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광운(廣韻) - 대송중수광운(大宋重修廣韻)
중국 송(宋) 나라의 진팽년(陳彭年)ㆍ구옹(邱雍) 등이 황명으로 편찬한 운서(韻書). 수대(隋代) 육법언(陸法言)이 지은 《절운(切韻)》을 증보한 것으로, 206운(韻)으로 분류함. 5권.
1011 중국>송 , 중국 , 문헌>서명
-
광원(光遠)@김광원 - 김광원(金光遠)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학자. 본관은 영광(靈光)으로, 조광조(趙光祖)의 문인. 기묘사화(己卯士禍)로 조광조가 사사(賜死)되자, 장흥(長興)에 돌아와 학문에만 전념함.
1478~1550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장흥ㅣ서울 , 인명>문사>학자
-
광원(光遠) - 정종(定宗)@조선
조선 제2대 왕. 재위 1398~1400. 태조(太祖)와 정안왕후(定安王后)의 소생. 고려 후기에 아버지를 따라 왜구를 토벌하는 데 많은 전공을 세우고 왕자의 난을 계기로 왕위에 올랐지만, 골육상쟁의 재현을 우려하여 정안군(靖安君)을 세자로 삼고 양위함.
1357~1419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국왕
-
광원(光遠)@조광원 - 조광원(曺光遠)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우찬성(右贊成)을 지낸 조계상(曺繼商)의 아들로, 예조 참의(禮曺參議)ㆍ판돈녕부사(判敦寧府事) 등을 지냄.
1492~1573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창녕 , 인명>관인>문신
-
광원(光遠)@표광원 - 표광원(表光遠)
고려 후기의 문신. 본관은 신창(新昌). 신창표씨(新昌表氏)의 중시조인 표인려(表仁呂)의 아들이며 군기시 소윤(軍器寺少尹) 표을충(表乙忠)의 아버지로, 종부령(宗簿令) 등을 지냄.
한국>고려후기 , 충청도>신창 , 인명>관인>문신
-
광원(廣元) - 김광원(金廣元)
고려 후기의 학자. 도은(陶隱) 이숭인(李崇仁)의 시에 특히 예(禮)와 사(史)에 밝아 이름을 떨쳤다는 내용이 보임.
한국>고려후기 , 인명>문사>학자
-
광원(廣原) - 광주(廣州)
경기도 중앙에 있는 고을 이름. 삼국시대(三國時代) 때 각국의 주요 쟁탈지 중의 하나.
경기도>광주 , 지명>행정지명
-
광원군(光原君)@김극뉴 - 김극뉴(金克忸)
조선 세조(世祖)~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 본관은 광산(光山). 좌의정(左議政) 김국광(金國光)의 아들로, 사간원 대사간(司諫院大司諫)을 지냄.
1436~1496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연산 , 인명>관인>문신
-
광원군(光原君)@노영손 - 노영손(盧永孫)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무신. 본관은 광주(光州). 중종반정(中宗反正)의 논공행상에 불만을 품어 모반을 기도한 대사성 이과(李顆) 등을 밀고하여 광원군(光原君)에 봉해짐.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광산 , 인명>관인>무신
-
광원군(光原君) - 김백겸(金伯謙)
조선 세조(世祖)~성종(成宗) 때의 무신. 본관은 광산(光山). 광성군(光城君) 김혁(金革)의 아들로, 이시애(李施愛)의 난 때 구성군(龜城君) 이준(李浚)의 군관으로 출정하여 공을 세움.
1429~1506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광산 , 인명>관인>무신
-
광원군(廣原君) - 이극돈(李克墩)
조선 세조(世祖)~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 본관은 광주(廣州). 이인손(李仁孫)의 아들로, 성종(成宗) 때 좌리공신(佐理功臣)에 책록되었으며, 훈구파(勳舊派)의 거물로서 무오사화(戊午士禍)를 일으켜 사림파(士林派)의 많은 학자들을 제거함.
1435~1503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광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광원부원군(光源府院君) - 김익겸(金益兼)
조선 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광산(光山). 서포(西浦) 김만중(金萬重)의 아버지로, 사헌부 지평(司憲府持平) 등을 지냄. 병자호란 때 강화(江華)에서 항전하다 전황이 불리해지자 김상용(金尙容)ㆍ권순장(權順長)과 함께 자결함. 광원부원군(光源府院君)에 추봉됨.
1614~1636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광유(光裕) - 손광유(孫光裕)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무신. 아계(鵝溪) 이산해(李山海)의 이웃에 우거하였으며, 《아계유고(鵝溪遺稿)》에 증시(贈詩)가 실려 있음.
