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곤전(昆田) - 형개(邢玠)
중국 명(明) 나라 신종(神宗) 때의 무신. 조선의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명의 원군(援軍)으로 참전하고, 정유재란(丁酉再亂)에는 청산(青山)과 직산(稷山)에서 왜군을 무찌름. 병부 상서(兵部尙書)를 지냄.
?~1612 중국>명 , 중국 , 인명>관인>무신
-
곤주(昆州) - 곤양(昆陽)
경상남도 사천(泗川)ㆍ하동(河東) 일대에 있던 옛 고을 이름.
경상도>곤양 , 지명>행정지명
-
곤지(昆池) - 곤명지(昆明池)
중국 섬서성(陝西省) 장안현(長安縣) 서남쪽에 있던 인공호수 이름. 한(漢) 나라 무제(武帝) 때 확장공사를 하고 수군(水軍)을 조련시켰다 함.
중국 , 지명>자연지명
-
곤학민(困學民) - 선우추(鮮于樞)
중국 원(元) 나라의 문신ㆍ서예가. 태상시 전부(太常寺典簿) 등을 지냈으며, 시문(詩文)과 서화(書畫)에 뛰어났는데, 특히 초서(草書)에 능하였음.
1246~1302 중국>원 , 중국 , 인명>예술인>서화가ㅣ인명>관인>문신
-
곤학산민(困學山民) - 선우추(鮮于樞)
중국 원(元) 나라의 문신ㆍ서예가. 태상시 전부(太常寺典簿) 등을 지냈으며, 시문(詩文)과 서화(書畫)에 뛰어났는데, 특히 초서(草書)에 능하였음.
1246~1302 중국>원 , 중국 , 인명>예술인>서화가ㅣ인명>관인>문신
-
골계전(滑稽傳) - 태평한화골계전(太平閑話滑稽傳)
조선 세종(世宗)~성종(成宗) 때의 문신ㆍ학자인 서거정(徐居正)이 지은 설화집. 4권. 1477년(성종 8)에 고려 말~조선 초에 고관ㆍ문인ㆍ승도 사이에 떠돌던 해학적 기문(奇聞)과 일화(逸話)를 수집하여 기록함.
1477 한국>조선전기 , 문헌>서명
-
골내근(骨乃斤) - 여주(驪州)
경기도 동남부의 고을 이름. 고구려 때 골내근현(骨乃斤縣)이라 부른 이후, 여러 명칭으로 바뀌어 불리다가 1468년(예종 1) 여주라 하고 목(牧)으로 승격함.
경기도>여주 , 지명>행정지명
-
골암(鶻巖) - 서골암(棲鶻巖)
충청도 단양(丹陽)에 있는 바위 이름. 김일손(金馹孫)이 단양을 여행하고 이요루(二樂樓)의 기문(記文)을 지으면서 서골암이라고 이름을 붙임. 《탁영집(濯纓集)》과 《속동문선(續東文選)》에 〈이요루기(二樂樓記)〉가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단양 , 지명>자연지명
-
공(共) - 난성(欒成)
중국 춘추전국시대(春秋戰國時代) 진(晉) 나라 대부. 예에 밝은 사람, 충신으로 시문(詩文)에 많이 인용됨.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관인>경대부
-
공(恭)@윤공 - 윤공(尹恭)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파평(坡平). 윤계정(尹繼鄭)의 아버지로, 함열 현감(咸悅縣監)을 지내고 원평군(原平君)에 추증됨.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파주 , 인명>관인>문신
-
공(恭) - 신생(申生)
중국 춘추전국시대 진(晉) 나라 헌공(獻公)의 태자. 헌공이 여희(驪姬)를 총애하여 그의 아들 해제(奚齊)를 세우고자 신생을 곡옥(曲沃)에 나가 살게 하였는데, 여희의 참소로 자살함.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왕실>왕자
-
공(恭)@신공 - 신공(申恭)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무신. 1480년(성종 11) 과거에 급제하고, 중종반정(中宗反正) 때 정국공신(靖國功臣)에 올라 훈련원 도정(訓鍊院都正)ㆍ병조 참의(兵曹參議)를 지냄.
1451~1510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평산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무신
-
공(恭)@권공 - 권공(權恭)
조선 세조(世祖) 때의 무신. 본관은 안동(安東). 태종(太宗)의 딸 숙근옹주(淑謹翁主)와 결혼하여 화천군(花川君)에 책봉됨.
?~1462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무신ㅣ인명>왕실>인척
-
공(玒) - 의창군(義昌君)
조선 제4대 세종(世宗)의 세 번째 서자. 신빈김씨(愼嬪金氏)의 소생으로, 단종복위운동(端宗復位運動)에 연루되어 지리산(智異山)으로 피신하여 떠돌다가 병을 얻어 젊은 나이에 죽음.
