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김표형(金表兄) - 김륭(金隆)
조선 선조(宣祖) 때의 학자. 본관은 함창(咸昌). 이황(李滉)의 문인. 임진왜란 때 격문을 돌려 기병할 것을 호소함.
1549~1593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영천(榮川) , 인명>문사>학자
-
김하담(金荷潭) - 김시양(金時讓)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으로, 비안 현감(庇安縣監) 김인갑(金仁甲)의 아들. 판중추부사(判中樞府事) 등을 지내고, 1636년(인조 14) 청백리에 뽑힘. 《하담파적록(荷潭破寂錄)》ㆍ《하담집(荷潭集)》ㆍ《부계기문(涪溪記聞)》 등을 남김.
1581~1643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충주 , 인명>관인>문신
-
김학록(金學錄) - 김제민(金齊閔)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의성(義城). 훈도(訓導) 김호(金灝)의 아들이며, 이항(李恒)의 문인. 임진왜란(壬辰倭亂)이 일어나자 향리에서 의병을 모집하여 왜군을 맞아 싸웠고, 난이 끝난 뒤 학문연구에 전심함.
1527~1599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부안 , 인명>관인>문신
-
김학유(金學諭) - 김수(金脩)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광주(光州). 김세묵(金世黙)의 아들로, 김세정(金世靜)에게 출계(出系)함. 1572년(선조 5) 별시(別試)에 급제하여 학유(學諭) 등을 지냈고, 송암(松巖) 권호문(權好文)과 교유함.
1553~?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ㅣ전라도>광산 , 인명>관인>문신
-
김한훤(金寒暄) - 김굉필(金宏弼)
조선 성종(成宗)~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서흥(瑞興)으로, 김종직(金宗直)의 문인. 무오사화(戊午士禍) 때 유배되고 갑자사화(甲子士禍) 때 극형에 처해짐. 정여창(鄭汝昌)ㆍ조광조(趙光祖)ㆍ이언적(李彦迪)ㆍ이황(李滉) 등과 함께 오현(五賢)으로 문묘에 종사됨.
1454~1504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합천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김한훤당(金寒暄堂) - 김굉필(金宏弼)
조선 성종(成宗)~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서흥(瑞興)으로, 김종직(金宗直)의 문인. 무오사화(戊午士禍) 때 유배되고 갑자사화(甲子士禍) 때 극형에 처해짐. 정여창(鄭汝昌)ㆍ조광조(趙光祖)ㆍ이언적(李彦迪)ㆍ이황(李滉) 등과 함께 오현(五賢)으로 문묘에 종사됨.
1454~1504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합천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김해군(金海君) - 배원룡(裵元龍)
고려 우왕(禑王) 때의 문신. 배사혁(裵斯革)의 아들로 염흥방(廉興邦)의 양자가 되었으며, 병부 상서(兵部尙書)를 지내고 분성군(盆城君)에 봉해짐. 김해배씨(金海裵氏)의 시조.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김해 , 인명>관인>문신
-
김해군(金海君)@이제현 - 이제현(李齊賢)
고려 충렬왕(忠烈王)~공민왕(恭愍王) 때 문신. 검교정승(檢校政丞) 이진(李瑱)의 아들로, 문하시중(門下侍中) 등을 지냄. 충선왕(忠宣王)을 수행하여 원(元) 나라에 가서 명사들과 교유하면서 다양한 외교활동을 펼쳐 고려 왕실의 안정에 기여함.
1287~1367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개성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김해부원군(金海府院君) - 김보(金普)
고려 공민왕(恭愍王) 때의 문신. 판도판서(版圖判書)로서 공민왕이 세자로 원(元) 나라에 있을 때 시종한 공으로 일등공신(一等功臣)에 오름.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김해 , 인명>관인>문신
-
김해소경(金海小京) - 김해(金海)
경상남도 동남부에 있는 고을 이름. 고대에 가락국(駕洛國)의 도읍지였음.
경상도>김해 , 지명>행정지명
-
김해후(金海侯) - 이제현(李齊賢)
고려 충렬왕(忠烈王)~공민왕(恭愍王) 때 문신. 검교정승(檢校政丞) 이진(李瑱)의 아들로, 문하시중(門下侍中) 등을 지냄. 충선왕(忠宣王)을 수행하여 원(元) 나라에 가서 명사들과 교유하면서 다양한 외교활동을 펼쳐 고려 왕실의 안정에 기여함.
