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경시(景時)@윤창명 - 윤창명(尹昌鳴)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칠원(漆原)으로, 윤신(尹信)의 아들. 정자(正字)를 지냈으며, 유몽인(柳夢寅)ㆍ구사맹(具思孟) 등과 교유함.
1537~?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제천 , 인명>관인>문신
-
경시(景時)@노대성 - 노대성(盧大成)
조선 명종(明宗) 때의 유학. 본관은 광주(光州)로, 노형(盧詗)의 아들. 1549년(명종 4) 생원시(生員試)에 입격함. 《유헌집(游軒集)》에 〈차노경시(次盧景時)〉가 수록되어 있음.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고성 , 인명>문사>유학
-
경시(景時) - 구사맹(具思孟)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인헌왕후(仁獻王后)의 아버지로, 좌찬성(左贊成)ㆍ공조 판서(工曹判書) 등을 지냄. 임진왜란(壬辰倭亂)ㆍ정유재란(丁酉再亂)을 거치며 공을 세워 사후(死後)에 호성(扈聖)ㆍ선무(宣武)ㆍ정난(靖難) 등의 원종공신에 책록됨.
1531~1604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경시(更始) - 경시제(更始帝)
중국 후한(後漢)의 황제. 재위 23~25. 광무제(光武帝)의 족형(族兄). 평림병중(平林兵中)에 있으면서 경시 장군(更始將軍)이라 불렸으며, 그 후 추대되어 황제(皇帝)의 자리에 올랐으나 군중의 여망(輿望)을 잃고 적미군(赤眉軍)에게 살해됨.
?~25 중국>후한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경신(慶新) - 박경신(朴慶新)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무신. 본관은 밀양(密陽). 무과에 급제하여 선천 병마첨절제사(宣川兵馬僉節制使) 등을 지내고, 임진왜란 때 선조를 호종하였으며, 청도(淸道)에서 두 아들과 함께 의병을 일으켜 활약함.
1539~1594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청도 , 인명>관인>무신
-
경신(敬身) - 이경신(李敬身)
조선 후기의 유학. 본관은 전의(全義). 첨지중추부사(僉知中樞府事) 이권(李勸)의 아들로, 봉사(奉事) 이매(李勱)에게 출계함. 동부승지(同副承旨) 이성신(李省身)의 아우이며 이치신(李致身)의 형.
1585~1658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전의 , 인명>문사>유학
-
경신(景信)@권예 - 권예(權輗)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 기묘사화(己卯士禍) 때 조광조(趙光祖) 일파 구원에 앞장섰고, 김안로(金安老)와 함께 복성군 옥사(福城君獄死)를 일으켜 심정(沈貞)ㆍ성세창(成世昌) 등을 파직ㆍ사사(賜死)시킴.
1495~1549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경신(景信) - 탁윤순(卓允順)
고려 후기의 문신. 본관은 광산(光山). 이부 상서(吏部尙書)를 지낸 탁정위(卓廷位)의 맏아들로, 봉선고 판관(奉先庫判官) 등을 역임함.
한국>고려후기 , 전라도>광산 , 인명>관인>문신
-
경신궁주(慶愼宮主) - 경신공주(慶愼公主)
조선 태조(太祖)의 첫째 딸. 신의왕후(神懿王后) 한씨(韓氏)의 소생으로, 서원부원군(西原府院君) 이거이(李居易)의 아들인 상당후(上黨侯) 이애(李薆)와 혼인함.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공주
-
경신대출척(庚申大黜陟) - 경신환국(庚申換局)
조선 숙종(肅宗) 6년 남인(南人) 일파가 정치적으로 서인(西人)에 의해 대거 축출된 사건. 남인은 1674년(현종 15)의 갑인예송(甲寅禮訟)에서 승리하여 정권을 잡았으나, 숙종이 즉위하여 남인을 견제하는 와중에 역모의 혐의를 받아 죽음을 당하거나 유배됨.
1680 한국>조선후기 , 사건>사화
-
경실(景實)@박경실 - 박경실(朴景實)
조선 후기의 유학. 박여량(朴汝樑)ㆍ정덕옹(鄭德顒)과 교분이 두터웠으며,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적을 꾸짖다 죽임을 당함.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함양 , 인명>문사>유학
-
경실(景實)@이성윤 - 이성윤(李誠胤)
조선 후기의 종친. 성종(成宗)의 일곱 번째 서자인 익양군(翼陽君) 이회(李懷)의 증손이며, 청원도정(靑原都正) 이간(李侃)의 둘째 아들. 임진왜란 때 신주(神主)를 봉안하고 세자인 광해군(光海君)을 호종한 공으로 호종공신(扈從功臣)에 책록됨.
