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공석(公奭)@김공석 - 김공석(金公奭)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무신. 부장(部將)을 지낸 김성(金城)의 아들이며, 화산군(花山君) 김주(金澍)의 숙부. 북도 병마절도사(北道兵馬節度使)ㆍ청홍도 수군절도사(淸洪道水軍節道使) 등을 지냄.
1477~1552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무신
-
공석(公奭) - 소공(召公)
중국 주(周) 나라의 종친. 문왕(文王)의 아들이며 무왕(武王)의 동생. 은(殷) 왕조의 후손 무경(武庚)의 반란을 진압하고 성왕(成王)을 옹립한 뒤 형 주공(周公)과 함께 성왕을 보필하여 왕조의 기반을 확립함.
중국>주 , 중국 , 인명>왕실>종친
-
공석(公奭)@유공석 - 유공석(柳公奭)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풍산(豐山). 학자 유중엄(柳仲淹)의 아버지로, 전랑(殿郞)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공석(公碩) - 김세필(金世弼)
조선 연산군(燕山君)~중종(中宗) 때의 문신ㆍ학자. 갑자사화(甲子士禍)로 유배되었다가 중종반정으로 복직되었으나, 조광조(趙光祖)를 사사(賜死)한 중종의 과오를 규탄하다가 장배(杖配)됨. 경학(經學)에 밝았음.
1473~1533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경주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공석(孔碩) - 진공석(陳孔碩)
중국 송(宋) 효종(孝宗) 때의 문신ㆍ학자. 관직으로 비각 수찬(秘閣修撰)을 지냄. 주희(朱熹)와 함께 경학(經學)을 강마(講磨)했으며 《용학강록(庸學講錄)》 등의 저술을 남김.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공선(公先) - 송시영(宋時榮)
조선 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은진(恩津). 김장생(金長生)의 문인으로, 상의원 주부(尙衣院主簿) 등을 지냄. 정묘호란 때 왕을 보필하였으며, 병자호란 때 강화(江華)로 갔다가 성이 포위당해 이시직(李時稷) 등과 함께 자결함. 영동(永同) 초강서원(草江書院) 등에 배향됨.
1588~1637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은진 , 인명>관인>문신
-
공선사(孔先師) - 공자(孔子)
중국 춘추전국시대 노(魯) 나라의 대부ㆍ학자. 유학(儒學)의 개조(開祖). 노 나라에서 대사구(大司寇)를 지내고, 자신의 정치 이상을 실현하기 위해 열국(列國)을 주유했지만 끝내 채용되지 못하자 후진교육과 저술활동에 전념함.
B.C.552~B.C.479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기타인명>성현
-
공섭(公燮) - 양응정(梁應鼎)
조선 중중(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ㆍ문인. 본관은 제주(濟州)로, 학포(學圃) 양팽손(梁彭孫)의 아들. 시문(詩文)에 뛰어나 선조 때 팔대문장가(八大文章家)의 한 사람으로 뽑힘.
1519~1581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능성ㅣ전라도>나주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공성(公城) - 공주(公州)
충청남도 중동부에 있는 고을 이름. 백제(百濟)의 도읍 중 하나.
충청도>공주 , 지명>행정지명
-
공성(功成) - 연천(漣川)
경기도 북부에 있는 고을 이름. 구석기ㆍ신석기 시대의 유물ㆍ유적이 대량 발굴됨.
경기도>연천 , 지명>행정지명
-
공성(孔城) - 경흥(慶興)
함경도 북동부에 있는 고을 이름. 고구려ㆍ발해의 땅이었으나, 북방민족이 거주하다 고려 말기에 복속시켜 공주(孔州)가 됨. 목조(穆祖)가 처음으로 터전을 마련한 곳이며, 두만강에 인접한 국경 도시로서 예로부터 국방의 요충지임.
함경도>경흥 , 지명>행정지명
-
공성(孔聖) - 공자(孔子)
중국 춘추전국시대 노(魯) 나라의 대부ㆍ학자. 유학(儒學)의 개조(開祖). 노 나라에서 대사구(大司寇)를 지내고, 자신의 정치 이상을 실현하기 위해 열국(列國)을 주유했지만 끝내 채용되지 못하자 후진교육과 저술활동에 전념함.