1287~1367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개성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김행(金幸) - 권행(權幸)
고려 태조(太祖) 때의 문신ㆍ공신. 안동 권씨(權氏)의 시조. 930년(태조 13)에 후백제군을 무찌르는 데 공을 세워 태조로부터 권씨(權氏) 성(姓)을 하사받음.
한국>고려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김헌가(金獻可) - 김순(金珣)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선산(善山). 김백경(金伯卿)의 아들로, 충청 도사(忠淸都事)ㆍ형조 정랑(刑曹正郞)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선산 , 인명>관인>문신
-
김헌영(金憲英) - 경덕왕(景德王)
신라 제35대 왕. 재위 742~765년. 성덕왕(聖德王)의 아들이며 효성왕(孝成王)의 동생. 왕권강화를 위해 제도와 관직을 중국식으로 고치고 유학교육에 힘썼으며, 석굴암(石窟庵)ㆍ불국사(佛國寺) 등을 창건하여 불교 중흥에 이바지함.
?~765 한국>통일신라 , 경상도>경주 , 인명>왕실>국왕
-
김헌헌헌(金軒軒軒) - 김여중(金汝重)
조선 전기의 유학. 어려서는 이후백(李後白)ㆍ박순(朴淳)에게 배웠고, 장성해서는 박광전(朴光前)에게 배움. 임진왜란 때 금산(錦山)과 무주(茂朱)의 전투에 참여하였고, 충무공(忠武公) 이순신(李舜臣)을 따라 많은 공을 세움.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함평 , 인명>문사>유학
-
김현경(金顯卿) - 김귀영(金貴榮)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상주(尙州). 선조 때 평난공신(平難功臣)으로 상락부원군(上洛府院君)에 봉해짐.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임해군(臨海君)을 호종하고 피난 갔다가 왜군의 포로가 된 일로 희천(熙川)으로 유배되어 죽음.
1520~1594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김형언(金亨彦) - 김계(金啓)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부안(扶安)으로, 생원 김석옥(金錫沃)의 아들. 한어(漢語)에 능통하여 승문원 부제조로 발탁되었으며, 이황(李滉)ㆍ김인후(金麟厚)ㆍ기대승(奇大升)ㆍ이이(李珥) 등과 도학(道學)을 강론하였음.
1528~1574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부안 , 인명>관인>문신
-
김호송(金護送) - 김희중(金希中)
조선 전기의 무신. 설월당(雪月堂) 김부륜(金富倫)과 교유함.
한국>조선전기 , 인명>관인>무신
-
김화남(金華南) - 김농(金農)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풍산(豐山). 홍문관 수찬(弘文館修撰)을 지낸 김의정(金義貞)의 아들로 음보(蔭補)로 관직에 진출하여 사헌부 감찰(司憲府監察) 등을 지냄.
1534~1591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김황(金晃) - 정강왕(定康王)
신라 제50대 왕. 재위 886~887. 경문왕(景文王)의 아들로, 형인 헌강왕(憲康王)의 뒤를 이어 즉위함. 재위기간이 짧아 별다른 치적을 남기지 못함.
?~887 한국>통일신라 , 경상도>경주 , 인명>왕실>국왕
-
김황강(金黃岡) - 김계휘(金繼輝)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광산(光山). 동지의금부사(同知義禁府事)ㆍ예조 참판(禮曹參判)을 역임하였고, 동서 분당 때 당쟁 완화를 위하여 노력하였음.
1526~1582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광산 , 인명>관인>문신
-
김회숙(金晦叔) - 김계(金啓)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부안(扶安)으로, 생원 김석옥(金錫沃)의 아들. 한어(漢語)에 능통하여 승문원 부제조로 발탁되었으며, 이황(李滉)ㆍ김인후(金麟厚)ㆍ기대승(奇大升)ㆍ이이(李珥) 등과 도학(道學)을 강론하였음.
1528~1574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부안 , 인명>관인>문신
-
김효기(金孝起) - 김문기(金文起)
조선 세종(世宗)~세조(世祖) 때의 문신. 본관은 경주(慶州). 1456년(세조 2) 단종 복위(端宗復位) 모의에 가담하였다가 죽임을 당함.
1399~1456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옥천 , 인명>관인>문신
-
김효동(金孝童) - 김굉필(金宏弼)
조선 성종(成宗)~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서흥(瑞興)으로, 김종직(金宗直)의 문인. 무오사화(戊午士禍) 때 유배되고 갑자사화(甲子士禍) 때 극형에 처해짐. 정여창(鄭汝昌)ㆍ조광조(趙光祖)ㆍ이언적(李彦迪)ㆍ이황(李滉) 등과 함께 오현(五賢)으로 문묘에 종사됨.