1570~1620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전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왕실>종친
-
경실(景實) - 이지무(李之茂)
조선 중종(中宗) 때의 유학. 이치(李穉)의 둘째 아들로, 이지번(李之蕃)의 아우이자 이지함(李之菡)의 형. 1543년(중종 38) 생원시(生員試)에 입격하였으며, 아들인 이산보(李山甫)의 공으로 인해 한창부원군(韓昌府院君)에 봉해짐.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보령 , 인명>문사>유학
-
경심(景深) - 이급(李汲)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광산(光山). 담양 부사(潭陽府使) 이중호(李仲虎)의 아들로, 정읍 현감(井邑縣監) 등을 지냄. 기축옥사(己丑獄事)에 연루되어 아우인 이발(李潑)ㆍ이길(李洁)과 함께 장살(杖殺)당함.
1537~1589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경심(景深)@유경심 - 유경심(柳景深)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풍산(豊山). 1547년(명종 2) 정미사화(丁未士禍)에 연루되어 파직되었다가, 1551년(명종 6) 다시 기용되어 병조 참판(兵曹參判)ㆍ평안도 관찰사(平安道觀察使) 등을 지냈음.
1516~1571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경심(景諶) - 박경심(朴景諶)
조선 후기의 유학. 본관은 의흥(義興). 통례원 좌통례(通禮院左通禮) 박수검(朴守儉)의 아버지로, 좌승지(左承旨)에 추증됨.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의흥 , 인명>문사>유학
-
경안(慶安) - 이요(李瑤)
조선 전기의 종친ㆍ학자. 세종(世宗)의 열 번째 서자인 담양군(潭陽君) 이거(李璖)의 증손이며, 남언경(南彦經)의 문인으로, 조선 최초의 양명학자(陽明學者). 선조(宣祖) 때 유성룡(柳成龍) 등을 동인(東人)의 괴수로 지목하여 논란을 야기함.
1537~?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문사>학자ㅣ인명>왕실>종친
-
경안(景安)@유여림 - 유여림(兪汝霖)
조선 연산군(燕山君)~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기계(杞溪)로, 첨지중추부사(僉知中樞府事)를 지낸 유기창(兪起昌)의 아들. 1504년(연산군 10) 식년시(式年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호조 판서(戶曹判書)ㆍ예조 판서(禮曹判書) 등을 지냄. 저서로 《정당선생유고(政堂先生遺稿)》가 있음.
1476~1538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경주 , 인명>관인>문신
-
경안(景安) - 이억상(李億祥)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영창부수(永昌副守) 이연동(李連仝)의 아들로, 1544년(중종 39) 별시(別試)에 급제하여, 예조 참의(禮曹參議)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관인>문신
-
경안(景顔) - 유경안(柳景顔)
조선 전기의 무신. 본관은 문화(文化). 임진왜란 때 금산(錦山)에서 전사한 유팽로(柳彭老)의 아버지로, 어모장군(禦侮將軍)에 이름.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문화 , 인명>관인>무신
-
경안령(慶安令) - 이요(李瑤)
조선 전기의 종친ㆍ학자. 세종(世宗)의 열 번째 서자인 담양군(潭陽君) 이거(李璖)의 증손이며, 남언경(南彦經)의 문인으로, 조선 최초의 양명학자(陽明學者). 선조(宣祖) 때 유성룡(柳成龍) 등을 동인(東人)의 괴수로 지목하여 논란을 야기함.
1537~?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문사>학자ㅣ인명>왕실>종친
-
경안백(慶安伯) - 강윤성(康允成)
고려 충혜왕(忠惠王)~공민왕(恭愍王) 때의 문신. 본관은 곡산(谷山). 상산백(象山伯) 강서(康庶)의 아들로, 이부 시랑(吏部侍郞)ㆍ판삼사사(判三司事)를 지냄. 조선 태조의 계비(繼妃) 신덕왕후(神德王后)의 아버지.
한국>고려후기 , 황해도>곡산 , 인명>관인>문신ㅣ인명>왕실>인척
-
경암(敬菴)@허조 - 허조(許稠)
고려 우왕(禑王)~조선 세종(世宗) 때의 문신. 본관은 하양(河陽). 권근(權近)의 문인으로, 시관(試官)이 되어 많은 인재를 발탁함. 조선 초기 예악제도(禮樂制度)를 정비하는 데 크게 공헌하였으며, 영춘추관사(領春秋館事) 등을 지냄.
