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경운산(慶雲山) - 청평산(淸平山)
경기도 가평(加平)에서 강원도 춘천(春川)에 걸쳐 있는 산. 본래 이름은 경운산(慶雲山)이나, 고려 예종(睿宗) 때의 문신 이자현(李資玄)이 벼슬을 버리고 여기서 지내면서부터 도둑이 없어지고 호랑이도 종적을 감추었다고 하여 산 이름을 고침.
경기도>가평ㅣ강원도>춘천 , 지명>자연지명
-
경원(慶元)@송경원 - 송경원(宋慶元)
조선 세조(世祖) 때의 문신. 본관은 여산(礪山). 김종직(金宗直)ㆍ남효온(南孝溫) 등과 교유하였으며, 영월(寧越)에 유폐된 단종(端宗)이 죽자 임실(任實) 백이산(伯夷山)에 은거하여 절개를 지키다가 죽음.
1419~1510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임실 , 인명>관인>문신
-
경원(慶元) - 영종(寧宗)
중국 송(宋) 나라의 제13대 황제. 재위 1194~1224. 국정운영이 미숙하여 충분한 준비 없이 금(金) 나라를 공격했다가 패하여 금 나라와 백질지국(伯侄之國)이라는 굴욕적인 외교관계를 맺고 조공을 늘리는 수모를 당함.
1168~1224 중국>송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경원(慶元)@김경원 - 김경원(金慶元)
조선 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경주(慶州). 좌의정 김명원(金命元)의 형으로, 1553년(명종 8) 문과 별시(文科別試)에서 장원하여, 조부 김천령(金千齡), 아버지 김만균(金萬均)에 이어 3대가 장원으로 명성을 떨쳤으며, 호서 절도사(湖西節度使) 등을 지냄.
1528~?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경주 , 인명>관인>문신
-
경원(慶源)@인천 - 인천(仁川)
경기도 중서부 서해에 접해 있는 고을 이름. 동쪽으로는 안산(安山)ㆍ금천(衿川)을, 북쪽으로는 부평(富平)을 경계로 하고 있음.
경기도>인천 , 지명>행정지명
-
경원(敬元) - 이포(李褒)
고려 충숙왕(忠肅王)~공민왕(恭愍王) 때의 문신. 본관은 성주(星州). 이조년(李兆年)의 아들로, 도첨의평리(都僉議評理) 등을 지냄. 여섯 아들이 모두 과거(科擧)에 올라 가문이 크게 중흥함.
1287~1373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성주 , 인명>관인>문신
-
경원(景元)@정백영 - 정백영(鄭伯英)
중국 송(宋) 나라 효종(孝宗)~광종(光宗) 때의 문신ㆍ학자. 형인 정백웅(鄭伯熊)과 이름을 나란히 하였으며, 수주 판관(秀州判官)을 지냈으나 그만두고 종신토록 벼슬하지 않음. 저서에 《귀우옹집(歸愚翁集)》이 있음.
1130~1192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경원(景元)@진덕수 - 진덕수(眞德秀)
중국 송(宋) 나라 영종(寧宗)~이종(理宗) 때의 문신ㆍ학자. 참지정사(參知政事)를 지내고, 주희(朱熹)의 학통을 이어받아 이기이원론(理氣二元論)을 주장함. 저서에 《대학연의(大學衍義)》ㆍ《서산집(西山集)》이 있음.
1178~1235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경원(景元)@김경원 - 김경원(金景元)
조선 중종(中宗) 때의 유학. 본관은 선산(善山). 충무위 상호군(忠武衛上護軍)을 지낸 김찬(金巑)의 아들로, 1513년(중종 8) 생원시(生員試)에 입격함.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면천 , 인명>문사>유학
-
경원(景元)@주방 - 주방(周昉)
중국 당(唐) 나라의 화가. 궁정인물화 특히 사녀화(仕女畵)에 능했는데 우아하게 차려입고 한가하게 놀이를 즐기는 여인들의 풍만한 모습을 즐겨 그렸으며, 선주 자사(宣州刺史) 등을 역임함.
중국>당 , 중국 , 인명>예술인>서화가ㅣ인명>관인>문신
-
경원(景元) - 이덕근(李德根)
조선 성종(成宗)~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 본관은 전주(全州). 의령 현감(宜寧縣監) 등을 역임하였으며, 김일손(金馹孫)의 《탁영집(濯纓集)》 〈금란계록(金蘭契錄)〉에 이름이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관인>문신
-
경원(景源) - 신함(申涵)
조선 연산군(燕山君)~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고령(高靈)으로, 파주 목사(坡州牧使)를 지낸 신종옥(申從沃)의 아들. 용강 현령(龍岡縣令)을 지냈으며, 신광한(申光漢)의 《기재집(企齋集)》에 그의 죽음을 애도하는 시가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고령 , 인명>관인>문신
-
경원(景瑗) - 박광옥(朴光玉)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음성(陰城). 성리학(性理學)에 조예가 깊었고, 기대승(奇大升)ㆍ이이(李珥)ㆍ노사신(盧思愼) 등과 교유했으며,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고경명(高敬命) 등과 함께 의병을 일으킴.
