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모장(毛萇)
중국 전한(前漢) 때의 학자. 모형(毛亨)이 지은 《모시고훈전(毛詩詁訓傳)》을 증보한 것으로 전해짐.
중국>전한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모재집(慕齋集)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ㆍ학자인 김안국(金安國)의 문집. 1574년(선조 7) 저자의 문인 허충길(許忠吉)과 노진(盧禛) 등이 판각(板刻)한 것을 노종원(盧從元)이 간행함.
1574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의성 , 문헌>서명
-
모정집(慕亭集)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ㆍ학자인 배대유(裵大維)의 문집. 곽종석(郭鍾錫)이 서문(序文)을 지음.
한국>조선후기 , 문헌>서명
-
모형(毛亨)
중국 전한(前漢)의 학자. 분서갱유(焚書坑儒)로 유교 경전이 대부분 소실되었을 때, 《모시고훈전(毛詩詁訓傳)》을 지어 《시경(詩經)》을 전함.
중국>전한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목^포^도(牧^圃^陶)
고려 말의 문신ㆍ학자인 목은(牧隱) 이색(李穡), 포은(圃隱) 정몽주(鄭夢周), 도은(陶隱) 이숭인(李崇仁)을 함께 부르는 말. 고려 말에 성리학의 기초를 세우고, 조선의 개국에 참여하지 않고 절의를 지킨 세 학자를 가리킴.
한국>고려후기 , 충청도>한산ㅣ경상도>영천(永川)ㅣ경상도>성주 , 사상>술어>관용어
-
목강(繆姜)
중국 춘추전국시대 노(魯) 나라 선공(宣公)의 부인. 성공(成公)의 어머니. 숙손교여(叔孫僑如)와 간통하고 성공을 폐위하려 하였으나 그 음모가 발각되자 동궁(東宮)으로 옮겨진 후 죽음.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왕실>왕비
-
목건련(目犍連)
B.C.6~B.C.5세기경의 인도의 승려. 석가(釋迦)의 십대제자(十大弟子) 중의 한 사람으로 신통제일(神通第一)이라는 영예를 얻음.
기타지역 , 인명>종교인>승려
-
목계일고(木溪逸稿)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문신ㆍ학자인 강혼(姜渾)의 문집. 2권1책. 여러 차례 간행을 시도하다가 이루지 못하고 1910년에 간행함. 곽종석(郭鍾錫)이 서문(序文)을 지음.
1910 한국>근대 , 경상도>진주 , 문헌>서명
-
목공(穆公)@춘추전국(曹)
중국 춘추전국시대 조(曹) 나라의 제후. 재위 B.C.760~B.C.757. 형 석보(石甫)를 시해하고 왕위에 오름. 아들 환공(桓公)이 뒤를 이음.
?~B.C.757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왕실>제후
-
목공(穆公)@춘추전국(정)
중국 춘추전국시대(春秋戰國時代) 정(鄭) 나라의 제11대 제후. 재위 B.C.627~B.C.606.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왕실>제후
-
목공(穆公)@춘추전국(秦)
중국 춘추전국시대 진(秦) 나라의 제9대 제후. 재위 B.C.660~B.C.621. 백리해(百里奚)를 등용하여 국력을 크게 신장시켜 춘추오패(春秋五覇)의 하나가 됨.
?~B.C.621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왕실>제후
-
목공(穆公)@춘추전국(노)
중국 춘추전국시대 노(魯) 나라의 제후. 재위 B.C.409~B.C.377. 등용할 마음도 없으면서 음식으로만 형식적인 예(禮)를 베풀어 공급(孔伋)에게 불인(不仁)한 자로 지목받음.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왕실>제후
-
목대흠(睦大欽)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사천(泗川). 이조 참판(吏曺參判)을 지낸 목첨(睦瞻)의 아들로, 1624년(인조 2) 이괄(李适)의 난(亂) 때 공을 세움. 저서로는 《다산집(茶山集)》이 있음.
1575~1638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사천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목련(木蓮)
목련과(木蓮科)의 낙엽교목(落葉喬木). 꽃눈이 붓을 닮아서 목필(木筆)이라고도 하고, 꽃봉오리가 피려고 할 때 끝이 북녘을 향한다고 해서 북향화라고 함. 꽃이 아름다워 《양화소록(養花小錄)》의 〈화목구등품제(花木九等品第)〉에서는 7등에 속해 있음.