1369~1439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상도>하양 , 인명>관인>문신
-
경암(敬菴)@탁사정 - 탁사정(卓思正)
고려 의종(毅宗) 때의 문신. 본관은 광산(光山). 참지정사(參知政事)를 지낸 탁원광(卓元光)의 아들로, 판도 판서(版圖判書) 등을 역임함.
한국>고려전기 , 전라도>광산 , 인명>관인>문신
-
경암(敬菴) - 노희(盧禧)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유학. 본관은 풍천(豊川). 조선 중종(中宗) 때의 학자 노우명(盧友明)의 아들.
1494~1550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함양 , 인명>문사>유학
-
경암(景巖) - 김규(金戣)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희천(熙川). 의주 목사(義州牧使) 김백순(金伯醇)의 아들로, 홍문관 수찬(弘文館修撰)ㆍ사간원 사간(司諫院司諫)을 지냄.
1531~1580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경암(絅庵) - 신완(申琓)
조선 현종(顯宗)~숙종(肅宗) 때의 문신. 본관은 평산(平山). 박세채(朴世采)의 문인으로 영의정(領議政) 등을 지냄. 세자였던 경종(景宗)을 시해하려 했다는 혐의로 탄핵을 받음.
1646~1707 한국>조선후기 , 황해도>평산 , 인명>관인>문신
-
경앙(景仰)@최산두 - 최산두(崔山斗)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초계최씨(草溪崔氏)의 중시조. 사간(司諫)ㆍ지평(持平) 등을 지냈으나, 기묘사화(己卯士禍) 때 동복(同福)으로 유배됨. 문장에 뛰어나 유성춘(柳成春)ㆍ윤구(尹衢)와 함께 ‘호남삼걸’로 불림.
1483~1536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광양 , 인명>관인>문신
-
경앙(景仰)@덕흥대원군 - 덕흥대원군(德興大院君)
조선 전기의 왕자. 조선 제11대 왕인 중종(中宗)의 아들이자, 제14대 왕인 선조(宣祖)의 아버지로, 명종(明宗)이 후사 없이 죽자 그의 셋째 아들 하성군(河城君) 이균(李鈞)이 즉위하여 선조가 되었고, 대원군에 추존됨.
1530~1559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왕자
-
경앙(景仰) - 권두문(權斗文)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포로가 되었다가 탈출하여 그때의 일을 《호구일록(虎口日錄)》으로 남김.
1543~1617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영천(榮川) , 인명>관인>문신
-
경양(景陽)@조욱 - 조욱(趙昱)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평양(平壤). 조광조(趙光祖)ㆍ김식(金湜)의 문인(門人)으로, 시문(詩文)ㆍ서화(書畫)에 능하고, 서경덕(徐敬德)ㆍ이황(李滉)ㆍ김안국(金安國) 등과 교유하였으며, 장수 현감(長水縣監) 등을 지냄.
1498~1557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예천ㅣ경기도>삭녕 , 인명>문사>학자
-
경양(景陽) - 금산(錦山)
충청남도 남동쪽 끝에 있는 고을 이름. 조선시대까지는 전라도에 편입되어 있었음. 임진왜란 때 조헌(趙憲)과 영규(靈圭)가 이끄는 의병이 이곳에서 일본군과 싸우다가 모두 전사함.
전라도>금산 , 지명>행정지명
-
경양(景陽)@장협 - 장협(張協)
중국 남북조시대 진(晉) 나라의 문신ㆍ문인. 장재(張載)의 동생으로 어려서부터 재주가 뛰어나 장재와 이름을 나란히 함. 벼슬이 하간내사(河間內史)에 이르렀으나 세상이 어지러워지자 관직을 버리고 자적(自適)함.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경양군(慶陽君) - 노책(盧頙)
고려 충목왕(忠穆王)~공민왕(恭愍王) 때의 문신. 딸이 원(元) 나라의 태자비가 되어 권세를 누렸으나, 기철(奇轍)ㆍ권겸(權謙) 등과의 역모가 탄로나 주살됨.
?~1356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교하 , 인명>관인>문신
-
경양군(景陽君) - 이수환(李壽環)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종친. 성종(成宗)의 여덟 번째 서자인 이성군(利城君) 이관(李慣)의 첫째 아들.
1508~1560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종친
-
경양도정(景陽都正) - 이수환(李壽環)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종친. 성종(成宗)의 여덟 번째 서자인 이성군(利城君) 이관(李慣)의 첫째 아들.
