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무왕(武王)@주
중국 주(周) 나라의 제1대 왕. 재위 B.C.1046~ B.C.1043. 목야(牧野)에서 은(殷) 나라 주왕(紂王)의 대군을 격파하여 은 나라를 멸망시키고 주 나라를 창건함.
중국>주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무외(無畏)
고려 후기 천태종(天台宗)의 승려. 1302년(충렬왕 28) 묘련사(妙蓮社)의 제3세 법주(法主)가 되고, 1313년(충선왕 5) 국통(國統)으로 책봉됨. 원혜 경의(圓慧景宜)ㆍ순암 의선(順菴義璇)과 함께 묘련사파 승려로 불림. .
한국>고려후기 , 인명>종교인>승려
-
무원(婺源)
중국 안휘성(安徽省)에 속하는 고을 이름. 남북조시대(南北朝時代)에는 신안군(新安郡)에 속했음.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지명>행정지명
-
무원형(武元衡)
중국 당(唐) 헌종(憲宗) 때의 재상(宰相). 813년(원화 8)에 이길보(李吉甫)와 함께 재상이 되어 번진세력(藩鎮勢力)을 약화시킴. 이사도(李師道)가 보낸 자객에 의해 피살됨.
758~815 중국>당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무위집(無爲集)
중국 송(宋) 나라 인종(仁宗)~철종(哲宗) 때의 문신ㆍ학자인 양걸(楊傑)의 시문집(詩文集). 15권. 1143년(고종 13) 지문위군사(知無爲軍事) 조사찬(趙士㣓)이 편차하여 판각함.
1143 중국>송 , 중국 , 문헌>서명
-
무이도가(武夷櫂歌)
중국 송(宋) 나라의 대유(大儒) 주희(朱熹)가 복건성(福建省)의 명산인 무이산(武夷山) 아홉 골짜기의 아름다움을 읊은 시(詩). 10수(首).
1184 중국>송 , 중국 , 문헌>작품명
-
무장(茂長)
전라북도 서남단에 위치한 고을 이름. 무송(茂松)과 장사(長沙)가 합쳐진 지명으로, 고창(高敞)에 병합됨.
전라도>무장 , 지명>행정지명
-
무쟁(無諍)
삼국시대 신라(新羅)의 승려. 국사(國師)에 추봉(追封)됨.
한국>신라 , 인명>종교인>승려
-
무정보감(武定寶鑑)
조선 개국 초기부터 예종(睿宗) 때까지의 내우외환(內憂外患)에 관한 사건을 수록한 책. 1469년(예종 1) 왕명으로 계감청(繼鑑廳)에서 편찬하고 신숙주(申叔舟)가 수교(讎校)하였으나, 현재는 전하지 않음.
1469 한국>조선전기 , 서울 , 문헌>서명
-
무제(武帝)@남북조(전조)
중국 남북조시대 전조(前趙)의 왕. 재위 310~318. 고조(高祖) 유연(劉淵)의 넷째 아들로, 형인 태자 유화(劉和)를 죽이고 왕위를 찬탈함. 즉위 후 진(晉) 나라를 공격하여 회제(懷帝)와 민제(愍帝)를 사로잡는 등 폭정을 일삼다가 국란(國亂) 속에 죽음.
?~318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무제(武帝)@남북조(양)
중국 남북조시대 양(梁) 나라의 초대 황제. 재위 502~549. 경릉팔우(竟陵八友) 중 한 사람이며, 불교를 신봉해 500여 개의 사찰을 세움.
464~549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무제(武帝)@남북조(송)
중국 남북조시대 송(宋) 나라의 제1대 황제. 재위 420~422. 동진(東晉)의 공제(恭帝)에게서 왕위를 찬탈하여 송 나라를 건국함.
363~422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무제(武帝)@남북조(후조)
중국 남북조시대(南北朝時代) 후조(後趙)의 제3대 황제. 재위 334~349. 고조(高祖) 석륵(石勒)을 도와 화북(華北)을 통일한 뒤 조카 석홍(石弘)을 죽이고 즉위함.
