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경혜(景惠)@권 - 권전(權專)
조선 세종(世宗)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 한성부 윤(漢城府尹)을 지낸 권백종(權伯宗)의 아들이며, 문종(文宗)의 비(妃)인 현덕왕후(顯德王后)의 아버지로, 중추원사(中樞院事)ㆍ판한성부사(判漢城府事)를 지냄.
1371~1441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ㅣ인명>왕실>인척
-
경호(慶鎬) - 탁경호(卓慶鎬)
조선 후기의 유학. 본관은 광산(光山). 탁정화(卓挺華)의 아들.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광산 , 인명>문사>유학
-
경호(景浩)@이황 - 이황(李滉)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진보(眞寶). 주리론적(主理論的) 이기이원론(理氣二元論)을 주장한 영남학파(嶺南學派)의 종장(宗匠).
1501~1570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예안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경호(景浩) - 심수원(沈粹源)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무신. 본관은 삼척(三陟). 중종(中宗) 때 우참찬을 지낸 심언광(沈彦光)의 손자이며, 감찰(監察)을 지낸 심열(沈說)의 아버지. 부사용(副司勇)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강원도>삼척 , 인명>관인>무신
-
경호(景虎)@문경호 - 문경호(文景虎)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본관은 남평(南平)으로, 정인홍(鄭仁弘)의 문인. 임진왜란 때 곽재우(郭再祐)와 함께 의병으로 활동하였으나, 김천 찰방(金泉察訪)으로 있을 때 스승을 배반했다 하여 삭탈관직을 당함.
1556~1620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합천 , 인명>관인>문신
-
경호(景虎) - 권경호(權景虎)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으로, 안동 부사(安東府使) 권소(權紹)의 아들. 임진왜란 때 김성일(金誠一)의 천거로 함창(咸昌) 일대의 소모관(召募官)으로 활동했으며, 장성 군수(長城郡守)ㆍ사헌부 감찰(司憲府監察) 등을 지냄.
1546~1609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함창 , 인명>관인>문신
-
경호(鏡湖)@최치운 - 최치운(崔致雲)
조선 태종(太宗)~세종(世宗) 때의 문신. 본관은 강릉(江陵). 예문관 제학(藝文館提學)ㆍ이조 판서(吏曹判書) 등을 지냈으나, 술을 지나치게 좋아하여 왕이 친서(親書)로 절제하게 하자, 그 글을 벽에 걸어 놓고 출입할 때마다 바라보았다고 함.
1390~1440 한국>조선전기 , 강원도>강릉 , 인명>관인>문신
-
경호(鏡湖)@경포호 - 경포호(鏡浦湖)
강원도 강릉 저동(苧洞)에 있는 호수. 호숫물이 거울과 같이 맑다고 하여 경호(鏡湖)로도 불리며, 예로부터 네 개의 달이 뜬다는 말이 전함.
강원도>강릉 , 지명>자연지명
-
경호(鏡湖)@경포 - 경포(鏡浦)
강원도 강릉(江陵)에 있는 고을 이름. 관동(關東)의 명승지로, 경포호(鏡浦湖)에는 송시열(宋時烈)이 쓴 조암(鳥岩)이라는 글씨가 남아 있음.
강원도>강릉 , 지명>행정지명
-
경호(鏡湖)@심장원 - 심장원(沈長源)
조선 선조(宣祖) 때의 유학. 본관은 삼척(三陟). 중종(中宗) 때 우참찬을 지낸 심언광(沈彦光)의 손자로, 진사시에 합격했으나 문과에 급제하지 못하고 강릉(江陵)으로 낙향하여 여생을 보냄.
1531~1607 한국>조선후기 , 강원도>강릉 , 인명>문사>유학
-
경호당(鏡湖堂) - 김덕장(金德璋)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유학. 본관은 강릉(江陵). 구사맹(具思孟)ㆍ이이(李珥)ㆍ이우(李瑀) 등과 교유하여, 《팔곡집(八谷集)》ㆍ《율곡전서(栗谷全書)》ㆍ《옥산시고(玉山詩稿)》에 시(詩)가 실려 있음.
1531~? 한국>조선전기 , 강원도>강릉 , 인명>문사>유학
-
경혼(景混) - 심장원(沈長源)
조선 선조(宣祖) 때의 유학. 본관은 삼척(三陟). 중종(中宗) 때 우참찬을 지낸 심언광(沈彦光)의 손자로, 진사시에 합격했으나 문과에 급제하지 못하고 강릉(江陵)으로 낙향하여 여생을 보냄.
1531~1607 한국>조선후기 , 강원도>강릉 , 인명>문사>유학
-
경홍(景弘) - 최경홍(崔景弘)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경주(慶州). 찬성(贊成) 최숙생(崔淑生)의 아들로, 승문원 정자(承文院正字)를 지냄.
