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계산군(桂山君) - 이수계(李壽誡)
조선 전기의 종친. 성종(成宗)의 여섯 번째 서자인 견성군(甄城君) 이돈(李惇)의 둘째 아들로, 견성군이 역모 혐의로 귀양 갔을 때 중종(中宗)의 권유로 회산군(檜山君) 이염(李恬)의 양자가 됨.
1501~?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종친
-
계산노인(桂山老人) - 사악(謝諤)
중국 송(宋) 나라 고종(高宗)~광종(光宗) 때의 문신ㆍ학자. 저서로 《양송명현소집(兩宋名賢小集)》과 《간재집(艮齋集)》을 남김.
1121~1194 중국>송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계산백(稽山伯) - 양매(楊梅)
조선 전기의 문신 최연(崔演)의 《간재집(艮齋集)》에 실려 있는 〈국수재전(麴秀才傳)〉에 나오는 가상의 인물.
인명>기타인명>기타인물
-
계산정(桂山正) - 이수계(李壽誡)
조선 전기의 종친. 성종(成宗)의 여섯 번째 서자인 견성군(甄城君) 이돈(李惇)의 둘째 아들로, 견성군이 역모 혐의로 귀양 갔을 때 중종(中宗)의 권유로 회산군(檜山君) 이염(李恬)의 양자가 됨.
1501~?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종친
-
계산처사(溪山處士) - 오경(吳慶)
조선 중종(中宗) 때의 유학. 본관은 해주(海州). 예조 좌랑(禮曹佐郞)을 지낸 오예손(吳禮孫)의 아들이며 판서(判書)를 지낸 오상(吳祥)의 형으로, 오상과 함께 모재(慕齋) 김안국(金安國)에게 수학함.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문사>유학
-
계상(季常) - 마량(馬良)
중국 삼국(三國時代) 촉(蜀) 나라의 장군. 제갈량(諸葛亮)과 친교를 맺었음. 오형제 중에서 재능이 가장 뛰어났으며 백미(白眉)라는 고사성어에 나오는 인물.
187~222 중국>삼국시대 , 중국 , 인명>관인>무신
-
계상(溪上) - 이황(李滉)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진보(眞寶). 주리론적(主理論的) 이기이원론(理氣二元論)을 주장한 영남학파(嶺南學派)의 종장(宗匠).
1501~1570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예안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계상(繼商) - 조계상(曺繼商)
조선 연산군(燕山君)~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창녕(昌寧)으로, 예조 참의(禮曹參議) 조광원(曺光遠)의 아버지. 중종반정(中宗反正)에 가담하여 정국공신(靖國功臣)에 책록되고, 우찬성(右贊成) 등을 지냄.
1466~1543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창녕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계상(繼祥) - 이계상(李繼祥)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경주(慶州). 안협 현감(安峽縣監)을 지낸 이문좌(李文佐)의 아버지로, 감무(監務)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경주 , 인명>관인>문신
-
계상륙(溪上六) - 죽계육일(竹溪六逸)
중국 당(唐) 나라 천보(天寶) 연간에 태안부(泰安府) 조래산(徂徠山) 아래 죽계(竹溪)에 모여 날마다 술과 노래를 즐기며 세속을 초일(超逸)한 여섯 명의 문인. 이백(李白)ㆍ공소보(孔巢父)ㆍ한준(韓準)ㆍ배정(裵政)ㆍ장숙명(張叔明)ㆍ도면(陶沔)을 말함.
중국>당 , 중국 , 인명>집단>조직
-
계서(季瑞) - 이수붕(李壽鵬)
조선 전기의 종친. 성종(成宗)의 일곱 번째 서자인 익양군(益陽君) 이회(李懷)의 둘째 서자로, 정개청(鄭介淸) 등에게 수학함.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종친
-
계서일민(溪西逸民) - 정초(鄭樵)
중국 송(宋) 나라 고종(高宗) 때의 문신ㆍ학자. 추밀원 편수관(樞密院編修官) 등을 지내고, 천문ㆍ지리ㆍ방서 등에 박식하여 《통지(通志)》를 저술함.