1454~1504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합천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김흥광(金興光) - 성덕왕(聖德王)
신라 제33대 왕. 재위 702~737. 신문왕(神文王)의 둘째 아들이며, 효소왕(孝昭王)의 동모제(同母弟). 정치적 안정을 바탕으로 사회 전반에 걸쳐 전성기를 누림.
?~737 한국>통일신라 , 경상도>경주 , 인명>왕실>국왕
-
김희수(金希壽) - 김희수(金喜壽)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이성중(李誠中)에게 수학하고, 대전별감(大殿別監)을 지냄.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김희옥(金栢巖) - 김륵(金玏)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예안(禮安). 이황(李滉)의 문인으로,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안집사(安集使)로 영남에 가서 민심을 수습하였고, 김직재(金直哉)의 무옥(誣獄)에 연루되어 강릉으로 유배됨.
1540~1616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영천(榮川)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김희청(金喜晴) - 김수온(金守溫)
조선 세종(世宗)~성종(成宗) 때의 학자ㆍ문신. 세종ㆍ세조(世祖) 때 편찬 및 국역 사업에 공헌하고, 특히 시문에 뛰어나 〈희청부(喜晴賦)〉는 명 나라에까지 알려짐.
1410~1481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영동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나(那) - 이나(李那)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완산(完山). 이보(李保)의 아들로, 지삼기현사(知三岐縣事)를 지냄. 길재(吉再)의 《야은집(冶隱集》에 그에게 차운한 시가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관인>문신
-
나가갈수나(那伽曷樹那) - 용수(龍樹)
인도 대승불교의 승려ㆍ학자. 인도 대승불교사상(大乘佛敎思想)의 기초를 확립하고, 공사상(空思想)을 전개하여 중관학파(中觀學派)로 불림. 저서로 《중론(中論)》등이 있음.
150?~250? 기타지역 , 인명>종교인>승려ㅣ인명>문사>학자
-
남훈(南薰) - 남풍가(南風歌)
중국 고대에 순(舜) 임금이 지었다는 악가(樂歌). 순 임금이 천자가 되어 남쪽 지방을 순행(巡幸)할 때 오현금(五絃琴)으로 연주하였다는 노래로, 남방 백성들의 생활상을 반영한 최초의 시(詩)임.
고대 , 중국 , 문헌>작품명
-
남훈곡(南薰曲) - 남풍가(南風歌)
중국 고대에 순(舜) 임금이 지었다는 악가(樂歌). 순 임금이 천자가 되어 남쪽 지방을 순행(巡幸)할 때 오현금(五絃琴)으로 연주하였다는 노래로, 남방 백성들의 생활상을 반영한 최초의 시(詩)임.
고대 , 중국 , 문헌>작품명
-
납(蒳) - 이납(李蒳)
조선 전기의 종친. 태종(太宗)의 둘째 아들인 효령대군(孝寧大君)의 손자이자 서원군(瑞原君) 이친(李𡩁)의 둘째 아들.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낭간(琅玕) - 유성원(柳誠源)
조선 세종(世宗)~세조(世祖) 때의 문신. 본관은 문화(文化). 집현전 교리(集賢殿校理)ㆍ춘추관 기주관(春秋館記注官) 등을 지냄. 사육신(死六臣)의 한 사람으로, 성삼문(成三問) 등과 단종 복위를 모의하다 발각되자 성균관에서 자결함.
?~1456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문화 , 인명>관인>문신
-
낭간거사(琅玕居士) - 안평대군(安平大君)
조선 제4대 세종(世宗)의 셋째 아들. 김종서(金宗瑞) 등과 함께 수양대군(首陽大君)의 세력에 맞서다가 계유정난(癸酉靖難) 때 역모 혐의로 유배된 후 사사됨. 시(詩)ㆍ서(書)ㆍ화(畫)에 뛰어나 ‘삼절(三絶)’이라 불렸고, 당대 제일의 명필(名筆)로 꼽힘.
1418~1453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예술인>서화가ㅣ인명>왕실>왕자
-
낭릉(朗陵) - 순숙(荀淑)
중국 후한(後漢) 순제(順帝)~환제(桓帝) 때의 문신. 순제 사망 후 전횡을 휘두른 외척 양기(梁冀)를 비난하다 지방으로 좌천되었고, 낭릉후(朗陵侯)의 재상이 되었을 때 일을 명쾌하게 처리하여 신군(神君)이라는 칭호를 얻음.
