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경장(景章) - 강숙경(姜叔卿)
조선 세조(世祖)~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진주(晉州). 영의정(領議政)을 지낸 강맹경(姜孟卿)의 동생.
1428~1481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진주 , 인명>관인>문신
-
경장역(慶長役) - 정유재란(丁酉再亂)
조선 선조(宣祖) 30년에 왜군이 임진왜란에 이어 우리나라를 재침략하여 일어난 전란. 1598년(선조 31) 이순신(李舜臣)이 노량해전(露梁海戰)에서 왜군을 격파시킴으로써 7년간 지속된 왜란이 종식됨.
1597 한국>조선후기 , 사건>전쟁
-
경장정유역(慶長丁酉役) - 정유재란(丁酉再亂)
조선 선조(宣祖) 30년에 왜군이 임진왜란에 이어 우리나라를 재침략하여 일어난 전란. 1598년(선조 31) 이순신(李舜臣)이 노량해전(露梁海戰)에서 왜군을 격파시킴으로써 7년간 지속된 왜란이 종식됨.
1597 한국>조선후기 , 사건>전쟁
-
경재(敬齋)@남수문 - 남수문(南秀文)
조선 세종(世宗)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고성(固城). 집현전(集賢殿)ㆍ예문관(藝文館) 등에서 벼슬하며 세종의 여러 대군들에게 글을 가르침. 저서로 《경재유고(敬齋遺稿)》가 있음.
1408~1442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고성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경재(敬齋)@홍붕 - 홍붕(洪鵬)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남양(南陽). 주부(主簿)를 지낸 홍거방(洪巨舫)의 아들로, 제용감 첨정(濟用監僉正) 등을 지냄.
1539~1597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남양 , 인명>관인>문신
-
경재(敬齋)@전한 - 전한(全翰)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경산(慶山)으로, 군자감 직장(軍資監直長)을 지낸 전은로(全銀輅)의 손자. 사섬시 첨정(司贍寺僉正)ㆍ사옹원 정(司饔院正)ㆍ성균관 사성(成均館司成) 등을 지냄.
1488~1544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경산 , 인명>관인>문신
-
경재(敬齋)@정복현 - 정복현(鄭復顯)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유학. 본관은 서산(瑞山)으로, 우후(虞侯) 정신(鄭愼)의 아들. 정희보(鄭希輔)ㆍ조식(曺植)의 문인으로 노진(盧禛)ㆍ양희(梁喜) 등과 교유함.
1521~1591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서산 , 인명>문사>유학
-
경재(敬齋)@이해수 - 이해수(李海壽)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건저 문제(建儲問題)에 연루되어 종성(鐘城)으로 유배되었다가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선조를 의주(義州)로 호종함. 부제학(副提學) 등을 지내고, 시와 예서에 뛰어남.
1536~1599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경재(敬齋)@이기 - 이기(李芑)
조선 연산군(燕山君)~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덕수(德水). 이의무(李宜茂)의 아들로, 명종 때 윤원형(尹元衡) 등 소윤(小尹) 일파와 손잡고 을사사화(乙巳士禍)를 일으킴. 보익공신(輔翼功臣)에 책록되고 영의정 등을 지냄.
1476~1552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경재(敬齋) - 경세인(慶世仁)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청주(淸州). 군수(郡守)를 지낸 경상(慶祥)의 아들로, 기묘사화(己卯士禍)에 연루되어 파직된 뒤 야인으로 생을 마침.
1491~?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파주 , 인명>관인>문신
-
경재(敬齋)@설공검 - 설공검(薛公儉)
고려 원종(元宗)~충렬왕(忠烈王) 때의 문신. 본관은 순창(淳昌). 정승(政丞)을 지낸 설지충(薛之沖)의 아버지로, 첨의 중찬(僉議中贊) 등을 역임함.
1224~1302 한국>고려후기 , 전라도>순창 , 인명>관인>문신
-
경재(敬齋)@호거인 - 호거인(胡居仁)
중국 명(明) 나라의 학자. 스승 오여필(吳與弼)의 실천궁행(實踐躬行)의 학문을 이은 숭인학파(崇仁學派)의 제일인자로, 정주학(程朱學)을 독수(獨修)하고 《거업록(居業錄)》을 저술하였으며, 죽은 뒤 문묘(文廟)에 배향됨.
1434~1484 중국>명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경재(敬齋)@하연 - 하연(河演)
조선 태조(太祖)~단종(端宗) 때의 문신. 본관은 진주(晉州). 정몽주(鄭夢周)의 문인으로, 불교의 일곱 종파를 선(禪)ㆍ교(敎) 양종으로 통합하고, 혁파된 사원의 토지와 노비를 국가에 환수하게 하였으며, 영의정 등을 역임하였고, 문종(文宗)의 묘정에 배향됨.