295~349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무제(武帝)@전한
중국 전한(前漢)의 제7대 황제. 재위 B.C.141~B.C.87. 흉노(匈奴)를 정벌하고 서역(西域)을 경략함.
B.C.156~B.C.87 중국>전한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무제(武帝)@남북조(晉)
중국 남북조시대 진(晉) 나라의 제1대 황제. 재위 265~290. 위(魏) 나라 원제(元帝)에게서 왕위를 찬탈하여 진 나라를 세운 뒤, 오(吳) 나라를 멸망시키고 중국을 통일함.
236~290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무제(武帝)@삼국(위)
중국 삼국시대 위(魏) 왕조를 세운 장군. 시부(詩賦) 등의 문재(文才)를 지녀 건안문단(建安文壇)을 영도(領導)함.
155~220 중국>삼국시대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왕실>국왕
-
무제(武帝)@남북조(제)
중국 남북조시대 제(齊) 나라의 제2대 황제. 재위 482~493. 태조(太祖) 소도성(蕭道成)의 맏아들로, 아버지를 도와 남제(南齊) 창업에 참여함. 즉위 후 제도가 정비되고 문학과 불교가 성행하는 등 치세(治世)를 이룸.
440~493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무제(武帝)@남북조(북주)
중국 남북조시대 북주(北周)의 제3대 황제. 재위 560~578. 우문태(宇文泰)의 넷째 아들로, 우문호(宇文護)가 명제(明帝)를 독살하고 옹립했는데, 후에 우문호를 제거하고 친정(親政)함. 재임 중에 북제(北齊)를 정벌하고 배불(排佛) 정책을 시행함.
?~578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무제(無際)
고려 말~조선 초의 승려. 원천석(元天錫)의 《운곡행록(耘谷行錄)》에 〈서무제권(書無際卷)〉이 수록되어 있음.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인명>종교인>승려
-
무종(武宗)@당
중국 당(唐) 나라의 제15대 황제. 재위 840~846. 목종(穆宗)의 다섯째 아들이며 문종(文宗)의 동생. 도교(道敎)를 신봉해 불교ㆍ경교(景敎)ㆍ마니교(摩尼敎) 등을 탄압함.
814~846 중국>당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무종(武宗)@명
중국 명(明) 나라의 제11대 황제. 재위 1505~1521. 홍치제(弘治帝)의 맏아들로, 학문을 좋아했지만 즉위한 후 유희에 빠져서 방탕한 생활로 국력을 낭비함.
1491~1521 중국>명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무종(武宗)@원
중국 원(元) 나라의 제7대 황제. 재위 1307~1311. 해도(海都)의 난을 평정한 뒤 아난답(阿難荅) 옹립을 꾀하는 몽골의 궁정관료파를 누르고 즉위함.
1281~1311 중국>원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무주(茂朱)
전라북도 북동부에 위치한 고을 이름. 신라 때의 무산현(茂山縣)과 고려 때의 주계현(朱溪縣)이 합해진 이름. 신라와 백제의 국경지대로, 두 나라 경계 관문이었던 나제통문(羅濟通門)이 남아 있음.
전라도>무주 , 지명>행정지명
-
무주일고(無住逸稿)
조선 광해군(光海君)~인조(仁祖) 때의 문신인 홍호(洪鎬)의 문집. 목판본. 6권 2책. 효종(孝宗) 또는 현종(顯宗) 연간에 아들 홍여하(洪汝河)가 편집하여 간행한 것으로 추측됨.
한국>조선후기 , 문헌>서명
-
무창(武昌)
중국 호북성(湖北省)에 있는 고을 이름. 삼국시대(三國時代) 오(吳) 나라 손권(孫權)이 처음 설치한 군(郡)으로, 적벽대전(赤壁大戰)이 벌어진 곳.
중국>삼국시대 , 중국 , 지명>행정지명
-
무하옹집(無何翁集)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인 이원손(李元孫)의 시문집. 목판본. 1751년(영조 27) 후손 이의집(李義集)이 편집ㆍ간행함. 윤봉조(尹鳳朝)의 서문과 이의철(李宜哲)의 발문, 유근(柳根)이 찬한 묘갈명(墓碣銘)이 실려 있음.
