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김순초(金順初) - 김제갑(金悌甲)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 이황(李滉)의 문인으로,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영원산성(領原山城)에서 순절(殉節)함.
1525~1592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김시언(金時言) - 김시양(金時讓)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으로, 비안 현감(庇安縣監) 김인갑(金仁甲)의 아들. 판중추부사(判中樞府事) 등을 지내고, 1636년(인조 14) 청백리에 뽑힘. 《하담파적록(荷潭破寂錄)》ㆍ《하담집(荷潭集)》ㆍ《부계기문(涪溪記聞)》 등을 남김.
1581~1643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충주 , 인명>관인>문신
-
김신원(金信元)@김이원 - 김이원(金履元)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본관은 선산(善山). 대북(大北)에 속하여 임해군(臨海君)을 사사(賜死)하게 하고 소북(小北)을 제거하기 위한 계축옥사(癸丑獄事)를 잘 다스려 익사공신(翼社功臣)에 책훈됨.
1553~1614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선산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김신재(金愼齋) - 김집(金集)
조선 광해군(光海君)~효종(孝宗)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광산(光山). 김장생(金長生)의 아들로, 예학(禮學)을 대성시킴. 대사헌(大司憲)ㆍ좌찬성(左贊成) 등을 지내고, 효종과 북벌(北伐)을 계획함.
1574~1656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연산ㅣ서울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김심맥부(金深麥夫) - 진흥왕(眞興王)
신라 제24대 왕. 재위 540~576. 법흥왕(法興王)의 동생인 입종갈문왕(立宗葛文王)의 아들. 한반도의 중심인 한강(漢江) 유역을 차지하고, 신라 최대의 영토를 확장하여 4개의 순수비(巡狩碑)를 세웠으며, 《국사(國史)》를 편찬하고, 화랑도(花郞徒)를 만드는 등 삼국 통일의 기반을 형성함.
534~576 한국>신라 , 경상도>경주 , 인명>왕실>국왕
-
김안국(金安國)@김안정 - 김안정(金安鼎)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공조 참의를 지낸 김흔(金訢)의 아들로, 도승지와 이조 참판, 개성부 유수(開城府留守) 등을 역임함.
1476~1533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연안 , 인명>관인>문신
-
김약봉(金藥峯) - 김극일(金克一)@1522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의성(義城). 김진(金璡)의 아들이고 김성일(金誠一)의 형. 이황(李滉)의 문인으로 성주 목사(星州牧使)ㆍ밀양 부사(密陽府使) 등을 지냄.
1522~1602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김양경(金良鏡) - 김인경(金仁鏡)
고려 명종(明宗)~고종(高宗) 때의 문신. 고종 때 거란군의 토벌에 공을 세웠으며, 시부(詩賦)를 잘하여 ‘양경시부(良鏡詩賦)’라 칭송됨.
?~1235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경주 , 인명>관인>문신
-
김양수(金楊燧) - 김양보(金楊普)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선산(善山). 고려 공양왕(恭讓王) 때 예의 판서(禮儀判書)를 지낸 김주(金澍)의 아들로, 문경 현감(聞慶縣監)ㆍ선위사(宣慰使)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선산 , 인명>관인>문신
-
김언륜(金彦倫) - 김충효(金忠孝)
조선 전기의 유학. 고경명(高敬命)의 《제봉집(霽峯集)》에 〈서하석상집고구취증김언륜(棲霞席上集古句醉贈金彦倫)〉이라는 시가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유학
-
김언신(金彦莘) - 김언신(金彦辛)
조선 세조(世祖)~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강릉(江陵). 1477년(성종 8)에 유자광(柳子光)의 사주를 받아 도승지(都承旨) 현석규(玄錫圭)를 탄핵하였다가 하옥되었고, 사헌부 지평(司憲府持平) 등을 지냄.
1436~? 한국>조선전기 , 강원도>강릉 , 인명>관인>문신
-
김언유(金彦諭) - 김언겸(金彦謙)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김해(金海). 병절교위(秉節校尉) 김인손(金仁孫)의 아들. 아들 김현성(金玄成)까지 2대에 걸쳐 대과에 급제함. 원주 목사(原州牧使)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고양 , 인명>관인>문신
-
김여가(金汝嘉) - 김성장(金成章)
조선 선조(宣祖) 때의 유학. 선조(先祖)인 동촌(桐村) 김린(金麟)이 은거했던 곳에 동백정(冬栢亭)을 세웠는데, 박광전(朴光前)이 쓴 〈동백정기(冬栢亭記)〉가 《죽천집(竹川集)》에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장흥 , 인명>문사>유학
-
김여강(金汝强) - 김언욱(金彦勖)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의주(義州)로 파천(播遷)하는 선조(宣祖)를 호종하였음. 정철(鄭澈)ㆍ조헌(趙憲) 등과 교유함.