1508~1560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종친
-
경양부원군(慶陽府院君) - 노책(盧頙)
고려 충목왕(忠穆王)~공민왕(恭愍王) 때의 문신. 딸이 원(元) 나라의 태자비가 되어 권세를 누렸으나, 기철(奇轍)ㆍ권겸(權謙) 등과의 역모가 탄로나 주살됨.
?~1356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교하 , 인명>관인>문신
-
경양부원대군(慶陽府院大君) - 노책(盧頙)
고려 충목왕(忠穆王)~공민왕(恭愍王) 때의 문신. 딸이 원(元) 나라의 태자비가 되어 권세를 누렸으나, 기철(奇轍)ㆍ권겸(權謙) 등과의 역모가 탄로나 주살됨.
?~1356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교하 , 인명>관인>문신
-
경양황제(景襄皇帝) - 예종(睿宗)@원
중국 원(元) 나라의 추존 황제. 칭기즈칸의 넷째 아들. 칭기즈칸을 따라 동정서벌(東征西伐)에 참가하였고, 경양황제(景襄皇帝)로 추존됨.
?~1233 중국>원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경어(景魚) - 김직재(金直哉)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 승문원 박사(承文院博士)를 역임. 아들 김백함(金白緘)의 역모에 연루되어 옥사함.
1554~1612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경억(慶億) - 이경억(李慶億)
조선 인조(仁祖)~현종(顯宗) 때의 문신. 본관은 경주(慶州). 판서(判書) 이시발(李時發)의 아들이며 이조 판서(吏曹判書) 이경휘(李慶徽)의 동생으로, 좌의정(左議政) 등을 지냄.
1620~1673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경언(慶言) - 김경언(金慶言)
조선 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순천(順天). 김상(金湘)의 아들로, 1548년(명종 3) 별시(別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군수(郡守)를 지냄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순천 , 인명>관인>문신
-
경엄(景嚴) - 김규(金戣)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희천(熙川). 의주 목사(義州牧使) 김백순(金伯醇)의 아들로, 홍문관 수찬(弘文館修撰)ㆍ사간원 사간(司諫院司諫)을 지냄.
1531~1580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경엄(景嚴)@이경엄 - 이경엄(李景嚴)
조선 광해군(光海君)~효종(孝宗) 때의 문신. 본관은 연안(延安). 연릉부원군(延陵府院君) 이호민(李好閔)의 아들로, 1610년(광해군 2) 알성시(謁聖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한성부 판윤(漢城府判尹) 등을 지냄.
1579~1652 한국>조선후기 , 황해도>연안 , 인명>관인>문신
-
경업(慶業) - 임경업(林慶業)
조선 광해군(光海君)~인조(仁祖) 때의 무신. 본관은 평택(平澤). 친명배청파(親明排淸派)로서 명군(明軍) 총병(總兵)으로 청(淸) 나라를 공격하다가 포로가 되었으며, 송환된 뒤 친국(親鞫)을 받던 중 김자점(金自點)에 의해 장살(杖殺)됨.
1594~1646 한국>조선후기 , 강원도>원주 , 인명>관인>무신
-
경여(慶餘)@박경여 - 박경여(朴慶餘)
조선 숙종(肅宗) 때의 문신. 본관은 순천(順天). 박팽년(朴彭年)의 9대손으로, 장릉 참봉(莊陵參奉)과 청하 현감(淸河縣監) 등을 지냄. 권화(權和)와 함께 《장릉지(莊陵誌)》를 편찬함.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순천 , 인명>관인>문신
-
경여(慶餘) - 김현성(金玄成)
조선 명종(明宗)~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ㆍ서화가. 본관은 김해(金海). 시(詩)ㆍ서(書)ㆍ화(畵)에 두루 능하였으며, 숭인전비문(崇仁殿碑文) 등 서예 유작이 전해짐.
1542~1621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예술인>서화가ㅣ인명>관인>문신
-
경여(敬輿)@손식 - 손식(孫軾)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평해(平海)로, 의서습독관(醫書習讀官)을 지낸 손숙겸(孫叔謙)의 아들. 전라도 관찰사ㆍ호조 참판(戶曹參判)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경여(敬輿)@임희재 - 임희재(任熙載)
조선 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ㆍ서예가. 본관은 풍천(豊川)으로, 무오사화(戊午士禍)ㆍ갑자사화(甲子士禍)를 일으킨 임사홍(任士洪)의 아들. 김종직(金宗直)의 문인으로, 갑자사화 때 죽음을 당함. 서예에 능했고 특히 송설체(松雪體)를 잘 썼음.