1751 한국>조선후기 , 문헌>서명
-
무협(巫峽)
중국 사천성(四川省) 중경시(重慶市)와 호북성(湖北省) 파동현(巴東縣) 사이에 있는 협곡. 장강삼협(長江三峽)의 하나.
중국 , 지명>자연지명
-
무후(武侯)
중국 춘추전국시대 진(晉) 나라의 제후. 진후(晉侯) 희섭(姬燮)의 아들이며, 성후(成侯)의 아버지.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왕실>제후
-
무후(繆侯)
중국 춘추전국시대(春秋戰國時代) 채(蔡) 나라의 제후. 여동생을 제(齊) 환공(桓公)에게 시집보냈는데, 여동생과 환공(桓公)의 불화(不和)로 제(齊) 나라의 공격을 받게 됨.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왕실>제후
-
무후사(武侯祠)
중국 남북조시대 진(晉) 나라 때 지금의 사천성(四川省) 성도(成都) 남쪽에 세운 사당. 원래 제갈량(諸葛亮)을 배향하였으나, 명(明) 나라 초에 소열묘(昭烈廟)와 통합하여 유비(劉備)를 함께 제향함. 중국 유일의 군신 합묘(君臣合廟).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유적>건물>사당
-
무후전서(武侯全書)
중국 명(明) 나라 신종(神宗) 때의 문신ㆍ학자인 왕사기(王士騏)가 제갈량(諸葛亮)의 사적(事跡) 및 후인들의 평론(評論)ㆍ시부(詩賦) 등을 모아 편찬한 책. 20권.
중국>명 , 중국 , 문헌>서명
-
묵가(墨家)
중국의 철학(哲學) 유파(流派)의 하나. 전국시대 초기의 사상가인 묵적(墨翟)이 창시한 것으로, 차별 없는 사랑의 실천인 겸애설(兼愛說)을 주장하였으나, 유가(儒家)의 사상과 배치되어 유교 사상가들로부터 맹렬한 공격을 받음.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사상>이론>학설
-
묵기(默記)
중국 송(宋) 나라 태종(太宗) 때의 학자 왕질(王銍)이 지은 잡서(雜書). 3권. 북송(北宋) 시대 조야(朝野)의 잡사(雜事)에 관한 내용이 많이 실려 있음.
중국>송 , 중국 , 문헌>서명
-
묵수성규(墨守成規)
묵적(墨翟)의 수비가 규례를 이룸. 중국 춘추전국시대 때 묵적이 공수반(公輸班)의 운제(雲梯)를 이용한 모의 공격 시험에서 아홉 번 모두 수성(守城)에 성공한 고사에서 유래한 말로, 후대에는 융통성 없이 낡은 규례를 고수함을 뜻함.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사상>술어>고사성어
-
묵자(墨子)
중국 춘추전국시대의 사상가인 묵자(墨子)와 그의 제자 및 후학들이 남긴 주요저술을 집대성한 총집(叢集). 15권. 묵자의 주요사상, 묵자와 제자들의 언행, 후대 묵가(墨家)의 학설 등을 담고 있음.
중국 , 문헌>서명
-
묵재유고(默齋遺稿)
중국 송(宋) 나라의 학자인 유구언(游九言)의 시문집(詩文集). 2권. 시(詩) 1권, 문(文) 1권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문은 평범하지만 시는 간혹 만당(晩唐)의 빼어난 운치가 있다는 평가를 받음.
중국>송 , 중국 , 문헌>서명
-
묵재일고(黙齋逸稿)
조선 선조(宣祖) 때의 학자인 박사희(朴士熹)의 시문집(詩文集). 2권. 1935년 후손인 박세기(朴世基)가 편집, 간행함.
1935 한국>근대 , 문헌>서명
-
묵적(墨翟)
중국 춘추전국시대 노(魯) 나라의 사상가. 묵가(墨家)의 창시자. 전국(戰國) 초기에 상현(尙賢)ㆍ상동(尙同)ㆍ겸애(兼愛) 등을 주장하여 실리적인 지역사회의 단결을 지향함.
