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계당(桂堂) - 배맹후(裵孟厚)
조선 세조(世祖)~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김해(金海)로, 감찰(監察)을 지낸 배진(裵縉)의 아들. 대사헌(大司憲)ㆍ이조 참의(吏曹參議) 등을 지냈으며, 강직한 성품으로 조정의 기강을 바로잡고 불교를 배척하였음.
1448~1478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영산 , 인명>관인>문신
-
계당(溪堂)@이황 - 이황(李滉)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진보(眞寶). 주리론적(主理論的) 이기이원론(理氣二元論)을 주장한 영남학파(嶺南學派)의 종장(宗匠).
1501~1570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예안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계당(溪堂) - 최흥림(崔興霖)
조선 전기의 학자. 본관은 화순(和順). 성운(成運)의 문하에서 수학하고, 성제원(成悌元)ㆍ조식(曺植) 등과 교유하였으며, 조카인 최영경(崔永慶)과 더불어 학문을 닦다가 을사사화(乙已士禍) 때 보은(報恩)의 금적산(金積山)에 은거함.
1506~1581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보은ㅣ서울 , 인명>문사>학자
-
계당(溪堂)@사일 - 사일(謝逸)
중국 송(宋) 나라 휘종(徽宗) 때의 문인. 사매(謝邁)의 종형(從兄)으로, 강서시파(江西詩派)의 한 사람. 여희철(呂希哲)에게 수학하였고, 박학(博學)하고 시문(詩文)에 뛰어나 황정견(黃庭堅)으로부터 칭탄을 받았으며, 많은 저술을 남김.
?~1113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문인
-
계당(溪堂)@손명 - 손명(孫蓂)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경주(慶州)로, 생원 손흥례(孫興禮)의 아버지. 구봉령(具鳳齡)의 《백담집(栢潭集)》에 화답시가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경주 , 인명>문사>유학
-
계당(谿堂) - 이무방(李茂芳)
고려 충목왕(忠穆王)~조선 태조(太祖) 때의 문신. 본관은 광양(光陽). 고려 때 주요 관직을 두루 지내고 찬화공신(贊化功臣) 등에 책록됨. 조선 개국 후 조준(趙浚)의 천거로 검교문하시중(檢校門下侍中)을 지냄.
1319~1398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전라도>광양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계당처사(溪堂處士) - 최흥림(崔興霖)
조선 전기의 학자. 본관은 화순(和順). 성운(成運)의 문하에서 수학하고, 성제원(成悌元)ㆍ조식(曺植) 등과 교유하였으며, 조카인 최영경(崔永慶)과 더불어 학문을 닦다가 을사사화(乙已士禍) 때 보은(報恩)의 금적산(金積山)에 은거함.
1506~1581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보은ㅣ서울 , 인명>문사>학자
-
계덕(季德) - 한상덕(韓尙德)
고려 우왕(禑王)~조선 태종(太宗) 때의 문신. 본관은 청주(淸州). 한수(韓脩)의 넷째 아들로, 호조 참판(戶曹參判) 등을 역임하였으며, 종손뻘인 한명회(韓明澮)를 양육함. 우리나라 최초의 양잠서인《양잠경험촬요(養蠶經驗撮要)》를 초록(抄錄)함.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충청도>청주 , 인명>관인>문신
-
계동(季仝) - 이계동(李季仝)
조선 성종(成宗)~연산군(燕山君) 때의 무신. 본관은 평창(平昌)으로, 호조 판서(戶曹判書)를 지낸 이계남(李季男)의 아우. 이극균(李克均)과 함께 《서북제번기(西北諸藩記)》ㆍ《서북지도(西北地圖)》 등을 찬진하였으며, 관직은 영중추부사(領中樞府事)에 이름.
1450~1506 한국>조선전기 , 강원도>평창 , 인명>관인>무신
-
계동(季童) - 윤계동(尹季童)
조선 태종(太宗)의 부마(駙馬). 본관은 파평(坡平). 윤향(尹向)의 아들로, 태종의 두 번째 서녀(庶女)인 정신옹주(貞信翁主)와 혼인함.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파주 , 인명>왕실>인척
-
계동(溪東) - 전경창(全慶昌)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경산(慶山)으로 전순(田珣)의 아들. 1573년(선조 6) 식년문과에 급제하고, 검열(檢閱)ㆍ정언(正言) 등을 지냄. 이황(李滉)의 학통을 이었으며, 대구 연경서원(硏經書院)에 제향됨.