1472~1504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풍천 , 인명>예술인>서화가ㅣ인명>관인>문신
-
경여(敬輿)@치초 - 치초(郗超)
중국 남북조시대 진(晉) 나라의 문신. 치음(郗愔)의 아들로, 모반(謀反)을 꾀하던 환온(桓溫)의 막하(幕下)가 되어 여러 가지 일을 획책함. 성품이 은일(隱逸)을 좋아하여 대규(戴逵)를 위해 섬계(剡溪)에다 집을 지어주었다 하며, 승려인 지둔(支遁)과 친교함.
336~377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경여(敬輿)@이경여 - 이경여(李敬輿)
조선 광해군(光海君)~효종(孝宗) 때의 문신. 본관은 전주(全州). 이괄(李适)의 난과 병자호란 때 인조(仁祖)를 호종하고, 1642년(인조 20) 배청친명파(背淸親明派)로 청 나라 연호를 쓰지 않았다는 밀고를 받고 심양(瀋陽)에 끌려가 억류되었다가 풀려났으며, 영의정(領議政) 등을 지냄.
1585~1657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경여(敬輿) - 육지(陸贄)
중국 당(唐) 나라 덕종(德宗) 때의 문신. 덕종이 두 차례 피난길에 올랐을 때 한림학사(翰林學士)로서 항상 곁에서 조칙(詔勅)의 기초와 정책(政策) 입안을 담당하였으므로 ‘내상(內相)’이라 일컬어짐.
754~805 중국>당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경여(景與) - 치초(郗超)
중국 남북조시대 진(晉) 나라의 문신. 치음(郗愔)의 아들로, 모반(謀反)을 꾀하던 환온(桓溫)의 막하(幕下)가 되어 여러 가지 일을 획책함. 성품이 은일(隱逸)을 좋아하여 대규(戴逵)를 위해 섬계(剡溪)에다 집을 지어주었다 하며, 승려인 지둔(支遁)과 친교함.
336~377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경여(景輿) - 서경덕(徐敬德)
조선 중종(中宗) 때의 학자. 본관은 당성(唐城). 독자적인 기철학(氣哲學)의 체계를 완성하여, 이황(李滉)ㆍ이이(李珥) 등의 학자들에 의해서 그 독창성이 높이 평가됨.
1489~1546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개성 , 인명>문사>학자
-
경여(景餘) - 배신(裵紳)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성주(星州). 빙고 별좌(氷庫別座) 등을 지내고, 조식(曺植)의 문인이었다가 뒤에 이황(李滉)의 문인이 됨. 〈남명선생행록(南冥先生行錄)〉을 지어 올림.
1520~1573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현풍 , 인명>관인>문신
-
경연(慶延)@박경연 - 박경연(朴慶延)
조선 후기의 유학. 본관은 밀양(密陽). 성효재(誠孝齋) 박영(朴穎)의 맏아들이며, 임진왜란 때 청도(淸道)에서 창의(倡義)한 박경신(朴慶新)과 박경인(朴慶因)의 형으로, 참의(參議)에 추증됨.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밀양 , 인명>문사>유학
-
경연(慶延)@김경연 - 김경연(金慶延)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의령(宜寧). 김계복(金繼福)의 아버지로, 통덕랑(通德郞)으로서 사헌부 감찰(司憲府監察)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의령 , 인명>관인>문신
-
경연(景延) - 기령(奇苓)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기대복(奇大復)의 아들이며, 이정(李楨)의 외사촌 동생. 1568년(선조 1) 증광시(增廣試)에 급제하여 충청 감사(忠淸監司)를 역임함.
1537~?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고양 , 인명>관인>문신
-
경연(景淵)@이길 - 이길(李洁)@이중호의아들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광산(光山). 담양 부사(潭陽府使) 이중호(李仲虎)의 아들로, 응교(應敎) 등을 지냄. 기축옥사(己丑獄事)에 연루되어 형 이급(李汲)ㆍ이발(李潑)과 함께 장살(杖殺)당함.
1547~1589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광산 , 인명>관인>문신
-
경연(景淵)@윤경연 - 윤경연(尹景淵)
조선 전기의 유학. 무송군(茂松君) 윤자운(尹子雲)의 아버지이며, 신숙주(申叔舟)의 장인으로, 송원부원군(松原府院君)에 추증됨.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무장 , 인명>문사>유학
-
경연(景淵) - 두호(杜浩)
중국 명(明) 나라의 유학. 내주(萊州)의 공관(公館)에서 이숭인(李崇仁)을 만나 〈배열부전(裵烈婦傳)〉을 베껴감.