83~149 중국>후한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낭사(浪士) - 원결(元結)
중국 당(唐) 나라의 문신ㆍ시인. 전란으로 인한 인민의 고통과 사회상에 눈길을 돌린 작품이 많았으며, 표현의 기교보다는 내용을 중시하였음.
723~772 중국>당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낭산(朗山) - 영암(靈巖)
전라도 남서부에 있는 고을 이름. 동쪽으로 장흥(長興), 남쪽으로 강진(康津)과 접하였으며, 대표적인 산으로 월출산(月出山)과 사찰로는 도갑사(道岬寺) 등이 있음.
전라도>영암 , 지명>행정지명
-
낭산(朗山)@여산 - 여산(礪山)
전라도 익산(益山)에 있던 옛 고을 이름. 조선 정종(定宗) 때 여량(礪良)과 낭산(朗山)의 이름을 합쳐 여산이라 칭했고, 세종(世宗) 때 군(郡)으로 승격함.
전라도>여산 , 지명>행정지명
-
낭산(浪山) - 영암(靈巖)
전라도 남서부에 있는 고을 이름. 동쪽으로 장흥(長興), 남쪽으로 강진(康津)과 접하였으며, 대표적인 산으로 월출산(月出山)과 사찰로는 도갑사(道岬寺) 등이 있음.
전라도>영암 , 지명>행정지명
-
낭선(浪仙)@가도 - 가도(賈島)
중국 당(唐) 나라 헌종(憲宗)~무종(武宗) 때의 시인. 처음에 중이 되었다가 뒤에 환속(還俗)하였음. 벼슬은 장강 주부(長江主簿)에 이르렀고, 시집으로는 《가장강집(賈長江集)》이 있음.
779~843 중국>당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낭선(浪仙) - 이별(李鼈)
조선 연산군(燕山君) 때의 유학. 본관은 경주(慶州). 이공린(李公麟)의 아들로, 갑자사화(甲子士禍) 때 형 이원(李黿)이 처형되자 황해도 평산(平山)으로 낙향하여 은거함.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평산 , 인명>문사>유학
-
낭선도객(浪仙島客) - 가도(賈島)
중국 당(唐) 나라 헌종(憲宗)~무종(武宗) 때의 시인. 처음에 중이 되었다가 뒤에 환속(還俗)하였음. 벼슬은 장강 주부(長江主簿)에 이르렀고, 시집으로는 《가장강집(賈長江集)》이 있음.
779~843 중국>당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낭성군(琅城君)@한보 - 한보(韓堡)
조선 세조(世祖)~중종(中宗) 때의 문신ㆍ무신. 본관은 청주(淸州). 한명회(韓明澮)의 아들로, 음보(蔭補)로 벼슬하여 동지중추부사(同知中樞府事) 등을 역임하였으며, 좌리공신(佐理功臣)에 책록됨.
1447~1522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청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무신ㅣ인명>관인>문신
-
낭성군(琅城君) - 이계감(李季瑊)
고려 후기의 문신. 본관은 청주(淸州). 판도총랑(版圖摠郞)을 지낸 이창우(李昌祐)의 아들이며, 문간공(文簡公) 이정(李挺)의 아버지.
한국>고려후기 , 충청도>청주 , 인명>관인>문신
-
낭성군(琅城君)@이방직 - 이방직(李邦直)
고려 후기의 문신. 본관은 서원(西原). 시문(詩文)에 능하고, 대제학(大提學) 등을 지냄. 공민왕(恭愍王)으로부터 자(字)에 대한 어찰(御札)을 받았으며, 이색(李穡)이 지은 자찬(字讚)이 《목은고(牧隱藁))》에 실려 있음.
?~1384 한국>고려후기 , 충청도>청주 , 인명>관인>문신
-
낭성군(琅城君)@이성윤 - 이성윤(李聖胤)
조선 후기의 종친. 전성군(全城君)의 증손이며, 광천군(廣川君) 이수기(李壽祺)의 손자이고, 평양군(平陽君) 이의(李倚)의 첫째 아들. 1617년(광해군 9) 이이첨(李爾瞻)을 처벌하라는 종친의 상소에 참여하였다가 유배됨.
1561~1623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낭성부령(琅城副令) - 이성윤(李聖胤)
조선 후기의 종친. 전성군(全城君)의 증손이며, 광천군(廣川君) 이수기(李壽祺)의 손자이고, 평양군(平陽君) 이의(李倚)의 첫째 아들. 1617년(광해군 9) 이이첨(李爾瞻)을 처벌하라는 종친의 상소에 참여하였다가 유배됨.
