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경(璟)@안경 - 안경(安璟)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순흥(順興). 경상도 관찰사(慶尙道觀察使) 안관후(安寬厚)와 사헌부 지평(司憲府持平) 안중후(安重厚)의 아버지로, 검참판(檢參判)과 검교 한성윤(檢校漢城尹)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풍기 , 인명>관인>문신
-
경(璟)@송경 - 송경(宋璟)
중국 당(唐) 나라 현종(玄宗) 때의 명재상. 요숭(姚崇)과 함께 개원(開元)의 치세(治世)를 이끌었으며, 그가 지은 〈매화부(梅花賦)〉는 문인들 사이에 널리 회자됨.
663~737 중국>당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경(璟)@박경 - 박경(朴璟)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죽산(竹山). 예빈시 정(禮賓寺正)을 지낸 박응현(朴應鉉)의 아들로, 직장(直長)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죽산 , 인명>관인>문신
-
경(璟)@정경 - 정경(鄭璟)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서산(瑞山).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인 정희익(鄭希益)의 아버지로, 숙천 부사(肅川府使)를 지냄.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서산 , 인명>관인>문신
-
경(璟) - 왕경(王璟)
고려 고종(高宗) 때의 종친. 계성후(桂城侯) 왕원(王沅)의 아들로 청화후(淸化侯)로 책봉됨. 승화후(承化侯) 왕온(王溫)과 영녕공(永寧公) 왕준(王綧)의 아버지.
?~1259 한국>고려후기 , 인명>왕실>종친
-
경(璟)@문경 - 문경(文璟)
고려 후기의 문신. 본관은 남평(南平)으로, 문달한(文達漢)의 아버지. 보리공신(輔理功臣)에 책록되고 문하찬성사(門下贊成事)를 지냈으며, 남평군(南平君)에 봉해짐.
한국>고려후기 , 전라도>남평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경(璥) - 유경(柳璥)
고려 고종(高宗)~충렬왕(忠烈王) 때의 문신. 본관은 문화(文化). 김준(金俊) 등과 함께 최의(崔竩)를 죽여 최씨의 무신정권(武臣政權)을 종식시킴. 첨의중찬(僉議中贊) 등을 지내고 문장에 뛰어났으며, 안향(安珦) 등 많은 제자를 배출함.
1211~1289 한국>고려후기 , 황해도>문화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경(璥)@조선전기 - 이경(李璥)@조선전기
조선 전기의 종친. 태종(太宗)의 첫 번째 서자인 경녕군(敬寧君) 이비(李裶)의 증손으로, 기묘사화(己卯士禍) 때 조광조(趙光祖) 등의 무죄를 극력 간하여 남해(南海)로 유배되었다가 복직됨.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경(璥)@조선후기 - 이경(李璥)@조선후기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함평(咸平). 이만영(李萬榮)의 아들로,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진주 목사(晉州牧使)로 있다가 병사함.
1538~1592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함평 , 인명>관인>문신
-
경(瓊)@송경 - 송경(宋瓊)
조선 전기의 문신. 송애(松厓) 이여(李畬)와 절친한 벗으로, 훈도(訓導)를 지냄.
한국>조선전기 , 인명>관인>문신
-
경(瓊) - 박경(朴瓊)
고려 후기의 문신. 본관은 함양(咸陽). 판삼사사(判三司事) 박충좌(朴忠佐)의 아들로, 한림제학(翰林提學)ㆍ판서(判書)를 지냄.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함양 , 인명>관인>문신
-
경(瓊)@이경 - 이경(李瓊)
고려 말~조선 초의 충신. 두문동칠십이현(杜門洞七十二賢)의 한 사람으로, 고려가 망하자 조선의 건국에 반대하며 두문동(杜門洞)에 들어가 끝까지 충성과 지조를 지킴.
1337~?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기도>개성 , 인명>기타인명>은자
-
경(絅)@허경 - 허경(許絅)
고려 후기의 문신. 본관은 양천(陽川). 양천군(陽川君) 허백(許伯)의 아들이자 전리 판서(典理判書)를 지낸 허금(許錦)의 아버지로, 지신사(知申事)를 지냄.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양천 , 인명>관인>문신
-
경(絅) - 조경(趙絅)
조선 광해군(光海君)~현종(顯宗) 때의 문신. 본관은 한양(漢陽). 조익남(趙翼男)의 아들이며 윤근수(尹根壽)의 문인(門人). 병자호란(丙子胡亂) 때 척화(斥和)를 주장하고, 대제학(大提學)ㆍ이조 판서(吏曹判書) 등을 지냄.