자연물>식물
-
목멱산(木覓山)
서울 남부에 있는 산 이름. 동쪽의 낙산(駱山), 서쪽의 인왕산(仁王山), 북쪽의 백악산(白岳山) 등과 함께 서울 중앙부를 둘러싸고 있는 산의 하나로, 풍수지리상으로 안산(案山) 겸 주작(朱雀)에 해당되며, 통신 제도에 중요한 구실을 함.
서울 , 지명>자연지명
-
목사하(木査河)
황해도 해주(海州) 서쪽에 있는 강 이름.
황해도>해주 , 지명>자연지명
-
목생(穆生)
중국 춘추전국시대 초(楚) 나라의 대부(大夫). 원왕(元王)이 백생(白生)ㆍ신공(申公)과 함께 대부로 삼고 술로 예우하였는데, 왕무(王戊)가 즉위한 뒤로 설례(設醴)를 잊자 사직하고 가버림.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관인>경대부
-
목서흠(睦敍欽)
조선 선조(宣祖)~효종(孝宗) 때의 문신. 본관은 사천(泗川). 목첨(睦詹)의 아들이며, 목겸선(睦兼善)의 아버지. 정묘호란(丁卯胡亂) 때 인조(仁祖)를 남한산성에서 호종(護從)함.
1572~1652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사천 , 인명>관인>문신
-
목성(木星)
오성(五星) 중의 하나로 동방(東方)을 상징하였으며, 하늘 전체를 십이차(十二次)로 나누고 목성이 있는 성차(星次)를 그해의 기년(紀年)으로 삼았던 데서 ‘세성(歲星)’으로 일컬어짐.
자연물>천체
-
목성(沐晟)
중국 명(明) 나라 성조(成祖)~영종(英宗) 때의 무신. 서평후(西平侯) 목영(沐英)의 아들. 안남(安南)의 국상(國相) 여계리(黎季犛)가 안남왕 진일규(陳日煃)를 시해하고 명령을 받지 않자, 장보(張輔)와 함께 안남을 평정함.
?~1436 중국>명 , 중국 , 인명>관인>무신
-
목세칭(睦世秤)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학자. 본관은 사천(泗川). 김식(金湜)의 문인으로, 기묘사화(己卯士禍) 이후 과거를 포기하고 향리로 돌아와 학문에 전념함.
1487~1551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양주 , 인명>문사>학자
-
목승평(睦昇平)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사천(泗川). 1513년(중종 8) 생원시(生員試)에 입격한 목치상(睦致祥)의 아버지.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연안 , 인명>문사>유학
-
목암집(牧菴集)
중국 원(元) 나라 문신ㆍ학자인 요수(姚燧)의 문집. 36권으로 구성.
중국>원 , 중국 , 문헌>서명
-
목야(牧野)
중국 하남성(河南省) 기현(淇縣) 남쪽에 있던 고을 이름. 주(周) 나라의 무왕(武王)이 은(殷) 나라의 주왕(紂王)을 토멸한 곳.
중국 , 지명>행정지명
-
목영(沐英)
중국 명(明) 나라의 무신. 홍무제(洪武帝:明 太祖)의 양자가 되어 무공(武功)을 세움. 1377년에 토번(吐審)을 정벌하고, 1381년에는 운남(雲南) 토벌에 공을 세웠으며 만족(蠻族)을 평정시킴.
1345~1392 중국>명 , 중국 , 인명>관인>무신
-
목왕(穆王)@주
중국 주(周) 나라 제5대 국왕. 재위 B.C.976~B.C.922. 소왕(昭王)의 아들.
중국>주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목왕(穆王)@춘추전국(초)
중국 춘추전국시대 초(楚) 나라의 제후. 재위 B.C.626~B.C.614. 아버지인 성왕(成王)을 시해하고 즉위함.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왕실>제후
-
목은고(牧隱藁)
고려 공민왕(恭愍王) 때의 문신ㆍ학자인 이색(李穡)의 문집. 조선 태종(太宗) 때 아들 이종선(李種善)이 처음 간행함. 이후 방대한 내용을 나누어 〈시고(詩藁)〉와 〈문고(文藁)〉로 간행하기도 함.
