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공동전집(空同全集) - 이공동집(李空同集)
중국 명(明) 나라 무종(武宗) 때의 문인인 이몽양(李夢陽)의 문집. 66권.
중국>명 , 중국 , 문헌>서명
-
공동집(空同集) - 이공동집(李空同集)
중국 명(明) 나라 무종(武宗) 때의 문인인 이몽양(李夢陽)의 문집. 66권.
중국>명 , 중국 , 문헌>서명
-
공량(公亮)@박공량 - 박공량(朴公亮)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ㆍ서예가. 본관은 고령(高靈). 갑자사화 때 사형된 홍문관 수찬(弘文館修撰) 박은(朴誾)의 아들. 글씨에 능하여 많은 금석문(金石文)을 남겼고, 《중종실록(中宗實錄)》과 《인종실록(仁宗實錄)》편찬에도 참여함.
1494~1556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예술인>서화가ㅣ인명>관인>문신
-
공량(公亮)@조한필 - 조한필(曺漢弼)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창녕(昌寧). 조등(曺璒)의 아들로, 1510년(중종 5) 식년시(式年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감사(監司)를 지냄.
1486~?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창녕 , 인명>관인>문신
-
공량(公亮)@이공량 - 이공량(李公亮)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전의(全義). 남명(南冥) 조식(曺植)의 매부(妹夫)로, 봉사(奉事)를 역임함.
1500~1565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전의 , 인명>관인>문신
-
공량(公亮) - 김중연(金仲演)
조선 세조(世祖)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 예조 참의(禮曹參議)를 지낸 김자행(金自行)의 아들로, 공조 좌랑(工曹佐郞)ㆍ군수(郡守)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공량(公亮)@증공량 - 증공량(曾公亮)
중국 송(宋) 나라의 문신. 정도(丁度) 등과 함께 《무경총요(武經總要)》를 찬술하였고, 《신당서(新唐書)》를 편찬하는 일을 총재하였음.
중국>송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공량(公亮)@김공량 - 김공량(金公亮)
조선 연산군(燕山君)~중종(中宗) 때의 유학. 연산군 때 스승인 묵재(默齋) 이심원(李深源)과 선비들이 화를 당하자 고향으로 돌아가 은거함.
1472~1544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전의 , 인명>문사>유학
-
공량(恭良) - 원종(元宗)@조선
조선 후기의 추존왕. 선조(宣祖)의 다섯째 아들이며, 인조(仁祖)의 아버지. 임진왜란 때 선조를 호종한 공으로 호성공신(扈聖功臣)에 책록되고, 인조반정(仁祖反正) 후 대원군(大院君)에 추존되었다가 논란 끝에 왕으로 추존됨.
1580~1619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왕실>국왕
-
공려(公勵) - 이원익(李元翼)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 함천군(咸川君) 이억재(李億載)의 아들로, 임진왜란 때 공을 세워 호성공신(扈聖功臣)에 책록되고, 영의정 등을 지냄. 병제와 조세제도를 정비하고 대동법(大同法)을 실시하는 데 공헌함.
1547~1634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공려(公礪) - 이공려(李公礪)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여흥(驪興). 이사필(李士弼)의 아버지로, 이조 참판(吏曹參判)에 추증됨.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여주 , 인명>문사>유학
-
공려(公閭) - 가충(賈充)
중국 남북조시대 진(晉) 나라의 문신. 예주 자사(豫州刺史)를 지낸 가규(賈逵)의 아들. 무제(武帝) 때 상서복야(尙書僕射)로 《진율령(晉律令)》을 편찬함. 두 딸이 태자비(太子妃)와 제왕비(齊王妃)가 되었는데, 태자비는 후에 혜가황후(惠賈皇后)가 되어 횡포를 부려 팔왕(八王)의 난을 초래함.
217~282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공로(公路) - 원술(袁術)
중국 후한(後漢) 말의 무신. 손견(孫堅)과 결탁하여 동탁(董卓)을 격파함으로써 명성을 얻음. 197년 구강(九江)에서 칭제(稱帝)하였으나 2년도 못 되어 조조(曹操)에게 패하도 원담(袁譚)에게 가는 도중 사망함.
