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기축화(己丑禍) - 기축옥사(己丑獄事)
조선 선조(宣祖) 22년에 정여립(鄭汝立)의 모반을 계기로 일어난 옥사(獄事). 이 사건의 여파로 동인(東人)이 크게 위축되고 서인(西人)이 정국 주도권을 장악하였으며, 전라도 출신의 인재 등용에 제한이 가해짐.
1589 한국>조선전기 , 사건>사화
-
기충헌(奇忠獻) - 기윤헌(奇允獻)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행주(幸州)로, 대사헌을 지낸 기대항(奇大恒)의 손자. 형 기자헌(奇自獻)이 폐모론에 반대하다 유배될 때 함께 유배되었으며, 이괄(李适)의 난이 일어났을 때 장살됨.
1575~1624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고양 , 인명>관인>문신
-
기평군(杞平君) - 유백증(兪伯曾)
조선 광해군(光海君)~인조(仁祖) 때의 문신ㆍ공신. 유대일(兪大逸)의 아들로, 인조반정(仁祖反正) 때 공을 세워 정사공신(靖社功臣)에 책록됨. 할아버지 유홍(兪泓)의 시문집인 《송당집(松塘集)》을 편집ㆍ간행함.
1587~1646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경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기포(杞圃) - 박우(朴瑀)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무신.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창의(倡義)하여 공을 세우고, 이괄(李适)의 난(亂)에 공을 세워 진무공신(振武功臣)에 책록됨. 병자호란(丙子胡亂) 때 쌍령(雙嶺)에서 전사함.
1576~1637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밀양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무신
-
기하(基夏) - 이기하(李基夏)
조선 숙종(肅宗) 때의 무신. 본관은 한산(韓山). 어영 대장(御營大將) 이여발(李汝發)의 아들이자 이사윤(李思胤)의 아버지. 훈련 대장(訓鍊大將) 등을 지내고, 숙종대 20여 년간 군대를 지휘함.
1646~1718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한산 , 인명>관인>무신
-
기해동정(己亥東征) - 대마도정벌(對馬島征伐)
왜구(倭寇)의 소굴인 대마도(對馬島)를 정벌한 일. 좁게는 1419년(세종 1) 6월 이종무(李從茂)의 정벌을 말하나, 넓게는 고려 말 창왕(昌王) 때와 조선 초 태조(太祖) 때의 정벌까지도 포함하여 이름.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사건>전쟁
-
기해정왜역(己亥征倭役) - 대마도정벌(對馬島征伐)
왜구(倭寇)의 소굴인 대마도(對馬島)를 정벌한 일. 좁게는 1419년(세종 1) 6월 이종무(李從茂)의 정벌을 말하나, 넓게는 고려 말 창왕(昌王) 때와 조선 초 태조(太祖) 때의 정벌까지도 포함하여 이름.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사건>전쟁
-
기허(騎虛) - 영규(靈圭)
조선 광해군(光海君)~선조(宣祖) 때의 승려. 휴정(休靜)의 제자. 임진왜란 때 의승(義僧) 수백명을 규합하여 청주성(淸州城)의 왜적을 격퇴하고, 조헌(趙憲)과 함께 금산(錦山) 전투에 참가하여 격전 끝에 순국함.
?~1592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공주 , 인명>종교인>승려
-
기허당(騎虛堂) - 영규(靈圭)
조선 광해군(光海君)~선조(宣祖) 때의 승려. 휴정(休靜)의 제자. 임진왜란 때 의승(義僧) 수백명을 규합하여 청주성(淸州城)의 왜적을 격퇴하고, 조헌(趙憲)과 함께 금산(錦山) 전투에 참가하여 격전 끝에 순국함.
?~1592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공주 , 인명>종교인>승려
-
기헌(棄軒) - 이희보(李希輔)
조선 연산군(燕山君)~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평양(平壤)으로, 사옹원 봉사(司饔院奉事)를 지낸 이극문(李克文)의 아들. 성균관 대사성(成均館大司成)을 지내고, 문장에도 능함.
1473~1548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기헌(耆獻) - 윤기헌(尹耆獻)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남원(南原). 윤자신(尹自新)의 아들이며 이이(李珥)의 문인(門人)으로, 한성부 좌윤(漢城府左尹) 등을 지내고, 성리학(性理學)에 밝음.
1548~?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기헌보(奇獻甫) - 기윤헌(奇允獻)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행주(幸州)로, 대사헌을 지낸 기대항(奇大恒)의 손자. 형 기자헌(奇自獻)이 폐모론에 반대하다 유배될 때 함께 유배되었으며, 이괄(李适)의 난이 일어났을 때 장살됨.