1404 한국>조선전기 , 문헌>서명
-
목인길(睦仁吉)
고려 공민왕(恭愍王)~우왕(禑王) 때의 무신. 기철(奇轍) 일당을 제거하여 1등 공신에 책봉되고 홍건적(紅巾賊)의 침입을 물리쳐 공을 세웠으나, 모반을 꾀한다는 무고로 유배 가서 죽음.
?~1380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사천 , 인명>관인>무신
-
목장흠(睦長欽)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사천(泗川). 이조 참판(吏曹參判)을 지낸 목첨(睦詹)의 아들. 광해군(光海君) 때 폐모론(廢母論)이 일어나자 향리로 돌아갔다가, 인조반정(仁祖反正)으로 다시 관직에 나옴.
1572~1641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사천 , 인명>관인>문신
-
목재집(木齋集)
조선 효종(孝宗)~숙종(肅宗) 때의 문신ㆍ학자인 홍여하(洪汝河)의 문집. 1677년(숙종 3)부터 아들 홍상문(洪相文)ㆍ홍상민(洪相民)에 의해 정리됨. 권유(權愈)의 서문이 있음.
한국>조선후기 , 문헌>서명
-
목조(穆祖)
조선 태조(太祖) 이성계(李成桂)의 고조부. 전주(全州)의 토호였으나 가솔과 토착인 170여 호를 이끌고 삼척(三陟)ㆍ의주(宜州) 및 남경(南京) 알동(斡東)으로 이주하여 큰 세력을 형성함. 태조가 즉위하여 추존함.
?~1274 한국>고려후기 , 평안도>의주ㅣ전라도>전주ㅣ강원도>삼척 , 인명>왕실>국왕
-
목종(穆宗)@당
중국 당(唐) 나라 제12대 황제. 재위 821~824. 헌종(憲宗)의 셋째 아들. 재임 중에 연회와 외유를 일삼아 우이당쟁(牛李黨爭)이 일어나고, 번진(藩鎭)의 반란과 토번(吐藩)과의 무리한 대결로 인해 국고가 탕진되자 결국 자살함.
795~824 중국>당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목종(穆宗)@명
중국 명(明) 나라 제13대 황제. 재위 1567~1572. 여러 차례 침범한 몽고의 엄답(俺答)을 방어하고, 재초(齋醮)를 파하며 궁궐 건축을 줄여 몸소 절약을 실행함.
1537~1572 중국>명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목종(穆宗)@고려
고려 제7대 국왕. 재위 997~1009. 전시과(田柴科)를 개정(改定)하고 학문을 장려하는 등 치적을 쌓았으나 강조(康兆)에게 피살됨.
980~1009 한국>고려전기 , 경기도>개성 , 인명>왕실>국왕
-
목종집(木鍾集)
중국 송(宋) 나라 학자인 진식(陳埴)의 저서. 이름을 집(集)이라고 하였지만, 실제로는 어록(語錄)임. 총 11권.
중국>송 , 중국 , 문헌>서명
-
목천(木川)
충청도 천안(天安) 지역에 있던 옛 고을 이름. 지형적 특색으로 백제시대에는 북방의 군사요지로 쓰였고, 고려의 태조(太祖) 왕건(王建)은 이곳이 오룡쟁주형(五龍爭珠形)이므로 천하를 통일시킬 수 있는 곳이라 하여 중요하게 여김.
충청도>목천 , 지명>행정지명
-
목천상씨(木川尙氏)
백제의 유민(遺民)으로 목천현(木川縣)의 장리(長吏)를 지낸 상국진(尙國珍)을 시조로 하는 성씨. 고려에 반기를 들어 ‘상(象)’으로 사성(賜姓)되었다가 복성(復姓)되었다 함.
한국>고려전기 , 충청도>목천 , 인명>집단>성씨
-
목첨(睦詹)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사천(泗川)으로, 목세칭(睦世秤)의 아들. 공조 참의(工曹參議)ㆍ청홍도 관찰사(淸洪道觀察使)ㆍ대사간(大司諫)ㆍ이조 참판(吏曹參判) 등을 지냄.