?~199 중국>후한 , 중국 , 인명>관인>무신
-
공로(恭老)@우공로 - 우공로(禹恭老)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단양(丹陽). 증 병조 판서(贈兵曹判書) 우승경(禹承瓊)의 아들이며, 동래 현령(東萊縣令) 우종손(禹從孫)의 아버지로, 병조 참판(兵曹參判)에 추증됨.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단양 , 인명>문사>유학
-
공로(恭老) - 김윤제(金允悌)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광주(光州)로, 장례원 사평(掌隷院司評) 김후(金詡)의 아들. 나주 목사(羅州牧使) 등 지방관을 지내고, 고향에 돌아가 정철(鄭澈)ㆍ김성원(金成遠) 등 후학을 양성함.
1501~1572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담양ㅣ전라도>광산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공릉(恭陵) - 장순왕후(章順王后)
조선 제8대 예종(睿宗)의 비. 본관은 청주(淸州). 영의정(領議政) 한명회(韓明澮)의 딸로, 세조(世祖)의 총애를 받았으나 원손(元孫) 인성대군(仁城大君)을 낳은 뒤 병으로 요절하였음.
1445~1461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왕비
-
공리(公理) - 중장통(仲長統)
중국 후한(後漢) 때의 학자. 학문을 좋아하고 문사(文辭)에 능하며 직언(直言)을 즐겨 비판정신이 투철하였으며, 저서로 《창언(昌言)》이 있으나 전하지는 않음.
179~220 중국>후한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공린(公麟)@조선 - 이공린(李公麟)@조선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경주(慶州). 이오(李鰲)ㆍ이귀(李龜)ㆍ이원(李黿)ㆍ이타(李鼉)ㆍ이별(李鼈)ㆍ이벽(李鼊)ㆍ이경(李鯨)ㆍ이곤(李鯤)의 아버지. 장인 박팽년(朴彭年)의 죄에 연좌되어 한동안 관직에 나가지 못하고, 갑자사화(甲子士禍) 때는 아들 이원의 죄에 연좌되어 유배됨.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청주 , 인명>관인>문신
-
공린(公麟)@송 - 이공린(李公麟)@송
중국 송(宋) 나라의 문신ㆍ화가. 병을 핑계로 벼슬을 그만두고 용면산(龍眠山)에 은거함. 시에 뛰어나고 골동품 감정에 정통하였으며, 특히 그림에 능하여 명성을 떨쳤음.
1049~1106 중국>송 , 중국 , 인명>예술인>서화가ㅣ인명>관인>문신
-
공만(恐晩) - 김순(金洵)
조선 전기의 문신. 명천 현감(明川縣監)을 지냈으며, 임형수(林亨秀)와 칠보산(七寶山)을 유람한 내용이《금호유고(錦湖遺稿)》에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함경도>명천 , 인명>관인>문신
-
공망(公望)@강공망 - 강공망(姜公望)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진주(晋州). 강원도 관찰사(江原道觀察使)를 지낸 강욱(姜昱)과 호조 판서(戶曹判書)를 지낸 강섬(姜暹)의 아버지.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진주 , 인명>문사>유학
-
공망(公望)@심대 - 심대(沈岱)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청송(靑松).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선조(宣祖)를 호종하여 의주로 수행하였으며, 경기도 관찰사(京畿道觀察使)가 되어 남하하다가 삭녕(朔寧)에서 왜적의 기습을 받아 전사함.
1546~1592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청송 , 인명>관인>문신
-
공망(公望)@김공망 - 김공망(金公望)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부장(部將)을 지낸 김성(金城)의 아들이며, 주계군(朱溪君) 이심원(李深源)의 문인. 1506년(중종 1) 문과에 급제하여 해주 목사(海州牧使)를 지냄.
1482~1528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공망(公望) - 이희손(李希孫)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양녕대군(讓寧大君)의 증손(曾孫)인 보안정(保安正) 이수남(李壽男)의 아들.
1497~1566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관인>문신
-
공명(孔明)@호소 - 호소(胡昭)
중국 후한(後漢)~삼국시대 위(魏) 나라의 은자ㆍ서화가. 재능과 지혜가 제갈량(諸葛亮)에 못지않았으나 깊은 산 속에 은거하여 평생 벼슬하지 않았으며, 글씨에도 뛰어나 종요(鍾繇)와 명성을 나란히 함.
