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경지(鏡之) - 윤인경(尹仁鏡)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중종 때 이조 판서로서 기묘사화(己卯士禍)에 억울하게 죄를 입은 사람을 서용하였고, 인종(仁宗) 때 영의정이 되어 국정을 총괄하였으며, 을사사화(乙巳士禍) 때 보익공신(保翼功臣)에 책록됨.
1476~1548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파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경지재(敬止齋) - 남효온(南孝溫)
조선 성종(成宗) 때의 학자. 생육신(生六臣)의 한 사람. 김종직(金宗直)의 문인으로 김굉필(金宏弼)ㆍ정여창(鄭汝昌) 등과 함께 수학함.
1454~1492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의령 , 인명>문사>학자
-
경직(敬直) - 김거위(金去僞)
중국 송(宋) 나라의 학자. 주희(朱熹)와의 문답을 기록한 '을미문답(乙未問答)'이 있음.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경직(敬直)@김경직 - 김경직(金敬直)
고려 충정왕(忠定王)~공민왕(恭愍王) 때의 문신. 공민왕(恭愍王)이 배원(排元) 정책을 시행할 때 원수(元帥)로 임명되어 압록강 방면을 수비함. 화엄종사(華嚴宗師) 우운(友雲)의 형.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언양 , 인명>관인>문신
-
경직(景直)@윤호연 - 윤호연(尹浩然)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칠원(漆原). 문경 현감(聞慶縣監)을 지냈으며, 정탁(鄭琢) 등과 교유함.
1553~?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경직(景直)@이정회 - 이정회(李庭檜)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진보(眞寶). 이황(李滉)의 문인으로 사헌부 감찰(司憲府監察) 등을 지냈으며, 임진왜란 때 의병을 모아 공을 세운 뒤에 귀향하여 지남서당(芝南書堂)을 짓고 후진교육에 힘씀.
1542~1613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경직(景直) - 윤정(尹侹)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무신. 본관은 파평(坡平). 윤여해(尹汝諧)의 아들로, 충좌위 대호군(忠佐衛大護軍) 등을 역임함.
1515~1566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파주 , 인명>관인>무신
-
경직(景直)@현종 - 현종(顯宗)@조선
조선 제18대 왕. 재위 1659~1674. 효종(孝宗)의 맏아들로, 어머니는 인선왕후(仁宣王后). 대동법(大同法) 시행ㆍ동철활자(銅鐵活字) 주조 등의 개혁이 있었으나, 예론(禮論)을 둘러싼 남인(南人)ㆍ서인(西人) 간의 당쟁으로 인해 국력이 피폐됨.
1641~1674 한국>조선후기 , 인명>왕실>국왕
-
경진(慶晉) - 신경진(辛慶晉)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본관은 영월(寧越). 부제학(副提學)을 지낸 신응시(辛應時)의 아들. 이이(李珥)의 문인으로, 문무(文武)의 재능을 겸비하여 명성이 높았고 예조 참판(禮曹參判)ㆍ대사헌(大司憲)을 지냄.
1554~1619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경진(景眞) - 김덕수(金德秀)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효우(孝友)가 출천(出天)했으며, 문장이 뛰어났음. 아버지 김식(金湜) 문하에서 신명인(申命仁)ㆍ오희안(吳希顔) 등과 함께 수학했으며, 문하에서 이언적(李彦迪)ㆍ윤근수(尹根壽) 등이 배출되었음.
1500~1552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청풍 , 인명>관인>문신
-
경진(景眞)@정창연 - 정창연(鄭昌衍)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동래(東萊). 정유길(鄭惟吉)의 아들로, 좌의정(左議政) 등을 지냄. 1614년(광해군 6)에 영창대군(永昌大君)에 대한 상소로 위험에 처한 정온(鄭蘊)을 변호하고, 폐모(廢母) 논의가 일자 두문불출하다가 인조반정 이후 복직함.
1552~1636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동래 , 인명>관인>문신
-
경진(景禛) - 신경진(申景禛)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ㆍ무신. 본관은 평산(平山). 신립(申砬)의 아들이며 김장생(金長生)의 문인. 인조반정(仁祖反正)에 가담하여 정사공신(靖社功臣)에 책록되고 평성군(平城君)에 봉해짐. 병자호란 때 남한산성(南漢山城)을 수비하고, 영의정(領議政)에 오름.