1515~1593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양주 , 인명>관인>문신
-
목충(睦忠)
고려 공민왕(恭愍王)~우왕(禑王) 때의 무신. 본관은 사천(泗川). 찬성사(贊成事)를 지낸 목인길(睦仁吉)의 종제(從弟). 1363년(공민왕 12) 공민왕을 호종(護從)하여 이등공신(二等功臣)이 되었고, 홍건적(紅巾賊)을 막아냄.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사천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무신
-
목치상(睦致祥)
조선 중종(中宗) 때의 유학. 본관은 사천(泗川). 생원(生員) 목승평(睦昇平)의 아들로, 1513년(중종 8) 생원시(生員試)에 입격함.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연안 , 인명>문사>유학
-
목헌(木軒)
고려 충숙왕(忠肅王) 때의 승려. 남산종(南山宗)의 종사(宗師). 충숙왕 때 개국사(開國寺)를 중수함
한국>고려후기 , 인명>종교인>승려
-
목호룡(睦虎龍)
조선 숙종(肅宗)~영조(英祖) 때의 지관(地官). 본관은 사천(泗川)으로, 남인(南人)의 서얼(庶孽). 1722년(경종 2) 김일경(金一鏡)의 사주로 신임사화(辛壬士禍)를 일으키고 동지중추부사(同知中樞府事)에 올랐으나, 1724년 영조가 즉위하면서 김일경과 함께 처형됨.
1684~1724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기술인>지관ㅣ인명>관인>문신
-
목황(穆皇)
중국 후한(後漢) 장제(章帝)의 아들. 하간왕(河間王)에 봉해졌으며, 평소 예절을 좋아하여 관리들의 존경을 받았음.
중국>후한 , 중국 , 인명>왕실>제후
-
몽계필담(夢溪筆談)
중국 송(宋) 나라 문신ㆍ학자인 심괄(沈括)의 문집. 26권. 만년에 기거하던 몽계(夢溪)에서 저술함. 고사(故事)ㆍ변증(辨證)ㆍ악률(樂律)ㆍ상수(象數)ㆍ인사(人事) 등 17부문의 내용으로 구성됨.
중국>송 , 중국 , 문헌>서명
-
몽무(蒙武)
중국 진(秦) 나라 시황제(始皇帝) 때의 무신. 진 나라의 통일전쟁에 참가하여 무공(武功)을 세움. 아버지인 몽오(蒙驁)와 아들 몽염(蒙恬)도 진 나라의 유명한 장군임.
중국>진 , 중국 , 인명>관인>무신
-
몽산(蒙山)@산동성
중국 산동성(山東省) 평읍현(平邑縣)에 있는 산. 춘추전국시대 노(魯) 나라의 효자 노래자(老來子)가 난세를 피하여 은거한 곳.
중국 , 지명>자연지명
-
몽산(蒙山)@사천성
중국 사천성(四川省)에 있는 명산(名山). 차의 생산지로서 그 차는 독특한 향기가 있으며, 특히 상청봉(上靑峯)에서 생산되는 차를 몽정다(蒙頂茶)라고 함.
중국 , 지명>자연지명
-
몽산화상법어약록언해(蒙山和尙法語略錄諺解)
조선 전기의 승려 신미(信眉)가, 중국 원(元) 나라 몽산화상(蒙山和尙) 덕이(德異)의《법어(法語)》를 약록(略錄)하여 한글로 번역한 책. 선(禪) 수행의 지침서가 됨.
1467 한국>조선전기 , 문헌>서명
-
몽산화상수심결(蒙山和尙修心訣)
중국 원(元) 나라 고승 몽산화상(蒙山和尙) 덕이(德異)의 저서. 조선 전기에 번역되어 중종(中宗) 때 간행되기도 함.
중국>원 , 중국 , 문헌>서명
-
몽여(夢如)
고려 고종(高宗) 때의 승려. 수선사(修禪社) 제3세(世) 국사로, 혜심(慧諶)을 스승으로 삼고, 혼원(混元)과 천영(天英)을 제자로 둠. 선풍(禪風)을 진작시키고 이규보(李奎報)와 교류함.