한국>조선후기 , 인명>관인>무신
-
광유후(光儒侯) - 정배걸(鄭倍傑)
고려 현종(顯宗)~문종(文宗) 때의 문신ㆍ학자. 초계정씨(草溪鄭氏)의 시조. 곽원(郭元)의 문인으로, 예부 상서(禮部尙書) 등을 지내고, 사학십이도(私學十二徒) 중 하나인 홍문공도(弘文公徒)를 이끌며 후학 양성에 힘씀.
한국>고려전기 , 경상도>초계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광윤(光潤)@최광윤 - 최광윤(崔光潤)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양천(陽川). 부제학(副提學) 최숙정(崔淑精)의 맏아들로, 용인 현령(龍仁縣令)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양천 , 인명>관인>문신
-
광윤(光潤) - 이명규(李名珪)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고성(固城). 이순(李峋)의 아들로, 두 차례 명(明) 나라에 사신으로 다녀오고 판돈녕부사(判敦寧府事) 등을 지냄. 행서와 초서에 능함.
1497~1560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고성 , 인명>관인>문신
-
광윤(光胤)@이광윤 - 이광윤(李光胤)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경주(慶州)로, 이곤(李鯤)의 손자이며 이득윤(李得胤)의 형. 1594년(선조 27) 별시(別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홍문관 수찬(弘文館修撰)ㆍ성주 목사(星州牧使) 등을 지냄. 선무공신(宣武功臣)에 책록되고, 예천(醴泉)의 인산서원(仁山書院)에 배향됨.
1564~1637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예천 , 인명>관인>문신
-
광윤(光胤) - 윤현조(尹顯祖)
조선 전기의 문인. 본관은 파평(坡平). 이의무(李宜茂)가 지어준 시서(詩序)가 《연헌잡고(蓮軒雜稿)》에 남아 있음.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파주 , 인명>문사>문인
-
광윤(光輪) - 이광윤(李光輪)
조선 선조(宣祖) 때의 유학. 본관은 여주(驪州). 문소전 참봉(文昭殿參奉)을 지내고, 임진왜란 때 조헌(趙憲) 등과 함께 금산(錦山) 전투에서 전사한 뒤 종용사(從容祠)에 배향됨.
1545~1592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청양 , 인명>문사>유학
-
광을(光乙) - 김광을(金光乙)
고려 공민왕(恭愍王) 때의 문신. 본관은 강릉(江陵). 찬화공신(贊化功臣)에 책록되어 명원부원군(溟源府院君)으로 봉해졌으며, 벼슬은 문하시중(門下侍中)에 이르렀음.
한국>고려후기 , 강원도>강릉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광읍(光邑) - 광주(光州)
전라남도 중북부에 있는 고을 이름. 호남지방의 행정ㆍ군사ㆍ경제ㆍ사회ㆍ문화의 중심지.
전라도>광산 , 지명>행정지명
-
광익(光益) - 조광익(曹光益)
중국 송(宋) 나라의 학자. 주희(朱熹)의 문인(門人)으로 〈주자연보(朱子年譜)〉에 보임.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광익(光翊) - 이광익(李光翊)
고려 후기의 문신. 본관은 전의(全義). 판사재감사(判司宰監事)를 지낸 이사경(李思敬)의 아버지로, 밀직부사(密直副司) 등을 지냄.
한국>고려후기 , 충청도>전의 , 인명>관인>문신
-
광익(光翼) - 정광익(鄭光翼)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동래(東萊). 사헌부 감찰(司憲府監察)ㆍ흥덕 현감(興德縣監)을 지냄. 주세붕(周世鵬)과 교유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동래 , 인명>관인>문신
-
광자승우(光子乘羽) - 손우(孫虞)
중국 전국시대 때의 역학자(易學者). 공자(孔子)의 역학(易學) 전승에 있어 제5대 전수자로, 주추(周醜)에게 역학을 전수받아 전하(田何)에게 전수함.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광장(廣壯) - 광진(廣津)
조선시대 경기도 양주(楊州) 67리 지점인 한강변에 설치된 나루. 서울과 강남을 연결하는 교통의 요지로, 경관이 수려해 문인들이 즐겨 찾음. 현재는 서울시 광진구에 속함.
경기도>양주 , 지명>자연지명
-
광재(光載)@김광재 - 김광재(金光載)
고려 충선왕(忠宣王)~공민왕(恭愍王) 때의 문신. 효성이 지극해 공민왕(恭愍王)이 그가 사는 마을을 영창방 효자리(靈昌坊孝子里)로 정표(旌表)함.