1104~1162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계선(季宣) - 설계선(薛季宣)
중국 송(宋) 나라의 학자. 심성의 수양보다는 국가정책, 국방, 재정, 민생의 안정 등 사회ㆍ정치적 문제를 주요 관심의 대상으로 하는 사공파(事功派)의 학자로서 《서고문훈(書古文訓)》을 저술함.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계선(季瑄) - 어계선(魚季瑄)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함종(咸從). 좌참찬(左參贊)을 지내고 기로소(耆老所)에 들어갔으며, 충효를 겸전하고 예서(隸書)에 능함.
1502~1579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계선(溪仙) - 이황(李滉)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진보(眞寶). 주리론적(主理論的) 이기이원론(理氣二元論)을 주장한 영남학파(嶺南學派)의 종장(宗匠).
1501~1570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예안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계선(繼先) - 홍경소(洪敬紹)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본관은 남양(南陽). 철원 도호부사(鐵原都護府使) 홍기영(洪耆英)의 아들이며 손우재(遜愚齋) 홍석(洪錫)의 아버지로, 익산 군수(益山郡守) 등을 지냄.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남양 , 인명>관인>문신
-
계선(繼善) - 이효술(李孝述)
중국 송(宋) 나라 때의 학자. 주희(朱熹)의 문인(門人). 주희(朱熹)의 제자 이번(李燔)의 조카로, 주자를 직접 만나지는 못하고 편지로 수학했다 함.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계선생(溪先生) - 이황(李滉)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진보(眞寶). 주리론적(主理論的) 이기이원론(理氣二元論)을 주장한 영남학파(嶺南學派)의 종장(宗匠).
1501~1570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예안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계성(啓聖) - 숙량흘(叔梁紇)
중국 춘추전국시대 노(魯) 나라의 대부. 안징재(顔徵在)와 야합(野合)하여 유학(儒學)의 개조(開祖)인 공자(孔子)를 낳음. 계성사(啓聖祠)에서 제향함.
?~B.C.549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관인>경대부
-
계성(季誠) - 신계성(申季誠)
조선 연산군(燕山君)~명종(明宗) 때의 학자. 성리학(性理學)에 뜻을 두고 벼슬에 나아가지 않음. 박영(朴英)에게 수학(受學)하고, 김대유(金大有)ㆍ조식(曺植) 등과 종유(從遊)하여 삼고(三高)라 불림.
1499~1562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밀양 , 인명>문사>학자
-
계성(繼盛) - 양계성(楊繼盛)
중국 명(明) 나라 세종(世宗) 때의 문신. 형부 원외랑(刑部員外郞) 등을 지냄. 엄숭(嚴嵩)이 권력을 전횡할 때 세 번이나 상소하여 그의 죄를 탄핵하다가 하옥된 후 죽임을 당함.
1516~1555 중국>명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계성(薊城) - 북경(北京)
중국의 수도. 하북성(河北省) 중앙부에 있으며, 화북(華北) 대평원과 북방의 산간지대를 잇는 교통의 요지. 춘추전국시대 연(燕) 나라의 도읍이 된 이래, 요(遼) 나라, 금(金) 나라, 원(元) 나라, 명(明) 나라, 청(淸) 나라의 도읍지였음.
중국 , 지명>행정지명
-
계성공(啓聖公) - 숙량흘(叔梁紇)
중국 춘추전국시대 노(魯) 나라의 대부. 안징재(顔徵在)와 야합(野合)하여 유학(儒學)의 개조(開祖)인 공자(孔子)를 낳음. 계성사(啓聖祠)에서 제향함.
?~B.C.549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관인>경대부
-
계성군(繼城君) - 한중례(韓仲禮)
고려 충목왕(忠穆王)~공민왕(恭愍王) 때의 문신. 본관은 청주(淸州)로, 상당부원군(上黨府院君) 한악(韓渥)의 아들. 우대언(右代言)ㆍ동지밀직사사(同知密直司事) 등을 지냄.
한국>고려후기 , 충청도>청주 , 인명>관인>문신
-
계성군(鷄城君)@이양생 - 이양생(李陽生)
조선 세조(世祖)~성종(成宗) 때의 무신. 본관은 경주(慶州)로, 이오(李晤)의 아버지이며 첨지중추부사(僉知中樞府事) 이사종(李嗣宗)의 할아버지. 1467년(세조 13) 이시애(李施愛)의 난 때 전공을 세워 적개공신(敵愾功臣)에 책록되고 계성군(鷄城君)에 봉해짐.