B.C.552~B.C.479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기타인명>성현
-
공성묘(孔聖廟) - 문묘(文廟)
공자(孔子)를 비롯하여 사성(四聖) 이하 중국 역대의 대유(大儒)와, 신라 이후 조선의 명현을 모시는 사당. 통일신라 714년(성덕왕 13)에 공자 및 그 제자의 화상(畵像)을 국학(國學)에 모신 것에서 비롯되었으며, 고려ㆍ조선에 들어서 그 제도와 운영이 더욱 정비됨.
714 한국>통일신라 , 유적>건물>사당
-
공성부정(功城副正) - 이연수(李延壽)
조선 전기의 종친. 세종(世宗)의 다섯째 아들인 광평대군(廣平大君) 이여(李璵)의 증손이자, 청안군(淸安君) 이영(李嶸)의 맏아들이며, 노공필(盧公弼)의 외손.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공소(公紹) - 황공소(黃公紹)
송(宋) 말~원(元) 초의 학자. 송 나라 말기에 진사가 되었으나 원 나라가 들어서자 벼슬길에 나아가지 않음. 저서에 《고금운회(古今韻會)》가 있음.
중국>원ㅣ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공소(孔紹) - 정공소(程孔紹)
고려 후기의 문신. 본관은 하남(河南). 고려 말~조선 초의 문신ㆍ학자인 정광(程廣)의 아버지. 중국 사람 정이(程頤)의 후손으로 고려에 귀화하여 전중시어사(殿中侍御史)를 지냄.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개성 , 인명>기타인명>귀화인ㅣ인명>관인>문신
-
공소(恭昭)@임백령 - 임백령(林百齡)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박상(朴祥)의 문인이며, 임억령(林億齡)의 동생. 을사사화(乙巳士禍)를 주도한 공으로 정난위사공신(定難衛社功臣)에 책록되고 숭선군(崇善君)에 봉해짐.
?~1546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해남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공소(恭昭)@이부 - 이부(李溥)
조선 세조(世祖)~예종(睿宗) 때의 종친ㆍ문신. 세종(世宗)의 다섯째 아들인 광평대군(廣平大君) 이여(李璵)의 아들로, 이시애(李施愛)의 난 때 적개공신(敵愾功臣)에 책록되고, 남이(南怡)의 옥사 때 익대공신(翊戴功臣)에 책록되었으나, 젊은 나이에 요절함.
1444~1470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ㅣ인명>왕실>종친
-
공소(恭昭)@도평군 - 도평군(桃平君)
조선 제2대 정종(定宗)의 열두 번째 서자. 일두(一蠹) 정여창(鄭汝昌)의 장인.
1402~1439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왕자
-
공소(恭昭) - 이계(李誡)
조선 전기의 종친. 세종(世宗)의 다섯 번째 서자인 밀성군(密城君) 이침(李琛)의 둘째 아들로, 중종반정(中宗反正)에 참가하여 정국공신(靖國功臣)에 책록됨.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왕실>종친
-
공손수(公孫樹) - 은행(銀杏)
한국ㆍ중국ㆍ일본에만 분포하는 나무로, 씨가 살구처럼 생기고 은빛이 난다 하여 붙여진 이름. 유학(儒學)의 전래와 관계가 깊으며 유학을 상징함.
자연물>식물
-
공손자(公孫子) - 공손홍(公孫弘)
중국 전한(前漢) 무제(武帝) 때의 승상(丞相). 집이 가난하여 해변에서 돼지를 먹이다가 나이 40이 넘은 뒤에 벼슬에 올라 재상이 되어 평진후(平津侯)에 봉해짐. 최초의 승상봉후(丞相封侯).
B.C.200~B.C.121 중국>전한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공수(公遂) - 이공수(李公遂)
고려 충혜왕(忠惠王)~공민왕(恭愍王) 때의 문신. 본관은 익산(益山). 홍건적(紅巾賊)의 침입 때 공민왕을 호종하고, 공민왕 복위에 공을 세워 공신(功臣)에 책록되었으나, 신돈(辛旽)의 시기를 받아 덕수현(德水縣)으로 낙향하여 여생을 보냄.
1308~1366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풍덕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공수(孔守) - 공융(孔融)
중국 후한(後漢)의 문신ㆍ학자. 건안칠자(建安七子)의 한 사람으로, 헌제(獻帝) 때 북해(北海)의 재상(宰相)이 되어 학교를 세우고 유학(儒學)을 가르침. 한조(漢朝)의 세력 회복에 힘썼으나 조조(曹操) 등의 미움을 받아 일족과 함께 피살됨.