1561~1623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낭성부원군(琅城府院君) - 한수경(韓守慶)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청주(淸州). 평난공신(平難功臣) 한준(韓準)의 아버지로, 돈녕부 도정(敦寧府都正)을 지냄.
?~1600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청주 , 인명>관인>문신
-
낭성정(琅城正) - 이성윤(李聖胤)
조선 후기의 종친. 전성군(全城君)의 증손이며, 광천군(廣川君) 이수기(李壽祺)의 손자이고, 평양군(平陽君) 이의(李倚)의 첫째 아들. 1617년(광해군 9) 이이첨(李爾瞻)을 처벌하라는 종친의 상소에 참여하였다가 유배됨.
1561~1623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낭수(浪叟) - 이난(李瀾)
조선 전기의 종친. 세종(世宗)의 두 번째 서자인 계양군(桂陽君) 이증(李璔)의 여섯째 아들로, 방산수(方山守)에 봉해짐.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종친
-
낭야(琅琊) - 원제(元帝)@남북조(晉)
중국 남북조시대 동진(東晉)의 초대 황제. 재위 317~322. 선제(宣帝) 사마의(司馬懿)의 증손자로 낭야왕(琅邪王)으로 봉해짐. 화북지방의 혼란이 격화되자 건업(建業)으로 옮겨 세력을 굳히고, 서진(西晉)이 망하자 317년 동진(東晉) 왕조를 열었음.
276~322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낭야공왕(琅琊恭王) - 사마근(司馬覲)
중국 남북조시대 진(晉) 나라의 제후. 동진(東晉) 원제(元帝)의 아버지.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왕실>제후
-
낭야왕(琅琊王)@경제 - 경제(景帝)@삼국(오)
중국 삼국시대 오(吳) 나라의 제3대 황제. 재위 258~264. 대제(大帝: 손권(孫權))의 여섯째 아들로, 아우 폐제(廢帝: 손량(孫亮))가 폐위된 뒤 손침(孫綝)의 옹립을 받아 등극함. 제도를 혁신하고 백성들에게 은혜를 베풀어 나라의 번영을 꾀함.
235~264 중국>삼국시대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낭야왕(琅琊王)@공제 - 공제(恭帝)@남북조(晉)
중국 남북조시대 동진(東晉)의 제11대 황제. 재위 418~420. 효무제(孝武帝)의 아들로, 형인 안제(安帝)의 뒤를 이어 제위에 오름. 420년 송(宋) 무제(武帝) 유유(劉裕)에게 선위(禪位)하고 영릉왕(零陵王)이 되었다가 다음해 살해당함.
386~421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낭야왕(琅琊王)@강제 - 강제(康帝)
중국 남북조시대 동진(東晉)의 제4대 황제. 재위 342~344. 명제(明帝)의 아들이자, 성제(成帝)의 아우로, 성제가 죽은 후 권신 유빙(庾冰)ㆍ유익(庾翼)의 도움으로 즉위함.
322~344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낭야왕(琅琊王) - 왕징(王澄)
중국 남북조시대(南北朝時代) 진(晉) 나라의 문신. 승상(丞相)을 지낸 왕연(王衍)의 동생으로 형주 자사(荊州刺史)를 지냈음. 청주 자사(靑州刺史)를 지낸 사촌형 왕돈(王敦)에게 죽음을 당했음.
267~312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낭야왕(琅邪王) - 유경(劉京)
중국 후한(後漢) 광무제(光武帝)의 아들. 어머니는 광렬음황후(光烈陰皇后)로, 낭야왕(琅邪王)에 봉해짐.
중국>후한 , 중국 , 인명>왕실>왕자
-
낭야왕(琅邪王)@유경 - 유경(劉京)
중국 후한(後漢) 광무제(光武帝)의 아들. 어머니는 광렬음황후(光烈陰皇后)로, 낭야왕(琅邪王)에 봉해짐.
중국>후한 , 중국 , 인명>왕실>왕자
-
낭야왕(琅邪王) - 애제(哀帝)@남북조(晉)
중국 남북조시대(南北朝時代) 진(晉) 나라의 제10대 황제. 재위 362~365. 성제(成帝) 사마연(司馬衍)의 아들로 25세의 젊은 나이로 병사함.
340~365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낭옹(浪翁) - 원결(元結)
중국 당(唐) 나라의 문신ㆍ시인. 전란으로 인한 인민의 고통과 사회상에 눈길을 돌린 작품이 많았으며, 표현의 기교보다는 내용을 중시하였음.