1575~1624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고양 , 인명>관인>문신
-
기현(基賢) - 안중묵(安重默)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죽산(竹山). 박광전(朴光前)ㆍ정개청(鄭介淸)에게 수학하고, 정구(鄭逑)의 효렴(孝廉) 천거로 소격서 참봉(昭格署參奉)ㆍ의영고 직장(義盈庫直長) 등을 지냄.
1556~1607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죽산 , 인명>관인>문신
-
기호(綺皓) - 오실(吳實)
중국 진(秦) 말~한(漢) 초의 은자. 진 나라의 폭정을 피해 상현 동산(商縣東山)에 숨은 상산사호(商山四皓)의 한 사람.
중국>전한ㅣ중국>진 , 중국 , 인명>기타인명>은자
-
기홍(箕洪) - 이기홍(李箕洪)
조선 숙종(肅宗) 때의 문신ㆍ학자. 풍산군(豐山君) 이종린(李宗麟)의 후손이며, 송준길(宋浚吉)ㆍ송시열(宋時烈)의 문인. 사포서 별검(司圃署別檢)ㆍ집의(執義) 등을 지내고, 만년에 낙향하여 권상하(權尙夏)와 함께 경전(經傳)을 강론하였으며, 《정암집(靜庵集)》의 편찬에 참여함.
1641~1708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연풍 , 인명>관인>문신ㅣ인명>문사>학자
-
기효(紀效) - 기효신서(紀效新書)
중국 명(明) 나라의 장군 척계광(戚繼光)이 지은 병서(兵書). 척계광이 절강현(浙江縣) 참장(參將)으로 있을 때 왜구(倭寇)를 소탕하기 위하여 편찬한 것으로 임진왜란 이후 조선의 병영 편제에 영향을 끼침.
1560 중국>명 , 중국 , 문헌>서명
-
기후(基厚) - 김기후(金基厚)
조선 후기의 유학. 본관은 순천(順天). 김윤안(金允安)의 아들로, 숙부(叔父)인 김윤문(金允文)에게 출계(出系)함. 1627년(인조 5) 생원시(生員試)에 입격함.
1582~1633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문사>유학
-
기후(奇后) - 기황후(奇皇后)
중국 원(元) 나라 순제(順帝)의 황후(皇后). 본관은 행주(幸州). 고려인 기자오(奇子敖)의 딸로, 북원(北元) 소종(昭宗)의 생모.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고양 , 인명>왕실>왕비
-
기후(祁侯) - 등후(鄧侯)
중국 춘추전국시대(春秋戰國時代) 등(鄧) 나라의 제후. 조카인 초(楚) 나라 문왕(文王)에게 멸망당함.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왕실>제후
-
길(佶) - 이길(李佶)
조선 전기의 종친. 성종(成宗)의 일곱 번째 서자인 익양군(翼陽君) 이회(李懷)의 손자이며, 단천부정(丹川副正) 이수곤(李壽鵾)의 첫 번째 서자.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종친
-
길(吉) - 장길(張吉)
고려 태조(太祖) 때의 무신ㆍ공신. 안동장씨(安東張氏)의 시조. 권행(權幸)ㆍ김선평(金宣平)과 함께 태조를 도와 후백제의 견훤(甄萱)을 고창(高昌)에서 물리치는 데 공을 세움. 아부공신(亞父功臣)이 책록되고, 태사(太師)를 지냄.
한국>고려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무신
-
길(洁)@이중호의아들 - 이길(李洁)@이중호의아들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광산(光山). 담양 부사(潭陽府使) 이중호(李仲虎)의 아들로, 응교(應敎) 등을 지냄. 기축옥사(己丑獄事)에 연루되어 형 이급(李汲)ㆍ이발(李潑)과 함께 장살(杖殺)당함.
1547~1589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광산 , 인명>관인>문신
-
길(洁)@이영춘의아버지 - 이길(李洁)@이영춘의아버지
조선 전기의 종친ㆍ문신. 본관은 전주(全州). 세종(世宗)의 다섯째 아들인 광평대군(廣平大君) 이여(李璵)의 4대손이며, 음성 현감(陰城縣監) 이영춘(李榮春)의 아버지로, 서부 주부(西部主簿)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관인>문신ㅣ인명>왕실>종친
-
길계(吉繼) - 대곡길계(大谷吉繼)
일본 도산시대(桃山時代)의 장군.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서울 점령 소식을 들은 풍신수길(豊臣秀吉)이 그곳 병력이 적은 것을 염려해 파견한 소위 '삼봉행(三奉行)' 중의 한 사람.
