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기악온홀필렬(奇渥溫忽必烈) - 세조(世祖)@원
몽고 제국의 제5대 칸으로, 중국 원(元) 나라의 시조. 재위 1260~1294. 칭기즈 칸의 손자이며, 예종(睿宗)의 아들로, 일본ㆍ중앙아시아ㆍ유럽에까지 원정(遠征)하여 대제국을 건설함.
1215~1294 중국>원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기암(企菴) - 이완(李完)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진보(眞寶). 이하(李河)의 아들이며, 숙부인 이황(李滉)의 문인. 영천 교관(永川敎官)으로 재직시 임진란에 창의(倡義)하고, 조목(趙穆)과 함께 이산서당(伊山書堂)에서 〈성학십도(聖學十圖)〉를 강론함.
1512~1596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영천(榮川)ㅣ경상도>예안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기암(棄庵) - 윤강원(尹剛元)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평소 직언(直言)을 잘 하여 윤원형(尹元衡)의 비행을 논하다가 화를 입었고, 정미사화(丁未士禍)에 연루되어 유배되었다가 풀려남.
?~1572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남원 , 인명>관인>문신
-
기암(棄庵)@이경헌 - 이경헌(李景憲)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전주(全州). 소세양(蘇世讓)의 《양곡집(陽谷集)》에 그에게 주는 시가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문사>유학
-
기암(畸菴) - 정홍명(鄭弘溟)
조선 광해군(光海君)~인조(仁祖) 때의 문신. 우의정 정철(鄭澈)의 아들. 송익필(宋翼弼)과 김장생(金長生)의 문인으로 예학에 조예가 있었으며, 성균관 대사성(成均館大司成) 등을 지냄. 병자호란(丙子胡亂) 때 소모사(召募使)로 활약함.
1592~1650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창평 , 인명>관인>문신
-
기양(基陽) - 예천(醴泉)
경상북도 북서부에 있는 고을 이름. 농산물 집산지로 발달한 교통의 중심지이며, 예로부터 활의 생산지로 유명함. 고려 신종(神宗) 때 남도초토사(南道招討使) 최광의(崔光義)가 이곳에서 동경적(東京賊)을 크게 토벌함.
경상도>예천 , 지명>행정지명
-
기언(淇彦) - 유오(柳澳)
조선 후기의 유학. 본관은 서산(瑞山)으로, 자윤(子潤) 유종인(柳種仁)의 아들.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서산 , 인명>문사>유학
-
기언(驥彦) - 주덕(周德)
중국 명(明) 나라의 수의(獸醫). 태복(太僕) 축 소경(祝少卿)과 병부(兵部) 단 주사(端主事)를 따라 조선(朝鮮)에 와서 말을 사감. 양촌(陽村) 권근(權近)이 〈제수의주기언덕자설후(題獸醫周驥彦德字說後)〉라는 시를 지어줌.
중국>명 , 중국 , 인명>기술인>의원
-
기열(基烈) - 최기열(崔基烈)
고려 후기의 무신. 등주최씨(登州崔氏)의 시조. 조선 태조(太祖)의 증조부인 익조(翼祖)의 비 정숙왕후(貞淑王后)의 아버지로, 호장(戶長)을 지냄.
한국>고려후기 , 함경도>안변 , 인명>관인>무신
-
기영(棄嬰) - 포사(褒姒)
중국 주(周) 나라의 마지막 왕인 유왕(幽王)의 비(妃). 유왕이 총애하여 신후(申后)를 폐하고 왕비로 삼았으며, 이로 인해 견융(犬戎)의 침공을 야기하여 주 나라가 멸망하게 됨.
중국>주 , 중국 , 인명>왕실>왕비
-
기영본(箕營本) - 송자대전(宋子大全)
조선 인조(仁祖)~숙종(肅宗) 때의 문신ㆍ학자인 송시열(宋時烈)의 시문집. 236권 102책. 목판본. 《우암집(尤庵集)》과 《경례문답(經禮問答)》, 부록ㆍ연보 등을 합하여 1787년(정조 11)에 간행됨. 《주자대전(朱子大全)》의 편찬 방식을 따랐으며, 주로 소(疏)ㆍ차(箚)ㆍ서(書)ㆍ명(銘)ㆍ축문ㆍ제문ㆍ신도비명(神道碑銘)ㆍ묘갈명(墓碣銘) 등으로 구성됨.
1787 한국>조선후기 , 평안도>평양ㅣ서울 , 문헌>서명
-
기영사(耆英祠) - 구만서원(龜灣書院)
조선 숙종(肅宗) 때 경상도 봉화에 건립한 서원. 금인(琴軔)ㆍ남몽오(南夢鰲)ㆍ박선장(朴善長)ㆍ권호신(權虎臣) 등 4현(賢)을 배향함.