1376~1453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진주 , 인명>관인>문신
-
경재(敬齋)@홍인우 - 홍인우(洪仁祐)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학자. 본관은 남양(南陽)으로, 홍덕연(洪德演)의 맏아들. 서경덕(徐敬德)ㆍ이황(李滉)의 문인으로, 《심경(心經)》ㆍ《근사록(近思錄)》ㆍ《중용(中庸)》ㆍ《대학(大學)》에 전심하고, 성리학(性理學)에 조예가 깊음.
1515~1554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문사>학자
-
경재(敬齋)@유실 - 유실(劉實)
중국 명(明) 나라 선종(宣宗)~영종(英宗) 때의 문신. 《송원통감강목(宋元通鑒綱目)》 편수에 참여하고 지남웅부(知南雄府) 등을 역임하였으나, 무함을 당하여 하옥되었다가 죽음.
1396~1461 중국>명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경재(敬齋)@곽곤 - 곽곤(郭㻒)
고려 후기의 문신. 충정왕(忠定王) 때 제학(提學)을 지냈으며, 《동문선(東文選)》에 약간 편의 시가 전함. 《급암시집(及菴詩集)》에 민사평(閔思平)의 기시(寄詩)가 실려 있음.
한국>고려후기 , 인명>관인>문신
-
경재(絅齋)@이굉조 - 이굉조(李閎祖)
중국 송(宋) 나라 영종(寧宗) 때의 문신ㆍ학자. 주희(朱熹)의 제자로, 임계 주부(臨桂主簿)ㆍ광서안무사(廣西安撫使) 등을 지냄.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경재(絅齋) - 신상(申鏛)
조선 연산군(燕山君)~중종(中宗) 때의 문신. 《연산군일기》 편찬에 참여함. 사림파 학자들의 등용에 힘썼으며, 기묘사화(己卯士禍)가 일어나자 그들의 구명에 노력하였음.
1480~1530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평산 , 인명>관인>문신
-
경재(警齋) - 곽순(郭珣)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현풍(玄風). 호조 좌랑ㆍ진보 현감(眞寶縣監)ㆍ봉상시 정ㆍ사간 등을 지냈으며, 기묘사화(己卯士禍) 때 화를 당한 조광조(趙光祖)의 신원을 상소함. 을사사화(乙巳士禍)에 연루되어 장살(杖殺)당함.
1502~1545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청도 , 인명>관인>문신
-
경재선생(敬齋先生) - 호거인(胡居仁)
중국 명(明) 나라의 학자. 스승 오여필(吳與弼)의 실천궁행(實踐躬行)의 학문을 이은 숭인학파(崇仁學派)의 제일인자로, 정주학(程朱學)을 독수(獨修)하고 《거업록(居業錄)》을 저술하였으며, 죽은 뒤 문묘(文廟)에 배향됨.
1434~1484 중국>명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경재선생유고(敬齋先生遺稿) - 경재유고(敬齋遺稿)@남수문
조선 세종(世宗) 때의 문신ㆍ학자인 남수문(南秀文)의 시문집. 2권 1책. 활자본. 후손 남희석(南熙錫)과 남국환(南國煥)이 집에 보관하고 있던 시문(詩文)과 채록한 시문을 편집하여, 1804년(순조 4)에 활자로 간행함.
1804 한국>조선후기 , 문헌>서명
-
경재집(敬齋集) - 경재유고(敬齋遺稿)@남수문
조선 세종(世宗) 때의 문신ㆍ학자인 남수문(南秀文)의 시문집. 2권 1책. 활자본. 후손 남희석(南熙錫)과 남국환(南國煥)이 집에 보관하고 있던 시문(詩文)과 채록한 시문을 편집하여, 1804년(순조 4)에 활자로 간행함.
1804 한국>조선후기 , 문헌>서명
-
경전(慶傳) - 박경전(朴慶傳)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ㆍ의병장. 본관은 밀양(密陽). 임진왜란 때 청도(淸道)에서 창의(倡義)하여 곽재우(郭再祐)와 권응수(權應銖)의 양쪽 진영을 내왕하면서 많은 전공을 세움.
1553~1623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청도 , 인명>관인>문신
-
경전(慶全) - 이경전(李慶全)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 이산해(李山海)의 아들로, 문필이 뛰어났으며, 유영경(柳永慶)을 탄핵하다가 유배생활을 하였고, 병자호란 후 병을 핑계로 삼전도(三田渡)의 비문 작성의 명을 거절하였으며, 형조 판서(刑曹判書) 등을 역임함.
