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공학사(龔學士) - 공용경(龔用卿)
중국 명(明) 나라 세종(世宗) 때의 문신. 한림원 수찬(翰林院修撰) 등을 지내고, 1537년(중종 32) 조선에 사신으로 와서 황태자가 탄생하였다는 조서(詔書)를 반포함.
1500~1563 중국>명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공헌(公獻) - 신완(申琓)
조선 현종(顯宗)~숙종(肅宗) 때의 문신. 본관은 평산(平山). 박세채(朴世采)의 문인으로 영의정(領議政) 등을 지냄. 세자였던 경종(景宗)을 시해하려 했다는 혐의로 탄핵을 받음.
1646~1707 한국>조선후기 , 황해도>평산 , 인명>관인>문신
-
공헌(恭憲) - 명종(明宗)@조선
조선 제13대 국왕. 재위 1545~1567. 재위기간 중 을사사화(乙巳士禍)와 을묘왜변(乙卯倭變)을 겪음.
1534~1567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국왕
-
공헌대왕(恭憲大王) - 명종(明宗)@조선
조선 제13대 국왕. 재위 1545~1567. 재위기간 중 을사사화(乙巳士禍)와 을묘왜변(乙卯倭變)을 겪음.
1534~1567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국왕
-
공헌왕(恭憲王) - 명종(明宗)@조선
조선 제13대 국왕. 재위 1545~1567. 재위기간 중 을사사화(乙巳士禍)와 을묘왜변(乙卯倭變)을 겪음.
1534~1567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국왕
-
공혜(恭惠)@공혜왕후 - 공혜왕후(恭惠王后)
조선 제9대 성종(成宗)의 비(妃). 본관은 청주(淸州)로, 영의정 한명회(韓明澮)의 딸.
1456~1474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왕비
-
공혜(恭惠) - 성염조(成念祖)
조선 세종(世宗) 때의 문신. 성엄(成揜)의 아들로, 개성부 유수(開城府留守)ㆍ지중추원사(知中樞院事) 등을 역임함.
1398~1450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창녕 , 인명>관인>문신
-
공혜(恭惠)@원성왕후 - 원성왕후(元成王后)
고려 제8대 현종(顯宗)의 제3비. 본관은 안산(安山). 김은부(金殷傅)의 딸로, 두 동생과 함께 모두 현종의 비가 됨. 덕종(德宗)ㆍ정종(靖宗) 두 아들과 인평왕후(仁平王后)ㆍ경숙공주(景肅公主) 등을 낳음.
?~1028 한국>고려전기 , 경기도>개성 , 인명>왕실>왕비
-
공혜(恭惠)@동진 - 동진(董晉)
중국 당(唐) 나라의 문신. 상서좌승(尙書左丞)ㆍ태상경(太常卿) 등을 역임하였고, 태부(太傅)에 추증됨. 한유(韓愈)가 시호(諡號)를 청하기 위해 행장(行狀)을 지음.
724~799 중국>당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공호(公浩) - 이양중(李養中)@조선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금천부수(錦泉副守) 이감(李瑊)의 아들이며 이황(李滉)의 문인(門人)으로, 동부승지(同副承旨)ㆍ의주 목사(義州牧使) 등을 지냄.
1549~1591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관인>문신
-
공호(恭胡)@김종순 - 김종순(金從舜)
조선 세종(世宗)~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경주(慶州). 김계성(金季誠)의 아들로, 세조(世祖) 때 좌익원종공신(佐翼原從功臣)에 책록되고 청백리(淸白吏)에 녹선되었으며, 지중추부사(知中樞府事) 등을 지냄.
1405~1483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경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공호(恭胡) - 윤사익(尹思翼)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무송(茂松). 윤징(尹澂)의 아들로, 판중추부사(判中樞府事) 등을 지냄.
1478~?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무장 , 인명>관인>문신
-
공화(恭化) - 울산(蔚山)
경상남도 북동부 해안에 있는 고을 이름. 신라시대부터 교통과 국방의 요충지로 발달하였으며, 조선시대에는 경상좌도병마도절제사영(慶尙左道兵馬都節制使營)이 설치되어 경상좌도 육군의 중심지 역할을 함.
경상도>울산 , 지명>행정지명
-
공회(公回) - 양방(楊方)
중국 송(宋) 나라의 문신. 주자(朱子)의 문인. 회계(會稽) 사람으로, 고량 태수(高凉太守)를 지냄.