153~208 중국>후한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공수(贛叟) - 한기(韓琦)
중국 송(宋) 나라 인종(仁宗)~신종(神宗) 때의 재상. 인종 때 재상에 올라 십여 년간 국정에 참여하여 치적을 쌓았으나, 신종 때 왕안석(王安石)의 청묘법(靑苗法) 실시와 거란(契丹)에 대한 영토할양에 적극 반대하며 관직에서 물러남.
1008~1075 중국>송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공수반(公輸盤) - 공수반(公輸班)
중국 춘추전국시대 노(魯) 나라의 명장(名匠). 고전(古典)과 고사성어(故事成語)에도 인용될 만큼 솜씨가 매우 뛰어났다고 함.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기술인>장인
-
공수반(公輸般) - 공수반(公輸班)
중국 춘추전국시대 노(魯) 나라의 명장(名匠). 고전(古典)과 고사성어(故事成語)에도 인용될 만큼 솜씨가 매우 뛰어났다고 함.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기술인>장인
-
공수자(公輸子) - 공수반(公輸班)
중국 춘추전국시대 노(魯) 나라의 명장(名匠). 고전(古典)과 고사성어(故事成語)에도 인용될 만큼 솜씨가 매우 뛰어났다고 함.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기술인>장인
-
공숙(公叔)@유인선 - 유인선(柳仁善)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ㆍ효자. 본관은 문화(文化). 유자미(柳自湄)의 재종손(再從孫)으로, 사산 감역(四山監役)을 역임함. 효성과 우애가 지극하여 조정에서 ‘효우문(孝友門)’을 정려(旌閭)하였으며, 양사언(楊士彦)이 〈효우문전(孝友門傳)〉을 지음.
1492~?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포천 , 인명>기타인명>효자ㅣ인명>관인>문신
-
공숙(公叔)@주목 - 주목(朱穆)
중국 후한(後漢) 때의 문신. 효렴과(孝廉科)에 천거되었으며, 기주 자사(冀州刺史)가 되자 탐관오리들이 두려워하여 인끈을 풀고 떠났으며 그가 경내에 도착하자 자살하는 자까지도 있었다고 함. 《후한서(後漢書)》에 〈주목열전(朱穆列傳)〉이 있음.
중국>후한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공숙(公叔) - 권처중(權處中)
조선 중종(中宗) 때의 유학. 본관은 풍산(豐山). 면앙정(俛仰亭) 송순(宋純)이 진사시(進士試)에 입격한 1513년(중종 8) 생원시(生員試)에 입격함.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황주 , 인명>문사>유학
-
공숙(公叔)@김헌윤 - 김헌윤(金憲胤)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광천위(光川尉) 김인경(金仁慶)의 아버지.
1497~?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광산 , 인명>관인>문신
-
공숙(公肅) - 이성군(利城君)
조선 제9대 성종(成宗)의 여덟 번째 서자. 숙용심씨(淑容沈氏)의 소생으로, 중종(中宗)과 우애가 돈독하였으며, 명종(明宗)의 즉위에 공을 세워 위사공신(衛社功臣)에 책록됨.
1489~1552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왕실>왕자
-
공숙(共叔) - 난성(欒成)
중국 춘추전국시대(春秋戰國時代) 진(晉) 나라 대부. 예에 밝은 사람, 충신으로 시문(詩文)에 많이 인용됨.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관인>경대부
-
공숙(恭叔)@금제순 - 금제순(琴悌筍)
조선 전기의 문신. 이황(李滉)의 문인(門人). 금의순(琴義筍)의 동생으로, 관직은 참봉(參奉)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봉화 , 인명>관인>문신
-
공숙(恭叔) - 반우공(潘友恭)
중국 송(宋) 나라의 문신ㆍ학자. 반우단(潘友端)의 아우이며, 주희(朱熹)의 문인으로, 강회선무사사간관(江淮宣撫使司干官)을 지냄.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공숙(恭叔)@이인제 - 이인제(李仁悌)
조선 전기의 유학. 덕계(德溪) 오건(吳健)과 교유했으며, 오건이 그를 위해 쓴 제문(祭文)이 《덕계집(德溪集)》에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성주 , 인명>문사>유학
-
공숙(恭叔)@심제겸 - 심제겸(沈悌謙)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청송(靑松). 청릉부원군(靑陵府院君) 심강(沈鋼)의 아들로, 판관(判官)을 지냄.