1567~1644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한산 , 인명>관인>문신
-
경전통해(經傳通解) - 의례경전통해(儀禮經傳通解)
중국 송(宋) 나라의 학자인 주희(朱熹)가 지은 의례에 관한 책. 37권. 《의례(儀禮)》를 경(經)으로 삼아, 여러 책에서 예(禮)에 관한 내용을 뽑아 덧붙이고 주소(注疏)함. 책을 완성하지 못하고 죽어서 문인 황간(黃榦) 등이 산개(删改)하지 않고 그대로 간행함.
1200 중국>송 , 중국 , 문헌>서명
-
경전통해속(經傳通解續) - 의례경전통해속(儀禮經傳通解續)
중국 송(宋) 나라의 학자인 황간(黃榦)ㆍ양복(楊復)이 지은 의례에 관한 책. 29권. 주희(朱熹)가 지은 《의례경전통해(儀禮經傳通解)》의 속편으로, 《의례(儀禮)》를 경(經)으로 삼아, 여러 책에서 예(禮)에 관한 내용을 뽑아 덧붙여 주소(注疏)하고 도식(圖式)함.
중국>송 , 중국 , 문헌>서명
-
경절(敬節) - 문익(文翼)
고려 문종(文宗)~숙종(肅宗) 때의 문신. 인종 때 재상을 지낸 문공유(文公裕)ㆍ문공인(文公仁)의 아버지이며, 명종 때의 명재상 문극겸(文克謙)의 조부. 요(遼) 나라에 가서 원자(元子)의 책명(冊命)을 받아왔고, 배불(排佛)를 주장했음.
한국>고려전기 , 전라도>남평 , 인명>관인>문신
-
경절(景節)@채준 - 채준(蔡撙)
중국 남북조시대 제(齊)~양(梁) 나라의 문신ㆍ장군. 개부의동삼사(開府儀同三司)를 지낸 채흥종(蔡興宗)의 아들. 오승백(吳承伯)의 난을 평정하여 신무장군(信武將軍)에 봉해지고, 시중(侍中)을 지냄.
467~523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관인>무신ㅣ인명>관인>문신
-
경절(景節) - 손중돈(孫仲暾)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문신. 계천군(鷄川君) 손소(孫昭). 김종직(金宗直)의 문인(門人)으로, 문과에 급제하여 청환직(淸宦職)을 두루 역임하였고, 중종(中宗) 때 청백리에 녹선됨.
1463~1529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경주 , 인명>관인>문신
-
경절(景節)@이래 - 이래(李來)
고려 공민왕(恭愍王)~조선 태종(太宗) 때의 문신. 본관은 경주(慶州). 이존오(李存吾)의 아들이며 우현보(禹玄寶)의 문인(門人)으로, 제2차 왕자(王子)의 난에 공을 세워 좌익공신(佐翼功臣)에 책록되었고 대제학(大提學) 등을 역임함.
1362~1416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충청도>공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경절(景節)@이경절 - 이경절(李景節)
조선 후기의 학자. 본관은 덕수(德水). 이우(李瑀)의 아들로, 광해군(光海君)의 폐모론(廢母論)에 반대하고, 병자호란 때 의병을 일으킴. 서(書)ㆍ화(畫)ㆍ금(琴)에 능하여 ‘삼절(三絶)’로 불림.
1571~1640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선산 , 인명>문사>학자
-
경정(慶正) - 경섬(慶暹)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본관은 청주(淸州). 통신부사(通信副使)가 되어 임진왜란(壬辰倭亂) 후 첫 번째 사절로 일본에 건너가 국교를 다시 열게 하고 임진왜란 때의 포로 1,340명을 데리고 돌아옴.
1562~1620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청주 , 인명>관인>문신
-
경정(敬亭) - 이민성(李民宬)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영천(永川)으로, 이광준(李光俊)의 아들. 김성일(金誠一)의 문인으로 1597년(선조 30) 식년시(式年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사헌부 장령(司憲府掌令)ㆍ좌승지(左承旨) 등을 지냄. 저서로 《경정집(敬亭集)》이 있음.
1570~1629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의성 , 인명>관인>문신
-
경정(敬靖) - 문공유(文公裕)
고려 숙종(肅宗)~의종(毅宗) 때의 문신. 본관은 남평(南平)으로, 우산기상시(右散騎常侍) 문익(文翼)의 아들. 합문지후(閤門祗侯)ㆍ집현전 태학사(集賢殿太學士) 등을 지내고, 인종(仁宗)의 묘정(廟庭)에 배향됨.