1526~1593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광산 , 인명>관인>문신
-
경원(景瑗)@신경원 - 신경원(申景瑗)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무신. 영의정(領議政) 신경진(申景禛)의 종제(從弟). 이괄(李适)의 난 때 반군을 무찔러 진무공신(振武功臣)으로 평녕군(平寧君)에 봉해짐. 병자호란(丙子胡亂) 때 사도 부원수(四道副元帥)가 되어 항거했음.
1581~1641 한국>조선후기 , 황해도>평산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무신
-
경원(景遠) - 강응청(姜應淸)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진주(晉州)로, 강세경(姜世卿)의 아들. 효행(孝行)으로 인의(引儀)에 제수되고 용궁(龍宮)의 용곡리사(龍谷里社)에 배향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용궁 , 인명>기타인명>효자ㅣ인명>관인>문신
-
경원(鏡院) - 경광서원(鏡光書院)
조선 선조(宣祖) 때 경상북도 안동(安東) 서후면(西後面)에 건립한 서원. 배상지(裵尙志)ㆍ이종준(李宗準)ㆍ장흥효(張興孝) 등을 배향함.
1568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유적>건물>서원,향교
-
경원군(慶原君) - 명종(明宗)@조선
조선 제13대 국왕. 재위 1545~1567. 재위기간 중 을사사화(乙巳士禍)와 을묘왜변(乙卯倭變)을 겪음.
1534~1567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국왕
-
경원군개국공(慶源郡開國公) - 이자연(李子淵)
고려 현종(顯宗)~문종(文宗) 때의 문신. 이한(李翰)의 아들로, 세 딸이 모두 문종의 비(妃)가 됨으로써 세력을 장악함. 문하시랑평장사(門下侍郞平章事) 등을 지내고 공신(功臣)에 책록되었으며, 문종의 묘정에 배향됨.
1003~1061 한국>고려전기 , 경기도>인천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ㅣ인명>왕실>인척
-
경원군개국백(慶源郡開國伯) - 이장용(李藏用)
고려 고종(高宗)~원종(元宗)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인주(仁州). 원종이 몽고(蒙古)에 입조할 때 수행하고 문하시중(門下侍中) 등을 지냈으나, 원종의 손위(遜位)를 권한 일로 면직되어 서인(庶人)이 됨. 경사(經史)ㆍ음양(陰陽)ㆍ의약(醫藥)ㆍ율력(律曆)에 통달함.
1201~1272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인천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경원대군(慶源大君) - 명종(明宗)@조선
조선 제13대 국왕. 재위 1545~1567. 재위기간 중 을사사화(乙巳士禍)와 을묘왜변(乙卯倭變)을 겪음.
1534~1567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국왕
-
경원대군(景源大君) - 명종(明宗)@조선
조선 제13대 국왕. 재위 1545~1567. 재위기간 중 을사사화(乙巳士禍)와 을묘왜변(乙卯倭變)을 겪음.
1534~1567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국왕
-
경원보씨(慶源輔氏) - 보광(輔廣)
중국 송(宋) 나라의 학자. 주희(朱熹)의 문인(門人)으로, 《주자어류(朱子語類)》에 사단(四端)ㆍ칠정(七情)을 나누어 이(理)와 기(氣)에 배속시켜 기록함.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경원이씨(慶源李氏) - 인천이씨(仁川李氏)
고려 현종(顯宗) 때 상서좌복야(尙書左僕射)를 지내고 소성백(邵城伯)에 봉해진 이허겸(李許謙)을 시조로 하는 성씨.
한국>고려전기 , 경기도>인천 , 인명>집단>성씨
-
경유(慶裕) - 이경유(李慶裕)
조선 후기의 문신. 본관은 전주(全州). 첨지(僉知) 이간(李幹)의 아들로, 영암 군수(靈岩郡守) 등을 지냄.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전주 , 인명>관인>문신
-
경유(景愈) - 반경유(潘景愈)
중국 송(宋) 나라의 문신ㆍ학자. 반경헌(潘景憲)의 아우로, 안경교수(安慶敎授)를 역임하였으며, 주희(朱熹)ㆍ여조겸(呂祖謙) 등과 교유함.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경유(景游) - 주세붕(周世鵬)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상주(尙州). 풍기 군수(豊基郡守)가 되었을때 향촌을 교화하기 위하여 향교를 이전하고 사림 자제들의 교육기관으로 백운동서원(白雲洞書院)을 건립함. 저서에 《무릉잡고(武陵雜稿)》가 있음.