1550~?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공숙(恭肅)@김양경 - 김양경(金良璥)
조선 세종(世宗)~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광산(光山). 김효민(金孝敏)의 아들로, 대사헌(大司憲)ㆍ공조 판서(工曹判書) 등을 지냄.
?~1484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광산 , 인명>관인>문신
-
공숙(恭肅)@신인손 - 신인손(辛引孫)
조선 태종(太宗)~세종(世宗) 때의 문신. 본관은 영산(靈山). 평안도 도안무사(平安道都按撫使)를 지낸 신유정(辛有定)의 아들. 1408년(태종 8) 식년(式年)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벼슬이 병조 판서(兵曹判書)에 이름.
1384~1445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영산 , 인명>관인>문신
-
공숙(恭肅) - 노한(盧閈)
조선 태조(太祖)~세종(世宗) 때의 문신. 본관은 교하(交河). 좌의정을 지낸 민제(閔霽)의 사위로, 태종(太宗)과 동서간. 처남 민무구(閔無咎) 형제의 사건에 연루되어 파직되었으나, 세종(世宗) 때 무죄가 밝혀져 복직됨.
1376~1443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양주 , 인명>관인>문신
-
공숙(恭肅)@심회 - 심회(沈澮)
조선 문종(文宗)~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청송(靑松). 남이(南怡)의 옥사 때 공을 세워 익대공신(翊戴功臣)에 책록되었으나, 폐비윤씨(廢妃尹氏)의 폐출 사건에 연루되어 부관참시(剖棺斬屍)당함.
1418~1493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청송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공숙(恭肅)@유필 - 유필(庾弼)
고려 인종(仁宗)~의종(毅宗) 때의 문신. 본관은 무송(茂松). 태자 태사(太子太師)ㆍ문하시랑 평장사(門下侍郞平章事) 등을 역임하며 학문과 강직한 성품으로 칭송을 받음.
?~1155 한국>고려전기 , 전라도>무장 , 인명>관인>문신
-
공숙(恭肅)@이집 - 이집(李諿)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성주(星州). 갑자사화(甲子士禍) 때 파직되었다가 중종반정(中宗反正) 때 풀려났으며, 우찬성(右贊成) 등을 역임함.
1438~1509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성주 , 인명>관인>문신
-
공숙문자(公叔文子) - 공숙발(公叔拔)
중국 춘추전국시대 위(衛) 나라 영공(靈公) 때의 대부. 가신(家臣)으로 있던 선(僎)을 대부로 추천하여 함께 조반(朝班)에 올랐음.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관인>경대부
-
공순(恭順)@문종 - 문종(文宗)@조선
조선 제5대 왕. 재위 1450~1452. 20년 간 세자로 있으면서 세종(世宗)을 보필한 공이 컸으나, 몸이 약하여 재위 2년 4개월 만에 병사함.
1414~1452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국왕
-
공순(恭順) - 무안대군(撫安大君)
조선 제1대 태조(太祖)의 일곱째 아들. 신덕왕후(神德王后) 강씨(康氏)의 소생으로, 제1차 왕자(王子)의 난(亂) 때 세자 이방석(李芳碩)과 함께 피살당함.
1381~1398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서울 , 인명>왕실>왕자
-
공순(恭順)@박숭질 - 박숭질(朴崇質)
조선 세조(世祖)~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반남(潘南). 부윤(府尹) 박훤(朴萱)의 아들로, 1502년(연산군 8) 좌의정에 이르렀으나 일부러 낙마하여 등청하지 않다가 면직되었으며 중종반정(中宗反正) 이후 재등용됨.
?~1507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나주 , 인명>관인>문신
-
공순군(恭順君) - 무안대군(撫安大君)
조선 제1대 태조(太祖)의 일곱째 아들. 신덕왕후(神德王后) 강씨(康氏)의 소생으로, 제1차 왕자(王子)의 난(亂) 때 세자 이방석(李芳碩)과 함께 피살당함.
1381~1398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서울 , 인명>왕실>왕자
-
공술(公述) - 심효겸(沈孝謙)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청송(靑松). 청릉부원군(靑陵府院君) 심강(沈鋼)의 아들로, 군수(郡守)를 지냄.
1547~?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공승(公升) - 이공승(李公升)
고려 인종(仁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청주(淸州). 형부 상서(刑部尙書) 등을 역임하였으며, 김보당(金甫當)의 난(亂) 때 이의방(李義方)의 무리에게 붙잡혀 죽을 뻔하였으나 제자인 문극겸(文克謙)의 도움으로 화를 면함.