1532~1585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경산 , 인명>관인>문신
-
계동(繼潼) - 최계동(崔繼潼)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흥해(興海)로, 나주 목사(羅州牧使)를 지낸 최환(崔渙)의 아버지.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흥해 , 인명>문사>유학
-
계란(季蘭) - 무도양황후(武悼楊皇后)
중국 남북조시대 진(晉) 무제(武帝)의 비(妃). 혜제(惠帝)가 등극하여 태후가 되었으나 가후(賈后)에 의해 역모를 꾀했다는 무함을 받고 폐위되어 금용성(金墉城)에 유폐됨.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왕실>왕비
-
계량(季樑) - 이계량(李季樑)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영천(永川). 농암(聾巖) 이현보(李賢輔)의 아들로, 의흥 현감(義興縣監) 등을 역임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영천(永川) , 인명>관인>문신
-
계량(季良)@민계량 - 민계량(閔季良)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여흥(驪興). 봉선전 참봉(奉先殿參奉)을 지낸 민구(閔球)의 아들로, 내섬시 판관(內贍寺判官)ㆍ우봉 현령(牛峯縣令) 등을 지냄.
1499~1579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여주 , 인명>관인>문신
-
계량(季良)@변계량 - 변계량(卞季良)
고려 우왕(禑王)~조선 세종(世宗) 때의 문신. 본관은 밀양(密陽). 이색(李穡)ㆍ권근(權近)ㆍ정몽주(鄭夢周)의 문인으로, 조선 초기 관인문학의 대표적인 인물이며, 주로 조선 건국을 찬양하는 글을 씀. 오랜 기간 대제학(大提學)을 맡아 외교문서를 작성하여 명문장가로 이름을 떨침.
1369~1430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상도>밀양 , 인명>관인>문신
-
계량(季良)@조광좌 - 조광좌(趙廣佐)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한양(漢陽)으로, 금산 군수(金山郡守)를 지낸 조훈(趙勛)의 아들. 기묘사화(己卯士禍) 때 조광조(趙光祖)의 붕당으로 몰려 삭직되고, 1521년(중종 16) 신사무옥(辛巳誣獄)에 연루되어 장살(杖殺)당함.
1483~1521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계량(季良)@마량 - 마량(馬良)
중국 삼국(三國時代) 촉(蜀) 나라의 장군. 제갈량(諸葛亮)과 친교를 맺었음. 오형제 중에서 재능이 가장 뛰어났으며 백미(白眉)라는 고사성어에 나오는 인물.
187~222 중국>삼국시대 , 중국 , 인명>관인>무신
-
계량(季良) - 두보(杜保)
중국 후한(後漢) 때의 문신. 의협심이 강하기로 유명함. 복파장군(伏波將軍) 마원(馬援)이 말한 ‘화호유구(畵虎類狗)’에 나오는 인물임.
중국>후한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계량미(季良眉) - 백미(白眉)
중국 삼국시대 촉(蜀) 나라의 마씨(馬氏) 형제 중에 흰 눈썹이 난 막내 마량(馬良)이 가장 뛰어났던 데서 나온 말로, 출중한 사람이나 물건을 비유함.
중국>삼국시대 , 중국 , 사상>술어>고사성어
-
계력(季歷) - 왕계(王季)
중국 주(周) 나라의 태왕(太王)인 고공단보(古公亶父)의 막내아들. 문왕(文王)의 아버지로, 무왕(武王) 때 왕으로 추존됨.
중국>주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계례(繼禮) - 성계례(成繼禮)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창녕(昌寧). 1522년(중종 17) 진사시에 입격함. 찰방(察訪) 등을 지냈으며, 김안국(金安國)과 교유함.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계로(溪老)@이황 - 이황(李滉)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진보(眞寶). 주리론적(主理論的) 이기이원론(理氣二元論)을 주장한 영남학파(嶺南學派)의 종장(宗匠).
1501~1570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예안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계로(溪老) - 김뉴(金紐)@1420
조선 세조(世祖)~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 김중엄(金仲淹)의 아들로, 대사헌(大司憲)ㆍ이조 참판(吏曹參判) 등을 역임했으며, 시(詩)ㆍ서(書)ㆍ금(琴)에 모두 뛰어났음.
1420~?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계로(溪老)@남추 - 남추(南趎)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고성(固城). 기묘사화(己卯士禍) 때 조광조(趙光祖) 일파로 몰려 남곤(南袞)에 의해 추방된 뒤 영광(靈光)으로 내려가 시작(詩作)으로 여생을 마침.
1499~1526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영광ㅣ전라도>곡성 , 인명>관인>문신
-
계룡(季龍) - 무제(武帝)@남북조(후조)
중국 남북조시대(南北朝時代) 후조(後趙)의 제3대 황제. 재위 334~349. 고조(高祖) 석륵(石勒)을 도와 화북(華北)을 통일한 뒤 조카 석홍(石弘)을 죽이고 즉위함.
