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공의(公毅) - 이공의(李公毅)
조선 중종(中宗) 때의 생원. 본관은 전의(全義). 1522년(중종 17) 생원시(生員試)에 입격하였으며, 주세붕(周世鵬)과 교유함.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문사>유학
-
공의(公義)@한공의 - 한공의(韓公義)
고려 충혜왕(忠惠王)~공민왕(恭愍王) 때의 무신. 본관은 청주(淸州)로, 상당부원군(上黨府院君) 한악(韓渥)의 아들. 충혜왕의 신임을 받았으며, 공민왕 때 밀직부사(密直副使)로 정조사(正朝使)가 되어 원(元) 나라에 다녀옴.
한국>고려후기 , 충청도>청주 , 인명>관인>무신
-
공의(公義) - 이급(李及)
고려 후기의 문신. 경학(經學)에 밝고 행정(行政)에 능하였으며 충원판관(忠原判官)을 역임함. 이숭인(李崇仁)의 《도은집(陶隱集)》에 그에 대한 자설(字說)이 실려 있음.
한국>고려후기 , 충청도>충주 , 인명>관인>문신
-
공의(恭懿) - 단종(端宗)
조선 제6대 왕. 재위 1452~1455. 문종(文宗)의 아들. 계유정난(癸酉靖難)으로 폐위되어 상왕(上王)ㆍ노산군(魯山君)ㆍ서인(庶人)으로까지 강등되었다가, 1457년(세조 3) 영월(寧越)에서 죽음을 당함. 1698년(숙종 24) 복위됨.
1441~1457 한국>조선전기 , 강원도>영월ㅣ서울 , 인명>왕실>국왕
-
공의(恭懿)@인성왕후 - 인성왕후(仁聖王后)
조선 제12대 인종(仁宗)의 정비(正妃). 1524년(중종 19)에 세자빈(世子嬪)에 책봉되고, 인종(仁宗)이 즉위하자 왕비가 됨.
1514~1577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왕비
-
공의(恭懿)@이승상 - 이승상(李升商)
고려 우왕(禑王)~조선 태종(太宗) 때의 문신. 본관은 경주(慶州). 이달충(李達衷)의 손자로, 제2차 왕자(王子)의 난(亂)을 평정하는 데 협력한 공으로 좌명공신(佐命功臣)에 책록되었으며, 형조 판서(刑曹判書) 등을 역임함.
?~1413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상도>경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공의대비(恭懿大妃) - 인성왕후(仁聖王后)
조선 제12대 인종(仁宗)의 정비(正妃). 1524년(중종 19)에 세자빈(世子嬪)에 책봉되고, 인종(仁宗)이 즉위하자 왕비가 됨.
1514~1577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왕비
-
공의대전(恭懿大殿) - 인성왕후(仁聖王后)
조선 제12대 인종(仁宗)의 정비(正妃). 1524년(중종 19)에 세자빈(世子嬪)에 책봉되고, 인종(仁宗)이 즉위하자 왕비가 됨.
1514~1577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왕비
-
공의돈효(恭懿敦孝) - 단종(端宗)
조선 제6대 왕. 재위 1452~1455. 문종(文宗)의 아들. 계유정난(癸酉靖難)으로 폐위되어 상왕(上王)ㆍ노산군(魯山君)ㆍ서인(庶人)으로까지 강등되었다가, 1457년(세조 3) 영월(寧越)에서 죽음을 당함. 1698년(숙종 24) 복위됨.
1441~1457 한국>조선전기 , 강원도>영월ㅣ서울 , 인명>왕실>국왕
-
공의온문순정안장경순돈효(恭懿溫文純定安莊景順敦孝) - 단종(端宗)
조선 제6대 왕. 재위 1452~1455. 문종(文宗)의 아들. 계유정난(癸酉靖難)으로 폐위되어 상왕(上王)ㆍ노산군(魯山君)ㆍ서인(庶人)으로까지 강등되었다가, 1457년(세조 3) 영월(寧越)에서 죽음을 당함. 1698년(숙종 24) 복위됨.
1441~1457 한국>조선전기 , 강원도>영월ㅣ서울 , 인명>왕실>국왕
-
공의왕대비(恭懿王大妃) - 인성왕후(仁聖王后)
조선 제12대 인종(仁宗)의 정비(正妃). 1524년(중종 19)에 세자빈(世子嬪)에 책봉되고, 인종(仁宗)이 즉위하자 왕비가 됨.