1676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봉화 , 유적>건물>서원,향교
-
기오(箕五) - 김영한(金寗漢)
근대의 문신ㆍ문인. 본관은 안동(安東). 김홍진(金鴻鎭)의 아들로, 형조 판서 김석진(金奭鎭)에게 입양됨. 농암(農巖) 김창협(金昌協)의 9대손(代孫)으로, 박광전(朴光前)의 《죽천집(竹川集)》을 비롯한 많은 문집에 서문(序文)ㆍ발문(跋文)을 씀.
1878~? 한국>근대 , 서울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기옥(奇玉) - 송치규(宋稚圭)
조선 정조(正祖)~헌종(憲宗)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은진(恩津). 김정묵(金正默)의 제자로, 일생을 벼슬을 사양하다가 말년에 이조 참판(吏曹參判) 등을 지냄. 저서로 《강재집(剛齋集)》이 있음.
1759~1838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은진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기옥(璣玉) - 이기옥(李璣玉)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전의(全義). 김우옹(金宇顒)ㆍ정구(鄭逑)의 문인으로, 공릉 참봉(恭陵參奉) 등을 지내고, 장현광(張顯光)ㆍ김부륜(金富倫) 등과 교유를 맺고 학문을 강마함.
1566~1604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청도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기옹(寄翁) - 남한기(南漢紀)
조선 숙종(肅宗)~영조(英祖) 때의 문신. 본관은 의령(宜寧). 남정중(南正重)의 아들이며, 남유용(南有容)의 아버지로, 내직과 외직을 두루 역임한 후 동지중추부사(同知中樞府事) 등을 지냈고, 추은(推恩)으로 기로소(耆老所)에 들어감.
1675~1748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기옹(畸翁) - 정홍명(鄭弘溟)
조선 광해군(光海君)~인조(仁祖) 때의 문신. 우의정 정철(鄭澈)의 아들. 송익필(宋翼弼)과 김장생(金長生)의 문인으로 예학에 조예가 있었으며, 성균관 대사성(成均館大司成) 등을 지냄. 병자호란(丙子胡亂) 때 소모사(召募使)로 활약함.
1592~1650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창평 , 인명>관인>문신
-
기와(寄窩) - 이우(李瑀)@조선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ㆍ서화가. 본관은 덕수(德水)로, 이이(李珥)의 아우. 시(詩)ㆍ서(書)ㆍ화(畫)ㆍ금(琴)을 잘하여 ‘사절(四絶)’이라 불림. 어머니 신사임당(申師任堂)의 화풍을 따르고, 특히 화훼(花卉)와 초충(草蟲)을 잘 그림.
1542~1609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선산ㅣ서울 , 인명>관인>문신
-
기왕(岐王) - 이범(李範)
중국 당(唐) 나라 예종(睿宗)의 넷째 아들. 현종(玄宗)의 동생으로, 왕유(王維)와 같은 문인 아사(文人雅士)를 좋아하여 친교를 맺음. 현종 때 기주 자사(岐州刺史)ㆍ태자 태부(太子太傅) 등을 지냄.
?~726 중국>당 , 중국 , 인명>관인>문신ㅣ인명>왕실>왕자
-
기왕(沂王) - 조악(趙㮙)
중국 송(宋) 휘종(徽宗)의 아들. 기왕(沂王)으로 봉해졌으며, 아들이 이종(理宗)으로 등극함.
중국>송 , 중국 , 인명>왕실>왕자ㅣ인명>왕실>제후
-
기왕(箕王) - 기자(箕子)
고조선시대 전설상으로 전하는 기자 조선(箕子朝鮮)의 시조. 은(殷) 나라의 현인(賢人)으로, 주(周) 나라에 의해 은 나라가 망하자 조선에 기자 조선을 건국하였다고 함.
고대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기왕(箕王)@준왕 - 준왕(準王)
고대 기자조선(箕子朝鮮)의 마지막 국왕. 망명하여 온 연(燕) 나라 사람 위만(衛滿)이 모반을 일으키자 마한(馬韓) 땅으로 도망하여 유민(流民)을 수습하고 한왕(韓王)이라 칭하였음.
고대 , 인명>왕실>국왕
-
기우(騎牛) - 이행(李行)@고려
고려 공민왕(恭愍王)~조선 세종(世宗) 때의 문신. 본관은 여흥(驪興). 우왕(禑王) 때 탐라(耽羅)에 가서 성주(星主)의 아들 고봉례(高鳳禮)를 볼모로 데려옴. 조선 개국 후 형조 판서(刑曹判書)ㆍ개성 유후(開城留後) 등을 지냄.