1559~1600 일본>도산시대 , 일본 , 인명>관인>무신
-
길국(秸鞠) - 포곡(布穀)
뻐꾸기 혹은 뻐꾸기의 울음소리. 뻐꾸기가 ‘포곡포곡’하며 울고, ‘포곡(布穀)’이 ‘씨를 뿌려라’라는 의미이므로, 농사를 재촉하는 뜻으로 쓰임.
사상>술어>관용어ㅣ자연물>동물
-
길권(吉卷) - 이길권(李吉卷)
고려 전기의 무신. 용인이씨(龍仁李氏)의 시조. 고려 태조(太祖)를 도와 삼한통일(三韓統一)에 공을 세우고, 태조의 여동생과 혼인하여 고려조의 첫 부마가 되었다고 함.
한국>고려전기 , 경기도>용인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무신ㅣ인명>왕실>인척
-
길리(吉利) - 무제(武帝)@삼국(위)
중국 삼국시대 위(魏) 왕조를 세운 장군. 시부(詩賦) 등의 문재(文才)를 지녀 건안문단(建安文壇)을 영도(領導)함.
155~220 중국>삼국시대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왕실>국왕
-
길민(吉旼) - 홍길민(洪吉旼)
고려 우왕(禑王)~조선 태종(太宗) 때의 문신. 본관은 남양(南陽)으로, 홍보현(洪普賢)의 아들. 정몽주(鄭夢周)의 고신(告身)에 서경(署經)을 거부하다가 파직되었고, 조선 개국에 공을 세워 개국공신(開國功臣)에 책록됨.
1353~1407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기도>남양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길보(吉父) - 김이상(金履祥)@송
중국 송(宋)~원(元) 나라의 학자. 정주학(程朱學)을 연구하여 왕노재(王魯齋)ㆍ하북산(何北山)에게 사사하고, 주자(朱子)ㆍ황면재(黃勉齋)의 학통(學統)을 이어받아, 절학(浙學)을 중흥함.
1232~1303 중국>원ㅣ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길보(吉甫)@홍경손 - 홍경손(洪敬孫)
조선 세종(世宗)~성종(成宗) 때의 문신ㆍ문인. 본관은 남양(南陽). 사재감 직장(司宰監直長) 홍지(洪智)의 아들이며, 고려 왕족인 왕규(王珪)의 외손. 세조(世祖) 때 좌익원종공신(佐翼原從功臣)에 책록되고, 첨지중추부사(僉知中樞府使) 등을 지냄.
1409~1481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남양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길보(吉甫)@윤길보 - 윤길보(尹吉甫)
중국 주(周) 나라 선왕(宣王) 때의 태사(太師). 호경(鎬京)에 침입한 험윤(玁狁)을 격퇴하는 등 소목공(召穆公) 등과 함께 선왕을 보좌하여 쇠락한 주 나라를 중흥시키는 데 지대한 공헌을 함.
중국>주 , 중국 , 인명>관인>경대부
-
길보(吉甫)@노홍우 - 노홍우(盧弘祐)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교하(交河). 선조(宣祖) 때 지중추부사(知中樞府事)를 지낸 노직(盧稙)의 아버지로, 사헌부 감찰(司憲府監察)ㆍ남평 현감(南平縣監) 등을 지냈음.
1552~1602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여주 , 인명>관인>문신
-
길보(吉甫)@윤선거 - 윤선거(尹宣擧)
조선 인조(仁祖)~현종(顯宗) 때의 학자. 김집(金集)의 문인으로, 유계(兪棨)ㆍ송시열(宋時烈)ㆍ윤휴(尹鑴)ㆍ윤선도(尹善道)ㆍ이유태(李惟泰) 등과 교유함. 성리학(性理學)의 대가이고 예론(禮論)에도 정통함.
1610~1669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금산 , 인명>문사>학자
-
길보(吉甫)@김우 - 김우(金祐)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예안(禮安). 김륵(金玏)의 조부이며, 박임종(朴林宗)의 사위. 성주 목사(星州牧使)를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예안 , 인명>관인>문신
-
길보(吉甫)@박경길 - 박경길(朴敬吉)
조선 광해군(光海君)~효종(孝宗) 때의 무신. 부사과(副司果)를 지낸 박몽필(朴夢筆)의 아들로, 첨지중추부사(僉知中樞府事)를 지냈으며, 1655년(효종 6)에 종제(從弟) 박경지(朴敬祉)와 함께 박영(朴英)의 문집인 《송당집(松堂集)》을 간행함.