?~1252 한국>고려후기 , 전라도>순천 , 인명>종교인>승려
-
몽염(蒙恬)
중국 진(秦) 나라 시황제(始皇帝) 때의 무신. 대장군을 지낸 몽무(蒙武)의 아들. 30만 대군을 이끌고 흉노를 정벌했으며, 만리장성(萬里長城)을 완성하여 변방 안정에 기여함.
?~B.C.210 중국>진 , 중국 , 인명>관인>무신
-
몽와집(夢窩集)
조선 숙종(肅宗) 때의 문신인 김창집(金昌集)의 시문집. 목활자본. 10권 5책. 김원행(金元行)이 정리ㆍ편차하여 1758년(영조 34)에 홍봉한(洪鳳漢)의 도움을 받아 운각활자(芸閣活字)로 간행함.
1758 한국>조선후기 , 문헌>서명
-
몽유도원도(夢遊桃源圖)
조선 세종(世宗) 때의 화가인 안견(安堅)이 그린 산수화. 1447년(세종 29년)에 안평대군(安平大君) 이용(李瑢)이 꿈에서 무릉도원(武陵桃源)을 거닌 이야기를 듣고 그림.
1447 한국>조선전기 , 문헌>작품명
-
몽재문집(蒙齋文集)
조선 선조(宣祖) 때의 학자인 이안도(李安道)의 문집. 2권 1책. 석인본(石印本). 도산서원(陶山書院)에서 편집ㆍ간행함. 권1의 차록(箚錄) 11편은 이황(李滉)의 언행을 간략히 뽑아 수록함.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예안 , 문헌>서명
-
몽재필담(蒙齋筆談)
중국 송(宋) 나라 고종(高宗) 때의 문신ㆍ학자인 정백웅(鄭伯熊)의 문집. 시(詩) 등이 수록됨. 2권.
중국>송 , 중국 , 문헌>서명
-
몽정다(蒙頂茶)
중국 사천성(四川省)의 몽산(蒙山)에서 생산되는 차 이름.
중국 , 물품>식약품>음료
-
몽천집(蒙川集)
중국 송(宋) 나라의 문신ㆍ학자인 유보(劉黼)의 문집. 4권. 순고(淳古)하고 담박(淡泊)한 시풍이 엿보임. 동생 유응규(柳應奎)가 수습하고, 권두(卷頭)의 서문(序文)을 지음.
중국>송 , 중국 , 문헌>서명
-
묘^유(苗^劉)
중국 송(宋) 나라 고종(高宗) 때의 무신인 묘부(苗傅)와 문신인 유정언(劉正彦)을 함께 부르는 말. 고종 때의 황제 친위대(親衛隊)의 대장으로 고종을 퇴위하게 하고 아들 부(旉)를 황제로 추대한 묘유지변(苗劉之變)을 일으킨 두 사람을 가리킴.
중국>송 , 중국 , 사상>술어>관용어
-
묘경(妙瓊)
고려 후기의 승려. 월남장로(月南長老)의 제자이자 조카이고, 양대학(梁大學)의 아들. 《동문선(東文選)》에 정포(鄭誧)가 쓴 〈증묘경상인시서(贈妙瓊上人詩序)〉가 남아 있음.
한국>고려후기 , 전라도>남원 , 인명>종교인>승려
-
묘덕선생전(妙德先生傳)
중국 남북조시대 송(宋) 나라의 문신ㆍ학자인 원찬(袁粲)의 작품. 온 나라 사람이 마시고 모두 미치광이가 되었다는 '광천(狂泉)'이라는 샘물 이야기가 나옴.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문헌>작품명
-
묘번(苗蕃)
중국 당(唐) 나라의 문신. 어려서 홀어머니에게 글을 배워 진사(進士)에 입격하고 후에 태원부 참군(太原府㕘軍)을 지냄. 한유(韓愈)가 그의 묘지명(墓誌銘)을 지음.
중국>당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묘법연화경(妙法蓮華經)
불교 대승경전(大乘經典)의 한 가지. 천태종(天台宗)의 근본 경전으로, 모든 경전 중에서 가장 존귀하게 여겨짐. 기원 전후에 서북 인도에서 만들어졌으며, 회삼귀일사상(會三歸一思想)을 주요 내용으로 28개의 품(品)으로 구성됨. 구마라습(鳩摩羅什)의 한역본이 가장 널리 보급됨.