161~250 중국>삼국시대ㅣ중국>후한 , 중국 , 인명>기타인명>은자ㅣ인명>예술인>서화가
-
공명(孔明)@유복룡 - 유복룡(柳伏龍)
조선 연산군(燕山君)~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문화(文化). 동지돈녕부사(同知敦寧府事)를 역임한 유희림(柳希霖)의 아버지로, 1504년(연산군 10) 생원시(生員試)에 입격하여 장수 현감(長水縣監)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공명(孔明) - 제갈량(諸葛亮)
중국 삼국시대 촉(蜀) 나라의 문신. 뛰어난 전략가(戰略家)로 유비(劉備)의 삼고초려(三顧草廬)의 예(禮)에 감격하여 그를 도와 오(吳) 나라와 연합하여 조조(曹操)의 위(魏) 나라를 대파하고 촉을 일으키는 데 큰 공을 세움.
221~264 중국>삼국시대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공목(恭穆)@민효증 - 민효증(閔孝曾)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문신. 경연(經筵)의 필요성 등을 건의하고, 사창(社倉)을 설치하여 민폐(民弊)를 줄일 것을 주장하였으며, 중종반정(中宗反正) 때 정국공신(靖國功臣)에 책록됨.
1448~1513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여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공목(恭穆) - 강시(姜蓍)
고려 공민왕(恭愍王) 때의 문신. 조선이 건국될 때 직첩(職牒)을 회수당하고 유배됨.
1339~1400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진주 , 인명>관인>문신
-
공목달(工木達) - 연천(漣川)
경기도 북부에 있는 고을 이름. 구석기ㆍ신석기 시대의 유물ㆍ유적이 대량 발굴됨.
경기도>연천 , 지명>행정지명
-
공목헌황제(恭穆獻皇帝) - 예종(睿宗)@명
중국 명(明) 헌종(憲宗)의 아들. 흥왕(興王)에 봉해졌고, 아들인 세종(世宗)이 황제로 등극하고 나서 헌황제(獻皇帝)로 추존됨.
1476~1519 중국>명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공묘(孔廟) - 공자묘(孔子廟)
공자(孔子)와 그의 제자(弟子) 및 여러 성현(聖賢)들의 신위를 모시고 제향을 올리는 사당 이름. 원래는 중국 산동성(山東省) 곡부(曲阜)에 있는 사당을 지칭하였으나, 당(唐) 나라 태종(太宗) 이후로 각 주현(州縣)에 설치됨.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유적>건물>사당
-
공묘(孔廟)@문묘 - 문묘(文廟)
공자(孔子)를 비롯하여 사성(四聖) 이하 중국 역대의 대유(大儒)와, 신라 이후 조선의 명현을 모시는 사당. 통일신라 714년(성덕왕 13)에 공자 및 그 제자의 화상(畵像)을 국학(國學)에 모신 것에서 비롯되었으며, 고려ㆍ조선에 들어서 그 제도와 운영이 더욱 정비됨.
714 한국>통일신라 , 유적>건물>사당
-
공무(公懋) - 현적(玄績)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성주(星州). 현경창(玄景昌)의 아들로, 1627년(인조 5) 진사시(進士試)에 입격하였으며, 송순(宋純)의 《면앙집(俛仰集)》〈제영해동명현록(題詠海東名賢錄)〉에 그와 관련된 내용이 실려 있음.
1602~?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창평 , 인명>문사>유학
-
공무(公懋)@심공무 - 심공무(沈公懋)
고려 후기의 문신. 본관은 삼척(三陟). 삼척심씨(三陟沈氏)의 비조(鼻祖)인 심동로(沈東老)의 아들로, 서운관 부정(書雲觀副正)을 지냄.
한국>고려후기 , 강원도>삼척 , 인명>관인>문신
-
공무(孔廡) - 문묘(文廟)
공자(孔子)를 비롯하여 사성(四聖) 이하 중국 역대의 대유(大儒)와, 신라 이후 조선의 명현을 모시는 사당. 통일신라 714년(성덕왕 13)에 공자 및 그 제자의 화상(畵像)을 국학(國學)에 모신 것에서 비롯되었으며, 고려ㆍ조선에 들어서 그 제도와 운영이 더욱 정비됨.
714 한국>통일신라 , 유적>건물>사당
-
공무(恭武)@한규 - 한규(韓珪)
조선 태조(太祖)~태종(太宗) 때의 무신. 본관은 청주(淸州). 제2차 왕자(王子)의 난(亂)을 평정하고 태종이 왕위에 오르는 데 협력한 공으로 좌명공신(佐命功臣)에 책록되었으며, 중군절제사(中軍節制使) 등을 역임함.
?~1416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청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무신
-
공무(恭武) - 장언량(張彦良)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무신. 본관은 풍덕(豊德). 정국 일등공신(靖國一等功臣) 하원군(河源君) 장정(張珽)의 아들로, 호조 판서(戶曹判書) 등을 역임하였음.