1294~1363 한국>고려후기 , 전라도>광산 , 인명>기타인명>효자ㅣ인명>관인>문신
-
광재(光載) - 임광재(任光載)
조선 예종(睿宗)의 부마. 예종의 장녀 현숙공주(顯肅公主)의 남편으로, 성종(成宗)이 총애하여 상사(賞賜)와 어찰(御札)을 하루도 빠짐없이 내렸으나, 뒤에 기생 관계의 일로 귀양보내짐.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풍천 , 인명>왕실>인척
-
광저(光儲) - 김광저(金光儲)
고려 공양왕(恭讓王) 때의 문신. 본관은 김녕(金寧). 공양왕 때 판도판서(版圖判書)를 지냈으나, 고려가 망하자 무록산(武鹿山)에 들어가 절의를 지킴.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김해 , 인명>관인>문신
-
광전(光前)@이광전 - 이광전(李光前)
조선 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합천(陜川)으로, 동래 부사(東萊府使)를 지낸 이도남(李圖南)의 아들. 1546년(명종 1)에 식년시(式年試) 문과(文科)에 급제하고, 승문원 정자(承文院正字)를 지냈으나 요절함.
1517~1547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단양 , 인명>관인>문신
-
광전(光前) - 박광전(朴光前)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ㆍ의병장. 본관은 진원(珍原). 이황(李滉)의 문인으로, 회덕 현감(懷德縣監) 등을 지내고, 임진왜란(壬辰倭亂)과 정유재란(丁酉再亂) 때 의병을 일으켜 활약함.
1526~1597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보성 , 인명>관인>문신
-
광전(廣殿) - 광한전(廣寒殿)
달 속에 있다고 전하는 궁전. 중국 고대 인물인 항아(姮娥)가 산다고 전함.
고대 , 중국 , 유적>기타유적
-
광절(光節) - 김지숙(金之淑)
고려 원종(元宗)~충선왕(忠宣王) 때의 문신ㆍ무신. 삼별초(三別抄)를 토벌하다가 포로가 된 후 진도(珍島)에서 탈출하여 적의 정세를 관군에게 알려 토벌에 기여하는 공을 세움.
1237~1310 한국>고려후기 , 전라도>광산 , 인명>관인>무신ㅣ인명>관인>문신
-
광점(狂點) - 증점(曾點)
중국 춘추전국시대(春秋戰國時代) 노(魯) 나라의 학자. 아들 증삼(曾參)과 함께 공자(孔子)의 제자. 공자가 포부를 묻자 봄에 친구들과 기수(沂水)에 목욕하고 무우(舞雩)에 바람 쏘이고 시 읊으며 돌아오겠다고 대답한 일이 《논어(論語)》에 실려 있음.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광정(光庭)@1674 - 이광정(李光庭)@1674
조선 숙종(肅宗)~영조(英祖) 때의 학자. 본관은 원주(原州). 문장(文章)과 학술(學術)로 중망을 얻어 여러 번 관직에 제수되었으나 모두 사양하고 산림에 묻혀 후학 교육에 전념함.
1674~1756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문사>학자
-
광정(光庭)@1552 - 이광정(李光庭)@1552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연안(延安)으로, 이주(李澍)의 아들. 임진왜란과 정유재란 때 공을 세워 호성공신(扈聖功臣)에 책록되고 청백리(淸白吏)에 녹선되었으며, 정묘호란 때 왕을 호종하여 강화(江華)에 들어갔다가 병사함.
1552~1627 한국>조선후기 , 황해도>연안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광정(光廷) - 정광정(鄭光廷)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동래(東萊). 중종(中宗) 때의 문신인 정충려(鄭忠礪)의 아버지로, 능성 현령(綾城縣令)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동래 , 인명>관인>문신
-
광정(光挺) - 박광정(朴光挺)
고려 후기의 문신. 본관은 춘천(春川)으로, 찬성사(贊成事) 박항(朴恒)의 아들. 중국 원(元) 나라 황실에서 숙위(宿衛)하여 소신교위(昭信校尉)ㆍ부만호(副萬戶) 등을 지냄.
한국>고려후기 , 강원도>춘천 , 인명>관인>문신
-
광정(光霆) - 유광정(柳光霆)
조선 후기의 유학. 옥봉(玉峯) 백광훈(白光勳)의 사위.
한국>조선후기 , 인명>문사>유학
-
광정(匡定) - 홍규(洪奎)
고려 충숙왕(忠肅王)의 국구(國舅). 본관은 남양(南陽). 명덕태후(明德太后)의 아버지로, 원(元) 나라에서 귀환하는 원종을 임유무(林惟茂) 등이 배척하자 처단하였으며, 후에 정안공신(安定功臣)에 책록되고, 상의첨의도감사(商議僉議都監事) 등을 지냄.