1495~1554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풍기ㅣ경상도>칠원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경유(景猷) - 강사필(姜士弼)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진주(晉州)로, 이조 좌랑(吏曹佐郞)을 지낸 강온(姜溫)의 아들. 조욱(趙昱)의 문인으로, 충청 감사(忠淸監司)ㆍ강원 감사(江原監司) 등을 지냄.
1526~1576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예천 , 인명>관인>문신
-
경유(景由) - 권철(權轍)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으로, 도원수(都元帥) 권율(權慄)의 아버지. 영의정(領議政)을 지냈으며 복상(福相)으로 칭송됨.
1503~1578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경유(景裕)@신경유 - 신경유(申景裕)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무신. 신립(申砬)의 아들. 인조반정(仁祖反正) 뒤 정사공신(靖社功臣)으로 동평군(東平君)에 봉해짐. 호위대장(扈衛大將) 등을 역임했지만 방자한 행동과 탐욕 등으로 탄핵을 받음.
1581~1633 한국>조선후기 , 황해도>평산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무신
-
경유(景裕) - 김인경(金仁慶)
조선 중종(中宗)의 부마. 본관은 광산(光山). 중종의 딸인 혜순옹주(惠順翁主)와 결혼함. 동서지간인 여성군(礪城君) 송인(宋寅)과 주고 받은 시들이 《이암유고(頤庵遺稿)》에 실려 있음.
1514~1583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광산 , 인명>왕실>인척
-
경유(景遊)@어운해 - 어운해(魚雲海)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함종(咸從)으로, 좌참찬(左參贊) 어계선(魚季瑄)의 아들. 1564년(명종 19) 진사시(進士試)에 입격하고, 과천 현감(果川縣監)ㆍ평창 군수(平昌郡守) 등을 지냄. 이이(李珥)ㆍ성혼(成渾) 등과 친분이 깊음.
1536~1585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곡량숙(穀梁淑) - 곡량적(穀梁赤)
중국 춘추전국시대 노(魯) 나라의 학자. 자하(子夏)에게 《춘추(春秋)》를 배우고 여기에 전(傳)을 달아 《춘추곡량전(春秋穀梁傳)》을 지음.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곡량자(穀梁子) - 곡량적(穀梁赤)
중국 춘추전국시대 노(魯) 나라의 학자. 자하(子夏)에게 《춘추(春秋)》를 배우고 여기에 전(傳)을 달아 《춘추곡량전(春秋穀梁傳)》을 지음.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곡량전(穀梁傳) - 춘추곡량전(春秋穀梁傳)
중국 춘추전국시대 노(魯) 나라의 학자인 곡량적(穀梁赤)이 지었다고 전해지는, 《춘추(春秋)》의 주석서(註釋書). 법가적(法家的) 색채를 띠고 있음.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문헌>서명
-
곡량춘추(穀梁春秋) - 춘추곡량전(春秋穀梁傳)
중국 춘추전국시대 노(魯) 나라의 학자인 곡량적(穀梁赤)이 지었다고 전해지는, 《춘추(春秋)》의 주석서(註釋書). 법가적(法家的) 색채를 띠고 있음.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문헌>서명
-
곡령(鵠嶺) - 송악산(松岳山)
경기도 개성(開城)에 있는 산 이름. 고려시대와 조선시대에 기은제(祈恩祭)를 지냈던 산 중의 하나로, 고려 태조 왕건(王建)이 송악산의 기운을 받고 태어났다고 함.
경기도>개성 , 지명>자연지명
-
곡률(曲律) - 무종(武宗)@원
중국 원(元) 나라의 제7대 황제. 재위 1307~1311. 해도(海都)의 난을 평정한 뒤 아난답(阿難荅) 옹립을 꾀하는 몽골의 궁정관료파를 누르고 즉위함.
1281~1311 중국>원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곡률황제(曲律皇帝) - 무종(武宗)@원
중국 원(元) 나라의 제7대 황제. 재위 1307~1311. 해도(海都)의 난을 평정한 뒤 아난답(阿難荅) 옹립을 꾀하는 몽골의 궁정관료파를 누르고 즉위함.
