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광문(廣文)@심의 - 심의(沈義)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풍산(豊山). 풍산군(豊山君) 심응(沈膺)의 아들이고, 좌의정을 지낸 심정(沈貞)의 동생. 서경덕(徐敬德)ㆍ성세창(成世昌) 등과 깊이 교유함.
1475~?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광문(廣文) - 문명개(文命凱)
조선 명종(明宗) 때의 문신. 퇴계(退溪) 이황(李滉)의 문인. 시문에 뛰어나며, 《성극재시고(省克齋詩稿)》를 저술함.
한국>조선전기 , 인명>관인>문신
-
광문숙무효고황제(光文肅武孝高皇帝) - 열조(烈祖)
중국 오대십국(五代十國) 남당(南唐)의 초대 황제. 재위 937~943. 오(吳) 나라 효무제(孝武帝) 때의 실권자였던 서온(徐溫)의 양자로, 예제(睿帝)를 몰아내고 양위 받아 황제로 즉위함. 화북(華北)의 오대(五代) 왕조에 대해서도 대등함을 주장함.
888~943 중국>오대십국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광범(光範) - 김광범(金光範)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상주(尙州). 김익돈(金益敦)의 아버지로, 생원시(生員試)에 입격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상주 , 인명>문사>유학
-
광보(光寶) - 이거(李璖)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예안(禮安). 1536년(중종 31) 별시(別試)에 급제하여, 광주 목사(光州牧使)ㆍ의정부 사인(議政府舍人) 등을 역임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예안 , 인명>관인>문신
-
광보(光甫) - 권황(權煌)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 군기시 주부(軍器寺主簿)를 지낸 권현(權鉉)의 아들로, 광주 목사(廣州牧使) 등을 지냄.
1502~1566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광보(光輔) - 이광보(李光輔)
고려 후기의 문신. 판사(判事)를 역임하였으며, 이색(李穡)과 교유함.
한국>고려후기 , 인명>관인>문신
-
광보(光輔)@정광보 - 정광보(鄭光輔)
조선 전기의 유학. 김효원(金孝元)의 《성암유고(省菴遺稿)》에 그와 관련된 내용이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유학
-
광보(廣輔) - 조광보(趙廣輔)
조선 연산군(燕山君)~중종(中宗) 때의 유학. 본관은 한양(漢陽)으로, 금산 군수(金山郡守)를 지낸 조훈(趙勛)의 아들. 중종 때 박원종(朴元宗) 등을 모해하였다는 죄목으로 국문을 받았으나, 당시의 폐단에 대해 거침없이 직언(直言)함.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문사>유학
-
광복(匡復) - 김광복(金匡復)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상주(尙州). 전라 도사(全羅都事)를 지내다 기묘사화(己卯士禍)로 좌천되었고 경성 교수(鏡城敎授)가 되었다가 병사(病死)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상주 , 인명>관인>문신
-
광복군(廣福君) - 권종정(權宗頂)
고려 충선왕(忠宣王)~충혜왕(忠惠王)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으로, 영가부원군(永嘉府院君) 권보(權溥)의 아들.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광부(光富) - 이광부(李光富)
고려 후기의 문신. 본관은 양성(陽城)으로, 첨의평리(僉議評理)를 지낸 이나해(李那海)의 아들. 1371(공민왕 20) 신돈(辛旽)의 당으로 지목되어 형제인 이춘부(李春富)ㆍ이원부(李元富)와 함께 유배를 감.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양성 , 인명>관인>문신
-
광부(匡阜) - 광산(匡山)
중국 사천성(四川省)에 있는 산 이름. 이백(李白)이 이곳에서 머리가 희어지도록 글을 읽었다고 함.
중국 , 지명>자연지명
-
광부(廣夫) - 서호(徐皡)
조선 문종(文宗)~단종(端宗) 때의 문신. 김자수(金自粹)의 문인(門人)으로, 박흥생(朴興生)ㆍ박연(朴堧) 등과 교유하였으며, 문종 때 등용되어 단종 때 충청도 경차관(忠淸道敬差官)이 되었으나, 왕위가 찬탈당하자 향리에 은거함.
?~1458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공주 , 인명>관인>문신
-
광사(匡事) - 명의태후(明懿太后)
고려 제15대 숙종(肅宗)의 비(妃). 본관은 정주(貞州). 문하시랑 평장사(門下侍郞平章事) 유홍(柳洪)의 딸로, 예종(睿宗)을 비롯하여 7남 4녀를 낳음.