1577~1658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밀양 , 인명>관인>무신
-
길보(吉甫) - 김이상(金履祥)@송
중국 송(宋)~원(元) 나라의 학자. 정주학(程朱學)을 연구하여 왕노재(王魯齋)ㆍ하북산(何北山)에게 사사하고, 주자(朱子)ㆍ황면재(黃勉齋)의 학통(學統)을 이어받아, 절학(浙學)을 중흥함.
1232~1303 중국>원ㅣ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길보(吉甫)@증기 - 증기(曾幾)
중국 송(宋) 나라의 문신ㆍ문인. 육유(陸游)의 스승으로, 진회(秦檜)의 노여움을 사서 파직되었다가 다시 기용되어 권 예부 시랑(權禮部侍郞) 등을 역임하였음.
1084~1166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길보(吉甫)@감절 - 감절(甘節)
중국 송(宋) 나라의 학자. 임천(臨川) 사람으로 주자(朱子)의 고제(高弟)임.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길보(吉甫)@여혜경 - 여혜경(呂惠卿)
중국 송(宋) 나라 신종(神宗)~휘종(徽宗) 때의 문신. 왕안석(王安石)과 더불어 신법(新法)을 추진했으나 왕안석이 실각하자 그를 방해하다가 외방(外方)으로 쫓겨나고, 휘종 때 다시 폄척(貶斥)을 받고 죽음. 태자 중윤(太子中允) 등을 지냄.
1032~1111 중국>송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길보(吉甫)@유여 - 유여(柳袽)
조선 후기의 문신. 본관은 풍산(豊山). 풍원부원군(豐原府院君) 유성룡(柳成龍)의 아들이며, 정경세(鄭經世)의 문인인 유원지(柳元之)의 아버지로, 장수도 찰방(長水道察訪)을 지냈으며, 성리학에 조예가 깊음.
1578~1605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길보(吉甫)@조선 - 이길보(李吉甫)@조선
조선 세조(世祖) 때의 문신. 본관은 용인(龍仁). 이우보(李祐甫)의 형으로, 문과(文科)에 세 번이나 급제하였으며, 경기 관찰사(京畿觀察使)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용인 , 인명>관인>문신
-
길보(吉甫)@당 - 이길보(李吉甫)@당
중국 당(唐) 나라 대종(代宗)~헌종(憲宗) 때의 문신ㆍ재상. 아들 이덕유(李德裕)와 함께 우승유(牛僧孺)ㆍ이종민(李宗閔)의 당(黨)과 대립함. 저서에 《원화군현도지(元和郡縣圖志)》 등이 있음.
758~814 중국>당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길보(吉甫)@이경절 - 이경절(李景節)
조선 후기의 학자. 본관은 덕수(德水). 이우(李瑀)의 아들로, 광해군(光海君)의 폐모론(廢母論)에 반대하고, 병자호란 때 의병을 일으킴. 서(書)ㆍ화(畫)ㆍ금(琴)에 능하여 ‘삼절(三絶)’로 불림.
1571~1640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선산 , 인명>문사>학자
-
길보(吉甫)@탁계정 - 탁계정(卓季禎)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광산(光山). 직장(直長)을 지낸 탁지(卓智)의 넷째 아들.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광산 , 인명>문사>유학
-
길상(吉商) - 이길상(李吉商)
고려 후기의 유학. 이색(李穡)과 교유하였으며, 이색의 《목은시고(牧隱詩稿)》에 그와 관련된 시가 실려 있음.
한국>고려후기 , 인명>문사>유학
-
길상(吉祥) - 이길상(李吉祥)
고려 후기의 문신. 본관은 경주(慶州). 우정언(右正言)을 지낸 이존오(李存吾)의 아버지로, 사재시 승(司宰寺丞) 등을 지냄.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경주 , 인명>관인>문신
-
길상사(吉祥寺) - 송광사(松廣寺)
전라남도 순천(順天)의 조계산(曹溪山)에 있는 사찰. 신라 말 체징(體澄)이 길상사(吉祥寺)를 창건한 것에서 비롯되었으며, 해인사(海印寺)ㆍ통도사(通度寺)와 함께 우리나라 삼보사찰(三寶寺刹) 가운데 승보사찰(僧寶寺刹)로 유명함.