1423~1488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경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무신
-
계성군(鷄城君)@이래 - 이래(李來)
고려 공민왕(恭愍王)~조선 태종(太宗) 때의 문신. 본관은 경주(慶州). 이존오(李存吾)의 아들이며 우현보(禹玄寶)의 문인(門人)으로, 제2차 왕자(王子)의 난에 공을 세워 좌익공신(佐翼功臣)에 책록되었고 대제학(大提學) 등을 역임함.
1362~1416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충청도>공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계성군(鷄城君) - 손사성(孫士晟)
조선 세종(世宗)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경주(慶州). 문과에 급제하여 부사직(副司直) 등을 지냈으며, 훈민정음(訓民正音) 창제에 참여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경주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계성왕(啓聖王) - 숙량흘(叔梁紇)
중국 춘추전국시대 노(魯) 나라의 대부. 안징재(顔徵在)와 야합(野合)하여 유학(儒學)의 개조(開祖)인 공자(孔子)를 낳음. 계성사(啓聖祠)에서 제향함.
?~B.C.549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관인>경대부
-
계성후(桂城侯) - 왕원(王沅)
고려 후기의 종친. 현종(顯宗)의 아들 평양공(平壤公) 왕기(王基)의 5대손.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개성 , 인명>왕실>종친
-
계소(啓昭) - 엄흔(嚴昕)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영월(寧越). 언로의 개방과 언관의 탄압 중지 등을 건의했으며, 시문(詩文)에 능하였음.
1508~1553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계소(季紹) - 이종윤(李悰胤)
조선 중종(中宗) 때의 유학. 본관은 경주(慶州). 창평 현령(昌平縣令) 이수(李洙)의 아들.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문사>유학
-
결성군(結城君) - 장담(張湛)@조선
조선 태조(太祖)~정종(定宗) 때의 무신. 조선 건국에 공이 있어 개국공신(開國功臣)에, 제1차 왕자의 난으로 정사공신(定社功臣)에 책록되었으나, 제2차 왕자의 난 때에는 이방간(李芳幹)을 도운 죄로 파직된 뒤 장형(杖刑)을 받고 죽었음.
?~1400 한국>조선전기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무신
-
겸(㻩) - 권겸(權㻩)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 1519년(중종 14) 별시(別試)에 급제하여 김해 부사(金海府使)ㆍ성균관 사성(成均館司成)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용궁 , 인명>관인>문신
-
겸(㻩)@송겸 - 송겸(宋㻩)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여산(礪山). 1520년(중종 15) 별시(別試) 문과(文科)에 장원(壯元)하여 경상도 관찰사(慶尙道觀察使)ㆍ한성부 판윤(漢城府判尹)ㆍ형조 판서(刑曹判書)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겸(謙)@남겸 - 남겸(南謙)
고려시대의 문신. 본관은 의령(宜寧). 남재(南在)의 선조로, 위위 주부(衛尉注簿)를 지냄.
한국>고려시대 , 경상도>의령 , 인명>관인>문신
-
겸(謙)@권겸 - 권겸(權謙)
고려 충숙왕(忠肅王)~공민왕(恭愍王) 때의 문신. 영가부원군(永嘉府院君) 권보(權溥)의 아들. 공민왕의 배원정책(排元政策)에 의하여 1356년(공민왕 5년) 기철(奇轍)ㆍ노책(盧頙) 등과 함께 죽음을 당함.
?~1356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겸(謙)@구치관의조카 - 구겸(具謙)@구치관의조카
조선 세조(世祖)~성종(成宗) 때의 무신. 본관은 능성(綾城)으로, 영의정 구치관(具致寬)의 조카. 이시애(李施愛)의 난 때 도총사(都摠使) 이준(李浚)의 군관으로 종군한 공로로 적개공신(敵愾功臣)에 책록되고, 능산군(綾山君)에 봉해짐.
?~1494 한국>조선전기 , 평안도>의주 , 인명>관인>무신
-
겸(謙)@이맹지의아들 - 이겸(李謙)@이맹지의아들
조선 연산군(燕山君)~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단양(丹陽). 기묘사화(己卯士禍) 때 장령(掌令)으로서 유운(柳雲)ㆍ조광조(趙光祖) 등을 변호하는 극렬한 상소를 올렸다가 파직됨.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단양 , 인명>관인>문신
-
겸(謙)@오겸 - 오겸(吳謙)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나주(羅州)로, 부사(府使)를 지낸 오세훈(吳世勳)의 아들. 유우(柳藕)의 문인으로 지춘추관사(知春秋館事)ㆍ우의정(右議政) 등을 지내고, 《명종실록(明宗實錄)》의 편찬에 참여함.