?~1112 한국>고려전기 , 경기도>개성 , 인명>왕실>왕비
-
광사(匡師) - 이광사(李匡師)
조선 영조(英祖)~정조(正祖) 때의 학자ㆍ서예가. 본관은 진주(全州)로, 이긍익(李肯翊)의 아버지. 정제두(鄭齊斗)의 문인으로, 양명학(陽明學)에 조예가 깊었으나 당쟁에 휘말려 유배지에서 죽음. 서예에 뛰어나 원교체(圓嶠體)를 확립하고 후세에 많은 영향을 끼침.
1705~1777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강화ㅣ서울 , 인명>예술인>서화가ㅣ인명>관인>문신
-
광산(光山) - 광주(光州)
전라남도 중북부에 있는 고을 이름. 호남지방의 행정ㆍ군사ㆍ경제ㆍ사회ㆍ문화의 중심지.
전라도>광산 , 지명>행정지명
-
광산(匡山)@여산 - 여산(廬山)@중국
중국 강서성(江西省) 북부, 파양호(鄱陽湖) 북서쪽 기슭에 있는 산. 주희(朱熹)가 짓고 강학했던 백록동서원(白鹿洞書院)이 있는 곳이며, 불교에 관한 고적(古蹟)이 많음.
중국 , 지명>자연지명
-
광산군(光山君)@안원형 - 안원형(安元衡)
고려 충혜왕(忠惠王) 때의 문신. 본관은 죽산(竹山). 1341년(충혜왕 후2)에 급제하여 밀직사사(密直司事)ㆍ문하시중(門下侍中)을 지냄.
1318~? 한국>고려후기 , 전라도>광산 , 인명>관인>문신
-
광산군(光山君)@김국광 - 김국광(金國光)
조선 세종(世宗)~성종(成宗) 때의 문신. 세조(世祖)의 두터운 신임을 얻어 《경국대전(經國大典)》 편찬에 참여하고, 성종 때 좌리공신(佐理功臣)으로 광산부원군(光山府院君)에 봉해짐.
1415~1480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광산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광산군(光山君) - 김약항(金若恒)
고려 공민왕(恭愍王)~조선 태조(太祖) 때의 문신. 명 나라에 보낸 표전(表箋)으로 인해 명 나라에 불려가 억류되었으며, 후에 다른 일로 양자강(揚子江)으로 귀양가 사망함.
?~1397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전라도>광산 , 인명>관인>문신
-
광산군(光山君)@김정 - 김정(金鼎)
고려 공민왕(恭愍王) 때의 문신. 본관은 광산(光山). 양광전라 찰방사(楊廣全羅察訪使)를 지냈으며, 추성보리공신(推誠輔理功臣) 광성군(光城君)에 봉해졌음.
한국>고려후기 , 전라도>광산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광산군(光山君)@김겸광 - 김겸광(金謙光)
조선 단종(端宗)~성종(成宗) 때의 문신. 김철산(金鐵山)의 아들. 예조 판서와 좌참찬(左參贊)을 지냄. 평안도 관찰사(觀察使)와 절도사(節度使)를 지내면서 세조(世祖)의 국방정책에 기여한 바가 컸음.
1419~1490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광산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광산군(光山君)@탁지엽 - 탁지엽(卓之葉)
고려 선종(宣宗) 때의 문신. 광산탁씨(光山卓氏)의 시조로, 선종 때 학업(學業)과 경술(經術)로 천거되어 태사(太師) 등을 지내고, 광산군(光山君)에 봉해짐.
한국>고려전기 , 전라도>광산 , 인명>관인>문신
-
광산군(廣山君) - 이몽량(李夢亮)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경주(慶州]). 명종 때 위사공신(衛社功臣)에 책록되고, 대사간(大司諫)으로서 학문에 의거한 도학(道學) 정치를 제창하였으며, 우참찬(右參贊) 등을 역임함.
1499~1564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경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광산군(廣山君)@이윤경 - 이윤경(李潤慶)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광주(廣州). 명종 때 대윤(大尹) 세력을 제거하는 데 가담하여 보익공신(保翼功臣)에 책록되었고, 을묘왜변(乙卯倭變) 때 완산 부윤(完山府尹)으로서 왜구를 방어하였으며, 병조 판서 등을 역임함.