1545~1596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담양 , 인명>관인>문신
-
김여주(金汝舟) - 왕백(王伯)
고려 충렬왕(忠烈王)~충정왕(忠定王) 때의 문신. 신라 태종무열왕(太宗武烈王)의 후손으로, 왕씨는 사성(賜姓).
1277~1350 한국>고려후기 , 전라도>전주ㅣ강원도>강릉 , 인명>관인>문신
-
김연(金緣)@김인존 - 김인존(金仁存)
고려 선종(宣宗)~인종(仁宗) 때의 문신ㆍ학자. 학문과 문장이 뛰어나 중국에 여러 번 사신으로 다녔으며, 중요한 국사(國事)마다 왕의 자문역을 했음.
?~1127 한국>고려전기 , 강원도>강릉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김연경(金鍊卿) - 김수(金粹)
조선 전기의 유학. 진사(進士) 김경운(金慶雲)의 아버지로, 주세붕(周世鵬)과 교유함.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유학
-
김영돈(金永旽) - 김영돈(金永暾)
고려 충렬왕(忠烈王)~충목왕(忠穆王) 때의 무신. 김방경(金方慶)의 손자로 조적(曺頔)의 난에 공을 세워 공신이 됨.
1285~1348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무신
-
김영해(金寧海) - 김수생(金水生)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무신. 군자시 주부(軍資寺主簿)를 거쳐 부령 부사(富寧府使)ㆍ고령 첨사(高靈僉使) 등을 지냈으며, 노수신(盧守愼)과 교유함.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무신
-
김완계(金浣溪) - 김희년(金禧年)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김해(金海). 김자용(金自鎔)의 아들이고, 조식(曺植)의 문인(門人). 정미사화(丁未士禍)에 연루되어 유배되었다가 복권되어 통례(通禮)를 지냄.
1534~1592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김용수(金龍樹) - 김용춘(金龍春)
신라 진지왕(眞智王)의 아들. 어머니는 지도부인(知道夫人) 박씨. 태종 무열왕(太宗武烈王)의 아버지로, 654년(태종무열왕 1) 4월 무열왕에 의해 문흥대왕(文興大王)으로 추봉됨.
한국>신라 , 경상도>경주 , 인명>왕실>종친ㅣ인명>왕실>국왕
-
김우징(金祐徵) - 신무왕(神武王)
신라 제45대 왕. 재위 839년. 원성왕(元聖王)의 증손이며 희강왕(僖康王)의 종제(從弟). 839년(민애왕 2)에 장보고(張保皐)의 지원을 받아 왕위에 올랐으나 같은 해 7월에 병사함.
?~839 한국>통일신라 , 경상도>경주 , 인명>왕실>국왕
-
김운강(金雲江) - 김계(金啓)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부안(扶安)으로, 생원 김석옥(金錫沃)의 아들. 한어(漢語)에 능통하여 승문원 부제조로 발탁되었으며, 이황(李滉)ㆍ김인후(金麟厚)ㆍ기대승(奇大升)ㆍ이이(李珥) 등과 도학(道學)을 강론하였음.
1528~1574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부안 , 인명>관인>문신
-
김운보(金雲甫) - 김계(金啓)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부안(扶安)으로, 생원 김석옥(金錫沃)의 아들. 한어(漢語)에 능통하여 승문원 부제조로 발탁되었으며, 이황(李滉)ㆍ김인후(金麟厚)ㆍ기대승(奇大升)ㆍ이이(李珥) 등과 도학(道學)을 강론하였음.
1528~1574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부안 , 인명>관인>문신
-
김운부(金雲夫) - 김계(金啓)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부안(扶安)으로, 생원 김석옥(金錫沃)의 아들. 한어(漢語)에 능통하여 승문원 부제조로 발탁되었으며, 이황(李滉)ㆍ김인후(金麟厚)ㆍ기대승(奇大升)ㆍ이이(李珥) 등과 도학(道學)을 강론하였음.
1528~1574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부안 , 인명>관인>문신
-
김원보(金元甫) - 김응인(金應寅)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양산(梁山). 김량(金亮)의 아들. 1558년(명종 13) 식년시(式年試)에 급제하여 해남 현감(海南縣監)ㆍ좌랑(佐郞) 등을 지냈고, 백광훈(白光勳)과 교유함.