1281~1311 중국>원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곡릉(鵠陵) - 원성왕(元聖王)
신라의 제38대 국왕. 재위 785~798. 선덕왕(宣德王)이 즉위하는데 공을 세웠으며 선덕왕 사후 김주원(金周元)과의 왕위다툼에서 승리하여 즉위하였음. 독서삼품과(讀書三品科)를 설치하는 등 개혁정치를 함.
?~798 한국>통일신라 , 경상도>경주 , 인명>왕실>국왕
-
곡립(鵠立) - 황곡립(黃鵠立)
조선 효종(孝宗) 때의 유학. 본관은 회덕(懷德). 황종해(黃宗海)의 아들로, 1652년(효종 3)에 진사시(進士試)에 입격함.
1613~?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목천 , 인명>문사>유학
-
곡봉(鵠峰) - 송복흥(宋復興)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여산(礪山). 송전(宋琠)의 아들이고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순절한 동래 부사(東萊府使) 송상현(宋象賢)의 아버지. 사헌부 감찰(司憲府監察)ㆍ송화 현감(松禾縣監)을 지냄.
1527~1594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개성 , 인명>관인>문신
-
곡빈유로(瀔濱遺老) - 장무(章懋)
중국 명(明) 나라의 문신ㆍ학자. 남경 국자감 좨주(南京國子監祭酒) 등을 지내고, 저서로 《풍산어록(楓山語錄)》ㆍ《풍산집(楓山集)》 등이 있음.
중국>명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곡산(鵠山) - 송악산(松岳山)
경기도 개성(開城)에 있는 산 이름. 고려시대와 조선시대에 기은제(祈恩祭)를 지냈던 산 중의 하나로, 고려 태조 왕건(王建)이 송악산의 기운을 받고 태어났다고 함.
경기도>개성 , 지명>자연지명
-
곡산군(谷山君) - 연사종(延嗣宗)
고려 우왕(禑王)~조선 세종(世宗) 때의 무신. 본관은 곡산(谷山). 1388년(우왕 14) 요동정벌 때 이성계(李成桂)의 장군 진무(掌軍鎭撫)로 종군하고, 조선 개국 후 우군동지총제(右軍同知摠制) 등을 지냄. 개국공신(開國功臣)ㆍ원종공신(元從功臣)ㆍ좌명공신(佐命功臣)에 책록됨.
1360~1434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함경도>함흥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무신
-
곡산백(谷山伯) - 노원(盧垣)
통일신라~고려 전기의 문신. 노수(盧穗)의 아홉째 아들로, 곡산노씨(谷山盧氏)의 득관조(得貫祖). 본래 중국 당(唐) 나라 사람으로, 아버지를 따라 신라(新羅)에 귀화하였으며, 고려 초기에 벼슬하여 곡산백(谷山伯)에 봉해짐.
중국>당ㅣ한국>고려전기ㅣ한국>통일신라 , 중국ㅣ황해도>곡산 , 인명>기타인명>귀화인ㅣ인명>관인>문신
-
곡산부원군(谷山府院君) - 연사종(延嗣宗)
고려 우왕(禑王)~조선 세종(世宗) 때의 무신. 본관은 곡산(谷山). 1388년(우왕 14) 요동정벌 때 이성계(李成桂)의 장군 진무(掌軍鎭撫)로 종군하고, 조선 개국 후 우군동지총제(右軍同知摠制) 등을 지냄. 개국공신(開國功臣)ㆍ원종공신(元從功臣)ㆍ좌명공신(佐命功臣)에 책록됨.
1360~1434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함경도>함흥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무신
-
곡성(曲城)@파주 - 파주(坡州)
경기도 북서부에 위치한 고을 이름. 1398년(태조 7) 서원(瑞原)ㆍ파평(坡平)을 합하여 원평군(原平郡)이 되고, 1460년(세조 6) 파주라는 명칭으로 바뀜.
경기도>파주 , 지명>행정지명
-
곡성(曲城) - 염제신(廉悌臣)
고려 충숙왕(忠肅王)~우왕(禑王) 때의 문신. 본관은 서원(瑞原)으로, 공민왕의 비(妃)인 신비(愼妃)의 아버지. 어려서 원(元) 나라에 건너가 진종(晉宗)을 시종하여 상의사(尙衣使)가 되고, 귀국하여 삼사좌사(三司左使)ㆍ수문하시중(守門下侍中) 등을 지냄.
1304~1382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파주 , 인명>관인>문신ㅣ인명>왕실>인척
-
곡성(谷城) - 곡산(谷山)
황해도 북동부에 있는 고을 이름. 신덕왕후(神德王后) 강씨(康氏)의 고향.