1575~1643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무신ㅣ인명>관인>문신
-
경진(景進)@김신국 - 김신국(金藎國)
조선 선조(宣祖)~효종(孝宗) 때의 문신. 본관은 청풍(淸風). 임진왜란(壬辰倭亂)이 일어나자 의병을 일으킴. 1613년(광해군 5)에 익사공신(翼社功臣)에 책록되고 청릉군(淸陵君)에 봉해짐. 영중추부사(領中樞府事) 등을 지냄.
1572~1657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충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경진(景進) - 박점(朴漸)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고령(高靈). 박세정(朴世貞)의 아들로, 이조 참의(吏曹參議) 등을 역임하였으나 당쟁(黨爭)에 휘말려 삭탈관직 된 후 벼슬길에 나아가지 않음.
1532~?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고령 , 인명>관인>문신
-
경진(景震) - 이경진(李景震)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덕수(德水)로, 남부 참봉(南部參奉) 이선(李璿)의 아들이자 율곡(栗谷) 이이(李珥)의 조카. 성혼(成渾)의 문인으로, 참봉(參奉)에 제수되었으나 나아가지 않음.
1559~1594 한국>조선후기 , 황해도>해주ㅣ서울 , 인명>문사>학자
-
경진재(景進齋) - 민응기(閔應祺)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학자ㆍ문신. 본관은 여흥(驪興). 이황(李滉)의 문인으로, 광해군(光海君)의 사부(師傅)를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영천(榮川)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경질(敬質) - 김지경(金之慶)
조선 세종(世宗)~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선산(善山). 중종(中宗) 때 좌의정을 지낸 김응기(金應箕)의 아버지로, 공조 참판(工曹參判)ㆍ대사헌(大司憲) 등을 지냄.
1419~1485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선산 , 인명>관인>문신
-
경질(景質)@남수문 - 남수문(南秀文)
조선 세종(世宗)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고성(固城). 집현전(集賢殿)ㆍ예문관(藝文館) 등에서 벼슬하며 세종의 여러 대군들에게 글을 가르침. 저서로 《경재유고(敬齋遺稿)》가 있음.
1408~1442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고성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경질(景質) - 안원(安瑗)
고려 공민왕(恭愍王)~조선 태종(太宗) 때의 문신. 본관은 순흥(順興). 조선 건국 후 정치 참여를 거부하였으나, 태종(太宗)의 간청으로 사은사(謝恩使)가 되어 명 나라에 다녀왔으며, 외척으로서 횡포를 부리던 민무구(閔無咎) 형제를 탄핵하였음.
1346~1411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영천(榮川) , 인명>관인>문신
-
경질(景質)@이희검 - 이희검(李希儉)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전주(全州). 호조(戶曹)ㆍ형조(刑曹)ㆍ병조(兵曹)의 판서(判書)를 지내고, 지경연사(知經筵事)를 지냄.
1516~1579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관인>문신
-
경징군(慶徵君) - 이연(李延)
조선 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청주(淸州). 사재 주부(司宰主簿) 등을 지냈으며, 지극한 효성에 대한 일화가 남효온(南孝溫)의 《추강냉화(秋江冷話)》에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청주 , 인명>관인>문신
-
경차관(敬差官) - 통신사(通信使)
고려 말부터 조선시대에 걸쳐 일본 막부(幕府)의 장군에게 파견한 공식적인 외교 사절.
1375?~1876 한국>조선시대ㅣ한국>고려후기 , 법제>제도
-
경참(景參) - 김로(金魯)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ㆍ서예가. 본관은 안동(安東). 대사헌을 지낸 김희수(金希壽)의 아들로 부자가 모두 명필로 유명하였으며, 그의 필적으로 글씨를 새겨 간행한 《이가서법(二家書法)》이 있음.
1498~1548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예술인>서화가ㅣ인명>관인>문신
-
경창(慶昌)@안경창 - 안경창(安慶昌)
조선 후기의 처사(處士). 천민 출신으로 어렸을 때 화장사(花庄寺)에서 공부하며 기이한 행적을 남기고, 이언적(李彦迪)ㆍ이황(李滉)ㆍ이이(李珥) 및 조식(曺植)ㆍ노사신(盧思愼) 등 당시 명유들과 교유하였다고 함.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개성 , 인명>기타인명>기타인물
-
경창(慶昌)@남경창 - 남경창(南慶昌)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의령(宜寧)으로, 유학 남초(南怊)의 아들. 1564년(명종 19) 생원시(生員試)에 입격하였고, 옥봉(玉峯) 백광훈(白光勳)과 교유함.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연산 , 인명>문사>유학
-
경창(慶昌)@최경창 - 최경창(崔慶昌)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ㆍ시인. 박순(朴淳)의 문인으로, 문장과 학문에 뛰어나 이이(李珥)ㆍ송익필(宋翼弼) 등과 함께 팔문장(八文章)으로 불리고 당시(唐詩)에도 능하여 삼당시인(三唐詩人)으로도 불림. 종성 부사(鍾城府使) 등을 지냄.