1352~1432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기도>개성 , 인명>관인>문신
-
기우(騎牛)@이이 - 이이(李耳)
중국 춘추전국시대의 철학자. 도가(道家)의 창시자로, 무위자연설(無爲自然說)을 주창함.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기우선생문집(騎牛先生文集) - 기우집(騎牛集)
고려 말~조선 초의 문신인 이행(李行)의 시문집(詩文集). 3권 1책. 병자호란 등으로 인해 산일(散佚)된 시문을 후손들이 수집한 끝에 1872년(고종 9)에 밀양(密陽)에서 간행함.
1872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밀양 , 문헌>서명
-
기우자(騎牛子)@이행 - 이행(李行)@고려
고려 공민왕(恭愍王)~조선 세종(世宗) 때의 문신. 본관은 여흥(驪興). 우왕(禑王) 때 탐라(耽羅)에 가서 성주(星主)의 아들 고봉례(高鳳禮)를 볼모로 데려옴. 조선 개국 후 형조 판서(刑曹判書)ㆍ개성 유후(開城留後) 등을 지냄.
1352~1432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기도>개성 , 인명>관인>문신
-
기우자(騎牛子) - 이령(李領)
조선 전기의 처사(處士). 과거(科擧)에 실패한 뒤 전국을 돌며 산수(山水)를 유람하고 고승(高僧)을 찾아다니다 청주(淸州)의 파관산(葩串山)에 거주함.
1514~?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청주 , 인명>문사>유학
-
기우재(騎牛齋) - 이행(李行)@고려
고려 공민왕(恭愍王)~조선 세종(世宗) 때의 문신. 본관은 여흥(驪興). 우왕(禑王) 때 탐라(耽羅)에 가서 성주(星主)의 아들 고봉례(高鳳禮)를 볼모로 데려옴. 조선 개국 후 형조 판서(刑曹判書)ㆍ개성 유후(開城留後) 등을 지냄.
1352~1432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기도>개성 , 인명>관인>문신
-
기욱장(淇澳章) - 기욱(淇奧)
유교 경전(儒敎經典)의 하나인 《시경(詩經)》 〈국풍(國風)〉 〈위풍(衛風)〉의 한 편명(篇名). 중국 춘추전국시대 위(衛) 나라 무공(武公)의 덕을 찬미한 내용임.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문헌>편명
-
기욱편(淇奥篇) - 기욱(淇奧)
유교 경전(儒敎經典)의 하나인 《시경(詩經)》 〈국풍(國風)〉 〈위풍(衛風)〉의 한 편명(篇名). 중국 춘추전국시대 위(衛) 나라 무공(武公)의 덕을 찬미한 내용임.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문헌>편명
-
기원(杞園) - 어유봉(魚有鳳)
조선 숙종(肅宗)~영조(英祖) 때의 문신. 본관은 함종(咸從). 김창협(金昌協)의 문인으로, 1722년(경종 2) 신임사화(申壬士禍) 때 김창협이 화를 당하자 유생들과 함께 변호하다가 파직됨. 세자시강원 찬선(世子侍講院贊善)을 지내고, 저서로 《기원집(杞園集)》 등이 있음.
1672~1744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기원(起元) - 백민수(白民秀)
조선 선조(宣祖) 때의 학자ㆍ의병. 본관은 수원(水原). 백인국(白仁國)의 아들로, 경서(經書)와 성리학(性理學)에 조예가 깊음. 임진왜란 때 장인(丈人) 문위세(文緯世)를 도와 의병을 일으켜 장수(長水), 금산(錦山) 등에서 전공을 세움. 선무공신(宣武功臣)에 책록되고, 이조 판서(吏曹判書)에 추증됨.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수원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문사>학자
-
기은(棄隱) - 기의헌(奇義獻)
조선 광해군(光海君)~효종(孝宗) 때의 학자. 본관은 행주(幸州). 정묘(丁卯)ㆍ병자(丙子)의 난(亂)에 의병을 일으켰고, 역학ㆍ의학에 밝음. 기우만(奇宇萬)이 작성한 묘갈명(墓碣銘)이 있음.
1587~1653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광산 , 인명>문사>학자
-
기은(箕殷) - 기자(箕子)
고조선시대 전설상으로 전하는 기자 조선(箕子朝鮮)의 시조. 은(殷) 나라의 현인(賢人)으로, 주(周) 나라에 의해 은 나라가 망하자 조선에 기자 조선을 건국하였다고 함.