?~1316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남양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ㅣ인명>왕실>인척
-
광정(匡正) - 김지숙(金之淑)
고려 원종(元宗)~충선왕(忠宣王) 때의 문신ㆍ무신. 삼별초(三別抄)를 토벌하다가 포로가 된 후 진도(珍島)에서 탈출하여 적의 정세를 관군에게 알려 토벌에 기여하는 공을 세움.
1237~1310 한국>고려후기 , 전라도>광산 , 인명>관인>무신ㅣ인명>관인>문신
-
광정(匡鼎) - 광형(匡衡)
중국 전한(前漢) 원제(元帝)~성제(成帝) 때의 문신ㆍ학자. 어려서 몹시 가난했으나 학문을 좋아했으며 특히 《시경(詩經)》의 해설에 뛰어났음. 평원문학(平原文學)을 지내다가 뒤에 정승으로 낙안후(樂安侯)에 봉해짐.
중국>전한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광제(光霽) - 양돈(楊墩)
조선 연산군(燕山君)~중종(中宗) 때의 문인. 1498년(연산군 4)에 사마시(司馬試)에 급제했으나 무오사화(戊午士禍)로 인해 관직에 나아가지 않고 은거함. 문장과 덕행이 뛰어나 사표(師表)가 됨.
1461~1512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임실 , 인명>문사>문인
-
광조(光祖) - 육광조(陸光祖)
중국 명(明) 나라의 문신. 국자 학정(國子學正) 등을 지냈으며, 월정(月汀) 윤근수(尹根壽)가 중국에 갔을 때 그와 함께 주자(朱子)와 육상산(陸象山)의 학설의 차이점을 논변한 글이 《월정집(月汀集)》 별집(別集)에 실려 있음.
중국>명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광조(光祖)@조광조 - 조광조(趙光祖)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ㆍ학자. 김굉필(金宏弼)의 문인(門人)으로, 도학정치(道學政治)를 주창하며 급진적인 개혁정책을 시행하였으나 훈구(勳舊) 세력이 일으킨 기묘사화(己卯士禍)로 인해 죽임을 당함.
1482~1519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광조(廣照) - 만항(萬恒)
고려 충렬왕(忠烈王)~충숙왕(忠肅王) 때의 승려. 본관은 웅진(熊津)으로 수선사(修禪社)의 십세(十世). 원오화상(圓悟和尙)에게 배우고 낭월사(朗月寺)ㆍ운흥사(雲興寺)ㆍ선원사(禪源寺) 등의 주지를 지냄.
1259~1319 한국>고려후기 , 충청도>공주 , 인명>종교인>승려
-
광종(光宗)@안광종 - 안광종(安光宗)
조선 선조(宣祖) 때의 유학. 본관은 순흥(順興). 안전(安琠)의 아들이며, 이이(李珥)의 문인(門人).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왜적을 만나 아버지를 보호하다 같이 해를 입었는데, 이 사실이 알려져 정려(旌閭)가 내려짐.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해주 , 인명>문사>유학
-
광종(光宗) - 심광종(沈光宗)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청송(靑松). 전한(典翰)을 지낸 신의흠(沈義欽)의 아버지로, 창녕 현감(昌寧縣監)ㆍ감찰(監察)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청송 , 인명>관인>문신
-
광좌(光佐) - 박광좌(朴光佐)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상주(尙州). 1525년(중종 20) 식년시(式年試)에 급제하여 목사(牧使) 등을 지냈으며, 간재(艮齋) 최연(崔演)과 교유함.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광좌(匡佐) - 김광좌(金匡佐)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선산(善山). 김제(金磾)의 아들이며, 구암(久庵) 김취문(金就文)의 아버지. 호조 정랑(戶曹正郞)을 지냈으며, 이조 참판(吏曹參判)에 추증됨.
1466~1545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선산 , 인명>관인>문신
-
광좌(廣佐) - 조광좌(趙廣佐)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한양(漢陽)으로, 금산 군수(金山郡守)를 지낸 조훈(趙勛)의 아들. 기묘사화(己卯士禍) 때 조광조(趙光祖)의 붕당으로 몰려 삭직되고, 1521년(중종 16) 신사무옥(辛巳誣獄)에 연루되어 장살(杖殺)당함.
1483~1521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광주(匡州) - 경원(慶源)
함경도 북쪽에 있는 고을 이름. 발해가 멸망한 뒤 여진(女眞)이 거주하였는데 고려 예종(睿宗) 때 윤관(尹瓘)이 이들을 몰아내고 성을 쌓아 공험진내 방어소(公險鎭內防禦所)를 만듦.