B.C.480?~B.C.390?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묵헌집(默軒集)
고려 충렬왕(忠烈王) 때의 문신인 민지(閔漬)의 문집. 작자의 증손인 민안인(閔安仁)과 민유의(閔由誼)가 편찬하였으며, 현재는 일실되어 전하지 않음.
한국>조선전기 , 문헌>서명
-
문^규(文^奎)
문운(文運)을 주관하는 별이라는 의미의 문성(文星)과 역시 문운(文運)을 맡은 별인 규성(奎星)을 함께 부르는 말. 전하여 문단에서 명성을 날린 문인(文人)을 일컬음.
자연물>기타자연물
-
문^무(文^武)
중국 주(周) 나라의 문왕(文王)과 무왕(武王)을 함께 부르는 말. 또는 조선시대 관리 선발 시험인 문과(文科)와 무과(武科)를 함께 부르는 말.
중국>주ㅣ한국>조선시대 , 사상>술어>관용어
-
문갑(文甲)
중국 고대 요(堯)임금 시대의 전설상의 인물. 낙수(洛水) 가에서 은둔함.
고대 , 중국 , 인명>기타인명>은자
-
문걸(文傑)
조선 성종(成宗)~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 본관은 감천(甘泉). 문숭질(文崇質)의 아들로, 양양 부사(襄陽府使)를 지냈음.
?~1500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용궁 , 인명>관인>문신
-
문견전록(聞見前錄)
중국 송(宋) 나라의 문신ㆍ학자인 소백온(邵伯溫)의 저서. 20권. 소흥(紹興) 연간 이전까지의 송 나라 왕조의 여러 가지 일을 기록함.
1132 중국>송 , 중국 , 문헌>서명
-
문경(文璟)
고려 후기의 문신. 본관은 남평(南平)으로, 문달한(文達漢)의 아버지. 보리공신(輔理功臣)에 책록되고 문하찬성사(門下贊成事)를 지냈으며, 남평군(南平君)에 봉해짐.
한국>고려후기 , 전라도>남평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문경(聞慶)
경상북도 북서부에 위치한 고을 이름. 후삼국의 쟁패기 때 후백제와 후고구려의 각축장이었으며, 임진왜란 이후에 국방상 요새가 되어 여러 산성이 축조됨.
경상도>문경 , 지명>행정지명
-
문경동(文敬仝)
조선 연산군(燕山君)~중종(中宗) 때의 문신ㆍ문인. 본관은 안동(安東). 문속명(文續命)의 아들로, 음주와 독서를 즐기고 문장에 능하였으며, 특히 사부(詞賦)에 뛰어남.
1457~1521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문경호(文景虎)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본관은 남평(南平)으로, 정인홍(鄭仁弘)의 문인. 임진왜란 때 곽재우(郭再祐)와 함께 의병으로 활동하였으나, 김천 찰방(金泉察訪)으로 있을 때 스승을 배반했다 하여 삭탈관직을 당함.
1556~1620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합천 , 인명>관인>문신
-
문계창(文繼昌)
조선 연산군(燕山君)~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남평(南平). 탁월한 무재(武才)로써 왜구를 물리친 공으로 창원 부사(昌原府使)로 발탁됨.
?~1522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남평 , 인명>관인>문신
-
문곡집(文谷集)
조선 효종(孝宗) 때의 문신인 김수항(金壽恒)의 문집. 활자본. 28권 13책. 아들인 김창집(金昌集)과 김창협(金昌協)이 주도하여 1699년(숙종 25)에 운각활자(芸閣活字)를 빌려 간행함.
1699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강화 , 문헌>서명
-
문공(文公)@춘추전국(등)
중국 춘추전국시대 등(滕) 나라의 제후. 정공(定公) 아들로, 맹자(孟子)에게 일련의 왕도정치에 대한 자문을 받고, 인정(仁政)과 예제(禮制)를 시행하고 교육을 진작시켰으며, 세금개혁 등을 실행함.
?~B.C.318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왕실>제후
-
문공(文公)@춘추전국(노)
중국 춘추전국시대 노(魯) 나라의 제후. 재위 B.C.626~B.C.609. 희공(僖公)의 아들. 상중(喪中)에 장가가고, 종묘에 삭일(朔日)을 고유(告由)하는 제사에 참석하지 않는 등 구례(舊例)를 따르지 않아서 공자 및 후세 유학자들의 비판을 받음.