1514~1577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왕비
-
공의자(公儀子) - 공의휴(公儀休)
중국 춘추전국시대(春秋戰國時代) 노(魯) 나라의 재상. 관직에 있으면서 백성들과 이익을 다투지 않았으며 백성들의 생업을 침범하지 않았음.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공의자전(恭懿慈殿) - 인성왕후(仁聖王后)
조선 제12대 인종(仁宗)의 정비(正妃). 1524년(중종 19)에 세자빈(世子嬪)에 책봉되고, 인종(仁宗)이 즉위하자 왕비가 됨.
1514~1577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왕비
-
공의전(恭懿殿) - 인성왕후(仁聖王后)
조선 제12대 인종(仁宗)의 정비(正妃). 1524년(중종 19)에 세자빈(世子嬪)에 책봉되고, 인종(仁宗)이 즉위하자 왕비가 됨.
1514~1577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왕비
-
공이(公耳) - 김시보(金時輔)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1507년(중종 2) 식년시(式年試)에 급제하여 현감을 지냄. 수원김씨(水原金氏) 시조 김품언(金稟言)의 22세손으로, 용성김씨(龍城金氏)의 시조.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밀양ㅣ경기도>수원 , 인명>관인>문신
-
공이(公耳)@이가신 - 이가신(李可臣)
조선 연산군(燕山君)~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전의(全義). 이량(李亮)의 아들로, 1504년(연산군 10) 식년시(式年試)에 급제하였으며, 이조 참의(吏曹參議) 등을 역임함.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전의 , 인명>관인>문신
-
공인(公仁) - 문공인(文公仁)
고려 예종(睿宗)~인종(仁宗) 때의 문신. 본관은 남평(南平)으로, 우산기상시(右散騎常侍) 문익(文翼)의 아들. 정지상(鄭知常)과 함께 묘청(妙淸)을 성인이라 추앙하고 서경(西京) 천도 주장에 동조하여 탄핵을 받고 좌천됨.
1065~1137 한국>고려전기 , 전라도>남평 , 인명>관인>문신
-
공인(公仁)@이공인 - 이공인(李公仁)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광주(光州). 이달선(李達善)의 아들로, 홍문관 박사(弘文館博士) 등을 지냄.
?~1522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남평 , 인명>관인>문신
-
공자(共子) - 난성(欒成)
중국 춘추전국시대(春秋戰國時代) 진(晉) 나라 대부. 예에 밝은 사람, 충신으로 시문(詩文)에 많이 인용됨.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관인>경대부
-
공자(貢子) - 공우(貢禹)
중국 전한(前漢) 원제(元帝) 때의 문신. 현량(賢良)으로 천거되어 간의대부(諫議大夫)를 지냄. 왕길(王吉)과 절친한 친구 사이로, 세간에 “왕길이 먼저 벼슬길에 오르니 공우가 갓의 먼지를 털고 임금의 소명(召命)을 기다린다”라는 말이 전함.
중국>전한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공자계(公子季) - 계찰(季札)
중국 춘추전국시대(春秋戰國時代) 오(吳) 나라의 공자(公子). 각 제후국을 사신으로 순방하면서 예학을 논하는 등 박학하고 통명한 식견을 선보이며 현인으로 명성을 떨침.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왕실>왕자
-
공자기질(公子棄疾) - 평왕(平王)@춘추전국(초)
중국 춘추전국시대 초(楚) 나라의 제후. 재위 B.C.528~B.C.516. 형인 영왕(靈王)을 죽이고 왕위에 오름.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왕실>제후
-
공자묘(孔子廟)@문묘 - 문묘(文廟)
공자(孔子)를 비롯하여 사성(四聖) 이하 중국 역대의 대유(大儒)와, 신라 이후 조선의 명현을 모시는 사당. 통일신라 714년(성덕왕 13)에 공자 및 그 제자의 화상(畵像)을 국학(國學)에 모신 것에서 비롯되었으며, 고려ㆍ조선에 들어서 그 제도와 운영이 더욱 정비됨.
714 한국>통일신라 , 유적>건물>사당
-
공자송(公子宋) - 정공(定公)@춘추전국(노)
중국 춘추전국시대 노(魯) 나라의 25대 제후. 재위 B.C.510~B.C.495. 애공(哀公)의 아버지. 공자(孔子)를 중용하여 제(齊) 나라 경공(景公)으로부터 빼앗겼던 땅을 반환받음.
?~B.C.495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왕실>제후
-
공자아(公子牙) - 숙아(叔牙)
중국 춘추전국시대 노(魯) 나라 환공(桓公)의 아들. 장공(莊公)의 이복동생. 장공이 아들인 반(般)을 태자로 삼으려 할 때 형 경보(慶父)를 지지하였으므로 아우인 계우(季友)에게 독살당함.