1428~1460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왕자
-
공(珙)@허공 - 허공(許珙)
고려 고종(高宗)~충렬왕(忠烈王) 때의 문신. 본관은 양천(陽川). 윤극민(尹克敏)의 사위로, 최령(崔寧)ㆍ원부(元傅)와 함께 ‘정방삼걸(政房三傑)’로 불림. 원부ㆍ한강(韓康)과 함께 《고금록(古今錄)》을 편찬했으며, 1291년(충렬왕 17) 원(元) 나라와 함께 합단(哈丹) 공격에 출전했다가 병사함.
1233~1291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양천 , 인명>관인>문신
-
공(珙)@이공 - 인성군(仁城君)
조선 제14대 선조(宣祖)의 일곱째 서자. 광해군이 폐모(廢母)를 논의할 때 종척(宗戚)과 함께 참석했다는 이유로 탄핵을 받고 진도(珍島)에 유배되었다가, 1628년(인조 6) 대신과 백관의 주청으로 자살의 형을 받음.
1588~1628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왕실>왕자
-
공(珙) - 이공(李珙)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예안(禮安). 조목(趙穆)ㆍ권호문(權好文) 등과 교유하였으며, 이돈(李燉) 등의 문인이 있음. 지평(持平) 등에 제수되었으나 거절하고 학문에만 정진하였으며, 저서로 《율원문집(栗園文集)》이 있음.
1533~1583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예안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공(貢) - 우공(禹貢)
조선 세종(世宗)~ 성종(成宗) 때의 무신. 본관은 단양(丹陽)으로 우선언(禹善言)의 아버지. 세조(世祖) 때 모련위(毛憐衛)의 야인(野人)을 토벌하고, 이시애(李施愛)의 난을 평정하여 적개공신(敵愾功臣)이 되었으며, 단성군(丹城君)으로 봉해짐.
1415~1473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단양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무신
-
공(贛) - 초연수(焦延壽)
중국 전한(前漢) 때의 문신ㆍ학자. 소황령(小黃令)을 지냄. 맹희(孟喜)에게 《역(易)》을 배워 경방(京房)을 가르치고, 《역림(易林)》ㆍ《역림변점(易林變占)》을 저술함.
중국>전한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공^주(孔^周) - 주^공(周^孔)
중국 주(周) 나라의 종친이자 충신인 주공(周公)과 춘추전국시대 노(魯) 나라의 학자인 공자(孔子)를 함께 부르는 말. 왕도정치를 주장하고 실행한 대표적인 인물을 말함.
중국>춘추전국시대ㅣ중국>주 , 중국 , 사상>술어>관용어
-
공간(公幹)@박여량 - 박여량(朴汝樑)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본관은 삼척(三陟)으로, 졸재(拙齋) 노상(盧祥)의 문인. 정인홍(鄭仁弘)ㆍ정온(鄭蘊)ㆍ오장(吳長)ㆍ박이장(朴而章) 등과 교유하고, 지평(持平)ㆍ문학(文學) 등을 지냄.
1554~1611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함양 , 인명>관인>문신
-
공간(公幹)@박여주 - 박여주(朴汝柱)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반남(潘南). 우의정을 지낸 박숭질(朴崇質)의 손자로, 1543년(중종 38) 사마시(司馬試)에 입격하여 의금부 경력(義禁府經歷)을 지냄. 유희춘(柳希春)과 교유함.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공간(公幹)@이중량 - 이중량(李仲樑)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영천(永川).농암(聾巖) 이현보(李賢輔)의 아들로, 효행(孝行)과 학행(學行)이 뛰어났으며, 지방관을 두루 역임하며 선정(善政)을 베풂.
1504~1582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영천(永川) , 인명>관인>문신
-
공간(公幹) - 유정(劉楨)
중국 후한(後漢)~삼국시대 위(魏) 나라의 문장가. 건안칠자(建安七子) 중의 한 사람.
?~217 중국>삼국시대ㅣ중국>후한 , 중국 , 인명>문사>문인
-
공간(公榦) - 유정(劉楨)
중국 후한(後漢)~삼국시대 위(魏) 나라의 문장가. 건안칠자(建安七子) 중의 한 사람.
?~217 중국>삼국시대ㅣ중국>후한 , 중국 , 인명>문사>문인
-
공간(公簡) - 허사렴(許士廉)
조선 명종(明宗) 때의 유학. 본관은 김해(金海). 허찬(許瓚)의 아들이며 퇴계(退溪) 이황(李滉)의 처남으로, 1549년(명종 4) 생원시(生員試)에 입격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의령 , 인명>문사>유학
-
공간(恭簡)@김봉 - 김봉(金崶)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연안(延安)으로, 이조 정랑(吏曹正郞) 김륜(金崙)의 동생. 《성종실록(成宗實錄)》의 편찬에 참여하고, 갑자사화(甲子士禍)로 파직되었다가 중종 때 지중추부사(知中樞府事) 등을 지냄.