1493~?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경홍(景洪) - 한호(韓濩)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ㆍ서예가. 본관은 삼화(三和). 글씨를 잘 써서 외교문서 등을 맡아 썼으며, 중국에 사절이 갈 때도 서사관으로 파견되어 정묘한 필치로 명성을 떨침. 김정희(金正喜)와 쌍벽을 이루는 서예가로서, 사자관체(寫字官體)라는 서체가 그로부터 형성됨.
1543~1605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개성 , 인명>예술인>서화가ㅣ인명>관인>문신
-
경화(景和)@금응석 - 금응석(琴應石)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봉화(奉化). 이황(李滉)의 문인이며, 이해(李瀣)의 아들 이교(李㝯)의 장인. 주부(主簿)를 지냈으며, 기근 때 빈민을 구휼하고 종자(種子)를 나눠 주는 등 선행을 베풀었다 함.
1508~1583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봉화 , 인명>관인>문신
-
경화(景和) - 김덕함(金德諴)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상주(尙州). 김홍(金洪)의 아들로, 인목대비(仁穆大妃) 폐모론에 반대하여 유배되었다가 인조반정(仁祖反正)으로 복직되어 대사헌(大司憲)을 지냄.
1562~1636 한국>조선후기 , 황해도>배천 , 인명>관인>문신
-
경황제(敬皇帝) - 효종(孝宗)@명
중국 명(明) 나라의 제9대 황제. 재위 1487~1505. 헌종(憲宗)의 셋째 아들로, 어머니는 숙비 기씨(淑妃紀氏). 전대의 폐정(弊政)을 숙정하고 명신현량(名臣賢良)을 선용하였으며, 《대명률(大明律)》을 개정하여 《문형조례(問刑條例)》를 반포하였고, 《대명회전(大明會典)》을 개편하는 등 법규를 정비하여 내정에 치적을 쌓음.
1470~1505 중국>명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경황제(景皇帝)@도종 - 도종(度宗)
중국 송(宋)의 제15대 황제. 재위 1264~1274. 이종(理宗)의 조카며 복왕(福王)의 아들로 재임 중 권신(權臣)과 간신(姦臣)들이 권력을 잡았음
1240~1274 중국>송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경황제(景皇帝)@경제 - 경제(景帝)@삼국(오)
중국 삼국시대 오(吳) 나라의 제3대 황제. 재위 258~264. 대제(大帝: 손권(孫權))의 여섯째 아들로, 아우 폐제(廢帝: 손량(孫亮))가 폐위된 뒤 손침(孫綝)의 옹립을 받아 등극함. 제도를 혁신하고 백성들에게 은혜를 베풀어 나라의 번영을 꾀함.
235~264 중국>삼국시대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경황제(景皇帝) - 대종(代宗)@명
중국 명(明) 나라의 제7대 황제. 재위 1449~1457. 북방민족에게 포로가 된 영종(英宗)을 대신해 황제에 올랐다가, 석방되어 돌아온 영종에 의해 쫓겨남.
1428~1457 중국>명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경회(慶會)@최경회 - 최경회(崔慶會)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해주(海州). 임진왜란 때 의병을 일으켜 크게 활약하다가 진주성(晉州城) 싸움에서 성이 함락되자 남강(南江)에 투신자살함. 진주 창렬사(彰烈祠) 등에 제향되고 좌찬성(左贊成)에 추증됨.
1532~1593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능성 , 인명>관인>문신
-
경회(慶會) - 윤구(尹遘)
조선 성종(成宗) 때의 문신. 추강(秋江) 남효온(南孝溫)과 교유하였으며, 사복시 판관(司僕寺判官)을 역임함.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장흥 , 인명>관인>문신
-
경회(景晦) - 이염(李爓)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성주(星州)로, 이충건(李忠楗)의 아들. 1544년(중종 39)에 별시(別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한림학사(翰林學士)ㆍ이조 정랑(吏曹正郞) 등을 지냈으나, 을사사화(乙巳士禍)에 연루되어 효수당함. 저서로 《정서류편(征西類編)》이 있음.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경회(景晦)@김은휘 - 김은휘(金殷輝)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본관은 광산(光山). 정지운(鄭之雲)의 문인(門人)이며,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의병을 모집하여 체찰사(體察使) 정철(鄭澈)의 종사관(從事官)으로 종군하였고, 광주 목사(廣州牧使) 등을 역임함.