1088~1159 한국>고려전기 , 전라도>남평 , 인명>관인>문신
-
경정(景定) - 민여익(閔汝翼)
고려 우왕(禑王)~조선 세종(世宗) 때의 문신. 조선개국을 도와 개국공신에 책록되었고 전결(田結)과 노비를 받았으며, 육조(六曹)의 판서(判書)를 두루 역임했음.
1360~1431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기도>여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경정(景正) - 유규(柳規)
조선 세종(世宗)~성종(成宗) 때의 무신. 본관은 영광(靈光). 익대공신(翊戴功臣) 유자광(柳子光)의 아버지로, 첨지중추부사(僉知中樞府事) 등을 지냄.
1401~1473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영광 , 인명>관인>문신
-
경정(景靖) - 민인백(閔仁伯)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여흥(麗興). 성혼(成渾)의 문인으로 기축옥사(己丑獄事) 때 공을 세워 평난공신(平難功臣)에 책록되었고,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황주 목사(黃州牧使)로 임진강(臨津江)을 지킴.
1552~1626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경정(景靜) - 곽황(郭趪)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현풍(玄風)으로, 이황(李滉)의 문하에서 종유(從遊)하였음. 예조 정랑(禮曹正郞)ㆍ예안 현감(禮安縣監)ㆍ함양 군수(咸陽郡守) 등을 지냈음.
1530~1569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현풍 , 인명>관인>문신
-
경정궁주(慶貞宮主) - 경정공주(慶貞公主)
조선 제3대 태종(太宗)의 둘째 딸. 원경왕후(元敬王后)의 소생으로, 영의정부사(領議政府事) 조준(趙浚)의 아들인 조대림(趙大臨)과 혼인함.
?~1455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공주
-
경정렬(慶貞烈) - 경복흥(慶復興)
고려 공민왕(恭愍王) 때의 문신. 기철(奇轍)을 숙청하여 1등 공신에 책록되고, 홍건적을 물리친 공으로 진충동덕협보공신(盡忠同德協輔功臣)의 호를 받음. 신돈(辛旽)을 제거하려다 유배되었으나, 신돈이 주살된 후 다시 좌시중(左侍中)이 됨.
?~1380 한국>고려후기 , 충청도>청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경정선생집(敬亭先生集) - 경정집(敬亭集)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인 이민성(李民宬)의 문집. 13권 4책. 목판본. 이민성의 동생인 이민환(李民寏)이 수집ㆍ정리한 것을, 아들인 서흥 부사(瑞興府使) 이정기(李廷機)가 간행함. 정두경(鄭斗卿)의 서문이 있음.
1664 한국>조선후기 , 황해도>서흥 , 문헌>서명
-
경제(敬悌) - 김경제(金敬悌)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강릉(江陵). 진사(進士) 김준(金濬)의 아버지로, 승사랑(承仕郞)에 오름.
한국>조선전기 , 강원도>강릉 , 인명>관인>문신
-
경제(景帝) - 대종(代宗)@명
중국 명(明) 나라의 제7대 황제. 재위 1449~1457. 북방민족에게 포로가 된 영종(英宗)을 대신해 황제에 올랐다가, 석방되어 돌아온 영종에 의해 쫓겨남.
1428~1457 중국>명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경제(景帝)@경종 - 경종(景宗)@고려
고려 제5대 왕. 재위 975~981. 전시과(田柴科)를 제정하였음.
955~981 한국>고려전기 , 경기도>개성 , 인명>왕실>국왕
-
경제원육전(經濟元六典) - 경제육전(經濟六典)
조선 태조(太祖) 때 편찬된 법전(法典). 검상조례사(檢詳條例司)에서 정도전(鄭道傳)ㆍ조준(趙浚) 등이 고려 우왕(禑王) 때부터 당시까지 발표된 조례(條例)를 육전(六典)의 형식을 갖추어 만듦.
1397 한국>조선전기 , 문헌>서명
-
경조(京兆) - 경사(京師)
중국의 수도를 지칭하는 말. 경(京)은 크고 사(師)는 많다는 뜻으로, 주(周) 나라의 수도를 경사(京師)라고 한 데서 후대에 천자(天子)가 기거하는 곳을 이름.
중국 , 지명>행정지명
-
경조(敬祖)@고경조 - 고경조(高敬祖)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장흥(長興)으로, 해미 현감(海美縣監)ㆍ임천 군수(林川郡守) 등을 지냄.
1528~?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광산 , 인명>관인>문신
-
경조(敬祖)@정경조 - 정경조(鄭敬祖)
조선 성종(成宗)~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 본관은 하동(河東). 하동부원군(河東府院君) 정인지(鄭麟趾)의 아들로, 예조 참판(禮曹參判)ㆍ동지중추부사(同知中樞府事) 등을 지냄.