1099~1183 한국>고려후기 , 충청도>청주 , 인명>관인>문신
-
공신(公信)@박신 - 박신(朴伸)
조선 전기의 유학. 오건(吳健)의 《덕계집(德溪集)》에 증시(贈詩)가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유학
-
공신(公信)@안공신 - 안공신(安公信)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순흥(順興). 안영(安瑛)의 아들로 부정(副正)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영천(榮川) , 인명>관인>문신
-
공신(公信) - 백이(伯夷)
중국 은(殷) 나라의 충신ㆍ은자. 고죽군(孤竹君)의 아들로, 주(周) 나라 무왕(武王)이 은 나라의 주왕(紂王)을 토벌하자 이를 반대하고 동생인 숙제(叔齊)와 더불어 수양산(首陽山)에 들어가 고사리를 캐 먹다가 죽음.
중국>주ㅣ중국>은 , 중국 , 인명>기타인명>은자ㅣ인명>왕실>종친
-
공신(公信)@강첨 - 강첨(姜籤)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선조 때 사간(司諫)으로 있으면서 최영경(崔永慶)ㆍ정철(鄭澈) 등을 탄핵함. 경상도 관찰사(慶尙道觀察使)ㆍ대사헌(大司憲)을 지냄.
1559~1611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진주 , 인명>관인>문신
-
공신(公信)@김공신 - 김공신(金公信)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광주(光州). 훈도(訓導)를 지냈고, 고경명(高敬命)이 지은 만사(挽辭)가 《제봉집(霽峯集)》에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광산 , 인명>관인>문신
-
공신(公愼)@탁욱 - 탁욱(卓頊)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광산(光山). 직장(直長)을 지낸 탁본(卓本)의 아들로, 부정(副正) 등을 역임함.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광산 , 인명>관인>문신
-
공신(公愼) - 노흠(盧欽)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광주(光州)로, 조식(曺植)의 문인. 임진왜란 때 의병을 일으켜 왜적과 싸운 공로로 별제(別提)ㆍ찰방(察訪) 등에 임명되었으나 나가지 않음.
1527~1601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삼가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공신(拱辰) - 왕공신(王拱辰)
중국 송(宋) 인종(仁宗)~신종(神宗) 때의 문신. 낙양 유수(洛陽留守)ㆍ어사중승(御史中丞)을 지냄.
중국>송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공신(拱辰) - 석성(石星)
중국 명(明) 나라 신종(神宗) 때의 문신. 병부 상서(兵部尙書)로서 임진왜란 때 신점(申點)의 간청으로 원군을 조선에 파병하였고, 심유경(沈惟敬)과 화의를 적극 지지했다가 화의의 실패로 체포되어 옥사함.
?~1597 중국>명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공실(公實)@양유예 - 양유예(梁有譽)
중국 명(明) 나라 세종(世宗) 때의 문신ㆍ문인. 형부 주사(刑部主事) 등을 지냈으며, 전칠자(前七子)의 복고설(復古說)을 계승하여 왕세정(王世貞)ㆍ이반룡(李攀龍) 등과 시사(詩社)를 결성하고 고문사설(古文辭說)을 제창하여 후칠자로 불림.
1520~1555 중국>명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공실(公實)@성여신 - 성여신(成汝信)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학자. 본관은 창녕(昌寧). 조식(曺植)의 문인(門人)으로, 일찍부터 문명(文名)을 떨쳤으며, 저서에 《부사집(浮査集)》이 있음.
1546~1632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진주 , 인명>문사>학자
-
공실(公實) - 권육(權稑)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 송암(松巖) 권호문(權好文)의 부친이며, 퇴계(退溪) 이황(李滉)의 질서(姪壻).
1493~1549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공실(拱宸) - 석성(石星)
중국 명(明) 나라 신종(神宗) 때의 문신. 병부 상서(兵部尙書)로서 임진왜란 때 신점(申點)의 간청으로 원군을 조선에 파병하였고, 심유경(沈惟敬)과 화의를 적극 지지했다가 화의의 실패로 체포되어 옥사함.
?~1597 중국>명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공실(空實) - 사공실(司空實)
고려 후기의 유학. 목은(牧隱) 이색(李穡)과 동년지기로 교유함.