황해도>곡산 , 지명>행정지명
-
곡성공(曲城公) - 염제신(廉悌臣)
고려 충숙왕(忠肅王)~우왕(禑王) 때의 문신. 본관은 서원(瑞原)으로, 공민왕의 비(妃)인 신비(愼妃)의 아버지. 어려서 원(元) 나라에 건너가 진종(晉宗)을 시종하여 상의사(尙衣使)가 되고, 귀국하여 삼사좌사(三司左使)ㆍ수문하시중(守門下侍中) 등을 지냄.
1304~1382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파주 , 인명>관인>문신ㅣ인명>왕실>인척
-
곡성군(曲城君) - 염제신(廉悌臣)
고려 충숙왕(忠肅王)~우왕(禑王) 때의 문신. 본관은 서원(瑞原)으로, 공민왕의 비(妃)인 신비(愼妃)의 아버지. 어려서 원(元) 나라에 건너가 진종(晉宗)을 시종하여 상의사(尙衣使)가 되고, 귀국하여 삼사좌사(三司左使)ㆍ수문하시중(守門下侍中) 등을 지냄.
1304~1382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파주 , 인명>관인>문신ㅣ인명>왕실>인척
-
곡성군(鵠城君) - 이금손(李金孫)
조선 전기의 종친. 정종(定宗)의 현손(玄孫)이며, 석보정(石保正) 이복생(李福生)의 아들.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곡성백(曲城伯) - 염제신(廉悌臣)
고려 충숙왕(忠肅王)~우왕(禑王) 때의 문신. 본관은 서원(瑞原)으로, 공민왕의 비(妃)인 신비(愼妃)의 아버지. 어려서 원(元) 나라에 건너가 진종(晉宗)을 시종하여 상의사(尙衣使)가 되고, 귀국하여 삼사좌사(三司左使)ㆍ수문하시중(守門下侍中) 등을 지냄.
1304~1382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파주 , 인명>관인>문신ㅣ인명>왕실>인척
-
곡성부원군(曲城府院君) - 염제신(廉悌臣)
고려 충숙왕(忠肅王)~우왕(禑王) 때의 문신. 본관은 서원(瑞原)으로, 공민왕의 비(妃)인 신비(愼妃)의 아버지. 어려서 원(元) 나라에 건너가 진종(晉宗)을 시종하여 상의사(尙衣使)가 되고, 귀국하여 삼사좌사(三司左使)ㆍ수문하시중(守門下侍中) 등을 지냄.
1304~1382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파주 , 인명>관인>문신ㅣ인명>왕실>인척
-
곡성후(曲城侯) - 염제신(廉悌臣)
고려 충숙왕(忠肅王)~우왕(禑王) 때의 문신. 본관은 서원(瑞原)으로, 공민왕의 비(妃)인 신비(愼妃)의 아버지. 어려서 원(元) 나라에 건너가 진종(晉宗)을 시종하여 상의사(尙衣使)가 되고, 귀국하여 삼사좌사(三司左使)ㆍ수문하시중(守門下侍中) 등을 지냄.
1304~1382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파주 , 인명>관인>문신ㅣ인명>왕실>인척
-
곡수연(曲水宴) - 유상곡수(流觴曲水)
3월 3일에 굽어 흐르는 물에 술잔을 띄워 그 잔이 자기 앞을 지나기 전에 시를 지어 읊고 잔을 들어 마시던 놀이. 중국 동진(東晉) 시대부터 유행한 시회(詩會)로, 통일신라시대의 포석정(鮑石亭)이 대표적임.
사건>풍속
-
곡수유상(曲水流觴) - 유상곡수(流觴曲水)
3월 3일에 굽어 흐르는 물에 술잔을 띄워 그 잔이 자기 앞을 지나기 전에 시를 지어 읊고 잔을 들어 마시던 놀이. 중국 동진(東晉) 시대부터 유행한 시회(詩會)로, 통일신라시대의 포석정(鮑石亭)이 대표적임.
사건>풍속
-
곡역(曲逆) - 진평(陳平)
중국 전한(前漢)의 무신. 처음에는 항우(項羽)를 따랐으나 후에 유방(劉邦)을 섬겨 한(漢) 나라 통일에 공을 세우고, 고향의 호유후(戶牖侯)에 임명됨. 그 후 주발(周勃)과 함께 여씨(呂氏)의 난을 평정한 후 문제(文帝)를 옹립함.
?~B.C.178 중국>전한 , 중국 , 인명>관인>무신
-
곡역후(曲逆侯) - 진평(陳平)
중국 전한(前漢)의 무신. 처음에는 항우(項羽)를 따랐으나 후에 유방(劉邦)을 섬겨 한(漢) 나라 통일에 공을 세우고, 고향의 호유후(戶牖侯)에 임명됨. 그 후 주발(周勃)과 함께 여씨(呂氏)의 난을 평정한 후 문제(文帝)를 옹립함.
