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관의(寬義) - 이관의(李寬義)
조선 세종(世宗)~성종(成宗)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광주(廣州). 학행으로 천거되어 율봉도 찰방(栗峯道察訪)에 임명되었으나 사퇴함. 성리학을 비롯하여 천문ㆍ지리ㆍ기상ㆍ역학 등의 일반과학 분야에 전심하여 각기 일가를 이룸.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광주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관이(觀頤) - 송인(宋寅)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여산(礪山). 중종의 부마로, 이황(李滉)ㆍ조식(曺植) 등과 교유하고, 시문(詩文)과 해서(楷書)에 뛰어남.
1517~1584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ㅣ인명>왕실>인척
-
관이당(觀頤堂) - 송인(宋寅)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여산(礪山). 중종의 부마로, 이황(李滉)ㆍ조식(曺植) 등과 교유하고, 시문(詩文)과 해서(楷書)에 뛰어남.
1517~1584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ㅣ인명>왕실>인척
-
관이도인(觀頤道人) - 송인(宋寅)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여산(礪山). 중종의 부마로, 이황(李滉)ㆍ조식(曺植) 등과 교유하고, 시문(詩文)과 해서(楷書)에 뛰어남.
1517~1584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ㅣ인명>왕실>인척
-
관자(管子)@관녕 - 관녕(管寧)
중국 삼국시대 위(魏) 나라의 학자. 황건적의 난이 일어났을 때 공손도(公孫度)의 풍도를 듣고 요동(遼東)으로 옮겨 살면서 시서(詩書)를 강론하고 예의(禮儀)를 강명하여 그곳의 민풍(民風)을 크게 진작시킴.
162~245 중국>삼국시대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관자(管子)@관중 - 관중(管仲)
중국 춘추전국시대 제(齊) 나라의 재상. 부국강병(富國强兵)의 정치를 이룩하여 제후를 규합하고 천하를 통일함으로써 환공(桓公)을 춘추오패(春秋五霸)의 으뜸이 되게 함.
?~B.C.645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관인>경대부
-
관자재(觀自在) - 관세음(觀世音)
대승불교(大乘佛敎)의 보살(菩薩) 중의 하나. 자비로써 중생의 괴로움을 구제한다는 보살로, 아미타불(阿彌陀佛)의 왼쪽에 위치함. 33가지 모습으로 현신(現身)함.
고대 , 인명>기타인명>기타인물
-
관장군(灌將軍) - 관영(灌嬰)
중국 진말(秦末)~한초(漢初) 때의 무신. 한(漢) 나라의 개국공신. 한 고조(漢高祖)를 도와 한중(漢中)의 공략과 초한(楚漢)의 팽성(彭城) 전투 때에 공을 세웠으며, 여후(呂后)가 죽은 뒤에 주발(周勃) 등과 문제(文帝)를 옹립함.
?~B.C.176 중국>전한ㅣ중국>진 , 중국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무신
-
관재(觀齋) - 심의(沈義)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풍산(豊山). 풍산군(豊山君) 심응(沈膺)의 아들이고, 좌의정을 지낸 심정(沈貞)의 동생. 서경덕(徐敬德)ㆍ성세창(成世昌) 등과 깊이 교유함.
1475~?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관정(寬靖) - 홍선(洪詵)
고려 충렬왕(忠烈王)~충숙왕(忠肅王) 때의 무신. 본관은 당성(唐城). 홍백수(洪百壽)의 아들이며 홍탁(洪鐸)의 아버지. 1304년(충렬왕 30) 충선왕(忠宣王)을 죽이려는 음모를 막아 공신이 되고, 여러 차례 원(元) 나라에 사신으로 다녀옴.
?~1318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남양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무신ㅣ인명>왕실>인척
-
관제묘(關帝廟) - 관왕묘(關王廟)
중국 삼국시대(三國時代) 촉(蜀)의 명장인 관우(關羽)를 모신 사당. 서울에 남관왕묘(南關王廟)와 동관왕묘(東關王廟)가 있으며, 지방에는 강진(康津)ㆍ안동(安東)ㆍ성주(星州)ㆍ남원(南原) 등 네 곳에 건립되었음.
1598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남원ㅣ전라도>강진ㅣ경상도>안동ㅣ경상도>성주ㅣ서울 , 유적>건물>사당
-
관중(寬中) - 윤관중(尹寬中)
조선 후기의 문신. 미암(眉巖) 유희춘(柳希春)의 사위로, 선전관(宣傳官) 등을 지냄.