한국>고려후기 , 인명>문사>유학
-
공씨유서(孔氏遺書) - 대학(大學)
유교 경전인 사서(四書)의 하나. 《예기(禮記)》의 제42편이었던 것을 중국 송(宋) 나라의 사마광(司馬光)이 처음으로 따로 떼어서 《대학광의(大學廣義)》를 만들었고, 송 나라의 주희(朱熹)가 《대학장구(大學章句)》를 지음.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문헌>서명
-
공안(恭安)@민경생 - 민경생(閔慶生)
고려 말기~조선 초의 문신. 우상시(右常侍)를 지낸 이정(李挺)의 사위이며, 직예문관(直藝文館)을 지낸 민설(閔渫)의 아버지로, 공안부 윤(恭安府尹)ㆍ예조 전서(禮曹典書)를 지냄.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기도>여주 , 인명>관인>문신
-
공안(恭安)@정옥형 - 정옥형(丁玉亨)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병조 판서 등을 지내고, 전장(典章)에 밝아 《대전후속록(大典後續錄)》편찬에 참여함. 을사사화(乙巳士禍)에 참여하여 금천군(錦川君)에 봉해짐.
1486~1549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나주 , 인명>관인>문신
-
공안(恭安) - 이교연(李皎然)
조선 세종(世宗)~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고성(固城). 이선(李旋)의 아들로, 세조(世祖) 때 원종공신(原從功臣)에 책록되었으며, 형조 참판(刑曹參判) 등의 주요 관직을 지냄.
1413~1475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고성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공안(恭安)@조혜 - 조혜(趙惠)
조선 세종(世宗)~세조(世祖) 때의 문신. 본관은 한양(漢陽). 한평부원군(漢平府院君) 조연(趙涓)의 아들이며 성종(成宗) 때의 문신 조지주(趙之周)의 아버지로, 판중추원사(判中樞院事)를 지냄.
?~1464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공안(恭安)@김겸광 - 김겸광(金謙光)
조선 단종(端宗)~성종(成宗) 때의 문신. 김철산(金鐵山)의 아들. 예조 판서와 좌참찬(左參贊)을 지냄. 평안도 관찰사(觀察使)와 절도사(節度使)를 지내면서 세조(世祖)의 국방정책에 기여한 바가 컸음.
1419~1490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광산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공안(恭安)@한치인 - 한치인(韓致仁)
조선 세종(世宗)~성종(成宗) 때의 문신ㆍ외척. 본관은 청주(淸州). 좌의정(左議政) 한확(韓確)의 아들이며 성종의 생모인 소혜왕후(昭惠王后)의 오빠. 1471년(성종 2) 좌리공신(佐理功臣)에 책록되었으며, 판돈녕부사(判敦寧府事) 등을 지냄.
1421~1477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청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ㅣ인명>왕실>인척
-
공암(孔巖) - 양천(陽川)
경기 서남부에 위치한 고을 이름. 현재의 서울시 양천구(陽川區) 가양동(加陽洞) 일대를 말하며, 개화산(開花山)에는 봉수(烽燧)가 있었음.
경기도>양천 , 지명>행정지명
-
공암서원(孔巖書院) - 충현서원(忠賢書院)
조선 선조(宣祖) 때 충청도 공주(公州)에 건립한 서원(書院). 주자(朱子)ㆍ이존오(李存吾)ㆍ성제원(成悌元)ㆍ이목(李穆) 등을 배향함.
1581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공주 , 유적>건물>서원,향교
-
공암촌주(孔巖村主) - 허선문(許宣文)
통일신라~고려 초의 호족(豪族). 본관은 양천(陽川). 고려 태조(太祖)가 견훤(甄萱)을 토벌할 때 재물을 바쳐 군비(軍費)를 지원한 공으로 공암촌주(孔巖村主)에 봉해짐.
한국>고려전기ㅣ한국>통일신라 , 경기도>양천 , 인명>기타인명>양인
-
공암허씨(孔巖許氏) - 양천허씨(陽川許氏)
고려 태조(太祖) 때 공암촌주(孔巖村主)를 받은 허선문(許宣文)을 시조로 하는 성씨. 원래 수로왕(首露王)의 후예이나, 이때 이르러 양천을 관향(貫鄕)으로 삼음.