1498~1562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광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광산노씨(光山盧氏) - 광주노씨(光州盧氏)
중국 당(唐) 나라 때의 한림학사(翰林學士) 노수(盧穗)를 도시조(都始祖)로 삼고, 고려 초에 광산백(光山伯)에 봉해진 그의 맏아들 노해(盧垓)를 득관조(得貫祖)로 하는 성씨.
한국>고려전기 , 전라도>광산 , 인명>집단>성씨
-
광산백(光山伯) - 노해(盧垓)
고려 전기의 문신. 본관은 광주(光州). 한림학사(翰林學士) 도시조(都始祖) 노수(盧穗)의 첫째 아들로, 광산백(光山伯)에 봉해짐. 광주노씨(光州盧氏)의 득관조(得貫祖)ㆍ시조(始祖).
한국>고려전기 , 전라도>광산 , 인명>관인>문신
-
광산부원군(光山府院君)@김국광 - 김국광(金國光)
조선 세종(世宗)~성종(成宗) 때의 문신. 세조(世祖)의 두터운 신임을 얻어 《경국대전(經國大典)》 편찬에 참여하고, 성종 때 좌리공신(佐理功臣)으로 광산부원군(光山府院君)에 봉해짐.
1415~1480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광산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광산부원군(光山府院君)@김흥광 - 김흥광(金興光)
신라의 왕자. 헌강왕(憲康王) 또는 신무왕(神武王)의 아들이라고 함. 신라의 비운을 예견하여 무주(武州)에 은거하였으며, 광산김씨(光山金氏)의 시조가 됨.
한국>고려전기ㅣ한국>통일신라 , 전라도>광산 , 인명>기타인명>은자ㅣ인명>왕실>왕자
-
광산부원군(光山府院君) - 김맹권(金孟權)
조선 세종(世宗) 때의 학자. 본관은 광산(光山). 집현전 학사(集賢殿學士)가 되어 세종의 신임을 받아 왕세손(王世孫)의 보필을 부탁받았으나, 수양대군(首陽大君)이 왕위를 찬탈하자 고향으로 돌아감.
?~1500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보령 , 인명>문사>학자
-
광산수(光山守) - 이효윤(李孝胤)
조선 후기의 종친. 성종(成宗)의 아들인 익양군(益陽君) 이회(李懷)의 증손이며, 청원도정(靑原都正) 이간(李侃)의 장자(長子).
1554~1612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광산이씨(廣山李氏) - 광주이씨(廣州李氏)
신라 내물마립간(奈勿麻立干) 때 내사령(內史令)을 지낸 이자성(李自成)을 시조로 하는 성씨.
한국>신라 , 경기도>광주 , 인명>집단>성씨
-
광산정씨(光山鄭氏) - 광주정씨(光州鄭氏)
고려 충숙왕(忠肅王) 때 봉은사(奉恩寺)의 진전직(眞殿直)을 지낸 정신호(鄭臣扈)를 시조로 하는 성씨.
한국>고려후기 , 전라도>광산 , 인명>집단>성씨
-
광서(光叙) - 김광서(金光叙)
고려 후기의 문신. 본관은 부령(扶寧). 평장사(平章事)를 지낸 김구(金坵)의 현손으로, 지고부군사(知古阜郡事)를 지냄.
한국>고려후기 , 전라도>부안 , 인명>관인>문신
-
광서(光瑞) - 문광서(文光瑞)
조선 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강성(江城). 문선동(文善仝)의 아들로, 문화 현령(文化縣令)을 지냈음.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단성 , 인명>관인>문신
-
광선(光先) - 유광선(柳光先)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선산(善山). 미암(眉巖) 유희춘(柳希春)의 손자이며 유경렴(柳景濂)의 아들로, 김장(金鏘)의 딸과 혼인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선산 , 인명>문사>유학
-
광선(廣宣) - 원성왕후(元成王后)
고려 제8대 현종(顯宗)의 제3비. 본관은 안산(安山). 김은부(金殷傅)의 딸로, 두 동생과 함께 모두 현종의 비가 됨. 덕종(德宗)ㆍ정종(靖宗) 두 아들과 인평왕후(仁平王后)ㆍ경숙공주(景肅公主) 등을 낳음.