함경도>경원 , 지명>행정지명
-
광주군(光州君) - 노만(盧蔓)
고려시대의 문신. 광산백(光山伯) 노해(盧垓)의 후손으로, 광주노씨(光州盧氏)의 일세조(一世祖) 중 한 사람. 정승을 지내고 광주군(光州君)에 봉해짐.
한국>고려시대 , 전라도>광산 , 인명>관인>문신
-
광주군(廣州君) - 안방걸(安邦傑)
고려 태조(太祖) 때의 무신. 광주안씨(廣州安氏)의 시조. 통일신라 말기에 귀화한 중국 당(唐) 나라 종실(宗室) 출신인 이원(李瑗)의 둘째 아들로, 태조 때 모반(謀叛)을 진압하여 대장군(大將軍)에 오르고, 광주군(廣州君)으로 봉해짐.
한국>고려전기 , 경기도>광주 , 인명>관인>무신
-
광주김씨(光州金氏) - 광산김씨(光山金氏)
신라 신무왕(神武王)의 셋째 아들 김흥광(金興光)을 시조로 하는 성씨. 고려 때 8명의 평장사(平章事), 조선 때 7명의 대제학(大提學)을 배출하는 등 많은 인물을 배출함.
한국>통일신라 , 전라도>광산 , 인명>집단>성씨
-
광주탁씨(光州卓氏) - 광산탁씨(光山卓氏)
고려 선종(宣宗) 때 한림학사(翰林學士)를 지낸 광산군(光山君) 탁지엽(卓之葉)을 시조(始祖)로 하는 성씨.
한국>고려전기 , 전라도>광산 , 인명>집단>성씨
-
광준(光俊) - 이광준(李光俊)
조선 명종(明宗)~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본관은 영천(永川)으로, 이민성(李民宬)ㆍ이민환(李民寏)의 아버지. 1561년(명종 16) 별시(別試) 문과(文科)에 급제하고, 충주 목사(忠州牧使)ㆍ강원도 감사(江原道監司) 등을 지냄. 구봉령(具鳳齡) 등과 교유함.
1531~1609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광준(光準) - 김광준(金光準)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상주(尙州). 소윤(小尹)의 한 사람으로서 을사사화(乙巳士禍)를 일으켜 공신호(功臣號)를 받고 상락군(上洛君)에 책봉되었으며, 대사헌(大司憲)ㆍ이조 판서(吏曹判書)ㆍ우찬성(右贊成) 등을 지냈음.
?~1553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상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광중(光仲) - 강욱(姜昱)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진주(晉州). 장사랑(將仕郞) 강공망(姜公望)의 아들로, 예조 참의(禮曹參議)ㆍ강원도 관찰사(江原道觀察使)를 지냄.
1511~1574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광중(光仲)@정충기 - 정충기(鄭忠基)
조선 문종(文宗)~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온양(溫陽). 상의원 첨정(尙衣院僉正)을 지낸 정탁(鄭鐸)의 아버지로, 승문원 교리(承文院校理)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온양 , 인명>관인>문신
-
광중(光仲)@이돈 - 이돈(李燉)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진보(眞寶). 참봉(參奉) 이원회(李元晦)의 아들이며 이공(李珙)의 문인으로, 사간원 헌납(司諫院獻納) 등을 지냄.
1568~1624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진보 , 인명>관인>문신
-
광중(匡仲) - 홍덕록(洪德祿)
조선 후기의 유학. 본관은 부계(缶溪). 용양위 부사과(龍驤衛副司果) 홍경삼(洪景參)의 아들이며, 대사간(大司諫) 홍호(洪鎬)의 아버지.
1531~1609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의흥 , 인명>문사>유학
-
광중(廣仲) - 호실(胡實)
중국 송(宋) 나라의 문신ㆍ학자. 호원(胡瑗)의 아들이자, 호굉(胡宏)의 사촌동생으로, 주희(朱熹)ㆍ장식(張軾)과 논쟁하였으며, 장사랑(將仕郞) 등을 역임함.
1136~1173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광지(光之) - 익현군(翼峴君)
조선 제4대 세종(世宗)의 일곱 번째 서자. 신빈김씨(愼嬪金氏)의 소생으로, 계유정난(癸酉靖難)에 참여하여 좌익공신(佐翼功臣)에 책록됨.