한국>조선후기 , 인명>관인>문신
-
관중(寬仲) - 박률(朴栗)
조선 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밀양(密陽). 1558년(명종 13) 식년시(式年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사헌부 장령(司憲府掌令)ㆍ북평사(北評事)를 지냄. 송인(宋寅)의 《이암유고(頤庵遺稿)》에 송시(送詩)가 실려 있음.
1520~?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양주 , 인명>관인>문신
-
관지(灌之)@이적 - 이적(李𤁰)
조선 전기의 종친. 세조(世祖)의 첫 번째 서자인 덕원군(德源君) 이서(李曙)의 장남. 1469년(예종 1) 6세에 연성군에 봉해지고, 중종 때 종1품 가덕대부(嘉德大夫)가 되어 문소전(文昭殿)ㆍ연은전(延恩殿)ㆍ영경전(永慶殿)과 종친부 제조를 지냄.
1464~1525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종친
-
관지(灌之) - 안관(安灌)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순흥(順興). 갑자사화(甲子士禍)ㆍ을묘사화(乙卯士禍)를 목격한 뒤 여항산(艅航山)에 은거하여 산수를 읊으며 세간의 일에 전혀 관여하지 않음.
1491~1552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함안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관지(灌之)@유관 - 유관(柳灌)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문화(文化). 좌의정(左議政)을 역임하였으나 을사사화(乙巳士禍)가 일어나 삼흉(三凶)으로 몰려 사사됨.
1484~1545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문화 , 인명>관인>문신
-
관지(瓘之) - 유관(劉瓘)
조선 중종(中宗) 때의 유학. 본관은 거창(居昌)으로, 충순위(忠順衛) 유귀손(劉貴孫)의 아들.
1484~1542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거창 , 인명>문사>유학
-
관지(綰之) - 유관(兪綰)
조선 중종(中宗) 때의 생원. 본관은 기계(杞溪). 예조 판서(禮曹判書) 유여림(兪汝霖)의 아들로, 1528년(중종 23) 사마시(司馬試)에 입격함.
1499~1534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문사>유학
-
관지(貫之)@노종도 - 노종도(魯宗道)
중국 송(宋) 나라 진종(眞宗)~인종(仁宗) 때의 문신. 명신인 여희철(呂希哲)의 외할아버지로, 정직함으로 인해서 노직(魯直)이라 불리기도 하고 어두참정(魚頭參政)이라 불리기도 함.
966~1029 중국>송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관지(貫之)@공방 - 공방(孔方)
고려 후기의 문인인 임춘(林椿)이 지은 가전체(假傳體) 소설 《공방전(孔方傳)》의 주인공. 엽전을 의인화한 인물로, 중국 한(漢) 나라 때 천(泉)의 아들로 태어나 홍려경(鴻臚卿) 등을 지냈으나, 재물만 중하게 여기다가 탄핵을 받아 쫓겨남.
중국>전한 , 중국 , 인명>기타인명>기타인물
-
관지(貫之)@오도일 - 오도일(吳道一)
조선 현종(顯宗)~숙종(肅宗) 때의 학자ㆍ문신. 본관은 해주(海州). 1673년(현종 14) 춘당대시(春塘臺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청풍 부사(淸風府使)ㆍ예조 참판(禮曹參判) 등을 지냄. 저서로 《서파집(西坡集)》이 있음.
1645~1703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관지(貫之) - 유문통(柳文通)
조선 성종(成宗)~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 상주 목사(尙州牧使)와 사간원 사간(司諫院司諫)을 역임했으며, 일본 사신을 맞아 뛰어난 외교술을 발휘했고 시문에도 뛰어났음.
1438~1498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진주 , 인명>관인>문신
-
관징(觀徵) - 이관징(李觀徵)
조선 효종(孝宗)~숙종(肅宗) 때의 문신ㆍ서예가. 본관은 연안(延安). 이조 판서(吏曹判書) 등을 지냈으나, 갑술환국(甲戌換局) 때 삭출됨. 해서(楷書)에 능했으며 만년에는 김생(金生)의 필법을 연구함.
1618~1695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예술인>서화가ㅣ인명>관인>문신
-
관천자(觀川子) - 신희복(愼希復)
조선 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거창(居昌). 조광조(趙光祖)의 문인으로, 명종의 대군(大君) 시절 사부(師傅)를 지냈음. 명종 즉위 후에 개성 유수(開城留守)ㆍ우참찬(右參贊) 등을 역임함.
1493~1565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관추(關酋) - 풍신수길(豊臣秀吉)
일본 전국시대(戰國時代)~도산시대(桃山時代)의 무장(武將). 16세기에 직전신장(織田信長)의 뒤를 이어 일본의 전국 통일을 이룩하고, 조선을 침략해 임진왜란을 일으킴.