중국>명 , 중국 , 인명>문사>유학
-
경연일기(經筵日記) - 석담일기(石潭日記)
조선 전기의 문신ㆍ학자 이이(李珥)가 명종(明宗)~선조(宣祖) 연간 17년 간의 중요한 시사(時事)를 일기체(日記體) 형식으로 기록한 책.
1565~1581 한국>조선전기 , 서울 , 문헌>서명
-
경열(慶悅) - 백휘(白揮)
고려 목종(穆宗)~문종(文宗) 때의 문신ㆍ무신. 목종 때 대사마대장군(大司馬大將軍)으로 수원군(水原君)에 봉해지고, 문종 때 평장사(平章事)를 지냄.
한국>고려전기 , 경기도>수원 , 인명>관인>무신ㅣ인명>관인>문신
-
경열(景說)@윤광계 - 윤광계(尹光啓)
조선 명종(明宗)~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본관은 해남(海南)으로, 윤화중(尹和中)의 아들이고, 조헌(趙憲)의 문인(門人). 공조 좌랑(工曹佐郞) 등을 지내고, 저서로 《귤옥집(橘屋集)》이 있음.
1559~?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낙안 , 인명>관인>문신
-
경열(景說) - 민기(閔箕)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여흥(驪興)으로, 김안국(金安國)의 문인. 《중종실록(中宗實錄)》의 편찬에 참여하였으며, 당대의 문장가로서 이름이 높았음.
1504~1568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여주 , 인명>관인>문신
-
경열(景說)@유희림 - 유희림(柳希霖)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문화(文化)로, 장수 현감(長水縣監) 유복룡(柳伏龍)의 아들. 임진왜란 때 선조를 호종하였고, 동지돈녕부사(同知敦寧府事) 등을 역임하였으며, 사후에 호성공신(扈聖功臣)에 책록됨.
1520~1601 한국>조선후기 , 황해도>문화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경염승상(景炎承相) - 문천상(文天祥)
중국 남송(南宋) 때의 문신ㆍ시인. 지방관으로 있을 때 천도를 반대하는 글을 올려 면직됨. 송 나라 멸망 후 옥중(獄中)에서 지은 〈정기가(正氣歌)〉로 유명함.
1236~1282 중국>원ㅣ중국>송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경오(儆吾) - 왕경민(王敬民)
중국 명(明) 나라 때의 문신. 공과 우급사중(工科右給事中) 등을 역임하였으며, 조선 선조(宣祖) 때 한림(翰林) 황홍헌(黃洪憲)과 함께 황사(皇嗣) 탄생의 조서를 반포하기 위해 사신으로 옴.
중국>명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경오(敬吾) - 위시량(魏時亮)
중국 명(明) 나라 세종(世宗)~목종(穆宗) 때의 문신ㆍ학자. 1567년 목종이 등극하였을 때 병과 급사중(兵科給事中)으로서 한림 검토(翰林檢討) 허국(許國)과 함께 반조(頒詔)의 사명을 띠고 조선에 옴. 저서에 《대유학수(大儒學粹)》 등이 있음.
1529~1591 중국>명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경오(敬悟) - 최시형(崔時亨)
조선 철종(哲宗)~근대의 종교인. 본관은 경주(慶州). 동학(東學)의 제2대 교조(敎祖)로 《동경대전(東經大全)》등을 간행하여 교리를 확립하고 교단의 조직을 강화함. 교조 신원운동(敎祖伸寃運動)을 주도하고, 1894년 동학농민운동(東學農民運動)을 이끌다가 체포되어 처형당함.
1827~1898 한국>근대 , 경상도>경주 , 인명>종교인>동학교인
-
경오왜변(庚午倭變) - 삼포왜란(三浦倭亂)
조선 중종(中宗) 때 삼포(三浦)에서 일어난 일본 거류민들의 폭동사건. 황형(黃衡)ㆍ유담년(柳聃年)ㆍ김수동(金壽童) 등이 난을 진압하였고, 삼포는 폐쇄되어 조선과 일본간의 통교가 중단됨.
1510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웅천ㅣ경상도>울산ㅣ경상도>동래 , 사건>기타사건
-
경온(景溫)@성경온 - 성경온(成景溫)
조선 성종(成宗)~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 공조 정랑(工曹正郞) 등을 지내고, 아버지 성준(成俊)이 갑자사화(甲子士禍) 때 유배되었다가 교살(絞殺)당하자 형 성중온(成仲溫)과 함께 유배지에서 자살함.