?~B.C.178 중국>전한 , 중국 , 인명>관인>무신
-
곡옹(谷翁) - 구사맹(具思孟)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인헌왕후(仁獻王后)의 아버지로, 좌찬성(左贊成)ㆍ공조 판서(工曹判書) 등을 지냄. 임진왜란(壬辰倭亂)ㆍ정유재란(丁酉再亂)을 거치며 공을 세워 사후(死後)에 호성(扈聖)ㆍ선무(宣武)ㆍ정난(靖難) 등의 원종공신에 책록됨.
1531~1604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곡운(谷雲) - 김수증(金壽增)
조선 효종(孝宗)~숙종(肅宗) 때의 문신ㆍ학자. 김상헌(金尙憲)의 손자. 기사환국(己巳換局)으로 동생 김수항(金壽恒)이 죽자 벼슬을 그만두고 화음동(華蔭洞)으로 들어가 은둔함. 성리학(性理學)에 조예가 깊음.
1624~1701 한국>조선후기 , 강원도>춘천ㅣ서울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곡운거사(谷雲居士) - 김수증(金壽增)
조선 효종(孝宗)~숙종(肅宗) 때의 문신ㆍ학자. 김상헌(金尙憲)의 손자. 기사환국(己巳換局)으로 동생 김수항(金壽恒)이 죽자 벼슬을 그만두고 화음동(華蔭洞)으로 들어가 은둔함. 성리학(性理學)에 조예가 깊음.
1624~1701 한국>조선후기 , 강원도>춘천ㅣ서울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곤(㻒) - 곽곤(郭㻒)
고려 후기의 문신. 충정왕(忠定王) 때 제학(提學)을 지냈으며, 《동문선(東文選)》에 약간 편의 시가 전함. 《급암시집(及菴詩集)》에 민사평(閔思平)의 기시(寄詩)가 실려 있음.
한국>고려후기 , 인명>관인>문신
-
곤(坤)@이곤 - 이곤(李坤)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연안(延安). 이인문(李仁文)의 아들로, 중종반정에 참여하여 1506년(중종 1) 정국공신(靖國功臣)에 녹훈되었으나 1519년(중종 14)에 삭록됨. 철원 부사(鐵原府使)ㆍ여주 목사(驪州牧使) 등을 지냄.
1462~1524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연안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곤(坤) - 윤곤(尹坤)
조선 태종(太宗)~세종(世宗) 때의 문신. 제2차 왕자(王子)의 난(亂) 때 협력한 공으로 좌명공신(佐命功臣)에 책록되고, 우참찬(右參贊) 등을 지냄. 아우 윤향(尹向)과 함께 문학으로 이름을 떨침.
?~1421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파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곤(坤)@김곤 - 김곤(金坤)
고려 후기의 문인. 원천석(元天錫)의 《운곡행록(耘谷行錄)》에 박동우(朴東雨) 등과 함께 시를 짓고 시축을 만들었다는 기록이 보임.
한국>고려후기 , 인명>문사>문인
-
곤(坤)@정곤 - 정곤(丁坤)
조선 전기의 무신. 본관은 영광(靈光). 성종(成宗) 때의 문신ㆍ학자인 정극인(丁克仁)과 유학 정극경(丁克敬)의 아버지로, 충무시위사중령부사직(忠武侍衛司中領副司直)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영광 , 인명>관인>무신
-
곤(崑) - 최곤(崔崑)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전주(全州). 중종(中宗) 때의 유학인 최영견(崔永甄)의 아버지로, 훈련원 참봉(訓鍊院參奉)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관인>문신
-
곤(琨)@허곤 - 허곤(許琨)
조선 연산군(燕山君)~중종(中宗) 때의 무신. 본관은 양천(陽川). 영월 군수(寧越郡守)를 지낸 허지(許芝)의 아들로, 경상우도 수군절도사(慶尙右道水軍節度使) 등을 지냄.
1468~1523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양천 , 인명>관인>무신
-
곤(琨) - 권곤(權琨)
조선 세종(世宗)~연산군(燕山君) 때의 무신. 본관은 안동(安東). 횡성 현감(橫城縣監)을 지낸 권계경(權啓經)의 아들.
1427~1502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무신
-
곤(璭) - 익현군(翼峴君)
조선 제4대 세종(世宗)의 일곱 번째 서자. 신빈김씨(愼嬪金氏)의 소생으로, 계유정난(癸酉靖難)에 참여하여 좌익공신(佐翼功臣)에 책록됨.