?~1512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연안 , 인명>관인>문신
-
공간(恭簡)@윤형 - 윤형(尹炯)
조선 태종(太宗)~단종(端宗) 때의 문신. 본관은 파평(坡平). 윤규(尹珪)의 아들로, 예문관 대제학(藝文館大提學) 등을 역임하였으며, 세조(世祖) 때 좌익공신(佐翼功臣)에 추록(追錄)됨.
1388~1453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파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공간(恭簡) - 박건(朴楗)
조선 단종(端宗)~중종(中宗) 때의 문신. 박중손(朴仲孫)의 아들로, 판중추부사(判中樞府事) 등을 역임하였으며, 중종반정(中宗反正)에 참여하여 정국공신(靖國功臣)에 책록됨.
1434~1509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밀양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공간(恭簡)@신거관 - 신거관(愼居寬)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을사사화(乙巳士禍) 때 윤원형(尹元衡) 일파에 의하여 관직이 삭탈되고 평해(平海)로 유배되었으나, 1555년(명종 10) 재등용되어 지중추부사(知中樞府事)에 이름.
1498~1564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거창 , 인명>관인>문신
-
공간(恭簡)@윤세호 - 윤세호(尹世豪)
조선 연산군(燕山君)~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파평(坡平). 1503년(연산군 9)에 별시(別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전라도 관찰사(全羅道觀察使)로 재임 중 조광조(趙光祖)ㆍ김식(金湜)의 일파로 몰려 파직되었다가 복직된 뒤 공조 판서(工曹判書)를 지냄.
1470~?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파주 , 인명>관인>문신
-
공간(恭簡)@허성 - 허성(許誠)
조선 태종(太宗)~세종(世宗) 때의 문신. 본관은 하양(河陽). 판한성부사(判漢城府事) 허주(許周)의 아들이며 안동 부사(安東府使)를 지낸 허관(許寬)의 아버지로, 예문관 대제학(藝文館大提學)을 지냄.
1382~1441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하양 , 인명>관인>문신
-
공간(恭簡)@이효백 - 이효백(李孝伯)
조선 전기의 종친ㆍ무신. 덕천군(德泉君) 이후생(李厚生)의 아들로, 1468년(세조 14) 무과에 급제하여 병조 참판(兵曹參判)을 지냄. 활을 잘 쏘아 세조(世祖)ㆍ예종(睿宗)ㆍ성종(成宗) 등에게 총애를 받음.
1433~1487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무신ㅣ인명>왕실>종친
-
공간(恭簡)@정홍 - 정홍(鄭洪)
고려 우왕(禑王)~조선 세종(世宗) 때의 문신. 본관은 영일(迎日)로, 일성군(日城君) 정사도(鄭思道)의 아들. 우왕 때 제릉서 영(諸陵署令)을 지내고, 조선 건국 이후 보문각 대제학(寶文閣大提學)ㆍ우의정(右議政) 등을 지냄.
?~1420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영일 , 인명>관인>문신
-
공간(恭簡)@이제 - 이제(李躋)@이농의아들
조선 세종(世宗)~성종(成宗) 때의 종친. 태종(太宗)의 네 번째 서자인 근녕군(謹寧君) 이농(李襛)의 맏아들로, 세종부터 성종까지 내리 여섯 조정을 섬겼으며, 옥산군(玉山君)에 봉해짐.
1429~1490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종친
-
공간(恭簡)@김주 - 김주(金湊)
고려 후기~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낙안(樂安). 고려 말에 양광도(楊廣道)에 침입한 왜구를 격퇴하였고, 조선 초 한양천도(漢陽遷都) 때 종묘ㆍ사직ㆍ궁궐ㆍ관아 등을 짓는 데 공을 세웠으며, 밀양(密陽)의 영남루(嶺南樓)를 창건함.
?~1404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전라도>낙안 , 인명>관인>문신
-
공간(恭簡)@한세환 - 한세환(韓世桓)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청주(淸州). 한운(韓運)의 아들로, 《성종실록(成宗實錄)》 편찬에 참여하였으며, 함경도 관찰사(咸鏡道觀察使)로 있을 때 기민(饑民) 구제에 힘씀.