1491~1560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풍덕 , 인명>관인>무신
-
공무(恭武)@맹종 - 맹종(孟宗)
중국 삼국시대 오(吳) 나라의 효자. 겨울에 병든 어머니가 즐기는 죽순이 없음을 슬퍼하자 홀연히 눈 속에서 죽순이 나와 어머니의 병을 고쳤다고 함.
중국>삼국시대 , 중국 , 인명>기타인명>효자
-
공문(公文)@반석평 - 반석평(潘碩枰)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광주(光州). 천얼(賤孽) 출신으로 형조 판서(刑曹判書)ㆍ좌찬성(左贊成)까지 지냈으며, 조광조(趙光祖)ㆍ김식(金湜) 등과 교유함.
?~1540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광산 , 인명>관인>문신
-
공문(公文) - 설사(偰斯)
중국 원(元) 말~명(明) 초의 문신. 원 나라에서 벼슬하다가 명 태조(太祖) 주원장(朱元璋)에게 귀부하였으며, 일찍이 부보랑(符寶郞)으로 고려에 사신 와서 공민왕(恭愍王)을 책봉하고 인(印)과 금단(錦段)을 전달함.
중국>명ㅣ중국>원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공문우(空門友) - 종령(宗聆)
고려 후기의 승려. 원효(元曉)의 무애사상(無㝵思想)을 중시하고, 미수사우(眉叟四友)라 불릴 정도로 문학과 시에 능하였으며, 이규보(李奎報)ㆍ이인로(李仁老) 등과 교유함.
한국>고려후기 , 인명>종교인>승려
-
공문자(孔文子) - 공어(孔圉)
중국 춘추전국시대 위(衛) 나라의 대부(大夫). 인물됨이 총명하면서도 배우기를 좋아하고, 아랫사람에게 묻는 것을 부끄럽게 여기지 않아 시호(諡號)가 문(文)이 되었다고 함.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관인>경대부
-
공민혜황제(恭閔惠皇帝) - 혜제(惠帝)@명
중국 명(明) 나라 제2대 황제. 재위 1398~1402. 태조(太祖)의 손자로, 아버지 의문태자(懿文太子)가 병사하자 황태손에 책봉됨. 즉위 후 황제의 권위를 높이고 제후 세력의 약화를 꾀하였으나, 뒤에 성조(成祖)가 된 주체(朱棣)에게 제위를 빼앗김.
1377~1402 중국>명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공보(公保) - 조확(趙擴)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양주(楊州). 좌참찬(左參贊)을 지낸 조언수(趙彦秀)의 아들로, 예문관 검열(藝文館檢閱)을 지냄.
1535~1575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공보(公寶) - 순조(純祖)
조선 제23대 국왕. 재위 1800~1834. 형인 문효세자(文孝世子)가 일찍 죽어 1800년(정조 24) 왕세자에 책봉되고 즉위했으나, 홍경래(洪景來)의 난과 외척세력의 견제로 아들 효명세자(孝明世子)에게 대리청정(代理聽政)을 시킴.
1790~1834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왕실>국왕
-
공보(公父) - 반석평(潘碩枰)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광주(光州). 천얼(賤孽) 출신으로 형조 판서(刑曹判書)ㆍ좌찬성(左贊成)까지 지냈으며, 조광조(趙光祖)ㆍ김식(金湜) 등과 교유함.
?~1540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광산 , 인명>관인>문신
-
공보(公甫)@한계미 - 한계미(韓繼美)
조선 세종(世宗)~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청주(淸州). 한혜(韓惠)의 아들로, 이시애(李施愛)의 난을 평정하는 등 공을 세워 세 차례 공신(功臣)에 책록되고, 좌찬성(左贊成) 등을 지냄.
1421~1471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청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공보(公甫) - 진헌장(陳獻章)
중국 명(明) 나라의 학자. 오여필(吳與弼)에게 사사하고, 송대(宋代) 육상산(陸象山)의 학풍을 계승함. 유교경전의 자질구레한 해석에 몰두하는 명대(明代)의 주자학에 반발하고 실천성을 강조함.
1428~1500 중국>명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공보(公輔)@남신신 - 남신신(南藎臣)
조선 종종(中宗) 때의 유학. 본관은 영양(英陽). 선조(宣祖) 때의 학자인 남치형(南致亨)ㆍ남치리(南致利)의 아버지.