1586~1669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거창ㅣ경기도>포천 , 인명>관인>문신
-
경(經)@이경 - 이경(李經)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광주(廣州). 교리(校理) 이수언(李粹彦)의 아들로, 장례원 사의(掌隷院司議)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광주 , 인명>관인>문신
-
경(經) - 박경(朴經)
조선 태조(太祖)~태종(太宗) 때의 문신. 본관은 영해(寧海). 음보(蔭補)로 벼슬에 나아가 대사헌(大司憲)ㆍ완산부 윤(完山府尹) 등을 지냄.
1350~1414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영해 , 인명>관인>문신
-
경(耕)@윤경 - 윤경(尹耕)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해남(海南). 윤사보(尹思甫)의 아들이며, 윤효정(尹孝貞)의 아버지.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해남 , 인명>문사>유학
-
경(耕) - 박경(朴耕)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서예가. 정붕(鄭鵬)ㆍ박영(朴英)의 문인으로 교수청(校讐廳)의 사자생(寫字生)으로 있었는데, 유자광(柳子光)ㆍ박원종(朴元宗) 등 왕의 측근을 제거하려 한다는 밀고로 인해 참형(斬刑)에 처해짐.
?~1507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나주 , 인명>예술인>서화가
-
경(褧) - 정경(鄭褧)
조선 중종(中宗) 때의 유학. 본관은 광주(光州). 아산 현감(牙山縣監)을 지낸 정순인(鄭純仁)의 아들로, 1513년(중종 8) 진사시(進士試)에 입격함.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문사>유학
-
경(鏡) - 신경(辛鏡)
고려 인종(仁宗) 때의 문신. 북송(北宋)에서 건너 온 팔학사(八學士)의 한 사람으로, 영산(靈山)에 정착하여 영산신씨(靈山辛氏)의 시조가 됨. 금자광록대부(金紫光錄大夫)ㆍ문하시랑평장사(門下侍郞平章事) 등을 지냄.
1107~? 한국>고려전기 , 중국ㅣ경상도>영산 , 인명>기타인명>귀화인ㅣ인명>관인>문신
-
경(鏡)@김경 - 김경(金鏡)
조선 전기의 무신. 본관은 광산(光山). 도승지 김질충(金質忠)의 아버지로, 충좌위 부호군(忠佐衛副護軍)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광산 , 인명>관인>무신
-
경(鯁) - 심경(沈鯁)
조선 중종(中宗) 때의 유학. 본관은 청송(靑松). 효력부위(效力副尉)를 지낸 심희창(沈希昌)의 아들로, 1513년(중종 8) 진사시(進士試)에 입격함.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진원 , 인명>문사>유학
-
경가(慶可) - 개로왕(蓋鹵王)
백제의 제21대 왕. 재위 455~475. 비유왕(毗有王)의 맏아들이며, 문주왕(文周王)의 아버지. 북위(北魏)를 이용하여 고구려의 남하 정책을 저지하려 하였으나 실패하였으며, 475년 고구려의 침입 때 붙잡혀 참수됨.
?~475 한국>백제 , 경기도>광주 , 인명>왕실>국왕
-
경각(經閣) - 대장각(大藏閣)
경기도 여주(驪州) 신륵사(神勒寺)에 있었던 건물 이름. 고려 우왕(禑王) 때 이숭인(李崇仁)이 2층 형태로 건립하고, 이색(李穡)과 혜근(惠勤)의 제자들이 발원해 만든 대장경(大藏經)을 봉안하였음.
1382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여주 , 유적>건물>누정
-
경간(敬簡) - 문효제(文孝悌)
고려 목종(穆宗) 때의 문신. 본관은 남평(南平)으로, 평장사(平章事)를 지낸 문극유(文克裕)의 아들. 집현전 태학사(集賢殿太學士) 등을 지냈고, 남평개국백(南平開國伯)에 봉해짐.
한국>고려전기 , 전라도>남평 , 인명>관인>문신
-
경강(敬康) - 덕종(德宗)@고려
고려 제9대 왕. 재위 1031~1034. 천리장성(千里長城)을 쌓았고, 현종(顯宗) 때 시작한 국사편찬사업을 완성함.