1532~?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양산 , 인명>관인>문신
-
김원조(金原祖) - 김적(金積)
조선 전기의 문신. 김인후(金麟厚)가 지은 〈만김원조(挽金原祖)〉라는 시가 《하서집(河西集)》에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인명>관인>문신
-
김원충(金元冲) - 김정(金淨)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조광조(趙光祖)와 함께 정치개혁에 힘썼으나 기묘사화(己卯士禍)로 유배되었다가 신사무옥(辛巳誣獄)으로 인해 사사(賜死)됨.
1486~1521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경주 , 인명>관인>문신
-
김월봉(金月峯) - 김광원(金光遠)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학자. 본관은 영광(靈光)으로, 조광조(趙光祖)의 문인. 기묘사화(己卯士禍)로 조광조가 사사(賜死)되자, 장흥(長興)에 돌아와 학문에만 전념함.
1478~1550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장흥ㅣ서울 , 인명>문사>학자
-
김위원(金渭原) - 김효량(金孝良)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서흥(瑞興). 건재(健齋) 김천일(金千鎰)의 장인으로, 위원 군수(渭原郡守)를 지냄.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서흥 , 인명>관인>문신
-
김위홍(金魏弘) - 위홍(魏弘)
신라 경문왕(景文王)~진성여왕(眞聖女王) 때의 왕족ㆍ재상. 희강왕(僖康王)의 손자이며, 경문왕(景文王)의 동생. 각간(角干) 등의 관직을 맡아 정치ㆍ군사의 대권을 장악하고, 진성여왕(眞聖女王) 때는 왕의 작은아버지에다 정부(情夫)로 일세를 주름잡던 집권자.
?~888 한국>통일신라 , 경상도>경주 , 인명>관인>문신ㅣ인명>왕실>종친
-
김유관(金游觀) - 김흥근(金興根)
조선 순조(純祖)~고종(高宗)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으로, 이조 참판(吏曹參判) 김명순(金明淳)의 아들. 《헌종실록(憲宗實錄)》ㆍ《철종실록(哲宗實錄)》편찬에 참여하고, 영의정(領議政)을 지냄.
1796~1870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김유일재(金惟一齋) - 김언기(金彦璣)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학자. 본관은 광산(光山). 이황(李滉)의 문인으로, 도산(陶山) 근처에서 후진을 양성함. 이황이 죽은 후 여강(廬江)에 서원을 세우고, 백련사(白蓮寺)를 철거하는 등 숭유억불(崇儒抑佛)에 노력함.
1520~1588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예안 , 인명>문사>학자
-
김윤호(金允湖) - 김윤호(金允浩)
조선 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 안동 판관(安東判官)을 역임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김융기(金隆基) - 성덕왕(聖德王)
신라 제33대 왕. 재위 702~737. 신문왕(神文王)의 둘째 아들이며, 효소왕(孝昭王)의 동모제(同母弟). 정치적 안정을 바탕으로 사회 전반에 걸쳐 전성기를 누림.
?~737 한국>통일신라 , 경상도>경주 , 인명>왕실>국왕
-
김응(金凝) - 경문왕(景文王)
신라 제48대 왕. 재위 861~875. 재위 중에 천재지변(天災地變)이 많아 백성들이 곤궁함을 겪음.
?~875 한국>통일신라 , 경상도>경주 , 인명>왕실>국왕
-
김응렴(金凝廉) - 경문왕(景文王)
신라 제48대 왕. 재위 861~875. 재위 중에 천재지변(天災地變)이 많아 백성들이 곤궁함을 겪음.
?~875 한국>통일신라 , 경상도>경주 , 인명>왕실>국왕
-
김응렴(金膺廉) - 경문왕(景文王)
신라 제48대 왕. 재위 861~875. 재위 중에 천재지변(天災地變)이 많아 백성들이 곤궁함을 겪음.
?~875 한국>통일신라 , 경상도>경주 , 인명>왕실>국왕
-
김응룡(金應龍) - 김정룡(金廷龍)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본관은 의성(義城). 서계(西溪) 김담수(金聃壽)의 아들이며, 한강(寒岡) 정구(鄭逑)의 문인. 풍기 군수(豊基郡守)ㆍ이조 정랑(吏曹正郞)을 지냈음.