1505~1550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문사>유학
-
공보(公輔)@탁은필 - 탁은필(卓殷弼)
조선 후기의 유학. 본관은 광산(光山). 탁홍례(卓弘禮)의 넷째 아들.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광산 , 인명>문사>유학
-
공보(公輔)@이세응 - 이세응(李世應)
조선 연산군(燕山君)~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함안(咸安)으로, 사재감 부정(司宰監副正) 이계통(李季通)의 아들. 중종반정(中宗反正)에 가담하여 정국공신(靖國功臣)에 책록되었고, 평안도 관찰사 등을 지냄.
1473~1528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함안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공보(公輔)@이인우 - 이인우(李仁佑)
조선 성종(成宗)~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 본관은 도안(道安). 이승(李勝)의 아들로, 1472년(성종 3) 춘당대시(春塘臺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첨정(僉正)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청안 , 인명>관인>문신
-
공보(公輔) - 박세현(朴世賢)
조선 전기의 무신. 이황(李滉)의 조카사위. 무과(武科)에 급제하여 병마절도사(兵馬節度使)를 역임함.
한국>조선전기 , 인명>관인>무신
-
공보(共父) - 유공(劉珙)
중국 송(宋) 나라의 문신. 정강지변(靖康之變) 때 자결한 유갑(劉韐)의 손자. 효성이 지극하여 모친상을 당한 중에 장상(將相)의 직임이 제수된 일이 있었으나 끝내 사양했음.
중국>송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공보(共父)@조사공 - 조사공(趙師䢼)
중국 송(宋) 나라의 학자ㆍ문신. 가흥 통판(嘉興通判)을 지냄. 절강성(浙江省) 태주(台州) 천태인(天台人). 주희(朱熹)의 문인(門人)으로 역(易)과 시(詩)를 배움.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공보(共甫) - 이공(李珙)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예안(禮安). 조목(趙穆)ㆍ권호문(權好文) 등과 교유하였으며, 이돈(李燉) 등의 문인이 있음. 지평(持平) 등에 제수되었으나 거절하고 학문에만 정진하였으며, 저서로 《율원문집(栗園文集)》이 있음.
1533~1583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예안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공보(功父)@곽상정 - 곽상정(郭祥正)
중국 송(宋) 나라 신종(神宗) 때의 문신. 단주 지사(端州知事)가 되었으나 벼슬에 뜻이 없어 현청산(縣靑山)에 은거함. 시(詩)에 뛰어나 매요신(梅堯臣)에 의해 이백(李白)의 후신(後身)으로 비견(比肩)되고, 저서에 《청산집(靑山集)》이 있음.
중국>송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공보(功父) - 정덕기(鄭德起)
중국 송(宋) 나라 영종(寧宗)~이종(理宗) 때의 유학. 참지정사(參知政事) 정성지(鄭性之)의 아들로, 1223년(영종 16) 진사시(進士試)에 입격함.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유학
-
공보(功甫) - 곽상정(郭祥正)
중국 송(宋) 나라 신종(神宗) 때의 문신. 단주 지사(端州知事)가 되었으나 벼슬에 뜻이 없어 현청산(縣靑山)에 은거함. 시(詩)에 뛰어나 매요신(梅堯臣)에 의해 이백(李白)의 후신(後身)으로 비견(比肩)되고, 저서에 《청산집(靑山集)》이 있음.
중국>송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공보(功甫)@신민일 - 신민일(申敏一)
조선 광해군(光海君)~효종(孝宗) 때의 문신. 본관은 평산(平山). 중추부 경력(中樞府經歷)을 지낸 신암(申黯)의 아들로, 대사성(大司成)을 지냄. 저서로는 《화당집(化堂集)》이 있음.
1576~1650 한국>조선후기 , 황해도>평산 , 인명>관인>문신
-
공보(孔父)@공자 - 공자(孔子)
중국 춘추전국시대 노(魯) 나라의 대부ㆍ학자. 유학(儒學)의 개조(開祖). 노 나라에서 대사구(大司寇)를 지내고, 자신의 정치 이상을 실현하기 위해 열국(列國)을 주유했지만 끝내 채용되지 못하자 후진교육과 저술활동에 전념함.
B.C.552~B.C.479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기타인명>성현
-
공보(孔父) - 공보가(孔父嘉)
중국 춘추전국시대 송(宋) 나라의 대부. 공자(孔子)의 선조. 화독(華督)이 공보가 부인의 미모에 반해 공보가를 살해하자, 이후 그 후손들은 노(魯) 나라로 망명함.
