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농암(聾巖)@이현보 - 이현보(李賢輔)
조선 연산군(燕山君)~명종(明宗) 때의 문신ㆍ문인. 홍귀달(洪貴達)의 문인으로, 지중추부사(知中樞府事) 등을 지냄. 음률에 밝아 전래하던 〈어부가(漁夫歌)〉를 정리하여 장가 9장과 단가 5장으로 만듦.
1467~1555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예안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농암(聾菴) - 김광저(金光儲)
고려 공양왕(恭讓王) 때의 문신. 본관은 김녕(金寧). 공양왕 때 판도판서(版圖判書)를 지냈으나, 고려가 망하자 무록산(武鹿山)에 들어가 절의를 지킴.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김해 , 인명>관인>문신
-
농암(農巖) - 김창협(金昌協)
조선 숙종(肅宗)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안동(安東)으로, 영의정 김수항(金壽恒)의 아들이자 김창집(金昌集)의 동생. 대사간(大司諫) 등을 지내다가 기사환국(己巳換局) 이후 은거함. 이황(李滉)과 이이(李珥)의 이기론(理氣論)을 절충한 학설을 주장하고, 《농암집(農巖集)》을 남김.
1651~1708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영평ㅣ경기도>과천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농암대인(聾巖大人) - 이현보(李賢輔)
조선 연산군(燕山君)~명종(明宗) 때의 문신ㆍ문인. 홍귀달(洪貴達)의 문인으로, 지중추부사(知中樞府事) 등을 지냄. 음률에 밝아 전래하던 〈어부가(漁夫歌)〉를 정리하여 장가 9장과 단가 5장으로 만듦.
1467~1555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예안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농암문집(農巖文集) - 농암집(農巖集)
조선 숙종(肅宗) 때의 문신ㆍ문인인 김창협(金昌協)의 시문집. 42권 15책. 활자본. 원집(原集) 36권, 속집(續集) 2권, 별집(別集) 4권으로 구성되었으며, 원집은 1709년(숙종 35) 아우 김창흡(金昌翕) 등에 의해 간행됨.
1709 한국>조선후기 , 문헌>서명
-
농암상공(聾巖相公) - 이현보(李賢輔)
조선 연산군(燕山君)~명종(明宗) 때의 문신ㆍ문인. 홍귀달(洪貴達)의 문인으로, 지중추부사(知中樞府事) 등을 지냄. 음률에 밝아 전래하던 〈어부가(漁夫歌)〉를 정리하여 장가 9장과 단가 5장으로 만듦.
1467~1555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예안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농암선생문집(聾巖先生文集) - 농암집(聾巖集)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ㆍ문인인 이현보(李賢輔)의 시문집. 목판본. 원집(原集) 5권 2책, 속집(續集) 4권 2책. 원집은 1665년(현종 6)에 외손 김계광(金啓光)이 초간하고, 속집은 1911년에 후손 이재명(李在明)이 간행함.
1665 한국>조선후기 , 문헌>서명
-
농암선생문집속집(聾巖先生文集續集) - 농암집(聾巖集)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ㆍ문인인 이현보(李賢輔)의 시문집. 목판본. 원집(原集) 5권 2책, 속집(續集) 4권 2책. 원집은 1665년(현종 6)에 외손 김계광(金啓光)이 초간하고, 속집은 1911년에 후손 이재명(李在明)이 간행함.
1665 한국>조선후기 , 문헌>서명
-
농암선생속집(聾巖先生續集) - 농암집(聾巖集)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ㆍ문인인 이현보(李賢輔)의 시문집. 목판본. 원집(原集) 5권 2책, 속집(續集) 4권 2책. 원집은 1665년(현종 6)에 외손 김계광(金啓光)이 초간하고, 속집은 1911년에 후손 이재명(李在明)이 간행함.
1665 한국>조선후기 , 문헌>서명
-
농암야로(聾巖野老) - 이현보(李賢輔)
조선 연산군(燕山君)~명종(明宗) 때의 문신ㆍ문인. 홍귀달(洪貴達)의 문인으로, 지중추부사(知中樞府事) 등을 지냄. 음률에 밝아 전래하던 〈어부가(漁夫歌)〉를 정리하여 장가 9장과 단가 5장으로 만듦.
1467~1555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예안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농옹(聾翁) - 이현보(李賢輔)
조선 연산군(燕山君)~명종(明宗) 때의 문신ㆍ문인. 홍귀달(洪貴達)의 문인으로, 지중추부사(知中樞府事) 등을 지냄. 음률에 밝아 전래하던 〈어부가(漁夫歌)〉를 정리하여 장가 9장과 단가 5장으로 만듦.