1561~1619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상주ㅣ경상도>의성 , 인명>관인>문신
-
김응린(金應麟)@김지연 - 김지연(金之衍)
고려 후기의 문신. 본관은 상주(尙州). 응교(應敎)를 지낸 김유(金逌)의 아들로, 한림학사(翰林學士) 등을 역임하였으며 협찬공신(協贊功臣)에 책록됨.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상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김응서(金應瑞) - 김경서(金景瑞)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무신. 본관은 김해(金海). 광해군(光海君) 때 명(明) 나라를 도와 후금(後金)을 치기 위해 부원수(副元帥)로 출정하였다가 패한 뒤 강홍립(姜弘立)과 함께 항복하였으며, 몰래 적정(敵情)을 기록하였다가 발각되어 처형됨.
1564~1624 한국>조선후기 , 평안도>용강 , 인명>관인>무신
-
김응선(金應善) - 김안경(金安慶)
조선 전기의 유학. 1577년(선조 10) 최인기(崔仁起)ㆍ정유성(鄭惟誠)ㆍ김안복(金安福)ㆍ김효원(金孝元) 등과 강원도 두타산(頭陀山)을 유람한 내용이 김효원의 《성암유고(省菴遺稿)》에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유학
-
김응수(金應綏) - 김안복(金安福)
조선 전기의 유학. 1577년(선조 10) 최인기(崔仁起)ㆍ정유성(鄭惟誠)ㆍ김안경(金安慶)ㆍ김효원(金孝元) 등과 강원도 두타산(頭陀山)을 유람한 내용이 김효원의 《성암유고(省菴遺稿)》에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유학
-
김의문(金義文) - 김약온(金若溫)
고려 예종(睿宗)~인종(仁宗) 때의 문신. 본관은 광산(光山). 김양감(金良鑑)의 아들로, 이자겸(李資謙)과 인척이면서도 가까이하지 않음. 벼슬이 문하시중(門下侍中)에 이름.
1059~1140 한국>고려전기 , 경기도>개성 , 인명>관인>문신
-
김이계(金伊溪) - 김우홍(金宇弘)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의성(義城). 삼척 부사(三陟府使) 김희삼(金希參)의 아들로, 나주 목사(羅州牧使)ㆍ광주 목사(光州牧使) 등을 지냄.
1522~1590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성주 , 인명>관인>문신
-
김이길(金而吉) - 김여경(金汝慶)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서장관(書狀官)으로 떠날 때 정탁(鄭琢)이 지어준 시가 《약포집(藥圃集)》에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인명>관인>문신
-
김이산(金尼山) - 김가기(金可幾)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경주(慶州). 군수 김천부(金天富)의 아들이며, 대곡(大谷) 성운(成運)의 문인(門人)이자 처조카. 성운(成運)의 문집을 간행하기 위해 시를 수집하였고 아들 김덕민(金德民)이 간행함.
1537~1597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보은 , 인명>관인>문신
-
김이옥(金爾玉) - 김새(金璽)
조선 전기의 유학. 《성암집(省菴集)》에 김효원(金孝元)과 주고받은 시가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유학
-
김이정(金而精)@김윤안 - 김윤안(金允安)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본관은 순천(順天). 현감 김박(金博)의 아들이며 유성룡(柳成龍)의 문인(門人)으로,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김해(金澥) 휘하에서 의병을 일으켜 활약함. 대사간(大司諫) 등을 지냄.
1560~1620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김이중(金而中) - 김권(金權)@조선후기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성혼(成渾)의 문인.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전주(全州)로 광해군을 호종한 공으로 청풍군(淸風君)에 봉해짐. 광해군 때 폐모론(廢母論)에 반대하다 강계(江界)ㆍ무안(務安)으로 유배되어 죽음.
1549~1622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청풍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김이화(金而和) - 김중청(金中淸)
조선 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으로, 김몽호(金夢虎)의 아들. 박승임(朴承任)ㆍ조목(趙穆)ㆍ정구(鄭逑)의 문인. 정언(正言)으로 폐모론을 반대하는 이원익(李元翼)을 탄핵하라는 대북파(大北派) 정인홍(鄭仁弘)의 부탁을 거절하자 파면됨.
1567~1629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봉화ㅣ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김인로(金仁老) - 김천령(金千齡)
조선 성종(成宗)~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 본관은 경주(慶州)로, 김만균(金萬鈞)의 아버지. 사헌부 집의(司憲府執義)를 지냈으며, 《성종실록(成宗實錄)》의 편찬에 참여함.