B.C.693~B.C.609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왕실>제후
-
문공(文公)@춘추전국(정)
중국 춘추전국시대 정(鄭) 나라의 제후. 재위 B.C.672~B.C.637. 여공(厲公)의 아들로, 진(晉) 나라 문공(文公)이 망명할 때에 잘 접대하지 않고 치욕을 주어 문공이 중원의 패자가 된 후에 소인배로 지목받아 토벌 대상이 됨.
?~B.C.637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왕실>제후
-
문공(文公)@춘추전국(晉)
중국 춘추전국시대 진(晉) 나라의 제후. 재위 B.C.635~B.C.628. 춘추오패(春秋五覇)의 한 사람으로, 제(齊) 환공(桓公)에 이어 제후들의 패자(覇者)가 됨.
?~B.C.628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왕실>제후
-
문공(文公)@춘추전국(衛)
중국 춘추전국시대(春秋戰國時代) 위(衛) 나라의 제후. 위(衛) 나라가 적(狄)의 침입으로 멸망의 위기에 처했을 때 제(齊) 환공(桓公)의 도움으로 왕위에 올라 위 나라를 부흥시킴.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왕실>제후
-
문공(文公)@춘추전국(陳)
중국 춘추전국시대 진(陳) 나라의 제후. 재위 B.C.754~B.C.745. 평공(平公)의 아들이며, 환공(桓公)과 여왕(厲王)의 아버지로, 평공을 계승하여 진 나라의 제후가 됨.
?~B.C.745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왕실>제후
-
문공어록(文公語錄)
중국 남송(南宋)의 문신ㆍ학자인 요덕명(廖德明)이 주희(朱熹)의 어록을 모아 엮은 책.
중국>송 , 중국 , 문헌>서명
-
문공원(文公元)
고려 예종(睿宗)~의종(毅宗) 때의 문신. 본관은 남평(南平). 우산기상시(右散騎常侍) 문익(文翼)의 둘째 아들로, 문하시랑동평장사(門下侍郞同平章事) 등을 지냈으며, 의종 묘정(廟庭)에 배향됨.
1084~1156 한국>고려전기 , 전라도>남평 , 인명>관인>문신
-
문공유(文公裕)
고려 숙종(肅宗)~의종(毅宗) 때의 문신. 본관은 남평(南平)으로, 우산기상시(右散騎常侍) 문익(文翼)의 아들. 합문지후(閤門祗侯)ㆍ집현전 태학사(集賢殿太學士) 등을 지내고, 인종(仁宗)의 묘정(廟庭)에 배향됨.
1088~1159 한국>고려전기 , 전라도>남평 , 인명>관인>문신
-
문공인(文公仁)
고려 예종(睿宗)~인종(仁宗) 때의 문신. 본관은 남평(南平)으로, 우산기상시(右散騎常侍) 문익(文翼)의 아들. 정지상(鄭知常)과 함께 묘청(妙淸)을 성인이라 추앙하고 서경(西京) 천도 주장에 동조하여 탄핵을 받고 좌천됨.
1065~1137 한국>고려전기 , 전라도>남평 , 인명>관인>문신
-
문과(文科)
조선시대에 문관(文官)을 선발하기 위해 실시한 과거. 3년에 한 번씩 실시한 식년시(式年試)는 초시(初試)ㆍ복시(覆試)ㆍ전시(殿試)의 3단계를 거쳐 33명을 급제자로 선발하고, 이 외에 증광시(增廣試)ㆍ별시(別試)ㆍ정시(庭試)ㆍ알성시(謁聖試)ㆍ춘당대시(春塘大試) 등의 비정규시가 있음.
한국>조선시대 , 법제>제도
-
문관(文瓘)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감천(甘泉). 양양 부사(襄陽府使)를 지낸 문걸(文傑)의 아들로, 장악원 첨정(掌樂院僉正)을 지냈음.