1431~1463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왕실>왕자
-
곤(袞)@강곤 - 강곤(康袞)
조선 세조(世祖)~성종(成宗) 때의 무신. 본관은 신천(信川). 계유정난(癸酉靖難)에 가담하고, 남이(南怡)의 옥사(獄事)에 공을 세워 익대공신(翊戴功臣) 등에 책록됨.
1411~1484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신천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무신
-
곤(袞) - 남곤(南袞)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문신. 김종직(金宗直)의 문인으로, 심정(沈貞) 등과 함께 기묘사화(己卯士禍)를 일으킨 주역. 문장에 뛰어나고 글씨에도 능함.
1471~1527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의령 , 인명>관인>문신
-
곤(鯤)@한곤 - 한곤(韓鯤)
조선 전기의 무신. 본관은 청주(淸州). 선조(宣祖)가 세자로 있을 때 사부(師傅)를 지낸 한윤명(韓胤明)의 아버지로, 호분위 부사직(虎賁衛副司直)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청주 , 인명>관인>무신
-
곤(鯤) - 이곤(李鯤)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경주(慶州). 창평 현령(昌平縣令)을 지낸 이공린(李公麟)의 막내 아들로, 사복시 판관(司僕寺判官)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경주 , 인명>관인>문신
-
곤강(崑岡) - 곤륜산(崑崙山)
전설상 중국 멀리 서쪽에 있다는 성산(聖山) 이름. 황하(黃河)의 발원점으로 여겨짐.
중국 , 지명>기타지명
-
곤구(崑丘) - 곤륜산(崑崙山)
전설상 중국 멀리 서쪽에 있다는 성산(聖山) 이름. 황하(黃河)의 발원점으로 여겨짐.
중국 , 지명>기타지명
-
곤남(昆南)@남해 - 남해(南海)
경상남도 남서부에 있는 고을 이름. 여러 개의 도서(島嶼)로 이루어져 있으며, 조선시대의 유배지 가운데 하나로, 많은 인물들의 자취가 남아 있음.
경상도>남해 , 지명>행정지명
-
곤남(昆南) - 곤양(昆陽)
경상남도 사천(泗川)ㆍ하동(河東) 일대에 있던 옛 고을 이름.
경상도>곤양 , 지명>행정지명
-
곤륙재(困六齋) - 김의원(金義元)@조선후기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선산(善山)으로, 통훈대부(通訓大夫) 김호우(金好遇)의 아들이자 김효원(金孝元)의 동생. 임진왜란(壬辰倭亂)이 일어나자 선조를 호종하였고, 대사간(大司諫) 등을 지냈으며, 《곤륙재집(困六齋集)》을 남김.
1558~?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곤륜구(昆侖丘) - 곤륜산(崑崙山)
전설상 중국 멀리 서쪽에 있다는 성산(聖山) 이름. 황하(黃河)의 발원점으로 여겨짐.
중국 , 지명>기타지명
-
곤륜산(昆侖山) - 곤륜산(崑崙山)
전설상 중국 멀리 서쪽에 있다는 성산(聖山) 이름. 황하(黃河)의 발원점으로 여겨짐.
중국 , 지명>기타지명
-
곤릉모용씨(昆陵慕容氏) - 모용언달(慕容彦達)
중국의 경서(經書) 주소가(註疏家). 《예기(禮記)》에 관한 주소(註疏)가 진호(陳澔)의 《예기집설(禮記集說)》에 인용되어 있음.
중국 , 인명>문사>학자
-
곤명군(昆明君) - 이영(李濚)
조선 전기의 종친. 세종(世宗)의 다섯째 아들인 광평대군(廣平大君) 이여(李璵)의 증손이고, 남천군(南川君) 이쟁(李崝)의 맏아들이며, 문성정(文城正) 이상(李湘)의 형.
1471~1504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곤명부정(昆明副正) - 이영(李濚)
조선 전기의 종친. 세종(世宗)의 다섯째 아들인 광평대군(廣平大君) 이여(李璵)의 증손이고, 남천군(南川君) 이쟁(李崝)의 맏아들이며, 문성정(文城正) 이상(李湘)의 형.
1471~1504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곤명정(昆明正) - 이영(李濚)
조선 전기의 종친. 세종(世宗)의 다섯째 아들인 광평대군(廣平大君) 이여(李璵)의 증손이고, 남천군(南川君) 이쟁(李崝)의 맏아들이며, 문성정(文城正) 이상(李湘)의 형.
1471~1504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곤변(鯤變) - 이곤변(李鯤變)
조선 전기의 문인. 본관은 사천(泗川). 구암(龜巖) 이정(李楨)의 손자로, 사부(詞賦)로 이름이 남.