고대 , 기타지역 , 문헌>서명
-
묘부(苗傅)
중국 송(宋) 나라 고종(高宗) 때의 무신. 1129년에 어영우군 부도통제(御營右軍副都統制) 유정언(劉正彦)과 함께 반란을 일으켜, 고종으로 하여금 3세 된 황자(皇子)에게 전위(傳位)하게 만든 묘유지변(苗劉之變)을 일으킴.
중국>송 , 중국 , 인명>관인>무신
-
묘유지변(苗劉之變)
중국 남송(南宋)의 무신인 묘부(苗傅)와 유정언(劉正彦)이 일으킨 변란. 1129년에 금(金) 나라의 침입을 피해 임안(臨安)으로 가는 고종(高宗)을 호종하던 중 반란을 일으켜 3세 된 황자(皇子) 부(旉)에게 강제로 전위(傳位)하게 한 사건.
1129 중국>송 , 중국 , 사건>역모
-
묘제(廟祭)
종묘(宗廟)나 혹은 사당(祠堂)에서 지내는 조상에 대한 제사.
법제>의례>기타의례
-
묘향산(妙香山)
평안도 향산(香山)ㆍ영변(寧邊)ㆍ희천(熙川) 등에 걸쳐 있는 산 이름. 5대 명산의 하나로 상고시대에 환웅(桓雄)이 내려와 신시(神市)를 세웠다는 설이 있음.
평안도>희천ㅣ평안도>영변 , 지명>자연지명
-
무강(武姜)
중국 춘추전국시대 정(鄭) 나라 제후인 무공(武公)의 아내이자 장공(莊公)의 어머니. 아들 공숙단(共叔段)과 짜고 반란을 일으켰다가 장공에게 진압당하고 성영(城潁)에 유폐됨.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기타인명>기타인물
-
무경총요(武經總要)
중국 송(宋) 나라 문신ㆍ학자인 증공량(曾公亮) 등이 지은 병서(兵書). 인종(仁宗)의 명으로 저술하여 1044년 완성함. 40권.
1230 중국>송 , 중국 , 문헌>서명
-
무경칠서(武經七書)
중국의 병법(兵法)에 관한 일곱 가지 책. 군사를 훈련시키고 전략을 세우는 등 용병하는 방법을 총망라한 책으로, 《손자(孫子)》ㆍ《오자(吳子)》ㆍ《사마법(司馬法)》ㆍ《이위공문대(李衛公問對)》ㆍ《위료자(尉繚子)》ㆍ《삼략(三略)》ㆍ《육도(六韜)》를 가리킴.
1083 중국>송 , 중국 , 문헌>기타문헌
-
무계집(武溪集)
중국 송(宋) 나라 문신ㆍ학자인 여정(余靖)의 문집. 아들 여중순(余仲荀)이 편찬하였는데, 고율시(古律詩) 120편, 비지기(碑志記) 50편, 의론잠갈표(議論箴碣表) 53편, 제고(制誥) 98편 등이 들어있음.
중국>송 , 중국 , 문헌>서명
-
무고(舞鼓)
고려 충렬왕(忠烈王) 때 이혼(李混)이 바다 위에 떠다니는 나무로 만든 큰 북을 두드리며 춤춘 것에서 유래된 궁중무용(宮中舞踊). 중앙에 무고(舞鼓)라는 북을 두고 8명이 여러 모양을 만들면서 춤을 춤.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영해 , 기타>가무
-
무공(武公)@춘추전국(정)
중국 춘추전국시대 정(鄭) 나라의 제후. 장공(莊公)의 아버지이며, 무강(武姜)의 남편. 주(周) 나라가 동천(東遷)한 후에도 왕실을 도움.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왕실>제후
-
무공(武公)@춘추전국(衛)
중국 춘추전국시대 위(衛) 나라의 제후. 55년간 재위하면서 주(周)를 도와 융적(戎狄)를 평정하고, 〈억(抑)〉이란 시를 지어 스스로를 경계함.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왕실>제후
-
무과(武科)
조선시대에 무관(武官)을 선발하기 위해 실시한 과거. 대개 3년마다 한 번씩 식년(式年)에 실시하였으며, 초시(初試)ㆍ복시(覆試)ㆍ전시(殿試)의 3단계를 거쳐 선발함.