723~772 중국>당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낭옹(浪翁)@이원 - 이원(李黿)
조선 성종(成宗)~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 본관은 경주(慶州). 김종직(金宗直)에게 문충(文忠)의 시호를 줄 것을 제안하였다가 무오사화(戊午士禍) 때 장류(杖流)되었고, 갑자사화(甲子士禍) 때 참형당함. 문장에 능하고, 특히 행의(行義)로 추앙받음.
?~1504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경주 , 인명>관인>문신
-
낭옹(浪翁)@이식 - 이식(李湜)
조선 전기의 종친ㆍ시인. 세종(世宗)의 둘째 서자인 계양군(桂陽君) 이증(李璔)의 셋째 아들로, 시(詩)에 능하여 많은 작품을 남김.
1458~1488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문사>문인ㅣ인명>왕실>종친
-
낭원(狼原) - 낭천(狼川)
강원도 화천(華川)에 있는 옛 고을 이름.
강원도>낭천 , 지명>행정지명
-
낭읍(朗邑) - 영암(靈巖)
전라도 남서부에 있는 고을 이름. 동쪽으로 장흥(長興), 남쪽으로 강진(康津)과 접하였으며, 대표적인 산으로 월출산(月出山)과 사찰로는 도갑사(道岬寺) 등이 있음.
전라도>영암 , 지명>행정지명
-
낭자곡성(狼子谷城) - 충주(忠州)
충청북도 동북부에 있는 고을 이름. 충청도의 중심 고을로, 조선시대에 남한강(南漢江)의 수운(水運)을 이용한 상업 중심지이며, 영남대로(嶺南大路)가 통과하던 지역으로서 도로교통이 발달함.
충청도>충주 , 지명>행정지명
-
낭자성(狼子城) - 충주(忠州)
충청북도 동북부에 있는 고을 이름. 충청도의 중심 고을로, 조선시대에 남한강(南漢江)의 수운(水運)을 이용한 상업 중심지이며, 영남대로(嶺南大路)가 통과하던 지역으로서 도로교통이 발달함.
충청도>충주 , 지명>행정지명
-
낭잠(郞潛)@안사 - 안사(顔駟)
중국 전한(前漢) 문제(文帝)~무제(武帝) 때의 문신. 문제(文帝)ㆍ경제(景帝)ㆍ무제(武帝) 등 3세(世)를 섬겼으나 관운(官運)이 트이지 않아 평생 낭서(郞署)에 머물렀음.
중국>전한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낭주(朗州) - 영암(靈巖)
전라도 남서부에 있는 고을 이름. 동쪽으로 장흥(長興), 남쪽으로 강진(康津)과 접하였으며, 대표적인 산으로 월출산(月出山)과 사찰로는 도갑사(道岬寺) 등이 있음.
전라도>영암 , 지명>행정지명
-
낭주(浪州) - 부안(扶安)
전라도 북서부에 위치한 고을 이름. 1416년(태종 16)에 부령(扶寧)과 보안(保安)이 합해짐.
전라도>부안 , 지명>행정지명
-
낭천군(狼川君) - 이방직(李邦直)
고려 후기의 문신. 본관은 서원(西原). 시문(詩文)에 능하고, 대제학(大提學) 등을 지냄. 공민왕(恭愍王)으로부터 자(字)에 대한 어찰(御札)을 받았으며, 이색(李穡)이 지은 자찬(字讚)이 《목은고(牧隱藁))》에 실려 있음.
?~1384 한국>고려후기 , 충청도>청주 , 인명>관인>문신
-
낭풍잠(閬風岑) - 낭풍전(閬風巓)
중국 전설의 산인 곤륜산(崑崙山) 꼭대기에 있는 봉우리 이름. 선녀(仙女)인 서왕모(西王母)가 거주했던 곳이라고 전함.
중국 , 지명>기타지명
-
낭혜화상(朗慧和尙) - 무염(無染)
통일신라 헌덕왕(憲德王)~진성여왕(眞聖女王) 때의 승려. 중국에 유학하여 마곡 보철(麻谷寶徹)에게 남종선(南宗禪)을 인가받고, 847년(문성왕 7) 귀국하여 공주(公州) 성주사(聖住寺)에 머물며 성주산문(聖住山門)을 열고 교화함.
801~888 한국>통일신라 , 충청도>공주 , 인명>종교인>승려
-
내(來) - 권래(權來)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 충재(冲齋) 권벌(權橃)의 손자로, 군자감 정(軍資監正)을 지냄.