1551~?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진주 , 인명>문사>문인
-
곤산(崑山) - 곤륜산(崑崙山)
전설상 중국 멀리 서쪽에 있다는 성산(聖山) 이름. 황하(黃河)의 발원점으로 여겨짐.
중국 , 지명>기타지명
-
곤산(昆山) - 곤양(昆陽)
경상남도 사천(泗川)ㆍ하동(河東) 일대에 있던 옛 고을 이름.
경상도>곤양 , 지명>행정지명
-
곤수(崐壽) - 정곤수(鄭崐壽)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청주(淸州). 퇴계(退溪) 이황(李滉)의 문인으로, 수령을 지내면서 학문 진흥과 사풍(士風) 진작에 힘씀. 임진왜란 때 대명외교에서 큰 역할을 함.
1538~1602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성주 , 인명>관인>문신
-
곤암(困菴) - 소세량(蘇世良)
조선 연산군(燕山君)~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진주(晉州). 소자파(蘇自坡)의 아들로, 대사간(大司諫)ㆍ남원 부사(南原府使) 등을 지내고, 박학다식하고 문장에 능하다는 평을 들음.
1476~1528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익산 , 인명>관인>문신
-
곤웅(坤雄) - 양산중(梁山重)
조선 후기의 문신. 본관은 제주(濟州). 학포(學圃) 양팽손(梁彭孫)의 손자이며, 예조 참의(禮曹參議)를 지낸 양응태(梁應台)의 아들.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능성 , 인명>관인>문신
-
곤원(坤源) - 구곤원(具坤源)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본관은 능성(綾城). 성균관 전적(成均館典籍)을 지낸 구변(具忭)의 아들로 1570년(선조 3)에 진사시(進士試)에 입격했고, 장흥고 봉사(長興庫奉事)를 지냈으며, 윤근수(尹根壽) 등과 교유함.
1550~?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곤의(坤儀) - 원황(袁黃)
중국 명(明) 나라 신종(神宗) 때의 문신.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송응창(宋應昌)을 보좌하여 참전하였고, 천문(天文)ㆍ술수(術數)ㆍ의학(醫學)ㆍ수리(水利)에 능통하였으며, 저서에 《역법신서(曆法新書)》ㆍ《요범사훈(了凡四訓)》 등이 있음.
1533~1606 중국>명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곤장(坤長) - 양산후(梁山厚)
조선 후기의 문신. 본관은 제주(濟州). 학포(學圃) 양팽손(梁彭孫)의 손자이며, 예조 참의(禮曹參議)를 지낸 양응태(梁應台)의 아들. 사포서 별제(司圃署別提)를 지냄.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능성 , 인명>관인>문신
-
곤재(困齋)@정개청 - 정개청(鄭介淸)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고성(固城)으로, 서경덕(徐敬德)의 문인. 전생서 주부(典牲署主簿)ㆍ곡성 현감(谷城縣監) 등을 지냈으며 예학(禮學)에 뛰어나 많은 제자들을 길러냈으나, 기축옥사(己丑獄事)에 연루되어 귀양가다 죽음. 저서로 《우득록(愚得錄)》이 있음.
1529~1590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무안ㅣ전라도>나주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곤재(困齋) - 방뢰(方耒)
중국 남송(南宋) 때의 문신ㆍ학자. 주자(朱子)의 문인(門人)으로, 연강 현령(連江縣令)을 지냄.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곤재(坤齋) - 이명홍(李命弘)
조선 명종(明宗) 때의 유학. 본관은 영천(永川). 간재(艮齋) 이덕홍(李德弘)의 형으로, 이황(李滉)의 문하에서 수학함.
?~1560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영천(榮川) , 인명>문사>유학
-
곤재선생우득록(困齋先生愚得錄) - 우득록(愚得錄)
조선 선조(宣祖) 때의 학자인 정개청(鄭介淸)의 문집. 3권. 목판본. 제자인 나덕만(羅德峻)의 후손들이 편찬하고, 저자의 외손인 윤세태(尹世泰)와 고윤(高玧) 등이 주관하여 간행함.
1692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전주 , 문헌>서명
-
곤재정씨(困齋鄭氏) - 정개청(鄭介淸)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고성(固城)으로, 서경덕(徐敬德)의 문인. 전생서 주부(典牲署主簿)ㆍ곡성 현감(谷城縣監) 등을 지냈으며 예학(禮學)에 뛰어나 많은 제자들을 길러냈으나, 기축옥사(己丑獄事)에 연루되어 귀양가다 죽음. 저서로 《우득록(愚得錄)》이 있음.
1529~1590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무안ㅣ전라도>나주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