?~1028 한국>고려전기 , 경기도>개성 , 인명>왕실>왕비
-
광섭(光涉) - 신광섭(申光涉)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평산(平山). 옥계(玉溪) 노진(盧禛)의 문인인 신명수(申蓂秀)의 아버지로, 참봉(參奉)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공주 , 인명>관인>문신
-
광성(光城)@김익훈 - 김익훈(金益勳)
조선 인조(仁祖)~숙종(肅宗) 때의 문신. 본관은 광산(光山)으로, 사계(沙溪) 김장생(金長生)의 손자. 김석주(金錫胄)와 함께 경신환국(庚申換局)을 일으켜 남인(南人)을 숙청하고 정권을 주도했으나, 기사환국(己巳換局)으로 추국(推鞫)을 당하던 중 장살(杖殺)됨.
1619~1689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광성(光城) - 광주(光州)
전라남도 중북부에 있는 고을 이름. 호남지방의 행정ㆍ군사ㆍ경제ㆍ사회ㆍ문화의 중심지.
전라도>광산 , 지명>행정지명
-
광성(匡城) - 경흥(慶興)
함경도 북동부에 있는 고을 이름. 고구려ㆍ발해의 땅이었으나, 북방민족이 거주하다 고려 말기에 복속시켜 공주(孔州)가 됨. 목조(穆祖)가 처음으로 터전을 마련한 곳이며, 두만강에 인접한 국경 도시로서 예로부터 국방의 요충지임.
함경도>경흥 , 지명>행정지명
-
광성(廣城) - 광주(廣州)
경기도 중앙에 있는 고을 이름. 삼국시대(三國時代) 때 각국의 주요 쟁탈지 중의 하나.
경기도>광주 , 지명>행정지명
-
광성군(光城君)@김극성 - 김극성(金克成)
조선 연산군(燕山君)~중종(中宗) 때의 문신ㆍ문인. 집현전 학사(集賢殿學士) 김맹권(金孟權)의 아들. 세 번이나 예조 판서(禮曹判書)를 지낼 만큼 학문에 뛰어났으며, 김안로(金安老)의 실각 이후 우의정(右議政)에 오름.
1474~1540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보령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광성군(光城君)@김겸광 - 김겸광(金謙光)
조선 단종(端宗)~성종(成宗) 때의 문신. 김철산(金鐵山)의 아들. 예조 판서와 좌참찬(左參贊)을 지냄. 평안도 관찰사(觀察使)와 절도사(節度使)를 지내면서 세조(世祖)의 국방정책에 기여한 바가 컸음.
1419~1490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광산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광성군(光城君)@김혁 - 김혁(金革)
조선 세종(世宗)~세조(世祖) 때의 문신. 본관은 광산(光山). 김백겸(金伯謙)의 아버지로, 행 통정대부(行通政大夫) 중화군 지사(中和郡知事) 등을 역임함.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광산 , 인명>관인>문신
-
광성군(光城君) - 김정(金鼎)
고려 공민왕(恭愍王) 때의 문신. 본관은 광산(光山). 양광전라 찰방사(楊廣全羅察訪使)를 지냈으며, 추성보리공신(推誠輔理功臣) 광성군(光城君)에 봉해졌음.
한국>고려후기 , 전라도>광산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광성군(光城君)@탁원광 - 탁원광(卓元光)
고려 선종(宣宗)~인종(仁宗) 때의 문신ㆍ부마. 보문각 대제학(寶文閣大提學) 탁도민(卓道敏)의 맏아들로, 참지정사(參知政事) 등을 역임하였으며, 선종(宣宗)의 딸과 혼인함.
한국>고려전기 , 전라도>광산 , 인명>관인>문신ㅣ인명>왕실>인척
-
광성군(廣城君) - 이극감(李克堪)
조선 세종(世宗)~세조(世祖) 때의 문신. 본관은 광주(廣州). 이인손(李仁孫)의 아들로, 세조 즉위에 공을 세워 좌익공신(佐翼功臣)에 책록되고, 형조 판서 등을 지냄. 신숙주(申叔舟)와 함께 《국조보감(國朝寶鑑)》ㆍ《북정록(北征錄)》 등을 편찬함.
1427~1465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광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광성군(廣成君) - 안정복(安鼎福)
조선 영조(英祖)~정조(正祖)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광주(廣州). 이익(李瀷)의 문인으로, 실학(實學)을 연구하여 역사지리학(歷史地理學)을 세밀히 고증한 《동사강목(東史綱目)》을 저술함.
1712~1791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제천ㅣ경기도>광주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광성부원군(光城府院君)@김만기 - 김만기(金萬基)
조선 효종(孝宗)~숙종(肅宗) 때의 문신. 본관은 광산(光山). 숙종의 국구(國舅)로, 김만중(金萬重)의 형이며 송시열(宋時烈)의 문인. 영돈녕부사(領敦寧府事)를 지내고, 광성부원군(光城府院君)에 봉해짐.