1408 한국>조선시대 , 법제>제도
-
무궁화(無窮花)
아욱과의 낙엽관목(落葉灌木). 꽃이 끊임없이 아침에 피었다가 저녁에 지는 데서 세속의 행복과 부귀영화의 덧없음을 상징하며, 산울타리 등에 널리 이용됨. 강희안(姜希顔)의 《양화소록(養花小錄)》에 ‘근역(槿域)’에 관한 기록이 있음.
자연물>식물
-
무급(無及)
고려 우왕(禑王) 때의 승려. 나옹화상(懶翁和尙) 혜근(惠勤)의 문도로, 승려 수봉(琇峯)과 같이 해인사(海印寺)에 가서 대장경(大藏經)을 인경(印經)함.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합천 , 인명>종교인>승려
-
무녀성(婺女星)
이십팔수(二十八宿) 가운데 하나의 별자리. 직녀성(織女星) 남쪽에 있는 여수(女宿)의 별칭으로 여신(女神)을 뜻하며, 흔히 귀부인을 찬양하는 용어로 쓰임.
자연물>천체
-
무도양황후(武悼楊皇后)
중국 남북조시대 진(晉) 무제(武帝)의 비(妃). 혜제(惠帝)가 등극하여 태후가 되었으나 가후(賈后)에 의해 역모를 꾀했다는 무함을 받고 폐위되어 금용성(金墉城)에 유폐됨.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왕실>왕비
-
무동서원(茂洞書院)
조선 숙종(肅宗) 때 경상도 선산(善山)에 건립한 서원. 전좌명(田佐命)ㆍ전윤무(田胤武)ㆍ이우(李瑀)를 배향함.
1704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선산 , 유적>건물>서원,향교
-
무등산(無等山)
전라남도 담양(潭陽)ㆍ화순(和順)과 광주(光州) 사이에 있는 산 이름. 백제 때는 무진악(武珍岳), 신라 때는 무악(武岳), 고려 때는 서석산(瑞石山)으로 불림.
전라도>화순ㅣ전라도>담양ㅣ전라도>광산 , 지명>자연지명
-
무릉잡고(武陵雜稿)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ㆍ학자인 주세붕(周世鵬)의 시문집(詩文集). 이황(李滉)의 발문(跋文)이 있음.
1581 한국>조선전기 , 문헌>서명
-
무문(無聞)
고려 후기의 승려. 이색(李穡)ㆍ이숭인(李崇仁)ㆍ정총(鄭摠) 등과 교유하여 《목은고(牧隱藁)》ㆍ《도은집(陶隱集)》ㆍ《복재집(復齋集)》에 관련 시가 실려 있음.
1306~?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고성 , 인명>종교인>승려
-
무본(無本)
조선 초기의 승려. 김일손(金馹孫)과 교유한 승려 운봉(雲峯)의 스승.
한국>조선전기 , 인명>종교인>승려
-
무산(巫山)
강원도(江原道) 인제(麟蹄)와 고성(高城)에 걸쳐 있는 산. 높이 1320미터. 태백산맥(太白山脈)에 있으며, 남강(南江)과 소양강(昭陽江)의 분수령이 됨.
강원도>인제ㅣ강원도>고성 , 지명>자연지명
-
무산(巫山)@중국
중국 사천성(四川省)과 호북성(湖北省) 경계에 위치한 산 이름. 태양신 염제(炎帝)의 딸인 요희(瑤姬)가 죽어 무산에서 운우(雲雨)의 신이 되었다는 고사가 전함.
중국 , 지명>자연지명
-
무산계(武散階)
고려와 조선시대 관원(官員)들의 위계 제도(位階制度)의 하나. 고려시대에는 탐라(耽羅)의 왕족, 여진(女眞)의 추장, 향리(鄕吏), 노병(老兵), 공장(工匠), 악인(樂人) 등에게, 조선시대에는 무반(武班)에게 각각 지급하던 관계(官階)임.
한국>조선시대ㅣ한국>고려시대 , 법제>제도
-
무산군(茂山君)
조선 제9대 성종(成宗)의 열두 번째 아들. 명빈김씨(明嬪金氏)의 소생으로, 학문은 물론 서예에도 뛰어나 당대의 명필로 알려짐.