1470~1522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청주 , 인명>관인>문신
-
공간(恭簡)@이성서 - 이성서(李成瑞)
고려 충정왕(忠定王)~우왕(禑王) 때의 문신. 공민왕(恭愍王) 때 홍건적(紅巾賊)을 맞아 싸우고 최영(崔瑩)을 따라 흥왕사(興王寺)의 변(變)을 평정한 공으로 공신(功臣)에 책록됨. 정조사(正朝使)가 되어 원(元) 나라에 가서 벼슬을 받음.
?~1379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경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공간(恭簡)@조석문 - 조석문(曺錫文)
조선 세종(世宗)~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창녕(昌寧). 관찰사를 지낸 조항(曺沆)의 아들. 노사신(盧思愼)과 함께 《북정록(北征錄)》을 편찬하고, 영의정(領議政)을 지냄.
1413~1477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창녕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공간(恭簡)@이자건 - 이자건(李自健)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성주(星州). 이주(李湊)의 아들로, 연산군(燕山君) 때 갑자사화(甲子士禍)에 연루되어 선산(善山)에 유배되었다가 중종반정(中宗反正)으로 복직된 후 지중추부사(知中樞府事) 등을 지냄.
1455~1524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공간(恭簡)@한사문 - 한사문(韓斯文)
조선 세조(世祖)~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청주(淸州)로, 서평부원군(西平府院君) 한계희(韓繼禧)의 아들. 중종반정(中宗反正) 때 공을 세워 정국공신(靖國功臣)에 책록되고, 함경도 관찰사(咸鏡道觀察使) 등을 지냄.
1446~1507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청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공간(恭簡)@윤긍 - 윤긍(尹兢)
조선 세종(世宗)~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파평(坡平)으로, 우의정 윤사분(尹士昐)의 아들. 이조 참의(吏曹參議) 시절 정여창(鄭汝昌)ㆍ김굉필(金宏弼) 등을 천거하였으며, 호조 판서 등을 역임한 후 사직하고 팔공산(八公山)에 들어가 향풍(鄕風)을 순화함.
1432~1485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대구ㅣ서울 , 인명>관인>문신
-
공거(公擧) - 이량(李樑)
조선 명종(明宗) 때의 문신. 효령대군(孝寧大君)의 5세손이며, 정사룡(鄭士龍)의 문인. 윤원형(尹元衡)을 견제하기 위해 등용되었으나 전횡을 일삼고, 사림(士林)을 숙청하려던 계획이 발각되어 강계(江界)로 유배된 후 죽음.
1519~1563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관인>문신
-
공거령(公車令) - 장석지(張釋之)
중국 전한(前漢) 문제(文帝)~경제(景帝) 때의 문신. 법을 엄히 지키고 죄인을 공평하게 다스려서 칭송을 받았고, 꿇어 앉아 처사(處士) 왕생(王生)의 대님을 매어 줌으로써 인품이 더욱 돋보였다는 일화가 있음.
중국>전한 , 중국 , 인명>관인>무신
-
공건지(公建池) - 공검지(恭儉池)
경상북도 상주(尙州) 공검면(恭儉面)에 있는 못 이름. 관개용(灌漑用) 저수지로 이용됨.
경상도>상주 , 지명>자연지명
-
공검(公儉) - 설공검(薛公儉)
고려 원종(元宗)~충렬왕(忠烈王) 때의 문신. 본관은 순창(淳昌). 정승(政丞)을 지낸 설지충(薛之沖)의 아버지로, 첨의 중찬(僉議中贊) 등을 역임함.
1224~1302 한국>고려후기 , 전라도>순창 , 인명>관인>문신
-
공검지(公檢池) - 공검지(恭儉池)
경상북도 상주(尙州) 공검면(恭儉面)에 있는 못 이름. 관개용(灌漑用) 저수지로 이용됨.
경상도>상주 , 지명>자연지명
-
공검호(公檢湖) - 공검지(恭儉池)
경상북도 상주(尙州) 공검면(恭儉面)에 있는 못 이름. 관개용(灌漑用) 저수지로 이용됨.
경상도>상주 , 지명>자연지명
-
공경(恭景) - 권화(權和)@고려후기
고려 우왕(禑王)~조선 태조(太祖)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 영가부원군(永嘉府院君) 권보(權溥)의 증손이며, 검교정승(檢校政丞) 권희(權僖)의 아들.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공경(恭頃) - 김로(金輅)@조선
고려 공민왕(恭愍王)~조선 태종(太宗) 때의 문신. 본관은 연안(延安). 조선 개국공신(開國功臣) 중의 한 사람으로, 판중추원사(判中樞院事)ㆍ지의정부사(知議政府事)를 지냄.
1355~1416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황해도>연안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공계(公桂) - 공규(公珪)
조선 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 본관은 김포(金浦). 공자유(公子由)의 아들로, 홍문관 저작(弘文館著作) 등을 역임하였고, 시문(詩文)에 능하였음.