1541~1611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광산 , 인명>관인>문신
-
경회(景晦)@고현 - 고현(高晛)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무신. 본관은 제주(濟州). 영성군(瀛城君) 고희(高曦)의 동생. 임진왜란 때 왕을 의주까지 호위한 공으로 원종공신(原從功臣)에 책록됨.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제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무신
-
경회(景晦)@성세장 - 성세장(成世章)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인. 본관은 창녕(昌寧)으로, 감찰(監察)을 지낸 성희문(成希文)의 아들. 김안국(金安國)의 문인으로, 예조 판서(禮曹判書) 등을 지내고 청백리(淸白吏)에 녹선됨.
1506~1583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경효(敬孝)@공민왕 - 공민왕(恭愍王)
고려 제31대 왕. 재위 1351~1374. 반원정책(反元政策)을 중심으로 한 개혁정치를 통하여 고려의 중흥을 모색함.
1330~1374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개성 , 인명>왕실>국왕
-
경효(敬孝) - 진안대군(鎭安大君)
조선 제1대 태조(太祖)의 첫째 아들. 신의왕후(神懿王后) 한씨(韓氏)의 소생으로, 고려 창왕(昌王) 때 밀직부사(密直副使)로서 강회백(姜淮伯)과 함께 명 나라에 파견되어 창왕의 친조(親朝)를 청하였으며, 조선 개국 후 진안군(鎭安君)에 봉해짐.
1354~1393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ㅣ인명>왕실>왕자
-
경효(敬孝)@이염 - 영응대군(永膺大君)
조선 제4대 세종(世宗)의 여덟째 아들. 본관은 전주(全州). 어머니는 소헌왕후(昭憲王后) 심씨(沈氏). 정충경(鄭忠敬)ㆍ송복원(宋復元)의 딸과 혼인하였으며, 《명황계감(明皇誡鑑)》의 가사를 한글로 번역하고, 글씨ㆍ그림ㆍ음률(音律)에 능함.
1434~1467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왕자
-
경효대왕(敬孝大王) - 공민왕(恭愍王)
고려 제31대 왕. 재위 1351~1374. 반원정책(反元政策)을 중심으로 한 개혁정치를 통하여 고려의 중흥을 모색함.
1330~1374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개성 , 인명>왕실>국왕
-
경후(敬侯)@곽영 - 곽영(郭永)
중국 삼국시대 위(魏) 나라의 문신. 문제(文帝)의 황후인 문덕곽황후(文德郭皇后)의 아버지로, 관직은 태수(太守)에 이름.
중국>삼국시대 , 중국 , 인명>관인>문신ㅣ인명>왕실>인척
-
경후(敬侯)@두연년 - 두연년(杜延年)
중국 전한(前漢) 소제(昭帝)~선제(宣帝) 때의 문신. 어사대부(御史大夫)가 되어 곽광(霍光)과 함께 국정을 조율하여 현사(賢士)로 칭송됨. 공신으로 기린각(麒麟閣)에 화상이 걸림.
?~B.C.52 중국>전한 , 중국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경후(敬侯) - 김일제(金日磾)
중국 전한(前漢) 무제(武帝)~소제(昭帝) 때의 문신. 흉노(匈奴) 출신으로, 무제의 유명(遺命)을 받고 상홍양(桑弘羊)과 함께 어린 황제 소제를 보필함.
중국>전한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경후(敬侯)@화흠 - 화흠(華歆)
중국 후한(後漢)~삼국시대 위(魏) 나라의 문신. 병원(邴原)ㆍ관녕(管寧) 등과 절친하여, 당시 사람들이 화흠을 용의 머리, 병원을 용의 배, 관녕을 용의 꼬리라 칭함. 동한(東漢) 환제(桓帝) 때 상서령(尙書令)에 이르고 위 나라에서는 태위(太尉)에 이름.
157~231 중국>후한ㅣ중국>삼국시대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경후(景侯)@경공 - 경공(景公)@춘추전국(채)
중국 춘추전국시대(春秋戰國時代) 채(蔡) 나라의 제후(諸侯). 재위 B.C.591~B.C.543.
?~B.C.543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왕실>제후
-
경휘(慶徽) - 이경휘(李慶徽)
조선 인조(仁祖)~현종(顯宗) 때의 문신. 본관은 경주(慶州)로, 이시발(李時發)의 아들. 춘추관 기사관(春秋館記事官)으로서 《인조실록(仁祖實錄)》 편찬에 참여하고, 이조 판서(吏曹判書) 등을 지냄.
1617~1669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경휘(景徽) - 송무원(宋婺源)
조선 숙종(肅宗)~영조(英祖) 때의 문신. 송시열(宋時烈)의 증손이며, 통덕랑(通德郞) 송회석(宋晦錫)의 아들. 숙종이 황단(皇壇)에 친사(親祀)할 때 최석정(崔錫鼎)의 수상(首相) 임명을 반대하여 유배됨. 왕명으로 《송자대전(宋子大全)》의 간행을 주관함.