한국>통일신라 , 전라도>순천 , 유적>건물>사찰
-
길생(吉生)@윤길생 - 윤길생(尹吉生)
조선 세종(世宗)~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해주(海州). 정국공신(靖國功臣) 윤희평(尹熙平)의 아버지로, 중추원 부사(中樞院副使)를 지냄.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서흥 , 인명>관인>문신
-
길생(吉生) - 우길생(禹吉生)
고려 후기의 문신. 본관은 단양(丹陽). 단양백(丹陽伯) 우현보(禹玄寶)의 아버지로, 문하시중(門下侍中) 등을 지냄. 1362년(공민왕 10) 홍건적(紅巾賊)이 침입했을 때 공을 세워 공신에 책록되고, 적성군(赤城君)에 봉해짐.
한국>고려후기 , 충청도>단양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길성(吉城)@길주 - 길주(吉州)
함경도에 있는 고을 이름. 동쪽으로 명천현(明川縣), 서쪽으로 단천군(端川郡)과 접해 있으며, 세조(世祖) 때 이시애(李施愛)가 이곳에서 반란을 일으켜 길성현(吉城縣)으로 강등됨.
함경도>길성 , 지명>행정지명
-
길성(吉城) - 결성(結城)
현재 충청남도 홍성(洪城) 광천읍(廣川邑)과 결성면(結城面)ㆍ서부면(西部面)ㆍ구항면(龜項面)ㆍ은하면(銀河面)까지 포함했던 옛 고을 이름.
충청도>결성 , 지명>행정지명
-
길성(吉成) - 모리길성(毛利吉成)
일본 도산시대(桃山時代)~강호시대(江戶時代) 무장. 풍신수길(豊臣秀吉)의 부하로,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왜군의 제4진을 이끌고 부산에 상륙하여 동두천을 통해 강원도 방면으로 진격함.
?~1611 일본>강호시대ㅣ일본>도산시대 , 일본 , 인명>관인>무신
-
길수(吉秀) - 임길수(林吉秀)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평택(平澤). 임형수(林亨秀)의 동생으로 송강(松江) 정철(鄭澈)과 교유했으며, 고흥 현감(高興縣監)을 지냄.
1529~?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나주 , 인명>관인>문신
-
길안(吉安) - 이길안(李吉安)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경주(慶州). 전주 부윤(全州府尹)을 지낸 이감(李堪)의 아버지로, 호조 참판(戶曹參判)에 추증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경주 , 인명>문사>유학
-
길안도정(吉安都正) - 이의(李義)
조선 전기의 종친. 세종(世宗)의 아홉 번째 서자인 영해군(寧海君) 이당(李瑭)의 아들로, 상당부원군(上黨府院君) 한명회(韓明澮)의 딸과 혼인함.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종친
-
길안정(吉安正) - 이의(李義)
조선 전기의 종친. 세종(世宗)의 아홉 번째 서자인 영해군(寧海君) 이당(李瑭)의 아들로, 상당부원군(上黨府院君) 한명회(韓明澮)의 딸과 혼인함.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종친
-
길야은(吉冶隱) - 길재(吉再)
고려 우왕(禑王)~조선 세종(世宗) 때의 문신ㆍ학자. 이색(李穡)ㆍ정몽주(鄭夢周)ㆍ권근(權近) 등에게 수학하였고, 이색ㆍ정몽주와 함께 고려의 삼은(三隱)으로 일컬어짐.
1353~1419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선산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길야은문집(吉冶隱文集) - 야은집(冶隱集)
고려 우왕(禑王)~조선 세종(世宗) 때의 문신ㆍ학자인 길재(吉再)의 시문집. 문인 박서생(朴瑞生)이 초간하였다고 하나 전하지 않고, 1573년(선조 6) 길재의 5대손 길회(吉誨)가 《야은선생행록(冶隱先生行錄)》을 간행한 이후 속집 등이 다양하게 복간됨.
1573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선산 , 문헌>서명
-
길원(吉元) - 정유길(鄭惟吉)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동래(東萊)로, 영의정(領議政) 정광필(鄭光弼)의 손자. 우의정(右議政)ㆍ좌의정(左議政) 등을 지내고, 시문(詩文)과 서예 등에 뛰어나 임당체(林塘體)라는 평을 받음.
1515~1588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길원(吉遠) - 신희남(愼喜男)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거창(居昌). 붕당을 싫어하여 자청해서 금산 군수(金山郡守)로 나갔다가 벼슬을 버리고 고향에 내려갔으며, 시와 글씨에 뛰어나 한호(韓濩)에게 서예를 가르침.