1475~1519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용궁 , 인명>관인>문신
-
문광서(文光瑞)
조선 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강성(江城). 문선동(文善仝)의 아들로, 문화 현령(文化縣令)을 지냈음.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단성 , 인명>관인>문신
-
문극(文▼(亻+克))
고려 전기의 문신. 본관은 남평(南平). 문다성(文多省)의 아들로, 문하좌시중(門下左侍中) 등을 지냄.
한국>고려전기 , 전라도>남평 , 인명>관인>문신
-
문극겸(文克謙)
고려 의종(毅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남평(南平)으로, 집현전 태학사(集賢殿太學士) 문공유(文公裕)의 아들. 중서시랑 평장사(中書侍郞平章事) 등을 지내고, 명종의 묘정(廟庭)에 배향됨.
1122~1189 한국>고려후기 , 전라도>남평 , 인명>관인>문신
-
문극순(文克純)
고려 의종(毅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남평(南平). 문공유(文公裕)의 아들이며, 문극겸(文克謙)의 아우. 의종 때 내사인(內舍人)이 되었다가 환관 정함(鄭諴)의 일로 인해 파직되고, 명종 때 내급사(內給事)를 지냄.
한국>고려후기 , 전라도>남평 , 인명>관인>문신
-
문극유(文克裕)
고려 경종(景宗) 때의 문신. 본관은 남평(南平). 이부 상서(吏部尙書)를 지낸 문중달(文仲達)의 아들로, 상주국 평장사(上柱國平章事)를 지냄.
한국>고려전기 , 전라도>남평 , 인명>관인>문신
-
문극이(文克易)
고려 후기의 문신. 본관은 남평(南平). 집현전 태학사(集賢殿太學士) 문공유(文公裕)의 아들이며 문극겸(文克謙)ㆍ문극순(文克純)의 아우로, 형 문극순과 함께 음직(蔭職)으로 벼슬함.
한국>고려후기 , 전라도>남평 , 인명>관인>문신
-
문극충(文克忠)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남평(南平). 문승욱(文承郁)의 아들이며, 문계창(文繼昌)의 아버지로, 사복시 첨정(司僕寺僉正)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남평 , 인명>관인>문신
-
문근(文瑾)
조선 연산군(燕山君)~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감천(甘泉). 영남 출신 사림파의 한 사람으로 훈구파와 사림파 사이를 조제(調劑)하는 역할을 함.
1471~?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용궁 , 인명>관인>문신
-
문급(文伋)
고려 전기의 무신. 본관은 남평(南平)으로, 문다성(文多省)의 아들. 용호대장군(龍虎大將軍)이 되어 여진족(女眞族)을 토벌한 공으로 영녕남(永寧男)에 봉해짐.
한국>고려전기 , 전라도>남평 , 인명>관인>무신
-
문다성(文多省)
고려 태조(太祖) 때의 무신. 남평문씨(南平文氏)의 시조. 고려 개국에 공을 세워 삼한벽상공신(三韓壁上功臣)에 책록되고, 남평개국백(南平開國伯)에 봉해짐.
한국>고려전기 , 전라도>남평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무신
-
문달한(文達漢)
고려 우왕(禑王)~공양왕(恭讓王) 때의 문신. 본관은 남평(南平). 문하평리(門下評理)로서 양광 경상도 도체찰사(楊廣慶尙道都體察使)로 나갔다가 옥주(沃州)ㆍ개태사(開泰寺) 등지에 침입한 왜적을 왕안덕(王安德) 등과 함께 공주 반룡사(盤龍寺)에서 대파함.
1337~1392 한국>고려후기 , 전라도>남평 , 인명>관인>문신
-
문덕곽황후(文德郭皇后)
중국 삼국시대(三國時代) 위(魏) 나라 문제(文帝)의 황후. 태수(太守) 곽영(郭永)의 딸.
184~235 중국>삼국시대 , 중국 , 인명>왕실>왕비
-
문덕왕후(文德王后)
고려 제6대 성종(成宗)의 비(妃). 고려 제4대 왕인 광종(光宗)의 딸.
한국>고려전기 , 경기도>개성 , 인명>왕실>왕비
-
문동(文同)
중국 송(宋) 나라의 문인ㆍ화가. 시문과 글씨, 특히 죽화(竹畵)에 뛰어나 후세에 묵죽(墨竹)의 개조(開祖)로 추앙받음.