1467~1555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예안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농와(聾窩) - 이언순(李彦淳)
조선 순조(純祖)~헌종(憲宗) 때의 문신. 본관은 진성(眞城). 이귀용(李龜容)의 아들로, 이조 참판(吏曹參判) 등을 지냄. 성품이 강직ㆍ근면하고, 국사에 남다른 관심을 두어 정사(正史)와 야사(野史)를 두루 섭렵함.
1774~1845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예안 , 인명>관인>문신
-
농은(農隱)@최해 - 최해(崔瀣)@고려
고려 충렬왕(忠烈王)~충혜왕(忠惠王) 때의 문신ㆍ문인. 본관은 경주(慶州). 최백윤(崔伯倫)의 아들로, 성균관 대사성(成均館大司成) 등을 지냄. 말년에는 농사를 지으며 저술에 힘쓰고, 오랜 친구인 이제현(李齊賢)으로부터 문학이 탁월함을 인정받음.
1287~1340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개성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농은(農隱) - 김독(金篤)
고려 공민왕(恭愍王)~조선 태종(太宗) 때의 문신. 민생의 근본인 농사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조선이 개국하자 공주도 유학교수(公州道儒學敎授)에 부임하여 인재를 양성하는데 힘씀.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충청도>이산 , 인명>관인>문신
-
농은(農隱)@조원길 - 조원길(趙元吉)
고려 충목왕(忠穆王) 때의 문신. 본관은 옥천(玉川)으로, 조전(趙佺)의 아들. 정몽주(鄭夢周)ㆍ설장수(楔長壽)와 함께 공양왕을 옹립하여 1등공신이 되고 옥천부원군(玉川府院君)에 봉해짐. 고려가 망하자 순창(淳昌)으로 내려가 벼슬을 하지 않고 절의를 지킴.
한국>고려후기 , 전라도>순창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농장인(農丈人) - 김정희(金正喜)
조선 순조(純祖)~철종(哲宗) 때의 문신ㆍ서화가(書畫家). 본관은 경주(慶州). 병조 참판(兵曹參判)ㆍ성균관 대사성(成均館大司成) 등을 지냄. 추사체(秋史體)를 대성한 명필로 예서(隸書)ㆍ행서(行書)에 능하며, 그림과 금석학(金石學) 등에도 조예가 깊음.
1786~1856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예산ㅣ경기도>과천ㅣ서울 , 인명>예술인>서화가ㅣ인명>관인>문신
-
농재(聾齋) - 이언괄(李彦适)
조선 인종(仁宗)~명종(明宗) 때의 학자. 본관은 여주(驪州)로, 이언적(李彦迪)의 아우. 학행으로 천거되어 송라도 찰방(松蘿道察訪) 등을 역임하였으며, 형 이언적이 윤원형(尹元衡)의 일파에게 몰려 유배되자 상소문을 지어 윤원형의 전횡을 규탄함.
1494~1553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경주 , 인명>문사>학자
-
농중자(籠中子) - 최산두(崔山斗)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초계최씨(草溪崔氏)의 중시조. 사간(司諫)ㆍ지평(持平) 등을 지냈으나, 기묘사화(己卯士禍) 때 동복(同福)으로 유배됨. 문장에 뛰어나 유성춘(柳成春)ㆍ윤구(尹衢)와 함께 ‘호남삼걸’로 불림.
1483~1536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광양 , 인명>관인>문신
-
농판(隴坂) - 농산(隴山)
중국 섬서성(陝西省) 농현(隴縣) 서북쪽에 있는 산 이름. 옛날에 행역(行役) 나간 사람들이 이 산에 올라 고향을 생각하며 슬퍼했다고 함.
중국 , 지명>자연지명
-
농환재(弄丸齋) - 남도진(南道振)
조선 후기의 은사ㆍ학자. 개국공신 남재(南在)의 11세손이며, 병마동첨절제사(兵馬同僉節制使) 남택하(南宅夏)의 아들. 용문산(龍門山)에 은거하여 자연을 완상(玩賞)하며 시조(時調)와 가사(歌辭)를 짓고 평생 저술에 전념함.
1674~1735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의령 , 인명>기타인명>은자ㅣ인명>문사>학자
-
뇌(賴) - 정뢰(鄭賴)
고려 후기의 문신. 《목은시고(牧隱詩稿)》에 그에 관한 만사(挽詞)가 실려 있음.
한국>고려후기 , 충청도>청주 , 인명>관인>문신
-
뇌^진(雷陳) - 진^뇌(陳^雷)
중국 후한(後漢)의 문신인 진중(陳重)과 뇌의(雷義)를 함께 부르는 말. 우의(友誼)가 매우 두터운 사람을 가리킴.
중국>후한 , 중국 , 사상>술어>관용어
-
뇌계(㵢溪) - 유호인(兪好仁)
조선 세조(世祖)~성종(成宗) 때의 문신ㆍ문인. 김종직(金宗直)의 문인(門人)으로, 합천 군수(陜川郡守) 등을 지냄. 시(詩)ㆍ문(文)ㆍ서(書)에 뛰어나 당대 삼절(三絶)로 일컬어지고 성종의 지극한 총애를 받음.