1517~1591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영암 , 인명>관인>문신
-
길원군(吉源君) - 권벌(權橃)
조선 연산군(燕山君)~명종(明宗)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안동(安東). 예조 판서(禮曹判書)ㆍ우찬성(右贊成) 등을 지내고 위사공신(衛社功臣)에 올랐으나, 양재역 벽서사건(良才驛壁書事件)에 연루되어 삭주(朔州)로 유배된 뒤 죽음.
1478~1548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ㅣ경상도>봉화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길재(吉哉)@황윤길 - 황윤길(黃允吉)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장수(長水). 1590년(선조 23) 통신정사(通信正使)로 일본에 다녀와 일본의 내침을 예견하고 대책을 강구하였으나, 김성일(金誠一)의 상반된 주장으로 뜻을 이루지 못함.
1536~?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길재(吉哉) - 권상(權常)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 전생서 참봉(典牲署參奉) 권진(權振)의 아들로, 1528년(중종 23) 진사시(進士試)에 입격하여 선공감 정(繕工監正)ㆍ동지중추부사(同知中樞府事)를 지냄. 후에 영의정(領議政) 동흥부원군(東興府院君)에 추증됨.
1508~1589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길적(吉賊) - 길삼봉(吉三峯)
조선 선조(宣祖) 때의 도적. 정여립(鄭汝立)과 역모를 주도한 인물로 알려졌지만 실제 흔적을 찾을 수 없고, 최영경(崔永慶)이 길삼봉으로 오인 받아 죽임을 당함.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천안 , 인명>기타인명>도적
-
길주군(吉州君) - 권규(權跬)
조선 태종(太宗명)~세종(世宗)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 태종의 삼녀 경안공주(慶安公主)와 결혼하여 길천군(吉川君)에 봉해짐.
1393~1421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ㅣ인명>왕실>인척
-
길지(吉之) - 오희길(吳希吉)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인ㆍ문신. 본관은 나주(羅州). 김인후(金麟厚)ㆍ정여립(鄭汝立)의 문인으로, 정여립의 모반사건에 연루되었으나 절교한 것이 드러나 풀려남. 임진왜란 때 태조(太祖)의 어진(御眞) 등을 보전한 공로로 위성공신(衛聖功臣)에 책록됨. 저서로《도동연원록(道東淵源錄)》이 있음.
1556~1623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나주ㅣ전라도>고창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길창(吉昌) - 안동(安東)
경상북도 중북부에 있는 고을 이름. 경주(慶州)와 함께 경상좌도(慶尙左道)의 대읍(大邑)으로 정치ㆍ행정ㆍ문화의 중심지 역할을 하였으며, 유교 문화의 본고장임.
경상도>안동 , 지명>행정지명
-
길창군(吉昌君)@권협 - 권협(權悏)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으로, 동지중추부사 권상(權常)의 아들. 《명종실록(明宗實錄)》 편찬에 참여하고, 정유재란(丁酉再亂) 때 고급사(告急使)로 명(明) 나라에 가서 원병을 청함.
1553~1618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부평ㅣ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길창군(吉昌君)@권걸 - 권걸(權傑)
조선 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으로, 길창부원군(吉昌府院君) 권람(權攬)의 아들. 동지중추부사(同知中樞府事)ㆍ경주 부윤(慶州府尹)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길창군(吉昌君)@권근 - 권근(權近)
고려 공민왕(恭愍王)~조선 태종(太宗) 때의 문신ㆍ학자. 영가부원군(永嘉府院君) 권보(權溥)의 증손. 《예기(禮記)》를 중시하여 강상(綱常)의 확립을 통한 왕권 강화에 기여하고, 이황(李滉)ㆍ장현광(張顯光) 등에게 학문적으로 영향을 줌.
1352~1409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길창군(吉昌君)@권람 - 권람(權攬)
조선 문종(文宗)~세조(世祖) 때의 문신. 계유정난(癸酉靖難) 때 세조 즉위의 기반을 마련함. 《국조보감(國朝寶鑑)》ㆍ《동국통감(東國通鑑)》 편찬에 참여함.
1416~1465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길창군(吉昌君)@권적 - 권적(權適)
고려 충혜왕(忠惠王)~공민왕(恭愍王)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 길창부원군(吉昌府院君) 권준(權準)의 아들.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길창군(吉昌君)@권준 - 권준(權準)
고려 충선왕(忠宣王)~충혜왕(忠惠王)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 길창부원군(吉昌府院君) 권준(權準)의 아들.
1280~1352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길창군(吉昌君) - 권규(權跬)
조선 태종(太宗명)~세종(世宗)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 태종의 삼녀 경안공주(慶安公主)와 결혼하여 길천군(吉川君)에 봉해짐.