1633~1687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ㅣ인명>왕실>인척
-
광성부원군(光城府院君)@김극성 - 김극성(金克成)
조선 연산군(燕山君)~중종(中宗) 때의 문신ㆍ문인. 집현전 학사(集賢殿學士) 김맹권(金孟權)의 아들. 세 번이나 예조 판서(禮曹判書)를 지낼 만큼 학문에 뛰어났으며, 김안로(金安老)의 실각 이후 우의정(右議政)에 오름.
1474~1540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보령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광성부원군(光城府院君) - 김철산(金鐵山)
조선 태종(太宗)~세조(世祖) 때의 문신. 본관은 광주(光州). 김문(金問)의 아들로, 사헌부 감찰(司憲府監察)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광산 , 인명>관인>문신
-
광성이씨(廣城李氏) - 광주이씨(廣州李氏)
신라 내물마립간(奈勿麻立干) 때 내사령(內史令)을 지낸 이자성(李自成)을 시조로 하는 성씨.
한국>신라 , 경기도>광주 , 인명>집단>성씨
-
광세(光世) - 정광세(鄭光世)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동래(東萊). 첨지중추부사(僉知中樞府事)을 지낸 정난손(鄭蘭孫)의 아들로, 형조 판서(刑曹判書)ㆍ경기도 관찰사(京畿道觀察使) 등을 지냄.
?~1514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동래 , 인명>관인>문신
-
광세음(光世音) - 관세음(觀世音)
대승불교(大乘佛敎)의 보살(菩薩) 중의 하나. 자비로써 중생의 괴로움을 구제한다는 보살로, 아미타불(阿彌陀佛)의 왼쪽에 위치함. 33가지 모습으로 현신(現身)함.
고대 , 인명>기타인명>기타인물
-
광손(光孫) - 탁광손(卓光孫)
고려 후기의 문신. 본관은 광산(光山). 집현전 대제학(集賢殿大提學)을 지낸 탁문위(卓文位)의 둘째 아들로, 선부서(選部書)를 역임함.
한국>고려후기 , 전라도>광산 , 인명>관인>문신
-
광수(光壽) - 김광수(金光壽)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김해(金海). 명종(明宗) 때의 유학인 김희우(金希禹)의 아버지.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김해 , 인명>문사>유학
-
광수(光守) - 탁광수(卓光守)
조선 성종(成宗)~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 본관은 광산(光山). 검상(檢詳)을 지낸 탁진옥(卓振玉)의 맏아들로, 역학(易學)에 뛰어났으며, 예빈시 정(禮賓寺正) 등을 역임함.
1463~1497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광산 , 인명>관인>문신
-
광수(光洙)@유광수 - 유광수(柳光洙)
조선 후기의 유학. 본관은 풍산(豊山). 청백리(淸白吏) 유심춘(柳尋春)의 생부임.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문사>유학
-
광수(光洙) - 신광수(申光洙)
조선 영조(英祖) 때의 문신ㆍ시인. 본관은 고령(高靈). 1746년(영조 22)에 관산융마(關山戎馬)란 시(詩)로 급제했는데, 이 시는 당시 과시(科詩)의 모범이 됨. 1774년(영조 50)에 관서지방의 풍속ㆍ고적ㆍ고사 등을 소재로 한 관서악부(關西樂府)를 지었으며, 《석북집(石北集)》을 남김.
1712~1775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고령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광수(光秀) - 김광수(金光秀)
고려 공민왕(恭愍王) 때의 문신. 원(元) 나라에 들어가 순제(順帝)를 시종(侍從)하여 자정원사(資政院使)를 지냈고, 황제로부터 금화란(金畫蘭)을 받아왔는데, 이색(李穡)이 그 위에 찬(讚)을 지었음.
한국>고려후기 , 인명>관인>문신
-
광수(光秀)@최광수 - 최광수(崔光秀)
고려 고종(高宗) 때의 무신ㆍ역적. 거란군 진압을 위해 파견된 상장군 최유공(崔兪恭)의 휘하에 있다가 고구려 부흥을 표방하여 반란을 일으켰으나 정의(鄭顗) 등에 의해 진압됨.