?~B.C.662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왕실>왕자
-
공자알(公子遏) - 제번(諸樊)
중국 춘추전국시대(春秋戰國時代) 오(吳) 나라의 제후. 오왕(吳王) 수몽(壽夢)이 아우 계찰(季札)이 현명하므로 임금으로 세우려 하였는데 적자(適子)가 왕위를 이어야 한다고 사양하여 즉위하였음. 합려(闔閭)의 아버지.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왕실>제후
-
공자완(公子完) - 전완(田完)
중국 춘추전국시대 제(齊) 나라 환공(桓公) 때의 경대부. 진(陳)의 공자(公子)로서 제 나라에 망명하여 환공을 섬겨 경(卿)이 되고, 뒤에 전(田)으로 성을 바꿈.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관인>경대부
-
공자풍(公子馮) - 장공(莊公)@춘추전국(송)
중국 춘추전국시대 송(宋) 나라의 제후. 제위 B.C.710~B.C.692. 목공(穆公)의 아들로, 상공(殤公)에 의해 정(鄭) 나라로 쫒겨갔다가 화독(華督)이 상공을 시해하고 즉위시킴.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왕실>제후
-
공작(公綽)@당 - 유공작(柳公綽)@당
중국 당(唐) 나라 덕종(德宗)~문종(文宗) 때의 문신. 헌종(憲宗)이 무예를 좋아하여 자주 사냥을 나가자 〈태의잠(太醫箴)〉을 지어 풍간(諷諫)함. 오원제(吳元濟)를 토벌할 때 공을 세우고, 병부 상서(兵部尙書) 등을 지냄.
765~832 중국>당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공작(公綽)@정유 - 정유(鄭裕)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춘추관 기사관(春秋館記事官)으로서 《중종실록(中宗實錄)》ㆍ《인종실록(仁宗實錄)》편찬에 참여하고, 삼사(三司)를 두루 거쳐 오랫동안 경연(經筵)에서 강론함.
1503~1566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온양 , 인명>관인>문신
-
공작(公綽) - 윤탕(尹宕)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파평(坡平)으로, 윤사하(尹師夏)의 아들. 1507년(중종 2) 증광시(增廣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상주 목사(尙州牧使)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파주 , 인명>관인>문신
-
공작(公綽)@조선 - 유공작(柳公綽)@조선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풍산(豐山)으로, 서애(西厓) 유성룡(柳成龍)의 조부. 간성 군수(杆城郡守)와 통례원 인의(通禮院引儀)를 역임함.
1481~1559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공장(公檣) - 이공장(李公檣)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성산(星山). 금산 군수(金山郡守)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성주 , 인명>관인>문신
-
공장(孔璋) - 진림(陳琳)
중국 후한(後漢)의 문인. 원소(袁紹)의 막하에 들어가 그를 위해 조조(曹操)의 죄상을 문책하는 격문을 지었는데, 원소가 패하여 조조에게 사로잡혔으나 조조는 그 재주가 아까워 죄를 주지 않고 기실(記室)을 삼았다 함.
?~217 중국>후한 , 중국 , 인명>문사>문인
-
공장(恭長) - 이극증(李克增)
조선 문종(文宗)~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광주(廣州). 이인손(李仁孫)의 아들로, 익대공신(翊戴功臣)과 좌리공신(佐理功臣)에 책록되었으며, 한성부 판윤(漢城府判尹) 등을 역임함.
1431~1494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광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공저(公著) - 이성중(李誠中)@1539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전주(全州). 계양군(桂陽君) 이증(李璔)의 현손이며 금천군(錦川君) 이감(李瑊)의 아들. 이중호(李仲虎)ㆍ이황(李滉)의 문인. 임진왜란 때 선조를 호종하여 호성공신(扈聖功臣)에 녹훈되고 완창부원군(完昌府院君)에 봉해짐.
1539~1593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전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공저(公著)@여공저 - 여공저(呂公著)
중국 송(宋) 나라 인종(仁宗)~철종(哲宗) 때의 문신. 문식과 덕행으로 직언을 마다하지 않았으며, 재상으로서 왕을 보필하여 어진 정사를 펼침.
1018~1089 중국>송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공적(孔籍) - 논어(論語)
중국 춘추전국시대의 사상가인 공자(孔子)의 언행과 제자들과의 문답 내용을 기록한 유교 경전(儒敎經典). 사서(四書)의 하나로, 중국 최초의 어록(語錄).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문헌>서명
-
공절(恭節) - 김당(金璫)
조선 연산군(燕山君)~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경주(慶州). 기묘사화(己卯士禍) 때 조광조(趙光祖) 일파를 변호하는 태도를 취하였으며, 좌찬성(左贊成)으로 재임 중 죽음.