1539~1583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영암ㅣ서울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경창(慶昌)@홍경창 - 홍경창(洪慶昌)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남양(南陽). 홍계강(洪係江)의 아들로, 안동 부사(安東府使)ㆍ봉상시 부정(奉常寺副正) 등을 지냄.
?~1523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경창(慶昌) - 전경창(全慶昌)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경산(慶山)으로 전순(田珣)의 아들. 1573년(선조 6) 식년문과에 급제하고, 검열(檢閱)ㆍ정언(正言) 등을 지냄. 이황(李滉)의 학통을 이었으며, 대구 연경서원(硏經書院)에 제향됨.
1532~1585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경산 , 인명>관인>문신
-
경창(景昌) - 현경창(玄景昌)
조선 후기의 유학. 본관은 성주(星州)로, 진사(進士) 현적(玄績)의 아버지.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성주 , 인명>문사>유학
-
경창대군(慶昌大君) - 왕유(王瑜)
고려 후기의 종친. 보성군(寶城君) 왕희(王熙)의 아들. 《목은고(牧隱藁)》의 〈양주통도사석가여래사리지기(梁州通度寺釋迦如來舍利之記)〉에 그와 관련한 기록이 남아 있음.
?~1369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개성 , 인명>왕실>종친
-
경천(慶千) - 서경천(徐慶千)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무신. 본관은 이천(利川). 동래 부사(東萊府使) 등을 역임함.
1505~1558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이천 , 인명>관인>무신
-
경천(擎天) - 백우경(白宇經)
신라 선덕왕(善德王) 때의 귀화인. 당(唐) 나라 소주(蘇州) 사람으로 이부 상서(吏部尙書)을 지냈으나, 모함을 받고 신라로 망명함. 수원백씨(水原白氏)의 시조.
한국>신라 , 경상도>경주 , 인명>기타인명>귀화인
-
경천(景倩) - 원찬(袁粲)
중국 남북조시대 송(宋) 나라의 문신ㆍ문인. 송 왕조에서 주요 관직을 거치다가 제(齊) 왕조가 들어서자 한 몸으로 다른 성의 군주를 섬길 수 없다 하여 절개를 지키다가 죽임을 당함.
419~477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경천(鏡川) - 양수진(楊守陳)
중국 명(明) 나라 대종(代宗)~효종(孝宗) 때의 문신. 헌종(憲宗) 때 《문화대훈(文華大訓)》을 편찬하고, 효종 때 《헌종실록(憲宗實錄)》 편찬에 참여하였으며, 이부 우시랑(吏部右侍郞) 등을 역임함.
1425~1489 중국>명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경천흥(慶千興) - 경복흥(慶復興)
고려 공민왕(恭愍王) 때의 문신. 기철(奇轍)을 숙청하여 1등 공신에 책록되고, 홍건적을 물리친 공으로 진충동덕협보공신(盡忠同德協輔功臣)의 호를 받음. 신돈(辛旽)을 제거하려다 유배되었으나, 신돈이 주살된 후 다시 좌시중(左侍中)이 됨.
?~1380 한국>고려후기 , 충청도>청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경첨(敬瞻) - 정식(鄭軾)
조선 세종(世宗)~세조(世祖) 때의 문신. 정자신(鄭自新)의 아들이며, 이극근(李克勤)의 문인. 세조 초에 좌익 원종공신(佐翼原從功臣)에 책록되고, 조선 초기의 군사제도와 군적정리에 공을 세움.
1407~1467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나주 , 인명>관인>문신
-
경청(景淸) - 이징(李澄)@이황의형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진보(眞寶). 퇴계(退溪) 이황(李滉)의 형으로, 제원도 찰방(濟原道察訪)을 지냄.
1498~1582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예안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경초(景初)@권욱 - 권욱(權旭)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 현감을 지낸 권심언(權審言)의 아들로 장흥고 봉사(長興庫奉事) 등을 지냈고, 정탁(鄭琢)과 함께 《심경(心經)》을 강론함.