1469~1503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경주 , 인명>관인>문신
-
김인산(金仁山) - 김이상(金履祥)@송
중국 송(宋)~원(元) 나라의 학자. 정주학(程朱學)을 연구하여 왕노재(王魯齋)ㆍ하북산(何北山)에게 사사하고, 주자(朱子)ㆍ황면재(黃勉齋)의 학통(學統)을 이어받아, 절학(浙學)을 중흥함.
1232~1303 중국>원ㅣ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김인손(金麟孫)@김미 - 김미(金亹)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삼척(三陟)으로, 제주 목사(濟州牧使) 김률(金硉)의 아들. 우승지ㆍ첨지중추부사 등을 역임하고, 명종 초에 《중종실록(中宗實錄)》 편찬에 참여함.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김인재(金認齋) - 김현도(金玄度)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예안(禮安). 김여정(金汝鼎)의 아들이며, 성혼(成渾)의 문인. 해주 목사(海州牧使) 재직 중 황해도 어사(黃海道御史) 김치(金緻)의 상소로 파직 당하였으나, 모함이었음이 드러나 복직되어 양재 찰방(良才察訪)을 지냄.
1551~?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예안 , 인명>관인>문신
-
김인준(金仁俊) - 김준(金俊)@고려
고려 고종(高宗)~원종(元宗) 때의 무신. 최우(崔瑀)에게 발탁된 후 최의(崔竩)를 죽이고 실권을 장악함. 탐학(貪虐)을 일삼다가 왕권 강화를 도모하던 원종(元宗)에 의해 참살됨.
?~1268 한국>고려후기 , 인명>관인>무신
-
김임보(金任甫) - 김홍민(金弘敏)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옥과 현감(玉果縣監)을 지낸 김범(金範)의 아들. 삼사(三司)를 거쳐 전한(典翰) 등을 역임함.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의병을 모아 상주(尙州)에서 적의 통로를 막아 적군이 통행로를 우회하게 하는 공을 세움.
1540~1594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상주 , 인명>관인>문신
-
김자(金滋) - 김숙자(金叔滋)
조선 세종(世宗)~성종(成宗) 때의 문신ㆍ학자. 스승인 길재(吉再)로부터 정몽주(鄭夢周)의 학통을 이어받아 이를 아들 김종직(金宗直)에게 잇게 함으로써 주자학을 발전시킴.
1389~1456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선산ㅣ경상도>밀양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김자수(金子粹) - 김자수(金自粹)
고려 공민왕(恭愍王) 때의 문신. 대사성(大司成)ㆍ충청도 관찰사(忠淸道觀察使) 등을 지내다가 고려가 망하자 안동에 은거하던 중 자결함. 문하에 박흥생(朴興生)ㆍ박흥거(朴興居) 등이 있음.
1350~1405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김자유(金子由)@김광철 - 김광철(金光轍)@조선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강릉(江陵). 예조 참판(禮曹參判) 등을 지내고, 《중종실록(中宗實錄)》ㆍ《인종실록(仁宗實錄)》의 편찬에 참여함. 심언광(沈彥光)ㆍ기준(奇遵) 등과 교유함.
1493~1550 한국>조선전기 , 강원도>강릉 , 인명>관인>문신
-
김적(金賊) - 김자점(金自點)
조선 광해군(光海君)~인조(仁祖) 때의 문신. 인조반정(仁祖反正)에 참여하였으나 궁중과의 유착, 매국적 행동 등으로 비난을 받고, 역모사건으로 인해 복주(伏誅)됨.
1588~1651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김전(佺) - 김전(金佺)
고려 고종(高宗)~원종(元宗) 때의 문신. 본관은 언양(彦陽). 문하시중을 지낸 김취려(金就礪)의 아들로, 문하시랑평장사(門下侍郞平章事)를 역임함.
?~1271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언양 , 인명>관인>문신
-
김점(金玷) - 김점(金坫)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부령(扶寧). 기대승(奇大升)의 큰아들인 기효증(奇孝曾)의 장인. 연은전 참봉(延恩殿參奉)을 역임함.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고부 , 인명>관인>문신
-
김정(金晸) - 헌강왕(憲康王)
신라 제49대 왕. 재위 875~886. 경문왕(景文王)의 아들로, 즉위 후 문치(文治)에 힘쓰고 불교(佛敎)를 숭상하여 표면적으로는 태평성대를 이루었으나, 이미 이때부터 신라는 쇠퇴기에 접어듦.