한국>고려전기 , 경기도>양천 , 인명>집단>성씨
-
공야자(公冶子) - 공야장(公冶長)
중국 춘추전국시대 제(齊) 나라 학자. 공자(孔子)의 제자이며 사위. 그에 대한 일화가 《논어(論語)》 〈공야장(公冶長)〉 편에 실려 있음.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공양(公羊) - 춘추공양전(春秋公羊傳)
공자(孔子)의 《춘추(春秋)》를 해석한 주석서(註釋書)의 하나. 중국 춘추전국시대 제(齊) 나라의 공양고(公羊高) 이래 공양가(公羊家)에서 가학으로 전승하여 완성함.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문헌>서명
-
공양(恭襄)@김순명 - 김순명(金順命)
조선 단종(端宗)~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청풍(淸風)으로, 김길통(金吉通)의 아들. 1467년(세조 13) 이시애(李施愛)의 난에 공을 세워 적개공신(敵愾功臣)에 책훈되었고, 예조 참판(禮曹參判)을 지냈으며, 청릉군(淸陵君)에 봉해짐.
1435~1487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청풍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공양(恭襄)@윤계겸 - 윤계겸(尹繼謙)
조선 세조(世祖)~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파평(坡平). 남이(南怡)의 옥사 때 공을 세워 익대공신(翊戴功臣)에 책록되고, 성종의 즉위를 도와 좌리공신(佐理功臣)에도 책록됨. 형조 판서(刑曹判書) 등을 지냄.
1442~1483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파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공양(恭襄) - 강곤(康袞)
조선 세조(世祖)~성종(成宗) 때의 무신. 본관은 신천(信川). 계유정난(癸酉靖難)에 가담하고, 남이(南怡)의 옥사(獄事)에 공을 세워 익대공신(翊戴功臣) 등에 책록됨.
1411~1484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신천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무신
-
공양군(恭讓君) - 공양왕(恭讓王)
고려 제34대 왕. 재위 1389~1392. 고려의 마지막 왕으로, 이성계(李成桂) 등에 의해 왕으로 옹립되었으나 폐위된 후 삼척부(三陟府)에서 사사됨.
1345~1394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개성 , 인명>왕실>국왕
-
공양씨(公羊氏) - 춘추공양전(春秋公羊傳)
공자(孔子)의 《춘추(春秋)》를 해석한 주석서(註釋書)의 하나. 중국 춘추전국시대 제(齊) 나라의 공양고(公羊高) 이래 공양가(公羊家)에서 가학으로 전승하여 완성함.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문헌>서명
-
공양자(公羊子) - 공양고(公羊高)
중국 춘추전국시대(春秋戰國時代) 제(齊) 나라의 학자. 자하(子夏)의 제자로 춘추삼전(春秋三傳) 중의 하나인 《춘추공양전(春秋公羊傳)》을 저술하였고 《외전(外傳)》 50편을 저술함.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공양전(公羊傳) - 춘추공양전(春秋公羊傳)
공자(孔子)의 《춘추(春秋)》를 해석한 주석서(註釋書)의 하나. 중국 춘추전국시대 제(齊) 나라의 공양고(公羊高) 이래 공양가(公羊家)에서 가학으로 전승하여 완성함.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문헌>서명
-
공양춘추(公羊春秋) - 춘추공양전(春秋公羊傳)
공자(孔子)의 《춘추(春秋)》를 해석한 주석서(註釋書)의 하나. 중국 춘추전국시대 제(齊) 나라의 공양고(公羊高) 이래 공양가(公羊家)에서 가학으로 전승하여 완성함.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문헌>서명
-
공언(公彦) - 김사수(金師秀)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 김귀년(金龜年)의 아들로, 음관(蔭官)으로 출사하여 회덕 현감(懷德縣監) 등을 역임함.
1490~1541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공언(公言) - 정위(丁謂)
중국 송(宋) 나라 진종(眞宗)~인종(仁宗) 때의 문신. 진종 때 총애를 받아 승상(丞相) 구준(寇準)을 배척하였으나, 인종 때 애주(崖州)로 쫓겨나 죽음. 노다손(盧多遜)과 함께 송 나라의 간신(奸臣)으로 꼽힘.
966~1037 중국>송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공언(功彦) - 허성(許筬)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본관은 양천(陽川). 유희춘(柳希春)의 문인으로, 일본에 통신사로 다녀온 후 일본의 침략 가능성을 직고하고, 임진왜란 때는 군병모집에 진력함. 성리학에 조예가 깊고, 문장과 글씨에 뛰어남.