1465~1532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경주 , 인명>관인>문신
-
공절(恭節)@이거인 - 이거인(李居仁)
고려 우왕(禑王)~조선 태종(太宗) 때의 문신. 본관은 청주(淸州). 고려 공양왕(恭讓王) 때 김저(金佇)의 옥사에 연루되어 유배되었다가 다시 등용되었으며, 조선 태조(太祖) 때 밀무역을 한 일과 타인의 가기(家基)를 탈취한 일로 파직됨.
?~1402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충청도>청주 , 인명>관인>문신
-
공정(孔庭) - 공자묘(孔子廟)
공자(孔子)와 그의 제자(弟子) 및 여러 성현(聖賢)들의 신위를 모시고 제향을 올리는 사당 이름. 원래는 중국 산동성(山東省) 곡부(曲阜)에 있는 사당을 지칭하였으나, 당(唐) 나라 태종(太宗) 이후로 각 주현(州縣)에 설치됨.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유적>건물>사당
-
공정(恭定) - 태종(太宗)@조선
조선 제3대 왕. 재위 1400~1418. 신의왕후(神懿王后)의 소생으로, 태조의 즉위에 크게 기여함. 두 차례의 왕자(王子)의 난(亂)을 평정하고 정종(定宗)의 양위를 받아 즉위한 후 관제개혁을 통하여 왕권의 강화를 도모함.
1367~1422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국왕
-
공정(恭定)@연부 - 연부(年富)
중국 명(明) 나라 영종(英宗) 때의 문신. 호부 상서(戶部尙書) 등을 지냄.
중국>명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공정(恭靖)@김유 - 김유(金庾)
고려 공민왕(恭愍王)~우왕(禑王) 때의 무신. 본관은 김해(金海). 홍건적(紅巾賊)과 왜구(倭寇)의 침략을 격퇴하고 흥왕사(興王寺)의 난을 평정하였으며, 제주(濟州) 목호(牧胡)의 난을 진압함.
?~1386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김해 , 인명>관인>무신
-
공정(恭靖)@이승상 - 이승상(李升商)
고려 우왕(禑王)~조선 태종(太宗) 때의 문신. 본관은 경주(慶州). 이달충(李達衷)의 손자로, 제2차 왕자(王子)의 난(亂)을 평정하는 데 협력한 공으로 좌명공신(佐命功臣)에 책록되었으며, 형조 판서(刑曹判書) 등을 역임함.
?~1413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상도>경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공정(恭靖)@정종 - 정종(定宗)@조선
조선 제2대 왕. 재위 1398~1400. 태조(太祖)와 정안왕후(定安王后)의 소생. 고려 후기에 아버지를 따라 왜구를 토벌하는 데 많은 전공을 세우고 왕자의 난을 계기로 왕위에 올랐지만, 골육상쟁의 재현을 우려하여 정안군(靖安君)을 세자로 삼고 양위함.
1357~1419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국왕
-
공정(恭靖)@황상 - 황상(黃裳)@고려
고려 충혜왕(忠惠王)~우왕(禑王) 때의 무신. 본관은 의창(義昌)으로, 회산군(檜山君) 황석기(黃石奇)의 아들. 장사성(張士誠) 토벌과 기철(奇轍) 일파 숙청에 참여했으며, 개경 등지에 침입한 홍건적과 왜구의 침입을 격파하는 데 수훈을 세움.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창원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무신
-
공정(恭靖) - 심덕부(沈德符)
고려 충숙왕(忠肅王)~조선 태종(太宗) 때의 문신. 고려 말의 정치제도 개혁과 왜구의 토벌에 공을 세우고, 조선 건국 후에는 신왕조 건설의 일익을 담당함.
1328~1401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청송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공정대왕(恭定大王) - 태종(太宗)@조선
조선 제3대 왕. 재위 1400~1418. 신의왕후(神懿王后)의 소생으로, 태조의 즉위에 크게 기여함. 두 차례의 왕자(王子)의 난(亂)을 평정하고 정종(定宗)의 양위를 받아 즉위한 후 관제개혁을 통하여 왕권의 강화를 도모함.