1016~1034 한국>고려전기 , 경기도>개성 , 인명>왕실>국왕
-
경건(景建) - 증극(曾極)
중국 송(宋) 나라의 문인. 주희(朱熹)가 그의 서(書)와 시(詩)를 얻어서 특별하게 여겼다고 하며, 저서에는 《춘릉소집(春陵小集)》이 있으나 전하지는 않음.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문인
-
경검(景儉) - 이경검(李景儉)
조선 후기의 종친. 성종(成宗)의 여덟 번째 서자인 이성군(利城君) 이관(李慣)의 증손이며, 해풍군(海豊君) 이기(李耆)의 아들. 선조(宣祖) 때 호성공신(扈聖功臣)에 책록되었으나, 계축화옥(癸丑禍獄)에 연루되어 무림군(茂林君) 이선윤(李善胤)과 함께 원지에 위리안치(圍籬安置)되었다가 적소에서 죽음.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전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왕실>종친
-
경경(慶卿) - 형가(荊軻)
중국 춘추전국시대의 자객(刺客). 위(衛) 나라 사람으로 연(燕) 나라 태자 단(丹)의 식객(食客)이 되었으며, 단의 원수를 갚기 위해 진왕(秦王)을 죽이려 하였으나 실패하고 도리어 죽임을 당함.
?~B.C.227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기타인명>기타인물
-
경고(景高) - 곽고(郭𡼗)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의주 목사(義州牧使)를 지냈으며, 《율곡전서(栗谷全書)》에 이이(李珥)가 이별하면서 쓴 시가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인명>관인>문신
-
경곡(瓊谷) - 박광전(朴光前)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ㆍ의병장. 본관은 진원(珍原). 이황(李滉)의 문인으로, 회덕 현감(懷德縣監) 등을 지내고, 임진왜란(壬辰倭亂)과 정유재란(丁酉再亂) 때 의병을 일으켜 활약함.
1526~1597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보성 , 인명>관인>문신
-
경공(景恭) - 안경공(安景恭)
고려 공민왕(恭愍王)~조선 태종(太宗) 때의 문신. 태조(太祖) 때 개국공신(開國功臣)에 책록되고, 집현전 대제학(集賢殿大提學)을 지냄. 정도전(鄭道傳)ㆍ남은(南誾)의 죄를 감해줄 것을 요청했다가 탄핵을 받음.
1347~1421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영천(榮川)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경관(景寬) - 권홍계(權弘啓)
조선 전기의 유학. 김륭(金隆)과 시문(詩文)을 주고받으며 교유함.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유학
-
경관(景寬)@이언순 - 이언순(李彦淳)
조선 순조(純祖)~헌종(憲宗) 때의 문신. 본관은 진성(眞城). 이귀용(李龜容)의 아들로, 이조 참판(吏曹參判) 등을 지냄. 성품이 강직ㆍ근면하고, 국사에 남다른 관심을 두어 정사(正史)와 야사(野史)를 두루 섭렵함.
1774~1845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예안 , 인명>관인>문신
-
경광원(鏡光院) - 경광서원(鏡光書院)
조선 선조(宣祖) 때 경상북도 안동(安東) 서후면(西後面)에 건립한 서원. 배상지(裵尙志)ㆍ이종준(李宗準)ㆍ장흥효(張興孝) 등을 배향함.
1568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유적>건물>서원,향교
-
경광정사(鏡光精舍) - 경광서원(鏡光書院)
조선 선조(宣祖) 때 경상북도 안동(安東) 서후면(西後面)에 건립한 서원. 배상지(裵尙志)ㆍ이종준(李宗準)ㆍ장흥효(張興孝) 등을 배향함.
1568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유적>건물>서원,향교
-
경구(景久) - 김성원(金聲遠)
조선 선조(宣祖) 때의 학자. 본관은 경주(慶州). 조헌(趙憲)의 문인으로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금산 전투(錦山戰鬪)에서 전사함.
1565~1592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진산 , 인명>문사>학자
-
경국(經國) - 경국대전(經國大典)
조선 세조(世祖) 때 편찬을 시작하여 성종(成宗) 때 완성된 조선시대 통치의 기본 법전. 조선 건국 전후부터 1484년(성종 15)에 이르기까지 약 100년간의 왕명ㆍ교지(敎旨)ㆍ조례(條例) 중 영구히 준수할 것을 모아 엮음. 6권 4책. 인본(印本).