고대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기의(奇嶷) - 김벽(金璧)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유희춘(柳希春)과 교유하고, 창평 현령(昌平縣令)를 지냄.
한국>조선전기 , 인명>관인>문신
-
기익(其益) - 이소생(李紹生)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전주(全州). 이포(李包)의 아들로, 사헌부 집의(司憲府執義) 등을 지냄. 세조(世祖)의 불의(不義)를 간하였으나 받아들여지지 않자 대흥(大興)으로 내려가 은거함.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대흥 , 인명>관인>문신
-
기자(奇子) - 기대승(奇大升)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 이황(李滉)의 문인으로, 이황과 8년 동안 사단칠정(四端七情) 논쟁을 벌임으로써 조선 유학사상에 큰 영향을 끼침.
1527~1572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나주ㅣ전라도>광산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기자(祁子) - 기해(祈奚)
중국 춘추전국시대 진(晉) 나라의 대부. 공자(孔子)가 그의 공평한 천거(薦擧)를 칭탄함.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관인>경대부
-
기자경(奇子敬) - 기준(奇遵)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행주(幸州). 조광조(趙光祖)의 문인으로, 기묘명현(己卯名賢)의 한 사람. 기묘사화(己卯士禍)로 유배되고 신사무옥(辛巳誣獄) 때 교살됨.
1492~1521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기자정(奇自靖) - 기자헌(奇自獻)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행주(幸州)로, 대사헌을 지낸 기대항(奇大恒)의 손자. 광해군을 즉위시키는 데 공헌하여 영의정까지 올랐으나 폐모론에 반대하다 문외출송(門外黜送)되었으며, 이괄(李适)의 난이 일어났을 때 사사(賜死)됨.
1562~1624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기자지(箕子志) - 기자지(箕子誌)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인 윤두수(尹斗壽)가 지은 기자(箕子)에 관한 사기(史記). 기자에 관한 사실 및 후인들의 사부제영(辭賦題詠)을 두루 모아 기록함.
한국>조선전기 , 문헌>서명
-
기장(奇璋) - 기관(奇琯)
고려 충렬왕(忠烈王) 때의 무신. 본관은 행주(幸州). 기황후(奇皇后)의 조부로, 삼사우사 상장군(三司右使上將軍)을 지냄.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고양 , 인명>관인>무신
-
기장(奇章) - 우홍(牛弘)
중국 수(隋) 나라의 문신. 검약함과 학문이 독실한 것으로 유명하며, 동생이 소를 죽였는데 표정하나 바꾸지 않고 포를 만들라고 하여 아내의 입을 막았다는 이야기가 《소학(小學)》에 전함.
중국>수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기장(耆章) - 권헌(權憲)
조선 성종(成宗)~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으로 경주 부윤(慶州府尹) 권걸(權傑)의 아들. 지평(持平) 등을 지냈으며, 연산군의 부당한 처사에 여러 번 상소하다가 파직되어 옥중에서 죽음.
?~1504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기장군공(奇章郡公)@우홍 - 우홍(牛弘)
중국 수(隋) 나라의 문신. 검약함과 학문이 독실한 것으로 유명하며, 동생이 소를 죽였는데 표정하나 바꾸지 않고 포를 만들라고 하여 아내의 입을 막았다는 이야기가 《소학(小學)》에 전함.
중국>수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기장군공(奇章郡公) - 우승유(牛僧孺)
중국 당(唐) 나라 목종(穆宗) 때의 문신. 고공원외랑(考功員外郞) 등을 지내고, 목종의 신임을 받아 재상이 됨. 이종민(李宗閔)과 붕당(朋黨)을 만들어 이덕유(李德裕) 일파와 정쟁을 벌임.
779~847 중국>당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기재(企齋) - 신광한(申光漢)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대제학을 지낸 당대의 문장가. 을사사화(乙巳士禍) 때 위사공신(衛社功臣)이 되고, 우찬성(右贊成)으로 양관(兩館) 대제학을 겸했으며, 좌찬성(左贊成)을 지냄.
1484~1555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여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기재(奇齋) - 권용(權容)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 동지중추부사를 지낸 권응정(權應挺)의 아들. 홍문관 직제학(弘文館直提學)을 지냈으며, 《중종실록(中宗實錄)》 편찬에 참여했고, 적서(嫡庶)의 구별을 엄히 할 것과 언로(言路)의 개방을 주장함.
1509~1558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기재(寄齋) - 박동량(朴東亮)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 선조의 유훈을 받든 유교칠신(遺敎七臣)의 한 사람으로 영창대군(永昌大君)을 보호함. 중국어에 능통하여 대중외교에도 기여함.