1536~1598 일본>도산시대ㅣ일본>전국시대 , 일본 , 인명>관인>무신
-
관포(灌圃) - 어득강(魚得江)
조선 연산군(燕山君)~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함종(咸從). 교리(校理)ㆍ대사간(大司諫) 등을 지냈으며, 문명(文名)이 있고 특히 해학(諧謔)에 능함.
1470~1550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진주 , 인명>관인>문신
-
관포당(灌圃堂) - 김언거(金彦琚)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광주(光州). 김정(金禎)의 아들로, 김인후(金麟厚)ㆍ이황(李滉)ㆍ기대승(奇大升) 등과 교우함.
1503~1584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광산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관포당(灌圃堂)@어득강 - 어득강(魚得江)
조선 연산군(燕山君)~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함종(咸從). 교리(校理)ㆍ대사간(大司諫) 등을 지냈으며, 문명(文名)이 있고 특히 해학(諧謔)에 능함.
1470~1550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진주 , 인명>관인>문신
-
관포장인(灌圃丈人) - 어득강(魚得江)
조선 연산군(燕山君)~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함종(咸從). 교리(校理)ㆍ대사간(大司諫) 등을 지냈으며, 문명(文名)이 있고 특히 해학(諧謔)에 능함.
1470~1550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진주 , 인명>관인>문신
-
관필(觀必) - 이만도(李晩燾)
조선 고종(高宗) 때의 문신ㆍ학자ㆍ독립운동가. 을미사변(乙未事變) 때 예안(禮安)에서 의병장으로 활약하였으나, 조선이 일제(日帝)에 의해 병탄(倂呑)되자 단식(斷食)하던 중 순국함.
1842~1910 한국>근대 , 경상도>예안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관하(官河) - 노하(潞河)
중국 북경(北京) 근처의 통주(通州)를 흐르는 강 이름.
중국 , 지명>자연지명
-
관해(觀海) - 임회(林檜)
조선 광해군(光海君)~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평택(平澤). 정철(鄭澈)의 문인이자 사위이며 임길수(林吉秀)의 아들. 광주 목사(廣州牧使) 등을 지냈으나 이괄(李适)의 난 때 경안역(慶安驛) 전투에서 전사함.
1562~1624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평택 , 인명>관인>문신
-
관현(冠縣) - 문경(聞慶)
경상북도 북서부에 위치한 고을 이름. 후삼국의 쟁패기 때 후백제와 후고구려의 각축장이었으며, 임진왜란 이후에 국방상 요새가 되어 여러 산성이 축조됨.
경상도>문경 , 지명>행정지명
-
관현(觀鉉) - 유관현(柳觀鉉)
조선 영조(英祖) 때의 문신. 본관은 전주(全州). 학자 유도원(柳道源)의 생부로, 형조 참의(刑曹參議) 등을 지냄. 외직(外職)에 있을 때 선정을 베풀어 《목민심서(牧民心書)》에 치적이 기록되었으며, 저서로 《양파집(陽坡集)》이 있음.
1692~1764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관형(關荊) - 관동(關仝)
중국 오대십국(五代十國) 때의 화가. 스승인 형호(荊浩)와 함께 새로운 산수 유형을 창안하였으며, 이성(李成)ㆍ범관(范寬)과 함께 삼가산수(三家山水)로 일컬어짐.
890~960 중국>오대십국 , 중국 , 인명>예술인>서화가
-
관화헌(關華軒) - 설정총(薛廷寵)
중국 명(明) 나라의 문신. 1539년(중종 34) 조선에 사신으로 왔으며, 이때 모화관(慕華館) 앞의 영조문(迎詔門)을 영은문(迎恩門)으로 개칭하게 함.
중국>명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관후(寬厚) - 안관후(安寬厚)
조선 세종(世宗)~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순흥(順興). 검참판(檢參判)을 지낸 안경(安璟)의 아들로, 예조 참의(禮曹參議)ㆍ대사간(大司諫)ㆍ경상도 관찰사(慶尙道觀察使)를 지냄. 다섯 형제가 모두 과거에 급제함.
1417~?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영천(榮川) , 인명>관인>문신
-
관후암(觀後庵) - 김뉴(金紐)@1420
조선 세조(世祖)~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 김중엄(金仲淹)의 아들로, 대사헌(大司憲)ㆍ이조 참판(吏曹參判) 등을 역임했으며, 시(詩)ㆍ서(書)ㆍ금(琴)에 모두 뛰어났음.
1420~?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괄(适)@이괄 - 이괄(李适)
조선 광해군(光海君)~인조(仁祖) 때의 무신ㆍ역적. 본관은 고성(固城). 인조 반정(仁祖反正) 때 큰 공을 세웠으나 논공에 대해 불만을 품고 난을 일으킴. 서울을 무혈점령했으나 안현(鞍峴) 싸움에 참패한 뒤 부하에게 죽임을 당함.