1431~1463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왕실>왕자
-
광지개종홍진우세(廣智開宗弘眞祐世) - 의천(義天)@고려
고려 문종(文宗)~숙종(肅宗) 때의 승려. 문종의 넷째 아들로 태어나 출가함. 송(宋) 나라에서 유학하고 돌아와 해동 천태종(海東天台宗)을 개창함. 흥왕사(興王寺)의 주지가 되어 교장도감(敎藏都監)을 세웠으며, 《교장(敎藏)》 등을 간행함.
1055~1101 한국>고려전기 , 경기도>개성 , 인명>종교인>승려ㅣ인명>왕실>왕자
-
광진(光軫) - 김광진(金光軫)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강릉(江陵). 출사 후 주로 지방 관직에 재임하면서 치적을 쌓아 백성들의 칭송이 높았으며, 호조 참판(戶曹參判) 등을 지냄.
1495~? 한국>조선전기 , 강원도>강릉 , 인명>관인>문신
-
광진(光軫)@이광진 - 이광진(李光軫)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여흥(驪興). 《중종실록(中宗實錄)》ㆍ《인종실록(仁宗實錄)》 편찬에 참여함. 좌부승지(左副承旨) 등을 지낸 후 귀향하여 학문에 전념함.
1513~1566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여주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광진(匡眞) - 문언(文偃)
중국 당(唐) 말~오대(五代)의 선승(禪僧). 운문종(雲門宗)의 시조(始祖).
864~949 중국>오대십국ㅣ중국>당 , 중국 , 인명>종교인>승려
-
광진도(廣津渡) - 광진(廣津)
조선시대 경기도 양주(楊州) 67리 지점인 한강변에 설치된 나루. 서울과 강남을 연결하는 교통의 요지로, 경관이 수려해 문인들이 즐겨 찾음. 현재는 서울시 광진구에 속함.
경기도>양주 , 지명>자연지명
-
광진자(狂眞子) - 홍유손(洪裕孫)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문인. 본관은 남양(南陽). 김종직(金宗直)의 문인(門人)으로, 김수온(金守溫)ㆍ김시습(金時習)ㆍ남효온(南孝溫) 등과 교유하며 학문과 시율(詩律)을 논함. 무오사화 때 제주에 유배되었다가 중종반정으로 풀려남.
1452~1529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남양 , 인명>문사>문인
-
광찬(光燦) - 김광찬(金光燦)
조선 인조(仁祖)~현종(顯宗)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 좌의정 김상헌(金尙憲)의 아들이며 영의정 김수항(金壽恒)의 아버지. 병자호란 때 남한산성(南漢山城)으로 인조를 호종하고, 동지중추부사(同知中樞府事)를 지냄.
1597~1668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광찬(光纘) - 김광찬(金光纘)
조선 선조(宣祖) 때의 유학. 본관은 광산(光山). 월천(月川) 조목(趙穆)의 사위로, 유일재(惟一齋) 김언기(金彦璣)의 문인(門人).
1564~?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예안 , 인명>문사>유학
-
광창부원군(廣昌府院君) - 이이첨(李爾瞻)
조선 선조(宣曺)~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광주(廣州). 대북(大北)의 영수로서, 광해군(光海君) 즉위 후 영창대군(永昌大君)을 살해하고 소북(小北)파를 숙청하는 등 생살치폐(生殺置廢)를 자행하다가 인조반정(仁祖反正)이 일어나자 처형됨.
1560~1623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광천(廣川)@김지남 - 김지남(金指南)
조선 현종(顯宗)~정조(正祖) 때의 역관(譯官). 본관은 우봉(牛峰). 청(淸) 나라에서 《자초신방(煮硝新方)》을 수입ㆍ번역하고, 《북정록(北征錄)》을 저술하였으며, 《통문관지(通文館志)》편찬에 참여함.
1654~? 한국>조선후기 , 황해도>우봉 , 인명>관인>역관
-
광천(廣川) - 동중서(董仲舒)
중국 전한(前漢)의 유학자ㆍ문신. 유교를 한(漢) 나라의 국교로 삼도록 무제(武帝)를 설득하고, 《춘추번로(春秋繁露)》등의 저서를 남김.
B.C.176?~B.C.104? 중국>전한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광천군(廣川君) - 이극증(李克增)
조선 문종(文宗)~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광주(廣州). 이인손(李仁孫)의 아들로, 익대공신(翊戴功臣)과 좌리공신(佐理功臣)에 책록되었으며, 한성부 판윤(漢城府判尹) 등을 역임함.
1431~1494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광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광천군(廣川君)@이수기 - 이수기(李壽祺)
조선 전기의 종친. 성종(成宗)의 일곱 번째 서자인 익양군(益陽君) 이회(李懷)의 아들로, 전성군(全城君) 이변(李忭)에게 출계함.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광천부원군(廣川府院君) - 이극증(李克增)
조선 문종(文宗)~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광주(廣州). 이인손(李仁孫)의 아들로, 익대공신(翊戴功臣)과 좌리공신(佐理功臣)에 책록되었으며, 한성부 판윤(漢城府判尹) 등을 역임함.