1569~1635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나주 , 인명>관인>문신
-
기재(幾齋) - 안처순(安處順)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순흥(順興)으로, 성균관 전적(成均館典籍)을 지낸 안기(安璣)의 아들. 기묘사화(己卯士禍) 때 이행(李荇)과 함께 연루되었으나 화를 면함. 성균관 학관(成均館學官)ㆍ봉상시 판관(奉常寺判官) 등을 지냄.
1492~1534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남원 , 인명>관인>문신
-
기재상공(企齋相公) - 신광한(申光漢)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대제학을 지낸 당대의 문장가. 을사사화(乙巳士禍) 때 위사공신(衛社功臣)이 되고, 우찬성(右贊成)으로 양관(兩館) 대제학을 겸했으며, 좌찬성(左贊成)을 지냄.
1484~1555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여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기정(岐亭) - 권민수(權敏手)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 갑자사화(甲子士禍) 때 이조 좌랑으로서 직언을 하다가 영외(嶺外)에 유배되었으나, 중종반정(中宗反正)으로 풀려나 대사헌(大司憲) 등을 지냄.
1466~1517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기정(岐亭)@권찬 - 권찬(權纘)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 중종 때 대사헌(大司憲)을 지낸 권민수(權敏手)의 아들. 중종의 아들인 덕양군(德陽君) 이기(李岐)의 장인.
?~1560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함창 , 인명>기타인명>효자ㅣ인명>관인>문신
-
기제(紀濟) - 남기제(南紀濟)
조선 영조(英祖) 때의 학자. 본관은 의령(宜寧). 김원행(金元行)의 문인으로, 〈용문산문답(龍門山問答)〉과 《아아록(我我錄)》을 저술함.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의령 , 인명>문사>학자
-
기존재(奇存齋) - 기대승(奇大升)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 이황(李滉)의 문인으로, 이황과 8년 동안 사단칠정(四端七情) 논쟁을 벌임으로써 조선 유학사상에 큰 영향을 끼침.
1527~1572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나주ㅣ전라도>광산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기종(起宗) - 김기종(金起宗)
조선 광해군(光海君)~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강릉(江陵). 이괄(李适)의 난이 일어났을 때 종사관(從事官)으로 종군하였으며, 그 평정과정을 《서정록(西征錄)》으로 편찬함.
1585~1635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기종(起宗)@이기종 - 이기종(李起宗)
고려 후기의 문신. 본관은 홍주(洪州). 이서(李舒)의 아버지로, 연경궁제학(延慶宮提學) 등을 지냄. 홍양부원군(洪陽府院君)에 봉해짐으로써 이때부터 홍주를 관향으로 삼은 홍주이씨(洪州李氏)의 세계(世系)가 이어짐.
한국>고려후기 , 충청도>홍주 , 인명>관인>문신
-
기주(基州) - 풍기(豊基)
경상도 북단에 위치한 고을 이름. 1451년(문종 1) 기천(基川)과 은풍(殷豊)을 합하여 신설함.
경상도>풍기 , 지명>행정지명
-
기주(夔州) - 두보(杜甫)
중국 당(唐) 나라의 시인ㆍ문신. 율시(律詩)에 뛰어났으며, 긴밀하고 엄격한 구성ㆍ사실적 묘사 수법 등으로 인간의 슬픔을 노래함. '시성(詩聖)'으로 불리며, 중국 최고의 시인으로 칭송됨.
712~770 중국>당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기주(棋洲) - 정치화(鄭致和)
조선 인조(仁祖)~숙종(肅宗) 때의 문신. 본관은 동래(東萊)로, 효종(孝宗)의 부마인 정재륜(鄭載崙)의 아버지. 세자시강원보덕(世子侍講院輔德)으로 심양(瀋陽)에서 소현세자(昭顯世子)를 보필함. 좌의정(左議政)을 지내고, 서인과 남인의 대결에서 중도를 지킴.
1609~1677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동래 , 인명>관인>문신
-
기주(起周) - 김기주(金起周)
조선 전기의 유학. 성혼(成渾)의 《우계집(牛溪集)》 〈잡기(雜記)〉에 개성 유장(開城鍮匠) 한순계(韓順繼)에 대해 평(評)한 글이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유학
-
기준(箕準) - 준왕(準王)
고대 기자조선(箕子朝鮮)의 마지막 국왕. 망명하여 온 연(燕) 나라 사람 위만(衛滿)이 모반을 일으키자 마한(馬韓) 땅으로 도망하여 유민(流民)을 수습하고 한왕(韓王)이라 칭하였음.