1455~1498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하동 , 인명>관인>문신
-
경조(敬祖) - 하소(何劭)
중국 남북조시대 진(晉) 나라의 문신. 하증(何曾)의 아들로, 젊은 시절 훗날 무제(武帝)가 된 사마염(司馬炎)과 친하게 지냈으며, 진 나라 개국 후 태자태사(太子太師) 등을 지냄. 박학(博學)하고 속문(屬文)을 잘하였으나 매우 교만하고 사치를 부림.
?~301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경조회도(京兆會圖) - 경조계회도(京兆契會圖)
조선 선조(宣祖) 21년에 전ㆍ후임(前後任) 한성부 판윤(漢城府判尹)들의 계(契) 모임을 그린 그림. 윤근수(尹根壽)가 발문(跋文)을 지음.
1588 한국>조선전기 , 문헌>작품명
-
경종(慶宗) - 이경종(李慶宗)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연안(延安). 이주(李澍)의 아버지로, 여산 군수(礪山郡守)를 지냄.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연안 , 인명>관인>문신
-
경종(敬宗)@허경종 - 허경종(許敬宗)
중국 당(唐) 나라 고종(高宗) 때의 문신. 간신 이의부(李義府)와 함께 황후 왕씨를 폐위시키고 측천무후(則天武后)가 황후에 책봉되는 데 기여함. 예부 상서(禮部尙書)ㆍ시중(侍中) 등을 지냄.
592~672 중국>당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경종(敬宗)@순제 - 순제(順帝)@후한
중국 후한(後漢)의 제7대 황제. 재위 125~144. 재위기간에 외척인 양기(梁冀) 등으로 인해 내정이 문란하고, 천재지변의 속출로 사회가 혼란해짐.
?~144 중국>후한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경종(景宗) - 대종(代宗)@명
중국 명(明) 나라의 제7대 황제. 재위 1449~1457. 북방민족에게 포로가 된 영종(英宗)을 대신해 황제에 올랐다가, 석방되어 돌아온 영종에 의해 쫓겨남.
1428~1457 중국>명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경종덕문익무순인선효대왕(景宗德文翼武純仁宣孝大王) - 경종(景宗)@조선
조선 제20대 왕. 재위 1720~1724. 숙종(肅宗)의 맏아들이며, 어머니는 희빈장씨(禧嬪張氏). 재위 기간 중 당쟁(黨爭)이 절정을 이룬 가운데 신변상으로나 정치상으로 많은 곤란을 겪음.
1688~1724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왕실>국왕
-
경주(擎柱) - 이경주(李擎柱)
조선 전기의 문인. 덕계(德溪) 오건(吳健)과 교유함.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문인
-
경주(景舟) - 홍경주(洪景舟)
조선 연산군(燕山君)~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남양(南陽). 중종의 후궁인 희빈홍씨(熙嬪洪氏)의 아버지로, 중종반정(中宗反正)과 이과(李顆)의 난 때 공신(功臣)에 책록되었으나, 기묘사화(己卯士禍)를 일으켜 사림 세력을 제거함.
?~1521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남양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ㅣ인명>왕실>인척
-
경주(景霌) - 서경주(徐景霌)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달성(達城). 판중추부사(判中樞府事) 서성(徐渻)의 아들로, 선조의 딸 정신옹주(貞愼翁主)와 결혼하여 달성위(達城尉)에 책봉됨. 임진왜란 때 선조를 호종하고, 총관(摠管)과 상의원 제조(尙衣院提調) 등을 지냄.
1579~1643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대구 , 인명>관인>문신
-
경주군(慶州君) - 김명종(金鳴鍾)
신라 경순왕(敬順王)의 셋째 아들. 본관은 경주(慶州). 손국(遜國) 후 경주군(慶州君)에 봉해짐.
한국>통일신라 , 경상도>경주 , 인명>왕실>왕자
-
경주나정(慶州蘿井) - 나정(蘿井)
경상북도 경주(慶州) 금오산(金鰲山) 기슭에 있는 우물. 진한(辰韓)의 촌장이 나정(蘿井) 곁에서 큰 알을 얻었는데 그 알에서 나온 아이가 박혁거세가 되었다는 탄강전설(誕降傳說)이 깃든 곳.
한국>신라 , 경상도>경주 , 유적>기타유적
-
경주설씨(慶州薛氏) - 순창설씨(淳昌薛氏)
초기 신라의 육촌(六村) 중 명활산(明活山) 고야촌(高耶村)의 촌장인 설거백(薛居伯)을 시조로 하는 성씨. 원적(原籍)은 경주(慶州)인데, 고려시대에 순창(淳昌)으로 이관(移貫)함.