1496~1582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나주ㅣ서울 , 인명>관인>문신
-
겸(謙) - 강겸(姜謙)
조선 성종(成宗)~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 강자평(姜子平)의 아들로, 무오사화(戊午士禍)로 유배된 후 능지처참됨.
?~1504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진주 , 인명>관인>문신
-
겸(謙)@유겸 - 유겸(柳謙)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진양(晉陽). 예문춘추관 태학사(藝文春秋館太學士) 유구(柳玽) 아들로, 보문각 직제학(寶門閣直提學) 등을 지냄. 아버지와 함께 청백리(淸白吏)로 이름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진주 , 인명>관인>문신
-
겸(謙)@구봉령의아버지 - 구겸(具謙)@구봉령의아버지
조선 중종(中宗) 때의 유학. 본관은 능성(綾城).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이자 학자인 구봉령(具鳳齡)의 아버지.
1504~1536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문사>유학
-
겸(謙)@이제의아들 - 이겸(李謙)@이제의아들
조선 전기의 종친. 양녕대군(讓寧大君)의 아들이며, 이정(李靖)의 아버지.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종친
-
겸개선(謙開善) - 도겸(道謙)
중국 송(宋) 나라의 승려(僧侶). 주희(朱熹)가 초년(初年)에 선학(禪學)을 배운 고승(高僧).
중국>송 , 중국 , 인명>종교인>승려
-
겸겸(謙謙) - 한창유(韓昌愈)
조선 연산군(燕山君)~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청주(淸州)로, 좌승지(左承旨)를 지낸 한충(韓忠)의 아버지. 1496년(연산군 2) 생원시(生員試)에 입격하고, 장흥고 주부(長興庫主簿)를 지냈으며, 이조 참의(吏曹參議)에 추증됨.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겸곡(謙谷) - 이인(李韌)
고려 공민왕(恭愍王) 때의 문신. 신돈(辛旽)의 문객으로 잠입하여 흉모를 자세히 기록하였다가 김속명(金續命)에게 알림으로써 신돈의 무리를 처벌하는 데 공을 세웠으며, 정당문학(政堂文學) 등을 역임함.
?~1381 한국>고려후기 , 함경도>안변 , 인명>관인>문신
-
겸광(謙光) - 김겸광(金謙光)
조선 단종(端宗)~성종(成宗) 때의 문신. 김철산(金鐵山)의 아들. 예조 판서와 좌참찬(左參贊)을 지냄. 평안도 관찰사(觀察使)와 절도사(節度使)를 지내면서 세조(世祖)의 국방정책에 기여한 바가 컸음.
1419~1490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광산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겸무(兼武) - 박겸무(朴兼武)
조선 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 본관은 죽산(竹山). 수안 군수(遂安郡守) 박준산(朴峻山)의 아들로, 1498년(연산군 4) 식년시(式年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장흥 부사(長興府使)를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죽산 , 인명>관인>문신
-
겸보(謙甫) - 이극배(李克培)
조선 세종(世宗)~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 본관은 광주(廣州). 이인손(李仁孫)의 아들로, 세조(世祖)와 성종(成宗)의 즉위에 공을 세워 좌익공신(佐翼功臣) 및 좌리공신(佐理功臣)에 책록되었으며, 우의정을 거쳐 영의정에 임명되자 노병으로 사양함.
1422~1495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광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겸부(謙夫)@탁신 - 탁신(卓愼)
고려 공양왕(恭讓王)~조선 세종(世宗) 때의 문신. 본관은 광주(光州)로, 예의 판서(禮儀判書) 탁광무(卓光茂)의 아들. 경학(經學)에 밝고 무예(武藝)ㆍ음률(音律)에도 능하였으며, 조선 개국 후 의정부 좌참찬(議政府左參贊) 등을 지냄.
1367~1426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전라도>광산 , 인명>관인>문신
-
겸부(謙夫) - 탁광무(卓光茂)
고려 충혜왕(忠惠王)~공민왕(恭愍王) 때의 문신. 본관은 광산(光山). 집현전 대제학(集賢殿大提學)을 지낸 탁문위(卓文位)의 맏아들로, 충혜왕 때 사마시(司馬試)에 입격하였으며, 예의 판서(禮儀判書) 등을 지냄.