고대 , 인명>왕실>국왕
-
기준(耆俊) - 이기준(李耆俊)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전의(全義)로, 청강(淸江) 이제신(李齊臣)의 첫째 아들. 1580년(선조 13) 별시(別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승문원 부정자(承文院副正字) 등을 지냄.
1555~1584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기준(起峻) - 황기준(黃起峻)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장수(長水). 호분위 부호군(虎賁衛副護軍)을 지낸 황열(黃悅)의 아버지로, 조지서 별제(造紙署別提)를 지냄.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기중(器重) - 탁련(卓璉)
조선 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광산(光山). 탁중(卓中)의 둘째 아들로, 숙부인 탁평(卓平)의 양자로 들어갔으며, 정주(定州)로 유배되었다가 서용되어 기자전 참봉(箕子殿參奉)을 역임함.
한국>조선전기 , 평안도>정주 , 인명>관인>문신
-
기중(幾仲) - 김서(金緖)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광산(光山). 대흥 현감(大興縣監)을 지낸 김계문(金季文)의 아들. 자암(自庵) 김구(金絿)의 동생으로, 영평 현령(永平縣令)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광산 , 인명>관인>문신
-
기중(期仲) - 윤동로(尹東老)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파평(坡平). 이이(李珥)의 문인으로, 공조 좌랑(工曹佐郞) 시절 탄핵을 받아 파직되었다가 정유재란 때 재기용되었으나 이원익(李元翼)의 탄핵을 받음. 후에 동지중추부사(同知中樞府事) 등을 지냄.
1550~1635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기중(機仲) - 원추(袁樞)
중국 송(宋) 나라 효종(孝宗)~영종(寧宗) 때의 학자. 사마광(司馬光)의 《자치통감(資治通鑑)》이 지나치게 방대한 점을 문제로 삼아 《통감기사본말(通鑑紀事本末)》을 저술함으로써 기사본말체(紀事本末體)를 확립함.
1131~1205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기지(企之) - 유희정(柳希汀)
조선 연산군(燕山君)~중종(中宗) 때의 무신. 본관은 문화(文化). 선전관(宣傳官)ㆍ남원 판관(南原判官)ㆍ영암 군수(靈巖郡守) 등을 역임했음.
1472~1528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문화 , 인명>관인>무신
-
기지(器之)@황호 - 황호(黃瑚)
조선 중종(中宗) 때의 유학. 본관은 남원(南原). 단성 현감(丹城縣監)을 지낸 황예창(黃禮昌)의 아들로, 1513년(중종 8) 진사시(進士試)에 입격함.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남원 , 인명>문사>유학
-
기지(器之) - 김안세(金安世)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좌의정을 지낸 김안로의 중형(仲兄). 이조 좌랑(吏曹佐郞), 비안 현감(庇安縣監) 등을 역임함.
1477~?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연안 , 인명>관인>문신
-
기지(器之)@유안세 - 유안세(劉安世)
중국 송(宋) 나라 때의 문신. 사마광(司馬光)의 제자. 간의대부(諫議大夫)로 직간(直諫)을 잘해 전상호(殿上虎)라는 별명을 얻음. 강직한 성품 때문에 평생 벽지(僻地)로 전전하며 귀양살이를 함.
중국>송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기지(器之)@이식 - 이식(李埴)
조선 연산군(燕山君) 때의 학자. 본관은 진보(眞寶). 이계양(李繼陽)의 아들이며, 퇴계 이황(李滉)의 아버지로, 아우인 이우(李堣)와 함께 학문 연구에 정진함.
1463~1502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예안 , 인명>문사>학자
-
기지(器之)@진식 - 진식(陳埴)
중국 송(宋) 나라의 학자. 주희(朱熹)의 문인으로, 질문(質問)의 장점과 효과에 대해 크게 장려함. 제자들의 질문에 답한 것을 모아 펴낸 《목종집(木鍾集)》이 있음.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기지(器之)@이연 - 이연(李璉)
조선 전기의 종친. 본관은 전주(全州). 경원부수(慶源副守) 이인손(李仁孫)의 아들로, 밀산부수(密山副守) 이신손(李信孫)에게 출계함. 1528년(중종 23) 생원시(生員試)에 입격하였으며, 고산 현감(高山縣監)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종친
-
기지(己摯) - 소호(少昊)
중국 고대의 전설적 황제. 삼황오제(三皇五帝)의 하나로, 황제(黃帝)와 누조(嫘祖) 사이에서 태어났으며, 태호(太昊)의 법을 닦았기 때문에 소호(少昊)라 일컬어짐.