?~886 한국>통일신라 , 경상도>경주 , 인명>왕실>국왕
-
김정(金正) - 김원효(金元孝)
조선 전기의 유학. 윤근수(尹根壽)의 《월정집(月汀集)》에 만사(挽詞)가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유학
-
김정명(金政明) - 신문왕(神文王)
신라 제31대 왕. 재위 681~692. 문무왕(文武王)의 장자(長子). 국학을 창설하여 학문을 장려하고, 설총(薛聰)ㆍ강수(强首)와 같은 대학자를 등용함. 통일신라의 국가 제도를 완비하고 국왕의 권위를 확립함.
?~692 한국>통일신라 , 경상도>경주 , 인명>왕실>국왕
-
김정부(金正夫) - 김우용(金宇容)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의성(義城). 삼척 부사(三陟府使) 김희삼(金希參)의 아들로, 감찰(監察)ㆍ밀양 부사(密陽府使) 등을 지냄. 홍문관 부제학을 지낸 김우옹(金宇顒)의 형.
1538~1608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성주 , 인명>관인>문신
-
김정용(金挺庸) - 김정(金珽)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의성(義城). 김예범(金禮範)의 아들이며, 김정(金淨)의 문인(門人). 중부 참봉(中部參奉)에 제수되었으나 나아가지 않고, 호은정(壺隱亭)을 지어 놓고 소요함.
1508~1578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김정준(金廷俊) - 김정준(金貞俊)
고려 정종(靖宗)~문종(文宗) 때의 문신. 본관은 광주(光州). 김책(金策)의 아들로, 문하시랑동평장사(門下侍郞同平章事)를 지냄. 《고려사(高麗史)》에는 정(貞)이 정(廷)으로 되어 있음.
한국>고려전기 , 전라도>광산 , 인명>관인>문신
-
김제륭(金悌隆) - 희강왕(僖康王)
신라 제43대 국왕. 재위 836~838. 익성대왕(翌成大王)으로 추봉된 김헌정(金憲貞)의 아들. 흥덕왕(興德王)이 죽은 뒤 김균정(金均貞)과 왕위를 다투었으나 시중(侍中) 김명(金明)의 추대로 즉위함. 후에 김명이 난을 일으키자 자살함.
?~838 한국>통일신라 , 경상도>경주 , 인명>왕실>국왕
-
김제민(金齊閔)@김구용 - 김구용(金九容)
고려 공민왕(恭愍王)~우왕(禑王) 때의 문신ㆍ문인ㆍ학자. 본관은 안동(安東). 우왕 때 삼사 좌윤(三司左尹)으로 이숭인(李崇仁)ㆍ정도전(鄭道傳) 등과 북원(北元) 사절의 영접을 반대하다 죽주(竹州)로 귀양 감. 사장(詞章)에 뛰어나고, 특히 시(詩)로 유명함.
1338~1384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여주 , 인명>문사>학자ㅣ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김제배(金悌裵) - 희강왕(僖康王)
신라 제43대 국왕. 재위 836~838. 익성대왕(翌成大王)으로 추봉된 김헌정(金憲貞)의 아들. 흥덕왕(興德王)이 죽은 뒤 김균정(金均貞)과 왕위를 다투었으나 시중(侍中) 김명(金明)의 추대로 즉위함. 후에 김명이 난을 일으키자 자살함.
?~838 한국>통일신라 , 경상도>경주 , 인명>왕실>국왕
-
김제상(金堤上) - 박제상(朴堤上)
신라 내물왕(奈勿王)~눌지왕(訥祗王) 때의 충신(忠臣). 고구려에 볼모로 간 복호(卜好)와 왜에 볼모로 간 미사흔(未斯欣)을 구해낸 후 왜에 붙잡혔으나 충절을 지키다가 박다(博多)에서 순국함. 영해박씨(寧海朴氏)의 시조.
363~419 한국>신라 , 경상도>영해 , 인명>관인>문신
-
김종훤(金宗烜) - 우운(友雲)
고려 공민왕(恭愍王) 때의 승려. 시중(侍中) 김륜(金倫)의 아들. 어려서 출가하여 화엄종(華嚴宗)의 승려가 되었으며, 현수교관(賢首敎觀)을 깊이 익힘. 공민왕의 신임을 받아 이름 있는 여러 사찰의 주지를 맡음.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울산 , 인명>종교인>승려
-
김주(金州) - 김해(金海)
경상남도 동남부에 있는 고을 이름. 고대에 가락국(駕洛國)의 도읍지였음.