1445~1494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고령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뇌계진은(雷溪眞隱) - 유인(劉因)
중국 원(元) 나라 세조(世祖) 때의 문신ㆍ학자. 학행(學行)이 뛰어나 집현전 학사(集賢殿學士) 등 여러 관직에 제수되었으나 사양함. 정주학(程朱學)을 신봉하여 허형(許衡)과 함께 원 나라의 이대가(二大家)로 일컬어짐.
1249~1293 중국>원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뇌곡(磊谷) - 안극가(安克家)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탐진(耽津)으로, 찰방(察訪) 안기(安沂)의 아들. 이정(李楨)의 문인으로, 삼가 현감(三嘉縣監) 등을 지냄. 호호정(浩浩亭)을 짓고 경전 연구와 후진 양성에 힘씀.
1547~1614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강진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뇌공(雷公) - 뇌예지(雷禮之)
중국 명(明) 나라의 문신. 진사에 급제하여 공부 상서(工部尙書)를 지냈으며, 문장에 능함.
중국>명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뇌룡(雷龍) - 조식(曺植)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학자. 출사하지 않고 학문과 제자 교육에 힘썼으며 이황(李滉)과 더불어 영남 사림의 지도자적인 역할을 함.
1501~1572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진주ㅣ경상도>삼가ㅣ경상도>김해ㅣ서울 , 인명>문사>학자
-
뇌룡재(雷龍齋) - 조식(曺植)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학자. 출사하지 않고 학문과 제자 교육에 힘썼으며 이황(李滉)과 더불어 영남 사림의 지도자적인 역할을 함.
1501~1572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진주ㅣ경상도>삼가ㅣ경상도>김해ㅣ서울 , 인명>문사>학자
-
뇌무(賴茂) - 종뇌무(宗賴茂)
일본 실정시대(室町時代) 대마도(對馬島)의 도주(島主). 정평(正平) 연간에 대마도에 법제(法制)를 설치하고 두량(斗量)을 제정한 종경무(宗經茂)의 아들로 우마대부(右馬大夫)를 지냄.
일본>실정시대 , 일본 , 인명>관인>문신
-
뇌수산(雷首山) - 수양산(首陽山)@중국
중국 산서성(山西省) 서남쪽에 있는 산 이름. 고죽국(孤竹國)의 백이(伯夷)ㆍ숙제(叔齊) 형제가 절의(節義)를 지키다가 굶어 죽었다는 고사로 유명함.
중국 , 지명>자연지명
-
뇌씨(雷氏) - 뇌사(雷思)
중국 금(金) 나라의 문신ㆍ학자. 대리시 경(大理寺卿)ㆍ동지북경전운사사(同知北京轉運使事)를 지내고, 저술로 《역해(易解)》가 있음.
중국>금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뇌연(雷淵) - 남유용(南有容)
조선 경종(景宗)~영조(英祖) 때의 문신. 본관은 의령(宜寧). 이조 판서(吏曹判書)를 지낸 남용익(南龍翼)의 증손. 이재(李縡)의 문인으로, 양관(兩館) 대제학(大提學)과 형조 판서(刑曹判書)를 지냈으며 문장과 글씨에 뛰어났음.
1698~1773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뇌은(耒隱) - 전귀생(田貴生)
고려 말~조선 초의 은자ㆍ문인. 두문동(杜門洞) 72현의 한 사람. 삼사좌윤(三司左尹)ㆍ밀직제학(密直提學)을 지냈으나, 고려 말엽에 나라가 어지러워지자 두문동에 들어가 조선의 태조(太祖)가 여러 차례 불러도 나오지 않고 여생을 마침.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전라도>담양ㅣ경기도>개성 , 인명>기타인명>은자ㅣ인명>문사>문인
-
뇌자(賚子) - 문명필(文命弼)
조선 중종(中宗) 때의 유학. 본관은 남평(南平). 문상경(文尙褧)의 아들로, 1513년(중종 8) 생원시(生員試)에 입격함.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문사>유학
-
뇌진자(懶眞子) - 이준(李準)@조선후기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본관은 전주(全州). 정여립(鄭汝立)의 모반 때 공을 세워 평난공신(平難功臣)에 책록되었으나, 이이첨(李爾瞻)ㆍ정인홍(鄭仁弘) 등이 인목대비(仁穆大妃)를 유폐하는 등 정사를 어지럽히자 벼슬을 버리고 은퇴함.
1545~1624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전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뇌천(雷川) - 김부식(金富軾)
고려 숙종(肅宗)~의종(毅宗) 때의 문신ㆍ학자. 《삼국사기(三國史記)》를 편찬함.