1556~1612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예천 , 인명>관인>문신
-
경초(景初) - 민순(閔純)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여흥(驪興). 신광한(申光漢)ㆍ서경덕(徐敬德)의 문하에서 수학하고, 향리에서 후진 교육에 힘씀.
1519~1591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여주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경초(景初)@손방 - 손방(孫昉)
중국 송(宋) 나라의 태의(太醫). 스스로 ‘불탐불투 포난즉휴(不貪不妒飽暖卽休)’라 하여 물욕 없는 편안한 삶의 자세를 추구하였음.
중국>송 , 중국 , 인명>기술인>의원
-
경초(景初)@부백성 - 부백성(傅伯誠)
중국 송(宋) 나라의 문신. 부백수(傅伯壽)의 아우로, 어릴 때부터 주자(朱子)에게서 배움. 이종(理宗)이 즉위했을 때 현모각 학사(顯謨閣學士)로 삼으려 했으나 나아가지 않음.
1143~1226 중국>송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경추(景樞) - 권응성(權應星)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유학. 본관은 안동(安東)으로, 훈도(訓導) 권윤(權綸)의 아들. 1558년(명종 13) 진사시(進士試)에 입격하였고, 권호문(權好文)ㆍ반홍(潘洪)과 시문(詩文)으로 교유함.
1530~?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문사>유학
-
경추(景秋) - 김경추(金景秋)
조선 후기의 유학ㆍ문인. 본관은 김해(金海)로, 교수(敎授) 김아(金雅)의 아들. 양응정(梁應鼎)의 문인으로, 백광훈(白光勳)ㆍ임제(林悌)ㆍ기대승(奇大升) 등과 교유하였고, 문장가로 유명함.
1520~1612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장흥 , 인명>문사>문인ㅣ인명>문사>유학
-
경춘(慶春) - 남경춘(南慶春)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의령(宜寧). 남맹하(藍孟夏)의 아버지로, 통례(通禮)를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의령 , 인명>관인>문신
-
경춘(景春) - 박인을(朴仁乙)
고려 후기의 문신. 지간성군사(知杆城郡事)를 지냈으며, 이색(李穡)의 《목은문고(牧隱文稿)》에 그에게 지어준 자설(字說)이 실려 있음.
한국>고려후기 , 강원도>간성 , 인명>관인>문신
-
경춘헌(景春軒) - 박인년(朴引年)
조선 문종(文宗)~세조(世祖) 때의 문신. 집현전 교리(集賢殿校理) 등을 지냈으나, 단종복위운동(端宗復位運動)에 참가하였다가 처형됨.
?~1456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순천 , 인명>관인>문신
-
경충(敬忠)@함경충 - 함경충(咸敬忠)
조선 전기의 유학. 김안국(金安國)의 문하에서 학문을 하였는데, 그에게 청하여 자(字)를 지어 받았음이 《모재집(慕齋集)》에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함경도>길성 , 인명>문사>유학
-
경충(敬忠) - 양경충(楊敬忠)
중국 당(唐) 나라 현종(玄宗) 때의 문신. 하서 절도사(河西節度使) 등을 지냈으며, 선악(仙樂)인 예상우의곡(霓裳羽衣曲)을 지어 바쳤다고 함.
중국>당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경충(景忠) - 이경충(李景忠)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전주(全州). 군수(郡守) 이감(李鑑)의 아버지로, 남양도호부사(南陽都護府使) 등을 지냄.
1485~1537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관인>문신
-
경충(鏡忠) - 이경충(李鏡忠)
조선 후기의 종친. 오위장(五衛將) 이선(李選)의 사위.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경침(景琛) - 한경침(韓景琛)
조선 성종(成宗)의 부마(駙馬). 본관은 청주(淸州). 한명회(韓明澮)의 손자이며, 한보(韓堡)의 아들로, 성종의 세 번째 서녀(庶女)인 공신옹주(恭愼翁主)와 혼인하였으며, 청녕위(淸寧尉)에 봉해짐.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청주 , 인명>왕실>인척
-
경태(景泰) - 대종(代宗)@명
중국 명(明) 나라의 제7대 황제. 재위 1449~1457. 북방민족에게 포로가 된 영종(英宗)을 대신해 황제에 올랐다가, 석방되어 돌아온 영종에 의해 쫓겨남.
1428~1457 중국>명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경태제(景泰帝) - 대종(代宗)@명
중국 명(明) 나라의 제7대 황제. 재위 1449~1457. 북방민족에게 포로가 된 영종(英宗)을 대신해 황제에 올랐다가, 석방되어 돌아온 영종에 의해 쫓겨남.