1562~1617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내(鼐) - 정내(鄭鼐)
조선 전기의 무신. 본관은 경주(慶州). 선략장군(宣略將軍) 정갑선(鄭甲先)의 아들이며, 함흥 판관(咸興判官) 정승복(鄭承復)의 아버지. 음보(蔭補)로 군직(軍職)을 제수 받음.
1491~1548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남원 , 인명>관인>무신
-
내경(內景) - 황정내경경(黃庭內景經)
도가(道家)의 양생법(養生法)을 기술한 책. 양구자(梁邱子)가 주석을 달았으며, 도가서(道家書) 중에서도 가장 중요하게 생각되어 많이 읽힘.
고대 , 중국 , 문헌>서명
-
내경(內經) - 황제내경(黃帝內經)
중국 고대 신화상의 인물인 황제(黃帝)와 신하이자 명의인 기백(岐伯)이 의술에 관해 토론한 것을 기술한 책. 진한(秦漢)시대에 가탁(假託)한 것이라고도 함. 18권.
고대 , 중국 , 문헌>서명
-
내경경(內景經) - 황정내경경(黃庭內景經)
도가(道家)의 양생법(養生法)을 기술한 책. 양구자(梁邱子)가 주석을 달았으며, 도가서(道家書) 중에서도 가장 중요하게 생각되어 많이 읽힘.
고대 , 중국 , 문헌>서명
-
내공(萊公) - 구준(寇準)
중국 송(宋) 나라 태종(太宗)~인종(仁宗) 때의 문신ㆍ문인. 추밀원 직학사(樞密院直學士) 등을 지내고 재상에 올라 거란(契丹)의 침입 때 많은 공을 세움. 주로 자연의 애수를 읊은 시를 지었고, 저서로《구충민공시집(寇忠愍公詩集)》을 남김.
961~1023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내국(萊國) - 동래(東萊)
경상남도 남동부 일대에 있는 옛 고을 이름. 조선시대 대일 외교를 총관하던 중요한 관문이었고, 군사상으로도 중요한 요충지.
경상도>동래 , 지명>행정지명
-
내국공(萊國公) - 구준(寇準)
중국 송(宋) 나라 태종(太宗)~인종(仁宗) 때의 문신ㆍ문인. 추밀원 직학사(樞密院直學士) 등을 지내고 재상에 올라 거란(契丹)의 침입 때 많은 공을 세움. 주로 자연의 애수를 읊은 시를 지었고, 저서로《구충민공시집(寇忠愍公詩集)》을 남김.
961~1023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내귀(來歸) - 귀거래사(歸去來辭)
중국 남북조시대 동진(東晉)의 시인인 도잠(陶潛)이 지은 사(辭) 이름. 도잠의 대표적 작품으로, 벼슬을 버리고 고향으로 돌아오는 심경을 읊은 내용임.
405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문헌>작품명
-
내기(奈己) - 영천(榮川)@경상도
경상도 북부에 있는 고을 이름. 동쪽으로 안동(安東), 서쪽으로 풍기(豐基)와 접해 있음. 현재는 영주시(榮州市)에 속함.
경상도>영천(榮川) , 지명>행정지명
-
내등여안(內藤如安) - 소서비탄수(小西飛彈守)
일본 도산시대(桃山時代)의 무장. 임진왜란 때 왜장 소서행장(小西行長)의 부장으로, 평안도 병마절도사(平安道兵馬節度使) 김경서(金景瑞)와 의기(義妓) 계월향(桂月香)이 함께 도모한 유인책으로 인해 죽임을 당했다고 전함.
1550~1626 일본>도산시대 , 일본 , 인명>관인>무신
-
내령(奈靈) - 영천(榮川)@경상도
경상도 북부에 있는 고을 이름. 동쪽으로 안동(安東), 서쪽으로 풍기(豐基)와 접해 있음. 현재는 영주시(榮州市)에 속함.
경상도>영천(榮川) , 지명>행정지명
-
내무(萊蕪) - 범염(范冉)
중국 후한(後漢) 환제(桓帝) 때의 문신. 당고지화(黨錮之禍)를 당해서도 권력에 아첨하지 않고 청렴함을 지킨 고사로 유명함.
112~185 중국>후한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내미홀(內米忽) - 해주(海州)
황해도 남서쪽에 위치한 고을 이름. 예로부터 중국과의 교통 요충지의 하나임.
황해도>해주 , 지명>행정지명
-
내복(來復) - 하항(河沆)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학자. 본관은 진주(晉州). 조식(曺植)의 문인으로, 최영경(崔永慶)과 교유하며 일생 동안 학문을 연구하고, 문장과 시에 뛰어남.