?~1217 한국>고려후기 , 인명>기타인명>역적ㅣ인명>관인>무신
-
광숙(光叔) - 영조(英祖)
조선 제21대 왕. 재위 1724~1776. 재위 기간 중에 탕평책(蕩平策)과 균역법(均役法)을 추진하고, 가혹한 형벌을 폐지하여 실학을 장려하는 등 많은 업적을 남김.
1694~1776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왕실>국왕
-
광숙(匡肅) - 유홍(柳洪)
고려 문종(文宗)~선종(宣宗) 때의 문신. 본관은 정주(貞州)로, 숙종(肅宗)의 비(妃)인 명의태후(明懿太后)의 아버지. 호부 상서(戶部尙書)로 송(宋) 나라에 다녀왔으며, 문하시랑 평장사(門下侍郎平章事)에 오름. 《춘추좌씨전(春秋左氏傳)》과 병가(兵家)의 비결(秘訣)에 정통함.
?~1091 한국>고려전기 , 경기도>풍덕 , 인명>관인>문신
-
광숙장정(光淑莊定) - 인목왕후(仁穆王后)
조선 제14대 선조(宣祖)의 계비(繼妃). 1602년(선조 35)에 왕비에 책봉되었으나, 1617년(광해군 9)에 삭호(削號)당하고 서궁(西宮)에 유폐되었다가 인조반정(仁祖反正)으로 복호(復號)됨.
1584~1632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왕실>왕비
-
광식(光軾) - 이광식(李光軾)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무신. 본관은 우계(羽溪). 이지방(李之芳)의 아들이며 이감(李戡)의 아버지로, 전라도 병마절도사(全羅道兵馬節度使)ㆍ동지중추부사(同知中樞府事) 등을 역임함.
1493~? 한국>조선전기 , 강원도>강릉 , 인명>관인>무신
-
광신(光臣) - 백광신(白光臣)
고려 신종(神宗)~희종(熙宗) 때의 문신. 1200년(신종 3) 동지공거(同知貢擧)로 과거를 주관하고, 판비서성사(判秘書省事) 등을 지냄. 최당(崔讜)과 함께 기로회(耆老會)의 일원으로, 지상선(地上仙)으로 불림.
한국>고려후기 , 인명>관인>문신
-
광악(光岳)@이광악 - 이광악(李光岳)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무신. 본관은 광주(廣州). 1584년(선조 17) 식년시(式年試) 무과(武科)에 급제하여 곤양 군수(昆陽郡守)ㆍ전라도 병마절도사(全羅道兵馬節度使) 등을 지냄. 임진왜란 때 공을 세워 선무공신(宣武功臣)에 책록됨.
1557~1608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광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무신
-
광악(光岳) - 무등산(無等山)
전라남도 담양(潭陽)ㆍ화순(和順)과 광주(光州) 사이에 있는 산 이름. 백제 때는 무진악(武珍岳), 신라 때는 무악(武岳), 고려 때는 서석산(瑞石山)으로 불림.
전라도>화순ㅣ전라도>담양ㅣ전라도>광산 , 지명>자연지명
-
광악(廣樂) - 균천광악(鈞天廣樂)
진 목공(秦穆公)이 꿈에 상제(上帝)가 있는 곳에 가서 여러 신선들과 균천광악을 듣고 즐거워하며 감동을 받았다는 고사에서 유래한 말로, 천상(天上)에서 연주하는 미묘한 음악을 뜻함.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기타>가무
-
광안군(廣安君) - 이연경(李延慶)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때의 문신. 본관은 광주(廣州). 홍문관 교리(弘門館校理)로 재직할 때 조광조(趙光祖)를 재상으로 천거하였으며, 인품이 높고 학문과 식견이 뛰어나 문하에서 인재들이 배출됨.
1484~1548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광안노사(廣陵老師) - 이연경(李延慶)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때의 문신. 본관은 광주(廣州). 홍문관 교리(弘門館校理)로 재직할 때 조광조(趙光祖)를 재상으로 천거하였으며, 인품이 높고 학문과 식견이 뛰어나 문하에서 인재들이 배출됨.
1484~1548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광암(光庵) - 김태정(金台鼎)
조선 세종(世宗)~성종(成宗) 때의 학자. 상호군(上護軍) 김자휘(金自輝)의 아들. 1450년(세종 32) 사마시(司馬試)에 입격하였으나 관직에 나아가지 않고 평생 학문과 후학 양성에 힘씀.