중국>송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공회(公晦) - 이방자(李方子)
중국 송(宋) 나라의 문신ㆍ학자. 주희(朱熹)의 문인(門人)으로, 통판진주(通判辰州) 등을 역임하였으며, 탄핵을 당하자 낙향하여 학문을 강론함.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공회(恭懷) - 안양군(安陽君)
조선 제9대 성종(成宗)의 셋째 아들. 갑자사화(甲子士禍) 때 연산군(燕山君)의 생모를 폐출(廢黜)시켰다는 이유로 어머니 귀인정씨(貴人鄭氏)와 동생 봉안군(鳳安君)과 함께 사사(死賜) 되었으나 1506년(중종 1)에 복직(復職)됨.
1480~1505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왕자
-
공효(恭孝)@문장창 - 문장창(文章昶)
고려 덕종(德宗) 때의 무신. 본관은 남평(南平). 경간공(敬簡公) 문효제(文孝悌)의 아들로, 태위(太尉)ㆍ판리병부사(判吏兵部事)ㆍ평장사(平章事) 등을 지냄.
한국>고려전기 , 전라도>남평 , 인명>관인>무신
-
공효(恭孝) - 박중손(朴仲孫)
조선 세종(世宗)~세조(世祖) 때의 문신. 본관은 밀양(密陽). 계유정난(癸酉靖難) 때 수양대군(首陽大君)을 도와 김종서(金宗瑞) 등을 제거한 공으로 정난공신(靖難功臣)에 책록되고, 좌참찬(左參贊)을 역임함.
1412~1466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밀양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공후(共侯) - 위현성(韋玄成)
중국 한(漢) 나라 선제(宣帝)~원제(元帝) 때의 문신. 위현(韋賢)의 아들로, 부자(父子)가 모두 승상(丞相)을 지냈으며, 경학(經學)에 밝아 명성이 높았음.
?~B.C.36 중국>전한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공후(恭厚) - 설미수(偰眉壽)
고려 우왕(禑王)~조선 태종(太宗) 때의 문신ㆍ귀화인. 원래 회골(回鶻) 사람으로, 고려 때 귀화하여 검교우참찬(檢校右參贊) 등을 지냄. 중국어에 능통하여 명(明) 나라에 여러 번 사신 가서 외교적 성과를 거둠.
1359~1415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상도>경주 , 인명>기타인명>귀화인ㅣ인명>관인>문신
-
공휘(公輝) - 김공휘(金公輝)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본관은 광산(光山). 김호(金鎬)의 아들이며, 김장생(金長生)의 숙부. 성혼(成渾)과 이이(李珥)에게 수학하였고, 정여립(鄭汝立)의 난을 토평하여 원종공신(原從功臣)에 책록되었으며, 파주 목사(坡州牧使) 등을 지냄.
1550~1615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광산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공희(恭僖) - 중종(中宗)@조선
조선 제11대 국왕. 재위 1506~1544. 중종반정(中宗反正)으로 즉위하여 연산군의 폐정(弊政)을 개혁하고, 조광조(趙光祖) 등을 중용하여 왕도정치를 실시하였으나, 기묘사화(己卯士禍) 이후 정국이 혼미를 거듭하면서 별다른 치적을 남기지 못함.
1488~1544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국왕
-
공희(恭僖)@김로 - 김로(金輅)@조선
고려 공민왕(恭愍王)~조선 태종(太宗) 때의 문신. 본관은 연안(延安). 조선 개국공신(開國功臣) 중의 한 사람으로, 판중추원사(判中樞院事)ㆍ지의정부사(知議政府事)를 지냄.
1355~1416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황해도>연안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공희(恭喜) - 황석기(黃石奇)
고려 충혜왕(忠惠王)~공민왕(恭愍王) 때의 문신. 본관은 의창(義昌). 조적(曺頔)과 기철(奇轍)의 무리를 제거할 때 공을 세웠으며, 문하시랑 동중서문하평장사(門下侍郞同中書門下平章事) 등을 역임함.
?~1364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창원 , 인명>관인>문신
-
공희왕(恭僖王) - 중종(中宗)@조선
조선 제11대 국왕. 재위 1506~1544. 중종반정(中宗反正)으로 즉위하여 연산군의 폐정(弊政)을 개혁하고, 조광조(趙光祖) 등을 중용하여 왕도정치를 실시하였으나, 기묘사화(己卯士禍) 이후 정국이 혼미를 거듭하면서 별다른 치적을 남기지 못함.