1393~1421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ㅣ인명>왕실>인척
-
길창군공(吉昌郡公) - 권행(權幸)
고려 태조(太祖) 때의 문신ㆍ공신. 안동 권씨(權氏)의 시조. 930년(태조 13)에 후백제군을 무찌르는 데 공을 세워 태조로부터 권씨(權氏) 성(姓)을 하사받음.
한국>고려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길창부원군(吉昌府院君)@권협 - 권협(權悏)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으로, 동지중추부사 권상(權常)의 아들. 《명종실록(明宗實錄)》 편찬에 참여하고, 정유재란(丁酉再亂) 때 고급사(告急使)로 명(明) 나라에 가서 원병을 청함.
1553~1618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부평ㅣ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길창부원군(吉昌府院君)@권근 - 권근(權近)
고려 공민왕(恭愍王)~조선 태종(太宗) 때의 문신ㆍ학자. 영가부원군(永嘉府院君) 권보(權溥)의 증손. 《예기(禮記)》를 중시하여 강상(綱常)의 확립을 통한 왕권 강화에 기여하고, 이황(李滉)ㆍ장현광(張顯光) 등에게 학문적으로 영향을 줌.
1352~1409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길창부원군(吉昌府院君)@권람 - 권람(權攬)
조선 문종(文宗)~세조(世祖) 때의 문신. 계유정난(癸酉靖難) 때 세조 즉위의 기반을 마련함. 《국조보감(國朝寶鑑)》ㆍ《동국통감(東國通鑑)》 편찬에 참여함.
1416~1465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길창부원군(吉昌府院君)@권준 - 권준(權準)
고려 충선왕(忠宣王)~충혜왕(忠惠王)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 길창부원군(吉昌府院君) 권준(權準)의 아들.
1280~1352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길창부원군(吉昌府院君)@권제 - 권제(權踶)
조선 태종(太宗)~세종(世宗)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 《고려사》편찬에 참여하고, 정인지(鄭麟趾)ㆍ안지(安止) 등과 〈용비어천가〉를 지음.
1387~1445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길창부원군(吉昌府院君) - 권적(權適)
고려 충혜왕(忠惠王)~공민왕(恭愍王)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 길창부원군(吉昌府院君) 권준(權準)의 아들.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길천군(吉川君)@권반 - 권반(權盼)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으로, 윤국형(尹國馨)의 문인(門人). 경상도 관찰사(慶尙道觀察使)가 되어 지방행정을 잘 다스려 길천군(吉川君)에 봉해졌으며, 형조 판서(刑曹判書) 등을 역임함.
1564~1631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길천군(吉川君) - 권규(權跬)
조선 태종(太宗명)~세종(世宗)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 태종의 삼녀 경안공주(慶安公主)와 결혼하여 길천군(吉川君)에 봉해짐.
1393~1421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ㅣ인명>왕실>인척
-
길통(吉通) - 김길통(金吉通)
조선 세종(世宗)~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청풍(淸風). 1432년(세종 14) 식년시(式年試) 문과(文科)에 장원급제한 뒤 호조 판서(戶曹判書) 등을 지내고, 성종 때 좌리공신(佐理功臣)에 책록되어 월천군(月川君)에 봉해짐.
1408~1473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청풍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길흉경조지식(吉凶慶弔之式) - 길흉경조제규(吉凶慶弔諸規)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인 김성일(金誠一)이 지은 길흉경조사에 대한 법규서. 같은 시기에 지은 〈봉선제규(奉先諸規)〉와 함께 의례에 대한 법식이 정리되어 있음.
1587 한국>조선전기 , 문헌>서명
-
길흉제규(吉凶諸規) - 길흉경조제규(吉凶慶弔諸規)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인 김성일(金誠一)이 지은 길흉경조사에 대한 법규서. 같은 시기에 지은 〈봉선제규(奉先諸規)〉와 함께 의례에 대한 법식이 정리되어 있음.
1587 한국>조선전기 , 문헌>서명
-
김감로(金甘露) - 둔우(屯雨)
고려 말~조선 초의 승려ㆍ시인. 혼수(混修)ㆍ각운(覺雲)의 고제(高弟). 이색(李穡)ㆍ이숭인(李崇仁) 등과 교유하였으며, 조선 세종(世宗) 때에 회암사(檜巖寺)와 흥천사(興天寺)의 주지를 지냈음.
1357~?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청송ㅣ경기도>양주 , 인명>종교인>승려ㅣ인명>문사>문인
-
김감역(金監役) - 김익휘(金益輝)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광주(光州). 의정부 우참찬(議政府右參贊)을 지낸 김개(金鎧)의 아들로, 음보로 사산감역(四山監役)을 지냈으며 효행으로 이름이 남.