1075~1151 한국>고려전기 , 경상도>경주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뇌하(雷夏) - 왕우칭(王禹偁)
중국 송(宋) 나라 태종(太宗) 때의 문신ㆍ문인. 사문(詞文)에 능했음. 강직한 성품 때문에 여러 차례 좌천되었으나, 〈삼출부(三黜賦)〉를 지어 자신의 뜻을 나타냄.
954~1001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누경(婁敬) - 유경(劉敬)
중국 전한(前漢) 때의 문신ㆍ공신. 본명은 누경(婁敬). 고조(高祖)가 천하를 통일한 뒤 낙양(洛陽)에 수도를 정하려 할 때, 관중(關中)으로 갈 것을 주장하여 장안(長安)을 수도로 정하고 유(劉)씨 성을 하사받아 유경(劉敬)이라 하였음.
중국>전한 , 중국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누공(婁公) - 유경(劉敬)
중국 전한(前漢) 때의 문신ㆍ공신. 본명은 누경(婁敬). 고조(高祖)가 천하를 통일한 뒤 낙양(洛陽)에 수도를 정하려 할 때, 관중(關中)으로 갈 것을 주장하여 장안(長安)을 수도로 정하고 유(劉)씨 성을 하사받아 유경(劉敬)이라 하였음.
중국>전한 , 중국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누리(累利) - 유리왕(瑠璃王)
삼국시대 고구려(高句麗) 제2대 왕. 재위 B.C.19~A.D.18. 동명왕(東明王)의 맏아들로, 어머니는 예씨(禮氏). 부여(扶餘)에서 아버지를 찾아 고구려로 와 태자로 책봉되어 동명왕이 사망하자 즉위함. 도읍을 졸본(卒本)에서 국내성(國內城)으로 옮겼으며, 선비(鮮卑)ㆍ부여의 공격을 막아내고 영토를 넓히는 데 힘씀.
?~18 한국>고구려 , 인명>왕실>국왕
-
누사(婁師) - 누사덕(婁師德)
중국 당(唐) 나라 측천무후(則天武后) 때의 문신. 재상(宰相)으로 있으면서 30여 년 동안 정사를 돌보고 변방의 요지(要地)를 총괄함. 인덕(仁德)을 지녀 칭송을 받음.
630~699 중국>당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누수(婁宿) - 누성(婁星)
별자리 이십팔수(二十八宿)의 열여섯째 자리에 있는 별 이름. 규성(奎星)ㆍ위성(胃星)과 함께 강루(降婁)의 자리에 속함.
자연물>천체
-
누실(陋室) - 이담(李湛)@고려
고려 충혜왕(忠惠王) 때의 문신. 기거주(起居注)와 우대언(右代言)을 역임하였으며, 동지공거(同知貢擧)를 맡아 송천봉(宋天鳳) 등을 선발함.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교하 , 인명>관인>문신
-
누암(樓巖) - 고루암(鼓樓巖)
중국 복건성(福建省) 무이산(武夷山) 계곡에 있는 암벽 이름.
중국 , 지명>자연지명
-
누재(陋齋) - 원천석(元天錫)
고려 말~조선 초의 은사(隱士). 본관은 원주(原州)로, 두문동(杜門洞) 72현의 한 사람. 태종(太宗)이 즉위하여 불렀으나 응하지 않았으며, 태종이 그의 집을 찾아가도 산속으로 피하여 은둔함.
1330~?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강원도>원주 , 인명>기타인명>은자
-
누졸재(陋拙齋) - 원천석(元天錫)
고려 말~조선 초의 은사(隱士). 본관은 원주(原州)로, 두문동(杜門洞) 72현의 한 사람. 태종(太宗)이 즉위하여 불렀으나 응하지 않았으며, 태종이 그의 집을 찾아가도 산속으로 피하여 은둔함.
1330~?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강원도>원주 , 인명>기타인명>은자
-
누죽(淚竹) - 상죽(湘竹)
상수(湘水)의 대나무로, 아황(娥皇)과 여영(女英)을 뜻함. 중국 고대 순(舜) 임금이 창오(蒼梧)에서 죽었을 때 두 비(妃)인 아황과 여영이 상수에서 흘린 눈물이 대줄기를 얼룩지게 하였다 해서 남편을 따라 죽은 두 비의 절개를 상징함.
고대 , 중국 , 사상>술어>고사성어
-
누항라치파(婁恒囉哆婆) - 지공(指空)
인도 마갈제국(摩竭提國)의 승려. 원(元) 나라에 있다가 1326년 고려에 와서 머물렀던 고승으로, 나옹 혜근(懶翁惠勤)의 스승임. 회암사지(檜巖寺址)에 승탑(僧塔)이 남아 있으며, 이색(李穡)이 부도명(浮圖銘)을 지음.