295~349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계룡산청량사지쌍탑(鷄龍山淸凉寺址雙塔) - 남매탑(男妹塔)
충청남도 공주(公州) 동학사(東鶴寺) 북쪽 비로봉(毘路峰) 아래에 나란히 서 있는 칠층 석탑과 오층 석탑. 백제 멸망 후 어느 남매가 와서 수도했다는 전설에서 유래함.
한국>통일신라 , 충청도>공주 , 유적>기타유적
-
계룡산초혼각지(鷄龍山招魂閣址) - 삼은각(三隱閣)
조선 태조(太祖) 때 충청도 공주(公州) 동학사(東鶴寺)에 건립한 제각. 처음에는 단을 쌓아 제를 지내다가 후에 건물을 세움. 포은(圃隱) 정몽주(鄭夢周), 목은(牧隱) 이색(李穡), 야은(冶隱) 길재(吉再)를 배향함.
1400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공주 , 유적>건물>사당
-
계륜(季倫)@석숭 - 석숭(石崇)
중국 남북조시대 진(晉) 나라의 부호(富豪). 형주 자사(荊州刺史) 등을 지냈으나, 팔왕(八王)의 난(亂) 때 조왕(趙王) 사마륜(司馬倫)에게 살해됨.
249~300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관인>무신
-
계륜(季倫) - 산간(山簡)
중국 남북조시대 진(晉) 나라 회제(懷帝) 때의 무신. 산도(山濤)의 아들로, 정남장군(征南將軍)이 되어 양양(襄陽)을 수비할 때 형주(荊州)의 호족인 습씨(習氏)의 고양지(高陽池)에서 늘 술을 마시고 만취하여 돌아오곤 하였다 함.
253~312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관인>무신
-
계린(桂隣) - 유계린(柳桂隣)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선산(善山). 미암(眉巖) 유희춘(柳希春)의 아버지이며, 김굉필(金宏弼)의 문인(門人)으로, 관직에 마음을 두지 않고 향리에서 자제들을 가르침.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해남ㅣ전라도>순천 , 인명>문사>유학
-
계림(雞林) - 박환고(朴還古)
고려 후기의 문인. 이규보(李奎報)와 교유하였으며, 《동국이상국집(東國李相國集)》에 그에게 보낸 차운시(次韻詩)가 여러 편 실려 있음.
한국>고려후기 , 인명>문사>문인
-
계림(鷄林)@경주 - 경주(慶州)
경상북도 남동부에 있는 고을 이름. 진한(辰韓)의 중심지이자 신라(新羅) 천년의 고도(古都).
경상도>경주 , 지명>행정지명
-
계림(鷄林) - 숙종(肅宗)@고려
고려 제15대 국왕. 재위 1095~1105. 조카인 헌종(獻宗)이 어린 나이에 즉위한 뒤 이자의(李資義)가 거사하자 그를 주살하고 선위(禪位)를 받아 왕위에 오름.
1054~1105 한국>고려전기 , 경기도>개성 , 인명>왕실>국왕
-
계림(鷄林)@신라 - 신라(新羅)
B.C. 1세기경에 영남(嶺南) 지방에서 일어나 최초로 한반도를 통일한 고대국가의 하나. 혁거세(赫居世)부터 경순왕(敬順王)까지 56대 992년간 존속.
B.C.57~A.D.935 한국>신라 , 시간>국명
-
계림공(鷄林公)@숙종 - 숙종(肅宗)@고려
고려 제15대 국왕. 재위 1095~1105. 조카인 헌종(獻宗)이 어린 나이에 즉위한 뒤 이자의(李資義)가 거사하자 그를 주살하고 선위(禪位)를 받아 왕위에 오름.
1054~1105 한국>고려전기 , 경기도>개성 , 인명>왕실>국왕
-
계림공(鷄林公) - 왕후(王煦)
고려 충선왕(忠宣王) 때의 문신. 영가부원군(永嘉府院君) 권보(權溥)의 아들. 충선왕의 두터운 신임을 받아 왕후(王煦)라는 이름을 하사받음.
1296~1349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계림군(桂林君) - 이류(李瑠)
조선 전기의 종친. 성종(成宗)의 형인 월산대군(月山大君) 이정(李婷)의 손자로, 성종의 첫 번째 서자인 계성군(桂城君) 이순(李恂)에게 출계함. 윤임(尹任)이 명종(明宗) 대신 왕으로 추대하려 했다는 혐의를 받아 거열형(車裂刑)을 당하였으나 선조(宣祖) 때 신원됨.