1587~1624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고성 , 인명>기타인명>역적ㅣ인명>관인>무신
-
괄(适) - 기괄(奇适)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행주(幸州). 이조 좌랑(吏曹佐郞)을 지낸 기찬(奇襸)의 셋째 아들이자 기묘명현(己卯名賢)의 한 사람인 기준(奇遵)의 형으로, 지평(持平)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고양 , 인명>관인>문신
-
광(㼅) - 이광(李㼅)
조선 후기의 종친. 제25대 철종(哲宗)의 아버지로, 부모ㆍ형ㆍ형수 등의 죄에 연좌되어 강화부(江華府) 교동(喬桐)으로 쫓겨나 빈농으로 삶. 1849년 셋째 아들 덕완군(德完君) 이원범(李元範)이 철종에 등극하자 전계대원군(全溪大院君)에 추봉됨.
?~1844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교동 , 인명>왕실>종친
-
광(光) - 공광(孔光)
중국 한(漢) 나라 때의 문신ㆍ학자. 공자(孔子)의 14대손으로, 경학(經學)에 밝았음.
B.C.65~A.D.5 중국>전한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광(光)@김광 - 김광(金光)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부안(扶安). 군수(郡守) 김익복(金益福)의 아버지로, 창락도 찰방(昌樂道察訪)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부안 , 인명>관인>문신
-
광(光)@사마광 - 사마광(司馬光)
중국 송(宋) 나라 신종(神宗)~철종(哲宗) 때의 문신ㆍ학자. 구법당(舊法黨)의 영수로, 왕안석(王安石) 일파의 신법(新法)을 폐지하고, 《자치통감(資治通鑑)》을 저술함.
1019~1086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광(光)@이광 - 이광(李光)
조선 성종(成宗)~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 본관은 평창(平昌). 이계남(李季男)의 아들로, 연산군 때 불재(佛齋)를 반대하는 상소를 올렸다가 정거(停擧) 처분을 받았으며, 승문원 부정자(承文院副正字) 등을 역임하였으나 젊은 나이에 요절함.
1474~1496 한국>조선전기 , 강원도>평창 , 인명>관인>문신
-
광(匡) - 이광(李匡)
고려 후기의 문신. 본관은 연안(延安). 판도판서(版圖判書)를 지낸 이효신(李孝臣)의 아들로, 사복시 정(司僕寺正) 등을 지냄.
한국>고려후기 , 황해도>연안 , 인명>관인>문신
-
광(廣)@변광 - 변광(邊廣)
조선 중종(中宗) 때의 유학. 영주(榮州)에서 안동(安東)으로 이거(移居)한 원주변씨(原州邊氏)의 입향조(入鄕祖). 충무위 부사직(忠武衛副司直) 변희예(邊希乂)의 아들로, 1513년(중종 8) 생원시(生員試)에 입격함.
1493~1555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영천(榮川)ㅣ경상도>안동 , 인명>문사>유학
-
광(廣) - 정광(程廣)
고려 말~조선 초의 문신ㆍ학자. 본래 중국 사람으로, 정이(程頤)의 후손. 공민왕(恭愍王) 때 전중판시사(殿中判寺事)를 지냈고, 정몽주(鄭夢周)ㆍ길재(吉再) 등과 교유하며 도학을 연구함. 고려가 망할 것을 예견하고 경기도 광주(廣州)에 낙향하여 은거함.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기도>광주ㅣ경기도>개성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광(礦) - 허광(許礦)
조선 연산군(燕山君)~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양천(陽川). 우의정(右議政)을 지낸 허종(許琮)의 아들로, 정국공신(靖國功臣)에 책록되었고 강릉 부사(江陵府使) 등을 지냈음.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양천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광객(狂客) - 하지장(賀知章)
중국 당(唐) 현종(玄宗) 때의 시인ㆍ문신. 비서감(秘書監) 등을 역임하였으며, 문사(文辭)에 능하고 특히 초서(草書)를 잘 썼음. 성격이 호탕하고 음주를 좋아하여 이백(李白)과 친하게 지냈으며, 만년에 도사(道士)가 되어 고향으로 돌아감.
659~744 중국>당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광거(廣居) - 송녕(宋寧)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여산(礪山). 사옹원 참봉(司饔院參奉) 송지정(宋之楨)의 아들이며, 이암(頤庵) 송인(宋寅)의 사촌 동생. 평강 현감(平康縣監)ㆍ안성 군수(安城郡守)ㆍ광주 목사(廣州牧使)를 지냄.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광계(光啓) - 윤광계(尹光啓)
조선 명종(明宗)~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본관은 해남(海南)으로, 윤화중(尹和中)의 아들이고, 조헌(趙憲)의 문인(門人). 공조 좌랑(工曹佐郞) 등을 지내고, 저서로 《귤옥집(橘屋集)》이 있음.