1367~1422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국왕
-
공정대왕(恭靖大王) - 정종(定宗)@조선
조선 제2대 왕. 재위 1398~1400. 태조(太祖)와 정안왕후(定安王后)의 소생. 고려 후기에 아버지를 따라 왜구를 토벌하는 데 많은 전공을 세우고 왕자의 난을 계기로 왕위에 올랐지만, 골육상쟁의 재현을 우려하여 정안군(靖安君)을 세자로 삼고 양위함.
1357~1419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국왕
-
공제(公濟)@신공제 - 신공제(申公濟)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고령(高靈). 이조 판서(吏曹判書)ㆍ좌참찬(左參贊)ㆍ동지중추부사(同知中樞府事) 등을 지내고, 초서(草書)와 예서(隸書)를 잘 씀.
1469~1536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순창 , 인명>관인>문신
-
공제(公濟) - 김개국(金蓋國)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연안(延安). 효성이 지극하고 절개가 곧아 칭송을 받음.
1548~1603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영천(榮川) , 인명>관인>문신
-
공제(恭帝) - 공종(恭宗)
중국 송(宋) 나라 제16대 황제. 재위 1274~1276. 몽고(蒙古)의 침략 때 항복하고 잡혀감.
중국>송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공조(恭祖) - 장공조(張恭祖)
중국 후한(後漢) 때의 학자. 정현(鄭玄)에게 《고문상서(古文尙書)》ㆍ《주례(周禮)》ㆍ《좌씨춘추(左氏春秋)》등을 가르침.
중국>후한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공종(恭宗)@대종 - 대종(代宗)@명
중국 명(明) 나라의 제7대 황제. 재위 1449~1457. 북방민족에게 포로가 된 영종(英宗)을 대신해 황제에 올랐다가, 석방되어 돌아온 영종에 의해 쫓겨남.
1428~1457 중국>명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공좌(公佐) - 홍언국(洪彦國)
조선 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 본관은 부계(缶溪). 허백정(虛白亭) 홍귀달(洪貴達)의 넷째 아들로, 참봉(參奉)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의흥 , 인명>문사>유학
-
공좌(公佐)@유공좌 - 유공좌(柳公佐)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문신ㆍ무신. 본관은 문화(文化). 조지서 사지(造紙署司紙)ㆍ사산감역관(四山監役官)ㆍ용양위 사과(龍驤衛司果)를 지냄 .
1458~1514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문화 , 인명>관인>무신ㅣ인명>관인>문신
-
공주(孔州) - 경원(慶源)
함경도 북쪽에 있는 고을 이름. 발해가 멸망한 뒤 여진(女眞)이 거주하였는데 고려 예종(睿宗) 때 윤관(尹瓘)이 이들을 몰아내고 성을 쌓아 공험진내 방어소(公險鎭內防禦所)를 만듦.
함경도>경원 , 지명>행정지명
-
공주(孔州)@경흥 - 경흥(慶興)
함경도 북동부에 있는 고을 이름. 고구려ㆍ발해의 땅이었으나, 북방민족이 거주하다 고려 말기에 복속시켜 공주(孔州)가 됨. 목조(穆祖)가 처음으로 터전을 마련한 곳이며, 두만강에 인접한 국경 도시로서 예로부터 국방의 요충지임.
함경도>경흥 , 지명>행정지명
-
공주한(孔周翰) - 공종한(孔宗翰)
중국 송(宋) 나라 철종(哲宗) 때의 문신. 어사중승(御史中丞)을 지낸 공도보(孔道輔)의 아들. 형부 시랑(刑部侍郎)을 지냈으며, 공자의 46대손으로 《공씨종보(孔氏宗譜)》를 편찬하였음.
중국>송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공준(公俊) - 임공준(林公俊)
조선 전기의 아전. 하서(河西) 김인후(金麟厚)가 그를 위해 지은 만시(挽詩)가 《하서전집(河西全集)》에 보임. 좌수(座首)를 지냄.
한국>조선전기 , 인명>관인>아전
-
공준(公濬) - 유공준(柳公濬)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선산(善山). 미암(眉巖) 유희춘(柳希春)의 조부(祖父)이고, 유계린(柳桂隣)의 아버지.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선산 , 인명>문사>유학
-
공중(公仲) - 왕가(王嘉)
중국 한(漢) 나라 때의 문신. 전한(前漢) 칠상(七相) 중의 한 명이며, 애제(哀帝) 때 변사(辯士)인 식부궁(息夫躬)의 계략을 저지함.
중국>전한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공중(共仲) - 경보(慶父)
중국 춘추전국시대 노(魯) 나라 환공(桓公)의 아들. 이복형인 장공(莊公)이 죽자 제후의 자리를 노리고 장공의 아들인 민공(閔公)을 시해하였으나, 민공의 외삼촌인 제(齊) 환공(桓公)에 의해 궁지에 몰리다가 자살함.