1330~1410 한국>고려후기 , 전라도>광산 , 인명>관인>문신
-
겸사(謙師) - 각겸(覺謙)
고려 말~조선 초의 승려. 나암 유공(懶庵游公)과 함께 오대산(五臺山)의 수정암(水精菴)을 중수함. 이색(李穡)ㆍ이숭인(李崇仁)ㆍ권근(權近)ㆍ정도전(鄭道傳) 등과 시(詩)로써 교유함.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강원도>홍천 , 인명>종교인>승려
-
겸산(兼山) - 황상(黃裳)@송
중국 송(宋) 나라 광종(光宗) 때의 문신. 좌승상(左丞相) 유정(留正)에 의해 발탁되어 익선(翊善)을 지내며 황자(皇子)였던 영종(寧宗)을 보필함. 저서에 《왕부춘추강의(王府春秋講義)》ㆍ《겸산집(兼山集)》 등이 있음.
1146~1194 중국>송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겸산(兼山)@박겸산 - 박겸산(朴兼山)
조선 전기의 문인. 홍귀달(洪貴達)의 《허백정문집(虛白亭文集)》에 그의 시축(詩軸)에 써 준 글이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예천 , 인명>문사>문인
-
겸선(兼善)@남귀달 - 남귀달(南貴達)
조선 전기의 유학. 《첨모당집(瞻慕堂集)》에 〈차황금계강선대운증남겸선귀달(次黃錦溪降仙臺韻贈南兼善貴達)〉의 시(詩)가 수록되어 있음.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유학
-
겸선(兼善) - 홍귀달(洪貴達)
조선 세조(世祖)~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 본관은 부계(缶溪). 문장과 글씨에 뛰어났으며, 성격이 강직하여 연산군 생모인 윤비(尹妃)의 폐출을 반대하다 투옥되었고, 손녀를 궁중에 들이라는 연산군의 명을 거역하여 경원(慶源)으로 유배 도중 교살(絞殺)됨.
1438~1504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의흥 , 인명>관인>문신
-
겸암(謙巖) - 유운룡(柳雲龍)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 유성룡(柳成龍)의 형이며 이황(李滉)의 문인.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풍기 군수(豊基郡守)로 부임하여 백성들의 생업을 보호하는 데 힘썼으며, 효성이 지극함.
1539~1601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겸암(謙庵) - 유운룡(柳雲龍)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 유성룡(柳成龍)의 형이며 이황(李滉)의 문인.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풍기 군수(豊基郡守)로 부임하여 백성들의 생업을 보호하는 데 힘썼으며, 효성이 지극함.
1539~1601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겸암(謙菴) - 유운룡(柳雲龍)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 유성룡(柳成龍)의 형이며 이황(李滉)의 문인.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풍기 군수(豊基郡守)로 부임하여 백성들의 생업을 보호하는 데 힘썼으며, 효성이 지극함.
1539~1601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겸암선생문집(謙菴先生文集) - 겸암집(謙庵集)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인 유운룡(柳雲龍)의 시문집(詩文集). 목판본. 8권 4책. 초간본(初刊本)은 1742년(영조 18)에 후손 유손영(柳孫永)이 유문(遺文)을 수집하여 간행함.
1742 한국>조선후기 , 문헌>서명
-
겸익(謙益) - 전겸익(錢謙益)
중국 명(明)~청(淸) 나라의 문신ㆍ문인. 명 나라가 망하자 청조(淸朝)의 예부 우시랑(禮部右侍郞)이 되어 《명사(明史)》편찬에 참여함. 사후 건륭제(乾隆帝)로부터 불충지신(不忠之臣)으로 비난받아 저서의 판목(版木)이 모두 불태워짐.
1582~1664 중국>청ㅣ중국>명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겸인(兼仁) - 이겸인(李兼仁)
조선 세조(世祖) 때의 문신. 본관은 전의(全義). 이양성(李養性)의 아들로, 단성 현감(丹城縣監) 등을 지냄. 외손 김구(金絿)가 지은 묘갈음기(墓碣陰記)가 《자암집(自菴集)》에 실려 있음.
1412~1476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전의 , 인명>관인>문신
-
겸재(謙齋)@유종선 - 유종선(柳從善)@1519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진주(晉州). 유유(柳柔)의 아들이며, 유순선(柳順善)의 아우로, 호조 참의(戶曹參議)ㆍ첨지중추부사(僉知中樞府事) 등을 역임함.