1485 한국>조선전기 , 법제>법률ㅣ문헌>서명
-
경국대전속록(經國大典續錄) - 대전속록(大典續錄)
조선시대 기본법전인 《경국대전(經國大典)》 반포 이후 성종(成宗) 22년(1491)까지의 새로운 수교(受敎)와 법규(法規)를 수집하여 편찬한 법전. 6권 1책. 목판본.
1492 한국>조선전기 , 서울 , 법제>법률ㅣ문헌>서명
-
경국전(經國典) - 조선경국전(朝鮮經國典)
조선 태조(太祖) 때 정도전(鄭道傳)이 지은 사찬(私撰) 법전(法典). 2권. 필사본. 조선 개국의 기본 정책과 육전(六典)에 관한 업무를 규정하였으며, 성종(成宗) 때 편찬한 《경국대전(經國大典)》의 모체가 됨.
1394 한국>조선전기 , 문헌>서명
-
경궐(京闕) - 경사(京師)
중국의 수도를 지칭하는 말. 경(京)은 크고 사(師)는 많다는 뜻으로, 주(周) 나라의 수도를 경사(京師)라고 한 데서 후대에 천자(天子)가 기거하는 곳을 이름.
중국 , 지명>행정지명
-
경근(敬近) - 김경근(金敬近)
조선 전기의 무신. 본관은 나주(羅州). 한성부윤(漢城府尹) 김봉서(金鳳瑞)의 아버지로, 좌군 사용(左軍司勇)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나주 , 인명>관인>무신
-
경근재(敬勤齋) - 유몽학(柳夢鶴)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학덕을 겸비한 인재로 천거되어 장령(掌令)ㆍ집의(執義)ㆍ양양 부사(襄陽府使) 등을 지냄. 일재(一齋) 이항(李恒)의 문인으로, 시방(市坊)의 폐단을 개혁함.
한국>조선전기 , 인명>관인>문신
-
경기(慶祺) - 이경기(李慶祺)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전주(全州). 첨지(僉知) 이간(李幹)의 아들로, 요절함.
?~1583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문사>유학
-
경기(景基) - 심호(沈鎬)
조선 중종(中宗) 때의 유학. 본관은 청송(靑松). 우참찬(右參贊) 심광언(沈光彦)의 아들로, 안악 군수(安岳郡守) 심광문(沈光門)에게 출계(出系)함. 동생 심금(沈錦)의 아들 심종민(沈宗敏)을 계자(繼子)로 삼음.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문사>유학
-
경기(景琦) - 한경기(韓景琦)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문신ㆍ시인. 한명회(韓明澮)의 손자로, 음보(蔭補)로 돈녕부 정(敦寧府正)을 지냈으나 조부의 행적을 부끄러워하여 요직을 피함. 남효온(南孝溫)ㆍ홍유손(洪裕孫) 등과 교유하고, 시명(詩名)이 높았음.
1472~1529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경기도(京畿道) - 경기(京畿)
한반도 중앙의 서쪽에 위치한, 서울을 둘러싸고 있는 도(道) 이름. 조선시대 팔도(八道)의 하나.
경기도 , 지명>행정지명
-
경길(敬吉) - 박경길(朴敬吉)
조선 광해군(光海君)~효종(孝宗) 때의 무신. 부사과(副司果)를 지낸 박몽필(朴夢筆)의 아들로, 첨지중추부사(僉知中樞府事)를 지냈으며, 1655년(효종 6)에 종제(從弟) 박경지(朴敬祉)와 함께 박영(朴英)의 문집인 《송당집(松堂集)》을 간행함.
1577~1658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밀양 , 인명>관인>무신
-
경남(敬男) - 한경남(韓敬男)
조선 전기의 무신. 본관은 청주(淸州).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인 한응인(韓應寅)의 아버지로, 부사직(副司直)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청주 , 인명>관인>무신
-
경남(景南) - 유몽익(柳夢翼)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문화(文化). 사헌부 감찰(司憲府監察) 유용공(柳用恭)의 아들로, 음보(蔭補)로 사포서 별좌(司圃署別坐)에 제수되었으며, 형조 정랑(刑曹正郞) 등을 역임함.
1522~1591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문화 , 인명>관인>문신
-
경눌(竟訥) - 경눌(敬訥)
조선 전기의 승려. 김정(金淨)이 그에게 써 준 시(詩)가 《충암집(冲庵集)》에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인명>종교인>승려
-
경당(敬堂)@애경당 - 애경당(愛敬堂)
경상도 문경(聞慶) 영순면(永順面)에 있는 사당. 조선 성종(成宗) 때 홍귀달(洪貴達)이 부모를 추모하기 위해 건립함.