1431~1494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광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광천위(光川尉) - 김인경(金仁慶)
조선 중종(中宗)의 부마. 본관은 광산(光山). 중종의 딸인 혜순옹주(惠順翁主)와 결혼함. 동서지간인 여성군(礪城君) 송인(宋寅)과 주고 받은 시들이 《이암유고(頤庵遺稿)》에 실려 있음.
1514~1583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광산 , 인명>왕실>인척
-
광철(光轍)@조선 - 김광철(金光轍)@조선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강릉(江陵). 예조 참판(禮曹參判) 등을 지내고, 《중종실록(中宗實錄)》ㆍ《인종실록(仁宗實錄)》의 편찬에 참여함. 심언광(沈彥光)ㆍ기준(奇遵) 등과 교유함.
1493~1550 한국>조선전기 , 강원도>강릉 , 인명>관인>문신
-
광철(光轍)@고려 - 김광철(金光轍)@고려
고려 충목왕(忠穆王) 때의 문신. 본관은 광산(光山). 1347년(충목왕 4) 밀직사 판사(密直司判事)로 있을 때 정치도감(整治都監)이 설치되자 그 판사를 겸하여 폐정개혁(弊政改革)을 주도함.
?~1349 한국>고려후기 , 전라도>광산 , 인명>관인>문신
-
광탄(廣灘) - 선정달(宣廷達)
조선 명종(明宗) 때의 유학. 본관은 보성(寶城)으로, 죽천(竹川) 박광전(朴光前)의 문인(門人). 1564년(명종 19) 생원시(生員試)에 입격함.
1537~?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보성 , 인명>문사>유학
-
광택(光澤) - 김광택(金光澤)
조선 선조(宣祖) 때의 유학. 본관은 청주(淸州)로, 죽천(竹川) 박광전(朴光前)의 문인. 선조(先祖)인 동촌(桐村) 김린(金麟)이 은거했던 곳에 동백정(冬栢亭)을 세웠는데, 박광전이 쓴 〈동백정기(冬栢亭記)〉가 《죽천집(竹川集)》에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장흥 , 인명>문사>유학
-
광통무애원묘대지보제(廣通無碍圓妙大智普濟) - 혼수(混脩)
고려 충혜왕(忠惠王)~조선 태조(太祖) 때의 승려. 대선사인 계송(繼松)에게 가서 출가하고, 선교(禪敎) 경전을 두루 연구하였으며, 문장과 글씨에도 능함. 경관(慶觀)ㆍ담원(湛圓)ㆍ소안(紹安)ㆍ만우(萬雨) 등의 제자를 배출함.
1320~1392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평안도>용천ㅣ충청도>충주ㅣ전라도>순천 , 인명>종교인>승려
-
광통보제사(廣通普濟寺) - 연복사(演福寺)
경기도 개성(開城)에 있었던 사찰. 공민왕(恭愍王)ㆍ공양왕(恭讓王) 등 여러 왕들이 여러 차례 거둥할 정도의 대찰이었으나 조선의 양란(兩亂)을 거치면서 폐허가 됨. 고려 후기의 승려인 진공(軫公) 등이 주지를 지냄.
한국>고려시대 , 경기도>개성 , 유적>건물>사찰
-
광평(廣平) - 송경(宋璟)
중국 당(唐) 나라 현종(玄宗) 때의 명재상. 요숭(姚崇)과 함께 개원(開元)의 치세(治世)를 이끌었으며, 그가 지은 〈매화부(梅花賦)〉는 문인들 사이에 널리 회자됨.
663~737 중국>당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광평(廣平)@광평대군 - 광평대군(廣平大君)
조선 제4대 세종(世宗)의 다섯째 아들. 태조(太祖)의 일곱째 아들인 무안대군(撫安大君) 이방번(李芳蕃)의 후사가 되었으며, 학문에 힘써 사서삼경(四書三經) 등에 능통하였으나, 젊은 나이에 요절함.
1425~1444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왕자
-
광평공(廣平公) - 왕순(王恂)
고려 제21대 희종(熙宗)의 손자. 아버지는 경원공(慶原公) 왕조(王祚)로, 원종(元宗)의 딸 함녕궁주(咸寧宮主)과 결혼하였고, 1279년(충렬왕 5) 일본 정벌에 쓸 전함(戰艦)을 감독함.