1463~1506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창녕 , 인명>관인>문신
-
경온(景溫) - 조속(趙涑)
조선 인조(仁祖)~현종(顯宗) 때의 서화가. 본관은 풍양(豊壤)으로, 조수륜(趙守倫)의 아들. 시ㆍ서ㆍ화 삼절(詩書畵三絶)로 일컬어지고, 영모(翎毛)ㆍ매죽(梅竹)ㆍ산수(山水)에 능했음.
1595~1668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양주 , 인명>예술인>서화가
-
경온(景蘊) - 이경온(李景蘊)
조선 전기의 유학. 유헌(游軒) 정황(丁熿)과 교유하여, 《유헌집(游軒集)》에 그와 관련된 시가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유학
-
경옹(警翁) - 곽순(郭珣)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현풍(玄風). 호조 좌랑ㆍ진보 현감(眞寶縣監)ㆍ봉상시 정ㆍ사간 등을 지냈으며, 기묘사화(己卯士禍) 때 화를 당한 조광조(趙光祖)의 신원을 상소함. 을사사화(乙巳士禍)에 연루되어 장살(杖殺)당함.
1502~1545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청도 , 인명>관인>문신
-
경왕(敬王)@효왕 - 효왕(孝王)@남북조(晉)
중국 남북조시대 진(晉) 나라 무제(武帝)의 아들. 289년(무제 10)에 오왕(吳王)에 봉해지고, 셋째 아들 민제(愍帝)가 즉위하여 태보(太保)에 추증됨.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경왕(景王)@경종 - 경종(景宗)@고려
고려 제5대 왕. 재위 975~981. 전시과(田柴科)를 제정하였음.
955~981 한국>고려전기 , 경기도>개성 , 인명>왕실>국왕
-
경요(景耀) - 홍온(洪昷)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남양(南陽). 만전당(晩全堂) 홍가신(洪可臣)의 아버지로, 직장(直長)ㆍ장원서 장원(掌苑署掌苑) 등을 역임함.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남양 , 인명>관인>문신
-
경용(景容)@안창 - 안창(安昶)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본관은 죽산(竹山)으로, 영흥 부사(永興府使) 안방경(安方慶)의 아들. 성혼(成渾)ㆍ이이(李珥)의 문인으로, 1594년(선조 27) 별시(別試) 문과(文科)에 급제한 후 부사(府使) 등을 역임함.
1552~?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서천 , 인명>관인>문신
-
경용(景容) - 이약해(李若海)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광주(廣州). 직제학(直提學) 등을 지냈으나, 명종 때 윤원형(尹元衡)이 정권을 잡은 후 나주 목사(羅州牧使)로 좌천되고, 을사사화(乙巳士禍) 때 윤임(尹任)의 일파로 몰려 사사(賜死)됨.
1498~1546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충주 , 인명>관인>문신
-
경우(儆禹) - 홍경우(洪儆禹)
조선 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남양(南陽). 홍천석(洪天錫)의 아들로, 곽산 현령(郭山縣令)ㆍ봉상시 첨정(奉常寺僉正) 등을 지냄.
1606~?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남양 , 인명>관인>문신
-
경우(慶祐) - 이경우(李慶祐)
조선 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전의(全義). 목사(牧使) 이경희(李慶禧)의 형으로, 장령(掌令) 등을 지냄.
1508~?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경우(慶遇) - 이기남(李期男)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안성(安城). 1568년(선조 1) 증광시(增廣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천안 군수(天安郡守)ㆍ부윤(府尹) 등을 지내고, 조헌(趙憲)ㆍ정철(鄭澈) 등과 교유함.
1535~?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경우(慶遇)@양경우 - 양경우(梁慶遇)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임진왜란 때의 의병장인 양대박(梁大樸)의 아들로, 부친을 따라 종군함. 1597년(선조 30)에 별시(別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교리(校理)ㆍ봉상시 첨정(奉常寺僉正) 등을 지냄.
1568~?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남원 , 인명>관인>문신
-
경우(景愚)@신희안 - 신희안(愼希顔)
조선 전기의 유학. 《첨모당집(瞻慕堂集)》에 임운(林芸)이 쓴 〈숙현수조여경우구호(宿玄水朝與景愚口號)〉란 시가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유학
-
경우(景愚)@이기남 - 이기남(李期男)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안성(安城). 1568년(선조 1) 증광시(增廣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천안 군수(天安郡守)ㆍ부윤(府尹) 등을 지내고, 조헌(趙憲)ㆍ정철(鄭澈) 등과 교유함.