1501~?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공계(公繼) - 박사종(朴嗣宗)
조선 전기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밀양(密陽). 참봉(參奉)을 지냈으며, 영동(永同)의 초강서원(草江書院)에 배향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밀양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공공(空空) - 경조(景照)
고려 후기의 승려. 유가파(瑜伽派)에 속한 인물로, 시문(詩文)에 능하여 이규보(李奎報)와 교유하였으며, 《동국이상국집(東國李相國集)》에 그와 관련된 몇 편의 시문이 실려 있음.
한국>고려후기 , 인명>종교인>승려
-
공공(貢公) - 공우(貢禹)
중국 전한(前漢) 원제(元帝) 때의 문신. 현량(賢良)으로 천거되어 간의대부(諫議大夫)를 지냄. 왕길(王吉)과 절친한 친구 사이로, 세간에 “왕길이 먼저 벼슬길에 오르니 공우가 갓의 먼지를 털고 임금의 소명(召命)을 기다린다”라는 말이 전함.
중국>전한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공공(龔公) - 공용경(龔用卿)
중국 명(明) 나라 세종(世宗) 때의 문신. 한림원 수찬(翰林院修撰) 등을 지내고, 1537년(중종 32) 조선에 사신으로 와서 황태자가 탄생하였다는 조서(詔書)를 반포함.
1500~1563 중국>명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공공거허(蛩蛩距虛) - 거^공(距^蛩)
중국 전설상의 동물인 거허(距虛)와 공공(蛩蛩)을 함께 부르는 말. 두 짐승은 항상 붙어 다니며 궐(蟨)이라는 짐승의 부양을 받다가 궐에게 위험한 일이 생기면 궐을 등에 업고 달아난다고 하여 서로 의지함을 의미함.
중국 , 사상>술어>관용어
-
공공상인(空空上人) - 경조(景照)
고려 후기의 승려. 유가파(瑜伽派)에 속한 인물로, 시문(詩文)에 능하여 이규보(李奎報)와 교유하였으며, 《동국이상국집(東國李相國集)》에 그와 관련된 몇 편의 시문이 실려 있음.
한국>고려후기 , 인명>종교인>승려
-
공구(孔丘) - 공자(孔子)
중국 춘추전국시대 노(魯) 나라의 대부ㆍ학자. 유학(儒學)의 개조(開祖). 노 나라에서 대사구(大司寇)를 지내고, 자신의 정치 이상을 실현하기 위해 열국(列國)을 주유했지만 끝내 채용되지 못하자 후진교육과 저술활동에 전념함.
B.C.552~B.C.479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기타인명>성현
-
공권(公權) - 정추(鄭樞)
고려 공민왕(恭愍王)~우왕(禑王) 때의 문신. 좌사의대부(左司議大夫)를 지낸 정포(鄭誧)의 아들로, 성균관 대사성(成均館大司成)ㆍ첨서밀직사사(簽書密直司事)를 지냈고, 만년에 나라의 일이 권신들에 의해 좌우되는 것을 한탄하다가 병사함.
1333~1382 한국>고려후기 , 충청도>청주 , 인명>관인>문신
-
공권(公權)@당 - 유공권(柳公權)@당
중국 당(唐) 나라의 문신ㆍ서예가. 태자소사(太子少師)를 지내고, 해서(楷書)에 뛰어남. 주로 안진경(顔眞卿)을 본받았으나, 안진경의 글씨에 살이 많다면 유공권의 글씨에는 뼈가 많아서 흔히 안유(顔柳)라 병칭되며 세간의 주목을 받음.
778~865 중국>당 , 중국 , 인명>예술인>서화가ㅣ인명>관인>문신
-
공권(公權)@고려 - 유공권(柳公權)@고려
고려 의종(毅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문화(文化). 정당문학(政堂文學)ㆍ참지정사(參知政事)를 지내고, 예서(隸書)와 초서(草書)를 잘 씀.
1132~1196 한국>고려후기 , 황해도>문화 , 인명>관인>문신
-
공규(公珪)@민공규 - 민공규(閔公珪)
고려 명종(明宗)~신종(神宗) 때의 문신. 본관은 여흥(驪興). 고종(高宗) 때의 학자 민인균(閔仁鈞)의 아버지. 《동국이상국집(東國李相國集)》에 이규보(李奎報)가 지어준 시가 실려 있음.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여주 , 인명>관인>문신
-
공규(孔珪) - 공치규(孔稚珪)
중국 남북조시대(南北朝時代) 제(齊) 나라의 문신ㆍ문인. 작품 중에 〈북산이문(北山移文)〉이 유명함.