1491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문경 , 유적>건물>사당
-
경당(敬堂)@장흥효 - 장흥효(張興孝)
조선 후기의 학자. 본관은 안동(安東). 김성일(金誠一)ㆍ유성룡(柳成龍)ㆍ정구(鄭逑) 등의 문하에서 수학하고, 벼슬을 단념한 채 후학 양성에만 힘씀. 지평(持平)에 추증되고 경광서원(鏡光書院)에 배향됨.
1564~1633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문사>학자
-
경당(敬堂) - 손효조(孫孝祖)
조선 전기의 유학. 김종직(金宗直)의 문인(門人)으로, 생원시에 합격하였으며, 김용석(金用石) 등과 함께 주희(朱熹)의 고사에 의거하여 향약(鄕約)을 만들고 《소학(小學)》을 강론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경당(敬堂)@신흠 - 신흠(申欽)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평산(平山). 계축화옥(癸丑禍獄) 때 선조의 유교칠신(遺敎七臣)이라는 이유로 파직되었으나, 인조반정(仁祖反正) 이후 삼정승을 지냄. 이정귀(李廷龜)ㆍ장유(張維)ㆍ이식(李植)과 함께 조선 중기 한문학의 정종(正宗)으로 일컬어짐.
1566~1628 한국>조선후기 , 강원도>춘천ㅣ서울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경당(敬堂)@한세능 - 한세능(韓世能)
중국 명(明) 나라 목종(穆宗)~신종(神宗) 때의 문신. 1572년(조선 선조 5) 신종이 즉위하자 진삼모(陳三謀)ㆍ등계달(鄧季達) 등과 함께 황제의 등극 조서(詔書)를 가지고 조선에 사신으로 옴. 한림원 편수(翰林院編修)ㆍ예부 좌시랑(禮部左侍郞) 등을 지내고, 저서로 《운동습초(雲東拾草)》등이 있음.
1528~1598 중국>명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경당(鏡堂) - 쌍경당(雙鏡堂)
경상도 밀양(密陽) 용평동(龍平洞)에 있는 당우(堂宇) 이름. 조선 중종(中宗) 때 이태(李迨)가 건립하였으며,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소실되었다가 영조(英祖) 때 복원됨.
1525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밀양 , 유적>건물>누정
-
경당대인(敬堂大人) - 한세능(韓世能)
중국 명(明) 나라 목종(穆宗)~신종(神宗) 때의 문신. 1572년(조선 선조 5) 신종이 즉위하자 진삼모(陳三謀)ㆍ등계달(鄧季達) 등과 함께 황제의 등극 조서(詔書)를 가지고 조선에 사신으로 옴. 한림원 편수(翰林院編修)ㆍ예부 좌시랑(禮部左侍郞) 등을 지내고, 저서로 《운동습초(雲東拾草)》등이 있음.
1528~1598 중국>명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경대(瓊臺) - 구준(丘濬)
중국 명(明) 나라 영종(英宗)~효종(孝宗) 때의 문신ㆍ학자. 문장에 매우 웅장하고 전례(典例)와 고사(故事)에 정통함. 《영종실록(英宗實錄)》ㆍ《헌종실록(憲宗實錄)》을 편찬하고 《대학연의보(大學衍義補)》를 저술함.
1420~1495 중국>명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경덕(敬德)@서경덕 - 서경덕(徐敬德)
조선 중종(中宗) 때의 학자. 본관은 당성(唐城). 독자적인 기철학(氣哲學)의 체계를 완성하여, 이황(李滉)ㆍ이이(李珥) 등의 학자들에 의해서 그 독창성이 높이 평가됨.
1489~1546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개성 , 인명>문사>학자
-
경덕(敬德) - 울지공(尉遲恭)
중국 수(隨) 말~당(唐) 초의 무신. 수 나라 말에 유무주(劉武周) 휘하의 장수로 있다가 당 나라에 귀부하여 이세민(李世民)을 따라 왕세충(王世充)ㆍ두건덕(竇建德) 등을 격퇴하고, 현무문(玄武門)의 변(變) 때 이세민의 제위 탈취를 돕는 등의 공을 세움.
585~658 중국>당ㅣ중국>수 , 중국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무신
-
경덕(景德)@운봉 - 운봉(雲峯)@지명
전라도 남원(南原)의 동부에 있던 고을 이름. 지리산(智異山)의 서쪽에 위치하며, 호남(湖南)과 영남(嶺南)의 경계 지역을 이룸. 현재 전라북도 남원시(南原市)에 속함.