경상도>김해 , 지명>행정지명
-
김주도(金周道) - 김행(金行)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강릉(江陵). 김국평(金國枰)의 아들이고, 백인걸(白仁傑)ㆍ성수침(成守琛)의 문인(門人). 사도시 정(司䆃寺正)과 양주 목사(楊州牧使) 등을 지냄. 글씨와 무예에도 뛰어났음.
1532~1588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파주 , 인명>관인>문신
-
김주도호부(金州都護府) - 김해(金海)
경상남도 동남부에 있는 고을 이름. 고대에 가락국(駕洛國)의 도읍지였음.
경상도>김해 , 지명>행정지명
-
김주영(金珠永) - 김주영(金朱永)
고려 전기의 무신. 본관은 광주(光州). 김의원(金義元)의 아들로, 금오위 중랑장(金吾衛中郞將)을 역임하고 상장군(上將軍)에 추증됨.
한국>고려전기 , 전라도>광산 , 인명>관인>무신
-
김중거(金仲擧) - 김현(金鉉)
조선 전기의 유학. 유헌(游軒) 정황(丁熿)과 교유함.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유학
-
김중룡(金仲龍) - 김지대(金之岱)
고려 고종(高宗)~원종(元宗) 때의 문신. 청도김씨(淸道金氏)의 시조. 고종(高宗) 4년에 거란군이 침입하자 아버지를 대신해 출전함.
1190~1266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청도 , 인명>관인>문신
-
김중온(金仲昷) - 김언기(金彦璣)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학자. 본관은 광산(光山). 이황(李滉)의 문인으로, 도산(陶山) 근처에서 후진을 양성함. 이황이 죽은 후 여강(廬江)에 서원을 세우고, 백련사(白蓮寺)를 철거하는 등 숭유억불(崇儒抑佛)에 노력함.
1520~1588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예안 , 인명>문사>학자
-
김중회(金重晦) - 김계휘(金繼輝)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광산(光山). 동지의금부사(同知義禁府事)ㆍ예조 참판(禮曹參判)을 역임하였고, 동서 분당 때 당쟁 완화를 위하여 노력하였음.
1526~1582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광산 , 인명>관인>문신
-
김지(金祇) - 김지(金祉)
고려 공민왕(恭愍王) 때의 문신. 본관은 영광(靈光). 김사순(金思順)의 아들로, 1362년(공민왕 11) 문과에 급제함.
한국>고려후기 , 전라도>영광 , 인명>관인>문신
-
김지산(金芝山) - 김팔원(金八元)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강릉(江陵). 주세붕(周世鵬)ㆍ이황(李滉)의 문인으로, 예조 좌랑(禮曹佐郞)ㆍ용궁 현감(龍宮縣監) 등을 지냄.
1524~1589 한국>조선전기 , 강원도>강릉 , 인명>관인>문신
-
김지숙(金之淑)@김주정 - 김주정(金周鼎)
고려 원종(元宗)~충렬왕(忠烈王) 때의 문신ㆍ무신. 금오위대장군(金吾衛大將軍) 김경량(金鏡亮)의 아들로, 소용대장군 좌우부도통(昭勇大將軍左右副都統) 등을 역임하였고, 호두금패(虎頭金牌)를 하사받음.
?~1290 한국>고려후기 , 전라도>광산 , 인명>관인>무신ㅣ인명>관인>문신
-
김지숙(金止叔) - 김기(金圻)
조선 선조(宣祖) 때의 학자. 본관은 광산(光山). 이황(李滉)의 문인으로, 임진왜란 때 의병활동을 했으며, 도산서원(陶山書院)의 산장(山長)으로 《퇴계집(退溪集)》을 간행함.
1547~1603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예안 , 인명>문사>학자
-
김지지(金止止) - 김맹성(金孟性)
조선 성종(成宗)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해평(海平)으로, 김종직(金宗直)의 문인. 임사홍(任士洪)과 함께 현석규(玄錫圭)를 탄핵한 죄로 고령(高靈)에 유배된 후 향리로 돌아가 후진을 양성함.
1437~1487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성주ㅣ서울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김지해(金志海) - 김면(金沔)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의병장ㆍ학자. 경원 부사(慶源府使) 김세문(金世文)의 아들이며, 이황(李滉)의 문인(門人). 효렴(孝廉)으로 천거되어 공조 좌랑(工曹佐郞)에 임명되었으나 사퇴했으며, 임진왜란 때 의병을 규합하여 많은 전공(戰功)을 세움.