1426~1478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광산 , 인명>문사>학자
-
광약(狂藥) - 주(酒)
술. 누룩을 빚어 만든 음료의 총칭(總稱). 전설상에 두강(杜康)과 의적(儀狄)이 처음으로 만들었다 함.
물품>식약품>음료
-
광양(廣陽) - 광주(廣州)
경기도 중앙에 있는 고을 이름. 삼국시대(三國時代) 때 각국의 주요 쟁탈지 중의 하나.
경기도>광주 , 지명>행정지명
-
광양(廣陽)@이세좌 - 이세좌(李世佐)
조선 성종(成宗)~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 이극감(李克堪)의 아들로, 무오사화 때 김종직(金宗直)을 극형에 처하도록 주장함. 연산군의 생모인 윤씨(尹氏) 폐위에 극간하지 않고 사약을 전하였다는 죄목으로 갑자사화 때 자살의 명을 받음.
1445~1504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광주 , 인명>관인>문신
-
광양군(光陽君)@최성지 - 최성지(崔誠之)
고려 충렬왕(忠烈王)~충숙왕(忠肅王) 때의 문신. 제2차 입성책동(立省策動) 때 원(元) 나라의 도성(都省)에 글을 올려 논의를 중지시킴. 수시력(授時曆)을 배워 와서 고려의 학계에 공헌하고, 찬성사(贊成事) 등을 지냄.
1265~1330 한국>고려후기 , 전라도>전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광양군(光陽君) - 이무방(李茂芳)
고려 충목왕(忠穆王)~조선 태조(太祖) 때의 문신. 본관은 광양(光陽). 고려 때 주요 관직을 두루 지내고 찬화공신(贊化功臣) 등에 책록됨. 조선 개국 후 조준(趙浚)의 천거로 검교문하시중(檢校門下侍中)을 지냄.
1319~1398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전라도>광양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광양군(廣陽君) - 이세좌(李世佐)
조선 성종(成宗)~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 이극감(李克堪)의 아들로, 무오사화 때 김종직(金宗直)을 극형에 처하도록 주장함. 연산군의 생모인 윤씨(尹氏) 폐위에 극간하지 않고 사약을 전하였다는 죄목으로 갑자사화 때 자살의 명을 받음.
1445~1504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광주 , 인명>관인>문신
-
광양부원군(光陽府院君) - 이무방(李茂芳)
고려 충목왕(忠穆王)~조선 태조(太祖) 때의 문신. 본관은 광양(光陽). 고려 때 주요 관직을 두루 지내고 찬화공신(贊化功臣) 등에 책록됨. 조선 개국 후 조준(趙浚)의 천거로 검교문하시중(檢校門下侍中)을 지냄.
1319~1398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전라도>광양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광언(光彦) - 심광언(沈光彦)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청송(靑松)으로, 안성 군수(安城郡守)를 지낸 심빈(沈濱)의 아들. 지방관으로 나가서는 선정(善政)을 베풀었으며, 법률에 밝아 형정(刑政)을 오랫동안 주관하며 송사를 바르게 처리함.
1490~1568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광연(光演)@최광연 - 최광연(崔光演)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양천(陽川). 부제학(副提學) 최숙정(崔淑精)의 차남으로, 수의부위(修義副尉)에 이름.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양천 , 인명>문사>유학
-
광연(光演) - 이광연(李光演)
조선 전기의 문신. 참봉(參奉)을 지냄. 고경명(高敬命)의 《제봉집(霽峯集)》에 그를 위해 지은 만시(挽詩)가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인명>관인>문신
-
광연(廣淵) - 심정원(沈貞源)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청송(靑松). 세종(世宗) 때 영의정을 지낸 심온(沈溫)의 손자로, 사숙재(私淑齋) 강희맹(姜希孟)의 외사촌. 전라도 수군절도사(全羅道水軍節度使)로 있던 중에 가벼운 실책으로 영주(寧州)로 귀양 감.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청송 , 인명>관인>문신
-
광영(光榮)@김광영 - 김광영(金光榮)
조선 전기의 유학. 모재(慕齋) 김안국(金安國)과 교유한 내용이 《모재집(慕齋集)》에 보임.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유학
-
광영(光榮) - 박광영(朴光榮)
조선 연산군(燕山君)~중종(中宗) 때의 문신. 연산군의 생모인 폐비윤씨(廢妃尹氏)의 추숭(追崇)을 반대하다 목천(木川)으로 유배되었으나, 중종반정(中宗反正)으로 풀려나 복직됨.