전라도>운봉 , 지명>행정지명
-
경덕(景德) - 송호지(宋好智)
조선 연산군(燕山君)~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여산(礪山). 기묘사화(己卯士禍) 때 조광조(趙光祖)의 구원을 요청하였다가 관직이 삭탈되었으나, 뒤에 복관됨.
1474~1526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여산 , 인명>관인>문신
-
경덕(景德)@윤비 - 윤비(尹棐)
조선 전기의 유학. 김안국(金安國)의 《모재집(慕齋集)》에 그에 대한 자사(字辭)가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유학
-
경덕(經德) - 박인수(朴仁壽)
고려 말~조선 초의 효자. 하륜(河崙)의 《호정집(浩亭集)》에 그의 효성을 읊은 시가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인명>기타인명>효자
-
경덕사(景德祠)@사빈서원 - 사빈서원(泗濱書院)
조선 숙종(肅宗) 때 경상도 안동(安東)에 건립한 서원. 김진(金璡)ㆍ김극일(金克一)ㆍ김명일(金明一)ㆍ김성일(金誠一)ㆍ김복일(金復一)을 배향함.
1685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안동 , 유적>건물>서원,향교
-
경덕전등록(景德傳燈錄) - 전등록(傳燈錄)
중국 송(宋) 나라의 문신ㆍ학자인 양억(楊億)이 교정, 간행한 불서(佛書). 30권. 본래 도원선사(道原禪師)가 찬술한 것을 양억이 개정하여 간행한 것으로, 중국 선종(禪宗)의 법계를 밝혀 1701인의 계보를 서술함.
1004 중국>송 , 중국 , 문헌>서명
-
경도(京都) - 경사(京師)
중국의 수도를 지칭하는 말. 경(京)은 크고 사(師)는 많다는 뜻으로, 주(周) 나라의 수도를 경사(京師)라고 한 데서 후대에 천자(天子)가 기거하는 곳을 이름.
중국 , 지명>행정지명
-
경도(耕道) - 방뢰(方耒)
중국 남송(南宋) 때의 문신ㆍ학자. 주자(朱子)의 문인(門人)으로, 연강 현령(連江縣令)을 지냄.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경동(敬仝) - 문경동(文敬仝)
조선 연산군(燕山君)~중종(中宗) 때의 문신ㆍ문인. 본관은 안동(安東). 문속명(文續命)의 아들로, 음주와 독서를 즐기고 문장에 능하였으며, 특히 사부(詞賦)에 뛰어남.
1457~1521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경동(瓊仝) - 이경동(李瓊仝)
조선 세조(世祖)~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 《북정록(北征錄)》ㆍ《세조실록(世祖實錄)》 등의 편찬에 참여하고, 대사헌(大司憲) 등을 역임하였으며, 임사홍(任士洪)의 횡포를 견제하고 유자광(柳子光)을 탄핵함.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관인>문신
-
경락(京洛) - 경사(京師)
중국의 수도를 지칭하는 말. 경(京)은 크고 사(師)는 많다는 뜻으로, 주(周) 나라의 수도를 경사(京師)라고 한 데서 후대에 천자(天子)가 기거하는 곳을 이름.
중국 , 지명>행정지명
-
경래(景來) - 홍경래(洪景來)
조선 순조(純祖) 때의 농민군 지도자. 본관은 남양(南陽). 1811년(순조 11)에 삼정(三政)의 문란 등 사회적 모순에 저항하여 평안도 가산(嘉山)에서 농민반란을 일으켰으나, 4개월 만에 실패하고 정주성(定州城)에서 전사함.
1771~1812 한국>조선후기 , 평안도>용강 , 인명>기술인>지관ㅣ인명>기타인명>역적
-
경략(景略) - 왕맹(王猛)
중국 남북조시대(南北朝時代) 전진(前秦)의 승상(丞相). 화산(華山)에 은거해 있다가 전진(前秦)의 세조(世祖) 부견(符堅)의 승상으로 일하면서 국력을 크게 중흥시킴.
325~375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경략(景畧) - 왕맹(王猛)
중국 남북조시대(南北朝時代) 전진(前秦)의 승상(丞相). 화산(華山)에 은거해 있다가 전진(前秦)의 세조(世祖) 부견(符堅)의 승상으로 일하면서 국력을 크게 중흥시킴.