?~B.C.660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왕실>왕자
-
공중니(孔仲尼) - 공자(孔子)
중국 춘추전국시대 노(魯) 나라의 대부ㆍ학자. 유학(儒學)의 개조(開祖). 노 나라에서 대사구(大司寇)를 지내고, 자신의 정치 이상을 실현하기 위해 열국(列國)을 주유했지만 끝내 채용되지 못하자 후진교육과 저술활동에 전념함.
B.C.552~B.C.479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기타인명>성현
-
공중달(孔仲達) - 공영달(孔穎達)
중국 당(唐) 나라 태종(太宗) 때의 문신ㆍ학자. 문장ㆍ천문ㆍ수학에 능통하였으며, 태종의 명에 따라 《수서(隋書)》ㆍ《오경정의(五經正義)》 등을 편찬함.
574~648 중국>당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공중지(鞏仲至) - 공풍(鞏豊)
중국 송(宋) 나라 때의 문신ㆍ문인. 여조겸(呂祖謙)의 문인. 효종(孝宗) 때 진사(進士)가 되었고, 할좌장고(轄左藏庫) 등을 지냈으며 시(詩)ㆍ문(文)에 능했음.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공증(公增) - 김공증(金公增)
조선 중종(中宗) 때의 유학. 1510년(중종 5) 사마시(司馬試)에 입격하여 조광조(趙光祖)와 함께 종유(從遊)하였으나, 기묘사화(己卯士禍)로 유배되었다가 1538년(중종 33)에 풀려남.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장흥 , 인명>문사>유학
-
공직(公直)@진극충 - 진극충(陳克忠)
조선 중종(中宗) 때의 유학. 본관은 삼척(三陟)으로, 내자 판관(內資判官)을 지낸 진암수(陳巖壽)의 아들. 1519년(중종 14) 진사시(進士試)에 입격함.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여산 , 인명>문사>유학
-
공직(公直)@김사렴 - 김사렴(金士廉)
고려 공민왕(恭愍王)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으로, 김천(金蕆)의 아들. 정몽주(鄭夢周)ㆍ이색(李穡)과 교유하고, 신돈(辛旽)이 권력을 갖자 왕에게 직간(直諫)함. 조선이 건국되자 관직에 나가지 않고, 청주의 도산(陶山)에 은거함.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충청도>청주 , 인명>관인>문신
-
공직(公直)@신경립 - 신경립(辛敬立)
조선 선조(宣祖) 때의 유학. 본관은 영월(寧越). 진사(進士) 신내옥(辛乃沃)의 아들로, 유운룡(柳雲龍)의 문인. 임진왜란(壬辰倭亂)이 일어나자 안동(安東)에서 의병을 일으킴.
1558~?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문사>유학
-
공직(公直)@신상절 - 신상절(辛尙節)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무신. 본관은 영산(靈山)으로, 학봉(鶴峯) 김성일(金誠一)의 문인. 훈융 첨사(訓戎僉使)ㆍ갑산 부사(甲山府使)ㆍ군기시 부정(軍器寺副正) 등을 지냄.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영산 , 인명>관인>무신
-
공직(公直)@강응정 - 강응정(姜應貞)
조선 성종(成宗) 때의 유학. 본관은 진주(晉州). 첨지중추부사 강의(姜毅)의 아들로, 효성이 지극하였음. 성균관 유생 시절 박연(朴演)ㆍ손효조(孫孝祖) 등과 함께 주자(朱子)의 고사에 따라 향약(鄕約)을 만들고, 《소학(小學)》을 강론함.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은진 , 인명>기타인명>효자ㅣ인명>문사>유학
-
공직(公直) - 김의정(金義貞)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풍산(豊山). 중종의 총애를 받자 김안로(金安老)에게 미움을 받아 파직되었다가, 김안로가 처형된 후에 다시 등용됨.
1495~1547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공직(公直)@임회 - 임회(林檜)
조선 광해군(光海君)~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평택(平澤). 정철(鄭澈)의 문인이자 사위이며 임길수(林吉秀)의 아들. 광주 목사(廣州牧使) 등을 지냈으나 이괄(李适)의 난 때 경안역(慶安驛) 전투에서 전사함.
1562~1624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평택 , 인명>관인>문신
-
공직(公直)@이경중 - 이경중(李敬中)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전주(全州). 금천군(錦川君) 이감(李瑊)의 아들이며 이황(李滉)의 문인. 1581년(선조 14) 이조 좌랑(吏曹佐郞)으로 있을 때 정여립(鄭汝立)이 높이 등용되는 것을 배척하다가 논핵당하여 파직됨.