1538~1590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진주 , 인명>문사>학자
-
내복재(來復齋) - 하항(河沆)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학자. 본관은 진주(晉州). 조식(曺植)의 문인으로, 최영경(崔永慶)과 교유하며 일생 동안 학문을 연구하고, 문장과 시에 뛰어남.
1538~1590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진주 , 인명>문사>학자
-
내봉(萊峯) - 김홍도(金弘度)
조선 명종(明宗) 때의 문신ㆍ서화가. 본관은 안동(安東)으로, 첨지중추부사(僉知中樞府事) 김로(金魯)의 아들. 글씨와 그림에 뛰어났으며, 홍문관 전한(弘文館典翰) 때 윤원형(尹元衡)에 의해 갑산(甲山)으로 유배되었다가 죽음.
1524~1557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예술인>서화가ㅣ인명>관인>문신
-
내산(內山) - 금강산(金剛山)
강원도 고성군ㆍ금강군ㆍ통천군의 경계에 있는 산. 예로부터 삼신산(三神山)의 하나로 꼽히고, 계절에 따라 봉래산(蓬萊山)ㆍ풍악산(楓嶽山)ㆍ개골산(皆骨山)으로 불림.
강원도>통천ㅣ강원도>고성 , 지명>자연지명
-
내산(徠山) - 조래산(徂徠山)
중국 산동성(山東省) 태안현(泰安縣)에 있는 산. 이백(李白)이 공소보(孔巢父)ㆍ한준(韓準)ㆍ배정(裴政)ㆍ장숙명(張叔明)ㆍ도면(陶沔)과 더불어 술과 노래를 즐기며 세속을 초일(超逸)한 곳으로 유명함.
중국 , 지명>자연지명
-
내산국(萊山國) - 동래(東萊)
경상남도 남동부 일대에 있는 옛 고을 이름. 조선시대 대일 외교를 총관하던 중요한 관문이었고, 군사상으로도 중요한 요충지.
경상도>동래 , 지명>행정지명
-
내산부원군(萊山府院君) - 정흠지(鄭欽之)
조선 태종(太宗)~세종(世宗) 때의 문신. 본관은 동래(東萊)로, 정부(鄭符)의 아들. 태종 때 하륜(河崙)과 박은(朴訔) 등을 탄핵하다 유배됨. 세종이 즉위하자 형조 판서(刑曹判書)가 되어 황보인(皇甫仁)과 함께 《진설(陣說)》을 찬진(撰進)함.
1378~1439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동래 , 인명>관인>문신
-
내생(柰生) - 영월(寧越)
강원도 남부에 있는 고을 이름. 북쪽으로 정선(旌善), 서쪽으로 원주(原州), 남쪽으로 충청도 제천(堤川), 동쪽으로 태백(太白)과 접함. 조선의 단종(端宗)이 유배되어 죽음을 맞이한 곳으로 유명함.
강원도>영월 , 지명>행정지명
-
내석(乃錫) - 박내석(朴乃錫)
조선 영조(英祖) 때의 유학. 본관은 진원(珍原). 박광전(朴光前)의 5대손으로, 1754년(영조 30) 박광전의 문집인 《죽천집(竹川集)》을 초간함.
1697~1755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진원 , 인명>문사>유학
-
내선(乃善) - 곽승화(郭承華)
조선 성종(成宗) 때의 유학. 본관은 현풍(玄風)으로, 김종직(金宗直)의 문인. 김굉필(金宏弼)과 함께 점필재(佔畢齋)의 문하에서 유학하였고, 청개(淸介)한 인품으로 사우(士友)들의 추앙을 받음.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현풍 , 인명>문사>유학
-
내성(柰城) - 영월(寧越)
강원도 남부에 있는 고을 이름. 북쪽으로 정선(旌善), 서쪽으로 원주(原州), 남쪽으로 충청도 제천(堤川), 동쪽으로 태백(太白)과 접함. 조선의 단종(端宗)이 유배되어 죽음을 맞이한 곳으로 유명함.
강원도>영월 , 지명>행정지명
-
내소(來蘇) - 양주(楊州)
경기도 중앙에 위치한 고을 이름. 조선 세조(世祖) 때 목(牧)으로 승격됨.
경기도>양주 , 지명>행정지명
-
내소(萊巢) - 적성(積城)
경기도 파주(坡州) 적성면(積城面)과 양주(楊州) 남면(南面) 일대에 해당하던 고을 이름.
경기도>적성 , 지명>행정지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