?~B.C.710.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관인>경대부
-
공보(工甫) - 위시량(魏時亮)
중국 명(明) 나라 세종(世宗)~목종(穆宗) 때의 문신ㆍ학자. 1567년 목종이 등극하였을 때 병과 급사중(兵科給事中)으로서 한림 검토(翰林檢討) 허국(許國)과 함께 반조(頒詔)의 사명을 띠고 조선에 옴. 저서에 《대유학수(大儒學粹)》 등이 있음.
1529~1591 중국>명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공보(恭父)@오경 - 오경(吳儆)
중국 송(宋) 나라 고종(高宗)~효종(孝宗) 때의 문신ㆍ문인. 형 오부(吳俯)와 함께 학문과 문장으로 이름을 날려 '강동이오(江東二吳)'로 불렸으며, 안무도감(安撫都監) 등을 지냄.
1125~1183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공보(恭父) - 조사공(趙師䢼)
중국 송(宋) 나라의 학자ㆍ문신. 가흥 통판(嘉興通判)을 지냄. 절강성(浙江省) 태주(台州) 천태인(天台人). 주희(朱熹)의 문인(門人)으로 역(易)과 시(詩)를 배움.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공보(恭甫) - 조사공(趙師䢼)
중국 송(宋) 나라의 학자ㆍ문신. 가흥 통판(嘉興通判)을 지냄. 절강성(浙江省) 태주(台州) 천태인(天台人). 주희(朱熹)의 문인(門人)으로 역(易)과 시(詩)를 배움.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공보(貢父) - 유반(劉攽)
중국 송(宋) 나라의 문신. 국자감 직강(國子監直講)을 지내고, 《자치통감(資治通鑑)》의 전ㆍ후한(前後漢) 부분을 기술함.
1023~1089 중국>송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공보(贛父) - 유반(劉攽)
중국 송(宋) 나라의 문신. 국자감 직강(國子監直講)을 지내고, 《자치통감(資治通鑑)》의 전ㆍ후한(前後漢) 부분을 기술함.
1023~1089 중국>송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공부(公傅) - 오여필(吳與弼)
중국 명(明) 나라 때의 은자. 명(明) 영종(英宗)이 불러 좌유덕(左諭德)의 벼슬을 제수했지만 사양하고 낙향(落鄕)하였으며, 천문(天文)ㆍ병법(兵法)ㆍ음양(陰陽) 등에 통달함.
중국>명 , 중국 , 인명>기타인명>은자
-
공부(公夫) - 이인형(李仁亨)
조선 세조(世祖)~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 본관은 함안(咸安). 대사헌(大司憲) 등을 지내며 치정에 힘썼으나 무오사화(戊午士禍) 때 김종직(金宗直)의 문인이라는 이유로 부관참시(剖棺斬屍) 당함. 1506년(중종 1) 예조 판서(禮曹判書)에 추증됨.
1436~1497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함안 , 인명>관인>문신
-
공부(公溥) - 송응개(宋應漑)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은진(恩津)으로, 좌참찬(左參贊) 송기수(宋麒壽)의 아들. 선조 때 동서분당(東西分黨) 이후 동인(東人)의 중진으로 활약하면서 허봉(許篈) 등과 함께 이이(李珥)를 탄핵하다 회령(會寧)에 유배됨.
1536~1588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공부(工部) - 두보(杜甫)
중국 당(唐) 나라의 시인ㆍ문신. 율시(律詩)에 뛰어났으며, 긴밀하고 엄격한 구성ㆍ사실적 묘사 수법 등으로 인간의 슬픔을 노래함. '시성(詩聖)'으로 불리며, 중국 최고의 시인으로 칭송됨.
712~770 중국>당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공부자(孔夫子) - 공자(孔子)
중국 춘추전국시대 노(魯) 나라의 대부ㆍ학자. 유학(儒學)의 개조(開祖). 노 나라에서 대사구(大司寇)를 지내고, 자신의 정치 이상을 실현하기 위해 열국(列國)을 주유했지만 끝내 채용되지 못하자 후진교육과 저술활동에 전념함.
B.C.552~B.C.479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기타인명>성현
-
공북정(拱北亭) - 유세장(柳世章)
조선 숙종(肅宗) 때의 무신. 본관은 문화(文化). 유희(柳禧)의 아들이며 유세창(柳世彰)의 형으로, 1676년(숙종 2) 무과(武科)에 급제함. 인현왕후(仁顯王后)가 서인(庶人)으로 지낼 때 쌀을 보낸 사실이 죽은 뒤에 알려짐.