1542~1584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공직(公直)@심충겸 - 심충겸(沈忠謙)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청송(靑松). 심의겸(沈義謙)의 아우이며, 인순왕후(仁順王后)의 동생.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선조를 호종하고 군량미 조달에 공헌하여 병조 판서(兵曹判書)에 올랐으며, 호성공신(扈聖功臣)에 책록됨.
1545~1594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청송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ㅣ인명>왕실>인척
-
공진(公眞) - 탁은수(卓殷秀)
조선 후기의 유학. 본관은 광산(光山). 탁홍례(卓弘禮)의 맏아들.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광산 , 인명>문사>유학
-
공진(公進) - 구만(具𡩄)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능성(綾城)이며, 구사중(具思仲)의 아들. 1583년(선조 16) 별시(別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예조 좌랑(禮曹佐郞) 등을 지냄.
1558~1592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공진(拱辰) - 하공진(河拱辰)
고려 성종(成宗)~현종(顯宗) 때의 문신. 본관은 진주(晉州). 거란군이 침입하자 거란의 성종(聖宗)을 만나 군대를 철수시키는 데 공을 세웠으나, 고영기(高英起)와 함께 거란의 볼모로 잡혀가 거란의 신하가 될 것을 강요받다가 거절하여 살해됨.
?~1011 한국>고려전기 , 경상도>진주 , 인명>관인>문신
-
공징(公澄) - 김개국(金蓋國)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연안(延安). 효성이 지극하고 절개가 곧아 칭송을 받음.
1548~1603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영천(榮川) , 인명>관인>문신
-
공천(公遷) - 주공천(朱公遷)
중국 원(元) 나라의 학자ㆍ문신. 경전백가(經傳百家)와 예악율력(禮樂律曆) 등 다방면에 정통하였고, 건주 학정(虔州學正)을 지냄. 저서에 《사서통지(四書通旨)》와 《사서약설(四書約說)》이 있음.
중국>원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공천군(公川君) - 이자송(李子松)
고려 공민왕(恭愍王)~우왕(禑王) 때의 문신. 수원이씨(水原李氏)의 시조. 덕흥군(德興君)의 변란 때 공민왕에 대한 절의를 지켜 단성보조공신(端誠輔祚功臣)의 호를 받았으나, 우왕의 방탕함을 간하다 파직되고, 요동정벌에 반대하다 죽임을 당함.
?~1388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수원ㅣ충청도>청양 , 인명>관인>문신
-
공천사(龔天使) - 공용경(龔用卿)
중국 명(明) 나라 세종(世宗) 때의 문신. 한림원 수찬(翰林院修撰) 등을 지내고, 1537년(중종 32) 조선에 사신으로 와서 황태자가 탄생하였다는 조서(詔書)를 반포함.
1500~1563 중국>명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공철(公轍) - 남공철(南公轍)
조선 정조(正祖)~헌종(憲宗) 때의 문신ㆍ문인. 본관은 의령(宜寧). 정조의 문체반정(文體反正)에 동참하여 순정한 육경고문(六經古文)을 깊이 연찬하고, 영의정(領議政) 등을 지냄. 많은 금석문(金石文)ㆍ비갈(碑碣)을 남긴 당대 제일의 문장가로 알려짐.
1760~1840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공청도(公淸道) - 충청도(忠淸道)
충청북도와 충청남도를 합하여 부르는 도(道) 이름. 충주(忠州)와 청주(淸州)의 머리글자를 합하여 만든 합성 지명. 삼한시대에는 마한(馬韓)에 속하였고, 삼국시대에는 백제의 중심 지역이었으며, 백제가 망한 뒤에는 당(唐) 나라의 관할 하에 있다가 신라에 귀속됨.
충청도 , 지명>행정지명
-
공충도(公忠道) - 충청도(忠淸道)
충청북도와 충청남도를 합하여 부르는 도(道) 이름. 충주(忠州)와 청주(淸州)의 머리글자를 합하여 만든 합성 지명. 삼한시대에는 마한(馬韓)에 속하였고, 삼국시대에는 백제의 중심 지역이었으며, 백제가 망한 뒤에는 당(唐) 나라의 관할 하에 있다가 신라에 귀속됨.
충청도 , 지명>행정지명
-
공칙(公則) - 한준(韓準)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돈녕부 도정(敦寧府都正)을 지낸 한수경(韓守慶)의 아들로, 정여립(鄭汝立)의 모역사건을 알리는 비밀장계를 올린 공으로 평난공신(平難功臣)에 책록됨. 글씨를 잘 써서 사자관(寫字官)을 지냄.