?~1363 한국>고려후기 , 기타지역ㅣ중국ㅣ경기도>양주 , 인명>종교인>승려
-
누후(樓侯) - 장소(張昭)
중국 삼국시대 오(吳) 나라의 문신. 손책(孫策)을 도와 오 나라를 건국하는데 공을 세우고, 대제(大帝) 손권(孫權)을 보좌하여 나라의 기틀을 잡음. 보오장군(輔吳將軍) 등을 지냄.
156~236 중국>삼국시대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눌(訥) - 허눌(許訥)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김해(金海). 허백영(許伯瑛)의 아들이며 허백기(許伯琦)의 조카로, 1519년(중종 14) 별시(別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첨정(僉正)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김해 , 인명>관인>문신
-
눌(訥)@박눌 - 박눌(朴訥)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함양(咸陽). 사직(司直)을 지낸 박소종(朴紹宗)의 아들.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함양 , 인명>문사>유학
-
눌(訥)@권눌 - 권눌(權訥)
조선 선조(宣祖) 때의 학자. 본관은 안동(安東). 권호문(權好文)ㆍ김언기(金彦璣)의 문인(門人)으로, 와룡산 아래 원광정사(遠光精舍)를 짓고 후진을 양성함.
1547~?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문사>학자
-
눌선(訥仙) - 박상(朴祥)
조선 연산군(燕山君)~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충주(忠州). 박지흥(朴智興)의 아들로, 중종반정(中宗反正)으로 폐위된 단경왕후(端敬王后)의 복위를 주장함. 청백리(淸白吏)에 녹선됨.
1474~1530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광산 , 인명>관인>문신
-
눌암(訥庵) - 홍언국(洪彦國)
조선 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 본관은 부계(缶溪). 허백정(虛白亭) 홍귀달(洪貴達)의 넷째 아들로, 참봉(參奉)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의흥 , 인명>문사>유학
-
눌암(訥庵)@송세림 - 송세림(宋世琳)
조선 연산군(燕山君)~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여산(礪山). 송연손(宋演孫)의 아들로, 교리(校理) 등을 지냄. 그림과 글씨에 모두 뛰어났으며, 저서로 《어면순(禦眠楯)》이 있음.
1479~?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여산 , 인명>관인>문신
-
눌암(訥菴) - 홍섬(洪暹)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남양(南陽). 홍언필(洪彦弼)의 아들이고, 조광조(趙光祖)의 문인으로, 김안로(金安老)ㆍ이량(李樑)ㆍ남곤(南袞)의 횡포를 탄핵하고, 영의정 등을 지냄. 문장에 능하고 경서에 밝으며, 청백리에 녹선됨.
1504~1585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남양 , 인명>관인>문신
-
눌암(訥菴)@김찬 - 김찬(金瓚)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 형조 참의(刑曹參議) 김언침(金彦沈)의 아들로, 임진왜란 때 동인(東人)의 영수 이산해(李山海)를 탄핵하여 파직시키고, 일본과의 강화(講和)에서 공을 세움. 문장에 뛰어나고 경제와 외교 분야에 능숙함.
1543~1599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눌옹(訥翁)@성삼문 - 성삼문(成三問)
조선 세종(世宗)~세조(世祖)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창녕(昌寧). 집현전(集賢殿)의 학사로 훈민정음(訓民正音) 창제에 공헌함. 사육신(死六臣)의 한 사람으로, 단종(端宗)에 대한 절의를 지켜 복위(復位)를 도모하다가 실패하여 처형됨.
1418~1456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홍주 , 인명>관인>문신
-
눌옹(訥翁) - 박상(朴祥)
조선 연산군(燕山君)~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충주(忠州). 박지흥(朴智興)의 아들로, 중종반정(中宗反正)으로 폐위된 단경왕후(端敬王后)의 복위를 주장함. 청백리(淸白吏)에 녹선됨.
1474~1530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광산 , 인명>관인>문신
-
눌옹(訥翁)@이광정 - 이광정(李光庭)@1674
조선 숙종(肅宗)~영조(英祖) 때의 학자. 본관은 원주(原州). 문장(文章)과 학술(學術)로 중망을 얻어 여러 번 관직에 제수되었으나 모두 사양하고 산림에 묻혀 후학 교육에 전념함.
1674~1756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문사>학자
-
눌옹(訥翁)@송기수 - 송기수(宋麒壽)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은진(恩津)으로, 정미사화(丁未士禍)로 사사(賜死)된 송인수(宋麟壽)의 종제(從弟). 명종(明宗) 때 을사사화(乙巳士禍)에 가담하여 보익공신(保翼功臣)에 책록되었으며, 이조 판서(吏曹判書) 등을 지냄.