325~375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경량(敬良) - 안경량(安敬良)
고려 공민왕(恭愍王)~조선 태조(太祖) 때의 문신. 본관은 순흥(順興). 판문하부사(判門下府事)를 지낸 안종원(安宗源)의 아들. 태조(太祖) 때 《향약제생집성방(鄕藥濟生集成方)》 편찬에 참여함.
?~1398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영천(榮川) , 인명>관인>문신
-
경량(鏡亮) - 김경량(金鏡亮)
고려 고종(高宗) 때의 무신. 본관은 광산(光山). 신호위중랑장(神虎衛中郞將) 김광세(金光世)의 아들로, 금오위 대장군(金吾衛大將軍)을 지냈으며, 문하시중평장사(門下侍中平章事)에 추증됨.
?~1247 한국>고려후기 , 전라도>광산 , 인명>관인>무신
-
경려(景呂) - 탁거중(卓居重)
조선 후기의 문신. 본관은 광산(光山). 탁유항(卓有恒)의 아들로, 기자전 참봉(箕子殿參奉)을 역임함.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광산 , 인명>관인>문신
-
경련(京輦) - 경사(京師)
중국의 수도를 지칭하는 말. 경(京)은 크고 사(師)는 많다는 뜻으로, 주(周) 나라의 수도를 경사(京師)라고 한 데서 후대에 천자(天子)가 기거하는 곳을 이름.
중국 , 지명>행정지명
-
경렬(敬烈)@박보로 - 박보로(朴普老)
고려 우왕(禑王) 때의 무신. 심왕(瀋王) 탈탈불화(脫脫不和)의 왕위 등극 음모를 저지하였으며, 상원수(上元帥)가 되어 왜구를 물리침.
?~1380 한국>고려후기 , 인명>관인>무신
-
경렬(敬烈) - 남을번(南乙蕃)
고려 공민왕(恭愍王)~조선 태조(太祖) 때의 문신. 고려 때 밀직부사(密直府使)를 지냈고, 조선 건국 후 검교시중(檢校侍中)이 됨.
1320~1395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의령 , 인명>관인>문신
-
경렬명헌(敬烈明獻) - 인선왕후(仁宣王后)
조선 제17대 효종(孝宗)의 비. 본관은 덕수(德水). 우의정 장유(張維)의 딸로, 병자호란 후 인질로 잡혀가는 봉림대군(鳳林大君:효종)을 따라 심양(瀋陽)에 가서 8년을 머묾. 1649년 효종이 즉위하면서 왕비가 되고, 현종(顯宗) 등 1남 6녀를 낳음.
1618~1674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왕실>왕비
-
경렬사우(景烈祠宇) - 경렬사(景烈祠)
조선 인조(仁祖) 때 전라도 광산(光山)에 건립된 사우(祠宇). 정지(鄭地)ㆍ정충신(鄭忠信)ㆍ김상의(金尙義) 등을 배향함.
1644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광산 , 유적>건물>사당
-
경렴(景濂)@유경렴 - 유경렴(柳景濂)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선산(善山). 미암(眉巖) 유희춘(柳希春)의 아들이며, 하서(河西) 김인후(金麟厚)의 사위로, 찰방(察訪)을 역임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선산 , 인명>관인>문신
-
경렴(景濂)@탁광무 - 탁광무(卓光茂)
고려 충혜왕(忠惠王)~공민왕(恭愍王) 때의 문신. 본관은 광산(光山). 집현전 대제학(集賢殿大提學)을 지낸 탁문위(卓文位)의 맏아들로, 충혜왕 때 사마시(司馬試)에 입격하였으며, 예의 판서(禮儀判書) 등을 지냄.
1330~1410 한국>고려후기 , 전라도>광산 , 인명>관인>문신
-
경렴(景濂) - 김종직(金宗直)
조선 단종(端宗)~성종(成宗)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선산(善山). 고려 말 정몽주(鄭夢周)ㆍ길재(吉再)의 학통을 이어받은 조선 도통(道統)의 정맥으로 사림(士林)의 종주(宗主)가 됨. 〈조의제문(弔義帝文)〉으로 무오사화(戊午士禍) 때 부관참시(剖棺斬屍) 됨.