?~1545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종친
-
계림군(鷄林君)@최한홍 - 최한홍(崔漢洪)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경주(慶州). 장흥 부사(長興府使) 최형손(崔亨孫)의 아들로, 지중추부사(知中樞府事) 등을 지내고, 중종반정(中宗反正)에 가담하여 정국공신(靖國功臣)에 책록됨.
1469~1529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경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계림군(鷄林君)@김자흥 - 김자흥(金子興)
고려 충렬왕(忠烈王)~충숙왕(忠肅王) 때의 문신. 본관은 경주(慶州). 김혼(金琿)의 아들로, 좌부승지(左副承旨) 등을 지냈으며, 김원상(金元祥)ㆍ오현량(吳賢良)과 함께 송방영(宋邦英) 일파를 제거함.
1264~1323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경주 , 인명>관인>문신
-
계림군(鷄林君)@왕후 - 왕후(王煦)
고려 충선왕(忠宣王) 때의 문신. 영가부원군(永嘉府院君) 권보(權溥)의 아들. 충선왕의 두터운 신임을 받아 왕후(王煦)라는 이름을 하사받음.
1296~1349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계림군(鷄林君)@정지년 - 정지년(鄭知年)
조선 세종(世宗)~세조(世祖) 때의 문신. 본관은 경주(慶州)로, 예조 참의(禮曹參議)를 지낸 정효종(鄭孝終)의 아버지. 성균관 사예(成均館司藝)를 지낼 때 단종(端宗)이 손위(遜位)하자 전리(田里)로 퇴거하여 경서(經書) 연구에 전념함.
1395~1462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경주 , 인명>관인>문신
-
계림군(鷄林君)@이달충 - 이달충(李達衷)
고려 충숙왕(忠肅王)~우왕(禑王) 때의 문신ㆍ학자. 이천(李蒨)의 아들로, 유학(儒學)에 정통함. 밀직제학(密直提學)을 지낼 때 공석에서 신돈(辛旽)을 비판하여 파면되었다가 신돈이 실각한 후 계림부윤(鷄林府尹)으로 복직함.
1309~1384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경주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계림군(鷄林君)@이존오 - 이존오(李存吾)
고려 공민왕(恭愍王) 때의 문신. 우정언(右正言)이 되어 신돈(辛旽)의 횡포를 탄핵하다가 좌천되고, 공주(公州)의 석탄(石灘)에서 은거하던 중 울분으로 병이 나서 죽음. 정몽주(鄭夢周)ㆍ박상충(朴尙衷) 등과 교분이 두터웠음.
1341~1371 한국>고려후기 , 충청도>공주 , 인명>관인>문신
-
계림군(鷄林君)@이수 - 이수(李䇕)
고려 공민왕(恭愍王)~우왕(禑王) 때의 문신. 본관은 경주(慶州). 이달충(李達衷)의 셋째 아들로, 판강릉도호부사(判江陵都護府使) 등을 지냄.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경주 , 인명>관인>문신
-
계림군(鷄林君)@이보림 - 이보림(李寶林)
고려 공민왕(恭愍王)~우왕(禑王) 때의 문신. 본관은 경주(慶州). 이제현(李齊賢)의 손자로, 정당문학(政堂文學) 등을 지냄.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경주 , 인명>관인>문신
-
계림군(鷄林君)@이흥상 - 이흥상(李興商)
조선 단종(端宗)~세조(世祖) 때의 문신. 의금부 진무(義禁府鎭撫)로서 수양대군(首陽大君)을 도와 계유정난(癸酉靖難)에 공을 세움.
?~1465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경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계림군(鷄林君)@이탄 - 이탄(李坦)
조선 전기의 종친. 태종(太宗)의 맏아들인 양녕대군(讓寧大君) 이제(李禔)의 증손이며, 취성군(鷲城君) 이경(李熲)의 아들.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계림군(鷄林君)@이래 - 이래(李來)
고려 공민왕(恭愍王)~조선 태종(太宗) 때의 문신. 본관은 경주(慶州). 이존오(李存吾)의 아들이며 우현보(禹玄寶)의 문인(門人)으로, 제2차 왕자(王子)의 난에 공을 세워 좌익공신(佐翼功臣)에 책록되었고 대제학(大提學) 등을 역임함.