한국>신라 , 전라도>순창ㅣ경상도>경주 , 인명>집단>성씨
-
경준(慶俊)@박경준 - 박경준(朴慶俊)
조선 선조(宣祖) 때의 유학. 본관은 밀양(密陽). 장사랑(將仕郞) 박이(朴頤)의 넷째 아들이며, 박경전(朴慶傳)ㆍ박경윤(朴慶胤)ㆍ박경선(朴慶宣)의 동생. 저서에 《고경연의(古經衍義)》가 있음.
1568~1590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청도 , 인명>문사>유학
-
경중(慶仲) - 박응복(朴應福)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반남(潘南). 사간(司諫)을 지낸 박소(朴紹)의 아들로, 유조순(柳祖詢)ㆍ성제원(成悌元)ㆍ이중호(李仲虎)의 문인. 임진왜란 때 왕을 호종하였고, 정유재란 때 왕비를 수안(遂安)까지 호송함
1530~1598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합천ㅣ서울 , 인명>관인>문신
-
경중(敬中) - 이경중(李敬中)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전주(全州). 금천군(錦川君) 이감(李瑊)의 아들이며 이황(李滉)의 문인. 1581년(선조 14) 이조 좌랑(吏曹佐郞)으로 있을 때 정여립(鄭汝立)이 높이 등용되는 것을 배척하다가 논핵당하여 파직됨.
1542~1584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경중(敬仲)@신각 - 신각(申恪)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무신. 본관은 평산(平山). 아버지는 조선 명종(明宗) 때 문신 신의충이며, 할아버지는 교감(校勘)을 지낸 신억수(申億壽). 부인은 효령대군의 4대손으로 풍덕군수를 지낸 이광윤(李光胤)의 딸 전주 이씨.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양주 해유령(楊州蟹踰嶺) 전투에서 공을 세우고도 김명원(金命元)의 잘못된 장계(狀啓)로 처형당함.
?~1592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평산 , 인명>관인>무신
-
경중(敬仲)@한상경 - 한상경(韓尙敬)
고려 우왕(禑王)~조선 태종(太宗) 때의 문신. 본관은 청주(淸州)로, 청성군(淸城君) 한수(韓脩)의 셋째 아들. 이성계(李成桂)를 추대하는 모의에 가담하고 조선 건국에 공을 세워 개국공신(開國功臣)에 책록되었으며, 영의정 등을 역임함.
1360~1423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충청도>청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경중(敬仲)@표빙 - 표빙(表憑)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신창(新昌)으로, 직제학(直提學) 표연말(表沿沫)의 아들. 김안로(金安老)ㆍ김안국(金安國)과 함께 사유(師儒)에 선발되었으며, 사헌부 집의(司憲府執義)ㆍ홍문관 직제학(弘文館直提學) 등을 역임함.
?~1524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신창 , 인명>관인>문신
-
경중(敬仲)@전완 - 전완(田完)
중국 춘추전국시대 제(齊) 나라 환공(桓公) 때의 경대부. 진(陳)의 공자(公子)로서 제 나라에 망명하여 환공을 섬겨 경(卿)이 되고, 뒤에 전(田)으로 성을 바꿈.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관인>경대부
-
경중(敬仲)@이제 - 이제(李躋)@이창량의아들
조선 중종(中宗) 때의 유학. 본관은 광주(廣州)로, 호조 좌랑(戶曹佐郞)을 지낸 이창량(李昌良)의 아들. 1513년(중종 8) 진사시(進士試)에 합격했음.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문사>유학
-
경중(敬仲)@정복겸 - 정복겸(鄭福謙)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동래(東萊). 영의정(領議政) 정광필(鄭光弼)의 아들로, 강화 부사(江華府使)를 지냄.
1501~1552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동래 , 인명>관인>문신
-
경중(敬仲)@유경중 - 유경중(游敬仲)
중국 송(宋) 나라의 학자. 주희(朱熹)의 문인.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경중(敬仲) - 양간(楊簡)
중국 송(宋) 나라의 문신ㆍ학자. 육구연(陸九淵)의 제자로, 스승의 심(心)은 곧 이(理)라는 심즉리(心卽理)의 사상을 이어받음. 보모각 학사(寶謨閣學士) 등을 지냄.
1141~1225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경중(敬仲)@기준 - 기준(奇遵)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행주(幸州). 조광조(趙光祖)의 문인으로, 기묘명현(己卯名賢)의 한 사람. 기묘사화(己卯士禍)로 유배되고 신사무옥(辛巳誣獄) 때 교살됨.
1492~1521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경중(敬仲)@권극례 - 권극례(權克禮)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종묘서 영(宗廟署令)을 지낸 권덕유(權德裕)의 아들로 성균관 사성(成均館司成)으로 있을 때에 《명종실록(明宗實錄)》의 편수에 참여하였고 대사성(大司成)과 대사헌(大司憲) 등을 역임함.