1488~1544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국왕
-
공희왕비윤씨(恭僖王妃尹氏) - 장경왕후(章敬王后)
조선 제11대 중종(中宗)의 계비(繼妃). 윤여필(尹汝弼)의 딸로, 인종(仁宗)의 생모이며 대윤(大尹)의 거두인 윤임(尹任)의 여동생. 1506년(중종 1)에 숙의(淑儀)로 뽑히고 다음해 왕비로 책봉되었는데, 원자(元子)인 인종을 낳고 산후병으로 죽음.
1491~1515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왕비
-
과(顆) - 이과(李顆)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전의(全義). 연산군(燕山君) 때 반정(反正)을 모의하다가 중종반정(中宗反正)의 성공으로 중단하였으며, 정국원종공신(靖國原從功臣)에 책록됨. 후에 박원종(朴元宗) 등을 제거하려다 발각되어 처형됨.
1475~1507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전의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과거제(科擧制) - 과거(科擧)
일정한 시험을 거쳐 관리를 등용하는 제도. 중국에서는 587년 수(隋) 문제(文帝)가 처음 실시했고, 우리나라에서는 958년(광종 9)에 중국 후주(後周)에서 귀화한 쌍기(雙冀)의 건의에 의해 시행됨. 고려시대의 과거는 크게 제술과(製述科)ㆍ명경과(明經科)ㆍ잡과(雜科)ㆍ승과(僧科)로, 조선시대는 소과(小科)ㆍ문과(文科)ㆍ무과(武科)ㆍ잡과로 구분됨.
958 한국>조선시대ㅣ한국>고려시대 , 법제>제도
-
과당(瓜堂) - 김종유(金宗裕)
조선 단종(端宗)~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선산(善山). 김종직(金宗直)의 형으로 청송 교수(靑松敎授)를 지냄.
1429~?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밀양 , 인명>관인>문신
-
과만수(瓜蔓水) - 황하(黃河)
중국 청해성(青海省) 파안(巴顏) 객라산(喀喇山)에서 발원하여 감숙성(甘肅省)ㆍ섬서성(陝西省)ㆍ하남성(河南省)ㆍ산동성(山東省) 등을 거쳐 발해만(渤海灣)으로 흘러 들어가는 강. 중국에서 두 번째로 긴 강으로, 고대 문명의 발상지로 유명함.
중국 , 지명>자연지명
-
기린대(麒麟臺) - 기린각(麒麟閣)
중국 한(漢) 나라 무제(武帝) 때 장안(長安)의 미앙궁(未央宮) 안에 세웠던 전각(殿閣)의 이름. 선제(宣帝) 때 곽광(霍光)ㆍ소무(蘇武) 등 11인의 공신(功臣) 초상을 이곳에 걸었던 데서, 공신각(功臣閣)을 대표하는 말로 쓰임.
중국>전한 , 중국 , 유적>건물>궁궐
-
기명언(奇明彦) - 기대승(奇大升)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 이황(李滉)의 문인으로, 이황과 8년 동안 사단칠정(四端七情) 논쟁을 벌임으로써 조선 유학사상에 큰 영향을 끼침.
1527~1572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나주ㅣ전라도>광산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기목(基木) - 풍기(豊基)
경상도 북단에 위치한 고을 이름. 1451년(문종 1) 기천(基川)과 은풍(殷豊)을 합하여 신설함.
경상도>풍기 , 지명>행정지명
-
기묘명신(己卯名臣) - 기묘명현(己卯名賢)
1519년(중종 14)에 일어난 기묘사화(己卯士禍) 때 화를 입은 사림(士林)들을 일컫는 말. 대부분 김굉필(金宏弼)의 문인(門人)들로, 중종 때 개혁정치를 주도한 젊은 소장파 인물들이 주축을 이룸.
한국>조선전기 , 인명>집단>기타집단
-
기묘명인(己卯名人) - 기묘명현(己卯名賢)
1519년(중종 14)에 일어난 기묘사화(己卯士禍) 때 화를 입은 사림(士林)들을 일컫는 말. 대부분 김굉필(金宏弼)의 문인(門人)들로, 중종 때 개혁정치를 주도한 젊은 소장파 인물들이 주축을 이룸.