447~501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공근(公瑾)@최숙 - 최숙(崔璹)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해주(海州). 호조 정랑(戶曹正郞)을 지낸 최창손(崔昌孫)의 아들로, 김포 현령(金浦縣令)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공근(公瑾)@주유 - 주유(周瑜)@삼국(오)
중국 삼국시대(三國時代) 오(吳) 나라의 무신. 손견(孫堅)의 아들 손책(孫策)과 형제처럼 교유하였으며, 위(魏)의 조조(曹操)가 진격해 오자 촉(蜀)의 제갈공명(諸葛孔明)과 함께 적벽대전(赤壁大戰)에서 위군(魏軍)을 대파하였음.
175~210 중국>삼국시대 , 중국 , 인명>관인>무신
-
공근(公瑾)@이숙기 - 이숙기(李淑琦)
조선 단종(端宗)~성종(成宗) 때의 무신. 본관은 연안(延安). 이시애(李施愛)의 난(亂)에 공을 세워 적개공신(敵愾功臣)에 책록되고, 성종 때 좌리공신(佐理功臣)에 책록되었으며, 지중추부사(知中樞府事) 등을 지냄.
1429~1489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연안 , 인명>관인>무신ㅣ인명>기타인명>공신
-
공근(公瑾)@안공신 - 안공신(安公信)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순흥(順興). 안영(安瑛)의 아들로 부정(副正)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영천(榮川) , 인명>관인>문신
-
공근(公瑾) - 박유(朴瑜)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함양(咸陽). 대사간(大司諫)을 지낸 박민헌(朴民獻)의 아버지로, 좌랑(佐郞)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함양 , 인명>관인>문신
-
공근(公謹) - 박유(朴瑜)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함양(咸陽). 대사간(大司諫)을 지낸 박민헌(朴民獻)의 아버지로, 좌랑(佐郞)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함양 , 인명>관인>문신
-
공근(公謹)@영산군 - 영산군(寧山君)
조선 제9대 성종(成宗)의 열세 번째 아들. 어머니는 숙용심씨(淑容沈氏). 정막개(鄭莫介)가 반역을 고발한 박영문(朴永文)ㆍ신윤무(辛允武) 등의 옥사에 관련되어 귀양 갔다가 이홍간(李弘榦)의 아룀으로 인하여 석방됨.
1490~1538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왕자
-
공기(公器) - 오원유(吳元瑜)
중국 송(宋) 나라 신종(神宗) 때의 문신ㆍ화가. 합주 단련사(合州團練使)를 지냄. 어려서 최백(崔白)에게 배웠는데, 특히 화훼도(花卉圖)ㆍ영모도(翎毛圖) 등에 뛰어남.
중국>송 , 중국 , 인명>예술인>서화가ㅣ인명>관인>문신
-
공기(公紀) - 조적(趙績)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조동호(趙銅虎)의 아들로, 상주 목사(尙州牧使) 등을 지냈으나, 판결사(判決事)로 있을 때 결송(決訟)에 대한 일처리가 서툴러 탄핵을 받음.
1477~?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함안 , 인명>관인>문신
-
공녕(孔寧) - 공손녕(孔孫寧)
중국 춘추전국시대 진(陳) 나라의 대부. 대부 하징서(夏徵舒)의 어머니인 하희(夏姬)와 정을 통하는 등 행실이 음란하여 물의를 빚음.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관인>경대부
-
공녕군(恭寧君) - 함녕군(咸寧君)
조선 제3대 태종(太宗)의 둘째 서자. 신빈(信嬪) 신씨(辛氏)의 소생으로, 세종(世宗) 때 계품사(計稟使)로서 중국에 가서 금ㆍ은의 공물을 면제받고 돌아옴.
1402~1467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왕자
-
공니보(孔尼父) - 공자(孔子)
중국 춘추전국시대 노(魯) 나라의 대부ㆍ학자. 유학(儒學)의 개조(開祖). 노 나라에서 대사구(大司寇)를 지내고, 자신의 정치 이상을 실현하기 위해 열국(列國)을 주유했지만 끝내 채용되지 못하자 후진교육과 저술활동에 전념함.
B.C.552~B.C.479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기타인명>성현
-
공단(公旦) - 주공(周公)
중국 주(周) 나라의 종친. 주 나라 문왕(文王)의 아들이며 무왕(武王)의 동생. 무왕을 도와 은(殷) 나라의 주왕(紂王)을 치고, 성왕(成王)을 도와 예악과 제도를 정비하여 주 나라의 기초를 세우는 데 기여함.
중국>주 , 중국 , 인명>왕실>종친ㅣ인명>왕실>왕자
-
공달(公達)@순유 - 순유(荀攸)
중국 삼국시대 위(魏) 나라의 문신. 순욱(荀彧)의 조카. 지모(智謀)와 정략(政略)이 뛰어나 조조(曹操)의 모사(謀士)로서 많은 공을 세우고, 군사(軍師)ㆍ상서령(尙書令)을 지냄.