1507~1581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눌옹집(訥翁集) - 눌옹문집(訥翁文集)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학자인 송석충(宋碩忠)의 시문집(詩文集). 불분권 1책. 목판본. 1693년(숙종 19) 송응망(宋應望)이 편집, 간행하였으며, 권두에 김굉(金宏)의 서문이 있고, 권말에 송응망의 발문이 있음.
1693 한국>조선후기 , 문헌>서명
-
눌은(訥隱) - 이광정(李光庭)@1674
조선 숙종(肅宗)~영조(英祖) 때의 학자. 본관은 원주(原州). 문장(文章)과 학술(學術)로 중망을 얻어 여러 번 관직에 제수되었으나 모두 사양하고 산림에 묻혀 후학 교육에 전념함.
1674~1756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문사>학자
-
눌은문집(訥隱文集) - 눌은집(訥隱集)
조선 숙종(肅宗)~영조(英祖) 때의 은사(隱士)인 이광정(李光庭)의 시문집(詩文集). 22권 11책. 목판본. 1808년(순조 8) 손자 이사훈(李師勛) 등이 간행함.
1808 한국>조선후기 , 문헌>서명
-
눌은선생문집(訥隱先生文集) - 눌은집(訥隱集)
조선 숙종(肅宗)~영조(英祖) 때의 은사(隱士)인 이광정(李光庭)의 시문집(詩文集). 22권 11책. 목판본. 1808년(순조 8) 손자 이사훈(李師勛) 등이 간행함.
1808 한국>조선후기 , 문헌>서명
-
눌재(訥齋)@송석충 - 송석충(宋碩忠)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학자. 본관은 야로(冶爐). 현령(縣令) 송륜(宋綸)의 아들로, 무오사화(戊午士禍) 때 김굉필(金宏弼)ㆍ최부(崔溥) 등 교유하던 인물들이 화(禍)를 당하자 향리(鄕里)에 내려가 서사(書史)에 몰두함.
1454~1524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영천(榮川) , 인명>문사>학자
-
눌재(訥齋) - 김경언(金慶言)
조선 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순천(順天). 김상(金湘)의 아들로, 1548년(명종 3) 별시(別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군수(郡守)를 지냄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순천 , 인명>관인>문신
-
눌재(訥齋)@이광정 - 이광정(李光庭)@1674
조선 숙종(肅宗)~영조(英祖) 때의 학자. 본관은 원주(原州). 문장(文章)과 학술(學術)로 중망을 얻어 여러 번 관직에 제수되었으나 모두 사양하고 산림에 묻혀 후학 교육에 전념함.
1674~1756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문사>학자
-
눌재(訥齋)@조사연 - 조사연(趙師淵)
중국 송(宋) 효종(孝宗)~영종(寧宗) 때의 학자ㆍ문신. 송 왕조의 종실(宗室)로, 조사하(趙師夏)의 형. 주희(朱熹)의 문인(門人)으로 《자치통감강목(資治通鑑綱目)》 편찬에 참여하였음.
1150?~1210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눌재(訥齋)@양성지 - 양성지(梁誠之)
조선 세종(世宗)~성종(成宗)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남원(南原). 집현전(集賢殿)의 부수찬ㆍ교리를 거쳐 이조 판서(吏曹判書)ㆍ홍문관 대제학(弘文館大提學) 등을 지냄. 《고려사(高麗史)》ㆍ《동국여지승람(東國輿地勝覽)》등을 편찬함.
1415~1482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남원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눌재(訥齋)@이예 - 이예(李芮)
조선 세종(世宗)~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양성(陽城). 집현전 박사(集賢殿博士)로 있을 때 세종의 총애를 받고, 《의방유취(醫方類聚)》ㆍ《고려사(高麗史)》등의 편찬에 참여함. 형조 판서 등을 지내고, 학식ㆍ문명이 높아 명망을 떨침.
1419~1480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양성 , 인명>관인>문신
-
눌재(訥齋)@박세후 - 박세후(朴世煦)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조광조(趙光祖)의 문인(門人). 박사화(朴士華)의 아들로 승정원 동부승지(承政院同副承旨) 등을 역임하였으며, 1545년 하절사(賀節使)로 명(明) 나라에 다녀옴.
1494~1550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상주 , 인명>관인>문신
-
눌재(訥齋)@이홍준 - 이홍준(李弘準)
조선 연산군(燕山君) 때의 유학. 본관은 경주(慶州)로, 금호(琴湖) 이시민(李時敏)의 아들이며 용재(慵齋) 이종준(李宗準)의 동생.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영천(永川)ㅣ경상도>안동 , 인명>문사>유학
-
눌재(訥齋)@이충건 - 이충건(李忠楗)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성주(星州). 이윤탁(李允濯)의 아들이며, 조광조(趙光祖)의 문인으로, 기묘사화(己卯士禍) 때 파직됨. 안처겸(安處謙)의 옥사에 연루되어 고문을 받고 귀양 가던 도중 청파역(靑坡驛)에서 죽음.