한국>조선전기 , 인명>집단>기타집단
-
기묘옥(己卯獄) - 기묘사화(己卯士禍)
조선 중종(中宗) 14년에 반정공신(反正功臣)의 위훈삭제(僞勳削除) 문제가 계기가 되어 신진사류(新進士類)가 훈구파(勳舊派)에게 화를 당한 사건.
1519 한국>조선전기 , 사건>사화
-
기묘옥사(己卯獄事) - 기묘사화(己卯士禍)
조선 중종(中宗) 14년에 반정공신(反正功臣)의 위훈삭제(僞勳削除) 문제가 계기가 되어 신진사류(新進士類)가 훈구파(勳舊派)에게 화를 당한 사건.
1519 한국>조선전기 , 사건>사화
-
기묘제현(己卯諸賢) - 기묘명현(己卯名賢)
1519년(중종 14)에 일어난 기묘사화(己卯士禍) 때 화를 입은 사림(士林)들을 일컫는 말. 대부분 김굉필(金宏弼)의 문인(門人)들로, 중종 때 개혁정치를 주도한 젊은 소장파 인물들이 주축을 이룸.
한국>조선전기 , 인명>집단>기타집단
-
기묘지란(己卯之亂) - 기묘사화(己卯士禍)
조선 중종(中宗) 14년에 반정공신(反正功臣)의 위훈삭제(僞勳削除) 문제가 계기가 되어 신진사류(新進士類)가 훈구파(勳舊派)에게 화를 당한 사건.
1519 한국>조선전기 , 사건>사화
-
기묘지변(己卯之變) - 기묘사화(己卯士禍)
조선 중종(中宗) 14년에 반정공신(反正功臣)의 위훈삭제(僞勳削除) 문제가 계기가 되어 신진사류(新進士類)가 훈구파(勳舊派)에게 화를 당한 사건.
1519 한국>조선전기 , 사건>사화
-
기묘지옥(己卯之獄) - 기묘사화(己卯士禍)
조선 중종(中宗) 14년에 반정공신(反正功臣)의 위훈삭제(僞勳削除) 문제가 계기가 되어 신진사류(新進士類)가 훈구파(勳舊派)에게 화를 당한 사건.
1519 한국>조선전기 , 사건>사화
-
기묘지화(己卯之禍) - 기묘사화(己卯士禍)
조선 중종(中宗) 14년에 반정공신(反正功臣)의 위훈삭제(僞勳削除) 문제가 계기가 되어 신진사류(新進士類)가 훈구파(勳舊派)에게 화를 당한 사건.
1519 한국>조선전기 , 사건>사화
-
기묘현인(己卯賢人) - 기묘명현(己卯名賢)
1519년(중종 14)에 일어난 기묘사화(己卯士禍) 때 화를 입은 사림(士林)들을 일컫는 말. 대부분 김굉필(金宏弼)의 문인(門人)들로, 중종 때 개혁정치를 주도한 젊은 소장파 인물들이 주축을 이룸.
한국>조선전기 , 인명>집단>기타집단
-
기묘화(己卯禍) - 기묘사화(己卯士禍)
조선 중종(中宗) 14년에 반정공신(反正功臣)의 위훈삭제(僞勳削除) 문제가 계기가 되어 신진사류(新進士類)가 훈구파(勳舊派)에게 화를 당한 사건.
1519 한국>조선전기 , 사건>사화
-
기문(起文) - 민기문(閔起文)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여주(驪州). 권신 김안로(金安老)를 비방하다 덕산에 장류되었고, 봉성군(鳳城君)의 옥사에 연루되어 임천(林川)에 부처됨. 선조 때 대사성(大司成)ㆍ좌승지(左承旨)를 역임함.
1511~1574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기문헌(奇文憲) - 기대승(奇大升)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 이황(李滉)의 문인으로, 이황과 8년 동안 사단칠정(四端七情) 논쟁을 벌임으로써 조선 유학사상에 큰 영향을 끼침.
1527~1572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나주ㅣ전라도>광산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기방(箕邦) - 조선(朝鮮)
우리나라 근세의 통일 왕조. 이성계(李成桂)가 신진 사대부(士大夫)의 추대를 받아 세운 나라로, 태조(太祖)에서 순종(純宗)까지 27대 519년간 존속.