1677~1736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여주 , 인명>관인>문신
-
경휘(景撝) - 이극증(李克增)
조선 문종(文宗)~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광주(廣州). 이인손(李仁孫)의 아들로, 익대공신(翊戴功臣)과 좌리공신(佐理功臣)에 책록되었으며, 한성부 판윤(漢城府判尹) 등을 역임함.
1431~1494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광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경휴(景休)@유대정 - 유대정(兪大禎)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본관은 기계(杞溪)로, 단성 현감(丹城縣監) 유호(兪灝)의 아들. 기축옥사(己丑獄死)에 관련되어 파직되었다가 다시 등용되었으며, 황해도 관찰사(黃海道觀察使) 시절 이이첨(李爾瞻) 등 대북파(大北派)의 전횡이 심하자 사직하고 낙향함.
1552~1616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경휴(景休)@이무강 - 이무강(李無疆)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양성(陽城). 《중종실록(中宗實錄)》 편찬에 참여함. 소윤(小尹) 일파 이기(李芑)의 사주를 받아 구수담(具壽聃)ㆍ허자(許磁)ㆍ송순(宋純)ㆍ이준경(李浚慶) 등을 모함하여 유배보냈으나 그 일이 발각되자 죄를 받고 유배지에서 죽음.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양성 , 인명>관인>문신
-
경휴(景休)@금봉서 - 금봉서(琴鳳瑞)
조선 전기의 문신. 시문에 능하여 퇴계 이황(李滉)의 문집을 교열했으며, 송암(松巖) 권호문(權好文)과 교유함.
한국>조선전기 , 인명>관인>문신
-
경휴(景休) - 노상(盧祥)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유학. 본관은 풍천(豊川). 대사헌(大司憲)을 지낸 노진(盧禛)의 사촌 형으로 노진에게 학문을 가르침.
1504~1574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함양 , 인명>문사>유학
-
경흥(慶興)@강릉 - 강릉(江陵)
강원도의 태백산맥(太白山脈) 동쪽에 있는 고을 이름.
강원도>강릉 , 지명>행정지명
-
경흥(景興)@치초 - 치초(郗超)
중국 남북조시대 진(晉) 나라의 문신. 치음(郗愔)의 아들로, 모반(謀反)을 꾀하던 환온(桓溫)의 막하(幕下)가 되어 여러 가지 일을 획책함. 성품이 은일(隱逸)을 좋아하여 대규(戴逵)를 위해 섬계(剡溪)에다 집을 지어주었다 하며, 승려인 지둔(支遁)과 친교함.
336~377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경흥군(慶興君) - 홍자번(洪子藩)
고려 원종(元宗)~충렬왕(忠烈王) 때의 문신. 홍예(洪裔)의 아들로 좌복야 참지광정원사(左僕射參知光政院事) 등을 지냈으며, 충렬왕ㆍ충선왕(忠宣王) 부자 사이의 갈등을 해소하고 정의(情誼)를 회복시키는 데 진력함.
1237~1306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남양 , 인명>관인>문신
-
경흥부수(慶興副守) - 이춘원(李春元)
조선 전기의 종친. 정종(定宗)의 열 번째 서자인 덕천군(德川君) 이후생(李厚生)의 증손이며, 처인수(處仁守) 이성종(李盛終)의 넷째 아들.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경흥부원군(慶興府院君) - 최필달(崔必達)
고려 태조(太祖) 때의 문신. 강릉최씨(江陵崔氏) 경주계(慶州系)의 시조. 고려 개국에 공을 세워 삼한벽상개국찬화공신(三韓壁上開國贊化功臣)에 책록되고 삼중대광(三重大匡) 영첨의좌정승(領僉議左政丞)에 오름.
한국>고려전기 , 강원도>강릉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경희(慶禧) - 이경희(李慶禧)
조선 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전의(全義). 장령(掌令) 이경우(李慶祐)의 동생으로, 목사(牧使) 등을 지냄.
1508~?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경희(景希) - 진덕수(眞德秀)
중국 송(宋) 나라 영종(寧宗)~이종(理宗) 때의 문신ㆍ학자. 참지정사(參知政事)를 지내고, 주희(朱熹)의 학통을 이어받아 이기이원론(理氣二元論)을 주장함. 저서에 《대학연의(大學衍義)》ㆍ《서산집(西山集)》이 있음.
1178~1235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경희(景禧)@윤경희 - 윤경희(尹景禧)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현풍(玄風). 윤남(尹柟)의 아들로, 1562년(명종 17) 별시 문과(別試文科)에 급제하였으며, 신천 군수(信川郡守) 등을 역임함.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경희(景禧)@권경희 - 권경희(權景禧)
조선 성종(成宗)~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 예조 참판(禮曹參判)ㆍ사헌부 대사헌(司憲府大司憲)을 지냄.