1559~?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낙안 , 인명>관인>문신
-
광고(光考) - 광종(光宗)@고려
고려 제4대 왕. 재위 949~975. 태조 왕건(王建)의 넷째 아들. 형인 정종(定宗)의 선위(禪位)를 받아 즉위한 뒤 영명(英明)한 통치로 훈신(勳臣)ㆍ장상(將相) 등을 숙청하고 노비안검법(奴婢按檢法), 과거제도의 시행, 국방의 강화 등 많은 치적을 쌓음.
925~975 한국>고려전기 , 경기도>개성 , 인명>왕실>국왕
-
광국(光國) - 하광국(河光國)
조선 후기의 유학. 본관은 진주(晉州). 광해군(光海君)~현종(顯宗) 때의 학자인 하홍도(河弘度)의 아버지.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진주 , 인명>문사>유학
-
광국(匡國) - 이광국(李匡國)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광주(廣州). 이상안(李尙安)의 아버지로, 연산 현감(連山縣監)ㆍ예빈시 별좌(禮賓寺別坐) 등을 지냄.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광주 , 인명>관인>문신
-
광국(廣國) - 두광국(竇廣國)
중국 한(漢) 문제(文帝)~경제(景帝) 때의 외척. 문제(文帝)의 황후의 아우이자, 경제(景帝)의 외삼촌으로, 문제는 장안(長安)에 거처케 하며 벼슬을 주지 않았으나, 경제는 장무후(章武侯)에 봉해 줌.
?~B.C.151 중국>전한 , 중국 , 인명>왕실>인척
-
광기(廣器) - 창원군(昌原君)
조선 제7대 세조(世祖)의 두 번째 서자. 근빈(謹嬪) 박씨(朴氏)의 소생으로, 성격이 방탕(放蕩)하고 난폭하여 여러 차례 국문(鞫問)을 당함.
1457~1484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왕자
-
광기(廣記) - 태평광기(太平廣記)
중국 송(宋) 나라 때 이방(李昉) 등이 칙명(勅命)으로 편찬한 중국 역대 설화집(說話集). 500권. 한(漢) 나라에서 북송(北宋) 초기까지의 소설류를 담고 있음.
978 중국>송 , 중국 , 문헌>서명
-
광김(光金) - 광산김씨(光山金氏)
신라 신무왕(神武王)의 셋째 아들 김흥광(金興光)을 시조로 하는 성씨. 고려 때 8명의 평장사(平章事), 조선 때 7명의 대제학(大提學)을 배출하는 등 많은 인물을 배출함.
한국>통일신라 , 전라도>광산 , 인명>집단>성씨
-
광남(光南) - 김익훈(金益勳)
조선 인조(仁祖)~숙종(肅宗) 때의 문신. 본관은 광산(光山)으로, 사계(沙溪) 김장생(金長生)의 손자. 김석주(金錫胄)와 함께 경신환국(庚申換局)을 일으켜 남인(南人)을 숙청하고 정권을 주도했으나, 기사환국(己巳換局)으로 추국(推鞫)을 당하던 중 장살(杖殺)됨.
1619~1689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광남군(光南君) - 김익훈(金益勳)
조선 인조(仁祖)~숙종(肅宗) 때의 문신. 본관은 광산(光山)으로, 사계(沙溪) 김장생(金長生)의 손자. 김석주(金錫胄)와 함께 경신환국(庚申換局)을 일으켜 남인(南人)을 숙청하고 정권을 주도했으나, 기사환국(己巳換局)으로 추국(推鞫)을 당하던 중 장살(杖殺)됨.
1619~1689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광남도(光南道) - 전라도(全羅道)
전라북도와 전라남도를 합하여 부르는 도(道) 이름. 전주(全州)와 나주(羅州)의 머리글자를 합하여 만든 합성 지명으로, 고려 현종(顯宗) 때의 전라주도(全羅州道)에서 비롯됨. 본래 마한(馬韓)의 땅으로 백제의 영역이었으나, 백제 멸망 후 당(唐) 나라의 관할 하에 있다가 신라에 귀속됨.
전라도 , 지명>행정지명
-
광노(狂奴) - 엄광(嚴光)
중국 후한(後漢) 광무제(光武帝) 때의 은자. 벗으로 지내던 광무제가 왕이 된 뒤 간의대부(諫議大夫)로 불렀으나 나가지 않고 부춘산(富春山)에 들어가 양가죽으로 만든 갖옷을 입고 은둔하였다 함.