1392~1910 한국>조선시대 , 시간>국명
-
기백(耆伯)@민수원 - 민수원(閔壽元)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여흥(驪興). 1511년(중종 6) 별시(別試)에 급제하여 사헌부 집의(司憲府執義), 군기시 정(軍器寺正)을 역임함.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여주 , 인명>관인>문신
-
기백(耆伯) - 김숭로(金崇老)
조선 전기의 문신. 충청도 찰방(察訪)을 지냈으며, 서거정(徐居正)이 써 보낸 송시(送詩)들이 《사가집(四佳集)》에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충주 , 인명>관인>문신
-
기백(起伯) - 윤흥종(尹興宗)
조선 전기의 유학. 이황(李滉)의 문인(門人)으로, 이정형(李廷馨)의 《지퇴당집(知退堂集)》에 옷감을 보내 준 그에게 사례하는 시가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유학
-
기백(起伯)@조진 - 조진(趙振)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 조충수(趙忠秀)의 아들이며, 이황(李滉)의 문인. 왕자 사부(王子師傅)로 천거되고 공조 판서(工曹判書) 등을 지냄. 광해군(光海君)이 즉위하자 잠저(潛邸)에 있을 때 보도한 공으로 공신에 책록되고 한산군(漢山君)에 봉해짐.
1535~?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양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기백로(奇伯魯) - 기효증(奇孝曾)
조선 선조(宣祖) 때의 의병장ㆍ문신. 본관은 행주(幸州)로, 고봉(高峰) 기대승(奇大升)의 아들.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의병을 이끌고 전라도 각지에서 왜군을 물리치고 의주(義州)의 행재소에 나아가 시위(侍衛)한 공으로 형조 정랑에 발탁됨.
1550~1616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광산 , 인명>관인>문신
-
기범(箕範) - 서경(書經)
유교 경전(儒敎經典)인 오경(五經)의 하나로, 중국에서 가장 오래된 역사서. 당우(唐虞) 삼대(三代)에 걸친 중국 고대의 기록임. 58편.
중국 , 문헌>서명
-
기보(箕報) - 김기보(金箕報)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안동(安東). 이황(李滉)의 문인으로, 음보(蔭補)로 벼슬에 나아갔으며, 품성이 충간(忠簡)하고 문장이 뛰어남.
1531~1588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ㅣ서울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기복(基福) - 김여부(金汝孚)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의성(義城). 모재(慕齋) 김안국(金安國)의 아들로, 홍문관 전한(弘文館典翰)을 지냄. 인품이 경박하고, 권문(權門)에 빌붙어 진취(進取)에 급급하여 결국은 조정에서 축출됨.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기복재(奇服齋) - 기준(奇遵)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행주(幸州). 조광조(趙光祖)의 문인으로, 기묘명현(己卯名賢)의 한 사람. 기묘사화(己卯士禍)로 유배되고 신사무옥(辛巳誣獄) 때 교살됨.
1492~1521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기봉(岐峯)@백광홍 - 백광홍(白光弘)
조선 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해미(海美)로, 일재(一齋) 이항(李恒)의 문인. 평안도 평사(平安道評事)로 있을 때 가사(歌辭) 〈관서별곡(關西別曲)〉을 지었으며, 김인후(金麟厚)ㆍ이이(李珥) 등과 도의(道義)로 교유함.
1522~1556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장흥 , 인명>관인>문신
-
기봉(岐峯) - 백광훈(白光勳)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인. 본관은 해미(海美). 박순(朴淳)ㆍ양응정(梁應鼎)ㆍ노수신(盧守愼)에게서 수학함. 당시(唐詩)의 시풍(詩風)을 주장하여 최경창(崔慶昌)ㆍ이달(李達)과 함께 삼당시인(三唐詩人)이라 불리고, 이산해(李山海)ㆍ최립(崔笠) 등과 더불어 팔문장(八文章)으로 일컬어짐.
1537~1582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장흥 , 인명>문사>문인
-
기봉(琦峯) - 해보(海普)
고려 말 조선 초의 승려. 원천석(元天錫)이 지은 〈서기봉해보선자권(書琦峯海普禪者卷)〉이라는 시(詩)가 《운곡행록(耘谷行錄)》에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인명>종교인>승려
-
기봉(璣峯) - 해선(海璿)
고려 말 조선 초의 승려. 이직(李稷)이 그를 노래한 칠언율시(七言律詩)가 《형재집(亨齋集)》에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인명>종교인>승려
-
기부(起夫)@남복흥 - 남복흥(南復興)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의령(宜寧). 수의부위(修義副尉) 남맹하(南孟夏)의 아들.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무공(武功)을 세우고, 명(明) 나라 장수 진린(陳璘)의 접반사(接伴使)를 지냄.