1362~1416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충청도>공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계림군(鷄林君)@이승상 - 이승상(李升商)
고려 우왕(禑王)~조선 태종(太宗) 때의 문신. 본관은 경주(慶州). 이달충(李達衷)의 손자로, 제2차 왕자(王子)의 난(亂)을 평정하는 데 협력한 공으로 좌명공신(佐命功臣)에 책록되었으며, 형조 판서(刑曹判書) 등을 역임함.
?~1413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상도>경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계림군(鷄林君) - 김균(金稛)
고려 공양왕(恭讓王)~조선 태조(太祖) 때의 문신. 조선 개국공신의 한 사람으로 계림군(鷄林君)에 봉해짐.
1341~1398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상도>경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계림김씨(鷄林金氏) - 경주김씨(慶州金氏)
대보공(大輔公) 김알지(金閼智)를 시조로 하는 성씨. 신라 김씨의 대종(大宗)으로, 김해김씨(金海金氏)와 더불어 우리나라 김씨 계통의 양대 산맥을 이룸.
한국>신라 , 경상도>경주 , 인명>집단>성씨
-
계림대군(鷄林大君) - 왕후(王煦)
고려 충선왕(忠宣王) 때의 문신. 영가부원군(永嘉府院君) 권보(權溥)의 아들. 충선왕의 두터운 신임을 받아 왕후(王煦)라는 이름을 하사받음.
1296~1349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계림부원군(鷄林府院君)@김득겸 - 김득겸(金得謙)
고려 후기의 문신. 본관은 경주(慶州). 김황(金貺)의 장인으로, 계림부원군(鷄林府院君)에 봉해짐.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경주 , 인명>관인>문신
-
계림부원군(鷄林府院君)@김혼 - 김혼(金琿)
고려 고종(高宗)~충선왕(忠宣王) 때의 문신. 본관은 경주(慶州). 김경손(金慶孫)의 아들로, 판삼사사(判三司事) 등을 지냈으며, 추성익대공신(推誠翊戴功臣)에 책록되고, 계림부원군(鷄林府院君)에 봉해짐.
1239~1311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경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계림부원군(鷄林府院君)@이제현 - 이제현(李齊賢)
고려 충렬왕(忠烈王)~공민왕(恭愍王) 때 문신. 검교정승(檢校政丞) 이진(李瑱)의 아들로, 문하시중(門下侍中) 등을 지냄. 충선왕(忠宣王)을 수행하여 원(元) 나라에 가서 명사들과 교유하면서 다양한 외교활동을 펼쳐 고려 왕실의 안정에 기여함.
1287~1367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개성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계림부원군(鷄林府院君)@이달충 - 이달충(李達衷)
고려 충숙왕(忠肅王)~우왕(禑王) 때의 문신ㆍ학자. 이천(李蒨)의 아들로, 유학(儒學)에 정통함. 밀직제학(密直提學)을 지낼 때 공석에서 신돈(辛旽)을 비판하여 파면되었다가 신돈이 실각한 후 계림부윤(鷄林府尹)으로 복직함.
1309~1384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경주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계림부원군(鷄林府院君) - 왕후(王煦)
고려 충선왕(忠宣王) 때의 문신. 영가부원군(永嘉府院君) 권보(權溥)의 아들. 충선왕의 두터운 신임을 받아 왕후(王煦)라는 이름을 하사받음.
1296~1349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계림부원대군(鷄林府院大君) - 왕후(王煦)
고려 충선왕(忠宣王) 때의 문신. 영가부원군(永嘉府院君) 권보(權溥)의 아들. 충선왕의 두터운 신임을 받아 왕후(王煦)라는 이름을 하사받음.
1296~1349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계림부정(鷄林副正) - 이탄(李坦)
조선 전기의 종친. 태종(太宗)의 맏아들인 양녕대군(讓寧大君) 이제(李禔)의 증손이며, 취성군(鷲城君) 이경(李熲)의 아들.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계림설씨(鷄林薛氏) - 순창설씨(淳昌薛氏)
초기 신라의 육촌(六村) 중 명활산(明活山) 고야촌(高耶村)의 촌장인 설거백(薛居伯)을 시조로 하는 성씨. 원적(原籍)은 경주(慶州)인데, 고려시대에 순창(淳昌)으로 이관(移貫)함.
한국>신라 , 전라도>순창ㅣ경상도>경주 , 인명>집단>성씨
-
계림손씨(鷄林孫氏) - 경주손씨(慶州孫氏)
신라 흥덕왕(興德王) 때의 효자 손순(孫順)을 시조로 하는 성씨.
한국>통일신라 , 경상도>경주 , 인명>집단>성씨
-
계림이씨(鷄林李氏) - 경주이씨(慶州李氏)
초기 신라의 육촌(六村) 중 알천양산촌(閼川楊山村)의 촌장인 표암공(瓢巖公) 이알평(李謁平)을 시조로 삼고, 소판공(蘇判公) 이거명(李居明)을 중시조로 하는 성씨.