?~1521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성주 , 인명>관인>문신
-
눌재(訥齋)@김생명 - 김생명(金生溟)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 을사사화(乙巳士禍) 후 사직하고 학문연구에만 몰두함.
1504~1577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경산 , 인명>관인>문신
-
눌재(訥齋)@박상 - 박상(朴祥)
조선 연산군(燕山君)~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충주(忠州). 박지흥(朴智興)의 아들로, 중종반정(中宗反正)으로 폐위된 단경왕후(端敬王后)의 복위를 주장함. 청백리(淸白吏)에 녹선됨.
1474~1530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광산 , 인명>관인>문신
-
눌재(訥齋)@박증영 - 박증영(朴增榮)
조선 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밀양(密陽). 예조 참의(禮曹參議) 박미(朴楣)의 셋째 아들이며, 병조 참의(兵曹參議) 박의영(朴義榮)ㆍ성균관 사예(成均館司藝) 박광영(朴光榮)의 아우. 문장으로 유명하고, 사간원 헌납(司諫院獻納) 등을 지냄.
1464~1493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밀양 , 인명>관인>문신
-
눌재고(訥齋稿) - 눌재집(訥齋集)@박상
조선 전기의 문신ㆍ학자인 박상(朴祥)의 시문집(詩文集). 16권 6책. 목판본. 시(詩)가 대부분을 차지하고, 문장은 10여 편만 수록됨.
1547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금산 , 문헌>서명
-
눌지왕(訥祗王) - 눌지마립간(訥祗麻立干)
신라 제19대 왕. 재위 417~458. 내물마립간(內物麻立干)의 아들이자 자비마립간(慈悲麻立干)의 아버지. 백제와 공수 동맹(攻守同盟)을 맺어 고구려를 견제하였으며, 왕위의 부자 상속제를 확립하고 우차법(牛車法)을 제정함.
?~458 한국>신라 , 경상도>경주 , 인명>왕실>국왕
-
눌촌(訥村)@배중부 - 배중부(裵仲孚)
고려 후기의 문인. 김덕유(金德儒)ㆍ이직(李稷) 등과 교유함. 《동문선(東文選)》과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에 시가 전함.
한국>고려후기 , 인명>문사>문인
-
눌헌(訥軒) - 이사균(李思鈞)
조선 연산군(燕山君)~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경주(慶州). 폐비(廢妃) 윤씨(尹氏) 복위의 부당성을 주장하다가 보은(報恩)으로 유배되고, 기묘사화(己卯士禍) 후 조광조(趙光祖) 일파로 몰려 좌천되었으며, 지중추부사(知中樞府事) 등을 역임함.
1471~1536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경주 , 인명>관인>문신
-
뉴(紐)@1527 - 김뉴(金紐)@1527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선산(善山)으로, 점필재(佔畢齋) 김종직(金宗直)의 손자. 민구령(閔九齡)의 문인(門人)으로 별제(別提)를 지냈으며, 합천(陜川)의 신천서원(新川書院)에 배향됨.
1527~1580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밀양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뉴(紐)@1420 - 김뉴(金紐)@1420
조선 세조(世祖)~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 김중엄(金仲淹)의 아들로, 대사헌(大司憲)ㆍ이조 참판(吏曹參判) 등을 역임했으며, 시(詩)ㆍ서(書)ㆍ금(琴)에 모두 뛰어났음.
1420~?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늑(玏)@문륵 - 문륵(文玏)
조선 선조(宣祖) 때의 유학. 본관은 남평(南平). 옥동(玉洞) 문익성(文益成)의 아들이자, 문할(文劼)의 동생.
1566~?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합천 , 인명>문사>유학
-
늑(玏) - 김륵(金玏)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예안(禮安). 이황(李滉)의 문인으로,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안집사(安集使)로 영남에 가서 민심을 수습하였고, 김직재(金直哉)의 무옥(誣獄)에 연루되어 강릉으로 유배됨.
1540~1616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영천(榮川)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늑대(勒臺) - 탄금대(彈琴臺)
충청도 충주(忠州)의 견문산(犬門山)에 있는 절벽 바위. 신라 진흥왕(眞興王) 때 우륵(于勒)이 가야금을 탄주하던 곳이라 하여 붙여진 이름이라 하며, 임진왜란 때 신립(申砬)이 소서행장(小西行長)과 맞서 싸우다 전사한 곳이기도 함.
충청도>충주 , 유적>기타유적ㅣ지명>자연지명
-
능(凌) - 최능(崔凌)
조선 전기의 생원. 김안국(金安國)ㆍ박배원(朴培源)ㆍ강은(姜㶏) 등과 교유하였음.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이천 , 인명>문사>유학
-
능(稜) - 서릉(徐稜)
고려 고종(高宗) 때의 문신ㆍ효자. 본관은 이천(利川). 시중(侍中)을 지냈으며, 절효(節孝)로 향현사(鄕賢祠)에 배향됨.