157~214 중국>삼국시대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공달(公達)@박공달 - 박공달(朴公達)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병조 좌랑(兵曹佐郞) 등을 지냈으며, 기묘사화(己卯士禍) 때 사림(士林)에 화가 미치자 벼슬에서 물러나 삼가(三可) 박수량(朴遂良)과 함께 경학강의를 하며 여생을 보냄.
1470~? 한국>조선전기 , 강원도>강릉 , 인명>관인>문신
-
공달(公達) - 김언백(金彦伯)
조선 중종(中宗) 때의 유학. 본관은 경주(慶州). 선무랑(宣務郞) 김수인(金壽仁)의 아들로, 1513년(중종 8) 진사시(進士試)에 입격함.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홍주 , 인명>문사>유학
-
공달(公達)@성공달 - 설공달(薛公達)
중국 당(唐) 나라 덕종(德宗)~헌종(憲宗) 때의 문신. 한유(韓愈)에게 인정을 받고 맹교(孟郊)와 교유하였으며, 국자 조교(國子助教)를 지냄. 죽은 후 한유가 묘지(墓誌)를 지음.
?~809 중국>당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공달(公達)@목세칭 - 목세칭(睦世秤)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학자. 본관은 사천(泗川). 김식(金湜)의 문인으로, 기묘사화(己卯士禍) 이후 과거를 포기하고 향리로 돌아와 학문에 전념함.
1487~1551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양주 , 인명>문사>학자
-
공달(公達)@이공달 - 이공달(李公達)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전의(全義). 판결사(判決事) 이시보(李時珤)의 아들이자 찰방(察訪) 이응성(李應誠)의 아버지로, 양주 목사(楊州牧使) 등을 지냄.
1464~1519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전의 , 인명>관인>문신
-
공달(公達)@숙제 - 숙제(叔齊)
중국 은(殷) 나라의 충신ㆍ은자. 주(周) 나라 무왕(武王)이 은 나라를 치려할 때 형 백이(伯夷)와 함께 말리다가 듣지 않자, 주에서 나는 곡식을 먹는 것도 부끄럽게 여겨 수양산(首陽山)에 들어가 고사리를 캐 먹다가 죽음.
중국>은 , 중국 , 인명>기타인명>은자ㅣ인명>왕실>왕자
-
공당(工堂) - 공자당(工字堂)
충청북도 음성(陰城)에 있는 지천서원(知川書院)의 강당. 정면 4칸 측면 1칸 반, 앞의 1칸은 툇간인 팔작지붕의 목조기와집 형태임.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음성 , 유적>건물>서원,향교
-
공대(恭戴) - 정척(鄭陟)
조선 태종(太宗)~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진주(晉州). 정성근(鄭誠謹)의 아버지로, 수문전 태학사(修文殿太學士)를 지냄. 해자(楷字)와 전자(篆字)에 뛰어나 새보(璽寶)와 관인(官印)을 다수 제작하고, 전고(典故)에 조예가 깊어 많은 의제(儀制)를 찬(撰)함.
1390~1475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진주 , 인명>관인>문신
-
공덕장(孔德璋) - 공치규(孔稚珪)
중국 남북조시대(南北朝時代) 제(齊) 나라의 문신ㆍ문인. 작품 중에 〈북산이문(北山移文)〉이 유명함.
447~501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공도(公度)@왕굉 - 왕굉(王竤)
중국 명(明) 나라 때의 문신. 섬서성(陝西省) 하주(河州) 사람으로, 병부 상서(兵部尙書) 등을 역임함.
중국>명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공도(公度)@윤희 - 윤희(尹喜)
중국 주(周) 나라의 대부(大夫). 함곡관 윤(函谷關尹)을 지낼 때 서역(西域)으로 가던 노자(老子)가 함곡관(函谷關)을 지나가자 제자(弟子)의 예를 갖추고 《도덕경(道德經)》 오천언(五千言)을 받았다 함.
중국>주 , 중국 , 인명>관인>경대부
-
공도(公度) - 유맹용(劉孟容)
중국 송(宋) 나라의 문신. 장사(長沙)와 남강(南康)의 수령을 지냄. 주희(朱熹)가 “근결자호(謹潔自好)하며, 학문에 방도가 있다”고 함.
중국>송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공도(公度)@장일 - 장일(張鎰)
중국 당(唐) 나라 숙종(肅宗)~덕종(德宗) 때의 무신. 봉상농우절도사(鳳翔隴右節度使) 등을 지냈으나, 반란이 일어나 죽임을 당함.