한국>신라 , 경상도>경주 , 인명>집단>성씨
-
계림최씨(鷄林崔氏) - 경주최씨(慶州崔氏)
신라 초기의 육촌(六村) 가운데 돌산고허촌(突山高墟村)의 촌장인 소벌도리(蘇伐都利)를 시조로 삼고, 석학(碩學) 최치원(崔致遠)을 중시조로 하는 성씨.
한국>신라 , 경상도>경주 , 인명>집단>성씨
-
계맹(繼孟) - 이계맹(李繼孟)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전의(全義). 점필재(佔畢齋) 김종직(金宗直)의 문인으로, 김일손(金馹孫)ㆍ남효온(南孝溫)과 교유함. 무오사화(戊午士禍) 때 영광(靈光)으로 유배되었으나, 중종반정(中宗反正) 이후 대사헌(大司憲)ㆍ좌찬성(左贊成) 등을 지냄.
1458~1523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김제 , 인명>관인>문신
-
계명(季明)@김지남 - 김지남(金指南)
조선 현종(顯宗)~정조(正祖) 때의 역관(譯官). 본관은 우봉(牛峰). 청(淸) 나라에서 《자초신방(煮硝新方)》을 수입ㆍ번역하고, 《북정록(北征錄)》을 저술하였으며, 《통문관지(通文館志)》편찬에 참여함.
1654~? 한국>조선후기 , 황해도>우봉 , 인명>관인>역관
-
계명(季明)@신여철 - 신여철(申汝哲)
조선 효종(孝宗)~숙종(肅宗) 때의 무신. 본관은 평산(平山)으로, 돈녕부 도정(敦寧府都正) 신해(申垓)의 아들. 경신대출척(庚申大黜陟) 때 서인(西人) 편에 서서 활동했으며, 공조 판서(工曹判書) 등을 지냄.
1634~1701 한국>조선후기 , 황해도>평산 , 인명>관인>무신
-
계명(季明) - 소병(蘇昞)
중국 송(宋) 철종(哲宗) 때의 문신ㆍ학자. 처음에 장재(張載)에게 배웠으나 나중에 정호(程顥)ㆍ정이(程頤)의 문인이 되었으며, 태상박사(太常博士)를 역임함.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계명(繼命) - 이계명(李繼命)
조선 성종(成宗) 때의 무신. 진위장군(振威將軍) 행 오위도총부 도사(行五衛都摠府都事)를 지냈으며, 1488년(성종 19) 진주(晉州) 촉석루(矗石樓)에서 조위(曺偉)ㆍ김일손(金馹孫) 등과 금란계(金蘭契)를 맺음.
한국>조선전기 , 인명>관인>무신
-
계명구도지도(鷄鳴狗盜之徒) - 계명구도(鷄鳴狗盜)
닭의 울음소리를 잘 내는 사람과 개 흉내를 잘 내는 도둑. 중국 춘추전국시대 제(齊) 나라 맹상군(孟嘗君)의 고사에서 나온 말로, 고상한 학문은 없고 천박한 꾀를 써서 남을 속이는 사람을 비유함. 《사기(史記)》〈맹상군전〉에 나옴.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사상>술어>고사성어
-
계명사(啓明師) - 정해(定海)
고려 후기의 승려. 좌가 부승록(左街副僧錄)을 지냈으며, 계명사 주지(啓明寺住持)로 있으면서 자비령(慈悲嶺)에 있는 자비사(慈悲寺)를 중건하고 이색(李穡)에게 기문(記文)을 청함.
한국>고려후기 , 황해도>서흥 , 인명>종교인>승려
-
계명성(啓明星) - 금성(金星)
저녁의 서쪽 하늘이나 새벽의 동쪽 하늘에서 밝게 빛나는 별. 오성(五星) 중의 하나로 서방(西方)을 상징하였으며, 흔히 군사(軍事)나 전쟁(戰爭)을 비유함.
자연물>천체
-
계문(季文) - 성중엄(成重淹)
조선 성종(成宗)~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 무오사화(戊午士禍) 때 명현(名賢)들의 무고한 화를 변호하다가 인산(麟山)으로 유배되었으며, 갑자사화(甲子士禍) 때 원배(遠配)된 뒤 능지처참(陵遲處斬)을 당함.