중국>후한 , 중국 , 인명>기타인명>은자
-
광렬(匡烈) - 최우(崔瑀)
고려 무신정권기의 무신. 최충헌(崔忠獻)의 아들로, 아버지의 사후 집권하여 전대(前代)의 부패를 없애기 위해 노력하고 이름난 유학자를 등용하였으며, 몽고의 침입에 대비하여 강화(江華)로 천도(遷都)함. 만년에 횡포와 사치가 심해져 백성들의 원망을 샀음.
?~1249 한국>고려후기 , 황해도>우봉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무신
-
광령(光齡) - 윤광령(尹光齡)
조선 연산군(燕山君)~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파평(坡平). 형조 정랑(刑曹正郞)을 지내다가 기묘사화(己卯士禍)에 연루되어 비인(庇仁)으로 유배되었으며, 서용된 후 임천 군수(林川郡守)와 부정(副正) 등을 지냄.
1492~1574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광로(光輅)@이광로 - 이광로(李光輅)
조선 중종(中宗) 때의 유학. 본관은 여주(驪州)로, 좌부승지(左副承旨)를 지낸 이광진(李光軫)의 형. 1531년(중종 26) 진사시(進士試)에 입격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밀양 , 인명>문사>유학
-
광로(光輅) - 김광로(金光輅)
고려 충숙왕(忠肅王) 때의 문신. 본관은 광산(光山). 문정공(文正公) 김태현(金台鉉)의 아들로, 1317년(충숙왕 5)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가안부 녹사(嘉安府錄事)를 지냈으나, 젊은 나이에 요절함.
한국>고려후기 , 전라도>광산 , 인명>관인>문신
-
광록(光祿) - 양웅(揚雄)
중국 전한(前漢) 말의 학자ㆍ문인. 사마상여(司馬相如)의 작품을 통하여 배운 문장력을 인정받아, 성제(成帝) 때 궁정문인의 한 사람이 됨.
B.C.53~A.D.18 중국>전한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문사>문인
-
광록(光祿)@왕원 - 왕원(王遠)
중국 한(漢) 나라 환제(桓帝) 때의 선인(仙人). 그가 채경(蔡經)의 집에 내려와 선녀 마고(麻姑)를 불러왔는데, 마고가 그를 섬긴 이래 동해가 세 번 뽕밭으로 변하는 천지의 변화가 있었다고 설명한 데서 상전벽해(桑田碧海)라는 말이 유래됨.
중국>후한 , 중국 , 인명>기타인명>도사
-
광록(匡祿) - 이광록(李匡祿)
조선 후기의 무신. 본관은 광주(廣州). 이상안(李尙安)의 생부로, 충의위(忠義衛) 등을 지냄.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광주 , 인명>관인>무신
-
광뢰(廣瀨) - 이야순(李野淳)
조선 정조正祖)~순조(純祖) 때의 학자. 본관은 진보(眞寶). 이상정(李象靖)ㆍ김종덕(金宗德)의 문하에서 이황(李滉)의 성리학을 전습(傳習)하였으며, 특히 예학(禮學)에 조예가 깊었음.
1755~1831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진보 , 인명>문사>학자
-
광룡(光龍) - 김종려(金宗麗)
조선 전기의 유학. 이조 참판(吏曹參判)을 지낸 유희춘(柳希春)의 서녀와 결혼하였음.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유학
-
광륙(廣陸) - 광주(廣州)
경기도 중앙에 있는 고을 이름. 삼국시대(三國時代) 때 각국의 주요 쟁탈지 중의 하나.
경기도>광주 , 지명>행정지명
-
광릉(光陵)@목종 - 목종(穆宗)@당
중국 당(唐) 나라 제12대 황제. 재위 821~824. 헌종(憲宗)의 셋째 아들. 재임 중에 연회와 외유를 일삼아 우이당쟁(牛李黨爭)이 일어나고, 번진(藩鎭)의 반란과 토번(吐藩)과의 무리한 대결로 인해 국고가 탕진되자 결국 자살함.
795~824 중국>당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광릉(光陵) - 세조(世祖)@조선
조선 제7대 왕. 재위 1455~1468. 세종(世宗)의 둘째 아들이며, 문종(文宗)의 아우. 계유정난(癸酉靖難)을 통해 집권한 후 국방ㆍ외교ㆍ경제ㆍ문화 등 여러 방면의 개혁을 추진함.