중국>당 , 중국 , 인명>관인>무신
-
공도(恭度)@서선 - 서선(徐選)
조선 태조(太祖)~세종(世宗) 때의 문신. 본관은 이천(利川). 서원(徐遠)의 아들이며, 원천석(元天錫)의 문인. 1415년(태종 15) 서얼의 차별대우를 진언했으며, 두 차례 사신으로 명(明) 나라에 감. 우부대언(右副代言)ㆍ판한성부사(判漢城府使) 등을 지냄.
1367~1433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이천 , 인명>관인>문신
-
공도(恭度)@이장곤 - 이장곤(李長坤)
조선 연산군(燕山君)~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벽진(碧珍). 김굉필(金宏弼)의 문인으로, 중종 때 창성(昌城)에 침입한 야인(野人)을 격파하고 우찬성(右贊成) 등을 역임하였으며, 기묘사화(己卯士禍) 때 조광조(趙光祖) 등의 처형을 반대하다가 삭탈관직됨.
1474~1519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창녕ㅣ경기도>여주 , 인명>관인>문신
-
공도(恭度)@이문화 - 이문화(李文和)
고려 우왕(禑王)~조선 태종(太宗) 때의 문신. 본관은 인천(仁川). 조선 개국 후 세 차례에 걸쳐 명(明) 나라에 사신으로 다녀오고, 의정부 참찬(議政府參贊) 등을 지냄.
1358~1414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기도>인천 , 인명>관인>문신
-
공도(恭度) - 성엄(成揜)
조선 정종(定宗)~세종(世宗) 때의 문신. 성석인(成石因)의 아들로, 동지중추원사(同知中樞院事) 등을 역임함.
?~1434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창녕 , 인명>관인>문신
-
공도(恭悼)@구한 - 구한(具澣)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부마ㆍ문신. 중종의 딸 숙정옹주(淑靜翁主)와 결혼하여 능창위(綾昌尉)에 봉해졌으며, 명종의 즉위에 공을 세워 위사원종공신(衛社原從功臣)에 책록됨. 사옹원 제조(司饔院提調)를 지냄. 35세로 요절함.
1524~1558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ㅣ인명>왕실>인척
-
공도(恭悼) - 한의(韓嶬)
조선 세조(世祖)~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청주(淸州)로, 서원부원군(西原府院君) 한계미(韓繼美)의 아들. 성종 때 좌리공신(佐理功臣)에 책록되었으며, 이모인 세조비 정희왕후(貞熹王后)가 죽자 수릉관(守陵官)이 되어 왕실의 장례에 관한 일을 맡음.
1443~1485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청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공동(崆峒) - 이몽양(李夢陽)
중국 명(明) 나라 효종(孝宗)~무종(武宗) 때의 문인. 진(秦)ㆍ한(漢) 시대의 고문과 이백(李白)ㆍ두보(杜甫)의 시를 이상으로 하고 시의 격조를 중시함. 하경명(何景明)ㆍ서정경(徐禎卿) 등과 함께 ‘칠재자(七才子)’ 또는 ‘십재자(十才子)’로 불림.
1473~1530 중국>명 , 중국 , 인명>문사>문인
-
공동(空同) - 이몽양(李夢陽)
중국 명(明) 나라 효종(孝宗)~무종(武宗) 때의 문인. 진(秦)ㆍ한(漢) 시대의 고문과 이백(李白)ㆍ두보(杜甫)의 시를 이상으로 하고 시의 격조를 중시함. 하경명(何景明)ㆍ서정경(徐禎卿) 등과 함께 ‘칠재자(七才子)’ 또는 ‘십재자(十才子)’로 불림.
1473~1530 중국>명 , 중국 , 인명>문사>문인
-
공동도사(空峒道士) - 이몽양(李夢陽)
중국 명(明) 나라 효종(孝宗)~무종(武宗) 때의 문인. 진(秦)ㆍ한(漢) 시대의 고문과 이백(李白)ㆍ두보(杜甫)의 시를 이상으로 하고 시의 격조를 중시함. 하경명(何景明)ㆍ서정경(徐禎卿) 등과 함께 ‘칠재자(七才子)’ 또는 ‘십재자(十才子)’로 불림.
1473~1530 중국>명 , 중국 , 인명>문사>문인
-
공동자(空同子) - 이몽양(李夢陽)
중국 명(明) 나라 효종(孝宗)~무종(武宗) 때의 문인. 진(秦)ㆍ한(漢) 시대의 고문과 이백(李白)ㆍ두보(杜甫)의 시를 이상으로 하고 시의 격조를 중시함. 하경명(何景明)ㆍ서정경(徐禎卿) 등과 함께 ‘칠재자(七才子)’ 또는 ‘십재자(十才子)’로 불림.
1473~1530 중국>명 , 중국 , 인명>문사>문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