1519~1578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겸재(謙齋)@하홍도 - 하홍도(河弘度)
조선 광해군(光海君)~현종(顯宗) 때의 학자. 본관은 진주(晉州). 성균관 유생일 때 광해군의 실정을 개탄하며 낙향하여 경사(經史)에만 전념함. 현종 때 남구만(南九萬)이 해박한 그의 지식에 감탄하여 임금에게 상주(上奏)해서 상을 내렸으나 사양함.
1593~1666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진주 , 인명>문사>학자
-
겸재(謙齋)@정선 - 정선(鄭歚)
조선 숙종(肅宗)~영조(英祖) 때의 문신ㆍ화가. 본관은 광산(光山). 그림에 뛰어나 현실감 넘치는 독창적인 진경산수화(眞景山水畵)를 완성하고, 금강전도(金剛全圖)ㆍ인왕제색도(仁王霽色圖) 등 많은 명작을 남김.
1676~1759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예술인>서화가ㅣ인명>관인>문신
-
겸재(謙齋)@오매경 - 오매경(吳梅卿)
중국 송(宋) 나라 때의 문신. 중국 태주(台州) 선거(仙居) 사람으로 충주 문학(忠州文學)을 역임함.
중국>송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겸재(謙齋)@정완 - 정완(鄭浣)
조선 연산군(燕山君)~중종(中宗) 때의 문신. 현량과(賢良科)에 급제하여 예조(禮曹)ㆍ이조(吏曹)의 정랑(正郞)을 지내다가 기묘사화(己卯士禍)로 현풍(玄風)에 부처됨.
1473~1521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영일 , 인명>관인>문신
-
겸재(謙齋)@임제 - 임제(林悌)
조선 선조(宣祖) 때의 시인ㆍ문신. 성운(成運)의 문인으로, 예조 정랑(禮曹正郞)ㆍ지제교(知製敎)를 지냄. 동서(東西)의 당파싸움을 개탄(慨歎)하여 벼슬을 버리고 명산을 유람하며 문장가로 명성을 떨침.
1549~1587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나주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겸재(謙齋) - 소세양(蘇世讓)
조선 연산군(燕山君)~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진주(晉州). 인종(仁宗) 때 윤임(尹任) 일파의 탄핵을 받아 사직하였다가 명종 때 재등용되어 좌찬성(左贊成) 등을 지냄. 문명(文名)이 높고 율시(律詩)에 뛰어났으며, 송설체(松雪體)를 잘 씀.
1486~1562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익산 , 인명>관인>문신
-
겸재(謙齋)@안목 - 안목(安牧)
고려 충숙왕(忠肅王)~공민왕(恭愍王) 때의 문신. 본관은 순흥(順興)으로, 검교찬성사(檢校贊成事)를 지낸 안우기(安于器)의 아들. 정당문학(政堂文學)ㆍ진현관 대제학(進賢館大提學) 등을 지내고, 충숙왕 때 이군해(李君侅) 등과 함께 인사권을 관장함.
1290~1360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영천(榮川)ㅣ경기도>파주 , 인명>관인>문신
-
겸재(謙齋)@서박 - 서박(徐薄)
중국 명(明) 나라 대종(代宗)~효종(孝宗) 때의 문신. 1497년(홍치 10) 황제의 칙령으로 《대명회전(大明會典)》 편찬에 착수하여 1549년(가정 28년)에 완성함.
1428~1499 중국>명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겸재(謙齋)@안처겸 - 안처겸(安處謙)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순흥(順興). 좌의정 안당(安瑭)의 아들로, 성균관 학유(成均館學兪)를 지냄. 심정(沈貞)ㆍ남곤(南袞) 등을 제거하려 했다는 송사련(宋祀連)의 무고로 인해 처형됨.
1486~1521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겸재선생문집(謙齋先生文集) - 겸재집(謙齋集)
조선 광해군(光海君)~현종(顯宗) 때의 학자인 하홍도(河弘度)의 시문집(詩文集). 정론(正論)을 비판하고 악인(惡人)을 장려하는 내용이 많이 들어 있다는 이유로 수난을 겪음.