1428~1457 중국>명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경택(景擇) - 김상용(金尙容)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 돈녕부 도정 김극효(金克孝)의 아들이며, 성혼(成渾)과 이이(李珥)의 문인(門人). 병자호란(丙子胡亂) 때 왕족을 호종하고 강화(江華)로 갔다가 강화성(江華城)이 함락되자 자결함.
1561~1637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경통(敬通) - 풍연(馮衍)
중국 후한(後漢) 때의 무신. 신(新) 나라 왕망(王莽) 때 산동(山東) 정벌에 나선 염단(廉丹)에게 왕망을 버리고 한(漢)을 부흥시킬 것을 제의하였으나 실패함. 망명하여 광무제(光武帝)에게 귀의하였으며, 사례종사(司隸從事) 등을 역임함.
중국>후한ㅣ중국>신 , 중국 , 인명>관인>무신
-
경퇴보(慶退父) - 경섬(慶暹)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본관은 청주(淸州). 통신부사(通信副使)가 되어 임진왜란(壬辰倭亂) 후 첫 번째 사절로 일본에 건너가 국교를 다시 열게 하고 임진왜란 때의 포로 1,340명을 데리고 돌아옴.
1562~1620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청주 , 인명>관인>문신
-
경퇴재(景退齋)@이천상 - 이천상(李天相)
조선 인조(仁祖)~숙종(肅宗) 때의 학자. 본관은 전의(全義)로, 통덕랑(通德郞) 이군정(李君靖)의 아들. 배유장(裵幼樟)의 문인으로 성리학에 정통함.
1637~1708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영천(榮川) , 인명>문사>학자
-
경퇴재(景退齋) - 민응기(閔應祺)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학자ㆍ문신. 본관은 여흥(驪興). 이황(李滉)의 문인으로, 광해군(光海君)의 사부(師傅)를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영천(榮川)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경파(景坡) - 소사식(蘇斯軾)
조선 성종(成宗) 때의 문신. 소우석(蘇禹錫)의 아들로, 1474년(성종 5) 식년시(式年試)에 급제하였고, 예조 좌랑(禮曹佐郞)ㆍ온성 판관(穩城判官) 등을 역임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진주 , 인명>관인>문신
-
경패(景伂) - 덕흥대원군(德興大院君)
조선 전기의 왕자. 조선 제11대 왕인 중종(中宗)의 아들이자, 제14대 왕인 선조(宣祖)의 아버지로, 명종(明宗)이 후사 없이 죽자 그의 셋째 아들 하성군(河城君) 이균(李鈞)이 즉위하여 선조가 되었고, 대원군에 추존됨.
1530~1559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왕자
-
경평(敬平) - 노숭(盧嵩)
고려 공민왕(恭愍王)~조선 태종(太宗) 때의 문신. 본관은 광주(光州). 조선 개국 후 개국원종공신에 녹훈되었고, 참찬의정부사(參贊議政府事)를 거쳐 검교우의정(檢校右議政)에 이르렀음.
1337~1414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전라도>광산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경평(景平) - 금시조(琴是調)
조선 인조(仁祖)~효종(孝宗) 때의 문신. 본관은 봉화(奉化). 금복고(琴復古)의 아들로, 1624년(인조 2) 식년시에 급제하여 봉상시 첨정(奉常寺僉正) 등을 지냄.
1584~1658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봉화 , 인명>관인>문신
-
경포고인(鏡浦高人) - 박시형(朴始亨)
조선 세조(世祖) 때의 문신. 본관은 강릉(江陵). 1459년(세조 5) 식년시(式年試)에 급제하였으며, 승지(承旨)를 지냄.
한국>조선전기 , 강원도>강릉 , 인명>관인>문신
-
경포산인(鏡浦山人) - 최수성(崔壽峸)
조선 중종(中宗) 때의 화가. 유학 최세효(崔世孝)의 아들이며 김굉필(金宏弼)의 문인으로, 조광조(趙光祖)ㆍ김정(金淨) 등과 교유함. 벼슬을 단념하고 시(詩)ㆍ서(書)ㆍ화(畵)ㆍ음악으로 일생을 보냈으나 신사무옥(辛巳誣獄)에 연루되어 처형됨.
1487~1521 한국>조선전기 , 강원도>강릉 , 인명>예술인>서화가
-
경하(傾河) - 은하(銀河)
밤하늘에 은백색(銀白色)으로 빛나는 띠 모양의 성군(星群). 칠석날에 견우(牽牛)와 직녀(織女)가 이 강을 건너 만난다는 전설이 있음.