1451~1497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지평 , 인명>관인>문신
-
경희(景禧) - 왕우(王瑀)@공양왕의동생
고려 공양왕(恭讓王) 때의 종친. 신종(神宗)의 7대손이며 공양왕(恭讓王)의 아우. 조선 개국 후 왕씨 일족이 유폐될 때, 고려 왕조의 제사를 받들기 위해 화를 면함.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기도>개성 , 인명>왕실>왕자
-
경희(景禧)@신경희 - 신경희(申景禧)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평산부원군(平山府院君) 신잡(申磼)의 아들. 음보(蔭補)로 임관되어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권율(權慄)의 휘하에 종군함. 반역을 모의했다는 대북(大北)의 무고로 장살(杖殺)됨.
?~1615 한국>조선후기 , 황해도>평산 , 인명>관인>문신
-
경희(璟希) - 김경희(金璟希)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청풍(淸風). 대사헌(大司憲)을 지냈으며, 개국공신(開國功臣)으로 청풍군(淸風君)에 봉해졌음. 양진재(養眞齋) 김우홍(金禹洪)의 고조부.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청풍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계(啓)@미자 - 미자(微子)
중국 은(殷) 나라의 마지막 왕인 주왕(紂王)의 서형(庶兄). 주(周) 나라 성왕(成王)이 무경(武庚)의 난을 평정한 뒤 송(宋) 나라에 봉하고 은(殷) 나라의 제사를 맡김. 기자(箕子)ㆍ비간(比干)과 함께 은 나라의 3인(仁)으로 일컬어짐.
중국>은 , 중국 , 인명>왕실>왕자
-
계(啓)@김계 - 김계(金啓)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부안(扶安)으로, 생원 김석옥(金錫沃)의 아들. 한어(漢語)에 능통하여 승문원 부제조로 발탁되었으며, 이황(李滉)ㆍ김인후(金麟厚)ㆍ기대승(奇大升)ㆍ이이(李珥) 등과 도학(道學)을 강론하였음.
1528~1574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부안 , 인명>관인>문신
-
계(啓)@금계 - 금계(琴啓)
조선 성종(成宗)~연산군(燕山君) 때의 무신. 금회(琴淮)의 아들로, 어머니를 봉양하기 위해 벼슬에 나가지 않다가 음보(蔭補)로 천거되어 충무위 부장(忠武衛部將)ㆍ군위 현감(軍威縣監) 등을 역임함.
1439~1496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봉화 , 인명>관인>무신
-
계(季) - 장석지(張釋之)
중국 전한(前漢) 문제(文帝)~경제(景帝) 때의 문신. 법을 엄히 지키고 죄인을 공평하게 다스려서 칭송을 받았고, 꿇어 앉아 처사(處士) 왕생(王生)의 대님을 매어 줌으로써 인품이 더욱 돋보였다는 일화가 있음.
중국>전한 , 중국 , 인명>관인>무신
-
계(桂) - 장계(張桂)
고려 충렬왕(忠烈王) 때의 문신. 인동장씨(仁同張氏)의 시조. 1305년(충렬왕 31)에 진사(進士)가 되고, 집현전 직제학(集賢殿直提學)을 지냄.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인동 , 인명>관인>문신
-
계(棨) - 유계(兪棨)
조선 인조(仁祖)~현종(顯宗)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기계(杞溪). 김장생(金長生)의 문하에서 성리학을 수학하여 예학과 사학에 정통하였으며, 송시열(宋時烈)ㆍ송준길(宋浚吉) 등과 더불어 충청도 유림의 오현(五賢)으로 일컬어짐.
1607~1664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계(溪) - 윤계(尹溪)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1511년(중종 6) 별시(別試)에 급제하여 첨지중추부사(僉知中樞副使) 등을 역임하였으며, 인종(仁宗) 때 사은사(謝恩使)로 북경에 다녀옴.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현풍 , 인명>관인>문신
-
계(溪)@이계 - 이계(李溪)
고려 말~조선 초의 문인. 권근(權近)과 교유하였으며, 그와 관련하여 지은 시가 《양촌집(陽村集)》에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인명>문사>문인
-
계(繼) - 윤계(尹繼)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파평(坡平). 수찬(修撰)을 지낸 윤효빙(尹孝聘)의 아버지.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파주 , 인명>문사>유학
-
계(薊) - 북경(北京)
중국의 수도. 하북성(河北省) 중앙부에 있으며, 화북(華北) 대평원과 북방의 산간지대를 잇는 교통의 요지. 춘추전국시대 연(燕) 나라의 도읍이 된 이래, 요(遼) 나라, 금(金) 나라, 원(元) 나라, 명(明) 나라, 청(淸) 나라의 도읍지였음.