1758 한국>조선후기 , 문헌>서명
-
겸중(謙仲)@정희익 - 정희익(鄭希益)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서산(瑞山). 군수(郡守)를 지낸 정경(鄭璟)의 아들로, 사재감 첨정(司宰監僉正) 등을 지냄.
1503~1561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서산 , 인명>관인>문신
-
겸중(謙仲) - 오수영(吳守盈)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인ㆍ학자. 이황(李滉)의 문인(門人)으로, 글씨를 잘 써 금보(琴輔)ㆍ이숙량(李叔樑) 등과 함께 ‘선성삼필(宣城三筆)’이라 불림.
1521~1606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예안 , 인명>문사>학자ㅣ인명>문사>문인
-
겸지(兼之) - 이달선(李達善)
조선 성종(成宗)~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 본관은 광주(光州). 이형원(李亨元)의 아들로, 장악원 정(掌樂院正)ㆍ지제교(知製敎)를 지냄.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광산 , 인명>관인>문신
-
겸지(謙之)@유영겸 - 유영겸(柳永謙)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전주(全州). 통훈대부(通訓大夫) 유연(柳埏)의 아들이며 호조 참판(戶曹參判)을 지낸 유영순(柳永詢)의 형으로, 1582년(선조 15) 진사시(進士試)에 입격하고, 음보로 의금부 도사(義禁府都事)를 지냄.
1549~?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겸지(謙之)@조대림 - 조대림(趙大臨)
조선 제3대 태종(太宗)의 사위. 영의정부사(領議政府事) 조준(趙浚)의 아들로, 태종의 둘째 딸 경정공주(慶貞公主)와 결혼함. 여러 차례 중국사신을 영접했으며 사은사(謝恩使)로 명(明) 나라에 다녀옴.
1387~1430 한국>조선전기 , 평안도>평양 , 인명>관인>문신ㅣ인명>왕실>인척
-
겸지(謙之) - 강겸(姜謙)
조선 성종(成宗)~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 강자평(姜子平)의 아들로, 무오사화(戊午士禍)로 유배된 후 능지처참됨.
?~1504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진주 , 인명>관인>문신
-
겹(韐) - 김겹(金韐)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광산(光山). 자암(自庵) 김구(金絿)의 손자로, 별제(別提)를 지냈으며,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왜적에게 목숨을 잃음.
?~1592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광산 , 인명>관인>문신
-
경(儆)@고려 - 이경(李儆)@고려
고려 후기의 문신. 본관은 인주(仁州). 문하시중(門下侍中) 이장용(李藏用)의 아버지로, 추밀원사(樞密院使)를 지냄.
?~1221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인천 , 인명>관인>문신
-
경(儆)@조선 - 이경(李儆)@조선
조선 전기의 종친. 성종(成宗)의 아들 익양군(益陽君) 이회(李懷)의 손자이며, 용천군(龍川君) 이수한(李壽鷴)의 다섯째 아들.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종친
-
경(卿) - 한경(韓卿)
고려 후기의 문신ㆍ외척. 본관은 안변(安邊). 조선 태조(太祖)의 국구(國舅)로, 밀직부사(密直副使)를 역임하였으며, 조선 개국 후 딸이 신의왕후(神懿王后)에 추봉(追封)되자, 보리공신(輔理功臣)에 추록되고 안천부원군(安川府院君)에 추증됨.
한국>고려후기 , 함경도>안변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ㅣ인명>왕실>인척
-
경(坰)@윤경 - 윤경(尹坰)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파평(坡平). 영의정(領議政) 윤필상(尹弼商)의 아버지로, 배천 군수(白川郡守)를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안성 , 인명>관인>문신
-
경(坰) - 유경(柳坰)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문화(文化). 광주(廣州)와 여주(驪州)의 목사(牧使)를 거쳐 첨지중추부사(僉知中樞府事)를 지냄.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문화 , 인명>관인>문신
-
경(庚) - 이경(李庚)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고성(固城). 제용감 정(濟用監正) 이규(李逵)의 아버지로, 평산 부사(平山府使)를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고성 , 인명>관인>문신
-
경(慶)@소경 - 소경(蘇慶)
신라 선덕여왕(善德女王)~신문왕(神文王) 때의 문신. 647년(진덕여왕 1)에 상대등(上大等)이 되고, 진덕여왕(眞德女王)이 죽은 후 왕위를 김춘추(金春秋)에게 사양함. 이후 진주(晉州)로 옮겨 가 진주소씨(晉州蘇氏)의 중시조가 됨.