1018~1079 중국>송 , 중국 , 인명>예술인>서화가ㅣ인명>문사>문인
-
문려(文勵)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남평(南平). 옥동(玉洞) 문익성(文益成)의 아들로, 정인홍(鄭仁弘)의 문인. 선조를 의주까지 호종했으며, 곽재우(郭再祐)와 함께 왜적을 치는 데 공을 세워 선무 일등공신(宣武一等功臣)에 책록됨.
1553~1623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합천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문륵(文玏)
조선 선조(宣祖) 때의 유학. 본관은 남평(南平). 옥동(玉洞) 문익성(文益成)의 아들이자, 문할(文劼)의 동생.
1566~?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합천 , 인명>문사>유학
-
문립(文立)
중국 남북조시대 진(晉) 나라의 문신. 초주(譙周)를 사사(師事)했으며, 촉한(蜀漢) 명신(名臣)들의 자손을 서용(敍用)하자고 군주에게 권함.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문명개(文命凱)
조선 명종(明宗) 때의 문신. 퇴계(退溪) 이황(李滉)의 문인. 시문에 뛰어나며, 《성극재시고(省克齋詩稿)》를 저술함.
한국>조선전기 , 인명>관인>문신
-
문명필(文命弼)
조선 중종(中宗) 때의 유학. 본관은 남평(南平). 문상경(文尙褧)의 아들로, 1513년(중종 8) 생원시(生員試)에 입격함.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문사>유학
-
문몽원(文夢轅)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남평(南平). 1578년(선조 11)에 구현(九賢)의 한 사람으로 추천받아, 덕산 현감(德山縣監)을 지냄. 성혼(成渾)ㆍ백광훈(白光勳) 등과 교유함.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남평 , 인명>관인>문신
-
문묘(文廟)
공자(孔子)를 비롯하여 사성(四聖) 이하 중국 역대의 대유(大儒)와, 신라 이후 조선의 명현을 모시는 사당. 통일신라 714년(성덕왕 13)에 공자 및 그 제자의 화상(畵像)을 국학(國學)에 모신 것에서 비롯되었으며, 고려ㆍ조선에 들어서 그 제도와 운영이 더욱 정비됨.
714 한국>통일신라 , 유적>건물>사당
-
문무왕(文武王)
신라 제30대 왕. 재위 661~681. 태종 무열왕(太宗武烈王)과 문명왕후(文明王后)의 맏아들. 나당(羅唐) 연합군을 결성해 백제와 고구려를 멸망시키고 삼국통일의 대업을 완수함.
?~681 한국>통일신라 , 경상도>경주 , 인명>왕실>국왕
-
문방사보(文房四譜)
중국 송(宋) 나라 태종(太宗) 때의 문신ㆍ문인인 소이간(蘇易簡)의 저서. 종이ㆍ먹ㆍ붓ㆍ벼루 등 4가지 문방구의 종류와 역사에 대해 서술함. 5권.
중국>송 , 중국 , 문헌>서명
-
문벽(文璧)
중국 명(明) 나라 무종(武宗)~세종(世宗) 때의 문신ㆍ서화가ㆍ문인. 스승인 심주(沈周)와 함께 남종화(南宗畵) 중흥의 중심인물이며, 당인(唐寅) 등과 함께 문인화가들의 유파인 오파(吳派)를 형성함.
1470~1559 중국>명 , 중국 , 인명>예술인>서화가ㅣ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문봉서원(文峯書院)
조선 숙종(肅宗) 때 경기도 고양(高陽)에 창건된 서원(書院). 1709년(숙종 35) 사액되었으며, 민순(閔純)ㆍ남효온(南孝溫)ㆍ김정국(金正國)ㆍ기준(奇遵)ㆍ정지운(鄭之雲)ㆍ홍이상(洪履祥)ㆍ이신의(李愼儀)ㆍ이유겸(李有謙) 등을 배향함.