중국 , 지명>행정지명
-
계(誡) - 이계(李誡)
조선 전기의 종친. 세종(世宗)의 다섯 번째 서자인 밀성군(密城君) 이침(李琛)의 둘째 아들로, 중종반정(中宗反正)에 참가하여 정국공신(靖國功臣)에 책록됨.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왕실>종친
-
계(𡹘) - 이계(李𡹘)
조선 후기의 문신. 본관은 연안(延安)으로, 월사(月沙) 이정귀(李廷龜)의 아버지. 문장으로 한 시대에 이름을 떨쳤으나 과거에 급제하지 못한 채 삼등 현령(三登縣令)으로 관직을 마침.
?~1593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계^요(薊^遼) - 요^계(遼^薊)
중국 요녕성(遙寧省) 남동부에 위치한 요동(遼東)과 하북성(河北省) 동북부에 위치한 계주(薊州)를 함께 부르는 말.
중국 , 지명>기타지명
-
계감(季瑊) - 이계감(李季瑊)
고려 후기의 문신. 본관은 청주(淸州). 판도총랑(版圖摠郞)을 지낸 이창우(李昌祐)의 아들이며, 문간공(文簡公) 이정(李挺)의 아버지.
한국>고려후기 , 충청도>청주 , 인명>관인>문신
-
계감(戒鑑) - 명황계감(明皇戒鑑)
조선 세종(世宗) 때 이개(李塏) 등이 왕명으로 편찬한 보감류(寶鑑類) 서적. 중국 당(唐) 나라 현종(玄宗)의 고사(故事)를 기록하고 고금(古今)의 시를 덧붙임.
1441 한국>조선전기 , 서울 , 문헌>서명
-
계갑일록(癸甲日錄) - 계갑록(癸甲錄)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ㆍ의병장인 우성전(禹性傳)의 저서. 1583년(선조 16) 6월부터 1584년(선조 17) 8월까지 1년 2개월 간의 정치기사를 일기체로 엮음. 1책. 1911년에 《대동야승(大東野乘)》 제24권에 수록되어 간행됨.
1911 한국>조선전기 , 문헌>서명
-
계강(係江) - 홍계강(洪係江)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남양(南陽). 홍사제(洪師悌)의 아들이자 봉상시 부정(奉常寺副正) 홍경창(洪慶昌)의 아버지이며, 사간(司諫) 안팽명(安彭命)의 장인으로, 현감(縣監)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남양 , 인명>관인>문신
-
계강(季江) - 강계강(姜季江)
중국 후한(後漢)의 은자(隱者). 강굉(姜肱)ㆍ강중해(姜仲海)와 형제간의 우애로 이름이 높음.
중국>후한 , 중국 , 인명>기타인명>은자
-
계강(繼姜) - 박계강(朴繼姜)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여항시인(閭巷詩人). 본관은 밀양(密陽). 기묘명현(己卯名賢)의 한 사람인 김정(金淨)과 교유하고, 유희경(劉希慶)을 중심으로 구성된 풍월향도시인(風月香徒詩人)에 참여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밀양 , 인명>문사>문인
-
계겸(繼謙) - 윤계겸(尹繼謙)
조선 세조(世祖)~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파평(坡平). 남이(南怡)의 옥사 때 공을 세워 익대공신(翊戴功臣)에 책록되고, 성종의 즉위를 도와 좌리공신(佐理功臣)에도 책록됨. 형조 판서(刑曹判書) 등을 지냄.
1442~1483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파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계경(啓卿) - 하옥(河沃)
조선 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 본관은 진주(晉州). 하형산(河荊山)의 아들로, 1496년(연산군 2)에 식년시(式年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교리(校理)를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진주 , 인명>관인>문신
-
계경(啓經) - 권계경(權啓經)
조선 세종(世宗)~세조(世祖)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 권후(權厚)의 아들로, 횡성 현감(橫城縣監)을 지냄. 세조(世祖)가 왕위(王位)를 찬탈하자 벼슬을 버리고 은거(隱居)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계경(季耕) - 전조생(田祖生)
고려 충숙왕(忠肅王) 때의 문신. 본관은 담양(潭陽)으로, 전희경(田希慶)의 셋째 아들. 1336년(충숙왕 복위5) 과거에 급제하고 찬성첨의부사(贊成僉議府事) 등을 지냈으나, 충정왕(忠定王)이 선위한 후 그를 호종하여 이후에는 벼슬에 나아가지 않음.