1417~1468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국왕
-
광릉(光陵)@이극배 - 이극배(李克培)
조선 세종(世宗)~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 본관은 광주(廣州). 이인손(李仁孫)의 아들로, 세조(世祖)와 성종(成宗)의 즉위에 공을 세워 좌익공신(佐翼功臣) 및 좌리공신(佐理功臣)에 책록되었으며, 우의정을 거쳐 영의정에 임명되자 노병으로 사양함.
1422~1495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광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광릉(廣陵) - 광주(廣州)
경기도 중앙에 있는 고을 이름. 삼국시대(三國時代) 때 각국의 주요 쟁탈지 중의 하나.
경기도>광주 , 지명>행정지명
-
광릉공(廣陵公) - 왕면(王沔)
고려 후기의 종친. 문종(文宗)의 아들인 조선후(朝鮮侯) 왕도(王燾)의 증손. 글씨와 문장에 뛰어났으며 의술에도 정통했음.
?~1218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개성 , 인명>왕실>종친
-
광릉군(光陵君) - 이극배(李克培)
조선 세종(世宗)~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 본관은 광주(廣州). 이인손(李仁孫)의 아들로, 세조(世祖)와 성종(成宗)의 즉위에 공을 세워 좌익공신(佐翼功臣) 및 좌리공신(佐理功臣)에 책록되었으며, 우의정을 거쳐 영의정에 임명되자 노병으로 사양함.
1422~1495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광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광릉부원군(光陵府院君) - 이극배(李克培)
조선 세종(世宗)~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 본관은 광주(廣州). 이인손(李仁孫)의 아들로, 세조(世祖)와 성종(成宗)의 즉위에 공을 세워 좌익공신(佐翼功臣) 및 좌리공신(佐理功臣)에 책록되었으며, 우의정을 거쳐 영의정에 임명되자 노병으로 사양함.
1422~1495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광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광릉부정(廣陵副正) - 이기(李麒)
조선 후기의 종친. 형조 참판(刑曹參判) 박민헌(朴民獻)의 서녀(庶女)를 첩으로 맞이함.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광릉안씨(廣陵安氏) - 광주안씨(廣州安氏)
고려 태조(太祖) 때 대장군(大將軍)이 되어 광주군(廣州君)에 봉해진 안방걸(安邦傑)을 시조로 하는 성씨.
한국>고려전기 , 경기도>광주 , 인명>집단>성씨
-
광릉왕(廣陵王) - 유형(劉荊)
중국 후한(後漢) 광무제(光武帝)의 아들. 재능은 있으나 성질이 음험하여 명제(明帝) 때 동해왕(東海王)을 무고하고, 역모 사건을 일으켰다가 후에 자살함.
중국>후한 , 중국 , 인명>왕실>왕자
-
광릉이씨(廣陵李氏) - 광주이씨(廣州李氏)
신라 내물마립간(奈勿麻立干) 때 내사령(內史令)을 지낸 이자성(李自成)을 시조로 하는 성씨.
한국>신라 , 경기도>광주 , 인명>집단>성씨
-
광릉진(廣陵津) - 광진(廣津)
조선시대 경기도 양주(楊州) 67리 지점인 한강변에 설치된 나루. 서울과 강남을 연결하는 교통의 요지로, 경관이 수려해 문인들이 즐겨 찾음. 현재는 서울시 광진구에 속함.
경기도>양주 , 지명>자연지명
-
광릉후(廣陵侯) - 왕면(王沔)
고려 후기의 종친. 문종(文宗)의 아들인 조선후(朝鮮侯) 왕도(王燾)의 증손. 글씨와 문장에 뛰어났으며 의술에도 정통했음.
?~1218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개성 , 인명>왕실>종친
-
광리(廣利) - 이광리(李廣利)
중국 전한(前漢) 때의 무신. 무제(武帝)의 총희(寵姬)인 이연(李妍)의 오빠로, 무제 때 이사장군(貳師將軍)이 되어 4년에 걸쳐 대완(大宛)을 격파하고 많은 양마(良馬)를 얻어 돌아왔으나, 그 후 흉노(匈奴)와의 전투에서 패하여 살해됨.
?~B.C.88 중국>전한 , 중국 , 인명>관인>무신
-
광리(廣李) - 광주이씨(廣州李氏)
신라 내물마립간(奈勿麻立干) 때 내사령(內史令)을 지낸 이자성(李自成)을 시조로 하는 성씨.
한국>신라 , 경기도>광주 , 인명>집단>성씨
-
광림(廣臨) - 조광림(趙廣臨)
조선 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한양(漢陽)으로, 금산 군수(金山郡守)를 지낸 조훈(趙勛)의 아들. 김일손(金馹孫)과 함께 동방급제(同榜及第)하고, 봉상시 봉사(奉常寺奉事)를 지냄.