1490~1525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ㅣ서울 , 인명>왕실>왕자
-
무삼사(武三思)
중국 당(唐) 나라 중종(中宗) 때의 권신(權臣). 측천무후(則天武后)의 조카. 위황후(偉皇后)와 사통(私通)하여 중종을 시해하고 상제(殤帝)를 세웠다가 후에 현종(玄宗)이 된 이융기(李隆基)에게 제거됨.
?~707 중국>당 , 중국 , 인명>관인>문신ㅣ인명>왕실>인척
-
무성(武城)
중국 화주(華州) 정현(鄭縣) 동북쪽에 있는 고을 이름. 공자(孔子)의 제자인 자유(子游)가 예악(禮樂)으로 이 고을을 다스렸음.
중국 , 지명>행정지명
-
무성서원(武城書院)
조선 광해군(光海君) 때 전라도 태인(泰仁)에 건립한 서원. 1696년(숙종 22)에 사액(賜額)되었고, 최치원(崔致遠)ㆍ신잠(申潛)ㆍ정극인(丁克仁)ㆍ김약묵(金若默)ㆍ송세림(宋世琳)ㆍ정언충(鄭彦忠)ㆍ김관(金灌) 등이 배향됨.
1615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태인 , 유적>건물>서원,향교
-
무성제(武成帝)
중국 남북조시대 북제(北齊)의 제4대 왕. 재위 561~565. 무능하고 국사를 돌보지 않음. 565년 후주(後主)에게 계위(繼位)시키고는 태상왕(太上王)으로 있다가 주색(酒色)에 빠져 32세에 죽음.
537~568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무숙왕(武肅王)
중국 오대십국 오월(吳越)을 건국한 왕. 재위 907~932.
852~932 중국>오대십국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무신정변(武臣政變)
고려 의종(毅宗) 24년 천대를 받던 무신들이 일으킨 정치적 변란. 정중부(鄭仲夫)ㆍ이의방(李義方)이 중심이 되어 정변을 일으켜 정치적 실권을 장악함. 고려를 전기와 후기로 나누는 분기점이 됨.
1170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장단ㅣ경기도>개성 , 사건>역모
-
무안(務安)
전라남도 서남부에 위치한 고을 이름. 영산강(榮山江)을 사이에 두고 나주(羅州)와 접해 있음.
전라도>무안 , 지명>행정지명
-
무안대군(撫安大君)
조선 제1대 태조(太祖)의 일곱째 아들. 신덕왕후(神德王后) 강씨(康氏)의 소생으로, 제1차 왕자(王子)의 난(亂) 때 세자 이방석(李芳碩)과 함께 피살당함.
1381~1398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서울 , 인명>왕실>왕자
-
무암(無菴)
고려 말~조선 초의 승려. 원천석(元天錫)의 《운곡행록(耘谷行錄)》에 〈서무암공사권(書無菴空師卷)〉이 수록되어 있음.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인명>종교인>승려
-
무염(無染)
통일신라 헌덕왕(憲德王)~진성여왕(眞聖女王) 때의 승려. 중국에 유학하여 마곡 보철(麻谷寶徹)에게 남종선(南宗禪)을 인가받고, 847년(문성왕 7) 귀국하여 공주(公州) 성주사(聖住寺)에 머물며 성주산문(聖住山門)을 열고 교화함.
801~888 한국>통일신라 , 충청도>공주 , 인명>종교인>승려
-
무오사화(戊午史禍)
조선 연산군(燕山君) 4년에 사초(史草)에 실린 김종직(金宗直)의 〈조의제문(弔義帝文)〉이 발단이 되어 신진사류(新進士類)가 훈구파(勳舊派)에게 화를 당한 사건.
1498 한국>조선전기 , 사건>사화
-
무왕(武王)@백제
백제 제30대 왕. 재위 600~641. 법왕(法王)의 아들이며, 의자왕(義慈王)의 아버지. 즉위 후 신라를 자주 공격하는 한편 고구려의 남진(南進)을 견제하였으며, 정복전쟁을 통하여 왕권을 강화하고, 대규모 토목공사를 일으킴.
?~641 한국>백제 , 충청도>부여 , 인명>왕실>국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