1318~1392 한국>고려후기 , 전라도>담양 , 인명>관인>문신
-
계경집(桂耕集) - 계원필경(桂苑筆耕)
통일신라시대의 학자ㆍ문장가인 최치원(崔致遠)의 시문집(詩文集). 사륙변려체(四六騈儷體)의 명문만을 수록한 것으로, 우리나라 한문학사에 큰 영향을 끼침. 20권 4책. 활자본.
1834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전주 , 문헌>서명
-
계고(季高) - 고시(高柴)
중국 춘추전국시대 위(衛) 나라의 학자. 공자(孔子)의 제자. 위 나라 괴외(蒯聵)의 난 때, 길을 걷되 위험한 소로(小路)를 택하지 않는(道而不徑) 효자의 행동처럼 그 난리를 모면하여 빠져 나왔다고 함.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계고요람(稽古要覽) - 남양계고요람(南陽稽古要覽)
조선 단종(端宗) 때의 호장(戶長) 송후(宋後) 등이 편찬한 지리서(地理書). 경기도 남양(南陽)의 연혁을 기록한 책으로, 생원 조중민(趙仲旻)이 교정하고 편집하였으며, 1455년(단종 3)에 완성함.
1455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남양 , 문헌>서명
-
계곡(桂谷) - 홍우정(洪宇定)
조선 광해군(光海君)~인조(仁祖) 때의 학자. 본관은 남양(南陽). 한성 서윤(漢城庶尹) 홍영(洪榮)의 아들로, 병자호란 때 태백산(太白山) 춘양(春陽)에 은거하여 홍석(洪錫)ㆍ정양(鄭瀁)ㆍ강흡(姜恰)ㆍ심장세(沈長世) 등과 함께 ‘태백오현(太白五賢)’으로 불림.
1593~1654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남양 , 인명>문사>학자
-
계곡(溪谷) - 장유(張維)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덕수(德水). 우의정 김상용(金尙容)의 사위이며, 사계(沙溪) 김장생(金長生)의 문인. 효종비(孝宗妃) 인선왕후(仁宣王后)의 아버지로, 이괄(李适)의 난과 정묘호란(丁卯胡亂) 때 왕을 호종함. 지행합일(知行合一)을 주장하여 양명학적(陽明學的) 사고방식을 보임.
1587~1638 한국>조선후기 , 서울ㅣ경기도>안산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ㅣ인명>왕실>인척
-
계곡(谿谷) - 장유(張維)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덕수(德水). 우의정 김상용(金尙容)의 사위이며, 사계(沙溪) 김장생(金長生)의 문인. 효종비(孝宗妃) 인선왕후(仁宣王后)의 아버지로, 이괄(李适)의 난과 정묘호란(丁卯胡亂) 때 왕을 호종함. 지행합일(知行合一)을 주장하여 양명학적(陽明學的) 사고방식을 보임.
1587~1638 한국>조선후기 , 서울ㅣ경기도>안산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ㅣ인명>왕실>인척
-
계곡문집(谿谷文集) - 계곡집(谿谷集)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ㆍ학자인 장유(張維)의 문집. 목판본. 36권 18책. 아들 장선징(張善澂)이 저자가 만들어 놓은 정고본(定稿本) 〈계곡초고(谿谷草稿)〉를 수습ㆍ보충하여 광주 목사(光州牧使) 이각(李恪)의 도움을 받아 간행함.
1643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광산 , 문헌>서명
-
계곡선생집(谿谷先生集) - 계곡집(谿谷集)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ㆍ학자인 장유(張維)의 문집. 목판본. 36권 18책. 아들 장선징(張善澂)이 저자가 만들어 놓은 정고본(定稿本) 〈계곡초고(谿谷草稿)〉를 수습ㆍ보충하여 광주 목사(光州牧使) 이각(李恪)의 도움을 받아 간행함.
1643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광산 , 문헌>서명
-
계관(啓寬) - 홍계관(洪啓寬)
조선 세조(世祖)~명종(明宗) 때의 점술가. 점이 신묘하여 서울에 그의 이름을 따서 명명한 ‘홍계관리(洪啓寬里)’가 있었다고 하며, 명종이 시험 삼아 상자 속에 있는 쥐의 마리수를 점치게 했을 때 어미 뱃속에 있는 새끼 숫자까지 맞혔다는 이야기로 유명함.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기타인명>기타인물
-
계광(繼光) - 척계광(戚繼光)
중국 명(明) 나라 세종(世宗)~신종(神宗) 때의 무신. 연해 지방에 왜구(倭寇)가 기승을 부리자 병사를 모집하고 새로운 진법(陣法)을 마련하여 왜구 격퇴에 많은 공을 세웠으며, 《기효신서(紀效新書)》 등을 저술함.