1541~1593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고령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김직부(金直夫) - 김덕해(金德獬)
조선 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으로, 충좌위 부사직(忠佐衛副司直)을 지낸 김치(金淄)의 아들. 진원 현감(珍原縣監)을 지내고, 고경명(高敬命)과 교유하였으며, 《제봉집(霽峯集)》에 그의 만사(挽詞)가 남아 있음.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김진원(金珍原) - 김만일(金萬鎰)
조선 전기의 문신. 하서(河西) 김인후(金麟厚)와 친구 관계로 진원 현감(珍原縣監)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진원 , 인명>관인>문신
-
김창원(金昌遠) - 김홍미(金弘微)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옥과 현감(玉果縣監)을 지낸 김범(金範)의 아들이며, 조식(曺植)과 유성룡(柳成龍)의 문인(門人). 이조 좌랑(吏曹佐郞) 재직 중 정여립(鄭汝立)의 모반사건에 연루되어 파면됨. 뒤에 복관되어 대사간(大司諫) 등을 역임함.
1557~1604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상주 , 인명>관인>문신
-
김천민(金天民) - 김농(金農)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풍산(豐山). 홍문관 수찬(弘文館修撰)을 지낸 김의정(金義貞)의 아들로 음보(蔭補)로 관직에 진출하여 사헌부 감찰(司憲府監察) 등을 지냄.
1534~1591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김첨추(金僉樞) - 김진려(金進礪)
조선 후기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 사평(司評)을 지낸 김이(金洢)의 아들. 김장생(金長生)의 아들인 김반(金槃)을 사위로 맞았으며, 첨지중추부사(僉知中樞府事) 등을 역임하였고, 송익필(宋翼弼)이 만년에 그의 집에서 우거함.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면천 , 인명>관인>문신
-
김청분(金淸玢) - 혼구(混丘)
고려 충렬왕(忠烈王)~충숙왕(忠肅王) 때의 승려. 일연(一然)의 제자로, 충숙왕 때 왕사(王師)가 되었으며 《가송잡저(歌頌雜著)》 등을 저술함.
1251~1322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밀양 , 인명>종교인>승려
-
김청풍(金淸風) - 김권(金權)@조선후기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성혼(成渾)의 문인.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전주(全州)로 광해군을 호종한 공으로 청풍군(淸風君)에 봉해짐. 광해군 때 폐모론(廢母論)에 반대하다 강계(江界)ㆍ무안(務安)으로 유배되어 죽음.
1549~1622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청풍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김춘추(金春秋) - 태종무열왕(太宗武烈王)
신라 제29대 왕. 재위 654~661. 신라 최초의 진골(眞骨) 출신 왕으로, 당(唐) 나라와 연합하여 백제(百濟)를 멸망시킴으로써 삼국통일(三國統一)의 기틀을 마련함.
604~661 한국>신라 , 경상도>경주 , 인명>왕실>국왕
-
김충(金忠) - 남민(南敏)
신라 경덕왕(景德王) 때의 귀화인. 중국 당(唐) 나라 사람 김충(金忠)으로, 풍랑을 만나 영양(英陽)에 정착한 후 신라에서 성과 이름을 내림. 영양(英陽)ㆍ의령(宜寧)ㆍ고성(固城) 남씨(南氏)의 시조.
한국>통일신라 , 중국ㅣ경상도>영해 , 인명>기타인명>귀화인
-
김충공(金忠恭) - 선강대왕(宣康大王)
통일신라 제44대 민애왕(閔哀王)의 아버지. 민애왕 즉위 후 선강대왕(宣康大王)에 봉해짐. 상대등(上大等)을 지냄.
?~835 한국>통일신라 , 경상도>경주 , 인명>왕실>종친ㅣ인명>왕실>국왕
-
김충암(金冲庵) - 김정(金淨)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조광조(趙光祖)와 함께 정치개혁에 힘썼으나 기묘사화(己卯士禍)로 유배되었다가 신사무옥(辛巳誣獄)으로 인해 사사(賜死)됨.
1486~1521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경주 , 인명>관인>문신
-
김탄(金坦)@진성여왕 - 진성여왕(眞聖女王)
신라의 제51대 왕. 재위 887~897. 경문왕(景文王)의 딸이자 헌강왕(憲康王)ㆍ정강왕(定康王)의 누이동생. 재위기간 동안 나라가 혼란에 빠지고 후삼국으로 다시 나뉨. 각간(角干) 위홍(魏弘) 등에게 향가집 《삼대목(三代目)》을 편찬하게 함.
?~897 한국>통일신라 , 경상도>경주 , 인명>왕실>국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