?~1285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개성 , 인명>왕실>종친
-
광평군(光平君) - 김명윤(金明胤)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광산(光山). 좌찬성(左贊成)을 지낸 김극핍의 아들로, 윤원형(尹元衡)과 함께 을사사화(乙巳士禍)를 일으킴.
1493~1572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광산 , 인명>관인>문신
-
광평군(廣平君)@이광악 - 이광악(李光岳)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무신. 본관은 광주(廣州). 1584년(선조 17) 식년시(式年試) 무과(武科)에 급제하여 곤양 군수(昆陽郡守)ㆍ전라도 병마절도사(全羅道兵馬節度使) 등을 지냄. 임진왜란 때 공을 세워 선무공신(宣武功臣)에 책록됨.
1557~1608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광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무신
-
광평군(廣平君) - 광평대군(廣平大君)
조선 제4대 세종(世宗)의 다섯째 아들. 태조(太祖)의 일곱째 아들인 무안대군(撫安大君) 이방번(李芳蕃)의 후사가 되었으며, 학문에 힘써 사서삼경(四書三經) 등에 능통하였으나, 젊은 나이에 요절함.
1425~1444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왕자
-
광평군(廣平君)@이인임 - 이인임(李仁任)
고려 충숙왕(忠肅王)~우왕(禑王) 때의 권신. 본관은 성주(星州). 홍건적(紅巾賊)의 침입 때 크게 활약하고, 보리공신(輔理功臣)에 책록됨. 공민왕(恭愍王)이 피살되자 우왕을 즉위시킨 뒤 임견미(林堅味)ㆍ염흥방(廉興邦) 등과 함께 권력을 휘두름.
?~1388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성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광평군공(廣平郡公) - 송경(宋璟)
중국 당(唐) 나라 현종(玄宗) 때의 명재상. 요숭(姚崇)과 함께 개원(開元)의 치세(治世)를 이끌었으며, 그가 지은 〈매화부(梅花賦)〉는 문인들 사이에 널리 회자됨.
663~737 중국>당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광평부원군(廣平府院君) - 이인임(李仁任)
고려 충숙왕(忠肅王)~우왕(禑王) 때의 권신. 본관은 성주(星州). 홍건적(紅巾賊)의 침입 때 크게 활약하고, 보리공신(輔理功臣)에 책록됨. 공민왕(恭愍王)이 피살되자 우왕을 즉위시킨 뒤 임견미(林堅味)ㆍ염흥방(廉興邦) 등과 함께 권력을 휘두름.
?~1388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성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광평선생(廣平先生) - 유작(游酢)
중국 송(宋) 나라 신종(神宗)~휘종(徽宗) 때의 문신. 정호학(程顥學)에 매진하여 '정문사제자(程門四弟子)'의 한 사람으로 일컬어지고, 감찰어사(監察御史)ㆍ지호주(知濠州) 등을 지냄.
1053~1123 중국>송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광평성(廣評省) - 상서도성(尙書都省)
고려의 중앙 행정기구인 상서성(尙書省)을 구성하는 기구로, 정무 집행기관인 상서육부(尙書六部)의 상급 관부. 995년(성종 14) 어사도성(御事都省)을 개칭한 것으로, 국가행사의 주관, 공문의 발송 등의 기능을 함.
995 한국>고려전기 , 법제>제도
-
광평왕(廣平王) - 대종(代宗)@당
중국 당(唐) 나라의 제8대 황제. 재위 762~779. 안사(安史)의 난(亂) 때 공을 세웠으나, 당 나라는 대종 때부터 점차 쇠망의 길로 접어듦.
726~779 중국>당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광평유씨(廣平游氏) - 유작(游酢)
중국 송(宋) 나라 신종(神宗)~휘종(徽宗) 때의 문신. 정호학(程顥學)에 매진하여 '정문사제자(程門四弟子)'의 한 사람으로 일컬어지고, 감찰어사(監察御史)ㆍ지호주(知濠州) 등을 지냄.
1053~1123 중국>송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광필(光弼) - 박광필(朴光弼)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상주(尙州). 박린(朴璘)의 아들로, 1519년(중종 14) 식년시(式年試)에 급제하여 목사(牧使) 등을 역임함.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광필(光弼)@정광필 - 정광필(鄭光弼)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문신. 이조 판서(吏曹判書) 정난종(鄭蘭宗)의 아들. 기묘사화(己卯士禍) 때 영의정(領議政)으로 조광조(趙光祖) 등을 구하려다 영중추부사(領中樞府事)로 좌천되었으며, 후에 다시 영의정에 오름.
1462~1538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회덕 , 인명>관인>문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