1553~?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기부(起夫)@오흥문 - 오흥문(吳興門)
조선 전기의 학자. 본관은 해주(海州). 율곡(栗谷) 이이(李珥)의 문인(門人)임.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해주 , 인명>문사>학자
-
기부(起夫) - 상진(尙震)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목천(木川). 《중종실록(中宗實錄)》의 편찬에 참여하였으며, 오랫동안 왕을 보좌한 명상(名相)으로서 조야(朝野)의 신망이 두터웠음.
1493~1564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기사(期思) - 전기(田忌)
중국 춘추전국시대 제(齊) 나라의 장수. 월(越)ㆍ한(韓) 나라에 정벌하러 온 위(魏) 나라를 대파하고 위 나라 태자를 사로잡아 공을 세움. 재상 추기(鄒忌)와의 불화로 초(楚) 나라로 달아났다가 선왕(宣王)이 즉위하자 제 나라로 돌아와 복직됨.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관인>무신
-
기사(耆司) - 기로소(耆老所)
조선시대에 나이가 많은 임금이나 70세가 넘은 고위 문신(文臣)들을 예우(禮遇)하기 위해 설치한 기구.
1394 한국>조선시대 , 법제>관청
-
기사(耆社) - 기로소(耆老所)
조선시대에 나이가 많은 임금이나 70세가 넘은 고위 문신(文臣)들을 예우(禮遇)하기 위해 설치한 기구.
1394 한국>조선시대 , 법제>관청
-
기사당상(耆社堂上) - 기로당상(耆老堂上)
조선시대에 기로소(耆老所)에 소속된 70세가 넘은 정2품 이상의 문신(文臣)들을 일컫는 말. 이들은 나라의 원로로서, 명절이나 국가적 경사, 왕의 행차 때 함께 모여서 하례(賀禮)를 행하거나, 중요한 국사(國事)의 논의에 참여하여 왕의 자문에 응하기도 함.
한국>조선시대 , 법제>제도
-
기사사화(己巳士禍) - 기사환국(己巳換局)
조선 숙종(肅宗) 15년에 후궁 소의장씨(昭儀張氏)의 소생을 원자(元子)로 정하려는 문제를 기회 삼아 남인(南人)이 서인(西人)을 축출하고 재집권한 사건. 이 사건의 여파로 송시열(宋時烈)은 사사되고, 김수흥(金壽興)ㆍ김수항(金壽恒) 등이 파직됨.
1689 한국>조선후기 , 사건>사화
-
기산(岐山)@삼가 - 삼가(三嘉)
경상도 남부에 위치한 고을 이름. 명승지로 용암서원(龍巖書院)과 관수루(觀水樓)ㆍ유린서정(有麟西亭) 등이 있음. 후에 거창(居昌)과 합천(陜川) 등에 분속됨.
경상도>삼가 , 지명>행정지명
-
기산령(岐山令) - 이원(李傊)
조선 전기의 종친. 태종(太宗)의 둘째 아들인 효령대군(孝寧大君) 이보(李𥙷)의 손자이며, 원천군(原川君) 이의(李宜)의 두 번째 서자.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기산수(箕山叟) - 허유(許由)
중국 하(夏) 나라의 은자. 청렴하고 덕이 높아 요(堯) 임금이 천하를 양보하려 하자 거절하고 기산(箕山)에 숨었으며, 또 그를 불러 구주(九州)의 장(長)으로 삼으려 하자 영수(潁水) 물가에 가서 귀를 씻었다고 함.
중국>하 , 중국 , 인명>기타인명>은자
-
기서(麒瑞) - 김기서(金麒瑞)
조선 중종(中宗) 때의 학자. 본관은 광산(光山). 조광조(趙光祖)의 문인. 기묘사화(己卯士禍) 때에 조광조(趙光祖)와 신진사림(新進士林)들이 대거 숙청당하자 향리로 돌아가 후진양성에 전념함.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고창 , 인명>문사>학자
-
기석례(旣夕禮) - 의례(儀禮)
중국 춘추전국시대에 편찬한 유교 경전. 13경(經) 중의 하나이며, 《주례(周禮)》ㆍ《예기(禮記)》와 함께 삼례(三禮)로 불림. 관혼상제(冠婚喪祭)를 비롯하여 사회적 의식을 자세히 기록한 책으로 원래는 57편이었으나 17편만이 전함.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문헌>서명
-
기선(基善) - 김복경(金復慶)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경주(慶州). 서산 군수(瑞山郡守)를 지낸 김변(金汴)의 아들. 1573년(선조 6) 식년시(式年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양주 목사(楊州牧使) 등을 지냈으며,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왜군과 싸우다 전사함.