1431~1492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밀양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경렴(景濂)@송렴 - 송렴(宋濂)
중국 명(明) 나라 태조(太祖) 때의 문신ㆍ학자. 오내(吳萊)ㆍ유관(柳貫)ㆍ황잠(黃潛) 등의 문하에서 수학함. 원(元) 나라 말기 전란을 피하여 용문산(龍門山)에 은거하며 저작 활동을 했으며, 《원사(元史)》의 편수를 주관함.
1310~1381 중국>명ㅣ중국>원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경렴정(景濂亭)@탁광무 - 탁광무(卓光茂)
고려 충혜왕(忠惠王)~공민왕(恭愍王) 때의 문신. 본관은 광산(光山). 집현전 대제학(集賢殿大提學)을 지낸 탁문위(卓文位)의 맏아들로, 충혜왕 때 사마시(司馬試)에 입격하였으며, 예의 판서(禮儀判書) 등을 지냄.
1330~1410 한국>고려후기 , 전라도>광산 , 인명>관인>문신
-
경례(敬禮) - 기경례(奇敬禮)
조선 선조(宣祖) 때의 유학. 본관은 행주(幸州). 사헌부 장령(司憲府掌令) 기대정(奇大鼎)의 둘째 아들로, 1591년(선조 24) 식년시(式年試) 생원과(生員科)에 입격함.
1557~?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문사>유학
-
경례(鏡禮) - 이경례(李鏡禮)
조선 후기의 종친. 본관은 전주(全州). 동원(東園) 김귀영(金貴榮)의 사위.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경로(庚老) - 조응경(趙應卿)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함안(咸安). 조수만(趙壽萬)의 아들로, 일찍이 부모를 여의고 조부인 조금호(趙金虎) 슬하에서 자라면서 지극한 효행으로 이름을 떨침. 사헌부 감찰(司憲府監察) 등을 지냄.
1487~1549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함안 , 인명>관인>문신
-
경로(慶老)@김희년 - 김희년(金禧年)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김해(金海). 김자용(金自鎔)의 아들이고, 조식(曺植)의 문인(門人). 정미사화(丁未士禍)에 연루되어 유배되었다가 복권되어 통례(通禮)를 지냄.
1534~1592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경로(慶老) - 권기(權祺)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 권억(權憶)의 아들로, 1519년(중종 14) 식년시(式年試)에 급제하여 승지(承旨) 등을 지냄.
1495~?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경로(敬老) - 김경로(金敬老)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무신.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경상도ㆍ황해도ㆍ전라도 등지에서 활약하였으며, 정유재란(丁酉再亂) 때 전주(全州) 방어를 맡음. 왜군에게 포위된 남원(南原)을 구하기 위해 싸우던 중 전사함.
?~1597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남원 , 인명>관인>무신
-
경로(景老) - 정대년(鄭大年)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동래(東萊)로, 예문관 검열(藝文館檢閱) 정전(鄭荃)의 아들. 1532년(중종 27) 별시(別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황해도 관찰사(黃海道觀察使)ㆍ한성부 판윤(漢城府判尹) 등을 지냄.
1503~1578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경로(景魯) - 이희삼(李希參)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인. 본관은 경주(慶州). 학자 이몽규(李夢奎)의 아들로, 송강(松江) 정철(鄭澈) 등과 교유함.
1534~?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보령ㅣ경상도>경주 , 인명>문사>문인
-
경록(景祿)@한경록 - 한경록(韓景祿)
조선 중종(中宗)의 부마(駙馬). 본관은 청주(淸州). 한승권(韓承權)의 아들로, 중종의 둘째 딸인 의혜공주(懿惠公主)와 혼인하고, 청원위(淸原尉)에 봉해짐.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청주 , 인명>왕실>인척
-
경록(景祿) - 탁복해(卓福海)
고려 후기의 문신. 본관은 광산(光山). 이부 상서(吏部尙書)를 지낸 탁정위(卓廷位)의 둘째 아들로, 도호부사(都護府使) 등을 역임함.
한국>고려후기 , 전라도>광산 , 인명>관인>문신
-
경룡(景龍) - 권경룡(權景龍)
조선 명종(明宗) 때의 유학. 본관은 안동(安東)으로, 안동 부사(安東府使) 권소(權紹)의 아들. 이황(李滉)의 문인으로, 1561년(명종 16) 생원시(生員試)에 입격함.
1537~?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함창 , 인명>문사>유학
-
경륜(景綸) - 나대경(羅大經)
중국 송(宋) 나라 이종(理宗) 때의 학자. 문학비평서(文學批評書)인 《학림옥로(鶴林玉露)》를 저술함.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