1535~?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경우(景愚)@송호지 - 송호지(宋好智)
조선 연산군(燕山君)~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여산(礪山). 기묘사화(己卯士禍) 때 조광조(趙光祖)의 구원을 요청하였다가 관직이 삭탈되었으나, 뒤에 복관됨.
1474~1526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여산 , 인명>관인>문신
-
경우(景愚) - 강희안(姜希顔)
조선 세종(世宗)~세조(世祖) 때의 문신. 시ㆍ글씨ㆍ그림에 모두 뛰어나 삼절(三絶)이라 불림.
1417~1465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진주 , 인명>관인>문신
-
경우(景愚)@김경우 - 김경우(金景愚)
조선 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광주(光州). 전한(典翰)을 지낸 김기(金紀)의 아들이며, 김식(金湜)의 문인(門人). 공조 좌랑(工曹佐郞)을 지냈으며, 기대승(奇大升)ㆍ김인후(金麟厚)ㆍ양응정(梁應鼎) 등과 시회(詩會)를 만들어 교유함.
1517~1559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장성 , 인명>관인>문신
-
경우(景愚)@오희안 - 오희안(吳希顔)
조선 중종(中宗) 때의 유학. 기묘사화(己卯士禍)에 연루된 스승 김식(金湜)을 은닉시켰다가 체포되어 벽동(碧潼)으로 귀양감.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무주 , 인명>문사>유학
-
경우(景祐)@권경우 - 권경우(權景祐)
조선 성종(成宗)~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 대사헌 권경희(權景禧)와 이조 정랑 권경유(權景裕)의 형. 무오사화(戊午士禍)에 연루되어 파직, 가산이 적몰(籍沒)됨.
?~1498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경우(景祐)@한경우 - 한경우(韓景祐)
조선 중종(中宗)의 부마(駙馬). 본관은 청주(淸州). 한자(韓慈)의 아들로, 중종의 여섯 번째 서녀(庶女)인 정신옹주(靜愼翁主)와 혼인하여 청천위(淸川尉)에 봉해짐.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청주 , 인명>왕실>인척
-
경우(景祐) - 권응창(權應昌)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 강원도 관찰사(江原道觀察使)를 지낸 권희맹(權希孟)의 아들로, 이조 참판(吏曹參判)ㆍ동지중추부사(同知中樞府事)를 지냄.
1500~1568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경우(景祐)@남경우 - 남경우(南景祐)
조선 세종(世宗)~세조(世祖) 때의 문신. 특별한 재능이 없으면서 관품이 높아 평판이 좋지 않았음. 봉조하(奉朝賀)로 치사(致仕)함.
?~1467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의령 , 인명>관인>문신
-
경우(景祐)@송호지 - 송호지(宋好智)
조선 연산군(燕山君)~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여산(礪山). 기묘사화(己卯士禍) 때 조광조(趙光祖)의 구원을 요청하였다가 관직이 삭탈되었으나, 뒤에 복관됨.
1474~1526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여산 , 인명>관인>문신
-
경우(景遇) - 권응창(權應昌)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 강원도 관찰사(江原道觀察使)를 지낸 권희맹(權希孟)의 아들로, 이조 참판(吏曹參判)ㆍ동지중추부사(同知中樞府事)를 지냄.
1500~1568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경우(景雨) - 서경우(徐景雨)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달성(達城). 판중추부사(判中樞府事)를 지낸 서성(徐渻)의 아들로, 형조 판서ㆍ우의정(右議政) 등을 지냄.
1573~1645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대구 , 인명>관인>문신
-
경운(慶雲)@조선전기 - 김경운(金慶雲)@조선전기
조선 전기의 유학. 진사(進士) 김수(金粹)의 아들로, 주세붕(周世鵬)ㆍ정사룡(鄭士龍)과 교유함.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옥천 , 인명>문사>유학
-
경운(慶雲)@조선후기 - 김경운(金慶雲)@조선후기
조선 광해군(光海君)~인조(仁祖) 때의 무신. 본관은 안동(安東). 이괄(李适)의 난 때 안현 전투(鞍峴戰鬪)에 참여하여 전사함.
?~1624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무신
-
경운(景雲)@박세옹 - 박세옹(朴世蓊)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함양(咸陽). 한성부 좌윤(漢城府左尹)으로 사은사(謝恩使)가 되어 명(明) 나라에 다녀옴.
1493~1541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함양 , 인명>관인>문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