한국>고려후기 , 전라도>장성 , 인명>기타인명>효자ㅣ인명>관인>문신
-
능^화(楞^華) - 능^법(楞^法)
불교 경전인 능엄경(楞嚴經)과 묘법연화경(妙法蓮華經)을 함께 부르는 말. 둘다 한국불교사상을 확립하는 데 큰 영향을 끼침.
문헌>기타문헌
-
능가(楞伽) - 변산(邊山)
전라북도 부안(扶安)에 있는 산 이름. 뛰어난 경관을 이루고 있어 일찍이 한국 팔경(八景)의 하나로 꼽혀왔으며, 산이면서 바다와 직접 닿아 있는 것이 특징임.
전라도>부안 , 지명>자연지명
-
능가산(楞伽山) - 변산(邊山)
전라북도 부안(扶安)에 있는 산 이름. 뛰어난 경관을 이루고 있어 일찍이 한국 팔경(八景)의 하나로 꼽혀왔으며, 산이면서 바다와 직접 닿아 있는 것이 특징임.
전라도>부안 , 지명>자연지명
-
능각(凌閣) - 능연각(凌煙閣)
중국 장안(長安)에 있던 전각 이름. 당(唐) 태종(太宗) 때 두여회(杜如晦)ㆍ위징(魏徵)ㆍ방현령(房玄齡) 등 공신(功臣) 24명의 초상을 걸어두었던 곳으로, 기린각(麒麟閣)과 함께 공신각(功臣閣)을 대표하는 말로 쓰임.
중국>당 , 중국 , 유적>건물>궁궐
-
능고대(凌敲臺) - 능효대(凌歊臺)
중국 안휘성(安徽省) 황산(黃山) 위에 있는 누대 이름. 남북조시대 송(宋) 나라 무제(武帝)가 남쪽으로 유람하다가 이곳에 올라 이궁(離宮)을 세웠다고 함.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유적>건물>누정
-
능라군(綾羅君) - 권덕신(權德臣)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안동(安東). 권란(權鸞)의 아들로, 아들인 선무공신(宣武功臣) 권응수(權應銖)의 공으로 인해 의정부 우찬성(議政府右贊成) 능라군(綾羅君)에 추증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신녕 , 인명>문사>유학
-
능산(綾山)@구겸 - 구겸(具謙)@구치관의조카
조선 세조(世祖)~성종(成宗) 때의 무신. 본관은 능성(綾城)으로, 영의정 구치관(具致寬)의 조카. 이시애(李施愛)의 난 때 도총사(都摠使) 이준(李浚)의 군관으로 종군한 공로로 적개공신(敵愾功臣)에 책록되고, 능산군(綾山君)에 봉해짐.
?~1494 한국>조선전기 , 평안도>의주 , 인명>관인>무신
-
능산(綾山) - 능성(綾城)
전라남도 화순(和順) 능주면(綾州面) 일대 지역의 옛 이름. 1632년(인조 10)에 능주(綾州)로 개칭함.
940~1632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시대 , 전라도>화순 , 지명>행정지명
-
능산군(綾山君) - 구겸(具謙)@구치관의조카
조선 세조(世祖)~성종(成宗) 때의 무신. 본관은 능성(綾城)으로, 영의정 구치관(具致寬)의 조카. 이시애(李施愛)의 난 때 도총사(都摠使) 이준(李浚)의 군관으로 종군한 공로로 적개공신(敵愾功臣)에 책록되고, 능산군(綾山君)에 봉해짐.
?~1494 한국>조선전기 , 평안도>의주 , 인명>관인>무신
-
능상(能相) - 송능상(宋能相)
조선 영조(英祖) 때의 문신ㆍ학자. 송시열(宋時烈)의 현손이며, 한원진(韓元震)의 문인(門人)으로, 윤봉구(尹鳳九) 등 노론 학자들과 교유하였으며, 여러 관직을 지내다가 묘향산(妙香山)에 들어가 《대학(大學)》을 강론함.
1709~1758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은진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능성(能城) - 삼등(三登)
평안도 동북부에 있는 고을 이름. 동으로 성천부(成川府)와 경계하였고, 명승지로 황학루(黃鶴樓) 등이 있음.
평안도>삼등 , 지명>행정지명
-
능성공(綾城公) - 구굉(具宏)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무신. 본관은 능성(綾城). 좌찬성(左贊成)을 지낸 구사맹(具思孟)의 아들이자 원종(元宗)의 비(妃) 인헌왕후(仁獻王后)의 오빠. 인조반정(仁祖反正)에 참여하여 정사공신(靖社功臣)으로 능성부원군(綾城府院君)에 봉해짐.
1577~1642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무신