자연물>천체
-
경학(京學) - 국자감(國子監)
고려시대에 유학을 가르치던 최고의 국립 교육 기관. 992년(성종 11)에 종래의 국학(國學)을 당ㆍ송(唐宋)의 제도를 참작하여 정식 교육기관으로 개편하고, 국자학ㆍ태학ㆍ사문학ㆍ율학ㆍ서학ㆍ산학 등의 전문 학과를 둠.
992 한국>고려시대 , 경기도>개성 , 법제>관청
-
경학원(經學院) - 성균관(成均館)
조선 태조(太祖) 7년에 인재양성을 위하여 서울 숭교방(崇敎坊)에 설치한 최고 교육기관. 문과(文科) 준비를 위한 유학 교육 전문기관으로, 공자(孔子)를 비롯하여 중국 및 우리나라 역대 성현들의 위패를 모셔놓은 문묘(文廟)와 유학(儒學)을 강론하는 명륜당(明倫堂), 동서재(東西齋) 등으로 이루어짐.
1398 한국>조선시대 , 서울 , 법제>관청
-
경함(景涵) - 이발(李潑)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광산(光山)으로, 이중호(李仲虎)의 아들. 동인(東人)의 거두로서 정철(鄭澈)의 처벌문제에 강경파를 이끌어 북인(北人)의 수령이 되었으며, 정여립(鄭汝立)의 옥사(獄事)에 연루되어 장살(杖殺)당함.
1544~1589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경함장령(景涵掌令) - 이발(李潑)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광산(光山)으로, 이중호(李仲虎)의 아들. 동인(東人)의 거두로서 정철(鄭澈)의 처벌문제에 강경파를 이끌어 북인(北人)의 수령이 되었으며, 정여립(鄭汝立)의 옥사(獄事)에 연루되어 장살(杖殺)당함.
1544~1589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경항(景恒) - 이경항(李景恒)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덕수(德水)로, 남부 참봉(南部參奉) 이선(李璿)의 아들이자 율곡(栗谷) 이이(李珥)의 조카. 형인 이경진(李景震)과 함께 성혼(成渾)에게 수학하였으며, 참봉(參奉)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서울ㅣ황해도>해주 , 인명>관인>문신
-
경해(傾海) - 홍윤성(洪允成)
조선 문종(文宗)~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회인(懷仁). 계유정난(癸酉靖難)에 적극 가담하고 세조(世祖)의 즉위를 도와 정난공신(靖難功臣)ㆍ좌익공신(佐翼功臣)에 책록됨. 성종의 즉위를 도와 좌리공신(佐理功臣)에도 책록되고, 영의정 등을 지냄.
1425~1475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홍산ㅣ충청도>회인ㅣ서울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경해(景海) - 유경해(柳景海)
조선 후기의 문신. 본관은 전주(全州). 사사(賜死)된 유진정(柳震楨)의 아버지이고, 내암(來庵) 정인홍(鄭仁弘)의 매부로, 군자감 정(軍資監正) 등을 지냄.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합천 , 인명>관인>문신
-
경해당(傾海堂) - 홍윤성(洪允成)
조선 문종(文宗)~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회인(懷仁). 계유정난(癸酉靖難)에 적극 가담하고 세조(世祖)의 즉위를 도와 정난공신(靖難功臣)ㆍ좌익공신(佐翼功臣)에 책록됨. 성종의 즉위를 도와 좌리공신(佐理功臣)에도 책록되고, 영의정 등을 지냄.
1425~1475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홍산ㅣ충청도>회인ㅣ서울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경행(敬行) - 민사도(閔思道)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여흥(驪興). 성수침(成守琛)의 사위로, 1542년(중종 37) 정시(庭試)에 합격하여 강령 현감(康翎縣監)ㆍ성균관 직강(成均館直講)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여주 , 인명>관인>문신
-
경행(景行)@신응개 - 신응개(申應凱)
조선 전기의 문신. 약포(藥圃) 정탁(鄭琢)과 교유하였으며, 통정대부(通政大夫)에 오름.
한국>조선후기 , 인명>관인>문신
-
경행(景行) - 유고지(庾杲之)
중국 남북조시대 제(齊) 나라의 문신ㆍ문인. 재상 왕검(王儉)의 막료를 지낸 일이 있으며, 가세가 청빈(淸貧)하여 조석 때마다 반찬이 오직 부추로 만든 음식뿐이었다고 함.