고대 , 중국 , 인명>기타인명>기타인물
-
기지(耆之)@채수 - 채수(蔡壽)
조선 세조(世祖)~중종(中宗) 때의 문신. 중종반정(中宗反正) 때 정국공신(靖國功臣)에 책록되어 인천군(仁川君)에 봉해지고, 패관소설인 《설공찬전(薛公贊傳)》을 지음.
1449~1515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기지(耆之)@조대춘 - 조대춘(趙大春)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횡성(橫城)으로, 조목(趙穆)의 아버지.
1487~1573 한국>조선전기 , 강원도>횡성 , 인명>관인>문신
-
기지(耆之) - 나무춘(羅茂春)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인목대비(仁穆大妃)의 폐출소(廢黜疏)를 올린 이위경(李偉卿)을 탄핵하다 관직을 삭탈당함.
1580~1619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나주 , 인명>관인>문신
-
기지(耆之)@이이수 - 이이수(李頤壽)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연안(延安). 경주부윤(慶州府尹) 이전(李㙉)의 아들로, 1513년(중종 8) 진사시(進士試)에 합격하였으며, 진도 군수(珍島郡守) 등을 지냈음.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기지(耆之)@임춘 - 임춘(林椿)
고려 의종(毅宗)~명종(明宗) 때의 문인. 예천임씨(醴泉林氏)의 시조. 무신정변(武臣政變) 때 온 집안이 화를 당해 시와 술로 세월을 보냄. 강좌칠현(江左七賢)의 한 사람으로 시문에 뛰어남.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예천 , 인명>문사>문인
-
기지(起之)@유공작 - 유공작(柳公綽)@당
중국 당(唐) 나라 덕종(德宗)~문종(文宗) 때의 문신. 헌종(憲宗)이 무예를 좋아하여 자주 사냥을 나가자 〈태의잠(太醫箴)〉을 지어 풍간(諷諫)함. 오원제(吳元濟)를 토벌할 때 공을 세우고, 병부 상서(兵部尙書) 등을 지냄.
765~832 중국>당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기지(起之) - 김수흥(金壽興)
조선 효종(孝宗)~숙종(肅宗)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안동(安東). 영의정(領議政)을 지냈으나 기사환국(己巳換局) 때 장기(長鬐)에 유배되어 그곳에서 죽음. 저서에 《퇴우당집(退憂堂集)》 5책이 있음.
1626~1690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장기ㅣ서울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기직도인(奇直道人) - 선우추(鮮于樞)
중국 원(元) 나라의 문신ㆍ서예가. 태상시 전부(太常寺典簿) 등을 지냈으며, 시문(詩文)과 서화(書畫)에 뛰어났는데, 특히 초서(草書)에 능하였음.
1246~1302 중국>원 , 중국 , 인명>예술인>서화가ㅣ인명>관인>문신
-
기질(棄疾) - 평왕(平王)@춘추전국(초)
중국 춘추전국시대 초(楚) 나라의 제후. 재위 B.C.528~B.C.516. 형인 영왕(靈王)을 죽이고 왕위에 오름.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왕실>제후
-
기질(棄疾)@신기질 - 신기질(辛棄疾)
중국 송(宋) 나라의 시인ㆍ무신. 사(詞)에 뛰어나 남송(南宋) 최고의 시인(詩人)으로 평가받음. 북송(北宋)의 유영(柳永)ㆍ주방언(周邦彦), 남송의 강기(姜夔)와 아울러 사대사인(四大詞人)으로 일컬어짐.
1140~1207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무신
-
기창(起昌) - 유기창(兪起昌)
조선 연산군(燕山君)~중종(中宗) 때의 무신. 본관은 기계(杞溪). 지중추부사(知中樞府事) 등을 지냈으나, 좌의정 성준(成俊)이 연산군의 난정을 극간(極諫)하다 교살될 때 그 일당으로 몰려 유배되었다가, 중종반정(中宗反正)으로 석방되어 비인현(庇仁縣)에 은거함.
1437~1514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서천 , 인명>관인>무신
-
기천(基川) - 풍기(豊基)
경상도 북단에 위치한 고을 이름. 1451년(문종 1) 기천(基川)과 은풍(殷豊)을 합하여 신설함.
경상도>풍기 , 지명>행정지명
-
기천(沂川) - 윤효전(尹孝全)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본관은 남원(南原)으로, 윤휴(尹鑴)의 아버지. 민순(閔純)ㆍ정구(鄭逑)의 문인으로, 서경덕(徐敬德)을 존숭하여 《화담집(花潭集)》 간행에 참여하고, 계축화옥(癸丑禍獄)에 가담하여 익사공신(翼社功臣)에 책록됨.