1528~1587 중국>명 , 중국 , 인명>관인>무신
-
계구(薊丘) - 북경(北京)
중국의 수도. 하북성(河北省) 중앙부에 있으며, 화북(華北) 대평원과 북방의 산간지대를 잇는 교통의 요지. 춘추전국시대 연(燕) 나라의 도읍이 된 이래, 요(遼) 나라, 금(金) 나라, 원(元) 나라, 명(明) 나라, 청(淸) 나라의 도읍지였음.
중국 , 지명>행정지명
-
계군공(薊郡公) - 이광필(李光弼)@당
중국 당(唐) 나라 현종(玄宗)~대종(代宗) 때의 무신. 현종 때 곽자의(郭子儀)와 함께 안사(安史)의 난(亂)을 평정한 중흥 제일의 공신이며, 곽자의를 대신해 삭방(朔方)을 맡으면서 천하 병마도원수(天下兵馬都元帥)로 명성을 떨침.
708~764 중국>당 , 중국 , 인명>관인>무신
-
계권(季權) - 장일(張鎰)
중국 당(唐) 나라 숙종(肅宗)~덕종(德宗) 때의 무신. 봉상농우절도사(鳳翔隴右節度使) 등을 지냈으나, 반란이 일어나 죽임을 당함.
중국>당 , 중국 , 인명>관인>무신
-
계근(繼根) - 이계근(李繼根)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원주(原州). 유학 이희징(李希澄)의 아버지.
한국>조선전기 , 강원도>원주 , 인명>문사>유학
-
계긍(季肯) - 박세당(朴世堂)
조선 현종(顯宗)~숙종(肅宗)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반남(潘南)으로, 이조 참판 박정(朴炡)의 아들. 실학자로서 농촌생활에 토대를 둔 박물학(博物學)의 학풍을 이룩하였으며, 《사변록(思辨錄)》을 저술하여 주자학(朱子學)을 비판함.
1629~1703 한국>조선후기 , 서울ㅣ전라도>남원ㅣ경기도>양주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계기(啓基) - 이계기(李啓基)
조선 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성주(星州). 영의정 성준(成俊)의 장인으로, 공조 참의(工曹參議) 등을 지내고, 성종 때 세자 책봉을 축하하는 시를 지어 올림.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적성 , 인명>관인>문신
-
계남(啓南) - 심주(沈周)
중국 명(明) 나라의 화가ㆍ문인. 산수화에 뛰어나 남북의 화풍을 융합한 장중한 구성과 풍운(風韻)이 깃든 필치의 수묵담채화(水墨淡彩畵)를 많이 그림. 문벽(文璧)ㆍ당인(唐寅) 등에게 영향을 미쳐 오파(吳派)의 계통을 이룸.
1427~1509 중국>명 , 중국 , 인명>예술인>서화가
-
계남(季男) - 이계남(李季男)
조선 예종(睿宗)~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평창(平昌). 중종반정(中宗反正)에 참가하여 정국공신(靖國功臣)에 책록되었으며, 호조 판서를 지낼 때 국가재정 운용에 뛰어난 능력을 발휘함.
1448~1512 한국>조선전기 , 강원도>평창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계남(繼男)@한계남 - 한계남(韓繼男)
조선 후기의 문신. 대북파(大北派)로, 전라도 관찰사(全羅道觀察使)인 유색(柳穡)에게 탄핵됨.
한국>조선후기 , 인명>관인>문신
-
계남(繼男) - 이계남(李繼男)
조선 전기의 무신. 상호군(上護軍) 정효충(鄭孝忠)의 사위로, 적순부위(迪順副尉)에 이름.
한국>조선전기 , 인명>관인>무신
-
계달(季達) - 등계달(滕季達)
중국 명(明) 나라의 문인. 1572년(조선 선조 5) 명 나라 사신 한세능(韓世能)과 함께 조선에 와서, 정유일(鄭惟一)ㆍ유성룡(柳成龍)ㆍ한호(韓濩) 등과 교유함. 《옥봉집(玉峯集)》에 백광훈(白光勳)의 〈증북해처사등계달(贈北海處士鄧季達)〉이라는 시(詩)가 실려 있음.
중국>명 , 중국 , 인명>문사>문인
-
계담(季耼) - 안계담(安季耼)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죽산(竹山). 예빈시 참봉(禮賓寺參奉) 안봉조(安奉祖)의 아버지이자 동부 주부(東部主簿) 안세희(安世熙)의 할아버지로, 사헌부 감찰(司憲府監察)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죽산 , 인명>관인>문신
-
계당(季堂) - 남계당(南季堂)
조선 세조(世祖)~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의령(宜寧). 남지(南輊)의 아들로, 이조 참판(吏曹參判)과 제학(提學)을 역임하고 의춘군(宜春君)에 봉해졌음.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의령 , 인명>관인>문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