1474~1504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창녕 , 인명>관인>문신
-
계문(季文)@김계문 - 김계문(金季文)
조선 연산군(燕山君)~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광산(光山). 자암(自庵) 김구(金絿)의 아버지로, 1501년(연산군 7) 식년시(式年試) 생원과(生員科)에 입격하여 현감(縣監)을 지냈으며, 좌승지(左承旨)에 추증됨.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광산 , 인명>관인>문신
-
계문(季聞) - 김영택(金令澤)
조선 후기의 문신. 본관은 광산(光山). 김상정(金相定)의 아버지로, 대흥 군수(大興郡守)를 지냄.
1699~1766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광산 , 인명>관인>문신
-
계문(季聞)@유계문 - 유계문(柳季聞)
조선 태종(太宗)~세종(世宗) 때의 문신. 본관은 문화(文化). 원종공신(原從功臣) 유관(柳寬)의 아들이고, 병조 참판(兵曹參判)을 지낸 유권(柳睠)의 아버지. 서예에 능해서 왕명으로 태종의 명복을 빌기 위한 《금자법화경(金字法華經)》을 씀.
1383~1445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문화 , 인명>관인>문신
-
계문(溪門) - 이황(李滉)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진보(眞寶). 주리론적(主理論的) 이기이원론(理氣二元論)을 주장한 영남학파(嶺南學派)의 종장(宗匠).
1501~1570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예안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계문(繼門) - 조계문(曺繼門)
조선 세종(世宗)~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창녕(昌寧). 조위(曺偉)의 아버지이며, 김종직(金宗直)의 장인. 사헌부 감찰(司憲府監察)과 울진 현령(蔚珍縣令) 등을 역임함.
1414~1489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금산 , 인명>관인>문신
-
계문자(季文子) - 계손행보(季孫行父)
중국 춘추전국시대 노(魯) 나라 문공(文公)~양공(襄公) 때의 대부. 문공ㆍ선공(宣公)ㆍ성공(成公)ㆍ양공 4대를 섬기면서 깊은 신뢰를 쌓은 현인으로, 《논어(論語)》의 삼사이행(三思而行)과 관련된 인물.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관인>경대부
-
계미(繼美) - 한계미(韓繼美)
조선 세종(世宗)~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청주(淸州). 한혜(韓惠)의 아들로, 이시애(李施愛)의 난을 평정하는 등 공을 세워 세 차례 공신(功臣)에 책록되고, 좌찬성(左贊成) 등을 지냄.
1421~1471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청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계발(戒發) - 부안(扶安)
전라도 북서부에 위치한 고을 이름. 1416년(태종 16)에 부령(扶寧)과 보안(保安)이 합해짐.
전라도>부안 , 지명>행정지명
-
계방(啟方) - 개방(開方)
중국 춘추전국시대 위(衛) 나라의 공자(公子). 제(齊) 나라에 벼슬할 때 관중(管仲)의 배척을 받았으나, 관중이 죽은 뒤 제 환공(齊桓公)에게 중용되었으며, 수조(豎刁)ㆍ역아(易牙)와 함께 국정을 전횡함.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왕실>왕자
-
계방(季方) - 진심(陳諶)
중국 후한(後漢) 말의 학자. 형인 진기(陳紀)와 더불어 덕망이 높아 아버지 진식(陳寔)으로부터 난형난제(難兄難弟)라 일컬어짐.
중국>후한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계번(繼蕃) - 이계번(李繼蕃)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경주(慶州). 예조 참판(禮曹參判)을 지낸 이유인(李有仁)의 아버지로, 참찬(參贊)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경주 , 인명>관인>문신
-
계보(啓甫) - 이건(李楗)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전의(全義). 중추원 부사(中樞院副使) 이순전(李純全)의 아들로, 사헌부 감찰(司憲府監察) 등을 지냄.
1436~1510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진주 , 인명>관인>문신
-
계보(季寶) - 조위(趙瑋)
고려 충선왕(忠宣王)~충목왕(忠穆王) 때의 문신. 충숙왕과 심양왕 고(瀋陽王暠) 사이에 알력이 있을 때 형들은 심양왕 편을 들었으나 그는 이에 가담하지 않아 지밀직(知密直)에 특진되고, 충목왕 때 평양부원군(平壤府院君)으로 진봉됨.
1287~1348 한국>고려후기 , 평안도>평양 , 인명>관인>문신
-
계보(季父) - 강회계(姜淮季)
고려 공양왕(恭讓王)의 부마(駙馬). 본관은 진주(晉州)로, 찬성사(贊成事) 강시(姜蓍)의 아들. 공양왕의 셋째 딸 경화궁주(敬和宮主)와 혼인하였으며, 공양왕의 세자 왕석(王奭)의 시학(侍學)을 지냄. 공양왕이 폐위되자 개경(開京)의 회보문(會寶門) 밖에서 참수됨.