1544~1592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경주 , 인명>관인>문신
-
기성(岐城) - 거제(巨濟)
경상남도 남단(南端)에 섬으로 이루어진 고을 이름. 제주도(濟州島)에 이어 우리나라에서 두 번째로 큰 섬으로, 대마도(對馬島)와 가까워 왜구(倭寇)의 출몰이 잦았음.
경상도>거제 , 지명>행정지명
-
기성(杞城) - 유홍(兪泓)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기계(杞溪). 유여림(兪汝霖)의 손자로, 정여립(鄭汝立)의 모반사건과 종계(宗系)를 변무(辨誣)한 공으로 공신에 책록되고, 임진왜란 때에는 우의정으로 도성의 질서 회복과 복구에 기여함.
1524~1594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기성(箕聖) - 기자(箕子)
고조선시대 전설상으로 전하는 기자 조선(箕子朝鮮)의 시조. 은(殷) 나라의 현인(賢人)으로, 주(周) 나라에 의해 은 나라가 망하자 조선에 기자 조선을 건국하였다고 함.
고대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기성군(杞城君) - 윤신걸(尹莘傑)
고려 충렬왕(忠烈王)~충숙왕(忠肅王) 때의 문신. 1285년(충렬왕 11) 국자시(國子試)에서 시(詩)ㆍ부(賦)로 수석합격함. 충숙왕 때 순성보리공신(純誠輔理功臣)에 책록되었으며, 첨의평리(僉議評理) 등을 역임함.
1266~1337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경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기성군(箕城君)@황서 - 황서(黃瑞)
고려 충렬왕(忠烈王) 때의 문신. 본관은 평해(平海)로, 정당문학(政堂文學)을 지낸 백문보(白文寶)의 장인. 첨의평리(僉議評理)ㆍ문하시중(門下侍中)을 지냄.
한국>고려후기 , 강원도>평해 , 인명>관인>문신
-
기성군(箕城君) - 이현(李俔)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종친. 성종(成宗)의 일곱 번째 서자인 익양군(益陽君) 이회(李懷)의 손자이며, 용천군(龍川君) 이수한(李壽鷴)의 여섯 번째 아들.
1543~1568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기성군(騎省君) - 권만(權萬)
조선 경종(景宗)~영조(英祖)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 권두굉(權斗紘)의 아들로, 이인좌(李麟佐)의 난을 진압하는 데 공을 세움.
1688~1749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기성부원군(杞城府院君) - 유홍(兪泓)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기계(杞溪). 유여림(兪汝霖)의 손자로, 정여립(鄭汝立)의 모반사건과 종계(宗系)를 변무(辨誣)한 공으로 공신에 책록되고, 임진왜란 때에는 우의정으로 도성의 질서 회복과 복구에 기여함.
1524~1594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기성부정(箕城副正) - 이현(李俔)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종친. 성종(成宗)의 일곱 번째 서자인 익양군(益陽君) 이회(李懷)의 손자이며, 용천군(龍川君) 이수한(李壽鷴)의 여섯 번째 아들.
1543~1568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기성조씨(箕城趙氏) - 평양조씨(平壤趙氏)
고려시대 금자광록대부(金紫光祿大夫) 추밀원부사(樞密院副使)로 남송(南宋)에 들어가 공을 세우고 상장군(上將軍)이 된 조춘(趙椿)을 시조로 하는 성씨.
한국>고려시대 , 평안도>평양 , 인명>집단>성씨
-
기소(耆所) - 기로소(耆老所)
조선시대에 나이가 많은 임금이나 70세가 넘은 고위 문신(文臣)들을 예우(禮遇)하기 위해 설치한 기구.
1394 한국>조선시대 , 법제>관청
-
기손(祺孫) - 정기손(鄭祺孫)
조선 중종(中宗) 때의 유학. 김안국(金安國)ㆍ서자적(徐自適)ㆍ홍인필(洪仁弼)ㆍ박원량(朴元良)ㆍ강은(姜㶏) 등과 교유함.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유학
-
기손(驥孫) - 김기손(金驥孫)
조선 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김해(金海). 김종직(金宗直)의 문인이며, 김일손(金馹孫)의 중형(仲兄).