1548~1612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양천 , 인명>관인>문신
-
공언(恭彦) - 김제남(金悌男)
조선 제14대 선조(宣祖)의 장인. 둘째 딸이 선조의 계비인 인목왕후(仁穆王后)가 됨. 광해군(光海君) 때 이이첨(李爾瞻) 등에 의해 영창대군(永昌大君)을 추대하려 했다는 공격을 받아 사사되어 부관참시(剖棺斬屍)를 당함.
1562~1613 한국>조선후기 , 황해도>연안 , 인명>관인>문신ㅣ인명>왕실>인척
-
공연로(孔延鲁) - 공도보(孔道輔)
중국 송(宋) 나라 진종(眞宗)~인종(仁宗) 때의 문신. 공자의 45대손. 좌정언(左正言)ㆍ권어사중승(權御史中丞) 등을 지냈으며, 맹자의 무덤을 방문하고 그 서남쪽에 맹자묘(孟子廟)를 세움.
985~1039 중국>송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공염(公琰) - 노후(盧珝)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광주(光州). 참봉(參奉) 노경장(盧敬長)의 아들로, 풍저창 수(豐儲倉守)ㆍ간성 군수(杆城郡守)를 지냄.
1475~1546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광산 , 인명>관인>문신
-
공예(公藝) - 김공예(金公藝)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 문의 현령(文義縣令)을 지낸 차헌(次軒) 김지(金墀)의 아들로, 승정원 동부승지(承政院同副承旨)를 역임함.
1485~?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공왕(恭王) - 광종(光宗)@송
중국 송(宋) 나라의 제12대 황제. 재위 1189~1194. 효종(孝宗)의 셋째 아들. 효종의 선위(禪位)로 왕위에 올랐으나 유약한 성품으로 정치를 독단하지 못하고 비(妃) 이봉랑(李鳳娘)의 의견을 따름.
1147~1200 중국>송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공원(公元) - 문공원(文公元)
고려 예종(睿宗)~의종(毅宗) 때의 문신. 본관은 남평(南平). 우산기상시(右散騎常侍) 문익(文翼)의 둘째 아들로, 문하시랑동평장사(門下侍郞同平章事) 등을 지냈으며, 의종 묘정(廟庭)에 배향됨.
1084~1156 한국>고려전기 , 전라도>남평 , 인명>관인>문신
-
공원(公遠) - 설손(偰孫)
고려 공민왕(恭愍王) 때의 문신ㆍ시인ㆍ귀화인. 원래 회골(回鶻)사람으로 원(元) 나라에서 벼슬하다가 고려에 귀화하여 경주설씨(慶州偰氏)의 시조가 됨. 고려 대표시인의 한 사람.
?~1360 한국>고려후기 , 중국ㅣ경상도>경주 , 인명>기타인명>귀화인ㅣ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공원(恭元) - 명덕태후(明德太后)
고려 제27대 충숙왕(忠肅王)의 비. 본관은 남양(南陽). 남양부원군(南陽府院君) 홍규(洪奎)의 딸로, 충혜왕(忠惠王)과 공민왕(恭愍王)을 낳았으며, 공민왕이 즉위하여 대비(大妃)에 오름.
1298~1380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남양ㅣ경기도>개성 , 인명>왕실>왕비
-
공유(公裕) - 문공유(文公裕)
고려 숙종(肅宗)~의종(毅宗) 때의 문신. 본관은 남평(南平)으로, 우산기상시(右散騎常侍) 문익(文翼)의 아들. 합문지후(閤門祗侯)ㆍ집현전 태학사(集賢殿太學士) 등을 지내고, 인종(仁宗)의 묘정(廟庭)에 배향됨.
1088~1159 한국>고려전기 , 전라도>남평 , 인명>관인>문신
-
공윤(公允) - 정공윤(鄭公允)
고려 후기의 유학. 본관은 하동(河東). 증손자인 정독만달(鄭禿滿達)이 원(元) 나라 인종(仁宗) 때 환관으로 공을 세워 영양군공(榮陽郡公)에 봉작됨.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하동 , 인명>문사>유학
-
공윤(功允) - 박응훈(朴應勳)
조선 선조(宣祖) 때의 효자. 효성이 지극하여 1601년(선조 34) 정려(旌閭)를 받았으며, 황간(黃澗)의 송계서원(松溪書院)에 배향됨.
1539~1590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충주 , 인명>기타인명>효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