1533~1591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광산 , 인명>관인>문신
-
김강숙(金剛叔) - 김성원(金成遠)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 김인후(金麟厚)와 임억령(林億齡)의 문인(門人). 동복 현감(同福縣監)으로 있을 때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의병과 제휴하여 현민(縣民)을 잘 보호하였으나, 정유재란(丁酉再亂) 때 어머니와 피신하던 중 왜적에게 살해됨.
1525~1597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창평ㅣ전라도>광산 , 인명>관인>문신ㅣ인명>문사>학자
-
김개륭(金愷隆) - 희강왕(僖康王)
신라 제43대 국왕. 재위 836~838. 익성대왕(翌成大王)으로 추봉된 김헌정(金憲貞)의 아들. 흥덕왕(興德王)이 죽은 뒤 김균정(金均貞)과 왕위를 다투었으나 시중(侍中) 김명(金明)의 추대로 즉위함. 후에 김명이 난을 일으키자 자살함.
?~838 한국>통일신라 , 경상도>경주 , 인명>왕실>국왕
-
김거경(金居敬) - 김흠(金欽)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 전력부위(展力副尉) 김승석(金承碩)의 아들. 청주 목사(淸州牧使)를 지냈으며,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왜적을 맞아 항전도중 순절하여 선무원종공신(宣武原從功臣)에 녹훈됨.
1537~1592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김건운(金乾運) - 혜공왕(惠恭王)
신라 제36대 국왕. 재위 765~780. 경덕왕(景德王)의 장남으로 8세에 즉위함. 재위 중 천재지변이 자주 일어나고 흉년이 들었는데도 사치와 음탕한 생활을 일삼음. 780년 김지정(金志貞)의 난을 진압하는 도중에 피살당함.
756~780 한국>통일신라 , 경상도>경주 , 인명>왕실>국왕
-
김경로(金慶老) - 김희년(金禧年)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김해(金海). 김자용(金自鎔)의 아들이고, 조식(曺植)의 문인(門人). 정미사화(丁未士禍)에 연루되어 유배되었다가 복권되어 통례(通禮)를 지냄.
1534~1592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김경숙(金敬叔) - 김근공(金謹恭)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학자. 김모(金瑁)의 서자로, 박응남(朴應男) 등과 함께 이중호(李仲虎)의 문하에서 수학함. 양명학(陽明學)에 조예가 깊었음.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학자
-
김경신(金敬信) - 원성왕(元聖王)
신라의 제38대 국왕. 재위 785~798. 선덕왕(宣德王)이 즉위하는데 공을 세웠으며 선덕왕 사후 김주원(金周元)과의 왕위다툼에서 승리하여 즉위하였음. 독서삼품과(讀書三品科)를 설치하는 등 개혁정치를 함.
?~798 한국>통일신라 , 경상도>경주 , 인명>왕실>국왕
-
김경신(金敬愼) - 원성왕(元聖王)
신라의 제38대 국왕. 재위 785~798. 선덕왕(宣德王)이 즉위하는데 공을 세웠으며 선덕왕 사후 김주원(金周元)과의 왕위다툼에서 승리하여 즉위하였음. 독서삼품과(讀書三品科)를 설치하는 등 개혁정치를 함.
?~798 한국>통일신라 , 경상도>경주 , 인명>왕실>국왕
-
김경엄(金景嚴) - 김규(金戣)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희천(熙川). 의주 목사(義州牧使) 김백순(金伯醇)의 아들로, 홍문관 수찬(弘文館修撰)ㆍ사간원 사간(司諫院司諫)을 지냄.
1531~1580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김경원(金慶源) - 김수생(金水生)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무신. 군자시 주부(軍資寺主簿)를 거쳐 부령 부사(富寧府使)ㆍ고령 첨사(高靈僉使) 등을 지냈으며, 노수신(盧守愼)과 교유함.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무신
-
김경인(金景仁) - 김사원(金士元)@조선후기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 이황(李滉)의 문인(門人)으로,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의병을 규합하여 정제장(整濟將)으로 추대됨.
1539~1602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의성 , 인명>관인>문신
-
김경추(金景鄒) - 김정오(金定旿)
조선 순조(純祖) 때의 유학. 본관은 김해(金海). 김존정(金存正)의 아들. 김일손(金馹孫)의 후손으로 이름을 경추(景鄒)에서 정오(定旿)로 고침.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김해 , 인명>문사>유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