1651~1704 한국>조선후기 , 황해도>문화 , 인명>관인>무신
-
공비(公非) - 유반(劉攽)
중국 송(宋) 나라의 문신. 국자감 직강(國子監直講)을 지내고, 《자치통감(資治通鑑)》의 전ㆍ후한(前後漢) 부분을 기술함.
1023~1089 중국>송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공비(恭妃) - 소헌왕후(昭憲王后)
조선 제4대 세종(世宗)의 비. 본관은 청송(靑松). 심온(沈溫)의 딸로, 1418년 세종이 즉위하자 왕후로 봉해짐. 심온이 대역(大逆)의 혐의를 받고 사사되자 폐비(廢妃)의 논의가 있었으나 내조의 공이 인정되어 일축됨.
1395~1446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청송ㅣ서울 , 인명>왕실>왕비
-
공빈(孔賓) - 기가(祈嘉)
중국 남북조시대(南北朝時代) 동진(東晉) 때의 은사(隱士).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기타인명>은자
-
공사(公嗣) - 후주(後主)@삼국(촉)
중국 삼국시대(三國時代) 촉(蜀)의 제2대 황제. 재위 223~263. 제갈량(諸葛亮)의 보좌를 받아 정권을 유지하다가 제갈량이 죽은 뒤 위(魏) 나라에 항복하여 안락공(安樂公)에 봉해짐.
207~271 중국>삼국시대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공사(空師) - 무암(無菴)
고려 말~조선 초의 승려. 원천석(元天錫)의 《운곡행록(耘谷行錄)》에 〈서무암공사권(書無菴空師卷)〉이 수록되어 있음.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인명>종교인>승려
-
공산(公山)@공산불요 - 공산불요(公山弗擾)
중국 춘추전국시대 노(魯) 나라 계씨(季氏)의 가신(家臣). 계씨(季氏)를 배반하고 비읍(費邑)을 점거하여 반란을 일으키면서 공자(孔子)를 불렀다는 내용이 《논어(論語)》 〈양화(陽貨)〉편에 실려 있음.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기타인명>기타인물
-
공산(公山)@팔공산 - 팔공산(八公山)
경상도 대구(大丘)ㆍ영천(永川)ㆍ군위(軍威)에 걸쳐 있는 산. 고려 태조(太祖)가 이곳에서 견훤(甄萱)에게 포위되었을 때 신숭겸(申崇謙)ㆍ김낙(金樂) 등 8명의 장수가 모두 전사하여 팔공산이라 하였다 함.
경상도>영천(永川)ㅣ경상도>대구ㅣ경상도>군위 , 지명>자연지명
-
공산(公山) - 공주(公州)
충청남도 중동부에 있는 고을 이름. 백제(百濟)의 도읍 중 하나.
충청도>공주 , 지명>행정지명
-
공산(公算) - 남재(南在)
고려 공민왕(恭愍王)~조선 태종(太宗) 때의 문신. 이색(李穡)의 문인(門人). 동생 남은(南誾)과 함께 이성계(李成桂)를 도와 조선 개국에 공을 세움.
1351~1419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의령 , 인명>관인>문신
-
공산군(公山君) - 이정(李挺)@조선
조선 전기의 종친. 본관은 전주(全州). 태종(太宗)의 첫 번째 서자인 경녕군(敬寧君) 이비(李裶)의 증손으로, 기산 부수(岐山副守) 이저(李櫧)의 아들이며, 승정원 승지(承政院承旨)를 지낸 유순선(柳順善)의 장인.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공산령(公山令) - 이정(李挺)@조선
조선 전기의 종친. 본관은 전주(全州). 태종(太宗)의 첫 번째 서자인 경녕군(敬寧君) 이비(李裶)의 증손으로, 기산 부수(岐山副守) 이저(李櫧)의 아들이며, 승정원 승지(承政院承旨)를 지낸 유순선(柳順善)의 장인.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공산부원군(公山府院君) - 이자송(李子松)
고려 공민왕(恭愍王)~우왕(禑王) 때의 문신. 수원이씨(水原李氏)의 시조. 덕흥군(德興君)의 변란 때 공민왕에 대한 절의를 지켜 단성보조공신(端誠輔祚功臣)의 호를 받았으나, 우왕의 방탕함을 간하다 파직되고, 요동정벌에 반대하다 죽임을 당함.