1463~1537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밀양 , 인명>관인>문신
-
광옥(光玉) - 박광옥(朴光玉)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음성(陰城). 성리학(性理學)에 조예가 깊었고, 기대승(奇大升)ㆍ이이(李珥)ㆍ노사신(盧思愼) 등과 교유했으며,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고경명(高敬命) 등과 함께 의병을 일으킴.
1526~1593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광산 , 인명>관인>문신
-
광왕(光王) - 광종(光宗)@고려
고려 제4대 왕. 재위 949~975. 태조 왕건(王建)의 넷째 아들. 형인 정종(定宗)의 선위(禪位)를 받아 즉위한 뒤 영명(英明)한 통치로 훈신(勳臣)ㆍ장상(將相) 등을 숙청하고 노비안검법(奴婢按檢法), 과거제도의 시행, 국방의 강화 등 많은 치적을 쌓음.
925~975 한국>고려전기 , 경기도>개성 , 인명>왕실>국왕
-
광왕(廣王) - 상흥제(祥興帝)
중국 송(宋) 나라의 마지막 황제. 재위 1278~1279. 도종(度宗)의 막내아들로, 형 단종(端宗)이 죽자 즉위했으나 원(元) 나라 군대에 쫓기다가 바다에 빠져 죽었으며, 이에 송은 멸망함.
?~1279 중국>송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광우(光佑)@김응귀의아버지 - 김광우(金光佑)@김응귀의아버지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광주(光州). 성균관 박사(成均館博士)를 지낸 김응귀(金應龜)의 아버지로, 1531년(중종 26) 식년시(式年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공조 정랑(工曹正郞)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광산 , 인명>관인>문신
-
광우(光佑)@조선 - 박광우(朴光佑)@조선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상주(尙州). 박린(朴璘)의 아들로, 문장에 능하여 원접사(遠接使)를 수행하였고, 을사사화(乙巳士禍)에 연루되어 유배지인 동선역(洞仙驛)에서 죽음.
1495~1545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광우(光佑)@고려 - 박광우(朴光佑)@고려
고려 후기의 문신. 본관은 고령(高靈). 문하시중(門下侍中)을 지냈으며, 고양부원군(高陽府院君)에 봉해짐.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고령 , 인명>관인>문신
-
광우(光佑)@조선전기 - 김광우(金光佑)@조선전기
조선 선조(宣祖) 때의 유학. 율곡(栗谷) 이이(李珥)의 문인(門人). 우계(牛溪) 성혼(成渾)의 소개로 이이(李珥)의 밑에서 수학하였음.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해주 , 인명>문사>유학
-
광우(光友) - 이광우(李光友)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학자. 본관은 합천(陜川). 조식(曺植)의 문인으로, 오건(吳健)ㆍ하항(河沆) 등과 교유함. 저서에 《죽각선생문집(竹閣先生文集)》이 있음.
1529~1619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단성 , 인명>문사>학자
-
광우(光羽) - 손우(孫虞)
중국 전국시대 때의 역학자(易學者). 공자(孔子)의 역학(易學) 전승에 있어 제5대 전수자로, 주추(周醜)에게 역학을 전수받아 전하(田何)에게 전수함.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광우(光雨) - 이광우(李光雨)
고려 후기의 문신. 여말~선초 때의 문신인 이거인(李居仁)의 장인.
한국>고려후기 , 인명>관인>문신
-
광운(光運)@김광운 - 김광운(金光運)
조선 선조(宣祖) 때의 유학. 담양 부사(潭陽府使)를 지낸 김경헌(金景憲)의 아들로, 율곡(栗谷) 이이(李珥)의 문인.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창의사(倡義使) 김천일(金千鎰)을 따라 강화도(江華島)에 이르러 전공(戰功)을 세우고 군중(軍中)에서 죽음.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나주 , 인명>문사>유학
-
광운(光運) - 오광운(吳光運)
조선 숙종(肅宗)~영조(英祖) 때의 문신. 본관은 동복(同福). 돈녕부 도정(敦寧府都正)을 지낸 오상순(吳尙純)의 아들로, 영조의 탕평책(蕩平策) 하에서 정치적 지도자로서 활약하며 예조 참판(禮曹參判) 등을 지냄.
1689~1745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광운(廣運) - 차광운(車廣運)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연안(延安)으로, 평해 군수(平海郡守)를 지낸 차식(車軾)의 아버지. 교관(敎官)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연안 , 인명>관인>문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