1531~1590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경중(景中) - 황정식(黃廷式)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장수(長水). 용양위 호군(龍驤衛護軍)을 지낸 황열(黃悅)의 아들로, 우부승지(右副承旨)ㆍ병조 판서(兵曹判書) 등을 지냄.
1529~1592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경중(景仲) - 양신용(梁信容)
조선 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제주(濟州)로, 학포(學圃) 양팽손(梁彭孫)의 증손. 정묘호란(丁卯胡亂) 때의 전공(戰功)으로 인동 도호부사(仁同都護府使)에 제수됨.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능성 , 인명>관인>문신
-
경중(景重) - 박경중(朴景重)
조선 전기의 유학. 신응시(辛應時)의 《백록유고(白麓遺稿)》에 관련 시가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유학
-
경증(慶曾) - 왕차옹(王次翁)
중국 송(宋) 나라 휘종(徽宗)~고종(高宗) 때의 문신. 진회(秦檜)와 결탁하여 금군(金軍)과의 화친을 강력히 주장하고, 한세충(韓世忠)ㆍ장준(張浚)ㆍ악비(岳飛) 등을 모함하여 탄핵함. 저서에 《양하집(兩河集)》이 있음.
1079~1149 중국>송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경증(景曾) - 이경증(李景曾)
조선 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덕수(德水). 권필(權韠)의 문인(門人)으로, 정묘호란(丁卯胡亂) 때 어사(御史)로서 식량조달을 담당하고, 병자호란(丙子胡亂) 때에는 병방승지(兵房承旨)로서 인조를 호종함.
1595~1648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풍덕 , 인명>관인>문신
-
경지(慶之) - 최유경(崔有慶)
고려 공민왕(恭愍王)~조선 태종(太宗) 때의 문신. 본관은 전주(全州). 우왕(禑王)에게 이성계(李成桂)의 위화도회군(威化島回軍)을 고변하였으나, 훗날 태조(太祖)의 두터운 신임을 받아 고위관직을 두루 지내고, 개국원종공신(開國原從功臣)에 녹훈됨.
1343~1413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전라도>전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경지(慶之)@심경지 - 심경지(沈慶之)
중국 남북조시대 송(宋) 나라의 무신. 이민족의 반란을 진압하고 많은 전공을 세워 건무장군(建武將軍)에 임명되고, 역모를 고변하여 시중(侍中)에 올랐다가 폐제(廢帝)에 의해 사사됨.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관인>무신
-
경지(慶之)@오경 - 오경(吳慶)
조선 중종(中宗) 때의 유학. 본관은 해주(海州). 예조 좌랑(禮曹佐郞)을 지낸 오예손(吳禮孫)의 아들이며 판서(判書)를 지낸 오상(吳祥)의 형으로, 오상과 함께 모재(慕齋) 김안국(金安國)에게 수학함.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문사>유학
-
경지(敬之)@양경지 - 양경지(楊敬之)
중국 당(唐) 나라의 문신ㆍ문인. 검교 공부상서(檢校工部尙書) 등을 지내고, 두 아들 양융(楊戎)ㆍ양대(楊戴)와 함께 문명(文名)을 떨침. 일찍이 〈화산부(華山賦)〉를 지어 한유(韓愈)ㆍ이덕유(李德裕) 등으로부터 칭탄을 받음.
중국>당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경지(敬之)@장현보 - 장현보(張顯父)
중국 송(宋) 나라의 학자. 주희(朱熹)의 제자.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경지(敬之)@양여공 - 양여공(梁汝恭)
조선 태종(太宗)~세종(世宗) 때의 문신. 본관은 충주(忠州). 1431년(세종 13) 유연생(柳衍生)의 무고(誣告)로 사형됨. 효성이 지극하고 시와 글씨에 능했음.
1378~1431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충주 , 인명>관인>문신
-
경지(敬之)@소세검 - 소세검(蘇世儉)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진주(晉州). 소자파(蘇自坡)의 아들로, 좌랑(佐郞) 등을 역임하였으며, 《쌍봉유고(雙峰遺稿)》를 저술함.
1483~1573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익산 , 인명>관인>문신
-
경지(敬之) - 남재(南在)
고려 공민왕(恭愍王)~조선 태종(太宗) 때의 문신. 이색(李穡)의 문인(門人). 동생 남은(南誾)과 함께 이성계(李成桂)를 도와 조선 개국에 공을 세움.