441~491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경허(景虛)@오여벌 - 오여벌(吳汝橃)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고창(高敞). 오운(吳澐)의 아들이며 정구(鄭逑)의 문인으로, 창원 부사(昌原府使) 등을 지냄. 저서로 《중국역대총론(中國歷代總論)》ㆍ《동국역대기사(東國歷代紀事)》 등이 있음.
1579~1635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고창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경허(景虛) - 고경허(高景虛)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제주(濟州). 서경덕(徐敬德)에게 수학하고, 공조 좌랑(工曹佐郞)으로 《중종실록(中宗實錄)》과 《인종실록(仁宗實錄)》편찬에 참여함.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제주 , 인명>관인>문신
-
경헌(敬憲) - 이계손(李繼孫)
조선 단종(端宗)~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여주(驪州). 평안도 관찰사(平安道觀察使)로 있을 때 향교를 후원하여 지방의 학문을 진작시켰으며, 병조 판서(兵曹判書) 등을 지냄.
1423~1484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여주 , 인명>관인>문신
-
경헌(敬軒)@익종 - 익종(翼宗)
조선 제23대 순조(純祖)의 세자. 1827년(순조 27) 순조의 명으로 대리청정을 시작하였으나 4년 만에 죽음. 아들 헌종(憲宗)이 즉위 후 익종으로 추존함.
1809~1830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왕실>국왕
-
경헌(敬軒)@주문좌 - 주문좌(周文佐)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상주(尙州). 주장손(周長孫)의 아들이며, 지지당(止止堂) 김맹성(金孟性)의 문인으로, 문장과 덕행이 뛰어나 세상에 중망을 얻음.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상주 , 인명>문사>유학
-
경헌(敬軒) - 설선(薛瑄)
중국 명(明) 나라의 문신ㆍ학자. 정주학파(程朱學派)의 이학(理學)을 계승하였으며, 이부우시랑(吏部右侍郞) 겸 한림학사(翰林學士) 등을 역임함. 저서에 《설문청집(薛文淸集)》이 있음.
1389~1464 중국>명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경헌(景憲) - 홍섬(洪暹)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남양(南陽). 홍언필(洪彦弼)의 아들이고, 조광조(趙光祖)의 문인으로, 김안로(金安老)ㆍ이량(李樑)ㆍ남곤(南袞)의 횡포를 탄핵하고, 영의정 등을 지냄. 문장에 능하고 경서에 밝으며, 청백리에 녹선됨.
1504~1585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남양 , 인명>관인>문신
-
경헌(景憲)@김경헌 - 김경헌(金景憲)
조선 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광산(光山).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창의(倡義)한 김광운(金光運)의 아버지로, 담양 부사(潭陽府使) 등을 지냄.
1514~?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나주 , 인명>관인>문신
-
경헌(景憲)@이경헌 - 이경헌(李景憲)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전주(全州). 소세양(蘇世讓)의 《양곡집(陽谷集)》에 그에게 주는 시가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문사>유학
-
경헌(景憲)@반경헌 - 반경헌(潘景憲)
중국 송(宋) 나라의 문신ㆍ학자. 반경유(潘景愈)의 형으로, 태평교수(太平敎授)를 역임하였으며, 여조겸(呂祖謙)과 교유함.
1134~1190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경헌(景獻)@이관 - 이관(李瓘)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함평(咸平). 이윤실(李允實)의 아들로, 한성부 우윤(漢城府右尹) 등을 지냄.
1523~?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함평 , 인명>관인>문신
-
경헌(景獻) - 송갑조(宋甲祚)
조선 광해군(光海君)~인조(仁祖) 때의 문신. 송시열(宋時烈)의 아버지로, 광해군 때 서궁(西宮)에 유폐된 인목대비(仁穆大妃)를 배알하였다가 유적(儒籍)에서 삭제되었으며, 인조반정(仁祖反正) 후 경기전 참봉(慶基殿參奉) 등을 지냄.
1574~1628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은진 , 인명>관인>문신
-
경헌공일기(景獻公日記) - 수옹일기(睡翁日記)
조선 인조(仁祖) 때의 문신인 송갑조(宋甲祚)가 쓴 일기. 1624년(인조 2)부터 1628년(인조 6)까지의 내란ㆍ외침 등 중요한 변란이 수록됨. 1800년(정조 24)에 5대손 송구상(宋龜相)이 2권 2책으로 편집하고 송환학(宋煥學)이 개간함.
