학문에만 전념함. 시문에 능하였고, 장현광(張顯光)ㆍ이준(李埈) 등과 사우관계를 맺음.
1568~1623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풍기 , 인명>문사>학자
-
곽주(郭州) - 곽산(郭山)
평안도 남부 해안에 위치한 고을 이름. 본래 고구려 땅이었으며, 발해(渤海)를 거쳐 한때 여진(女眞)의 거점이 되기도 함. 이원(李黿) 등을 배향한 월포사(月浦祠)가 있음.
평안도>곽산 , 지명>행정지명
-
곽지사(郭知事) - 곽흘(郭屹)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무신. 지사(知事)ㆍ함경북도 병사(咸鏡北道兵使) 등을 역임하였으며 초헌(軺軒)을 탔다 해서 논죄(論罪)됨.
한국>조선전기 , 인명>관인>무신
-
곽탁(郭槖) - 곽탁타(郭橐駝)
중국 당(唐) 나라의 문인인 유종원(柳宗元)이 쓴 〈종수곽탁타전(種樹郭橐駝傳)〉의 주인공. 곱사병을 앓아 허리를 굽히고 걸어 다녔기 때문에 그 모습이 낙타와 비슷한 데가 있어서 세인들이 ‘탁타(橐駝)’라 불렀으며 종수(種樹)의 달인임.
중국>당 , 중국 , 인명>기타인명>기타인물
-
곽태(郭太) - 곽태(郭泰)
중국 후한(後漢)의 학자. 학문과 인격이 뛰어나 사람들의 존경을 받았고, 임종건(林宗巾)이라는 고사로도 유명함. 이응(李膺)과 교유하면서 명성이 널리 알려짐.
128~169 중국>후한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곽태정(郭泰靜) - 곽율(郭𧺝)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곽지인(郭之仁)의 아들이고 조식(曺植)의 문인. 임진왜란때 초계 군수(草溪郡守)로 재임되어 왜군을 방어, 강우(江右)지역 방어에 기여함.
1531~1593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현풍 , 인명>관인>문신
-
곽표기(霍驃騎) - 곽거병(霍去病)
중국 전한(前漢) 무제(武帝) 때의 무신. 18세 때 시중(侍中)이 되어 위청(衛靑)을 따라 흉노 토벌에 공을 세워 관군후(冠軍侯)에 봉해졌고, 영토 확장에 큰 공을 세워 위청과 함께 대사마(大司馬)가 되었으나, 24세로 죽음.
B.C.140~B.C.117 중국>전한 , 중국 , 인명>관인>무신
-
곽효자(郭孝子) - 곽의(郭義)
조선 전기의 효자. 부모를 위해 손가락을 잘라 공양한 효도를 기리는 시(詩)가 유희춘(柳希春)의 《미암집(眉巖集)》에 전함.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천안 , 인명>기타인명>효자
-
관(寬) - 박관(朴寬)
조선 전기의 문신. 유희춘(柳希春)과 친분이 있었는데, 유희춘이 진원 훈도(珍原訓導)로 추천함.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진원 , 인명>관인>문신
-
관(寬)@허관 - 허관(許寬)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하양(河陽). 이조 참판(吏曹參判)을 지낸 허성(許誠)의 아들로, 장례원 판결사(掌禮院判決事)ㆍ안동 부사(安東府使)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하양 , 인명>관인>문신
-
관(寬)@윤관 - 윤관(尹寬)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조광조(趙光祖)의 문인(門人)으로, 학문으로 이름이 높아 당대(當代)의 신진사류들과 교유하였으며, 군자감 판관(軍資監判官) 등을 역임함.
1490~1550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남원 , 인명>관인>문신
-
관(寬)@손관 - 손관(孫寬)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일직(一直). 한성 윤(漢城尹) 손영유(孫永裕)의 아들이며, 격재(格齋) 손조서(孫肇瑞)의 아버지로, 진성 현감(眞城縣監)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밀양 , 인명>관인>문신
-
관(寬)@유관 - 유관(柳寬)
고려 공민왕(恭愍王)~조선 세종(世宗) 때의 문신. 조선 건국 후 개국원종공신(開國原從功臣)이 책록되고, 우의정(右議政)을 지냄. 《태종실록(太宗實錄)》을 편찬하고 《고려사(高麗史)》를 수교(讎校)함.
1346~1433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황해도>문화 , 인명>관인>문신
-
관(慣) - 이성군(利城君)
조선 제9대 성종(成宗)의 여덟 번째 서자. 숙용심씨(淑容沈氏)의 소생으로, 중종(中宗)과 우애가 돈독하였으며, 명종(明宗)의 즉위에 공을 세워 위사공신(衛社功臣)에 책록됨.
1489~1552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왕실>왕자
-
관(灌) - 구관(具灌)
조선 명종(明宗) 때의 문신. 구팔원(具八元)의 아들로 1566년(명종 21)의 별시(別試)에 급제하여 시정(寺正)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능성 , 인명>관인>문신
-
관(灌)@심관 - 심관(沈灌)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삼척(三陟). 세조(世祖)~성종(成宗) 때 활동한 심준(沈濬)의 형으로, 이조(吏曹)와 호조(戶曹)의 참판(參判)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강원도>삼척 , 인명>관인>문신
-
관(灌)@김관 - 김관(金灌)
조선 선조(宣祖) 때의 유학. 본관은 강진(康津). 정묘호란(丁卯胡亂) 때 김장생(金長生)을 도와 의병활동에 가담했으며, 태인(泰仁)의 무성서원(武城書院)에 배향됨.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강진 , 인명>문사>유학
-
관(灌)@유관 - 유관(柳灌)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문화(文化). 좌의정(左議政)을 역임하였으나 을사사화(乙巳士禍)가 일어나 삼흉(三凶)으로 몰려 사사됨.
1484~1545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문화 , 인명>관인>문신
-
관(灌)@안관 - 안관(安灌)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순흥(順興). 갑자사화(甲子士禍)ㆍ을묘사화(乙卯士禍)를 목격한 뒤 여항산(艅航山)에 은거하여 산수를 읊으며 세간의 일에 전혀 관여하지 않음.
1491~1552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함안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