1351~1419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의령 , 인명>관인>문신
-
경지(敬之)@심순문 - 심순문(沈順門)
조선 성종(成宗)~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 본관은 청송(靑松). 성품이 강직하여 연산군의 폐정(弊政)을 자주 직언하였고, 갑자사화(甲子士禍)에 연루되어 유배되었다가 참수됨. 중종 때 복관(復官)됨.
1465~1504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청송 , 인명>관인>문신
-
경지(敬之)@이인견 - 이인견(李仁堅)
조선 단종(端宗) 때의 문신. 본관은 한산(韓山). 중종(中宗) 때의 원종공신(原從功臣) 이운(李耘)의 아버지로, 1453년(단종 1)에 증광시(增廣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전한(典翰)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경지(敬之)@이흠 - 이흠(李欽)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영천(永川). 지중추부사(知中樞府事) 이현보(李賢輔)의 아버지로, 인제 현감(麟蹄縣監) 등을 지냄.
1440~1537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예안 , 인명>관인>문신
-
경지(敬之)@황효공 - 황효공(黃孝恭)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창원(昌原). 사간원 사간(司諫院司諫)을 지냈으나, 탄핵을 받고 영천(榮川)으로 물러나 학문에 전념함. 특히 도상학(圖象學)과 《주역(周易)》에 조예가 깊어 이황(李滉)과 《주역》에 대해 토론하며 시문(詩文)을 주고받음.
1496~1553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영천(榮川)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경지(敬之)@허관 - 허관(許寬)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하양(河陽). 이조 참판(吏曹參判)을 지낸 허성(許誠)의 아들로, 장례원 판결사(掌禮院判決事)ㆍ안동 부사(安東府使)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하양 , 인명>관인>문신
-
경지(敬之)@김구용 - 김구용(金九容)
고려 공민왕(恭愍王)~우왕(禑王) 때의 문신ㆍ문인ㆍ학자. 본관은 안동(安東). 우왕 때 삼사 좌윤(三司左尹)으로 이숭인(李崇仁)ㆍ정도전(鄭道傳) 등과 북원(北元) 사절의 영접을 반대하다 죽주(竹州)로 귀양 감. 사장(詞章)에 뛰어나고, 특히 시(詩)로 유명함.
1338~1384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여주 , 인명>문사>학자ㅣ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경지(敬志) - 탁경지(卓敬志)
조선 성종(成宗)~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 본관은 광산(光山). 탁지(卓智)의 둘째 아들로, 양덕 현감(陽德縣監)ㆍ삼가 현령(三嘉縣令) 등을 지내고, 이극균(李克均)과 교유함.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광산 , 인명>관인>문신
-
경지(敬止)@최경지 - 최경지(崔敬止)
조선 세조(世祖)~성종(成宗) 때의 문신. 필선(弼善) 최유종(崔有悰)의 아들. 홍문관 직제학(弘文館直提學)으로 연산군(燕山君)의 생모인 정현왕후(貞顯王后)의 폐위를 반대함.
?~1479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경주 , 인명>관인>문신
-
경지(敬止) - 윤개(尹愷)
조선 전기의 문신. 남양 부사(南陽府使)를 지내고, 춘정(春亭) 변계량(卞季良)과 교유함.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남양 , 인명>관인>문신
-
경지(敬止)@엄집 - 엄집(嚴緝)
조선 숙종(肅宗) 때의 문신. 본관은 영월(寧越). 감찰(監察) 엄성구(嚴聖耉)의 아들로, 1673년(현종 14) 춘당대시(春塘臺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였으며, 예조 판서(禮曹判書) 등을 지냄. 이돈(李墪)과 함께 《송도지(松都誌)》를 증수함.
1635~1710 한국>조선후기 , 강원도>영월 , 인명>관인>문신
-
경지(敬祉) - 박경지(朴敬祉)
조선 인조(仁祖)~현종(顯宗) 때의 무신. 본관은 밀양(密陽). 무과에 장원급제하여 선전관(宣傳官) 등 여러 관직을 역임하였고, 효종(孝宗)의 북벌계획에도 참여함.
1610~1669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밀양 , 인명>관인>무신
-
경지(景至) - 조수륜(趙守倫)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본관은 풍양(豐壤). 성혼(成渾)의 문하에서 수학하고, 동문들과 함께 《우계집(牛溪集)》을 편집ㆍ출간함. 평택 현감(平澤縣監) 등을 지냈으나, 신율(申慄)의 역옥(逆獄)에 연루되어 옥사(獄死)함.
1555~1612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경지(瓊枝) - 유경지(柳瓊枝)
조선 후기의 유학. 본관은 서산(瑞山). 청경(淸卿) 유약(柳瀹)의 아들로, 지수(篪叟) 정규양(鄭葵陽)의 문하에서 수학함.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서산 , 인명>문사>유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