577~686 한국>통일신라 , 경상도>진주 , 인명>관인>문신
-
경(慶)@오경 - 오경(吳慶)
조선 중종(中宗) 때의 유학. 본관은 해주(海州). 예조 좌랑(禮曹佐郞)을 지낸 오예손(吳禮孫)의 아들이며 판서(判書)를 지낸 오상(吳祥)의 형으로, 오상과 함께 모재(慕齋) 김안국(金安國)에게 수학함.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문사>유학
-
경(慶) - 고경(高慶)
고려 충렬왕(忠烈王)~충혜왕(忠惠王) 때의 문신. 본관은 제주(濟州)로 문하시중(門下侍中)을 지냈음. 간의동지(諫議同知)를 지낸 고용현(高用賢)의 아버지.
1276~1342 한국>고려후기 , 전라도>옥구 , 인명>관인>문신
-
경(慶)@이경 - 이경(李慶)
조선 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 본관은 성주(星州). 공조 참의(工曹參議)를 지낸 이계기(李啓基)의 아들로, 1498년(연산군 4) 식년시(式年試) 의과(醫科)에 급제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성주 , 인명>관인>문신
-
경(憬) - 심경(沈憬)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본관은 청송(靑松)으로, 이이(李珥)의 문인. 이발(李潑) 형제가 기축옥사(己丑獄事)에 연루되어 처형되었을 때 장사를 지냈다는 죄로 유배되었다가 풀려났으며, 정인홍(鄭仁弘)이 폐모론을 일으키자 규탄하다가 유배감.
1556~1616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면천 , 인명>관인>문신
-
경(擎) - 권경(權擎)
조선 세종(世宗)~성종(成宗) 때의 문신. 계유정난(癸酉靖難)에 수양대군(首陽大君)을 도와 김종서(金宗瑞)ㆍ황보인(皇甫仁) 등 원로대신을 숙청함.
1429~1482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경(敬) - 제갈회(諸葛恢)
중국 남북조시대 진(晉) 나라 혜제(惠帝)~성제(成帝) 때의 문신. 조정에서 재상인 왕도(王導)와 이름을 나란히 하였으며 국내외에서 공을 세워 여러 번 시중(侍中)에 오름.
265~326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경(景)@남경 - 남경(南景)
조선 전기의 유학. 금계(錦溪) 황준량(黃俊良)과 교유함.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유학
-
경(景) - 유장(劉章)
중국 전한(前漢) 때 제(齊) 도혜왕(悼惠王)의 아들. 한(漢) 나라 초기에 여후(呂后)가 죽자, 주발(周勃)ㆍ진평(陳平) 등과 함께 여씨(呂氏)를 주벌하고 대왕(代王) 항(恒)을 제위에 추대하였음.
중국>전한 , 중국 , 인명>왕실>제후
-
경(暻)@남경 - 남경(南暻)
조선 후기의 유학. 본관은 의령(宜寧). 영동 현감(永同縣監)을 지낸 남응정(南應井)의 서자(庶子). 주부(主簿) 권헌(權憲)의 딸과 결혼함.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의령 , 인명>문사>유학
-
경(暻)@왕경 - 왕경(王暻)
고려 제17대 인종(仁宗)의 아들. 의종(毅宗)의 아우로, 1148년(의종 2) 대령후(大寧侯)로 책봉되었으나, 1157년(의종 11) 천안부(天安府)로 유배됨.
한국>고려전기 , 경기도>개성 , 인명>왕실>왕자
-
경(暻) - 윤경(尹暻)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파평(坡平). 윤선철(尹先哲)의 아들로, 1569년(선조 22) 별시 문과(別試文科)에 급제하였으며, 양주 목사(楊州牧使) 등을 역임함.
1540~?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파주 , 인명>관인>문신
-
경(曔) - 손경(孫曔)
조선 전기의 무신. 본관은 경주(慶州). 의정부 우참찬 손중돈(孫仲暾)의 아들로, 충의위(忠義衛) 현신교위(顯信校尉)를 지냄.
1492~1529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경주 , 인명>관인>무신
-
경(熲) - 이경(李熲)
조선 중종(中宗) 때의 종친. 태종(太宗)의 맏아들인 양녕대군(讓寧大君) 이제(李禔)의 손자이며, 서산군(瑞山君) 이혜(李譓)의 아들.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