?~1388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수원ㅣ충청도>청양 , 인명>관인>문신
-
공상대왕(恭殤大王) - 헌종(獻宗)@고려
고려 제14대 왕. 재위 1094~1095. 선종(宣宗)의 아들로, 어머니는 사숙태후(思肅太后) 이씨(李氏). 즉위 후 신병(身病)으로 인해 왕위를 숙부인 숙종(肅宗)에게 물려준 뒤, 후궁에서 지내다가 14세에 요절함.
1084~1097 한국>고려전기 , 경기도>개성 , 인명>왕실>국왕
-
공생(孔生) - 공자(孔子)
중국 춘추전국시대 노(魯) 나라의 대부ㆍ학자. 유학(儒學)의 개조(開祖). 노 나라에서 대사구(大司寇)를 지내고, 자신의 정치 이상을 실현하기 위해 열국(列國)을 주유했지만 끝내 채용되지 못하자 후진교육과 저술활동에 전념함.
B.C.552~B.C.479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기타인명>성현
-
공서(公序) - 박승륜(朴承倫)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반남(潘南)으로, 진사(進士) 박형(朴珩)의 아들. 선조(宣祖) 때 대사간(大司諫)을 지낸 소고(嘯皐) 박승임(朴承任)의 동생.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영천(榮川) , 인명>문사>유학
-
공서(公恕) - 김치인(金致仁)
조선 영조(英祖)~정조(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청풍(淸風). 영의정 김재로(金在魯)의 아들로, 여러 번 영의정을 지내며 정조의 명으로 당쟁의 조정에 힘씀. 전고(典故)에 정통하여 1785년(정조 9)에 《대전통편(大典通編)》 편찬을 주관함.
1716~1790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공서(公敍) - 홍석(洪錫)@조선후기
조선 인조(仁祖)~숙종(肅宗)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남양(南陽). 김상헌(金尙憲)의 문인으로, 병자호란 이후 태백산(太白山) 춘양(春陽)에 은거하여 강흡(姜洽) 등과 함께 ‘태백오현(太白五賢)’으로 불림. 후에 세자익위사 사어(世子翊衛司司禦)를 지냄.
1604~1680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공서(公瑞)@노기 - 노기(盧麒)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안강(安康). 권문해(權文海)ㆍ구봉령(具鳳齡)과 교유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상주 , 인명>관인>문신
-
공서(公瑞)@한세환 - 한세환(韓世桓)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청주(淸州). 한운(韓運)의 아들로, 《성종실록(成宗實錄)》 편찬에 참여하였으며, 함경도 관찰사(咸鏡道觀察使)로 있을 때 기민(饑民) 구제에 힘씀.
1470~1522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청주 , 인명>관인>문신
-
공서(公瑞)@민시중 - 민시중(閔蓍重)
조선 현종(顯宗)~숙종(肅宗) 때의 문신. 본관은 여흥(驪興). 강원도 관찰사(江原道觀察使) 민광훈(閔光勳)의 아들이며, 좌의정(左議政) 민정중(閔鼎重)ㆍ여양부원군(驪陽府院君) 민유중(閔維重)의 형. 송시열(宋時烈)의 문인으로, 형조 참판(刑曹參判) 등을 지냈고, 학행(學行)으로 이름이 남.
1625~1677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공서(公瑞) - 이세구(李世球)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합천(陜川). 이계장(李繼長)의 아들로, 1533년(중종 28) 별시(別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부사(府使)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합천 , 인명>관인>문신
-
공서(公緖)@노필 - 노필(盧㻶)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ㆍ학자. 김종직(金宗直)의 문인으로 김굉필(金宏弼)과 교유하였으며, 기묘사화(己卯士禍)에 연루되어 유배됨.
1464~1532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광산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공서(公緖) - 김찬선(金纘先)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연안(延安). 김안로(金安老)의 손자로, 1569년(선조 2) 별시(別試)에 급제하여 감정(監正) 등을 역임함.
1535~?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공서(公西) - 공서적(公西赤)
중국 춘추전국시대 노(魯) 나라 사람. 공자(孔子)의 제자 중의 한 사람으로 제사(祭祀)와 빈객(賓客)의 예에 뛰어남.
B.C.509~?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공서화(公西華) - 공서적(公西赤)
중국 춘추전국시대 노(魯) 나라 사람. 공자(孔子)의 제자 중의 한 사람으로 제사(祭祀)와 빈객(賓客)의 예에 뛰어남.
B.C.509~?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문사>학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