1364~1392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개성 , 인명>왕실>인척
-
계보(季甫) - 김계보(金季甫)
조선 세종(世宗)~세조(世祖) 때의 무신. 본관은 언양(彦陽). 김취려(金就礪)의 8세손이며, 능성 현령(綾城縣令) 김약(金躍)의 아들. 1432년(세종 14) 무과에 급제하여 형조 정랑(刑曹正郞)을 지냈으나, 세조가 즉위하자 남원(南原)으로 내려가 은거했음.
?~1457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남원 , 인명>관인>무신
-
계보(繼保) - 이계보(李繼保)
조선 전기의 종친. 정종(定宗)의 현손으로, 완성군(莞城君) 이귀정(李貴丁)의 아들.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계복(繼福) - 김계복(金繼福)
조선 중종(中宗) 때의 유학. 본관은 의령(宜寧). 사헌부 감찰(司憲府監察)을 지낸 김경연(金慶延)의 아들로, 1513년(중종 8) 생원시(生員試)에 입격함.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영광 , 인명>문사>유학
-
계봉(鷄峯) - 계룡산(鷄龍山)
충청남도 공주(公州)ㆍ논산(論山)ㆍ대전(大田)에 걸쳐 있는 산 이름. 신라시대 오악(五嶽) 중 하나.
충청도>연산ㅣ충청도>공주 , 지명>자연지명
-
계분(桂芬) - 유계분(柳桂芬)
조선 단종(端宗)~성종(成宗) 때의 문신. 유승순(柳承順)의 아들이며, 유성원(柳誠源)의 조카. 이조 정랑을 지냈으며, 서거정(徐居正)과 교유함.
1397~?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문화 , 인명>관인>문신
-
계비윤씨(繼妃尹氏) - 문정왕후(文定王后)
조선 제11대 중종(中宗)의 계비(繼妃). 본관은 파평(坡平)으로, 윤지임(尹之任)의 딸. 12세의 나이로 즉위한 명종(明宗)을 대신해 8년간 수렴청정(垂簾聽政)을 함. 불교 부흥을 꾀하여 선교(禪敎) 양종(兩宗)을 부활시키고, 도첩제(度牒制)를 다시 실시함.
1501~1565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왕비
-
계빈(季彬) - 나위소(羅緯素)
조선 인조(仁祖)~현종(顯宗) 때의 문신. 본관은 나주(羅州). 정묘호란 때 이원익(李元翼)을 도와 무기와 군량을 조달했으며, 동지중추부사(同知中樞府事) 등을 지냄.
1583~1667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나주 , 인명>관인>문신
-
계사(季思)@최계사 - 최계사(崔季思)
조선 전기의 문신. 성종(成宗) 때의 진사인 최하림(崔河臨)의 아버지로, 교하 현감(交河縣監)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인명>관인>문신
-
계사(季思) - 민회현(閔懷賢)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여흥(驪興). 현량과(賢良科)를 거쳐 관직에 진출하였으나 기묘사화(己卯士禍)로 파방(罷榜)되어 고향으로 돌아가 여생을 마침.
1472~1540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예산 , 인명>관인>문신
-
계사(繼祀) - 송계사(宋繼祀)
조선 세종(世宗) 때의 문신. 본관은 은진(恩津). 쌍청당(雙淸堂) 송유(宋愉)의 아들이자, 송요년(宋遙年)ㆍ송순년(宋順年)의 아버지로, 상주 판관(尙州判官) 등을 지냈으며, 사헌부 지평(司憲府持平)에 추증됨.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은진 , 인명>관인>문신
-
계산(戒山) - 안우(安宇)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광주(廣州). 1524년(중종 19) 별시(別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밀양(密陽)ㆍ평산(平山)ㆍ선산 부사(善山府使)를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의령 , 인명>관인>문신
-
계산(溪山) - 오경(吳慶)
조선 중종(中宗) 때의 유학. 본관은 해주(海州). 예조 좌랑(禮曹佐郞)을 지낸 오예손(吳禮孫)의 아들이며 판서(判書)를 지낸 오상(吳祥)의 형으로, 오상과 함께 모재(慕齋) 김안국(金安國)에게 수학함.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문사>유학
-
계산(鷄山) - 계룡산(鷄龍山)
충청남도 공주(公州)ㆍ논산(論山)ㆍ대전(大田)에 걸쳐 있는 산 이름. 신라시대 오악(五嶽) 중 하나.
충청도>연산ㅣ충청도>공주 , 지명>자연지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