1542~1601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청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공탁(公卓) - 조공탁(趙公卓)
고려 충렬왕(忠烈王)~충숙왕(忠肅王) 때의 문신. 본관은 순창(淳昌). 낭중(郞中)을 지냈으며, 차남인 순창부원군 백안불화(伯顔不花)가 원(元) 나라에서 영록대부(榮祿大夫)에 올라 요양현군(遼陽縣君)으로 봉해짐.
1256~1319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수원 , 인명>관인>문신
-
공태사(龔太師) - 공용경(龔用卿)
중국 명(明) 나라 세종(世宗) 때의 문신. 한림원 수찬(翰林院修撰) 등을 지내고, 1537년(중종 32) 조선에 사신으로 와서 황태자가 탄생하였다는 조서(詔書)를 반포함.
1500~1563 중국>명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공택(公宅) - 이인행(李仁行)
조선 정조(正祖)~순조(純祖)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진보(眞寶). 이관섭(李觀燮)의 아들로, 세자익위사 익위(世子翊衛司翊衛) 등을 지냄. 경사(經史)에 두루 능통하여 서연(書筵)에 입시하여 진강하기도 함.
1758~1833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영천(榮川)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공택(公擇)@권용 - 권용(權容)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 동지중추부사를 지낸 권응정(權應挺)의 아들. 홍문관 직제학(弘文館直提學)을 지냈으며, 《중종실록(中宗實錄)》 편찬에 참여했고, 적서(嫡庶)의 구별을 엄히 할 것과 언로(言路)의 개방을 주장함.
1509~1558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공택(公擇) - 이상(李常)@송
중국 송(宋) 나라의 문신. 젊었을 때 여산(廬山)의 백석승사(白石僧舍)에서 공부하였으며, 과거에 급제한 뒤 장서(藏書) 9천여 권을 공부하던 집에 기증하고 ‘이씨산방(李氏山房)’이라 명명했는데, 이에 대해 소식(蘇軾)이 〈이군산방기(李君山房記)〉를 지음.
1027~1090 중국>송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공편(恭編) - 이유청(李惟淸)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한산(韓山). 중종반정(中宗反正) 때 정난공신(定難功臣)에 책록되고, 기묘사화(己卯士禍) 때 조광조(趙光祖) 등을 몰아내는 데 가담하였으며, 좌의정 등을 지냄.
1459~1531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공평(恭平)@한위 - 한위(韓偉)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청주(淸州). 영의정 한확(韓確)의 손자이며 덕종비(德宗妃) 소혜왕후(昭惠王后)의 조카로, 동지중추부사(同知中樞府事) 등을 역임함.
1465~1511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청주 , 인명>관인>문신
-
공평(恭平) - 김영유(金永濡)
조선 세종(世宗)~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경주(慶州). 십청헌(十淸軒) 김세필(金世弼)의 조부로, 대사헌(大司憲)ㆍ형조 참판(刑曹參判) 등을 역임함.
1418~1494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경주 , 인명>관인>문신
-
공평(恭平)@안침 - 안침(安琛)
조선 세조(世祖)~중종(中宗) 때의 문신ㆍ서예가. 본관은 순흥(順興). 동지춘추관사(同知春秋館事)로 《성종실록(成宗實錄)》편찬에 참여하고, 문장과 송설체(松雪體)에 능함.
1445~1515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광주 , 인명>예술인>서화가ㅣ인명>관인>문신
-
공필(公弼) - 노공필(盧公弼)
조선 세조(世祖)~중종(中宗) 때의 문신. 영의정(領議政)을 지낸 노사신(盧思愼)의 장남. 명(明) 나라에서 중종의 승습(承襲)을 승인 받아 귀국함.
1445~1516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교하 , 인명>관인>문신
-
공하(公嘏)@김석 - 김석(金錫)@조선
조선 중종(中宗) 때의 유학. 본관은 안동(安東). 조광조(趙光祖)의 문인으로, 1519년(중종 14) 진사시(進士試)에 입격하였으나 벼슬하지 않음.
1495~1534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양산ㅣ서울 , 인명>문사>유학
-
공하(公嘏)@통일신라 - 김석(金錫)@통일신라
신라 제56대 경순왕(敬順王)의 다섯째 아들. 의성군(義城君)에 봉해져 의성김씨(義城金氏)의 시조가 됨.
한국>통일신라 , 경상도>의성 , 인명>왕실>왕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