1688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고양 , 유적>건물>서원,향교
-
문봉집(文峯集)
조선 명종(明宗) 때의 문신인 정유일(鄭惟一)의 시문집(詩文集). 6권 3책. 목판본. 저자의 시문은 임진왜란 이후 대부분 산일되었으나, 1799년(정조 23)에 후손 정종박(鄭宗璞) 등이 유문(遺文)을 수습하여 간행함.
1799 한국>조선후기 , 문헌>서명
-
문부(文賦)
중국 남북조시대 진(晉) 나라의 학자인 육기(陸機)가 저술한 문학이론서(文學理論書). 작자의 나이 20세 때 부(賦)의 형식으로 문학의 이론을 논한 작품으로, 중국 문학 비평사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함.
219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문헌>작품명
-
문빈(文彬)
조선 정종(定宗)~태종(太宗) 때의 무신. 제2차 왕자의 난을 평정하고 이방원(李芳遠)이 왕위에 오르는데 협력한 공으로 익대좌명공신(翊戴佐命功臣)에 책록됨.
?~1413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남평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무신
-
문산계(文散階)
고려와 조선시대 관원(官員)들의 위계 제도(位階制度)의 하나. 고려시대에는 문반(文班)과 무반(武班)에게, 조선시대에는 문반에게 지급한 관계(官階)로, 신분(身分)과 직종(職種) 등에 따라 한품(限品)의 규정이 다름.
한국>조선시대ㅣ한국>고려시대 , 법제>제도
-
문산전집(文山全集)
중국 남송(南宋)의 문신이며 애국시인인 문천상(文天祥)의 시문집. 1552년 언무경(鄢懋卿)이 판각한 28권본 이래 여러 개의 판본이 전해짐. 송(宋)ㆍ원(元) 교체기의 시대적 배경으로 인해 비장하고 강개한 작품들이 대부분임.
1552 중국>명 , 중국 , 문헌>서명
-
문상경(文尙褧)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남평(南平). 유학 문명필(文命弼)의 아버지.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남평 , 인명>문사>유학
-
문서응봉사(文書應奉司)
고려시대~조선 초기에 외교문서를 담당하던 기관. 고려시대 임시기구인 문서감진색(文書監進色)을 고친 이름이며, 조선 태종(太宗) 때 기구가 확장되고, 1410년(태종 10)에 승문원(承文院)으로 관제가 개편됨.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시대 , 법제>관청
-
문선(文選)
중국 남북조시대 양(梁) 나라의 소통(蕭統)이 양 나라 이전 문인들의 명작 800여 편을 모아 엮은 책. 30권. 중국의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시문총집(詩文總集).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문헌>서명
-
문선동(文善仝)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강성(江城). 문화 현령(文化縣令) 문광서(文光瑞)의 아버지로, 한산 군수(韓山郡守)를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단성 , 인명>관인>문신
-
문선제(文宣帝)
중국 남북조시대 북제(北齊)의 제1대 황제. 재위 550~559. 고환(高歡)의 아들로, 동위(東魏)의 효정제(孝靜帝)를 폐하고 북제를 세웠으며, 즉위 초에는 정사에 힘쓰고 북방의 이민족을 격파하였으나, 후에는 폭정을 하여 국력이 쇠퇴함.
529~559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문성(文星)
문운(文運)을 주관하는 별로, 문신(文臣) 또는 문재(文才)가 있는 사람을 가리킴.
자연물>천체
-
문성문명황후(文成文明皇后)
중국 남북조시대 북위(北魏) 문성제(文成帝)의 황후(皇后). 헌문제(獻文帝)의 적모(嫡母)이며 효문제(孝文帝)의 적조모(嫡祖母). 헌문제가 어린 나이로 등극하자 수렴청정을 했는데, 헌문제가 태후의 총신인 이혁(李弈)을 죽이자 태후는 헌문제를 시해함.
442~490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왕실>왕비
-
문성제(文成帝)
중국 남북조시대 북위(北魏)의 제4대 황제. 재위 452~465. 탁발황(拓跋晃)의 아들이며, 헌문제(獻文帝)의 아버지로, 숙부인 안남왕(安南王)을 이어 즉위한 후 민력(民力)을 기르고 안정시키는 데 힘써 북위 융성의 기초를 닦음.
440~465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왕실>국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