1800 한국>조선후기 , 문헌>서명
-
경현(勁弦) - 음유우(陰幼遇)
중국 송(宋) 말~원(元) 초의 학자. 송 나라가 멸망하자 벼슬에 나아가지 않고 학문에 매진하여 《운부군옥(韻府群玉)》등의 저서를 남김.
중국>원ㅣ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경현(景玄) - 주방(周昉)
중국 당(唐) 나라의 화가. 궁정인물화 특히 사녀화(仕女畵)에 능했는데 우아하게 차려입고 한가하게 놀이를 즐기는 여인들의 풍만한 모습을 즐겨 그렸으며, 선주 자사(宣州刺史) 등을 역임함.
중국>당 , 중국 , 인명>예술인>서화가ㅣ인명>관인>문신
-
경현(景見) - 홍재룡(洪在龍)
조선 헌종(憲宗)~철종(哲宗) 때의 문신. 본관은 남양(南陽). 동부승지(同副承旨)ㆍ대사성(大司成)ㆍ광주 유수(廣州留守) 등을 지냈으며, 1844년(헌종 10) 딸이 헌종의 계비(繼妃) 명헌왕후(明憲王后)로 책봉되자, 익풍부원군(益豊府院君)에 봉해짐.
1794~1863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ㅣ인명>왕실>인척
-
경현(景顯) - 이석명(李碩明)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성주(星州)로, 이민선(李敏善)의 아버지. 정유길(鄭惟吉)ㆍ박순(朴淳)ㆍ구사맹(具思孟) 등과 교유하였고, 덕천 군수(德川郡守) 등을 지냄.
1513~1583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성주 , 인명>관인>문신
-
경현단(景賢壇) - 미원서원(迷源書院)
조선 효종(孝宗) 때 경기도 양근(楊根)에 건립한 서원. 조광조(趙光祖)ㆍ김식(金湜)ㆍ김육(金堉)ㆍ남언경(南彦經)ㆍ이제신(李濟臣)ㆍ김창흡(金昌翕) 등을 배향함. 지금의 경기도 가평군(加平郡)에 속함.
1656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양근 , 유적>건물>서원,향교
-
경현보유(景賢補遺) - 경현록(景賢錄)
조선 숙종(肅宗) 때의 학자인 김하석(金夏錫)이 한훤당(寒喧堂) 김굉필(金宏弼)의 시와 사적을 중심으로 유학자들의 글을 모아 엮은 책. 6권 3책. 도동서원(道東書院)에서 간행함.
1719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경주 , 문헌>서명
-
경현사(景賢祠) - 송곡서원(松谷書院)@永川
조선 숙종(肅宗) 때 경상도 영천(永川)에 건립한 서원. 1702년(숙종 28) 건립되어 유방선(柳方善)ㆍ곽순(郭珣)ㆍ이보흠(李甫欽)ㆍ이현보(李賢輔) 등을 배향함.
1702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영천(永川) , 유적>건물>서원,향교
-
경현원(景賢院) - 송곡서원(松谷書院)@永川
조선 숙종(肅宗) 때 경상도 영천(永川)에 건립한 서원. 1702년(숙종 28) 건립되어 유방선(柳方善)ㆍ곽순(郭珣)ㆍ이보흠(李甫欽)ㆍ이현보(李賢輔) 등을 배향함.
1702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영천(永川) , 유적>건물>서원,향교
-
경혜(敬惠) - 효현왕후(孝顯王后)
조선 제24대 헌종(憲宗)의 비(妃). 본관은 안동(安東). 영흥부원군(永興府院君) 김조근(金祖根)의 딸로, 왕후가 된지 2년 뒤에 병으로 죽어 경릉(景陵)에 안치됨.
1828~1843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왕실>왕비
-
경혜(敬惠)@인빈김씨 - 인빈김씨(仁嬪金氏)
조선 제14대 선조(宣祖)의 후궁. 본관은 수원(水原). 후궁 가운데 가장 왕의 총애를 받아 신성군(信城君) 이후(李珝) 등 4남 5녀를 둠.
1555~1613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왕실>후궁
-
경혜(景惠) - 허응(許應)
고려 공민왕(恭愍王)~조선 태종(太宗) 때의 문신. 본관은 양천(陽川). 고려 말에 이성계(李成桂)의 신진세력에 가담하여 시폐(時弊) 혁신과 전제(田制) 개혁을 주장하고, 조선 개국 후 배불정책(排佛政策)과 과부의 개가(改嫁) 금지 등을 주장함.
?~1411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기도>양천 , 인명>관인>문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