1563~1619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남원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기천(祈天) - 정창순(鄭昌順)
조선 영조(英祖)~순조(純祖) 때의 문신. 본관은 온양(溫陽). 정광은(鄭光殷)의 아들로, 예조 판서(禮曹判書)ㆍ판중추부사(判中樞府事) 등을 지냄. 《송도지(松都誌)》ㆍ《동문휘고(同文彙考)》등을 편찬하고, 《대전통편(大典通編)》찬집에 참여함.
1727~?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온양 , 인명>관인>문신
-
기천사(祁天使) - 기보(祁保)
중국 명(明) 성조(成祖) 때의 문신. 조선 태조(太祖)가 승하(昇遐)하자 제문(祭文)ㆍ시호(諡號)ㆍ부의(賻儀)를 가지고 사신으로 왔음.
중국>명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기천원(沂川院) - 기천서원(沂川書院)
조선 선조(宣祖) 때 경기도 여주(驪州) 금사면(金沙面)에 건립한 서원. 인조(仁祖) 때 사액되었으며, 김안국(金安國)ㆍ이언적(李彦迪)ㆍ홍인우(洪仁祐)ㆍ정엽(鄭曄)ㆍ이원익(李元翼)ㆍ이식(李植)ㆍ홍명구(洪命耉)ㆍ홍명하(洪命夏) 등을 배향함.
1580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여주 , 유적>건물>서원,향교
-
기천정사(箕川精舍) - 기천서원(箕川書院)
조선 현종(顯宗) 때 경상도 용궁(龍宮)에 건립한 서원. 안준(安俊)ㆍ이문흥(李文興)ㆍ문근(文瑾)ㆍ문관(文瓘)ㆍ이구(李構) 등을 배향함.
1669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용궁 , 유적>건물>서원,향교
-
기촌(企村) - 송순(宋純)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ㆍ문인. 본관은 신평(新平). 우참찬(右參贊) 등을 지냈으며, 면앙정가단(俛仰亭歌壇)의 창설자이자 강호가도(江湖歌道)의 선구자로서, 조선 시가문학(詩歌文學)에 크게 기여함.
1493~1582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담양 , 인명>관인>문신
-
기축변(己丑變) - 기축옥사(己丑獄事)
조선 선조(宣祖) 22년에 정여립(鄭汝立)의 모반을 계기로 일어난 옥사(獄事). 이 사건의 여파로 동인(東人)이 크게 위축되고 서인(西人)이 정국 주도권을 장악하였으며, 전라도 출신의 인재 등용에 제한이 가해짐.
1589 한국>조선전기 , 사건>사화
-
기축사화(己丑士禍) - 기축옥사(己丑獄事)
조선 선조(宣祖) 22년에 정여립(鄭汝立)의 모반을 계기로 일어난 옥사(獄事). 이 사건의 여파로 동인(東人)이 크게 위축되고 서인(西人)이 정국 주도권을 장악하였으며, 전라도 출신의 인재 등용에 제한이 가해짐.
1589 한국>조선전기 , 사건>사화
-
기축옥(己丑獄) - 기축옥사(己丑獄事)
조선 선조(宣祖) 22년에 정여립(鄭汝立)의 모반을 계기로 일어난 옥사(獄事). 이 사건의 여파로 동인(東人)이 크게 위축되고 서인(西人)이 정국 주도권을 장악하였으며, 전라도 출신의 인재 등용에 제한이 가해짐.
1589 한국>조선전기 , 사건>사화
-
기축지변(己丑之變) - 기축옥사(己丑獄事)
조선 선조(宣祖) 22년에 정여립(鄭汝立)의 모반을 계기로 일어난 옥사(獄事). 이 사건의 여파로 동인(東人)이 크게 위축되고 서인(西人)이 정국 주도권을 장악하였으며, 전라도 출신의 인재 등용에 제한이 가해짐.
1589 한국>조선전기 , 사건>사화
-
기축지옥(己丑之獄) - 기축옥사(己丑獄事)
조선 선조(宣祖) 22년에 정여립(鄭汝立)의 모반을 계기로 일어난 옥사(獄事). 이 사건의 여파로 동인(東人)이 크게 위축되고 서인(西人)이 정국 주도권을 장악하였으며, 전라도 출신의 인재 등용에 제한이 가해짐.
1589 한국>조선전기 , 사건>사화
-
기축지화(己丑之禍) - 기축옥사(己丑獄事)
조선 선조(宣祖) 22년에 정여립(鄭汝立)의 모반을 계기로 일어난 옥사(獄事). 이 사건의 여파로 동인(東人)이 크게 위축되고 서인(西人)이 정국 주도권을 장악하였으며, 전라도 출신의 인재 등용에 제한이 가해짐.
1589 한국>조선전기 , 사건>사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