1463~1494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광림군(廣林君) - 이정립(李廷立)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이이(李珥)ㆍ성혼(成渾)의 문인으로 기축옥사(己丑獄死)를 다스린 공으로 평난공신(平難功臣)이 되었고, 병조 참판(兵曹參判)ㆍ대사성(大司成) 등을 역임함.
1556~1595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광주 , 인명>관인>문신
-
광명산(光明山) - 속리산(俗離山)
충청도 보은(報恩)ㆍ괴산(槐山), 경상도 상주(尙州)의 경계에 있는 산 이름.
충청도>보은ㅣ경상도>상주 , 지명>자연지명
-
광묘(光廟)@광종 - 광종(光宗)@고려
고려 제4대 왕. 재위 949~975. 태조 왕건(王建)의 넷째 아들. 형인 정종(定宗)의 선위(禪位)를 받아 즉위한 뒤 영명(英明)한 통치로 훈신(勳臣)ㆍ장상(將相) 등을 숙청하고 노비안검법(奴婢按檢法), 과거제도의 시행, 국방의 강화 등 많은 치적을 쌓음.
925~975 한국>고려전기 , 경기도>개성 , 인명>왕실>국왕
-
광묘(光廟) - 세조(世祖)@조선
조선 제7대 왕. 재위 1455~1468. 세종(世宗)의 둘째 아들이며, 문종(文宗)의 아우. 계유정난(癸酉靖難)을 통해 집권한 후 국방ㆍ외교ㆍ경제ㆍ문화 등 여러 방면의 개혁을 추진함.
1417~1468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국왕
-
광무(光武) - 광무제(光武帝)
중국 후한(後漢)의 초대 황제. 재위 25~57. 신(新) 나라 왕망(王莽)의 군대를 격파하고 후한을 세움. 왕망의 가혹하였던 정치를 폐지하고 전조(田租)를 인하하는 등 통일국가의 기초를 다졌으며, 후한의 특색이 되는 예교주의(禮敎主義)의 기초를 다짐.
B.C.6~A.D.57 중국>후한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광무(光茂) - 탁광무(卓光茂)
고려 충혜왕(忠惠王)~공민왕(恭愍王) 때의 문신. 본관은 광산(光山). 집현전 대제학(集賢殿大提學)을 지낸 탁문위(卓文位)의 맏아들로, 충혜왕 때 사마시(司馬試)에 입격하였으며, 예의 판서(禮儀判書) 등을 지냄.
1330~1410 한국>고려후기 , 전라도>광산 , 인명>관인>문신
-
광무군(廣武君) - 이좌거(李左車)
중국 진(秦)~전한(前漢) 때의 무신. 조(趙) 나라의 명장 이목(李牧)의 손자. 조왕(趙王) 갈(曷)을 보좌하여 광무군(廣武君)이 되었으나, 한(漢) 나라의 한신(韓信)이 그를 스승으로 섬겨 그의 계책으로 연(燕)ㆍ제(齊)를 굴복시킴.
중국>전한ㅣ중국>진 , 중국 , 인명>관인>무신
-
광무후(光武后) - 광렬음황후(光烈陰皇后)
중국 후한(後漢) 제1대 황제인 광무제(光武帝)의 황후. 41년에 황후로 봉해지고, 아들로 명제(明帝)가 된 유장(劉莊), 동평왕(東平王) 유창(劉蒼), 광릉왕(廣陵王) 유형(劉荊), 임준공(臨淮公) 유형(劉衡), 낭야왕(琅邪王) 유경(劉京)이 있음.
4~64 중국>후한 , 중국 , 인명>왕실>왕비
-
광문(光門) - 심광문(沈光門)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청송(靑松). 안성 군수(安城郡守)를 지낸 심빈(沈濱)의 아들이며, 형조 판서(刑曹判書)를 지낸 심광언(沈光彦)의 형. 장흥고 영(長興庫令)ㆍ안악 군수(安岳郡守) 등을 지냄.
1476~1529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청송 , 인명>관인>문신
-
광문(廣文)@양희윤 - 양희윤(梁希尹)
조선 후기의 유학. 황정욱(黃廷彧)ㆍ홍성민(洪聖民)과 교유함.
한국>조선후기 , 인명>문사>유학
-
광문(廣文)@정건 - 정건(鄭虔)
중국 당(唐) 나라 현종(玄宗) 때의 문신ㆍ문인. 두보(杜甫)의 벗으로 시(詩)ㆍ서(書)ㆍ화(畫)의 삼예(三藝)에 능하여 정건삼절(鄭虔三絶)로 일컬어짐. 현종이 그를 위해 광문관(廣文館)을 설치하고 박사(博士)로 임명함.
중국>당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