1455~1492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청도ㅣ경상도>밀양ㅣ경기도>용인 , 인명>관인>문신
-
기수(幾叟) - 진연(陳淵)
중국 송(宋) 나라의 학자. 진관(陳瓘)의 질손(姪孫)이며 양시(楊時)의 문인.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기수(期叟)@송요년 - 송요년(宋遙年)
조선 단종(端宗)~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 본관은 은진(恩津). 1479년(성종 10) 별시(別試)에 급제하여 군자감 정(軍資監正)을 지냄.
1429~1499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은진 , 인명>관인>문신
-
기수(期叟) - 박조년(朴兆年)
조선 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반남(潘南). 시강원 설서(侍講院說書)와 이조 좌랑(吏曹佐郞)을 역임함.
1459~?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나주 , 인명>관인>문신
-
기수(期壽) - 곽기수(郭期壽)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본관은 해미(海美)로, 선략장군(宣略將軍) 곽세유(郭世幼)의 아들. 관직은 예조 좌랑(禮曹佐郞)에 이르렀으며, 부안 현감(扶安縣監) 재직 중에 낙향하여 《주역(周易)》 연구에 전념함.
1549~1616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강진 , 인명>관인>문신
-
기수(箕宿) - 기성(箕星)
이십팔수(二十八宿) 중 일곱째 별자리의 별들. 동방에 있으며 키[箕] 모양을 하고 있음.
자연물>천체
-
기수(耆叟)@유팽성 - 유팽성(柳彭成)
조선 중종(中宗) 때의 유학. 본관은 전주(全州). 장흥 부사(長興府使)를 지낸 유세화(柳世華)의 아버지로, 1519년(중종 14) 생원시(生員試)에 입격함.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문사>유학
-
기수(耆叟)@송귀수 - 송귀수(宋龜壽)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은진(恩津). 송세량(宋世良)의 아들로, 효도와 우애가 깊었으며, 음서(蔭敍)로 종묘서 봉사(宗廟署奉事) 등을 역임함.
1497~1538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은진 , 인명>관인>문신
-
기수(耆叟)@정미수 - 정미수(鄭眉壽)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해주(海州). 문종(文宗)의 외손자로, 중종반정(中宗反正) 때 정국공신(靖國功臣) 3등으로 해평부원군(海平府院君)에 봉해졌음.
1456~1512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광산ㅣ서울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기수(耆叟) - 민수천(閔壽千)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여흥(驪興). 문장에 능하여 사유(師儒)의 직임을 오랫동안 담당하였으며, 강원도 관찰사ㆍ황해도 관찰사ㆍ대사성 등을 역임함.
?~1530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여주 , 인명>관인>문신
-
기수(耆叟)@정희수 - 정희수(鄭希壽)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무신. 본관은 하동(河東). 영의정(領議政)을 지낸 정인지(鄭麟趾)의 현손이며 신성수(信城守) 이희(李曦)의 사위. 백곡(栢谷) 정곤수(鄭崐壽)의 장인으로 충의위 사과(忠義衛司果)를 지냄.
1516~1554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하동 , 인명>관인>무신
-
기수(麒壽) - 송기수(宋麒壽)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은진(恩津)으로, 정미사화(丁未士禍)로 사사(賜死)된 송인수(宋麟壽)의 종제(從弟). 명종(明宗) 때 을사사화(乙巳士禍)에 가담하여 보익공신(保翼功臣)에 책록되었으며, 이조 판서(吏曹判書) 등을 지냄.
1507~1581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기수로(沂水老) - 공급(孔伋)
중국 춘추전국시대 노(魯) 나라의 학자. 공자(孔子)의 손자. 사서(四書)의 하나인 《중용(中庸)》을 편찬했으며, 증삼(曾參)의 학(學)을 배워 유학의 전승에 힘씀.
B.C.483~B.C.402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기수생(棄繻生) - 종군(終軍)
중국 전한(前漢) 무제(武帝) 때의 문신. 문학과 언변이 매우 뛰어나 약관(弱冠)의 나이로 간대부(諫大夫)에 발탁됨. 남월왕(南越王)에게 한(漢)의 내속(內屬)이 될 것을 설득하여 관철시킴으로써 황제로부터 큰 총애을 받음.
?~B.C.112 중국>전한 , 중국 , 인명>관인>문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